KR20140102135A -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135A
KR20140102135A KR1020140012139A KR20140012139A KR20140102135A KR 20140102135 A KR20140102135 A KR 20140102135A KR 1020140012139 A KR1020140012139 A KR 1020140012139A KR 20140012139 A KR20140012139 A KR 20140012139A KR 20140102135 A KR20140102135 A KR 2014010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m
opening
plat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159B1 (ko
Inventor
켄타로 야부코시
테츠오 콘도
Original Assignee
켐 홍콩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 홍콩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켐 홍콩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0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조작자나 작업자가 원고 압착판의 착탈 작업을 실시할 때에, 각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각각 다른 한쪽의 손으로 들어도, 손가락이 끼일 걱정이 없고, 구조 간단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취부각부와, 이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캠부와, 스프링 수용부를 갖고 상기 캠부에 힌지 핀을 개입시켜 그 양연결판을 회동 자재로 장착한 지지 부재와,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캠 슬라이더와, 이 캠 슬라이더를 상기 캠부측에 압압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탄설된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취부 부재와 지지 부재의 각 후부에 상기 원고 압착판의 완전 열림 시에 서로 당접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당접부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캠부에 가이드도랑을 설치하여, 상기 양연결판에 상기 가이드도랑에 계합하는 가이드 핀을 설치했다.

Description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사기, 복합기(복사기에 팩시밀리나 프린터 기능을 탑재시킨 것),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원고 압착판을 가지는 사무기기에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로서, 일본 특개2011-43593호 공개특허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공지이다. 이 일본 특개2011-43593호 공개특허 공보에 기재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는, 사무기기의 장치 본체에 설치한 취부공(取付孔)에 삽태 자재(揷脫自在)로 장착되는 각부(脚部)와, 이 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 캠부와, 이 고정 캠부에 힌지 핀을 개입시켜 그 양연결판을 회동 자재로 장착한 상기 원고 압착판의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 내부에 상기 고정 캠부에 접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상기 고정 캠부측에 압압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 부재 내부에 탄설된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런 종류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로서, 일본 특개2011-158053호 공개특허 공보(이하, 특허 문헌 2라 한다)에 기재되어 있는 것도 공지이다. 이 특허 문헌 2 기재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는, 장치 본체에 설치한 취부공에 삽태 자재가 장착되는 통 모양의 취부각부(取付脚部)와, 이 취부각부의 내부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캠 슬라이더와, 이 캠 슬라이더를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 시키기 위해서 상기 취부각부 내에 탄설된 탄성 수단과, 상기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양연결판 사이에 힌지 핀을 개입시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곳의 상기 원고 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에 설치된 곳의 상기 캠 슬라이더에 압접하는 캠부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는, 장치 본체에서 열린 원고 압착판의 열림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규제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의 후부측과 취부 부재의 후부측과의 사이에 당접부(스톱퍼 수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이 당접부는, 통상, 원고 압착판을 열었을 때에 장치 본체에 대해 대략 90도의 열림 각도 부근에서, 정지 보관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톱퍼부는, 특허 문헌 1의 것은, 특히 그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각부(1)의 상부에 설치한 고정 캠부(1c)의 표면, 지지 부재(4)의 상판(4b)의 후부가 당접하도록 구성하여 스톱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의 것에서는, 같은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회동 부재(120)에 설치한 돌기가 케이스 부재(110)에 설치한 후부 커버판(119L와 119R)에 당접하도록 상기 스톱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부각부를 가지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는, 해당 취부각부가 취부공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것부터, 원고가 책과 두꺼운 원고의 경우에는, 취부각부를 취부공에 대해서 윗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장치 본체에 대해서 리프트 업 시키는 것으로, 두꺼운 원고의 표면을 컨택트 유리에 대해서 수평으로 가리는 것이 가능하고, 외광이 컨택트 유리를 개입시켜 장치 본체 내에 침입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두꺼운 원고가 사전과 같이 두께가 있는 경우에는, 조작자가 원고 압착판 그 자체를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마다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 두꺼운 원고의 표면을 수평으로 누르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원고 압착판의 장치 본체에의 장착시나, 장착 후의 장치 본체 내부의 수리 점검 시에는, 작업자가 취부 부재와 지지 부재의 연결 부분을 가지고, 취부각부의 취부공에 대한 착탈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 한 쌍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그 자체를 각각 한쪽의 손으로 들고, 혹은 원고 압착판을 양손으로 들고, 윗쪽으로 인장하고, 취부각부가 장치 본체에 설치한 취부공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고, 원고 압착판을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취부공에 취부 부재의 취부각부를 하압하는 것으로 장치 본체에 대해서 원고 압착판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부터, 조작자가 원고 압착판을 장착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장치 본체에 착탈하기 쉽고, 또, 작업자가 원고 압착판이나 장치 본체의 수리, 보수, 점검 시에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부분을 양손으로 들어 장치 본체에 대한 착탈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많이 볼 수 있다.
그런데, 작업자나 조작자가 좌우 한 쌍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양손으로 들어 장치 본체에 대한 착탈 작업을 실시할 때에, 원고 압착판에 작용하고 있는 탄성 수단의 탄력이 약해지므로, 원고 압착판이 전후로 흔들흔들해 버리고, 이 흔들림에 수반해 지지 부재가 전후방향으로 회동해버리고, 해당 지지 부재와 취부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한 당접부(스톱퍼 수단)에 의해서 손가락이 끼어 버리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취부 부재에 취부각부를 설치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에서, 조작자나 작업자가 한 쌍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양손으로 들어 장치 본체에 대해서 원고 압착판의 착탈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각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각각 다른 한쪽의 손으로 들어도, 손가락을 사이에 끼일 걱정이 없는, 구조 간단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을 장치 본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며, 장치 본체에 설치한 취부공에 삽태 자재(揷脫自在)로 장착되는 취부각부(取付脚部)와 이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캠부를 가지는 취부 부재와, 스프링 수용부를 갖고 상기 캠부에 힌지 핀을 개입시켜 그 양연결판을 회동 자재로 장착한 상기 원고 압착판의 지지 부재와,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상기 캠부에 접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캠 슬라이더와, 이 캠 슬라이더를 상기 캠부측에 압압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탄설된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취부 부재와 지지 부재의 각 후부에 상기 원고 압착판의 완전 열림 시에 서로 당접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당접부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의 어느 일방에 가이드도랑(guide 溝)을 설치하고, 상기 캠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의 어느 타방에 상기 가이드도랑에 계합하는 가이드 핀을 설치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의 열림 각도를 규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에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에 장착한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도랑과 관통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또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시키는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또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이, 상기 캠부의 양측에서 관통하지 않고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도랑에 각각 감입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캠부에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위치를 바꾸어 복수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위치를 바꾸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각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에서 각 기재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도랑을,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을 상기 캠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청구항 7에 관한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을 장치 본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며, 장치 본체에 설치한 취부공에 삽태 자재로 장착되는 곳의 스프링 수용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취부각부와 이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양연결판을 가지는 취부 부재와,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캠 슬라이더와, 이 캠 슬라이더를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 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설치된 탄성 수단과, 상기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양연결판 사이에 힌지 핀을 개입시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곳의 상기 원고 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에 설치된 곳의 상기 캠 슬라이더에 압접하는 캠부로부터 구성되어, 상기 취부 부재와 지지 부재의 각 후부에 상기 원고 압착판의 완전 열림 시에 서로 당접해 상기 지지 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당접부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과 상기 캠부와의 어느 일방에 가이드도랑을 설치하고,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과 상기 캠부와의 어느 타방에 상기 가이드도랑에 계합하는 가이드 핀을 설치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의 열림 각도를 규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에 장착한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도랑과 관통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시키는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취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이, 상기 캠부의 양측에서 관통하지 않고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취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도랑에 각각 감입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1의 본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캠부에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위치를 바꾸어 복수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취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위치를 바꾸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각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11에서 각 기재의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캠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청구항 13에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각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원고 압착판의 조작자나 장치 본체 내부의 보수 점검 시의 작업자가, 장치 본체의 앞쪽에서 원고 압착판을 연 상태에서 해당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작업을 실시할 때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원고 압착판에 의해서 지지 부재와 취부 부재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상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단체로의 통상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로부터 지지 부재를 원고 압착판의 닫힘시의 상태까지 회동시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사무기기의 장치 본체에 설치된 원고 압착판을 닫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사무기기의 장치 본체에 설치한 원고 압착판을 최대 열림 각도까지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원고 압착판을 중간 열림 각도까지 열린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원고가 두꺼운 원고의 경우의 사용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취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6의 A-A선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6의 A-A선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B-B선의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를 첨부 도면에 근거해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무기기에는, 복사기, 복합기(복사기에 팩시밀리나 프린터 기능을 탑재시킨 것),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이 포함되지만,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도 하기한 실시예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그 외의 실시예의 것이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는, 주로 비교적 가벼운 원고 압착판을 사무기기의 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취부 부재와 지지 부재의 외측에 다수의 철부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취부 부재나 지지 부재의 재료를 절약하고, 가볍게 하기 위해서 설치한 것이므로, 단면도에서는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런 종류의 취부각부(取付脚部)를 가지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는, 해당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취부각부를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면, 원고 압착판의 하중이 걸리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탄성 수단의 탄력이 우수하여,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취부 부재는 지지 부재에 대해서 회동하고, 원고 압착판이 전개 상태 때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원고 압착판을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취부 부재의 캠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손으로 드는 경우에, 원고 압착판이 취부 부재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흔들흔들 흔들리기 때문에, 지지 부재와 취부 부재의 사이에 상술한 종래 공지의 당접부가 있으면, 같은 상술한 것처럼 손을 사이에 끼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은 지지 부재에 원고 압착판을 설치한 닫힘 상태까지 닫은 상태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1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A)는, 사무기기(1)의 장치 본체(2)에 대해서 원고 압착판(3)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며, 통상 한 쌍 설치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 한쪽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그 일부만을 도면에 기재한 사무기기(1)의 일례로서의 복사기의 장치 본체(2)의 후부 상단에는, 취부공(2a)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취부공(2a)에 실시예 1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A)의 취부 부재(4)의 취부각부(4a)가 삽태 자재로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 취부 부재(4)는, 예를 들면 POM 등의 합성 수지의 성형품이며, 취부각부(4a)의 상부에는 캠부(4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취부 부재(4)의 후부측에는, 원고 압착판의 완전 열림 상태에 대해 후술하는 지지 부재(5)의 후부와 당접하는 당접부가 설치되지 않았다.
이 취부 부재(4)는, 실시예의 합성 수지의 성형품 이외에, 금속 플레이트, 예를 들면 스텐레스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 수 있다. 혹은, 취부각부를 예를 들면 스텐레스강의 금속제의 환봉으로 하고, 캠부를 장착하는 베이스 부분을 프레스 가공품으로 만들어, 금속제의 취부각부를 베이스에 코킹 등의 수단으로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취부 부재를 모두 프레스 가공품으로 했을 경우에는, 캠부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취부 부재의 상부에 설치한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5)도 도시한 것은 예를 들면 POM과 같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이며, 외관상 각통 모양을 나타낸 스프링 수용부(5a)보다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한 양연결판(5b, 5b)를, 힌지 핀(6)을 개입시켜 취부 부재(4)의 캠부(4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5a)의 내부에는, 캠부(4b)에 접해 캠 슬라이더(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장(收裝)되고, 이 캠 슬라이더(7)를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시키기 위해서, 스프링 수용부(5a)의 폐색부(5c)의 안쪽과 캠 슬라이더(7)와의 사이에 해당 스프링 수용부(5a)에 수용시키면서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 수단(8)이 탄설되어 있다. 또한, 폐색부(5c)에 설치된 작은 구멍(5f)은 바람구멍이다. 또한, 지시 기호 5h는 스프링 수용부(5a)의 저판이다.
지지 부재(5)의 양연결판(5b, 5b)의 상부측은 예를 들면 상판에서 덮이지 않고 스프링 수용부(5a)의 상판(5d)을 구성하는 부분이 삭제되어, 원고 압착판(3)의 완전 열림 시에 지지 부재의 후부측이 취부 부재(4)의 후부측에 당접하는 당접부는 설치되지 않았다.
즉, 취부 부재(4)와 지지 부재(5)의 각 후부측에는, 원고 압착판(3)의 열림 시에 지지 부재(5)의 후부측이 당접하는 당접부가 삭제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수용부(5a)를 구성하는 양측판(5g, 5g)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원고 압착판(3)을 장착하는 취부판(5e, 5e)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캠부(4b)에 설치한 가이드도랑(guide 溝)(4c)에는, 지지 부재(5)의 양연결판(5b, 5b)에 장착한 가이드 핀(9)이 관통하는 것으로써 계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A)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 부재(5)의 취부판(5e, 5e)에 원고 압착판(3)의 후부를 장착하고, 취부 부재(4)의 취부각부(4a)를 사무기기(1)의 장치 본체(2)에 설치한 취부공(2a)에 삽입시켜,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원고 압착판(3)을 닫은 상태에서는, 원고 압착판(3)이 그 중량에 의해 힌지 핀(6)의 회전으로 창출시키는 회전 토크보다, 탄성 수단(8)의 탄력에 의해, 캠 슬라이더(7)와 캠부(4b)에 의해서 같이 힌지 핀(6)의 회전으로 창출시키는 회전 토크의 방향이 작으므로, 원고 압착판(3)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원고 재치대를 구성하는 컨택트 유리(2b) 상에 재치한 원고(도시하지 않음)는, 컨택트 유리(2b) 상에 압착되게 된다. 이 닫힘 상태 때에는, 가이드 핀(69)은 가이드도랑(4c)의 시단부(a)의 위치에 있다.
원고 압착판(3)을 열 때, 해당 원고 압착판(3)의 앞측을 손으로 상압하면, 처음에는 원고 압착판(3)의 중량을 느끼지만, 곧바로 탄성 수단(8)의 탄력이 우세해지기 시작하여, 원고 압착판(3)의 조작자는 해당 원고 압착판(3)의 본래의 중량을 느끼는 일 없이 여는 것이 가능하고, 대략 30도에서 60도의 사이에서는, 원고 압착판(3)이 힌지 핀(6)의 회전으로 창출시키는 회전 토크를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A)의 힌지 토크가 지우므로, 원고 압착판(3)은 자연 낙하하지 않고 열림 상태를 유지하므로, 양손이 자유가 되어 원고를 컨택트 유리 상으로 재치하여, 떼어내는 것을 지장 없게 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특히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원고 압착판(3)은 장치 본체(2)에서 대략 90도의 열림 각도의 약간 앞에서, 가이드 핀(69)이 가이드도랑의 종단부(b)에 도달하여, 이 정도치로 계지됨으로써, 그 이상 열리지 않는다. 또, 이 완전 열림 상태에서, 같은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취부 부재의 후부측과 지지 부재의 후부측에는, 특허 문헌 1과 2에 나타낸 것 같은 서로 당접하는 당접부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취부 부재의 상부를 손으로 들어도 사이에 끼일 우려가 없는 것이다.
원고가 책과 같은 두꺼운 원고(10)의 경우에는, 원고 압착판(3)을 열어 이 두꺼운 원고(10)를 컨택트 유리(2b) 상에 재치시켜, 원고 압착판(3)을 닫으면, 해당 원고 압착판(3)의 후단부측이 두꺼운 원고(10)의 후단부에 해당되므로, 또한 원고 압착판(3)을 하압하면, 문설주의 원리에 의해서 취부각부(4a)가 취부공(2a)으로부터 윗쪽으로 빠져 나오고,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두꺼운 원고(10)의 상부를 원고 압착판(3)에 수평으로 가려, 외광이 컨택트 유리를 개입시켜 장치 본체(2) 내부로 침입해, 선명한 복사를 방해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복사 시나 사무기기(1)의 조립 시, 혹은 장치 본체(2)의 보수 점검 시에, 원고 압착판(3)을 장치 본체(2)에 조립하거나, 장치 본체(2)에서 탈착하는 경우 등의 때에는, 조작자나 작업자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A)의 취부 부재(4)와 지지 부재(5)의 연결 부분을 갖고 이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많지만, 이 때에는 원고 압착판(3)은 최대 각도 열린 상태에서, 상술한 것처럼 흔들흔들거리고 안정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부터, 자주 작업자나 조작자가 손가락을 사이에 끼기 쉽지만, 본원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A)는, 취부 부재(4)나 지지 부재(5)의 후부측에 당접부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취부 부재(4)의 상부를 손으로 들어 원고 압착판(3)의 장치 본체(2)에 대한 착탈 조작을 실시해도, 조작자나 작업자가 손가락을 사이에 끼일 우려가 없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2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B)는, 머리 부분(11a, 11a)에 부착된 가이드 핀(11, 11)이, 지지 부재(12)의 스프링 수용부(12a)보다 후부측에 연장하여 설치시킨 양연결판(12b, 12b)에 한 쌍 장착되어, 각각 취부 부재(13)의 취부각부(13a)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한 캠부(13b)에 설치한 가이드도랑(13c)에 감입되어, 계합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같다. 이 실시예 2에서는, 가이드 핀(11, 11)은, 예를 들면 E링(14, 14)에 의해서, 지지 부재(12)의 양연결판(12b, 12b)에 장착되어 있지만, 코킹에 의해서 지지 부재(12)의 양연결판(12b, 12b)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3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C)는, 취부 부재(20)의 취부각부(20a)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한 캠부(20b)에 설치하는 가이드도랑(20c, 20c)은, 캠부(20b)를 관통하지 않고, 지지 부재(21)의 스프링 수용부(21a)보다 연장하여 설치시킨 양연결판(21b, 21b)의 각각에 설치한 가이드 핀(22, 22)이, 각 가이드도랑(20c, 20c)에 감입 계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 3에서는, 가이드 핀(22, 22)에는 수컷 나사(22a, 22a)가 잘려서, 지지 부재(21)의 양연결판(21b, 21b)에 설치한 암컷 나사구멍(21c, 21c)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실시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4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D)는, 가이드도랑(25c, 25d)이, 취부 부재(25)의 취부각부(25a)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한 캠부(25b)에 한 쌍 설치되고, 이 각 가이드도랑(25c, 25d)에, 지지 부재(26)의 스프링 수용부(26a)로부터 연장하여 설치시킨 양연결판(26b, 26b)에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 핀(27, 28)이 감입 계합하고 있다. 또한, 지시 기호 29는 힌지 핀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 이와 같이 실시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5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E)는, 가이드도랑(30c, 30c)이 지지 부재(30)의 스프링 수용부(30a)로부터 연장하여 설치시킨 양연결판(30b, 30b)(한쪽만 표시)의 측부에 설치되어, 가이드 핀(31)이 취부 부재(32)의 취부각부(32a)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된 캠부(32b)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시 기호 33은 힌지 핀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실시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8부터 도 19는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6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F)는, 실시예 1에 관한 캠 슬라이더와 탄성 수단이, 취부 부재(35)의 취부각부(35a) 쪽에 설치되어, 지지 부재(36)의 측부에 취부부(36a)에 일체로 설치한 캠 슬라이더에 압접하는 캠부(36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취부각부(35a)는, 스프링 수용부(35c)를 설치한 통 모양의 것이며, 이 스프링 수용부(35c) 안에 캠 슬라이더(37)와, 이 캠 슬라이더(37)를 윗쪽으로 슬라이드 부세 시키는 탄성 수단을 구성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8)이 수장되어 있다. 취부각부(35a)는, 사무기기(42)의 장치 본체(43)에 설치한 취부공(43a)에 삽태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기호 43b는 컨택트 유리이다. 지지 부재(36)에는 부원고 압착판(39)을 장착하는 취부부(36a)와 이 취부부(36a)에 설치한 캠부(36b)가 설치되어, 캠부(36b)의 부분이 취부각부(35a)의 상부에 설치한 한 쌍의 양연결판(35b, 35b)(한쪽만 표시)의 사이에 힌지 핀(4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핀(41)은 바람직하게는 취부 부재(35)의 양연결판(35b, 35b)(한쪽만 표시)에 장착되어, 지지 부재(36)의 캠부(36b)에 설치한 가이드도랑(36c)에 감입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핀(41)을 캠부(36b) 쪽에 설치해, 가이드도랑(36c)을 취부 부재(35)의 양연결판(35b, 35b)에 설치하거나, 혹은 가이드 핀(41)을 양연결판(35b, 35b)의 측부로부터 각각 돌설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실시예 1의 것과 같다.
또, 이 실시예 6도, 취부 부재(35)의 후부측에는 지지 부재(36)의 회동 시에 해당 지지 부재(36)와 당접하는 당접부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지지 부재(36)의 후부측에도 취부 부재(35)와 당접하는 당접부는 설치되지 않는다. 즉, 취부 부재(35)와 지지 부재(36)의 각 후부측에는, 원고 압착판(39)의 열림 시에 지지 부재(36)의 후부측이 당접하는 당접부가 삭제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6)의 회동 범위, 즉, 원고 압착판(39)의 최대 열림 각도를 결정하는 것은, 도 19에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 핀(41)과 가이드도랑(36c)과의 계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이 실시해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와 그 설명은 생략 하지만, 이 실시예 6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F)에서도, 실시예 2부터 실시예 5에 관한 변형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캠부 혹은 양연결판에 설치하는 가이드도랑은, 어느 쪽도 힌지 핀보다 앞쪽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을 힌지 핀보다 후측, 혹은 그 외의 힌지 핀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에 설치하는 것은 임의이다.
또, 이상 어느 실시예에서도, 취부 부재나 지지 부재의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본 발명의 목적과 작용 효과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실시 형태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으므로, 손이 끼지 않는 안전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로서, 복사기, 복합기(복사기에 팩시밀리나 프린터 기능을 탑재시킨 것),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원고 압착판을 가지는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다.

Claims (13)

  1.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을 장치 본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며, 장치 본체에 설치한 취부공에 삽태 자재(揷脫自在)로 장착되는 취부각부(取付脚部)와 이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캠부를 가지는 취부 부재와, 스프링 수용부를 갖고 상기 캠부에 힌지 핀을 개입시켜 그 양연결판을 회동 자재로 장착한 상기 원고 압착판의 지지 부재와,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상기 캠부에 접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캠 슬라이더와, 이 캠 슬라이더를 상기 캠부측에 압압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탄설된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취부 부재와 지지 부재의 각 후부에 상기 원고 압착판의 완전 열림 시에 서로 당접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당접부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의 어느 일방에 가이드 도랑(guide 溝)을 설치하고, 상기 캠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의 어느 타방에 상기 가이드도랑에 계합하는 가이드 핀을 설치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의 열림 각도를 규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에 장착한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도랑과 관통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시키는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캠부의 양측에서 관통하지 않고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도랑에 각각 감입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캠부에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위치를 바꾸어 복수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위치를 바꾸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각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지지 부재의 양연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캠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7.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을 장치 본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며, 장치 본체에 설치한 취부공에 삽태 자재(揷脫自在)로 장착되는 곳의 스프링 수용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취부각부와 이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양연결판을 가지는 취부 부재와,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캠 슬라이더와, 이 캠 슬라이더를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 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설치된 탄성 수단과, 상기 취부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양연결판 사이에 힌지 핀을 개입시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곳의 상기 원고 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에 설치된 곳의 상기 캠 슬라이더에 압접하는 캠부로부터 구성되어, 상기 취부 부재와 지지 부재의 각 후부에 상기 원고 압착판의 완전 열림 시에 서로 당접해 상기 지지 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당접부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과 상기 캠부와의 어느 일방에 가이드도랑을 설치하고,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과 상기 캠부와의 어느 타방에 상기 가이드도랑에 계합하는 가이드 핀을 설치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의 열림 각도를 규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에 장착한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도랑과 관통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상기 캠부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시키는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취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캠부의 양측에서 관통하지 않고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취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설해 설치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도랑에 각각 감입 계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캠부에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위치를 바꾸어 복수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취부 부재의 상기 양연결판의 각각으로부터 위치를 바꾸어 상기 힌지 핀과 평행으로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각 가이드도랑에 감입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랑은, 상기 취부 부재의 양연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캠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KR1020140012139A 2013-02-13 2014-02-03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 KR101591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5329A JP6128585B2 (ja) 2013-02-13 2013-02-13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JP-P-2013-025329 2013-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135A true KR20140102135A (ko) 2014-08-21
KR101591159B1 KR101591159B1 (ko) 2016-02-02

Family

ID=5127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39A KR101591159B1 (ko) 2013-02-13 2014-02-03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8585B2 (ko)
KR (1) KR101591159B1 (ko)
CN (1) CN103984215B (ko)
TW (1) TWI596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1902B2 (ja) * 2015-07-13 2019-11-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蓋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機器
JP7090862B2 (ja) * 2017-05-30 2022-06-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事務機器
JP7283725B2 (ja) * 2018-10-30 2023-05-30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7223400B2 (ja) * 2018-12-28 2023-02-1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331A (ja) * 1983-07-22 1985-02-09 Fuji Xerox Co Ltd 複写機等の原稿押さえ装置
JPS6141242A (ja) * 1984-08-01 1986-02-27 Toshiba Corp デ−タ伝送システム
JPH11125056A (ja) * 1997-10-22 1999-05-11 Nisca Corp ヒンジ装置
US6499189B2 (en) * 1999-01-25 2002-12-31 Nisca Corporation Hin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platen cover control apparatus
JP2000231163A (ja) *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
JP4157657B2 (ja) * 1999-09-29 2008-10-01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開閉体のヒンジ
JP3584242B2 (ja) * 2002-03-20 2004-11-04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20040032578A1 (en) * 2002-08-13 2004-02-19 Hung-Chieh Chen Hinge device for copier lid
JP4351597B2 (ja) * 2004-08-02 2009-10-28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07088681A (ja) * 2005-09-21 2007-04-05 Seiko Epson Corp 連結機構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7150848A (ja) * 2005-11-29 2007-06-14 Seiko Epson Corp スキャナ装置
JP5112718B2 (ja) * 2007-03-08 2013-01-0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429765B2 (ja) * 2007-04-19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382757B2 (ja) * 2007-08-01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5160959B2 (ja) * 2007-08-21 2013-03-13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441097B2 (ja) * 2008-12-09 2014-03-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645210B2 (ja) * 2009-06-08 2014-12-24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569925B2 (ja) * 2009-08-20 2014-08-1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の抜け防止機構並びにこの抜け防止機構を備えた事務機器
JP5532790B2 (ja) * 2009-09-25 2014-06-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811433B2 (ja) * 2010-07-15 2015-11-1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159B1 (ko) 2016-02-02
CN103984215B (zh) 2017-03-01
TW201432365A (zh) 2014-08-16
JP6128585B2 (ja) 2017-05-17
TWI596420B (zh) 2017-08-21
JP2014152904A (ja) 2014-08-25
CN103984215A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48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101591159B1 (ko)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
KR101241616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N108979383B (zh) 铰链装置及使用铰链装置的办公机器
JP200905879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2015001619A (ja) ヒンジ
KR101285544B1 (ko)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KR10143574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KR101435728B1 (ko) 원고압착판 개폐유지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사무기기
JP6572471B2 (ja) ヒンジ
JP2014152904A5 (ko)
KR0175588B1 (ko) 개폐식 탑커버를 가지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KR2013000961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WO2020162107A1 (ja) ユニット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0728663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6810439B2 (ja) 開閉支持装置
JP2021189353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KR101441103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JP2019105775A (ja) ヒンジ
CN115729066A (zh) 原稿压合板开合装置及包含此原稿压合板开合装置的办公机器
JP6507396B2 (ja) ヒンジ
JP2022190573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事務機器
TW202223528A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事務機器
JP2018021319A (ja) 開閉装置並びに産業機器
KR20220073902A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oa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