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809A -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 Google Patents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809A
KR20050007809A KR1020030047409A KR20030047409A KR20050007809A KR 20050007809 A KR20050007809 A KR 20050007809A KR 1020030047409 A KR1020030047409 A KR 1020030047409A KR 20030047409 A KR20030047409 A KR 20030047409A KR 20050007809 A KR20050007809 A KR 20050007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cover
lever
stopper
plate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132B1 (ko
Inventor
허길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13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2Media holders, covers, supports, backgrounds; Arrangements to facilitate placing of th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는, 원고가 정렬되는 스캐닝 영역을 포함하는 플래튼 어셈블리와,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캐닝 영역을 보호하는 플래튼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튼 커버는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부터의 개폐되는 것을 검출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플래튼 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스캐닝 영역을 마주보는 상기 플래튼 커버에서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 연장된 레버;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의 상기 레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홈 바닥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와의 접촉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플래튼 커버가 자유낙하시 상기 레버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홈에 수평하게 선택적으로 출입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상기 플래튼 커버의 개폐를 검출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상기 플래튼 커버의 낙하를 규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Copier having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state of a platen cover}
본 발명은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사기,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 기기들에서 스캐닝 면을 보호하며, 또한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복사기,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각 기기들이 가지는 고유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더욱 고성능인 제품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방법이 복잡해지고,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어 고가의 장비가 되었다. 이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각각의 기기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방법도 간단해지고 경제적인 복합적인 장치(일명 복합기라 칭함)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복합기는 프린터와 팩시밀리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서 된 형태로서, 인쇄수단과 스캐닝수단을 구비하여 스캐닝으로 원하는 만큼의 복사가 가능하고, 그리고, 모뎀과 같은 데이터 저장 및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정보전송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프린터와 팩시밀리로서의 기능은 물론 스캐너와 복사기로서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복합기를 포함하는 사무기기들은 스캐닝 기능을 가지며, 원고(document)가 놓이는 스캐닝 영역의 보호를 위한 플래튼(platen) 커버를 구비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플래튼 커버가 열린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는 도 1의 플래튼 커버 개폐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1)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복합기(1)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패널(20) 및 스캐닝장치(미도시)에 의해 조사된 빛이 통과하는 스캐닝 글래스(30)를 구비한 플래튼 어셈블리(40)와,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40)의 상측에 힌지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캐닝 글래스(30)를 보호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의 광을 막는 플래튼 커버(6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기록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70)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튼 커버(60)에는 다수의 원고를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 자동으로 피딩하는 원고 자동 이동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참조번호 80은 상기 플래튼 커버(60)의 개폐를 감지하는 레버이다. 이 레버(80)의 일부는 플래튼 어셈블리(4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래튼 어셈블리(40)의 표면에는 상기 레버(80)가 출입하는 홀(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40a)에는 상기 레버(80), 상기 레버(80)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81), 및 상기 레버(80)의 하부의 출입으로 상기 플래튼 커버(60)의 개폐(open/closed)를 검출하는 광센서(8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80)는 플래튼 커버(60)가 열린 경우, 상기 스프링(80)의 탄성력으로 플래튼 어셈블리(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광센서(82)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광센서(82)는 레버(80)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플래튼 커버(60)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플래튼 커버(60)가 닫히는 경우, 레버(80)는 플래튼 커버(60)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려지며, 따라서 스프링(81)을 하방으로 압축시킨다. 이때 상기 레버(80)의 단이 상기 광센서(82)에 의해서 검출되어 광센서(82)를 온(ON)시킨다. 따라서, 광센서(82)는 플래튼 커버(40)가 닫힌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와 같은 플래튼 커버(60)를 구비하는 복합기 또는 복사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가 플래튼 커버(60)를 약 30도 정도 위로 올린 상태에서 원고를 스캐닝 글래스(30)에 맞추는 작업을 수행시 상기 플래튼 커버(60)가 자중으로 닫히면서 사용자의 손을 다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플래튼 커버의 개폐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래튼 커버 개폐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가 채용된 복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플래튼 커버 개폐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복합기 120: 조작패널
130: 스캐닝 글래스 140: 플래튼 어셈블리
140a: 홈 140b: 돌출부
141: 가이드 143: 스토퍼
145: 스프링 160: 플래튼 커버
170: 급지카세트 180: 레버
182: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는, 원고가 정렬되는 스캐닝 영역을 포함하는 플래튼 어셈블리와,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캐닝 영역을 보호하는 플래튼 커버를 구비하는 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커버가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부터의 개폐되는 것을 검출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튼 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스캐닝 영역을 마주보는 상기 플래튼 커버에서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 연장된 레버;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의 상기 레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홈 바닥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와의 접촉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플래튼 커버가 자유낙하시 상기 레버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홈에 수평하게 선택적으로 출입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의 일단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홈으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스프링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스토퍼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단과 접촉되는 부위에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의 하강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레버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및 상기 스토퍼는 ,
각각 서로 접촉되는 면이 경사면이며,
상기 각 경사면은 곡면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가 채용된 복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플래튼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플래튼 커버 개폐 장치의 확대도로서, 도 4는 상기 플래튼 커버 개폐장치의 레버가 스토퍼에 의해서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지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레버가 플래튼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에 닿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래튼 커버의 개폐 장치가 채용된 복합기(100)는 본체(111)와, 상기 본체(110)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복합기(100)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패널(120) 및 스캐닝장치(미도시)에 의해 조사된 빛이 통과하는 스캐닝 글래스(130)를 구비한 플래튼 어셈블리(140)와,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14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캐닝 글래스(130)를 보호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의 광을 막는 플래튼 커버(160)와,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기록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70)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튼 커버(160)에는 다수의 원고를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 자동으로 피딩하는 원고 자동 이동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참조번호 180은 상기 플래튼 커버(160)의 개폐를 감지하는 레버이다. 이 레버(180)는 플래튼 커버(160)에서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140)를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140)의 표면에는 상기 레버(180)를 수용하는 홈(1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40a) 내의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래튼 어셈블리(140)의 표면에는 상기 레버(180)가 출입하는 홈(1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140a)의 하부에는 상기 레버(180)가 상기 홈(140a)의 하부에 인입된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182)가 배치된다. 상기스위치(182)는 택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 등이 사용되며, 종래 발명에서 설명한 광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버(180)의 하부는 일측으로 경사진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곡면부 측에는 상기 곡면부와 접촉이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143)가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143)는 상기 곡면부와 접촉되는 일단이 경사진 곡면형상이며, 타단에는 압축스프링(145)이 연결된다. 상기 스토퍼(143)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스토퍼(143)가 진행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141)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스토퍼(143)를 수용하는 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145)은 상기 스토퍼(143)를 상기 홈(140a)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홀(140a) 내에는 상기 레버(180)와 접촉되는 면에 돌출부(1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40b)는 상기 스토퍼(143)가 상기 홀(140a)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레버(180)의 작용을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40b)는 상기 레버(180)의 하강시 상기 레버(180)와 접촉되지 않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143)가 가이드(143)로 형성된 홀에서 그 이동이 규제되지만, 상기 스토퍼(143)의 일측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143)로부터 상기 레일측으로 연장된 부재가 상기 레일에서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43)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규제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플래튼 커버 개폐 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플래튼 커버(160)를 열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플래튼 커버(160)를 열고 사용자가 원고를 스캐닝 영역에 ??춘다. 이때 플래튼 커버(160)가 조금 열렸을 때, 예컨대 30도 정도 열렸을 때 사용자가 원고를 스캐닝 영역에 맞추는 동안 상기 플래튼 커버(160)는 자중으로 하방으로 서서히 낙하된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커버(160)에 형성된 레버(180)가 스토퍼(143)에 닿으면서 하방으로의 낙하가 제지된다. 따라서, 플래튼 커버(160)는 플래튼 어셈블리(140)의 스캐닝 영역을 완전히 덮지 못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손은 플래튼 커버(160)의 낙하로부터 보호된다.
다음은, 사용자가 플래튼 커버(160)를 닿을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플래튼 커버(160)를 하방으로 밀면, 레버(180)의 곡면경사부가 스토퍼(143)의 곡면경사부를 밀면서 하방으로 진입한다. 이때, 스토퍼(143)는 상기 레버(180)로부터의 압력을 받아서 가이드(143) 내로 이동된다. 스토퍼(143)의 이동으로 압축스프링(145)은 압축된다. 상기 플래튼 커버(160)가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140)의 표면에 접촉되면, 상기 레버(180)가 상기 스토퍼(143)의 위치를 지나서 상기 홈(140a)으로 더 진입하면서 상기 홈(140a)에 형성된 스위치(182)를 접촉한다. 상기 스위치(182)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플래튼 커버(160)가 닫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스캐닝 장치의 미도시된 CCD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스캐닝의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다시 사용자가 플래튼 커버(160)를 열면, 레버(180)는 상기스위치(182)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위치(182)는 오프(OFF)된다. 이 때 가이드(143) 내에서 압축되어 탄성바이어스된 압축스프링(145)은 탄성력을 상기 스토퍼(143)에 제공하여 상기 스토퍼(143)가 가이드(143) 내에서 진행되어서 전면의 돌출부(140b) 까지 이동하게 한다. 상기 돌출부(140b)는 상기 레버(180)가 상술한 하강작용시 상기 레버(180)가 상기 스토퍼(143)를 가이드(141) 내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토퍼(143)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튼 커버의 개폐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플래튼 커버의 개폐를 검출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상기 플래튼 커버의 낙하를 규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원고가 정렬되는 스캐닝 영역을 포함하는 플래튼 어셈블리와,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캐닝 영역을 보호하는 플래튼 커버를 구비하는 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커버가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부터의 개폐되는 것을 검출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튼 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스캐닝 영역을 마주보는 상기 플래튼 커버에서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 연장된 레버;
    상기 플래튼 어셈블리의 상기 레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홈 바닥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와의 접촉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플래튼 커버가 자유낙하시 상기 레버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홈에 수평하게 선택적으로 출입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홈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스프링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스토퍼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단과 접촉되는 부위에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의 하강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레버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및 상기 스토퍼는 ,
    각각 서로 접촉되는 면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KR1020030047409A 2003-07-11 2003-07-11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KR10054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09A KR100547132B1 (ko) 2003-07-11 2003-07-11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09A KR100547132B1 (ko) 2003-07-11 2003-07-11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809A true KR20050007809A (ko) 2005-01-21
KR100547132B1 KR100547132B1 (ko) 2006-01-26

Family

ID=3722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409A KR100547132B1 (ko) 2003-07-11 2003-07-11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90B1 (ko) * 2005-05-2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21293B1 (ko) * 2005-12-27 2008-04-11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90B1 (ko) * 2005-05-2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21293B1 (ko) * 2005-12-27 2008-04-11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132B1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846B1 (en) Image scanning device
US8311438B2 (en) Interlock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0744049B1 (ko) 힌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564002B2 (e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6054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s
JP699796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67366B2 (en) Image scanner provided with power saving mode and a system having a power saving mode
US20030072584A1 (en) Multi-function machine having multifunctional cover
KR100547132B1 (ko)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KR100574051B1 (ko)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030010903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scanner by detecting top cover thereof
JP20011750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57023A (ja) 省電力モードを有するイメージ読取装置
JP4753500B2 (ja) 原稿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複合機
JP7107039B2 (ja) 画像読取装置
US11868080B2 (en) Open and close det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51325B2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JP200609142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用載置部材
JP4140172B2 (ja) 開閉体の開閉状態検知機構
KR100219939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적재장치
JP644307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160535Y1 (ko) 복합기기에 있어서 원고 및 매체 이송장치의 구조
JP2007091372A (ja) 印刷装置
KR100189156B1 (ko) 다기능 프린터의 복사장치 및 그 방법
JP2021083025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