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590B1 -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90B1
KR100677590B1 KR1020050044459A KR20050044459A KR100677590B1 KR 100677590 B1 KR100677590 B1 KR 100677590B1 KR 1020050044459 A KR1020050044459 A KR 1020050044459A KR 20050044459 A KR20050044459 A KR 20050044459A KR 100677590 B1 KR100677590 B1 KR 100677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cal scanning
developing
moun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870A (ko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590B1/ko
Priority to US11/435,873 priority patent/US7466931B2/en
Priority to JP2006147358A priority patent/JP2006330740A/ja
Publication of KR2006012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72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15Cartridge systems for cleaning or developing but not being a process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92Presence detection

Abstract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그 장치는, 장착된 현상기가 광주사기가 구동된 결과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광주사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현상기의 장착 및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된 결과에 상응하여 스위칭되며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광주사기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현상기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현상기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커버가 닫혀있지 않은 경우 광주사기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현상기가 장착되고 커버는 열려 있는 상태에서 노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피부에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광주사기에 마련된 레이져 다이오드에의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지으며 현상기의 장착에 의해 도통되는 스위칭부를 거쳐 레이져 다이오드가 구동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발생되는 일시적인 과전류의 유입으로 인한 레이져 다이오드의 손상을 막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SU}
도 1a 및 1b는 종래의 광주사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주사기 구동부(24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스위치(350)의 일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감지부 220 : 검사부
23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0 : 광주사기 구동부
310 : 전원 공급부 320 : 광주사기
본 발명은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 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된 경우에 한해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광주사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광주사기(100)는 감광매체(110)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을 주사한다. 커버(120)는 외부에서 화상형성장치의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스위칭부(130)는 커버(120)가 열리면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에 의하여 광주사기(100)의 모터(103)에 공급되는 +24V의 전원을 차단한다. 제2 스위칭부(140)는 커버(120)가 열리면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하여 광주사기(100)의 레이져 다이오드(106)에 공급되는 +5V의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광주사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1 스위칭부(130) 및 제2 스위칭부(140) 모두는 커버(120)의 개폐 여부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이 경우,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in-rush current)가 레이져 다이오드(106)에 일시적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로 인해 레이져 다이오드를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러한 문제점은 레이져 다이오드가 고가일 때 더욱 두드러진다.
또한, 종래의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현상기가 장착되어 있으면 커버(1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도 광주사기(100)가 노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은 그 노광으로 인해 발생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피부에 접촉될 때 더욱 두드러진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의 유입으로 인한 레이져 다이오드의 손상을 막고,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된 경우에 한해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의 유입으로 인한 레이져 다이오드의 손상을 막고,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된 경우에 한해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광주사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의 유입으로 인한 레이져 다이오드의 손상을 막고,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된 경우에 한해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장착된 현상기가 광주사기가 구동된 결과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광주사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현상기의 장착 및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된 결과에 상응하여 스위칭되며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광주사기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광주사기 구동부는,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검사된 결과에 상응하여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가 도통된 때, 도통된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하여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장착 감지부는, 장착된 상기 현상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검사부는, 상기 장착이 감지되고, 상기 닫힘이 감지되는지 검사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할 수 없음을 외부에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방법은, 장착된 현상기가 광주사기가 구동된 결과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광주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현상기의 장착 및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착 및 상기 닫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착 또는 상기 닫힘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 주사기를 구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이 감지된 후 상기 닫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장착된 현상기가 광주사기가 구동된 결과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광주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현상기의 장착 및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착 및 상기 닫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주사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당해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감지부(210), 검사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및 광주사기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광주사기가 마련된 전자사진방식 화상 형성장치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광주사기(LSU : Laser Scanning Unit)는 모터(미도시) 및 레이져 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이져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는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는 광주사기 뿐만 아니라 현상기 및 커버도 마련된다. 이 때,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마련되며 커버는 외부에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의 하우징(housing)에 마련된다. 즉,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커버를 열고 현상기를 삽입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킬 수 있다.
광주사기는 소정의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장착된 현상기는 그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광주사기를 구동하기 위한 조건을 마련하는 구성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안한다.
감지부(210)는 장착 감지부(212) 및 개폐 감지부(214)를 포함한다. 감지부(210)는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 감지부(212)는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현상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미도시)가 마련되며, 현상기가 장착된 경우 그 접촉 센서는 자신이 화상형성장치의 내측에 접촉되어 있음을 감지한다. 즉, 접촉 센서는 자신에게 무엇인가 접촉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감지하여 현상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접촉 센서에 무엇인가 접촉되어 있는가의 여부는 전압으로서 표현될 수 있고, 접촉 센서가 그 전압 을 감지하는 도중 그 전압치가 급격히 변화한 순간을 감지한 경우, 접촉 센서는 그 순간을 현상기가 장착된 순간으로 인식한다.
개폐 감지부(214)는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커버에는 개폐감지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현상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기가 새로이 삽입 장착되고 커버가 닫히는 경우라면 감지부(210)는 현상기의 장착을 감지한 후 커버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현상기가 이미 장착되어 있고 커버도 이미 닫혀있는 상태라면, 감지부(210)는 현상기의 장착을 감지한 후 커버의 닫힘을 감지할 수도 있고, 커버의 닫힘을 감지한 후 현상기의 장착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장착 및 닫힘을 동시에 감지할 수도 있다.
검사부(220)는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지 검사한다. 이 때, 현상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기가 새로이 삽입 장착되고 커버가 닫히는 경우라면, 검사부(220)는 감지부(210)에서 현상기의 장착이 감지된 후에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검사부(220)에서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광주사기를 구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사용자 인테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검사부(220)에서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지 않은 경우 동작한다. OUT 1은 사용자 인테페이스부(23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광주사기 구동부(240)는 검사부(220)에서 검사된 결과에 상응하여 스위칭되 며 광주사기를 구동한다. 즉, 광주사기 구동부(240)는 검사부(220)에서 검사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광주사기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이란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모두 감지됨"을 의미한다. 특히, 현상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기가 새로이 삽입 장착되고 커버가 닫히는 경우 소정의 조건은 "현상기의 장착이 감지된 후 커버의 닫힘이 감지됨"을 의미한다. OUT 2는 광주사기에 의해 노광된 결과를 의미한다. 또한, IN 1 및 IN 2는 후술하는 제1 구동전압 및 제2 구동전압을 각각 의미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주사기 구동부(24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전원 공급부(310), 광주사기(320), 제1 스위칭부(330) 및 제2 스위칭부(340 및 350)로 이루어진다. 이 때, 광주사기 구동부(240)는 전원 공급부(310), 제1 스위칭부(330) 및 제2 스위칭부(340 및 35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스위칭부(330) 및 제2 스위칭부(340 및 35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공급부(310)는 광주사기 구동부(240) 및 광주사기(320)에 IN 1 및 IN 2를 공급할 수 있다. V1 은 제1 구동전압 IN 1을 의미하고, V2는 제2 구동전압 IN 2를 의미한다. 예컨대, V1은 +24V일 수 있고, V2는 +5V일 수 있다. 이하, 전원 공급부(310)는 SMPS(Switching Modulating Power Supply)로 명명될 수 있다.
광주사기(320)는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하며, 광주사기(320)의 구동은 그 레이져 다이오드의 구동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V1은 광주사기에 마련된 모터(미도시)를 구동할 수 있고, V2는 광주사기에 마련된 레이져 다이오드(미 도시)를 구동할 수 있다.
다만, V2 는 광주사기(320)에 직접 입력되지 않으며, 제1 스위칭부(330) 및 제2 스위칭부(340 및 350)가 모두 도통(導通)되는 경우에 한해 V2가 제1 스위칭부(330)를 거쳐 광주사기(320)의 레이져 다이오드에 주어진다.
제1 스위칭부(330)는 현상기의 장착 여부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즉, 제1 스위칭부(330)는 현상기가 장착되는 경우에 한해 도통된다.
제2 스위칭부(340 및 350)는 검사부(220)에서 검사된 결과에 상응하여 스위칭된다. 즉, 제2 스위칭부(340 및 350)는 감지부(210)에서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모두 감지된 것으로 검사된 경우에 한해 도통된다. 제2 스위칭부(340 및 350)가 도통되면 V2는 도통된 제1 스위칭부(330)를 통하여 광주사기(320)에 주어진다.
제2 스위칭부(340 및 350)는 제1 스위치(340) 및 제2 스위치(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2 스위칭부(340 및 350)는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스위치(340)의 일단에는 전원 공급부(310)로부터 제1 공급전압 V1이 인가되며, 제1 스위치(340)가 도통되는 경우 그 제1 스위치(340)의 타단에는 제3 공급전압 V3이 감지된다. 여기서, 제1 스위치(340)는 커버의 닫힘이 감지된 경우에 한해 도통된다. 한편, V1이 +24V라고 가정할 때, V3은 +24VS라고 명명될 수 있다.
제2 스위치(350)는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모두 감지된 경우에 한해 도통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스위치(350)의 일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스위치(350)는 제1 트랜지스터(410), 제2 트랜지스터(420) 및 하나 이상의 저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2 트랜지스터(420)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410) 및 제2 트랜지스터(420)는 바이폴라접합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일 수도 있고, 모스펫(MOSFET)일 수도 있으나, 스위치로서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제1 트랜지스터(410)와 제2 트랜지스터(420)가 모두 도통되는 경우, V2는 저항 R5를 거쳐 전압 V5로서 출력된다. 이 때, 전압 V5가 광주사기(320)의 레이져 다이오드를 구동하게 된다. 한편, 제2 트랜지스터(420)는 V4가 저항 R3을 거쳐 인가되는 경우에 한해 도통된다. 이 때, V4는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해 발생되는 전압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로서,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제510 ~ 530 단계들) 및 판단 결과에 따라 광주사기의 구동을 결정하는 단계(제540 ~ 55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host)로부터 광주사기(310)의 구동 지시가 주어지면(제510 단계), 감지부(210)는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제520 단계).
검사부(220)는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제530 단계). 만일,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새로이 장착되는 경우라면 검사부(220)는 현상기의 장착이 감지된 후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일, 현상기의 장착 및 커버의 닫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면(제530 단계), 광주사기 구동부(240)는 광주사기(310)를 구동하여 노광작업을 수행한다(제540 단계).
그에 반해, 현상기의 장착 또는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제540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광주사기 구동부(240)가 광주사기를 구동할 수 없음을 알린다(제550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 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은, 현상기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현상기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커버가 닫혀있지 않은 경우 광주사기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현상기가 장착되고 커버는 열려 있는 상태에서 노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피부에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광주사기에 마련된 레이져 다이오드에의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지으며 현상기의 장착에 의해 도통되는 스위칭부를 거쳐 레이져 다이오드가 구동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발생되는 일시적인 과전류의 유입으로 인한 레이져 다이오드의 손상을 막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장착된 현상기가 광주사기가 구동된 결과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광주사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현상기의 장착 및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된 결과에 상응하여 스위칭되며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광주사기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기 구동부는,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검사된 결과에 상응하여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가 도통된 때, 도통된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하여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감지부는,
    장착된 상기 현상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장착이 감지되고, 상기 닫힘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할 수 없음을 외부에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장치.
  7. 장착된 현상기가 광주사기가 구동된 결과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광주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현상기의 장착 및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착 및 상기 닫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기 제어방법은,
    상기 장착 또는 상기 닫힘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이 감지된 후 상기 닫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방법.
  10. 장착된 현상기가 광주사기가 구동된 결과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광주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현상기의 장착 및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착 및 상기 닫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주사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44459A 2005-05-26 2005-05-26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7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59A KR100677590B1 (ko) 2005-05-26 2005-05-26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US11/435,873 US7466931B2 (en) 2005-05-26 2006-05-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ser scanning unit
JP2006147358A JP2006330740A (ja) 2005-05-26 2006-05-26 光走査器の制御装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59A KR100677590B1 (ko) 2005-05-26 2005-05-26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70A KR20060124870A (ko) 2006-12-06
KR100677590B1 true KR100677590B1 (ko) 2007-02-02

Family

ID=3746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459A KR100677590B1 (ko) 2005-05-26 2005-05-26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66931B2 (ko)
JP (1) JP2006330740A (ko)
KR (1) KR1006775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882A (ko) * 1991-12-23 1993-07-22 정용문 복사기의 구동 제어장치
KR19980015630A (ko) * 1996-08-23 1998-05-25 김주용 복사기의 자동 복사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14973A (ko) * 1997-08-01 1999-03-05 윤종용 용지 걸림 해결 방법
KR0164383B1 (ko) * 1995-10-20 1999-03-20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웜업 제어방법
KR19990074821A (ko) * 1998-03-14 1999-10-05 윤종용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JPH11277842A (ja) 1998-03-26 1999-10-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50007809A (ko) * 2003-07-11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007A (ja) * 1991-07-31 1993-02-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電源断続機構
JP2776690B2 (ja) * 1992-06-17 199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レーザプリンタの安全装置
JP3453450B2 (ja) * 1995-04-26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着脱ガイド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3175644B2 (ja) 1997-06-26 2001-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判定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処理条件決定方法
JPH11167266A (ja) 1997-12-05 1999-06-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0112317A (ja) 1998-10-01 2000-04-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321837A (ja) * 1999-05-12 2000-11-24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識別機構
JP2004020614A (ja) 2002-06-12 2004-01-22 Sharp Corp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現像装置のの現像剤有無判定方法
JP4100988B2 (ja) 2002-07-25 2008-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882A (ko) * 1991-12-23 1993-07-22 정용문 복사기의 구동 제어장치
KR0164383B1 (ko) * 1995-10-20 1999-03-20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웜업 제어방법
KR19980015630A (ko) * 1996-08-23 1998-05-25 김주용 복사기의 자동 복사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14973A (ko) * 1997-08-01 1999-03-05 윤종용 용지 걸림 해결 방법
KR19990074821A (ko) * 1998-03-14 1999-10-05 윤종용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JPH11277842A (ja) 1998-03-26 1999-10-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50007809A (ko) * 2003-07-11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643830000 *
10199900149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30740A (ja) 2006-12-07
KR20060124870A (ko) 2006-12-06
US7466931B2 (en) 2008-12-16
US20060269299A1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965B1 (ko) 화상형성장치의 덮개 열림 감지방법 및 장치,화상형성장치의 덮개 열림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방법 및장치
KR100677590B1 (ko)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46533A (ko) 화상형성장치
US9058016B2 (en) Printing apparatus
JP2002196629A (ja) 画像形成装置
US7103291B2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program
EP177043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199158A (ja) 画像形成装置
US92076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53293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116610B1 (ko) 광주사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05808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メモリ媒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50038760A (ko)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용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7463889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0039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907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67424A (ja) 画像形成装置
JPH1115393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33996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55765A (ja) 画像形成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9163023A (ja) 異常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526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666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74913A (ja) 画像記録装置
JP200509139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