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821A -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821A
KR19990074821A KR1019980008663A KR19980008663A KR19990074821A KR 19990074821 A KR19990074821 A KR 19990074821A KR 1019980008663 A KR1019980008663 A KR 1019980008663A KR 19980008663 A KR19980008663 A KR 19980008663A KR 19990074821 A KR19990074821 A KR 19990074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ing
printer
laser beam
beam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4821A/ko
Publication of KR1999007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821A/ko

Link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개폐 장치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잼이나 토너 로우 등과 같이 커버를 열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자동으로 커버를 열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커버의 록킹을 푸는 커버와 프린트 본체의 체결부와,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미리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시 체결부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개폐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이하 프린터라고도 함)에 관한 것으로, 프린터의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프린터 커버 개폐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버 개폐 장치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다. 도 1에는 프린터 본체 10에 일측이 힌지(hinge) 12에 연결된 커버 14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 14의 타측에는 걸림턱 16이 구성되며, 통상의 프린터의 사용 상태인 커버 14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 16은 걸림돌기 18에 걸려서 록킹(locking)되어 있다.
커버 14의 오픈(open)용 스위치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기 18과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스위치 20은 코일스프링 24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힘을 받는다. 사용자가 코일스프링 24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가하며 스위치 20을 외부에서 누르게 되면(도 1의 화살표 A 방향), 스위치 20의 움직임에 의해 걸림돌기 18은 프린터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서, 걸림돌기 18과 걸림턱 16의 록킹이 풀리게 된다.
걸림돌기 18과 걸림턱 16의 록킹이 풀리게 되면, 커버 14는 탄성가력부 22에 의해 얼마간의 탄성력을 받아서 상부(도 2의 화살표 B 방향)로 힌지 1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얼마간 들리게 된다. 상기 탄성가력부 22는 커버 14의 내부면에서 맞닿는 버튼구조 및 버튼구조의 하부에서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 20에서 손을 떼게 되면, 스위치 20은 코일스프링 2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사용자가 오픈되어 있는 커버 14를 닫기 위해서는 탄성가력부 22 및 코일스프링 24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가하며 커버 14를 눌러야 한다. 그러면 커버 14에 구성된 걸림턱 16은 걸림돌기 18을 코일스프링 24의 탄성력을 이기며 내부로 밀면서, 커버 14가 닫히게 되고, 커버 14가 완전히 닫힐 때, 걸림돌기 18과 걸림턱 16은 록킹되어 커버 14가 닫혀진 채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으로 커버 14의 개폐가 이루어지는데, 프린터에 있어서, 커버 14의 개폐 동작은 통상적으로 프린터의 동작 도중에 여러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종이 걸림 등으로 발생하는 잼(jam)이나, 토너를 모두 소진하여 토너 교체가 요구되는 토너 로우가 발생하였을 때 등이다. 상기 잼 또는 토너 로우가 발생하면 프린터는 자체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잼 또는 토너 로우의 발생 경고음이나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알게 한다. 잼 발생시에는 통상 사용자가 커버 14를 열고 잼의 원인인 걸린 종이 등을 제거하며, 토너 로우시에는 사용자가 커버 14를 열고 토너를 교체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잼 또는 토너 로우시에 프린터는 단순히 이에 대한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릴 뿐이므로, 그럴 때마다 사용자는 커버 14를 직접 열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잼이나 토너 로우 등과 같이 커버를 열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자동으로 커버를 열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커버의 록킹을 푸는 커버와 프린트 본체의 체결부와,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미리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시 체결부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터의 커버 개폐 장치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커버 개폐 장치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자동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엔진제어부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특정 구체적인 구성 소자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본체 10에 일측이 힌지 12에 연결된 커버 14가 도시되어 있으며, 커버 14의 타측에는 걸림턱 16이 구성되며, 통상의 프린터의 사용 상태인 커버 14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 16은 걸림돌기 18에 걸려서 록킹되어 있다. 또한 걸림돌기 18과 결합되어 일체로된 스위치 20과, 코일스프링 24 및 탄성가력부 22가 종래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동작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걸림돌기 18을 프린터의 내부로 이동시켜서 걸림돌기 18과 걸림턱 16과의 록킹이 풀리도록 하기 위한 솔레노이드(solenoid)부 28이 제공된다. 솔레노이드부 28은 자석 및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가해지면 솔레노이드가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솔레노이드는 상기 결합된 스위치 20과 걸림돌기 18의 구조의 일부에 맞닿게 제공되며, 돌출되는 솔레노이드는 상기 걸림돌기 18을 록킹이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부 28을 구동시키면 걸림턱 18과 걸림돌기 16의 록킹이 풀리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솔레노이드부 28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부가 더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부 28을 동작의 제어는 프린터의 엔진제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 블록도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는 크게 비디오컨트롤러 30과, 프린트엔진부 40과, OPE 38로 구성된다. 비디오컨트롤러 30은 호스트컴퓨터와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컴퓨터인터페이스 32와, 비디오제어부 34 및 엔진인터페이스 36으로 구성된다. 비디오제어부 34는 호스트컴퓨터와 OPE 48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과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는 롬을 구비하여 컴퓨터인터페이스 32로부터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 프린터 엔진이 처리할 수 있는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린트엔진부 40으로 전송한다.
엔진인터페이스 36은 상기 비디오제어부 34의 제어하에 상기 프린트엔진부 40과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한편 OPE 38은 사용자로부터 작업 지시를 받기 위한 각종 기능키들과, 프린터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프린트엔진부 40은 비디오인터페이스 41과, 엔진제어부 42와, I/O인터페이스 43과, 센서회로 44와, 기구구동부 45 및 전자사진현상부 46으로 구성된다. 비디오인터페이스 41은 비디오컨트롤러 30과 엔진제어부 52사이의 송,수신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엔진제어부 54는 비디오제어부 44의 제어에 따라 기구구동부 45와 전자사진현상부 46을 제어하여 비디오제어부 34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용지에 프린트하며 센서회로 44를 통해 프린트엔진부 40의 각 부분의 동작상태, 용지의 급지 및 이송상태 등을 감시한다. 또한 엔진제어부 42는 잼이나 토너 로우 상태를 감시하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I/O인터페이스 43은 엔진제어부 42의 입출력신호를 센서회로 44와, 기구구동부 45와, 전자사진현상부 46사이에서 인터페이스한다. 센서회로 44는 프린트엔진부 40의 각 부분의 동작상태, 용지의 급지 및 이송상태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구동하며 각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엔진제어부 42에 제공한다. 기구구동부 45는 엔진제어부 42의 제어에 따라 용지의 급지 및 이송과 프린팅을 위한 각종 기구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기구구동부 45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솔레노이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부는 상기 엔진제어부 42의 제어를 받게 된다. 전자사진현상부 46은 엔진제어부 42에 의해 제어되며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전자사진 현상방식에 의해 용지에 프린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가지는 프린터의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자동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엔진제어부 42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50단계에서 엔진제어부 42는 잼감지 신호 또는 토너 로우 감지신호가 센서회로 44로부터 입력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상기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이후 52단계로 진행한다. 52단계에서는 현재의 작업을 중단하게 된다. 54단계에서는 상기 50단계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잼 발생 또는 토너 로우 발생 신호를 비디오제어부 34로 출력하고 56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신호를 인가받는 비디오제어부 34는 OPE 38을 통해 잼 발생 또는 토너 로우 발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56단계에서는 현재 커버 자동 오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커버 자동 오픈 모드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솔레노이드부 28을 구동시켜 커버 14를 자동으로 열게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수동으로 커버를 열게 되고,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솔레노이드 28이 동작하여 커버를 자동으로 열게 된다. 이러한 모드 설정은 프린터의 초기 동작 설정을 위한 메뉴 선택 등의 설정시 사용자로부터 추가로 미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56단계에서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일 시에는 58단계로 진행하여 커버 14를 오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잼 또는 토너 로우 발생시 커버를 자동으로 열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커버를 자동으로 열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부 28을 구성하였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자동 체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의 자동 오픈시를 잼 또는 토너 로우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여러 다양한 동작 에러 상태가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고, 잼 또는 토너 로우 중 어느 한 상태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커버의 록킹을 푸는 커버와 프린트 본체의 체결부와,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미리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시 체결부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가짐으로, 잼이나 토너 로우 등과 같이 커버를 열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자동으로 커버를 열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4)

  1.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커버의 록킹을 푸는 커버와 프린트 본체의 체결부와,
    상기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미리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는 잼 또는 토너 로우 발생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3. 일측은 힌지로 프린터 본체와 연결되며 타측은 걸림턱이 제공되는 커버를 가지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 상기 커버를 록킹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프린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눌려질 경우 걸림돌기와 더불어 이동되어 상기 록킹을 푸는 스위치와,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록킹을 풀도록 상기 걸림돌기 또는 상기 스위치를 이동시키는 록킹해제장치와,
    소정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록킹해제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미리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는 잼 또는 토너 로우 발생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KR1019980008663A 1998-03-14 1998-03-14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KR19990074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63A KR19990074821A (ko) 1998-03-14 1998-03-14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63A KR19990074821A (ko) 1998-03-14 1998-03-14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821A true KR19990074821A (ko) 1999-10-05

Family

ID=6590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663A KR19990074821A (ko) 1998-03-14 1998-03-14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48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90B1 (ko) * 2005-05-2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90B1 (ko) * 2005-05-2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기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586B1 (ko) 프린터
US5155537A (en) Sheet feed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easily loaded cassettes
US20070059032A1 (en) Angula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ngular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ngular position adjustment
US2017031549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lock device, lock unit
EP262405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911933B2 (ja) 安全装置
KR19990074821A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커버 자동 개폐 장치
JP6642512B2 (ja)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52756A (ja) 画像形成装置の安全装置
JPS6116309A (ja) 装置操作のガイダンス装置
JP4069593B2 (ja)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のエラー処理方法
JPH0912164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41503A (ko) 화상형성장치
JPH05131720A (ja) 印字装置
KR100224590B1 (ko) 잉크 젯 프린터의 커버 자동 열림 장치 및 커버를 자동으로 여는 방법
JPH10199364A (ja) ドア開閉検知装置
JP202011516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93931A (ja) プリンタ
JPH07137387A (ja) 印字装置
JP3032249B2 (ja) 画像記録装置
JP2514666Y2 (ja) インターロックスイッチ装置
JP272135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221241Y1 (ko) 레이저 프린터용 현상기의 유무 및 커버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JP200207260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63856A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