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922B1 -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922B1
KR101271922B1 KR1020100065341A KR20100065341A KR101271922B1 KR 101271922 B1 KR101271922 B1 KR 101271922B1 KR 1020100065341 A KR1020100065341 A KR 1020100065341A KR 20100065341 A KR20100065341 A KR 20100065341A KR 101271922 B1 KR101271922 B1 KR 10127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ading
wheel
product
concrete product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342A (ko
Inventor
가즈히사 시미즈
다쿠야 오쿠무라
가즈요시 미카도
Original Assignee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콘크리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콘크리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과제> 주변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하면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유효하게 향상시킨 콘크리트제품의 반송설치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관한 반송설치장치는 선단보조륜(2)과 전륜(3), 보조륜(4)을 선택사용하여 장해물인 박스컬버트(box culvert)(B)의 바닥판(B1)을 바람직하게 타고넘게 하는 타고넘기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하역장치(70)와 함께, 정확하고 또한 신속한 박스컬버트(B)의 반송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 타고넘기수단으로서, 전륜(3)을 승강시키기 위한 전륜승강기구(30)와, 상기 보조륜(4)을 승강시키기 위한 보조륜승강기구(40)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A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INSTALLING,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CONCRETE PRODU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제품을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설치하는 데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반송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도, 수로 및 지하도 등을 구축하는 콘크리트제품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량 아래, 고가 아래에서 교통량이 많은 곳 등에서 개삭(開削, open cut)공법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고압선 등 상공에 제약이 있는 경우, 도로 폭이 좁고 중기(重機) 설치장소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 양측의 시판(矢板, sheet pile)과의 간격이 좁은 경우 및 노후화한 하수도를 경정(更正)하기 위해 관로 내에 시공하는 경우 등, 이동식 크레인(중기)에 의해 직접 매달아 내려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박스컬버트(box culvert) 등의 콘크리트제품을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여 설치하는 반송설치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시공조건의 경우, 다음의 3개의 태양을 이루는 반송설치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지금까지 알려져 있다.
첫 번째로 거론되는 것은 반송설치장치로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받침대, 즉 에어캐스터(air caster)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시공방법은 미리 폭방향 중앙부에 절개해 들어간 부분 등의 오목부를 형성해 둔 기초콘크리트에 콘크리트제품을 내려놓고, 당해 콘크리트제품 아래에 위치하는 오목부에 에어캐스터를 설치하여, 공기압축기로부터 에어호스를 접속하여 보내져 온 공기를 받침대로부터 분출시켜 콘크리트제품을 들어올려 반송하고, 취출량(吹出量)을 조정하면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 후, 에어캐스터를 오목부로부터 빼낸다고 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거론되는 것은 반송설치장치로서 콘크리트제품을 유압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구 및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기구를 가지는 모터 부착 대차(臺車)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시공방법은 우선 기초콘크리트에 미리 레일을 매립하고, 별개체인 엔진발전기로부터 캡타이어 케이블(captire cable)로 접속한 상기 레일상을 주행하는 상기 모터 부착 대차에 콘크리트제품을 적재하고, 모터 부착 대차를 주행시켜 소정의 위치까지 콘크리트제품을 반송하며, 슬라이드기구 및 승강기구를 작동시켜 콘크리트제품을 설치한 후, 모터 부착 대차를 원래의 위치까지 레일상을 주행시킴으로써 후퇴시킨다고 하는 방법이다.
그 다음으로 거론되는 것은 반송설치장치로서 콘크리트제품을 매달아 올리는 것이 가능한 섀시(chassis)에 후륜, 전륜 및 전륜을 보조하는 보조륜을 설치한 반송대차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별개체인 엔진발전기로부터 캡타이어 케이블로 반송대차에 접속한 상태에서 반송대차를 그 전단부가 콘크리트제품의 직전이 될 때까지 전진시킨다. 그 위치에서 전륜과 보조륜을 동작시킴으로써 보조륜을 콘크리트제품의 바닥판에 실어 전륜을 들어올린다. 이번에는 전륜에 대신하여 보조륜과 후륜으로 반송대차를 전진시키고, 전륜이 제품의 바닥판 위가 된 시점에서 다시 시소(seesaw)동작에 의해 전륜을 바닥판 위에 실어 보조륜을 들어올린다. 그리고, 전륜과 후륜에 의해서 전륜이 제품의 전방의 직전이 될 때까지 전진시키고, 보조륜을 제품의 전방의 기초콘크리트 위에 내려 전륜을 들어올리며, 보조륜과 후륜으로 전륜이 제품의 전방의 기초콘크리트 위가 될 때까지 전진시킨 시점에서 전륜을 내린다. 그리고 콘크리트제품의 내부, 즉 바닥판 상부에 섀시를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제품의 바닥판에 매립한 인서트 또는 현수(懸垂)기구를 섀시 측에 설치한 승강 및 슬라이드기구를 가지는 현수지그에 접속하여 제품을 매달아 올린다. 이 상태에서 전륜과 후륜으로 전륜이 이미 설치된 제품의 직전이 될 때까지 콘크리트제품을 전진시킨다. 그 후, 보조륜을 이미 설치한 콘크리트제품의 바닥판에 실어 전륜을 들어올리고, 전륜에 대신하여 보조륜과 후륜으로 한층 더 전진시킨다. 그 후, 소정의 위치까지 콘크리트제품을 반송하면, 섀시 측에 설치한 승강 및 슬라이드기구에 의해 콘크리트제품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제품에 설치한 인서트 또는 현수기구를 섀시 측의 현수지그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그 후에는 후륜과 보조륜으로 반송대차를 후퇴시키고, 전륜이 콘크리트제품의 외측까지 후퇴한 시점에서 전륜을 기초콘크리트 위에 내리며, 이번에는 전륜과 후륜으로 원래의 위치까지 돌아온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이상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콘크리트제품을 순차시공해 가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술한 시공방법 가운데, 에어캐스터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에서는, 폭방향 중앙에 절개해 들어간 부분 등의 오목부를 넣은 기초콘크리트를 미리 타설(打設)해야 한다. 또 모터 부착 대차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에서는 기초콘크리트의 소정의 위치에 레일을 매설 또는 인서트 등으로 레일을 고정하는 등 기초콘크리트에 대한 각별한 가공이 필요했다.
한편, 에어캐스터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은 제품의 반송중에는 에어호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반송장치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모터 부착 대차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및 보조륜을 설치한 반송대차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에서는 캡타이어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반송장치는 작동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반송설치장치 및 당해 반송설치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제품의 시공방법에서는 기초콘크리트를 시공할 때의 자유도 및 기초콘크리트 위에서의 반송설치장치의 동작의 자유도가 스스로 제한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현상이다
다른 한편, 간단히 기초콘크리트 위에서의 반송설치장치의 동작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엔진발전기를 반송설치장치 자체에 탑재하여 자주(自走)시킨다고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것으로 하면, 엔진으로부터의 온실효과가스(CO2) 등의 배기가스가 시공현장 내에 충만하게 되어, 당해 시공현장뿐만 아니라, 엔진의 소음도 포함하여, 주변환경으로의 부하가 증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08-22888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0-32863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3-182987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주목한 것으로, 온실효과가스(CO2)를 삭감하는 등, 주변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하면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유효하게 향상시킨 콘크리트제품의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반송설치장치는 대차와, 이 대차에 설치되어 소정 개소에 설치해야 하는 콘크리트제품을 하역(荷役)하기 위한 하역장치와, 이 하역장치에 의해 담지(擔持)된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설치해야 하는 개소까지 반송하도록 상기 대차를 자주시키는 반송장치와, 상기 대차에 탑재되어 상기 하역장치 및 반송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은 대차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상기 대차에 설치된 반송장치에 의해 상기 대차를 콘크리트제품이 놓인 위치까지 자주시키는 공정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상기 대차에 설치된 하역장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하역하는 공정과, 하역장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담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차를 상기 반송장치에 의해 자주시킴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고정시켜야 하는 개소까지 반송하는 공정과, 상기 하역장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설치해야 하는 개소에 설치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것으로 하면, 상술의 시공방법과는 달리, 에어호스나 캡타이어 케이블 등을 연결하지 않고 기초콘크리트 위를 자주할 수 있으므로, 기초콘크리트에 대한 각별한 가공을 유효하게 회피하고, 또한, 기초콘크리트 위의 동작의 자유도를 유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배터리에 의한 전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의 온실효과가스(CO2)의 배출량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엔진발전기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변환경에의 부하를 저감하면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유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기초콘크리트로의 각별한 가공이 불필요한 바람직한 것으로서, 상기 대차가 전륜과 후륜과 보조륜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반송장치가 전륜 및 후륜 중 적어도 한쪽을 회전구동하는 자주수단과, 상기 전륜과 보조륜을 선택 사용하여 장해물을 타고넘게 하는 타고넘기수단을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반송하는 콘크리트제품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 당해 콘크리트제품이 암거(暗渠)제품 또는 개거(開渠)제품이며, 상기 장해물이 상기 암거제품 또는 개거제품의 바닥판인 태양을 들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을 보다 넘기 쉬운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타고넘기수단을 상기 전륜을 승강시키기 위한 전륜승강기구와, 상기 보조륜을 승강시키기 위한 보조륜승강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륜승강기구의 구체적인 것으로서, 상기 대차를 상기 전륜의 전후에 위치시켜 2개의 보조륜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보조륜승강기구가 상기 전륜보다도 뒤쪽의 보조륜을 승강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전륜이 바닥판을 넘은 상태에서 작은 반경의 곡선에 대응할 수 있는 환향성(換向性)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주수단을 상기 후륜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후륜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스티어링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콘크리트제품이 곡선부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콘크리트제품에 간섭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대차가 그 선단의 코너를 잘라냄으로써 형성한 첨단부(尖端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암거제품을 효율 좋게 반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크리트제품이 암거제품이고, 상기 하역장치가 상기 암거제품에서의 머리판의 내면에 덧붙여 잇는 맞닿음체와 이 맞닿음체를 승강시켜 상기 암거제품을 하역하는 하역용 승강기구를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치시의 미묘한 좌우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하여 정확한 설치를 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역장치를, 상기 맞닿음체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역용 슬라이드기구를 더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시의 콘크리트제품의 각도, 즉 방향의 어긋남도 용이하게 수정하고, 더욱더 설치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하역장치를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조(組) 설치해 두고, 한쪽의 하역장치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와 다른 쪽의 하역장치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를 서로 독립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차가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수단을 더 가지고, 아울러, 상기 반송장치가,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대차의 자주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더 가지는 것으로 하면, 대차가 콘크리트제품에 충돌하거나 콘크리트제품상에 있는 대차가 콘크리트제품으로부터 탈락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안전하고 정확한 반송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에 들어가는 노력과 인력의 저감에 의해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콘크리트에 대한 각별한 가공을 유효하게 회피하고, 또한, 기초콘크리트 위의 동작의 자유도를 유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배터리에 의한 전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의 온실효과가스(CO2)의 배출량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고, 아울러, 엔진발전기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변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하면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유효하게 향상시킨 콘크리트제품의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기능 블럭도.
도 4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륜승강기구의 설명도.
도 5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하역장치의 설명도.
도 6은 동일한 하역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보조륜승강기구의 설명도.
도 8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9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0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1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2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3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4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5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6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7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8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19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20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21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22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23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24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설명도.
도 25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관한 작용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설치장치는 현장에서 이동식 크레인(중기)에 의해 직접 내려 설치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이용되고, 예를 들면 콘크리트제품인 박스컬버트(B)를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설명>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설치장치는 대차(1)와, 이 대차(1)에 설치되어 소정 개소에 설치해야 하는 콘크리트제품의 하나인 암거제품으로서의 박스컬버트(B)를 주로 하역하기 위한 하역장치(70)와, 이 하역장치(70)에 의해 담지된 박스컬버트(B)를 설치해야 하는 개소까지 반송하도록 상기 대차(1)를 자주시키는 반송장치인 모터(50)와, 대차(1)에 탑재되어 하역장치(70) 및 모터(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8)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반송설치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반송설치장치는 상술의 대차(1), 이 대차(1)에 탑재한 하역장치(70), 모터(50), 배터리(8) 외에, 후술하는 전륜승강기구(30) 및 보조륜승강기구(40)도 함께 대차(1)에 탑재한 것이다.
대차(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에 연결된 섀시전반부(1a) 및 섀시후반부(1b)를 주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섀시전반부(1a)는 그 선단의 코너를 잘라냄으로써 전단부를 평면에서 보아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한 첨단부(1c)를 형성하고, 또한, 이 첨단부(1c)에 위치결정된 선단보조륜(2)으로부터 후방으로 순서대로 박스컬버트(B)를 검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수단인 바닥판 센서(S), 전륜(3), 하역장치(70)를 탑재하기 위한 앞쪽 하역부(7a), 보조륜(4), 뒤쪽 하역부(7b) 및 배터리(8)를 싣기 위한 배터리 재치부(載置部)(8a)를 배치하고 있다. 선단보조륜(2)은 박스컬버트(B)의 바닥판(B1)의 상면(B12)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로 설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바닥판 센서(S)는 박스컬버트(B)의 바닥판(B1)이 근접했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고, 또한, 섀시후반부(1b) 측에 배치된 전자브레이크(도 3)를 작동시켜 대차(1)를 정지시킴으로써 박스컬버트(B)와 대차(1)와의 충돌을 회피함으로써, 후술한 바와 같이 박스컬버트(B)의 정확한 반송·설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섀시후반부(1b)는 본 발명의 자주수단에 해당하는 모터(50)와, 이 모터(5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후륜(5)과, 이 후륜(5)에 환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스티어링기구(ST)와, 이들 모터(50), 스티어링기구(ST)뿐만 아니라, 반송설치장치 전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을 구비한 운전대(6)와, 상기 바닥판 센서(S)가 박스컬버트(B)를 검출했을 때에 후륜(5)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본 발명의 정지수단인 전자브레이크(도 3)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반송설치장치는 섀시전반부(1a)에 구비한 배터리(8)의 전력에 의해, 섀시후반부(1b)의 모터(50) 및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스티어링기구(ST)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모터, 그리고 상술의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 당해 배터리(8)는, 섀시전반부(1a)에는 후술하는 하역장치(70), 전륜승강기구(30) 및 보조륜승강기구(40)를 작동시키기 위한 후술하는 전륜승강용 실린더(31), 보조륜승강용 실린더(41), 하역장치(70)의 슬라이드 실린더(73) 및 승강실린더(76)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설치장치는 선단보조륜(2)과 전륜(3), 보조륜(4)을 선택사용하여 장해물인 박스컬버트(B)의 바닥판(B1)을 바람직하게 타고넘게 하는 타고넘기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상술의 하역장치(70)와 함께, 정확하고 또한 신속한 박스컬버트(B)의 반송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타고넘기수단으로서, 전륜(3)을 승강시키기 위한 전륜승강기구(30)와, 상기 보조륜(4)을 승강시키기 위한 보조륜승강기구(40)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하, 이 타고넘기수단과 하역장치(70)에 대해서, 환언하면, 대차(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승강기구(30), 하역장치(70) 그리고 보조륜승강기구(40)의 순서로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해 간다.
전륜승강기구(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전륜(3)과, 전륜(3)을 승강시키기 위한 전륜승강용 실린더(31)와, 전륜(3)을 섀시전반부(1a)에 대해서 지지하고, 또한, 섀시전반부(1a)에 대해서 슬라이더(33)를 통하여 전륜(3)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전륜보유지지부재(32)와, 섀시전반부(1a)에 장착되어 전륜보유지지부재(3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전륜보유지지레일(34)과, 전륜승강용 실린더(31)를 섀시전반부(1a)에 확실하게 장착해 두기 위한 실린더 보유지지부(3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륜승강용 실린더(31)는 실린더 보유지지부(35)에 보유지지된 실린더본체(31a)와, 이 실린더본체(31a)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내려지는 샤프트(31b)와, 이 샤프트(31b)의 선단부에서 전륜(3)의 차축(3a)을 지지하는 접속부(31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륜승강기구(30)는 전륜승강용 실린더(31)가 조작되면, 샤프트(31b)의 승강에 따라 접속부(31c), 차축(3a)을 통하여 전륜(3) 및 전륜보유지지부재(32)가 승강된다. 그 때, 전륜보유지지부재(32)에 설치한 슬라이더(33)가 전륜보유지지레일(34) 내를 정확하게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정확한 전륜(3)의 승강이 실현된다.
하역장치(7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전반부(1a)에서의 앞쪽 하역부(7a)와 뒤쪽 하역부(7b)의 2개소에 전후 대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하역장치(7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체인 하역대(7)를 박스컬버트(B)의 머리판(B2)의 하면(B22)에 접하게 하여 박스컬버트(B)를 들어올리기 위한 하역용 승강기구(70b)와, 맞닿음체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의 하역장치(70)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와 후방의 하역장치(70)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를 서로 독립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는 하역대(7)와, 하역대(7)를 직접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대부(71)와, 기대부(71)에 설치된 슬라이드레일(72)과, 기대부(71)의 아래쪽에 장착된 슬라이드 실린더(73)를 주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실린더(73)는 기대부(71)의 하측에 장착된 실린더본체(73a)와, 이 실린더본체(73a)로부터 좌우로 연장하고, 또한 좌우로 동작하는 샤프트(73b)와, 이 샤프트(73b)의 선단에 위치결정되어, 기대부(71)의 개구를 통하여 하역대(7)에 장착되는 장착부(73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실린더(73)가 조작되면, 샤프트(73b)의 동작과 함께 장착부(73c)가 하역대(7)를 좌우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역용 승강기구(70b)는 상술한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마다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하역용 승강기구(70b)는 기대부(71)를 지지하고, 또한 섀시전반부(1a)에 대해서 슬라이더(75)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레일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는 보유지지부재(74)와, 이 보유지지부재(74)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76)와, 이 승강실린더(76)에 의해서 직접 승강동작되는 승강부재(77)와, 이 승강부재(77)의 양측에 장착된 쌍을 이루는 승강풀리(78)와, 기단 측을 섀시전반부(1a)에 고정하고, 또한 승강풀리(78)에 걸쳐서 선단이 보유지지부재(74)의 현수부(74a)에 고정된 체인(79)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승강실린더(76)는 섀시전반부(1a)에 고정된 실린더본체(76a)와, 승강부재(77)를 들어올리기 위한 샤프트(76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승강실린더(76)가 조작됨으로써 승강부재(77)가 승강풀리와 함께 일정치수 상승하면, 승강풀리(78)로부터 걸어 감긴 체인(79)에 현수부(74a)에 의해 매달린 보유지지부재(74)는 상기 일정치수의 2배의 치수 상승만큼, 체인(79)으로 당겨져 상승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역용 승강기구(70b)에서 승강풀리(78) 및 체인(79)에 의한 움직도르래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승강실린더(76)의 2배의 스트로크로 하역대(7)를 승강시킴으로써, 섀시전반부(1a)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다.
보조륜승강기구(4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축(4a)에 의해 접속된 쌍을 이루는 보조륜(4)과, 섀시전반부(1a)에 강고하게 보유지지되면서 보조륜(4)을 승강시키기 위한 보조륜승강용 실린더(41)와, 섀시전반부(1a)에 대해서 보조륜(4)을 슬라이더(43)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보조륜승강용 실린더(41)에 접속지지되어 있는 피지지판(45)을 가지는 보조륜 보유지지부재(42)와, 섀시전반부(1a)에 장착되어 보조륜 보유지지부재(4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보조륜 보유지지레일(4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조륜승강용 실린더(41)는 섀시전반부(1a)에 강고하게 보유지지된 실린더본체(41a)와, 이 실린더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내려지는, 피지지판(45)에 예를 들면 강하게 결합되는, 샤프트(41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륜승강기구(40)는 보조륜승강용 실린더(41)가 조작되면, 샤프트(41b)의 승강에 따라 피지지판(45)을 통하여 보조륜(4) 및 보조륜 보유지지부재(42)가 승강된다. 그 때, 보조륜 보유지지부재(42)에 설치한 슬라이더(43)가 보조륜 보유지지레일(44) 내를 정확하게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정확한 보조륜(4)의 승강이 실현된다.
<작동설명>
이어서, 상술한 구성을 이루는 반송설치장치에 의해서 실제의 시공현장인 기초콘크리트(K)상에서 박스컬버트(B)를 설치하는 설치방법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콘크리트제품인 박스컬버트(B)의 설치방법은 대차(1)에 탑재된 배터리(8)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반송장치 즉 모터(50)에 의해 대차(1)를 박스컬버트(B)가 놓인 위치까지 자주시키는 공정과, 배터리(8)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하역장치(70)에 의해 박스컬버트(B)를 하역하는 공정과, 하역장치(70)에 의해 담지된 박스컬버트(B)를 설치해야 하는 개소까지 반송하도록 대차(1)를 모터(50)에 의해 자주시키는 공정과, 하역장치(70)에 의해 박스컬버트(B)를 고정시켜야 하는 개소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도 8은 반송목적인 박스컬버트(B)를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 등에 의해 필요한 설치위치와는 떨어진 개소에 놓인 상태이다. 그리고 동일한 도면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모터(50)를 구동시켜 박스컬버트(B)에 근접할 때까지는 시속 약 3.6㎞의 「통상주행모드」로 주행한다. 그리고 컬버트 검출센서가 전륜(3) 부근에 바닥판(B1)의 단면(B11)이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면, 자동적으로 전자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전륜(3)과 단면(B11)과의 충돌을 회피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에 마련한 표시등이 점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단면(B11)이 근접하고 있는 취지를 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의 동작은 모두 상기 「통상주행모드」로부터 시속 약 0.4㎞로 주행하는 「미속(微速)주행모드」로 전환하여 운전된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보조륜(2)이 바닥판(B1)의 상면(B12)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보조륜(2)을 박스컬버트(B)의 바닥판(B1)에 실어 전륜승강기구(30)에 의해서 전륜(3)을 상면(B12)보다도 위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시킨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B1) 위에 있는 선단보조륜(2)과 기초콘크리트(K) 위의 후륜(5)에 의해서 더 전진시킨다. 그 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륜(4)이 제품의 바닥판(B1) 위가 된 시점에서 보조륜승강기구(4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보조륜(4)을 바닥판(B1) 위에 설치시켜 선단보조륜(2)을 부상(浮上)시킨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륜(4)과 후륜(5)으로 전륜(3)이 바닥판(B1)을 넘는 위치까지 대차(1)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승강기구(30)를 다시 작동시킴으로써, 전륜(3)을 박스컬버트(B)의 전방의 기초콘크리트(K) 위에 내려 보조륜(4)을 바닥판(B1)의 상면(B12)으로부터 부상시킨다. 이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전륜(3)은 바닥판(B1)을 타고넘게 되어, 박스컬버트(B)의 내부에 섀시전반부(1a)를 침입시킨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음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하역장치(70)를 각각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박스컬버트(B)의 머리판(B2)의 내면을 들고 올려 하역한다.
다음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컬버트(B)를 들어올린 상태, 즉 담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륜(3)과 후륜(5)으로 전륜(3)이 이미 설치한 박스컬버트(B)의 직전이 될 때까지 전진시킨다. 이 때, 바닥판 센서(S)가 이미 설치한 박스컬버트(B)로의 근접을 상술과 동일하게 검지함으로써, 전륜(3)이 이미 설치한 박스컬버트(B)의 바닥판(B1)에 충돌하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보조륜(2)을 이미 설치한 제품의 바닥판(B1)에 실어 전륜(3)을 들어 올리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3)에 대신하여 선단보조륜(2)과 후륜(5)에 의해 전진시킨다. 이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운전자는 전후의 하역장치(70)에서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를 운전자가 적절히 동작시킴으로써, 박스컬버트(B)의 횡방향의 어긋남 및 맞닿음 각도의 어긋남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박스컬버트(B)를 위치결정한 후, 하역장치(70)를 조작함으로써 박스컬버트(B)를 강하시키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박스컬버트(B)를 설치할 수 있다. 그 후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5)과 선단보조륜(2)에 의해 후퇴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3)이 박스컬버트(B)의 밖으로 나온 시점에서 다시 바닥판 센서(S)가 검지함으로써 대차(1)가 전자브레이크에 의해 정지하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자는 전륜(3)을 기초콘크리트(K) 위에 내려 전륜(3)과 후륜(5)에 의해 원래의 위치까지 돌아온다. 이와 같이, 바닥판 센서(S)는 전륜(3)의 바닥판(B1)으로의 충돌뿐만 아니라, 선단보조륜(2)의 바닥판(B1)으로부터의 탈락을 회피하기 위해서도 유효하게 제공된다.
이상의 일련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박스컬버트(B)를 순차설치작업을 진행해 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역설치장치는, 도 25에 나타내는 곡선부를 구성하는 박스컬버트(B)라도 바람직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전반부(1a)에 첨단부(1c)를 형성함으로써, 박스컬버트(B) 설치시에 섀시전반부(1a)의 선단이 박스컬버트(B)의 측판(B3)의 내면(B32)과 간섭하지 않고 안전하며 또한 부드러운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설치장치 및 박스컬버트(B)의 설치방법은 배터리(8)를 탑재한 자주식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에어호스나 캡타이어 케이블 등을 연결하는 일 없이 기초콘크리트(K) 위를 자주할 수 있으므로, 기초콘크리트(K)에 대한 각별한 가공을 유효하게 회피하고, 기초콘크리트(K) 위의 동작의 자유도가 현격히 향상하게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배터리(8)에 의한 전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의 온실효과가스(CO2)의 배출량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엔진발전기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주변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하면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유효하게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B1)을 더욱 타고넘기 쉬운 것으로 하기 위해서, 타고넘기수단을 상기 전륜(3)을 승강시키기 위한 전륜승강기구(30)와, 전륜(3)보다도 뒤쪽에 보조륜(4)을 설치하고, 이 보조륜(4)을 승강시키는 보조륜승강기구(40)를 구비함으로써, 특히 전륜(3)이 바닥판(B1)을 타고넘을 때의 조작을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한 것에 비하여 현격히 간편하고 또한 안전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륜승강기구(30) 및 보조륜승강기구(40) 모두, 연직방향의 동작으로 하고 있으므로, 특히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비교해도 섀시전반부(1a)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기초콘크리트(K) 위의 기동성 즉, 작은 회전반경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석에 가까운 후륜(5)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스티어링기구(ST)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운전을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박스컬버트(B)를 이동시킬 때에 전륜(3)에 근접하여 배치한 박스컬버트(B)의 회전반경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스컬버트(B)가 접속부와 각도를 이루는 곡선부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이미 설치한 박스컬버트(B)의 측판에 간섭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를 실시하기 때문에, 섀시전반부(1a)의 선단의 코너를 잘라냄으로써 첨단부(1c)를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역장치(70)가 하역대(7)를 박스컬버트(B)의 머리판(B2)의 하면(B22)을 들어올리는 태양으로 함으로써, 운반시에 박스컬버트(B)에 인서트, 현수지그 등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하고 또한 신속한 반송·설치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역장치(70)는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설치시의 미묘한 좌우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하여 정확한 설치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게다가 이 하역장치(70)는 전후방향에 복수, 즉 2개 설치되고, 그리고 상술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70a)도 각각 독립하여 동작하므로, 박스컬버트(B)의 단순한 좌우의 어긋남뿐만 아니라, 박스컬버트(B)의 수평방향, 즉 각도도 하역장치(70)의 조작만으로 유효하게 해소하여, 보다 정확한 설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스컬버트(B)의 바닥판(B1)을 검지하는 바닥판 센서(S)와, 바닥판 센서(S)가 박스컬버트(B)의 바닥판(B1)을 검지했을 때에 대차(1)를 정지시키는 전자브레이크(도 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전진시의 전륜(3)의 바닥판(B1)으로의 충돌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고, 또한, 후퇴시에는 선단보조륜(2)의 바닥판(B1)로부터의 탈락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설치장치는 안전하고 정확한 주행 및 박스컬버트(B)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서는 작업에 들어가는 노력과 인력의 저감을 실현하여, 시공성의 향상을 실현하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각 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콘크리트제품으로서, 암거제품인 통모양의 박스컬버트를 반송하는 태양만을 개시했지만, 물론, 개거제품에 적용하여도 된다. 개거제품에 적용하는 경우는 미리 바닥판에 매립한 인서트 또는 현수지그와, 하역대 측의 도시하지 않은 현수기구를 접속하여 제품을 매달아 올리는 태양을 들 수 있다. 또한 상하 분할형의 박스컬버트의 위쪽 부분을 반송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반송설치장치는 바람직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하역장치나 배터리, 전륜이나 보조륜의 구체적인 태양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의 것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의 태양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외, 각부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수도, 수로 및 지하도 등을 구축하는 콘크리트제품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량 아래, 고가 아래에서 교통량이 많은 곳 등에서 개삭공법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고압선 등 상공에 제약이 있는 경우, 도로 폭이 좁고 중기 설치장소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 양측의 시판과의 간격이 좁은 경우 및 노후화한 하수도를 경정하기 위해 관로 내에 시공하는 경우 등 이동식 크레인(중기)에 의해 직접 매달아 내려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콘크리트제품을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여, 설치반송설치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 대차
1c … 첨단부
30 … 전륜승강기구
40 … 보조륜승강기구
50 … 반송장치, 자주수단(모터)
70 … 하역장치
8 … 배터리
B … 콘크리트제품(박스컬버트)

Claims (12)

  1. 대차(臺車)와, 이 대차에 설치되어 소정 개소에 설치해야 하는 콘크리트제품을 하역(荷役)하기 위한 하역장치와, 이 하역장치에 의해 담지(擔持)된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설치해야 하는 개소까지 반송하기 위한 상기 대차를 자주(自走)시키는 반송장치와, 상기 대차에 탑재되어 상기 하역장치 및 반송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대차가 전륜과 후륜과 보조륜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반송장치가 전륜 및 후륜 중 적어도 한쪽을 회전 구동하는 자주수단과, 상기 전륜과 보조륜을 선택 사용하여 장해물을 타고넘게 하는 타고넘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고넘기수단은 상기 전륜을 승강시키기 위한 전륜승강기구와, 상기 보조륜을 승강시키기 위한 보조륜승강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대차는 상기 전륜의 전후에 위치시켜 2개의 보조륜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보조륜승강기구가 상기 전륜보다 뒤쪽의 보조륜을 연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제품이 암거(暗渠)제품 또는 개거(開渠)제품이고, 상기 장해물이 상기 암거제품 또는 개거제품의 바닥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그 선단의 코너를 잘라냄으로써 형성된 첨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제품이 암거제품이며, 상기 하역장치가 상기 암거제품에서의 머리판의 내면에 덧붙여 잇는 맞닿음체와, 이 맞닿음체를 승강시켜 상기 암거제품을 하역하는 하역용 승강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역장치가 상기 맞닿음체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역용 슬라이드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역장치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조(組)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하역장치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와 다른 쪽의 하역장치의 하역용 슬라이드기구를 서로 독립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주수단이 상기 후륜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후륜의 방향 변경하기 위한 스티어링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대차의 자주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치장치.
  7. 청구항 1에 기재된 반송설치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제품을 설치하는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으로,
    대차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상기 대차에 설치된 반송장치에 의해 상기 대차를 콘크리트제품이 높인 위치까지 자주시키는 공정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상기 대차에 설치된 하역장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하역하는 공정과,
    상기 하역장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담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차를 상기 반송장치에 의해 자주시킴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설치해야 하는 개소까지 반송하는 공정과,
    상기 하역장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제품을 고정시켜야 하는 개소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65341A 2010-01-27 2010-07-07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KR101271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6015A JP5032603B2 (ja) 2010-01-27 2010-01-27 搬送据付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の据付方法
JPJP-P-2010-016015 201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42A KR20110088342A (ko) 2011-08-03
KR101271922B1 true KR101271922B1 (ko) 2013-06-05

Family

ID=4429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341A KR101271922B1 (ko) 2010-01-27 2010-07-07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32603B2 (ko)
KR (1) KR101271922B1 (ko)
CN (1) CN1021339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1262B2 (ja) * 2011-10-31 2016-06-29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荷積み物の積み込み取り降ろし装置及び該装置を使用しての荷積み物積み込み取り降ろし方法
JP5945260B2 (ja) * 2013-09-30 2016-07-05 旭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搬送据付装置
JP6204205B2 (ja) * 2014-01-20 2017-09-27 丸栄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据付装置
CN105936400B (zh) * 2016-06-29 2018-01-30 中建六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抱箍式滑托运输装置的使用方法
CN109368133A (zh) * 2016-12-24 2019-02-22 卢加贵 一种可移动带式输送机
CN106517031B (zh) * 2016-12-26 2018-12-04 泉州富蓝工业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轮腿式电力检修平台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40A (ja) * 2002-03-01 2003-09-10 Asahi Concrete Works Co Ltd 暗渠の搬送装置
JP2004149254A (ja) * 2002-10-30 2004-05-27 Maruei Concrete Industrie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搬送・据付装置
JP3106725U (ja) * 2004-07-21 2005-01-20 丸栄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搬送補助輪
JP2005256525A (ja) * 2004-03-15 2005-09-22 Tsurumi Concrete Kk 管渠補修体の搬送装置および管渠補修体の据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3756B2 (ja) * 1991-08-23 1999-03-24 五洋建設株式会社 重量物搬送台車
JP2898492B2 (ja) * 1992-12-21 1999-06-02 日本ヒューム管株式会社 暗渠の据付用台車及び暗渠の据付方法
JP3254610B2 (ja) * 1993-02-26 2002-02-12 清水建設株式会社 配管施工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される配管施工装置
JPH06330551A (ja) * 1993-05-25 1994-11-29 Ito Seizo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搬送方法及びその搬送装置
JPH073871A (ja) * 1993-06-21 1995-01-06 Ito Seizo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搬送方法及びその搬送装置
JPH11334583A (ja) * 1998-05-29 1999-12-07 Mizutani Kensetsu Kogyo Kk 搬送用台車
JP2002293496A (ja) * 2001-03-30 2002-10-09 Maruei Concrete Industrie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搬送・据付装置
JP2005132331A (ja) * 2003-10-10 2005-05-26 Kaieitechno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運搬車両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4065445B2 (ja) * 2004-09-15 2008-03-26 株式会社ホクコン建設Me 筒状ブロックの搬送・据付用台車
JP5478138B2 (ja) * 2009-07-24 2014-04-23 日本ゼニスパイプ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品の搬送敷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40A (ja) * 2002-03-01 2003-09-10 Asahi Concrete Works Co Ltd 暗渠の搬送装置
JP2004149254A (ja) * 2002-10-30 2004-05-27 Maruei Concrete Industrie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搬送・据付装置
JP2005256525A (ja) * 2004-03-15 2005-09-22 Tsurumi Concrete Kk 管渠補修体の搬送装置および管渠補修体の据付装置
JP3106725U (ja) * 2004-07-21 2005-01-20 丸栄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搬送補助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42A (ko) 2011-08-03
CN102133987A (zh) 2011-07-27
CN102133987B (zh) 2014-06-04
JP5032603B2 (ja) 2012-09-26
JP2011153473A (ja)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922B1 (ko)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KR101972796B1 (ko) 교량 거더 위를 주행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 운반용 레일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 방법
KR20160119125A (ko) 배관장치 및 배관방법
JP5852520B2 (ja) 資材運搬装置及び資材運搬方法
JP4478613B2 (ja) トンネルインバート施工法及び移動式桟橋
JP4397716B2 (ja) 重量物の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11254974A (zh) 管廊施工中楼板运输安装工法
JP5478138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搬送敷設装置
JP5793062B2 (ja) トンネル施工装置、及び、トンネルの施工方法
CN110318308B (zh) 一种复杂地段磁浮轨排铺设系统及方法
CN204625094U (zh) 一种手动搬运车
JP2004263449A (ja) Pc床版架設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pc床版架設方法
JP2006248488A (ja) 軌道作業用トレーラーおよびその線路への移載方法
JP2006028734A (ja) 移動式ベントを用いた橋桁の送り出し架設工法
KR20130029518A (ko) 궤도-육상 직각주행방식의 철도차량 견인차
JP5945260B2 (ja) 搬送据付装置
JP2814432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装置
CA2536924A1 (en) Transporter for ride-on power trowel
JP3552109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搬送・据付装置
KR20110132049A (ko) 터널 내부에서의 콘크리트도상 부설 시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타설 장치
JP3572587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6324272B2 (ja) 軌陸車のカント補正シリンダ保護装置
JP3010842U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搬送装置
JP2005256525A (ja) 管渠補修体の搬送装置および管渠補修体の据付装置
JP2009275464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