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369B1 - 실드 케이스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실드 케이스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369B1
KR101254369B1 KR1020090005601A KR20090005601A KR101254369B1 KR 101254369 B1 KR101254369 B1 KR 101254369B1 KR 1020090005601 A KR1020090005601 A KR 1020090005601A KR 20090005601 A KR20090005601 A KR 20090005601A KR 101254369 B1 KR101254369 B1 KR 10125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se
main surface
frame
l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279A (ko
Inventor
마사토 야마자키
미치아키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소성 변형이 적은 실드 케이스 및 해당 실드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드 케이스는 맞물림 오목부(64)를 갖는 프레임체(6)와, 맞물림 오목부(64)와 맞물리는 후크부(72)를 갖고, 프레임체(6)에 끼워맞춤되어 프레임체(6)를 덮는 덮개(7)를 갖고, 회로 기판에 탑재된 전자 부품을 둘러싸는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 후크부(72)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에, 프레임체(6)에 대한 덮개(7)의 끼워맞춤 방향인 제 1 방향(D1)과는 반대 방향의 제 2 방향(D2)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실드 케이스 및 전자 기기{SHIELD CASE AND ELECTRONIC INSTRUMENT}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탑재된 전자 부품을 덮는 실드 케이스 및 실드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전자 부품이 탑재(장착)된 회로 기판이 내장되어 있다. 회로 기판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에는 예컨대, 무선통신용의 고주파 회로 부품과 같이 전자파 등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도 많다. 이러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 부품은 노이즈를 실드(차폐)하기 위해서 실드 케이스로 덮여 있다.
실드 케이스로서는 2 피스(piece)형 실드 케이스가 있다. 2 피스형 실드 케이스는 주면부와 측벽을 별체(別體)로 구성하고, 측벽을 구성하는 프레임체에 주면부를 형성하는 덮개를 끼워맞춤시켜 실드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2 피스형 실드 케이스에 있어서는, 예컨대 전자 부품을 둘러싸도록 프레임체가 회로 기판의 장착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소정의 공정 뒤에 프레임체에 덮개가 끼워맞춤됨으로써,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실드 케이스가 형성된다.
2 피스형 실드 케이스에 있어서는, 프레임체에 덮개가 끼워맞춤될 때에, 덮개의 측벽이 덮개의 주면부의 면방향(프레임체에 덮개가 끼워맞춤되는 방향과는 거의 수직한 방향)의 외측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프레임체에 덮개가 끼워맞춤된 후에 프레임체로부터의 덮개 분리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프레임체에 덮개가 끼워맞춤되면 덮개의 측벽이 덮개의 주면부의 면방향의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된 2 피스형 실드 케이스에 있어서는, 덮개의 측벽은 주면부의 면방향의 외측으로 넓어진 상태에서 소성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소성 변형이 적은 실드 케이스가 소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드 케이스는 맞물림 오목부를 갖는 프레임체와, 상기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리는 후크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체에 끼워맞춤되어 해당 프레임체를 덮는 덮개를 갖고, 회로 기판에 탑재된 전자 부품을 둘러싸는 실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덮개가 끼워맞춤될 때에, 상기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덮개의 끼워맞춤 방향인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실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전자 부품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주면(主面)부를 갖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덮개의 상기 주면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기 주면부의 면방향을 따르는 방향인 제 3 방향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 2 연장부와, 상기 주면부의 면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인 제 4 방향을 향해서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래치 클로부(latch claw portion)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덮개가 끼워맞춤될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면부는 해당 주면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노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 클로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와는 반대측의 연부(緣部)는,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해당 주면부에 서서히 접근하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는 한 장의 판금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덮개의 상기 주면부의 단부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주면부의 단부 변을 따르는 제 5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회로 기판과 해당 회로 기판 위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과, 해당 전자 부품을 둘러싸고, 상기 회로 기판 위에 있는 상기 실드 케이스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자 부품은 무선 통신용의 고주파 회로부품이며, 상기 실드 케이스에 의해 실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성 변형이 적은 실드 케이스 및 해당 실드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1)의 기본구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1)에 대해서,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연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1)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측 하우징(3)의 리어 케이스(30b)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어 케이스(30b) 측에서 본 표시부측 하우징(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는 폴더형의 휴대 전화기(1)이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조작부측 하우징(2)과,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표시부측 하우징(3)과,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연결하는 연결부(4)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2)은 그 외면이 프론트 케이스(21) 및 리어 케이스(22)를 주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21)는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2a) 측을 구성한다.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2a)은 휴대 전화기(1)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측 하우징(3)과 마주보는 면이다. 리어 케이스(22)는, 전면(2a)과 반대측의 면인 배면(2b) 측을 구성한다.
프론트 케이스(21)는 조작 키 그룹(11)이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2a)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키 그룹(11)은 각종 설정, 전화번호부 기능, 메일(mail)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텐키(ten key) 등의 입력 조작 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 상하 좌우 방향의 스크롤 등을 실행하는 결정 조작 키(15)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 키 그룹(11)을 구성하는 각 키 각각에는,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의 개폐 상태나, 기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키 할당).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조작 키 그룹(11)을 구성하는 각 키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각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2a)에는 음성 입력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음성 입력부(12)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발생한 음성이 입력된다. 음성 입력부(12)는 조작부측 하우징(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와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즉, 음성 입력부(12)는 휴대 전화기(1)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측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 측에 배치된다.
조작부측 하우징(2)의 측면(2c)에는, 예컨대 외부 기기[예컨대, 호스 트(host)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헤드폰/마이크 단자,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의 인터페이스,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표시부측 하우징(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3)은 그 외면이 프론트 케이스(30a) 및 리어 케이스(30b)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3)의 전면(3a)은 프론트 케이스(30a) 및 커버 부재(33)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3)의 전면(3a)은 휴대 전화기(1)를 접은 상태에서 조작부측 하우징(2)과 마주보는 면이다. 표시부측 하우징(3)의 배면(3b)은 리어 케이스(30b)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3)의 배면(3b)은 전면(3a)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3)의 내부에는, 각종정보를 표시하는 메인 액정 모듈(34)이 배치되어 있다. 메인 액정 모듈(34)은 그 한쪽의 면에 메인 표시부(34a)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표시부(34a)는 투명부분을 주체로 하는 커버 부재(33)를 개재하여 프론트 케이스(30a)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표시부측 하우징(3)의 전면(3a)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30a)에는 통화의 상대측에 있어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음성 출력부(31)는 표시부측 하우징(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와는 반대인 단부측에 배치된다. 즉, 음성 출력부(31)는 휴대 전화기(1)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표시부측 하우징(3)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3)의 리어 케이스(30b) 측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 액정 모듈(36)이 배치되어 있다. 서브 액정 모듈(36)은 그 한쪽의 면에 서브 표시부(36a)가 마련되어 있다. 서브 표시부(36a)는 리어 케이스(30b)의 투명부분을 거쳐서, 표시부측 하우징(3)의 배면(3b)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 액정 모듈(34)은 메인 표시부(34a)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 이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부 등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서브 액정 모듈(36)은 서브 표시부(36a)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 이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부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하우징(3)의 하단부는 연결부(4)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4)는 표시부측 하우징(3)과 조작부측 하우징(2)을 개폐 축(X)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1)는 연결부(4)를 통해 연결된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상대적으로 회전(회전이동)함으로써,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서로 연 상태(개방 상태)로 하거나, 또는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접은 상태(접음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표시부측 하우징(3)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3)은 리어 케이스(30b)와, 서브 액정 모듈(36)과, 회로 기판(51)과, 프론트 케이스(30a)와, 메인 액정 모듈(34) 과, 커버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3)에 있어서는, 리어 케이스(30b), 서브 액정 모듈(36), 회로 기판(51), 프론트 케이스(30a), 메인 액정 모듈(34) 및 커버 부재(33)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30a)와 리어 케이스(30b)는 서로의 오목형상의 내면이 마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 액정 모듈(36)은 리어 케이스(30b)와 프론트 케이스(3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서브 표시부(36a)는 리어 케이스(30b)를 거쳐서 노출된다. 또한, 회로 기판(51)은 리어 케이스(30b)와 프론트 케이스(30a) 사이에 서브 액정 모듈(3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30a)는 회로 기판(51)에 있어서 서브 액정 모듈(36)이 마련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서브 액정 모듈(36) 및 회로 기판(51)은 리어 케이스(30b)와 프론트 케이스(30a)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1)은 메인 액정 모듈(34) 및 서브 액정 모듈(36)에 급전(給電) 등을 실행하는 것이다. 회로 기판(51)에는 각종 전자 부품이 탑재(장착)된다. 회로 기판(51)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 부품 중 일부의 전자 부품에 대해서는, 노이즈를 실드하는 실드 케이스로 덮는 것이 있다. 그러한 전자 부품은, 예컨대 무선통신용의 고주파 회로 부품이다.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의 설명에 있어서는, 실드 케이스(S)에 의해 실드되는 전자 부품을 「전자 부품(52)」으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의 일 예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10c를 참조하 면서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실드 케이스(S)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실드 케이스(S)의 덮개(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실드 케이스(S)의 프레임체(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a는 실드 케이스(S)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의 후크부(72)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b에 도시하는 P-P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일 예에 따른 실드 케이스(S)는 프레임체(6)와 덮개(7)를 구비한다. 프레임체(6)는 회로 기판(51)에 탑재된 전자 부품(52)을 둘러싸는 부재이다. 덮개(7)는 프레임체(6)에 끼워맞춤되어서 전자 부품(52)을 덮는 부재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의 설명에 있어서,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되는 방향을 「제 1 방향(D1)」이라 하고, 제 1 방향(D1)과는 반대의 방향을 「제 2 방향(D2)」이라 한다.
프레임체(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6)는 측벽(61)과, 상면 주연부(62)와, 상면 개구부(63)와, 맞물림 오목부(64)를 구비한다. 측벽(61)은 프레임체(6)를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벽부이다. 측벽(61)은 회로 기판(51)에 있어서 전자 부품(52)이 장착되는 면(장착면) 측에 고정되어 있다. 측벽(61)은 회로 기판(51)의 일부에 상당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측벽(61)의 높이는 전자 부품(52)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상면 주연부(62)는 프레임체(6)를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주연부이다. 상면 주연부(62)는 측벽(61) 상측 연부[제 2 방향(D2) 쪽의 연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면 주연부(62)의 내측은 프레임체(6)를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상면 개구부(63)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체(6)는 거시적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6)의 4개의 구석에는, 각각 맞물림 오목부(64)가 합계 4개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 오목부(64)는 측벽(61)의 일부[상세하게는 측벽(61)의 4개의 구석에 상당하는 부분]가 절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전자 부품(52)은 프레임체(6)와 덮개(7)가 끼워맞춤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면 개구부(63)로부터 노출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전자 부품(52)의 상방[제 2 방향(D2) 쪽]에는, 덮개(7)의 중고부(中高部)(71b)가 위치하기 때문에, 전자 부품(52)이 덮개(7)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덮개(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7)는 주면부(71)와 후크부(72)를 갖는다. 주면부(71)는 전자 부품(52)을 덮는 피복면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후크부(72)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맞물림 오목부(64)에 맞물리는 부위이다. 주면부(71)는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이다. 주면부(71)의 중 앙부분에는, 주면부(71)의 일부가 제 2 방향(D2)을 향해서 팽창된 중고부(7lb)가 형성되어 있다. 중고부(7lb)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51)의 전자 부품(5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중고부(7lb)는 전자 부품(52)과 덮개(7)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부(72)는 제 1 연장부(73)와 제 2 연장부(74)와 래치 클로부(75)를 구비한다. 제 1 연장부(73)는 덮개(7)의 주면부(71)로부터 제 1 방향(D1)을 향해서 연장하는 부위이다. 제 1 연장부(73)는 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에 있어서 노치(76)(후술)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제 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연장부(74)는 제 1 연장부(73)로부터 제 3 방향(D3)을 향해서 연장하는 부위이다. 「제 3 방향(D3)」이란 주면(71)의 면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주면부(71)의 면방향」이란 거시적으로 보아 주면부(71)가 넓어지는 방향이며, 일반적으로는 회로 기판(51)에 실드 케이스(S)가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51)의 장착면이 넓어지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따라서 「주면부(71)의 면방향」은, 주면부(71)가 넓어지는 방향이면 한 방향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방향(D3)은 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를 따르는 방향이다. 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를 따르는 방향을 제 5 방향(D5)이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연장부(74)는 제 1 연장부(73)의 선단부에 인접하는 부위로부터 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를 따라 주면부(71)의 구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래치 클로부(75)는 제 4 방향(D4)을 향해서 제 2 연장부(74)로부터 연장한다. 「제 4 방향(D4)」은 주면부(71)의 면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이며, 제 3 방향(D3)과는 다른 방향이기도 하다. 「주면부(71)의 면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이란 주면부(71)의 면방향이며,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되었을 경우에 제 2 연장부(74)로부터 프레임체(6) 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래치 클로부(75)가 주면부(71)의 면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래치 클로부(75)는 맞물림 오목부(64)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4 방향(D4)은 제 1 연장부(73)의 연장방향인 제 1 방향(D1)과 직교하는 동시에, 제 2 연장부(74)의 연장방향인 제 3 방향(D3)[제 5 방향(D5)]과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4 방향(D4)은 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제 1 연장부(73)의 기단부가 위치하는 말단 연부(71a)과 수직한 말단 연부]를 따르는 방향이다. 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를 따르는 방향을 「제 6 방향(D6)」 이라고도 한다. 래치 클로부(75)는 제 2 연장부(74)의 선단부로부터 제 4 방향(D4)[제 6 방향(D6)]을 따라 연장한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부(72)는 대향하는 한쌍의 말단 연부(71a)에 있어서 양 단부 근방에 각각(합계 4개)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72)는 이 말단 연부(71a)에 수직한 다른 쪽의 한쌍의 말단 연부(71a')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에 있어서의 주면부(71)는 반대측의 단부를 「하측 연부(연부)(75b)」 라 한다. 하측 연부(연부)(75b)는 제 2 연장부(7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주면부(71)에 서서히 접근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의 하측 연부(75b)는 평활하게 만곡되어 있다. 또한,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에 있어서의 상측 연부(75c)[하측 연부(75b)와는 반대쪽의 연부]는, 제 2 연장부(7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주면부(71)에서 서서히 이격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의 상측 연부(75c)는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면부(71)의 4개의 말단 연부(71a, 71a')에는 여러 개의 측벽(77)이 말단 연부(71a, 71a')로부터 제 1 방향(D1)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인접하는 측벽(77) 사이에는, 덮개(7)의 소재가 도려 내어져 형성된 오목 절결부(78)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 절결부(78)를 마련하는 이유는, 덮개(7)의 소재에 있어서 말단 연부(71a, 71a')에 대응하는 위치를 절곡하여 측벽(77)을 형성할 때에 측벽(77)을 절곡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6 및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부(72)는 프레임체(6)의 맞물림 오목부(64)에 맞물림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가 프레임체(6)의 맞물림 오목부(64)에 걸려 고정되는 것에 의해, 후크부(72)는 맞물림 오목부(64)에 맞물림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체(6)는 한 장의 판금부재로 이루어진다. 덮개(7)도 한 장의 판금부재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체(6) 및 덮개(7)는 모두 한 장의 금속판을 판금가공해서 형성된다.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 프레임체(6)에 의해 후크부(72)가 가압될 때에, 후크부(72)는 제 2 방향(D2)으로 실질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 후크부(72)가 제 2 방향(D2)으로 가압될 때에, 제 2 연장부(74)는 제 2 방향(D2)을 향해서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에 있어서 후크부(72)의 탄성변형[제 2 연장부(74)의 굽힘]에 대해서는, 후술의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의 후크부(72)의 움직임의 설명에 있어서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의 주면부(71)에 있어서 4개의 구석에는 노치(76)가 마련되어 있다. 노치(76)는 주면부(71)를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래치 클로부(75)가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에, 후크부(72)는 이하에 상술하는 것과 같이 탄성 변형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의 후크부(72)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프레임체(6)에 의해 덮개(7)의 후크부(72)가 가압되어, 후크부(72)가 탄성 변형한(굽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7)를 제 1 방향(D1)으로 이동시켜서 프레임체(6)에 접근시키면, 덮개(7)의 후크부(72)에 있어서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는 프레임체(6)에 있어서 맞물림 오목부(64)의 근방의 상면 주연부(62)에 접촉하여, 제 2 방향(D2)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제 2 연장부(74)는 제 2 방향(D2)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덮개(7)의 후크부(72)는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 2 연장부(74)가 구부러진다」라는 것은 제 2 연장부(74)가 여러가지 태양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연장부(74)가 구부러지는 태양으로서는, 예컨대 제 2 연장부(74) 자체는 거의 변형하지 않지만, 제 1 연장부(73)의 기단부[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 근방이 굴곡함으로써 제 2 연장부(74)의 경사나 위치가 변화되는 태양(제 1 태양.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한 태양은 이 제 1 태양임)이나, 제 2 연장부(74) 자체가 휘거나 비틀어짐으로써 제 2 연장부(74)의 경사나 위치가 변화되는 태양(제 2 태양)이나, 혹은 제 1 태양과 제 2 태양이 조합된 제 3 태양 등을 들 수 있다.
도 10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덮개(7)를 제 1 방향(D1)으로 이동시켜서 프레임체(6)에 더욱 접근시키면, 제 2 연장부(74)가 제 2 방향(D2)으로 구부러지면서,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가 맞물림 오목부(64)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선단부(75a)에 있어서 하측 연부(75b)는 제 2 연장부(7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주면부(71)에 서서히 접근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하측 연부(75b)는 맞물림 오목부(64)에 인접하는 상면 주연부(62)의 상측 연부[상면 주연부(62) 쪽의 연부]에 스무스(smooth)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해당 상측 연부를 타고 넘기 쉽다.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맞물림 오목부(64)에 인접하는 상면 주연부(62)의 하측 연부가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의 상측 연부(75c)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맞물림 오목부(64)에 래치 클로부(75)가 걸려 고정된다. 여기에서, 후크부(72)는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원래의 상태(원래의 경사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하여, 프레임체(6)와 덮개(7)의 끼워맞춤 상태가 형성된다.
또, 금속판 등으로 형성된 후크부(72)에 있어서는, 굴곡되거나 휘어지게 하거나 비꼬아지거나 했을 경우에 약간의 소성 변형을 피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 또한, 후크부(72)가 약간의 소성 변형을 했다고 하여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후크부(72)가 탄성변형 가능」이라는 것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소성 변형이 생길 경우를 제외하지 않는 의미이다. 또한, 제 2 연장부(74)가 약간 소성 변형하였다고 하여도, 제 2 연장부(74)는 주면부(71)의 면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되므로, 프레임체(6)와 덮개(7)의 끼워맞춤력이 크게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에 의하면, 예를 들어 하기의 각 효과가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에 프레임체(6)에 의해 후크부(72)가 가압될 때에, 후크부(72)는 제 2 방향(D2)으로 실질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크부(72)는 덮개(7)의 주면부(71)로부터 제 1 방향(D1)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 1 연장부(73)와, 제 1 연장부(73)로부터 제 3 방향(D3)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 2 연장부(74)와, 래치 클로부(75)를 갖고 있다. 래치 클로부(75)는 제 4 방향(D4)을 향해서 제 2 연장부(74)로부터 연장하는 동시에, 프레임체(6)의 맞물림 오목부(64)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제 2 연장부(74)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에 후크부(72)가 제 2 방향(D2)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제 2 방향(D2)을 향해서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는, 후크부(72)의 제 2 연장부(74)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끼워맞춤되기 전의 상태(경사, 위치)로 되돌아가던지, 또는 주면부(71)의 면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약간 소성 변형한 상태로 된다. 즉, 제 2 연장부(74)가 주면부(71)의 면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프레임체(6)에의 덮개(7)의 끼워맞춤 작업의 작업성이 높은 동시에, 끼워맞춤 후에 있어서의 실드 케이스(S)의 실드 기능이 저하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는, 덮개(7)의 주면부(71)는 주면부(71)를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래치 클로부(75)가 위치하는 영역에 노치(76)를 갖는다. 그 때문에,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에, 프레임체(6)에 의해 래치 클로부(75)가 제 2 방향(D2)으로 가압되었다고 하여도, 노치(76)의 존재에 의해 래치 클로부(75)가 주면부(71)에 접촉해서 제 2 방향(D2)으로 충분히 변위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클로부(75)가 맞물림 오목부(64)에 인접하는 프레임체(6)의 부위[상면 주연부(62) 등]을 타고 넘어서, 맞물림 오목부(64)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따라서, 프레임체(6)와 덮개(7)의 끼워맞춤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는,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에 있어서 하측 연부(75b)는 제 2 연장부(7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주면부(71)에 서서히 접근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는 하측 연부(75b)가 프레임체(6)에 스무스하게 접촉하면서 맞물림 오목부(64)에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체(6)와 덮개(7)의 끼워맞춤 작업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는,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에 있어서 상측 연부(75c)는 제 2 연장부(7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주면부(71)에서 서서히 이격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수리시 등의 때에 프레임체(6)로부터 덮개(7)를 뺄 때에, 래치 클로부(75)의 선단부(75a)는 상측 연부(75c)가 프레임체(6)에 스무스하게 접촉하면서, 맞물림 오목부(64)로부터 빠질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72)가 덮개(7)의 주면부(71)의 면방향의 외측으로 넓어지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재끼워맞춤 후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S)에 의한 실드 성능을 확보하기 쉽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S)에 있어서는, 실드 케이스(S)의 프레임체(6)는 회로 기판(51)의 일부에 상당하는 크기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레임체(6)는 회로 기판(51)의 전체에 상당하는 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즉, 실드 케이스(S)는 회로 기판(51) 의 전체를 덮는 형태이어도 좋다].
덮개(7)에 있어서 노치(76)는 필수적이지는 않다. 노치(76)가 없어도, 후크부(72)의 형상이나 크기, 맞물림 오목부(64)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될 때에 후크부(72)를 맞물림 오목부(64)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 조의 후크부 및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드 케이스에 있어서의 대각의 2개의 구석에 2개 조의 후크부 및 맞물림 오목부를 마련해도 좋다.
제 1 방향(D1)은 덮개(7)의 주면부(71)의 면방향의 내측[프레임체(6)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는 방향이어도 좋다. 제 3 방향(D3)은 주면부(71)의 말단 연부(71a)를 따르는 방향인 제 5 방향(D5)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드 케이스는 표시부측 하우징(3)에 마련된 실드 케이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드 케이스는 조작부측 하우징(2)에 마련된 실드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4)는 표시부측 하우징(3)과 조작부측 하우징(2)을 개폐 축(X)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부(4)는 이른바 2축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2축 힌지 기구는 표시부측 하우징(3)과 조작부측 하우징(2)을 개폐 축(X)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표시부측 하우징(3)과 조작부측 하우징(2)을 개폐 축(X)에 직교하는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드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폴더식의 휴대 전화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휴대 전화기는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을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의 휴대 전화기이어도 좋다. 또한, 휴대 전화기는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의 중첩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리볼버)의 휴대 전화기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드 케이스는 휴대 전화기 이외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드 케이스는 휴대 전자 기기 이외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 기기 이외의 기기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 이외의 휴대 전자 기기로서는, 예컨대 PHS(등록상표:Personal Handy Phone System), 포터블 게임기, 포터블 네비게이션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조작부를 구비하는 EL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모니터를 들 수 있다. 휴대 전자 기기 이외의 전자 기기로서는, 예컨대 전자사전, 전자계산기, 전자 수첩,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라디오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1)에 대해서,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연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측 하우징(3)의 리어 케이스(30b) 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리어 케이스(30b) 쪽에서 본 표시부측 하우징(3)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의 실드 케이스(S)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4에 도시하는 실드 케이스(S)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실드 케이스(S)의 덮개(7)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실드 케이스(S)의 프레임체(6)의 부분 확대도,
도 9a는 실드 케이스(S)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부분 확대도,
도 10a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프레임체(6)에 의해 덮개(7)의 후크부(72)가 가압되어, 후크부(72)가 탄성변형한(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c는 프레임체(6)에 덮개(7)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2 : 조작부측 하우징
3 : 표시부측 하우징 4 : 연결부
51 : 회로 기판
52 : 전자 부품(고주파 회로부품) 6 : 프레임체
64 : 맞물림 오목부 7 : 덮개
71 : 주면부 71a : 단부 변
72 : 후크부 73 : 제 1 연장부
74 : 제 2 연장부 75 : 래치 클로부
75a : 선단부 75b : 하측 연부
76 : 노치 D1 : 제 1 방향
D2 : 제 2 방향 D3 : 제 3 방향
D4 : 제 4 방향 D5 : 제 5 방향
D6 : 제 6 방향 S : 실드 케이스

Claims (9)

  1. 맞물림 오목부를 갖는 프레임체와, 상기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리는 후크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체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프레임체를 덮는 덮개를 갖고, 회로 기판에 탑재된 전자 부품을 둘러싸는 실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덮개가 끼워맞춤될 때에, 상기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덮개의 끼워맞춤 방향인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전자 부품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주면(主面)부를 갖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덮개의 상기 주면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기 주면부의 면방향을 따르는 방향인 제 3 방향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 2 연장부와,
    상기 주면부의 면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인 제 4 방향을 향해서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래치 클로부를 갖는
    실드 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덮개가 끼워맞춤될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실드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는 상기 주면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노치를 갖는
    실드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로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와 반대측의 연부는,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주면부에 서서히 접근하는 형상을 갖고 있는
    실드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한 장의 판금부재로 이루어진
    실드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덮개의 상기 주면부의 단부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주면부의 단부 변을 따르는 제 5 방향과 일치하는
    실드 케이스.
  8. 전자 기기에 있어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을 둘러싸고,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있는 제 1 항에 기재된 실드 케이스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무선통신용의 고주파 회로 부품이며, 상기 실드 케이스에 의해 실드되어 있는
    전자 기기.
KR1020090005601A 2008-01-29 2009-01-22 실드 케이스 및 전자 기기 KR101254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8148 2008-01-29
JP2008018148A JP5216342B2 (ja) 2008-01-29 2008-01-29 シールドケース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79A KR20090083279A (ko) 2009-08-03
KR101254369B1 true KR101254369B1 (ko) 2013-04-12

Family

ID=4089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601A KR101254369B1 (ko) 2008-01-29 2009-01-22 실드 케이스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84569B2 (ko)
JP (1) JP5216342B2 (ko)
KR (1) KR101254369B1 (ko)
CN (1) CN101500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9320B2 (ja) * 2010-03-17 2013-02-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JP5163701B2 (ja) * 2010-06-16 2013-03-13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へのシールドケース取付け構造およびシールドケース
KR101326548B1 (ko) * 2013-03-28 2013-11-07 성우전자 주식회사 전자파 실드 패널
CN104597574A (zh) * 2013-10-31 2015-05-06 深圳新飞通光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光收发模块
US9635789B2 (en) * 2015-01-30 2017-04-25 Laird Technologies, Inc. Board leve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s with increased under-shield space
JP6384617B2 (ja) * 2015-08-27 2018-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ケースユニット
JP2017118015A (ja)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トーキン 電子装置及び電磁干渉抑制体の配置方法
CN107027281A (zh) * 2016-02-01 2017-08-08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罩体及具有该罩体的通信装置
JP6688719B2 (ja) * 2016-10-14 2020-04-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ユニット
JP2018207040A (ja) 2017-06-08 2018-12-27 株式会社東芝 シールドケース
JP7049877B2 (ja) * 2018-03-23 2022-04-0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回路モジュール
EP3864828B1 (en) * 2018-12-11 2023-1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nection of housing parts to an internal frame of a mobile 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088U (ja) * 1992-02-12 1993-09-03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板上の部分遮蔽ケース
JP2007142230A (ja) * 2005-11-21 2007-06-07 Kenwood Corp シールド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38Y2 (ja) * 1986-12-26 1994-02-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シ−ルドカバ−の取付構造
US5404271A (en) * 1991-07-30 1995-04-0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ard storing section formed within a body between a support frame and an upper case of the body and having functional elements mount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 lower case of the body
US5233506A (en) * 1992-02-21 1993-08-03 Motorola, Inc. Fastener for housing assembly
JP3556432B2 (ja) * 1997-06-26 2004-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
JP2002271080A (ja) * 2001-03-09 2002-09-20 Toshiba Corp 高周波装置
JP2002290065A (ja) * 2001-03-27 2002-10-04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3133777A (ja) * 2001-10-24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ルドケース
CN2511101Y (zh) * 2001-12-06 2002-09-11 蔡兰香 可杜绝电路板上电磁干扰波的装置
DE10260447A1 (de) * 2002-01-08 2003-08-21 Mitsumi Electric Co Ltd Abschirmkasten für einen elektronischen Apparat
US6876543B2 (en) * 2003-03-07 2005-04-05 Motorola, Inc. Hous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ssembling the same
JP2006310406A (ja) * 2005-04-26 2006-11-09 Sharp Corp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電子装置
JP2006351961A (ja) 2005-06-17 2006-12-28 Toshiba Corp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088U (ja) * 1992-02-12 1993-09-03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板上の部分遮蔽ケース
JP2007142230A (ja) * 2005-11-21 2007-06-07 Kenwood Corp シールド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84569B2 (en) 2012-10-09
US20090190321A1 (en) 2009-07-30
JP2009182058A (ja) 2009-08-13
CN101500400A (zh) 2009-08-05
JP5216342B2 (ja) 2013-06-19
KR20090083279A (ko) 2009-08-03
CN101500400B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369B1 (ko) 실드 케이스 및 전자 기기
KR10114123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JP4909827B2 (ja) 携帯電子機器
JP5558012B2 (ja) 電子機器
JP5106868B2 (ja) 電子機器
JP2012222621A (ja) 電子機器
JP5073431B2 (ja) 携帯端末装置
JP4510860B2 (ja) 携帯端末装置
JP5202414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9194031A (ja) 電子機器
JP2010194902A (ja) 成形部品の製造方法及び携帯電子機器
JP4960204B2 (ja) 筐体ケース
JP2009206752A (ja) 筐体ケース
JP4727598B2 (ja) 携帯端末装置
JP5424340B2 (ja) 電子機器
JP2012227567A (ja) 電子機器
JP4996340B2 (ja) 携帯電子機器
JP5266121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9159419A (ja) 電子機器
JP4926913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9246551A (ja) 電子機器
JP2010277750A (ja) 携帯電子機器
JP2010258829A (ja) 携帯電子機器
JP2009182729A (ja) 電子機器
JP2009267584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