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688B1 - 전파 흡수체 - Google Patents

전파 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688B1
KR101253688B1 KR1020077006472A KR20077006472A KR101253688B1 KR 101253688 B1 KR101253688 B1 KR 101253688B1 KR 1020077006472 A KR1020077006472 A KR 1020077006472A KR 20077006472 A KR20077006472 A KR 20077006472A KR 101253688 B1 KR101253688 B1 KR 10125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wave absorber
loop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936A (ko
Inventor
요시유키 마스다
노보루 오타니
히사마쓰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H01Q15/002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said sele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geometry or having 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 흡수체에 관한 것으로서, 도체(導體)로 이루어지는 전면 도체층과, 1층 또는 다층의 유전체(誘電體)로 이루어지는 제1 유전체층(PC 기판(12) 및 BT 기판(13))과, 도체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복수개 가지는 패턴층(14)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턴층(14)에 있어서의 각 패턴은 인접하는 다른 패턴에 대하여 크기와 형상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하므로, 전자파의 반사 등에 의한 통신 장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인 반사 감쇠(減衰) 능력을 가지고,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또한 광대역의 감쇠성을 가진다.
전파 흡수체, 도체층, 유전체층, 패턴층

Description

전파 흡수체 {WAVE ABSORBER}
본 발명은, 전파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의 반사 등에 의한 통신 장해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전파 흡수체 및 전파 흡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일본국 특허청에 2004년 9월 6일자로 출원된 특원 2004-258182호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에 대한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최근, 휴대 전화기,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및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달에 의해, 통신 정보의 보호 및 혼신·오통신의 방지를 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주로 통신 정보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외래 전파의 차폐(遮蔽)와 통신 기기 자체로부터의 방사 전파의 차폐를 위하여, 전자파 차폐재에 의한 실내외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통신 기기 자체로부터의 방사(放射) 전파가 반사에 의해 실내에 남게 되어, 그 반사파와 원하는 통신 전파와의 간섭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통신 품질의 열화 및 혼신·오통신 등의 통신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열로 변환하는 전파 흡수체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파 흡수체로는, 일반적으로 전자파의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여 소비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되지만, 그것은 자성 손상, 유전체 손상, 오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재료라고 할 수 있다. 전파 흡수체로서는, 페라이트 또는 연자성 금속 등의 자성 분말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매트릭스에 혼합 분산시켜, 시트형 또는 블록형으로 성형 가공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전파 흡수체로서는, 카본 블랙 등의 유전(誘電) 손실 분말을 발포 폴리우레탄 등에 함침(含浸)시켜, 피라미드형 또는 쐐기형으로 가공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 전파 흡수체로서는, 반사체로부터 λ/4(λ: 특정한 주파수에 있어서의 전파의 파장) 이격된 위치에 자유 공간의 특성 임피던스인 377Ω에 대략 같은 저항막을 형성한 λ/4형(型)이라는 것 등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또, 복수개의 도전성 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치된 주기 패턴을 흡수체 표면에 형성하여 경량화 및 박형화를 도모한 전파 흡수체(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 또한 복수개의 도전성 루프 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치된 주기 루프 패턴을 흡수체 표면에 형성하여, 경량화, 박형화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전파 흡수 특성의 개선을 도모한 전파 흡수체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페라이트 또는 연자성 금속 등의 자성 분발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매트릭스에 혼합 분산시켜 성형 가공한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흡수체가 형성 가능하지만, 높은 전파 흡수 성능을 구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해 지므로, 비중이 큰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중량이 커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카본 블랙 등의 유전 손실 분말을 발포 폴리우레탄 등에 함침시켜 가공한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그 흡수 성능이 두께에 의존하기 때문에, 원하는 성능을 얻기 위해 피라미드형 또는 쐐기형으로 하는 연구 또는 흡수 방향에 대한 매우 두꺼운 두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사체로부터 λ/4 이격된 위치에 자유 공간의 특성 임피던스인 377Ω에 가까운 값의 저항막을 형성한 λ/4형이라는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저항막을 사용함으로써 투명 전파 흡수체가 제작 가능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전파 흡수체에서는, 원리적으로 특정한 주파수에 있어서의 λ/4의 두께가 필요하고, 또 전파의 입사 각도에 따라 전파 흡수 특성이 변동되어 버린다는 점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이들 종래의 전파 흡수체에 비해 가볍고 얇은 것으로서 복수개의 도전성 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치된 주기 루프 패턴, 손실 재료를 함유하는 중간 수지층 및 도전성 반사층으로 이루어지는 전파 흡수체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전파 흡수체에서는, λ/4형과 마찬가지로 전파의 입사 각도에 따라 전파 흡수 특성(주파수)이 변동되어 버린다는 점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는, 이들 종래의 전파 흡수체에 비해 가볍고 얇은 것으로서 복수개의 도전성 루프가 규칙적으로 배치된 주기 루프 패턴, 중간층 및 도전성 반사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흡수 대상 파장의 0.027배 이상인 전파 흡수체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같은 단일 크기의 패턴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구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는, 입사 각도에 따른 전파 흡수 특성(주파수)의 변동은 억제되는 한편, 주파수 대역이 한정되고 협대역(狹帶域)의 특성으로 되어버려 제작시의 특성 변동의 점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30858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 10(1998)-O5118O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평 05(1993)-335832호 공보
특허 문헌 4: 특허 제3209453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개 2001-352191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전자파의 반사 등에 의한 통신 장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인 반사 감쇠(減衰) 능력을 가지고,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전파의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은 전파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도체(導體)로 이루어지는 전면(全面) 도체층(11)과, 제1 유전체층(12, 13)과, 도체로 이루어지는 루프 형상을 한 루프 패턴 또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패치(patch) 패턴을 복수개 가지는 패턴층(14)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턴층(14)에 있어서의 각 패턴은, 인접하는 다른 패턴에 대하여, 크기와 형상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패턴층(14)의 패턴이 안테나로서 기능하고, 각 패턴은 사이즈 또는 형상이 상이하므로, 광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 수신 시에 제1 유전체층(12, 13)으로의 전자파의 누락이 생기고, 그 제1 유전체층(12, 13)의 유전 손실 성분에 의해 전자파가 열로 변환되어 소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경량 박형으로 하면서, 종래에 없는 광대역의 반사 감쇠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패턴층(14)에 있어서의 패턴 루프 형상을 한 루프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프 패턴은, 상기 루프 패턴의 중심선에서의 길이인 중심선 길이(C1, C2, C3)에 대하여 5퍼센트 내지 25퍼센트의 값의 선폭(線幅)을 가지는 형상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프 패턴의 중심선 길이(C1, C2, C3)는,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의 실효 파장(λg)의 60퍼센트 내지 140퍼센트의 길이이며, 상기 패턴층(14)에 있어서의 임의의 1개의 루프 패턴과 상기 루프 패턴에 인접하는 다른 루프 패턴은, 상기 중심선 길이(C1, C2, C3) 또는 형상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루프 패턴이 수신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흡수 대상의 전파에 맞출 수가 있고, 크기(사이즈) 또는 형상이 상이한 루프 패턴의 집합체를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광대역의 반사 감쇠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각 루프 패턴은, 폐(閉)루프라도 되고, 일부가 중단된 개(開)루프라도 된다. 또, 각 패턴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의 루프나 패치 등, 임의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전자파의 반사 등에 의한 통신 장해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패턴층(14)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상기 루프 패턴 또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패치 패턴이, 패턴의 일부에 돌기 형상(예를 들면, 선형 패턴)을 설치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상기 돌기 형상(예를 들면, 선형 패턴)의 크기, 형상 또는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반사 감쇠 특성이 높은 주파수(파장) 및 대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고성능의 전파 흡수체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패턴층(35)에 있어서의 루프 패턴이나 패치 패턴이, 복수개의 형상 또는 크기가 상이한 루프 패턴이나 패치 패턴의 집합체를 1개의 유닛으로 하여, 상기 유닛 간의 스페이스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경량 박형이면서, 광대역의 반사 감쇠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대면적의 전파 흡수체를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전면 도체층(32) 및 패턴층(35)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 측에 제2 유전체층(31, 36)을 적층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제2 유전체층(31, 36)이 전면 도체층(32) 또는 패턴층(35)에 있어서의 도체(예를 들면, 금속)의 도전율 변화(예를 들면, 산화)를 방지할 수 있어, 하드 코트나 UV 컷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품 수명이 긴 전파 흡수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패턴을 구성하는 도체의 표면 저항율이, 1[Ω/□] 로부터 30[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유전체층(22, 23)의 유전 손실 성분에 의해 전자파가 열로 변환되어 소비되는 동시에, 패턴 자체의 저항 손실에 의해서도 전자파가 열로 변환되어 소비된다. 따라서, 전자파를 열로 변환하여 소비하는 작용을 높일 수 있어, 경량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반사 감쇠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전면 도체층(42)이 표면 저항율(시트 저항) 3O[Ω/□] 이하의 저저항 도전체층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저항 도체의 재료로서는, ITO(산화 인듐주석) 등의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해도 되고, 금속 미립자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전면 도체층(21, 32)이, 격자형의 패턴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격자형 도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격자형 도체층은, 선로폭이 10O㎛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선로 중심 간격이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의 실효 파장(λg)의 1/1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상기 전면 도체층(42) 및 패턴층(45)에 사용하는 도체가, (도전성 산화물 또는 도전성 유기 화합물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2 유전체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 도체층(42)은, ITO(산화 인듐주석)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해도 되고, 선로폭이 10O㎛ 이하이며, 선로 중심 간격이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의 실효 파장(λg)의 1/16 이하인 격자형 도체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투명한 (금속 등의) 도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종래의 λ/4형 투명 전파 흡수체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투명 전파 흡수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파의 반사 등에 의한 통신 장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인 반사 감쇠 능력을 가지고, 종래의 전파 흡수체보다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광대역에서 전파의 입사각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은 감쇠 특성을 가지는 전파 흡수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패턴층의 상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패턴층의 상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패턴층의 상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패턴층의 상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전파 흡수체(비교예 1)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패턴층의 상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의 λ/4형 전파 흡수체(비교예 2)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의 전파 흡수체(비교예 3)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패턴층의 상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상기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1) 반도체층 (12) PC(폴리카보네이트) 기판(제1 유전체층 A)
(13) T(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기판(제1 유전체층 B) (14) 패턴층
(21) 격자형 도체층 (22) PC 기판(제1 유전체층 A)
(23)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판(제1 유전체층 B)
(24) 패턴층 (25) PC 기판(제2 유전체층)
(31) PET 기판(제2 유전체층 A) (32) 격자형 도체층
(33) PC 기판(제1 유전체층 A) (34) PET 기판(제1 유전체층 B)
(35) 패턴층 (36) C 기판(제2 유전체층 B)
(41) PET 기판(제2 유전체층 A) (42) 도체층
(43) PC 기판(제1 유전체층 A) (44) PET 기판(제1 유전체층 B)
(45) 패턴층 (46) PC 기판(제2 유전체층 B)
(51) 전면 도체층
(52, 54) EPT(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층(제1, 제2 유전체층)
(53) 페라이트 분산 수지층(페라이트 자성 손실층)
(55) 패턴층 (61) 저저항 ITO층
(62) PC 기판(유전체층) (63) 고저항 ITO층
(71) 도체층 (72) PC 기판(제1 유전체층 A)
(73) BT 기판(제1 유전체층 B) (74) 패턴층
(101, 102, 103, 201, 202, 203) 루프 패턴
(301, 302, 303, 401, 402, 403) 루프 패턴
(501) 원형 패치 패턴 (701) 정사각형 루프 패턴
(103a, 203a, 303a, 403a) 오픈 스터브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예를 들면,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시스템에서의 통신 장해를 방지하는 전파 흡수체에 매우 적합하다. ETC 시스템은, 5.8GHz 대의 전파를 사용하여, 유료 도로의 요금소 등에 설치된 안테나와 자동차에 탑재된 단말기로 통신을 행하고, 자동차를 멈추지 않고 유료 도로의 요금 지불 등을 하는 시스템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ETC 시스템의 불필요한 전파를 흡수하고, 이러한 시스템의 오동작을 회피하는 것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면, ETC 시스템을 구비한 요금소의 게이트에 있어서의 천정(천정의 하면) 또는 게이트의 측벽면에,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한 것 같은 투명체에 있어서는, ETC 시스템을 구비한 요금소의 ETC 레인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18㎛ 두께의 동박(銅箔)으로 형성된 도체층(11)과, 제1 유전체층 A를 이루는 2.0mm 두께의 PC(폴리카보네이트) 기판(12)과, 제1 유전체층 B를 이루는 0.3mm 두께의 BT(비스말레이미드 트리아진; bismaleimide triazine) 기판(13)과, 동박으로 형성된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루프 패턴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패턴층(14)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파 흡수체의 평면도이며, 패턴층(1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턴층(14)은, BT 기판(13)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루프 패턴(101, 102, 103)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각 루프 패턴(101, 102, 103)은 동박으로 이루어지고, BT 기판(13)의 상면에 주기적으로(즉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루프 패턴(101, 102, 10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형상이 상이하게 되어 있고, 중심 루프 길이 C1, C2, C3, 선로폭 W1, W2, W3의 정사각형 루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중심 루프 길이란, 루프 패턴(101, 102, 103)이 이루는 선로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한 길이를 말한다(이하, 동일). 인접하는 루프 패턴(101, 102, 103)의 중심점끼리는, 중심 간격 D1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루프 패턴(103)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형상의 선로에 돌기 형상의 선형 패턴(오픈 스터브;open stub)(103a)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오픈 스터브(103a)는, 정사각형 루프의 일부의 정점(頂点)에 부가되어 있고, 선폭 2.0mm, 길이 2.4mm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그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이 정사각형 루프의 한 변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되어 있다.
이들 루프 패턴(101, 102, 103)을 가지는 패턴층(14)은, 표면에 동박이 형성된 BT 기판(13)에 대하여,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염화 제2 철과 염산의 에칭액에 의해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루프 패턴(101, 102, 103)은, 각각의 선로폭 W1, W2, W3를 중심 루프 길이 C1, C2, C3에 대하여 5퍼센트 내지 25퍼센트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퍼센트 내지 20퍼센트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루프 패턴(101, 102, 103)의 선로폭 W1, W2, W3는, 기판 패턴면에 있어서의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의 실효 파장(λg)의 60퍼센트 내지 140퍼센트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퍼센트 내지 120퍼센트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한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가 가지는 전파 흡수 특성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측정 대상(흡수 대상)으로 하는 소정 주파수의 전파에 대한 반사량이 -40[dB] 이하의 피라미드콘형 전파 흡수체를, 측정 실내에 있어서의 벽면, 바닥 및 측정면 측방에 설치하여 둔다. 그리고, 측정 시료(본 전파 흡수체)에 대한 전파의 입사각이 소정 각도(예를 들면, 정면으로부터 20도)로 되도록 송신용 혼 안테나를 배치하고, 송신용 혼 안테나로부터 출사된 전자파가 측정 시료에 의해 반사하여 향하는 방향(광학 반사의 방향)에 수신용 혼 안테나를 설치한다. 여기서, 송신용 혼 안테나는 우선 원편파(圓偏波) 혼 안테나를 사용하고, 수신용 혼 안테나는 좌선(左旋) 원편파 혼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송신용 혼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금속판에서는 전체 반사하여 선회 방향이 변화되고, 수신용 혼 안테나에서 수신되게 된다.
이어서, 이들 송수신용 혼 안테나를 벡터 네트워크 아날라이저(Agilent 8722ES)에 접속하고, 프리 스페이스 타임 도메인법을 이용하여 측정 시료(전파 흡 수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래하는 전파만을 분리하여 S파라미터(S21)를 측정한다.
먼저,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대략 140cm의 거리로 되는 위치에 금속 반사판(Cu판)을 설치하고, 송신용 혼 안테나로부터 소정 주파수 및 소정 강도의 전파를 출사시켜, 수신 안테나의 수신 레벨을 측정한다. 다음에, 금속 반사판(Cu판) 대신에 동일 사이즈의 측정 시료(전파 흡수체)를 상기 금속 반사판(Cu판)과 같은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금속 반사판(Cu판)에 출사한 전파와 동일한 전파를 송신용 혼 안테나로부터 출사시키고, 그 때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레벨을 측정한다.
이같이 하여 측정된 금속 반사판(Cu판)일 때의 수신 레벨과, 전파 흡수체 일 때의 수신 레벨의 차이(전력비)를 반사 감쇠량으로서 평가한다. 그 입사각 20도와 30도의 측정 평가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입사 각도가 변화되어도 20[dB] 이상의 감쇠 특성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폭을 유효 흡수 대역이라고 정의한 경우,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기 때문에, 대략 240[MHz]의 유효 흡수 대역을 가지고 광대역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도전성 메시 크로스를 사용하여 형성한 격자형 도체층(21)과, 제1 유전체층 A를 이루는 3.7mm 두께의 PC(폴리카보네이트) 기판(22)과, 제1 유전체층 B를 이루는 0.1mm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판(23)과, 10[Ω/□]의 표면 저항율(시트 저항)을 가지는 ITO(산화 인듐주석)로 형성된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루프 패턴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패턴층(24) 과 0.3mm 두께의 PC 기판(25)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격자형 도체층(21)은, 선폭 약 30㎛, 선로 중심 간격 0.254mm로 형성되어 있고, 전파를 전체반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그 선폭은 10O㎛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 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선로 중심 간격은 전파를 전체반사할 정도의 간격이면 되고,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의 파장의 1/1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00 이상 1/16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00 이상 1/32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는 격자형 도체층(21) 대신에 전면 도체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패턴층(24)은 ITO 시트로 구성되어 있고, 표면 저항율(시트 저항)을 1[Ω/□]에서 30[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Ω/□]에서 25[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최적의 패턴은 그 표면 저항율에 따라 변화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전파 흡수체의 평면도이며, 패턴층(2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턴층(24)은, PET 기판(23)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루프 패턴(201, 202, 203)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각 루프 패턴(201, 202, 203)은 ITO로 이루어지고, PET 기판(23)의 상면에 주기적으로(즉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루프 패턴(201, 202, 20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형상이 상이하게 되어 있고, 중심 루프 길이 C1, C2, C3, 선로폭 W1, W2, W3의 정사각형 루프로 되어 있다. 인접하는 루프 패턴(201, 202, 203)의 중심 점끼리는, 중심 간격 D1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루프 패턴(203)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형상의 선로에 돌기 형상의 선형 패턴(오픈 스터브)(203a)을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오픈 스터브(203a)는, 정사각형 루프의 일부의 정점에 부가되어 있고, 선폭 2.0mm, 길이 2.4mm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그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이 정사각형 루프의 한 변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되어 있다.
이들 루프 패턴(201, 202, 203)을 가지는 패턴층(24)은, 표면에 ITO막이 형성된 PET 기판(23)에 대하여,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염화 제2 철과 염산의 에칭액에 의해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체의 특성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 그 입사각 15도로부터 45도의 범위의 반사 감쇠량의 측정 평가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로부터,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입사 각도가 변화되어도 20[dB] 이상의 감쇠 특성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폭을 유효 흡수 대역이라고 정의한 경우,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기 때문에, 대략 300[MHz]의 유효 흡수 대역을 가지고 광대역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비교로부터, 패턴층의 표면 저항율이나 패턴 사이즈 및 도체층의 상위에 따라 유전체층의 두께의 최적값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제2 유전체층 A로서의 PET 기판(31) 상에 도전성 은페이스트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한 격자형 도체층(32)과, 제1 유전체층 A를 이루는 3.2mm 두께의 PC 기판(33)과, 제1 유전체층 B를 이루는 O.1mm 두께의 PET 기판(34)과, 10[Ω/□]의 표면 저항율(시트 저항)을 가지는 ITO로 형성된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루프 패턴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패턴층(35)과, 제2 유전체층 B로서의 0.3mm 두께의 PC 기판(36)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격자형 도체층(32)은, 선폭 약 100㎛, 선로 중심 간격 1.4mm로 형성되어 있고, 전파를 전체반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또 여기서, 패턴층(35)에 있어서의 루프 패턴은, 복수개의 형상이 상이한 루프 패턴의 집합체를 1개의 유닛으로 하여 상기 유닛 간의 스페이스를 소정 간격 D2로 배치한 대면적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전파 흡수체의 평면도이며, 패턴층(35)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턴층(35)은, PET 기판(3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루프 패턴(301, 302, 303)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각 루프 패턴(301, 302, 303)은 ITO로 이루어지고, PET 기판(34)의 상면에 주기적으로(즉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루프 패턴(301, 302, 303)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형상이 상이하게 되어 있고, 중심 루프 길이 C1, C2, C3, 선로폭 W1, W2, W3의 정사각형 루프로 되어 있다. 인접하는 루프 패턴(301, 302, 303)의 중심점끼리는, 중심 간격 D1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루프 패턴(303)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형상의 선로에 돌기 형상의 선형 패턴(오픈 스터브)(303a)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오픈 스터브(303a)는, 정사각형 루프의 일부의 정점에 부가되어 있고, 선폭 2.0mm, 길이 2.4mm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그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이 정사각형 루프의 한 변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체의 제작 방법 및 그 특성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 그 입사각 15도 내지 45도 범위의 반사 감쇠량의 측정 평가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로부터,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입사 각도가 변화되어도 20[dB] 이상의 감쇠 특성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폭을 유효 흡수 대역이라고 정의한 경우,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기 때문에 300[MHz]의 유효 흡수 대역을 가지고 광대역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제3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비교로부터, 패턴층의 패턴 사이즈의 차이에 의해 유전체층의 두께의 최적값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방법에 의한 대면적화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전파 흡수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제2 유전체층 A로서의 PET 기판(41) 상에 10[Ω/□]의 표면 저항율(시트 저항)을 가지는 ITO로 형성된 투명 도체층(42)과, 제1 유전체층 A를 이루는 3.7mm 두께의 PC 기판(43)과, 제1 유전체층 B를 이루는 0.1mm 두께의 PET 기판(44)과, 10[Ω/□]의 시트 저항을 가지는 ITO로 형성된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루프 패턴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패턴층(45)과, 제2 유전체층 B로서의 0.3mm 두께의 PC 기판(46)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 도체층(42)은 전파를 전체반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전파 흡수체의 평면도이며, 패턴층(45)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턴층(45)은, PET 기판(44)의 상면에 ITO로 형성된 복수개의 루프 패턴(401, 402, 403)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고, 주기적으로(즉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루프 패턴(403)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형상의 선로에 오픈 스터브(403a)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패턴층(45)의 루프 패턴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턴층(35)의 루프 패턴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파 흡수체의 제작 방법 및 그 특성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 그 입사각 15도 내지 45도의 범위에서 반사 감쇠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로부터,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입사 각도가 변화되어도 20[dB] 이상의 감쇠 특성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폭을 유효 흡수 대역이라고 정의한 경우, 입사 각도에 대한 특 성 변동이 적기 때문에 300[MHz]의 유효 흡수 대역을 가지고 광대역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제4 실시예, 제3 실시예의 비교로부터, 반사판으로서 기능하는 도체층의 상위에 따라 유전체층의 두께의 최적값이나 특성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다음에, 종래의 전파 흡수체(비교예 1)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종래의 전파 흡수체(비교예 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는, 18㎛ 두께의 동박으로 형성된 전면 도체층(51)과, 제1 유전체층을 이루는 0.9mm 두께의 EPT(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층(52)과, 손실층을 이루는 0.9mm 두께의 페라이트 분산 수지층(53)과, 제2 유전체층을 이루는 1.8mm 두께의 EPT층(54)와 18㎛ 두께의 동박으로 형성되어 주기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원형 패치 패턴(501)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층(55)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전파 흡수체는 제1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제1 유전체층으로서 EPT와 비중이 큰 자성 손실재료를 분산한 수지 기판의 적층체를 사용하고, 또한 패턴층(14)에 있어서의 각 루프 패턴(101, 102, 103)을, 동일 형상 및 동일한 크기의 원형 패치 패턴(501)으로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종래의 전파 흡수체의 평면도이며, 패턴층(55)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턴층(55)은, 제2 유전체층을 이루는 EPT층(5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원형 패치 패턴(501)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각 원형 패치 패턴(501)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사이즈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원형 패치 패턴(501)은, 18㎛ 두께의 동박으로 이루어지고, 직경 d1의 원형 패치 패턴으로 되어 있고, 동일 사이즈의 원형 패치 패턴 각각이 중심 간격 D1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의 제작 방법 및 그 특성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이같이 하여 반사 감쇠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는,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크기 때문에, 결과로서 유효 대역폭이 좁게 되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종래의 전파 흡수체와 비교하여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은 전파 흡수체로 되고, 따라서, ETC 시스템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파 흡수체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질 수가 있다.
(비교예 2)
다음에, 종래의 λ/4형 전파 흡수체(비교예 2)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종래의 λ/4형 전파 흡수체(비교예 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는, 표면 저항율(시트 저항)이 10[Ω/□]의 저저항 ITO층(61)과, 유전체층로서의 8.1mm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62)과, 표면 저항 율(시트 저항)이 370[Ω/□]의 고저항 ITO층(63)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는, 도전성 패턴층을 가지고 있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의 특성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이같이 하여 반사 감쇠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종래의 λ/4형 전파 흡수체는,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크기 때문에, 결과로서 유효 대역폭이 좁게 되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종래의 전파 흡수체와 비교하여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은 전파 흡수체로 되고, 따라서, ETC 시스템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파 흡수체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질 수가 있다.
(비교예 3)
다음에, 종래의 전파 흡수체(비교예 3)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종래의 전파 흡수체(비교예 3)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는, 18㎛ 두께의 동박으로 형성된 도체층(71)과, 제1 유전체층 A를 이루는 0.8mm 두께의 PC 기판(72)과, 제1 유전체층 B를 이루는 0.3mm 두께의 BT 기판(73)과, 동박으로 형성된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루프 패턴이 주기적으 로 배치되어 있는 패턴층(74)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전파 흡수체의 평면도이며, 패턴층(7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턴층(74)은, BT 기판(13)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루프 패턴(701)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정사각형 루프 패턴(7O1)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사이즈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정사각형 루프 패턴(701)은, 18㎛ 두께의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중심 루프 길이 C1, 선로폭 W1의 정사각형 루프로 되어 있고, 동일 사이즈의 정사각형 루프 패턴 각각이 중심 간격 D1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전파 흡수체의 제작 방법 및 그 특성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이같이 하여 반사 감쇠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20에 나타낸다.
도 2O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3의 전파 흡수체는, 입사 각도에 대한 주파수 변동이 적은 감쇠 특성이 변동되고, 또 매우 대역폭이 좁게 되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는, 종래의 전파 흡수체와 비교하여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입사 각도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은 전파 흡수체로 되고, 따라서, ETC 시스템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파 흡수체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질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의 패턴층(14, 24, 35, 45)의 루프 패턴(101, 102, 103, 201, 202, 203, 301, 302, 303, 401, 402, 403)은, 사각형 루프 패턴이지만, 원형 루프 패턴이나 사각형 패치 등 다른 형상의 패턴이라도 된다. 또, 루프 패턴(101, 102, 103, 201, 202, 203, 301, 302, 303, 401, 402, 403)은, 폐루프라도 되고, 일부가 중단된 개루프라도 된다.
삭제
삭제
또한,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 모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유전체 재료로 되어 있고, 패턴층에 사용하는 도전체도 광학적으로 투명한 ITO 재료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패턴층에 있어서의 패턴을 격자형 도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전체적으로 투명한 전파 흡수체를 구성할 수 있고, 미관이 우수한 전파 흡수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를 ETC 시스템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ETC 시스템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루프 패턴의 형상, 크기, 배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각 층의 두께, 표면 저항율, 구성 재료 등을 조정함으로써,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파의 주파수 및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종래의 λ/4형 투명 전파 흡수체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투명 전파 흡수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파의 반사 등에 의한 통신 장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인 반사 감쇠 능력을 가지고, 종래의 전파 흡수체보다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광대역에서 전파의 입사각에 대한 특성 변동이 적은 감쇠 특성을 가지는 전파 흡수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도체(導體)로 이루어지는 전면(全面) 도체층과, 1층 또는 다층의 유전체(誘電體)로 이루어지는 제1 유전체층과, 도체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복수개 가지는 패턴층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턴층에 있어서의 패턴은, 루프(loop) 형상을 한 루프 패턴, 또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패치(patch)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층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상기 루프 패턴, 또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패치(patch) 패턴은, 패턴의 일부에 돌기 형상을 가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패턴층에 있어서의 각 패턴은, 인접하는 다른 패턴에 대하여, 크기와 형상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하며,
    상기 패턴을 구성하는 도체의 표면 저항율은 1[Ω/□]에서 30[Ω/□]의 범위 내에 있는,
    전파 흡수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에 있어서의 패턴은 루프 형상을 한 루프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프 패턴은 상기 루프 패턴의 중심선에서의 길이인 중심선 길이에 대하여 5퍼센트 내지 25퍼센트 값의 선폭(線幅)을 가지는 형상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프 패턴의 중심선 길이는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 실효 파장(λg)의 60퍼센트 내지 140퍼센트의 길이이며,
    상기 패턴층에 있어서의 임의의 1개의 루프 패턴과 상기 루프 패턴에 인접하는 다른 루프 패턴은 상기 중심선 길이 또는 형상이 상이한, 전파 흡수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에 있어서의 상기 루프 패턴이나 패치 패턴은 복수개의 형상 또는 크기가 상이한 루프 패턴이나 패치 패턴의 집합체를 1개의 유닛으로 하여, 상기 유닛 간의 스페이스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것으로 되어 있는, 전파 흡수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도체층 및 패턴층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 측에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한 구성을 가지는, 전파 흡수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도체층은 표면 저항율이 30[Ω/□] 이하의 저저항 도체층으로 되어 있는, 전파 흡수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도체층은 격자형의 패턴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격자형 도체층인, 전파 흡수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도체층은 선로폭 100㎛ 이하이며, 선로 중심 간격이 흡수 대상으로 하는 전자파의 실효 파장(λg)의 1/16 이하인, 전파 흡수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도체층 및 패턴층에 사용하는 도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전체층 및 제2 유전체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파 흡수체.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도체층은, 격자형의 패턴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격자형 도체층이며, 상기 패턴층에 사용하는 도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전체층 및 제2 유전체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파 흡수체.
KR1020077006472A 2004-09-06 2005-08-31 전파 흡수체 KR101253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8182A JP4461970B2 (ja) 2004-09-06 2004-09-06 電波吸収体
JPJP-P-2004-00258182 2004-09-06
PCT/JP2005/015865 WO2006027978A1 (ja) 2004-09-06 2005-08-31 電波吸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936A KR20070046936A (ko) 2007-05-03
KR101253688B1 true KR101253688B1 (ko) 2013-04-11

Family

ID=3603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472A KR101253688B1 (ko) 2004-09-06 2005-08-31 전파 흡수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77664B2 (ko)
EP (2) EP2081423A3 (ko)
JP (1) JP4461970B2 (ko)
KR (1) KR101253688B1 (ko)
CN (1) CN100471377C (ko)
TW (1) TWI372597B (ko)
WO (1) WO2006027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1970B2 (ja) 2004-09-06 2010-05-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電波吸収体
WO2007046527A1 (ja) * 2005-10-21 2007-04-26 Nitta Corporation 通信改善用シート体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情報伝達装置
KR100971931B1 (ko) * 2008-03-19 2010-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KR101042601B1 (ko) * 2008-05-14 2011-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항성 재질을 이용한 공진형 전자파 흡수체
GB0811493D0 (en) * 2008-06-21 2008-07-30 Qinetiq Ltd Radio Frequency absorption
JP5222634B2 (ja) * 2008-06-23 2013-06-26 藤森工業株式会社 周波数選択型の電磁波シールド材を用いた電磁波吸収体
FR2936906B1 (fr) * 2008-10-07 2011-11-25 Thales Sa Reseau reflecteur a arrangement optimise et antenne comportant un tel reseau reflecteur
KR20100072383A (ko)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체를 구비한 운송수단 용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운송용 장치, 건물형 구조물, 전자기기, 전자파 무반사실
GB0919198D0 (en) 2009-11-02 2009-12-16 Qinetiq Ltd Wind turbine blades
FR2967306B1 (fr) 2010-11-05 2019-06-07 Christian Lhomme Tissu absorbant les ondes electromagnetiques
GB201112740D0 (en) 2011-07-25 2011-09-07 Qinetiq Ltd Radiation absorption
WO2014071866A1 (zh) 2012-11-09 2014-05-15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反射阵面及反射阵列天线
CN102983404B (zh) * 2012-11-09 2013-10-30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调制电磁波辐射方向图的器件及天线
CN104334006A (zh) * 2013-07-22 2015-02-04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超材料和设备
CN103715513B (zh) * 2014-01-17 2016-03-30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基于亚波长金属结构的宽频吸波材料
KR101587251B1 (ko) * 2014-11-25 2016-01-2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사각에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전자파 흡수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938217B2 (ja) * 2017-05-19 2021-09-22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アンテナ装置及びレーダ装置
JP7321484B2 (ja) * 2018-07-04 2023-08-07 地方独立行政法人東京都立産業技術研究センター 電波吸収構造
CN109121376A (zh) * 2018-10-10 2019-01-01 深圳市友华通信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防干扰方法及防干扰电子设备
JP2020150221A (ja) * 2019-03-15 2020-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波吸収体及び電波吸収体用キット
JP2021163794A (ja) * 2020-03-30 2021-10-11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波吸収体
KR102407881B1 (ko) * 2020-09-25 2022-06-13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광대역 메타물질 흡수체
KR102391842B1 (ko) * 2021-01-20 2022-04-29 한국과학기술원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 주파수 가변 전자기파 흡수체
CN113904125B (zh) * 2021-10-12 2023-03-07 南京大学 基于Non-foster有源结构的三维超宽带双极化吸波器
JP2024048902A (ja) * 2022-09-28 2024-04-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波反射装置
CN115674819B (zh) * 2023-01-03 2023-07-21 湖南博翔新材料有限公司 一种宽带吸波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787A (ja) * 1992-10-27 1994-05-20 Kansai Paint Co Ltd 電波反射防止体および電波反射防止法
JPH11330775A (ja) * 1998-05-18 1999-11-30 Kansai Paint Co Ltd 透明性を有する積層型電波反射防止体及び電波反射防止方法
JP2002246786A (ja) * 2001-02-19 2002-08-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波吸収体
JP2004063719A (ja) * 2002-07-29 2004-02-26 Toppa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型電磁波吸収体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012A (en) 1984-11-15 1986-11-04 Gunter Pusch Camouflage net having a semiconductive layer
US5561428A (en) * 1985-02-12 1996-10-01 General Atomics Electromagnetic radiation absorb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728980A (en) 1985-08-05 1988-03-0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ing device and automatic exposure control device
US4726980A (en) 1986-03-18 1988-02-23 Nippon Carbon Co., Ltd.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s of silicon carbide fibers
US5223849A (en) 1986-11-25 1993-06-29 Chomerics, Inc. Broadband electromagnetic energy absorber
US5576710A (en) 1986-11-25 1996-11-19 Chomerics, Inc. Electromagnetic energy absorber
US4948922A (en) * 1988-09-15 1990-08-14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absorptive materials
GB9115970D0 (en) 1991-07-24 1999-08-11 Secr Defence Brit Frequency selective radar absorbent structure
JPH05335832A (ja) 1991-12-24 1993-12-17 Tdk Corp 電波吸収体
JP3209453B2 (ja) 1992-07-22 2001-09-17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電波反射防止体および電波反射防止方法
JPH0685532A (ja) 1992-09-04 1994-03-25 Bridgestone Corp 電波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455116A (en) 1992-10-27 1995-10-03 Kansai Paint Co., Ltd.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on-preventing material and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on-preventing method
US5358787A (en) * 1992-12-30 1994-10-2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RF absorptive window
JP3076473B2 (ja) 1993-02-17 2000-08-1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積層型電波反射防止体及び電波反射防止方法
WO1994024724A1 (en) 1993-04-09 1994-10-27 Chomerics, Inc. Broadband electromagnetic energy absorber
US5668663A (en)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JP3030453B2 (ja) 1995-12-27 2000-04-10 道晴 高橋 広帯域電波吸収体
JPH1051180A (ja) 1996-04-05 1998-02-20 Nisshinbo Ind Inc 電波吸収体
US5885692A (en) 1996-04-05 1999-03-23 Nisshinbo Industries, Inc. Wave absorber
TW445380B (en) 1996-10-23 2001-07-11 Sumitomo Chemical Co Plasma display front panel
WO1998031072A1 (en) 1997-01-13 1998-07-16 Symetrix Corporatio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panels and materials for same
JPH11163585A (ja) 1997-11-27 1999-06-18 Tokin Corp 電磁波制御板
US6207003B1 (en) 1998-02-03 2001-03-27 Scaled Composites, Inc. Fabrication of structure having structural layers and layers of controllable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JP2000068677A (ja) 1998-08-22 2000-03-03 Toso Co Ltd 選択性電磁遮蔽スクリーン
JP3942326B2 (ja) 1999-04-22 2007-07-11 株式会社クレハ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790892B2 (ja) 2000-04-27 2011-10-1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電波吸収体
JP4505948B2 (ja) 2000-05-30 2010-07-21 凸版印刷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ルーム
JP2001352191A (ja) 2000-06-05 2001-12-21 Nippon Paint Co Ltd 電磁波吸収体
JP4474759B2 (ja) 2000-09-05 2010-06-09 凸版印刷株式会社 複数の周波数選択性を有する電波遮蔽体
JP2002158484A (ja) 2000-11-21 2002-05-31 Sony Corp 電波吸収体
US7079086B2 (en) * 2001-02-15 2006-07-18 Integral Technologies, Inc. Low cost electromagnetic field absorbing devices manufactured from conductive loaded resin-based materials
JP2002314284A (ja) 2001-04-16 2002-10-25 Yokohama Rubber Co Ltd:The 電波吸収体
JP2002329995A (ja) 2001-05-07 2002-11-15 Shin Etsu Chem Co Ltd 電磁波吸収体
JP2002368479A (ja) 2001-06-12 2002-12-20 Toppan Printing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DE10132699A1 (de) 2001-07-05 2003-01-16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Anzeigevorrichtung mit optischem Filter
JP4857500B2 (ja) 2001-08-30 2012-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電波吸収体
JP4547849B2 (ja) 2001-12-10 2010-09-22 洋司 小塚 電波吸収体の特性変更方法
JP2003209388A (ja) 2002-01-17 2003-07-25 Denki Kagaku Kogyo Kk 積層体
JP2003258483A (ja) 2002-02-28 2003-09-12 Toppan Printing Co Ltd 電磁波シールド転写材及び電磁波シールド材
US20040021597A1 (en) 2002-05-07 2004-02-05 Dvorak George J. Optimization of electromagnetic absorption in laminated composite plates
WO2004009352A1 (ja) 2002-07-24 2004-01-29 Tdk Corporation 機能性層を有する転写用機能性フィルム、その機能性層が付与された物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94750A1 (en) 2002-11-19 2004-05-20 Soemantri Widagdo Highly filled composite containing resin and filler
JP2004181964A (ja) 2002-12-02 2004-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ヘッドの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89612A1 (en) 2003-03-27 2004-09-30 Bottari Frank J. Touch sensor using light control
JP2004356325A (ja) 2003-05-28 2004-12-16 Nitta Ind Corp 電磁波吸収体
JP2005079247A (ja) 2003-08-29 2005-03-24 Toppan Printing Co Ltd 電波吸収体
EP1720396A4 (en) * 2004-02-27 2007-12-26 Mitsubishi Gas Chemical Co RADIO WAVES ABSORBENT AND RADIO WAVES ABSORBENT PRODUCTION METHOD
JP4461970B2 (ja) 2004-09-06 2010-05-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電波吸収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787A (ja) * 1992-10-27 1994-05-20 Kansai Paint Co Ltd 電波反射防止体および電波反射防止法
JPH11330775A (ja) * 1998-05-18 1999-11-30 Kansai Paint Co Ltd 透明性を有する積層型電波反射防止体及び電波反射防止方法
JP2002246786A (ja) * 2001-02-19 2002-08-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波吸収体
JP2004063719A (ja) * 2002-07-29 2004-02-26 Toppa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型電磁波吸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4035A (en) 2006-07-01
TWI372597B (en) 2012-09-11
CN101010999A (zh) 2007-08-01
US20070247349A1 (en) 2007-10-25
JP2006073924A (ja) 2006-03-16
EP2081423A3 (en) 2009-10-21
EP1796450A4 (en) 2007-12-12
CN100471377C (zh) 2009-03-18
JP4461970B2 (ja) 2010-05-12
US7777664B2 (en) 2010-08-17
EP1796450A1 (en) 2007-06-13
KR20070046936A (ko) 2007-05-03
WO2006027978A1 (ja) 2006-03-16
EP2081423A2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688B1 (ko) 전파 흡수체
KR101109530B1 (ko) 전파 흡수체 및 전파 흡수체의 제조 방법
KR20060136453A (ko) 전파 흡수체 및 전파 흡수체의 제조 방법
Sheokand et al. An optically transparent broadband microwave absorber using interdigital capacitance
Bakshi et al.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based reconfigurable rasorber with switchable transmission/reflection band
Sheokand et al. Transparent broadband metamaterial absorber based on resistive films
Sharma et al. A polarization-insensitive band-notched absorber for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Kiani et al. A novel absorb/transmit FSS for secure indoor wireless networks with reduced multipath fading
JP2007073662A (ja) 電波吸収体
Ghosh et al. A miniaturized bandpass frequency selective surface exploit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ique
JP2005244043A (ja) 電波吸収体
JP4375227B2 (ja) 電波吸収体および電波吸収体の製造方法
CN114204279A (zh) 一种电阻加载方形环超宽带吸波结构
Kiani et al. Frequency selective surface absorber using resistive cross-dipoles
JPH09148782A (ja) 透明電磁波吸収シールド材
JP4461974B2 (ja) 電波吸収体
CN110600885A (zh) 一种具有吸收-反射-吸收特性的频率选择表面
Kantikar et al. Resistive FSS based radar absorbing structure for broadband applications
JP4534797B2 (ja) 電波吸収体および電波吸収体の製造方法
Abdulhakim et al. A novel polarization independent wideband circuit analog absorber using crossed loops
Abdin et al. A novel dual-ban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absorber
JP2003124673A (ja) 電磁波シールド性を有するフィルム
Vardaxoglou et al. Miniaturisation schemes for metallodielectric electromagnetic bandgap structures
CN215579081U (zh) 一种具有陷波带的单层宽带频率选择吸波体
US20240145931A1 (en) Metamaterial structure, metamaterial-type transparent heater, and radar apparatus using metamaterial-type transparent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12

Effective date: 201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