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27B1 - 자동거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거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27B1
KR101244827B1 KR1020060053782A KR20060053782A KR101244827B1 KR 101244827 B1 KR101244827 B1 KR 101244827B1 KR 1020060053782 A KR1020060053782 A KR 1020060053782A KR 20060053782 A KR20060053782 A KR 20060053782A KR 101244827 B1 KR101244827 B1 KR 10124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oreign
return
bankno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961A (ko
Inventor
아쓰시 타카다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이물질을 담당자가 회수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객에 있어서 회수되어서는 곤란한 이물질이 이물질 받이 수단에 낙하했을 때에, 고객이 그 이물질을 줍기 위해 지폐 수용부에 손을 넣어서 지폐 수용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수단을 제공한다. 투입된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 수용부와, 상기 지폐 수용부에 지폐를 올려놓음과 동시에, 이물질을 분리하는 수용 바닥부와, 분리한 이물질을 반환하는 이물질 반환부와, 분리한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 트레이와, 상기 수용 바닥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이물질 반환부와 상기 회수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집적하고,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반환부 또는 상기 회수 트레이로 배분하는 이물질 배분기구와,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일시 집적한 이물질을 촬영가능한 카메라부와,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집적한 이물질의 유무를 검지하는 이물질 검지수단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한 상기 이물질의 화상과, 상기 화상에 비치는 이물질의 반환의 필요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의 반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의해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반환부로 반송하고, 상기 이물질의 반환은 불필요하다라고 했을 경우에,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의해 상기 이물질을 상기 회수 트레이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 반환부, 배분기구, 회수 트레이

Description

자동거래 장치{AUTOMATIC TELLER MACHINE}
도 1은 실시예 1의 현금 자동 인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현금 자동 인출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실시예 1의 지폐 취급부의 개략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의 지폐 수용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현금 자동 인출기의 이물질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7은 실시예 2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2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2의 지폐 수용부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
도 10은 실시예 2의 반송 벨트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
도 11은 실시예 2의 현금 자동 인출기의 이물질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12는 지폐가 수용된 지폐 수용부를 나타내는 화상
도 13은 반송 벨트에 이물질이 집적한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
도 14는 실시예 2의 이물질 처리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3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금 자동 인출기(자동거래 장치) 2 : 표시부
3 : 입력부 5 : 제어부
6 : 기억부 7 : 카드 취급부
7a : 카드 삽입구 8 : 레시트 취급부
8a : 레시트 발행구 9 : 지폐 취급부
10 : 화상 해석부(이물질 검지수단) 12 : 지폐 투입구 셔터부
13 : 케이싱 셔터 14 : 수용부 셔터
14a, 14b : 문 15 : 지폐 수용부
15a : 수용 바닥부 16 : 둥근 막대(지지 막대)
19 : 검지 센서 20 : 분리 롤러
21 : 빌 프레스 22 : 반송로
23 : 감별부 24 : 일시 보관부
25 : 금종별 카세트부 26 : 이물질 일시 집적부
27 : 측면판
28 : 반송 벨트(이물질 배분기구) 29 : 모터
30 : 이물질 반송로 31 : 이물질 반환부
31a : 반환구 32 : 회수 트레이
35 : 카메라부 36 : 조명부
50 : 차폐 기구 50a, 50b : 경사판
60 : 경사 가동판 (이물질 배분기구) 60a : 회전지점
61 : 스텝핑 모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입금된 지폐를 1장 마다 분리 반송하여 처리하는 현금 자동 인출기 등의 자동거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현금 자동 인출기는, 동전이나 클립 등의 이물질이 혼입한 지폐가 지폐 수용부에 투입되었을 때, 지폐 수용부의 수용 바닥부의 개구부로부터 이물질을 낙하시킴으로써 이물질을 분리하고, 지폐 수용부의 아래쪽에 설치한 이물질 받이 수단에 집적시켜, 집적한 이물질을 회수할 때는 담당자가 이물질 받이 수단을 외부로 꺼내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54255호 공보(제3쪽 단락 0016 - 제3쪽 단락 0018, 제2도)
[발명의 개시]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이물질 받이 수단에 낙하한 이물질을 담당자가 회수하고 있기 때문에, 고객이 지폐 수용부에 지폐와 함께 동전 등의 회수되어서는 곤란한 이물질을 투입하게 되어, 그 이물질이 이물질 받이 수단에 낙하했을 경우에, 고객이 떨어진 이물질을 줍기 위해서 지폐 수용부의 수용 바닥부의 개구부에 억지로 손을 넣는 것으로 지폐 수용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반 현금 자동 인출기 안에는, 이물질 받이 수단에 낙하한 이물질을 모두 이물질 반환부로 반송하여 집적함으로써 고객에게 반환하고 있는 것도 있다.
이 경우에, 반환된 이물질이 고객에 있어서 불필요한 것일 때는, 고객은 반환된 이물질을 수취하지 않고 그대로 이물질 반환부에 방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방치된 이물질이 이물질 반환부에 잔류하면 이물질 반환부 안이 이물질로 가득차서 이물질 반환부가 막히게 되어, 이물질의 반환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이물질을 담당자가 회수할 경우에 있어서, 고객에 있어서 회수되어서는 곤란한 이물질이 이물질 받이 수단에 낙하했을 때, 고객이 그 이물질을 줍기 위해서 지폐 수용부에 억지로 손을 넣지 않는 이물질 반환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을 이물질 반환부로 반송하여 고객에게 반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객이 방치한 이물질로 이물질 반환부가 가득차져서, 이물질의 반환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입된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 수용부와, 상기 지폐 수용부에 지폐를 올려 놓음과 동시에 이물질을 분리하는 수용 바닥부와, 분리한 이물질을 반환하는 이물질 반환부와, 분리한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 트레이와, 상기 수용 바닥부의 아래쪽에, 상기 이물질 반환부와 상기 회수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집적하고,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반환부 혹은 상기 회수 트레이로 배분하는 이물질 배분기구와,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일시 집적한 이물질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부와,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집적한 이물건의 유무를 검지하는 이물질 검지수단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한 상기 이물질의 화상과, 상기 화상에 찍히는 이물질의 반환의 필요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의 반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의해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반환부로 반송하고, 상기 이물질의 반환은 불필요하다라고 했을 경우에,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의해 상기 이물질을 상기 회수 트레이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거래 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현금 자동 인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현금 자동 인출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실시예 1의 지폐 취급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은 실시예 1의 지폐 수용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자동거래 장치로서의 현금 자동 인출기이다.
부호 2는 LCD등의 표시부이며, 거래 선택 화면이나 각종의 입력 화면, 고객의 처치를 촉구하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
부호 3은 입력부이며, 숫자 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고객의 비밀번호나 입출금 금액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5는 현금 자동 인출기(1)의 제어부이며, 현금 자동 인출기(1)의 각부를 제어한다.
부호 6은 기억부이며, 제어부(5)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그것에 사용하는 각종의 데이터 및 제어부(5)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을 격납한다.
또한 기억부(6)는 고객과의 거래가 정상적으로 행해진 후에, 고객의 구좌번호와 거래명, 거래 금액, 제어부(5)의 타이머 기능으로부터 인식한 거래 시간 등의 거래이력 정보를 기억한다.
부호 7은 카드 취급부이며, 카드 삽입구(7a)에 삽입된 고객의 캐시카드 등의 거래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카드 정보를 읽고 쓰는 기능을 가진다.
부호 8은 레시트 취급부이며, 고객과의 거래 결과를 거래 명세표에 인쇄해서 레시트 발행구(8a)로부터 발행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부호 9는 지폐 취급부이며, 현금 자동 인출기(1)에 투입된 지폐를 받아들이거나, 출금할 현금을 내보내는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부호 10은 이물질 검지수단으로서의 화상 해석부이며, 후술하는 카메라부(35)로 촬영한 화상을 기초로 이물질의 유무를 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에 있어서, 12는 지폐 투입구 셔터부이며, 현금 자동 인출기(1)의 케이싱(1a)에 설치한 케이싱 셔터(13)와, 지폐 수용부(15)의 위쪽에 설치되고, 지폐 수용부(15)에 세운 상태로 수용된 지폐 P 면의 연직방향으로 개폐하는 양쪽 개방 문(14a,14b)을 가지는 슬라이드식의 수용부 셔터(14)에 의해 구성된다.
지폐 수용부(15)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운 상태로 수용된 지폐 P 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이물질을 분리하는 소정의 간격, 예를 들면 유통하고 있는 큰 동전의 직경이 통과할 정도의 간격을 벌려 지지 막대로서의 둥근 막대(16)를 나열한 수용 바닥부(15a)를 구비하고, 고객이 투입한 지폐 P 및 출금 거래로 내 보내는 지폐 P를 세운 상태로 둥근 막대(16)위에 올려 놓음과 동시에, 지폐 P에 잘못하고 투입된 클립이나 동전 등의 이물질이 둥근 막대(16)사이의 간격으로부터 낙하시켜서 분리하고,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후술하는 반송 벨트(28)위에 집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19는 검지 센서로, 광학식 등의 센서이며, 지폐 수용부(25)안의 지폐 P의 유무를 검지한다.
부호 20은 분리 롤러이며, 지폐 P의 반송로(22)의 최상류에 배치되어, 지폐 수용부(25)안에서 대향배치된 빌 프레스(21) 사이에 지폐 P가 수용된 지폐 P를 빌 프레스(21)에 의해 분리 롤러(20)로 눌러 분리 롤러(20)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장씩 분리해서 반송로(22)로 내 보낸다.
반송로(22)는, 대향배치된 롤러 또는 벨트 등에 의해 구성되며, 지폐 P를 끼워 반송한다.
부호 23은 감별부이며, 지폐 수용부(15)로부터 반송로(22)에 의해 반송된 지폐 P의 진위, 정손(正損), 금종 등을 감별한다.
24는 일시 보관부이며, 감별부(23)에서 감별된 지폐 P를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부호 25는 금종별 카세트부이며, 감별부(23)에서 감별된 지폐 P를 설정된 금종마다 집적한다.
도 5에 있어서, 부호 26은 이물질 일시 집적부이며, 이물질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측면판(27)과,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집적하여 배분하는 이물질 배분기구로서의 반송 벨트(28)로 구성되고, 측면판(27)과 반송 벨트(28) 사이에는 이물질로서의 동전이 세로 방향으로 떨어졌을 때 그대로 반송 벨트(28)위를 굴러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진다.
반송 벨트(28)는, 모터(29)에 의해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고객이 이물질을 필요로 하여 고객에게 이물질을 반환할 때는 도 4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해서 이물질을 이물질 반송로(30)를 통해 이물질 반환부(31)에 반송하고, 고객이 이물질을 불필요로 하여 이물질을 파기할 때는 도 4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해서 이물질을 회수 트레이(32)에 반송한다.
이물질 반송로(30)는, 반송 벨트(28)와 이물질 반환부(31) 사이에서 반송 벨트(28)로부터 반송된 이물질이 이물질 반환부(31)로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다.
이물질 반환부(31)는, 고객에게 반환할 이물질을 집적하고, 집적한 이물질을 고객이 외부로 꺼내기 위한 반환구(31a)를 가지고 있다.
회수 트레이(32)는, 고객이 불필요로 한 이물질을 집적하여 회수하기 위한 트레이이며, 지폐 수용부(15)에 지폐 P를 투입하고 있는 고객이 볼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현금 자동 인출기(1)에 장착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35는 카메라부이며, 반송 벨트(28)위에 집적한 이물질을 촬영하기 위해서 반송 벨트(28)의 윗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36은 조명부이며, 카메라부(35)의 근방에 설치되어, 카메라부(35)가 촬영하는 반송 벨트(28)의 윗면에 빛을 맞추는 조명이다.
상기의 현금 자동 인출기(1)의 기억부(6)에는, 미리 카메라부(35)로 이물질이 위에 놓여 있지 않은 상태의 반송 벨트(28)를 촬영한 화상, 즉 초기 화상을 격납한다. 또한 화상 해석부(10)로 고객과의 거래중에 카메라부(35)가 촬영하고 있는 화상과 초기 화상을 비교함으로써 이물질을 검출했을 때 촬영한 화상을 표시부(2)에 표시하는 이물질 화상표시 처리 프로그램을 가한 거래 처리 실행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5)와 거래 처리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 본 실시 예의 현금 자동 인출기(1)의 하드웨어로서의 각종의 기능 수단이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현금 자동 인출기의 이물질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를 사용하여, S로 나타내는 스텝을 따라 설명한다.
S1, 현금 자동 인출기(1)의 제어부(5)는, 표시부(2)에 거래 선택 화면을 표시하여 대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객은 예입거래의 선택버튼을 선택한다.
S2, 예입거래를 행하는 것을 인식한 제어부(5)는, 표시부(2)에 거래 카드의 삽입을 촉구하는 문언을 표시하고, 고객이 거래 카드를 카드 취급부(7)에 삽입하면, 제어부(2)는 케이싱 셔터(13) 및 수용부 셔터(14)를 열고 동시에, 표시부(2)에 지폐의 투입을 촉구하는 문언을 표시한다. 그리고 고객은 지폐 P를 지폐 수용부(15)에 투입한다.
S3, 고객에 의해 지폐 P가 지폐 수용부(15)에 투입되면, 제어부(5)는 검지 센서(19)에 의해 지폐 P를 검지하고, 지폐 P가 투입된 것을 인식한다.
S4, 제어부(5)는, 타이머 기능에 의해 지폐 P가 투입되고나서 일정 시간 경과한 것을 인식하면 케이싱 셔트(13) 및 수용부 셔터(14)를 닫는다.
S5, 제어부(5)는, 지폐 수용부(15)안의 지폐 P를 빌 프레스(21)로 눌러 분리 롤러(20)를 회전시키고, 지폐 P를 1매씩 분리해서 반송로(22)로 내 보내며, 스텝 S2에서 인식한 예입거래 처리에 관한 동작을 통상 대로 실행하여, 기억부(6)에 거래이력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에서, 지폐 P에 잘못하여 이물질이 지폐 수용부(15)에 투입되었을 경우, 이러한 이물질의 안, 수용 바닥부(15a)까지 떨어진 이물질은 수용 바닥부(15a)의 간격으로부터 낙하됨으로써, 지폐 P로부터 분리되어 반송 벨트(28)에 일시 집적된다.
또한 지폐 P 사이에 끼워져 있는 등으로 바로 수용 바닥부(15a)까지 떨어지지 않은 이물질은, 지폐 P를 빌 프레스(21)로 눌러 분리 롤러(20)에 의해 지폐 P를 1매씩 반송로(22)로 내 보냈을 때 이물질은 반송로(22)로 내 보내지지 않으므로, 수용 바닥부(15a)로부터 낙하하여 반송 벨트(28)에 집적된다.
S6, 제어부(5)는, 모든 지폐 P를 반송로(22)로 내 보냈음을 확인하여, 조명부(36)를 점등하여 이물질 배분기구로서의 반송 벨트(28)에 빛을 대고, 카메라부(35)에 의해 반송 벨트(28)의 촬영을 개시함과 동시에, 기억부(6)에 격납한 초기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해석부(10)에 의해 판독한 초기 화상과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하고 있는 화상을 비교한다.
이때, 지폐 수용부(15)로부터 낙하한 이물질이 반송 벨트(28)에 집적하고 있을 경우에는, 카메라부(35)가 촬영하고 있는 화상에는 이물질이 찍히므로, 반송 벨트(28)에 이물질이 투입되었음을 인식한다.
S7, 이물질 투입을 인식한 제어부(5)는,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한 이물질의 화상과, 예를 들면 「이물질의 혼입이 있었습니다 반환을 희망하실 경우에는 반환 버튼을, 불필요하면 불필요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등의 이물질의 반환의 필요여부를 묻는 문언, 이물질을 반환하기 위한 반환 버튼, 불필요한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 한 불필요 버튼 등을 표시한 이물질 처리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S8, 제어부(5)는, 고객이 입력부(3)에서 불필요 버튼을 누른 것을 인식했을 때는 스텝 S9로 분기하고, 고객이 입력부(3)에서 반환 버튼을 누른 것을 인식했을 때는 스텝 S1O으로 이행한다.
또한, 소정시간이 경과해도 어느 쪽의 버튼도 눌러지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 버튼 및 반환 버튼의 점멸 표시나, 도시하지 않은 음성 스피커에 의한 음성출력 등으로 고객에게 조작을 촉구하도록 한다.
S9, 불필요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물질의 반환이 불필요하다라고 인식한 제어부(5)는, 모터(29)에 의해 반송 벨트(28)를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물질을 회수 트레이(32)에 반송하여 회수하고, 고객에게 거래 카드를 반환하여 고객과의 거래를 종료한다.
S10, 반환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물질의 반환이 필요하다라고 인식한 제어부(5)는, 모터(29)에 의해 반송 벨트(28)를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물질을 이물질 반송로(30)로 반송하고, 반송한 이물질을 이물질 통로(30)로부터 이물질 반환부(31)로 미끄러져 떨어지게 함으로써, 이물질을 이물질 반환부(31)의 반환구(31a)에 반송하여 반환하고, 고객에게 거래 카드를 반환 또는 거래 명세표를 발행해서 거래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6에서 이물질 없음이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S7로부터 스텝 S1O의 이물질 처리는 행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부에서 반송 벨트의 윗 면을 촬영하여 이물질을 인식했을 때에는, 표시부에 이물질 처리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고객에 의한 이물질의 반환의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는, 이물질을 이물질 반환부로 반송하여 고객에게 반환하므로, 고객이 반송 벨트의 윗면에 낙하한 이물질을 줍기 위해서 지폐 수용부에 억지로 손을 넣는 경우가 없어져, 지폐 수용부가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객에 의한 이물질을 불필요로 한다는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는 이물질을 회수 트레이에 반송하여 회수하므로, 고객이 방치한 이물질에 의해 이물질 반환부가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의 반환을 항상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벨트에 의해 이물질을 반드시 이물질 반환부 또는 고객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 회수 트레이로 반송하기 위해서, 고객과의 거래 종료후에는 반송 벨트에 이물질은 남지 않으므로, 현금 자동 인출기의 이물질 배분기구에 집적하고 있는 이물질 안에 섞여있는 동전을 찾아서 꺼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현금 자동 인출기를 이용하는 고객이 지폐 수용부에 억지로 손을 넣어서 지폐 수용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목적을 가진 고객에 의한 현금 자동 인출기의 이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처리 선택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고객에게 이물질이 있음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이물질 반환부에 반환된 이물질을 깜박하고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거래가 정상적으로 행해진 후에, 고객의 구 좌번호와 거래명, 거래 금액, 제어부의 타이머 기능으로부터 인식한 거래 시간 등의 거래이력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화상을 거래이력 정보에 첨가하도록 하면, 반송 벨트에 부전(附箋)등의 점착성이 있는 이물질이 붙은 채로 되었을 경우, 거래이력 정보의 화상으로부터 점착성의 이물질이 어느 고객의 거래로부터 존재하고 있었는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화상을 기억해서 거래이력 정보에 첨가함과 동시에, 이물질 반환부에 집적한 이물질을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물질 반환후에 소정 시간 경과해도 이물질 반환부에 이물질이 남아있음을 인식했을 때, 담당자에게 이물질의 잔류를 알려 기억부에 기억한 거래이력 정보에 이물질을 두고 갔음을 추가로 기억하도록 하면, 고객이 이물질을 집지 않아 이물질 반환부에 이물질이 잔류했을 경우에, 담당자가 거래이력 정보를 참조해서 잔류한 이물질이 어느 고객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실시예 2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2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부(35)는, 지폐 수용부(15)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반송 벨트(28)의 윗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까지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 도 8에 있어서, 50은 차폐 기구이며, 수용 바닥부(15a)와 반송 벨트(28) 사이에 배치한 2장의 경사판(50a, 50b)에 의해 구성되고, 경사판(50a, 50b)은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서로의 간격을 좁히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경사판(50a)의 하부측의 선단과 경사판(50b)의 하부측의 단부의 윗면과의 사이를 이물질이 빠져 나갈 정도의 간격을 설치하도록 대향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고객이 지폐 수용부(15)의 수용 바닥부(15a)의 간격으로부터 반송 벨트(28)를 보려고 들여다봤을 경우에, 차폐 기구(50)에 의해 고객의 시야에서 반송 벨트(28)를 차단하므로, 고객은 반송 벨트(28)에 집적한 이물질을 볼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 2의 기억부(6)는,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한 지폐 P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의 지폐 수용부(15)의 화상, 즉 도 9에 나타내는 지폐 수용부(15)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과,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한 이물질이 위에 실려있지 않은 상태의 반송 벨트(28)의 화상,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반송 벨트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격납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예 2의 현금 자동 인출기의 이물질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SA로 나타내는 스텝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지폐 수용부(15)에 투입된 지폐 P의 투입 상태를 해석하는 기능을 가지는 현금 자동 인출기(1)에 적용하고, 최초로 지폐 수용부(15)안의 지폐 P의 투입 상태를 인식하여 예입거래 처리를 행하고나서, 다음에 본 실시 예의 카메라부(35)에 의한 이물질의 촬영이나 이물질 반환부(31) 또는 회수 트레이(32)로의 이물질의 반송을 행한다.
본 실시예의 스텝 SA1부터 스텝 SA2까지의 동작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1로부터 스텝 S2까지의 동작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SA3, 제어부(5)는, 케이싱 셔터(13) 및 수용부 셔터(14)를 개방한 것을 계기로, 카메라부(35)에 의한 지폐 수용부(15)의 내부의 촬영을 개시함과 동시에, 기억부(6)에 격납한 지폐 수용부(15)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해석부(10)에 의해 판독한 화상을 기초로 하여 카메라부(35)에서 촬영중인 촬영 화상의 해석을 행한다.
SA4, 고객에 의해 지폐 P가 지폐 수용부(15)에 투입되면,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영 화상에 지폐가 비치고, 제어부(5)는 화상 해석부(10)에 의해 촬영 화상 내의 지폐를 인식하여 그 지폐 P의 투입 상태를 해석한다.
SA5, 제어부(5)는, 해석한 투입 상태로부터 비스듬히 투입되고 있는 지폐나, 2장 접힌 지폐 등의 지폐 잼의 원인이 되는 지폐나, 레시트 등의 반송 벨트(28)위로 낙하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이물질을 검지하는 등의 투입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인식했을 때는 스텝 SA6으로 분기하고, 투입 상태에 이상이 없다고 인식했을 때는 스텝 SA7로 이행한다.
SA6, 투입 상태의 이상을 인식한 제어부(5)는, 표시부(2)에 투입된 지폐 P의 투입 상태에 이상이 있거나 또는 이물질이 혼입하고 있음을 통지하는 문언과, 지폐 P의 투입 상태의 수정 및 이물질의 제거를 촉구하는 취지를 표시한 지폐 발취 재투 입 화면을 표시하여, 이 때는 검출 센서(19)에 의해 지폐 P의 발취 검지와 동시에, 스텝 SA3으로 되돌아와서 재차 카메라부(35)에 의한 지폐 수용부(15)의 내부의 촬영을 개시한다.
SA7, 투입 상태에 이상이 없다고 인식한 제어부(5)는, 케이싱 셔터(13) 및 수용부 셔터(14)를 닫는다.
SA8, 제어부(5)는, 지폐 수용부(15)안의 지폐 P를 빌 프레스(21)에 의해 눌러 분리 롤러(20)을 회전시켜서 1매씩 분리해서 반송로(22)로 내 보내고, 스텝 SA2에서 인식한 예입거래 처리에 관한 동작을 통상대로 실행한다.
여기에서, 지폐 P에 잘못하고 이물질이 지폐 수용부(15)에 투입되었을 경우, 이러한 이물질의 안, 수용 바닥부(15a)까지 떨어진 이물질은 수용 바닥부(15a)의 간격으로부터 낙하시킴으로써, 지폐 P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지폐 P 사이에 끼워져 있는 등으로 바로 수용 바닥부(15a)까지 떨어지지 않은 이물질은, 지폐 P를 빌 프레스(21)로 눌러 분리 롤러(20)에 의해 지폐 P를 1매씩 반송로(22)로 내 보냈을 때에 이물질은 반송로(22)로 보내지지 않고 수용 바닥부(15a)로부터 낙하한다.
수용 바닥부(15a)로부터 낙하한 이물질은 경사판(50a)의 하부측의 선단과 경사판(50b)의 하부측의 단부 사이를 미끄러지게 떨어뜨려 반송 벨트(28)의 윗면에 일시 집적된다.
SA9, 제어부(5)는, 조명부(36)를 점등하여 반송 벨트(28)의 윗면에 빛을 맞춤과 동시에, 카메라부(35)를 하강시켜서 반송 벨트(28)의 윗면의 촬영을 개시한 다.
이때, 반송 벨트(28)에는 이물질이 집적하고 있으므로,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하고 있는 화상은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물질이 찍힌 화상이 된다.
SA1O, 제어부(5)는, 기억부(6)에 격납한 반송 벨트(28)의 초기 상태의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해석부(10)에 의해 판독한 초기 상태의 화상과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하고 있는 화상을 비교하고,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하고 있는 화상내의 이물질을 검지함으로써 반송 벨트(28)에 이물질이 집적하고 있음을 인식한다.
SA11, 제어부(5)는, 도 14에 나타내는 카메라부(35)에 의해 촬영한 이물질의 화상과 「이물질의 혼입이 있었습니다 반환을 희망하시는 경우에는 반환 버튼을 눌러 주십시요」라는 이물질 반환의 필요 여부를 묻는 문언, 이물질을 반환하기 위한 반환 버튼, 불필요한 이물질을 파기하기 위한 불필요 버튼을 표시한 이물질 처리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스텝 SA12로부터 스텝 SA14까지의 동작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8부터 S1O까지의 동작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 기구(50)를 반송 벨트(28)와 수용 바닥부(15a) 사이에 설치하여 고객이 수용 바닥부(15a)의 간격으로부터 아래쪽을 보았을 때 고객의 시야로부터 반송 벨트(28)에 집적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해서, 차폐 기구를 반송 벨트와 수용 바닥부 사이에 설치하여 반송 벨트상의 이물질을 고객의 시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서, 지폐를 투입했을 때 반송 벨트에 낙하한 이물질을 본 고객이 그 자리에서 바로 이물질을 꺼내려고 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객이 지폐 수용부에 억지로 손을 넣으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차폐 기구를 2장의 경사판으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고객이 지폐 수용부에서 아래쪽을 보았을 때 반송 벨트에 일시 집적한 이물질을 고객의 시야로부터 차단하도록 배치한 1장의 경사판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예 3]
도 15는 실시예 3의 지폐 수용부 부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부호 60은, 이물질 배분기구로서의 경사 가동판이며, 회전 지점(60a)에 스텝핑 모터(61)가 부착되고, 수용 바닥부(15a)로부터 낙하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집적함과 동시에, 스텝핑 모터(61)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물질 반송로(30)와 대략 동일 선상이 되도록 경사지게 이물질을 이물질 반송로(30)에 미끄러져 떨어뜨리거나, 또는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으로써 일단이 회수 트레이(3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져서 이물질을 회수 트레이(32)에 미끄러지게 떨어뜨려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인 경사 가동판(60)은 수평상태이며, 도시하지 않은 검출 센서에 의해 수평이 되는 위치가 파악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기억부(6)에는, 미리 카메라부(35)에서 이물질이 위에 실려 있 지 않은 상태의 경사 가동판(60)을 촬영한 화상, 즉 초기 화상을 격납하고 있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지폐 수용부(15)에 지폐 P에 잘못하고 투입된 이물질은 지폐 수용부(15)의 수용 바닥부(15a)로부터 낙하하고, 지폐 P로부터 분리되어서 경사판(50a)의 하부측의 선단과 경사판(50b)의 하부측의 단부 사이를 미끄러져 내려간다.
경사판(50a)의 하부측의 선단과 경사판(50b)의 하부측의 선단 사이를 미끄러 떨어진 이물질은, 경사 가동판(60)의 윗면에 낙하하여 집적된다.
그리고, 조명부(36)를 점등해서 경사 가동판(60)의 윗면에 빛을 맞춰서 카메라부(35)에서 경사 가동판(60)을 촬영함과 동시에, 기억부(6)에 격납한 초기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해석부(10)에 의해 판독한 초기 화상과 카메라부(35)에서 촬영하고 있는 화상을 비교한다. 이때 지폐 수용부(15)로부터 분리한 이물질이 경사 가동판(60)에 집적하고 있을 경우에는, 카메라부(35)가 촬영하고 있는 화상에는 이물질이 찍히고 있으므로, 경사 가동판(60)에 이물질이 집적하고 있음을 인식한다.
이물질을 인식하면,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물질 처리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고객에 의해 반환 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스텝핑 모터(61)에 의해 경사 가동판(60)을 이물질 반송로(30)쪽으로 기울여, 이물질을 이물질 반송로(30)로 미끄러져 떨어뜨리고, 이물질 반송로(30)를 통해 이물질 반환부(31)에 이물질을 반송하여 고객에게 반환한다.
고객에 의해 불필요 버튼이 눌러졌을 때에는 스텝핑 모터(61)에 의해 경사 가동판(60)을 회수 트레이(32)쪽으로 기울여 이물질을 미끄러지게 떨어뜨리고, 회수 트레이(32)에 반송하여 회수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을 고객에게 반환할 때는 스텝핑 모터(61)에 의해, 경사 가동판(60)을 이물질 집적부(23)측으로 회전시켜서 경사지게 하고, 이물질을 이물질 반송로(30)로 미끄러지게 떨어뜨려 이물질 집적부(23)에 반송하며, 고객이 이물질을 불필요로 했을 때는 스텝핑 모터(61)에 의해, 경사 가동판(60)을 회수 트레이(32)측으로 회전시켜서 경사지게 하여, 이물질을 회수 트레이(32)에 반송하여 회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 실시예 3에 있어서, 경사판을 이물질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방향을 따른 중심이 움푹 패이도록 구부려서 형성하면, 수용 바닥부로부터 분리한 이물질이 경사판의 중심으로 다가오면서 미끄러져 떨어지므로, 반송 벨트 또는 경사 가동판에 낙하했을 때 1개소에 이물질을 집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해석부에 의해 카메라부에서 현재의 반송 벨트를 촬영한 화상과 기억부에 격납한 초기 화상을 비교해서 현재의 화상에 이물질이 있음을 인식함으로써 이물질을 검지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물질 검지수단으로서의 광학식 등의 이물질 검지 센서를 지폐 수용부와 반송 벨트의 사이에서 복수 배치하여 지폐 수용부로부터 낙하한 이물질이 센서를 가로막았을 때에 이물질을 검지하도록 하면,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화상을 해석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금 자동 인출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자동거래 장치로서의 지폐 환전기나 발권기, 금융기관의 창구 안에 설치되는 현금처리기 등에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객에게 이물질 배분기구에 일시 집적한 이물질을 표시하여, 고객이 이물질의 반환을 필요로 했을 경우에는 이물질을 이물질 반환부로 반송하기 위해서, 고객에 있어서 회수되어서는 곤란한 이물질이 이물질 배분기구에 낙하했을 경우에, 고객이 그 이물질을 줍기 위해서 지폐 수용부에 억지로 손을 넣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이물질의 반환을 불필요로 했을 경우에, 이물질을 회수 트레이에 반송하여 회수하도록 했기 때문에, 고객이 방치한 이물질에 의해 이물질 반환부가 가득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의 반환을 항상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투입된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 수용부와,
    상기 지폐 수용부에 지폐를 올려 놓음과 동시에, 이물질을 분리하는 수용 바닥부와,
    분리한 이물질을 반환하는 이물질 반환부와,
    분리한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 트레이와,
    상기 수용 바닥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이물질 반환부와 상기 회수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집적하고,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반환부 또는 상기 회수 트레이로 배분하는 이물질 배분기구와,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일시 집적한 이물질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부와,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집적한 이물질의 유무를 검지하는 이물질 검지수단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한 상기 이물질의 화상과, 상기 화상에 찍히는 이물질의 반환의 필요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의 반환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의해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반환부로 반송하고,
    상기 이물질의 반환은 불필요하다라고 했을 경우에,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의해 상기 이물질을 상기 회수 트레이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바닥부를, 탑재된 상기 지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도록 지지 막대를 나란히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가,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송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가, 상기 이물질 반환부측 또는 상기 회수 트레이측으로 회전하는 경사 가동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와 상기 수용 바닥부 사이에,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 바닥부를 들여다봤을 때에 상기 이물질을 시야로부터 차단하고, 상기 수용 바닥부에서 분리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분기구에 낙하시키는 경사판을 가지는 차폐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기구를, 2장의 경사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2장의 경사판을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서 서로의 간격을 좁히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한쪽의 경사판의 선단과 다른쪽의 경사판의 단부의 윗면 사이에 간격을 설치하여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KR1020060053782A 2005-07-29 2006-06-15 자동거래 장치 KR10124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0827A JP4650149B2 (ja) 2005-07-29 2005-07-29 自動取引装置
JPJP-P-2005-00220827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961A KR20070014961A (ko) 2007-02-01
KR101244827B1 true KR101244827B1 (ko) 2013-03-19

Family

ID=3767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782A KR101244827B1 (ko) 2005-07-29 2006-06-15 자동거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50149B2 (ko)
KR (1) KR101244827B1 (ko)
CN (1) CN19049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301A (ja) * 2007-11-22 2009-06-11 Daito Giken:Kk 遊技台
JP5295672B2 (ja) * 2008-07-23 2013-09-1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および硬貨処理方法
JP5202164B2 (ja) * 2008-07-30 2013-06-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5463735B2 (ja) * 2009-05-28 2014-04-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CN101833813B (zh) * 2010-03-03 2012-06-13 杭州创导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atm机异物入侵检测报警装置及检测报警方法
JP5633332B2 (ja) * 2010-11-25 2014-12-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自動預け払い機
JP5715022B2 (ja) * 2011-10-04 2015-05-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処理方法
JP5875432B2 (ja) * 2012-03-28 2016-03-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5661685B2 (ja) * 2012-05-30 2015-01-2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異物塊崩し機構
JP6466072B2 (ja) * 2014-03-06 2019-02-0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投入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機
CN105447998B (zh) * 2015-12-22 2018-04-2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钞口异物的方法及装置
CN107274591A (zh) * 2017-07-07 2017-10-2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存取款机及存取款机维护系统
CN108765790A (zh) * 2018-05-24 2018-11-0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银行自助终端及异物取回方法
JP7170568B2 (ja) * 2019-03-19 2022-11-14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7336350B2 (ja) * 2019-10-17 2023-08-3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225A (ja) 1996-11-26 1998-06-09 Nec Home Electron Ltd 画像読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7266A (ja) * 1982-01-25 1983-07-29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自動支払装置
JPS5981483U (ja) * 1982-11-22 1984-06-01 久保 タミ子 賽銭箱
JP2960201B2 (ja) * 1991-05-17 1999-10-06 株式会社東芝 硬貨処理装置
JPH0778279A (ja) * 1993-09-07 1995-03-20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9231444A (ja) * 1996-02-22 1997-09-05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JP2696089B2 (ja) * 1996-04-08 1998-01-14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装置
JP4095188B2 (ja) * 1998-12-01 2008-06-04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取扱い装置
JP3746189B2 (ja) * 2000-09-01 2006-02-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225A (ja) 1996-11-26 1998-06-09 Nec Home Electron Ltd 画像読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4961A (zh) 2007-01-31
CN1904961B (zh) 2010-05-12
JP4650149B2 (ja) 2011-03-16
JP2007034936A (ja) 2007-02-08
KR20070014961A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827B1 (ko) 자동거래 장치
JP4569219B2 (ja) 自動取引装置
TWI354949B (ko)
JP5463735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2068794A (ja) 自動取引装置
KR920009699B1 (ko) 지폐 취급 장치
JP2010033408A (ja) 紙幣取扱装置
KR100681453B1 (ko)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JP2008226131A (ja) 現金入出金機
TWI506598B (zh) 桌上遊戲用紙頁類處理裝置
JPH10143718A (ja) 紙幣処理装置
JPH09147193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6294072A (ja) 硬貨入出金装置
JPH09231444A (ja) 自動取引装置
JP2010033494A (ja) 硬貨入出金機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910494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0322632A (ja) 貨幣等の取扱装置
JP4641761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3292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3815891B2 (ja) 貨幣処理装置
JP2016062235A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2019169062A (ja) 媒体処理装置および媒体取引装置
KR101900768B1 (ko) 통장처리장치와 금융기기 및 통장처리방법
KR920009700B1 (ko) 지폐 취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