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700B1 - 지폐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700B1
KR920009700B1 KR1019920009769A KR920009769A KR920009700B1 KR 920009700 B1 KR920009700 B1 KR 920009700B1 KR 1019920009769 A KR1019920009769 A KR 1019920009769A KR 920009769 A KR920009769 A KR 920009769A KR 920009700 B1 KR920009700 B1 KR 92000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inlet
held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무 아즈찌
히로시 후지꾸라
류이찌 오노모또
요시노부 하루나
마사또 니시까와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하워드 지. 피거로아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317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176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57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8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01621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09699B1/ko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하워드 지. 피거로아,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92000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
제1도는 거래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지폐 입출금기(入出金機)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지폐 입출금기의 내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4도는 지폐 투입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투입구에 있어서의 지폐 투입 금지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지폐 방출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7도는 지폐 방출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8도는 지폐 방출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9도는 거래 처리 시스템 및 지폐 입출금기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10도는 지폐 방출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1도는 투입 지폐를 거둬들이는 처리 수단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기 2 : 주화 처리기
3 : 단말기 4 : 통장 처리기
5 : 카운터 6 : 책상
7 : 의자 8 : 제어기
12 : 투입구 13 : 방출구
14 : 셔터 15 : 표시기
16,17 : 키 21-24 : 지폐 카트리지
25 : 지폐 감별기 26 : 보류부 또는 보류기구
27 : 표지 반전부 30 : 감지기
31 : 누름판 32 : 바닥판
34 : 수용판 35 : 상부의 거둬들이는 롤러
36 : 하부의 거둬들이는 롤러 40 : 프레임
41 : 수용대 41C : 중앙부
44 : 습동부재 45 : 레일
46 : 볼 47 : 롤러
51 : 회전축 52 : 베어링
53 : 방출롤러 54 : 방출롤러
55 : 안내판 61 : 레버
61a : 측벽 62 : 축
63 : 풀리 66 : 회전축
70 : 플로어(floor) 71 : 핀
76 : 당김 용수철 73 : 레버
74 : 긴구멍 75 : 핀
80 : 중앙 처리 장치 81 : 메모리
82 : 구동기구 83,84 : 구동기구
본 발명은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은행 창구에서 행원이 입금 거래 또는 입출금 거래를 하는데 적합한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폐 취급장치는 지폐 입출금기를 포함한다.
은행 창구에서의 입금 처리의 수요의 증대에 따라 그 처리 동작을 단시간내에 행하고, 신속히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능력이 높은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특히, 은행 창구 업무에 있어서, 한 대의 지폐 입출금기를 좌우에 위치하는 행원이 공용하는 경우에, 1개의 지폐 투입구를 2명의 행원이 공용하기 위해서 한쪽의 행원이 입출기를 사용하고 있는 거래 동작중엔 다른쪽의 행원은 사용할 수 없으며, 이 대기중의 행원은 한쪽의 행원의 거래 처리 종료를 주시하면서 자신의 작업을 해야되며, 바쁜 상태에 있을때는 한쪽의 행원의 상황을 주시하는 것조차 큰 부담이 되며, 또, 작업에 전념하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또한, 한쪽의 행원이 연속해서 예금거래를 행하는 경우는 앞서의 예금거래가 완료될 때까지 다음 예금거래를 개시하지 못하며, 또 앞서의 거래가 종료된 것을 확인하면서 입금 조작을 하기 때문에 시간 낭비가 생겨서 비능율적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입금 조작에 있어서 지폐 투입을 위한 대기시간을 단축해서 신속한 입금처리를 달성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금해야할 지폐를 받아들이기 위한 투입구와, 이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거둬들이는 기구와, 거둬들인 지폐를 일시 보류하는 일시 보류구와, 일시 보류되고 있는 지폐를 수납하는 카트리지를 갖춘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폐가 투입구에 투입되었을때부터 거둬들인 기구에 의해서 거둬들여져 일시 보류기구에 보류될 때까지 투입구로의 지폐의 투입을 금지하는 수단, 지폐가 일시 보류기구에 보류된 다음 상기 금지를 해제하는 수단, 및 금지가 해제된 것을 알리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가 일시 보류기구에 보류되면 다음 지폐의 투입의 금지가 해제되며, 이것이 알려진다. 따라서, 계원은 다음 거래를 위한 지폐를 투입구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으로, 계원은 다음 거래를 위한 지폐를 가지고 대기할 필요는 없어진다. 투입 금지가 해제된 것이 알려지므로 다음 거래를 하는 계원은 앞서의 거래가 종료했을 때에는 다음 거래를 위한 지폐는 이미 투입구에 투입되어 있으므로 이 지폐를 들이는 것을 즉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거래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도는 은행의 카운터에 배치된 행원(텔러)이 예금, 지불, 불입등의 거래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한 예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카운터(5)의 내측에는 2명의 행원을 위해 2개의 책상(6)과 의자(7)가 있다. 이들 책상(6)사이에 지폐 입출금기(1)가 배치되어 있다. 지폐 입출금기(1)는 투입된 지폐의 감별, 계수, 카트리지로의 수납, 출금해야할 지폐의 카트리지에서의 풀어냄, 감별, 계수, 방출등을 행하는 것이다. 이 지폐 입출금기(1)상에는 주화 처리기(2)가 놓여있다. 주화 처리기(2)는 주화에 대해서 입출금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지폐 입출금기(1) 및 주화 처리기(2)는 2명의 행원에 의해서 공용된다.
책상(6)의 뚜껑상에는 단말기(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단말기(3)는 키보드와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구좌번호, 금액등의 입력, 이것들의 입력 데이터 및 기타의 거래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책상(5)의 뚜껑은 통장 처리기(4)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통장 처리기(4)는 통장 삽입구에 삽입된 통장의 첨부된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구좌번호 등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자기 헤드, 통장에 거래 데이터를 인자하는 인자헤드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의 지폐 입출금기(1), 주화 처리기(2), 단말기(3) 및 통장 처리기(4)는 전송선에 의해 제어기(컴퓨터, 메모리등을 포함.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는 또한 컨트롤 센터의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전화회선, 전용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2도는 지폐 입출금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지폐 입출금기(1)는 그 앞면 상부에 지폐의 투입구(12) 및 지폐의 방출구(13)를 갖추고 있다. 방출구(13)에는 셔터(14)가 설치되어 있다. 방출구(13)의 좌우에는 행원이 이 입출금기(1)에 의한 입,출금 동작을 시동시키기 위한 개시 키(16 및 17)가 설치되어 있다. 개시 키(16,17)의 이웃에는 이들의 키가 늘렸다는 것을 도시하는 표시등(16a,17a)이 있다. 또한, 입출금기의 앞부분 상면에는 각종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15), 모드 설정, 테스트의 실행등을 행하기 위한 텐키(ten-key) 패드(18), 및 입출금기 내부에서의 지폐 막힘의 장소를 도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19)이 배치되어 있다.
제3도는 입출금기의 내부에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것이다. 입출금기(1)내에는 지폐 카트리지(21), 화폐의 종류마다 지폐를 수납해두는 지폐 카트리지(22-24), 지폐의 종류의 판별과 진위 판정을 행하는 지폐 감별기(25), 지폐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일시 보류부(26), 및 지폐의 방향을 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기 위해 앞뒤면이 역방향으로 되고 있는 지폐를 반전시키는 표시 반전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예금 거래등을 위해서 투입구(12)에 투입된 지폐는 1장씩 차례로 반송로를 통해서 감별기(25)로 보내지며, 여기에서 그 진위, 종류, 앞뒤면의 방향등이 판정된다. 정규의 지폐로 판정된 것은 일시 보류부(26)로 반송되어 일시적으로 간직된다. 표시반전 처리가 필요한 것은 표시 반전부(27)에서 반전된 다음 일시 보류부(26)로 보내어진다. 판정이 불가능 했던것(찢어진 지폐나 오손된 지폐를 포함) 또는 위조지폐는 감별기(25)에서 방출구(13)로 반려된다. 예금거래등이 종료되면 일시 보류부(26)의 지폐는 재차 감별기(25)에서 그 종류가 재판정되며, 판정된 종류에 따라서 카트리지(22-24)중의 어느 한쪽에 수납된다. 종류 판정이 불가능했던 것 및 정규의 지폐이지만 손상되어 있는 것은 카트리지(21)에 회수된다. 지불거래등에 있어서 지불해야 할 금액이 확정되고, 그 금액에 따라서 방출해야 할 지폐의 종류와 각 종류마다의 길이가 결정되면 각 종류마다에 카트리지(22-24)에서 결정된 길이의 지폐가 내보내어지며, 차례로 감별기(25)로 보내어진다. 여기에서 그 지폐의 종류의 재판정이 행해지며, 방출구(13)로 방출된다. 지폐의 종류가 불분명했던것 및 손상등으로 불량으로 판정된 것은 카트리지(21)에 회수된다.
거래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예금과 거래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둔다.
예금의 경우, 행원은 단말기(3)의 키보드에서 예금의 거래임을 입력한다. 또, 행원은 고객에서 받은 통장을 통장 처리기(4)에 삽입한다. 통장 처리기(4)는 통장의 자기 스프라이프 데이터를 판독한다. 단말기(3)에서 입력된 데이터 및 처리기(4)로 판독된 통장 데이터는 제어기로 보내진다. 제어기로부터의 지령으로 입출금기(1)는 대기상태로 된다. 행원은 고객에게서 받은 지폐를 입출금기(1)의 투입구(12)에 투입하고, 개시키(16 또는 17)(조작하고 있는 행원에 가까운 쪽의 키)를 누른다. 그러면 입출금기(1)는 동작을 개시하며 투입되고 있지 않은 지폐의 감별, 계수가 행해지며, 정규의 지폐만이 일시 보류부(26)에 보류됨과 더불어 정규 지폐의 총액이 표시기(15)에 표시된다. 이 금액은 다시 제어기로 전송된다. 행원은 이 표시된 금액을 고객에게 확인하고 고객의 양해가 얻어지면 확인 버튼(이 실시예에선 개시 키(16 또는 17)와 겸용되어 있다)을 누른다. 확인 버튼이 눌려졌다는 것이 제어기에 보고된다. 제어기는 통장 데이터(구좌번호 등), 금액등을 중앙의 주 컴퓨터로 전송하므로 주 컴퓨터에서 그 고객(구좌번호)의 파일의 잔고에 상기 금액이 가산된다. 상기 확인 버튼이 눌려지면 일시 보류부(26)에 보류되었던 지폐는 카트리지(21-24)에 수납된다. 이것으로 입출금기(1)는 다음의 입출처리가 가능한 대기 상태로 된다.
지불 거래에 있어서, 행원은 단말기(3)로 지불임을 입력하고 통장을 통장 처리기(4)에 삽입한다. 처리기(4)는 통장 데이터를 판독한다. 단말기(3)의 입력 데이터, 처리기(4)의 판독 데이터는 제어기로 보내어진다. 행원은 다시 단말기(3)에서 지불해야 할 금액을 키 입력하므로 이 금액 데이터는 제어기로 보내어진다. 제어기는 상기 금액의 지폐를 방출할 것을 입출금기(1)에 지령한다. 또, 행원이 개시 키(16 또는 17)를 누르므로 이 키 입력에 응답해서 입출금기(1)에 있어서 카트리지(22-24)로부터 상기 금액의 지폐가 보내어지며, 방출구(13)로 방출되어 셔터(14)가 열린다. 행원이 방출구(13)의 지폐를 뽑아내면 이것이 감지기로 검지되고, 셔터(14)는 닫힌다. 물론, 제어기와 센터의 주컴퓨터와 사이에 교신이 행해지며, 그 고객의 파일의 잔고에서 출금액이 감산되므로서 잔고는 갱신된다.
제4도는 지폐 투입구(12) 및 여기서 설치된 지폐를 거둬들이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지폐 투입구(12)는 바닥판(32)과, 수용판(34)과, 이것과 대향하는 이동자재인 누름판(31)으로 규정된다. 1장 또는 서너장의 지폐(B)는 수용판(34)과 누름판(31) 사이에 투입되며, 누름판(31)으로 약간 경사진 상태로 간직된다. 누름판(31)은 누름기구(33)에 의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대기 위치에서 쇄선으로 도시하는 누름 위치(지폐 B의 길이에 따라서 이 위치는 다르다)까지 이동한다. 누름기구(33)는 누름판(31)을 간직하는 레버(33a)와 이 레버(33a)의 일단이 고정된 회전축(33b)을 포함하며, 회전축(33b)이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회전된다.
수용판(34)에는 창이 열려있고, 이 창에서 일부가 투입구(12)내에 돌출하도록 상부의 거둬들이는 롤러(35)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투입구(12)의 아래쪽의 지폐를 거둬들이는 입구에는 하부의 거둬들이는 롤러(36)와, 이것과 접하는 마찰롤러837) 및 핀치롤러(38)가 배치되어 있다.
투입구(12)내에 투입된 지폐(B)는 누름 위치로 옮겨진 누름판(31)에 의해 수용판(34) 및 거둬들이는 롤러(35)를 향해서 부세된다. 거둬들이는 롤러(35,36), 핀치롤러(38)를 회전시키므로서, 지폐(B)는 그 제일 앞열인 것에서 1장씩 아래쪽으로 나오게된다. 마찰롤러(37)는 2장째의 지폐가 1장째(제일앞열)의 지폐와 함께 내보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2장째의 지폐를 정지시켜서 1장째의 지폐에서 분지하는 작용을한다.
2개의 코일 스프링(39)은 그 한끝이며, 바닥판(32)에 고정된 장착편(39A)에 장착되며, 그 다른 끝은 누름판(31)의 배면에 장착되어 있다. 투입구(12)에 투입된 지폐(B)를 거둬들이기 위해서 누름판(31)이 누름위치로 이동했을 때, 코일 스프링(39)은 제4도에 쇄선으로 도시하듯이, 또는 제5도에 도시하듯이 인출되며 이 인출된 코일 스프링이 투입구(12)의 상부 개구를 차단한다. 이것으로 지폐를 거둬들이는 동작중에 다음 거래를 위한 지폐의 투입구(12)로 투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지폐 투입구(12)는 다시, 투입구(12)로 투입된 지폐를 검지하는 감지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지기(30)는 예컨대 투광기와 수광기로된 광정 검지기이다.
제6도에서 제8도는 지폐 방출구 및 여기에 설치된 지폐의 방출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방출구(13)의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40)상에 수용대(41)가 고정되어 있다. 수용대(41)는 제8도에 도시하는 횡단면에 있어서 중앙부(41c)는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앙부(41e), 좌우부분(41A,41B)의 윗면은 모두 평탄하다. 수용대(41)는 전방을 향해서 위쪽으로 경사되고 있다.
수용대(41)의 좌우부분(41A,41B)상에는 수용부재(42,4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즉, 수용부재(42,43)는 각각 바닥판부(42a,43a), 외측의 측벽부(42b,43b) 및 후벽부(42c,43c)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래서 바닥판부(42a,43a)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습동부재(44)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수용대(41)의 좌우부분(41A,41B)위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횡단면에 U자형의 레일(45)이 고정되고, 이 레일(45)에 볼(46)을 거쳐서 습동부재(44)가 습동가능하게 받쳐져 있다. 이들의 수용부재(42,43)를 진퇴시키는 구동기구에 대해서는 뒤에 상술하나, 수용부재(42,43)의 측벽부(42b,43b)의 외측에는 롤러(47)가 팔(47A)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용대(41)의 중앙부(41c)위는 받침부(48)로 되어 있다. 이 받침부(48)에는 밑판(48a)과 뒤벽부(48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48)에는, 이 받침부(48) 및 수용부재(42,43)위에 방출된 지폐가 인출되어 나온 것을 검지하는 지폐 인출 센서(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49)도 광전 검지기에 의해 구성된다.
방출 지폐의 반송로의 종단, 즉 이 반송로가 방출구(13)에 접속되는 부분에는 방출롤러(53,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폐는 이들의 롤러(53,54) 사이를 통해 수용부재(42,43) 및 받침부(48)위로 송출되게 된다. 이들의 수용부재(42,43) 및 받침부(48)의 윗편에는 방출지폐가 윗편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판(55)도 설치되어 있다.
셔터(14)는 그 기부에 있어서 회전축(51)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51)은 수용대(41)에 설치된 베어링(52)에 회전가능하게 받쳐져있다. 회전(51)이 셔터 개폐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회전이 되므로서 셔터(14)는 제7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방출구의 폐쇄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표시하는 개방 위치로 옮긴다. 또한 회전축(51)의 역회전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쇄선으로 표시하는 개방 위치에서 셔터(14)는 투입구(12)의 상부 개구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지폐 방출 동작시에는 투입구(12)로의 지폐의 투입이 금지된다.
좌우의 수용부재(42,43)에 대해서 그 진퇴 구동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진퇴 구동기구는 꼭같은 구성이므로, 우측의 수용부재(43)의 것에 대해서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프레임에 고정된 축(62)에 레버(61)가 그 일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레버(61)의 타단에는 2개의 입상측벽(61a)으로 구성이 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재(43)에 설치된 롤러(47)가 이들의 측벽(61a)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한편, 구동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63)와 회전축(66)에 고정된 풀리(65) 사이에 벨트(64)가 걸쳐져 있다. 회전축(66)에는 캠(47)이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에 고정된 축(69)에는 3각형상의 판(68)이 그 1개의 정점의 위치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판(68)의 다른 정점의 위치에는 캠 플로어(7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캠 플로어(70)가 항상 캠(67)에 접하도록 판(68)은 당김 용수철(76)로 부가되어 있다. 판(68)의 또다른 정점의 위치에는 핀(7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73)는 그 일단에서, 레버(61)의 거의 중점에 핀(75)으로 의해 연결되어 있다. 레버(73)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에 따른 긴구멍(74)이 뚫려 있으며, 이 긴구멍(74)에 핀(71)이 이동가능하게 들어가 있다. 레버(73)의 타단과 판(68)사이에 상기한 당김 용수철(76)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핀(71)이 항상 긴구멍(74)의 일단(핀(75)에서 먼쪽의 끝)에 접하도록 부가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캠(67)이 축(6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캠 플로어(70)를 거쳐서 판(68)이 축(69)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이것에 의해 레버(73)가 전방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레버(61)가 축(62)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롤러(47)를 거쳐서 수용부재(43)는 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전진한다. 상기 구동 모터를 역회전 시키면 수용부재(43)는 실선으로 표시하는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하여, 좌우의 수용부재(42,43)는 독립하여 진퇴 구동된다. 상술하는 바와같이 수용대(41)가 전방으로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이 위에 배치된 수용부재(42,43)도 동일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수용부재(42,43)는 전방으로 향해서 상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뒤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측 수용부재(42)의 진퇴와 셔터(14)의 개폐는 연동하여 행해지므로, 좌측 수용부재(42)의 진퇴 기구의 모터와 셔터 개폐기구의 모터를 병용하여 이들의 연동기구를 설치하면 좋다(이것을 우측행원용 방출구 구동기구라 함). 꼭같이 우측 수용부재(43)는 진퇴기구와 셔터 개폐기구를 연동시켜 또한 모터를 공용하면 좋다(좌측행원용 방출구 구동기구).
제9도는 상술한 지폐 입출금기(1) 및 이것을 포함하는 거래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지폐 입출금기(1)는 전체적인 제어를 하는 중앙 처리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앙 처리 장치(80)는 그 실행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81)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처리 장치(80)에는, 상술한 좌우의 개시 키(16,17), 표시등(16a,17a), 표시기(15), 기타의 조직 패널에 배치된 입출력 기기(텐키-패드(18)등), 누름판(31)을 진퇴시키거나 또는 거둬들이는 롤러(35)등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82), 상술한 좌우 행원용의 방출구 구동기구(83,84), 투입구(12)의 지폐 검지 감지기(30), 방출구(13)의 지폐 발취센서(49), 기타 지폐 방송을 위한 기구(반송모터, 지폐 감별기(25), 반송로의 각종 센서)가 접속이 되어 있다.
이와같은 지폐 입출금기(1)와, 주화 처리기(2)와, 단말기(3)와, 통장 처리기(4)가 제어기(8)에 접속되고, 제어기(8)가 센터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대로이다.
제10도는 상기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 지폐의 출금동작, 특히 중앙 처리 장치(80)에 의한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좌,후 어느것의 개시 키(16 또는 17)가 눌려지면(스텝 101), 그것에 대응하는 표시등(16a 또는 17a)이 점등하고, 또한 눌려진 개시 키가 좌,우 어느것인가가 메모리(81)에 기억이 된다(스텝 102). 좌측 개시 키(16)는 좌측의 행원에 의해 눌려져, 좌측의 행원이 입출금기(1)를 사용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우측 개시키(17)가 눌려졌다는 것은 우측의 행원이 입출금기(1)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하는 바와같이 제어기(8)로부터 지령된 화폐종류, 매수의 대응하는 카트리지(22 내지 24)로부터의 내보내기, 감별기(25)에 의한 감별이 행해지고, 방출해야할 지폐는 차례로 방출구(13)의 좌우 수용부재(42,43) 및 받침부(48)위에 집적된다(스텝 103).
소정의 금액의 지폐 방출이 끝나면, 스텝 102에서 기억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좌우 어느것의 개시 키가 눌려져 있었는가를 체크한다(스텝 104). 예를들자면 좌측의 개시 키(16)가 눌려져 있던 경우에는, 좌측 행원용 방출구 구동기구(83)가 작동한다(스텝 105). 즉, 닫혀있던 셔터(14)가 개방됨과 동시에, 우측 받침부(48)가 전진한다. 이에따라 수용부재(42,43), 받침부(48)위에 집적이된 지폐는, 제6도에 Ba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측으로 향해서 경사진다.
따라서, 좌측의 행원은 입출금기(1)를 스스로가 사용하므로서 방출된 지폐임을 인식할 수가 있고, 더욱이 좌측의 행원은 방출지폐를 용이하게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입출금기(1)를 사용하고 있지 아니한 우측의 행원에 있어서는 지폐를 뽑아내기가 곤란해지므로(특히, 측벽부(43b)에 의해 가로막혀서), 착오로 방출지폐를 뽑아내는 일은 없다.
지폐의 뽑아내기가 센서(49)에 의해 검지되면(스텝 107). 전진한 수용부재(43)가 후진함과 동시에 서텨(14)가 닫힌다(스텝 108).
눌려진 키가 우측의 개시 키(17)인 경우에는, 셔터(14)의 개방과 함께 좌측 수용부재(42)가 전진하여 우측의 행원에 있어서 지폐의 수취가 용이하게 되는 것을 말할나위도 없다(스텝 106).
또한, 지폐의 방출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도 지폐가 뽑히지 아니할 경우에는, 전진하고 있는 수용부재를 후진시켜 더욱 셔터를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재의 후진과 셔터의 폐쇄에 의해, 지폐는 기울어진 자세로부터 원래의 자세(그 길이방향이 셔터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자세)로 되돌아 간다.
제11도는 지폐 입출금기(1)의 입금처리 동작, 특히 중앙 처리 장치(80)에 의한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예금거래 등을 위해 행원이 투입구(12)에 지폐를 투입하면, 이것이 센서(30)에 의해 검지된다(스텝 111). 행원이 개시 키(16,17)의 어느것을 누르면 구동기구(82)가 시동되고, 누름판(31)이 수용판(34)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투입된 지폐가 수용판(34)가 떠밀려 짐과 동시에, 거둬들이는 롤러(35,36). 핀치 롤러(38)가 회전구동되므로, 투입된 지폐는 1장씩 입출금기 내부로 거둬져 들어간다(스텝 112). 이때 코일 스프링(39)이 투입구(12)의 개구를 막으므로 지폐의 투입이 금지된다. 거둬진 지폐는 상술하는 바와같이 감별기(25)에서 진위, 종류들이 판별되고, 일시 보류부(26)에 저장된다(스텝 113). 불량지폐는 방출구(13)로 되돌려지므로, 행원은 필요한 경우에 이 되돌려진 지폐를 또다시 투입구(12)에 투입할 수가 있다.
여하튼, 투입구(12)에 투입된 지폐가 모두 내부로 거둬지고, 또한 일시 보류부(26)에 보류되면(스텝 114), 표시기(15)에, 다음의 거래를 위한 지폐를 투입구(12)에 투입하여도 좋은 뜻이 표시된다(스텝 115). 투입허가의 알림은 부자등을 써서 행하여도 좋다. 또한 누름판(31)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또한 롤러(35)등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투입구(12)로 지폐의 투입이 가능해진다.
이 표시를 보고 행원이 다음의 거래를 위한 지폐를 투입구(12)에 투입하면(그래서 개시 키(16,17)의 어느것을 누르면), 이것이 감지기(30)에 의해 검지되고(스텝 116), 누름판(31)이 또다시 수용판(34)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투입된 지폐를 가압 유지한다(스텝 117), 거둬들이는 롤러(35,36). 핀치 롤러(38)는 회전 구동되지 않는다. 이때에도 코일 스프링(39)이 투입구(12)의 개구를 차단하므로 지폐의 투입이 금지된다.
다음의 거래를 위한 지폐의 투입은 전회의(앞서의) 거래를 위한 입출금기를 사용하고 있는 행원과 같은 행원 또는 다른 행원이라도 행할 수가 있다. 예를들자면, 좌측의 행원이 지폐를 투입하여 그 지폐가 일시 보류부에 보류된 후 다음의 거래를 위한 지폐의 투입이 허가되었을 때에, 우측의 행원이 투입구에 지폐를 투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어느쪽의 행원이 지폐를 투입하였는가는 지폐 투입시에 눌려지는 개시 키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판정이 된다.
앞서의 거래처리가 종료하여 일시 보류부(26)에 보류되어 있던 지폐가 카트리지(21 내지 24)에 수납이 되면(스텝 118), 다음의 거래를 위해 투입구(12)에 투입되고 또한 가압 유지되어 있는 지폐의 거둬들임이 개시된다(롤러(35,36)등의 구동)(스텝 119). 그래서, 상술한 앞서의 거래처리의 경우와 같이, 거둬들여진 지폐는 일시 보류부(26)에 보류된다(스텝 113으로 되돌아 간다).
지폐 투입허가 표시후, 다음의 지폐가 투입되지 않고 일시 보류부(26)의 앞서의 지폐의 카트리지(21 내지 24)로의 수납이 종료되면(스텝 120), 이 입금 처리 루틴을 빠져나간다.
이상과 같이하여, 앞서의 거래가 종료하기 전일자라도, 앞서의 투입지폐가 일시 보류부에 보류된 후이면, 다음의 거래를 위한 입금해야할 지폐를 투입구에 투입할 수가 있으므로, 행원은 고객으로부터 예입한 다음의 거래를 위한 지폐를 손에 갖고 앞서의 거래의 끝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또한 앞서의 거래가 종료하였을 때에 즉시로 다음의 거래를 위한 입금 지폐의 거둬들임이 개시되므로, 입출금기의 효율이 좋은 운용이 가능해져, 입금 처리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입금해야할 지폐를 받아들이기 위한 투입구(12)와, 이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거둬들이는 기구(31,35)와 거둬들여진 지폐를 일시 보류하는 일시 보류기구(26)와, 일시 보류되어 있는 지폐를 수납하는 카트리지(21,22,23,24)를 구비하는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폐가 투입구에 투입되고서부터, 거둬들이는 기구에 의해 거둬들여지고 일시 보류기구에 보류될 때까지, 투입구로의 지폐의 투입을 금지하는 수단(31,39,80,82)과, 지폐가 일시 보류기구에 보류된 후 상기 금지를 해제하는 수단(80,82)과, 금지가 해제된 것을 알리는 수단(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시 보류기구에 보류되어 있는 지폐가 카트리지에 수납된 후, 즉시로 투입구에 투입되어 있는 지폐의 거둬들임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80)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폐 투입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지폐 방출구(13)와, 방출구와 투입구 사이의 위치에 원추형으로 접합되고, 방출구와 투입구의 어느 한편을 폐쇄하도록 개폐 제어되는 셔터(14)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KR1019920009769A 1988-02-13 1992-06-05 지폐 취급 장치 KR92000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769A KR920009700B1 (ko) 1988-02-13 1992-06-05 지폐 취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31709A JPH01217694A (ja) 1988-02-13 1988-02-13 紙幣の入金処理装置
JP63-31709 1988-02-13
JP63-32579 1988-02-15
JP3257988A JP2628877B2 (ja) 1988-02-15 1988-02-15 出金機の出金口構造
KR1019890001621A KR920009699B1 (ko) 1988-02-13 1989-02-13 지폐 취급 장치
KR1019920009769A KR920009700B1 (ko) 1988-02-13 1992-06-05 지폐 취급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621A Division KR920009699B1 (ko) 1988-02-13 1989-02-13 지폐 취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700B1 true KR920009700B1 (ko) 1992-10-22

Family

ID=2728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769A KR920009700B1 (ko) 1988-02-13 1992-06-05 지폐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72B1 (ko) * 2006-06-20 2009-01-07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시스템
KR101229727B1 (ko) * 2011-09-07 2013-02-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72B1 (ko) * 2006-06-20 2009-01-07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시스템
KR101229727B1 (ko) * 2011-09-07 2013-02-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456B2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KR910009098B1 (ko) 화폐처리시스템
KR920009699B1 (ko) 지폐 취급 장치
JPH028341B2 (ko)
JPH0831167B2 (ja) 硬貨入金装置
JPH0223912B2 (ko)
JP5349569B2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JPS60251487A (ja) 入出金口機構
JP5335877B2 (ja) 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KR920009700B1 (ko) 지폐 취급 장치
JPH039514B2 (ko)
JP533587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4172909B2 (ja) 貨幣入金機
JPH077827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2203267A (ja) 貨幣処理機
JPS6248270B2 (ko)
JPH0139145B2 (ko)
JPS5943317Y2 (ja) 自動受入れ機
JP2002203265A (ja) 貨幣入金機
JP544269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3265993A (ja) 紙幣処理装置
JP2742538B2 (ja) 自動取引装置並びに該装置に組込まれる金庫カセット
JPS6323592B2 (ko)
JPS6315969Y2 (ko)
JP2613923B2 (ja) シー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