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453B1 -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 Google Patents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453B1
KR100681453B1 KR1020050023566A KR20050023566A KR100681453B1 KR 100681453 B1 KR100681453 B1 KR 100681453B1 KR 1020050023566 A KR1020050023566 A KR 1020050023566A KR 20050023566 A KR20050023566 A KR 20050023566A KR 100681453 B1 KR100681453 B1 KR 100681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ies
banknote
bills
bill
fea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937A (ko
Inventor
조택래
Original Assignee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45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4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방출기(CDM; Cash Dispensing Machine)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권종에 따라 지폐나 유가증권을 복수의 카세트 각각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타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이 섞여 들어가더라도 자동으로 타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의 방출 방지로 금융사고를 원칙적으로 예방하여, 은행이나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의 부응하는 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은행이나 각종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이 지폐 방출기의 카세트에 동일 권종의 지폐를 수납하는 과정에서 다른 권종의 지폐가 섞여 들어가더라도 자동으로 다른 권종의 지폐를 분류하여 회수할 수 있으므로, 방출 지폐의 개수에 대응하는 실제 금액이 틀려지는 금융 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사용자, 즉 은행이나 각종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폐 방출기, 지폐, 수표, 유가증권, 현금입출금기, CD/ATM, 권종 분류

Description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Cash dispensing machine for having denomination classifying function}
도 1은 일반적인 지폐 방출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세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폐 방출기 11: 케이스
11a: 지폐 방출구 12: 카세트
12a: 지폐 12b: 커버
12b1: 지폐 배출구 12c: 푸시 플레이트
12d: 픽업 롤러 12e: 콘트라 롤러
12e1: 콘트라 레버 12e2: 콘트라 레버 캠
12f: 분리 롤러 12g: 급송롤러
12h: 카세트 모터 13: 급송장치
14: 메인 컨트롤러 20: 지폐 방출기
21: 케이스 21a: 지폐 방출구
22: 카세트 22a: 지폐
23: 급송장치 24: CCD 카메라
24a: 카메라 센서 25: 게이트 절환기
26: 회수 박스 27: 회수 감지 센서
28: 방출 감지 센서 29: 메인 컨트롤러
본 발명은 지폐 방출기(CDM; Cash Dispensing Machine)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권종에 따라 지폐나 유가증권을 복수의 카세트 각각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타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이 섞여 들어가더라도 자동으로 타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의 방출 방지로 금융사고를 원칙적으로 예방하여, 은행이나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의 부응하는 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등과 같은 금융 업계에서는 계원의 지폐 관리 업무를 보조하는 장비로서, 지폐 정사기, 지폐 계수기, 지폐 분류기, 지폐 입금기, 지폐 입출금기, 지폐 방출기 등이 사용된다.
특히, 상기 지폐 방출기는 은행 등과 같은 금융 업계에서 무인으로 운용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CD/ATM)의 지폐 출금기나 수표 출금기, 각종 매점 등에서의 지폐 교환기 혹은 상품권 자동 발매기 등으로 많이 활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폐 방출기(10)는 정면 단부에 지폐 방출구(11a)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배면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어 수납된 지폐(12a)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카세트(12); 상기 각각의 카세트(12)로부터 배출되는 지폐(12a)의 급송로를 형성하여 상기 지폐(12a)를 상기 케이스(11)의 지폐 방출구(11a) 쪽으로 급송하는 급송장치(13); 및 상기 카세트(12)의 지폐 방출 작동과 급송장치(13)의 지폐 급송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4)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12)는 지폐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정면 단부에 지폐 배출구(12b1)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12b)와; 상기 커버(12b) 내부에서 수납된 지폐(12b)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시 플레이트(12c); 상기 푸시 플레이트(12c)에 의해 가압되는 지폐(12a)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12d); 지폐 분리용 콘트라 레버(12e1)가 연결된 콘트라 레버 캠(12e2)이 장착된 콘트라 롤러(12e)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픽업 롤러(12d)에 의해 픽업된 지폐(12a)를 분리하는 분리 롤러(12f); 상기 콘트라 롤러(12e)와 분리 롤러(12f) 사이를 통과한 지폐(12a)가 상기 커버(12b)의 지폐 배출기(12b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급송하는 급송롤러(12g); 및 상기 각각의 롤러(12d,12e,12f,12g)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카세트 모터(12h)로 구성된다.
상기 급송장치(13)는 통상의 지폐 방출기에 적용되는 벨트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이동하는 한쌍의 급송벨트(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급송로를 통하거나, 통상의 지폐 방출기에 적용되는 롤러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급송 롤러(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급송로를 통하여 상기 각각의 카세트(12)로부터 배출되는 지폐(12a)를 상기 케이스(11)의 지폐 방출구(11a) 쪽으로 급송한다.
상기 카세트 모터(12h)와 급송장치(13)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14)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카세트(12)의 지폐 방출 작동과 급송장치(13)의 지폐 급송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지폐 방출기(10)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14)의 방출 지폐(12a)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폐 방출 신호에 의해 상기 카세트 모터(12h)가 구동하면 상기 카세트(12)의 픽업 롤러(12d)와 분리 롤러(12f) 및 급송 롤러(12g)를 경유하여 상기 지폐 방출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폐(12a)가 상기 카세트(12)의 지폐 배출기(12b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메인 컨트롤러(14)의 급송 신호에 의해 상기 급송장치(13)가 구동함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11)의 지폐 방출구(11a) 쪽으로 급송된 다음 상기 지폐 방출구(11a)를 통하여 케이스(11) 밖으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폐 방출기(10)는 복수의 카세트(12)에 수납된 지폐(12a)를 방출할 때 단순히 방출 지폐(12a)의 개수만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 각각의 카세트(12)에 동일 권종의 지폐를 수납한다.
따라서, 은행이나 각종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폐 방출기(10)의 카세트(12)에 동일 권종의 지폐를 수납하는 과정에서 다른 권종의 지폐가 섞여 들어가는 경우, 방출 지폐의 개수에 대응하는 실제 금액이 틀려지는 금융 사고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종에 따라 지폐나 유가증권이 수납되는 복수의 카세트 일측 각각에 카메라 센서와 CCD 카메라를 설치하여, 권종에 따라 지폐나 유가증권을 복수의 카세트 각각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타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이 섞여 들어가더라도 상기 카메라센서와 CCD 카메라에서 복수의 카세트를 통해 방출되는 지폐나 유가증권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판별하여 타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의 방출 방지로 금융사고를 원칙적으로 예방하여, 은행이나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의 부응하는 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정면 단부에 지폐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배면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수납된 지폐나 유가증권을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카세트; 상기 각각의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지폐나 유가증권의 급송로를 형성하여 상기 지폐나 유가증권을 상기 케이스의 지폐 방출구 쪽으로 급송하는 급송장치; 상기 급송장치에 근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현재 급송 중인 지폐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카메라 센서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송장치에 의해 현재 급송되는 지폐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 상기 급송장치의 후단 지점에 배치되어 게이트 절환 신호가 입력되면 급송로를 절환하여 지폐나 유가증권의 방출을 방지하는 게이트 절환기; 상기 게이트 절환기에 의해 급송로가 절환된 지폐나 유가증권을 수집하는 회수 박스; 상기 게이트 절환기의 전단에서 급송 중인 지폐나 유가증권을 감지하는 회수 감지 센서; 상기 지폐 방출구의 전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방출되는 지폐나 유가증권을 계수하는 방출 감지 센서; 및 방출 지폐나 유가증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세트의 지폐 방출 작동을 제어하고, 급송 신호에 의해 상기 급송장치의 지폐 급송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CC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지폐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특징점 이미지가 상기 지폐나 유가증권에 대한 권종 분류를 위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 이미지를 구비한 외부의 특징점 DB의 특징점 이미지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회수 감지 센서에 의해 급송 중인 지폐나 유가증권이 감지될 때 게이트 절환기로 게이트 절환 신호를 인가시키는 메인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20)의 케이스(21) 정면 단부(예컨대, 상단부)에는 지폐 방출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카세트(22)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카세트(12)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케이스(21)의 배면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되어 수납된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각각의 카세트(21)에는 세계 각국에서 통용되는 각종 지폐는 물론 수표나 상품권 등과 같은 각종 유가증권이 수납된다.
급송장치(23)는 상기 각각의 카세트(22)로부터 배출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급송로를 형성하여 상기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상기 케이스(21)의 지폐 방출구(21a) 쪽으로 급송한다.
상기 급송장치(23)는 통상의 지폐 방출기에 적용되는 벨트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이동하는 한쌍의 급송벨트(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급송로를 통하거나, 통상의 지폐 방출기에 적용되는 롤러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급송 롤러(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급송로를 통하여 상기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상기 케이스(21)의 지폐 방출구(21a) 쪽으로 급송한다.
카메라 센서(24a)는 상기 급송장치(23)에 근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현재 급송 중인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 위치를 감지한다.
CCD 카메라(24)는 상기 카메라 센서(24a)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송장치(23)에 의해 현재 급송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를 촬영한다.
참고로, 도 3에서는 3개의 카세트(22) 중에서 최하단의 카세트(22)에 대응하도록 상기 카메라 센서(24a)와 CCD 카메라(24)를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 3의 점선 형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센서(24a)와 CCD 카메라(24)는 복수의 카세트(22)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절환기(25)는 상기 급송장치(23)의 후단 지점에 배치되어 하기의 메인 컨트롤러(29)의 게이트 절환 신호가 입력되면 급송로를 절환하여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방출을 방지한다.
회수 박스(26)는 상기 게이트 절환기(25)에 의해 급송로가 절환된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수집한다.
상기 회수 박스(26)는 복수의 카세트(22)와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21)의 배면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수 감지 센서(27)는 상기 게이트 절환기(25)의 전단에서 급송 중인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계수한다.
방출 감지 센서(28)는 상기 지폐 방출구(21a)의 전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방출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계수한다.
메인 컨트롤러(29)는 방출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세트(22)의 지폐 방출 작동을 제어하고, 급송 신호에 의해 상기 급송장치(23)의 지폐 급송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는 상기 CCD 카메라(24)에 의해 촬영된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가 상기 지폐(22a)나 유가증권에 대한 권종 분류를 위하 여 이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 이미지를 구비한 외부의 특징점 DB(30)의 특징점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회수 감지 센서(27)에 의해 급송 중인 지폐(22a)나 유가증권이 감지될 때 상기 게이트 절환기(25)로 게이트 절환 신호를 인가시킨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는 상기 지폐 방출 신호 출력 후, 상기 게이트 절환 신호의 출력 횟수를 계수하여 상기 회수 박스(26)에 수집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로 판별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는 상기 지폐 방출 신호 출력 후, 상기 방출 감지 센서(28)에 의해 계수되는 방출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가 상기 지폐 방출 신호가 나타내는 방출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계수된 상기 게이트 절환 신호의 출력 횟수만큼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방출을 지시하는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2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최초에 상기 메인 컨트롤러(29)가 특정 권종의 지폐(22a)나 유가증권 5매를 방출하기 위한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하면(S10), 상기 지폐 방출기(20)에 포함된 복수의 카세트(22) 중 해당 권종의 지폐(22a)나 유가증권이 수납되어 있는 특정 카세트(22)가 지폐(22a) 5매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며(S12), 이때 상기 급송장치(23)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29)의 급송 신호에 의해 구동하면서 카세 트(22)에서 배출된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상기 케이스(21)의 지폐 방출구(21a) 쪽으로 급송한다(S14).
상기와 같이 특정 카세트(22)에서 배출된 지폐(22a)나 유가증권이 급송장치(23)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21)의 지폐 방출구(21a) 쪽으로 급송되는 도중에, 상기 카메라 센서(24a)가 현재 급송 중인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 위치를 감지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CCD 카메라(24)는 상기 급송장치(23)에 의해 현재 급송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를 촬영하여 해당 특징점 이미지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로 전달한다(S16).
예컨대, 미국 달러화(USD) 지폐(1달러, 2달러, 5달러, 10달러, 20달러, 50달러, 100달러)의 경우 상기 CCD 카메라(24)는 해당 지폐의 모서리 부분에 표시된 숫자 영역을 권종 분류를 위한 특징점 이미지로 촬영하고, 수표나 상품권 등과 같은 유가증권의 경우 수표나 상품권 등의 일련번호 혹은 식별번호가 표시된 영역을 권종 분류를 위한 특징점 이미지로 촬영한다.
상기 CCD 카메라(24)가 촬영한 특정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가 메인 컨트롤러(29)로 전달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는 현재 입력된 특징점 이미지를 상기 지폐(22a)나 유가증권에 대한 권종 분류를 위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 이미지를 구비한 외부의 특징점 DB(30)의 특징점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판별한다(S18).
만약, 상기 CCD 카메라(24)에 의해 촬영된 현재 급송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가 상기 특징점 DB(30)에 등록된 특정 특징점 이미지와 일치 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는 게이트 절환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현재 급송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은 정상적으로 상기 지폐 방출구(21a)를 통하여 케이스(21) 밖으로 방출된다(S20).
이때, 상기 방출 감지 센서(28)는 정상적으로 방출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를 계수하여 그 감지 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로 전달한다.
반면에, 상기 CCD 카메라(24)에 의해 촬영된 현재 급송되는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가 상기 특징점 DB(30)에 등록된 특정 특징점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는 현재 급송 중인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다른 권종으로 판별하여 상기 게이트 절환기(25)의 전단에 위치하는 회수 감지 센서(27)에 의해 급송 중인 지폐(22a)나 유가증권이 감지될 때 상기 게이트 절환기(25)로 게이트 절환 신호를 인가시키며, 이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 절환기(25)는 상기 급송장치(23)의 급송로를 절환하여 현재 급송 중인 지폐(22a)나 유가증권을 상기 회수 박스(26)로 수집한다(S22).
이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29)는 상기 게이트 절환 신호의 출력 횟수를 계수하여 상기 지폐 방출 신호 출력 후 상기 회수 박스(26)에 현재 수집된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로 판별하며(S24), 실제로 특정 권종의 지폐(22a)나 유가증권 5매를 방출하기 위한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방출 감지 센서(28)에 의해 계수되는 방출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가 상기 지폐 방출 신호가 나타내는 방출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계수된 상기 게이트 절환 신호의 출력 횟수만큼 지폐(22a)나 유가증권의 방출을 지시하는 지폐 방출 신호 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메인 컨트롤러(29)가 특정 권종의 지폐(22a)나 유가증권 5매를 방출하기 위한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게이트 절환 신호의 출력 횟수가 2회로 계수되면 특정 권종의 지폐(22a)나 유가증권 5매 중 2매가 다른 권종으로 분류되어 회수된 상태이므로, 상기 특정 권종의 지폐(22a)나 유가증권 2매를 더 방출하기 위한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특정 권종의 지폐(22a)나 유가증권 5매가 모두 정상적으로 방출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은행이나 각종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이 지폐 방출기의 카세트에 동일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다른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이 섞여 들어가더라도 자동으로 다른 권종의 지폐나 유가증권을 분류하여 회수할 수 있으므로, 방출 지폐나 유가증권의 개수에 대응하는 실제 금액이 틀려지는 금융 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사용자, 즉 은행이나 각종 매점 등에 종사하는 계원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 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정면 단부에 지폐방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권종에 따라 지폐나 유가증권을 수납하는 복수의 카세트 및 상기 복수의 카세트 각각에 수납된 지폐나 유가증권을 지폐방출구로 방출하도록 급송하는 급송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나 유가증권을 지폐방출구를 통해 설정된 금액만큼 방출하도록 하는 종래의 지폐 방출기에 있어서,
    상기 급송장치에 근접하여 복수의 카세트 각각에 배치된 상태에서 현재 급송 중인 지폐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센서 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센서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송장치에 의해 복수의 카세트 각각에서 방출되어 현재 급송되는 지폐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고 방출 지폐나 유가증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세트의 지폐 방출 작동을 제어하고, 급송 신호에 의해 상기 급송장치의 지폐 급송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CC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지폐나 유가증권의 특징점 이미지가 상기 지폐나 유가증권에 대한 권종 분류를 위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 이미지를 구비한 외부의 특징점 DB의 특징점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회수 감지 센서에 의해 급송 중인 지폐나 유가증권이 감지될 때 게이트 절환기로 게이트 절환 신호를 인가시키는 메인 컨트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지폐 방출 신호 출력 후, 상기 게이트 절환 신호의 출력 횟수를 계수하여 상기 회수 박스에 수집되는 지폐나 유가증권의 개수로 판별하고, 상기 지폐 방출 신호 출력 후, 상기 방출 감지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방출 지폐나 유가증권의 개수가 상기 지폐 방출 신호가 나타내는 방출 지폐나 유가증권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계수된 상기 게이트 절환 신호의 출력 횟수만큼 지폐나 유가증권의 방출을 지시하는 지폐 방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2. 삭제
  3. 삭제
KR1020050023566A 2005-03-22 2005-03-22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KR100681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66A KR100681453B1 (ko) 2005-03-22 2005-03-22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66A KR100681453B1 (ko) 2005-03-22 2005-03-22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37A KR20060101937A (ko) 2006-09-27
KR100681453B1 true KR100681453B1 (ko) 2007-02-12

Family

ID=3763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566A KR100681453B1 (ko) 2005-03-22 2005-03-22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38B1 (ko) 2008-04-29 2010-09-07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폐 방출 장치
KR101144893B1 (ko) * 2010-11-12 2012-05-14 엘지엔시스(주)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78B1 (ko) * 2006-08-30 2008-06-10 홍제표 상품권 분류장치
KR20090012510U (ko) * 2008-06-03 2009-12-08 문병철 벨트형 지폐 계수기
KR100889913B1 (ko) * 2008-10-17 2009-03-20 문병철 벨트형 지폐 계수기
KR102219479B1 (ko) * 2021-01-06 2021-02-24 주식회사 한메가 이미지 센싱을 이용하여 지폐 오방출을 방지하는 출금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31A (ko) * 1996-08-09 1998-05-25 이진주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KR19980053117U (ko) * 1996-12-31 1998-10-07 라제훈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지폐종류 식별장치
KR19980072346A (ko) * 1997-03-04 1998-11-05 구자홍 금액 오방출 검출방치 및 검출방법
KR19990065712A (ko) * 1998-01-16 1999-08-05 홍중후 지폐 계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4487A (ko) * 1998-08-21 2000-03-15 한연섭 지폐의 이권종 판별기능을 갖춘 계수기
KR20010024078A (ko) * 1997-09-18 2001-03-26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치환된 크로만 유도체
KR100380648B1 (ko) * 1998-06-26 2003-04-1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입출금기
KR20040090056A (ko) * 2003-04-16 2004-10-22 정보통신연구진흥원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계수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31A (ko) * 1996-08-09 1998-05-25 이진주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KR19980053117U (ko) * 1996-12-31 1998-10-07 라제훈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지폐종류 식별장치
KR19980072346A (ko) * 1997-03-04 1998-11-05 구자홍 금액 오방출 검출방치 및 검출방법
KR20010024078A (ko) * 1997-09-18 2001-03-26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치환된 크로만 유도체
KR19990065712A (ko) * 1998-01-16 1999-08-05 홍중후 지폐 계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80648B1 (ko) * 1998-06-26 2003-04-1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입출금기
KR20000014487A (ko) * 1998-08-21 2000-03-15 한연섭 지폐의 이권종 판별기능을 갖춘 계수기
KR20040090056A (ko) * 2003-04-16 2004-10-22 정보통신연구진흥원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계수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806480000 *
1019980014331 *
1019990065712
200124078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38B1 (ko) 2008-04-29 2010-09-07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폐 방출 장치
KR101144893B1 (ko) * 2010-11-12 2012-05-14 엘지엔시스(주)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37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2249B1 (en) Bank bill payment processing machine
JP4363541B2 (ja) 紙幣整理装置
JP5463735B2 (ja) 自動取引装置
JPH11316870A (ja) 紙葉収納払出装置
JP2006099391A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080096368A (ko) 지폐정리장치
JP2000259895A (ja) 紙幣整理機
KR100681453B1 (ko)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JP5178229B2 (ja) 貨幣処理機
WO2014148000A1 (ja) 紙幣処理装置
KR20070111961A (ko) 지폐처리장치
JP2012003519A (ja) 紙幣取扱装置
JP2002092692A (ja) 紙葉類取り扱い装置
JP2532668B2 (ja) 入出金装置
KR102573029B1 (ko) 지폐 처리 장치
JPH0142213Y2 (ko)
JPS593694A (ja) 正損券鑑別リサイクル自動テラ−ズマシン
JP6761326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H069108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0182120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200714093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0090316A (ja) 貨幣処理装置
JP2559389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S62196789A (ja) 紙幣入出金機
JP2004103033A (ja) 紙葉類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