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893B1 -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893B1
KR101144893B1 KR1020100112871A KR20100112871A KR101144893B1 KR 101144893 B1 KR101144893 B1 KR 101144893B1 KR 1020100112871 A KR1020100112871 A KR 1020100112871A KR 20100112871 A KR20100112871 A KR 20100112871A KR 101144893 B1 KR101144893 B1 KR 10114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media
medium
bills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0011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110)에 수납된 지폐를 픽업 처리할 때, 지폐를 1매씩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카세트(110)에 적재된 지폐 매수와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가 미 구동시에 지폐를 정상 인식하지 못한 카세트(110)에 있는 지폐 전부를 회수/보충 카세트(120)로 회수 수납한다. 그런 다음,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120)에서 카세트(110)로 충분한 매수의 지폐를 보충한다. 이때 지폐 보충시 IR 센서(107a ~ 107d)는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계수한다. 계수된 지폐 매수는 카세트(110)에 있는 메모리(112)에 저장되고, 제어부는 메모리(112)를 액세스하여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그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르면, 계원은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를 참조하여 정산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정산 시간이 단축되고 계원의 작업 환경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METHOD FOR SETTING ACCOUNTS MEDIUM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INCORPO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세트에서의 매체 정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의 매체를 회수하고 다시 보충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카세트에 적재된 매체의 매수와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 매체 매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도록 한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에서는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비환류식과 환류식으로 구분된다.
그 중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이 입금한 지폐를 수납하고, 출금 거래시 수납된 지폐를 다른 고객에게 지급하는 환류 방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고객에게 출금될 수 있는 출금액이 출금용 보관 카세트에 보관되어 그 출금액이 제한되는 비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상기의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세트가 구성되고,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지폐 매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후면에 위치한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다. 상기 계원 표시부는 지폐의 권종별로 구분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계원은 상기 계원 표시부를 통해 카세트 내의 지폐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세트내의 지폐 잔량이 상기 계원 표시부에 정확하게 표시된다면, 계원은 표시된 정보를 신뢰한 상태에서 각각의 카세트에 대한 정산(마감)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하지만, 상기 카세트내의 지폐의 실제 매수와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 매수가 서로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고객의 지폐 출금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를 픽업(pick-up)하고 지폐 인식부에서 정상적으로 인식하면 지폐를 출금시키게 된다. 이때, 픽업된 지폐가 지폐 인식부를 통과할 때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지폐가 여러 장 붙어서 이송될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렇게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못한 지폐는 금융자동화기기내의 회수경로를 통해 회수 카세트로 회수된다. 이 경우, 해당 카세트에서 픽업된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그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 매수와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 지폐 매수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의 진출입부를 통해 지폐가 진출입될 때, 지폐가 잼(JAM)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카세트내의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도, 카세트의 지폐 매수와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 지폐 매수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의 진출입부에 장착된 센서가 고장 발생하여 지폐 매수를 계수할 수 없는 경우도 카세트의 지폐 매수와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 지폐 매수가 다르게 된다.
이처럼, 상기 카세트의 지폐 매수와 상기 계원 표시부에 표시되는 지폐 매수가 서로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계원은 상기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 지폐 매수만 가지고 정산을 하게 되면, 실제 금융 거래된 후의 지폐 매수와 상기 카세트의 지폐 매수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렇게 되면, 계원은 금융기관의 거래 마감 후에 차이가 발생한 지폐 매수를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계원은 정산 절차 시에 처음부터 카세트내의 지폐를 직접 회수하여 계수하고, 이를 은행 서버의 정보와 대조한 다음, 이후 운영할 지폐 매수를 재 보충하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상기 카세트에 남아있는 지폐 잔량에 따라 보통 2분에서 최대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만약 이러한 정산 절차가 금융업무 시간 내에 일어난다면 그 시간만큼 금융자동화기기는 구동이 중지되기 때문에 고객은 금융 업무를 볼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계원은 상기 카세트내의 지폐를 직접 회수하고 보충해야하기 때문에, 복수의 금융자동화기기가 설치된 지점 등에서는 정산절차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계원들의 생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내에 있는 매체의 매수 잔량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계원 표시부에 표시하여, 카세트내의 매체 매수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입금 요청된 매체를 수납하고, 출금 요청시 수납된 매체가 픽업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로 인입되는 매체를 계수하는 카운터;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지폐의 매수를 표시하는 계원 표시부; 상기 카세트에 수납할 매체 및 상기 카세트에서 픽업되는 매체를 인식하는 매체 인식부;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지폐를 회수하고, 운영할 지폐를 다시 보충하기 위한 회수/보충 카세트; 그리고 매체의 매수 불일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에서 해당하는 카세트로 매체를 보충하되, 상기 카운터에서 계수한 카세트로 인입되는 매체의 매수를 상기 계원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세트에는 내부에 수납된 매체의 매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상기 계원 표시부에 카세트에 저장된 매체의 매수를 표시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카운터가 상기 매체의 매수를 계수하지 못하더라도, 현재 진행중인 금융거래는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매체의 매수를 계수하지 못한 경우, 진행중인 거래가 완료된 경우, 금융거래가 일정 시간 이상 진행되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매체를 회수 및 다시 보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의 회수/보충 동작에 대한 신호를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매체 매수의 불일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카세트 내의 매체를 회수하고 상기 회수된 매체를 카세트 내로 보충하되, 보충 시에 카세트 내로 인입되는 매체의 매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며, 회수 및 보충을 통한 매체의 계수 여부를 통보하는 복수 개의 금융자동화기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상기 매체의 계수 여부를 통보받아 상기 매체의 계수를 수행한 금융자동화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가, 카세트에 수납된 매체를 픽업하는 단계; 상기 매체 픽업시 픽업되는 매체의 매수를 카운터가 계수하는 단계; 상기 매체 매수의 계수 단계에서 매체 매수의 불일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매체 전부를 회수/보충 카세트로 회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매체 회수 후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에 수납된 매체를 회수 동작이 발생한 카세트로 보충하되, 상기 보충되는 매체의 매수를 카운터가 계수하여 상기 카세트의 매수 정보를 계원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를 출금 명령에 따라 픽업시, 픽업되는 지폐를 1매씩 정확하게 계수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면, 금융거래가 일정 시간 이상 발생하지 않은 시간에, 카세트에 수납된 모든 지폐를 회수/보충 카세트로 회수하고, 이후 회수/보충 카세트에서 지폐를 계수하면서 대응하는 카세트로 보충 수납하고 있다. 이때 지폐의 계수결과는 카세트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는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계원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 경우, 실제 지폐매수와 표시된 매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계원이 직접 카세트에서 지폐를 회수하여 계수하고 보충하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계원은 계원 표시부에 표시된 지폐 매수만으로 정산 작업을 할 수 있어 마감시간이 단축되고 계원의 작업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융자동화기기의 구동 중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는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류 카세트의 매체 정산을 수행하기 위해 도시한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의 매체 정산방법을 단계별로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기의 매체 정산동작에 따라 금융자동화기기의 운영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의 매체 정산을 수행하기 위해 도시한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100)에는 지폐의 수납 및 방출을 위한 수납/방출부(102)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방출부(102)는 고객이 지폐를 인출할 경우 정상 인식된 지폐들을 모으고 고객이 모아진 지폐를 한번에 인수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도어를 일정시간 개방하게 된다. 만약 고객이 지폐를 그 시간내에 인수하지 않으면 수납/방출부(102)는 도어를 닫고 인수되지 않은 지폐들을 후술하는 회수 카세트(104)로 회수하도록 한다. 참고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복수 개의 회수 카세트가 구비되고, 복수의 모듈에서 회수할 지폐들을 각각의 회수 경로를 통해 회수 수납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회수 카세트(104)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폐를 인식하는 지폐 인식부(106)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 인식부(106)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구성되어 있어, 지폐의 진위여부, 권종, 겹침 및 손상 상태 등을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폐 인식부(106)는 상기 수납/방출부(102)로부터 수납 이송로(A)를 경유하여 자신의 입구로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지폐들을 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순환 이송로(B)를 따라 후술하는 카세트(110a ~ 110d)중 어느 하나의 카세트에 수납되게 한다. 반대로 고객이 지폐를 출금할 경우, 상기 지폐 인식부(106)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순환 이송로(B)를 경유하여 자신의 입구 쪽으로 유입되는 지폐들을 감별하고, 방출 이송로(C)를 경유하여 상기 수납/방출부(102)에 순차적으로 수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서 배출되는 지폐가 정상 인식되지 못하면, 그 지폐들은 회수 이송로(D)를 경유하여 회수 카세트(104)에 수납되게 한다.
상기 수납/방출부(102)를 통해 입금된 지폐를 권종별로 수납하여 보관하고, 출금시 보관된 지폐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110a ~ 110d)가 구비된다.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는 지폐 매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2a ~ 112d)가 구비된다. 이러한 카세트(110a ~ 110d)는 상기 수납/방출부(102)에서 입금된 지폐가 상기 지폐 인식부(106)에서 정상 인식되면 수납하고, 출금시 내부에 수납된 지폐를 상기 지폐 인식부(106)를 통해 상기 수납/방출부(102)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환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세트(110a ~ 110d)는 내부 또는 매체가 인입되는 입구와 근접한 경로상에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는 카운터(107a ~ 107d)가 구성된다. 상기 카운터(107a ~ 107d)는 상기 카세트(110a ~ 110d)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카세트(110a ~ 110d)의 직전 이송경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상기 카운터(107a ~ 107d)의 예로는 IR 센서가 있다. 이하에서는 IR 센서로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서 배출된 지폐 중 겹쳐 있거나 손상이 심한 지폐를 회수 이송로(D)를 경유하여 회수하고 저장하기 위한 회수 카세트(104)가 구비된다.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를 회수하고, 운영할 지폐를 다시 보충하기 위한 회수/보충 카세트(120)가 구비된다. 상기 회수/보충카세트(120)는 상기 카세트(110a ~ 110d)의 지폐 매수정보와 후술하는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정보가 불일치 하는 조건(이하, '불일치 조건'이라 칭하기로 함)이 발생한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서 지폐를 회수하고 다시 해당 카세트(110a ~ 110d)로 지폐를 보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해당 카세트(110a ~ 110d)로 보충되는 지폐의 매수는 상기 IR 센서(107a ~ 107d)가 계수하여 메모리(112a ~ 112d)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지폐 매수는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따라서 해당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불일치 조건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서 출금된 지폐를 지폐 인식부(106)에서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와, 상기 카세트(110a ~ 110d)의 진출입부에 장착된 센서가 고장난 경우와,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서 지폐 출금시 잼이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폐는 회수 이송로(D)를 통해 회수 카세트(104)로 회수된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카세트(110a ~ 110d)의 실제 지폐 매수와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가 서로 달라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모든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불일치 조건으로 설정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의 매수를 표시하는 계원 표시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계원 표시부(130)는 계원이 조작하는 계원 조작모듈에 구비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 각각 수납된 권종별 매수를 표시한다.
상기 불일치 조건이 발생한 경우, 해당하는 카세트(110a ~ 110d)에서 지폐를 회수/보충 카세트(120)로 회수하고, 다시 해당 카세트(110a ~ 110d)로 일정 매수의 지폐를 보충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구비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40)는 환류식 금융 자동화기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의 매체 정산에 대한 작용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의 매체 정산방법을 단계별로 보인 흐름도이다.
우선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100)에서 카세트(110a ~ 110d)에 수납된 지폐가 정상 출금된 경우이다.
고객이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10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출금 요청한다(s100). 그러면, 상기 제어부(140)는 출금 요청에 따라 해당 금액만큼의 지폐를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서 픽업한다(s102). 예컨대, 상기와 같이 4개의 카세트(110a ~ 110d) 중 하나(110a)에는 오만원권 지폐, 다른 하나(110b)에는 만원권 지폐, 또 다른 하나(110c)에는 오천원권 지폐, 또 다른 하나(110d)에는 천원권 지폐가 있다고 보고, 고객이 57,000원을 출금 요청하였다면, 상기 제어부(140)는 오만원권 지폐*1매, 오천원권 지폐*1매, 천원권 지폐*2매를 해당하는 카세트(110a)(110c)(110d)에서 픽업하는 것이다.
이렇게 픽업된 지폐는 순환 이송로(B)를 경유하여 순차적으로 지폐 인식부(106)로 전달된다.
상기 지폐 인식부(106)는 자신의 입구쪽으로 유입되는 지폐들을 정상적으로 인식하면(즉, 지폐 1매씩 인식함)(s104), 방출 이송로(C)를 경유하여 상기 수납/방출부(102)에 순차적으로 적재되게 한다(s106).
상기 수납/방출부(102)에 적재된 지폐는 도어가 개방되면 고객이 수취한다(s108).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카세트(110a ~ 110d)는 내부에서 인출된 지폐 매수에 대한 계수는 상기 IR 센서(107a ~ 107d)가 수행하고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 남아있는 지폐 매수는 메모리(112a ~ 112d)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메모리(112a ~ 112d)를 액세스한 후, 이를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따라서 계원은 계원 표시부(130)를 통해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 매수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고객의 출금 요청에 따라 카세트(110a ~ 110d)에서 요청된 매수를 인출할 때 잼이 발생하거나, 지폐 인식부(106)가 픽업된 지폐를 정상 인식하지 못하는 불일치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04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못한 지폐는 회수 이송로(D)를 통해 회수 카세트(120)로 회수된다(s110). 비록 회수 카세트(120)로 지폐가 회수되지만, 고객이 요청한 금액은 상기 수납/방출부(102)로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카세트(110a ~ 110d)에서 지폐의 픽업 동작은 출금 금액에 도달하기까지 계속 수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불일치 조건이 발생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 매수의 정확성을 신뢰할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상기 카세트(110a ~ 110d)의 지폐 매수와 상기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가 동일한가에 대한 신뢰성이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어부(140)는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100)의 구동 상태에 따라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를 회수하고 다시 보충하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다시 말해 상기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일단 상기의 지폐의 회수 및 보충을 위한 시점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지폐가 픽업된 카세트(110a ~ 110d)에 있는 지폐 전부를 회수 이송로(D)를 통해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120)로 회수한다(s114).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120)에는 이미 일정 매수의 지폐가 적재된 상태이거나 전혀 지폐가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지폐의 회수 및 보충 시점이 도래하지 않으면,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100)는 계속 구동하면서, 회수/보충 시점이 올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s113).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120)로 지폐가 회수된 다음, 상기 제어부(140)는 다시 해당 카세트(110a ~ 110d)로 지폐를 보충되게 한다(s116). 이때, 상기 IR 센서(107a ~ 107d)는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120)에서 픽업되어 카세트(110a ~ 110d)로 보충되는 지폐 매수를 정확하게 계수한다(s118).
이러한 동작에 따라 해당 카세트(110a ~ 110d)로 보충된 지폐는 그 매수가 정확하게 계수되고, 그 계수된 지폐 매수는 카세트(110a ~ 110d)의 메모리(112a ~ 112d)에 저장된다(s1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40)는 메모리(112a ~ 112d)에 저장된 지폐 매수를 상기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122).
따라서 상기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는 상기 카세트(110a ~ 110d)에 적재된 지폐 매수와 동일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계원은 상기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신뢰성 있는 지폐 매수를 확인하고 정산을 할 수 있다(s124).
상술한 지폐의 회수 및 보충 동작의 수행 시점은 제어부(140)의 제어동작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고객이 금융거래를 할 때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이 발생하면 금융거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기 환류식 금융 자동화기기(100)가 일정 시간 이상 금융 거래를 하지 않을 때나, 또는 환류식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운영 시간이 완료된 시점에, 회수 및 보충 동작이 수행되도록 해야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영업점이나 지점 등에 분산되어 복 수개가 설치된다. 이 경우 계원은 불일치 조건이 발생한 금융자동화기기에 대해 지폐의 회수/보충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 계원 표시부(130)에 표시된 지폐 매수의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계원은 원거리에서 지폐의 회수 및 보충이 이루어진 금융자동화기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산동작에 따라 금융자동화기기의 운영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을 보면, 복수 개의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200 ~ 200n)가 설치된다. 설치는 동일한 장소일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장소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200 ~ 200n)는 임의의 카세트에서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신호 정보를 후술하는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ATMS)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신호 정보는 다양한 포맷으로 가능하다.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신호이면 되고, 다만,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200 ~ 200n)가 설치된 지점 및 기기 ID가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200 ~ 200n)와 연결된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ATMS, 이하 '관리시스템'이라고 함)(300)이 구성된다. 상기 관리시스템(300)에는 임의의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상기의 신호 정보를 전달받고, 대응되는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가 지폐의 회수/보충이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정보 제공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정보 제공부(310)는 계원이 회수/보충의 실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즉,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경보음을 청취하도록 구성된다.
그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임의의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200 ~ 200n)가 기기 동작 중에 불일치 조건이 발생하고, 이후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신호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신호정보는 상기 관리시스템(300)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관리시스템(300)은 정보 제공부(310)를 통해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이 완료된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를 표시한다.
따라서, 계원은 상기 관리시스템(300)의 정보 제공부(310)를 통해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이 완료된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를 확인할 수 있고, 그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에 대해서는 계원표시부에 표시된 지폐 매수정보만을 가지고 마감 정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계원은 카세트에 적재된 지폐를 직접 회수하고 보충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 상기 관리시스템(300)의 정보 제공부(310)는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이 미실시된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는 상술한 불일치 조건이 발생하였지만, 고객이 많거나 기기 장애로 인하여 지폐의 회수/보충 동작을 수행할 최소한의 시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된다. 이에 해당하는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는 계원이 직접 카세트내의 지폐를 직접 회수하여 계수하고, 이를 은행 서버의 정보와 대조한 다음, 이후 운영할 지폐 매수를 재 보충하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여 기기를 운영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금융자동화기기 102 : 수납/방출부
104 : 회수 카세트 106 : 지폐인식부
107 : 카운터 110 : 카세트
112 : 메모리 120 : 회수/보충 카세트
130 : 계원 표시부 140 : 제어부
300 :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
310 : 정보 제공부

Claims (7)

  1. 입금 요청된 매체를 수납하고, 출금 요청시 수납된 매체가 픽업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로 인입되는 매체를 계수하는 카운터;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지폐의 매수를 표시하는 계원 표시부;
    상기 카세트에 수납할 매체 및 상기 카세트에서 픽업되는 매체를 인식하는 매체 인식부;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지폐를 회수하고, 운영할 지폐를 다시 보충하기 위한 회수/보충 카세트;
    매체의 매수 불일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에서 해당하는 카세트로 매체를 보충하되, 상기 카운터에서 계수한 카세트로 인입되는 매체의 매수를 상기 계원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에는 내부에 수납된 매체의 매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상기 계원 표시부에 카세트에 저장된 매체의 매수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카운터가 상기 매체의 매수를 계수하지 못하더라도, 현재 진행중인 금융거래는 정상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매체의 매수를 계수하지 못한 경우, 진행중인 거래가 완료된 경우, 금융거래가 일정 시간 이상 진행되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매체를 회수 및 다시 보충하는 동작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의 회수/보충 동작에 대한 신호를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6. 매체 매수의 불일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카세트 내의 매체를 회수하고 상기 회수된 매체를 카세트 내로 보충하되, 보충 시에 카세트 내로 인입되는 매체의 매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며, 회수 및 보충을 통한 매체의 계수 여부를 통보하는 복수 개의 금융자동화기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상기 매체의 계수 여부를 통보받아 상기 매체의 계수를 수행한 금융자동화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
  7. 금융자동화기기가,
    카세트에 수납된 매체를 픽업하는 단계;
    상기 매체 픽업시 픽업되는 매체의 매수를 카운터가 계수하는 단계;
    상기 매체 매수의 계수 단계에서 매체 매수의 불일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매체 전부를 회수/보충 카세트로 회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매체 회수 후 상기 회수/보충 카세트에 수납된 매체를 회수 동작이 발생한 카세트로 보충하되, 상기 보충되는 매체의 매수를 카운터가 계수하여 상기 카세트의 매수 정보를 계원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KR1020100112871A 2010-11-12 2010-11-12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KR10114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71A KR101144893B1 (ko) 2010-11-12 2010-11-12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71A KR101144893B1 (ko) 2010-11-12 2010-11-12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893B1 true KR101144893B1 (ko) 2012-05-14

Family

ID=4627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871A KR101144893B1 (ko) 2010-11-12 2010-11-12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8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53B1 (ko) * 2005-03-22 2007-02-12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KR20090069702A (ko) * 2007-12-26 2009-07-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관리모듈 및 지폐관리방법
KR101001692B1 (ko) * 2008-08-13 2010-12-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환류식 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53B1 (ko) * 2005-03-22 2007-02-12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KR20090069702A (ko) * 2007-12-26 2009-07-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관리모듈 및 지폐관리방법
KR101001692B1 (ko) * 2008-08-13 2010-12-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환류식 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564B1 (ko) 현금처리기
JP5868620B2 (ja) 紙幣処理装置
TWI333634B (ko)
JP4866021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CN107590923B (zh) 自助设备余额的计数方法
JP2014106791A (ja) 貨幣入出金装置及び貨幣入出金装置の貨幣管理方法
JP5760984B2 (ja) 紙幣処理装置
JPH117567A (ja) 自動出納機および自動出納機への紙幣補給方法
JP2012226494A (ja) 紙葉類処理装置
US20140124573A1 (en) Cash handling system, cash handling method, management unit and cash accounting apparatus
WO2013145600A1 (ja) 貨幣処理装置
WO2013153572A1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2198764A (ja) 貨幣処理装置
JP5178012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5092308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KR20160066164A (ko) 다권종 환류카세트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12116A (ko) 입금액 수정기능이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
KR20080109597A (ko) 현금관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현금관리시스템
WO2016129311A1 (ja) 自動取引装置、その計数方法、およ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4826032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及び現金管理方法
JP2013205908A (ja) 貨幣処理装置
KR101144893B1 (ko)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JP2018206247A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JP2007094933A (ja) 自動取引装置
WO2013153573A1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