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479B1 -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 및 부품 실장기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 및 부품 실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479B1
KR101244479B1 KR1020087019452A KR20087019452A KR101244479B1 KR 101244479 B1 KR101244479 B1 KR 101244479B1 KR 1020087019452 A KR1020087019452 A KR 1020087019452A KR 20087019452 A KR20087019452 A KR 20087019452A KR 101244479 B1 KR101244479 B1 KR 10124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mponent mounter
unit
component
maintenanc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367A (ko
Inventor
게이타 모리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0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88Ergonomics; Operator safety; Training; Failsafe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95Maintenance systems or processes, e.g. indicating need for mainten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1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by utilizing optical sight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22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eans to test work or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부품 실장기에 명령을 내린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의 어느 측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1)와,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 상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함으로써 위치 제어를 행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 및 부품 실장기{COMPONENT MOUNTER CONTROL METHOD AND COMPONENT MOUNTER}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전자 부품 등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를 제어하는 부품 실장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부품 실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로 기판에 전자 부품(이하 간단히 '부품'이라고 칭한다)을 실장하는 장치로서 기능하는 부품 실장기가 있어 왔다. 부품 실장기는 부품 실장기 및 배치 헤드 석션에 부품을 제공하는 테이프 피더 등의 복수의 부품 공급 유닛이 병렬로 구비되어, 부품 공급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부품을 회로 기판에 전송 및 실장한다.
이들 부품 실장기의 동작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부품 실장기의 앞 또는 뒤에서 동작가능한 부품 실장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들 부품 실장기에서, 부품 실장기의 정면 및 후면에 동작 유닛이 있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에 커맨드를 주고, 사용자의 커맨드에 기초하여 배치 헤드와 같은 이동 유닛은 시프트한다. 이동 유닛을 시프트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 유닛 또는 이동 유닛 이외의 구성 요소를 세정 및 교환하는 등의 유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공보 번호 9-130084
그러나, 종래의 상기 부품 실장기에서, 유지 작업이 상기와 같이 행해질 때 이동 유닛이 시프트하는 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을 직접 지지하고, 부품 실장기에서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상에 유지되는 복수의 지지핀의 위치를, 부품이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형상에 따라서 교환 및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지지 핀 교환이라 칭한다.
핀 교환은 부품 실장기로부터 지지 블록을 제거한 후 행해진다. 이 점에서, 이동 배치 헤드 등의 이동 유닛이 측면 중 하나에 오고, 사용자는 반대측으로부터 지지 블록을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부품 실장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장기에게 지지핀 교환의 실행을 명령할 때, 명령이 정면으로부터 내려졌는지 또는 후면으로부터 내려졌는지에 상관없이, 배치 헤드는 후면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지지 블록은 부품 실장기의 정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즉,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이 후면의 동작 유닛으로부터 내려졌을 때조차도 사용자는 정면으로 이동하여 지지 블록을 제거해야 한다.
한편, 예를 들면, 세정이 배치 헤드에 대해 실행될 때, 세정을 쉽게 하기 위해 배치 헤드는 부품 실장기의 정면 또는 후면으로 시프트되어, 배치 헤드는 세정된다.
예를 들면, 2개의 배치 헤드 A 및 B를 포함하는 종래의 부품 실장기에서, 사용자는 어느 배치헤드가 세정되어야 하는지를 분명히 명령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가 있는 부품 실장기의 측에 가장 가까운 배치 헤드를 사용자가 세정할 때, 사용자 는 사용자 자신의 위치와, 배치 헤드가 A인지 B인지를 판단해야 하고, 그리고나서 동작 유닛으로부터 분명한 명령을 내려야 한다. 즉, 유지 작업을 실행할 때 불필요한 부담이 사용자에게 주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종래의 부품 실장기에 유지 작업을 행할 때, 불필요한 시간과 노동 비용이 사용자에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에 대해 유지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과 부품 실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은 회로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부품 실장기에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의 어느 측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에 유지 작업이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에 유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유지 작업이 시작될 때, 사용자가 있는 부품 실장기의 측과,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어야 하는 측 등을 판단할 필요가 또한 없다. 즉, 사용자에게 유지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는 사용자에 의한 명령을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상기 접수단계에서 접수될 때, 사용자가 존재하는 부품 실장기의 측이 판단될 수 있다. 부품 실장기 제어는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에 명령을 내리는 복수의 동작 유닛을 포함하고, 접수 단계에서, 동작 유닛의 하나로부터 내려진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접수되고, 판단 단계에서, 어느 동작 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명령을 내리는지에 따라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부품 실장기의 측이 판단될 수 있다.
그래서, 부품 실장기는 사용자에 의한 동작 유닛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부품 실장기의 어느 측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품 실장기를 구동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작 유닛으로부터 몇몇 종류의 명령을 사용자가 내릴 때, 사용자가 존재하는 부품 실장기의 측이 판단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전형적인 동작이 확인되고 판단될 수 있다. 그래서, 판단 동작 동안,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부담이 주어지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동작 유닛은 부품 실장기의 정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판단 단계에서, 접수 단계의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정면의 동작 유닛으로부터 내려질 때,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의 정면에 존재한다고 판단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후면의 동작 유닛으로부터 내려진 명령이 접수단계에서 접수될 때,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의 후면에 존재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래서, 정면 및 후면에 동작 유닛을 갖는 부품 실장기에서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에서, 유지 작업은 이동 유닛 이외에 부품 실장기의 구성 요소에서 실행되고, 시프트단계에서, 이동 유닛은 유지 작업에 필요한 소정의 영역의 외부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함으로서 유지 작업이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유닛은 시프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 작업에 필요한 소정의 영역의 외부로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고, 즉,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이동 유닛을 후퇴시킴으로써, 유지 작업을 목표로 하는 구성 요소가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에서 제거될 수 있거나, 사용자는 구성 요소를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블록의 제거, 지지핀의 교환, 회로 기판에 실장하기 위해 부품 실장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유닛의 교환,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에 관련된 정보를 광학적으로 확인하는 광학 시스템의 유지, 노즐 스테이션에 의해 유지된 노즐의 교환 등의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부품 실장기 제어방법에서, 유지 작업은 이동 유닛에서 실행되고, 시프트단계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으로 이동 유닛 중 적어도 일부분을 시프트함으로써 이동 유닛이 시프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유닛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으로 이동 유닛중 적어도 일부분을 시프트함으로써,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으로부터 이동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유닛의 그리싱(greasing), 배치 헤드의 세정 및 교환 등의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부품 실장기는 회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이며, 부품 실장기에 명령을 내린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의 어느 측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유닛과, 판단 유닛에 의한 판단 결과의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의 부품 실장기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위치 제어 유닛을 또한 포함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에서 부품 실장기에 유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작업이 시작될 때,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의 어느 측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와 어느 측으로 이동 유닛이 시프트해야 하는지 등을 판단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가 유지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허용하는 부품 실장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에서 상기 서술된 특징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CD-ROM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와 집적 회로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통신 네트워크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서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상에서 유지 작업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방법 및 부품 실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명세서, 도면 및 청구항을 포함하는, 2006년 2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6-34447의 개시 사항은, 여기에 참고로 전체 통합되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부품 실장기의 대각선으로 앞에서 본 대각선도이고, b는 부품 실장기의 대각선으로 뒤에서 본 대각선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의 필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의 필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에 대한 구조적 개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의 기능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유지 작업에 관련된 사용자 공급 명령이 부품 실장기에 주어질 때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정면 동작 유닛상의 정면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예와 정면 버튼에 대한 버튼 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부품 실장기에 대해 지지 핀 교환이 행해질 때 정면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에 대해 지지 핀 교환이 행해지는 동안 이동 유닛에 대한 위치 제어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처리의 흐름에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0a는 부품 실장기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경우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0b는 부품 실장기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경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을 받은, 실시예의 부품 실장기에서 이동 유닛의 위치를 시프트하는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고, a는 부품 실장기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고, b는 부품 실장기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이동 유닛에 그리스를 공급하라는 명령을 받은, 실시예의 부품 실장기에서 이동 유닛의 위치를 시프트하는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고, a는 부품 실장기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이 수신된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고, b는 부품 실장기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3은 배치 헤드를 세정하라는 명령을 받은, 실시예의 부품 실장기에서 이동 유닛의 위치를 시프트하는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고, a는 부품 실장기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고, b는 부품 실장기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다.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부품 실장기 2. 정면 동작 유닛
2a. 정면 터치 패널 2b. 정면 버튼 유닛
2c. 선택 버튼 3. 후면 동작 유닛
3a. 후면 터치 패널 3b. 후면 버튼 유닛
3c. 선택 버튼 4. 상태 표시 램프
5, 6, 7, 8. 피더 테이블 9. 파워 스위치
10. 정면 커버 11. 후면 커버
15. 배치 헤드 15a. 노즐
16. XY 유닛 17. 빔
20. 배치 교환 카트 30. 지지 블록
31. 회로 기판 컨베이어 31a, 31b. 컨베이어 폭 근사 유닛
32. 노즐 스테이션 33. 라인 카메라
100. 판단 유닛 101. 위치 제어 유닛
102. 제1 실장 스테이지 103. 제1 정면 이동 유닛
104. 제1 후면 이동 유닛 105. 제2 실장 스테이지
106. 제2 정면 이동 유닛 107. 제2 후면 이동 유닛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는 부품 실장기(1)의 정면과 위에서 본 대각선도이고, 도 1b는 부품 실장기(1)의 후면 및 위에서 본 대각선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회로 기판상에 복수의 유형의 부품을 실장하는 장치이고, 도 1a 및 1b에 도시된 것같이, 정면 동작 유닛(2)과 후면 동작 유닛(3)을 포함한다.
정면 동작 유닛(2)은 정면 터치 패널(2a)과 정면 버튼 유닛(2b)로 구성된다. 정면 터치 패널(2a)은 LCD 터치 패널등의 표시 장치이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유지 작업 등에 관련된 명령을 부품 실장기(1)에 내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1)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오퍼레이터' 등으로 알려져 있다.
정면 버튼 유닛(2b)은 모든 작업 등에 따라서 부품 실장기(1)에 명령을 내리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버튼 그룹이다. 후면 동작 유닛(3)은 동일한 방식으로 후면 터치 패널(3a)과 후면 버튼 유닛(3b)으로 또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부품 실장기(1)는 정면 및 후면으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접수할 수 있는 부품 실장기이다.
정면 조작 유닛(2)과 후면 조작 유닛(3)은 오직 하나만이 사용자 명령을 실제로 접수할 수 있도록 배타적으로 제어된다. 동작 유닛에 대한 표시 정보, 버튼 구성 등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 서술한다.
또한, 부품 실장기(1)는 사용자에게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상태 표시 램프, 및 회로기판에 실장된 부품이 임시적으로 놓여지는 피더 테이블(5 ~ 8)을 포함한다. 부품 실장기(1)의 메인 전원에 전원을 입력 및 차단하는 파워 스위치(9)가 정면에 포함되어 있다.
2개의 정면 커버(10)와 2개의 후면 커버(11)는 각각 개폐될 수 있고, 필요할 때, 커버가 개방 상태로 설정된 채 부품 실장기(1)의 각 유닛에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의 필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품 실장기(1)는 4개의 배치 헤드(15)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서 각 배치 헤드(15)를 시프트 하는 XY 유닛(16)을 포함한다. 부품 실장기의 정면에서 2개의 종래의 배치 헤드(15)는 도면에 포함되지 않는 것에 주의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같이, X축 방향은 회로 기판의 전달 방향에 평행하 고, Y축 방향은 X축 방향에 수직이고, 회로 기판의 기판 면에 평행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같이, 정면 및 후면 상에 2개의 XY 유닛(16)이 있고, XY 유닛(16)은 X축 방향에 평행인 각 빔(17)에 공급된다. 따라서, 배치 헤드(15)는 정면 및 후면 상의 각 빔(17)상에 구성된다.
배치 헤드(15)는 XY 유닛(16)에 의해 X축 방향으로 빔(17)을 따라서 전송된다. 빔(17)은 XY 유닛(16)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서 전송되며, X축 방향에 평행으로 남아 있다. 그래서, 배치 헤드(15)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전송된다.
배치 헤드(15)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따라서 시프트하는 동안, 부품을 회로 기판에 반복하여 석션하여 실장하는 구성 요소이고, 회로 기판에 부품을 석션하여 실장하는 복수의 노즐(15)을 포함한다.
앞뒤를 마주보는 배치 헤드(15)의 세트가 하나의 회로 기판에 부품을 교대로 실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에 부품을 교대로 실장하는 것은 "교대 펀칭(alternate punching)"으로 알려져 있다. 즉, 부품 실장기(1)는 교체 펀칭 부품 실장기이다.
2세트의 배치 헤드(15)는 부품 실장기(1) 내의 앞뒤를 마주 본다. 즉, 부품 실장기(1)는 2개의 실장 스테이지를 갖는다.
각 배치 헤드(15)가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부품들은 예를 들면 테이프 피더에 의해 공급된다. 테이프 피더는 릴에 감겨진 부품 테이프를 보유하고,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유닛의 예이다. 복수의 테이프 피더는 배치 교환 카트(20)를 사용하는 부품 실장기(1)의 배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배치 교환 카트(20)는 부품 공급 유닛을 배치로 교환할 수 있는 장치이고, 부품 실장기(1)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유닛의 예이다.
예를 들면, 부품 실장기에 의해 목표로 하는 회로 기판의 유형이 변화할 때, 회로 기판에 실장되도록 설정된 부품 세트는 배치 교환 카트(20)가 부품을 교환하는 것과 함께 변화할 수 있다.
하나의 배치 교환 카트(20)는 앞뒤의 각각의 실장 스테이지에 대해 설정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배치 교환 카트(20)는 부품 실장기(1)의 후면상의 각 실장 스테이지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의 원래의 내부 요소를 표시하는 제2 도면이다.
부품 실장기(1)는 각 실장 스테이지에서 회로 기판을 전송하는 회로 기판 컨베이어(31)를 포함한다. 지지 블록(30)은 각 회로 기판 컨베이어(31) 아래에 포함묀다. 각 회로 기판 컨베이어(31)에서, 2개의 레일 간격은 2개의 컨베이어 폭 근사 유닛(31a, 31b)에 의해 변형된다. 예를 들면, 지지 핀을 교환할 때, 지지 블록(30)이 올려질 수 있도록 2개의 레일 사이의 간격은 확장된다.
회로 기판 컨베이어(31)에 의해 전송된 회로 기판은 지지 블록(30)에 의해 보유된 복수의 지지핀(비도시)에 의해 지지되고, 부품은 배치 헤드(15)의 세트에 의해 실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의 정면에서 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송이된다. 즉, 교대 펀칭을 사용하여 좌측 실장 스테이지에서 하나의 회로 기판상에 부 품이 실장되고, 또한, 교대 펀칭을 사용하여 우측 실장 스테이지에서 회로 기판상에 부품이 실장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에 대한 구조 개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바닥면은 부품 실장기(1)의 정면이다. XY 유닛(16)은 각 배치 헤드(15) 아래에 존재하지만, XY 유닛(16)은 도시되지 않고, 도면과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서술되지 않는다. 각 XY 유닛(16)은 아래의 각 빔(17)을 따라서 Y축 방향을 따라서 시프트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같이, 부품 실장기(1)는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에 추가하여 노즐 스테이션(32)과 라인 카메라(33)를 포함한다.
노즐 스테이션(32)은 복수의 유형의 노즐을 보유하는 캐리지이고, 배치 헤드(15)는 노즐 스테이션(32) 상에 배치된 노즐에 대해 부착된 노즐을 교환할 수 있따. 또한, 라인 카메라(33)는 부품의 유형 및 석션 상태 등 배치 헤드(15)에 의해 석션된 부품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카메라이고, 렌즈 등의 광학 시스템을 포함한다. 각 4개의 배치 헤드(15)에 대해 노즐 스테이션(32)과 라인 카메라(33)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같이, 부품 실장기(1)의 상류측, 즉, 좌측의 실장 스테이지는 제1 실장 스테이지(102)이고, 하류측, 즉, 우측의 실장 스테이지는 제2 실장 스테이지(105)이다.
또한, 시프트될 수 있고, 위치가 제어될 수 있는 부품 실장기(1)의 구성 요소가 이동 유닛으로서 서술된다. 예를 들면, 배치 헤드(15), 빔(17) 및 XY 유 닛(16) 뿐 아니라, 이들의 조합 등으로 실현된 임의의 부품은 이동 유닛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앞뒤 실장 스테이지 상에 존재하는 배치 헤드(15)와 빔(17)의 세트는 이동 유닛으로서 취급되고 아래에 설명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것같이, 제1 실장 스테이지(102)의 정면 상의 제1 정면 이동 유닛(103)에 결합된 배치 헤드(15)와 빔(17), 제1 실장 스테이지(102)의 후면 상의 제1 후면 이동 유닛(104)에 결합된 배치 헤드(15)와 빔(17), 제2 실장 스테이지(105)의 정면 상의 제2 정면 이동 유닛(106)에 결합된 배치 헤드(15)와 빔(17), 및 제2 실장 스테이지(105)의 후면 배치 헤드(15), 제2 실장 스테이지(105)의 후면 상의 제2 후면 이동 유닛(107)에 결합된 빔(17)에 대해 설명한다.
각각의 상기 이동 유닛은 Y축 방향을 따라서 전체 시프트될 수 있다. 또한, 각 이동 유닛에서 배치 헤드(15)는 빔(17)의 X축 방향을 따라서 시프트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의 기능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부품 실장기가 종래 포함하고 있는 회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기능들 등의 도면 및 설명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인, 부품 실장기(1)에서 유지 작업을 위한 제어 기능에 관한 도면 및 설명이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같이, 부품실장기(1)는 그 기능 구조에서, 정면 동작 유닛(2), 후면 동작 유닛(3), 판단 유닛(100), 위치 제어 유닛(101), 제1 정면 이동 유닛(103), 제1 후면 이동 유닛(104), 제2 정면 이동 유닛(106) 및 제2 후면 이동 유닛(107)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된 것같이, 제1 정면 이동 유닛(103)과 제1 후면 이동 유닛(104)은 제1 실장 스테이지(102)에서 부품 실장을 위한 이동 유닛인 배치 헤드(15)와 빔(17)을 각각 포함하고, 제2 정면 이동 유닛(106)과 제2 후면 이동 유닛(107)은 제2 실장 스테이지(105)에서 부품 실장을 위한 이동 유닛인 배치 헤드(15)와 빔(17)을 각각 포함한다.
정면 동작 유닛(2)과 후면 동작 유닛(3)은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에 명령을 내리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 유닛이고, 부품 실장기(1)의 정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다.
판단 유닛(100)은 부품 실장기(1)에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어느 측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처리 유닛이다.
위치 제어 유닛(101)은 판단 유닛(100)에 의한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1)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는 위치로 각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처리 유닛이다.
그래서,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는 위치, 즉,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1)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는 위치"란, 유지 작업의 목표가 되는 구성 요소를 제거하고, 구성 요소를 눈으로 확인하거나 만지는 등의 각 유지 작업이 효율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이다. 즉, 위치는 유지 작업의 유형, 구성 요소의 위치, 그 크기, 형상 및 구성 요소가 이동 유닛인지 또는 이동 유닛 이외의 유닛인지 등에 따라서 변화하고, 그 위치는 이들 조건 및 규칙에 의해 도출되며, 소정 영역의 내측 또는 소정 영역의 외측으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의 기능에 대해 도 6 내지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유지 작업에 관한 명령이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에 내려질 때 기능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되는 것같이, 부품 실장기(1)는 어느 측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 판단 결과에 따르면, 이동 유닛은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1)상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는 위치로 시프트된다(S2).
상기 판단(S1)은 상기 표시된 것같이 판단 유닛(100)에 의해 실행되고, 위치 제어 유닛(101)은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1 정면 이동 유닛(103) 등을 시프트한다. 즉, 각 실장 스트레이지에서 배치 헤드(15) 등은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서 시프트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명령이 내려지는 측에서 지지 핀을 교환하고, 라인 카메라(33)를 세정하는 등의 유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아래에, 각각의 동작 유닛에 대해 디스플레이의 예 등을 도시하고, 부품 실장기(1)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정면 동작 유닛(2)에서 정면 터치 패널(2a)의 디스플레이의 예와 버튼 유닛(2b)에 대한 버튼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정면 터치 패널(2a)은 사용자에게 유지 작업에 관련된 명령을 내릴 수 있게 하는 유지 메뉴 스크린을 표시한다. 또한, 후면 동작 유닛(3)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버튼 구 성 및 그 각각의 기능들은 정면 동작 유닛(2)에서와 동일하고, 도 7에서 괄호내의 코드는 후면 동작 유닛(3)에서 각 유닛에 대한 코드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같이, 정면 버튼 유닛(2b)에는 선택 버튼(2c)이 있다. 선택 버튼(2c)은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에 명령을 내리는 것을 허용하는 버튼이고, 명령은 정면 동작 유닛(2)이 동작 가능하게 만든다.
이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 ON으로 설정될 때, 정면 동작 유닛(2)은 동작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로부터 후속의 명령이 접수될 수 있다. 선택 버튼(2c)이 ON으로 설정될 때, 선택 버튼(2c)의 상부 좌측 섹션의 표시기(도면에서 선택 버튼(2c)의 상부 좌측 섹션에 원으로 표시)가 발광한다.
또한, 선택 버튼(2c)이 ON으로 설정될 때, 후면 동작 유닛(3)의 선택 버튼(3c)이 OFF로 설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 버튼(3c)이 ON으로 설정될 때, 정면 동작 유닛(2)의 선택 버튼(2c)이 OFF로 설정된다. 즉, 정면 동작 유닛(2)과 후면 동작 유닛(3) 모두로부터 부품 실장기(1)에 동시에 지시가 주어질 수 없다.
또한, 정면 버튼 유닛(2b) 내부의 UNLOCK 버튼은 UNLOCK 버튼 자신을 제외하고 정면 동작 유닛(2)상의 모든 버튼을 동작가능하게 하는 버튼으로, 즉, UNLOCK 버튼을 누르면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2c)을 누른 후, UNLOCK 버튼을 누르면서 다른 버튼을 누름으로써, 명령은 다른 버튼에 대응하여 부품 실장기(1)에 보내질 수 있다. 아래에는, 간편함을 위해 UNLOCK 버튼에 대한 동작은 설명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정면(후면)에 있을 때, 사용자는 선택 버튼(2c)(3c)을 ON으로 설정하고, 정면 터치 패널(2a)(후면 터치 패널(3a))상에 디스 플레이된 버튼중에서 원하는 유지 작업에 따르는 버튼을 누른다. 그래서, 스크린은 선택된 유지 작업용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지지 핀 교환"을 표시하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은 도 8의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라서 부품 실장기(1)에서 지지핀이 교환될 때, 정면 터치 패널(2a)에서 디스플레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것같이, 정면 버튼 유닛(2b)에서 선택 버튼(2c) 상의 표지기가 발광하며(표지기를 블랙으로 채움으로써 발광이 표시되고, 아래에도 동일하다), 정면 동작 유닛(2)이 동작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지지 핀을 교환하라는 안내 스크린이 정면 터치 패널(2a)에 표시된다. '시작'을 표시하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즉,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내려질 때, 부품 실장기(1)는 지지핀을 교환하기 위해 이동 유닛의 위치 제어를 시작한다. 또한, '종료'가 표시된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지지핀을 교환하기 위한 이동 유닛의 위치 제어가 종료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라서 부품 실장기에서 지지 핀을 교환하는 이동 유닛의 위치 제어에 대한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지지핀을 교환하는 부품 실장기(1)의 동작을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품 실장기(1)는 정면 동작 유닛(2)에서 선택 버튼(2c)이나 후면 동작 유닛(3)에서 선택 버튼(3c)이 사용자에 의해 ON으로 설정되었음을 접수한다(S10). 즉, 정면 동작 유닛(2) 또는 후면 동작 유닛(3)에 의해 지시가 접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유닛이 활용되게 한다.
판단 유닛(100)은 사용자 동작이 실행되는 부품 실장기의 측을 획득하여, 부품 실장기(1)의 어느 측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더 구체적으로, 판단 유닛(100)은 부품 실장기(1)의 정면 상에 선택 버튼(2c)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는, 판단 유닛(100)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선택 버튼이 선택 버튼(2c)인지 또는 선택 버튼(3c)인지를 판단한다(S11). 그래서, 판단 유닛(100)은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정면 또는 후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정면에 존재한다고 판단될 때(S11에서 정면), 지지핀 교환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내려지고, 위치 제어 유닛(101)은 제1 후면 이동 유닛(104)과 제2 후면 이동 유닛(107)을 후면으로 시프트한다(S12). 또한, 위치 제어 유닛(101)은 제1 정면 이동 유닛(103)과 제2 정면 이동 유닛(106)을 후면으로 시프트한다(S13). 즉,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부품 실장기(1)는 소정 영역 외부로 각 이동 유닛을 시프트한다.
이들 동작에 있어서, 지지 블록(30)은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 즉, 정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판단 유닛(100)은 상기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록한다(S11).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접수하는 동작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유형, 또는 신호 전송 루트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유닛이 정면상의 동작 유닛인지 또는 후면상의 동작 유닛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조정되 어(coordinated), 위치 정보로서 소정 저장 영역(비도시)에 저장된다.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 정면 동작 유닛(2)으로부터 내려질 때, 판단 유닛(100)은 사용자가 정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 후면 동작 유닛(3)으로부터 내려질 때, 판단 유닛(100)은 사용자가 후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치 제어 유닛(101)은 판단 유닛(100)에 의해 만들어진 판단 결과에 따라서 이동 유닛의 위치 제어를 행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어느 측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위치 제어되는 이동 유닛 및 이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어야 하는 위치을 나타내는 정보가 유지 작업의 유형에 따라서 제어 정보로서 조정되고, 제어 정보는 소정의 저장 영역(비도시)에 저장된다.
위치 제어 유닛(101)은, 판단 유닛(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위치 제어의 목표가 되어야 하는 이동 유닛이 목적지 위치로 시프트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XY 유닛(16)은 그 자체를 시프트하고, 위치 제어의 목표가 되는 이동 유닛이 위치 제어 유닛(101)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위치로 시프트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 유닛을 시프트한 뒤, 또는 적어도 지지 블록(30)이 들어 올려지기 전에, 각 실장 단계에서 각 회로 기판 컨베이어(31)의 사이의 레일 폭이 확장한다(S14).
회로 기판 컨베이어(31) 사이의 레일 폭은 지지 블록(30)이 레일 사이에서 통과할 수 있는 지점까지 확장될 때, 각 지지 블록(30)이 들어 올려진다(S15).
각 지지 블록(30)이 제거될 수 있는 위치까지 올려질 때, 사용자에 의해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제거된다(S16). 판단 유닛(100)에 의한 상기 판단 결과로서(S11),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후면 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될 때(S11에서 후면), 및 핀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내려질 때, 위치 제어 유닛(101)은 제1 정면 이동 유닛(103)과 제2 정면 이동 유닛(106)을 정면으로 시프트한다(S17). 또한, 제1 후면 이동 유닛(104)과 제2 후면 이동 유닛(107)이 정면으로 시프트된다(S18). 즉, 유지 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부품 실장기(1)는 소정 영역의 외부로 각 이동 유닛을 시프트한다.
이들 동작을 실행하면, 지지 블록(30)은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 즉, 후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부품 실장기(1)의 정면(S11에서 정면) 상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될 때와 똑같이, 각 회로 기판 컨베이어(31) 사이의 레일 폭이 떨어지고(S19), 각 지지 블록(30)이 상승된다(S20). 각 지지 블록(30)이 제거될 수 있는 위치로 올려질 때, 각 지지 블록은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거된다(S21).
사용자가 지지 블록(30)을 제거할 때, 지지 블록(30)에 설치된 지지 핀에 대해 사용자는 핀 교환, 구조 변경 등을 행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지지 블록(30)을 제거된 위치에 설정하고, 정면 터치 패널(2a) 상의 "종료"를 나타내는 버튼을 누른다.
"종료"를 나타내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 부품 실장기(1)는 지지 블록(30)을 그 소정 위치로 시프트하고, 회로 기판 컨베이어(31)의 소정의 레일 폭 등을 조정하고, 지지 핀 교환에 관련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위치 제어에 관련된 동작을 종료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처리의 흐름에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a는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0b는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부품 실장기(1)에서 제1 실장 단계(102)에 대해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개요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2 실장 단계(105)에 대해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것은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도 10a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것같이, 선택 버튼(2c)이 사용자에 의해 ON이 되고,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이 정면 터치 패널(2a)로부터 내려질 때, 부품 실장기(1)의 이동 유닛은 도 10a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것같이 시프트한다. 즉, [1] 제1 후면 이동 유닛(104)과 제1 정면 이동 유닛(103)이 후면으로 후퇴된다.
이어서, [2] 지지 블록(30)은 상승하고, [3] 사용자는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정면으로부터 지지 블록(3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0b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것같이, 선택 버튼(3c)이 사용자에 의해 ON이 되고,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이 후면 터치 패널(3a)로부터 내려질 때, 부품 실장기(1)의 이동 유닛은 도 10b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것같이 시프트한다. 즉, [1] 제1 정면 이동 유닛(103)과 제1 후면 이동 유닛(104)이 정면으로 후퇴된다.
이어서, [2] 지지 블록(30)은 상승하고, [3] 사용자는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후면으로부터 지지 블록(3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을 수신한 부품 실장기(1)에서 이동 유닛의 시프트된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1a는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평면 개략도이고, 도 11b는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평면 개략도이다.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정면으로부터 내려진 것인지 또는 후면으로부터 내려진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개략도의 바닥 및 정상의 양측에 선택 버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것같이, 부품 실장기(1)의 정면의 선택 버튼(2c)이 ON이 될 때, 즉,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부품 실장기(1)의 정면에서 내려질 때, 각각이 배치 헤드(15)와 빔(17)으로 구성된 제1 정면 이동 유닛(103), 제1 후면 이동 유닛(104), 제2 정면 이동 유닛(106), 제2 후면 이동 유닛(107)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 후퇴된다.
그래서, 2개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각 지지 블록(30)은 배치 헤드(15) 등이 간섭되지 않고 정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것같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의 선택 버튼(3c)이 ON이 될 때, 즉, 명령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내려질 때, 제1 정면 이동 유닛(103) 등의 이동 유닛이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 후퇴된다.
그래서, 2개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각 지지 블록(30)은 배치 헤드(15) 등이 간섭되지 않고 후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잇다.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것같이, 2개의 배치 헤드(15)를 동일 측으로 시프트할 때, 2개의 배치 헤드(15)의 부분이 X방향으로 중첩되고, 배치 헤드(15)의 위치가 X축 방향을 따라서 시프트되도록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즉, 서로를 향해 앞뒤 빔(17)을 잡아당김으로써, 유지 작업을 실행하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품 실장기(1)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명령을 내린 측으로부터 지지 블록(30)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명령이 후면으로부터 내려질때라도, 지지 블록(30)을 제거하기 위해 정면으로 움직일 필요가 없고, 후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명령을 내릴 때,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앞측에 있는지 또는 뒷측에 있는지를 사용자가 유념할 필요가 없다. 이동 유닛에게 앞측으로 뒤측으로 시프트하거나 앞측으로 시프트할 것을 분명히 지시할 필요는 또한 없다.
여기서, 분명한 지시가 요구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어야 하는 위치 뿐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사용자가 판단해야 할 때, 지지핀을 교환하기 위해, 스크린 상의 버튼 또는 버튼 그룹에서의 버튼과 같이 복수의 버튼중에서 "이동 유닛(A)을 정면으로 시프트" 등과 같은 버튼을 선택하여 누른다.
그러나,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을 내리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품 실장기(1)상에 오직 하나의 버튼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버튼을 잘못 누를 가능성이 줄어들고, 불필요한 작업 뿐 아니라 버튼을 잘못 누름으로 인한 시간 낭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부품 실장기는 부품 실장기(1) 상의 유지 작업이 사용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부품 실장기이다.
상기, 부품 실장기(1)의 공정이 유지 작업 유형의 일 예로서 지지 핀 교환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유지 작업이 부품 실장기(1)의 다른 구조 부품상에서 실행되어도 본 실시예의 부품 실장기(1)는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a의 개략도에 도시된 것같이, 사용자로부터 명령이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내려질 때, 및 각 이동 유닛이 후면으로 후퇴될 때, 사용자는 도면에서 대략 점선으로 둘러싸여진 영역내에 있는 부품 실장기(1)의 구조 부품상에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유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품 실장기(1)의 정면, 즉, 사용자가 명령을 내린 측으로부터, 부품 공급 유닛의 교환, 라인 카메라(33)의 렌즈 등의 광학 시스템의 세정 및 교환, 노즐 스테이션(32)에 의해 보유된 노즐의 교환하는 등의 유지 작업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도 11b의 개략도에 나타낸 것같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사용자로부터 명령이 내려지고, 각 이동 유닛이 정면으로 후퇴할 때, 도면에 점선으로 둘러싸여진 대략의 영역 상에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의 유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그래서, 유지 작업이 부품 실장기의 후면, 즉, 후면상의 라인 카메라(33)의 렌즈 등의 광학 렌즈를 세정 및 교환하는 등의 명령을 사용자가 내리는 측으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이들 유지 작업을 실행할 때, 부품 실장기(1)는 사용자에게 억지로 부품 실장기(1)에 대한 사용자와 이동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할 필요는 없다.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1)에 대한 사용자 및 이동 유닛의 위치를 판단할 필요없이, 사용자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으로부터 유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동 유닛이 시프트하는 위치는, 상기 유지 작업의 각 유형, 즉, 지지핀의 교환, 부품 공급 유닛의 교환, 광학 시스템상의 유지 작업의 실행, 노즐 스테이션(32)에 의해 보유된 노즐의 교환을 행할 때와 동일하게 행해져야 하는 것에 주의한다.
즉, 유지 작업을 실행할 때, 이동 유닛은 사용자가 존재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유지 작업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시프트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정면상의 라인 카메라(33)의 렌즈 등의 광학 시스템을 세정할 때, 정면으로부터 광학 시스템을 세정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역이 부품 실장기의 광학 시스템의 위치에 따라서 다음의 조건을 사용하여 특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면으로부터 광학 시스템을 눈으로 확인하고 터치할 수 있다. 이동 유닛이 소정의 영역에 존재할 때, 이동 유닛이 도중에 있기 때문에 광학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세정될 수 없다. 그래서,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배치 헤드(15) 등의 이동 유닛을 후퇴시킴으로서, 사용자는 정면으로부터 광학시스템을 세정할 수 있다.
유지 작업이 다른 구성 요소상에 실행될 때, 또는 유지 작업이 후면으로부터 실행될 때에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유지 작업의 각 유형에 대한 소정 영역은 유지 작업이 상기와 같이 실행되는 구성 요소의 위치 및 형상, 또는 사용자의 엄지 등의 치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으로부터, 배치 헤드(15) 등의 이동 유닛을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유지 작업의 각 유형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유지 작업은 부품 실장기(1) 이외의 이동 유닛의 구성 요소에서 실행된다. 그러나, 부품 실장기에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으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유지 작업, 예를 들면, 이동 유닛인 빔(17)으로 그리스를 공급하는 유지 작업이 실행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는 이동 유닛상의 이들 유형의 유지 작업에 대해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유지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12는 이동 유닛을 그리스하라는 명령을 받은, 부품 실장기(1)의 이동 유닛의 시프트된 위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이동 유닛을 그리스한다는 것은 윤활제와 같이 작용하는 그리스를 공급하여, 빔(17)이 Y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시프트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a는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을 받은 경우에 대한 평면 개략도이고, 도 12b는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받은 경우에 대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12a에 나타낸 것같이,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정면상의 선택 버 튼(2c)을 온으로 할 때, 및 그리스하라는 명령이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내려질 때, 각 실장 스테이지에서 각 빔(17)이 정면상의 소정 영역으로 시프트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명령을 내린 측인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그리스 건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정면상의 각각의 2개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빔(17)을 그리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것같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 상의 선택 버튼(3c)이 온으로 될 때, 및 그리스하라는 명령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내려질 때, 각 실장 스테이지에서 각 빔(17)은 후면상의 소정 영역으로 시프트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명령을 내린 측인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그리스 건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정면상의 각각의 2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위치된 빔(17)을 그리스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정면으로부터 명령이 내려졌을 때, 정면상의 빔(17) 만이 그리스되도록 시프트되고, 후면으로부터 명령이 내려졌을 때, 후면 빔(17) 만이 그리스되도록 시프트된다.
이것은 정면빔(17)은 정면상에서 그리스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를 갖고, 후면빔(17)은 후면으로부터 그리스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를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빔(17)이 정면 및 후면 모두로부터 그리스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를 가질 때, 정면 및 후면 빔(17)이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정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모든 빔(17)을 그리 스할 수 있다.
또한, XY 유닛(16) 또는 배치 헤드(15) 등의 이동 유닛이 그리스되어야 할 때, 그리싱 및 위치 제어가 빔(17)이 상기와 같이 그리스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또한, 빔(17)을 그리싱하는 이외에, 배치 헤드(15)의 세정과 같은,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으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함으로서 실행되는 유지 작업의 예가 있다.
도 13은 배치 헤드(15)를 세정하라는 명령을 받은 부품 실장기(1)의 이동 유닛의 시프트된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3a는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명령을 받은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고, 도 13b는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받은 경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것같이,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1)의 정면상의 선택 버튼(2c)을 온으로 할 때, 및 배치 헤드(15)를 세정하라는 명령이 부품 실장기(1)의 정면으로부터 내려질 때, 각 실장 스테이지상의 앞뒤 배치 헤드(15)는 정면상의 소정 영역으로 시프트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1)의, 사용자가 명령을 내린 정면으로부터, 각각의 2개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배치 헤드(15)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것같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상의 선택 버튼(2c)이 온으로 될 때, 및 배치 헤드(15)를 세정하라는 명령이 부품 실장기(1)의 후면으로부터 내려질 때, 각 실장 스테이지상의 각 배치 헤드(15)가 후면상의 소정 영역으 로 시프트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1)의, 사용자가 명령을 내린 후면으로부터, 각각의 2개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배치 헤드(15)를 세정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사용자가 정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내렸는지에 상관없이, 정면 및 후면 상의 배치 헤드(15)가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으로 시프트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예를 들면, 사용자의 바로 앞에 있는 배치 헤드(15)만을 세정하는 것을 특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 배치 헤드(15)만을 시프트할 수 있다. 그래서, 배치 헤드(15)를 시프트하는 불필수적인 공정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품 실장기(1)는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이동 유닛을 후퇴할 수 있을 뿐아니라, 유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이 측으로부터 이동 유닛상의 유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거나, 또는 이동 유닛의 전송 방향에 대한 명백한 명령을 내릴 필요가 없고, 유지 작업은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각 이동 유닛이 시프트하는 위치는,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기 위해 위치 제어를 행하는 유지 작업 즉, 빔(17)의 그리싱 및 배치 헤드(15) 상에서 실행된 유지 작업에 따라서 변화하는 소정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는 것에 주의한다.
또한, 사용자가 유지 작업을 행하기 위한 명령이 이동 유닛으로부터 수신되고, 이동 유닛이 사용자에게 너무 근접하기 때문에 작업을 행하기가 너무 어려울 때, 이동 유닛은 더 멀리 시프트될 수 있다. 즉, 유지 작업을 행할 때,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유지작업이 행해지도록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시프트되어야 한다;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는 방향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면 배치 헤드(15)가 정면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세정될 수 있는 소정 영역이 배치 헤드(15)의 형상 및 크기뿐 아니라, 배치 헤드가 시프트되어야 하는 범위 등에 따라서 특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소정 영역으로 배치 헤드(15)의 적어도 하나를 시프트함으로써 정면으로부터 배치 헤드중 하나를 세정할 수 있다.
유지 작업이 다른 구성 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또는 유지 작업이 후면으로부터 실행될 때에 대해 동일하다. 또한, 상기 유지 작업의 각 유형에 대한 소정 영역이 유지 작업이 상기와 같이 실행되는 구성 요소의 위치 및 형상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엄지 등의 치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유닛을 후퇴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부품 실장기(1)에 구비하고 이동 유닛을 더 근접하게 가져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부품 실장기(1)에서,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내려진 유지 작업이 이동 유닛 이외의 부품 실장기의 구조 요소상에서 실행될 때, 유지 작업에 필요한 소정 영역 외부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함으로써 유지 작업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유닛이 시 프트되도록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유지 작업이 이동 유닛에 관련될 때, 유지 작업에 필요한 소정 영역으로 이동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시프트함으로써 유지 작업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도록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이 제어가 행해질 때, 예를 들면, 위치 제어 유닛(101)은 판단 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내려진 유지 작업의 유형을 특정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1)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측을 나타내는 정보, (2) 유지 작업이 행해지는 구성 요소를 특정하는 정보, (3)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어야 하는 위치뿐 아니라 유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위치 제어되어야 하는 이동 유닛을 나타내는 정보들이 상기 서술된 것같이 제어 정보로서 조정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면, 3개 정보 그룹의 조건의 그룹: "(1) 정면, (2) 배치 헤드, (3) 정면 배치 헤드: Y=700, 후면 배치 헤드 : Y=500"이 제어정보로서 준비되고 저장된다.
위치 제어 유닛(101)은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내려진 유지 작업뿐 아니라 판단 유닛(100)에 의해 내려진 판단 결과에 따라서 이동 유닛에 대한 위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600<Y<700" 등의 범위를 갖는 조건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위치는 "Y=700, X=200" 등의 2차원 및 오직 X축 방향만을 표시하는 조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 서술된 것같이, 유지 작업의 목표가 배치 헤드(15)일 때, 배치 헤드(15)의 Y축 방향 을 지배하는 빔(17)은 시프트되어야 하는 구성 요소이고, 빔(17)이 시프트되어야 하는 위치가 특정될 수 있다.
또한, 부품 실장기(1)는 2개의 실장 스테이지를 갖지만, 하나의 실장 스테이지만큼 적게 필요하다. 또한, 부품 실장기(1)는 실장 스테이지중 하나를 마주보는 2개의 배치 헤드(15)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으로 부품을 교대로 실장한다. 즉, 부품 실장기(1)는 교대의 펀칭 부품 실장기이다. 그러나, 부품 실장기(1)는 교대로 펀칭될 필요는 없고, 겨우 하나의 배치 헤드(15)만큼 적게 가질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치의 판단 및 사용자의 위치의 판단에 따른 이동 유닛의 시프트의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이고, 실장 스테이지의 수 또는 배치 헤드(15) 등의 이동 유닛의 수의 증가 및 감소로 인해 상실되지 않는다.
또한, 배치 헤드(15) 등의 이동 유닛은 판단 결과에 따라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따라서 시프트된다. 즉, 이동 유닛은 2차원적으로 시프트된다. 그러나, 이동 유닛은 3차원적으로도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경되는 부품 실장기(1)내의 절대 수직 위치를 허용하는 구조를 배치헤드(15)가 가질 때, 판단 유닛(10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배치 헤드(15)는 상방 및 하방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치 헤드(15)를 세정하라는 명령이 내려질 때, 앞뒤의 2개의 배치 헤드는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 시프트되고, 사용자가 보아서 부품 실장기(1)의 더 안측에 위치하는 배치 헤드(15)가 상방으로 스프트된다. 또는, 사용자가 보아서 바로 앞에 위치하는 배치 헤드(15)가 하방으로 시프트되도록 제어 가 행해진다. 그래서, 앞뒤 2개의 배치 헤드(15)에 대한 세정 작업이 보다 쉽게 행해질 수 있다.
또는, 부품 실장기(1)는 정면과 후면, 및 부품 실장기(1)의 정면 또는 후면중 하나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동작 유닛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는 2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이동 유닛의 위치는 이들 2개 위치에 따라서 제어된다. 그러나, 동작 유닛은 앞뒤에 하나 위치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적어도 3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유닛은 앞뒤에 상류 및 하류 실장 스테이지, 즉, 4개의 동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부품 실장기(1)에서, 판단 유닛(100)은 사용자가 정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명령을 내렸는지 아닌지 뿐 아니라,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부터도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 유닛(100)은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를 4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위치들을 판단하고; 위치 제어 유닛(101)은 4유형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이동 유닛에 대한 위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 유닛(100)은 4 유형의 판단 결과를 상기 서술된 위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제어 유닛(101)은 상기 서술된 제어 정보로서 4 유형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제어 유닛(101)은 판단 유닛(100)에 의해 판단된 판단 결과와 제어 정보를 사용하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가 정면 및 상류측이라고 판단될 때, 배치 헤드(15)를 세정하는 등의 유지 작업이 실행될 때 배치 헤드(15)는 정면 및 상류측으로 시프트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유닛은 부품 실장기(1)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품 실장기(1)의 상류측의 커버가 착탈가능일 때, 유지 작업은 상류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1)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부품 실장기(1)의 상류측상에 동작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판단 유닛(100)은 사용자가 상류측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판단 유닛(100)이 사용자가 상류측에 있다고 판단할 때, 및 앞뒤의 2개의 배치 헤드(15)를 세정하는 등의 유지 작업이 실행될 때, 2개의 배치 헤드(15)는 상류측으로 시프트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을 접수하는 2개 초과의 다른 위치들에서 동작 유닛이 있을 수 있고, 위치 들은 반드시 각각 앞뒤에 하나를 가질 필요는 없다.
부품 실장기(1)는 동작 유닛의 수에 따라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의 보다 상세한 판단을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서 이동 유닛에 대해 보다 상세한 위치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유지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힘이 주어질 수 있다.
또한, 판단 유닛(100)은 선택 버튼(2c) 또는 선택 버튼(3c)가 온이 되었는지에 따라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을 판단한다.
그러나, 선택 버튼이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의 판단에 사용될 필요는 없다. 즉, 이 정보가 사용자가 존재하는 측을 결정할 수 있을 때 다른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정면 터치 패널(2a)을 터치했는지 또는 후면 터치 패 널(3a)을 터치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 유닛(100)이 획득함으로서 사용자가 정면 또는 후면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정면 커버(10)가 개방되었는지 또는 후면 커버(11)가 개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 유닛(100)이 획득함으로서 사용자가 정면 또는 후면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즉, 판단 유닛(100)에 의한 판단에서 사용된 정보에 대해, 정보가 얻어질 수 있는 용이함, 동작상 안전성, 효율성 또는 다른 요인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제어 유닛(101)은 이동 유닛을 판단 유닛(100)에 의해 행해진 판단 결과에 따라서 시프트한다. 그러나, 이동 유닛에 대한 위치 제어가 시작되고, 소정 영역에 이동 유닛이 이미 있을 때, 또는 이동 유닛이 소정 영역의 외부로 후퇴하고 있을 때, 위치 제어 유닛(101)은 "0"의 시프트 거리로 위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핀을 교환하라는 명령이 정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내려질 때, 및 각 이동 유닛이 도 11a에 도시된 것같은 위치에 이미 있을 때, 위치 제어 유닛(101)은 "0"의 시프트 거리로 위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각 이동 유닛에 대한 위치 제어가 시작되는 지점에 대해 각 이동 유닛의 위치를 위치 제어 유닛(101)이 획득하고, 상기 서술된 제어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위치 제어 유닛(101)은 각 이동 유닛이 "0"의 거리만큼 시프트되어야 하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위치 제어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각 이동 유닛의 위치는 예를 들면, XY 유 닛(16)에 의해 위치 제어 유닛(101)으로 통지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제어 유닛(101)은 각 이동 유닛의 시프트 이력을 저장하여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이동 유닛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위치 제어 유닛(101)은 위치 센서로부터 측정치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위치 제어 유닛(101)은 이동 유닛의 불필요한 시프트를 행할 필요는 없다. 즉, 유지 작업과 관련된 처리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부품 실장기(1)의 판단 유닛(100), 위치 제어 유닛(101) 등의 동작이 중앙 처리 유닛(CPU), 저장 장치, 및 정보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면 동작 유닛(2)으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명령 등의 유형을 나타내는 신호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CPU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저장 장치로부터 판독된 정보가 참조되고, 배치 헤드(15) 등의 이동 유닛이 시프트되어야 하는 목적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XY유닛(16)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의 처리 뿐 아니라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은 이 종류의 컴퓨터 프로세스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에서 배치 헤드 등의 이동 유닛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유지 작업을 실행할 때 제어 방법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0)

  1. 회로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실장기에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의 어느 측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및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상기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유지 작업이 상기 이동 유닛 이외의 상기 부품 실장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유지 작업이 실행되게 허용하는 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측으로부터 보아 반대측의 후퇴 위치로 상기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고,
    상기 유지 작업이 상기 이동 유닛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유지 작업이 실행되게 허용하는 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측의 소정의 영역 내의 위치로 상기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명령을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상기 접수 단계에서 접수되면,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부품 실장기의 측이 판단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품 실장기는 부품 실장기에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를 위한 복수의 동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수 단계에서, 상기 동작 유닛중 하나로부터 내려진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접수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접수 단계에서 접수되는 사용자에 의한 명령을 어느 동작 유닛이 내렸는지에 따라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부품 실장기의 측이 판단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유닛중 하나가 부품 실장기의 정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정면에 있는 상기 동작 유닛으로부터 발행된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상기 접수 단계에서 접수되면,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의 정면 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후면에 있는 상기 동작 유닛으로부터 발행된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상기 접수 단계에서 접수되면, 사용자는 부품 실장기의 후면 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 실장기는 부품이 실장되는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을 보유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작업은 상기 지지 블록에 의해 보유된 상기 지지핀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상기 지지핀을 교환하는 작업인, 부품 실장기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회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로서,
    상기 부품 실장기에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가 부품 실장기의 어느 측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유닛; 및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측으로부터 부품 실장기에서 유지 작업이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위치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어 유닛은,
    상기 유지 작업이 상기 이동 유닛 이외의 상기 부품 실장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유지 작업이 실행되게 허용하는 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측으로부터 보아 반대측의 후퇴 위치로 상기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고,
    상기 유지 작업이 상기 이동 유닛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유지 작업이 실행되게 허용하는 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측의 소정의 영역 내의 위치로 상기 이동 유닛을 시프트하는, 부품 실장기.
  10. 삭제
KR1020087019452A 2006-02-10 2007-01-30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 및 부품 실장기 KR101244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4447 2006-02-10
JP2006034447A JP4237766B2 (ja) 2006-02-10 2006-02-10 部品実装機制御方法、部品実装機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07/051863 WO2007091499A1 (en) 2006-02-10 2007-01-30 Component mounter control method and component mou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67A KR20080107367A (ko) 2008-12-10
KR101244479B1 true KR101244479B1 (ko) 2013-03-18

Family

ID=3800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452A KR101244479B1 (ko) 2006-02-10 2007-01-30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 및 부품 실장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57822B2 (ko)
JP (1) JP4237766B2 (ko)
KR (1) KR101244479B1 (ko)
CN (1) CN101379898B (ko)
DE (1) DE112007000199T5 (ko)
WO (1) WO2007091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2074B2 (ja) * 2008-03-25 2011-09-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および表面実装機用の保護カバー
JP4941422B2 (ja) * 2008-07-14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
KR101398205B1 (ko) * 2008-09-18 2014-05-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정보 인식 및 처리 장치
JP5391674B2 (ja) * 2008-12-04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の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システム及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
US9078385B2 (en) * 2010-01-19 2015-07-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5597050B2 (ja) * 2010-07-15 2014-10-0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基板停止位置制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基板装着位置制御方法
JP5641972B2 (ja) * 2011-02-24 2014-12-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機
JP6105608B2 (ja) * 2012-09-28 2017-03-2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対基板作業機
JP6395708B2 (ja) * 2013-08-09 2018-09-26 株式会社Fuji 複数の生産ラインを有する電子部品装着システム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JP6782425B2 (ja) * 2016-04-26 2020-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産能力推定装置および生産能力推定方法
CN110447317B (zh) * 2017-03-29 2020-12-22 株式会社富士 元件安装系统
JP2020051952A (ja) * 2018-09-27 2020-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部品搬送装置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JP7165200B2 (ja) * 2018-09-27 2022-11-02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システム
CN115843174B (zh) * 2023-02-17 2023-06-16 合肥安迅精密技术有限公司 基于事件驱动的贴片机按钮使能控制方法及系统、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596A (ja) * 2000-04-20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品種切り替え方法
JP2004193196A (ja) * 2002-12-09 2004-07-08 Yamagata Casio Co Ltd 電子部品搭載装置の操作入力用表示画面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297A (en) * 1964-07-27 1981-01-13 Bunker Ramo Corporation Positioning control system
US5166884A (en) * 1984-12-24 1992-11-24 Asys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system for processing and storing articles
JP3342119B2 (ja) * 1993-08-02 2002-11-0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システム
JP2941617B2 (ja) * 1993-10-21 1999-08-25 株式会社テンリュウテクニックス 電子部品の部品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の搬送組み付け装置
JPH09130084A (ja) * 1995-11-06 1997-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設備
WO1997027522A1 (en) * 1996-01-26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ounting data, and storage medium used theref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components using the same
JP4145489B2 (ja) * 1997-08-29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部品装着装置
JPH11186791A (ja) * 1997-12-18 1999-07-09 Fuji Mach Mfg Co Ltd 回路部品供給システムおよび供給方法
US6996440B2 (en) * 2000-08-04 2006-0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optimization of an order of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unter
WO2002056662A1 (fr) * 2001-01-10 2002-07-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montage de composants, fournisseur de services et procede de prestation de services
JP2002368495A (ja) * 2001-06-08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US7042347B2 (en) * 2001-06-19 2006-05-09 Cherouny Peter H Electronic programmable speed limiter
US20030225547A1 (en) * 2002-05-30 2003-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reless feeder verification system
JP2004186308A (ja) * 2002-12-02 2004-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装置及び方法
CN100566534C (zh) * 2003-01-17 2009-12-02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对电路基板作业机及其构成要件的提供方法
WO2004066702A1 (en) * 2003-01-23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optimization of an order of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unter
US7245978B2 (en) * 2003-07-18 2007-07-17 Fuji Machine Mfg. Co., Ltd. Managing apparatus for managing assisting work to assist substrate-related-work performing system, and managing program for managing assisting work to assist substrate-related-work performing system
JP4417779B2 (ja) * 2004-05-31 2010-02-1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4388432B2 (ja) 2004-07-23 2009-12-24 株式会社フジ医療器 肢体用マッサージ装置
DE102004057776B4 (de) * 2004-11-30 2011-08-18 Multitest elektronische Systeme GmbH, 83026 Lagekorrektureinrichtung zur Korrektur der Position eines Bauelementehalters für elektronische Bauelemente
WO2006064680A1 (ja) * 2004-12-15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動作時間短縮方法、動作時間短縮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部品実装機
JP5007127B2 (ja) * 2004-12-28 2012-08-22 光正 小柳 自己組織化機能を用いた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596A (ja) * 2000-04-20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品種切り替え方法
JP2004193196A (ja) * 2002-12-09 2004-07-08 Yamagata Casio Co Ltd 電子部品搭載装置の操作入力用表示画面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67A (ko) 2008-12-10
CN101379898A (zh) 2009-03-04
CN101379898B (zh) 2011-07-20
DE112007000199T5 (de) 2008-12-18
US20090049680A1 (en) 2009-02-26
WO2007091499A1 (en) 2007-08-16
JP4237766B2 (ja) 2009-03-11
JP2007214461A (ja) 2007-08-23
US7957822B2 (en) 201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479B1 (ko) 부품 실장기 제어 방법 및 부품 실장기
JP6267127B2 (ja) 段取り替え方法および段取り替え装置
JP5440486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機種切替え方法
JP6285578B2 (ja) 画像処理装置、実装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01824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部品供給ユニットの配置指示方法
CN110582193B (zh) 元件安装线的最优化装置及元件安装线的最优化方法
JP2006286707A (ja)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電子部品の装着装置
CN113228841B (zh) 管理装置、安装装置以及安装系统
EP2182790A2 (en) Method of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6114921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4343257B2 (ja) 部品実装機制御方法および部品実装機
JP4288301B2 (ja) 部品実装機制御方法および部品実装機
JP2022173581A (ja) 印刷装置
JP4907493B2 (ja) 実装条件決定方法および実装条件決定装置
JP6739264B2 (ja) 画像処理装置、実装処理システム
JP6086667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
CN113348738B (zh) 元件安装系统
JP5835993B2 (ja) 生産管理装置および部品実装システム
WO2012165277A1 (ja) 対基板作業支援装置
JP4942439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7269028B2 (ja) 決定装置
WO2022113255A1 (ja) 基板生産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7043337B2 (ja) 表面実装機、実装ライン、清掃手段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ノズルの清掃方法
JP2002111283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WO2021024296A1 (ja) 実装装置、実装システム及び検査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