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57B1 -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57B1
KR101229657B1 KR1020107018685A KR20107018685A KR101229657B1 KR 101229657 B1 KR101229657 B1 KR 101229657B1 KR 1020107018685 A KR1020107018685 A KR 1020107018685A KR 20107018685 A KR20107018685 A KR 20107018685A KR 101229657 B1 KR101229657 B1 KR 10122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car
elevator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734A (ko
Inventor
노부카즈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장에 배치된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개체 식별 태그(400)로부터 판독 인증 장치(600)에 송신하고, 인증 장치(600)에서는 인증 처리 후, 당해 ID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ID를 등록하고, 엘리베이터칸(500)의 호출 등록을 행하고, 엘리베이터칸(500) 내의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가 개체 식별 태그(400)로부터 ID를 판독하고, 인증 장치(600)에 송신하고, 인증 장치(600)에서는 등록된 등록 ID와 동일한 ID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로부터 송신되지 않게 됐을 때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ID의 등록을 소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500)으로부터 하차했을 때에, 하차처의 승강장의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서 ID가 판독되어도 등록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호출 등록이 행해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ELEVATOR CALL REGISTRATION SYSTEM AND ELEVATOR CALL REGISTRATION PROCESS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호출 등록 장치는 버튼 조작이나 카드나 태그를 가리는 조작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 점에서, 일본 특개 2000-19124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조작없이 호출 등록이 행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는 기억 매체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를 원격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실현되지만, 이용자의 승차 의사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개체 식별 정보를 검출하면 엘리베이터를 그 층까지 호출하고, 그 후 엘리베이터의 근방 또는 엘리베이터칸 내부에 있어서, 이용자의 개체 식별 정보를 검출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를 승차층이나 목적층에 정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191245 호 공보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검출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전에 호출 등록을 행하는 검출 장치의 필요수가 많아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 중 하나로 하고 있으며, 적은 검출 장치로 오검출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readout)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승강장 검출 장치와; 엘리베이터칸 내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의 등록이 없는 경우에,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등록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의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고, 등록되어 있는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전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의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호출 등록 처리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했기 때문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게 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기억 매체로부터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유예 시간의 동안은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한 하차 후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에 대해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상기 유예 시간을 5초 이상 10초 이하의 사이 중 어느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마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후에 식별 정보의 기록을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로부터 소거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의 기록 내용과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하고 나서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승강장 검출 장치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의 등록이 없는 경우에,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등록함과 아울러, 당해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나서 소정의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의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호출 등록 처리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상기 유예 시간을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보다 긴 시간으로 하고, 상기 유예 시간이 도래하기 직전의 판독 주기에 있어서, 등록되어 있는 등록 식별 정보를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재차 판독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고, 상기 유예 시간이 도래하기 직전의 판독 주기에 있어서, 등록 식별 정보를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판독하지 않은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마다,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등록되어 있는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후에 식별 정보의 기록을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로부터 소거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의 기록 내용과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상기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를 소거하고, 상기 유예 시간의 도래 시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허가된 허가 이용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허가 이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승강장 검출 장치와; 엘리베이터칸 내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로부터, 판독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식별 정보 등록부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의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로의 등록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의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호출 등록 처리부와;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전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의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등록 소거 처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부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했기 때문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게 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기억 매체로부터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유예 시간의 동안은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가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한 하차 후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에 대해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는 상기 유예 시간을 5초 이상 10초 이하의 사이 중 어느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추가로,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마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등록 식별 정보가 비교된 후에, 식별 정보의 기록을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로부터 소거하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 관리부를 가지고,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의 기록 내용과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하고 나서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는 상기 유예 시간이 도래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인 경우,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를 닫는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승강장 검출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로부터, 판독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식별 정보 등록부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의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로의 등록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당해 식별 정보의 등록 처리의 후 소정의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의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호출 등록 처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 등록 처리부는, 상기 유예 시간을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보다 긴 시간으로 하고, 상기 유예 시간이 도래하기 직전의 판독 주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식별 정보를 재차 판독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고, 상기 유예 시간이 도래하기 직전의 판독 주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등록 식별 정보를 판독하지 않은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추가로,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마다,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등록 식별 정보가 비교된 후에, 식별 정보의 기록을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로부터 소거하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 관리부를 가지고, 상기 호출 등록 처리부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의 기록 내용과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하는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를 소거하고, 상기 유예 시간의 도래 시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추가로,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허가된 허가 이용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허가 이용자 식별 정보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호출 등록 처리부는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허가 이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록된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게 됐을 때에,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했을 때에, 하차처(destination)의 승강장의 승강장 검출 장치에서 식별 정보가 판독되어도 등록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호출 등록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적은 검출 장치로 오검출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증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증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허가 ID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허가 ID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증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도.
도 7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증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도.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장 검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승강장 검출 장치(100)를 배치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500)에도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를 배치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이용자(300; 이하, 간단히 이용자라고도 함)은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식별 정보(이하, 개체 식별 정보 또는 ID(Identification)로 함)가 격납된 기억 매체인 개체 식별 태그(400)를 휴대한다.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는 각각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무선 통신에 의해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을 시행한다. 이용자(300)가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있으면,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는 개체 식별 태그(400)로부터 이용자(300)의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한다. 또한, 인증 장치(600)가 주기적으로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고,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는 판독 지시를 따라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을 시행해도 되고,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가 각각 타이머를 구비하고, 타이머 계시(計時)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을 시행해도 된다.
또,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는 각각 인증 장치(600)와 접속된다.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는 수집한 개체 식별 정보를 인증 장치(600)에 인증 통신로(800)를 통해 전송한다. 인증 장치(600)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와 인증 통신로(800)에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와 통신로(900)에서 접속된다. 인증 장치(600)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허가된 허가 이용자의 식별 정보(이하, 허가 이용자 식별 정보 또는 허가 ID로 함)를 기억하고 있고,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서 판독된 개체 식별 정보와 허가 이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300)의 인증을 행한다. 즉, 인증 장치(600)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개체 식별 정보가 허가 이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개체 식별 정보와 검출한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설치 개소(箇所)에 기초하여 호출 등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증 장치(6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에 호출 정보로서 승차층과 행선층을 통신로(900) 경유하여 송신한다. 또한, 인증 장치(600)는 호출 등록 처리 장치의 예이다.
통신로(900)와 인증 통신로(800)는 유선이어도 무선이어도 상관없고, 또 배선이나 위상기하학(topology)을 도시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도시 이외의 예를 들어 스타 결선(結線, star connection; 인증 장치(600)로부터 1 대 1로 검출 장치를 접속함)이어도 상관없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는 인증 장치(600)로부터 전송된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배차(配車)한다.
개체 식별 태그(400)는 대표적으로, 카드나 열쇠 등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고, 검출 장치는 무선 통신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불리는 것 등이 해당한다. 이 개체 식별 태그(400)는 개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개체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개체 식별 정보는 통상 각각에 할당된 유일한(고유의) 번호인 경우가 많다.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는 상기 개체 식별 태그(400)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개체 식별 태그(400)의 개체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 송신하는 전파대와, 개체 식별 태그(400)로부터 수신하는 전파대는 동일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달라지게 되는 것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장치(600)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인증 장치(600)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의해 판독된 개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식별 정보가 허가 ID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허가 ID인 경우에는 인증 장치(600)에 있어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한 개체 식별 정보를 등록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의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한다. 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500)에 승차한 후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의해 판독된 개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 ID(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개체 식별 정보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의해 판독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 ID와 같은 식별 정보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의해 판독되지 않게 됐음을 검지한 경우에, 검지로부터 소정의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등록 ID의 등록을 소거한다. 이와 같이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등록 ID를 소거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승강장 검출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500)으로부터 하차했을 때, 승강장 검출 장치(100)는 하차 후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개체 식별 태그(40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칸 내 검출 장치(200)에 의해 개체 식별 정보가 판독하지 않게 된 경우는, 엘리베이터칸 내 검출 장치(200)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개체 식별 태그(4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500)으로부터 하차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엘리베이터칸(500)으로부터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개체 식별 태그(400)로부터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고, 인증 장치(600)에 개체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인증 장치(600)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의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를 위해 호출 등록이 행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장치(600)는 유예 시간의 동안은 등록 ID의 등록을 유지하므로,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의한 하차 후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에 대해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유예 시간은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무선 통신 범위 밖에 도달하는데 충분한 시간일 필요가 있다. 한편, 유예 시간이 길면,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계속해서 승차하고 싶을 때에 불편함(inconvenience)을 느끼게 한다. 이 때문에, 유예 시간은 5초 이상 10초 이하의 사이 중 어느 것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구성으로서 설명하지만,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도 같은 구성이다.
도 8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인증 장치 통신부(102)는 인증 통신로(800)를 통해 인증 장치(600)와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를 인증 장치(600)에 송신한다. 식별 정보 판독부(103)는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개체 식별 태그(400)와 무선 통신을 행하고, 개체 식별 태그(40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장치(60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제어부(601)는 인증 장치(6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타이머(602)는 유예 시간의 계측 및 각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의 계측을 행한다.
검출 장치 통신부(603)는 인증 통신로(800)를 통해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와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승강장 검출 장치(100) 및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검출 장치 통신부(603)는 수신부의 예이다.
허가 ID 리스트 기억부(604)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허가된 허가 이용자의 허가 ID가 열거된 허가 ID 리스트를 기억한다. 허가 ID 리스트 기억부(604)는 허가 이용자 식별 정보 기억부의 예이다.
ID 등록부(605)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 또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의해 판독된 개체 식별 정보를 등록한다. ID 등록부(605)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ID의 일람을 등록 ID 리스트라고 한다. ID 등록부(605)는 식별 정보 등록부의 예이다.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의해 판독된 개체 식별 정보가 허가 ID 리스트에 나타나 있는 허가 ID와 일치하고, 또 ID 등록부(605)에 미등록인 경우에, ID 등록부(605)에 개체 식별 정보의 등록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500)의 호출 등록을 행한다.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는 일시 기록 ID 리스트를 관리한다. 일시 기록 ID 리스트는 승강장마다, 엘리베이터칸마다 준비된 리스트이고, 승강장 검출 장치(100) 또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의해 판독된 ID를 일시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리스트이다. 일시 기록 ID 리스트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의 예이다. 또,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 관리부의 예이다.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 또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의 판독 주기마다, 승강장 검출 장치(100) 또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의해 판독된 ID를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하고, 후술하는 등록 소거 처리부(608)에 의해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하고 있는 ID와 ID 등록부(605)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ID(등록 식별 정보)가 비교된 후에,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있어서 ID의 기록을 소거한다.
등록 소거 처리부(608)는 정기적으로, 일시 기록 ID 리스트의 기록 내용과 등록 ID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등록 ID와 같은 ID가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ID의 등록을 유지하고, 등록 ID와 같은 ID가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ID를 소거한다. 등록 소거 처리부(608)는 등록 ID와 같은 ID가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록 ID와 같은 ID가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했을 때에 즉석으로 등록 ID를 소거한다. 한편, 등록 ID와 같은 ID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등록 ID와 같은 ID가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하고 나서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ID의 등록을 소거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500)으로부터 하차했을 때에, 유예 시간의 동안은 등록 ID의 등록을 유지함으로써,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의한 하차 후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에 대해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 등록 소거 처리부(608)는 유예 시간이 도래할 때에 엘리베이터칸(500)의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인 경우, 등록 ID의 등록을 유지하고, 엘리베이터칸(500)의 도어를 닫는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등록 ID의 등록을 소거한다.
여기서, 허가 ID 리스트 기억부(604)에 격납되어 있는 허가 ID 리스트의 예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체 식별 정보마다, 이용자의 행선층이 기억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도 4에 나타내는 행선층으로부터 승차하는 경우는, 엔트런스(entrance)가 행선층으로 된다.
또, 허가 ID 리스트의 다른 예로서 도 5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승강장층마다 다른 행선층을 지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체 식별 정보가 「456777102」의 이용자가 B1 층 또는 2 층으로부터 승차한 경우에 행선층은 4 층으로 지정되지만, 1 층으로부터 승차한 경우에 행선층은 6 층으로 지정된다.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호출 등록 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에,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설치층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에 행선층과 승강장층의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에, 도 2, 도 3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출 등록 동작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2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 각각에 대해, 인증 장치(600)에 있어서 실시되는 동작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복수의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각각에 대해, 순서대로 또는 병행하여 플로우가 실시된다. 도 3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대해 인증 장치(600)에 있어서 실시되는 동작 플로우이다. 또, 도 2와 도 3은 연속하여 동작하는 것도, 병행하여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처리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일시 기록 ID 리스트는 엘리베이터칸, 승강장마다 준비되지만, 허가 ID 리스트, 등록 ID 리스트는 엘리베이터칸, 각 승강장에서 공통으로 준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도 2에 기초하여 승강장마다의 플로우를 설명한다.
인증 장치(600)는 우선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검출 지시를 내어,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의 개체 식별 정보(ID)를 수신한다(S201). 이 때, 한 번에 복수의 ID가 수집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에서는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가 수집된 개체 식별 정보를 해당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한다(S202).
다음에, 호출 등록 처리부(606)가,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된 개체 식별 정보 중 추출되지 않은(처리되지 않은) 개체 식별 정보가 없는지 판단한다(S203). 미추출의 개체 식별 정보가 있는 경우는 S204에 진행된다. 한편, 미추출의 개인 식별 정보가 없어졌거나, 당해 승강장의 승강장 검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개체 식별 정보가 없는 경우는 S209에 진행된다.
S203에서 예인 경우,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로부터 미추출(미처리)의 개체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204). 이 때, 추출한 당해 개체 식별 정보가 처리 완료된 것임을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한다.
다음에,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2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허가 ID 리스트에 나타나 있는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205).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 경우는 S206에 진행된다. 한편,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S203에 진행된다.
S205에서 예이면,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2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그 시점에서 ID 등록부(605)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06). 등록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S207로 진행된다. 등록되어 있으면 다시 S203에 진행된다.
S206에서 아니오이면,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2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검출되어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임을 ID 등록부(605)에 등록한다(S207).
다음에,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 승강장을 승차층으로 하고, 허가 ID 리스트에 나타나는 개체 식별 정보의 행선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호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에 송신한다(S208).
S203에서 아니오인 경우는, 등록 소거 처리부(608)가, ID 등록부(605)의 등록 ID 리스트에 나타나는 등록 ID 중,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는 소거되어서 기록되어 있지 않은 등록 ID를 등록 ID 리스트로부터 소거한다(S209).
다음에, 등록 소거 처리부(608)는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에 지시하여,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ID를 모두 소거한다(S210).
여기서, 어느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어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처음 독입했을 때 인증 장치(600)의 동작을 도 2의 플로우를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화를 위해, 1 명의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가 독입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어느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어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처음 독입한 경우(S201)는 인증 장치(600)가 당해 ID를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한다(S202). 또, 미처리이기 때문에, 당해 ID가 허가 ID 리스트의 허가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S205), 허가 ID와 일치하면, 당해 ID가 등록 완료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06). 이 경우는 등록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등록하고(S207), 호출 등록을 행한다(S208).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처리를 S203으로 되돌리고, 여기서는 미처리 ID가 없기 때문에 처리를 S209로 이동한다. 그리고 S209의 판단에 있어서, 현재 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는 일시 기록 리스트에 있는 등록 ID이므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등록 ID는 소거되지 않는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S210에 있어서, 일시 기록 ID 리스트의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소거한다.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다음 판독 주기까지,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승강장에 남아 있는 경우는, 재차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가 수집된다(S201). 인증 장치(600)에서는 당해 ID가 재차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고(S202), 또 미처리이기 때문에 허가 ID와 비교되고(S205), 허가 ID와 일치하므로 등록 ID와 비교되고, 등록이 완료되어 처리가 S203으로 되돌아간다. S203에서는 미처리 ID가 없기 때문에 처리가 S209로 이동되고, S209의 판단에 있어서, 현재 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는 일시 기록 리스트에 있는 등록 ID이므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등록 ID는 소거되지 않는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S210에 있어서, 일시 기록 ID 리스트의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소거한다.
한편,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500)에 승차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다음 판독 주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승강장으로부터 떠나고 있는 경우은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ID가 판독되지 않고, 이 때문에 인증 장치(600)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의 일시 기록 리스트로의 기록도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미처리 ID도 없기 때문에, 처리가 S209로 이동된다. 이 시점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는 등록 ID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만, 이 때 기록 리스트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시점에서 인증 장치(600)는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를 등록 ID 리스트로부터 소거하고(S209), S210에 진행된다. S210에 있어서,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ID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거는 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3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있어서 ID가 독입됐을 때의 플로우를 설명한다.
인증 장치(600)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검출 지시를 내어,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서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의 개체 식별 정보(ID)를 수신한다(S301). 이 때, 한 번에 복수의 ID가 수집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에서는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가 수집된 개체 식별 정보를 엘리베이터칸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한다(S302).
다음에, 호출 등록 처리부(606)가, 엘리베이터칸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된 개체 식별 정보 중 추출되지 않은(처리되지 않은) 개체 식별 정보가 없는지 판단한다(S303). 미추출의 개체 식별 정보가 있는 경우는 S304에 진행된다. 한편, 미추출의 개인 식별 정보가 없어졌거나,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개체 식별 정보가 없는 경우는 S308에 진행된다.
S303에서 예인 경우,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엘리베이터칸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로부터 미추출(미처리)의 개체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304). 이 때, 추출한 당해 개체 식별 정보가 처리 완료된 것을 엘리베이터칸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한다. 다음에,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3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허가 ID 리스트에 나타나 있는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S305).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 경우는 S306에 진행된다. 한편,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S303에 진행된다.
S305에서 예이면,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3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그 시점에서 ID 등록부(605)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06). 등록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S307에 진행된다. 등록되어 있으면 다시 S303에 진행된다.
S306에서 아니오이면,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3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검출되어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임을 ID 등록부(605)에 등록한다(S307). 단, 엘리베이터칸이 도어 열림 중 또는 정지 중인 경우는 등록하지 않는다.
S303에서 아니오인 경우는, 등록 소거 처리부(608)가, ID 등록부(605)의 등록 ID 리스트에 나타나는 등록 ID 중,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는 소거되어 기록되어 있지 않은 등록 ID를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등록 ID 리스트로부터 소거한다(S308). 유예 시간은 통상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하고, 승강장 부근으로부터 멀어져 ID가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서 검출되지 않게 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5초 정도이면 적당하다. 반대로 너무 길면, 기록이 소거되지 않고, 계속해서 승차하고 싶을 때에 호출 등록되는 것이 늦어진다. 이 때문에, 5초 ~ 10 초의 사이에 유예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엘리베이터칸이 도어 열림 중 또는 정지 중인 경우는 등록을 소거하지 않는다.
다음에, 등록 소거 처리부(608)는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에 지시하여,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ID를 모두 소거한다(S309).
또한, 상기 S306 및 S308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이 도어 열림 중 또는 정지 중에 등록 또는 등록 소거 동작을 하지 않는 대신에, 엘리베이터칸이 도어 열림 중 또는 정지 중에 도 3의 플로우 자체를 실시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있어서 어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처음 독입했을 때 인증 장치(600)의 동작을 도 3의 플로우를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화를 위해, 1 명의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가 독입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있어서 어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처음 독입한 경우(S301)는, 인증 장치(600)가 당해 ID를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한다(S302). 그리고 또 미처리이기 때문에, 당해 ID가 허가 ID 리스트의 허가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S305), 허가 ID와 일치하면, 당해 ID가 등록 완료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06). 통상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서 ID가 독입됐을 때에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서 ID가 독입됐을 때 등록 처리(S207)에서의 등록이 유지되고 있다(S209에서 등록이 소거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등록 완료되어, 처리가 S303으로 되돌아간다. 예외적으로, 미등록으로 되어 있으면, 인증 장치(600)는 등록 처리를 행한다(S307).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처리를 S303으로 되돌리고, 여기서는 미처리 ID가 없기 때문에 처리를 S308로 이동한다. 그리고 S308의 판단에 있어서, 현재 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는 일시 기록 리스트에 있는 등록 ID이므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등록 ID는 소거되지 않는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S309에 있어서, 일시 기록 ID 리스트의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소거한다.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의 다음 판독 주기까지,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 내에 남아 있는 경우는, 재차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가 수집된다(S301). 인증 장치(600)에서는 당해 ID가 재차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고(S302), 또 미처리이기 때문에 허가 ID와 비교되고(S305), 허가 ID와 일치하므로 등록 ID와 비교되고, 등록이 완료되어 처리가 S303으로 되돌아간다. S303에서는 미처리 ID가 없기 때문에 처리가 S308로 이동되고, S308의 판단에 있어서, 현재 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는 일시 기록 리스트에 있는 등록 ID이므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등록 ID는 소거되지 않는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S309에 있어서, 일시 기록 ID 리스트의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소거한다.
한편,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의 다음 판독 주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엘리베이터칸(500)으로부터 하차하고 있는 경우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에 있어서 ID가 판독되지 않고, 이 때문에 인증 장치(600)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의 일시 기록 리스트로의 기록도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미처리 ID도 없기 때문에, 처리가 S308로 이동된다. 이 시점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는 등록 ID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만, 일시 기록 리스트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인증 장치(600)는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를 등록 ID 리스트로부터 소거하고(S308), S309에 진행된다. S309에 있어서,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ID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거는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는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개체 식별 정보가 격납된 기억 매체인 개체 식별 태그(400)를 휴대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장과 엘리베이터칸(500)에 개체 식별 태그 P400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를 설치한다. 검출 장치는 인증 장치(600)와 접속되고, 인증 장치(600)는 검출 장치에 검출 지시를 내어, 검출 장치는 검출한 개체 식별 태그(400)의 개체 식별 정보를 인증 장치(600)에 인증 통신로(800)를 통해 전송한다. 인증 장치(600)는 검출 장치로부터 전송된 개체 식별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인지를 판별하고, 허가된 것이면, 개체 식별 정보와 검출한 검출 장치의 설치 개소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에, 호출 정보로서 승차층과 행선층을 통신로(900) 경유하여 송신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는 인증 장치(600)로부터 전송된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500)를 배차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칸(500)에 설치된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의 개체 식별 정보를 일정 시간 기록함으로써, 승강장에 설치된 검출 장치에서 검출한 개체 식별 태그(400)가 직전에 엘리베이터칸에서 검출되고 있는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에서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를 휴대한 이용자가 하차했는지, 승차하려고 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에서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를 일정 시간 후에 기록으로부터 소거하도록 구성한다. 이것으로, 일정 시간 후, 다시 하차한 승강장으로부터 승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적은 인증 장치(600)에서 쓰기의 좋은(오검출이 적은)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칸(500)에서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를 일정 시간 후에 기록으로부터 소거하는 대신에,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동작 중 또는 정지 중에는 엘리베이터칸에서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를 기록, 소거하지 않는 것에 의해, 승차, 하차의 판별을 실시한다. 또, 상기의 일정 시간의 동안 기록함으로써, 상기의 도어 열림 동작 중 또는 정지 중에 개체 식별 태그(400)를 기록ㆍ소거하지 않는 것 모두를 행하는 것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증 장치는 등록된 등록 ID와 같은 ID가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로부터 송신되지 않게 되었을 때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ID의 등록을 소거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했을 때에, 하차처의 승강장의 승강장 검출 장치에서 ID가 판독되어도 등록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호출 등록이 행해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적은 검출 장치로 오검출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도 10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칸(500)에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200)가 배치되지 않고, 승강장 검출 장치(100)만이 배치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장치(60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등록 소거 처리부(608)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의 구성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인증 장치(600)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ID가 등록 ID가 아닌 경우(도 2의 S206에서 아니오), 즉석으로 엘리베이터칸(500)의 호출 등록을 행하고 있다(S208). 이 때문에, 승강장을 통과만 한 이용자에 대해 잘못해서 호출 등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와 같은 이용자가 승강장을 통과한 경우에는,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 예를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하차한지 얼마 안된 이용자를 검출했을 때에 호출 등록해 버리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장치(600)의 동작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증 장치(600)는 우선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검출 지시를 내어,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의 개체 식별 정보(ID)를 수신한다(S601). 이 때, 한 번에 복수의 ID가 수집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에서는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가 수집된 개체 식별 정보를 해당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한다(S602).
다음에, 호출 등록 처리부(606)가,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된 개체 식별 정보 중 추출되지 않은(처리되지 않은) 개체 식별 정보가 없는지 판단한다(S603). 미추출의 개체 식별 정보가 있는 경우는 S604에 진행된다. 한편, 미추출의 개인 식별 정보가 없어졌거나, 당해 승강장의 승강장 검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개체 식별 정보가 없는 경우는 S609에 진행된다.
S603에서 예인 경우,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로부터 미추출(미처리)의 개체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604). 이 때, 추출한 당해 개체 식별 정보가 처리 완료된 것을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한다.
다음에,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6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허가 ID 리스트에 나타나 있는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S605).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 경우는 S606에 진행된다. 한편,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S603에 진행된다.
S605에서 예이면,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6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그 시점에서 ID 등록부(605)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606). 등록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S607에 진행된다. 등록되어 있으면 다시 S603에 진행된다.
S606에서 아니오이면,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S604에서 추출한 개체 식별 정보가,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검출되어 허가된 개체 식별 정보임을 ID 등록부(605)에 등록하고(S607), 또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당해 개체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서 현재 시각을 등록 시각으로서 ID 등록부(605)에 등록한다(S608).
S603에서 아니오인 경우는, 호출 등록 처리부(606)가 ID 등록부(605)의 등록 ID 리스트에 나타나는 등록 ID 중, 당해 승강장용의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는 소거되어서 기록되어 있지 않은 등록 ID를 등록 ID 리스트로부터 소거한다(S609). 또,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소거한 등록 ID의 등록 시각(S608에서 등록한 등록 시각)을 소거한다(S610). 또한,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607)에 지시하여, 일시 기록 ID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ID를 모두 소거한다(S611).
또, 인증 장치(600)에는 도 6의 플로우는 병행 또는 순서대로 처리되는 독립한 플로우가 있다. 이 플로우를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등록 ID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개체 식별 정보 중, 그 등록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유예 시간)이 경과한 개체 식별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고, 있으면 S702에 진행되고, 없으면 종료된다. 또한, 이 유예 시간은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판독 주기보다 긴 시간이다. 즉,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승차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기다리는 경우에는, 개체 식별 정보가 ID 등록부(605)에 등록되고(S607), 등록 시각이 ID 등록부(605)에 등록되고(S608) 나서 유예 시간이 도래하기까지 적어도 한 번은 당해 개체 식별 정보가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의해 판독되어 도 6의 S601 ~ S611의 처리가 실시된다.
S701에서 예인 경우, 호출 등록 처리부(606)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 승강장을 승차층으로서 인증 장치(60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허가 ID 리스트에 기록된 개체 식별 정보의 행선층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00)에 호출 정보로서 송신한다.
여기서, 어느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어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처음 독입됐을 때 인증 장치(600)의 동작을 도 6 및 도 7의 플로우를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화를 위해, 1 명의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가 독입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어느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어느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처음 독입한 경우(S601)는, 인증 장치(600)가 당해 ID를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한다(S602). 그리고 또 미처리이기 때문에 당해 ID가 허가 ID 리스트의 허가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S605), 허가 ID와 일치하면 당해 ID가 등록 완료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606), 등록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등록하고(S607), 또 등록 시각도 등록한다(S608).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처리를 S603으로 되돌리고, 여기서는 미처리 ID가 없기 때문에, 처리가 S609로 이동된다. 그리고 S609의 판단에 있어서, 현재 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는 일시 기록 리스트에 있는 등록 ID이므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등록 ID는 소거되지 않는다. 또, 당해 등록 ID의 등록 시각도 소거되지 않는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S611에 있어서, 일시 기록 ID 리스트의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소거한다.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다음 판독 주기까지,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승강장에 남아 있는 경우는, 재차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가 수집된다(S601). 인증 장치(600)에서는 당해 ID가 재차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고(S602), 또 미처리이기 때문에 허가 ID와 비교되고(S605), 허가 ID와 일치하므로 등록 ID와 비교되고, 등록이 완료되어 처리가 S603으로 되돌아간다. S603에서는 미처리 ID가 없기 때문에 처리가 S609로 이동되고, S609의 판단에 있어서, 현재 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는 일시 기록 리스트에 있는 등록 ID이므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등록 ID는 소거되지 않고, 또 등록 시각도 소거되지 않는다. 다음에, 인증 장치(600)는 S611에 있어서, 일시 기록 ID 리스트의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를 소거한다.
한편, 예를 들어 승강장 검출 장치(100)의 다음 판독 주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이용자(300)가 승강장으로부터 떠나고 있는 경우는,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ID가 판독되지 않고, 이 때문에 인증 장치(600)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300)의 ID의 일시 기록 리스트로의 기록도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미처리 ID도 없기 때문에, 처리가 S609로 이동된다. 이 시점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는 등록 ID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만, 일시 기록 리스트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시점에서 인증 장치(600)는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ID를 등록 ID 리스트로부터 소거하고(S609), 추가로 등록 시각도 소거하고(S610), S611에 진행된다. S611에 있어서, 일시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ID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거는 하지 않는다.
상기의 동작과는 독립하여, 인증 장치(600)에서는 등록 ID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개체 식별 정보 중, 그 등록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유예 시간)이 경과한 개체 식별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여, 있으면 호출 등록을 행한다(S702).
즉, 유예 시간이 도래하기 직전의 판독 주기에 있어서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재차 등록 ID를 판독하고 있는 경우, ID의 등록은 소거되지 않고, 또 등록 시각도 소거되지 않기 때문에, 유예 시간의 도래 시에 ID의 등록이 유지되고 있고, 도 7의 S701에서 예로 되어 호출 등록이 행해진다. 한편, 유예 시간이 도래하기 직전의 판독 주기에 있어서 승강장 검출 장치(100)가 ID를 판독하지 않은 경우는, 도 6의 S609에 있어서 ID의 등록이 소거되고, 또 S610에 있어서 등록 시각도 소거되므로, 도 7의 S701에 있어서 예는 되지 않아 호출 등록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에서는,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방식(엘리베이터칸에서 검출된 개체 식별 태그(400)를 일정 시간 후에 기록으로부터 소거함) 대신에,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검출 장치(100)에서 검출한 개체 식별 태그(400)의 개체기별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호출 정보로서 승차층과 행선층을 통신로 경유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검출 후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송신하지 않게 구성한다. 이로 인해, 승강장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용자에 대해 잘못해서 호출 등록하는 일도 없고, 또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한 이용자에 대해 호출 등록해 버리는 일도 없다. 또, 이 때문에, 적은 검출 장치로 오검출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실시 형태 1 및 2에 나타낸 인증 장치(6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인증 장치(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 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자기(磁氣)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 장치,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이 경우, 실시 형태 1 및 2에 나타낸 인증 장치(600)의 각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자기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 장치에 격납되고, CPU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또, RAM에는 CPU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격납된다. 또, RAM에는 CPU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격납된다. 예를 들어 RAM에는 실시 형태 1 및 2의 설명에 있어서, 「~ 의 판단」, 「~ 의 추출」, 「~ 의 비교」, 「~ 의 설정」, 「~ 의 등록」, 「~ 의 제어」, 「~ 의 선택」, 「~ 의 대조」 등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는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나 파라미터가 기억된다. 또, 실시 형태 1 및 2에 나타낸 인증 장치(600)의 각 요소는 회로이어도 된다. 또, R0M에 기억된 펌웨어에서 실현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는 소프트웨어만, 또는 소자ㆍ디바이스ㆍ기판ㆍ배선 등의 하드웨어만,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상관없다. 또, 실시 형태 1 및 2에 나타낸 인증 장치(600)의 각 요소를 「~ 스텝」, 「~ 순서」, 「~ 처리」라고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승강장 검출 장치,
101 제어부,
102 인증 장치 통신부,
103 식별 정보 판독부,
200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
300 엘리베이터 이용자,
400 개체 식별 태그,
500 엘리베이터칸,
600 인증 장치,
601 제어부,
602 타이머,
603 검출 장치 통신부,
604 허가 ID 리스트 기억부,
605 ID 등록부,
606 호출 등록 처리부,
607 일시 기록 ID 리스트 관리부,
608 등록 소거 처리부,
70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800 인증 통신로,
900 통신로.

Claims (17)

  1.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승강장 검출 장치와,
    엘리베이터칸 내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의 등록이 없는 경우에,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등록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의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고, 등록되어 있는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의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호출 등록 처리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했기 때문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게 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기억 매체로부터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유예 시간의 동안은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한 하차 후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에 대해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상기 유예 시간을 5초 이상 10초 이하의 사이 중 어느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마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후에 식별 정보의 기록을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로부터 소거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의 기록 내용과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하고 나서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승강장 검출 장치와,
    엘리베이터칸 내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주기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억 매체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로부터, 판독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식별 정보 등록부와,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의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로의 등록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의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호출 등록 처리부와,
    상기 식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의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등록 소거 처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호출 등록 처리부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했기 때문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게 되고,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하차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기억 매체로부터 당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았음을 검지하고 나서 유예 시간의 동안은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가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승강장 검출 장치에 의한 하차 후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식별 정보의 판독에 대해 엘리베이터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는 상기 유예 시간을 5초 이상 10초 이하의 사이 중 어느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는 추가로,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의 판독 주기마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검출 장치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하고,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등록 식별 정보가 비교된 후에, 식별 정보의 기록을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로부터 소거하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 관리부를 가지고,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는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의 기록 내용과 등록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에, 등록 식별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기록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하고 나서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당해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등록 소거 처리부는 상기 유예 시간이 도래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인 경우,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유지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를 닫는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등록 식별 정보의 등록을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07018685A 2008-02-27 2008-02-27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KR101229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3403 WO2009107206A1 (ja) 2008-02-27 2008-02-27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34A KR20100102734A (ko) 2010-09-24
KR101229657B1 true KR101229657B1 (ko) 2013-02-04

Family

ID=4101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685A KR101229657B1 (ko) 2008-02-27 2008-02-27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5652B2 (ko)
EP (1) EP2248752B1 (ko)
JP (1) JP5323049B2 (ko)
KR (1) KR101229657B1 (ko)
CN (1) CN101959781B (ko)
WO (1) WO2009107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5096A (zh) * 2009-07-20 2011-01-26 杭州优迈科技有限公司 被动式无线远程电梯召唤的操控系统及控制方法
EP2594518B1 (en) * 2010-07-14 202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hall-call registration device
EP2605990B1 (en) * 2010-08-19 2021-08-04 Kone Corporation Passenger flow management system
CN102030229A (zh) * 2010-12-13 2011-04-27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无线射频呼梯登记装置
US9384733B2 (en) * 2011-03-25 2016-07-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elevator
JP5628753B2 (ja) * 2011-06-15 2014-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US9323232B2 (en) 2012-03-13 2016-04-26 Nokia Technologies Oy Transportion remote call system based on passenger geo-routines
IN2014DN09110A (ko) * 2012-06-22 2015-05-22 Otis Elevator Co
KR101903315B1 (ko) 2012-07-18 2018-10-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US9878874B2 (en) 2012-07-25 2018-01-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landing device with destination floor establishment
JP6036561B2 (ja) * 2013-06-11 2016-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216233B2 (ja) * 2013-11-29 2017-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405633B2 (ja) * 2014-01-28 2018-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システム
JP6201897B2 (ja) * 2014-06-02 2017-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CN106660739B (zh) * 2014-07-24 2019-11-19 奥的斯电梯公司 电梯乘客进入检测
JP2016108097A (ja) * 2014-12-08 2016-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426066B2 (ja) * 2015-07-31 2018-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方法
CN105197699A (zh) * 2015-10-23 2015-12-30 北京安泰鸿源电梯设计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方法及电梯控制系统
CN107304017B (zh) 2016-04-21 2021-06-25 奥的斯电梯公司 基于手腕穿戴式智能设备的呼梯操作
EP3312123A1 (en) * 2016-10-19 2018-04-25 Inventio AG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abin of an elevator system
JP6505064B2 (ja) * 2016-10-21 2019-04-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179717B2 (en) * 2016-11-07 2019-01-15 Otis Elevator Company Destination dispatch passenger detection
WO2018158489A1 (en) * 2017-03-01 2018-09-07 Kone Corporation Control of a generation of an elevator landing call
JP6673528B2 (ja) * 2017-03-23 2020-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JP6743965B2 (ja) * 2017-03-31 2020-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7055234B (zh) * 2017-04-12 2019-03-29 歌拉瑞电梯股份有限公司 呼叫登记系统及电梯
CN109279461B (zh) * 2017-07-20 2022-05-2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中的乘客人流的无缝跟踪
WO2019026250A1 (ja) * 2017-08-03 2019-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群管理装置
CN109969877B (zh) * 2017-12-27 2023-02-07 奥的斯电梯公司 自动呼梯系统和自动呼梯控制方法
CN109969878A (zh) * 2017-12-27 2019-07-05 奥的斯电梯公司 自动呼梯请求系统中的非正常呼梯请求的确定
CN110294372B (zh) * 2018-03-23 2023-02-28 奥的斯电梯公司 一种无线信号装置、电梯服务请求系统和方法
CN110407040B (zh) * 2018-04-27 2023-04-1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服务请求的无线信号装置、系统和方法
WO2020065764A1 (ja) * 2018-09-26 2020-04-0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CN110021090B (zh) * 2018-10-29 2021-06-29 深圳市微开互联科技有限公司 控制门禁与电梯联动的系统、服务器及方法
CN109987467B (zh) * 2019-03-27 2021-04-16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接入点的电梯信息提示方法及设备
CN113460817A (zh) * 2020-03-31 2021-10-01 广东石油化工学院 基于物联网的电梯运行调度系统
CN112875447A (zh) * 2021-02-02 2021-06-01 深圳零匙科技有限公司 一种无接触电梯呼梯方法及系统
JP7286744B1 (ja) 2021-12-20 2023-06-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881A (ja) * 1985-08-26 1987-02-2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エレベ−タの自動運行制御装置
JP2000191245A (ja) 1998-11-09 2000-07-11 Otis Elevator Co リモ―ト操作で呼びを入力する方法
JP2003341945A (ja) * 2002-05-27 2003-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2006264859A (ja) 2005-03-23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情報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561U (ja) * 1981-06-30 1983-01-1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制御装置
US6209685B1 (en) * 1999-06-04 2001-04-03 Otis Elevator Company Selective, automatic elevator call registering system
JP2003312947A (ja) * 2002-04-18 2003-11-06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エレベータ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760226B1 (ko) * 2003-10-24 2007-09-20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시큐리티 시스템
JP4757465B2 (ja) * 2004-08-20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I118045B (fi) * 2005-08-31 2007-06-15 Kone Corp Menetelmä ja kutsujärjestelm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881A (ja) * 1985-08-26 1987-02-2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エレベ−タの自動運行制御装置
JP2000191245A (ja) 1998-11-09 2000-07-11 Otis Elevator Co リモ―ト操作で呼びを入力する方法
JP2003341945A (ja) * 2002-05-27 2003-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2006264859A (ja) 2005-03-23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情報提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34A (ko) 2010-09-24
EP2248752A4 (en) 2017-11-22
JP5323049B2 (ja) 2013-10-23
WO2009107206A1 (ja) 2009-09-03
EP2248752B1 (en) 2021-08-04
EP2248752A1 (en) 2010-11-10
US8525652B2 (en) 2013-09-03
JPWO2009107206A1 (ja) 2011-06-30
CN101959781B (zh) 2013-12-04
CN101959781A (zh) 2011-01-26
US20100315208A1 (en)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57B1 (ko)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JP6007984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US9238568B2 (en) Hall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elevator including a destination floor changing device
JP538199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3237748B (zh) 电梯系统和电梯组群管理系统
WO2011007428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11058624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EP1930276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5684307B2 (ja) エレベータのオートロック連動運転システム
JP2006096517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510143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17398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20160046671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행선층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행선층 등록 방법
JP201105178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5096981A (ja) エレベータ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847640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JP667361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3056773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処理装置
JP7323034B1 (ja)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移動体制御サーバ、ビルシステム、移動体制御方法および移動体制御プログラム
JP5387511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4592301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20230094656A (ko) 자동 출입문의 보안 강화 방법 및 장치
JP2020019649A (ja) エレベータの共連れ同乗防止システム
CN114506750A (zh) 电梯控制装置以及电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