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574B1 -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574B1
KR101171574B1 KR1020100000183A KR20100000183A KR101171574B1 KR 101171574 B1 KR101171574 B1 KR 101171574B1 KR 1020100000183 A KR1020100000183 A KR 1020100000183A KR 20100000183 A KR20100000183 A KR 20100000183A KR 101171574 B1 KR101171574 B1 KR 10117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resonator
main frame
head pipe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342A (ko
Inventor
요코 사쿠라이
다이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6081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715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치가 용이하고 콤팩트화가 가능한 레조네이터(resonator)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헤드 파이프(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23)에 부착되며 엔진(17)의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0)를 구비하고,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상부이며 메인 프레임(23) 측방에 공기 도입구(53)가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공기 도입구(53)의 상부에, 헤드 파이프(12)의 축선(9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조네이터(54, 55)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AIR CLEANER STRUCTURE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 중에는,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메인 프레임이 연장되고, 메인 프레임의 하방에 엔진이 현가(懸架)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헤드 파이프 근방이며 메인 프레임의 하방에 에어 클리너를 배치한 것이 있다. 에어 클리너의 상부는 메인 프레임을 피하도록 하여 좌우에 팽출부가 마련되고, 각 팽출부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를 통해 들여온 공기는 에어 클리너의 내부에 마련된 필터에 의해 더스트가 제거된 상태로 인테이크 파이프(intake pipe)로부터 엔진에 공급된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50999호 공보
그런데, 엔진의 흡기계로의 도중에, 공기실의 공명 효과를 이용하여 흡기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레조네이터(resonator)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 클리너 배치에 있어서, 흡기계에 레조네이터를 배치하는 최적의 구조가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배치가 용이하고 콤팩트화가 가능한 레조네이터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헤드 파이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헤드 파이프(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메인 프레임(23)]에 부착되며 엔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엔진(17)]의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40)]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상부이며 상기 메인 프레임 측방에 흡입구[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공기 도입구(53)]가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상기 헤드 파이프의 길이 방향[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축선(93)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조네이터[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레조네이터(54, 55)]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에 부착되며 엔진의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메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흡입구가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상기 헤드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레조네이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레조네이터가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필터[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필터(42)]의 상류측의 더티 사이드(dirty side)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레조네이터는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길이(L)]에 비하여, 차량 폭 방향의 길이[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길이(W)]가 짧게 설정되고,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헤드 파이프, 상기 메인 프레임,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및 상기 레조네이터를 덮는 메인 프레임 커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메인 프레임 커버(29)]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레조네이터[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레조네이터(54)]의 전벽(前壁)[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전벽(70)]을 상기 헤드 파이프의 축선을 따라 경사지게 하고, 상기 레조네이터의 전벽의 전방에 케이블[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케이블(90), 스피드미터 케이블(91)]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헤드 파이프에 고정되는 상기 메인 프레임 커버용 스테이[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메인 프레임 커버용 스테이(56)]를 상기 레조네이터의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헤드 파이프 주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레조네이터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흡기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더티 사이드측에 레조네이터를 마련하기 때문에, 클린 사이드(clean side)측에 마련한 경우와 같이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레조네이터의 고정을 볼트 등의 별개의 체결 부재나 시일 부재를 없애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저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헤드 파이프 주위의 차량 폭 방향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핸들 근방에서의 콤팩트화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커버로 덮는 구조이어도, 레조네이터의 배치 시에, 메인 프레임 커버의 대형화를 회피하여,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핸들 주위의 케이블을 회전 중심인 헤드 파이프를 따르게 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길이의 단축 및 기능성을 확보하여 배치할 수 있고, 레조네이터의 배치 공간도 양립하여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레조네이터의 근방에서, 메인 프레임 커버를 고정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 커버의 체결 강성이 큰 부위에 레조네이터를 배치할 수 있고, 레조네이터와 커버를 근접하여 배치해도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노출시킨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노출시킨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레조네이터 장착 상태의 에어 클리너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8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후면도이다.
도 9는 에어 클리너 커버의 전면도이다.
도 10은 좌측의 캡 덕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후면도이다.
도 13은 좌측의 레조네이터의 장착 상태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우측의 레조네이터의 장착 상태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FR은 차량 전측, L은 차량 좌측, R은 차량 우측, RR은 차량 후측을 나타낸다.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프레임(11)과, 차체 프레임(11)의 전단부의 헤드 파이프(12)에 부착된 프론트 포크(13)와, 프론트 포크(13)의 상부에 결합된 핸들(14)과, 프론트 포크(1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전륜(15)과, 차체 프레임(11)의 전방 하부에 부착된 엔진(17)과 트랜스미션(18)으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16)과, 차체 프레임(11)의 후방 하부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스윙 아암(19)과, 스윙 아암(19)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후륜(20)과, 차체 프레임(11)에 접속되며 후방 상부로 연장되는 리어 프레임(21)에 부착된 시트(22)로 주로 구성되고, 파워 유닛(16)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체인을 통해 전달된 동력으로 후륜(20)을 구동하도록 한 체인 구동식의 차량이다.
또한,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프레임(11)에 포함되는 메인 프레임(23)의 전방부 하방이며 엔진(17)의 상부에 에어 클리너(24)를 구비하고, 메인 프레임(23)의 전방부 및 양(兩) 전방 측부를 덮는 프론트 카울(front cowl)(25)과, 메인 프레임(23)의 후방부 및 리어 프레임(21)의 양측부를 덮는 리어 카울(rear cowl)(26)과, 핸들(14)의 주위를 덮는 톱 카울(top cowl)(2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 부호 8은 레그 실드를 나타낸다.
톱 카울(27)의 전방부에는 헤드 램프(28)가 장비되고, 리어 카울(26)의 후방부에는 스톱 램프(87)가 장비되며, 톱 카울(27)에는 좌우에 도시하지 않은 턴 시그널 램프가 장비되어 있다.
여기서, 프론트 카울(25)의 이면측에는 헤드 파이프(12), 메인 프레임(23), 및 후술하는 레조네이터(54, 55)를 구비한 에어 클리너(24)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메인 프레임 커버(29)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프레임 커버(29)는 전방부가 헤드 파이프(12)의 양측부로 돌아 들어가, 레조네이터(54, 55)를 덮고, 후방부는 메인 프레임(23)의 상방에서 경사 후방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형성되어, 에어 클리너(24)를 덮고 있다.
여기서, 프론트 카울(25)과 리어 카울(26)과 톱 카울(27)과 메인 프레임 커버(29)는,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두께가 얇은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11)은, 예컨대 강관(鋼管)에 의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23)은 헤드 파이프(12)로부터 후측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리어 프레임(21)의 전단부가 메인 프레임(23)의 후측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포크(13)에는, 도시하지 않은 프론트 쇼크업소버가 부착되고, 전륜(15)에는,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드럼식 브레이크 유닛(30)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14)에는, 우측에 도시하지 않은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레버가 부착되고, 백미러(31)가 부착되어 있다.
파워 유닛(16)은, 엔진(17)과 트랜스미션(18)으로 구성되고, 메인 프레임(23)의 중앙부와 후단부에 마련된 브래킷(32, 33)을 통해 매달려 고정되어 있다. 엔진(17)의 배기는, 엔진(17)의 우측으로부터 머플러(34)를 통해 행해진다.
스윙 아암(19)은, 리어 프레임(21)과의 사이에 배치된 리어 쇼크업소버(37)에 의해 완충된다. 후륜(20)에는, 도시하지 않은 드럼식 브레이크 유닛이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노출시킨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노출시킨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주요부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주요부 평면도, 도 6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7)은, 실린더 헤드(35)에 접속되는 인테이크 파이프(36)에 스로틀 보디(38)가 장비되고, 스로틀 보디(38)는 도시하지 않은 스로틀 밸브와 인젝터를 구비하며, 스로틀(액셀러레이터)의 개방도에 따라 연료를 인테이크 파이프(36)를 경유하여 엔진(17)의 연소실에 연소용 공기와 함께 들여온다. 스로틀 보디(38)는, 엔진(17)의 상방에 위치하는 에어 클리너(24)의 공기 도출구(39)에 부착된 접속관(57)에 연통(連通) 접속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3)과 헤드 파이프(12)의 연결 부분에는, 양자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서,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이며 단면이 U자형인 거싯(gusset; 51)이, 헤드 파이프(12)의 후반부로부터 메인 프레임(23)의 상반부에 걸친 부위를 위로부터 덮도록 고정되어 있다. 거싯(51)은 볼트 구멍을 구비한 부착 시트(seat)(52)를 좌우에 구비하고, 이 부착 시트(52)에는 에어 클리너(24)의 차량 폭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판 형상의 브래킷(49)이 볼트(50)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24)는, 내부에 흡입 공기 중의 더스트를 포집하는 필터(42)가 내장되는 차량 후방측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40)를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에어 클리너 커버(41)로 폐색하여 구성되고,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상부에서 헤드 파이프(12)를 사이에 두고, 메인 프레임(23) 측방에 2개의 공기 도입구(53, 53)가 좌우 한 쌍 마련되어 있다.
각 공기 도입구(53)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형성되고, 각 공기 도입구(53)의 상부에, 헤드 파이프(12)의 축선(93)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기 도입구(53) 내에 연통되는 좌측의 레조네이터(54)와 우측의 레조네이터(55)가 마련되어 있다. 좌측의 레조네이터(54)는 전벽(70), 후벽(71)이 모두 상측 후방으로 비스듬히 형성되고, 전벽(70)이 후벽(71)보다도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작게 이루어져 있다. 우측의 레조네이터(55)는 전벽(80), 후벽(81)이 모두 위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조네이터(54, 55)는 공기실의 공명 효과를 이용하여 흡기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며, 필터(42) 상류측에서 더티 사이드가 되는 공기 도입구(53)에 인접하는 위치에 삽입 고정되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의 거싯(51)에 근접하며, 또한 거싯(51)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레조네이터(54, 55)는,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모두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L)에 비하여, 차량 폭 방향의 길이(W)가 짧게 설정되고, 차량 폭 방향의 길이(W)는 아래로부터 위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조네이터(54, 55)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의 레조네이터(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벽(70)과 후벽(71)이 모두 상방으로 향할수록 후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수직 방향에 대한 전벽(70)의 경사 각도가 후벽(71)의 경사 각도보다도 크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보아도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L)가 상방으로 향할수록 작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조네이터(54, 55)의 내측의 측벽(72)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고 있어 차량 폭 방향의 길이(W)가 전방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레조네이터(54, 55)의 상방의 근접한 위치에는 헤드 파이프(12)의 후방부에, 측면에서 보아 마름모 형상이며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진 상면에서 보아 프레임 형상의 메인 프레임 커버용 스테이(56)가 헤드 파이프(12)에 고정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이 메인 프레임 커버용 스테이(56)의 후단부의 이면측에는 용접 너트(weld nut)가 마련되고, 이 용접 너트에 메인 프레임 커버(29)의 상부 이면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 커버(29)는 메인 프레임(23)의 양측부 및 후방을 덮는 프론트 카울(25)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에어 클리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에어 클리너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8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후면도, 도 9는 에어 클리너 커버의 전면도, 도 10은 캡 덕트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후면도, 도 13은 좌측의 레조네이터를 장착한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는 우측의 레조네이터를 장착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도 17은 도 1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24)는, 차체 후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0)가 차체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커버(41)로 덮이며,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와 에어 클리너 커버(41) 각각의 플랜지(45, 48)에 의해 끼워져 조립되는 필터(42)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0)는, 좌우 한 쌍의 상방 팽출부(43)와 하방 팽출부(44)가 플랜지(45)의 내측에 있어서 차체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 커버(41)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에 대칭적으로, 좌우 한 쌍의 상방 팽출부(46)와 하방 팽출부(47)가 플랜지(48)의 내측에 있어서 차체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0)는, 바닥벽에서, 필터(42)의 하류측인 클린 사이드에 공기 도출구(39)를 갖고, 이 공기 도출구(39)에 접속관(57)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접속관(57)에 스로틀 보디(38)가 접속된다.
에어 클리너(24)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상방 팽출부(43)에, 부착면을 차량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49)을 구비하고, 브래킷(49)은 경사 전방에 형성된 긴 구멍(49a)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 커버(41)는, 그 플랜지(48)가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플랜지(45)에 겹쳐지고, 4부위의 부착 시트(52)에 의해 양자가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한 쌍의 상방 팽출부(46)는, 상방 중앙부에 메인 프레임(23)의 삽입용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된 커버측 오목부(77)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배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에는, 한 쌍의 상방 팽출부(43)가, 커버측 오목부(77)와 비슷하게 상방 중앙부에 형성된 케이스측 오목부(78)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배치되어 있다. 하방 팽출부(44)는, 폭 방향으로 2개의 연속하는 산 형상을 형성하며, 이들의 골 부분에 메인 프레임(23)이 배치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각 상방 팽출부(43)는 에어 클리너 커버(41)의 상방 팽출부(46)보다도 상방에서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접속 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개구(58)에 캡 덕트(59)가 부착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캡 덕트(59)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캡 덕트(59)는, 대략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좌측의 캡 덕트(59)를 설명하고 우측의 캡 덕트(59)에 대해서는 상이한 부분 이외에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캡 덕트(59)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접속 개구(58)를 위로부터 덮도록 부착되는 직사각형의 상자형 부재이다. 하부에는 전후로 긴 베이스부(60)가 마련되고, 이 베이스부(60)의 전방부는, 상방 팽출부(43, 43)의 전벽에 형성된 후크(61)에 걸리는 결합부(62)를 하측으로 연장시켜 구비하며, 후방부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접속 개구(58)의 후방부에 나사(63)에 의해 고정된다(도 7 참조). 캡 덕트(59)는 후벽(64)에 직사각형의 공기 도입구(53)를 구비하고, 상벽(65)에 레조네이터(54, 55)로의 연통 구멍(66)을 구비하고 있다.
캡 덕트(59)는, 상벽(65)에 연통 구멍(66)을 둘러싸며, 또한 측벽이나 전후벽보다도 내측 가까이에 수용벽(67)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벽(67)은 측벽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높게 형성되고, 수용벽(67)은 양측벽의 후방부에, 상측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측부 걸림 후크(68)를 구비하며, 수용벽(67)의 전벽에 상측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전방부 걸림 후크(6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벽(67)의 전벽은 상방으로 향할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우측의 캡 덕트(59)의 전방부 걸림 후크(69')를 함께 쇄선으로 도시한다.
도 13, 도 14,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캡 덕트(59)에는 좌측의 레조네이터(54)가 수용벽(67)을 내부에 받아들이도록 삽입 고정되어 있다. 좌측의 레조네이터(54)는 하부만이 개방되며 차량 폭 방향의 길이(W)가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L)에 비하여 짧은 상자형 부재이고, 후방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벽(70)과, 마찬가지로 후방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벽(71)을 구비하며, 사다리꼴 형상의 측벽(72) 및 평탄한 상벽(73)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레조네이터(54)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L)가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벽(72)을 구비하고 있고, 차량 폭 방향에서도 폭 방향의 길이(W)가 상방으로 향할수록 약간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캡 덕트(59)의 측부 걸림 후크(68)와 전방부 걸림 후크(69)에 대응하여, 측벽(72)에 측부 결합 구멍(74), 전벽(70)에 전방부 결합 구멍(7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부 걸림 후크(68)와 측부 결합 구멍(74), 전방부 걸림 후크(69)와 전방부 결합 구멍(75)을 결합할 때에는, 접합 부분에 접착제(76)가 도포된다(도 17 참조).
여기서, 이 좌측의 레조네이터(54)의 전벽(70)의 경사 각도는 헤드 파이프(12)의 축선(93)을 따라 설정되고, 레조네이터(54)의 전벽(70)의 전방에,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에 접속되는 드럼식 브레이크 유닛(30)의 케이블(90)과 스피드미터 케이블(91)이, 헤드 파이프(12)의 좌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전륜(15)의 회전 중심 근방의 좌측에 접속된다(도 2 참조).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우측의 캡 덕트(59)에도 우측의 레조네이터(55)가 수용벽(67)을 내부에 받아들이도록 삽입 고정되어 있다. 우측의 레조네이터(55)도 하부만이 개방되며 차량 폭 방향이 차량 진행 방향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상자형 부재이고, 상방으로 향할수록 차량 폭 방향의 길이(W)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모두 사각형 형상의 전벽(80)과 후벽(81)과 측벽(82)과 평탄한 상벽(79)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 좌측의 레조네이터(54)와 상이하다. 캡 덕트(59)의 측부 걸림 후크(68)와 전방부 걸림 후크(69')에 대응하여, 양측벽(82)에 측부 결합 구멍(84)을 구비하고 전벽(80)에 전방부 결합 구멍(8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부 걸림 후크(68)와 측부 결합 구멍(84), 전방부 걸림 후크(69')와 전방부 결합 구멍(83)을 결합할 때에는, 레조네이터(54)와 마찬가지로 접합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덕트(59)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좌우 한 쌍의 상방 팽출부(46, 46)에, 후크(61)와 나사(63)로 부착한 상태에서, 각 캡 덕트(59)에 레조네이터(54, 55)를 상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캡 덕트(59)의 측부 걸림 후크(68), 전방부 걸림 후크(69)에 레조네이터(54, 55)의 측부 결합 구멍(74, 84), 전방부 결합 구멍(75, 83)을 걸어 고정한다. 그러면, 각 캡 덕트(59)의 후벽(64)의 공기 도입구(53)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접속 개구(58)를 향하여 하측으로 흘러가고, 접속 개구(58)의 하측에서 후측으로 구부러지며, 계속해서 에어 클리너 커버(41)의 상방 팽출부(46)를 향하여 흘러가고, 좌우가 합류하여 에어 클리너 커버(41)의 하방 팽출부(47)에 이르는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42)를 통과하여, 필터(42)의 하류에서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하방 팽출부(44)로부터 공기 도출구(39)를 경유하여 접속관(57)을 향하는 경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일부 사행(蛇行)하면서 인테이크 파이프(36) 안으로와 계속해서 엔진(17)의 연소실로 유도되는 미리 정해놓은 길이의 흡입 공기 유로(85)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 7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레조네이터(54, 55)의 단면적은, 이 흡입 공기 유로(85) 중, 캡 덕트(59), 에어 클리너 케이스(40)의 상방 팽출부(43), 에어 클리너 커버(41)의 상방 팽출부(46)의 단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 상방측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헤드 파이프(12) 주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레조네이터(54, 55)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흡기음의 저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측면에서 보아 헤드 파이프(12)와 메인 프레임(23)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인 거싯(51)에 근접시키고, 또한 거싯(51)과 오버랩되도록, 레조네이터(54, 55)를 배치했기 때문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24)의 필터(42)의 상류측인 더티 사이드측에 레조네이터(54, 55)를 마련하기 때문에, 클린 사이드측에 마련한 경우와 같이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레조네이터(54, 55)의 고정을 볼트 등의 별개의 체결 부재나 시일 부재를 없애고 삽입 고정할 뿐인 구성으로 간이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용 저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레조네이터(54, 55)는 상방 팽출부(43, 46)의 상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부착 작업을 행하기 쉽다. 또한, 레조네이터(54, 55)는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L)에 비하여, 차량 폭 방향의 길이(W)가 짧게 설정되고,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 파이프(12) 주위의 차량 폭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며, 핸들(14) 근방에서의 콤팩트화도 도모된다.
따라서, 레조네이터(54, 55) 등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메인 프레임 커버(29)의 대형화를 회피하여,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좌우에 마련한 2개의 레조네이터(54, 55)는 형상이나 용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레조네이터(54)와 레조네이터(55)의 고유 진동수가 상이하게 되고, 따라서 흡기음을 광역의 주파수대에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14) 주위의 드럼식 브레이크 유닛(30)의 케이블(90)과 스피드미터 케이블(91)을, 헤드 파이프(12)의 축선(93)을 따라 경사져 있는 좌측의 레조네이터(54)의 전벽(70)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회전 중심인 헤드 파이프(12)를 따르게 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길이의 단축 및 기능성을 확보하여 배치할 수 있고, 레조네이터(54, 55)의 배치 공간도 양립하여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이들 드럼식 브레이크 유닛(30)의 케이블(90)과 스피드미터 케이블(91)은 헤드 파이프(12)의 좌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전륜(15)의 회전 중심 근방의 좌측에 접속되기 때문에, 핸들(14)이 회전하더라도, 회전 중심인 헤드 파이프(12)에 근접하여, 각 케이블(90, 91)이 배치되므로, 각 케이블(90, 91)의 기능성을 확보하면서 케이블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레조네이터(54, 55)의 상방 근방에서 메인 프레임 커버용 스테이(56)에 의해 메인 프레임 커버(29)를 고정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 커버(29)의 체결 강성이 큰 부위에 레조네이터(54, 55)를 배치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 커버(29)와 레조네이터(54, 55) 사이의 유격 관리를 행하기 쉽기 때문에, 레조네이터(54, 55)를 메인 프레임 커버(29)에 근접시켜 레조네이터(54, 55)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 커버(29)에 하중이 작용한 경우라도, 메인 프레임 커버(29)의 강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레조네이터(54, 55)와 메인 프레임 커버(29)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 의해서도 레조네이터(54, 55)와 메인 프레임 커버(29) 사이의 유격 관리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레조네이터(54, 55)를 캡 덕트(59, 59)에 부착할 때에는, 캡 덕트(59)측에 결합 구멍을 형성하고, 레조네이터(54, 55)측에 걸림 후크를 마련해도 좋다. 2개의 레조네이터(54, 55)를 마련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 마련함으로써 흡기음을 더 광역의 주파수대에서 억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12: 헤드 파이프
17: 엔진
23: 메인 프레임
29: 메인 프레임 커버
40: 에어 클리너 케이스
42: 필터
53: 공기 도입구(흡입구)
54, 55: 레조네이터
56: 메인 프레임 커버용 스테이(스테이)
90: 케이블
91: 스피드미터 케이블
93: 축선
L: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
W: 차량 폭 방향의 길이

Claims (7)

  1.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에 부착되며 엔진의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상부이며 상기 메인 프레임 측방에 흡입구가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상기 헤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조네이터(resonator)를 마련하고, 상기 레조네이터는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차량 폭 방향의 길이가 짧게 설정되고,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2.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에 부착되며 엔진의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메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흡입구가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상기 헤드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레조네이터를 마련하고, 상기 레조네이터는 차량 진행 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차량 폭 방향의 길이가 짧게 설정되고,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가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필터의 상류측의 더티 사이드(dirty side)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파이프, 상기 메인 프레임,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및 상기 레조네이터를 덮는 메인 프레임 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의 전벽(前壁)을 상기 헤드 파이프의 축선을 따라 경사지게 하고, 상기 레조네이터의 전벽의 전방에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파이프에 고정되는 상기 메인 프레임 커버용 스테이를 상기 레조네이터의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KR1020100000183A 2009-02-17 2010-01-04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KR101171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4012A JP5425491B2 (ja) 2009-02-17 2009-02-17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構造
JPJP-P-2009-034012 2009-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42A KR20100094342A (ko) 2010-08-26
KR101171574B1 true KR101171574B1 (ko) 2012-08-07

Family

ID=4260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183A KR101171574B1 (ko) 2009-02-17 2010-01-04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25491B2 (ko)
KR (1) KR101171574B1 (ko)
CN (1) CN101806263B (ko)
BR (1) BRPI1000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2813B2 (ja) * 2015-11-10 2020-04-15 スズ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冷却系機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301A (ja) 2004-08-09 2006-02-16 Kawasaki Heavy Ind Ltd 自動二輪車の吸気装置
JP2007196984A (ja) * 2005-12-28 2007-08-0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63Y2 (ja) * 1987-04-13 1994-04-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クリ−ナホ−スとレゾネ−タとの結合構造
JPH0732370Y2 (ja) * 1989-10-13 1995-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吸気音低減用チャンバー
JPH0462344U (ko) * 1990-09-29 1992-05-28
JPH08121274A (ja) * 1994-10-20 1996-05-14 Toyota Motor Corp ダクトとレゾネータとの結合構造
JP4248616B2 (ja) * 1998-01-16 2009-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ロントカバー装置
JP3560283B2 (ja) * 1999-02-24 2004-09-02 東和ブロー株式会社 エンジン用吸気チューブ
JP4367878B2 (ja) * 2000-07-31 2009-1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吸気ダクト
JP2002317719A (ja) * 2001-04-18 2002-10-31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
JP2005145203A (ja) * 2003-11-13 2005-06-09 Hond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車両の前部構造
JP2005188440A (ja) * 2003-12-26 2005-07-14 Mahle Tennex Corp エンジン等の共鳴型消音器
JP2006017090A (ja) * 2004-07-05 2006-01-19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
JP4415257B2 (ja) * 2004-07-29 2010-02-17 スズ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4555630B2 (ja) * 2004-08-27 2010-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JP4676290B2 (ja) * 2005-09-22 2011-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ブレーキ装置
CN100500467C (zh) * 2005-12-28 2009-06-1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两轮摩托车
JP2008025424A (ja) * 2006-07-20 2008-02-07 Toyota Industries Corp ガス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4722791B2 (ja) * 2006-08-24 2011-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301A (ja) 2004-08-09 2006-02-16 Kawasaki Heavy Ind Ltd 自動二輪車の吸気装置
JP2007196984A (ja) * 2005-12-28 2007-08-0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6263B (zh) 2012-09-05
BRPI1000315A2 (pt) 2011-03-29
JP5425491B2 (ja) 2014-02-26
JP2010190085A (ja) 2010-09-02
CN101806263A (zh) 2010-08-18
KR20100094342A (ko) 2010-08-26
BRPI1000315B1 (pt)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689B2 (en)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US7604677B2 (en) Structure of air cleaner box
US9739245B2 (en) Resonator structure of saddle-ride vehicle, and saddle-ride vehicle
JP4574415B2 (ja) 鞍乗型車両
EP1953379B1 (en) Vehicle
JP7351250B2 (ja) 鞍乗型車両
US8701823B2 (en) Exhaust system for motorcycle
JP5189846B2 (ja) 車両
JP3154342U (ja) 自動二輪車
JP5604960B2 (ja) 自動二輪車の吸気ダクト構造
EP2289787B1 (en) Saddle-ride type vehicle
EP2894087B1 (en) Straddle-type vehicle
KR101171574B1 (ko)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JP2007132318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5292512B2 (ja) 鞍乗り型車両の吸気系の配置構造
JP2010265807A (ja) エアクリーナ
JP2007015410A (ja) 自動二輪車
US9815521B2 (en) Exhaust system of saddle-ride type vehicle
US20200391819A1 (en) Body frame of saddle riding vehicle
JP6806720B2 (ja) 鞍乗り型車両の吸気装置
EP1849642B1 (en) Vehicle Air Intake Box Arrangement Structure
JP6285340B2 (ja) 鞍乗り型車両の吸気構造
JP5720675B2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7061020B2 (ja) 鞍乗型車両の排気装置
JP2009083836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