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001B1 - 승강 캐비넷 - Google Patents

승강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001B1
KR101118001B1 KR1020067009555A KR20067009555A KR101118001B1 KR 101118001 B1 KR101118001 B1 KR 101118001B1 KR 1020067009555 A KR1020067009555 A KR 1020067009555A KR 20067009555 A KR20067009555 A KR 20067009555A KR 101118001 B1 KR101118001 B1 KR 10111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torage
sensor means
moto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533A (ko
Inventor
미노루 야마나카
요시오 오카다
단 도미나가
신이치 기무라
교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후쿠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g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수납고 (3) 는 캐비넷 지지틀 (2) 에 대하여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베이스부 (11) 를 모터 (6) 의 구동에 의해 캐비넷 지지틀 (2)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베이스부 (11) 와 수납고 (3) 사이에 센서 수단 (19) 을 설치한다. 이 센서 수단 (19) 에 의해 베이스부 (11) 에 대한 수납고 (3) 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값이 모터 구동 개시 전의 검출값과 크게 변화한 경우, 수납고 (3) 가 장애물에 닿았다고 인식하여, 모터의 (6) 구동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승강 캐비넷 {LIFTING CABINE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부엌 등에 설치되고, 캐비넷 지지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납고와, 수납고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적 구동원을 갖는 전동식의 승강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정의 부엌의 상방에 장착한 캐비넷 지지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수납고를 설치하여, 모터 등의 전자적 구동원을 작동시켜서 그 수납고를 승강시키도록 한 전동식의 승강 캐비넷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식의 승강 캐비넷에 있어서는, 수납고의 상승 도중에 수납고와 캐비넷 지지틀의 간극에 손이 끼이거나 수납고의 하강 도중에 수납고가 도마 등의 장애물에 맞닿거나 그 장애물을 파손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고의 승강 동작 중, 수납고가 장애물에 닿는 것을 검지할 수 있는 전동식의 승강 캐비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승강 캐비넷은, 캐비넷 지지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적 구동원과, 상기 전자적 구동원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수납고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수단을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수납고 사이에 설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 캐비넷은, 상기 수납고의 상승 개시시의 상승 개시시부터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는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판독하지 않고, 상승 개시시부터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판독하고, 상승 개시시에 상당하는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과 상기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의 차가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상기 수납고의 상승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 캐비넷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전자적 구동원의 작동에 의해 수납고를 승강시킬 수 있다. 수납고의 승강 동작 중에 수납고가 장애물에 닿았을 때에는 수납고의 승강 동작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베이스부가 승강하게 되는 결과, 센서 수단의 검출값이 정규 값으로부터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수납고의 승강 동작 중, 수납고가 장애물에 닿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 캐비넷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전자적 구동원의 시동시부터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는 센서 수단의 검출 출력을 판독하지 않기 때문에, 상승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의 수납고의 관성에 영향받은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무시할 수 있다. 전자적 구동원의 시동시부터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했을 때부터 순차적으로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판독하고, 상승 개시시에 상당하는 센서 수단의 검출값과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센서 수단의 검출값의 차가,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수납고의 상승 동작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센서 수단에 의한 장애물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수납고에 장애물이 닿는 것을 확실하게 검지하고, 또한 장애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동식의 승강 캐비넷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승강 캐비넷에 있어서의 수납고의 승강 기구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수납고 상의 적재물이 비교적 가벼운 경우) 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승강 캐비넷에 있어서의 수납고의 승강 기구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수납고 상의 적재물이 비교적 무거운 경우) 이다.
도 4 는, 승강 캐비넷에 있어서의 수납고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계통의 블록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제어부의 CPU 가 실행하는 수납고의 승강 동작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6 은, 도 5 의 플로우 차트의 연속이다.
승강 캐비넷 (1) 은 전방 및 하방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캐비넷 지지틀 (2) 과, 이 캐비넷 지지틀 (2) 의 안쪽에 배치된 수납고 (3) 로 이루어진다. 캐비넷 지지틀 (2) 은 그 좌우의 측벽 (2a, 2a) 의 안쪽에 가이드레일 (4, 4) 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납고 (3) 는 그 상부 좌우에 슬라이더 (5, 5)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고 (3) 의 좌우 슬라이더 (5, 5) 를 지지틀 (2) 의 좌우의 측벽 (2a, 2a) 의 가이드레일 (4, 4) 에 걸어맞춤으로써 수납고 (3) 는 캐비넷 지지틀 (2) 에 대하여 승강 가능해진다.
캐비넷 지지틀 (2) 의 상부 중앙에는 수납고 (3) 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 (6) 가 장착되어 있다. 추가로, 캐비넷 지지틀 (2) 의 상부의 좌우 양측에는 수납고 (3) 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부 (8, 8) 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6) 의 구동축 (도시 생략) 에는 권상용의 망차 (7) 가 고착되고, 그 망차 (7) 에는 좌우의 승강 기구부 (8, 8) 를 통해 수납고 (3) 를 매달고 있는 좌우의 와이어 로프 (9, 9) 의 일단이 각각 감겨있다.
도 2 는, 수납고 (3) 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부 (8) 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 도 2 는 캐비넷 지지틀 (2) 의 좌우에 설치한 승강 기구부 (8, 8) 중, 우측의 것만 설명하는 도면이다. 좌측의 승강 기구부 (8) 는 우측의 승강 기구부 (8) 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캐비넷 지지틀 (2) 의 안쪽에서 우측의 상부에는 고정도르래 (10) 가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도르래 (10) 에, 망차 (網車) (7) 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된 우측의 와이어 로프 (9) 가 위로부터 감겨있다. 와이어 로프 (9) 의 선단 (9a) 은, 고정도르래 (10) 의 오른쪽에서 캐비넷 지지틀 (2) 에 지지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 (9) 의 캐비넷 지지틀 (2) 에 지지된 선단과 고정도르래 (10) 와 걸리는 부분의 사이에, 움직도르래 (14) 가 위로부터 걸어맞춰져있다. 이 움직도르래 (14) 는 베이스부 (11) 에 수직 설치한 브라켓 (12) 에 수평 방향으로 걸쳐진 축 (13)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베이스부 (11) 는 움직도르래 (14) 를 통해 와이어 로프 (9) 에 매달려 있다. 그 결과, 모터 (6) 를 작동시켜서 와이어 로프 (9) 를 잡아당기거나 이완시키면, 베이스부 (11) 가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추가로, 이 베이스부 (11) 의 저면으로부터 가이드핀 (15) 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수납고 (3) 의 상부 좌우에 설치한 슬라이더 (5) 로부터는 매달기 부재 (17) 가 베이스부 (11) 를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매달기 부재 (17) 에는 삽입 통과구멍 (18) 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그 삽입 통과구멍 (18) 에 베이스부 (11) 의 가이드핀 (15) 의 상방 부분이 삽입 통과된다. 가이드핀 (15) 의 베이스부 (11) 와 매달기 부재 (17) 의 저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16) 이 끼워 넣어져 매달기 부재 (17) 를 베이스 부재 (11) 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 이 탄성 지지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 (16) 대신 공기식 또는 액체식의 댐퍼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납고 (3) 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이 증가하면, 그 슬라이더 (5) 에 고정된 매달기 부재 (17) 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스프링 (16) 을 크게 눌러 단축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고 (3) 의 베이스부 (11) 에 대한 위치는 상당히 낮아진다. 이에 대해, 수납고 (3) 에 적재하는 물품의 중량이 감소하면, 매달기 부재 (17) 에 의한 스프링 (16) 의 압축량은 작아져서 수납고 (3) 베이스부 (11) 에 대한 위치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 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추가로, 베이스부 (11) 와 매달기 부재 (17) 사이에는 베이스부 (11) 에 대한 수납고 (3) 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수단 (19) 이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수단 (19) 은 직동식의 포텐셔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 수단 (19) 의 검지편 (19a) 은 매달기 부재 (17) 에 형성한 구멍 (20) 에 끼워넣고 있다. 이 때문에, 수납고 (3) 및 그것과 일체가 되는 매달기 부재 (17) 가 베이스부 (11)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센서 수단 (19) 의 검지편 (19a) 은 매달기 부재 (17) 와 함께 베이스부 (11)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검지편 (19a) 의 베이스부 (11) 에 대한 위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후술하는 제어 수단에 입력되어 수납고 (3) 의 베이스부 (11) 에 대한 위치로서 검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동식의 승강 캐비넷 (1) 에 있어서의 수납고 (3) 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모터 (6) 를 망차 (7) 가 와이어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 구동 (정전) 되면, 움직도르래 (14) 를 통해 와이어 로프 (9) 에 매달려 있는 베이스부 (11) 가 상방으로 당겨 올려진다. 이렇게 베이스부 (11) 가 상승하면, 베이스부 (11) 에 설치된 가이드핀 (15) 과 걸어 맞춰져 있는 매달기 부재 (17) 및 이것과 일체의 슬라이더 (5) 및 수납고 (3) 는, 베이스부 (11) 와 함께 상승한다. 수납고 (3) 가 상승할 때에는, 그 슬라이더 (5) 가 캐비넷 지지틀 (2) 에 장착된 가이드레일 (4) 에 안내된다.
한편, 모터 (6) 를 망차 (7) 가 와이어 로프를 인출하는 방향으로 구동 (역 전) 시키면, 움직도르래 (14) 를 통해 와이어 로프 (9) 에 매달려 있는 베이스부 (11) 가 하강한다. 이렇게 베이스부 (11) 가 하강하면, 베이스부 (11) 의 가이드핀 (15) 과 걸어 맞춰져 있는 매달기 부재 (17) 및 이것과 일체의 슬라이더 (5) 및 수납고 (3) 는 그들 자체의 무게에 의해 베이스부 (11) 와 함께 하강한다. 수납고 (3) 가 하강할 때에는 그 슬라이더 (5) 가 캐비넷 지지틀 (2) 에 장착된 가이드레일 (4) 에 안내된다.
도 4 는, 수납고 (3) 의 캐비넷 지지틀 (2) 에 대한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 (21) 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요부로서 구성하고 있고,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의 판독 또는 모터 (6) 에 의한 승강 동작 제어를 실시하는 CPU,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한 ROM, 데이터의 일시 기억을 위한 RAM, 및 입출력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 (21) 의 입출력 회로에는 드라이버 (22) 를 통해 모터 (6) 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센서 수단 (19), 스타트 버튼 스위치 (누름 버튼식) (23), 수납고 (3) 의 승강 동작의 상한 위치에 설치된 상한 위치 검출 센서 (24), 및 수납고 (3) 의 승강 동작의 하한 위치에 설치된 하한 위치 검출 센서 (25) 가 제어부 (21) 의 입출력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은, 도 4 에 나타내는 제어부 (21) 의 CPU 가 실행하는 수납고 (3) 의 승강 동작 처리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수납고 (3) 에는 소정의 적재물이 탑재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비어 있어도 된다.
CPU 는, 스타트 버튼 스위치 (23) 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하고 있다 (단계 S01). 사용자가 수납고 (3) 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목적으로 스타트 버튼 스위치 (23) 를 누르면, CPU 는 이것을 감지하여 수납고 (3) 의 승강 동작 처리를 시작한다. 즉, 모터 (6) 를 정전 또는 역전시켜서 와이어 로프 (9) 를 망차 (7) 에 인수하거나 인출하여 베이스부 (11) 를 상승 또는 강하시킨다.
스타트 버튼 스위치 (23) 가 조작되면, CPU 는 그 때의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0 를 판독하여 기억한다 (단계 S02). 즉, 수납고 (3) 의 승강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수납고 (3) 베이스부 (11) 에 대한 위치를 기억한다. 다음으로, CPU 는 타이머에 검출 대기 시간 (후술) 에 상당하는 타이머값을 세트한다 (단계 S03).
CPU 는, 현재, 수납고 (3) 가 승강 동작의 하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 즉, 하한 위치 검출 센서 (25) 가 온 (on) 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04). 수납고 (3) 가 하한 위치에 없을 때에는, 추가로 수납고 (3) 가 상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 즉, 상한 위치 검출 센서 (24) 가 온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4). 그래서, 수납고 (3) 가 승강 동작의 하한 위치에 있을 때 (단계 S04 의 판별 결과가 YES 일 때), 또는,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 사이에 있을 때에는 (단계 S04 의 판별 결과도 단계 S14 의 판별 결과도 모두 NO 일 때), 하기의 단계 S05-S13 의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수납고 (3) 가 승강 동작의 상한 위치에 있을 때 (단계 S14 의 판별 결과가 YES 일 때), 하기의 단계 S15-S23 의 처리를 실시한다.
(1) 수납고 (3) 가 승강 동작의 하한 위치에 있거나 또는 중간 위치에 있을 때 :
우선, 모터 (6) 를 정전 구동하여 수납고 (3) 를 상승시킨다 (단계 S05). 다음으로, 단계 S3 에서 세트한 타이머값으로부터 일정량을 감산하고 (단계 S06), 그 결과 타이머 출력이 아직 제로로 되지 않으면 (단계 S07, 판단 NO), 단계 S05 로 되돌아가고, 이하, 스텝 S06, S07, S05… 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렇게 해서, 모터 (6) 의 정전 구동을 계속하여 결국 타이머의 출력이 제로로 된 시점에서 (검출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1 을 판독한다 (단계 S08).
다음으로, 단계 S08 에서 판독한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1 과, 단계 S02 에서 기억해 둔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0 의 차 Y 를 구한다 (단계 S09). 수납고 (3) 가 어느 것에도 방해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동안에는, 수납고 (3) 는 베이스부 (11) 와 일체로 되어 상승하기 때문에, 센서 수단 (19) 의 현재 검출값 X1 은 스타트 스위치 버튼을 누른 시점에서의 센서의 검출값 X0 과 큰 차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그 차 Y 가 미리 설정해 둔 허용치를 넘지 않고 (단계 S10, 판단 NO) 또한 수납고 (3) 가 상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단계 S11, 판단 NO), 모터의 정전 구동을 속행하여 (단계 S12) 수납고 (3) 를 추가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단계 S08 로 되돌아가서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1 을 구한다. 이하, 차 Y 가 상기 허용치를 넘지 않고, 또한 수납고 (3) 가 상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한, 즉, 수납고 (3) 가 정상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한, 단계 S08-S12, S08… 의 처리를 (예를 들어 0.1 초의 주기로) 반복한다. 그리고, 수납고 (3) 가 상한 위치에 도달 하면 (단계 S11, 판단 YES), 모터 (6) 의 구동을 정지한다 (단계 S13).
한편, 수납고 (3) 가 상승 중에 어떠한 장애물에 닿으면, 그 장애물에 의해 수납고 (3) 의 상승은 방해되어서 베이스부 (11) 만 상승하여 수납고 (3) 베이스부 (11) 에 대한 위치가 크게 변화하여 스프링 (16) 을 수축시킨다. 그 결과, 센서 수단 (19) 의 현재 검출값 X1 은, 수납고 (3) 의 상승 개시 직전의 검출값 X0 사이에 큰 차 Y (=X1-X0) 가 생긴다. 이 차 Y 는, 스프링 (16) 높이의 변화량, 즉, 수납고 (3) 의 상승을 방해하고 있는 힘 (스프링 (16) 의 높이의 변화량과 스프링 정수로 결정된다) 에 상당한다.
그래서, 이 차 Y 가 (즉, 수납고 (3) 의 상승을 방해하는 힘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계 S10), 수납고 (3) 의 상승 중에 수납고 (3) 의 상승을 방해하는 큰 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본다. 이 「허용 범위」 의 설정에는, 허용할 수 있는 수납고 (3) 의 상승을 방해하는 힘의 크기를 우선 정하고, 다음으로 이 힘과 스프링 (16) 의 스프링 정수로부터 스프링 (16) 의 높이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그 후, 그 스프링 (16) 의 높이의 변화량에 상당하는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의 차를 구한다.
차 Y 가 허용 범위 내일 때에는, 수납고 (3) 가 상한 위치에 없는 한 (단계 S11), 모터 (6) 의 정전 구동을 속행한다 (단계 S12). 한편, 차 Y 가 허용 범위로부터 어긋났을 때에는 모터 (6) 의 구동을 즉시 정지시켜 (단계 S13) 수납고 (3) 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상승 중의 수납고 (3) 에 장애물이 닿아도 수납고 (3) 의 상승을 정지함으로써, 장애물 및 수납고 (3) 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검출값 X1 과, 수납고 (3) 의 상승 개시 전의 검출값 X0 의 차 Y (=X1-X0) 의 크기에 기초하여, 수납고의 상승이 정상적으로 실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모터 (6) 의 구동을 시작한 직후에는, 수납고 (3) 는 관성 때문에 베이스부 (11) 의 움직임에 즉시 추종하지 않으므로, 장애물에 방해되지 않아도 상기의 차 Y 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것을 검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단계 S05-S07 의 처리). 모터 (6) 의 구동을 시작한 직후에는, 수납고 (3) (및 그것과 일체의 매달기 부재 (17) 및 슬라이더 (5)) 는, 관성으로 인해 베이스부 (11) 의 움직임에 즉시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수납고 (3) 는 베이스부 (11) 에 대하여, 가이드핀 (15) 의 하방부에 감긴 스프링 (16)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이 수납고 (3) 베이스부 (11) 에 대한 상대 이동은, 수납고 (3) 의 매달기 부재 (17) 에 고정된 검지편 (19a) 의 이동으로 되고, 센서 수단 (19) 으로의 입력으로 된다.
(2) 수납고 (3) 가 승강 동작의 상한 위치에 있을 때 :
우선, 모터 (6) 를 역전 구동시켜 수납고 (3) 를 하강시킨다 (단계 S15). 다음으로, 단계 S3 에서 세트한 타이머값으로부터 일정량을 감산하고 (단계 S16), 그 결과 타이머 출력이 아직 제로로 되지 않으면 (단계 S17, 판단 NO), 단계 S15 로 되돌아가고, 이하, 단계 S16, S17, S15… 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렇게 해서, 모터 (6) 의 역전 구동을 계속하여 결국 타이머 출력이 제로로 된 시점에서 (검출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1 을 읽는다 (단계 S18).
여기에서, 모터 (6) 의 역전 구동을 시작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검출 대기 시간) 이 경과할 때까지는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1 을 판독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은, 상기 (1) 의 경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 (6) 의 구동을 시작하여 베이스부 (11) 의 승강 동작을 시작한 직후에는, 수납고 (3) 는, 관성으로 인해, 그 베이스부 (11) 의 움직임에 즉시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장애물에 방해되고 있지 않아도 X1-X0 (=Y) 의 값이 커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단계 S18 에서 판독한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1 과, 단계 S02 에서 기억해 둔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0 의 차 Y 를 구한다 (단계 S19). 수납고 (3) 가 어느 것에도 방해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하강하고 있는 동안에는 수납고 (3) 는 베이스부 (11) 와 일체로 되어 하강하기 때문에, 센서 수단 (19) 의 현재 검출값 X1 은 스타트 스위치 버튼을 누른 시점에서의 센서의 검출값 X0 과 큰 차가 생기는 것은 없다.
그 차 Y 가 미리 설정해 둔 허용치를 넘지 않고 (단계 S20, 판단 NO) 또한 수납고 (3) 가 하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단계 S21, 판단 NO), 모터의 역전 구동을 속행하여 (단계 S22) 수납고 (3) 를 추가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단계 S18 로 되돌아가서 센서 수단 (19) 의 검출값 X1 을 구한다. 이하, 차 Y 가 상기 허용치를 넘지 않고, 또한 수납고 (3) 가 하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한, 즉, 수납고 (3) 가 정상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한, 단계 S18-S22, S18… 의 처리를 (예 를 들어 0.1 초의 주기로) 반복한다. 그리고, 수납고 (3) 가 하한 위치에 도달하면 (단계 S21, 판단 YES), 모터 (6) 의 구동을 정지한다 (단계 S23).
한편, 수납고 (3) 가 하강 중에 어떤 장애물에 닿으면, 수납고 (3) 의 하강은 방해되고, 베이스부 (11) 만 하강하여 수납고 (3) 의 베이스부 (11) 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여 스프링 (16) 이 신장한다. 그 결과, 센서 수단 (19) 의 현재 검출값 X1 은, 수납고 (3) 의 상승 개시 직전의 검출값 X0 사이에 차 Y (=X1-X0) 가 생긴다. 이 차 Y 는, 스프링 (16) 의 높이의 변화량, 즉, 수납고 (3) 의 하강을 방해하고 있는 힘에 상당한다.
그래서, 이 차 Y 가 (즉, 수납고 (3) 의 하강을 방해하는 힘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계 S20), 수납고 (3) 의 하강 중에 수납고 (3) 의 하강을 방해하는 큰 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살펴본다. 차 Y 가 허용 범위 내일 때에는 수납고 (3) 가 하한 위치에 없는 한 (단계 S21), 모터 (6) 의 역전 구동을 속행한다 (단계 S22). 한편, 차 Y 가 허용 범위로부터 어긋났을 때에는 모터 (6) 의 구동을 즉시 정지하여 (단계 S23) 수납고 (3) 의 하강을 정지한다. 이렇게 해서, 하강 중의 수납고 (3) 에 장애물이 닿아도 수납고 (3) 의 하강을 정지함으로써, 장애물 및 수납고 (3)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타트 스위치 버튼 (23) 을 누르기 전의 수납고 (3) 가 그 승강 동작의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모터를 정전시켜서 수납고 (3) 를 상승시켰지만 (단계 S14, S15), 이것 대신에 모터를 역전시켜서 수납고 (3) 를 하강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단계 S04 의 처 리 (판단 결과; NO) 로부터 (단계 S14 의 처리를 생략하여) 즉시 단계 S15 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기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수단 (19) 을 직동식의 포텐셔미터로 구성하고 있지만, 센서 수단 (19) 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드셀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베이스 (11) 와 슬라이더 (17) (수납고 (3)) 사이에 로드셀을 설치하고, 승강 동작에 의한 수납고 (3) 의 하중을 로드셀로 검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핀 (15) 및 스프링 (16) 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승 개시시 혹은 하강 개시시에 상당하는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승강 동작 개시 직전의 센서 수단의 검출값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승강 동작 개시 시점부터 검출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상승 개시시 혹은 하강 개시시에 상당하는 센서 수단의 검출값으로 해도 된다.

Claims (4)

  1. 캐비넷 지지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적 구동원을 갖는 전동식의 승강 캐비넷으로서,
    베이스부를 상기 전자적 구동원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수납고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수단을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수납고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수납고의 상승 개시시부터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하기 까지의 동안에는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판독하지 않고, 상승 개시시부터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을 판독하고, 상승 개시시에 상당하는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과, 상기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센서 수단의 검출값의 차가,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상기 수납고의 상승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캐비넷.
  2. 삭제
  3. 캐비넷 지지틀과,
    상기 캐비넷 지지틀에 이 캐비넷 지지틀에 대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는 모터와,
    상기 베이스부에 스프링을 통해 매달리고, 또한 상기 캐비넷 지지틀에 형성된 가이드틀에 가이드되어 승강 가능한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센서의 현재 출력과 상기 모터의 구동 전의 출력 차가 소정량을 넘었을 때, 상기 모터에 대하여 구동 정지 신호를 보내도록 하고,
    추가로, 타이머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나서 상기 타이머에 설정한 일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위치 센서의 출력을 정지시킨 승강 캐비넷.
  4. 삭제
KR1020067009555A 2003-11-17 2004-11-10 승강 캐비넷 KR101118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6867A JP4235534B2 (ja) 2003-11-17 2003-11-17 昇降キャビネット
JPJP-P-2003-00386867 2003-11-17
PCT/JP2004/016641 WO2005046393A1 (ja) 2003-11-17 2004-11-10 昇降キャビネ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533A KR20060107533A (ko) 2006-10-13
KR101118001B1 true KR101118001B1 (ko) 2012-02-24

Family

ID=3458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555A KR101118001B1 (ko) 2003-11-17 2004-11-10 승강 캐비넷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692967B1 (ko)
JP (1) JP4235534B2 (ko)
KR (1) KR101118001B1 (ko)
CN (1) CN100455233C (ko)
AT (1) ATE509549T1 (ko)
HK (1) HK1094412A1 (ko)
WO (1) WO2005046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3356A1 (de) * 2005-09-12 2007-03-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Kühlgutträger mit Sicherheitsabschaltung
DE102005057148A1 (de) * 2005-11-30 2007-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chengerät mit höhenverstellbarer Regalablage
JP4534254B2 (ja) * 2006-03-23 2010-09-0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昇降吊戸棚
JP5153233B2 (ja) * 2007-06-29 2013-02-27 クリナップ株式会社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除菌方法
JP4994130B2 (ja) * 2007-07-09 2012-08-08 福伸電機株式会社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JP4994131B2 (ja) * 2007-07-09 2012-08-08 福伸電機株式会社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AT507139A1 (de) * 2008-07-18 2010-02-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DE202009004806U1 (de) * 2009-05-12 2010-10-14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Möbel
JP5612865B2 (ja) * 2010-02-05 2014-10-22 福伸電機株式会社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AT514743B1 (de) * 2013-09-13 2017-12-15 Blum Gmbh Julius Vorrichtung zur Bewegung eines Möbelteils
NL2011606C2 (en) * 2013-10-14 2015-04-16 Thomas Regout Internat B V Support system for movable support of a load.
PL3323315T3 (pl) 2016-11-17 2020-01-31 Wheel.Me As Mebel lub urządzenie zawierające urządzenie stabilizujące
CN107744273A (zh) * 2017-08-23 2018-03-02 安徽西玛科电器有限公司 一种升降嵌入式集成灶橱柜
CN109987544A (zh) * 2019-04-29 2019-07-09 金宸天恒(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变空间升降系统
CN110040651A (zh) * 2019-04-30 2019-07-23 金宸天恒(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多变空间的多电机并行同步控制系统和方法
CN111493552B (zh) * 2020-04-28 2021-12-03 台州市路桥常青五金制造厂 一种基于电磁感应原理的化妆品自动存放装置
CN112012081A (zh) * 2020-08-19 2020-12-01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地面整平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547Y2 (ja) * 1990-01-24 1996-11-06 株式会社城南製作所 昇降式吊戸棚の障害物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736A (ja) * 1989-09-06 1991-04-22 Mitsuboshi Belting Ltd チェーン式動力伝動用ベルト
JPH04122307A (ja) * 1990-09-14 1992-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昇降棚装置
JPH0614816A (ja) * 1992-06-30 1994-01-25 Raifu Technol Kenkyusho 物品移送装置
JPH07313274A (ja) * 1994-05-25 1995-12-05 Fujita Corp 昇降式吊戸棚
JP2912894B1 (ja) * 1998-01-30 1999-06-28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昇降キャビネット
US6137403A (en) * 1998-12-10 2000-10-24 Phoenix Controls Corporation Sash sensor and method of sensing a sash using an array of multiplexed elements
JP4122307B2 (ja) * 2004-03-05 2008-07-23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収納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547Y2 (ja) * 1990-01-24 1996-11-06 株式会社城南製作所 昇降式吊戸棚の障害物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2967A1 (en) 2006-08-23
KR20060107533A (ko) 2006-10-13
CN1878487A (zh) 2006-12-13
WO2005046393A1 (ja) 2005-05-26
JP2005143897A (ja) 2005-06-09
ATE509549T1 (de) 2011-06-15
JP4235534B2 (ja) 2009-03-11
CN100455233C (zh) 2009-01-28
HK1094412A1 (en) 2007-03-30
EP1692967B1 (en) 2011-05-18
EP1692967A4 (en)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001B1 (ko) 승강 캐비넷
EP1017610A1 (en) Cable slack detector
KR0145430B1 (ko) 입체 주차장
KR102182560B1 (ko) 차량용 적재장치
CN110791931A (zh) 基于重量检测的晾衣机上升控制系统、方法及晾衣机
CN112726148A (zh) 一种收纳式晾衣架的控制方法及收纳式晾衣架
CN109750465B (zh) 晾杆上升遇阻保护装置和运行方法及晾衣机
JP2008005894A (ja) 電動昇降式吊戸棚の安全装置
CN215710902U (zh) 一种升降机顶部保护装置
CN211340118U (zh) 基于重量检测的晾衣机上升控制系统
JP4325528B2 (ja) 昇降物干し装置
KR102271961B1 (ko)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JP4616610B2 (ja) 昇降物干し装置
CN112378685B (zh) 一种电动晾衣机遇阻功能自动测试装置及方法
CN218787661U (zh) 冰箱
JP2870614B2 (ja) 物品昇降装置
CN218939620U (zh) 一种硅芯清洗机机械手提篮结构
CN216785420U (zh) 一种平台别墅梯防夹装置
CN218534569U (zh) 智能升降装置及线缆行走机器人
JP4770695B2 (ja) キッチン設備
KR102374835B1 (ko) 운반용 백 이송용 호이스트
CN118177488A (zh) 一种收纳柜体自动升降方法
CN117847600A (zh) 一种烟机控制方法
CN115930509A (zh) 冰箱
JPH05317129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