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200B1 -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200B1
KR101089200B1 KR1020067009168A KR20067009168A KR101089200B1 KR 101089200 B1 KR101089200 B1 KR 101089200B1 KR 1020067009168 A KR1020067009168 A KR 1020067009168A KR 20067009168 A KR20067009168 A KR 20067009168A KR 101089200 B1 KR101089200 B1 KR 10108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idth direction
recording medium
longitudinal direction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463A (ko
Inventor
마사노리 수에오카
아키미츠 츠쿠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37Substrates having an organic polymer comprising a ring stru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2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one material
    • H05K1/034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one material containing 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180℃에서 30분간, 무장력하에서 열처리했을 때의 폭방향의 열수축율이 1.0∼2.5%이며,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각각 αMD(×10-6/℃), αTD(×10-6/℃),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습도팽창계수를 각각 βMD(×10-6/%RH), βTD(×10-6/%RH)로 했을 때, 하기 식(1)∼(4)를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 본 발명의 필름은 온도, 습도에 의한 치수변화를 특정의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치수변화 및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를 매우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αMD≤10…(1)
αMD-10≤αTD≤αMD-3…(2)
-10≤βMD≤10…(3)
βMD-10≤βTD≤βMD-3…(4)

Description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FILM AND MAGNETIC-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름, 특히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 및 그것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이용한 자기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기록 기술의 진보 및 컴퓨터에서 취급하는 데이터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들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자기테이프의 수요가 급속하게 신장해 오고 있다. 이러한 자기테이프는 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이용한 것이지만, 최근에는, 자기테이프의 박막화 및 고밀도 기록화의 요구가 강해져서, 뛰어난 내열성, 기계특성 및 치수안정성을 갖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이 이용되는 일이 많아져 왔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는 최근의 고용량화에 따라,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약간의 치수변화가 데이터 결락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치수변화는, 열수축 등의 불가역적 변화와 온도, 습도에 의한 팽창, 수축 등의 가역적 변화로 나뉘어진다. 불가역적 변화는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공정에서 어닐 등의 처리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가역적 변화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보존시에 온도, 습도가 변화되면 필름 의 팽창이나 수축이 일어나서, 기록 데이터가 본래 있어야 할 위치로부터 어긋남으로써, 판독되기 어렵게 되는 일이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온도, 습도에 의한 변화를 제어한 예가 하기 특허문헌1∼6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나 필름 커넥터 등의 회로기판 용도를 상정한 것으로, 주로 구리와 접합해서 사용되므로, 구리의 열팽창계수와 필름의 열팽창계수를 맞추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자기기록매체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 예가, 하기 특허문헌7 및 8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7은 습도팽창계수를 제어해서 치수변화를 작게 하고자 하는 것으로, 습도팽창계수(β)가, β≤100×10-6(1/%RH)을 만족할 필요가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시예에도 β가 10∼60×10-6(1/%RH)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자기기록매체로 가공되는 공정에서, 자성층이나 백코트층이 형성되면, 이들 층의 영향에 의해, 자기기록매체의 치수변화와 베이스 필름의 치수변화가 다른 것이 명백해졌다. 이러한 경우, 자기기록매체의 β는 베이스 필름에 대해서 증가되는 일이 많고, 자기기록매체의 치수변화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필름의 β는 마이너스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도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7에 의하면, 「β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업적으로는 1×10-8정도가 제조한계이다」(제4페이지, 제18단락)라고 기재되어 있듯이, β를 마이너스로 하는 사상 및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자성층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할 경우, 자성층 형성후에 발생하는 컬(자성면을 내측으로 해서 테이프가 만곡하는 현상)된 부분을 열처리에 의해 평평하게 할 필요가 있고, 이 때, 자기기록매체의 폭방향의 물성이 크게 변화되어, 길이방향과 폭방향에서 물성에 차가 생긴다. 이 때문에, 자기기록매체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베이스 필름의 팽창계수를 길이방향과 폭방향에서 차가 생기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그러한 사상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8은, 슬릿성의 개량을 목적으로, 두께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규정한 것이지만, 특허문헌7과 마찬가지로, 자기기록매체로 가공후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를 일치시키고자 하는 사상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9에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지지체로 한 자기테이프의 습도팽창계수를 규정한 예가 개시되어 있지만, 역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를 일치시키고자 하는 사상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평2-84328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평2-112935호 공보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개 평3-60181호 공보
특허문헌4:일본 특허공개 평6-136156호 공보
특허문헌5:일본 특허 2853036호 공보
특허문헌6:일본 특허 2952907호 공보
특허문헌7:일본 특허공개 평8-297829호 공보
특허문헌8:일본 특허공개 2003-160676호 공보
특허문헌9:일본 특허공개 평6-180836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가역적 치수변화를 억제하고, 또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가 최소로 되도록 설계한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180℃에서 30분간, 무장력하에서 열처리했을 때의 폭방향의 열수축율이 1.0∼2.5%이며,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각각 αMD(×10-6/℃), αTD(×10-6/℃),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습도팽창계수를 각각 βMD(×10-6/%RH), βTD(×10-6/%RH)로 했을 때, 하기 식(1)∼(4)를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10≤αMD≤10…(1)
αMD-10≤αTD≤αMD-3…(2)
-10≤βMD≤10…(3)
βMD-10≤βTD≤βMD-3…(4)
이러한 필름에 있어서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을 각각 EMD(GPa), ETD(GPa)로 했을 때, 하기 식(5) 및 (6)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8≤EMD≤20…(5)
EMD×0.7≤ETD≤EMD×1.7…(6)
또한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는, 상기와 같은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자성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각각 α'MD(×10-6/℃), α'TD(×10-6/℃),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습도팽창계수를 각각 β'MD(×10-6/%RH), β'TD(×10-6/%RH)로 했을 때, 하기 식(7)∼(10)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α'MD≤10…(7)
-5≤α'MD-α'TD≤5…(8)
-10≤β'MD≤10…(9)
-5≤β'MD-β'TD≤5…(10)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온도, 습도에 의한 치수변화를 특정의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치수변화 및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를 매우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 기록밀도가 향상되어도 필요한 데이터를 적확하게 읽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실제로 자기기록매체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온 도·습도조건의 범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는, 180℃에서 30분간, 무장력하에서 열처리했을 때의 폭방향의 열수축율이 1.0∼2.5%이다. 폭방향의 열수축율이 1.0%미만인 경우, 자기기록매체로 가공후의 컬 되돌리기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평면성을 유지할 수 없는 일이 있다. 폭방향의 열수축율이 2.5%를 초과할 경우, 컬 되돌리기의 처리를 행한 후에도 열수축에 의한 치수변화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 컬 되돌리기의 효과와 치수변화의 밸런스가 보다 좋은 점에서, 폭방향의 열수축율은 1.5∼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방향의 열수축율은 1.5%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며, 이것에 의해, 온도변화에 의한 테이프의 치수변화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열수축율(%)의 측정은, 시료를 폭 1cm, 길이 22cm로 잘라내고, 길이방향의 양단으로부터 1cm의 부분에 표시를 행하고, 200℃의 열풍 오븐내에서 30분간, 실질적으로 장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하기 식(11)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열수축율=((열처리전의 시료길이-열처리후의 시료길이)/열처리전의 시료길이)×100…(11)
본 발명의 필름의 길이방향의 열팽창계수 αMD(×10-6/℃)는 -10이상 10이하이다. -10미만 혹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팽창 혹은 열수축에 의한 변화가 커서,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에 환경의 변화에 의해 기록한 데이터를 읽어낼 수 없는 일이 있다. 열에 의한 변화가 보다 작아지는 점에서, -7≤αMD≤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αMD≤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성층 형성후에 발생하는 컬을 평평하게 하는 처치는, 주로,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150∼250℃정도로 가열하여, 베이스 필름을 폭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행한다. 따라서, 길이방향의 열에 의한 거동은 크게 변화되지 않지만, 폭방향은 열팽창계수가 3∼10 정도 커지는 것이 명백해졌다. 따라서, 자기기록매체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열변화에 의한 차를 0에 가깝도록 설계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필름은 이 상승분을 빼서, αMD-10≤αTD≤αMD-3(식(2))과 같이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α MD-3<αTD 또는 αTD<αMD-10이 되는 경우,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열에 의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비율이 크게 다른 일이 있다. 이러한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했을 때, 특히 자기헤드가 헬리칼 스캔인 경우에는, 자기테이프(자기기록매체)에 대한 헤드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방향의 어긋남에 헤드가 추종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열에 의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비율이 보다 같아지게 되므로, αMD-6≤αTD≤αMD-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열팽창계수(α)는 열기계 시험기(TMA)를 이용하여, 자기기록매체가 실제로 사용되는 영역:30℃→40℃의 변위량으로부터 하기 식(12)를 이용하여 계산했다.
α=(X1-X0)/(온도차×측정전의 샘플길이)…(12)
X0:30℃에서의 샘플길이(mm)
X1:40℃에서의 샘플길이(mm)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길이방향의 습도팽창계수 βMD(×10-6/%RH)는 -10이상 10이하이다. -10미만 혹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습도에 의한 팽창 혹은 수축에 의한 변화가 커서,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에 환경의 변화에 의해 기록한 데이터를 읽어낼 수 없는 일이 있다. 습도에 의한 변화가 보다 작아지는 점에서, -7≤βMD≤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βMD≤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열팽창과 마찬가지로, 컬을 평평하게 할 때에 길이방향의 습도에 의한 거동은 크게 변화되지 않지만, 폭방향에 대해서는 습도팽창계수가 3∼10정도 커지는 것이 명백해졌다. 따라서, 자기기록매체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습도변화에 의한 차를 0에 가깝도록 설계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필름은 이 상승분을 빼서, βMD-10≤βTD≤βMD-3(식(4))과 같이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βMD-3<βTD 또는 βTD<βMD-10이 되는 경우,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습도에 의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비율이 크게 다른 일이 있다. 이러한 필름은 열팽창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방향의 어긋남에 헤드가 추종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습도에 의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비율이 보다 같아지게 되는 점에서 βMD-6≤βTD≤βMD-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습도팽창계수(β)는 테이프 신장량 시험기를 이용하여, 분위기를 25℃, 25%RH로부터 25℃, 85%RH로 변화시켰을 때의 변위량으로부터, 하기 식(13)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β=(Y1-Y0)/(습도차×측정전의 샘플길이)…(13)
Y0:25℃, 25%RH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샘플길이(mm)
Y1:25℃, 85%RH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샘플길이(mm)
이들 식(1)∼식(4)는 동시에 만족시킬 필요가 있으며,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 치수변화에 의해 데이터를 읽어낼 수 없는 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자성층을 형성해서 자기기록매체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기록매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각각 α'MD, α'TD(×10-6/℃),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습도팽창계수를 각각 β'MD, β'TD(×10-6/%RH)로 했을 때, 하기 식(7)∼(10)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α'MD≤10…(7)
-5≤α'MD-α'TD≤5…(8)
-10≤β'MD≤10…(9)
-5≤β'MD-β'TD≤5…(10)
식(7) 및 식(9)를 만족시킴으로써, 각각 온도, 습도에 의한 치수변화의 절대값을 작게 할 수 있고, 식(8) 및 식(10)을 만족시킴으로써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치수변화의 절대값이 크면 자기테이프 등으로 가공했을 때에, 기록 데이터의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데이터를 읽을 수 없게 되거나, 롤상으로 감아서 사용할 경우, 두껍게 감기거나 어긋나게 감기는 일이 발생한다.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가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기록방향의 어긋남에 헤드가 추종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어, 데이터를 읽을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을 각각 EMD, ETD(GPa)로 했을 때, 하기 식(5) 및 (6)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EMD≤20…(5)
EMD×0.7≤ETD≤EMD×1.7…(6)
EMD가 8GPa미만인 경우, 강성이 불충분하여 박막화에 적합하지 않는 일이 있다. 박막화에 보다 적합하다는 점에서, EMD는 10GPa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GPa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EMD는 높을 수록 박막화에는 적합하지만, 지나치게 높으면 신장도가 저하되어 취약한 필름으로 되므로 상한은 20G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MD×0.7>ETD가 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지나치게 배향되어 찢어지기 쉬워지거나, 폭방향의 영률이 불충분하여, 반복 주행시키면 테이프가 변형되어 자기특성이 변화되는 일이 있다. 또한 ETD>EMD×1.7이 되는 경우, 폭방향의 배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슬릿성이 악화되거나, 반복 주행하면 끝부가 변형되는 일이 있다. 슬릿성과 영률의 밸런스가 보다 좋아지기 위해서 EMD×0.8≤ETD≤EMD×1.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EMD×1.0≤ETD≤EMD×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영률은, 텐시론을 이용하여 인장속도 300mm/분으로 인장하여, 신장도와 연신응력이 이루는 곡선의 초기구배로부터 구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의 신장도는 모든 방향에 있어서 5%이상인 것이 바람직 하다. 신장도가 5%미만인 경우, 필름이 취약해져서 끊어지기 쉬워지는 일이 있다. 테이프로 가공했을 때에 적당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신장도는 10%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흡습율은, 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이하이면 습도변화에 의한 치수변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필름은 구성하는 폴리머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면 여러가지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방향족 폴리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화학식(1) 및/또는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반복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1)
Figure 112006032988897-pct00001
(화학식2)
Figure 112006032988897-pct00002
여기에서, Ar1, Ar2, Ar3의 기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화학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3)
Figure 112006032988897-pct00003
또한 상기 X, Y의 기는, -O-, -CH2-, -CO-, -CO2-, -S-, -SO2-, -C(CH3)2- 등에서 선택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방향환 상의 수소원자의 일부가 불소나 브롬, 염소 등의 할로겐기( 특히 염소), 니트로기, 메틸이나 에틸, 프로필 등의 알킬기(특히 메틸기), 메톡시나 에톡시, 프로폭시 등의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흡습율을 저하시켜, 습도변화에 의한 치수변화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체를 구성하는 아미드 결합중의 수소가 다른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상기의 방향환이 파라 배향성을 갖고 있는 것이, 전체 방향환의 80몰%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몰%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파라 배향성이란, 방향환 상 주쇄를 구성하는 2가의 결합손이 서로 동축 또는 평행하게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파라 배향성이 80몰% 미만인 경우, 필름의 강성 및 내열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다음 화학식(4)로 나타내어지는 반복단위를 60몰%이상 함유할 경우, 연신성 및 필름물성이 특히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화학식4)
Figure 112006032988897-pct00004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방향족 디산 클로리드와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얻는 경우에는,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비프로톤성 유기극성 용매중에서의 용액중합에 의해 합성하면 좋다.
이 때, 저분자량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반응을 저해하는 물, 그 밖의 물질의 혼입은 피해야 하며, 효율적인 교반수단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조제로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리튬, 브롬화리튬, 질산리튬 등을 첨가해도 좋다.
단량체로서 방향족 디산 클로리드와 방향족 디아민을 사용하면 염화수소가 부생하지만, 이것을 중화하는 경우에는 주기율표 I족이 II족의 양이온과 수산화물이온, 탄산이온 등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염으로 대표되는 무기의 중화제, 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 에탄올아민 등의 유기의 중화제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기재 필름의 습도특성을 개선하는 목적에서, 염화 벤조일, 무수 프탈산, 초산 클로리드, 아닐린 등을 중합이 완료된 계에 첨가하여, 폴리머의 말단관능기를 봉쇄해도 좋다.
본 발명의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폴리머의 고유점도(폴리머 0.5g을 황산중에서 100㎖의 용액으로 해서 30℃에서 측정한 값)는 0.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막원액으로서는, 중화후의 폴리머용액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일단, 폴리머를 단리후, 용제에 재용해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용제로서는, 취급하기 쉬운 점에서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유기극성용매가 바람직하지만, 농황산, 농질산, 폴리인산 등의 강산성 용매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제막원액중의 폴리머 농도는 2∼20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층이 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에는, 필름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활제, 산화방지제외 기타의 첨가제 등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당한 거칠기를 갖게 하는 목적에서 필름중에 입자를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종류로서는, SiO2, TiO2, Al2O3, CaSO4, BaSO4, CaCO3, 카본블랙, 제올라이트외 기타의 금속미분말 등의 무기입자나, 실리콘입자, 폴리이미드입자, 가교 공중합체입자, 가교 폴리에스테르입자, 가교 폴리스티렌입자, 테프론(등록상표)입자 등의 유기 고분자 등이 있지만,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의 내열성을 살리는 점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무기입자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입자지름으로서는, 용도에 따라 선택의 폭이 있지만, 0.01∼2㎛의 범위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유량으로서는, 필름 표면의 미끄러짐을 좋게 하기 위해서, 0.01∼10중량%의 범위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기기록매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균 입경이 0.01∼0.5㎛인 범위내에 있는 무기입자를 0.1∼3중량%의 범위내에서 함유하는 것이 전자변환특성과 주행성, 내구성을 양립시키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의 미끄러짐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제막공정이나 가공공정에 있어서, 필름과 롤이 접촉했을 때에, 미소한 이물이 있는 경우라도 상처의 원인이 되기 쉽다. 최종 필름의 표면 거칠기도, 함유입자와 마찬가지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설계가 이루어져야할 것이지만, 예를 들면 자기기록매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로 0.1∼100nm의 범위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0nm의 범위내, 10점 평균 거칠기(Rz)로 2∼500nm의 범위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3∼400n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필름에 상처가 생기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제된 제막원액은, 건식법, 건습식법, 습식법 등에 의해 필름화가 행해지지만, 고품위의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건습식법이 바람직하다.
이하, 건습식법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상기 제막원액을 구금으로부터 드럼, 엔드리스벨트 등의 지지체 상에 압출해서 박막으로 하고, 계속해서 이러한 박막층으로부터 용매를 비산시켜서, 지지체로부터 박리 가능한 중합체 시트를 얻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중합체 시트란, 폴리머 이외에 용제, 용해조제 등을 함유하는 자기지지성을 갖는 필름 또는 시트를 말한다.
이 때의 건조온도(열풍이나 지지체의 온도)는 필름 표면의 평활성이 좋아진다는 점에서 80∼200℃가 바람직하다. 또한 80∼120℃에서 예열후, 건조온도를 120∼200℃로 올리면 평면성이 보다 좋아지고, 또한 건조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체 시트의 용제 함유량은 2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 함유량이 70중량%를 넘으면 중합체 시트의 자기지지성이 불충분하여 연신성에 편차가 생기기 쉽고, 20중량% 미만에서는 폴리머가 부분적으로 석출되어 필름의 신장도가 저하되는 일이 있다. 이렇게 연신성에 편차가 있으면 필름의 두께나 치수변화 거동에 편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필름의 두께나 치수변화 거동이 보다 균일하게 되는 점에서, 중합체 시트의 용제 함유량은 30∼7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0∼6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로부터의 박리시의 중합체 시트의 온도는 8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120℃를 초과하면 중합체 시트가 연화되어서 두께나 치수변화 거동에 편차가 발생하기 쉬워져, 치수변화 거동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에서 차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80℃ 미만으로 하면, 건조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합체 시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건조온도를 초기에 저온(80∼120℃), 중기에서 고온(120∼200℃), 후기(박리시)에 다시 저온(80∼1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온도를 제어하기 쉬운 점에서 지지체는 엔드리스벨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지지체로부터 박리된 중합체 시트는 30∼60℃로 냉각후, 길이방향으로 1.1∼2.0배 연신된다. 냉각에는, 냉수를 통과시킨 롤에 접촉시키거나, 냉풍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시트의 온도가 60℃를 넘으면 치수변화 거동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에서 차가 생기거나, 습식공정과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습식공정 도입시에 크게 넥다운되어 폭방향의 열수축율이 작아지거나, 치수변화 거동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차가 더욱 커지는 일이 있다. 또한 30℃미만에서는 중합체 시트에 유연성이 없어 연신시에 중합체 시트가 파열되는 일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연신배율이 1.1배 미만인 경우, 길이방향의 영률이 7GPa미만으로 되는 일이 있다. 또한 연신배율이 2.0배를 넘으면 필름이 찢어지기 쉬워진다.
계속해서, 길이방향의 연신공정을 마친 중합체 시트는, 습식공정으로 도입되어 탈염, 탈용매 등이 행해진다. 습식공정을 통과하지 않고 그대로 열처리를 행하면, 표면이 크게 거칠어지거나, 컬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습식욕의 온도는 3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60℃를 초과하면 표면이 거칠어지는 일이 있으며, 30℃ 미만에서는, 탈염, 탈용매의 시간이 길어지는 일이 있다.
습식공정을 거친 필름은 수분의 건조, 열처리가 행해진다. 열처리온도는 200∼4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320℃이다. 열처리온도가 200℃미만인 경우, 필름의 영률이 저하되는 일이 있으며, 400℃를 넘으면 필름의 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서 딱딱하고 취약한 필름으로 되는 일이 있다.
또한 열처리시에, 폭방향으로 연신을 행한다. 연신배율은 길이방향 연신배율을 RMD, 폭방향 연신배율을 RTD로 했을 때, EMD, ETD가 식(6)의 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RMD×0.6≤RTD≤RMD×1.8
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150∼250℃의 온도에서 폭방향으로 1.01∼1.03배 다시 연신하고, 그 후에 150∼250℃의 온도에서 폭방향으로 정길이로 유지한 채 30초이상 열처리하여, 열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작에 의해 컬 되돌리기에 필요한 폭방향의 열수 축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건조공정에서의 온도조정과 이 열처리를 조합함으로써, 필름의 폭방향의 열팽창계수 및 습도팽창계수를 길이방향에 대해서 3∼10 작게 할 수 있어(식(2) 및 식(4)를 달성할 수 있어),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재연신온도가 250℃를 넘으면 필요한 열수축율이 얻어지지 못하고, 컬 되돌리기가 불충분해지는 일이 있으며, 150℃ 미만에서는 연신응력이 커져서 치수변화가 증대되는 일이 있다. 재연신배율이 1.03배를 넘으면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커지고, 1.01배미만에서는 필요한 열수축율이 얻어지지 않아 컬 되돌리기가 불충분해지는 일이 있다. 또한 열고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 자성층 형성시에 필름이 받는 열에 의해 재연신의 효과가 없어져 버리는 일이 있다. 열고정온도는, 재연신온도보다 30∼50℃ 낮게 설정하는 것이, 컬 처리후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치수변화의 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법으로 제조되는 필름은, 적층필름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2층인 경우에는, 중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용액을 이분하고, 각각에 다른 입자 등을 첨가한 후 적층한다. 또한 3층이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들 적층의 방법으로서는, 주지의 방법, 예를 들면 구금내에서의 적층이나, 복합관에서의 적층이나, 일단 1층을 형성해 두고 그 위에 다른 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감열전사 리본, 콘덴서 등의 용도에도 사용되지만,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특히 유용하며, 자기기록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자성층을 형성해 서 자기기록매체로 한다.
자기기록매체의 바람직한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8mm, 디지털 비디오카세트 등의 민간용, 프로용, D-1, 2, 3등의 방송국용, DDS-2, 3, 4, QIC, 데이터 8mm, DLT 등의 데이터 스토리지용 등이 있고, 특히, 데이터 결락 등의 신뢰성이 중시되는 데이터 스토리지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베이스 필름의 두께가 1∼5㎛이며, 자기기록매체로 했을 때의 두께가 2∼8㎛인 것이 자기기록매체로서 바람직한 자기특성과 주행성을 유지하면서, 큰 체적기록 용량이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에서는, 자성층의 형성은, 도포법, 증착법, 이온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클러스터 이온빔법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증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증착법은, 예를 들면 경사 증착 혹은 수직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고, Co, Ni, Fe 등을 주체로 하는 금속박막 또는 이들의 합금을 주체로 하는 금속박막이 사용 가능하다. 예시하면, Co, Ni, Fe 등의 강자성 금속이나 Fe-Co, Co-Ni, Fe-Co-Ni, Fe-Cu, Co-Au, Co-Pt, Mn-Bi, Mn-Al, Fe-Cr, Co-Cr, Ni-Cr, Fe-Co-Cr, Co-Ni-Cr, Fe-Co-Ni-Cr 등의 강자성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층막이어도 다층막이어도 좋다.
또한 증착의 방법으로서는, 감압하에서 강자성 재료를 가열 증발시켜서, 필름 상에 퇴적하는 진공증착법이 바람직하지만, 강자성 재료의 증발을 방전중에서 행하는 이온플레이팅법, 아르곤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위기중에서 글로브방전을 일 으켜서 생긴 아르곤 이온으로 타겟 표면의 원자를 충돌시키는 스퍼터링법 등, 소위 PVD기술을 사용해도 좋다. 자성박막 형성후에는, 컬 대책으로서, 150℃∼250℃의 열처리가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이 때, 길이방향으로는 0.5∼10MPa의 장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자성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층의 표면에, 자기기록매체의 내구성이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스퍼터링법이나 CVD법에 의해 경질 탄소막을 필요에 따라 형성해도 좋고, 또한 윤활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성재료의 입자상 돌기의 형상에 기초한 주행성을 더욱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윤활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의 다른쪽에는, 백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백코트층은 기본적으로 비자성 분말과 결합재로 구성되고, 비자성 분말로서 카본블랙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 분말로서, 탄산칼슘, 및 모스경도 5∼9의 무기질 분말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성의 측정, 효과의 평가는 다음 방법에 따라 행했다.
(1)중합체 시트의 온도
사토 케이료키(주)제 접촉식 온도계 SK-2000MC를 이용하여 폭방향 중앙부를 측정했다.
(2)열수축율(%)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폭 1cm, 길이 22cm로 잘라내고, 길이방향의 양단으로부터 1cm의 부분에 표시를 행했다. 200℃의 열풍 오븐중에서 30분간, 실질적으로 장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식(11)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열수축율=((열처리전의 시료길이-열처리후의 시료길이)/열처리전의 시료길이)×100…(11)
(3)영률(E)
25℃, 60%RH에 있어서, 로봇텐시론 RTA-100(오리엔테크사제)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샘플은 폭이 10mm, 척사이의 길이가 50mm가 되도록 세트하여, 인장속도는 300mm/분이며, 5회 측정해서 평균값을 구했다.
(4) 열팽창계수(α)
필름으로부터 폭 4mm, 길이 15mm의 절편을 잘라내고, 이하의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분위기하, 승온·강온속도:1℃/분으로 20℃→50℃→20℃→50℃로 변화시키고, 재승온시의 30℃→40℃의 변위량으로부터 식(12)를 이용하여 계산했다. 부하 가중은 5g이다. 3회 측정해서 평균값을 구했다. 또, 방향(MD, TD)에 대해서는, 측정하는 방향의 샘플길이를 15mm로 해서 실시했다.
장치:신쿠리코우 가부시키가이샤제 열기계 시험기
TM-9400:천칭부 및 가열로
MTS-9000:멀티 열분석 스테이션
α=(X1-X0)/(온도차×측정전의 샘플길이)…(12)
X0:30℃에서의 샘플길이(mm)
X1:40℃에서의 샘플길이(mm)
온도차=10(℃)
측정전의 샘플길이=15(mm)
(5)습도팽창계수(β)
필름으로부터 폭 10mm, 길이 200mm의 절편을 잘라내어, 오오쿠라 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제 「테이프 신장량 시험기」 1TTTM1을 나가노 카가쿠기카이 세이사쿠쇼제 항온항실조 LH20-14에 넣어서 이하의 조건으로 변화량을 측정하고, 식(13) 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부하 가중은 10g이다. 2회 측정해서 평균값을 구했다. 또, 방향(MD, TD)에 대해서는, 측정하는 방향의 샘플길이를 200mm로 해서 실시했다.
조건:(a)25℃, 25%RH에서 24시간방치
(b)25℃, 25%RH로부터 습도를 85%RH로 150분에 걸쳐서 변화시킨다
(c)25℃, 85%RH에서 24시간방치
β=(Y1-Y0)/(습도차×측정전의 샘플길이)…(13)
Y0:25℃, 25%RH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샘플길이(mm)
Y1:25℃, 85%RH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샘플길이(mm)
습도차=60(%RH)
측정전의 샘플길이=200(mm)
(6)컬 되돌리기의 판정
자기테이프로부터, 10m 간격으로 폭 1cm, 길이 10cm의 샘플을 5개 잘라내고, 수평대 위에 두고, 수평면으로부터 가장 변형도가 큰 부분의 높이를 측정해서 평균값을 구했다.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했다. △이상이 실용범위내이다. ×인 것은 컬의 영향에 의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치수변화 등의 측정은 행하지 않았다.
○:변형량이 1mm미만
△:변형량이 1∼2mm
×:변형량이 2mm를 초과한다
(7)치수변화의 측정 및 평가
필름으로부터 폭 10mm, 길이 200mm의 절편을 잘라내어, 오오쿠라 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제 「테이프 신장량 시험기」 1TTM1을 나가노 카가쿠기카이 세이사쿠쇼제 항온항실조 LH20-14에 넣어서 이하의 조건으로 변화량을 측정했다. 부하 가중은 10g이다.
조건: 실제로 자기기록매체로서 사용되는 온도습도조건은 도 1에 나타낸 5각형의 영역의 내부이다. 이 중에서, 하기한 조건1∼3의 변화가 자기기록매체의 치수에 주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이 3조건으로 이하의 (a)∼(c)에 나타내는 순서로 온도·습도를 변화시켜서 치수변화를 측정했다.
초기상태 변화후의 상태
조건1 A:10℃, 10%RH→C:29℃, 80%RH
조건2 A:10℃, 10%RH→D:45℃, 24%RH
조건3 E:45℃, 10%RH→B:10℃, 80%RH
(a)초기상태에서 24시간 방치
(b)초기상태로부터 150분에 걸쳐서 변화후의 상태로 변화시킨다
(c)변화후의 상태에서 24시간 방치
조건1∼3으로 측정을 행하고, 각각 하기 식(14)를 이용하여 치수변화를 계산했다. 2회 측정해서 평균값을 구했다.
치수변화(%)=(Y1-Y0)×100/(측정전의 샘플길이)…(17)
Y0:초기상태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샘플길이(mm)
Y1:변화후의 상태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샘플길이(mm)
측정전의 샘플길이=200(mm)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하고, △이상이 실용범위내이다.
○:MD, TD 모두 변화량이 0.07%미만이며, 차가 0.02미만
△:MD, TD 모두 변화량이 0.07%미만이며, 차가 0.02이상 0.03미만
×:MD, TD 모두 변화량이 0.07%이상이거나, 차가 0.03이상
(8)끝부의 변형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자기테이프를, DDS2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주행 스피드 0.2m/초로 50시간 주행시킨 후, 끝부를 관찰했다. 10m 간격으로 길이 10cm의 샘플을 5개 잘라내어, 수평대 위에 두고, 수평면으로부터 가장 변형도가 큰 부분의 높이를 측정해서 평균값을 구했다.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하고, △이상이 실용범위내이다.
○:변형량이 1mm미만
△:변형량이 1∼2mm
×:변형량이 2mm를 초과한다
(9)주행 내구성
DDS2 드라이브를 이용한 ECMA 규격규정의 TM1로 10,000P(패스)의 평가를 행했다. 에러 레이트 상승에 의한 주행 스톱이 발생한 패스 회수로 평가했다. △이상이 실용범위이다.
○:10,000P까지 스톱없음
△:5,000∼10,000P에서 스톱
X:50,00P미만에서 스톱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기재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1)
<폴리머 원액의 조정>
탈수한 N-메틸-2-피롤리돈에, 85몰%에 상당하는 2-클로르파라페닐렌디아민과 15몰%에 상당하는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를 용해시키고, 이것에 98.5몰%에 상당하는 2-클로르테레프탈산클로리드를 첨가하고, 2시간 교반에 의해 중합후, 탄산리튬으로 중화를 행하여, 폴리머 농도가 11중량%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용액을 얻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의 제조>
이 폴리머 원액을 폭 830mm의 구금으로부터 표면이 경면상의 속도 8.0m/분으로 회전하고 있는 스테인레스제 벨트 상에 최종 필름의 두께가 4㎛가 되도록 유연(流延)했다. 유연된 폴리머 용액을 최초 100℃(초기온도), 계속해서 180℃(중기온도)의 열풍으로 각각 1분간씩 가열해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그 후 100℃(후기온도)의 열풍을 30초간 분사하여 중합체 시트의 온도를 120℃까지 냉각후 박리했다. 다시 50℃의 냉각롤로 중합체 시트의 온도를 60℃까지 냉각후, 길이방향으로 1.15배 연신했다. 다음에 50℃의 수조내에 2분간 통과시켜 잔존 용매와 중화에 의해 생긴 무기염의 물추출을 행했다. 이 후, 텐터내에서, 온도 280℃에서 TD에 1.44배 연신과 열처리를 행했다. 또한 온도 200℃에서 TD에 1.015배 재연신을 행한 후, 150℃에서 열고정을 45초간 행했다.
<자기기록매체(자기테이프)의 제작>
연속 권취식의 증착장치를, 그 내부가 10×10-3Pa정도의 감압상태로 되도록 배기하여 베이스 필름을 세트했다. 미량의 산소분위기중에서 연속 진공기 경사 증착법에 의해, 베이스 필름의 표면 상에 Co의 강자성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층을 형성했다. 증착의 조건은, 경사 증착의 입사각이 베이스 필름의 법선방향으로부터 45°의 각도이며, 필름의 이송속도 50m/분으로 하고, 증착하는 두께가 0.2㎛가 되도록 전자빔의 강도를 조절했다. 다음에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내부가 10×10-4Pa정도로 될 때까지 감압한 후, Ar가스를 도입하여 0.8Pa정도로 했다. 그리고, 이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에 강자성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층이 형 성된 필름을 세트하고, -40℃로 냉각한 냉각캔 상을 5m/분의 이송속도로 주행시켜서 자성층 상에 카본 보호막을 형성했다. 다음에,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이 형성된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이하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백코트층을 건조후의 두께가 0.5㎛가 되도록 도포했다.
<백코트층 형성용 성분>
미립자상 카본블랙 분말: 100부
(캐봇사제, BP-800, 평균 입자 사이즈:17㎛)
거친 입자상 카본블랙 분말: 10부
(칸카르브사제, 서멀 블랙, 평균 입자 사이즈:270㎛)
탄산칼슘: 80부
(시라이시고교(주)제, 백윤화O, 평균 입자 사이즈:40㎛)
α-알루미나: 5부
(스미토모 카가쿠고교(주)제, HIT55, 평균 입자 사이즈:200㎛, 모스경도:8.5)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140부
폴리우레탄 수지: 15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부
분산제:올레인산 구리: 5부
구리 프탈로시아닌: 5부
황산 바륨: 5부
메틸에틸케톤: 2200부
초산 부틸: 300부
톨루엔: 600부
상기 백코트층을 형성하는 각 성분을 연속 니더로 혼련한 후, 샌드밀을 이용하여 분산시켰다. 얻어진 분산액을 1㎛의 평균 구멍지름을 갖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백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해서 사용했다.
또한, 카본 보호막 상에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 이루어지는 활제의 톱코트층을 형성한 후, 2MPa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조정하면서, 200℃의 가열캔 상에서 20초간 열처리를 행하여, 자기기록매체를 형성했다. 그리고, 이 자기기록매체를 재단해서, 카세트 본체에 조립하여 카세트 테이프로 했다.
베이스 필름의 제조조건을 표1에, 베이스 필름과 자기기록매체의 치수변화율을 표2에,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를 표3에 정리했다(이하의 실시예, 비교예도 동일).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는 모두 실용 범위내였다.
(실시예2∼11)
실시예1에 있어서, 연신 및 열처리조건을 표1과 같이 변화시켜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는 모두 실용 범위내였다.
(실시예12)
실시예1에 있어서, 건조조건의 중기온도를 100℃, 건조시간을 3분으로 변화시켜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는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13)
실시예1에 있어서, 건조조건의 중기온도를 100℃, 건조시간을 3분으로, 후기온도를 70℃, 건조시간을 30초로 변화시켜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는 모두 양호했다.
(비교예1)
실시예1에 있어서, 폭방향 재연신 온도를 260℃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컬 되돌리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자기테이프가 평면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비교예2)
실시예1에 있어서, 폭방향 재연신 온도를 140℃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치수변화가 악화되었다.
(비교예3)
실시예1에 있어서, 폭방향 재연신 배율을 1.0배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컬 되돌리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자기테이프가 평면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비교예4)
실시예1에 있어서, 폭방향 재연신 배율을 1.035배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열수축이 커지고, 또한 치수변화가 악화되었다.
(비교예5)
실시예1에 있어서, 열고정 시간을 20초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치수변화가 악화되었다.
(비교예6)
실시예1에 있어서, 열고정 온도를 260℃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컬 되돌리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자기테이프가 평면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비교예7)
실시예1에 있어서, 열고정 온도를 130℃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치수변화가 악화되었다.
(비교예8)
실시예1에 있어서, 후기온도를 180℃로 변경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컬 되돌리기 및 치수변화가 악화되었다.
(비교예9)
실시예1에 있어서, 후기온도를 180℃로 변경하고, 건조후 냉각롤에 접촉시키지 않고 수조에 도입해서 제막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필름 및 자기테이프를 제조했다. 컬 되돌리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자기테이프가 평면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표1)
Figure 112006032988897-pct00005
(표2)
Figure 112006032988897-pct00006
(표3)
Figure 112006032988897-pct00007
본 발명의 필름은, 컴퓨터의 데이터 보존용 자기테이프 등의 자기기록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점에서 고밀도기록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응용범위가 이들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며, 180℃에서 30분간, 무장력하에서 열처리했을 때의 폭방향의 열수축율이 1.0∼2.5%이며,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각각 αMD(×10-6/℃), αTD(×10-6/℃),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습도팽창계수를 각각 βMD(×10-6/%RH), βTD(×10-6/%RH)로 했을 때, 하기 식(1)∼(4)를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10≤αMD≤10…(1)
    αMD-10≤αTD≤αMD-3…(2)
    -10≤βMD≤10…(3)
    βMD-10≤βTD≤βMD-3…(4)
  2. 제1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을 각각 EMD(GPa), ETD(GPa)로 했을 때, 하기 식(5) 및 (6)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8≤EMD≤20…(5)
    EMD×0.7≤ETD≤EMD×1.7…(6)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자성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각각 α'MD(×10-6/℃), α'TD(×10-6/℃),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습도팽창계수를 각각 β'MD(×10-6/%RH), β'TD(×10-6/%RH)로 했을 때, 하기 식(7)∼(10)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10≤α'MD≤10…(7)
    -5≤α'MD-α'TD≤5…(8)
    -10≤β'MD≤10…(9)
    -5≤β'MD-β'TD≤5…(10)
KR1020067009168A 2003-11-14 2004-11-11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 KR101089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4647 2003-11-14
JP2003384647 2003-11-14
PCT/JP2004/016726 WO2005046968A1 (ja) 2003-11-14 2004-11-11 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463A KR20060109463A (ko) 2006-10-20
KR101089200B1 true KR101089200B1 (ko) 2011-12-02

Family

ID=3458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168A KR101089200B1 (ko) 2003-11-14 2004-11-11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31252B2 (ko)
EP (1) EP1688236B1 (ko)
JP (1) JP4543395B2 (ko)
KR (1) KR101089200B1 (ko)
CN (1) CN100509354C (ko)
DE (1) DE602004018678D1 (ko)
TW (1) TW200521998A (ko)
WO (1) WO2005046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2516B2 (ja) * 2012-03-12 2016-04-13 倉敷紡績株式会社 二軸配向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610821B1 (ja) 2019-03-29 2019-11-27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6610822B1 (ja) * 2019-03-29 2019-11-27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6610824B1 (ja) * 2019-04-05 2019-11-27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メモリ
JP6610828B1 (ja) * 2019-07-18 2019-11-27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6816851B1 (ja) * 2019-10-10 2021-01-20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6733798B1 (ja) * 2019-10-23 2020-08-05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6741140B1 (ja) * 2019-12-11 2020-08-19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977846B2 (ja) * 2020-06-05 2021-12-0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7024907B2 (ja) * 2020-06-05 2022-02-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885496B2 (ja) * 2020-06-18 2021-06-1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7052940B1 (ja) 2021-11-05 2022-04-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7260027B2 (ja) * 2022-02-10 2023-04-1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8564A1 (fr) 1998-09-30 2000-04-06 Toray Industries, Inc. Film polymere a stabilite dimensionnelle elevee et support d'enregistrement magnetique dans lequel ledit film est utilis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9923D1 (en) * 1982-03-30 1989-06-29 Toray Industries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664959B2 (ja) 1988-03-18 1997-10-22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金属化フィルム
JPH0237519A (ja) 1988-07-27 1990-02-07 Teijin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用フイルム
JP2706707B2 (ja) 1988-10-24 1998-01-28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薄膜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
JPH0360181A (ja) 1989-07-28 1991-03-15 Asahi Chem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
JP2952907B2 (ja) 1989-10-30 1999-09-27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ネクター
JPH06136156A (ja) 1992-10-26 1994-05-17 Asahi Chem Ind Co Ltd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180836A (ja) 1992-12-11 1994-06-28 Sony Corp 磁気記録媒体
JPH07223288A (ja) 1993-12-13 1995-08-22 Toray Ind Inc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WO1995031495A1 (fr) * 1994-05-11 1995-11-23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IECE MOULEE EN POLYAMIDE AROMATIQUE para-ORIENTEE, ET PROCEDE DE PRODUCTION D'UNE TELLE PIECE
JPH08297829A (ja) 1995-02-27 1996-11-12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
JP2964962B2 (ja) 1995-10-16 1999-10-18 東レ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2853036B2 (ja) 1997-04-01 1999-02-03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3547986B2 (ja) * 1998-03-30 2004-07-28 帝人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500662B (en) * 1998-07-21 2002-09-01 Teijin Ltd Aromatic polyamide film laminate
US6253938B1 (en) * 1998-09-25 2001-07-03 Colgate-Palmolive Company Indirectly activated closure
JP2000326401A (ja) * 1999-05-21 2000-11-28 Toray Ind Inc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01202614A (ja) * 2000-01-18 2001-07-27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
JP2001283420A (ja) * 2000-03-30 2001-10-12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JP2001294683A (ja) 2000-04-13 2001-10-23 Toray Ind Inc フィルムおよび磁気テープ
JP2002212318A (ja) * 2000-11-14 2002-07-31 Toray Ind Inc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US6458432B1 (en) * 2000-11-24 2002-10-01 Fuji Photo Film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magnetic disk
JP4082560B2 (ja) 2001-11-27 2008-04-30 東レ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媒体
JP2003326401A (ja) 2002-05-02 2003-11-18 Masatomi Kogyo Kk 汎用旋盤を用いて長尺の管体等の被加工物にボーリング加工を施す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2004022105A (ja) * 2002-06-18 2004-01-22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テー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8564A1 (fr) 1998-09-30 2000-04-06 Toray Industries, Inc. Film polymere a stabilite dimensionnelle elevee et support d'enregistrement magnetique dans lequel ledit film est util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9354C (zh) 2009-07-08
US20070082232A1 (en) 2007-04-12
EP1688236B1 (en) 2008-12-24
WO2005046968A1 (ja) 2005-05-26
US7531252B2 (en) 2009-05-12
EP1688236A4 (en) 2007-03-14
TW200521998A (en) 2005-07-01
JPWO2005046968A1 (ja) 2007-05-31
JP4543395B2 (ja) 2010-09-15
EP1688236A1 (en) 2006-08-09
CN1878653A (zh) 2006-12-13
KR20060109463A (ko) 2006-10-20
TWI378443B (ko) 2012-12-01
DE602004018678D1 (de)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200B1 (ko)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기록매체
JP3648744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系樹脂成形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KR100456056B1 (ko) 방향족폴리아미드및/또는방향족폴리이미드필름및그것을사용한자기기록매체
WO1993020553A1 (en) Biaxially oriented base film and floppy disk for high-density magnetic recording made therefrom
JP4161378B2 (ja) 高寸法安定性高分子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KR20010076326A (ko) 자기기록매체
KR100456747B1 (ko) 방향족폴리아미드및/또는방향족폴리이미드로이루어지는필름및그것을이용한자기기록매체
JPH0449170B2 (ko)
JP2964962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
EP0947315B1 (en) Aromatic polyamide film and magnetic recoding media made by using the same
EP0651378A1 (en) High-density magnetic recording medium
JP4082560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媒体
JP2616711B2 (ja) 磁気記録媒体
JP3000927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956641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066768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326465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あるいは芳香族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20186318A (ja) 磁気テープ用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H09291158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および/または芳香族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4595252B2 (ja) 磁気記録媒体用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000007801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ロ―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03191323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002212318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002053678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004067872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