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385B1 -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 - Google Patents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385B1
KR101067385B1 KR1020107028171A KR20107028171A KR101067385B1 KR 101067385 B1 KR101067385 B1 KR 101067385B1 KR 1020107028171 A KR1020107028171 A KR 1020107028171A KR 20107028171 A KR20107028171 A KR 20107028171A KR 101067385 B1 KR101067385 B1 KR 10106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
conveyor
noodles
state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482A (ko
Inventor
쿠니히코 요시다
요시푸미 미야자키
미쯔루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닛신 쇼꾸힝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4597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73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쇼꾸힝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쇼꾸힝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 라인을 가능한 한 유지하고, 또한, 특별한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끓는 물을 부은 때에 웨이브가 적은 직선 면이 되는 즉석 면의 원료 면으로서 유용한 생면의 다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쌍의 절삭 날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 원료를 복수의 면발로 형성하고, 각 면발을 인접하는 면발과 비병행 상태로 대략 나선형이 되도록 굴곡시키면서 컨베이어 상에 적층하고, 복수의 면발이 중첩하여 대략 편평한 면발의 다발로서 배열시킨다. 생면을 구성하는 각 면발은, 컨베이어 상에 굴곡하면서 반복되는 고리를 그리며, 그 고리는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이동하면서 배치되고, 각 면발이 그리는 궤도는, 인접하는 면발이 그리는 궤도와 동조하지 않는다. 각 면발은 각 면발 중의 고리 위치가 인접하는 면발의 고리 위치와 어긋난 상태에서, 상호 교차하여 중첩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의 면발은 그대로 찌더라도, 끓는 물을 부은 때에 대략 직선형의 직선 면이 된다.

Description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 {BUNDLED UNCOOKED NOODLES FOR INSTANT NOODLES}
본 발명은 즉석 면의 원료로서 사용한 경우, 끓는 물을 부은 때에 면발 자체에 웨이브(wave)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면용 생면의 다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끓는 물을 부은 때에 면발 자체에 웨이브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류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소맥분, 전분 등의 제면 원료를 혼합, 혼련하여 면 원료(도우)를 형성하고, 이것을 소정 두께로 압연하여 띠 모양의 면대를 제조하고, 그 면대를 면발 절단 장치에 의하여 소정 두께의 선 모양의 면발로 절단하여, 생면발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해당 생면발은, 그 후, 생면, 말린 면, 찐 면, 즉석 면 등의 각종 면류의 최종 제품 형태에 따라, 재단 처리 또는 찜 처리 등의 필요한 처리 공정으로 이행되어, 가공 제조된다.
찐 면 및 즉석 면에서는, 면발을 잘라낸 후, 찜 처리하는 것이 거의 필수이고, 면발 절단 장치와 찜 장치는, 면발 반송용 컨베이어를 통하여, 거의 연속적으로 공정이 접속되어 있고, 면의 이송이 자동화 되어 있다.
종래의 즉석 면에서의, 면발 절단 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절삭날 롤러가 수평으로 또는 적당한 경사로 설치되고, 그 직하에 유도관이 수직 방향으로 또는 면발 반송용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절단된 면발은 그 유도관 내에 꽉 차면서 그 상태로 하여 굴곡화하고, 이것을 하방에 설치되는 반송용 컨베이어로 이끌고, 그 굴곡 상태(웨이브를 갖는 상태)로 찜 장치로 이행하여 필요한 굴곡 면을 얻는 것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절단된 면발을, 롤러(통형체)를 이용하여 요동시켜, 컨베이어 상에 임의의 파형을 부여한 면류를 올려놓는 면류 부형(賦形) 장치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즉석 면의 제조에 있어서는, 즉석 면이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어서, 토지 등의 비용 등의 면에서도 제조 라인을 가능한 한 단축하고, 설치 공간을 작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도관 내에서 꽉 채우는 상태로 하여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컨베이어 상에 면발이 밀집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물리적인 길이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절삭날에서의 면발의 절단 속도보다도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가 작았다. 한편, 근래의 소비자 기호의 다양화에 의해, 즉석 면에서도, 면발에 웨이브가 적거나, 거의 직선형, 소위 「직선 면」이라고 불리는 면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면발에 웨이브를 넣지 않고, 직선으로 하는 방법으로는, 절삭날에서의 면발의 절단 속도에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를 근접시키는 방법이나, 절삭날에서 연직 방향 하방으로 걸린 면발을 그대로 절단하고 다음의 공정으로 옮기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실용신안공개 실공평 4-3871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특공소 36-24040호 공보
상술한 면발을 거의 직선형의 직선 면으로 하는 종래 방법 중, 면발의 절단 속도에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를 근접시키는 방법에서는, 대량 생산을 고려하는 경우, 라인을 길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설치 공간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절삭날로부터 연직 방향 하방에 걸린 면발을 그대로 절단하는 방법에서는, 그 후의 α화 등의 처리가 번잡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의 면류 부형 장치는, 면류 전체를 가열하기 쉽도록 부형하는 장치이고, 대량 생산 시에 면발을 직선으로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 라인을 가능한 한 유지하고, 또한, 특별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끓는 물을 부은 때에 웨이브가 적은 직선화 된 면이 되는 즉석 면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그러한 즉석 면의 원료 면으로서 유용한 생면의 다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직선 면」이란, 끓는 물을 부은 상태(취식 시의 상태)로 젓가락 또는 포크 등으로 면발을 떠올리면, 웨이브가 적고, 거의 직선 모양의 상태가 되는 면을 말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까지의 라인 길이를 가능한 한 유지하면서, 직선 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검토하였고, 기존의 즉선 면의 제조 라인을 가능한 한 그대로 이용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찜 후의 면발을 물리적으로 끌어당겨서 직선화하는 방법에 주목했다. 그러나,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의 면 원료로부터 제조한 웨이브가 걸린 상태의 면발에서는, 찜 공정(삶는 공정)에 의해 α화한 후에, 면발을 당겨도 웨이브가 강해져 버리기 때문에, 그 후의 공정을 어떻게 조정해도, 끓는 물을 부을 때에 직선 면이 되는 즉석 면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거기에서, 본 발명자들은, 면발의 절단 공정에 있어서, 각종의 절단 조건을 시험하고, 절단 후의 면발의 상태가 어떻게 되면, 취식 전의 면발의 직선화가 가능해지는지 여부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하였다.
각종의 절단 조건을 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찜 후의 면발을 당기어 직선화 할 수 있는 경우는, 절단 후의 컨베이어 상의 면의 적층 상태가, 각 면발이 인접하는 면발과 비병행 상태로 대략 나선형이 되도록 굴곡하면서 컨베이어 상에 적층되고, 컨베이어 상에서 인접하는 면발끼리 동일한 만곡형 내지 굴곡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상태(즉,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지 않는 상태)인 것을 찾아냈다. 그리고, 이 상태라면, 예를 들어, 다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라도, 삶은 후에 면발을 연신하면, 직선화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면발이 중첩된 대략 편평한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으로서,
상기 생면은, 면 원료로부터 절단되어,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을 향해 배열되어 제조되며,
상기 생면을 구성하는 각 면발은,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굴곡되면서 반복되는 고리를 그리며,
상기 고리는,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어긋나면서 배치되며,
상기 각 면발이 그리는 궤도는, 인접하는 면발이 그리는 궤도와 동조하지 않으며,
상기 각 면발은, 상기 각 면발 중의 고리의 위치가 인접하는 면발의 고리 위치와 어긋난 상태에서, 상호 교차하여 중첩되며, 그 중첩하는 상태로 쪄지고, 연신되고, 절단되고, 건조되어, 끓는 물을 부은 때에 면발이 대략 직선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한 쌍의 절삭날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 원료를 복수의 면발로 형성하고, 당해 면발을 박리기에 의해 절삭날 롤러로부터 떼어내고, 각 면발을 인접하는 면발과 비병행 상태로 대략 나선형이 되도록 굴곡시키면서 컨베이어 상에 적층하고, 편평한 면발의 다발로 배열시키는 배열 공정과,
상기 배열 공정 후의 면발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면발을 찌는 찜 공정과,
상기 찜 공정 후의 면발을 소정 방향으로 펴는 연신 공정과,
상기 연신 공정 후의 면발의 소정량을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절단 후의 면발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면 원료를, 복수의 고리형 홈을 가지는 한 쌍의 절삭날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의 면발을 형성하고, 박리기에 의해 면발을 절삭날 롤러로부터 박리시키고,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시킨다. 이때, 통상은 유도관을 이용하여 컨베이어로 낙하하는 면발의 요동을 억제하고, 컨베이어 상에서 면발이 확산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서는, 컨베이어 상에 면발이 꽉 차는 상태가 되어, 웨이브가 강해지기 때문에 이 상태의 면발을 컨베이어로 찜 공정으로 이송하여 찜을 행한다면, 그 후에 면발을 연신해도, 최종 제품을 먹기 전 끓는 물을 부은 때에, 면발에 웨이브가 남아 버리고, 직선 면의 상태로는 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은, 각 면발이 인접하는 면발과 비병행 상태로, 대략 나선형이 되도록 굴곡하면서 소정 방향을 향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면발끼리의 접촉 부분이 작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은, 각 면발을 인접하는 면발과 비병행 상태로 대략 나선형이 되도록 굴곡시키면서 컨베이어 상에 적층하기 때문에, 면발끼리의 접촉 부분이 작다. 이 때문에, 적층된 그대로의 상태의 면발(면발의 다발)을 컨베이어로 찜 공정으로 이송하여 찜을 행하고, 그 후, 면발을 연신하고, 절단하고, 건조 또는 튀겨서 최종 제품이 된 경우, 그 최종 제품을 먹기 전 끓는 물을 부은 때에, 면발들이 깔끔하게 떨어지고, 직선 면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본원에서 말하는 「병행 상태」란, 인접하는 복수의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복수의 면발 전체로서 하나의 모아진 형태를 갖는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인접하는 복수의 면발이 대부분 동일한 상태로 컨베이어 상에 적층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본원에서 말하는 「비병행 상태」란, 인접하는 복수의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지 않고, 각각 독립한 흐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복수의 면발 전체 또는 소정 부분이 하나의 모아진 형태를 가지지 않는 랜덤한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특별한 장치나 첨가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끓는 물을 부은 때의 즉석 면이 직선 면으로 된다는 본 발명의 특징은, 종래의 즉석 면용 생면 및 즉석 면의 제조 방법 등으로부터, 당업자라고 할지라도 예측할 수 없는 독특한 효과이다.
또한, 본원에서 말하는 「즉석 면」이란, 뜨거운 물을 끓여서 일정 시간 물을 부어서 취식하는 것으로서, 라면이나 우동과 같은 국물을 갖는 타입이나, 끓는 물을 부은 후에 물을 버리는 볶음 국수 타입과 같은 국물이 없는 타입이 있다.
상기 배열 공정에서는, 복수의 면발의 다발을 컨베이어 상에 배열시켜도 좋다. 복수의 면발의 다발을 연속하여 배열하는 것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절단 공정에 있어서는, 연신 공정에서 펴진 소정량의 면발을 소정 길이로 절단한다.
상기 건조 공정은 면발을 기름으로 튀기는 프라이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은, 종래의 제조 라인을 이용하면서, 비용이나 에너지를 들이지 않고, 끓는 물을 부은 때에 직선 면이 되는 즉석 면을 대량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절삭날 롤러로부터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하는 면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a)는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는 종래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 (b)는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지 않는 본 발명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열 공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박리기의 박리 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열 공정에 있어서, 절삭날 롤러 주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비교예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면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대략 나선형인 면발, (b)는 인접하는 고리들이 중첩된 상태의 면발, (c)는 나선의 고리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부분이 포함되는 면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면발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대략 나선형인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여 적층하고 있는 상태, (b)는 대략 나선형인 면발들이 컨베이어 반송 방향으로 위상이 어긋나게 적층하고 있는 상태, (c)는 대략 나선형인 면발들이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상이 어긋나게 적층하고 있는 상태, (d)는 대략 나선형인 면발들이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위상이 어긋나게 적층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9는 실시예의 배열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배열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을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은 종래예의 배열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배열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은 비교예의 배열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을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면발에 끓는 물을 부은 때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는 종래예의 면발에 끓는 물을 부은 때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6은 비교예의 면발에 끓는 물을 부은 때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7은 끓는 물을 부은 때의 실시예, 종래예 및 비교예의 면발을 수평인 판상에 정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로 한정되지 않는다.
(배열 공정)
배열 공정에서는, 우선, 정해진 방법으로 제조한 면 원료를 한 쌍의 절삭날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의 면발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면발과 박리기의 박리 치(齒)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절삭날 롤러로부터 면발을 박리시키고, 가동 중의 컨베이어 상에 낙하시킨다.
여기서, 컨베이어에 낙하하는 경우의 면발의 상태나 컨베이어에 낙하한 후의 면발의 적층 상태는, 면발의 절단 속도, 컨베이어의 속도, 절삭날로부터 면발을 박리하는 때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들을 조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적층 상태가 되는 면발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절단 방법의 예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통상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서는, 절삭날 롤러로부터 박리한 면발은 유도관 내를 통과하면서, 면발의 요동이 강제적으로 억제되어, 강한 웨이브가 면발에 부여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삶은 후에 면발을 연신해도 거의 직선형의 직선으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절삭날에서의 임의의 인접하는 홈으로부터 박리되는 면발들을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동일 위치(인접하는 면발에 대해서 박리기의 박리 치와의 접촉 위치가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로 낙하시키면, 그 인접하는 면발들이 근접하여 낙하하기 때문에 서로 간섭하여 낙하하는 경우가 많다. 즉, 도 1의 (a)에 있는 것처럼 동조하여 컨베이어 상에 낙하하고, 면발들이 면이나 선으로 겹쳐진 적층체가 된다(전술한 「병행 상태」의 적층 상태).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도관을 이용하지 않고 면발이 컨베이어에 낙하할 때, 비교적 자유롭게 낙하시킬 수 있으면서, 컨베이어 상에서의 면발의 낙하 위치가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다른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삭날에서의 임의의 인접하는 홈으로부터 박리되는 면발들이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에 대해 다른 위치(인접하는 면발에 대해서 박리기의 박리 치와의 접촉 위치가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로 박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단하는 것으로 면발을 도 1의 (b)에 있는 것처럼 동조시키지 않고, 대략 나선형이 되도록 굴곡시키면서 컨베이어 상에 낙하시켜서, 본 발명의 면발의 적층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전술한 「비병행 상태」의 적층 상태).
또한, 이와 같은 적층 상태로 하기 위해서, 절삭날 롤러는 모서리 날 또는 둥근 날, 그 외에 어떠한 형상의 절삭날 롤러를 이용해도 좋다.
전술한 것처럼, 면발과 박리기의 박리 치와의 접촉 위치는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복수 개소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의 박리기에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인 복수 개소에 박리 치가 존재하고 있으면, 그와 같은 박리기를 1개 설치하면 좋다.
또,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인 복수 개소에 박리 치가 존재하고 있는 통상의 박리기라면,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복수의 박리기를 설치하면 좋다.
여기서,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르다」란, 도 2에 나타나듯이, 박리기(1)의 박리 치(2a 및 2b)가, 절삭날 롤러(4a 또는 4b)의 외주면의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박리 치(2a 및 2b)의 선단부(3a 및 3b)는 절삭날 롤러(4a 또는 4b)의 회전 중심(10)으로부터의 위치가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기(1)의 박리 치의 매수는 2매에 한정되지 않고, 2매 이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4매나 6매가 될 수 있다.
또한, 1개의 박리기에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인 복수 개소에 박리 치가 존재하는 경우, 인접하는 박리 치에 대해서 교호로 길이를 변경하거나, 또는 교호로 그 선단부 부근을 굴곡 또는 만곡시키는 방법이 유효하다.
절삭날 롤러의 면발 절단 속도는, 컨베이어 반송 속도보다도 큰 것이 필요하다. 이 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면발의 절단 속도가 컨베이어 반송 속도와 동일하면 컨베이어 상의 면발은 직선형이 된다. 다음으로, 면발 절단 속도가 컨베이어 반송 속도보다도 커진다면, 면발은 도 3의 파선 7로 나타낸 것처럼, 지그재그 형태로 컨베이어 상에 배열하게 된다. 절삭날 롤러의 면발 절단 속도가 컨베이어 반송 속도보다도 더욱 커지게 되면, 면발은 도 3의 실선 8로 나타낸 것처럼, 종래 얻을 수 없었던 대략 나선형으로 컨베이어 상에 배열된다. 그리고, 이러한 대략 나선형의 면발이 연속적으로 퇴적함으로써 대략 나선형인 면발이 중첩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절삭날 롤러의 절단 속도는 컨베이어 반송 속도의 3배 이상 20배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3배 이하에서는, 면발이 거의 직선형으로 배열되고, 20배를 넘으면 면발의 적층량이 너무 많아져서, 후술하는 찜 공정에서 찜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양호한 대략 나선형인 면발을 얻기 위해서는, 절삭날 롤러의 절단 속도는, 컨베이어 반송 속도의 5배 이상 10배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절삭날 롤러(4)의 중간 위치 부근에는, 도 3의 부호 9로 나타내는 것 같은 상판(방해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날 롤러의 절단 속도가 높은 경우, 면발이 수직 상부 방향으로 튀는 것이 많아진다. 상판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상부로 튀는 힘을 억제하며, 수평 전방 방향으로의 요동력으로 변환하고, 면발이 큰 나선을 그리도록 컨베이어 상에 낙하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컨베이어 상의 면발 1개 마다의 상태를 설명했지만, 다음으로, 컨베이어 상의 면발의 적층 상태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각 단면도를 제외한다)에 대해서는, 도면 중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컨베이어가 반송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종래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에 나타나듯이, 복수의 면발이 인접하는 면발과 병행 상태로,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겹쳐 쌓이는 것과 같이 적층하고 있다. 여기서, 도 4의 평면도는 컨베이어를 바로 위에서 보는 도면이고, 단면도는 평면도의 X-X 단면도이고, 개념도는 컨베이어 상의 면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이들 평면도, 단면도 및 개념도의 의미는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도 5의 단면도는 평면도의 Y-Y 단면도이고, 도 6의 단면도는 평면도의 Z-Z 단면도이다).
도 4의 상태에서는, 각각의 면발에 강한 웨이브가 지기 때문에, 이 상태대로 컨베이어에서 찜 공정으로 이행하여 찌게 되면, 연신 공정에서 면발을 소정 방향으로 당겨도 면발에 웨이브가 남아 버린다. 그 결과, 최종 제품인 즉석 면을 취식하기 위해 끓는 물을 부은 때에도, 면발에 웨이브가 남아 버리게 되고, 직선 면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도 4는 후술하는 종래예이다.
다음으로,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도관을 떼고, 컨베이어 상에 낙하하는 면발을 요동시키는 것을 시험했다. 이 때의 컨베이어 상의 면발은 도 5에 나타나듯이, 인접하는 면발들이 병행 상태로 커브를 그리도록,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겹쳐 쌓이면서 적층하고 있다. 도 5의 상태에서는, 면발들의 중첩이 도 4의 상태보다도 강해지고, 이대로 컨베이어에서 찜 공정으로 이행하여 찌게 되면, 찜 시에 면발들이 들러붙어 버리기 때문에, 후속하는 연신 공정에서 면발을 소정 방향으로 당겨도, 최종 제품인 즉석 면을 취식하기 위해 끓는 물을 부은 때에도, 면발들이 들러붙은 상태가 된다. 또한, 도 5는 후술하는 비교예이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6에 나타나듯이, 대략 나선형의 면발이, 인접하는 면발과는 비병행 상태로 랜덤하게 적층된 상태로 된다. 평면도 및 단면도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도 6에서는 모든 면발이 옆으로 넘어지게 되고, 그 점에 있어서도 도 4 및 도 5의 면발의 적층 상태와 크게 다르다.
면발들의 접촉 부분은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고, 이대로 컨베이어에서 찜 공정으로 이행하여 찌게 되도, 최종 제품인 즉석 면을 취식하기 위해 끓는 물을 부은 때, 면발들이 들러붙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직선 면의 상태가 된다.
이 즉석 면은, 끓는 물을 부은 후의 면발을 젓가락 등으로 들어올린 경우의 외관 뿐만 아니라, 식감에 대해서도 종래의 즉석 면과 크게 다르다. 특히, 매끄럽게 목에서 넘어가는 느낌이 선호되는 일본 국수에 대해서는, 직선 면에 의해 얻어지는 식감 개선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면발 적층 상태는, 모든 면발이 대략 나선형일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대략 나선형 이외의 상태의 면발을 일부에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면발 적층 상태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면발 적층 상태와 비교하여, 면발이 빽빽이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찜 조건이 동일하면, 동일량의 면발을 찌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단축된다는 특징도 갖는다.
여기서, 배열 공정에서의 면발의 적층 상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면발은 도 7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나선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7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1개의 면발 중에서 인접하는 고리들이 겹쳐지는 상태로 하여도 좋다. 면발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면발들의 접촉 부분을 더욱 작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도 7의 (c)에 나타나듯이 1개의 면발 중에서 나선의 고리 크기가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7에서는, 나선의 고리가 전부 좌측에 있는 상태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고리의 방향이 우측에 있는 상태여도 좋다. 또한, 양방의 나선이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즉, 나선 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의 (a) 내지 (c)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대략 나선 상태인 면발은,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지 않도록 적층하고 있다. 도 7의 (a)의 나선형의 면발을 예로 설명하면, 도 8의 (a)에 나타나듯이, 복수의 면발이 병행 상태로 적층하는 것이 아니라, 비병행 상태로 적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1개의 면발 중의 고리 위치가 어긋나는 것 같은 상태로 적층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대하여 고리의 위치가 어긋나는 도 8의 (b)에 나타나는 상태나,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리의 위치가 어긋나는 도 8의 (c)에 나타내는 상태나,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고리의 위치가 어긋나는 도 8의 (d)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 절삭날 롤러로부터 박리하는 때에, 인접하는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지 않으면, 도 8의 (b) 내지 (d)에 나타내는 적층 상태로 된다.
도 8의 (b) 내지 (d)에 나타내는 적층 상태로 면발이 적층되면, 10층 내지 16층 정도까지 컨베이어 상에 면발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도 좋다. 또한, 각 면발이 깔끔한 층이 되는 것 외에, 뒤얽힌 형태의 층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절삭날 롤러 사이에 면 원료를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복수의 면발의 다발을 컨베이어 상에 배열시키는 것에 의해, 즉석 면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다만, 컨베이어 상에 적층되는 면발의 상태를 안정시키는 관점에서, 면발과 박리기의 박리 치와의 접촉 위치가, 절삭날 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복수의 개소가 존재하고 있고, 절삭날 롤러로부터 박리한 면발이 유도관을 거치지 않고 컨베이어 상에 낙하되고, 면발 절단 속도가 컨베이어 반송 속도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찜 공정)
다음으로 찜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열 공정 후의 면발의 다발은 컨베이어에 의해 그 상태대로 찜 공정으로 이행된다. 본 발명의 찜 공정은 찔 때의 면발의 상태가 다른 이외에는, 통상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찜 공정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통상의 찜이라면, 100℃ 로 1~2 분간 정도 행한다. 이 경우, 연속적으로 컨베이어에 적재된 상태로 면발을 쪄서, α화 시킬 수 있다.
(연신 공정)
다음으로, 연신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신 공정에서는, 찜 공정 후의 면발을 소정 방향으로 펴고, 면발의 뒤얽힘을 해소하여 올곧은 상태로 조정한다. 본 발명의 연신 공정은 연신시키기 전의 면발의 상태가 다른 이외에는 통상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연신 공정과 거의 동일하다. 예를 들면, 찔 때의 컨베이어로부터 반송 속도를 높인 컨베이어로 갈아타게 하는 방법으로, α화 시킨 면발의 다발을 올곧은 상태로 조정한다. 또한, 이 때의 연신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속도는 절단 시의 절삭날 롤러의 절단 속도 정도가 적합하다.
연신하는 경우에는, 찜 후의 면에 물 샤워를 시키거나, 바람으로 식히는 등 냉각하여 연신해도 좋다. 또한, 면의 배합에 따라서는 냉각하지 않더라도 연신하는 것만으로 거의 직선형인 면발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절단 공정)
연신 공정 후에는, 연신된 면발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제품인 즉석 면의 면량을 일정량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다. 이 절단 공정은, 통상의 즉석 면에서의 절단 공정과 동일하고, 공지의 절단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찜 후에 절단한 찐 면은 그대로 포장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찐 면이란, 생면을 찐 후에, 절단 및 포장하고, 저온 냉장된 상품으로서 유통하고 있는 것을 말하며,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한 찐 면은 웨이브가 없고, 거의 직선 형인 직선으로 되기 때문에, 독특한 식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물 있는 타입의 라면이나 우동에도, 국물 없는 타입의 볶음 국수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것으로 웨이브 없는 찐 면을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건조 공정)
즉석 면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절단 공정 후에, 리테이너에 충전 등을 하여 면발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행한다. 건조 공정으로서는, 소위 튀기지 않은 면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건조수단, 예를 들면, 열풍 건조, 동결 건조,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밖의 건조 방법으로서 기름 열 건조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 공정으로서 면발을 식물성 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이용하여 기름에 튀기는 것도 가능하다. 이 프라이 공정도 공지의 기름에 튀기는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 공정 또는 프라이 공정 후의 면은, 통상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조미료 등을 첨가한 뒤, 용기 등에 충전되고, 밀봉 처리가 행해진 후, 최종 제품인 즉석 면으로서 시장에 공급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즉석 중화 면을 제조했다. 우선, 믹서나 압연기를 이용하여 면 원료를 제조했다. 이 면 원료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즉석 중화면과 동일하다.
(배열 공정)
다음으로, 압연한 면 원료를 직경 3.7cm, 폭 21.5cm인 한 쌍의 절삭날 롤러로 공급하고, 직경 1.0mm의 단면이 원형인 면발로 성형하여, 유도관은 사용하지 않고 컨베이어 상에 낙하시켰다. 또한, 절삭날 롤러는 18번 둥근 날이고, 박리기에 대해서는 임의의 인접하는 박리 치 2개가 절삭날 롤러의 둘레 방향에 있어 다른 것을 설치했다. 또한, 면발의 낙하 속도(절단 속도)는 1000cm/분, 컨베이어 반송 속도는 170cm/분으로 하고, 한 쌍의 절삭날 롤러의 접합부와, 컨베이어 사이의 거리는 5cm로 했다.
(찜 공정)
다음으로, 배열 공정 후의 면발을 배열 공정 종료시의 면발의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찜 장치로 도입하여 100℃, 2 분간 찜 처리했다.
(연신 공정)
다음으로, 찜 공정 후 α화된 면발을, 찜 컨베이어로부터 반송 속도를 빠르게 한 컨베이어로 옮기는 수단에 의해 연신하고, 면발들의 감김을 해소하고, 면발 전체를 직선 상태로 했다.
(절단 공정)
다음으로, 직선 상태로 연신한 면발을, 회전하는 롤러 커터를 이용하여 길이 약 30cm가 되도록 절단했다.
(건조 공정)
다음으로, 절단 공정 후의 면발을 기름 열건조하는 수단에 의해, 150℃, 2 분간을 조건으로 프라이 건조시켰다.
[종래예]
배열 공정에 있어서, 유도관을 사용하여 절단한 직후의 면발의 요동을 억제하고, 면발에 웨이브를 부여하여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시킨 것 이외, 전부,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프라이 면의 면발을 제조했다. 이것은 통상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이다.
[비교예]
배열 공정에 있어서, 박리기의 임의의 인접하는 박리 치 2개가 절삭날 롤러의 둘레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는 것 이외, 전부,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프라이 면의 면발을 제조했다.
<배열 공정 시의 면발의 상태>
우선, 실시예의 배열 공정 시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 적층 상태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다.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상의 면발은 각 면발이 대략 나선형으로 되어 있고, 인접하는 면발과는 비병행 상태에 있다. 또한, 면발의 다발 전체로서 랜덤한 상태이고, 인접하는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고 있는 부분은 인지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종래예의 배열 공정 시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 적층 상태를 도 11에 나타낸다. 종래예에서는, 컨베이어 상의 면발은 인접하는 면발과 병행 상태이고, 컨베이어 반송 방향에 대해 직선적으로 작게 겹쳐 쌓이면서 적층하고 있었다. 면발들의 접촉 부분은 컸다.
다음으로, 비교예의 배열 공정 시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의 면발 적층 상태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다. 비교예에서는, 컨베이어 상의 면발은, 인접하는 면발과 병행 상태이고, 인접하는 면발의 흐름이 동조하고 있는 부분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면발들의 접촉 부분은, 상당히 크고, 컨베이어 상에서 커브 하면서, 인접하는 복수의 면발 전체로서 1개로 모아진 형태를 갖도록 적층하고 있었다.
<끓는 물을 부은 때의 면발의 상태>
실시예의 건조 공정 후의 면발(프라이 면) 70g을 열탕 400mL에 3분간 침지하여, 끓는 물을 붓는 시험을 행하였다. 끓는 물을 부은 후의 면발의 상태를 도 14에 나타낸다. 실시예의 면발은 젓가락 등으로 들어올릴 때에 올곧게 늘어나는 것이 가능하고, 직선 면이라고 부를 수 있는 상태였다. 또한, 면발들이 들러붙지도 않았다.
또한, 실시예의 건조 공정 대신에, 열풍 건조 처리하는 건조 공정을 행한 경우에도, 끓는 물을 부은 후의 면발 상태는 동일하였다.
다음으로, 종래예의 건조 공정 후의 면발(프라이 면) 70g을 열탕 400mL에 3분간 침지하여, 끓는 물을 붓는 시험을 행하였다. 끓는 물을 부은 후의 면발의 상태를 도 15에 나타낸다. 종래예의 면발은 웨이브가 강하고, 젓가락으로 들어올린 때에 늘어날 수 없었고, 직선 면이라고 부를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다음으로, 비교예의 건조 공정 후의 면발(프라이 면) 70g을 열탕 400mL에 3분간 침지하여, 끓는 물을 붓는 시험을 행하였다. 끓는 물을 부은 후의 면발의 상태를 도 16에 나타낸다. 비교예의 면발은 면발들이 들러붙고 있는 부분이 종래예 이상으로 많기 때문에, 젓가락으로 들어올릴 때에 올곧게 늘어날 수 없었고, 직선 면이라고 부를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실시예, 종래예 및 비교예의 끓는 물을 부은 후의 면발을 젓가락으로 들어 올린 뒤, 수평인 판상에 정치했다. 그 상태로 상방향에서 각 면발을 촬영한 사진을 도 17에 나타낸다. 종래예에서는, 각 면발에 웨이브가 걸려있기 때문에, 직선 면이라고 부를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또한, 비교예에서는 각 면발의 웨이브는 작지만, 면발들이 강하게 들러붙어 있는 부분이 상당히 많았다.
이에 반해, 실시예에서는, 각 면발에 웨이브가 지지 않고, 면발들이 들러붙고 있는 부분이 인지되지 않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많은 개량이나 그 외 실시 형태가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태양을 당업자에게 교시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한 부분을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즉석 면의 제조 방법 및 생면의 다발은 식품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1: 박리기
2a, 2b: 박리 치
3a, 3b: 박리 치의 선단부
4: 한 쌍의 절삭날 롤러
4a, 4b: 절삭날 롤러
5: 컨베이어
6: 컨베이어 롤러
7: 지그재그형의 면발
8: 대략 나선형의 면발
9: 상판
10: 절삭날 롤러의 회전 중심

Claims (1)

  1. 복수의 면발이 중첩되어 편평한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으로서,
    상기 생면은, 면 원료로부터 절단되어,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을 향해 배열되어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생면을 구성하는 각 면발은, 상기 컨베이어 상에 굴곡되면서 반복되는 고리를 그리며,
    상기 고리는,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어긋나면서 배치되며,
    상기 각 면발이 그리는 궤도는, 인접하는 면발이 그리는 궤도와 동조하지 않으며,
    상기 각 면발은, 상기 각 면발 중의 고리의 위치가 인접하는 면발의 고리 위치와 어긋난 상태에서, 상호 교차하여 중첩되며,
    그 중첩한 상태로 쪄지고, 연신되고, 절단되고, 건조되어, 끓는 물을 부은 때에 면발이 직선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
KR1020107028171A 2009-02-19 2009-09-25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 KR101067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7077A JP4381470B1 (ja) 2009-02-19 2009-02-19 束になった即席麺用生麺
JPJP-P-2009-037077 2009-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482A KR20110004482A (ko) 2011-01-13
KR101067385B1 true KR101067385B1 (ko) 2011-09-26

Family

ID=4145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171A KR101067385B1 (ko) 2009-02-19 2009-09-25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10086153A1 (ko)
EP (1) EP2399462B1 (ko)
JP (1) JP4381470B1 (ko)
KR (1) KR101067385B1 (ko)
CN (1) CN101938910B (ko)
BR (1) BRPI0910147B1 (ko)
HK (1) HK1151949A1 (ko)
MX (1) MX2010014215A (ko)
RU (1) RU2484648C2 (ko)
TW (1) TW201031337A (ko)
WO (1) WO20100951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76B1 (ko) 2019-12-11 2020-09-04 김우범 반건조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건조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0773B1 (ja) * 2011-02-18 2012-01-25 サンヨー食品株式会社 即席麺の製造方法
JP5570492B2 (ja) * 2011-11-02 2014-08-13 サンヨー食品株式会社 即席麺の製造方法
JP5839946B2 (ja) * 2011-11-10 2016-01-06 サンヨー食品株式会社 即席麺の製造方法
JP6313007B2 (ja) 2013-09-30 2018-04-18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乾燥即席麺及びその製造方法
JP6242165B2 (ja) * 2013-11-08 2017-12-06 日清食品株式会社 麺線切出し装置
JP6399768B2 (ja) * 2014-03-12 2018-10-03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麺類の製造方法
WO2016179197A1 (en) * 2015-05-04 2016-11-10 Onepin, Inc. Automatic aftercall directory and phonebook entry advertising
JP6479128B2 (ja) * 2017-10-10 2019-03-06 日清食品株式会社 麺線切出し装置および生麺
CN107972053A (zh) * 2017-12-19 2018-05-01 深圳爱她他智能餐饮技术有限公司 一种升降机械手及其升降面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719A (ja) * 1987-10-08 1989-04-13 Nissin Food Prod Co Ltd 麺線のウェーブ流れ防止装置付切刃導管
KR0175155B1 (ko) * 1995-05-18 1999-02-18 이다 노부오 복원성이 좋은 면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0783B1 (ko) 2006-03-28 2007-04-23 정기율 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874A (en) * 1970-08-10 1975-07-01 Momofuku Ando Method of manufacturing seasoned instant cooking noodles packed in a container
JPS5013645A (ko) * 1973-06-09 1975-02-13
JPS5067185A (ko) 1973-10-15 1975-06-05
JPS5067185U (ko) * 1973-10-23 1975-06-16
JPS59220161A (ja) * 1983-05-31 1984-12-11 Kazue Suda スパイラル状麺の製造方法
GB2215567B (en) * 1988-03-05 1992-11-18 Plessey Co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qualisers
JPH072099B2 (ja) * 1988-12-27 1995-01-18 東洋水産株式会社 袋詰め即席麺、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02231048A (ja) * 1989-03-02 1990-09-13 Hisayuki Kobayashi 麺の捌き・引延し機
JPH0343036A (ja) * 1989-07-08 1991-02-25 Rheon Autom Mach Co Ltd 生地延展方法及び装置
JPH0438714Y2 (ko) 1989-08-11 1992-09-10
JP2799206B2 (ja) * 1989-12-28 1998-09-17 日清製粉株式会社 即席冷凍スパゲティの製造法
JPH0438714A (ja) 1990-06-01 1992-02-07 Ube Ind Ltd 磁気記録媒体
SG63519A1 (en) * 1995-04-22 1999-03-30 Nestle Sa Noodle preparation
JP3624040B2 (ja) 1995-12-20 2005-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装置
JP2000189089A (ja) * 1998-12-22 2000-07-11 Nissin Food Prod Co Ltd 即席麺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5516A (ja) * 1999-10-01 2001-04-10 Kitamura Seimensho:Kk 冷凍麺の製造方法
KR100404871B1 (ko) 2000-11-20 2003-11-07 윤병탁 즉석 호화건면의 제조 방법
TWI272916B (en) * 2005-03-31 2007-02-11 Shinn Shuen Fa Manufactory Co Method for manufacturing of rice noodles and device thereof
KR20080020449A (ko) * 2006-08-31 2008-03-05 주식회사농심 건조시간이 단축된 사출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사출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719A (ja) * 1987-10-08 1989-04-13 Nissin Food Prod Co Ltd 麺線のウェーブ流れ防止装置付切刃導管
KR0175155B1 (ko) * 1995-05-18 1999-02-18 이다 노부오 복원성이 좋은 면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0783B1 (ko) 2006-03-28 2007-04-23 정기율 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76B1 (ko) 2019-12-11 2020-09-04 김우범 반건조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건조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1337A (en) 2010-09-01
BRPI0910147A2 (pt) 2020-12-01
US20110086153A1 (en) 2011-04-14
KR20110004482A (ko) 2011-01-13
WO2010095185A1 (ja) 2010-08-26
RU2010154078A (ru) 2012-07-10
RU2484648C2 (ru) 2013-06-20
CN101938910A (zh) 2011-01-05
HK1151949A1 (en) 2012-02-17
MX2010014215A (es) 2011-01-20
CN101938910B (zh) 2013-02-27
US9468228B2 (en) 2016-10-18
EP2399462A4 (en) 2012-07-18
BRPI0910147B1 (pt) 2021-07-20
US20140030406A1 (en) 2014-01-30
JP2010187621A (ja) 2010-09-02
JP4381470B1 (ja) 2009-12-09
EP2399462A1 (en) 2011-12-28
EP2399462B1 (en) 2013-10-23
TWI349528B (ko) 201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385B1 (ko) 다발로 된 즉석 면용 생면
JP4491050B2 (ja) 麺線切出し装置
JP4951012B2 (ja) 製麺用切出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麺類の製造法
US10925301B2 (en) Process for producing instant noodles
CN103749815A (zh) 一种野生葛根叶茶的加工方法
WO201210421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food slices
JPH072099B2 (ja) 袋詰め即席麺、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TW201900041A (zh) 蔬菜產品食物固持器
JP5570492B2 (ja) 即席麺の製造方法
CN203692304U (zh) 油条自动制程装置
CN107772429A (zh) 方便粉丝生产系统
WO2021130825A1 (ja) 麺線切出し装置、麺類の製造装置、並びに麺類及び即席麺の製造方法
JP6399768B2 (ja) 麺類の製造方法
JP5839946B2 (ja) 即席麺の製造方法
RU215905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ермишел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ермишель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упаковка вермишел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CN114258267A (zh) 具有波状截面的面条的制造方法
CN110236118A (zh) 一种小肠卷的制作方法
TW200816940A (en) Dried meat rice roll
JP2015171343A (ja) 海苔簀およびそれを用いた海苔の乾燥方法
TWM366308U (en) Structure of multi-layer food product with stuff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