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947B1 -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947B1
KR101000947B1 KR1020090011979A KR20090011979A KR101000947B1 KR 101000947 B1 KR101000947 B1 KR 101000947B1 KR 1020090011979 A KR1020090011979 A KR 1020090011979A KR 20090011979 A KR20090011979 A KR 20090011979A KR 101000947 B1 KR101000947 B1 KR 10100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orming
boundary layer
mask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823A (ko
Inventor
히데타미 야에가시
사토루 시무라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3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308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2 회째의 노광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세한 패턴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해 공정의 간략화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에칭하는 마스크가 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패턴(105)을 형성하는 공정과, 경계층(106)을 제 1 패턴(105)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공정과, 제 2 마스크재층(107)을 경계층(106)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공정과, 경계층(106)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제 2 마스크재층(107)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경계층(106)을 에칭하여 제거하여 제 2 마스크재층(107)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1 패턴(105)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PATTERN FORMING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에 플라즈마 에칭 등의 에칭 처리를 실시할 때에 사용하는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 장치 등의 제조 공정에서는,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에 플라즈마 에칭 등의 에칭 처리를 실시하여, 미세한 회로 패턴 등을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에칭 처리 공정에서는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는, 형성하는 패턴의 미세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하나로서, 소위 더블 패터닝이 있다. 이 더블 패터닝은, 포토레지스트를 도포, 노광, 현상하여 제 1 패턴 형성하는 제 1 리소그래피 공정과, 이 제 1 리소그래피 공정 후에 다시 포토레지스트를 도포, 노광, 현상하여 제 2 패턴 형성하는 제 2 리소그래피 공정의 두 단계의 패터닝을 행함으 로써, 1 회의 패터닝으로 마스크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미세한 간격의 마스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 미국특허 7064078호
상기한 바와 같이, 더블 패터닝 기술에서는, 2 회의 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2 회의 노광 공정을 갖는다. 이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반도체 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과제와, 2 회째의 노광 공정에서의 1 회째의 노광 공정에 대한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하기 어렵고, 고정밀도 패터닝의 실현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사정에 대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2 회째의 노광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세한 패턴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공정의 간략화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는 마스크가 되는 소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空隙)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의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는 마스크가 되는 소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된 상 태에서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의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이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경계층을 CVD에 의한 성막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를 변질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서, 복수의 동일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반복 패턴부와, 상기 반복 패턴부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회로 패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마스크를 거쳐 에칭하는 공정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한 패턴 형성 방법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 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마스크를 거쳐 에칭하는 공정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한 패턴 형성 방법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1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의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9 ~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이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9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경계층을 CVD에 의한 성막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9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를 변질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9 ~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서, 복수의 동일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반복 패턴부와, 상기 반복 패턴부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회로 패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수단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수단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수단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 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수단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 회째의 노광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세한 패턴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공정의 간략화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 1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일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여, 본 실시예의 공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a ~ 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에는 다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층(102), 제 2 층(103), 제 3 층(104) 등의 복수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층 중, 적어도 1 개(제 3 층(104))가 피에칭층이 된다.
우선,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층(104) 상에, 도포, 노광, 현상 공정에 의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패턴(105)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을 행한다(도 2의 단계(201)). 이 제 1 패턴(105)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제 1 마스크재)로서는, 보다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ArF 레지스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포지티브형의 화학 증폭형 레지스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층(106)을 제 1 패턴(105)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을 행한다(도 2의 단계(202)). 이 경계층(106)은, 성막에 의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패턴(105)의 측벽부 및 상부의 표면을 변질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도 1b는 성막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계층(106)은 제 1 패턴(105)을 구성하는 상기한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경계층(106)을 성막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O2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계층(106)을 SiO2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제 1 패턴(105)의 내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성막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어 저온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ALD(Atomic Layer Deposition)에 의하여 성막한다. 이 경계층(106)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5 ~ 20 nm 정도로 한다. 한편, 제 1 패턴(105)의 측벽부 및 상부의 표면을 변질시켜 경계층(106)을 형성하는 경우, HMDS 등을 이용하여 시릴화하는 방법, 또는 포토레지스트로 산을 공급하여 산화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층(106)의 표면을 덮도록 제 2 마스크재층(107)을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을 행한다(도 2의 단계(203)). 이 제 2 마스크재층(107)은 경계층(106)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 또는 유기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제 1 패턴(105)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 트와 동일한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해도 좋고, 다른 종류의 포토레지스트(예를 들면, 제 1 패턴(105)이 ArF 레지스트인 경우, KrF 레지스트 등)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제 2 마스크재층(107)은 스핀 코팅 장치 등에 의한 도포 또는 CVD 장치에 의한 성막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정에서 형성한 제 2 마스크재층(107)의 일부(표층)를, 경계층(106)의 상부가 노출될 때까지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을 행한다(도 2의 단계(204)). 이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은, 약액에 의하여 용해하여 제거하는 방법, 드라이 에칭으로 제거하는 방법, CMP에 의하여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패턴(105) 및 제 2 마스크재층(107)에 대하여, 경계층(106)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제거하고, 제 2 마스크재층(107)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을 행한다(도 2의 단계(205)). 이 경우, 경계층(106)은, 예를 들면 SiO2 또는 포토레지스트를 변질시킨 것 등이므로, 포토레지스트인 제 1 패턴(105) 및 포토레지스트 또는 유기막 등인 제 2 마스크재층(107)에 대하여, 경계층(106)을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에칭할 수 있다. 이 경계층 에칭 공정은, 예를 들면 희불산 등을 이용한 웨트(wet) 에칭 또는 드라이(dry) 에칭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패턴(105) 및 제 2 마스크재층(107)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 정을 행한다(도 2의 단계(206)). 이 트리밍 공정은, 예를 들면 고온 또는 고농도의 현상액에 장시간 침지(侵漬)하는 방법, 산성의 재료를 도포 또는 산성의 증기 분위기에 노출 후 현상하는 방법, 고온 또는 고농도, 또는 장시간 현상액에 침지하는 전(前)처리 후에 산성의 재료를 도포 또는 산성의 증기 분위기에 노출 후 현상하는 방법, 산성의 재료를 도포 또는 산성의 증기 분위기에 노출 후 패턴 상부에 산을 중화(中和)하는 아민계 재료를 도포 또는 증기 분위기에 노출 후 현상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에칭의 마스크가 되는 패턴이 완성된다. 그리고, 이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도 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의 제 3 층(104) 등의 에칭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 방법에서는, 제 1 패턴(105)을 형성하기 위한 1 회의 노광 공정만으로, 2 회째의 노광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더블 패터닝과 같은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2 회째의 노광 공정에서의 위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 위치 조정 시에 위치 이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정밀도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종래에 비해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의 패턴 형성 방법을 행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300)는 제 1 패턴 형성부(301)와, 경계층 형성부(302)와, 제 2 마스크재층 형성부(303)와, 제 2 마스크재 제거부(304)와, 경계층 에칭부(305)와, 트리밍부(3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각 부는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기판 반송로(310)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1 패턴 형성부(301)는 전술한 제 1 패턴(105)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도포 장치, 노광 장치 및 현상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경계층 형성부(302)는, 전술한 경계층(106)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CVD 장치 등의 성막 장치 또는 제 1 패턴(105)의 측벽부 및 상부의 표면을 변질시키는 표면 개질(改質)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마스크재층 형성부(303)는 전술한 제 2 마스크재층(107)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포토레지스트 등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 또는 유기막 등을 성막하는 성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마스크재 제거부(304)는, 전술한 제 2 마스크재층(107)의 일부를, 경계층(106)의 상부가 노출될 때까지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법 공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웨트 또는 드라이 에칭 장치, 또는 CMP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경계층 에칭부(305)는 전술한 제 1 패턴(105) 및 제 2 마스크재층(107)에 대하여, 경계층(106)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제거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웨트 또는 드라이 에칭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트리밍부(306)는 전술한 트리밍 공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반도체 웨이퍼 등을 현상액 등의 약액에 침지 또는 증기 분위기에 노출하기 위한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300)에 의하여, 상술한 실시예 에서의 일련의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 4f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일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여, 제 2 실시예의 공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제 2 실시예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도 5의 단계(403))에서, 경계층(106)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제 2 마스크재층(107)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도 2의 단계(204))에 상당하는 공정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경계층(106)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제 2 마스크재층(107)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2 마스크재에 대한 경계층(106)의 습윤성이 낮아지도록, 이들 재질을 선택하며(예를 들면, 극성의 다른 재료로 한다), 경계층(106) 상에 액상의 제 2 마스크재를 도포하는 것 등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공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을 행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300a)는, 제 1 패턴 형성부(301)와, 경계층 형성부(302)와, 제 2 마스크재층 형성부(303)와, 경계층 에칭부(305)와, 트리밍부(3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각 부는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기판 반송로(310)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이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300a)는, 도 3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300)에 비하여 제 2 마스크재 제거부(304)를 구비하지 않는 점만 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300a)에 의하여,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의 일련의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한 좁은 피치의 반복 패턴은, 예를 들면 NAND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좁은 피치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소위 사이드월 트랜스퍼(sidewall transfer)에 의한 방법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사이드월 트랜스퍼에서는, 도 9a ~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형성한 제 1 패턴(601)의 측벽부(사이드월)에, 마스크가 되는 막(602)를 형성하고, 맨 처음으로 형성한 제 1 패턴(601)을 제거함으로써, 1 개의 패턴으로부터 2 개의 패턴을 형성하여 좁은 피치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 경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패턴(601)의 측벽부(사이드월)에 형성한 패턴은, 측벽부의 주위 전체에 걸쳐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루프의 불필요한 부분(엔드 루프)을 삭제하기 위해, 2 회째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행한다. 그리고, 이 후에, 도 9c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 1 패턴(601)을 제거하여 측벽부의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반복 패턴의 주위에 주변 회로 등의 패턴을 형성할 때에는 3 회째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행하여, 주변 회로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는, 반복 패턴에 일부 접속한 주변 회로 등의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반복 패턴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패턴(601)의 측벽부(사이드월)에 형성된 패턴이므로, 맨 처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반복 패턴에 접속한 주변 회로 등의 패턴 을 형성할 수 없고, 또한 2 회째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엔드 루프를 삭제하기 위한 것이며, 이 공정을 거치지 않으면 반복 패턴에 접속한 패턴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패턴(105)의 부분이, 맨 마지막에 반복 패턴의 일부로서 남기 때문에, 이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서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반복 패턴에 일부 접속한 주변 회로 등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a ~ 7k는, 예를 들면 NAND형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좁은 피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메모리 셀부와, 이 메모리 셀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변 회로 등을 형성하는 경우의 제 3 실시예의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단면 구성을 상부에, 평면 구성을 하부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a에 도시한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에서, 복수의 동일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반복 패턴부(501)와, 반복 패턴부(501)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회로 패턴부(502)를 형성한다. 주변 회로 패턴부(502)의 일부는 반복 패턴부(501)와 접속된 것이어도 좋다.
이어서, 도 7b ~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층(106)을 형성하는 도 1b에 도시한 경계층 형성 공정(도 7b), 경계층(106)의 표면을 덮도록 제 2 마스크재층(107)을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도 7c), 제 2 마스크재층(107)의 일부(표층)를 경계층(106)의 상부가 노출될 때까지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도 7d)을 행한다.
이어서, 제 2 마스크재층(107) 및 경계층(106) 상에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예를 들면, SiO2 등)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120)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을 행한다(도 7e).
이어서, 제 2 경계층(120)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121)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을 행한다(도 7f). 이 제 3 마스크재층(121)은 제 2 마스크재층(107)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후, 제 3 마스크재층(121)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경계층(120)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도 7g), 이 소정의 패턴의 제 2 경계층(120)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마스크재층(107)의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을 행한다(도 7h).
이 후에, 경계층(106)을 에칭하는 도 1e에 도시한 경계층 에칭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을 행하고(도 7i), 이어서, 도 1f에 도시한 제 1 패턴(105) 및 제 2 마스크재층(107)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을 행한다(도 7j). 이에 의해 에칭의 마스크가 되는 패턴이 완성된다. 그리고, 이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의 제 3 층(104) 등을 에칭하는, 도 1g에 도시한 에칭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을 행한다(도 7k).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예에서는 2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반복 패턴과 주변 회로 등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상당하는 공정에 의하여, NAND형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좁은 피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메모리 셀부와, 이 메모리 셀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변 회로 등을 형성하는 경우의 제 4 실시예를, 도 8a ~ 8j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a ~ 8j에는 단면 구성을 상부에, 평면 구성을 하부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에 도시한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에서, 복수의 동일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반복 패턴부(501)와, 반복 패턴부(501)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회로 패턴부(502)를 형성한다. 주변 회로 패턴부(502)의 일부는 반복 패턴부(501)와 접속된 것이어도 좋다.
이어서,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층(106)을 형성하는 도 4b에 도시한 경계층 형성 공정(도 8b), 경계층(106)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제 2 마스크재층(107)을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도 8c)을 행한다.
이어서, 제 2 마스크재층(107) 및 경계층(106) 상에 포트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예를 들면, SiO2 등)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120)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을 행한다(도 8d).
이어서, 제 2 경계층(120)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121)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을 행한다(도 8e). 이 제 3 마스크재층(121)은 제 2 마스크재층(107)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후에, 제 3 마스크재층(121)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경계층(120)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도 8f), 이 소정의 패턴의 제 2 경계층(120)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마스크재층(107)의 불필요 부분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을 행한다(도 8g).
이 후에, 경계층(106)을 에칭하는 도 4d에 도시한 경계층 에칭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을 행하고(도 8h), 이어서, 도 4e에 도시한 제 1 패턴(105) 및 제 2 마스크재층(107)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을 행한다(도 8i). 이에 의해 에칭의 마스크가 되는 패턴이 완성된다. 그리고, 이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의 제 3 층(104) 등을 에칭하는 도 4f에 도시한 에칭 공정에 상당하는 공정을 행한다(도 8j).
이상과 같이, 제 4 실시예에서는 2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반복 패턴과 주변 회로 등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연히 각종 변형을 할 수 있다.
도 1a ~ 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 1g의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 4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a ~ 4f의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a ~ 7k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 8j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 9c는 사이드월 트랜스퍼에 의한 패턴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1 : 기판
102 : 제 1 층
103 : 제 2 층
104 : 제 3 층
105 : 제 1 패턴
106 : 경계층
107 : 제 2 마스크재층

Claims (18)

  1.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는 마스크가 되는 소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空隙)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의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3.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는 마스크가 되는 소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 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의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이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층을 CVD에 의한 성막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를 변질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서, 복수의 동일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반복 패턴부와, 상기 반복 패턴부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회로 패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9.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마스크를 거쳐 에칭하는 공정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 을, 상기 경계층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을 구비한 패턴 형성 방법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스크재 제거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을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1.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마스크를 거쳐 에칭하는 공정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공정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공정
    을 구비한 패턴 형성 방법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경계층 에칭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마스크재층 및 상기 경계층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경계층을 형성하는 제 2 경계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경계층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3 마스크재층 형성하는 제 3 마스크재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마스크재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경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고,
    이 소정 패턴의 상기 제 2 경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을 에칭하는 에칭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이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층을 CVD에 의한 성막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를 변질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형성 공정에서, 복수의 동일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반복 패턴부와, 상기 반복 패턴부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회로 패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7.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수단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마스크재 제거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 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수단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18. 기판 상의 피에칭층을 에칭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로서,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제 1 마스크재층을 패터닝하여 제 1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턴 형성 수단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계층을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 및 상부에 형성하는 경계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마스크재층을, 상기 경계층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제 2 마스크재층 형성 수단과,
    상기 경계층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측벽부와 상기 제 2 마스크재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마스크재층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경계층 에칭 수단과,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소정의 폭으로 하는 트리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KR1020090011979A 2008-02-15 2009-02-13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KR101000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4230 2008-02-15
JPJP-P-2008-034230 2008-02-15
JPJP-P-2009-003910 2009-01-09
JP2009003910A JP5254049B2 (ja) 2008-02-15 2009-01-09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823A KR20090088823A (ko) 2009-08-20
KR101000947B1 true KR101000947B1 (ko) 2010-12-13

Family

ID=4095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979A KR101000947B1 (ko) 2008-02-15 2009-02-13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273661B2 (ko)
JP (1) JP5254049B2 (ko)
KR (1) KR101000947B1 (ko)
TW (1) TWI4041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843A (ko) * 2009-03-02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JP5589692B2 (ja) * 2010-09-08 2014-09-17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138097B1 (en) 2010-09-20 2012-03-2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structure and device based on the same
US9233840B2 (en) * 2010-10-28 2016-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self-assembled polymer features
KR101871748B1 (ko) 2011-12-06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CN104576515B (zh) * 2013-11-15 2017-10-13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图案化石墨烯薄膜及阵列基板的制作方法、阵列基板
JP6126570B2 (ja) * 2013-12-13 2017-05-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272949B2 (ja) * 2016-06-06 2018-01-3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CN106707715B (zh) * 2017-01-11 2019-05-21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US10734238B2 (en) * 2017-11-21 2020-08-04 Lam Research Corporation Atomic layer deposition and etch in a single plasma chamber for critical dimension control
JP6836812B2 (ja) * 2018-10-01 2021-03-03 ユニサンティ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ンガポール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Unisantis Electronics Singapore Pte Ltd. 柱状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3969633A4 (en) * 2019-04-16 2023-12-0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THIN FILM DEPOSITION IN TRENCH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2697A1 (en) 2006-02-24 2007-08-30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7339A (ja) * 1984-03-30 1985-10-18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パタ−ン形成方法
JPS6449231A (en) * 1987-08-20 1989-02-23 Fujitsu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H0670954B2 (ja) * 1988-01-26 1994-09-0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618383A (en) * 1994-03-30 1997-04-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arrow lateral dimensioned microelectronic structure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143126A (en) * 1998-05-12 2000-11-07 Semitool, Inc. Process and manufacturing tool architectur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one or more metallization levels on an integrated circuit
JP3474865B2 (ja) * 2001-04-20 2003-12-0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833232B2 (en) * 2001-12-20 2004-12-21 Dongbu Electronics Co., Ltd. Micro-pattern form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US6858361B2 (en) * 2002-03-01 2005-02-22 David S. L. Mui Methodology for repeatable post etch CD in a production tool
US7064078B2 (en) * 2004-01-30 2006-06-20 Applied Materials Techniques for the use of amorphous carbon (APF) for various etch and litho integration scheme
KR100640640B1 (ko) * 2005-04-19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 피치의 하드마스크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US7560390B2 (en) * 2005-06-02 2009-07-14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spacer steps for pitch multiplication
KR100640657B1 (ko) * 2005-07-25 200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1200938B1 (ko) * 2005-09-30 2012-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패턴 형성 방법
KR100714305B1 (ko) * 2005-12-26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정렬 이중패턴의 형성방법
KR100672123B1 (ko) * 2006-02-02 2007-0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US7314810B2 (en) * 2006-05-09 2008-01-01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781542B1 (ko) * 2006-06-08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2697A1 (en) 2006-02-24 2007-08-30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3780A (en) 2010-01-16
JP2009218574A (ja) 2009-09-24
KR20090088823A (ko) 2009-08-20
US8273661B2 (en) 2012-09-25
US20090209109A1 (en) 2009-08-20
US20120312472A1 (en) 2012-12-13
TWI404141B (zh) 2013-08-01
JP5254049B2 (ja)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947B1 (ko)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KR101000946B1 (ko)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US8530147B2 (en) Patterning process
TWI406105B (zh) 使用含碳硬光罩的雙重曝光圖案化方法
US20060051956A1 (en) Imageable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for high resolution lithography
US8012675B2 (en) Method of patterning target layer on substrate
US9069249B2 (en) Self aligned patterning with multiple resist layers
KR20040045276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43553B1 (ko) 유기 전자 소자의 유기 물질층 패터닝 방법과 상기 방법을이용하여 제작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전계 발광디바이스
US20110049680A1 (en) Dual exposure track only pitch split process
JP200413457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1510510A (zh) 图案形成方法、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JP4562716B2 (ja) 半導体デバイス製造におけるフォトリソグラフィ法
CN109935515A (zh) 形成图形的方法
US793945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attern
US20070178409A1 (en) Exposure method of forming three-dimensional lithographic pattern
TWI473205B (zh) 接觸窗開口的形成方法
KR100948480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US9176388B2 (en) Multi-line width pattern created using photolithography
KR100810422B1 (ko)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US9653293B2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070071437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TW202326812A (zh) Euv光阻的混合式顯影
US6258490B1 (en) Transmission control mask utilized to reduce foreshortening effects
KR100995140B1 (ko) 포토 마스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