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1 ~ 도3 및 도 6 ~ 도9와 같이,
봉제시작은 바늘에 삽통되고 있는 윗실의 단부를 바늘판(50)의 아래쪽에서 협지함과 동시에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이동시키고, 소정바늘 수의 바늘낙하 후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A)에 있어서,
윗실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앞벽 2i)와, 이 고정부에 대해 협지위치와 개방위치(초기위치를 포함함)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윗실의 단부를 협지개방하는 협지부(돌기부(5d))를 구비하는 협지수단(D)과,
상기 협지수단이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는 제 1이동위치와, 상기 협지수단이 상기 제1 이동위치로부터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 2이동위치와, 상기 협지수단이 상기 제 2이동위치보다 더욱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 3이동위치에 상기 협지수단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단일의 액튜에이터(스텝핑 모터(10))를 구비하고, 봉제시작에 제 1이동위치에서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하여 소정 바늘수의 바늘낙하 동안 정지한 후 제 2이동위치에서 제 3이동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수단(B)과,
상기 협지수단이 제 1이동위치에서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바늘(52)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협지부를 상기 협지위치에 위치시키고, 제 3이동위치에서 상기 협지부를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협지부를 상기 협지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시키는 관련동작수단(C),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는 단일의 액튜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수단의 이동이 관련동작수단을 통한 상태로 협지수단에 전달되고, 협지수단이 바늘의 상하이동 통로상에 위치하는 제 1이동위치에서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협지부를 협지위치에 위치시켜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며, 소정바늘수의 바늘낙하가 행해질 때 까지 제 2이동위치에서 윗실의 단부를 고정한 상태로 정지한 후 제 3이동위치에서, 협지부를 개방위치로 하여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여러개의 액튜에이터를 이용하여 행하였던 협지수단의 협지위치(제 1이동위치) 및 고정위치(제 2이동위치)로의 이동과, 협지수단의 각 이동위치에 대응한 윗실 단부의 협지, 고정, 개방의 동작이 단일의 액튜에이터로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윗실 고정장치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튜에이터에 관한 원가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액튜에이터에 관한 제어도 더욱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서는 제 3이동위치에서 협지부를 개방위치로 하여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므로 실채기에 의한 윗실의 끌어올림 시 가공천에 협지부로부터의 윗실 단부의 빠짐에 의한 장력이 걸리지 않고 가공천이 얇은 경우에 가공천으로의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1과 같이,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련동작수단은,
선단부에 상기 고정부를 구비한 제 1이동부재(하부 실 잡는판(2))와, 선단부에 상기 협지부를 구비한 제 2이동부재(상부 실 잡는판(3))를 갖고,
상기 협지수단이 제 1이동위치에서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협지부를 상기 개방위치(초기위치)에서 상기 협지위치로 상대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협지수단이 제 2이동위치로부터 제 3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제 3이동위치에서 상기 협지부를 상기 개방위치로 상대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2이동부재를 상기 제 1이동부재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관련동작수단이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1이동부재에 대해 협지부를 구비하는 제 2이동부재를 상대이동시킴으로써 협지수단은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고 또 제 2이동위치로부터 제 3이동위치로 이동했을 때 윗실의 단부를 개방할 수 있다. 즉 관련동작수단은 제 1이동부재에 대해 제 2이동부재를 상대이동시킨다는 구성으로 이동수단의 이동을 협지수단에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1과 같이,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중앙부(앞벽 (2i))에 윗실의 단부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유도벽(6a))을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는 상기 중앙부에 윗실 단부의 유도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제 2이동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것과 같이 제 1이동부재에 대해 제 2이동부재를 상대이동시키는 즉 제 1이동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대해 제 2이동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된 협지부를 상대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고정부에 대해 협지부가 근접하면 고정부와 협지부와의 사이에 윗실의 단부를 협지할 수 있고, 또 고정부에 대해 협지부가 서로 멀어지면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고정부는 윗실의 단부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부가 협지부에 대해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고, 윗실의 단부는 고정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유도부로 유도되어 늘 중앙부라는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협지수단의 협지부는 고정부의 중앙부에 윗실 단부의 유도를 용이하게 하도록 제 2이동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협지부가 고정부에 대해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고, 고정부의 중앙부에 윗실의 단부가 유도되도록 회동하면서 확실하게 윗실의 단부를 고정부의 중앙부에 유도하여 고정부와 협지부와의 사이에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협지수단의 고정부 및 협지부의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협지수단은 확실하게 윗실의 단부를 협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윗실고정장치에서의 윗실협지기능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6(b)과 같이,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지수단의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3이동위치로의 이동방향은 바늘(52)의 상하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재봉틀의 동체부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제 1이동위치에서는 협지수단이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므로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는 협지수단은 바늘이 상하이동하는 위치로부터 재봉틀의 동체부측을 향해 퇴피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협지수단의 이동방향이 재봉틀 바늘의 상하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재봉틀의 동체부측을 향하고 있다는 것은 협지수단이 재봉틀 베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동을 위한 스페이스를 새롭게 확보하지 않고 협지수단의 이동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1과 같이,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단일의 액튜에이터와 상기 관련동작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액튜에이터를 재봉틀의 동체부측의 재봉틀 베드 아래쪽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단일의 액튜에이터와 상기 관련동작수단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관련동작수단을 통한 상태에서 상기 단일의 액튜에이터와 상기 협지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협지수단에 의한 윗실 단부의 협지 및 개방 및 상기 협지수단의 이동을, 상기 연결부재의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측 방향과 재봉틀의 동체부측 방향으로의 진퇴이동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일의 액튜에이터를 스페이스가 충분히 확보가능한 재봉틀의 동체부측에 배치하고, 이 액튜에이터의 구동력이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측 방향과 재봉틀의 동체부측 방향으로 진퇴운동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관련동작수단에 전달되며, 협지수단에 의한 윗실의 단부의 협지 및 개방 및 협지한 윗실 단부의 이동이 행해지기 때문에 재봉틀 베드에는 최소한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만 하면 되고, 베드의 형상의 가늘고 긴 실린더베드 재봉틀에도 적용가능한 윗실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5 및 도 6~도 9와 같이,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지수단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E)과,
봉제시작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협지수단이 상기 제1 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CPU(33))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봉제시작에 상기 협지수단이 제 1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재봉틀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정지 제어수단(CPU(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봉제시작은 검출수단에 의해 협지수단의 위치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를 기초로 봉제시작에 협지수단이 정규의 제 1이동위치에 위치하지 않다고 판단수단이 판단한 경우에는 구동정지 제어수단에 의해 재봉틀 자체의 기동 또는 구동이 정지하도록 되어있다. 즉 봉제시작시의 협지수단이 정규의 제 1이동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제 1땀의 바늘과 간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등에 재봉틀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협지수단이 제 1땀의 바늘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협지수단이 제 1땀의 바늘과 간섭하여 바늘이 절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8, 도 9 및 도 11(a)(b)과 같이 봉제시작에 바늘에 삽통되는 윗실의 단부를 바늘판의 아래쪽에서 또한 상기 바늘에 대향하는 북(105)의 검끝(105a)의 통과경로의 위쪽에서 협지함과 동시에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시키고 소정바늘 수의 바늘낙하 후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윗실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대해 협지위치와 개방위치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윗실의 단부를 협지개방하는 협지부를 구비하는 협지수단과,
상기 협지수단이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는 제 1이동위치와, 상기 협지수단이 상기 제 1이동위치에서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 2이동위치와, 상기 협지수단이 상기 제 2이동위치보다 더욱 바늘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 3이동위치와, 상기 협지수단이 상기 제 3이동위치보다 더욱 바늘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 4이동위치에 상기 협지수단을 이동가능하게 하며, 봉제시작은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하여 소정 바늘수의 바늘낙하 동안 정지한 후 제 2이동위치로부터 제 3이동위치를 거쳐 제 4이동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협지수단이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바늘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협지부를 협지위치에 위치시키고, 제 3이동위치에서 상기 협지부를 개방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협지부를 협지위치와 개방위치에 위치시키는 관련동작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가 제 3이동위치에서 상기 협지부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한 후도, 윗실의 단부를 계속해서 결합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제 4이동위치는 상기 협지수단의 제 3이동위치로부터 제 4이동위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결합한 윗실의 단부가 상기 북의 검끝의 통과경로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상세하게는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본국 특허 2671478호 공보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협지수단과 대응하는 실잡음은 윗실의 단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방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 구성이 되고 이에 따라 실잡음의 투과구멍을 삽통한 윗실의 단부가 북에 걸려 빠져 천에 봉입된다는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서는 협지수단은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제 3이동위치에서 개방하고 그 후 윗실의 단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 3이동위치로부터 또한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제 4이동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이와같은 협지수단의 이동에 부수하여 개방된 윗실의 단부도 협지수단의 고정부에 결합한 상태로 윗실의 단부가 북의 검끝의 통과경로로부터 멀어지는 제 4이동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서는 도11과 같이 협지수단이 윗실의 단부(L)를 개방한 후 윗실의 단부(L)가 북(105)의 검끝(105a)으로 끌려 들어가 천에 꿰매진다고 해도(도 11(a)참조) 윗실의 단부(L)가 고정부의 이동에 의해 빠지고 또한 북(105)의 검끝(105a)의 통과경로로부터 서로 멀어지며, 그 후도 북(105)의 검끝(105a)이 끌려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11(b)참조). 더욱 상세하게는 협지수단을 제 3이동위치로부터 제 4이동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윗실의 단부(L)를 결합한 고정부를 더욱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천에 봉입된 윗실의 단부(L)를 수평방향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이 제 4이동위치는 봉압된 윗실의 단부(L)를 빼낼 뿐만 아니라 빠진 윗실의 단부(L)가 북(105)의 검끝(105a)의 통과경로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위치에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협지수단의 이동을 제 4이동위치에서 정지시키고, 봉제중은 늘 그 위치를 유지시켜 둠으로써 봉제중은 2번다시 윗실의 단부(L)가 북(105)의 검끝(105a)에 포착되는 경우는 없으며, 이 윗실의 단부(L)가 천에 봉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윗실의 단부가 천에 봉입되어 원하는 위치에 솔기가 형성되지 않는 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제 3이동위치에 있어서 협지부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므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일본국 특개 2000-325683호 공보의 윗실고정장치와 같이 윗실의 개방이 실채기에 의한 실의 끌어올림에 의해 행해지지 않고 천이 얇은 경우에 있어서 윗실개방시의 실채기에 의한 장력 때문에 천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봉제되는 천에는 봉제불비가 일어나지 않도록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다.
청구항 8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5 및 도 6~ 도 9와 같이,
청구항 7기재의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단일의 액튜에이터를 갖고, 상기 협지수단의 제 1이동위치 로부터 제 2이동위치, 제 3이동위치를 거쳐 제 4이동위치로의 이동이 상기 단일의 액튜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종래 여러개의 액튜에이터를 이용해도 실현할 수 없었던 윗실의 협지 및 개방과, 개방후의 윗실의 단부를 북의 검끝의 통과경로로부터 퇴피시킨다는 일련의 동작이 단일의 액튜에이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윗실고정장치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튜에이터에 관한 원가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액튜에이터에 관한 제어도 더욱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9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5 및 도 6~도 9와 같이,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기재의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있어서,
윗실의 실절단을 행하는 실절단 기구와,
상기 협지수단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E)과,
상기 실절단 기구에 의해 실절단을 행할 때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협지수단이 제 4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CPU(33))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협지수단이 제 4이동위치에 위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재봉틀 또는 실절단 기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실절단 정지제어수단(CPU(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절단 기구에 의해 실절단을 행할 때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를 기초로 협지수단이 정규의 제 4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 다고 판단수단이 판단한 경우에는 실절단 정지제어수단에 의해 재봉틀 또는 실절단 기구가 정지하도록 되어있다. 즉 제 4이동위치는 실절단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협지수단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기도 하므로 봉제종료시에 있어서 어떠한 이상에 의해 협지수단이 실절단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간섭할 경우에, 이 제 4이동위치에 협지수단이 위치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재봉틀 또는 실절단 기구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협지수단이 실절단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협지수단이 실절단 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간섭하여 이 가동부재가 손상되는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윗실고정장치에 관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윗실고정장치는 여러가지 재봉틀에 조립된 장치로서, 봉제시작에 바늘에 삽통되고 있는 윗실의 단부를 바늘판의 아래쪽에서 협지함과 동시에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시키고, 소정바늘 수의 바늘낙하 후,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 윗실고정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윗실고정장치(A)는 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수단(B)과, 이동수단(B)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관련동작수단(C)과, 윗실의 단부를 협지(고정)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협지수단(D)과, 협지수단(D)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E)(도 6~ 도 9참조)과, 검출수단(E)에서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윗실고정장치(A)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 치(F)(도 5참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XYZ축에 의해 각각의 방향을 정하고, 특히 X축방향에서의 +측을 오른쪽, -측을 왼쪽 ; Y축방향에서의 +측을 앞, -측을 뒤 ; Z축방향에서의 + 측을 위, -측을 아래로 표현한다.
도 1 ~ 도 4와 같이 이동수단(B)은 재봉틀의 동체부(90)측의 재봉틀 베드(91) 아래쪽에 고정된 스텝핑 모터(다음 「모터」라 함. 액튜에이터)(10)와, 회동부재(다음 「팔부」라 함)(11)와, 연결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10)는 제어장치(F)(도 5참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동기하여 소정각도씩 회전하는 주지한 스텝핑 모터이다. 팔부(11)의 일단부는 모터(10)의 축부(10a)에 고정되고, 팔부(11)의 타단부에는 구멍부(11a)가 형성된다. 모터(10)가 구동하여 축부(10a)가 회전하면 팔부(11)는 축부(10a)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도 1 및 도 3중 화살표 L참조) 되어있다.
또 연결부재(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재하는 긴 부재로서, 앞측 및 뒤측에는 각각 구멍부(12a)(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팔부(11)의 구멍부(11a)와 연결부재(12)의 구멍부(12b)가 단나사(13)에 의해 접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팔부(11)가 회동하면(도 1 및 도 3중 화살표 L참조), 연결부재(12)는 전후이동하도록(도 1~도 3중 화살표 M참조) 되어있다.
도 1 및 도 4와 같이 관련동작수단(C)은 그 주요부재로서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되는 실잡는 판 토대(다음 「토대」라 함)(1)과, 하부실잡는 판(다음 「밑판」 이라 함. 제 1이동부재)(2)과, 상부 실잡는 판(다음 「윗판」이라 함. 제 2이동부재)(3)과, 실잡는 토대덮개(다음 「토대덮개」라 함)(4)와, 실잡는 캠판링크(다음 「캠판링크」라 함)(7)와, 코일 스프링(8)과, 굴림대(9)를 구비하고 있다.
토대(1)에는 그 중앙부에 소정폭을 갖는 홈부(1a)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홈부(1a)에는 구멍부(1b)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홈부(1a)의 폭은 밑판(2) 및 윗판(3)의 폭과 거의 같다. 토대(1)의 홈부(1a)의 좌우양측에는 왼쪽 구멍부(1c) 및 오른쪽 구멍부(1d)가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이들 왼쪽 구멍부(1c) 및 오른쪽 구멍부(1d)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지만 왼쪽 구멍부(1c) 및 오른쪽 구멍부(1d)는 서로 전후방향에 있어서 약간 어긋난 위치관계가 되고, 상대적으로 왼쪽 구멍부(1c)는 앞측에 오른쪽 구멍부(1d)는 뒤측에 형성된다. 또 토대(1)의 좌측의 테두리부에는 나사(1e)에 의해 굴림대(9)가 부착된다.
밑판(2)은 장척으로 또한 대략 평판모양의 부재이다. 밑판(2)의 전단부(2a)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구멍부(2b)가 형성되고, 후단부(2c)에는 슬릿모양의 구멍부(2d)가 형성된다. 또한 앞단부(2a)의 구멍부(2b)는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도 6~도 9참조)의 아래쪽에 위치한 경우에 바늘(52)(도 6(b)참조)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되는 것으로 다음 구멍부(2b)를 「관통공(2b)」이라 한다. 밑판(2)에는 그 대략 중앙부(2e)로부터 좌측으로 약간 돌출하는 왼쪽 돌출편(2f)이 배치된다. 또 밑판(2)에 있어서 중앙부(2e) 및 왼쪽 돌출편(2f)의 하부에는 앞핀(2g) 및 왼쪽 핀(2h)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밑판(2)은 토대(1)의 홈부(1a)에 핏트하도록 토대(1)의 상부에 겹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밑판(2)의 앞핀(2g)은 토대(1)의 구멍부(1b)를 삽통한 상태로 코일스프링(8)의 앞거는 부(8a)에 걸어 고정하고, 한편 왼쪽 핀(2h)은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를 삽통하여 다시 캠판링크(7)의 왼쪽 구멍부(7a)도 삽통한 상태에서 스토퍼부재(7b)에 의해 캠판링크(7)에 접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윗판(3)은 밑판(2)보다도 약간 짧은 대략 평판모양의 부재이다. 윗판(3)의 앞단부(3a)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보수부(3b)가 배치된다. 또 윗판(3)에는 그 대략 중앙부(3c)로부터 우측으로 약간 돌출하는 오른쪽 돌출편(3d)이 배치된다. 윗판(3)에 있어서 후단부(3e) 및 오른쪽 돌출편(3d)의 하부에는 뒷핀(3f) 및 오른쪽 핀(3g)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윗판(3)은 토대(1)의 홈부(1a)에 핏트하도록 밑판(2)의 상부에 겹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윗판(3)의 뒷핀(3f)은 윗판(2)의 구멍부(2d) 및 토대(1)의 구멍부(1b)를 삽통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8)의 뒤거는 부(8b)에 걸어 고정하고, 한편 오른쪽 핀(3g)은 토대(1)의 오른쪽 구멍부(1d)를 삽통하여 다시 캠판 링크(7)의 오른쪽 구멍부(7c)도 삽통한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7d)에 의해 캠판링크(7)에 접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토대덮개(4)는 대략 평판모양의 부재로서 4개의 나사(4a)에 의해 앞측 및 뒤측의 각각 2개소의 위치에서 토대(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밑판(2) 및 윗판(3)은 토대(1) 및 토대덮개(4)와의 사이에 끼워져 밑판(2) 및 윗판(3)의 덜컹 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캠판링크(7)는 대략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대략 평판모양의 부재이다. 캠판링크(7)의 좌우양단부에는 왼쪽 구멍부(7a) 및 오른쪽 구멍부(7c)가 형성되고, 상술과 같이 이들의 구멍부(7a)(7c)에 밑판(2)에 왼쪽 핀(2h) 및 윗판(3)의 오른쪽 핀(3g)이 삽통된다. 캠판 링크(7)의 하부에는 캠판핀(7e)이 배치되고, 캠판핀(7e)은 연결부재(12)의 앞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부(12a)에 접동가능하도록 감합된다. 따라서 모터(10)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부재(12)가 전후방향(도 1~도 3중 화살표 M참조)를 따라 이동하면 그 전후이동을 캠판링크(7)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윗실고정장치(A)의 동작의 설명으로 행하지만 모터(10)의 구동력에서의 캠판링크(7)로의 전달에 따라 관련동작수단(C)의 각 부재가 연동하도록 되어있다.
또 캠판 링크(7)의 왼쪽 테두리부에는 굴림대(9)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약간 만곡한 캠형상부(7f)가 배치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윗실고정장치(A)의 동작의 설명으로 행하지만 이 캠형상부(7f)에 토대(1)의 좌측의 테두리부에 부착된 굴림대(9)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코일스프링(8)은 밑판(2) 및 윗판(3)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코일스프링(8)의 앞거는 부(8a) 및 뒤거는 부(8b) 각각은 밑판(2)의 앞핀(2g) 및 윗판(3)의 뒤핀(3f)에 걸려멈춰진다. 이 코일스프링(8)은 앞핀(2g)과 뒤핀(3f)이 전후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면 이들 앞핀(2g) 및 뒤핀(3f)이 서로 다가가도록 부세한다. 따라서 밑판(2) 및 윗판(3)은 이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의해 서로 전후방향으로 접근하도록 부세되게 된다. 또한 동 도면과 같이 코일스프링(8)은 캠판 링크(7)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평면에서 보아 캠판 링크(7)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도 1과 같이 협지수단(D)은 관통공(2b)을 삽통하는 윗실의 단부를 소정 위치에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6)와, 관통공(2b)을 삽통한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기 위한 협지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6)는 양측이 내측으로 들어간 테이퍼모양의 유도부(유도벽(6a))를 갖는 부재로서, 2개의 나사(6b)에 의해 밑판(2)의 앞단부(2a), 구체적으로는 밑판(2)의 관통공(2b)에서 앞쪽 테두리측에 고정되고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윗실고정장치(A)의 동작의 설명에서 행하지만 밑판(2)의 관통공(2b)에 윗실의 단부가 삽통한 상태에 있어서는, 이 윗실의 단부는 밑판(2)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부재(6)의 유도벽(6a)에 가이드된다. 그리고 이 윗실의 단부는 관통공(2b)의 앞벽(21)에 결합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즉 관통공(2b)의 앞벽(2i)이 윗실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협지부재(5)는 윗판(3)의 앞단부(3a)에 부착되는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협지부재(5)의 후단부(5a)에는 원형의 구멍부(5b)가 형성되고 있고, 이 구멍부(5b)가 윗판(3)의 보스부(3b)와 감합한다. 이 경우 협지부재(5)는 보스부(3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도 1중 화살표 K참조). 즉 협지부재(5)는 윗판(3)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 협지부재(5)의 앞단부(5c)에는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하는 돌기부(5d)가 배치된다. 이 돌기부(5d)는 구멍부(5b)를 윗판(3)의 보스부(3b)에 감합시킨 경우에, 밑판(2)의 앞단부(2a)에 형성된 관통공(2b)에 들어가도록 되어있다. 또한 돌기부(5d)의 폭은 밑판(2)의 관통공(2b)의 폭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협지부재(5)가 윗판(3)에 대해 회동한 경우에는 돌기부(5d)의 좌우 양단이 유도벽(6a)에 닿고, 협지부재(5)의 회동이 규제되는 구조가 된다. 역으로 말하면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에는 관통공(2b)안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약간 여유가 배치된다. 그리고 밑판(2)에 대해 윗판(3)이 상대적으로 앞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협지부재(5)는 윗판(3)의 보스부(3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유도벽(6a)에 안내되어 앞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관통공(2b)의 앞벽(2i)의 중앙부에 닿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관통공(2b)을 삽통한 상태의 윗실의 단부를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는 협지부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상술한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나사(6b)로 가이드 부재(6)를 밑판(2)에 고정하는 것으로 관통공(2b)의 앞벽(2i)과 가이드 부재(6)를 일체로 하여 고정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가이드 부재(6)를 배치하지 않고 관통공(2b)의 앞측의 형상을 테이퍼모양으로 형성하여 유도벽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때 협지부재(5)의 돌기부(5d)도 관통공(2b)의 앞측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테이퍼모양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윗실의 단부가 삽통되는 부분은 관통공(2b)에 대응하는 개구이지만 이 부분이 훅으로 되어있어도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술한 이동수단(B), 관련동작수단(C) 및 협지수단(D)은 재봉틀 베드(91)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관련동작수단(C) 및 협지수단(D)은 바늘판(5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 이동수단(B)의 모터(10)는 재봉틀의 동체부(9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있다. 즉 이동수단(B)과 관련동작수단(C)이 재봉틀 베드(91)의 내부에 있어서 바늘판(50)측과 동체부(90)측에서 연결부재(12)에 의해 걸쳐지는 상태가 되고 있다.
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지만 바늘판(50)(도 4 및 도 6~도 9참조)의 아래쪽에는 윗실의 단부를 삽통한 바늘(52)(도 4 및 도 6참조)의 하강시에 윗실루프를 포착하여 밑실과 얽히게 하는 검끝을 구비한 북을 갖는 주지한 북기구 및 봉제종료시에 윗실 및 밑실의 최소한 한쪽을 절단하는 실절단 기구 등이 배치된다.
도 6~ 도 9와 같이 검출수단(E)은 센서슬릿판(다음 「슬릿판」이라 함)(20)과, 초기위치 검출센서(다음 「초기센서」라 함)(21)와, 퇴피위치 검출센서(다음 「다음 퇴피센서」라 함)(22)를 구비하고 있다.
슬릿판(20)은 연결부재(12)에 고정되고 있고, 연결부재(12)와 함께 전후이동하는 부재이다. 슬릿판(20)은 초기센서(21)에 의해 협지수단(D)이 초기위치(협지수단(D)의 최전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가 검출되는 제 1피검출부(20a)와, 협지수단(D)이 퇴피위치(협지수단(D)의 최후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가 검출되는 제 2피검출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초기센서(21)는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 하는 공지의 광학센서로서, 슬릿판(20)의 전후이동에 따라 제1 피검출부(20a)가 초기센서(21)의 광선(21a)을 (i)차폐할 때 ON상태(ii) 차폐하지 않을 때 OFF상태가 된다. 그리고 초기센서(21)는 ON상태인지 또는 OFF상태인지를 도시하는 검출신호를 제어장치(F)에 출력한다.
또 퇴피센서(22)는 초기센서(21)와 마찬가지로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공지의 광학센서로서, 슬릿판(20)의 전후이동에 따라 제 2피검출부(20b)가 퇴피센서(22)의 광선(22a)을 (i)차폐할 때 ON상태(ii) 차폐하지 않을 때 OFF상태가 된다. 그리고 퇴피센서(22)는 ON상태인지 또는 OFF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장치(F)에 출력한다.
도 5와 같이 제어장치(F)는 상술한 각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F)는 그 기본구성으로서 도 5와 같이 ROM(30), RAM(31), EEPROM(32) 및 CPU(33)를 구비하고 있다.
ROM(30)은 미리 재봉틀을 제어하기 위한 봉제프로그램 및 이 봉제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RAM(31)은 ROM(30)에서 읽어낸 데이터 및 봉제프로그램을 기초로 CPU(33)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EEPROM(32)은 후술하는 조작패널(34a)에서 설정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CPU(33)는 RAM(31)을 작업영역으로 하여 ROM(30)에 격납된 봉제프로그램을 기초로 각 종 연산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CPU(33)는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조작패널(34A)에 접속되고 있고, 조작패널(34a)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봉제데이터의 선택 및 변경을 행한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천누름 스위치(34B) 및 스타트 스위치(34c)와 접속되고 있고, 천누름 스위치(34b) 및 스타트 스위치(34c)로부터 지시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술한 봉제데이터를 기초로 천누름 기구, 천이송 기구, 구동기구, 실절단 기구 등의 그 외의 봉제에 관한 기구를 제어하여 봉제를 행하게 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주축모터(35a)를 구동하는 주축모터 구동회로(35b)에 접속되고, 주축모터(35a)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구동기구(예를들어 바늘(52)이 부착된 바늘 봉)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주축모터(35a)는 엔코더를 구비하고 있고, 주축모터(35a)의 엔코더로부터 인터페이스(35c)를 통해 CPU(33)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CPU(33)는 주축모터(35a)의 회전각도를 인식할 수 있고, 제 1땀의 바늘이 천에 대해 바늘낙하하여 상승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36) 및 인터페이스(37)를 통해 봉제해야 할 천의 천이송 기구에 구비되는 X축모터(36a) 및 Y축 모터(37a)를 각각 구동하는 X축 모터 구동회로(36b) 및 Y축 모터 구동회로(37b)가 접속되고 천이송 기구의 X축 방향 및 Y축방향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38)를 통해 실절단 기구 및 천누름 기구에 구비되는 실절단, 천누름 모터(38a)를 구동하는 실절단, 천누름 모터구동회로(38b)가 접 속되고 실절단 기구 및 천누름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39)를 통해 상술한 이동수단(B)의 모터(10)를 구동하는 윗실고정 모터구동회로(39a)가 접속되고 후술과 같은 모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천이송 기구에 구비된 천이송대(도시하지 않음)의 원점위치(천이송대의 초기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X축 원점센서(40a) 및 Y축원점 센서(40b)에 접속되고, 천이송대가 원점위치로 되돌아가는 지를 도시하는 신호가 입력되어 이 신호를 기초로 제어를 행한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실절단 기구 및 천누름 기구에 구비된 실절단 부재 및 천누름 부재(도시하지 않음)의 원점위치(실절단 부재 및 천누름 부재의 초기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실절단, 천누름 원점센서(40c)에 접속되고, 실절단 부재 및 천누름 부재가 원점위치로 되돌아 가는 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이 신호를 기초로 제어를 행한다.
또 CPU(33)는 인터페이스(40)를 통해 검출수단(E)으로서의 상술한 초기센서(21) 및 퇴피센서(22)에 접속되고, 협지수단(D)이 정규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도시하는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이 검출신호를 기초로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천에 봉제를 행할 때의 상기한 윗실고정장치(A)에 관한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봉제개시전부터 봉제개시직후에 걸친 이동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및 검출수단(E)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 다.
각 부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01) 팔부(11)는 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축부(10a)를 지점으로 하고, 소정각도로써 앞측으로 회동한다(도 6(a)안 화살표 L0참조). 또 단나사(13)에 의해 팔부(11)에 접동가능하도록 고정된 연결부재(12)도 앞쪽으로 이동(다음 「앞이동」이라 함)한다 (도 6(a)안 화살표 M0 참조).
(02) 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고 있는 판링크(7)는 연결부재(12)의 앞이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앞이동한다.
(03) 캠판 링크(7)와 핀결합하고 있는 윗판(3)의 오른쪽 핀(3g)은 캠판링크(7)의 앞이동에 따라 토대(1)의 오른쪽 구멍부(1d)를 따라 앞이동하여 오른쪽 구멍부(1d)의 앞벽에 닿고(계지하고), 오른쪽 핀(3g)의 앞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오른쪽 핀(3g)과 일체화 된 윗판(3)도 앞이동하고 윗판(3)은 최전위치에 위치한다.
(04) 캠판링크(7)와 핀결합하고 있는 밑판(2)의 오른쪽 핀(2h)은 캠판 링크(7)의 앞이동에 따라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를 따라 앞이동한다. 이 때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와 오른쪽 구멍부(1d)에서는 상대적으로 왼쪽 구멍부(1c) 쪽이 오른쪽 구멍부(1d)보다 약간 앞쪽에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윗판(3)의 오른쪽 핀(3g) 쪽이 밑판(2)의 왼쪽 핀(2h)보다 빨리 왼쪽 구멍부(1d)의 앞벽에 닿고(03의 상태), 그 후는 밑판(2)의 왼쪽 핀(2h)은 윗판(3)의 오른쪽 핀(3g)을 지점으로 하도록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를 따라 앞이동한다. 그리고 이 왼쪽 핀(2h)의 앞이동, 즉 밑판(2)의 앞이동은 밑판(2)의 관통공(2b)이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 바로 아래의 소정의 최전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계속되고, 그 시점에서 제어수단(F)이 모터(10)를 정지시킴으로써 정지한다. 또한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의 앞방향의 길이는 왼쪽 핀(2h)이 상기 최전위치에 도달했을 때 보다도 왼쪽 구멍부(1c)의 앞벽과 닿지 않도록 여유를 갖는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며, 왼쪽 핀(2h)이 왼쪽 구멍부(1c)의 앞벽에 닿아 모터(10)가 탈조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만일 모터(10)가 탈조한 경우에서의 연결부재(12)의 부적당한 이동을 규제하여 윗실고정장치의 기구를 보호하고 있다.
(05) 밑판(2) 및 윗판(3)이 최전위치에 위치할 때 밑판(2)의 앞핀(2g)과 윗판(3)의 뒤핀(3f)은 서로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맞서 서로 멀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의해 밑판(2)의 앞핀(2g)과 윗판(3)의 뒤핀(3f)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다가가도록 부세되고 있지만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보다도 모터(10)의 구동력쪽이 크므로 밑판(2)은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맞서 최전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06) 또 밑판(2) 및 윗판(3)이 최전위치에 위치할 때 밑판(2)의 관통공(2b)에서의 앞벽(2i)과, 윗판(3)의 앞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서로 멀어져 있고, 관통공(2b)이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 때 관통공(2b)과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이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되고 있고, 봉제개시후의 제 1땀의 바늘(52)이 이들 관통공(2b) 및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을 관통하여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된다.
(07) 연결부재(12가 전후이동한 상태가 되고, 초기센서(21) 및 퇴피센서(22)는 모두 OFF상태가 된다.
또한 각 부재가 상기(01)~(07)에 도시한 상태가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바늘(52)의 상하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는 위치로서, 다음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제 1이동위치」또는 「초기위치」라 한다. 또 이 「제 1이동위치」또는 「초기위치」에서는 관통공(2b)의 앞벽(2i)과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서로 멀어진 상태이므로 협지수단(D)은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08) 그리고 각 부재가 「제 1이동위치」에 위치하면 윗실의 단부가 삽통되는 제 1땀의 바늘(52)이 바늘구멍(51) 및 관통공(2b)을 관통하도록 상하이동한다. 또한 윗실의 단부는 바늘(52)이 하강했을 때 북(105)(도 11참조)에 의해 아래쪽으로 인출되고 그 후 바늘(52)이 상승했을 때에는 관통공(2b) 및 바늘구멍(51)에 삽통된 상태에서 매달린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봉제개시후(제 1땀의 바늘(52)의 상하이동 후)에서의 이동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및 검출수단(E)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부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P1) 팔부(11)는 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축부(10a)를 지점으로 하고, 소정각도를 갖고 뒤측으로 회동한다(도 7(a)중 화살표 L1참조). 또 단나사(13)에 의해 팔부(11)에 접동가능하도록 고정된 연결부재(12)도 뒤측으로 이동(다음 「후이동」이라 함)(도 7(a)중 화살표 M1참조).
(P2) 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고 있는 캠판 링크(7)는 연결부재(12)의 후이동에 따라 전체로서 후이동한다.
(P3) 캠판 링크(7)가 후이동을 시작하면 윗판(3)은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의해 윗판(3)의 후핀(3f)이 앞쪽으로 인장되어 윗판(3)의 오른쪽 핀(3g)이 토대(1)의 오른쪽 구멍부(1d)의 앞벽과 닿은 상태이므로 최초 후이동하지 않고 밑판(2)만이 후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서로 멀어진 앞핀(2g) 및 후핀(3f)(05참조)은 캠판 링크(7)의 후이동에 따라 밑판(2)의 앞핀(2g) 및 상판(3)의 후핀(3f)에 걸려 멈춰진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의해 서로 다가가고 이들 핀과 일체로 된 밑판(2) 및 윗판(3)도 약간 후이동한다.
또한 윗판(3)도 밑판(2)과의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서서히 후이동을 하게 되지만 밑판(2)의 후이동량 쪽이 크기 때문에 윗판(3)과 밑판(2)과는 서로 접근한다.
(P4) 윗판(3)의 오른쪽 핀(3g)은 윗판(3)의 후이동에 따라 토대(1)의 오른쪽 구멍부(1d)와의 규제(03참조)가 해제됨과 동시에 토대(1)의 오른쪽 구멍부(1d)를 따라 약간 후이동한다. 이 경우, 윗판(3)의 오른쪽 핀(3g) 및 밑판(2)의 왼쪽 핀(2h)의 양핀이 핀결합한 캠판 링크(7)는 전후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한 상태가 되고, 이 시점에서는 윗판(3)이나 밑판(2)도 대략 같은 양 씩 이동한다.
(P5) 밑판(2) 및 윗판(3)이 후이동할 경우, 밑판(2) 및 윗판(3)이 후이동을 개시하고나서는 밑판(2)의 후이동량 쪽이 윗판(3)의 후이동량 보다도 크기 때문에(P4참조) 밑판(2)의 관통공(2b)의 앞벽(2i) 및 앞단부(2a)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6)는 윗판(3)의 앞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에 다가가도록 후이동한다. 이 경우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와 밑판(2)의 관통공(2b)에서의 앞벽(2i)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가 되고, 관통공(2b)이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관통공(2b)이 닫힐 때 벌어진 상태의 관통공(2b)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가 돌기부(5d)와 앞벽(2i)과의 사이에 협지된다.
여기서 관통공(2b)이 닫혔을 때 관통공(2b)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는 가이드부재(6)의 유도벽(6a)에 결합하면서 앞벽(2i)의 중앙부에 유도되도록 되어있다. 또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에는 관통공(2b)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약간 여유가 배치된 상태에서 협지부재(5)는 윗판(3)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돌기부(5d)는 앞벽(2i)에 대해 좌우로 약간 요동하면서 앞벽(2i)에 접촉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돌기부(5d)와 앞벽(21)을 강제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을 크게할 필요는 없고, 돌기부(5d)와 앞벽(2i)사이에서유연하고 확실하게 윗실의 단부를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경우 상술한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관통공(2b)의 앞벽(2i)에 대해 상술한 협지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윗실이 단부를 협지하므로 협지수단(D)은 「협지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P6) 그리고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와 관통공(2b)의 앞벽(2i)과의 사이에 윗실의 단부를 협지한 상태에서 협지수단(D)은 더욱 약간 후이동하고, 윗실고정장치(A)는 부동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바늘(52)(도 6참조)에 의한 소정바늘 수(예를들어 2~3바늘)의 바늘낙하가 행해진다.
(P7) 연결부재(12)의 후이동에 따라 슬릿판(20)의 제 1피검출부재(20a)가 초 기센서(21)의 광선(21a)을 차폐하고, 초기센서(21)는 ON상태가 된다. 이 경우 퇴피센서(22)는 OFF상태 그대로가 된다.
또한 각부재가 상기(P1)~(P7)에 도시한 상태가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는 「협지위치」를 경유하여 협지수단(D)이 바늘(52)의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옆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위치로서 다음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제 2이동위치」또는 「고정위치」라 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윗실의 단부의 협지(고정)후에서의 이동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및 검출수단(E)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부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Q1) 팔부(11)는 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축부(10a)를 지점으로 하고, 소정 각도를 갖고 뒤측으로 회동한다(도 8(a)중 화살표 L2참조). 또 단나사(13)에 의해 팔부(11)에 접동가능하도록 고정된 연결부재(12)도 후이동한다(도 8(a)중 화살표 M2참조).
(Q2) 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고 있는 캠판 링크(7)는 연결부재(12)의 후이동에 따라 전체로서 후이동한다. 그리고 소정의 후이동량을 넘는 곳에서 캠판 링크(7)의 캠형상부(7f)는 굴림대(9)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Q3) 캠판링크(7)의 후이동에 따라 밑판(2)의 왼쪽 핀(2h) 및 윗판(3)의 오른쪽 핀(3g)도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 및 오른쪽 구멍부(1d)를 따라 약간 후이동한다. 이 경우 밑판(2)의 왼쪽 핀(2h) 및 윗판(3)의 오른쪽 핀(3g) 양쪽모두가 후이동하므로 이들 핀과 일체로 된 밑판(2) 및 윗판(3)도 약간 후이동한다.
여기서 캠판 링크(7)가 소정의 후이동량을 넘으면 캠형상부(7f)는 굴림대(9)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Q2 참조) 이 접촉부를 지점으로 하도록 윗판(3)의 오른쪽 핀(3g)은 후이동한다. 이 경우 캠형상부(7f)와 굴림대(9)의 접촉에 의해 밑판(2)의 왼쪽 핀(2h)에서의 후이동은 약간 규제되므로 오른쪽 핀(3g)의 후이동량쪽이 왼쪽 핀(2h)의 후이동량 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오른쪽 핀(3g) 및 왼쪽 핀(2h)이 일체화 된 윗판(3) 및 밑판(2)의 후이동량에 관해서도 윗판(3)의 후이동량쪽이 밑판(2)의 후이동량보다도 커진다.
(Q4) 밑판(2) 및 윗판(3)이 후이동할 경우, 윗판(3)의 후이동량쪽이 밑판(2)의 후이동량 보다도 크기 때문에(Q3참조), 윗판(3)의 앞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의 돌기부(5d)(P5참조)도, 앞벽(2i)에서 멀어지도록 후이동하므로 관통공(2b)이 약간 벌어진 상태가 된다. 요약하면 밑판(2) 및 윗판(3)의 양 판이 후이동하면서 관통공(2b)이 닫힌 상태로부터 약간 벌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협지부재(5)의 돌기부(5)와 관통공(2b)의 앞벽(2i)과의 사이에 협지되엇던 윗실의 단부(P5 및 P6참조)가 개방된다.
(Q5) 연결부재(12)의 후이동에 따라 슬릿판(20)도 후이동하지만 제 2피검출부(20b)가 퇴피센서(22)의 광선(22a)을 차폐할 정도로는 슬릿판(20)은 후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초기센서(21)는 ON상태로이며 또 퇴피센서(22)도 OFF상태 그대로 이다.
또한 각 부재가 상기 (Q1)~(Q5)에 도시한 상태가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제 2이동위치」보다 더욱 바늘(52)(도 6(b)참조)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위치로서, 다음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제 3이동위치」라 한다. 이 「제 3이동위치」에서는 상술한 협지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관통공(2b)의 앞벽(2i)에 대해 상술한 협지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므로 협지수단(D)은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윗실 단부의 개방후에서의 이동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및 검출수단(E)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부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R1) 팔부(11)는 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축부(10a)를 지점으로 하고, 소정각도를 갖고 더욱 후측으로 회동한다(도 9(a)중 화살표 L3참조). 또 단나사(13)에 의해 팔부(11)에 접동가능하도록 고정된 연결부재(12)도 다시 후이동한다(도 9(a)중 화살표 M3참조)..
(R2) 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고 있는 캠판 링크(7)는 연결부재(12)의 후이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다시 후이동한다. 이 경우 캠판 링크(7)의 캠형상부(7f)가 굴림대(9)의 외주면과 계속하여 접촉하면서 캠판 링크(7)는 후이동한다.
(R3) 캠판링크(7)의 이러한 후이동에 따라 밑판(2)의 왼쪽 핀(2h) 및 윗판(3)의 오른쪽 핀(3g)도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 및 오른쪽 구멍부(1d)를 따라 다시 후이동한다. 이 경우 왼쪽 핀(2h) 및 오른쪽 핀(3g) 양쪽 모두가 후이동하므로 이들 핀과 일체화된 밑판(2) 및 윗판(3)도 다시 후이동한다.
여기서 왼쪽 핀(2h) 및 오른쪽 핀(3g)의 후이동시에 캠판링크(7)의 캠형상부(7f)가 굴림대(9)에 접촉하는 것 및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와 오른쪽 구멍부(1d)에서 상대적으로 오른쪽 구멍부(1d)쪽이 왼쪽 구멍부(1c)보다 약간 뒤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윗판(3)의 오른쪽 핀(3g)은 캠형상부(7f)와 굴림대(9)와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하도록 후이동하므로 오른쪽 핀(3g)의 후이동량도 왼쪽 핀(2h)보다 커진다. 이 경우 왼쪽 핀(2h) 및 오른쪽 핀(3g)의 양 핀이 핀결합한 캠판 링크(7)는 좌우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왼쪽 핀(2h)은 토대(1)의 왼쪽 구멍부(1c)의 후벽에 닿고(계지하고) 왼쪽 핀(2h)의 후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또 오른쪽 핀(3g)의 후이동은 소정의 최후위치에서 정지수단(F)이 모터(10)를 정지함으로써 정지한다. 또한 토대(1)의 왼쪽 구멍부(1d)의 후이동의 길이는 오른쪽 핀(3g)이 상기 최후위치에 도달했을 때도 오른쪽 구멍부(1d)의 후벽과 닿지 않도록 여유를 갖는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며, 오른쪽 핀(3g)이 오른쪽 구멍부(1d)의 후벽에 닿아 모터(10)가 탈조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만일 모터(10)가 탈조한 경우에서의 연결부재(12)의 적당치 못한 이동을 규제하여 윗실고정장치의 기구를 보호하고 있다. 이 경우 왼쪽 핀(2h) 및 오른쪽 핀(3g)과 일체로 된 밑판(2) 및 윗판(3)은 최후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R4) 밑판(2) 및 윗판(3)이 최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밑판(2)의 앞핀(2g)과 윗판(3)의 후핀(3f)은 서로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맞서 서로 멀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의해 밑판(2)의 앞핀(2g)과 윗판(3)의 후핀(3f)이 서로 다가가도록 부세되지만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보다도 모터(10)의 구동력쪽이 크므로 윗판(3)은 코일스프링(8)의 부세력에 맞서 최후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R5) 또 밑판(2) 및 윗판(3)이 최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밑판(2)의 관통공(2b)에서의 앞벽(2i)과, 윗판(3)의 전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더욱 멀어지고, 관통공(2b)이 약간 벌어진 상태(Q4참조)로부터 전부 개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윗실 및 봉제에 관한 실의 실절단을 행하는 실절단기구의 실절단 메스(도시하지 않음) 등과 윗실고정장치(A)의 부재가 접촉하는 경우는 없고, 실절단 메스 등이 손상하는 등의 좋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R6) 연결부재(12)의 이러한 후이동에 따라 슬릿판(20)의 제 2피검출부(20b)가 퇴피센서(22)의 광선(22a)을 차폐하고, 퇴피센서(22)는 ON상태가 된다. 이 경우 초기센서(21) 및 퇴피센서(22)의 양 센서가 ON상태가 된다.
또한 각 부재가 상기 (R1)~(R6)에 도시한 상태가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제 3이동위치」보다 더욱 바늘(52)(도 6(b)참조)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위치로서, 다음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제 4이동위치」라 한다. 이 「제 4이동위치」에서는 협지수단(D)은 바늘(52)(도 6(b)참조)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더욱 뒤측으로 퇴피하는「퇴피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퇴피위치」(제 4이동위치)는 「개방위치」에 있어서 개방되고, 고정부(앞벽 2i)와 협지부(돌기부(5d))사이에 통과되며, 고정부(앞벽 2i)에 결합하는 윗실의 단부를 북의 검끝의 이동경로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데 충분한 거리에 바늘의 상하이동경로에 대해 서로 멀어지게 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도11과 같이 협지수단(D)이 「개방위치」(제 3이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제 4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협지수단(D)이 「고정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 북(105)의 검끝(105a)에 의해 천(103)에 봉입된 윗실의 단부(L)(도11(a)참조)를, 고정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뒤쪽으로 끄는 것에 의해 천(103)에서 빼내 북(105)의 검끝(105a)의 통과경로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도 11(b)참조).
(R7) 그리고 협지수단(D)이 「개방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할 때 개방된 상태의 윗실의 단부를 북(105)의 검끝(105a)의 통과경로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천(103)으로부터 나온 윗실이 관통공(2b)을 거쳐 다시 천(103)에 꿰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퇴피위치」를 상기한 위치보다도 더욱 바늘(52)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진 위치로서 윗실의 단부가 관통공(2b)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면 그 후 형성된 솔기에 꿰매지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윗실은 관통공(2b)을 지나지 않기 때문에 도18(a)(b)와 같은 루프(W)가 형성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재봉틀이 봉제종료시에 윗실 또는 밑실을 절단하는 실절단을 행하는 주지의 실절단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경우는 통상 실절단 기구의 가동날은 실절단시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의 바로 밑을 통과하므로 협지수단(D)이 「고정위치」(제 2이동위치)의 근방에서 바늘(52)의 상하이동 경로측에 위치하면 가동날과 협지수단(D)이 간섭할 가능성이 있지만 실절단 기구의 동작중은 협지수단(D)을 「퇴피위치」에 위치시켜 둠으로써 이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재봉틀 베드(91)의 내부에 있어서 협지수단(D)은 바늘판 (50)측에 배치되고, 또 이동수단(B)의 모터(10)는 재봉틀의 동체부(90)측에 배치되므로 협지수단(D)의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4이동위치」로의 이동방향은 바늘(52)(도 6(b)참조)의 상하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재봉틀의 동체부(90)를 향하는 방향이 된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윗실고정장치(A)를 구비하는 재봉틀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스타트 스위치(34c)로부터의 지시신호가 CPU(33)에 입력되면 봉제가 개시된다.
그 후 초기센서(21)는 ON상태에 있는 지 또는 OFF상태로 있는 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CPU(33)에 출력한다.
그 후 CPU(33)는 봉제시작에 초기센서(21)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협지수단(D)이 「제 1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1). CPU(33)가 협지수단(D)은 「제 1이동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다고 판단한 경우(즉 초기센서(21)가 ON상태의 경우)에는 CPU(33)는 천누름 기구, 천이송기구, 구동기구, 실절단 기구 등 그 외의 봉제에 관한 기구의 각 부재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X축 모터(36a), Y축 모터(37a), 실절단, 천누름 모터(38a)등)에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처리를 행함과 동시에(스텝 Sa1) 주축모터(35a)에도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재봉틀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a2).
스텝 S1처리에 있어서, CPU(33)가 협지수단(D)은 「제 1이동위치」에 위치하 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즉 초기센서(21)가 OFF상태의 경우)에는 주축모터(35a)가 구동되고, 제 1땀의 바늘(52)이 천에 대해 하강한다(스텝 S2).
그 후 주축모터(35a)의 엔코더로부터 제 1땀의 바늘(52)이 천에 대해 상승했는 지를 나타내는 엔코더 신호가 CPU(33)에 입력된다. CPU(33)는 이 엔코더 신호를 기초로 제 1땀의 바늘(52)이 천에서 빠졌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3). CPU(33)는 제 1땀의 바늘(52)이 천에서 빠져나가지 않는 다고 판단한 경우, 주축모터(35a)의 엔코더로부터 제 1땀의 바늘(52)이 천에서 빠져나온다는 엔코더 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스텝 S3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테 S3처리에 있어서 CPU(33)는 제 1땀의 바늘(52)이 천에서 빠져나갔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수단(B)의 모터(10)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모터(10)의 구동력에 의해 협지수단(D)은 「제 1이동위치」로부터 「협지위치」를 경우하여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한다(스텝 S4).
그 후 초기센서(21)는 ON상태인지 또는 OFF상태인 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CPU(33)에 출력한다.
그 후 CPU(33)는 초기센서(21)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초기센서(21)가 ON상태로 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5). CPU(33)가 협지수단(D)은 「제 2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즉 초기센서(21)가 OFF상태일 경우)에는 CPU(33)는 스텝 S1처리에서의 부정판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러처리를 행한다(스텝 Sa1, 스텝 Sa2).
스텝 S5처리에 있어서, CPU(33)가 협지수단(D)은 「제 2이동위치」에 위치하 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즉 초기센서(21)가 ON상태일 경우)에는 각 부재의 「제 2이동위치」에 있어서 주축모터(35a)가 회전하여 제 2땀 이후의 봉제가 행해진다(스텝 S6). 그리고 CPU(33)는 소정 바늘 수(예를들어 2~3바늘)의 바늘낙하가 행해졌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7). CPU(33)는 소정 바늘수의 봉제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7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CPU(33)는 소정 바늘수의 바늘낙하가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수단(B)의 모터(10)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모터(10)의 구동력에 의해 협지수단(D)은 「제 2이동위치」로부터 「제 3이동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제 4이동위치」로 이동한다(스텝 S8).
그 후 퇴피센서(22)는 ON상태인 지 또는 OFF상태인 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CPU(33)에 출력한다.
그 후 CPU(33)는 바늘(52)에 의한 봉제가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9). CPU(33)는 바늘에 의한 봉제가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9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CPU(33)는 바늘에 의한 봉제가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 퇴피센서(22)로부터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협지수단(D)이 「제 4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10). CPU(33)가 협지수단(D)은 「제 4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즉 퇴피센서(22)가 OFF상태의 경우)에는 CPU(33)는 천누름 기구, 천 이송기구, 구동회로, 실절단 등 그 외의 봉제에 관한 기구를 구동하는 각종 액튜에이터(주축모터(35a), 실절단, 천누름 모터(38a 등)에 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재봉틀 또는 실절단 기구의 구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b1).
스텝 S10처리에 있어서 CPU(33)가 협지수단(D)「제 4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즉 퇴피센서가(22)가 ON상태인 경우)에는 CPU(33)는 실절단 기구의 실절단 모터(38a)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실절단 모터(38a)의 구동력에 의해 실절단 기구에 의한 윗실 및 봉제에 관한 실의 실절단이 행해진다(스텝 S11).
그 후 CPU(33)는 이동수단(B)의 모터(10)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모터(10)의 구동력에 의해 협지수단(D)은 「제 4이동위치」에서 「제 1이동위치」로 이동한다(스텝 S12).
그리고 이들 스텝 S1처리~스텝 S12처리(스텝 Sa1처리, 스텝 Sa2처리 및 Sb처리를 포함한다)를 경유함으로써 윗실고정장치(A)를 구비하는 재봉틀의 봉제에 관한 1사이클이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의 형태에 관한 윗실고정장치(A)에 의하면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협지수단(D)은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제1 땀의 바늘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를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관통공(2b)의 앞벽(2i)에 의해 고정하고 또한 관통공(2b)의 앞벽(2i)과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와의 사이에 협지하지만 이와같은 동작을 단일의 액튜에이터가 되는 이동수단(B)의 모터(1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역으로 말하면 여러개의 액튜에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단일의 액튜에이터가 되는 모터(10)만으로 윗실의 단부를 협지(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윗실의 단부를 협지(고정)하기 위한 액튜에이터 에 관한 원가를 될 수 있는 한 억제할 수 있고, 이 액튜에이터에 관한 억제도 더욱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액튜에이터가 되는 모터(10)를 재봉틀의 동체부측의 재봉틀 베드 아래쪽에 배치하고 또한 관련동작수단(C) 및 협지수단(D)을 바늘(52)의 상하이동 경로측에 배치하며, 모터(10)와 관련동작수단(C)을 연결부재(12)에 의해 연결한다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모터(10)를 작동시키면 팔부(11)를 통해 모터(10)에 연결된 연결부재(12)는 바늘(52)의 상하이동 경로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재봉틀의 동체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퇴이동하며, (모터(10)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동체부측에서 협지수단(D)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 된다. 여기서 관련동작수단(C) 및 협지수단(D)은 작은 부재의 집합체가 되는 소형화된 것(실제로는 손 바닥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을 정도의 것)으로 또 연결부재(12)도 장척인 부재이다. 따라서 재봉틀 베드의 봉제부분이 가늘고 긴 모양(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바늘판(50)의 아래쪽에 액튜에이터 부분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소위「실린더베드 재봉틀」에 있어서, 액튜에이터가 되는 모터(10)를 동체부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가늘고 긴 모양의 실린더 베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부재(12)를 실린더 베드부내에 배치하고, 소형화된 관련동작 수단(C) 및 협지수단(D)을 바늘판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윗실고정장치(A)를 실린더 베드 재봉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늘(52)에 의한 제 1땀의 바늘낙하 후에 협지수단(D)이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윗실의 단부를 협지(고정)하고, 「제 2이동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소정 바늘수의 바늘낙하가 행해지는 구성이 된다. 여기서 협지수단(D)이 「제 2이동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 협지된 윗실의 단부는 바늘판(50)의 아래쪽에 매달려 북에 끌려 들어가 천에 꿰매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협지수단(D)은 윗실의 단부를 협지한 상태에서 「제 2이동위치」로부터 바늘(52)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 3이동위치」로 이동하므로 협지수단(D)이 「제 2이동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 윗실의 단부가 천에 꿰매어진다고 해도 이 꿰매어진 윗실의 단부를 빼내 북의 검끝의 통과경로로부터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즉 협지수단(D)이 「제 3이동위치」로 이동하여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기 전에 있어서 윗실의 단부가 천에 꿰매진다고 해도 이 꿰매어진 윗실의 단부를 빼내어 그 후도 북의 검끝으로 끌려들어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할 때 협지부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므로 윗실의 개방이 실채기에 의한 실의 끌어올림에 의해 행해지지 않으며, 천이 얇은 경우에 있어서 윗실개방시의 실채기에 의한 장력 때문에 천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들의 것으로 봉제되는 천에는 봉제불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협지수단(D)의 「제 3이동위치」로부터 「제 4이동위치」로의 이동중에 있어서는 「제 3이동위치」에서 협지수단(D)으로부터 개방된 윗실의 단부는 강제적인 장력이 걸리지 않고 협지수단(D)의 관통공(2b)의 앞벽(2i)에 결합한 상태에서 협지수단(D)의 이동에 추종하며, 최종적으로 관통공(2b)의 앞벽(2i)과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서로 멀어져서 벌어진 상태의 관통공(2b)에서 빠져나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윗실의 단부를 제 2땀 이후의 바늘낙하에 의한 천의 솔기에 확실하게 얽히게 할 수 있다.
●도10의 스텝 S1처리와 같이 봉제시작에 초기센서(21)에 의한 검출신호를 기초로 협지수단(D)이 정규의 「제 1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여 재봉틀 자체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므로 봉제시작시의 협지수단(D)이 정규의 「제 1이동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제 1땀의 바늘(52)과 간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등에, 재봉틀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협지수단(D)이 제 1땀의 바늘(52)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협지수단(D)이 제 1땀의 바늘(52)과 간섭하여 바늘(52)이 절손 또는 손상되는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마찬가지로 도 10의 스텝 S5처리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협지수단(D)이 정규의 「제 2이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여 재봉틀 자체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므로 바늘(52)에 의한 제 1땀의 바늘낙하가 행해져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2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윗실의 단부를 협지(고정)한 협지수단(D)이 정규의 「제 2이동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제 2땀 이후의 바늘(52)과 간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등에, 재봉틀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지수단(D)이 제 2땀 이후의 바늘(52)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협지수단(D)이 제 2땀이후의 바늘(52)과 간섭하여 바늘(52)이 절손 또는 손상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것으로 봉제시작의 봉제미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10의 스텝 S10처리와 같이 퇴피센서(22)에 의한 검출신호를 기초로 협지수단(D)이 정규의 「제 4이동위치」 (또는 「퇴피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여 재봉틀 또는 실절단 기구의 정지를 제어하는 구성이므로 봉제종료시에 있어서 협지수단(D)이 실절단 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간섭하는 경우 등에, 재봉틀 또는 실절단 기구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협지수단(D)이 실절단 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협지수단(D)이 실절단 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와 간섭하여 이 가동부재가 손상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관련동작수단(C) 및 협지수단(D)을 대신하여 다음의 도12~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관련동작수단(G) 및 협지수단(H)을 적용하는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들 관련동작수단(G) 및 협지수단(H)이외의 부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 같기 때문에 이들 부재에는 도 1~ 도 9와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이들 부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관련동작수단(G) 및 협지수단(H)을 구성하는 일부의 부재에 있어서도 도 1 ~ 도 9(도 5를 제외함)와 동일한 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 부재도 도 1~ 도 9(도 5를 제외함)와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이들 각 부재의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12~도15와 같이 관련동작수단(G)은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된 토대(80) 및 토대덮개(81)와, 이동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재(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재하는 장척인 부재로서, 이동부재(60)의 폭은 토대(80)의 홈부(80a)의 폭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좁게 형성된다. 또 이동부재(60)의 중앙보다도 약간 뒤측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핀(61)이 배치된다. 그리고 핀(61)이 토대(80)의 슬릿모양의 구멍부(80j)에 삽통된 상태에서 이 이동부재(60)는 홈부(80a)에 핏트하도록 토대(8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된다. 구멍부(80j)를 삽통한 핀(61)은 연결부재(12)의 구멍부(12a)에 감합하고 있다. 또한 토대(80)의 구멍부(80j)의 길이는 도 1에 도시한 구멍부(1b)보다도 짧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이동부재(60)를 덮도록 토대덮개(81)가 토대(8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토대(80)의 홈부(80a)의 좌우측벽에 의해 이동부재(60)의 좌우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토대(80) 및 토대덮개(81)에 의해 이동부재(60)의 상하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며, 이동부재(60)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또 이동부재(60)의 핀(61)이 연결부재(12)에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12)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재(6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12)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재(60)는 토대(80) 및 토대덮개(8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부(80a)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토대(80)의 구멍부(80j)내에서의 핀(61)의 이동범위가 이동부재(60)의 이동범위와 동등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부재(60)는 기본적으로 대략 평판모양으로 된 부재이지만 뒤측에 배치되는 후부(60a)와, 후부(60a)에 대해 앞측에 배치되는 앞부(60b)로 구성된다. 후부(60a)로부터 앞부(60b)에 이어지는 부분에는 단이 만들어지고, 앞부(60b)는 후부(60a)보다도 단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후부(60a)와 앞부(60b)에서 단차를 형성 하는 단부(62)의 상부(62a)(다음 「각부(62a)」라 함)는 이동부재(60)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깍아 내려진다.(또는 둥근모양을 띤 형상이 된다)
이동부재(60)의 앞부(60b)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구멍부(60c)가 형성된다. 이 구멍부(60c)는 도12(b)와 같이 바늘판(50)의 바늘 구멍(51)의 아래쪽에 위치한 경우에, 바늘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되는 것으로 다음 구멍부(60c)를 「관통공(60c)」이라 한다.
또 도12~도15와 같이 협지수단(H)은 가이드 부재(6)와, 협지부재(협지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협지부재(70)는 상기 관통공(60c)을 둘러싸는 틀체의 앞틀부(60d)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이동부재(60)의 앞부(60b)의 전 폭 또는 그보다도 약간 짧은 폭에 걸쳐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협지부재(70)는 바늘판(50)의 밑면(50a)과의 사이에서 윗실을 협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협지부재(70)의 표면은 도12(b)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고, 협지부재(70)와 접촉하는 후술하는 바늘구멍 형성부(53) 및 바늘판(50) 등과의 접촉면적을 작게하여 바늘구멍 형성부(53)와의 마찰을 억제함과 동시에 바늘판(50)의 밑면(50a) 사이에서 윗실을 협지할 때의 협지력을 집중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가이드부재(6)는 도 1~ 도 9(도 5를 제외함)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부재로서, 앞틀부(60d)의 하부에 고정된다.
또 후부(60a) 및 앞부(60b)를 포함하는 이동부재(60)는 탄성부재(예를들어 판스프링)로 구성된다. 이 이동부재(60)는 후부(60a)가 바늘판(50)의 밑면(50a)에 대해 소정 간격을 벌린 상태로 평행하게(환언하면 수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협 지부재(70)가 바늘판(50)의 밑면(50a)에 접촉할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윗실의 협지력을 얻기 위해 앞부(60b)가 후부(60a)에 대해 소정각도(△w) 위방향의 각도가 되도록 각부(62a)로 절곡된다(도16참조).
또 도12(b)와 같이 바늘판(50)에는 대략 원형의 바늘구멍(51)이 배치되지만 바늘구멍(51)을 형성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바늘구멍 형성부(53)가 바늘판(50)의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한다. 바늘구멍 형성부(53)의 밑면(53a)은 측면에서 보아 앞측에서 뒤측으로 감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면이 되고 있다. 또한 바늘판(50)의 밑면(50a)은 수평면에 평행한 면이 되고 있고, 이 밑면(50a)에는 이동부재(60)가 전후이동했을 때 이동부재(60)가 결합하는 결합부재(54)가 배치된다. 결합부재(54)는 측면에서 보아 앞측에서 뒤측으로 감에 따라 낮아지는 경사면(54a)과, 바늘판(50)의 밑면(50a)과 대략 평행한 평탄면(54b)을 갖는 부재이다.
다음에 상술한 「제 1이동위치」「제 2이동위치」「제 3이동위치」및 「제 4이동위치」의 각 위치에서의 관련동작수단(G) 및 협지수단(H)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상태 및 「제 1이동위치」「제 2이동위치」및 「제 3이동위치」의 각 위치에서 다음의 이동위치로 이동할 때의 관련동작수단(G) 및 협지수단(H)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도12는 「제 1이동위치」에서의 각 부재의 상태로, 도13은 「제 2이동위치」에서의 각 부재의 상태로, 도14는 「제 3이동위치」에서의 각 부재의 상태로, 도15는 「제 4이동위치」에서의 각 부재의 상태로 대응한다. 또한 관련동작수단(G) 및 협지수단(H) 이외의 이동수단(B), 검출수단(E) 및 제어장치(F)의 각 제 1~ 제 4이동위치에서의 상태 및 각 제 1 ~ 제 3이동위이치에서 다음 의 이동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수단(B), 검출수단(E) 및 제어장치(F)의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으므로 이들 이동수단(B), 검출수단(E) 및 제어장치(F)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2와 같이 「제 1이동위치」에서는 이동부재(60)는 최전위치에 위치하고, 관통공(60c)과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이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된다. 이 때 도12(b)와 같이 협지부재(70)는 바늘구멍 형성부(53)의 밑면(53a)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60)의 앞부(60b)가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부재(60)의 앞부(60b)는 바늘판(50)의 밑면(53a)을 향해 부세한 상태가 된다. 전체적으로는 이동부재(60)는 탄성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아래쪽으로 약간 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바늘(52)에 의한 제 1땀의 바늘낙하게 행해지고, 그 후 이 바늘(52)이 상승하여 윗실의 단부는 관통공(60c) 및 바늘구멍(51)에 삽통된 상태로 매달린 상태가 된다.
그 후 도12에 도시하는 「제 1이동위치」에서 도13과 같이 「제 2이동위치」로 각 부재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2)는 도12와 같이 「제 1이동위치」에서 도13에 도시하는 「제 2이동위치」로 후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60)도 후이동하다. 이 때 협지부재(70)는 바늘구멍 형성부(53)의 밑면(53a)에 결합한 상태에서 밑면(53a)을 따라 후이동하며, 또한 밑면(53a)에서 바늘판(50)의 밑면(50a)에 결합한 상태로 후이동한다. 그리고 협지부재(70)가 바늘판(50)의 밑면(50a)과 결합하면 이동부재(60)는 밑면(50a)에 대략 평행한 상태가 되고, 이동부재(60)의 밑면(50a)에 부여하는 부세력은 윗실을 고정하기 위해 적정한 양이 된다.
한편 바늘구멍(51) 및 관통공(60c)에 매달린 상태의 윗실의 단부는 협지수단(H)의 후이동에 따라 가이드 부재(6)의 유도벽(6a)에 결합하면서 관통공(60c)의 앞벽(60e)의 중앙부로 유도된다. 동시에 윗실의 단부는 바늘구멍 형성부(53)의 밑면(53a), 상세하게는 바늘구멍(51)보다 뒤측의 밑면(53a)과 협지부재(70)와의 사이에 협지되고, 또한 협지수단(H)이 후이동함으로써 바늘판(50)의 밑면(50a)과 협지부재(70)사이에 협지된다. 이들의 동작이 행해져 각 부재가 「제 2이동위치」에 위치한다.
「제 2이동위치」에서는 이동부재(60)의 앞부(60b) 및 후부(60a)는 대략 수평한 상태가 된다(바늘판(50)의 밑면(50a)에 대략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 때 협지부재(70)는 위쪽으로 야간 부세한 상태로 바늘판(50)의 밑면(50c)사이에서 윗실의 단부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바늘(52)에 의한 소정 바늘수(예를들어 2~3바늘)의 바늘낙하가 행해진다.
그 후 도13과 같이 「제 2이동위치」에서 도14와 같이 「제 3이동위치」에 각 부재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2)는 도13과 같이 「제 2이동위치」에서 도14에 도시하는 「제 3이동위치」로 후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60)도 후이동한다. 이 때 이동부재(60)의 각부(62a)가 결합부재(54)의 경사면(54a)에 접촉하며, 이동부재(60)(특히 앞부(60a))가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가고, 이동부재(60)의 각부(62a)는 경사면(54a)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부(62a)는 이동부재(60)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깎아져 내려가므로(또는 둥근 모양을 띤 형상이 된다) 경사면(54a)에서 큰 마찰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경사면(54a)를 따라 이동한 다.
그리고 도14와 같이 「제 3이동위치」에서는 이동부재(60)의 각부(62a)가 결합부재(54)의 경사면(54a)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부재(60)의 앞부(60b)가 아래쪽으로 밀려내려 가고, 협지부재(70)는 바늘판(50)의 밑면(50a)에서 아래쪽으로 서로 멀어진다. 이에 따라 협지부재(70)와 바늘판(50)의 밑면(50a)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협지부재(70)와 바늘판(50)의 밑면(50a)사이에 협지된 윗실의 단부는 개방된다.
그 후 도14에 도시하는 「제 3이동위치」에서 도15에 도시하는 「제 4이동위치」에 각 부재가 이동한다. 이 때 이동부재(60)의 각부(62a)는 결합부재(54)의 경사면(54a)에서 평탄면(54b)에 타 내려가 평탄면(54b)을 따라 후이동한다. 그리고 「제 4이동위치」에서는 앞부(60b) 일부의 상부가 결합부재(54)의 평탄면(54b)에 결합하고 있다. 또 이동부재(6)의 후부(60a)의 거의 전 부분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토대(80) 및 토대덮개(81) 사이에 들어가고 있다.
물론 「제 3이동위치」에서 「제 4이동위치」로 이동부재(60)가 이동할 경우, 이동부재(60)의 앞부(60b)가 결합부재(54)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부재(60)는 후이동하므로 이동부재(60)중 앞부(60b)를 포함하는 토대(80) 및 토대덮개(81)사이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은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가고, 협지부재(70)와 바늘판(50)의 밑면(50a)이 서로 멀어지며, 윗실의 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제 3이동위치」에서 「제 4이동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 도12~도1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바늘판(50)의 밑면(50a)에 결합부재(54)를 배치하고, 협지수단(H)이 「제 2이동위치」에서 「제 3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이동부재(60)와 결합부재(54)를 결합시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구성이 된다. 그러나 결합부재(54)를 대신하여 도13~도15와 같이 바늘판(50)의 밑면(50a)에 대략 사각형상의 오목부(55)를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협지부재(70)가 「제 2이동위치」에서 「제 4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협지부재(70)의 상부와 오목부(55)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윗실의 단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 오목부(55)는 바늘판(50)의 밑면(50a)에 있어서 협지부재(70)의 「제 2이동위치」에서 「제 4이동위치」로의 이동궤적에 대응하여 이 이동궤적의 위쪽에 배치된다. 물론, 협지부재(70)는 「제 2이동위치」에서 「제 4이동위치」로 이동할 때 결합부재(54)와는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판(50)의 밑면(50a)과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이동한다.
이상 도12~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변형예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서는 협지수단(D) 및 협지수단(H)의 「제 1이동위치」에서 「제 4이동위치」까지의 이동 및 이들 협지수단(D) 및 협지수단(H)의 이동에 대응하는 협지부(협지부재(5)의 돌기부(5d) 및 협지부재(70))의 「협지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이동을, 단일의 액튜에이터(모터(10))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동일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면 여러개의 액튜에이터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제 1이동위치」로부터 「제 4이동위치」까지의 이동수단(B), 관련동작수단(C) 및 관련동작수단(G) 및 협지수단(D) 및 협지수단(H) 등의 각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확실하게 윗실의 단부를 협지, 고정 및 개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 1이동위치」에서 「제 4이동위치」에 이를 때 까지의 각 위치에서의 협지수단(D) 및 협지수단(H)의 동작을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협지수단(D) 및 협지수단(H)은 「제 1이동위치」에서 바로 「제 4이동위치」로 이동하므로 협지수단(D) 또는 협지수단(H)의 「제 1이동위치」에서 관통공(2b) 또는 관통공(60c)에 삽통됨과 동시에 북에 의해 천의 뒤쪽으로 인출된 상태의 윗실의 단부는 바로 협지수단(D) 또는 협지수단(H)에 의해 협지되고, 그 후 개방되어 협지수단(D) 또는 협지수단(H)의 이동방향으로 빠진다. 이 때 윗실의 단부는 북 및 북 근방의 부재와의 접촉이 줄어들므로 윗실 단부의 실오염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