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508B1 -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508B1
KR101032508B1 KR1020030030480A KR20030030480A KR101032508B1 KR 101032508 B1 KR101032508 B1 KR 101032508B1 KR 1020030030480 A KR1020030030480 A KR 1020030030480A KR 20030030480 A KR20030030480 A KR 20030030480A KR 101032508 B1 KR101032508 B1 KR 10103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sewing
tension
sewing machin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381A (ko
Inventor
쿠보타츠구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윗실고정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에 있어서, 봉제조건마다 안정된 봉제개시동작을 행하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봉기(100)의 봉제시작시, 윗실고정장치(60)의 사용유무나, 그 사용유무에 따라 윗실장력이나 재봉기 속도에 대해 미리 봉제를 행하는 옷감소재나 윗실종류 등에 대해 적절한 설정을 행하고, 재봉기 구동시에 그 설정된 봉제패턴을 선택함으로써 윗실장력이나 재봉기 속도가 제어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A DEVICE FOR CONTROLLING HIGHER THREAD IN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윗실고정장치가 설치된 재봉기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개략측면도.
도 2는 상기 윗실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윗실고정장치를 밑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상기 윗실고정장치를 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재봉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재봉기의 주축모터로부터의 신호의 패턴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튜에이터, 연결수단, 관련동작수단, 협지수단 및 검출수단 등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초기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상기 액튜에이터, 연결수단, 관련동작수단, 협지수단 및 검출수단 등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협지위치」 및 「고정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9는 상기 액튜에이터, 연결수단, 관련동작수단, 협지수단 및 검출수단 등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개방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은 상기 액튜에이터, 연결수단, 관련동작수단, 협지수단 및 검출수단 등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대기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1은 재봉기의 조작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재봉기에서의 패턴 데이터(a)와, 그 패턴 데이터에 기초한 운침(바느질 자리)(b)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도 역시 본 발명의 따른 재봉기의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동작에 있어서, 메모리 스위치의 설정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메모리 스위치에 관한 내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 동작에 있어서 다이렉트 패턴 설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에 있어서 그 봉제처리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도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에 있어서 그 봉제처리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도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에 있어서 그 봉제처리동작의 흐름을 나 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봉제시작점에 바늘판의 위쪽에서 윗실을 집는 윗실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에 있어서, 옷감 배면의 제봉 시작용 실의 잔류길이를 안정시키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제시작점의 바느질 자리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봉제시작점이 바느질 앞에 잔류하는 윗실길이를 안정시키기 위해 봉제시작점에 있어서 먼저 첫땀째의 바늘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를 북에 의해 의해 바늘판의 뒤쪽으로 끌어내지만 그 후 나온 윗실의 단부를 바늘판의 배면측에서 협지하는 윗실고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2671478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공개2000-325683호 공보에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이들의 기술은 윗실의 단부를 고정한다는 기능면에서 유용한 기술이 되고 있다.
그러나, 윗실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옷감배면의 봉제시작용 실의 잔류길이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봉제시작점에 안정되게 윗실을 집고,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윗실을 집는 타이밍이나 윗실장력을 봉제조건에 의해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 봉제조건(예를들면, 봉제하는 옷감이나 윗실의 종류)에 의해, 윗실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가의 여부를 선택하는 경우 그 윗실고정장치의 동작의 유무에 의해 봉제시작점의 윗실장력이나 재봉기의 회전속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봉제 시작에 있어서 윗실의 잔류길이를 안정시켜 봉제품의 물질 또는 조작성,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봉제조건에 관계없이 봉제시작점에 있어서 윗실의 잔류길이를을 안정시켜 봉제품의 물질 또는 조작성,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또, 윗실의 고정협지동작, 윗실장력, 재봉기 속도를 제어하고, 봉제조건마다 안정된 봉제시작에서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바늘과, 주축을 통해 상기 바늘을 상하로 구동하는 재봉기 모터와, 봉제시작점에 있어서 바늘에 삽통되고 있는 윗실의 단부를 바늘판의 아래쪽에서 협지함과 동시에 협지한 윗실 단부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이동시키고, 소정 바늘 수의 바늘낙하 후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윗실고정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에 있어서, 윗실에 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장력을 변경할 수 있는 윗실조절장치와,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에 의한 윗실협지동작을 실행할 때에, 상기 윗실고정장치가 상기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의 봉제시작시의 장력이 상기 윗실고정장치가 상기 윗실을 개방한 후의 봉제시의 장력보다 높아지도록 미리 설정된 장력제어수단과, 봉제시작시의 재봉기 모터 기동속도를,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보다도 높은 속도로 하도록 미리 설정되는 재봉기 모터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삭제
삭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장력제어수단에 의해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 봉제시작시의 장력은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푼 후의 봉제시의 장력보다 높아지도록 윗실조절 장력부여장치가 제어되므로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 필요이상의 윗실을 풀어내지 않도록 하여 이른바 새집을 적게 만들수 있고, 윗실고정장치로의 실 얽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봉제시작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윗실고정장치가 상기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의 봉제시작시의 장력을 설정하는 장력설정수단(제어장치(38), 조작패널(74a))을 구비하고,
상기 장력제어수단은 상기 장력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장력을 기초로 상기 윗실고정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장력설정수단에 의해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의 봉제시작시의 장력의 설정을 행할 수 있어 봉제를 행하는 옷감소재나 윗실의 종류 등에 의해 달라지는, 옷감과 윗실의 마찰이나 윗실의 신장률에 따라 적절한 장력으로 설정, 조정하여 재봉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에 의한 윗실협지 동작을 실행하는 지의 설정을 행하는 협지동작 설정수단(제어장치(38), 조작패널(74a))을 구비하고,
상기 협지동작 설정수단에 의해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된 경우, 봉제시작에 있어 상기 윗실의 장력이 봉제시의 장력보다도 높아지도록 미리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장력제어수단은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된 경우, 상기 봉제시보다 높은 장력이 되도록 윗실조절장치를 제어함과 동시에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봉제시작시의 상기 윗실의 장력이 봉제시의 장력이 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특히 협지동작 설정수단에 의해 윗실고정장치의 윗실협지동작을 실행하는 지 여부의 설정이 행해지므로 봉제조건 등에 의해 윗실고정장치의 동작 유무를 변환할 수 있고, 그 윗실협지동작의 유무에 대응시켜 설정된 윗실의 장력을 기초로 재봉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봉기의 기동시, 봉제개시시에 있어 바늘에서 윗실이 빠지지 않도록 봉제시작에서의 윗실의 장력이 제어됨으로써 조작성, 편리성,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6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윗실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된 경우의 봉제시작시의 재봉기 모터 기동속도를 설정하는 기동속도 설정수단(제어장치(38), 조작패널(74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기동속도 설정수단에 의해 봉제를 행하는 옷감 소재나 윗실의 굵기나 종류에 따라 윗실협지장치가 윗실의 협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재봉기 모터의 봉제시작시의 기동속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윗실협지장치가 윗실의 협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봉제시작시의 재봉기의 기동속도를 필요이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 재봉기 모터를 기동할 수 있어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은,
제 1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봉제패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제어장치(38), EEPROM(72))과,
상기 여러개의 봉제패턴의 각각에 대해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에 의한 윗실협지동작의 실행 유무를 설정하는 협지동작 설정수단(제어장치(38), 조작패널(74a))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여러개의 봉제패턴으로부터 원하는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제어장치(38), 조작패널(74a))과,
상기 선택된 봉제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협지동작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의 제어를 행하는 윗실고정 동작제어수단(제어장치(38))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윗실고정동작 제어수단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패턴을 기초로 봉제를 행할 때 그 봉제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된 윗실고정장치의 작동 제를 행하고, 윗실고정장치의 작동 유무를 변환함으로써 안정된 봉제시작동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 편리성,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윗실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재봉기본체의 각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에 있어서 본실시형태에서는 도면 중에 나타낸 재봉기의 주축(도시하지 않음)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따른 X축, 재봉기의 주축에 따른 Y축, 수직축에 따른 Z축에 의해 각각의 방향을 정하고, 특히 X축방향에 있어서의 베드부(31) 좌측을 +측, 베드부(31) 우측을 -측; Y축방향에 있어서의 베드부(31) 전단측을 +측, 베드부(31) 후방측을 -측, Z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쪽을 +측, 아랫쪽을 -측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재봉기(100)는 피봉제물에 락스티치를 시행하는 재봉기로서의 기본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즉, 재봉기(100)는 대략 수평한 베드면(31a)을 갖는 베드부(31)와, 베드부(31)이 후단부에 입설된 종동부(32)와, 종동부(32)의 상부로부터 베드부(31)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전방으로 뻗어나오는 암부(33)와, 암부(33)의 전단부로부터 아랫쪽으로 향하여 뻗어나오는 바늘봉(35)과, 바늘봉(35)의 하단부에 부착된 바늘(52)과, 베드부(3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회전북(도시생략)과, 봉제동작의 구동원이되는 주축모터(36)와, 각종 데이터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패널(74a)(도 5, 도 11에 도시)과, 재봉기(100)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8)(도 5에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베드부(31)의 베드면(31a)에는 천이송대가 설치되고, 그 천이송대에 올려놓여진 피봉제물(옷감, 옷감소재)은 천누름부(도시생략)에 의해 지지되고, 이 피봉제물은 천이송대와 함께 이송기구로서의 X축모터(76a), Y축모터(77a) 등(도 5에 도시)에 의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된다. 또, 이 이송기구는 제어장치(38)에 의해 제어된다.
바늘봉(35)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지의 바늘봉 구동기구에 의해 바늘봉(35)은 주축을 통해서 주축모터(36)에 의해 구동되며, 상하로 왕복이동한다. 또, 주축모터(36)의 구동취출축 또는 주축에 엔코더(도 5에 도시)가 설치된다. 엔코더는 주축모터(36)의 주축의 회전각도를 검지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주축모터(36)의 주축이 1도 회전할 때 마다 펄스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또, 주축 1회전에 따라서 바늘봉(35)은 1왕복의 운동을 행한다.
바늘봉(35)에 바늘(52)이 고정된다. 바늘(52)의 하단부분에 실통과 구멍("바늘구멍"이라고도 함)이 형성되고,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도출된 윗실은 바늘(52)에 도달하여 실통과구멍을 통과한다. 한편, 바늘(52)의 바로 아래에 회전북이 배치되며, 회전북은 하강한 바늘(52)으로부터 윗실을 포착하는 첨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북에는 밑실이 감겨지는 보빈이 수납된다. 회전북은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주축모터(36)에 의해 구동된다. 즉 회전북에는 아래축(도시생략)이 연결되고, 아래축은 전동기구에 연결되며, 전동기구는 주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주축모터(36)가 작동하면 주축모터(36)의 운동이 주축, 전동기구 및 아래축에 의해 회전북에 전달이동되고, 회전북이 회전운동을 한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부(31)의 베드면(31a)에는 바늘판(50)이 고정되고, 바늘판(50)에는 바늘구멍(51)이 형성되고 있다. 바늘(52)은 이 바늘구멍(51)을 거쳐 베드부(31)내로 삽입된다.
바늘(52)이 상하로 일회 왕복운동하는 사이에 회전북이 회전운동을 한다. 그리고 바늘(52)이 하강했을 때 회전북이 첨단부로 윗실을 포착함으로써 바느질 자리로부터 바늘(52)의 실통과구멍에 이르는 윗실루프가 형성되고, 회전북이 회전함으로써 윗실루프가 퍼져 윗실이 밑실에 얽힌다. 이와같은 바늘(52)과 회전북과의 협동에 의해 윗실에 밑실이 얽히고 피봉제물에 락스티치의 바느질 자리가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기(100)은 윗실을 밑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52)으로 안내하는 윗실안내기구(39)를 구비한다. 윗실안내기구(39)는 실안내부재(40)(41)(43)와, 실잡이 스프링(42)과, 천칭(44)과, 실조절 장치(윗실장력부여장치)(45)를 구비한다. 실안내부재(40)는 암부(33) 측면에 고정되고, 암부(33)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실안내부재(40)에는 실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도출된 윗실은 실안내부재(40)이 실통과구멍을 거쳐 앞쪽으로 구부러진다. 실안내부재(41)는 실안내부재(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암부(33) 측면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실안내부재(40)로부터 유도된 윗실은 실안내부재(41)에 걸려 아래쪽으로 구부러진다.
실조절 장치(45)는 고정접시 및 가동접시로된 조절접시세트(46)와, 솔레노이드(도시생략) 등을 구비한다. 조절접시세트(46)는 암부(33)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실안내부재(41)의 아랫쪽에 배치된다. 조절접시세트(46)는 고정접시에 대하여 가동접시가 대향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안내부재(41)로부터 인도된 윗실은 조절접시세트(46)의 가동접시와 고정접시의 사이에 협지된다. 이 조절접시세트(46)는 가동접시 및 고정접시로 윗실을 집는 것으로 윗실에 대하여 압압력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윗실에 장력이 작용한다.
후술하는 윗실장력 구동회로(81b)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는 조절접시세트(46)에 추력(즉, 가동접시를 고정접시에 근접시키는 힘)을 부여하며, 솔레노이드의 추력에 의해 조절접시세트(46)로부터 윗실에 압압력이 작용한다. 솔레노이드의 추력의 크기는 즉, 조절접시세트(46)로부터 윗실에 작용하는 압압력의 크기는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에 비례한다. 제어장치(38)가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윗실에 작용하는 압압력의 크기가 제어된다. 또, 솔레노이드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2000-202183호 공보에 기재된 실조절 장치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솔레노이드는 가동부(즉, 플랜저)로부터 실조절 접시(즉 조절접시세트)에 작용하는 추력이 가동부의 스트로크에 의존하지 않는 특정 스트로크 사이를 갖고,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면 실조절 접시로부터 실에 작용하는 실장력(즉, 저항력 또는 압압력)이 실의 굵기에 의해 달라지지 않는다. 또, 특정스트로크 구간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면 실조절접시로부터 실에 작용하는 실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조절접시세트(46)의 바로 전방에 실안내부재(43)가 고정되어 있다. 실안내부재(43)와 조절접시세트(46)와의 사이에 실잡이 스프링(42)이 배치된다. 조절접시세 트(46)로부터 유도된 윗실은 실잡이 스프링(42)에 걸려 다시 실안내부재(43)로 인도되어 위를 향하고, 실안내부재(43)에서 구부러진다. 윗실에 장력이 전혀 또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잡이 스프링(42)은 조절접시세트(46)를 중심으로 시계회전측(도 1의 방향에서 본 경우)의 원점위치에 있다. 이 때 실잡이 스프링(42)과 실안내부재(43)와 조절접시세트(46)를 묶는 선은 직선형이 되지않고, 조절접시세트(46)로부터 실안내부재(43)까지 사이의 윗실의 경로는 가장 길어진다. 그리고 윗실에 작용하는 장력이 커짐에 따라 실잡이 스프링(42)은 조절접시세트(46)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도 1의 방향에서 본 경우) 한 것에 가깝게 위치하고, 윗실의 장력이 소정 이상으로된 경우에는 실잡이 스프링(42)과 실안내부재(43)와 조절접시세트(46)를 묶는 선은 직선형으로 되어, 조절접시세트(46)로부터 실안내부재(43)까지의 사이의 윗실 경로는 최단이 된다.
천칭(44)은 실안내부재(43)의 바로 전방에 배치된다. 천칭(44)에는 실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실안내부재(43)로부터 유도된 윗실은 천칭(44)의 실통과구멍을 거쳐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바늘(52)의 실통과구멍에 이르고 있다.
천칭(44)은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축모터(36)에 의해 상하로 구동된다. 즉, 주축의 회전운동을 천칭(44)의 상하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기구가 주축과 천칭(44)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따라서 주축모터(36)가 작동하면 주축모터(36)의 운동이 주축 및 전동기구에 의해 천칭(44)에 전동하여 천칭(44)이 상하로 왕복이동한다. 또, 천칭(44)이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주기는 바늘봉(35)이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주기와 같지만 천칭(44)의 위상과 바늘봉(35)의 위상은 일치하지 않는다. 즉, 바늘봉(35)이 상사점에 위치하는 타이밍과 천칭(44)이 상사점에 위치하는 타이밍은 다르며, 바늘봉(35)이 하사점에 위치하는 타이밍과 천칭(44)이 하사점에 위치하는 타이밍도 다르다.
천칭(44)이 하사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천칭(44)은 실안내부재(43)에 최근접하기 때문에 실안내부재(43)로부터 천칭(44)까지의 윗실의 경로는 최단거리가 된다. 또, 천칭(44)이 상사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천칭(44)은 실안내부재(43)로부터 가장 떨어지게 되므로 실안내부재(43)로부터 천칭(44) 까지의 윗실의 경로는 최장거리가 된다. 천칭(44)은 이와같은 상하이동에 의해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52)로 윗실을 공급하거나 회전북에 의해 윗실루프가 퍼질 때 윗실을 느슨하게 하거나 회전북의 첨단부로부터 윗실이 개방된 후에 퍼진 윗실루프를 끌어당기거나 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재봉기(100)의 베드부(31) 내부에이 윗실 고정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윗실고정장치(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실고정장치(60)는 주로 단일 액튜에이터가 되는 스텝핑모터(이하 "모터"라함)A와, 모터A와 후술하는 관련동작수단C을 연결하는 연결수단B과, 연결수단B의 이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관련동작수단C과, 윗실의 단부를 협지(고정)하면서 협지(고정)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협지수단D과, 협지수단D의 위치를 검출하는 윗실고정장치 검출수단E(도 1, 도 7, 도 8, 도 9, 도 10에 도시)와, 검출수단E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윗실고정장치(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8)(도 5에 도시)로 구성된다.
모터A는 윗실고정장치(60)의 구동원이 되는 단일의 액튜에이터로,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동기하여 소정각도 씩 회전하는 주지의 스텝핑모터이다. 모터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베드부(31a)에 의해 종동부(32) 측의 베드부(31) 내에 배치된다.
연결수단B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완부(이하 "완부"라함)(11)와, 연결부재(12)를 구비한다. 완부(11)의 일단부는 모터A의 축부(10)에 고정되고, 완부(11)의 타단부에는 구멍부(11a)가 형성된다. 모터A가 구동하여 축부(10)가 회전하면, 완부(11)는 축부(10)를 지지점으로하여 회동(도 2 및 도 4 중 화살표 L 참조)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2)는 실린더 베드부(31a)의 길이방향을 대략 따르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속존재하는 기다란 부재이며,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결부재(12)이 앞쪽 및 뒷쪽에는 각각 구멍부(12a)(1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완부(11)의 구멍(11a)과 연결부재(12)의 구멍부(12b)가 단 나사(13)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완부(11)가 회동하면(도 2 및 도 4 중 화살표L 참조), 연결부재(12)는 전후이동(도 2 내지 도 4의 중앙화살표M참조)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연결부재(12)는 동일 베드부(31)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이송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구멍부(12a)로부터 후방의 재봉기의 종동부(32) 방향을 향하는 연결부재(12)의 연재방향을 후방향으로부터 바늘의 상하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좌우의 일방향(예를들면 좌방향)으로, 해당 좌우중 일방향으 로부터 하방향으로, 하방향으로부터 다시 좌우중 한쪽 방향(예를들면 좌방향)으로, 이 좌우 중 한방향으로부터 후방향으로, 각각 향하게 하는 절곡부(12c)(12d)(12e)(12f)를 가지고, 또한 구멍부(12b)와 완부(11)와의 연결부의 높이를 맞추는 절곡부(12g)(12h)를 가지고 있다.
관련동작수단C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판(50)의 하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주요부재로서 베드부(31)에 고정되는 실잡이판 토대(이하 "토대"라 함)(1)와, 하부실잡이판(이하 "하부판"이라함)(2)와, 상부실잡이판(이하 "상부판"이라함)(3)와, 실잡이토대덮개(이하 "토대덮개"라고함)(4)와, 실잡이 캠판 링크(이하 "캠판링크"라함)(7)와 코일 스프링(8)과, 굴림대(9)를 구비한다.
토대(1)에는 그 중앙부에 소정폭을 가진 홈부(1a)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홈부(1a)에는 구멍부(1b)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또, 홈부(1a)의 폭은 하부판(2) 및 상부판(3)의 폭과 대략 같다. 토대(1) 홈부(1a)의 좌우양측에는 스프링형 좌측구멍부(1c) 및 우측구멍부(1d)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이들 좌측구멍부(1c) 및 우측구멍부(1d)는 상호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지만 좌측구멍부(1c) 및 우측구멍부(1d)는 상호 전후방향에 있어서 약간 어긋난 위치관계로 되며, 상대적으로 좌측구멍부(1c)는 전방측으로, 우측구멍부(1d)는 후방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토대(1)의 좌측 에지부에는 나사(1e)에 의해 굴림대(9)가 부착되어 있다.
하부판(2)은 길고 또한 대략 평판형 부재이다. 하부판(2)의 전단부(2a)에는 대략 4각형상의 구멍부(2b)가 형성되고, 후단부(2c)에는 스프링형 구멍부(2d)가 형성된다. 또한 전단부(2e)의 구멍부(2b)는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도 1 및 도 7 내지 도 10 참조)의 아랫쪽에 위치한 경우에 바늘(52)(도 7b 참조)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이하 구멍부(2b)를 "관통구멍(2b)"이라 한다. 하부판(2)에는 그 대략 중앙부(2e)로부터 좌측으로 다소 돌출하는 좌측돌출편(2f)이 설치된다. 또, 하부판(2)에 있어서 중앙부(2e)및 좌측돌출편(2f)의 하부에는 전방핀(2g) 및 좌측핀(2h)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하부판(2)은 토대(1)의 홈부(1a)에 끼워지도록 토대(1)의 상부에 중첩한 상태로 된다. 이 경우 하부판(2)의 전방핀(2g)은 토대(1)의 구멍부(1b)를 삽통한 상태로 코일스프링(8)의 전방걸이부(8a)에 걸리고, 한편 좌측핀(2h)은 토대(1)이 좌측구멍부(1c)를 삽통하여 다시 캠판 링크(7)의 좌측구멍부(7a)를 삽통한 상태에서, 스토퍼부재(7b)에 의해 캠판링크(7)에 접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부판(3)은 하부판(2) 보다도 다소 짧은 대략 평판형부재이다. 상부판(3)의 전단부(3a)에는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보스부(3b)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판(3)에는 그 대략 중앙부(3c)로부터 우측으로 다소 돌출하는 우측돌출편(3d)이 설치된다. 상부판(3)에 있어서 후단부(3e) 및 우측돌출편(3d)의 하부에는 후방핀(3f) 및 우측핀(3g)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구비한 상판(3)은 토대(1)의 홈부(1a)에 끼워지도록 하부판(2)의 상부에 중첩한상태가 된다. 이 경우, 상부판(3)의 후방핀(3f)은 상부 판(2)의 구멍부(2d) 및 토대(1)의 구멍부(1b)를 삽입한 상태로 코일스프링(8)의 후방 걸이부(8b)에 걸리고, 한편, 우측핀(3g)은 토대(1)의 우측구멍부(1d)를 삽통하여 다시 캠판링크(7)의 우측구멍부(7c)도 삽입한 상태로 스토퍼부재(7d)에 의해 캠판 링크(7)에 접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토대덮개(4)는 대략 평판형부재이며, 4개의 나사(4a)에 의해 전방측 및 후방측 각각 2개소의 위치에서 토대(1)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하부판(2) 및 상부판(3)은 토대(1) 및 토대덮개(4) 사이에 협지되어, 하부판(2) 및 상부판(3)이 덜컹거림을 방지하는 구조로 된다.
캠판링크(7)는 대략 좌우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대략 평판형부재이다. 캠판링크(7)의 좌우양단부에는 좌측구멍부(7a) 및 우측구멍부(7c)가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구멍부(7a)(7c)에 하부판(2)의 좌측핀(2h) 및 상부판(3c)의 우측핀(3g)이 삽통되고 있다. 캠판링크(7)의 하부에는 캠판핀(7e)이 설치되고, 캠판핀(7e)은 연결부재(12)의 전단부에 형성된 원형 구멍부(12a)에 접동가능하게 감합되고 있다. 따라서 모터A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부재(12)가 전후방향(도 2 내지 도 4 중앙 화상표M 참조)에 따라서 이동하면 그 연결부재(12)의 전후이동을 캠판링크(7)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윗실고정장치(60)의 동작설명으로 행하지만 모터A의 구동력으로부터의 캠판링크(7)로의 전달에 따라서 관련동작수단C의 각 부재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캠판링크(7)의 좌측에지부에는 굴림대(9)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다소 만곡한 캠형상부(7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윗실고정장치(60)의 동 작설명으로 행하지만 이 캠형상부재(7f)에 토대(1)의 좌측에지부로 부착된 굴림대(9)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코일스프링(8)은 하부판(2) 및 상부판(3)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8)의 전방걸림부(8a) 및 후방걸림부(8b) 각각은 하부판(2)의 전방핀(2g) 및 상부판(3)의 후방핀(3f)에 걸린다. 이 코일스프링(8)은 전방핀(2g)과 후방핀(3f)이 전후로 떨어지도록 이동하면 이들 전방핀(2g) 및 후방핀(3f)이 상호 근접하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하부판(2) 및 상부판(3)은 이 코일스프링(8)의 가압력에 의해 상호 전후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가압된다. 또한 동 도면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8)은 캠판링크(7)의 아랫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평면으로 볼 때 캠판링크(7)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협지수단D은 상술한 관련동작수단C의 앞측에 설치한 것으로서, 관통구멍(2b)을 삽통한 윗실의 단부를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재(6)와, 관통구멍(2b)을 삽통한 윗실단부를 협지하기 위한 협지부재(5)를 구비한다.
안내부재(6)는 양측이 내측으로 들어간 테이퍼형 측벽(유도벽6a)을가진 부재이며, 2개의 나사(6b)에 의해 하부판(2)의 전단부(2a), 구체적으로는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에서 앞측 에지측에 고정된다. 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윗실고정장치A의 동작설명으로 행하지만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에 윗실의 단부가 삽통한 상태에서는 이 윗실의 단부는 하부판(2)의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안내부재(6)의 유도벽(6a)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 윗실의 단부는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 에 결합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이 윗실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협지부재(5)는 상부판(3)의 전단부(3a)에 부착되는 부재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협지부재(5)의 후단부(5a)에는 원형 구멍부(5b)가 형성되고, 이 구멍부(5b)가 상부판(3)의 보스부(3b)와 감합한다. 이 경우 협지부재(5)는 보스부(3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도 2 화살표K 참조). 즉, 협지부재(5)는 상부판(3)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 협지부재(5)의 전단부(5c)에는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하는 돌기부(5d)가 설치된다. 이 돌기부(5d)는 구멍부(5b)를 상부판(3)의 보스부(3b)에 감합시킨 경우에 하부판(2)의 전단부(2a)에 형성된 관통구멍(2b)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 돌기부(5d)의 폭은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에 폭보다 약간 작으므로 협지부재(5)가 상부판(3)에 대하여 회동한 경우에는 돌기부(5d)의 좌우양단이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의 좌우측벽에 닿아 협지부재(5)의 회동이 규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역으로 말하면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에는 관통구멍(2b) 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약간 여유공간이 마련되고 있다.
그리고, 하부판(2)에 대하여 상부판(3)이 상대적으로 전방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협지부재(5)는 상부판(3)의 보스부(3b)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유도벽(6a)으로 안내되어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구멍(2b)에 삽통한 상태의 윗실의 단부를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협지부재(5)의 돌 기부(5d)는 윗실 단부를 협지하는 협지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2개의 나사(6b)로 안내부재(6)를 하부판(2)에 고정하는 것으로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과 안내부재(6)를 일체로하여 고정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안내부재(6)를 배치하지 않고 관통구멍(2b)의 전방측의 형상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여 유도벽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때, 협지부재(5)의 돌기부(5d)도 관통구멍(2b)의 전방측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윗실의 단부가 삽통되는 부분은 관통구멍(2b)에 대응하는 개구이지만 이 부분이 훅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실고정장치 검출수단E은 센서 슬리트판(이하 "슬리트판"이라 함)(20)과, 초기위치 검출센서(이하 "초기센서"라함)(21)와, 대기위치 검출센서(이하 "퇴피센서"라고함)(22)를 구비한다.
슬리트판(20)은 연결부재(12)에 고정되어 있고, 연결부재(12)와 함께 전후이동하는 부재이다. 슬리트판(20)은 초기센서(21)에 의해 협지수단D이 초기위치(협지수단D이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위치, 이하 동일)에 위치하는 지가 검출되는 제1피검출부(20a)와, 협지수단D이 대기위치(협지수단D이 최후방측에 위치하는 위치, 이하 동일)에 위치하는가의 여부가 검출되는 제2피검출부(20b)가 설치된다.
초기센서(21)는 재봉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공지의 포트센서이며, 슬리트판(20)의 전후이동에 따라서 제1피검출부(20a)가 초기센서(21)의 광선(21a)을 (i) 차폐할 때 온 상태, (ii) 차페하지 않을 때 오 프상태로 된다. 그리고, 초기센서(21)는 온 상태인가 또는 오프 상태인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한다.
또, 퇴피센서(22)는 초기센서(21)와 같이 재봉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공지의 포트센서로서 슬리트판(20)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제2피검출부(20b)가 퇴피센서(22)의 광선(22a)을 (i)차폐할 때 온 상태, (ii) 차폐하지 않을 때 오프상태로 된다. 그리고, 퇴피센서(22)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인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한다.
또, 윗실고정장치검출수단E은 후술하는 실잡기원점센서(80c)로서 기능한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38)는 상술한 각 부재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장치(38)는 예를들면, 장력제어수단으로서 윗실조절장치(45)에서의 윗실장력의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장치(38)는 예를들면 주축각도검출수단으로서 주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장치(38)는 예를들면 판별수단으로서 설정된 주축의 각도와, 주축각도검출수단이 검출한 주축의 회전각도가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 제어장치(38)는 예를들면, 윗실협지제어수단으로서 판별수단이 주축의 각도가 일치하였다고 판별할 때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협지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어장치(38)는 예를들면, 재봉기모터 제어수단으로서 설절된 재봉기모터의 회전속도에 의해 재봉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을 행한다.
또, 제어장치(38)는 예를들면 윗실고정동작제어수단으로서 윗실고정장치(60) 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 구체적으로 제어장치(38)는 그 기본구성으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ROM(70), RAM(71), EEPROM(72) 및 CPU(73)를 구비한다.
ROM(70)은 미리 재봉기 제어를 위한 봉제 프로그램 및 이 봉제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등을 미리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RAM(71)은 ROM(70)으로부터 읽어낸 데이터 및 봉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73)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EEPROM(72)은 기억수단으로서, 후술하는 조작패널(74a)로부터 설정된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면, 바느질 자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턴데이터, 재봉기속도 데이터, 윗실장력 데이터 등과, 이러한 패턴데이터, 재봉기 속도 데이터, 윗실장력 데이터 등을 조합시킨 봉제데이터로서의 다이렉트 패턴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CPU(73)는 RAM(71)을 작업영역으로서 ROM(70)에 격납된 봉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의 연산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73)는 인터페이스(74)를 통해서 조작패널(74a)에 접속되고, 조작패널(74a)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한 봉제데이터의 선택 및 변경을 행한다.
또, CPU(73)는 인테페이스(74)를 통해서 천 가압스위치(74b) 및 스타트 스위치(74c)와 접속되며, 천가압스위치(74b) 및 스타트 스위치(74c)로부터 지시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전술한 봉제데이터에 기초하여 천 가압기구, 천이송기구, 구동기구, 실잡이 기구, 그 밖의 봉제에 관련된 기구를 제어하여 봉제작업의 처리를 행한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75)를 통해서 주축모터(36)를 구동하는 주축모터구동회로(75b)에 접속되고, 주축모터(36)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구동기구(예를들면 바늘52이 부착된 바늘봉, 주축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주축모터(36)는 엔코더를 구비하고, 주축모터(36)를 구동하는 주축모터구동회로(75d)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주축의 회전각도에 대응하도록 처리하여 생성되는 신호가 인터페이스(75c)를 통해서 CPU(73)에 입력되고, 이 신호에 의해 CPU(73)는 주축의 회전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신호로서는 바늘(52)이 상부위치, 즉, 주축각도가 바늘봉(35)의 상사점을 0도로 하여 45도 - 65도 의 사이에 있을 때에 온이 되는 바늘 상부위치신호, 주축1회전중에 90회, 즉, 4도 마다 온되는 회전각도신호, 제어기준이 되는 125도 - 145도 사이에 있을 때에 온이 되는 기준신호가 있다(도 6 참조). 또, 이들 신호는 주축모터 엔코더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들면 주축에 회전각도를 검지하는 엔코더나 센서를 설치하여 이들 엔코더나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76) 및 인터페이스(77)를 통해서 봉제할 천의 천이송기구에 구비되는 X축모터(76a) 및 Y축모터(77a)를 각각 구동하는 X축모터 구동회로(76b) 및 Y축모터 구동회로(77b)가 접속되고, 천이송기구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78)를 통해서 윗실고정장치(60)를 초기위치, 협지위치, 고정위치, 개방위치, 대기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윗실잡기모터(78a)(모터A)를 구동하는 윗실잡기모터구동회로(78b)가 접속되고, 윗실잡기 동작을 제어한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79)를 통해서 천가압을 상하로 이동하는 천가압모터(79a)를 구동하는 천가압모터구동회로(79b)가 접속되어 천가압동작을 제어한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서 천이송기구에 마련된 천이송대(도시생략)의 원점위치(천이송대의 초기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X축원점센서(80a) 및 Y축원점센서(80b)에 접속되어 천이송대가 원점위치로 복귀하였는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소, 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한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서 윗실고정장치(60)의 원점위치(대기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실잡기원점센서(80c)에 접속되어 윗실고정장치(60)의 협지수단D이 정규의 위치에 위치하는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한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서 천가압기구에 구비된 천가압(도시생략)의 원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천가압원점센서(80d)에 접속되어 천가압이 원점위치로 복귀하였는가의 여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한다.
또, CPU(73)는 D/A변환(81)을 통해서 윗실장력 마그네트(81a)에 구비된 전술의 솔레노이드의 전류값을 제어하기 위한 윗실장력구동회로(81b)에 접속되고, 0 -255 단계로 설정, 제어된 전류치에 비례하여 윗실장력 마그네트(81a)의 장력을 제어하고, 실조절장치(45)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천에 봉제를 행할 때의 상기한 윗실고정장치(60)에 관한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봉제개시전부터 봉제개시직후에 걸쳐 모터A, 연결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및 윗실고정장치검출수단E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부재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01) 완부(11)는 모터A의 회전에 의해 축부(10)를 지지점으로 하여 소정각도를 가지고 전방측으로 회동한다(도 7a 화살표 LO 참조). 또, 단차나사(13)에 의해 완부(11)에 접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부재(12)도 전방측으로 이동(이하 "전방이동"이라함)한다(도 7a 화살표 M0 참조).
(02) 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는 캠판 링크(7)는 연결부재(12)의 전방이동에 따라 전체로서 전방이동한다.
(03) 캠판 링크(7)와 핀결합하는 상부판(3)의 우측핀(3g)은 캠판링크(7)의 전방이동에 따라, 토대(1)의 우측구멍부(1d)를 따라서 전방이동하여 우측구멍부(1d)의 전방벽에 닿고(계지하고), 우측핀(3g)의 전방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우측핀(3g)과 일체로 된 상부판(3)도 전방이동하여 상부판(3)은 최전방위치에 위치한다.
(04) 캠판 링크(7)와 결합하는 하부판(2)의 좌측핀(2h)은 캠판 링크(7)의 전방이동에 따라, 토대(1)의 좌측구멍부(1c)를 따라서 전방이동한다. 이 때 토대(1)의 좌측구멍부(1c)와 우측구멍부(1d)에서는 상대적으로 좌측구멍부(1c) 쪽이 우측구멍부(1d) 보다 다소 전방측으로 형성되므로 상부판(3)의 우측핀(3g) 쪽이 하부판(2)의 좌측핀(2h) 보다 빨리 우측구멍부(1d)의 전방벽에 닿고(03 상태) 그 후는 하부판(2)의 좌측핀(2h)은 상부판(3)의 우측핀(3g)을 지지점으로 하도록 토대(1)의 좌측구멍부(1c)를 따라서 전방이동한다. 그리고, 이 좌측핀(2h)의 전방이동, 즉, 하부판(2)의 전방이동은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이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 바로아래의 소정의 최전방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고, 그 시점에서 제어장치(38)가 모터A를 정지시킴으로써 정지된다. 또, 토대(1)의 좌측구멍부(1c)의 전방향의 길이는 좌측핀(2h)이 상기 최전방위치에 도달한 때에도 좌측구멍부(1c)의 전방벽에 닿지 않도록 여유를 가진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고, 좌측핀(2h)이 좌측구멍부(1c)의 전방벽에 닿아 모터A의 조절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만일에 모터A가 조절이탈한 경우에 연결부재(12)의 잘못된 이동을 규제하여 윗실고정장치의 기구를 보호한다.
(05) 하부판(2) 및 상부판(3)이 최전방위치에 위치할 때, 하부판(2)의 전방핀(2g)과 상부판(3)의 후방핀(3f)은 상호 코일 스프링(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간된 상태로 된다. 또, 이 경우, 코일 스프링(8)의 부세력에 의해 하부판(2)의 전방핀(2g)과 상부판(3)의 후방핀(3f)가 전후방향으로 상호 근접하도록 가압되지만 코일 스프링(8)의 가압력보다도 모터A의 구동력 쪽이 크므로 하부판(2)은 코일 스프링(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최전방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06) 또, 하부판(2) 및 상부판(3)이 최전방위치에 위치할 때, 하부판(2)의 관통공(2b)에 있어서의 전방벽(2i)과, 상부판(3)의 전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이간하고 있고, 관통공(2b)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관통공(2b)과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이 상하로 중첩한 상태로 되고, 봉제 개시후의 제1바느질자리의 바늘(52)이 이들 관통공(2b) 및 바늘판(50)의 바늘구멍(51)을 관통하여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된다.
(07) 연결부재(12)가 전방이동한 상태로 되고, 초기센서(21) 및 퇴피센서(22)는 함께 오프 상태로 된다.
또, 각 부재가 상기 (01) - (07)에 나타낸 상태가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바늘(52)의 상하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는 위치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초기위치"라 한다.
또, 상기 (07)에 관하여, 각 부재가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초기센서(21) 및 퇴피센서(22)중 최소한 한쪽의 센서가 온 상태로 될 때, 이 한쪽의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38)는 재봉기(100) 자체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봉제 개시전의 협지수단D이 정규의 "초기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등에, 재봉기의 기동 또는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협지수단D이 제1바느질자리의 바늘(52)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8) 따라서, 각 부재가 정규의 "초기위치"에 위치하면 윗실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바느질자리의 바늘(52)이 바늘구멍(51) 및 관통구멍(2b)을 관통하도록 상하로 동작한다. 또, 윗실의 단부는 바늘(52)이 하강했을 때 북(도시생략)에 의해 아래쪽으로 인출되고, 그 후 바늘(52)이 상승했 때에는 관통구멍(2b) 및 바늘구멍(51)에 삽통된 상태로 매달린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봉제개시후(제1바느질자리의 바늘52의 상하이동 후)에 있어서의 모터A, 연결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및 윗실고정장치검출수단E을 구성한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부재의 동작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P1)완부(11)는 모터A의 회전에 의해 축부(10)를 지지점으로하여 소정각도를 가지고 후방측으로 회동한다(도 8a의 화살표 L1 참조). 또, 단차나사(13)에 의해 완부(11)에 접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부재(12)도 후방측으로 이동(이하 "후방이동"이라함)한다(도 8a 중앙 화살표 MI 참조).
(P2)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는 캠판 링크(7)는 연결부재(12)의 후방이동에 따라 전체로서 후방이동한다.
(P3)캠판 링크(7)가 후방이동을 시작하면, 상부판(3)은 코일스프링(8)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판(3)의 후방핀(3f)이 전방으로 인장되어 상부판(3)의 우측핀(3g)이 토대(1)의 우측구멍부(1d)의 전방벽에 닿은 상태이므로 최초, 후방이동없이, 하부판(2)만이 후방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상호 이간된 전방핀(2g) 및 후방핀(3f)(05 참조)은 캠판 링크(7)의 후방이동에 따라서 하부판(2)의 전방핀(2g) 및 상부판(3)의 후방핀(3f)에 걸려고정된 코일 스프링(8)의 가압력에 의해 상호 근접하고, 이들 핀과 일체로된 하부판(2) 및 상부판(3)도 다소 후방이동한다.
또, 상부판(3)도 하부판(2)과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서서히 후방이동을 하게되지만 하부판(2) 쪽의 후방이동량이 크므로 상부판(3)과 하부판(2)은 상호 접근한다.
(P4) 상부판(3)의 우측핀(3g)은 상부판(3)의 후방이동에 따라서 토대(1)와의 규제(O3)이 해제됨과 동시에 의 토대(1)의 우측구멍부(1d)를 따라서 약간 후방이동한다. 이 경우, 상부판(3)의 우측핀(3g) 및 하부판(2)의 좌측핀(2h)의 양핀이 핀결합한 캠판 링크(7)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한 상태로 되고, 이 시점에서는 상부판(3)도 하부판(2)도 대략 같은 양씩 이동한다.
(P5) 하부판(2) 및 상부판(3)이 후방이동하는 경우, 하부판(2) 및 상부판(3)이 후방이동을 개시하면서는 하부판(2)의 후방이동량 쪽이 상부판(3)의 후방이동량 쪽 보다 크므로(P4 참조),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 및 전단부(2a)에 고정된 안내부재(6)는 상부판(3)의 전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에 근접하도록 후방이동한다. 이 경우,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와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에서의 전방벽(2i)이 상호 접촉하는 상태가 되고, 관통구멍(2b)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관통구멍(2b)이 폐쇄된 때에, 개방된 상태의 관통구멍(2b)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가 돌기부(5d)와 전방벽(2i)와의 사이에 협지된다.
여기서, 관통구멍(2b)이 폐쇄된 때에 관통구멍(2b)에 삽통된 윗실의 단부는 안내부재(6)의 유도벽(6a)에 결합하면서 전방벽(2i)의 중앙부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에는 관통구멍(2b)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다소 유극이 형성된 상태로 협지부재(5)는 상부판(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돌기부(5d)는 전방벽(2i)에 대하여 좌우로 약간 요동하면서 전방벽(2i)에 접촉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돌기부(5d)와 전방벽(2i)을 강제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8)의 가압력을 크게할 필요는 없으며, 돌기부(5d)와 전방벽(2i) 사이에 유연하고도 확실하게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경우 상술한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에 대하여 상술한 협지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므로 협지수단D은 "협지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P6)그리고, 협지부재(5)의 돌기부(5d)와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 사이에 윗실의 단부를 협지한 상태로 협지수단D은 또한 다소 후방이동하고, 윗실고정장치A는 부동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바늘(52)에 의한 소정 바늘수(예를들면 2-3 바늘)의 바늘 하강이 행해진다.
(P7)연결부재(12)의 후방이동에 따라서, 슬리트판(20)의 제1피검출부(20a)가 초기센서(21)의 광선(21a)을 차폐하고, 초기센서(21)는 온 상태로 된다. 이 경우, 퇴피센서(22)는 오프 상태 그대로 된다.
또, 각 부재가 상기 (P1) - (P7)에 나타낸 상태로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윗실의 단부를 협지하는 "협지위치"를 경유하고, 또한 "초기위치" 에서 바늘(52)(도 7b 참조)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종동부(32)로 향하여 후방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이다. 또, 각 부재가 상기 (P1) - (P7)에 나타낸 상태가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협지된 윗실단부를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에 고정하는 위치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고정위치"라 한다.
또, 상기 (P6)(P7)에 관하여 각 부재가 "고정위치"에 위치할 때에 초기센서(21)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되지만 협지수단D이 정규의 "고정위치"에 위치하여 초기센서(21)가 온 상태로 된 경우에 초기센서(21)의 검출신호에 기초 하여 제어장치(38)는 바늘(52)에 의한 소정 바늘수(예를들면 2 - 3 바늘)의 바늘하강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협지수단D이 제2바느질자리 이후의 바늘(52)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윗실의 단부협지(고정) 후에 있어서의 모터A, 연결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윗실고정장치검출수단E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부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Q1) 완부(11)는 모터A의 회전에 의해 축부(10)를 지지점으로 하여 소정각ㄷ를 가지고 후방측으로 회동한다(도 9a 화살표 L2참조). 또, 단차나사(13)에 의해 완부(11)에 접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부재(12)도 후방이동한다(도 9a 화살표M2 참조).
(Q2)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는 캠판 링크(7)는 연결부재(12)의 후방이동에 따라서 전체로서 후방이동한다. 그리고, 소정의 후방이동량을 초과하는 곳에서 캠판 링크(7)의 캠형상부(7f)는 굴림대(9)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Q3) 캠판링크(7)의 후방이동에 따라서 하부판(2)의 좌측핀(2h) 및 상부판(3)의 우측핀(3g)도 토대(1)의 좌측구멍부(1c) 및 우측구멍부(1d)를 따라서 다소 후방이동한다. 이 경우 하부판(2)의 좌측핀(2h)및 상부판(3)의 우측핀(3g) 양쪽 모두 후방이동하므로 이들 핀과 일체로된 하부판(2) 및 상부판(3)도 다소 후방이동을 행한다.
여기서, 캠판링크(7)가 소정의 후방이동량을 초과하면 캠형상부(7f)는 굴림 대(9)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Q2참조), 이 접촉부를 지지점으로 하도록 상부판(3)의 우측핀(3g)은 후방이동한다. 이 경우 캠형상부(7f)와 굴림대(9)의 접촉에 의해 하부판(2)의 좌측핀(2h)에서의 후방이동은 다소 규제되므로 우측핀(3g)의 후방이동량 쪽이 좌측핀(2h)의 후방이동량 쪽 보다 크게된다. 따라서 우측핀(3g) 및 좌측핀(2h)이 일체로 된 상부판(3) 및 하부판(2)의 후방이동량에 관하여도 상부판(3)의 후방이동량 쪽이 하부판(2)의 후방이동량 쪽 보다도 크게된다.
(Q4) 하부판(2) 및 상부판(3)이 후방이동할 경우, 상부판(3)의 후방이동량 쪽이 하부판(2)의 후방이동량 보다도 크므로(Q3 참조), 상부판(3)의 전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의 돌기부(5d)(P5 참조)도 전방벽(2i)으로부터 이간하도록 후방이동하기 때문에 관통구멍(2b)이 다소 개방된 상태로 된다. 요약하면 하부판(2) 및 상부판(3)의 양판이 후방이동하면서 관통구멍(2b)이 페쇄된 상태로부터 다소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협지부재(5)의 돌기부(5)와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 사이에 협지된 윗실의 단부(P5 및 P6 참조)가 개방된다.
(Q5)연결부재(12)의 후방이동에 따라서 슬리트판(20)도 후방이동을 하지만 제2피검출부(20b)가 퇴피센서(22)의 광선(22a)을 차폐할 정도로는 슬리트판(20)은 후방이동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초기센서(21)는 온 상태 그대로 되고, 또한 퇴피센서(22)도 오프 상태 그대로이다.
또, 각 부재가 상기 (Q1) - (Q5)에 나타낸 상태로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고정위치" 에서 더욱 바늘(52)(도 5b 참조)의 상하 이동경로로부터 종동부(32)를 향해 후방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이다. 또, 각 부재가 상기 (Q1) - (Q5)에 나타낸 상 태로 되는 위치는 상술한 협지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협지부재(5)의 돌기부(5d)가 상술한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관통구멍(2b)의 전방벽(2i)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위치이기도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개방위치"라 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윗실의 단부의 개방후의 모터A, 연결수단B, 관련동작수단C, 협지수단D 및 윗실고정장치검출수단E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부재의 동작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R1)완부(11)는 모터A의 회전에 의해 축부(10)를 지지점으로 하여 소정각도를 가지고 더욱 후방측으로 회동한다(도 10a 화살표 L3참조). 또, 단차나사(13)에 의해 완부(11)에 접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부재(12)도 더욱 후방이동을 행한다(도 10a 화살표 M3 참조).
(R2)연결부재(12)와 핀결합하는 캠판 링크(7)는 연결부재(12)의 후방이동에 따라 전체로서 더욱 후방이동한다. 이 경우, 캠판 링크(7)의 캠형상부(7f)가 코로(9)의 외주면과 계속하여 접촉하면서 캠판 링크(7)는 후방이동한다.
(R3)캠판 링크(7)의 이러한 후방이동과 함께 하부판(2)의 좌측핀(2h) 및 상부판(3)의 우측핀(3g)도 토대(1)의 좌측구멍부(1c) 및 우측구멍부(1d)를 따라서 더욱 후방이동을 행한다. 이 경우 좌측핀(2h) 및 우측핀(3g)의 양쪽 모두가 후방이동을 하므로 이들 핀과 일체로 된 하부판(2) 및 상부판(3)도 후방이동을 행한다.
여기서, 좌측핀(2h) 및 우측핀(3g) 의 후방이동 시에, 캠판링크(7)의 캠형상 부(7f)가 굴림대(9)에 접촉하는 것과 토대(1)의 좌측구멍부(1c)와 우측구멍부(1d)에서 상대적으로 우측구멍부(1d) 쪽이 좌측구멍부(1c) 보다 다소 후방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판(3)의 우측핀(3g)은 캠형상부(7f)와 굴림대(9)의 접촉점을 지지점으로 하도록 후방이동하므로 우측핀(3g)의 후방이동량도 좌측핀(2h)보다 커진다. 이 경우 좌측핀(2h) 및 우측핀(3g)의 양핀이 핀결합한 캠판 링크(7)는 좌우방향에 대하여 다소 경사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좌측핀(2h)은 토대(1)의 좌측구멍부(1c)의 후방벽에 닿고(계지하고), 좌측핀(2h)의 후방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또 우측핀(3g)의 후방이동은 소정의 최후위치에서 제어장치(38)(도시하지 않음)가 모터A를 정지함으로써 정지된다. 또 토대(1)의 우측구멍부(1d)의 후방향의 길이는 우측핀(3g)이 상기 최후위치에 도달했을 때도 우측구멍부(1d)의 후방벽과 닿지 않도록 여유를 가진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고, 우측핀(3g)이 우측구멍부(1d)의 후방벽에 닿게되어 모터A가 조절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과 동시에, 만일 모터A가 조절이탈한 경우의 연결부재(12)의 잘못된 이동을 규제하여 윗실보호장치의 기구를 보호하고 있다. 이 경우 좌측핀(2h)및 우측핀(3g)과 일체로 된 하부판(2) 및 상부판(3)은 최후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R4)하부판(2) 및 상부판(3)이 최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하부판(2)의 전방핀(2g)과 상부판(3)의 후방판(3f)은 상호 코일 스프링(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간한 상태로 된다. 또, 이 경우, 코일스프링(8)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판(2)의 전방핀(2g)과 상부판(3)의 후방핀(3f)이 상호 근접하도록 가압되지만 코이 스프링(8) 의 가압력 보다도 모터A의 구동력 쪽이 더 크므로 상부판(3)은 코일 스프링(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최후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R5)또, 하부판(2) 및 상부판(3)이 최후위치에 위치할 때, 하부판(2)의 관통구멍(2b)에서의 전방벽(2i)과 상부판(3)의 전단부(3a)에 부착된 협지부재(5)의 돌기부(5d)도 더욱 이간하고, 관통구멍(2b)이 다소 개방된 상태(Q4참조)로부터 전부 개방된 상태로 된다.
(R6)연결부재(12)의 이러한 후방이동에 따라서 슬리트판(20)의 제2피검출부(20b)가 퇴피센서(22)의 광선(22a)을 차폐하고, 퇴피센서(22)는 온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초기센서(21) 및 퇴피센서(22)의 양 센서가 온 상태가 된다.
또한 각 부재가 상기 (R1) - (R6)에 나타낸 상태가 되는 위치는 협지수단D이 "고정위치" 보다 더 바늘(52)(도 7b 참조)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종동부(32)를 향하여 후방측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또한 협지수단D가 바늘(52)(도 7b 참조)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최후방측으로 퇴피하는 위치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위치를 각 부재의 "대기위치"라 한다.
이 "대기위치"는 보지부(전방벽2i)에 결합되는 윗실의 단부를 북(구체적으로는 북의 첨단부)의 이동경로로부터 이간시킨 것으로 충분한 거리를 갖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협지수단D이 "개방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때에 협지수단D이 "고정위치"에 정지할 때 북에 의해 천에 봉입된 윗실의 단부를 천으로부터 인출하여 북의 통과경로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R7) 협지수단D이 "개방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하면, 개방된 상태의 윗실의 단부를 북의 통과경로로부터 이간시키고, 천으로부터 나온 윗실이 관통구멍(2b)을 경유하여 다시 천으로 봉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대기위치"를 상기한 위치 보다도 더욱 바늘(52)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정하고, 윗실의 단부가 관통구멍(2b)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면 그 후 형성되는 바느질자리에 봉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윗실고정장치(100)의 각 부재가 "초기위치"로 부터 "협지위치", "고정위치" 및 "개방위치"를 경유하여 "대기위치"에 도달하면, 소요 바늘수의 바늘 하강이 행해져 봉제에 관한 싸이클이 종료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100)의 조작패널(74a)을 참조하면서 제어장치(38)의 설정항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조작패널(74a)은 제어장치(38)와 함께 설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예를들면, 장력설정수단으로서, 조작패널(74a)에 있어서 봉제시작시의 장력설정이 행해진다.
또, 조작패널(74a)에 있어서, 예를들면, 협지동작설정수단으로서 윗실고정장치(60)의 윗실협지동작의 유무의 설정이 행해진다.
또, 조작패널(74a)에 있어서, 예를들면, 주축각도설정수단으로서, 윗실고정장치(60)가 윗실을 고정해야 할 때 주축의 회전각도의 설정이 행해진다.
또, 조작패널(74a)에 있어서, 예를들면, 기동속도설정수단으로서, 윗실고정장치(60)의 작동유무에 따라 재봉기모터의 봉제시작시의 기동속도의 설정이 행해진 다.
또, 조작패널(74a)에 있어서, 예를들면 선택수단으로서, 목표 봉제패턴의 선택이 행해진다.
도 11에 나타낸 조작패널(74a)에는 테이터 표시부(74d), 준비키(74e), 리세트키(74f), +/전진키(74g), -/후퇴키(74h), 패턴번호, 키(74i), X확대축소율키(74j), Y확대축소율키(74k), 스피드키(74l), 윗실장력키(74m), 윗실잡기키(74n), 다이렉트키(P1, P2, P3, P4)(74o), 및 각 키 등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90, 91, 92) 등이 설치된다.
데이터표시부(74d)는 LED(91)가 점등되는 개소, 키에 대응한 각종 데이터번호나 데이터수치 등이 표시된다.
+/전진키(74g), -/후퇴키(74h)는 각종 데이터번호나 데이터수치의 변경(순방향 이송 +, 역방향이송 -)을 위한 조작을 행하는 키이다.
패턴번호, 키(74i)는 예를들면 미리 설정되어 기억된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행할 때에 봉제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봉제패턴번호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키이다.
여기서, 봉제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봉제패턴은 봉제를 행할 때의 운침패턴으로, 그 운침패턴을 실행하기 위해 천이송기구의 X방향이동량, Y방향이동량의 데이터(바늘낙하위치데이터)이다. 실제의 패턴데이터와, 운침패턴을 봉제종료 등에서 보강봉제를 할 때, 빗장패턴을 예로 도 12에 나타냈다. 원점위치(0,0)으로부터 도 12a에 나타낸 패턴데이터에 따라서 운침이 행해지면, 도 12b에 나타낸 운침이 행해져 바느질자리가 형성된다.
X확대축소율키(74j), Y확대축소율키(74k)는 봉제패턴을 실행할 때 그 패턴의 확대축소율의 표시를 하기 위한 키이다.
스피드키(74l)는 봉제시의 재봉기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윗실장력키(74m)는 봉제시의 윗실장력을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윗실집기키(74n)는 윗실집기를 실행하는 지의 선택을 행하는 키이다. 다이렉트키(P1,P2,P3,P4)(74o)는 봉제패턴, 확대축소율, 재봉기 속도, 윗실장력, 윗실집기의 실행유무 등이 조합된 커스터 마이즈한 봉제를 하기 위한 데이터(다이렉트 패턴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100)의 동작 흐름에 대해 도13,14에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를 따라 설명한다.
우선 재봉기의 주전원(도시생략)의 온 조작시에, 준비키(74e)도 동시에 온조작한 경우, 즉 스텝 S100에 있어서 YES인 경우는, 스텝 S101로 이동하여 후술하는 메모리 스위치의 설정을 행한다.
또 스텝 S100에 있어 NO인 경우, 또는 스텝 S101에서 메모리 스위치데이터 설정후, 스텝 S102로 이행한다.
또 재봉기의 주전원(도시생략)의 온 조작시에, 다이렉트키(P1,P2,P3,P4)(74o)도 동시에 온조작한 경우, 즉 스텝 S102에 있어서 YES인 경우는 스텝 S103으로 이행하여 후술하는 다이렉트 패턴의 설정을 행한다.
또 스텝 S102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103에서 다이렉트 패턴데이터 설정후,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이어서 스텝 S104에 있어서, 패턴번호 키 (74i), X확대축소율 키(74j), Y확대축소율 키(74k), 스피드 키(74l), 윗실장력 키(74)의 조작을 감시하여 어떠한 키가 조작되었을 경우, 즉 YES인 경우, 스텝 S105로 이행하여 스텝 S104에서 온조작된 키에 따라 설정내용을 데이터 표시부(74d)에 표시하고, 대응하는 LED를 점등한다.
또 스텝 S104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105의 동작후 스텝 S1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전진키(74g), -/후퇴키(74h)가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여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107로 이행하여 데이터 표시부(74d)에 표시되는 각 설정내용의 갱신을 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107에서의 설정내용을 갱신한 후 스텝 S108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윗실집기 키(74n)가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여 온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109로 이행하여 윗실집기 LED(92)가 점등시는 소등으로, 소등시는 점등으로 갱신한다. 또한 점등시가 윗실집기 있음을 선택하고 있다. 또 윗실집기 키(74n)를 조작할 때 마다 온, 오프를 번갈아 변환설정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109의 설정내용을 갱신한 후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다이렉트 키(P1,P2,P3,P4)(74o)가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 하여 온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111로 이행하여, 온조작된 다이렉트 패턴을 선택으로 하고, 다이렉트 패턴에서의 패턴번호, X확대축소율, Y확대축소율, 속도, 윗실장력의 설정치로 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111에서의 패턴선택 후 스텝 S112로 이행한다.
스텝 S112에서는 준비 키(74e)의 조작을 감시한다. 그리고 조작되지 않은 경우, 즉 NO인 경우는 스텝 S104로 복귀한다. 또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113에 있어서 윗실집기모터(78a)(모터A)를 구동하여 윗실집기원점센서(80c)의 검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원점검색을 한다. 또한 여기서는 원점위치는 윗실집기 대기위치로 한다.
이어서 스텝 S114에 있어서 천가압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가압 원점센서(80d)의 검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원점검색을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원점위치는 천가압 하강위치로 한다.
이어서 스텝 S115에 있어서 X축모터(76a), Y축모터(77a)를 구동하여, X축원점센서(80a), Y축원점센서(80b)의 검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원점검색을 한 후 선택된 패턴데이터의 봉제시작위치까지 천이송대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116에서 천가압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가압부를 상승시킨다.
스텝 S117에 있어서 천가압 스위치(74b)의 조작을 감시하여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118에 있어서 천가압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가압부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스텝 S119에 있어서 다시 천가압 스위치(74b)의 조작을 감시하여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120에 있어서 천가압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 가압부를 상승시키고, 스텝 S117로 복귀한다. 또 스텝 S119에 있어서 천가압 스위치(74b)의 조작을 감시하여 조작되지 않은 경우 즉 NO인 경우는 스텝 S121로 이행한다.
스텝 S121에 있어서 스타트 스위치(74c)의 조작을 감시하여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122로 이행하여 봉제동작처리를 행한다. 또 스텝 S121에 있어서 스타트 스위치(74c)의 조작을 감시하여 조작되지 않은 경우, 즉 NO인 경우는 스텝 S119로 복귀한다.
스텝 S122에 있어서 후술하는 봉제동작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가 종료된 후는 스텝 S123으로 이행하여 X축 모터(76a), Y축 모터(77a)를 구동하고, 봉제종료된 위치부터 봉제시작위치까지 이동시켜 윗실집기모터(78a)를 원점위치(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스텝 S124에 있어서 천가압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가압부를 상승시키고 스텝 S117로 복귀하여 봉제동작이 반복된다.
또한 다음에 메로리 스위치의 설정내용 및 이 설정에 의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메모리 스위치에는 도16과 같이 미리 표준치가 설정되며 특히 설정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는, 표준치의 설정에 의해 재봉기가 구동된다. 예를들어 윗실고정장치(60)가 윗실을 잡을 때 까지의 봉제시작시의 윗실조절장치(45)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은, 윗실고정장치(60)가 윗실을 개방한 후의 봉제시의 장력(10)(메모리 스위치 No.14)보다도 높지만 200(메모시스위치 번호 6) 미리 설정되고, CPU(73)가 보제시작시에 이 설정치를 읽어 윗실조절장치(45)를 제어함으로써 윗실고정장치(60)가 윗실을 잡기 전후에 있어서 윗실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윗실협지동작의 실행 유무의 설정에 따라 윗실조절장치(45)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제어할 경우도, 협지동작의 유무의 설정에 따라 CPU(73)가 상기한 장력의 각 설정치 200(메모리 스위치 번호 6) 또는 10(메모리 스위치 번호 14)를 읽어들여 윗실조절장치(45)를 제어함으로써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있는 경우는 실행없는 경우의 장력(10)보다도 높은 장력(200)을 윗실에 부여할 수 있다.
또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의 유무의 설정에 따라 재봉기 모터(모터A)의 봉제시작시의 기동속도를 제어하는 경우도,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있는 경우는 1바느질자리 및 2바느질자리의 회전속도가 각각 1500rpm(메모리 스위치 번호 1)과 2700rpm(메모리 스위치 번호 2)로 설정되고, 이들은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없는 경우의 1바느질자리 및 2바느질자리의 회전속도를 400rpm(메모리 스위치 번호 9)와 900rpm(메모리 스위치 번호 10)보다도 높은 회전속도로 설정되며, CPU(73)가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의 유무에 따라 이들의 설정을 읽어들인 재봉기 모터(모터A)의 기동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있는 경우는 실행이 없는 경우보다도 높은 기동속도로 재봉기 모터를 기동할 수 있어 윗실협지동작에 적응한 기동속도로 재봉기를 기동할 수 있다.
또한 윗실협지장치(60)가 윗실을 협지한 경우의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 60(회전각도위치R) 및 윗실협지장치(60)가 윗실을 개방할 때 까지의 바늘수(2)가 각각 메모리스위치번호 7과 메모리스위치번호 8로 설정되고, CPU(73)가 이들의 설정치를 읽어들임으로써 윗실협지장치(60)의 윗실의 협지 및 개방의 타이밍이 결정된다.
다음에 스텝 S101에서의 메모리 스위치설정의 흐름에 대해 도15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300에 있어서 메모리스위치번호 =1이 최초로 선택되고, 메모리 스위치 번호 "1"이 조작패널(74a)의 데이터 표시부(74d)에 표시된다.
이어서 스텝 S301에 있어서 +/전진키(74g), -/후퇴키(74h)의 조작을 감시하여 온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 스텝 S302에 있어서 메모리스위치번호를 갱신하여, 갱신된 메모리스위치번호를 데이터표시부(74d)에 표시한다.
스텝 S302후 또는 스텝 S301에서 NO인 경우는 스텝 S3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03에서는 준비키(74e)의 조작을 감시하여 온 조작되지 않은 경우 즉 NO인 경우는 스텝 S301로 되돌아 가고, 온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304로 이행하여 메모리스위치번호에 대응한 현재의 메모리스위치로 설정된 메모리스위치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74d)에 표시되고, 그 후 스텝 S305로 이행한다.
이어서 스텝 S305에 있어서 +/전진키(74g), -/후퇴키(74h)의 조작을 감시하여 온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 스텝 S306에 있어서 데이터표시부(74d)에 표시되고 있는 메모리스위치데이터설정을 갱신하여, 갱신된 메모리스위치데이터를 데이터표시부(74d)에 표시한다. 스텝 S306후 또는 스텝 S305에서 NO인 경우는 스텝 S307로 이행한다.
스텝 S307에서는 준비키(74e)의 조작을 감시하여 온 조작되지 않은 경우 즉 NO인 경우는 스텝 S305로 되돌아 가고, 온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308로 이행하여, 설정된 메모리스위치데이터가 EEPROM(72)에 기억되며 그 후 스텝 S301로 이행한다.
또한 메모리스위치의 내용으로서는 예를들어 재봉기속도, 윗실장력, 윗실집기위치 등이 있으며 그 내용을 도16에 도시한다.
다음에 스텝 S103에서 다이렉트 패턴설정의 흐름에 대해 도17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00에 있어서 전원이 온 시에 눌려진 다이렉트키(P1,P2,P3,P4)(74o)에 대응한 다이렉트 패턴이 설정대상이 된다.
이어서 스텝 S401에 있어서 패턴번호 키(74i), X확대축소율 키(74j), Y확대축소율 키(74l), 윗실장력 키(74m)의 조작을 감시하여 어떠한 키가 온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 스텝 S402로 이행하여 스텝 S401에서 온조작된 키에 따라 설정내용을 데이터 표시부(74d)에 표시하고, 대응하는 LED를 점등한다
또 스텝 S401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402에서의 동작후, 스텝 S4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전진 키(74g), -/후퇴 키(74h)가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여 온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404로 이행하여 데이터 표시부(74d)에 표시되는 각 설정내용의 갱신을 행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404에서의 설정내용의 갱신 후, 스텝 S405로 이행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윗실집기 키(74n)가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여 온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406으로 이행하여 윗실집기 LED(92)가 점등시는 소등으로, 소등시는 점등으로 갱신한다. 또한 점등시가 윗실집기가 있음을 선택하고 있다.
스텝 S405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406의 설정후, 스텝 S407로 이행한다.
스텝 S407에서는 준비 키(74e)의 조작을 감시하여 온 조작되지 않은 경우, 즉 NO인 경우는 스텝 S401로 되돌아 가고, 온 조작된 경우 즉 YES인 경우는 스텝 S408로 이행하여 설정된 다이렉트 패턴데이터가 EEPROM(72)에 기억되어 그 후 스텝 S104로 되돌아 간다.
다음에 스텝 S122에서의 봉제동작의 봉제처리 흐름에 대해 도18, 도19, 도20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플로우챠트에 기술하고 있는 윗실집기의 유무, 설정윗실장력, 설정스피드는 조작패널(74a)에서 입력, 설정된 값, 혹은 다이렉트 패턴으로서 기억, 설정된 값이다. 또 메모리 스위치의 설정내용예는 도16에 도시한다.
스텝 S200에 있어서 윗실집기 키(74m) 또는 다이렉트 패턴키(74o)(P1,P2,P3,P4)에서 설정되는 윗실집기의 실행 유무의 설정을 확인하여 윗실집기가 있는(YES) 경우, 스텝 S201로 이행하여 메모리 스위치 빈호 6에서 설정된 윗실집기가 있을 때의 봉제시작점의 윗실장력을 출력하고, 다음에 스텝 S202에 있어서 메모리 스위치 번호 1의 윗실집기가 있을 때의 봉제시작시의 1바느질자리의 재봉기 속도를 재봉기 속도지령(주축모터 구동회로(75d))에 출력하며, 재봉기 회전지령을 온으로 하여 재봉기를 기동한다.
한편 윗실집기가 없는(NO) 경우, 스텝 S203으로 이행하여 메모리 스위치 번호 14에서 설정된 윗실집기가 없을 때의 봉제시작점의 윗실장력을 출력하고, 이어서 스텝 S204에 있어서 메모리 스위치 번호 9의 윗실집기가 없을 때의 봉제시작 1바느질 자리의 재봉기 속도를 재봉기 속도지령(주축모터 구동회로(75d))에 출력하며, 재봉기 회전지령을 온으로 하여 재봉기를 기동한다.
재봉기가 기동되면 스텝 S205에 있어서 바늘위 위치신호가 오프할 때 까지 대기하고, 바늘위 위치신호가 오프시 즉 바늘이 상승위치로부터 하강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스텝 S206에 있어서 바늘수 N을 0으로, 회전각도위치R은 65°에서의 회전각도위치R인 75를 설정한다.
스텝 S207에 있어서, 재봉기 기준신호를 감시하여 오프에서 온으로 된 경우, 스텝 S208로 이행하고, 바늘수N을 +갱신하며, 회전각도위치R을 0으로 클리어한다. 스텝 S207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208에서의 설정내용의 갱신후 스텝 S209로 이행한다.
스텝 S209에 있어서 재봉기의 회전각도신호를 감시하여 오프에서 온이 된 경우, 스텝 S210으로 이행하여 회전각도위치R를 +1갱신한다. 스텝 S209에 있어서 NO인 경우, 또는 스텝 S210에서의 설정내용의 갱신후, 스텝 S211로 이행한다. 또한 회전각도위치R은 주축의 1회전을 0에서 90의 등간격으로 분해한 회전위치이다.
스텝 S211에 있어서, 윗실집기가 있고 또한 바늘수 1 또한 회전각도위치R이 메모리 스위치 번호 7의 윗실집기회전각도위치일 때 스텝 S212로 이행하여 윗실집기를 원점위치에서 협지위치로 이동시켜 윗실을 집는다.
그리고 스텝 S213에 있어서 윗실집기가 있고 또한 바늘 수 N= 메모리 스위치 번호 8의 윗실집기 개방바늘수N, 또한 회전각도위치R가 미리 ROM에 기억된 소정의 윗실개방위치(예를들어 R=77)일 때 스텝 S214로 이행하여 윗실집기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고 윗실의 개방을 행한다.
이어서 스텝 S215에 있어서 회전각도위치R가 미리 ROM에 기억된 소정의 재봉기 속도변환위치(예를들어 R=83)일 때 스텝 S223으로 이행한다.
스텝 S223에 있어서 패턴데이터에서 XY데이터가 종료(YES)일 때, 스텝 S224로 이행하여 재봉기 회전지령에 오프를 출력하고, 스텝 S225에 있어서 재봉기 바늘이 바늘위 위치에서 정지할 때 까지 대기하여 봉제처리를 마친다.
한편 스텝 S223에 있어서 패턴데이터에서 XY데이터가 종료가 아닐 때(NO) 스텝 S226으로 이행하여 봉제시작시부터 바늘수N가 1~5일 때(YES)는 다시 스텝 S227로 이행한다.
스텝 S227에 있어서 윗실집기동작의 유무를 확인하여 윗실집기동작이 있을(YES) 때, 스텝 S228로 이행하고, 메모리 스위치 번호 1~5의 윗실집기가 있을 때의 봉제시작시 1~5바느질 자리의 재봉기 속도를 재봉기 속도지령(주축모터 구동회로(75d))에 출력한다. 또 윗실집기동작이 없을(NO) 때, 스텝 S229로 이행하여 메모리 스위치 번호 9~13의 윗실집기가 없을 때의 봉제시작시 1~5바느질 자리의 재봉기 속도를 재봉기 속도지령(주축모터 구동회로(75d))으로 출력한다.
스텝 S226에 있어서 바늘수N가 1~5이외일 때(NO) 즉 봉제가 개시되고 나서 5바늘의 바느질 자리가 형성된 후는, 스텝 S230에 있어서 스피드키(74l) 또는 다이 렉트 패턴 키(74o)(P1,P2,P3,P4)로 설정되는 설정스피드를 재봉기 속도지령(주축모터 구동회로(75d))에 출력한다.
그리고 스텝 S288, S229, S230의 처리후, 스텝 S216으로 이행한다.
스텝 S216에 있어서, 회전각도위치R가 미리 ROM에 기억된 소정의 윗실장력변환위치(예를들어 R=77)일 때(YES)는 스텝 S217로 이행하여, 스텝 S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윗실집기동작의 유무를 확인한다. 윗실집기동작이 있을 경우(YES), 스텝 S218로 이행하여 바늘수N가 1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219에 있어서 설정윗실장력을 출력한다. 한편 윗실집기동작이 없는 경우(NO), 스텝 S220으로 이행하여 바늘수N가 0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219로 이행한다.
스텝 S219의 처리후, 또는 스텝 S216에 있어서 회전각도위치R가 소정위치가 아닌 경우(NO) 또는 스텝 S218, S220에 있어서 소정의 바늘수N가 아닌 경우는, 스텝 S221로 이행한다.
스텝 S221에 있어서 회전각도위치R가 미리 ROM에 기억된 소정의 XY이송개시위치(예를들면 R=36)일 때, 스텝 S22로 이행하여 N바느질자리의 패턴데이터의 X/Y이동량으로 설정된 X/Y확대축소율을 곱한 값에서 X축모터(76a), Y축모터(77a)를 구동한다. 그리고 스텝 S207로 되돌아 온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100)에 있어서 윗실집기장치(60)가 윗실을 집는 협지동작, 윗실조절장치(45)에서의 윗실장력, 재봉기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옷감 배면의 봉제시작시의 실잔류길이를 안정시킬 수 있고, 옷감 배면의 실의 얽힘, 윗실고정장치(60)로의 실의 얽힘을 경감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된 봉제시작동 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윗실고정장치(60)는 모터A에 의한 구동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상기한 일본국 특허 2671478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 공개 200-325683호 공보 기재의 에어실린더나 마그네트 등을 사용하는 윗실고정장치라도 된다.
또 윗실장력의 제어는 실조절을 별도로 마련하여 윗실집기 동작시에만 작용하는 2단계의 실장력 변환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윗실집기동작이 없을 때는 통상의 재봉기 동작으로 하고, 윗실집기가 있을 때는 별도로 배치된 윗실조절이 구동하도록 하여 윗실장력을 높게 하도록 하면 된다.
또 윗실집기의 동작 유무의 선택은 패턴데이터에 직접 기억되어도 된다.
또 바늘 위치의 검출은 90분할의 회전각도신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예를들면 각 제어타이밍마다 온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위치를 조정하는 방식이라도 된다.
또 각 액튜에이터는 특별히 일탈하는 것이 아니라면 임의이며, 그 외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모리 스위치의 각 설정내용은 변경가능하도록 구성했지만 이들은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적으로 설정하고, 동일한 제어를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장력제어수단에 의해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 봉제시작시의 장력은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푼 후의 봉제시의 장력보다 높아지도록 윗실조절 장력부여장치가 제어되므로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 필요이상의 윗실을 풀어내지 않도록 하여 이른바 새집을 적게 만들수 있고, 윗실고정장치로의 실 얽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봉제시작 동작을 행할 수 있으며, 봉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재봉기 모터 제어수단이 윗실고정장치에 의한 윗실의 협지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재봉기 모터의 봉제시작시의 기동속도를 윗실협지동작이 설정된 경우보다도 낮은 속도로 제어하여 바늘의 눈 구멍으로부터 윗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윗실고정장치에 의한 윗실의 협지가 행해져, 바늘의 눈 구멍으로부터의 윗실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경우는 재봉기 모터의 봉제시작시의 속도를 필요이상으로 제한하지 않고 봉제를 개시할 수 있도록 재봉기 모터의 봉제시작시의 기동속도를 제어하므로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협지동작 설정수단의 설정에 따라 봉제시작시 재봉기 모터의 기동속도의 제어가 자동적으로 행해져 재봉기의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장력설정수단에 의해 윗실고정장치가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의 봉제시작시의 장력의 설정을 행할 수 있어 봉제를 행하는 옷감소재나 윗실의 종류 등에 의해 달라지는, 옷감과 윗실의 마찰이나 윗실의 신장률에 따라 적절한 장력으로 설정, 조정하여 재봉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특히 협지동작 설정수단에 의해 윗실고정장치의 윗실협지동작을 실행하는 지 여부의 설정이 행해지므로 봉제조건 등에 의해 윗실고정장치의 동작 유무를 변환할 수 있고, 그 윗실협지동작의 유무에 대응시켜 설정된 윗실의 장력을 기초로 재봉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봉기의 기동시, 봉제개시시에 있어 바늘에서 윗실이 빠지지 않도록 봉제시작에서의 윗실의 장력이 제어됨으로써 조작성, 편리성,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기동속도 설정수단에 의해 봉제를 행하는 옷감 소재나 윗실의 굵기나 종류에 따라 윗실협지장치가 윗실의 협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재봉기 모터의 봉제시작시의 기동속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윗실협지장치가 윗실의 협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봉제시작시의 재봉기의 기동속도를 필요이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 재봉기 모터를 기동할 수 있어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윗실고정동작 제어수단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패턴을 기초로 봉제를 행할 때 그 봉제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된 윗실고정 장치의 작동 제어를 행하고, 윗실고정장치의 작동 유무를 변환함으로써 안정된 봉제시작동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 편리성,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바늘과,
    주축을 통해 상기 바늘을 상하로 구동하는 재봉기 모터와,
    봉제시작점에 있어서 바늘에 삽통되고 있는 윗실의 단부를 바늘판의 아래쪽에서 협지함과 동시에 협지한 윗실 단부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이동시키고, 소정 바늘 수의 바늘낙하 후 협지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윗실고정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에 있어서,
    윗실에 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장력을 변경할 수 있는 윗실조절장치와,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에 의한 윗실협지동작을 실행할 때에,
    상기 윗실고정장치가 상기 윗실을 협지할 때까지의 봉제시작시의 장력이 상기 윗실고정장치가 상기 윗실을 개방한 후의 봉제시의 장력보다 높아지도록 미리 설정된 장력제어수단과,
    봉제시작시의 재봉기 모터 기동속도를,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보다도 높은 속도로 하도록 미리 설정되는 재봉기 모터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고정장치가 상기 윗실을 협지할 때 까지의 봉제시작시의 장력을 설정하는 장력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장력제어수단은 상기 장력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장력을 기초로 상기 윗실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에 의한 윗실협지동작을 실행하는 지의 설정을 행하는 협지동작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협지동작 설정수단에 의해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된 경우, 봉제시작에 있어 상기 윗실의 장력이 봉제시의 장력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장력제어수단은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된 경우, 상기 봉제시보다 높은 장력이 되도록 윗실조절장치를 제어함과 동시에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봉제시작시의 상기 윗실의 장력이 봉제시의 장력이 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협지동작의 실행이 설정된 경우의 봉제시작시의 재봉기 모터 기동속도를 설정하는 기동속도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봉제패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여러개의 봉제패턴의 각각에 대해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에 의한 윗실협지동작의 실행 유무를 설정하는 협지동작 설정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여러개의 봉제패턴으로부터 원하는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봉제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협지동작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윗실고정장치의 작동의 제어를 행하는 윗실고정 동작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KR1020030030480A 2002-05-14 2003-05-14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KR101032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8370 2002-05-14
JP2002138370A JP4047624B2 (ja) 2002-05-14 2002-05-14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381A KR20030088381A (ko) 2003-11-19
KR101032508B1 true KR101032508B1 (ko) 2011-05-04

Family

ID=2954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480A KR101032508B1 (ko) 2002-05-14 2003-05-14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047624B2 (ko)
KR (1) KR101032508B1 (ko)
CN (4) CN101372790B (ko)
CZ (1) CZ306901B6 (ko)
DE (1) DE10321537B4 (ko)
TW (1) TWI268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0864B2 (ja) * 2002-12-10 2008-01-09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JP5073272B2 (ja) * 2006-11-17 2012-11-14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09213529A (ja) * 2008-03-07 2009-09-2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上糸保持機構
JP2011212137A (ja) * 2010-03-31 2011-10-27 Brother Industries Ltd ミシン
CH704524A1 (de) * 2011-02-28 2012-08-31 Bernina Int Ag Verfahren zum Schneiden des Unter- und mindestens eines Oberfadens und ein Verfahren zum Ansticken sowie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r Verfahren.
CN103842275B (zh) * 2011-10-04 2016-06-01 Juki株式会社 布带送出装置、以及布带缝制装置
JP5610405B2 (ja) * 2012-04-03 2014-10-22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生地の縫製方法及び二重環縫いミシン
CN105908401A (zh) * 2016-06-24 2016-08-31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压力感应式断线检测机构及缝纫机
JP7092458B2 (ja) * 2016-10-31 2022-06-2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テッチ付き表皮材の製造方法
DE102017201240A1 (de) * 2017-01-26 2018-07-26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einer in Nähgut auszubildenden Naht mit einem definierten Soll-Nahtüberstand sowie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TWI625440B (zh) * 2017-01-26 2018-06-01 Zeng Hsing Industrial Co Ltd Sewing machine with free seam function
JP2019005502A (ja) * 2017-06-28 2019-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10067087B (zh) * 2019-01-14 2021-09-21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信号转接器、缝纫机、送料控制方法及存储介质
JP7316070B2 (ja) * 2019-03-15 2023-07-27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050A (en) 1985-11-20 1988-01-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2671478B2 (ja) * 1989-02-10 1997-10-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JPH09299668A (ja) * 1996-05-10 1997-11-25 Juki Corp ミシン
JPH11333172A (ja) * 1998-05-22 1999-12-07 Juki Corp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6871A (en) * 1969-04-23 1973-02-14 Conti Nipoti Giovanni Sewing machines
JP2880406B2 (ja) * 1994-06-29 1999-04-1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端保持装置
US6012405A (en) * 1998-05-08 2000-01-11 Mce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djustment of thread tension
JP4036964B2 (ja) 1998-05-22 2008-01-2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4046431B2 (ja) 1999-01-18 2008-02-1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0325683A (ja) 1999-05-19 2000-11-28 Juki Corp ミシンの鳥の巣防止装置
CN1101491C (zh) * 1999-06-28 2003-02-12 重机株式会社 缝纫机的线张力控制装置
DE10316937A1 (de) * 2003-04-12 2004-10-21 Zogel, Philipp, Dipl.-Ing. Gerät zur Teeberei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050A (en) 1985-11-20 1988-01-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2671478B2 (ja) * 1989-02-10 1997-10-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JPH09299668A (ja) * 1996-05-10 1997-11-25 Juki Corp ミシン
JPH11333172A (ja) * 1998-05-22 1999-12-07 Juki Corp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21537A1 (de) 2003-12-18
CN101372792B (zh) 2012-06-13
CN1458324A (zh) 2003-11-26
CZ20031258A3 (cs) 2004-08-18
CN101372790B (zh) 2012-02-08
DE10321537B4 (de) 2018-07-26
TW200307073A (en) 2003-12-01
CN101372790A (zh) 2009-02-25
CN101372791B (zh) 2012-02-08
CZ306901B6 (cs) 2017-09-06
TWI268969B (en) 2006-12-21
CN100476054C (zh) 2009-04-08
JP2003326062A (ja) 2003-11-18
JP4047624B2 (ja) 2008-02-13
CN101372791A (zh) 2009-02-25
KR20030088381A (ko) 2003-11-19
CN101372792A (zh)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508B1 (ko)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EP1612315B1 (en) Sewing machine with automatic needle threader
US20070079741A1 (en) Embroidery frame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provided therewith
JP6031380B2 (ja) 二本針ミシン
JP2009219780A (ja) 二本針ミシン
JPS5931355B2 (ja) 縫い判別と指令機能を有するミシンの検知装置
JP6045392B2 (ja) ミシン
JP4526956B2 (ja) ミシン
KR100997008B1 (ko)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
JPH11333182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4235435B2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EP1905879A2 (en) Sewing machine and controller therefor
US11625867B2 (en) Sewing apparatus
EP1757723A1 (en) Sewing machine
JP3751053B2 (ja) 刺繍縫いミシン
KR100944296B1 (ko) 재봉틀
US11255033B2 (en) Presser foot vertical drive device and sew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2001286689A (ja) 穴かがりミシン
JP2006141869A (ja) ミシン
JP2010115345A (ja) ミシン
JP4139968B2 (ja) 布保持装置
JP2009165737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及びミシン
JP2006314512A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JP2003154179A (ja) サイクル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