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365B1 -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 Google Patents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365B1
KR100982365B1 KR1020030075762A KR20030075762A KR100982365B1 KR 100982365 B1 KR100982365 B1 KR 100982365B1 KR 1020030075762 A KR1020030075762 A KR 1020030075762A KR 20030075762 A KR20030075762 A KR 20030075762A KR 100982365 B1 KR100982365 B1 KR 100982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inflow
stopper
integrated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768A (ko
Inventor
니시다미쓰오
고바야시도시히코
미조로쓰구오
구로이와도요시게
후쿠다고사쿠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6Auxiliary devices for contacting each article with a front stop as it is pil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3Press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P)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할 수 있는 집적장치(17)를 제공한다.
선단 규제벽(79)과 후단 규제벽(80)과의 사이의 진출위치에 스토퍼(111a)가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P)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엽류(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한다. 스토퍼(111a)는, 스토퍼(111a)를 진출위치와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시키는 진퇴기구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한다. 진출위치에 진출한 스토퍼(111a)는, 집적된 지엽류(P)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엽류(P)의 윗면에 접촉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엽류(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스토퍼(111a)에 의해서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여,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P)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집적한다.

Description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ACCUMULATING DEVICE AND CIRCULATING TYPE BANK 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집적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집적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집적장치의 단폭용 스토퍼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집적장치의 중간폭용 스토퍼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상기 집적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
도 6은 상기 집적장치를 사용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의 개략측면도.
도 7은 상기 집적장치의 단폭용 스토퍼에 의해 단폭지폐를 걸어멈춤하는 제 1 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상기 집적장치의 단폭용 스토퍼에 의해 단폭지폐를 걸어멈춤하는 제 2 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상기 집적장치의 단폭용 스토퍼에 의해 단폭지폐를 걸어멈춤하는 제 3 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상기 집적장치의 중간폭용 스토퍼에 의해 중간폭지폐를 걸어멈춤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상기 집적장치로 장폭지폐를 걸어멈춤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26 : 일시보류부
27 : 문 29 : 반송로로서의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
39 : 유입방향길이 관련정보 검지부로서의 지폐식별부
71 : 집적장치 72 : 지엽류 집적부로서의 지폐집적부
74 : 집적공간부 76 : 유입수단으로서의 유입유출수단
77 : 집적대 79 : 선단 규제벽
80 : 후단 규제벽 97 : 가이드부재
111a : 스토퍼로서의 단폭용 스토퍼
111b : 스토퍼로서의 중간폭용 스토퍼
129a, 129b : 스토퍼 지지수단 151 : 제어부
M1 : 집적대 구동부로서의 모터 M3, M4 : 스토퍼 구동부로서의 모터
P : 지엽류로서의 지폐 S1 : 지폐도래 검지부로서의 센서
본 발명은, 치수차가 있는 지폐 등의 지엽류(紙葉類)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 및 이 집적장치를 사용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지폐입금기, 지폐입출금기,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지폐환전기, 전표처리기 및 카드처리기 등에는, 치수차가 있는 지폐, 전표 및 카드 등의 지엽류 (이하, 지폐, 전표 및 카드 등을 지엽류라고 부른다)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집적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에서는, 반송로로부터 1장씩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가동선단 걸어멈춤부재에서 걸어멈춤하는 동시에, 이 지엽류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일정위치의 후단 규제벽에서 규제하여, 이 지엽류를 집적대상에 상하방향에 집적한다. 집적대는 지엽류의 집적량의 증가에 따라서 하강한다. 가동선단 걸어멈춤부재는, 집적대의 위쪽영역을 지엽류의 유입방향에 대응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에 대응하여 후단 규제벽과의 간격을 조정하여, 유입방향의 길이가 다른 지엽류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집적시키고 있다. 지엽류로서는 중간부위가 강한 골판지시트를 처리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집적대상에 소정매수의 지엽류가 집적되면, 이 지엽류군을 다음 공정에 일괄해서 보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엽류로서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고 입금지폐를 출금지폐에 순환사용하는 순환식 지폐입출금기가 있는(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성 4-350060호 공보(제 5 페이지 내지 제 6 페이지, 도 7)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소화 61-141091호 공보(제 1 페이지, 도 2)
그러나, 종래의 집적장치에서는, 지엽류로서 중간부위가 강한 골판지시트를 처리대상으로 하고 있고, 가령 중간부위가 약한 지엽류, 예를 들면 지폐, 전표, 얇은 형태의 변형하기 쉬운 카드 등의 지엽류를 취급한다고 하는 경우,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가 유입도중에서 아래로 늘어지고, 가동선단 걸어멈춤부재와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과의 사이에 진입하여 정지하고, 그 지엽류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가 후단 규제벽에서 멀어진 위치에 집적되어, 집적어긋남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집적장치로는, 집적대상에 소정매수의 지엽류가 집적된 경우,
이 지엽류군을 다음 공정에 일괄해서 보내도록 하고 있고, 지엽류의 1장씩의 차례로 넣기와 1장씩의 차례로 보내기의 양쪽을 가능하게 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지폐의 경우, 지폐의 1장씩 차례로 넣기와 1장씩의 차례로 보내기의 양쪽이 가능하고, 지폐를 차례로 넣는 유입구를 통하여 지폐를 차례로 보낼 수 있는 집적장치를 원하고, 특히 치수 차가 있는 지폐의 차례로 넣기와 차례로 보내기의 양쪽이 가능한 집적장치를 원하고 있지만, 종래의 집적장치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갖지 않고, 이러한 요망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비추어 봐 이루어진 것으로,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할 수 있는 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또한, 치수차를 갖는 다른 지폐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할 수 있는 동시에 1장씩 확실히 차례로 보낼 수가 있는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 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집적장치는,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로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에 설치되어,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에 관련되는 정보를 검지하는 유입방향길이 관련정보검지부와, 상기 지엽류를 집적하는 집적공간부, 이 집적공간부에 상기 반송로로부터의 지엽류를 1장씩 차례로 넣는 유입수단, 집적공간부에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를 상하방향에 집적하는 집적대, 이 집적대를 지엽류 유입시에 하강구동하는 집적대 구동부,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선단 규제벽,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후단 규제벽, 이들 선단 규제벽과 후단 규제벽과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진출위치와 이 진출위치로부터 퇴피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 이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여 진출위치에 진출하는 스토퍼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전환가능하게 하는 스토퍼지지수단, 스토퍼를 진출위치와 퇴피위치의 사이에서 진 퇴구동하는 스토퍼 구동부를 갖는 지엽류 집적부와, 상기 지엽류 유입시에, 상기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위치가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적대 구동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유입방향길이 관련정보 검지부에 의한 지엽류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토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선단 규제벽과 후단 규제벽과의 사이의 진출위치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였기 때문에, 진출위치에 진출한 스토퍼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스토퍼에 의해서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확실하게 걸어멈춤하여,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집적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있어서, 지엽류가 지폐인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으로서는, 지엽류가 중간부위가 약한 지폐이더라도 확실하게 집적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집적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있어서, 유입수단에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으로 가이드하는 요동 가능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이 가이드부재로 가이드되어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을 이동하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스토퍼 및 선단 규제벽 중 어느 한쪽에서 걸어멈춤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으로 가이드하여,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을 이동하는 지엽류의 중간부위를 보강하기 위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가 중간부위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스토퍼 및 선단 규제벽 중 어느 한쪽에서 확실하게 걸어멈춤하여 집적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적장치는, 치수차를 갖는 지폐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로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에 설치되어, 지폐의 화폐종류를 식별하는 지폐식별부와, 상기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공간부, 이 집적공간부에 상기 반송로로부터의 지폐를 1장씩 차례로 넣는 동시에 필요시에 지폐를 1장씩 차례로 보내는 유입유출수단, 집적공간부에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를 상하방향에 집적하는 집적대, 이 집적대를 승강구동하는 집적대 구동부,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선단 규제벽,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후단 규제벽, 이들 선단 규제벽과 후단 규제벽과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진출위치와 이 진출위치로부터 퇴피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 이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여 진출위치에 진출하는 스토퍼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폐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 지지수단, 스토퍼를 진출위치와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구동하는 스토퍼 구동부를 갖는 지폐집적부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식별부에서 식별된 지폐가 지폐집적부의 근방에 도래한 것을 검지하는 지폐도래검지부와, 상기 지폐유입시에 상기 집적된 지폐의 윗면 위치가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적대 구동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식별부에 의한 지폐의 식별 및 지폐도래검지부에 의한 지폐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토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선단 규제벽과 후단 규제벽과의 사이의 진출위치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였기 때문에, 진출위치에 진출한 스토퍼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폐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 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스토퍼에 의해서 치수차를 갖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확실히 걸어멈춤하여, 치수차를 갖는 지폐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치수차를 갖는 다른 지폐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집적된 지폐를 1장씩 확실히 차례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집적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동일위치로 하는 동시에 집적공간부외의 선단 규제벽의 근방위치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스토퍼의 퇴피위치를,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동일위치로 하는 동시에 집적공간부외의 선단 규제벽의 근방위치로 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또한 염가인 구조가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집적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다른 2위치로 하는 동시에 유출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가 유입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보다 크게 퇴피하고 또한 집적공간부외의 위치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스토퍼의 퇴피위치를,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다른 2위치로 하는 동시에 유출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가 유입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보다 크게 퇴피하고 또한 집적공간부외의 위치로 하기 위해서, 지폐유입시에는 스토퍼의 진출 및 퇴피의 이동이 신속하게 되는 동시에, 지폐유출시에는 유출동작에 스 토퍼가 지장이 되지 않는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집적장치는,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있어서, 선단 규제벽은, 집적대상의 지폐를 일괄추출 가능하게 하는 개방가능한 문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선단 규제벽의 문을 개방함으로써 집적대상에 집적된 지폐를 일괄해서 신속히 집어낼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는,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고 입금지폐를 출금지폐에 순환사용하는 순환식 지폐입출금기로서, 입금지폐를 일괄해서 일시보류하는 일시보류부에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적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입금지폐를 일괄해서 일시보류하는 일시보류부에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적장치를 구비하기 위해서, 치수차가 있는 지폐의 차례로 넣기에 의한 일괄일시보류 및 치수차가 있는 일시보류지폐가 차례로 보내기가 확실하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에 있어서, 집적장치의 선단 규제벽에 개방가능한 문을 구비하여, 입금승인시에는 일시보류지폐를 유입유출수단에 의해서 차례로 보내어 수납하는 동시에, 입금비승인시에는 문의 개방에 의해서 일시보류지폐를 일괄추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입금승인시에는 집적장치에 집적된 일시보류지폐를 유입유출수단에 의해서 1장씩 차례로 보내어 수납하고, 입금비승인시에는 집적장치의 선단 규제벽의 문을 개방함으로써 일시보류지폐의 반환을 일괄반환의 형태로 신속히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지엽류로서의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고 입금지폐를 출금지폐로 순환사용하는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를 나타낸다. 이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11)의 기체(12)는 이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를 조작하는 조작면측을 앞면(12a)으로 하여, 조작면측과 반대측, 즉 앞면(12a)과 반대측을 뒷면(12b)으로 한 경우, 좌우방향의 옆폭이 좁고, 전후방향의 깊이가 깊은 동시에 상하방향의 높이가 높은 종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12)에는, 상부유니트(13) 및 하부유니트(14)가 기체(12)의 앞면(12a)측에서 각각 끌어 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부유니트(13)의 윗면앞쪽 영역에는, 앞쪽에서 차례로, 지폐를 출금하는 지폐출금구부(21), 및 지폐를 입금하는 지폐입금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폐출금구부(21) 및 지폐입금구부(22)에는, 지폐가 입위자세로 또한 직사각형의 지폐의 짧은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받아 들여 수납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지폐출금구부(21)에는 출금중에 지폐출금구부(21)을 닫는 동시에 출금종료시에 여는 투명셔터(23)가 개폐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지폐출금구부(21)내에 지폐를 1장씩 차례로 넣는 유입수단(24)이 배치되어 있다. 지폐입금구부(22)에는 지폐입금구부(22)에 투입된 지폐를 기체(12) 내에 1장씩 차례로 보내는 유출수단(25)이 배 치되어 있다.
상부유니트(13)의 앞쪽영역에는, 정규로 식별된 입금지폐, 즉 입금정규지폐를 수수하여 화폐종류 혼합상태로 일괄해서 일시보류하는 일시보류부(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일시보류부(26)의 앞면에는 폐쇄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전자 로크에 의해서 로크되는 투명한 덮개(27)가 개폐가능하게 배치되어, 일시보류지폐의 반환시에 전자 로크가 해제되고, 덮개(27)에 설치되는 손잡이(28)를 가지며 기체(12)의 앞면(12a)에 개구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앞면개구부에서 전방으로 여는 것에 의해, 일시보류부(26)내의 입금비승인시의 일시보류지폐를 일괄추출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부유니트(13)내에는 지폐출금구부(21), 지폐입금구부(22) 및 일시보류부 (26)에 접속되어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로서의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29)가 배설되어 있다. 이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29)는 지폐출금구부(21)에 지폐를 반송하는 출금반송로부(30), 지폐입금구부(22)로부터 차례로 보내지는 지폐를 반송하는 입금반송로부(31), 출금반송로부(30)의 중간에 접속되어 일시보류부(26)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보류반송로부(32), 후방에서 전방으로 되돌리는 약 U자형으로 위쪽의 일끝단이 입금반송로부(31)에 접속된 식별반송로부(33), 식별반송로부 (33)의 위쪽의 일끝단과 아래쪽의 다른 끝단을 접속하는 바이패스반송로부(34), 출금반송로부(30)와 식별반송로부(33)의 위쪽의 일끝단{바이패스반송로부(34)의 상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보류출금반송로부(35), 보류출금반송로부(35)에 접속되어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리젝트지폐반송로부(36), 식별반송로부(33)의 아래쪽의 다른 끝단{바이패스반송로부(34)의 하단}에 접속되어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전단이 리젝트지폐반송로부(36)에 접속된 수납출금반송로부(37)를 갖고 있다. 적어도 출금반송로부(30), 보류반송로부(32), 식별반송로부(33), 보류출금반송로부 (35) 및 수납출금반송로부(37)는 지폐의 반송방향을 정역(正逆)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각 반송로부(30∼37)사이의 접속부분에는 지폐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재(3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식별반송로부(33)에는 반송하는 지폐의 정위(正僞)나 화폐종류를 식별하는 유입방향길이 관련정보검지부로서의 지폐식별부(39)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하부유니트(14)에는 기체(12)의 앞쪽영역에, 상품권 등을 수납하는 착탈 박스(41)가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리젝트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 박스(42)가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젝트 박스(42)의 뒤쪽 영역에는, 화폐종류별로 지폐를 수납하는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이들 각 화폐별 지폐수납부(43)의 상부에 지폐의 수수 및 1장씩 차례로 보내기를 하는 수수유출수단(44)이 배치되고, 화폐종류별지폐수납부 (43)의 위쪽영역에 각 수수유출수단(44)에 접속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하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45)가 배치되어 있다. 또, 하부유니트(14)의 최후부에는 필요에 따라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를 증설할 수 있게 증설 스페이스(46)가 형성되어 있다.
리젝트 박스(42)에는, 이 리젝트 박스(42)의 상부로부터 지폐를 1장씩 차례로 넣는 유입수단(47)이 배치되어 있다.
각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에는 집적대(48)가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이 집적대(48)상에 지폐의 지면을 상하방향을 향하여 집적한다.
하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45)는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의 위쪽영역을 따라 전후방향에 배치된 주반송로부(49), 이 주반송로부(49)에서 각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에 차례로 넣는 지폐를 반송하는 유입반송로부(50), 각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로부터 차례로 보내는 지폐를 주반송로부(49)에 반송하는 유출반송로부 (51)를 구비하여, 각 반송로부(49∼51)의 접속부분에는 지폐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전환부재(5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하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45)의 주반송로부 (49)는 지폐의 반송방향을 정역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폐종류별지폐수납부(43)에의 지폐유입시에는 집적대(48)상에 지폐를 집적수납하고, 이 지폐의 수수(收受) 수납마다에 지폐의 윗면높이가 높아지면 집적대(48)를 차례로 하강시켜 지폐를 받아 들여 집적수납하는 윗면높이를 일정한 범위내에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로부터의 지폐유출시에는, 집적대(48)를 상승시켜, 수수유출수단(44)에 의해서 집적대(48)상의 지폐를 1장씩 차례로 보낸다.
또한, 기체(12)에는 상부유니트(13)와 하부유니트(14)와의 사이에 있어서, 기체(12)에 수납한 하부유니트(14)의 표면을 폐색상태로 덮는 판형상의 피복부재 (61)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피복부재(61)에는 앞단측에 제 1 개구부(62) 및 제 2 개구부(63)가 각각 형성되고, 제 1 개구부(62)에는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29)의 수납출금반송로부(37)의 전단측과 하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45)의 전단측을 접속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제 1 접속통로부(64)가 배치되고, 제 2 개구부(63)에는 상 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29)의 리젝트지폐반송로부(36)와 리젝트 박스(42)를 접속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제 2 접속통로부(6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접속통로부(64) 및 제 2 접속통로부(65)는, 기체(12) 측에 고정된 피복부재(61)의 제 1 개구부(62) 및 제 2 개구부(63)를 통하여, 기체(12)에 대하여 각각 끌어 낼 수 있게 한 상부유니트(13) 및 하부유니트(14)를 기체(12)에 수납한 상태로 접속되어 상부유니트(13)와 하부유니트(14)의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접속통로부(64) 및 제 2 접속통로부(65)는, 지폐의 반송방향을 정역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4에,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의 일시보류부(26)에 적용되어 치수차가 있는 지엽류로서의 지폐(P)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71)를 나타낸다. 이 집적장치(71)는 지엽류집적부로서의 지폐집적부(72)를 가지며, 이 지폐집적부(72)의 후부상단에 설치되는 유입구부로서의 유입유출구부(73)를 통하여, 보류반송로부(32)로부터 지폐집적부(72)에 지폐(P)를 1장씩 차례로 넣는 동시에, 지폐집적부(72)로부터 보류반송로부(32)에 지폐(P)를 1장씩 차례로 보낼 수 있다. 지폐집적부(72)에 대한 지폐(P)의 유입방향 및 유출방향은, 지폐(P)의 짧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지폐집적부(72)는 지폐(P)를 집적하는 집적공간부(74)를 가진 집적틀부(75), 집적공간부(74)에 보류반송로부(32)로부터의 지폐(P)를 1장씩 차례로 넣는 동시에 필요시에 지폐(P)를 1장씩 차례로 보내는 유입수단으로서의 유입유출수단(76), 집적공간부(74)에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를 상하방향에 집적하는 집적대(7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폐집적부(72)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부유니트(13)의 측틀 (78a,78b)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집적틀부(75)는 유입유출구부(73)를 통하여 보류반송로부(32)에 접속되는 상부측이 후방으로, 예를 들면 10도 정도 경사지고 있고, 집적대(77)상의 집적공간부 (74)에 지면을 상하방향에 향한 지폐(P)를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집적한다. 집적틀부(75)는 외형이 최대치수의 지폐(P)를 수납가능하게 하는 장방형단면형상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 길이가 최장의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선단규제벽(79),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후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후단규제벽(80), 및 지폐(P)의 길이 방향의 양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양단규제벽(81)을 갖고 있다.
선단규제벽(79)은 집적공간부(74)내의 지폐(P)를 일괄해서 꺼내기 위한 덮개 (27)를 별도로 가지고 있던지, 또는 덮개(27) 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입유출수단(76)은 지폐(P)를 실어 승강하는 집적대(77)와 연동하여, 보류반송로부(32)에서 반송되어 오는 지폐(P)를 집적공간부(74)의 집적대(77)상에 차례로 넣는 동시에, 집적공간부(74)의 집적대(77)상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P)를 보류반송로부(32)로 차례로 보낸다. 유입유출수단(76)은 유입유출구부(73)의 상부로 양측의 측틀(78a,78b)에 축받이(82)를 통해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된 회전축(83)을 가지며, 이 회전축(83)에는 축방향에 피드 롤러(85) 및 가이드 롤러(86)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유입유출구부(73)의 아래쪽에는 각 피드 롤러(85)에 대향하여 그 각 피드 롤러(85)와의 사이에 지폐(P)를 끼워 지지하여 유입반송 또는 유출반송하는 복수의 게이트 롤러(87)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게이트 롤러(87)사이에는, 각 가이드 롤러(86)에 대향하여, 예컨대 우레탄수지제로 마찰계수가 비교적 높음과 동시에 탄성 및 유연성을 갖는 복수의 날개(88)가 주위에서 돌출형성된 날개 롤러(8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날개롤러 (89)는 지폐유입시에 게이트 롤러(87) 사이의 측부위치에 있는 유입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고, 날개(88)에 의해서,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선단규제벽 (79)를 향하여 집적공간부(74)에 차례로 넣는 동시에, 차례로 넣는 지폐(P)의 유입방향후단가장자리를 후단규제벽(80)을 따르도록 작용하고, 또한, 지폐유출시에는 게이트 롤러(87)의 측부위치에서 아래쪽의 대피위치에 이동하여 대기한다.
게이트 롤러(87)의 집적공간부(74)와 반대의 보류반송로부(32) 측에는 피드 롤러(85)와의 사이에 지폐(P)를 끼워 지지하여 유입반송 및 유출반송하는 반송롤러 (90)가 배치되어 있다.
피드 롤러(85)의 회전축(83)에는 복수의 축받이(91)에 의해서 복수의 레버 (92)가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이들 레버(92)의 선단측 사이에 회전축(93)이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이 회전축(93)에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유출롤러(94)가 부착되어 있다. 레버(92)는 유출롤러(94)의 소정의 하강위치로 아래쪽에의 요동이 규제되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유출롤러(94)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피드 롤러(85)의 회전축(83)은 보류반송로부(32)를 포함하는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29)와 함께 모터(M2)에 의해서 회전구동되어, 피드 롤러(85)의 회전축 (83)과 유출롤러(94)의 회전축(93)은 예컨대 풀리(95a)나 벨트 등을 사용한 전달기구(95)에 의해서 동일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구동된다. 회전축(83)의 피드 롤러 (85)와 회전축(93)의 유출롤러(94)는 지름이 같고, 이들 피드 롤러(85)와 유출롤러 (94)는 연동하여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피드 롤러(85) 및 유출롤러(94)의 주위면에는 예컨대 고무 등의 마찰계수가 큰 마찰면과 이 마찰면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미끄러짐면이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지폐유출시에 피드 롤러(85) 및 유출롤러(94)의 마찰면이 집적대(77)상의 지폐(P)에 대략 동시에 접촉하여 차례로 내보내는 것을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입유출구부(73)의 위쪽에는 지축(96)이 양측의 측틀(78a,78b) 사이에 부착되고, 이 지축(96)의 축방향의 복수개소에는 유입유출구부(73)로부터 집적공간부 (74)에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집적대(77)상의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97)의 일끝단이 각각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들 각 가이드부재(97)는 경량인 소재의 얇은 판으로써 형성되어, 유입유출구부(73)로부터 집적공간부(74)에 차례로 보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집적대(77)상의 집적된 지폐(P)의 표면에 가이드하는 만곡부 (98), 및 이 만곡부(98)의 선단측에서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 접하여 누르는 대략 직선형상의 누름부(99)를 가지고 있다.
집적틀부(75)의 선단규제벽(79)의 상단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재용절결부(100) 및 복수의 스토퍼용 절결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중의 가이드부재용절결부 (100)에 요동하는 가이드부재(97)의 선단부가 진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단규제 벽(80)의 상단에는, 게이트 롤러(87)와 날개롤러(89)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유출구부(73)의 아래쪽을 향하여 만곡형성되어 지폐(P)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집적대(77)는 집적대구동부로서의 모터(M1)의 구동에 의해서 승강한다.
또, 보류반송로부(32)에는 지폐식별부(39)로 식별된 지폐(P)가 지폐집적부 (72)의 근방에 도래한 것을 검지하는 지폐도래검지부로서의 센서(S1), 및 지폐(P)를 상하로 끼워 지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롤러(10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 (92)의 요동각도를 검지하는 센서(S2), 및 가이드부재(96)의 요동각도를 검지하는 센서(S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폐집적부(72)는 집적공간부(74)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집적공간부 (74) 내로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여 지폐(P)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규제벽(80)에 정돈된 유입유출수단 (76)에 의한 유출가능한 일시보류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스토퍼로서의 복수의 단폭용 스토퍼(111a) 및 복수의 중간폭용 스토퍼(111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스토퍼(111a,111b)에 의한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의 걸어멈춤은 지폐식별부 (39)에서의 화폐종류식별에 의한 지폐(P)의 짧은 방향의 지폐폭과 보류반송로부 (32)에 배치된 센서(S1)의 검지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즉, 지폐(P)의 화폐종류를 그 짧은 방향의 지폐폭이 단폭의 단폭지폐(PS), 중간폭의 중간폭지폐 (PM), 장폭의 장폭지폐(PL)의 그룹으로 나누어 미리 설정해 두고, 단폭지폐(PS)의 화폐종류가 지폐식별부(39)로 식별됨과 동시에 센서(S1)로 검지됨으로써, 단폭용 스토퍼(111a)가 집적공간부(74) 외부로부터 집적공간부(74)내로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단폭지폐(PS)의 걸어멈춤에 대기하고, 마찬가지로, 중간폭지폐(PM)의 화폐종류가 지폐식별부(39)로 식별됨과 동시에 센서(S1)에서 검지되는 것에 의해,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집적공간부(74) 외부에서 집적공간부(74) 내로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져 오는 중간폭지폐(PM)의 걸어멈춤에 대기한다. 또한, 장폭지폐(PL)의 화폐종류가 지폐식별부(39)로 식별됨과 동시에 센서(S1)로 검지된 경우에는, 양 스토퍼(111a,111b) 모두 퇴피상태로 되어 있으며, 집적공간부(74)로 차례로 넣어진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선단규제벽(79)으로 걸어멈춤한다. 한편, 도 2에는, 참고를 위해 스토퍼(111a,111b) 모두 진출위치에 진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스토퍼(111a,111b)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스토퍼면부(112a,112b), 및 이들 스토퍼면부(112a,112b)가 걸어멈춤하는 면과 반대측 면에서 그 상단부 및 중간부에서 돌출형성된 부착편부(113a,113b)를 각각 갖고 있다.
단폭용 스토퍼(111a) 및 중간폭용 스토퍼(111b)마다, 지폐집적부(72)의 선단규제벽(79)과 후단규제벽(80)의 사이에 위쪽에서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 (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진출위치와 이 진출위치로부터 퇴피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시키는 진퇴기구로서의 단폭용 진퇴기구(114a) 및 중간폭용 진퇴기구(114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선단규제벽(79)의 바깥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 선단규제벽(79)의 바깥면 과 평행하게 상하의 지축(115,116)이 병설되고, 이들 지축(115,116)의 양 끝단이 양쪽의 측틀(78a,78b)에 축받이(117,118)에 의해서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폭용 진퇴기구(114a)는, 위쪽의 지축 (115)에 위쪽의 링크(119)의 일끝단이 고정되고, 아래쪽의 지축(116)에 아래쪽의 링크(120)의 일끝단이 회전자유롭게 축지되며, 각 링크(119,120)의 다른 끝단이 지지부재(121)에 회전자유롭게 축지되어, 이 지지부재(121)에 단폭용 스토퍼(111a)가 부착되어 있다. 즉, 링크(119,120)와 지지부재(121)로 평행 링크구조가 채용되고, 각 지축(115,116)을 중심으로 하는 각 링크(119,120)의 요동에 의해, 지지부재 (121)와 함께 단폭용 스토퍼(111a)가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진출위치와 도 3에 2점차선으로 나타내는 퇴피위치의 사이에서 평행이동하면서 상하이동한다. 이 단폭용 스토퍼(111a)의 진출위치는, 후단규제벽(80)과의 사이의 간격이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의 폭에 대응한 위치로 하고, 또한, 단폭용 스토퍼(111a)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 동일위치로 함과 동시에 집적공간부(74) 외부의 선단규제벽 (79)의 근방위치로 한다.
한편의 측틀(78a)의 바깥측에서, 위쪽의 지축(115)의 끝단부에는 레버(122)가 부착되고, 이 레버(122)의 선단에 링크(123)의 일끝단이 회전이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링크(123)의 다른 끝단위치에 대응하여, 한편의 측틀(78a)의 안쪽에 스토퍼구동부로서의 모터(M3)가 부착된다. 이 모터(M3)의 구동축(124)에는 한쪽의 측틀(78a)의 바깥측에 캠(125)이 부착되고, 이 캠(125)에 링크(123)의 다른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캠(125)의 양쪽영역에 배치되어 이 캠(125)의 회동위 치를 검지함으로써 단폭용 스토퍼(111a)의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S4)가 부착되어 있다. 센서(S4)는, 단폭용 스토퍼(111a)가 퇴피위치보다 진출위치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캠(125)에 의해서 차광되어, 단폭용 스토퍼(111a)가 퇴피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캠(125)에 의한 차광이 해제되어 투광상태가 된다. 단폭용 스토퍼(111a)의 진출위치의 검지는 모터(M3)의 구동에 의해, 퇴피위치의 단폭용 스토퍼(111a)가 진출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시작하여, 센서(S4)를 캠(125)으로 차광하고 나서의 경과시간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경과시점에서 단폭용 스토퍼 (111a)가 진출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 단폭용 스토퍼(111a)의 퇴피위치의 검지는 센서(S4)가 캠(125)에 의한 차광이 해제되어 투광상태가 되었을 때이고, 캠(125)이 도 3의 2점쇄선에 위치하였을 때이다.
단폭용 스토퍼(111a)를 부착하는 지지부재구(121)에는 상하단에 지지편부 (126)가 형성되고, 이들 상하의 지지편부(126)의 각 윗면에 단폭용 스토퍼(111a)의 상하의 부착편부(113a)가 배치되어, 이들 지지편부(126) 및 부착편부(113a)를 관통하여 축(127)이 배치되어 있다. 축(127)은 부착편부(113a)에 고정되어, 지지편부 (12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위쪽의 지지편부 (126)와 아래쪽의 부착편부(113a)의 사이에는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128)이 배치되고, 지지부재(121)에 대하여 단폭용 스토퍼(111a)를 아래쪽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있지만, 그 가하는 힘은 매우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21), 축(127) 및 스프링(128) 등에 의해서, 단폭용 스토퍼(111a)를 지지하는 스토퍼지지수단(129a)이 구성되어 있다. 즉, 스토퍼지지수단(129a)에서는, 단 폭용 스토퍼(111a)를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하강방향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진출위치에 진출하는 단폭용 스토퍼(111a)가 집적된 지폐(P)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측으로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폭용 진퇴기구(114b)는, 위쪽의 지축(115)에 위쪽의 링크(130)의 일끝단이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아래쪽의 지축(116)에 아래쪽의 링크(131)의 일끝단이 고정되어, 각 링크(130,131)의 다른 끝단이 지지부재(132)에 회전자유롭게 축지되어, 이 지지부재(132)에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부착되어 있다. 즉, 링크(130,131)와 지지부재(132)로 평행 링크구조가 채용되고, 각 지축(115,116)을 중심으로 하는 각 링크(130,131)의 요동에 의해, 지지부재(132)와 함께 중간폭용스토퍼(111b)가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진출위치와 도 4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퇴피위치의 사이에서 평행이동하면서 상하이동한다. 이 중간폭용스토퍼(111b)의 진출위치는, 후단규제벽(80)과의 사이의 간격이 중간폭지폐 (PM)의 유입방향의 폭에 대응한 위치로 하고, 또한, 중간폭용 스토퍼 (111b)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 동일위치로 함과 동시에 집적공간부(74) 외부의 선단규제벽(79)의 근방위치로 한다.
다른쪽의 측틀(78b)의 바깥측에서, 아래쪽의 지축(116)의 끝단부에는 레버 (133)가 부착되고, 이 레버(133)의 선단에 링크(134)의 일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링크(134)의 다른 끝단위치에 대응하여, 다른쪽의 측틀(78b)의 안쪽에 스토퍼구동부로서의 모터(M4)가 부착되고, 이 모터(M4)의 구동축(135)에는 다른쪽의 측틀(78b)의 바깥측에 캠(136)이 부착되고, 이 캠(136)의 링크(134)의 다른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캠(136)의 양쪽영역에 배치되어 이 캠 (136)의 회동위치를 검지함으로써 중간폭용 스토퍼(111b)의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 (S5)가 부착되어 있다. 센서(S5)는,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퇴피위치 이외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캠(136)에 의해서 차광되어,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퇴피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캠(136)에 의한 차광이 해제되어 투광상태가 된다. 중간폭용 스토퍼(111b)의 진출위치의 검지는, 모터(M4)의 구동에 의해, 퇴피위치의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진출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시작하여, 센서(S5)를 캠(136)으로 차광하고 나서의 경과시간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경과시점에서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진출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 중간폭용 스토퍼(111b)의 퇴피위치의 검지는 센서(S5)가 캠(136)에 의한 차광이 해제되어 투광상태가 되었을 때이고, 캠(136)이 도 4에 2점쇄선에 위치하였을 때이다.
중간폭용 스토퍼(111b)를 부착하는 지지부재(132)에는 상하끝단에 지지편부 (137)가 형성되어, 이들 상하의 지지편부(137)상에 중간폭용 스토퍼(111b)의 상하의 부착편부(113b)가 배치되고, 이들 지지편부(137) 및 부착편부(113b)를 관통하여 축(138)이 배치되어 있다. 축(138)은 부착편부(113b)에 고정되어, 지지편부(137)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위쪽의 지지편부(137)와 아래쪽의 부착편부(113b)의 사이에는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39)이 배치되어, 지지부재(132)에 대하여 중간폭용 스토퍼(111b)를 아래쪽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있지만, 그 가하는 힘은 매우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 (132), 축(138) 및 스프링(139) 등에 의해서, 중간폭용 스토퍼(111b)를 지지하는 스토퍼 지지수단(129b)이 구성되어 있다. 즉, 스토퍼 지지수단(129b)에서는, 중간폭용 스토퍼(111b)를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하강방향을 향하는 힘을 가하여, 진출위치로 진출하는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집적된 지폐(P)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측으로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5에, 집적장치(71)의 제어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집적장치 (71)는 제어부(151)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151)에는 각 센서(S1∼S5)를 포함하는 센서군(Sx), 지폐식별부(39), 집적대(77)를 승강구동하는 모터(M1), 유입유출수단 (76) 및 보류반송로부(32)를 포함하는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29)를 정역구동하는 모터(M2), 단폭용스토퍼(111a)를 진퇴구동하는 모터(M3), 중간폭용 스토퍼 (111b)를 진퇴구동하는 모터(M4)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51)는 지폐유입시에, 집적된 지폐(P)의 윗면위치가 일정의 유입높이로 위치하도록 모터(M1)를 제어하여 집적대(77)를 하강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는 동 시에, 지폐식별부(39)에 의한 지폐(P)의 식별 및 지폐도래검지부인 센서(S1)에 의한 지폐(P)의 검지에 근거하여 모터(M3,M4)를 제어하여 스토퍼(111a,111b)를 진퇴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있어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의 입금처리동작 및 출금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금처리시에는 입금지폐(P)가 입위자세로 지폐입금구부(22)에 투입되어,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의 상위단말에서 입금개시를 조작함으로써, 입금처리를 시작한다.
지폐입금구부(22)에 투입된 입금지폐(P)는 지폐입금구부(22)에서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4)의 입금반송로부(31)에 1장씩 차례로 보내지고, 식별반송로부(33)로 반송되어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된다.
지폐식별부(39)에서 정규로 식별된 입금지폐(P)는 식별반송로부(33)에서 바이패스반송로부(34), 보류출금반송로부(35), 출금반송로부(30) 및 보류반송로부 (32)를 통하여 일시보류부(26)의 집적공간부(74)에 차례로 넣어져 일시보류된다. 일시보류부(26)의 집적공간부(74)를 개폐하는 앞면의 덮개(27)는 투명하기 때문에, 집적공간부(74)내에서의 지폐(P)의 집적상황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다.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불능하다고 식별된 입금지폐(P), 즉 식별불가능한 지폐(P)는, 식별반송로부(33)부터 바이패스반송로부(34), 보류출금반송로부(35) 및 출금반송로부(30)를 통하여 지폐출금구부(21)에 입위자세로 차례로 넣어지고, 입금 지폐의 일시보류가 종료한 시점에서 투명셔터(23)가 개방되어 반환된다.
그리고, 지폐입금구부(22)에 투입된 모든 입금지폐(P)의 일시보류까지의 처리가 완료하면, 식별결과를 표시하여, 입금승인 또는 입금비승인을 확인한다.
입금승인시에는, 일시보류부(26)에 일시보류된 일시보류지폐(P)의 수납동작을 시작한다. 일시보류부(26)의 일시보류지폐(P), 즉 수납지폐(P)는 일시보류부 (26)에서 보류반송로부(32)에 1장씩 차례로 보내지고, 출금반송로부(30) 및 보류출금반송로부(35)를 통하여 식별반송로부(33)로 반송되어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된다. 지폐식별부(39)에서 정규로 식별된 수납지폐(P)는 수납출금반송로부(37)로부터 제 1 접속통로부(64)를 통하여 하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45)의 주반송로부(49)로 반송되고, 이 주반송로부(49)로부터 대응하는 화폐종류의 유입반송로부(50)를 통하여 대응하는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에 차례로 넣어져 집적수납된다.
입금비승인시에는, 일시보류부(26)의 덮개(27)를 로크하고 있는 전자 로크가 해제된다. 그 때문에, 덮개(27)의 손잡이(28)를 가지고 기체(12)의 전방으로 열어, 일시보류부(26)의 집적공간부(74)내의 일시보류지폐(P)를 일괄해서 꺼내고, 덮개(27)를 닫는다.
또한, 출금처리시에는, 출금의 화폐종류 및 매수를 포함하는 금액 등 출금정보를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의 상위단말에서 입력하여, 출금개시를 조작함으로써, 출금처리를 시작한다.
1종류의 지폐(P)를 출금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화폐종류의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 만으로 1장씩 지폐(P)를 차례로 보내고, 또한, 복수 화폐종류의 지폐 (P)를 출금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화폐종류의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로부터 1장씩 지폐(P)를 차례로 보내어, 그 보냄이 완료하면 다음 화폐종류의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에서 1장씩 지폐(P)를 차례로 보내는 것처럼, 미리 설정된 화폐종류의 순서대로 지폐(P)를 1장씩 보낸다.
화폐종류별 지폐수납부(43)에서 차례로 보내지는 지폐(P)는, 유출반송로부 (51) 및 주반송로부(49)에서 제 1 접속통로부(64)를 통하여 상부유니트측 지폐반송부(4)의 수납출금반송로부(37) 및 식별반송로부(33)로 반송되어 지폐식별부(39)로 식별된다.
지폐식별부(39)에서 정규로 식별된 지폐(P)는, 식별반송로부(33)로부터 보류출금반송로부(35) 및 출금반송로부(30)를 통하여 지폐출금구부(21)에 차례로 넣어져 입위자세로 집적된다.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불가능이라고 판단된 지폐(P)는, 식별반송로부(33)부터 보류출금반송로부(35), 리젝트지폐반송로부(36)에서 제 2 접속통로부(65)를 통하여 하부유니트(14)의 리젝트 박스(42)에 차례로 넣어져 수납된다.
출금액에 대응한 출금지폐(P)가 지폐출금구부(21)에 차례로 넣어져 집적되면, 투명셔터(23)가 개방된다. 지폐출금구부(21)에서 출금지폐(P)가 꺼내지면 투명셔터(23)를 닫는다.
다음에,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의 일시보류부(26)를 구성하는 집적장치 (7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집적장치(71)의 집적공간부(74)에 지폐(P)를 차례로 넣어 집적시키는 경우에 는, 날개 롤러(89)가 게이트 롤러(87) 사이의 측부위치인 유입위치로 이동한다. 스토퍼(111a,111b)는, 모두 퇴피위치로 대기하고, 지폐식별부(39)에서의 식별 및 센서(S1)에서의 검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퇴피위치로부터 진출위치로 진퇴되게 된다.
그리고, 지폐집적시, 즉 입금지폐일시보류시에 있어서,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되어 센서(S1)로 검지되는 지폐(P)가 단폭지폐(PS)의 화폐종류의 경우에는, 모터(M3)의 구동에 의해서 단폭용 스토퍼(111a)가 퇴피위치로부터 진출위치에 진출한다.
이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공간부(74)내에서 집적대(77)상에 집적된 집적된 지폐(P) 중 상부영역에 단폭지폐(PS)가 많이 집적된 상태인 경우에는, 집적된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측에 단폭용 스토퍼(111a)의 하부가 진입하여, 그 집적된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져 나가는 예정의 단폭지폐(PS)의 걸어멈춤에 구비된다.
도 8 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공간부(74)내에서 집적대(77)상에 집적된 집적된 지폐(P)의 상부영역에 중간폭지폐(PM) 또는 장폭지폐(PL)가 많이 집적된 상태의 경우에는, 단폭용 스토퍼(111a)가 진출위치에 이동하는 도중에서 단폭용 스토퍼(111a)의 하단이 중간폭지폐(PM) 또는 장폭지폐(PL)의 윗면에 접촉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된 중간폭지폐(PM)의 윗면에 얹히는 단폭용 스토퍼(111a)가 지지부재(121)에 대하여 스프링(128)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상승한다. 그 때문에, 집적된 중간폭지폐(PM) 또는 장폭지폐(PL)의 윗면 을 단폭용 스토퍼(111a)가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져 오는 예정의 단폭지폐(PS)의 걸어멈춤에 구비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공간부(74)내에서 집적대(77)상에 집적된 집적된 지폐(P)중 상부영역에 단폭지폐(PS)가 많이 집적되는 동시에 이들 단폭지폐 (PS)에 혼재하여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PL)}가 1장 또는 여러 장 집적된 상태의 경우에는, 집적된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선단가장자리측에 단폭용 스토퍼 (111a)의 하부가 진입하여, 단폭지폐(PS)에 혼재한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 (PL)}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는 단폭용 스토퍼(111a)에서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차례로 넣어져 오는 예정의 단폭지폐(PS)의 걸어멈춤에 구비한다. 이 때, 단폭용 스토퍼(111a)를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128)의 가압력은 약하기 때문에, 단폭용 스토퍼(111a)가 상승함으로써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의 구부러짐이 복원된다. 또,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는 단폭용 스토퍼(111a)에서 아래쪽으로 구부러지지만,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PL)}의 유입시에, 게이트 롤러(87)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롤러(89)의 날개(88)의 작용에 의해서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 규제벽(80)에 따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및 집적틀부(75)가 후단 규제벽(80)측에 하강경사지고 있어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규제벽(80)에 따르게 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중간폭지폐(PM){또는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가 후단규제벽(80)으로부터 크게 멀어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집적된 지폐(P)가 단폭지폐(PS)나, 중간폭지폐(PM)나, 장폭지폐 (PL) 등에 따라서, 단폭용 스토퍼(111a)의 진출위치에서의 상태가 다르다. 또,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는 가이드부재(97)가 얹히고, 집적된지폐(P)를 집적대(77)상에 눌러 붙이고 있다.
또한,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되어 센서(S1)에서 검지되는 지폐(P)가 중간폭지폐(PM)의 화폐종류인 경우에는, 모터(M4)의 구동에 의해서 중간폭용 스토퍼 (111b)가 퇴피위치로부터 진출위치에 진출한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공간부(74)내에서 집적대(77)상에 집적된 집적된 지폐(P)중 상부영역에 중간폭지폐(PM){또는 단폭지폐(PS)}가 많이 집적된 상태의 경우에는, 집적된 중간지폐(PM){또는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중간폭용 스토퍼(111b)의 하부가 진입하여, 집적된 중간지폐(PM){또는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져 오는 예정의 중간폭지폐(PM)의 걸어멈춤에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공간부(74)내에서 집적대(77)상에 집적된 집적된 지폐(P)의 상부영역에 장폭지폐(PL)가 많이 집적된 상태의 경우에는,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진출위치에 이동하는 도중에서 중간폭용 스토퍼(111b)의 하단이 장폭지폐(PL)의 윗면에 접촉한다. 집적된 장폭지폐(PL)의 윗면에 얹히는 중간폭용 스토퍼(111b)가 지지부재(132)에 대하여 스프링(139)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상승한다. 그 때문에, 집적된 장폭지폐(PL)의 윗면을 중간폭용 스토퍼(111b)에서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져 오는 예정의 중간폭지폐(PM)의 걸어멈춤에 구비한다. 또, 스프링(139)도 스프링(128)과 같이 가압력은 약하다.
이와 같이, 집적된 지폐(P)가 단폭지폐(PS)나, 중간폭지폐(PM)나, 장폭지폐 (PL) 등에 따라서, 중간폭용 스토퍼(111b)의 진출위치에서의 상태가 다르다. 또,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는 가이드부재(97)가 얹혀, 집적된 지폐(P)를 집적대(77)상에 눌러붙이고 있다.
또한,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되어 센서(S1)에서 검지되는 지폐(P)가 장폭지폐(PL)의 화폐종류의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M3, M4) 전부 구동되지 않고, 단폭용 스토퍼(111a) 및 중간폭용 스토퍼(111b)와도 퇴피위치에 유지되고, 선단 규제벽(79)에서의 차례로 넣어져 오는 예정의 장폭지폐(PL)의 걸어멈춤에 구비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되어 센서(S1)에서 검지된 단폭지폐(PS)가 보류반송로부(32)로부터 보내져 온 경우, 이 단폭지폐(PS)는, 피드롤러(85)와 게이트 롤러(87)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유입유출구부(73)로부터 집적공간부(74)에 차례로 넣어지고,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가 가이드부재(97)에 의해서 집적된 지폐(P)의 윗면으로 가이드되어,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가 집적된 지폐(P)의 윗면을 이동하여 단폭용 스토퍼(111a)에 접촉하여 걸어멈춤되고,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가 후단 규제벽(80)에 따르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집적위치 요컨대 일시 보류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집적된다. 게이트 롤러(87)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롤러(89)의 날개(88)의 회전에 의해서,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선단규제 벽(79)로 향하여 집적공간부(74)에 차례로 넣는 동시에, 차례로 넣은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 규제벽(80)에 따르게 하도록 작용한다.
이 때,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폭용 스토퍼(111a)는, 집적된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고 있거나, 도 8 및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된 중간폭지폐(PM) 또는 장폭지폐(PL)의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고 있기 때문에,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가 단폭용 스토퍼(111a)의 아래쪽에 넣어지는 일없이, 단폭지폐(PS)를 확실히 걸어멈춤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97)에 의해서,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의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의 가이드와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 따른 이송가이드를 하기 위해서, 단폭지폐(PS)의 중간부위를 보강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단폭지폐(PS)가 중간부위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이 중간부위가 보강되는 단폭지폐(PS)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단폭용 스토퍼(111a)에서 확실히 걸어멈춤시켜서 집적할 수 있다.
단폭용 스토퍼(111a)는 단폭지폐(PS)의 걸어멈춤 후, 즉시 집적공간부(74)외의 퇴피위치로 퇴피하여, 다음 지폐(P)의 집적공간부(74)에의 차례로 넣기 위해 대기한다.
지폐유입에 따라 그 지폐의 두께분 만큼 가이드부재(97)가 밀어 올려지고, 이 가이드부재(97)의 요동각도를 센서(S3)로 감시하여, 집적대(77)상에 집적된 지 폐(P)의 윗면높이가 높아져서 센서(S3)로 검지되는 요동각도가 소정치에 달할 때마다, 집적대(77)를 순차 하강시켜 지폐(P)를 받아 들여 집적하는 윗면높이를 일정한 범위내에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되어 센서(S1)에서 검지된 중간폭지폐(PM)가 보류반송로부(32)에서 보내져 온 경우에도, 상술한 단폭지폐(PS)와 같은 동작을 갖는 것으로, 가이드부재(97)에 의해서 중간폭지폐 (PM)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의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의 가이드와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 따른 이송가이드를 하여, 이 중간폭지폐(PM)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가 진출위치에 진출한 중간폭용 스토퍼(111b)에서 걸어멈춤되어, 중간폭지폐 (PM)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가 후단규제벽(80)에 따르는 위치를 기준으로서 집적된다. 또, 중간폭스토퍼(111b)는 중간폭지폐(PM)의 걸어멈춤 후, 즉시 집적공간부 (74)외의 퇴피위치로 대기하여, 다음 지폐(P)의 집적공간부(74)에의 차례로 넣기 위해 대기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식별부(39)에서 식별되어 센서(S1)로 검지된 장폭지폐(PL)가 보류반송로부(32)에서 보내져 온 경우, 이 장폭지폐(PL)는, 상술한 단폭지폐(PS) 및 중간폭지폐(PM)와 같이 가이드부재(97)에서 가이드되면서 집적공간부(74)에 차례로 넣어지고,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가 선단규제벽(79)에 접촉하여 걸어멈춤되어, 장폭지폐(PL)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가 후단규제벽(80)에 따르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집적된다.
이와 같이, 지폐유입시에는, 지폐식별부(39)에서의 화폐종류식별에 따라서 스토퍼(111a, 111b)가 선택적으로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스토퍼(111a, 111b) 또는 선단규제벽(79)으로 규제하여, 지폐(P)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규제벽(80)에 따르게 한 집적위치에 확실히 집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집적장치(71)의 집적공간부(74)에 집적한 지폐(P)를 차례로 보내는 경우에는, 날개롤러(89)가 게이트 롤러(87)사이의 측부위치인 유입위치로부터 퇴피하는 퇴피위치로 이동시킨다.
집적대(77)를 상승시켜 이 집적대(77)상의 지폐(P)의 윗면을 소정의 유출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즉, 집적대(77)를 상승시켜, 지폐(P)의 윗면을 유출롤러(94)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레버(92)를 요동시켜서 유출롤러(94)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센서(S2)로 레버(92)의 요동각도가 소정각도가 된 것을 검지하면, 집적대(77)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집적대(77)상의 지폐(P)의 윗면을 소정의 유출높이까지 상승시킴으로써, 지폐(P)의 윗면은 피드롤러(85)에도 접촉한다.
피드롤러(85) 및 유출롤러(94)의 회전에 의해, 피드롤러(85) 및 유출롤러 (94)의 둘레면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찰면이 집적대(77)상의 지폐(P)에 대략 동시에 접촉하여, 그들 마찰면이 접촉한 최상층의 1장의 지폐(P)를 유입유출구부 (73)로 차례로 보내어, 피드롤러(85) 게이트 롤러(87)와의 사이에 협지하여 보류반송로부(32)로 보낸다.
센서(S2)로 레버(92)의 요동각도를 감시하여, 지폐유출에 따라서 집적대(77)상의 지폐(P)의 높이가 낮아지면, 집적대(77)를 상승시켜, 집적대(77)상의 지폐(P) 의 윗면의 유출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집적장치(71)에 의하면, 선단 규제벽(79)과 후단 규제벽(80)과의 사이의 진출위치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장폭지폐(PL)보다 짧은 단폭지폐(PS), 중간폭지폐(PM)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스토퍼(111a, 111b)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였기 때문에, 진출위치에 진출한 스토퍼(111a, 111b)가, 집적된 지폐(P)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폐(P)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단폭지폐(PS) 또는 중간폭지폐(PM)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폐(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단폭지폐(PS) 또는 중간폭지폐(PM)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스토퍼(111a, 111b)에 의해서 치수차를 갖는 지폐(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확실히 걸어멈춤할 수 있고, 치수차를 갖는 지폐(P)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서 확실히 집적할 수 있다. 또한, 치수차를 갖는 다른 지폐(P)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할 수 있기 때문에, 집적된 지폐를 1장씩 확실히 차례로 보낼 수가 있다.
가이드부재(97)에 의해서, 지폐(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집적된 지폐 (P)의 윗면으로 가이드하여, 집적된 지폐(P)의 윗면을 이동하는 지폐(P)의 중간부위를 보강하기 위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P)가 중간부위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지폐(P)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스토퍼(111a, 111b) 및 선단 규제벽(79) 중 어느 한쪽에서 확실히 걸어멈춤시켜서 집적할 수 있다.
스토퍼(111a, 111b)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동일위치인 동시에 집적공간부(74)외의 선단 규제벽(79)의 근방위치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또한 염가인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나라에 따라서는, 처리하는 전체 화폐종류에 관해서, 각 지폐(P)의 각각 짧기방향의 장단차가 있는 경우가 있어, 단폭지폐(PS), 중간폭지폐(PM), 장폭지폐 (PL) 중에서도 다소의 치수차가 있는 경우가 있지만, 지폐유입시에는, 날개롤러 (89)의 날개(88)의 작용에 의해서 지폐(P)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 규제벽 (80)에 따르게 하는 작용을 가지는 동시에, 집적틀부(75)가 후단규제벽(80)측에 하강경사지고 있어 지폐(P)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 규제벽(80)에 따르게 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지폐(P)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후단규제벽(80) 따르게 하여 위치결정하여 집적할 수 있다. 그리고, 지폐유출시에는, 피드롤러(85) 및 유출롤러(94)의 둘레면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찰면이 지폐(P)에 대략 동시에 접촉하여 차례로 보내는 것이 시작되지만, 상술의 지폐(P)의 길이의 다소의 치수차는 유출개시 시의 오차의 범위내에 해당하여, 지폐(P)를 정상으로 차례로 보낼 수가 있다.
또, 스토퍼(111a, 111b)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다른 2위치로 하는 동시에 유출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가 유입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보다 크게 퇴피하고 또한 집적공간부(74)외의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지폐유입시에는 스토퍼 (111a, 111b)의 진출 및 퇴피의 이동을 신속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지폐유출시에는 유출동작에 스토퍼(111a, 111b)가 지장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에 집적장치(71)을 구비하기 위해서, 치수차가 있는 지폐(P)의 차례로 넣기에 의한 일괄일시보류 및 치수차가 있는 일시보류지폐(P)의 차례로 보내기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더구나, 입금승인시에는 집적장치 (71)에 집적된 일시보류지폐(P)를 유입유출수단(76)에 의해서 1장씩 차례로 보내어 수납할 수 있고, 입금비승인시에는 집적장치(71)의 선단 규제벽(79)의 문(27)을 개방함으로써 일시보류지폐(P)의 반환을 일괄반환의 형태로 신속히 할 수 있다.
또, 집적장치(71)는, 지폐(P)의 유입과 유출과의 양쪽이 가능하지만, 유입전용의 집적장치에 구성하더라도 좋고, 치수차가 있는 지폐(P)를 확실히 집적할 수 있다.
또한, 집적장치(71)는, 순환식 지폐입출금기(11) 이외에, 지폐입금기, 지폐입출금기, 지폐환전기, 전표처리기 및 카드처리기 등의 치수차가 있는 지폐, 전표 및 카드 등의 지엽류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의하면, 선단 규제벽과 후단 규제벽과의 사이의 진출위치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였기 때문에, 진출위치에 진출한 스토퍼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스토퍼에 의해서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확실히 걸어멈춤할 수 있고,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집적장치의 효과에 덧붙여, 지엽류가 중간부위가 약한 지폐이더라도 확실히 집적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집적장치의 효과에 덧붙여,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으로 가이드하여,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을 이동하는 지엽류의 중간부위를 보강하기 위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가 중간부위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스토퍼 및 선단 규제벽 중 어느 한쪽에서 확실히 걸어멈춤시켜서 집적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의하면, 선단 규제벽과 후단규제벽과의 사이의 진출위치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였기 때문에, 진출위치에 진출한 스토퍼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폐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스토퍼에 의해서 치수차를 갖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확실히 걸어멈춤할 수 있고, 치수차를 갖는 지폐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할 수 있다. 또한, 치수차를 갖는 다른 지폐를 그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확실히 집적할 수 있기 때문에, 집적된 지폐를 1장씩 확실히 차례로 보낼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적장치의 효과에 덧붙여, 스토퍼의 퇴피위치를,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동일위치로 하는 동시에 집적공간부외의 선단 규제벽의 근방위치로 하기 위해서, 간단하고 또한 염가인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적장치의 효과에 덧붙여, 스토퍼의 퇴피위치를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다른 2위치로 하는 동시에 유출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가 유입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보다 크게 퇴피하여 또한 집적공간부외의 위치로 하기 위해서, 지폐유입시에는 스토퍼의 진출 및 퇴피의 이동을 신속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지폐유출시에는 유출동작에 스토퍼가 지장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집적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적장치의 효과에 덧붙여, 선단 규제벽의 문을 개방함으로써 집적대상에 집 적된 지폐를 일괄해서 신속히 집어낼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에 의하면, 입금지폐를 일괄해서 일시보류하는 일시보류부에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적장치를 구비하기 위해서, 치수차가 있는 지폐의 차례로 넣기에 의한 일괄일시보류 및 치수차가 있는 일시보류지폐의 차례로 보내기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순환식 지폐입출금기의 효과에 덧붙여, 입금승인시에는 집적장치에 집적된 일시보류지폐를 유입유출수단에 의해서 1장씩 차례로 보내어 수납할 수 있고, 입금비승인시에는 집적장치의 선단 규제벽의 문을 개방함으로써 일시보류지폐의 반환을 일괄반환의 형태로 신속히 할 수 있다.

Claims (9)

  1. 치수차를 갖는 지엽류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로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에 설치되어,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에 관련되는 정보를 검지하는 유입방향길이 관련정보검지부와,
    상기 지엽류를 집적하는 집적공간부, 이 집적공간부에 상기 반송로로부터의 지엽류를 1장씩 차례로 넣는 유입수단, 집적공간부에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를 상하방향에 집적하는 집적대, 이 집적대를 지엽류 유입시에 하강구동하는 집적대 구동부,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선단 규제벽,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후단 규제벽, 이들 선단 규제벽과 후단 규제벽과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진출위치와 이 진출위치로부터 퇴피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 이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여 진출위치에 진출하는 스토퍼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 지지수단, 스토퍼 를 진출위치와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구동하는 스토퍼구동부를 갖는 지엽류 집적부와,
    상기 지엽류 유입시에, 상기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위치가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적대 구동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유입방향길이 관련정보검지부에 의한 지엽류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토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엽류가 지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입수단에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으로 가이드하는 요동가능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부재에서 가이드되어 집적된 지엽류의 윗면을 이동하는 지엽류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스토퍼 및 선단 규제벽 중 어느 한쪽에서 걸어멈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장치.
  4. 치수차를 갖는 지폐를 혼합집적하는 집적장치로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에 설치되어, 지폐의 화폐종류를 식별하는 지폐식별부와, 상기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공간부, 이 집적공간부에 상기 반송로로부터의 지폐를 1장씩 차례로 넣는 동시에 필요시에 지폐를 1장씩 차례로 보내는 유입유출수 단, 집적공간부에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를 상하방향에 집적하는 집적대, 이 집적대를 승강구동하는 집적대구동부,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선단 규제벽,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후단가장자리를 규제하는 후단 규제벽, 이들 선단 규제벽과 후단규제벽과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길이가 가장 긴 길이보다 짧은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진출위치와 이 진출위치로부터 퇴피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스토퍼, 이 스토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여 진출위치에 진출하는 스토퍼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길이에 따라서 집적된 지폐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윗면을 누르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는 상태와 집적된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측에 진출하여 그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하면서 차례로 넣어지는 지폐의 유입방향 선단가장자리를 걸어멈춤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 지지수단, 스토퍼를 진출위치와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구동하는 스토퍼 구동부를 갖는 지폐집적부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식별부에서 식별된 지폐가 지폐집적부의 근방에 도래한 것을 검지하는 지폐도래검지부와,
    상기 지폐유입시에, 상기 집적된 지폐의 윗면위치가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적대 구동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식별부에 의한 지폐의 식별 및 지폐도래검지부에 의한 지폐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토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 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스토퍼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동일위치로 하는 동시에 집적공간부외의 선단 규제벽의 근방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스토퍼의 퇴피위치는 유입시와 유출시에서 다른 2위치로 하는 동시에 유출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가 유입시에 있어서의 퇴피위치보다 크게 퇴피하고, 또한 집적공간부외의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단 규제벽은 집적대상의 지폐를 일괄추출 가능하게 하는 개방가능한 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장치.
  8.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고 입금지폐를 출금지폐에 순환사용하는 순환식 지폐입출금기로서,
    입금지폐를 일괄해서 일시보류하는 일시보류부에,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집적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집적장치의 선단 규제벽에 개방가능한 문을 구비하여, 입금승인시에는 일시보류지폐를 유입유출수단에 의해서 차례로 보내어 수납하는 동시에, 입금비승인시에는 문의 개방에 의해서 일시보류지폐를 일괄추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KR1020030075762A 2002-10-30 2003-10-29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KR100982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6642 2002-10-30
JP2002316642A JP4160362B2 (ja) 2002-10-30 2002-10-30 集積装置および循環式紙幣入出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768A KR20040038768A (ko) 2004-05-08
KR100982365B1 true KR100982365B1 (ko) 2010-09-14

Family

ID=3208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762A KR100982365B1 (ko) 2002-10-30 2003-10-29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029008B2 (ko)
EP (1) EP1415942B1 (ko)
JP (1) JP4160362B2 (ko)
KR (1) KR100982365B1 (ko)
CN (1) CN100475672C (ko)
AT (1) ATE402111T1 (ko)
DE (1) DE60322321D1 (ko)
ES (1) ES231064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341A (ko) * 2016-03-31 2017-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1112B2 (ja) * 2002-06-05 2007-06-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のお釣り出金方法。
JP4346475B2 (ja) * 2004-03-02 2009-10-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CN101198533B (zh) * 2005-06-14 2010-08-25 光荣株式会社 纸张类输送装置
EP1755088A1 (en) * 2005-07-27 2007-02-21 MEI, Inc. Banknote handling
JP2007062918A (ja) 2005-08-31 2007-03-1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堆積装置
JP4770505B2 (ja) * 2006-02-17 2011-09-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取り出し機構
EP1826164B1 (de) * 2006-02-27 2012-11-07 Ferag AG Lagenpresse
JP4951251B2 (ja) * 2006-02-27 2012-06-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JP4928149B2 (ja) * 2006-04-13 2012-05-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入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
JP4972993B2 (ja) * 2006-05-11 2012-07-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集積装置
JP2007323130A (ja) * 2006-05-30 2007-12-13 Laurel Seiki Kk 紙幣処理装置
DE102006031535A1 (de) * 2006-07-07 2008-01-1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behälter für Wertdokumente
JP4878516B2 (ja) * 2006-07-12 2012-02-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WO2008032350A1 (fr) * 2006-09-11 2008-03-20 Glory Ltd. Dispositif de réception et d'éjection de pièces de monnaie
JP5028924B2 (ja) * 2006-09-15 2012-09-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4992002B2 (ja) * 2006-11-27 2012-08-08 ネッツエスアイ東洋株式会社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WO2008111156A1 (ja) * 2007-03-12 2008-09-18 Glory Ltd. 紙葉類集積装置
WO2008111153A1 (ja) * 2007-03-12 2008-09-18 Glory Ltd. 紙幣出金処理装置
CN101290690B (zh) * 2007-04-16 2012-06-06 冲电气工业株式会社 纸币存取款机
JP4966117B2 (ja) * 2007-07-09 2012-07-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JP2009029588A (ja) * 2007-07-27 2009-02-12 Oki Data Corp 媒体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87794B1 (ko) * 2007-12-13 2014-04-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WO2009103934A1 (en) * 2008-02-19 2009-08-27 Talaris Holdings Limited Sheet handling apparatus
JPWO2009110079A1 (ja) * 2008-03-06 2011-07-1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CN101971216B (zh) * 2008-03-26 2014-11-05 光荣株式会社 纸张处理装置及纸张处理方法
US7900900B2 (en) 2008-07-08 2011-03-08 Glory Ltd. Sheet handling device and sheet handling method
JP5268667B2 (ja) * 2009-01-16 2013-08-21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5205292B2 (ja) * 2009-01-16 2013-06-0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5267345B2 (ja) * 2009-06-17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2011032062A (ja) * 2009-08-03 2011-02-1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69554B2 (ja) * 2009-08-28 2014-04-16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シート集積装置
US20110250045A1 (en) * 2010-04-08 2011-10-13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atching and stopping shingles prior to stacking
KR101072710B1 (ko) * 2010-07-29 2011-10-11 엘지엔시스(주)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집적 장치
JP5440445B2 (ja) * 2010-08-26 2014-03-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集積装置
CN102275658B (zh) * 2011-04-20 2013-07-2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式散状介质自适应整理装置
US8756158B2 (en) 2011-09-15 2014-06-17 Fifth Third Bank Currency recycler
CN102583093B (zh) * 2012-02-16 2014-12-3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不同宽度薄片类介质聚集装置
CN102774683B (zh) * 2012-08-07 2015-01-1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钞票堆叠整理装置及钞票堆叠整理系统
WO2014054139A1 (ja) * 2012-10-03 2014-04-10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US8987626B2 (en) * 2012-10-24 2015-03-24 Pitney Bowes Inc. Anti-abrasion assembly for mailpiece stacking assembly
JP6119217B2 (ja) * 2012-12-05 2017-04-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受渡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6259725B2 (ja) * 2014-06-25 2018-01-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分離集積装置
JP6598470B2 (ja) * 2015-02-19 2019-10-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CN104766402B (zh) * 2015-04-28 2017-07-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位置检测装置
CN104794807A (zh) * 2015-05-12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集回收箱
KR101830770B1 (ko) * 2016-02-24 2018-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CN106960506B (zh) * 2017-03-30 2019-04-19 南通大学 带准确定位的双排振动型散乱纸币整理收集装置
CN107324124A (zh) * 2017-07-03 2017-11-07 常州汉威信电子科技有限公司 纸张收叠机及其工作方法
DE102017115203A1 (de) * 2017-07-07 2019-01-1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Geldkassette mit einem Aufnahmebereich zum Aufnehmen von Wertscheinen
EP3441334A1 (de) * 2017-08-09 2019-02-13 CardTec Card Processing Technologies GmbH Ticketspender
JP6956408B2 (ja) * 2018-01-26 2021-11-0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CN110288759B (zh) * 2018-03-13 2022-01-25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集积装置、限位机构及现金循环处理设备
JP7070088B2 (ja) * 2018-05-23 2022-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102528773B1 (ko) * 2020-12-23 2023-05-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저장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805A (ja) * 1994-03-23 1995-10-09 Omron Corp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H10120281A (ja) 1996-10-17 1998-05-12 Tohoku Ricoh Co Ltd 用紙仕分け装置
JPH10129915A (ja) 1996-10-29 1998-05-19 Glory Ltd 紙葉類集積装置
JPH11236162A (ja) 1998-02-19 1999-08-31 Hitachi Koki Co Ltd 排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481A (en) * 1964-12-14 1967-09-19 Burroughs Corp Sheet item handling and stacking apparatus
US3907128A (en) * 1973-12-13 1975-09-23 Ppg Industries Inc Lead edge stop device
US3905487A (en) * 1974-03-04 1975-09-16 Greene Line Mfg Corp Continuous stacking apparatus
US3992001A (en) * 1975-07-07 1976-11-16 Merrill David Martin Sheet handling apparatus
US4273325B1 (en) * 1979-03-08 1993-09-07 Marquip, Inc. Shingled sheet alignment
US4260148A (en) * 1979-03-16 1981-04-07 Pako Corporation Photographic print stacking device
US4479049A (en) * 1981-01-22 1984-10-2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JPS5960594A (ja) * 1982-09-29 1984-04-06 富士通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S59102751A (ja) * 1982-11-30 1984-06-13 Toshiba Corp 紙葉類の集積装置
JPS60117391A (ja) * 1983-11-29 1985-06-2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循環式自動入出金機
JPS61141091A (ja) 1984-12-14 1986-06-28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循環式紙幣入出金機
US4647265A (en) * 1985-07-08 1987-03-03 Tadao Uno Paper sheet manipulator
NL8503203A (nl) * 1985-11-21 1987-06-16 Oce Nederland Bv Inrichting voor het transporteren van een bundel vellen.
DE8606645U1 (de) * 1986-03-11 1986-04-30 Computer Gesellschaft Konstanz Mbh, 7750 Konstanz Ablagefach für eine Belegverarbeitungseinrichtung zur Ablage von Belegen unterschiedlicher Größe
DE3618622A1 (de) * 1986-06-03 1987-12-10 Roland Man Druckmasch Hinterkantenanschlag bei bogenauslegern an bogenverarbeitenden maschinen
DE3642021A1 (de) * 1986-12-09 1988-06-23 Licentia Gmbh Stapeleinrichtung fuer briefsendungen
DE3730403C2 (de) * 1987-09-10 1997-04-17 Hoechst Ag Vorrichtung zum Abstapeln von Flächengut
JP2666410B2 (ja) * 1988-10-04 1997-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排出トレイ
JPH02310250A (ja) * 1989-05-26 1990-12-26 Ricoh Co Ltd 用紙積載装置
US5374814A (en) * 1990-01-12 1994-12-20 Hitachi, Ltd. Cash transaction machine and method with money disinfection
JP2860612B2 (ja) 1991-05-24 1999-02-24 株式会社イソワ 板状シートの積層方法および装置
US5372360A (en) * 1991-06-07 1994-12-13 Bell & Howell Phillipsburg Company Apparatus for stacking sheet-like articles
JP2680755B2 (ja) * 1991-09-03 1997-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の集積装置
JPH05310359A (ja) * 1992-05-11 1993-11-22 Fujitsu Ltd 用紙の整列装置
US5374051A (en) * 1993-04-21 1994-12-20 Xerox Corporation Relief device for offset stacker tamping mechanism
TW252087B (ko) * 1993-11-25 1995-07-21 Meinan Machinery Works
US5483047A (en) 1994-03-15 1996-01-09 Inter Bold Automated teller machine
US5788348A (en) 1994-03-15 1998-08-04 Interbold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nhanced service access
DE4442385C1 (de) * 1994-11-29 1996-01-04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Stapels aus einem Bogenstrom
US5797597A (en) * 1995-11-14 1998-08-25 Mita Industrial Co., Ltd.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US5613673A (en) * 1995-08-15 1997-03-25 Marquip, Inc. Sheet stacking apparatus
JP3499411B2 (ja) 1996-09-18 2004-02-2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H10157909A (ja) * 1996-11-26 1998-06-16 Minolta Co Ltd 用紙処理装置
GB9718467D0 (en) * 1997-09-02 1997-11-05 Ncr Int Inc An apparatus for stacking sheets
US5931456A (en) * 1997-09-09 1999-08-03 Hewlett-Packard Company Fine-pitch paper adjustment guide for image forming devices
US6082616A (en) * 1998-06-02 2000-07-04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enclosure
DE19849859A1 (de) * 1998-10-29 2000-05-04 Will E C H Gmbh & Co Vorrichtung zum Bilden und Abfördern von Bogenstapeln
JP4135238B2 (ja) * 1998-12-08 2008-08-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2000198606A (ja) * 1998-12-28 2000-07-18 Riso Kagaku Corp 排紙収納装置
US6398000B1 (en) 2000-02-11 2002-06-04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US6371303B1 (en) * 2000-02-11 2002-04-16 Cummins-Allison Corp. Two belt bill facing mechanism
DE10043393A1 (de) * 2000-09-04 2002-03-14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Blattstapel
DE10118758C1 (de) * 2001-04-17 2002-05-23 Siemens Production & Logistics Vorrichtung zum Einstapeln flacher, biegsamer Gegenstände
JP5193409B2 (ja) 2001-09-21 2013-05-08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と紙葉類処理装置の点検方法とテスト媒体
US6572102B2 (en) * 2001-10-18 2003-06-03 Multifeeder Technology, Inc. Catch tray for sheet feeder with adjustable depth feature
US6854640B2 (en) * 2002-09-20 2005-02-15 Cummins-Allison Corp. Removable coin bin
US7322481B2 (en) * 2002-10-18 2008-01-29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which dispenses, receives and stores notes and other financial instrument sheets
JP4559697B2 (ja) * 2002-10-24 2010-10-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循環式紙幣入出金機
US6877739B2 (en) * 2002-12-16 2005-04-12 Pitney Bowes Inc. Vertical stack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805A (ja) * 1994-03-23 1995-10-09 Omron Corp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H10120281A (ja) 1996-10-17 1998-05-12 Tohoku Ricoh Co Ltd 用紙仕分け装置
JPH10129915A (ja) 1996-10-29 1998-05-19 Glory Ltd 紙葉類集積装置
JPH11236162A (ja) 1998-02-19 1999-08-31 Hitachi Koki Co Ltd 排紙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341A (ko) * 2016-03-31 2017-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2529836B1 (ko) * 2016-03-31 2023-05-0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10643T3 (es) 2009-01-16
EP1415942A3 (en) 2006-04-05
KR20040038768A (ko) 2004-05-08
US20040145111A1 (en) 2004-07-29
US7455183B2 (en) 2008-11-25
CN1508056A (zh) 2004-06-30
EP1415942A2 (en) 2004-05-06
CN100475672C (zh) 2009-04-08
EP1415942B1 (en) 2008-07-23
US7487874B2 (en) 2009-02-10
US20060181000A1 (en) 2006-08-17
US7029008B2 (en) 2006-04-18
JP2004149264A (ja) 2004-05-27
US20060181001A1 (en) 2006-08-17
DE60322321D1 (de) 2008-09-04
ATE402111T1 (de) 2008-08-15
JP4160362B2 (ja)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365B1 (ko)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JP4292012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861007B2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EP251188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2005010967A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20220050409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392317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2007286752A (ja) 紙幣入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JPH08198493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KR100527162B1 (ko) 지폐방출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지폐 자동입출장치
JP4992002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4928149B2 (ja) 紙幣入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
JP2009007113A (ja) 紙葉類繰込繰出装置
KR200393229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RU27221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средств обращения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закций
JPH0714297Y2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KR10101650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4034552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出金装置
JP3556468B2 (ja) 紙葉類処理機の紙葉類搬送装置
JPH04125237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