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675B1 -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675B1
KR100966675B1 KR1020070140850A KR20070140850A KR100966675B1 KR 100966675 B1 KR100966675 B1 KR 100966675B1 KR 1020070140850 A KR1020070140850 A KR 1020070140850A KR 20070140850 A KR20070140850 A KR 20070140850A KR 100966675 B1 KR100966675 B1 KR 10096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belt
paper medium
press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664A (ko
Inventor
이원준
차진환
최영일
공제석
임경빈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675B1/ko
Priority to US12/342,676 priority patent/US8047428B2/en
Priority to CN2008101885948A priority patent/CN101470917B/zh
Publication of KR2009007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5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 B65H31/3063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by special supports like carriages, containers, trays, compartments, plates or bars, e.g. moved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시스택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에 적재된 종이매체를 전달받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와 연동되며, 상기 캐리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를 누르는 가압벨트; 상기 구동벨트 및 상기 가압벨트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의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가압벨트의 연동 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동안 상기 가압벨트와 상기 종이매체가 서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여, 일시스택부에 쌓인 종이매체가 캐리지에 적재되는 과정에서는 가압벨트가 구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압벨트와 종이매체가 서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캐리지, 원웨이 클러치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CASH TRANSACTION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낱장 단위로 공급되는 종이매체를 일시스택부에 저장한 후 일괄적으로 배출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종이매체 저장부로부터 종이매체를 낱장 단위로 픽업하여 이송하며, 이송된 종이매체는 바로 출금부로 이동하거나 일시스택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출금부로 이동한다. 일시스택부를 이용하는 경우, 종이매체를 묶음 단위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일시스택부를 이용하게 되면, 일시스택부에 저장된 매체들을 이송장 치로 이송 가능하게 장착해야 하며, 묶음 단위를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는 한 장에서 여러 장의 종이매체를 모두 이송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묶음 단위의 종이매체를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서 이송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일시스택부에 저장된 매체들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압부재와 매체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매체가 가지런히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묶음 단위의 종이매체를 이송함에 있어서, 종이매체의 묶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시스택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에 적재된 종이매체를 전달받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와 연동되며, 상기 캐리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를 누르는 가압벨트; 상기 구동벨트 및 상기 가압벨트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의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가압벨트의 연동 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동안 상기 가압벨트와 상기 종이매체가 서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매체출구 쪽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벨트가 아이들 상태에 있게 하고, 상기 캐리지가 상기 매체출구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벨트와 상기 구동벨트가 함께 구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일시스택부에 스택된 종이매체가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동안 또는 상기 종이매체를 적재한 상기 캐리지가 상기 매체출구를 향하여 전진하는 동안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종이매체의 과도하게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는 전방 고정 롤러, 후방 고정 롤러 및 상기 전방 고정 롤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하로 선회 가능한 전방 이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이동 롤러는 상기 캐리지의 접근 또는 후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캐리지 및 상기 구동벨트의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이동 롤러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전방 이동 롤러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매체출구까지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벨트는 상기 구동벨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벨트 및 상기 가압벨트는 각각 적어도 2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능한 상기 종이매체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폭 전체와 상기 구동벨트 및 상기 가압벨트의 배치 폭을 일치시켜 종이매체의 양단이 상기 캐리지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캐리지는 상기 구동벨트와 동기화되어 상기 구동벨트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시스택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에 적재된 종이매체를 전달받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와 연동되며, 상기 캐리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를 누르는 가압벨트; 상기 구동벨트 및 상기 가압벨트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의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캐리지가 상기 매체출구에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만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가압벨트가 함께 구동되게 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체출구에서부터 후퇴하는 상기 캐리지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출금되지 않고 회수되는 종이매체를 상기 캐리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벨트에 의해 정의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지의 전진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캐리지의 전진시에는 상기 캐리지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지 않고, 상기 캐리지의 후퇴시에는 상기 캐리지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하여 일시스택부에 쌓인 종이매체가 캐리지에 적재되는 과정에서는 가압벨트가 구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압벨트와 종이매체가 서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여 종이매체의 적재 상태를 보존할 수 있고,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과정에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금되지 않은 종이매체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가압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가압벨트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종이매체가 회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스토퍼를 이용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의 종이매체 분실 회수 처리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1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 사용되는 원웨이 클러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하우징(110) 내에 장착된 매체 저장부(120), 매체 이송장치(130), 일시스택부(140), 캐리지(carriage, 150), 캐리지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벨트(160) 및 종이매체를 누르기 위한 벨트 가압부(170)를 포함한다. 기능적으로 매체 저장부(120)에서 종이매체가 낱장 단위로 픽업 및 공급되며, 공급된 종이매체는 매체 이송장치(130)를 통해 일시스택부(140)로 이송된다. 낱장 단위로 공급되는 종이매체는 일시스택부(140)에 쌓이게 되며, 고객이 출금하고자 하는 매수만큼의 종이매체가 쌓이게 되면, 일시스택부(140)의 종이매체 묶음 또는 스택(stack)이 캐리지(150)로 전달된다. 캐리 지(150)로 전달된 종이매체 묶음은 캐리지(150)와 함께 매체출구(115)로 이동하며, 매체출구(115)에서 고객은 종이매체를 묶음 단위로 수령할 수 있다.
이 때, 벨트 가압부(170)는 캐리지(150)에 의해 전달되는 종이매체 묶음의 상면을 가압하며, 종이매체 지급을 위해 이동하는 동안 또는 고객이 수취하지 않는 경우 회수하는 동안 종이매체가 흩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한다. 이하, 상기 기능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매체 저장부(120)는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의 종이매체를 보관할 수 있으며, 고객이 일정 양의 종이매체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 기기의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는 보관된 종이매체 중 정해진 개수의 종이매체를 인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 때, 매체 저장부(120)에는 픽업 모듈(125)이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픽업 모듈(125)은 매체 저장부(120)로부터 정해진 개수의 종이매체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픽업 모듈(125)은 픽업 롤러, 피드 롤러, 게이트 롤러 및 핀치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및 기능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매체 저장부(120)로부터 픽업 및 공급된 종이매체는 매체 이송장치(130)를 통해 일시스택부(140)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체 이송장치(130)는 벨트 및 롤러로 이루어진 이송방식을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와 가이드판을 이용한 이송방식을 이용하여 매체를 이송할 수가 있다.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와 인접한 곳는 일시스택부(140)가 형성되며, 일시스택부(140)에서 종이매체는 한 장 씩 쌓이게 된다.
도 1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140)는 지지대(142), 전방 격벽(144), 후방 격벽(143), 스택승강부(146,148)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택승강부는 회전 지지대(146) 및 캠 기능을 하는 회전 가이드(148)를 포함한다. 지지대(142)와 회전 지지대(146)는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 지지대(146)의 선회 운동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대(142)는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캐리지(150) 전환을 위해 상승 이동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한편, 회전 가이드(148)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의 스택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142)의 전후 양단으로 전방 격벽(144)과 후방 격벽(143)이 제공된다. 전방 격벽(144)은 매체 이송장치(130)로부터 배출되는 종이매체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으며,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에 시트 롤러(미도시)가 장착되면 전방 격벽(144)에 의해서 종이매체는 잠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시트 롤러에 의해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후방 격벽(143)은 지지대(142) 상에서 종이매체가 정렬된 상태로 쌓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대(142)는 매체 이송장치(130) 출구 앞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148)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반경을 달리하는 나선형의 가이드 홈(149)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지지대(146)에는 그 가이드 홈과 결속되는 돌기(14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가이드(148)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지지대(146)가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지지대(146)가 하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시스택부(140)가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일시스택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대를 승강하기 위한 장치 역시 당업자라면 종래 기술로부터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캐리지(150)는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와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지지대를 갖는 포크(fork)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대(142)가 위로 상승하여 상승된 위치에 있으면, 캐리지(1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캐리지(150)의 하부가 지지대(142)로 삽입되어 종이매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150)의 상부 또는 양측에는 벨트 가압부(170)가 제공된다. 벨트 가압부(170)는 캐리지(150)의 이동 도중에 종이매체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매체가 흩어짐 없이 안정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벨트 가압부(170)는 캐리지(150)의 이동하는 전구간에서 종이매체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벨트(172) 및 가압벨트(172)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73~175)를 포함한다. 가압벨트(172)는 종이매체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는 전방 고정 롤러(173), 후방 고정 롤러(174) 및 전방 고정 롤러(173)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하로 선회 가능한 전방 이동 롤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이동 롤러(175)와 전방 고정 롤러(173) 사이에는 지지구(176)가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구(176)의 일단부는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 이동 롤러(175)는 지지구(176)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지지구(176)가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지지구(176)의 타단부는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원형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전방 이동 롤러(175)는 지지구(176)의 타단부와 함께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따라서 전방 이동 롤러(175)가 선회되더라도, 가압벨트(172)의 길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캐리지(150)가 전방 이동 롤러(175)에 접근됨에 따라 전방 이동 롤러(175)는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 이동 롤러(175)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면, 전방 이동 롤러(175)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캐리지(150)가 매체출구(115)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캐리지(150)가 전방 이동 롤러(175)로부터 후퇴됨에 따라 전방 이동 롤러(175)는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 이동 롤러(175)가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면, 전방 이동 롤러(175)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가압벨트(172)는 캐리지(150)와 무관하게 정지할 수 있지만 종이매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캐리지(150)의 이동과 함께 동일한 변위만큼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압벨트(172) 혹은 가이드롤러(173~175)가 캐리지(150)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벨트(160)와 연동할 수 있다. 구동벨트(160)와 가압벨트(172)가 연동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벨트 가압을 위한 벨트 가압부(170)와 연동하는 별도의 구동벨트(160)를 가압벨트(172)의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캐리지(150)를 바깥쪽에 설치된 구동벨트(160)에 캐리지(150)를 고정시켜 캐리지(150)가 구동벨트(160)와 함께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벨트(172)는 자유회전 또는 아이들(idle) 상태에 있도록 하여 종이매체와 함께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벨트(172)의 회전축과 구동벨트(160)의 회전축을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원웨이 클러치(190)의 회전축 장착공(191)에 가압벨트(172)의 회전축을 장착함으로써, 캐리지(150)가 매 체출구(115)를 향하여 전진하는 경우에는 가압벨트(172)가 아이들 상태에 있게 하고, 캐리지(150)가 매체출구(115)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가압벨트(172)와 구동벨트(160)가 함께 구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가압벨트(172)의 회전축과 구동벨트(160)의 회전축 동일 축을 중심을 회전할 수 있으며, 가압벨트(172)를 위한 풀리와 축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원웨이클러치(190)가 개재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벨트 및 구동벨트를 회전하기 위한 풀리의 축이 각각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캐리지(150)에 종이매체의 묶음이 적재된 상태로 매체출구(115)를 향하여 전진하는 경우에는 구동벨트(160)에만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어 움직이며 가동벨트(172)에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리지(150)가 전진하는 경우에 가압벨트(172)는 종이매체의 상면과 가압벨트(172)간의 가압 마찰력에 의해 가압벨트(172)는 아이들 상태로 움직일 수밖에 없게 된다.
만약,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캐리지(150)가 지지대(142)에 적재된 종이매체 묶음을 전달 받기 위해 구동벨트(160)가 구동되는 경우에 가압벨트(172)도 구동되고, 이로 인해 종이매체가 캐리지(150)에 적재되는 동안 가압벨트(172)와 종이매체가 서로 마찰하여 지지대(142)에 적재된 종이매체의 묶음이 흐트러진 상태로 캐리지(150)에 적재되거나 이송될 수 있다.
종이매체 묶음을 매체출구(115)로 이송하는 힘은 캐리지(150) 및 구동벨트(160)의 힘뿐이며, 가압벨트(172)는 종이매체의 묶음을 단순히 누르는 역할만 한다. 즉, 가압벨트(172)와 종이매체 묶음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종이매체의 묶음 이 이송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매체출구(115)로부터 캐리지(150)가 후퇴하는 경우에는 구동벨트(160)와 가압벨트(172)가 함께 구동하게 된다. 캐리지(150)가 후퇴하는 경우에 미처 출금되지 않고 회수되는 종이매체가 있는 경우에 가압벨트(172)가 구동하지 않고 아이들 상태에 있는다면 캐리지(150)에 적재된 종이매체가 흐트러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원웨이 클러치(190)는 복수개의 볼(192)이 장착된 베어링 형태이고 작동 원리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원웨이 클러치(190)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또 다른 예로, 가압벨트와 캐리지를 직접 고정하는 방법도 있다. 이 때, 가압벨트가 구동벨트의 역할도 하며, 가압벨트 외에 별도의 구동벨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캐리지(150)에 출금되지 않는 종이매체가 잔존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종이매체를 캐리지(150)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스토퍼(180)가 캐리지(150)의 이송경로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토퍼(180)는 구동벨트(160)에 의해 정의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캐리지(150)의 전진 방향으로 피벗 운동을 한다. 즉, 캐리지(150)의 전진시에는 캐리지(150)에 적재된 종이매체가 스토퍼(180)에 걸리지 않고, 캐리지(150)의 후퇴시에는 캐리지(150)에 적재된 종이매체가 스토퍼(180)에 걸리게 되어 캐리지(150)로부터 종이매체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종이매체는 별도로 설치된 회수함(미도시)에 모이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수함은 스토퍼(18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토퍼(180)가 캐리지(150)의 전진 방향으로만 피벗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180)의 상단은 하우징(110) 측에 힌지로 연결하고, 그 일측에 별도의 고정부재(181)를 장착하여 스토퍼(180)가 캐리지(150)의 후퇴(후진) 방향으로는 피벗 운동을 하지 못하게 한다.
한편, 스토퍼(180)는 캐리지(15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스토퍼(180)의 하단은 캐리지(150)의 종이매체 거치면과 어느 정도 오버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캐리지(150)에는 스토퍼(180)의 하단과 캐리지(150)가 서로 충돌 또는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부(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확기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에 원하는 양의 종이매체가 쌓이게 되면, 회전 가이드(14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대(14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2) 상에 적층된 종이매체는 벨트 가압부(170)의 저면과 접촉하게 되며, 가압벨트(172)에 의해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리지(150)가 매체출구(115)를 향하여 앞으로 이동하여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와 겹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캐리지(150)의 하부가 지지대(142)의 홈을 타고 안쪽으로 들어 갈 수 있으며, 회전 가이드(148)가 반대로 회전하여 지지대(142)가 하강하면 종이매체만 캐리지(150)에 남고 다른 일시스택부(140)는 아래로 계속 하강한다.
이로 인해, 종이매체는 캐리지(150)에 옮겨 지고, 캐리지(150)는 매체출구(115)를 향하여 계속 전진한다. 이 때, 원웨이 클러치(190)로 인해 가압벨트(172)는 아이들 상태에 있게 된다.
도 5를 보면, 캐리지(150)는 종이매체와 함께 매체출구(115)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캐리지(150)가 스토퍼(180)와 만나게 되더라도 캐리지(150)는 스토퍼(180)를 밀면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즉, 스토퍼(180)는 캐리지(150)에 의해 캐리지(150)의 전진방향으로 피벗 운동을 하면서 캐리지(150)의 이송 경로를 열어 주게 된다.
한편, 매체출구(115)까지 캐리지(150)가 이동하면서, 전방 이동 롤러(175)가 위로 들리게 되며, 기존의 가압벨트(172) 길이로는 벨트의 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고객이 종이매체를 수취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다시 회수해야 하는데, 이때 가압벨트(172)의 늘어짐은 벨트 가압부(170)에 의한 압력 강하를 의미하여 원활한 종이매체 회수를 방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객이 수취하지 않는 종이매체는 다시 회수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취되지 않는 종이매체는 캐리지(150)에 적재된 상태로 다시 후퇴 내지 후진하게 된다. 이 때, 가압벨트(172)는 구동벨트(160)와 함께 구동되어 종이매체의 상면을 누르기 때문에 종이매체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캐리지(150)가 후진하는 중에 스토퍼(180)를 만나면, 스토퍼(180)에 의해 적재된 종이매체가 걸리게 된다. 이는 고정부재(181)에 의해 스토퍼(180)가 캐리 지(150)의 후진방향으로는 피벗 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종이매체는 스토퍼(180)에 걸린 상태이지만 캐리지(150)는 계속 후진하기 때문에 종이매체가 캐리지(150)에서 분리되며, 분리된 종이매체는 스토퍼(180)의 하부에 형성된 회수함(RT)으로 떨어지면서 모이게 된다.
종이매체가 분리된 캐리지(150)는 계속 후진하여 다시 종이매체를 이송할 수 있는 초기 위치로 오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현금입출금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 사용되는 원웨이 클러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금융자동화기기 110:하우징
120:매체 저장부 130:매체 이송장치
140:일시스택부 150:캐리지
160:구동벨트 170: 벨트 가압부
180: 스토퍼 190: 원웨이 클러치

Claims (7)

  1. 일시스택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에 적재된 종이매체를 전달받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와 연동되며, 상기 캐리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를 누르는 가압벨트;
    상기 구동벨트 및 상기 가압벨트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의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가압벨트의 연동 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동안 상기 가압벨트와 상기 종이매체가 서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매체출구 쪽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벨트가 아이들 상태에 있게 하고,
    상기 캐리지가 상기 매체출구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벨트와 상기 구동벨트가 함께 구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는 전방 고정 롤러, 후방 고정 롤러 및 상기 전방 고정 롤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하로 선회 가능한 전방 이동 롤러를 포함하 며, 상기 전방 이동 롤러는 상기 캐리지의 접근 또는 후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벨트는 상기 구동벨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벨트 및 상기 가압벨트는 각각 적어도 2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구동벨트와 동기화되어 상기 구동벨트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출구에서부터 후퇴하는 상기 캐리지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벨트에 의해 정의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지의 전진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전진시에는 상기 캐리지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지 않고, 상기 캐리지의 후퇴시에는 상기 캐리지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70140850A 2007-12-28 2007-12-28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50A KR100966675B1 (ko) 2007-12-28 2007-12-28 금융자동화기기
US12/342,676 US8047428B2 (en) 2007-12-28 2008-12-23 Cash transaction machine
CN2008101885948A CN101470917B (zh) 2007-12-28 2008-12-25 一种现金交易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50A KR100966675B1 (ko) 2007-12-28 2007-12-28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64A KR20090072664A (ko) 2009-07-02
KR100966675B1 true KR100966675B1 (ko) 2010-06-29

Family

ID=4082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50A KR100966675B1 (ko) 2007-12-28 2007-12-28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6675B1 (ko)
CN (1) CN1014709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318B1 (ko) 2008-12-23 2011-10-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76B1 (ko) * 2007-12-28 2010-06-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JP5512236B2 (ja) * 2009-11-10 2014-06-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帳収納装置及び現金自動預け払い機
WO2011081497A2 (ko) * 2009-12-31 2011-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1266174B1 (ko) * 2012-03-09 2013-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낙하방식의 지폐 수납기구
EP2720203A1 (de) * 2012-10-15 2014-04-16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EP3485469B1 (en) * 2016-07-13 2021-10-27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Contact stripper/feed wheel implementation
EP3229213B1 (en) * 2016-09-20 2018-09-12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Device for the output of notes of value with an adjustable guide 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234A (ko) * 2003-12-31 2005-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입출금기의 입금장치
KR20060129647A (ko) * 2005-06-13 2006-1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70115649A (ko) * 2006-05-30 2007-12-06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처리장치
KR20090067356A (ko) * 2007-12-21 2009-06-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234A (ko) * 2003-12-31 2005-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입출금기의 입금장치
KR20060129647A (ko) * 2005-06-13 2006-1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70115649A (ko) * 2006-05-30 2007-12-06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처리장치
KR20090067356A (ko) * 2007-12-21 2009-06-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318B1 (ko) 2008-12-23 2011-10-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64A (ko) 2009-07-02
CN101470917A (zh) 2009-07-01
CN101470917B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82365B1 (ko) 집적장치 및 순환식 지폐입출금기
KR20090072666A (ko) 금융자동화기기
US8047428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EP2980762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irculating cash box mechanism thereof
CN102124499B (zh) 介质处理装置
EP251188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910001242B1 (ko) 지폐출납기 등에 있어서의 지폐반송장치
KR100961577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63682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900009173Y1 (ko) 지폐출납기의 지폐누름 장치
KR1010773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77322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202654Y1 (ko) 카드 디스펜서
JP2006163917A (ja) 紙幣入出金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077318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143905B1 (ko)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KR20090067356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527162B1 (ko) 지폐방출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지폐 자동입출장치
JP6678853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KR101427900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KR101266593B1 (ko) 매체출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