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593B1 - 매체출납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출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593B1
KR101266593B1 KR1020070024136A KR20070024136A KR101266593B1 KR 101266593 B1 KR101266593 B1 KR 101266593B1 KR 1020070024136 A KR1020070024136 A KR 1020070024136A KR 20070024136 A KR20070024136 A KR 20070024136A KR 101266593 B1 KR101266593 B1 KR 10126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dium
pickup
media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493A (ko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7002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5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출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내부에 부품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플레이트(10)와; 상기 부품설치공간에 설치되고, 매체(m)가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49)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로부터 승강되어, 상기 매체(m)를 승강시키는 리프트가이드(50)와; 상기 리프트가이드(50)와 직교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매체(m)의 일측을 지지하는 픽업가이드(60)와; 상기 픽업가이드(60)와 일측이 마주보게 이동하여 상기 픽업가이드(60)에 상기 매체(m)를 밀착시키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푸시플레이트(90)와; 상기 부품설치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매체출납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리젝트가이드(70)와; 상기 픽업가이드(6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매체(m)가 상기 픽업가이드(60)와 상기 푸시플레이트(90) 사이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가이드(50)가 하강하면 상기 매체(m)를 한장씩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구동부(4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m)가 수납되거나 지급되는 과정에서 회전되지 않고, 리프트가이드(50) 및 픽업가이드(60)에 의해 수직 및 수평이동을 하게 되므로, 매체(m)의 정렬된 상태가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매체자동지급기. 매체출납장치, 매체

Description

매체출납장치{Apparatus of media receiving/discharging}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 의해 매체가 출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출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구비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매체출납장치의 내부로 매체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의 매체출납장치의 외부로 매체가 배출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프트가이드를 중심으로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픽업가이드를 중심으로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젝트가이드를 중심으로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어가이드를 중심으로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플레이트 30: 셔터
42: 회수구동부 48: 회수이송부
49: 베이스플레이트 50: 리프트가이드
60: 픽업가이드 70: 리젝트가이드
80: 리어가이드 90: 푸시플레이트
95: 스태킹휠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매체를 수납하거나, 혹은 고객에게 매체를 지급하기 위한 매체출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매체는 매체자동지급기로부터 고객에게 지급되거나, 고객으로부터 매체자동지급기로 입금된다. 일반적으로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보관함, 상기 매체보 관함에서 매체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피드모듈, 상기 피드모듈을 지나온 매체를 이송하는 딜리버리모듈과, 상기 딜리버리모듈을 통과한 매체를 모아 고객에게 전달하는 고객접근모듈을 포함한다.
도 1a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출납장치를 구성하는 고객접근모듈의 구성이 개략적인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출납장치를 구성하는 고객접근모듈이 회동하여 이송회수부를 향한 모습이 개략적인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고객접근모듈은 도어(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거나 혹은 입금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수취 혹은 입금이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차폐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고객접근모듈의 출납공간(2)이 노출된다. 상기 출납공간(2)은 케이스(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매체(m)가 상기 피드모듈(미도시)과 딜리버리모듈(미도시)을 거쳐 안착되는 공간이다. 즉, 상기 케이스(1)는 일측이 개방되어 개구부(2')가 형성된 바구니와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져, 그 내부공간이 출납공간(2)이 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안내된 매체(m)가 스태킹휠(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고객이 원하는 매수만큼 상기 케이스(1)에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출납공간(2)에 매체(m)가 집적된 상태에서, 고객은 상기 개방된 입구를 통해 손을 넣어 상기 매체(m)를 수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객이 매체(m)를 입금하거나 미수취된 매체(m)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출납공간(2)에 적재된 매체(m)가 픽업롤러(3)와 푸시플레이트(4)에 의해 한장 씩 분리되고,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6)에 의해 상기 케이스(1)으로부터 회수이송부(미도시)로 이동하여 별도로 구비된 회수함(미도시) 내부로 안내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매체출납기의 동작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고객이 상기 매체(m)를 입금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출납공간(2)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1)는 그 개구부(2')가 상기 도어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를 통해 고객이 매체(m)를 입금하면, 상기 도어는 차폐되고 상기 케이스(1)는 개구부(2')가 상기 회수이송부를 향하도록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매체(m)는 회수이송부를 통해 상기 회수함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재된 상기 매체(m) 역시 그 적재된 방향이 변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고객은 중력방향, 즉 상부에서 하부로 매체(m)를 세워서 입금하게 되나, 케이스(1)가 회전하면 상기 매체(m)는 중력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매체(m)는 상기 픽업롤러(3)와 푸시플레이트(4) 사이에 밀착되어 한장씩 분리된다. 그리고, 한장씩 분리된 상기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6)의 회전을 따라 상기 이송회수부를 통해 회수함으로 이송된다. 즉, 상기 매체(m)는 도 1b에 도시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매체(m)가 지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이동된 매체(m)는 상기 스태킹휠에 의해 각각 낱장으로 분리되어, 도 1b에 도시된 화살표(B)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케이스(1)의 출납공간(2)에 적재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는 개구부(2')가 상기 스태킹휠 방향을 향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m)가 모두 적재되면, 상기 케이스(1)는 개구부(2')가 상기 도어를 향하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매체(m) 역시 그 적재된 방향이 변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매체(m)도 회전을 통해 상기 도어를 향하게 되어, 도 1a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매체(m)의 크기가 다양해짐에 따라, 크기가 다른 매체(m)들이 입금되었을 때 서로 겹치거나 빠지지 않도록, 정확하게 낱장으로 이송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매체(m)의 입금과정에서 상기 케이스(1)가 회전하여 상기 매체(m)가 적재된 방향이 변하므로, 그 과정에서 매체(m)들의 정렬이 흐트러질 염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m)들이 가지런하게 정렬되지 못한 상태에서 이송이 이루어지면, 이송과정에서 매체(m)가 누락되거나, 서로 겹쳐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매체(m)가 지급되는 경우에도 상기 케이스(1)가 회전하므로, 상기 매체(m)의 적재된 방향이 변하게 되어, 그 과정에서 매체(m)의 정렬상태가 불량해질 우려가 있다. 즉, 매체(m)들이 가지런하게 정렬되지 못한 상태로 상기 출납공간(2)에 적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가 수납되거나 지급되는 과정에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체출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내부에 부품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플레이트와 상기 부품설치공간에 설치되고, 매체가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승강되어, 상기 매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가이드와 상기 리프트가이드와 직교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매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픽업가이드와 상기 픽업가이드와 일측이 마주보게 이동하여 상기 픽업가이드에 상기 매체를 밀착시키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푸시플레이트와 상기 부품설치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매체출납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리젝트가이드와 상기 픽업가이드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매체가 상기 픽업가이드와 상기 푸시플레이트 사이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가이드가 하강하면 상기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젝트가이드는 상기 픽업가이드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프트가이드 및 상기 픽업가이드와 함께 선택적으로 상기 매체출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는 상기 리젝트가이드가 상기 리프트가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픽업가이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리젝트가이드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리젝트가이드가 상기 리프트가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매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리어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회수구동부는, 상기 픽업가이드와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사이에 있는 상기 매체에 상기 픽업가이드를 관통하여 접촉되고, 상기 매체를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관통한 위치에 구비되어 다수장의 매체가 통과하는 것을 분리하는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가이드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롤러가 회동하여, 상기 리프트가이드에 안착된 상기 매체가 상기 리프트가이드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콘트라롤러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매체출납장치에는 스태킹휠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스태킹휠에는 그 외주를 둘러 와선상으로 다수개의 이송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날개의 사이에 매체를 한장씩 끼워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매체를 집적한다.
상기 리젝트가이드는 회동을 통해 상기 픽업가이드와 마주보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태킹휠로부터 배출되는 매체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픽업가이드가 상기 스태킹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와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매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리어가이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가 수납되거나 지급되는 과정에서 매체가 집적된 방향이 바뀌지 않고, 리프트가이드 및 픽업가이드에 의해 수직 및 수평이동을 하게 되므로, 매체의 정렬된 상태가 유지되어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출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출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개략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구비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측면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플레이트(1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내부에 부품설치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는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양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각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전면플레이트(12)와 후면플레이트(14)가 배치되고,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상측에는 상면플레이트(16)이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2), 후면플레이트(14) 그리고 상기 상면플레이트(1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매체자동지급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상면플레이트(16)에는 셔터(30)가 장착된다. 상기 셔터(30)는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매체출납공간(35)을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매체출납공간(35)의 하방에는 회수구동부(42)가 설치된다. 상기 회수구동부(42)는 아래에서 설명될 푸시플레이트(90)와 픽업가이드(60) 사이에 압착되어 있는 매체(m)를 분리하여 내고 한장씩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 사이에는 픽업롤러(43)가 구비된다. 상 기 픽업롤러(43)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매체(m)를 푸시플레이트(90)와 픽업가이드(60) 사이에서 분리해 낸다.
상기 픽업롤러(43)를 통과한 위치에는 각각 피드롤러(45)와 콘트라롤러(47)가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45)는 상기 픽업롤러(4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 매체(m)를 이송시키고, 상기 콘트라롤러(47)는 상기 피드롤러(4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정지하여 여러장의 매체(m)가 동시에 이송되지 못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드롤러(45)와 콘트라롤러(47)를 통과한 위치에는 매체(m)를 이송시키기 위해 회수이송부(48)가 구비된다. 상기 회수이송부(48)는 벨트기구와 이송롤러를 사용하여 매체(m)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베이스플레이트(49)가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는 상기 매체(m)의 단부가 세워져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프레임플레이트(10) 사이에,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의 좌우로 연장된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매체(m)가 상기 피드롤러(45)와 콘트라롤러(47)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의 선단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에 대해 리프트가이드(5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리프트가이드(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에 대해 중력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매체(m)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프트가이드(50)에는 안착판(52)(도 6a참조)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 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리프트가이드(50)를 위해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되고, 이와 연결되는 두 기어(54,55)와 벨트기구(57)에 의해 상기 리프트가이드(50)가 승강된다.(도 6a참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에 대해 픽업가이드(6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를 따라 가이드레일(61)이 설치되어, 상기 픽업가이드(6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픽업가이드(60)에는 지지판(6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62)은 상기 매체(m)의 일측을 지지하여, 매체(m)가 적재된 상태에서 눕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판(6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픽업롤러(43)가 매체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픽업가이드(60)는 상기 별도의 구동원으로부터 두 기어(64,65)와 벨트기구(67)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이동된다.(도 7a참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의 상방에는 리젝트가이드(70)가 설치된다.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상기 리프트가이드(50) 및 상기 픽업가이드(60)와 함께 상기 매체출납공간(35)을 형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회동을 통해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프트가이드(50) 및 픽업가이드(60)와 매체출납공간(35)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리프트가이드(50)에는 가이드판(72)이 구비된다(도 8a참조). 그리고 상기 리프트가이드(50)에는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되어, 두 기어(74,75) 와 벨트기구(77)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72)이 이동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가이드(50)에는 가이드프레임(78)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78)에는 가이드슬롯(79)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72)을 회동시키게 된다. 즉, 구동원에 의한 동력이 상기 벨트기구(77)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지만, 상기 가이드판(72)은 상기 가이드슬롯(79)에 의해 상기 픽업가이드(60)와 평행하게 세워진다.(도 8a 참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과 인접하여 리어가이드(80)가 구비된다. 상기 리어가이드(80)는 상기 매체(m)의 일측을 임시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리젝트가이드(70)가 상기 픽업가이드(60) 및 리프트가이드(50)와 함께 매체출납공간(35)을 형성하다가, 다시 상방으로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순간에, 상기 리어가이드(80)가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매체(m)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9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가이드(80)에는 지지부(82)와, 연결부(8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82)는 상기 매체(m)방향으로 돌출되어, 매체(m)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82)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83)에는 가이드슬롯(83')이 형성되어 상기 리어가이드(80)가 직립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어가이드(80)를 위한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되고, 두개의 기어(84,85)와 벨트기구(87)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리어가이드(80)가 회동하게 된다.(도 9a 참조)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에는 푸시플레이트(90)가 설치된 다. 상기 푸시플레이트(90)는 후술할 스태킹휠(95)의 이송날개(98) 사이에 끼워진 매체(m)를 한장씩 분리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 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플레이트(90)는 상기 픽업가이드(60)에 매체(m)를 밀착시켜 매체(m)를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회수되어야 할 매체(m)를 상기 픽업롤러(43)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9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로 구비된 구동원과 기어열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된다.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 사이에는 매체(m)를 이송하여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m)를 적층시키는 스태킹휠(95)이 구비된다. 상기 스태킹휠(95)은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에 양단이 지지되는 휠축(96)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스태킹휠(95)에는 그 외주면을 둘러 와선상으로 이송날개(9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날개(98)는 그 사이사이에 매체(m)를 한장씩 끼워 이송시킨다. 상기 스태킹휠(95)은 딜리버리모듈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나, 별도의 구동원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출납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가 동작되는 것을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 의한 매체회수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매체출납장치의 내부로 매체(m)가 삽입 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고객이 매체(m)의 입금을 요청하면, 상기 셔터(30)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매체출납공간(35)이 고객에게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가이드(50)는 상승된 상태이다. 즉, 구동원에 의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가이드(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에 대해 상방으로 수직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젝트가이드(70)가 하강하여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한다. 즉,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78)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롯(79)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픽업가이드(60)와 평행하게 세워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a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픽업가이드(60)는 상기 스태킹휠(95)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 즉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기 셔터(30), 리프트가이드(50), 리젝트가이드(70)의 동작은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객이 매체(m)를 삽입할 수 있는 매체출납공간(35)이 형성된다. 즉, 상기 리프트가이드(50), 픽업가이드(60), 그리고 리젝트가이드(70)에 의해 매체출납공간(35)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고객이 상기 매체출납공간(35)에 매체(m)를 삽입하면, 상기 셔터(30)는 다시 닫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리어가이드(80)가 직립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상기 리어가이드(80)는 상기 리젝트가이드(70)를 대신하여 상기 픽업 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매체(m)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리어가이드(80)는 두개의 기어와 벨트기구에 의해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리어가이드(80)의 지지부(82)가 상기 픽업가이드(60)를 향하도록 회전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상기 리젝트가이드(70)가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0)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슬롯(79)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젝트가이드(7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푸시플레이트(90)가 상기 매체(m)쪽으로 이동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태킹휠(95)의 하방에 위치하던 푸시플레이트(90)가 상기 매체(m)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푸시플레이트(90)는 상기 리젝트가이드(70)가 상기 리프트가이드(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픽업가이드(6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리젝트가이드(70)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90)가 매체(m)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픽업가이드(60)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매체(m)는 상기 푸시플레이트(90)와 픽업가이드(60) 사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가이드(50)는 하강하고,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60)는 상기 픽업롤러(43)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리프트가이드(50)가 하강 하면, 상기 리프트가이드(50)의 안착판(52)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매체(m) 역시 하강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의 선단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가이드(50)는 회전하지 않고, 중력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하므로 회동에 의해 매체(m)의 정렬된 상태가 흐트러질 염려가 없게 된다.
상기 리프트가이드(5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픽업롤러(43)에 상기 매체(m)의 일측이 접하게 된다. 이는, 상기 리프트가이드(50)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60)가 상기 픽업롤러(43)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픽업가이드(60)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픽업롤러(43)가 돌출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픽업롤러(43)가 회전하여 매체(m)를 한장씩 상기 픽업가이드(60)와 푸시플레이트(90)의 사이에서 분리하여 낸다. 이에 따라, 상기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45)와 콘트라롤러(47)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상기 콘트라롤러(47)가 피드롤러(4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정지된 상태에 있어 2장 이상이 동시에 이송되지 않게 된다.
상기 피드롤러(45)와 콘트라롤러(47)를 통과한 매체(m)는 회수이송부(48)를 따라 안내되어 매체(m)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매체(m)가 저장되는 부분은 회수함일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에게 매체(m)가 지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매체출납장치의 외부로 매체가 배출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고객이 소정 매수의 매체(m)를 요청하 면, 매체카세트(도시되지 않음)에 들어 있던 매체(m)를 분리하여 이송한다. 최종적으로 이송된 매체(m)는 딜리버리모듈을 통과하여 스태킹휠(95)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픽업가이드(60)는 상기 스태킹휠(95)쪽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따라서 상기 지지판(62)도 스태킹휠(95)에 인접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푸시플레이트(90)는 상기 스태킹휠(95)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셔터(30)는 닫혀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태킹휠(95)을 향해 이동된 매체(m)는 상기 스태킹휠(95)의 이송날개(98) 사이에 한장씩 삽입된다. 상기 스태킹휠(95)의 이송날개(98)에 삽입된 매체(m)는 스태킹휠(95)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매체(m)는 상기 스태킹휠(95)로부터 한장씩 분리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의 상면에 집적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고객이 요청한 매수만큼 매체(m)가 집적되면, 상기 픽업가이드(60)는 상기 픽업롤러(43) 방향, 즉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어가이드(80)가 회동하여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게 위치한다. 즉, 상기 리어가이드(80)는 상기 픽업가이드(60)가 이동하는 사이에 상기 매체(m)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에 눕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매체(m)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리젝트가이드(70)가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 즉 상기 스태킹휠(95)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슬롯(79)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여, 상기 픽업가이드(60)의 지 지판(62)과 평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리어가이드(80)의 역할을 맡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상기 픽업가이드(60)와 마주보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스태킹휠(95)로부터 배출되는 매체(m)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어가이드(80)는 회동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어가이드(80)와 상기 리젝트가이드(70)는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므로, 이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셔터(30)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가이드(50)가 구동원에 의해 이동한다. 즉, 상기 리프트가이드(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9)에 대해 상방으로 직교한 방향으로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안착판(52)에 안착되어 있던 매체(m) 역시 상방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매체(m)는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좌측 상방으로 이동하여, 고객에게 가까운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고 나면, 상기 셔터(30)는 다시 닫히게 된다. 만약 고객이 수취하지 않고 남은 매체(m)가 있다면, 상기 매체회수과정을 통해, 미수취 매체(m)가 회수되어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에 보관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출납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매체를 회수하거나 지급하는 과정에서 매체가 회전되지 않고, 직선운동을 통해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고객에게 전달된다. 즉, 수평방향의 이동은 픽업가이드에 의해, 그리고 수직방향의 이동은 리프트가이드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매체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삽입되고 지급되어, 매체의 정렬상태가 좋아지고, 매체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매체 사이가 겹쳐지거나 누락될 우려가 줄어든다. 따라서,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프트가이드에 의해 매체가 고객에게 가까운 높이만큼 상승될 수 있어, 고객이 보다 쉽게 매체를 집거나 매체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객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내부에 부품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플레이트와;
    상기 부품설치공간에 설치되고, 매체가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승강되어, 상기 매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가이드와;
    상기 리프트가이드와 직교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매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픽업가이드와;
    상기 픽업가이드와 일측이 마주보게 이동하여 상기 픽업가이드에 상기 매체를 밀착시키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푸시플레이트와;
    상기 부품설치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매체출납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리젝트가이드와;
    상기 픽업가이드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매체가 상기 픽업가이드와 상기 푸시플레이트 사이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가이드가 하강하면 상기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구동부를 포함하는 매체출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젝트가이드는 상기 픽업가이드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프트가이드 및 상기 픽업가이드와 함께 선택적으로 상기 매체출납공간을 형성하는 매체출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는 상기 리젝트가이드가 상기 리프트가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픽업가이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리젝트가이드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매체출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젝트가이드가 상기 리프트가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매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리어가이드가 구비되는 매체출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구동부는,
    상기 픽업가이드와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사이에 있는 상기 매체에 상기 픽업가이드를 관통하여 접촉되고, 상기 매체를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관통한 위치에 구비되어 다수장의 매체가 통과하는 것을 분리하는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를 포함하는 매체출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가이드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롤러가 회동하여, 상기 리프트가이드에 안착된 상기 매체가 상기 리프트가이드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콘트라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매체출납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설치공간에는 스태킹휠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태킹휠에는 그 외주를 둘러 와선상으로 다수개의 이송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날개의 사이에 매체를 한장씩 끼워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출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젝트가이드는 회동을 통해 상기 픽업가이드와 마주보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태킹휠로부터 배출되는 매체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매체출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가이드가 상기 스태킹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와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매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리어가이드가 구비되는 매체출납장치.
KR1020070024136A 2007-03-12 2007-03-12 매체출납장치 KR10126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136A KR101266593B1 (ko) 2007-03-12 2007-03-12 매체출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136A KR101266593B1 (ko) 2007-03-12 2007-03-12 매체출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493A KR20080083493A (ko) 2008-09-18
KR101266593B1 true KR101266593B1 (ko) 2013-05-22

Family

ID=4002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136A KR101266593B1 (ko) 2007-03-12 2007-03-12 매체출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832B1 (ko) * 2018-10-04 2023-08-04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084A (ko) * 2005-01-04 2006-07-0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084A (ko) * 2005-01-04 2006-07-0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493A (ko)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770B1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100961577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910001242B1 (ko) 지폐출납기 등에 있어서의 지폐반송장치
KR102529836B1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20100080113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266593B1 (ko) 매체출납장치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63682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26674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KR1010946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KR2010008011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140124233A (ko) 매체 집적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68131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 유닛
KR101077318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2594725B2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KR20090067356A (ko) 금융자동화기기
JP6678853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3490318B2 (ja) 紙幣処理機
JP3664370B2 (ja) リフト駆動機構
KR20060080085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장치
JP3908488B2 (ja) 紙幣の搬送装置
JP2610690B2 (ja) 補充/回収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