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832B1 -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832B1
KR102563832B1 KR1020180118102A KR20180118102A KR102563832B1 KR 102563832 B1 KR102563832 B1 KR 102563832B1 KR 1020180118102 A KR1020180118102 A KR 1020180118102A KR 20180118102 A KR20180118102 A KR 20180118102A KR 102563832 B1 KR102563832 B1 KR 10256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s
unit
temporary storage
banknotes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642A (ko
Inventor
장상환
이춘우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8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25Secure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처리 장치 내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내로 투입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적재해두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처리 장치의 전면측에서 볼 때 전면측 위에서부터 안쪽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투입된 지폐가 순차적으로 인입되어 적재되도록 안내해주는 스풀휠과; 상기 스풀휠에 의해 안내된 지폐를 상기 스풀휠에서 빠져나오게 하여 상기 투입된 지폐를 순서대로 적재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풀휠에 삽입되지 못한 지폐가 있는 경우엔 상기 삽입되지 못한 지폐의 플라잉아웃을 막아주는 스토퍼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풀휠에서 빠져나온 지폐가 순서대로 적재되는 지지이송부를 포함하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이다.

Description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AN APPARATUS OF STORING BANKNOTES TEMPORARILY AND A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폐를 임시 보관하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지폐 처리 후 후속 처리를 위해 지폐들을 임시로 적재해둘 수 있고 임시 적재 시에 플라이아웃(flying-out)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임시 적재된 지폐를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은행뿐 아니라 우체국, 공항, 터미널, 환전소, 쇼핑센터, 편의점, 소매점, 카지노, 테마파크, 면세점 등 현금 거래가 많은 곳에서는 지폐 보관에 대한 안전성 및 지폐 관리를 위해 지폐 입금기나 입출금기나 리싸이클러와 같은 지폐 처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대형 할인 매장을 중심으로 셀프체크아웃 시스템이 도입되는 등 무인 지폐 입출금 처리를 위한 지폐 처리 장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고 있고, 기본적으로 지폐의 입금 및/또는 출금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는, 사용자나 고객이 지폐를 넣거나 회수할 수 있는 투입부와, 지폐를 롤러나 벨트와 같은 소정의 이송 수단에 의해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로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 각종 센서들을 구비하여 이들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입된 지폐에 대해 소정의 판별 처리를 수행하는 판별부와, 그 판별 처리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임시 보관부와, 소정의 처리가 완료된 지폐를 임시 보관부로부터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고객이나 사용자에 의해 입금할 지폐가 투입되고 나서 계수 등의 소정의 지폐 처리 후, 투입한 지폐의 액수(즉, 입금한 돈)과 계수 후 표시된 액수가 일치하는지를 사용자에게 묻고 사용자가 입금 확인(승인)을 하면(즉, 확인 버튼이나 아이콘을 누름) 자신이 입금시키고자 하는 금액의 입금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때, 사용자가 입금 확인(승인)을 하기 전에 입금된 지폐(즉, 투입된 지폐)가 계수 등의 소정의 처리 후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곳이 상기 임시 보관부이다. 즉, 투입부로 투입된 지폐는 판별부를 거쳐 해당 지폐의 권종, 액수 등이 판별된 후 임시 보관부에 일시적으로 적재되고, 입금시킨 사용자나 고객이 입금 금액을 확인하고 입금 확인 버튼(또는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임시 보관부에 일시적으로 적재되었던 지폐가 수납부로 이송되어 입금 동작이 완료하게 된다. 또, 투입된 지폐 중 판별 결과가 부적합하여 리젝된 지폐가 있거나, 사용자가 입금 금액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입금을 취소하고 반환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임시 보관부에 적재된 지폐나 리젝된 지폐를 사용자가 회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발명의 명칭이 “지폐 입금 장치”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535791호(2014년7월2일 공고)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특징은 집적부에 임시 집적된 지폐가 사용자의 입금 승인 후에 반송 장치에 의해 수납부로 반송되게 되는데, 플라이아웃 되어 잘못 집적된 지폐가 집적부내에 잔류하게 되면 오산 등의 문제가 생기므로 집적부 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지폐 집적 상태가 비정상인지를 먼저 체크한 후에 입금 승인 및 수납 처리를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지폐가 플라이아웃되는 현상을 예방하기보다는 플라이아웃되어 비정상적으로 적재된 지폐를 발견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의 장치에서와 같이 입금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지폐 처리 장치들은 임시 보관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종래의 장치들의 임시 보관부는, 상기 공보의 도면에서 보이는 대로 지폐 처리 장치의 안쪽 위로부터 전면측 아래로 회전하는 스풀휠에 인입되는 지폐가 꽂히면서 소정 각도 회전 후 상기 꽂혔던 지폐가 스토퍼에 의해 스풀휠에서 제거되어 사용자 앞쪽(즉, 지폐 처리 장치의 전면측)으로 적재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를테면, 도 1의 경우처럼, 도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스풀휠이 회전하고 있고 반송되어온 지폐가 인입되어 스풀휠에 꽂힌 상태에서 소정 각도 더 회전한 후 스토퍼에 의해 상기 꽂혔던 지폐가 스풀휠로부터 꺼내어져 상기 지폐가 사용자의 회수나 수납부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전면측(도 1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져 세워지게 적재된다. 이 때, 임시 보관부에 지폐가 인입되어 적재되는 과정에서 종종 지폐가 스풀휠에 정확히 꽂히지 않고 플라이아웃되어 정상적인 적재가 안되고 다른 위치에 적재되거나 임시보관부의 윗벽에 붙거나 적재된 지폐 위에 걸터앉듯이 얹어져서(도 1 참조), 임시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로 이송할 때 함께 이송되지 못하고 임시 보관부내에 잔류하게 되어 입출금 액수에 오산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발명의 명칭이 “지폐 입금 장치”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23538호(2011년6월29일)에서는, 임시 보관부에 임시 적재된 지폐들을 반송부의 상호 회전 작용에 의해 수납부가 있는 아래 방향으로 이송시켜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의 전면측에서 볼 때, 스풀휠 안쪽에서부터 스풀휠들 사이로 나와 전면측으로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기 임시 적재된 지폐 더미를 전면측으로 푸싱하기 위한 롤러와 벨트로 형성된 제1 당접반송부와, 상기 임시 보관부에 임시 집적된 지폐 더미를 상기 장치의 전면측에 고정 배치되고 이송 롤러를 구비한 제2 당접반송부가 서로 상호 회전 작용함으로써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슬라이딩부가 스풀휠 사이에서 전후 이동하게 하는 구조여서 이송 장치의 구성 관계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필요하여 제조원가도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오래 전부터 대두되어 왔으나, 보편화되어 있는 지폐 처리 장치의 설계 관습상 기존의 방식을 수용하면서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곤 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지폐 처리 후 후속 처리를 위해 지폐들을 임시로 적재해둘 수 있고 적재 시에 플라이아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임시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로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조를 채용한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폐 처리 장치 내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내로 투입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적재해두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처리 장치의 전면측에서 볼 때 전면측 위에서부터 안쪽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투입된 지폐가 순차적으로 인입되어 적재되도록 안내해주는 스풀휠과; 상기 스풀휠에 의해 안내된 지폐를 상기 스풀휠에서 빠져나오게 하여 상기 투입된 지폐를 순서대로 적재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풀휠에 삽입되지 못한 지폐가 있는 경우엔 상기 삽입되지 못한 지폐의 플라잉아웃을 막아주는 스토퍼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풀휠에서 빠져나온 지폐가 순서대로 적재되는 지지이송부를 포함하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지폐 임시 보관 장치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지폐 처리 후 후속 처리를 위해 지폐들의 임시 적재가 가능하고 적재 시에 플라이아웃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 임시 적재된 지폐의 수납부로의 이송을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임시 보관부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보관 장치의 주요 구조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단면도에서 볼 때 반대쪽에서 보이는 임시 보관 장치의 주요 구조를 사시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의 동작 및 처리 과정을 단면도를 이용해 단계별로 구분하여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의 양 측면의 주요 부분을 사시도로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서 가압 이송부를 기동시키는 구동 관련 요부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의 요부의 동작 및 처리 과정을 단면도를 이용해 단계별로 각 요부의 상태를 구분하여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에 임시 적재된 지폐들을 수납부로 이송할 때 도어의 개폐 동작을 사시도로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임시 보관 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의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 장치의 양쪽 측면을 단면도로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장치의 중앙 및 양쪽 측면을 단면도로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에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로 이송할 때의 상태 및 동작을 단면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에 적재된 지폐를 사용자가 회수할 때의 상태 및 동작을 단면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 또는 태양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목적이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설명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구성요소간 연결관계 등은 본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편의상 과장되거나 간략히 도시되어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 도면마다 중복되는 구성요소들의 도면부호 표기나 그에 대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중복되지 않게 표기나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또는 구성요소 A)는 제2 구성요소(또는 구성요소 B)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또는 구성요소 B)도 제1 구성요소(또는 구성요소 A)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링크 또는 결합 또는 체결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링크 또는 결합 또는 체결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간)에”와 “바로 ~사이(간)에” 또는 “~에 이웃(인접)하는”과 “~에 직접 이웃(인접)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뜻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이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고,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당업자나 실시자의 의도 또는 실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50)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지폐 처리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 구조나 형상은 본 발명의 요지와 연관성이 적으므로 이에 대한 예시는 생략한다. 도 2에는, 상기 지폐 처리 장치(1)가 투입부(10), 이송부(20), 구동부(30), 판별부(40), 임시 보관 장치(50), 제어부(60), 메모리부(70), 입출력부(80), 수납부(90)를 포함하는 구성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투입부(10)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전면측(즉, 사용자와 마주하는 쪽)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예컨대, 고객, 관리자 또는 직원 등)가 한 매 이상의 지폐를 투입부(10)에 투입하면 상기 지폐를 지폐 처리 장치(1)내로 투입시킨다. 복수의 지폐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지폐들이 동일 권종으로 또는 여러 권종이 섞여 있는 상태로 투입될 수도 있다. 또한, 투입부(10)는 투입되어 처리된 지폐를 사용자가 입금 처리하지 않고 다시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등 필요한 경우엔 지폐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지폐 처리 장치(1)가 배출이나 회수를 위한 별도의 이송로와 반환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투입부(10)는 본 예에서처럼 항상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보안성을 강화하여 사용자가 지폐를 투입하거나 회수할 때 개폐되는 셔터(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송부(20)는 벨트, 롤러,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부(60)에 의해 구동부(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지폐를 이송로를 따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다.
구동부(30)는 모터(예: 도4의 301 등)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어나 벨트(예: 타이밍 벨트) 등을 통해 상기 이송부(20)에 전달하여 지폐가 이송되게 하고, 또한 임시 보관 장치(50)가 작동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달한다. 상기 구동부(30)는 실시 환경이나 설계 의도에 따라 또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성능이나 사양에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모터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 별도로 제어되어 구동될 수 있는데, 예컨대, 투입부(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모터와, 이송부(2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모터와, 임시 보관 장치(50)를 구동하기 위한 제3 모터 등과 같이 상기 구동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때의 제1 내지 제3 모터 각각은 하나의 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판별부(40)는 투입부(10)를 지나 이어지는 이송로 상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고, 다파장 이미지센서, 자기센서, 두께센서 등 복수 종류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지폐에 대해 각종 센싱 및 판별 처리를 수행하여 지폐의 진위, 권종, 일련번호 등을 판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다파장 이미지센서(미도시)는 지폐의 각종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로서, 지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서 반사되는 가시광에 의한 이미지, 지폐를 투과하는 가시광에 의한 이미지, 지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에 의한 이미지, 또는 지폐를 투과하는 적외선에 의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 이미지 정보를 취득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외선에 의한 반사 또는 투과 이미지 정보를 더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기센서(미도시)는 지폐에 함유된 자기성분을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두께센서(미도시)는 지폐의 겹침 또는 테이프같은 이물 부착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한다. 이 밖에도, 상기 판별부(40)는 설계 의도 및 실시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하거나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임시 보관 장치(50)는 지폐에 대해 판별부(40)에 의해 소정의 판별 처리 후 소정의 장소(예컨대 수납부(90))로 이송되거나 배출되기 전(또는 회수전)에 상기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상기 지폐를 임시로 보관하는 이유는, 예컨대 사용자가 입금이나 출금 거래를 취소할 수도 있고, 이런 경우에 상기 소정의 판별 처리 후 임시 보관 장치(50)내에 일시적으로 보관하지 않고 수납부(90)에 바로 수납하게 되면 이미 수납된 지폐를 인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번거롭고 안그러면 수납부(90)로부터 인출해내기 위한 구성요소를 수납부(90)에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임시 보관 장치(50)는 지폐가 아닌 영수증이나 세금고지서나 수표나 상품권이나 리젝 처리된 지폐나 상기 장치(1)가 판별하지 못하는 종류의 매체 등을 셔터(501)의 개폐를 통해 사용자가 봉투에 넣어 별도로 봉투 입금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봉투 입금 처리는 지폐 처리 장치(1)에 별도의 봉투 입금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50)는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상기 장치(1)의 전면측 위에서부터 안쪽으로 회전(즉, 도 3을 볼 때 시계 방향)하도록 구성되어 인입된 지폐가 플라이아웃 되지 않고 차곡차곡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내에 적재되게 안내해주도록 형성된 스풀휠(51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풀휠(510)의 구성에 의해, 도 3에서처럼, 상기 장치(1)의 안쪽으로부터 이송되어 임시 보관 장치(50) 내로 인입되는 지폐가 상기 스풀휠(510)의 아래 방향 부분으로 삽입되게 되어, 설사 스풀휠(510)에 지폐가 삽입되지 못해 플라이아웃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그 지폐가 다른 곳으로 플라이아웃되지 않고 임시 보관 장치(50)내로 낙하되게 된다. 이는 상기 지폐가 임시 보관 장치(50)내에 차곡차곡 적재되지 않더라도 먼저 집적되어 있는 지폐들 위로 떨어지게 되어 수납부(90)로 이송될 때 임시 보관 장치(50)내의 어딘가에 남아 있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임시 보관 장치(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 상술하기로 한다.
제어부(60)는 임시 보관 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력 명령 및 소정의 설정 정보에 따라 투입 지폐에 대한 소정의 판별 처리, 결과 처리, 이송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투입 지폐에 대한 센싱 신호를 이용해 판별부(40)가 다양한 판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처리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지폐들의 매수와 금액, 권종별 부분합 및 총합계 등을 산출하여 출력시키거나, 상기 지폐의 권종(또는 국가권) 인식, 위변조 여부 판별, 일련번호 판별, 저장, 분류, 검색 및/또는 전송 등을 수행하거나, 지폐의 신권/구권 구분, 낡거나 찢어지거나 오염되거나 이물 부착 등의 훼손된 지폐를 정상권과 식별하거나, 여러 기준에 따른 지폐 판별 결과에 의한 지폐 분류 및 수납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지폐 처리 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 및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이나 각종 데이터 처리나 제어를 수행하며, 지폐 처리 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이송 중인 지폐의 상태나 상기 장치(1)의 현재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입출력부(80)를 통해 표시해주는 등 지폐 처리 장치(1)의 동작과 관련한 전반적인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부(7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판별부(40)로부터 생성되는 각종 정보들과 함께 지폐 처리 장치(1)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 임시 보관 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해야 할 정보, 각 센서들의 설정값, 계수결과, 판별결과, 장치의 가동율 및 사용율, 에러정보, 로그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70)는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한 설정 데이터, 지폐 처리 장치(1)의 동작 및 지폐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권종(또는 국가권) 판별, 위변조 판별, 일련번호 판별 등 다양한 지폐 판별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 기준 정보 및 판별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필요시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독출되어 제공된다.
입출력부(80)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전면에 마련되고, 통상적으로 LCD, LED 또는 OLED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나 설정을 입력받거나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장치의 동작 상황과 각종 지폐 처리 결과(예: 에러정보, 진위, 매수, 권종 및 금액 등)를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부(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작 상태에 따라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설정 및 조작을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버튼은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 방식인 경우엔 디스플레이부상에서의 아이콘이나 메뉴로 제공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 근방에 하나 이상의 누름식 버튼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입출력부(80)는 지폐 처리 장치(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통신기능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지폐 처리 장치(1)와 연결되어 착탈식 또는 별개의 독립된 주변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80)는 스피커나 마이크를 구비하여 음성이나 음향으로 입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납부(90)는 처리가 완료된 지폐를 수납한다. 수납부(90)는 임시 보관 장치(50)에서 일시적으로 적재되어 있던 지폐가 사용자의 입금 승인 후 임시 보관 장치(5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지폐를 수용한다. 수납부(90)는 상기 이송된 지폐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이면 설계 의도나 실시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납부(90)는 의도하는 적재량이나 사용자측의 요구 사양에 따라 카세트, 캔버스백, 플라스틱백, 파우치, 드럼, 컨테이너 등 다양한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90)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9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수납부(90)는 그 수만큼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지폐를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수납부(90)는 외부로부터의 지폐 탈취나 화재 등 외력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금고 형태의 보호 장치(미도시)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5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보관 장치(50)의 주요 구조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전면측에서 볼 때 전면측 위에서부터 안쪽 아래 방향으로 회전(즉, 도 3에서 시계 방향)하도록 구성되어 인입된 지폐가 플라이아웃 되지 않고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내 적재 위치에 차곡차곡 적재되게 안내해주는 스풀휠(5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풀휠(51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513)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스풀휠(510)은 2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는 임시로 보관하는 지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폐가 임시 보관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폐되게 하고 사용자가 지폐를 회수(또는 반환 또는 인출)하는 경우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에 개방되도록 개폐가능한 셔터(501)와, 상기 지폐 처리 장치(1) 내의 전면쪽으로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스토퍼(515)에 의해 상기 스풀휠(510)에서 빠져 나온 지폐가 순서대로 적재되게 하는 지지이송부(520)와, 상기 지폐 처리 장치(1)의 후면측에서 전면측으로 움직여 상기 지지이송부(520)에 적재된 지폐를 반대쪽에서 전면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지폐 이송 후엔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가압이송부(530)와,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의 측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이송부(530)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레버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이송부(52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압이송부(530)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지폐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이송부(520)는 상기 가압이송부(530)와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폐를 입금 승인 처리를 하지 않고 회수하는 경우 상기 지폐를 사용자가 회수하기 쉽도록 셔터(501) 방향으로 상기 지폐를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키거나, 사용자가 입금 승인을 하였을 경우엔 수납부(90)내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가압이송부(53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지이송부(520)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지폐를 배출하거나 수납부(90)로 이송시킨 후에는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지지이송부(520) 및 상기 가압이송부(530)는 각기 이송수단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지지이송부(520)의 이송수단은 1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이송수단은 1개 이상의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지지이송부(520) 및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이송수단은 하나 이상의 롤러나 벨트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될 수 있고 각기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송수단들은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30)(예: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90)로 이송시키는 방향(예컨대, 정방향) 및/또는 셔터(501)쪽으로 배출시키는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는 상기 지지이송부(520) 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지이송부(520)와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90)로 이송시킬 때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수납부(90)로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지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거나 지폐가 통과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폐 감지 센서(5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재된 지폐의 이송은 상기 지지이송부(520)와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즉 상기 지폐가 가압된 상태에서의 각각의 이송수단(롤러 및/또는 벨트)의 마찰 및/또는 회전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시 환경이나 의도에 따라, 상기 지지이송부(520)만의 마찰이나 회전으로 또는 상기 가압이송부(530)만의 마찰이나 회전으로 또는 상기 지지이송부(520)와 상기 가압이송부(530)를 동시에 회전시키거나 순차적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적재된 지폐를 이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적재된 지폐의 이송 시에 상기 지지이송부(520)와 상기 가압이송부의 각 이송수단의 회전력이나 마찰력 역시 동일하게 또는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이송부(520)의 회전력이나 마찰력을 더 크게 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이송부(520)와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상호 작용의 의미는 서로 동일한 힘과 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컨대, 상기 가압이송부(530)이 상기 적재된 지폐를 전면측으로 가압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지지이송부(520)가 상기 적재된 지폐를 한 장씩 이송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된 지폐를 한꺼번에 이송시키는 구성의 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에서 볼 때 반대쪽에서 보이는 임시 보관 장치(50)의 주요 구조를 레버부(540)를 중심으로 사시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의 측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이송부(530)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레버부(540)의 구성 및 연결 관계가 도시되어 있어 임시 보관 장치(50)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임시 보관 장치(50) 내에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90)로 안전하게 이송시키기(또는 밀어 넣기) 위하여 및/또는 셔터(501)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키기 위하여 임시 보관 장치(50)의 측면쪽에 레버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부(54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모터(301)가 회전하면 회전판(541)이 회전하면서 연결 레버(543)를 왕복 운동으로 바꾸고 연결 레버(543)에 연결된 레버(예: 레버 B)를 스윙 운동시켜서 연결된 가압이송부(530)를 상기 적재된 지폐에 전면측으로 압착시키게 되고, 상기 레버가 더 움직이면 도어(550)가 오픈되며 도어(550)가 오픈된 상태에서(또는 오픈과 동시에) 지지이송부(520)와 가압이송부(5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지폐를 수납부(9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또는 밀어 넣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적재된 지폐를 사용자가 회수하는 경우, 즉 셔터(501)쪽으로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55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보관 장치(50)는 측면쪽에, 즉 가압이송부(530)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가압이송부(530)를 전후로 스윙 운동시켜 상기 적재된 지폐를 가압할 수 있도록 모터(301), 회전판(541), 연결 레버(543), 레버 A, 레버 B, 레버 C, 가압이송부 연결부(544), 탄성부재(545)(예: 토션 스프링 등)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모터(301)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541)이 회전을 하면 연결 레버(543)가 회전 운동을 스윙 동작으로 바꾸고 레버 B가 스윙하며 이동하면 가압이송부(530)에 연결된 레버 B와 레버 A에 걸쳐진 탄성부재(545)의 작동에 의해 레버 A가 스윙 동작되며 가압이송부 연결부(544)에 연결된 가압이송부(530)가 지지이송부(520)의 이송수단(522)인 롤러(522)쪽 방향으로 스윙 이동되고 레버 B가 더 움직이면 레버 C를 동작시키고 가압이송부(530)에는 더 가압하게 되어 이송수단(522 및/또는 5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이송부(520)상에 적재되었던 지폐가 입금시 수납부(90)내로 이송되거나 배출시 셔터(501)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도어(550)는 상기 레버 B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한 상기 레버 C의 동작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열리게 된다. 이 때, 상기 각도는 지폐가 수납부(90)로 이송되기 쉬운 정도의 각도면 충분하며, 본 예에서처럼 약 90도 정도로 오픈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어(550)가 상기 각도로 열린 것을 소정의 감지 센서(미도시)가 감지하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모터(301)(또는 또다른 제 2 모터로 구성가능)가 회전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가 상기 지지이송부(520) 및/또는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작동에 의해 수납부(90)내로 이송시킨다. 이 때, 만일 사용자가 입금 확인이 아닌 회수하기 위한 버튼(예: 반납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상기 지폐 처리 장치(1)는 입금된 돈(즉, 임시 보관 장치에 적재된 지폐)를 반납(또는 배출)해야 하는데, 가압이송부(530)와 지지이송부(520) 사이에 끼인 상기 적재된 지폐를 사용자 앞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배출하여(또는 밀어내어) 사용자가 지폐를 가져가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보관 장치(50)의 구성에 의해서, 측면쪽에 배치된 레버부(540)의 동작에 의해 가압이송부(530)의 동작과 도어(55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더 단순한 구조의 지폐 이송 동작이 이뤄지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플라이아웃이 발생하지 않고 지폐의 날림에 의해 입금되지 않는 경우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술한 임시 보관 장치(50)의 작동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50)의 연속적인 동작 및 처리 과정을 단면도를 이용해 편의상 단계별로 각각 구분하여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가압이송부(530)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다. 즉, 상기 지폐가 판별부(40)를 거쳐 소정의 이송로를 따라 임시 보관 장치(5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풀휠(510)내로 상기 지폐가 인입하게 되고 소정 각도 회전 후 상기 지폐가 스토퍼(515)에 부딪히면 스풀휠(510)에서 빠져 나온 지폐가 지지이송부(520) 위에 적재되게 되는데, 이 때 가압이송부(530)가 작동하기 전, 즉 모터(301)가 회전하기 전에 가압이송부(5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15)는 도 5 및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한 단부가 지지이송부(520)를 지나도록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처럼 짧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셔터(501)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3의 (a)처럼 길게 연장되게 위치해 있다가 셔터(501)가 개방될 때 스풀휠(510)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서 대기 상태로 있던 가압이송부(530)가 소정 각도(본 예에서는 약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투입된 지폐가 예컨대 임시 보관 장치(50)내의 지지이송부(520) 상에 적재가 완료되는 때에 또는 적재 완료 후 사용자의 회수 또는 입금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때에 또는 기타 설정된 시점에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레버부(540)의 작동에 의해서 가압이송부(530)가 상기 대기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본 예에서처럼 상기 가압이송부(530)가 대기 상태에서 약 90도 회전하게 되면 가압이송부(53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오게 된다.
도 6에 이어지는 동작으로, 도 7은 가압이송부(530)가 상기 적재된 지폐를 가압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모터(301)가 회전에 의해서 레버 B와 레버 C가 닿기 시작하게 되고 가압이송부(530)가 상기 지폐를 전면측으로 가압하여 누르게 된다. 이 때 도어(550)는 아직 닫혀 있는 상태로 제어되는 것으로 본 예에서는 예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금 승인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도어(550)가 개방되고 가압이송부(530)가 상기 적재된 지폐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지지이송부(520) 및/또는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작동, 즉 각 이송수단(522, 532)의 회전 및 마찰에 의해 상기 적재된 지폐가 수납부(90)내로 한꺼번에 이송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투입 지폐에 대해 회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셔터(501)가 개방되는 것과 함께 가압이송부(530)가 상기 적재된 지폐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지지이송부(520) 및/또는 상기 가압이송부(530)의 작동, 즉 각 이송수단의 반대 방향의 회전 및 마찰에 의해 상기 적재된 지폐가 사용자가 회수하기 용이하도록 전면 외측 방향, 즉 셔터(501) 밖으로 돌출되게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킨 후 멈추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지폐를 쉽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50)의 동작 및 처리 과정을 요부를 중심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50)의 양 측면의 주요 부분을 사시도로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전면측에서 볼때 임시 보관 장치(50) 안쪽에 배치되어 대기 상태로 있는 가압이송부(530)를 스윙 운동시켜 지지이송부(520) 위에 적재된 지폐를 전면측으로 가압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압이송부(530)의 좌우 측면에는, 즉, 도 10을 참조하면 임시 보관 장치(50)의 한 쪽 측면에는 레버 A, 레버 B, 레버 C, 도어 레버(553), 연결 레버(543), 탄성부재(545)(예: 토션 스프링 등), 회전판(541), 모터(301) 등이 구비되고, 도 11을 참조하면 임시 보관 장치(50)의 다른 쪽 측면에는 레버 A, 레버 B, 연결 레버(543), 탄성부재(545), 회전판(541) 등이 구비된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서 가압 이송부를 기동시키는 구동 관련 구성만을 별도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압이송부(530)의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임시 보관 장치(50)의 구조에서 가압이송부(5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관련 구성만을 별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모터(301), 회전판(541), 연결 레버(543), 도어 레버(553), 레버 A, 레버 B, 레버 C, 탄성부재(545), 도어(550) 등의 구성과 배치 및 연결 관계가 상세히 예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50)의 요부의 동작 및 처리 과정을 단면도를 이용해 단계별로 각 요부의 상태를 구분하여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이송부(520) 위에 지폐가 적재되는 동안에 가압이송부(530)가 멈추어 있는 대기 상태에서의 모터(301)와, 각 레버들, 즉 레버 A, 레버 B, 연결 레버(543)의 위치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특히 연결 레버(543)의 단부측에 배치된 핀(546)의 대기 상태에서의 핀 위치는 연결 레버(543)가 모터(301)의 풀리(303)에 연결된 벨트와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에서 핀(546)이 풀리(303) 쪽으로 근접해 있는 위치에 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임시 보관 장치(50)는 측면쪽 소정 위치에 가압이송부(530)의 대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 감지 센서(50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4는 가압이송부(530)가 전면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데, 도 3의 구조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폐가 임시 보관 장치(50) 내로 인입하여 회전하는 스풀휠(510)에 들어오면 블레이드(513) 사이에 꽂혀서 같이 회전하고 도 3의 (b)에서처럼 스토퍼(515)에 막혀서 아래 쪽에 설치된 지지이송부(520) 위, 즉 지지이송부(520)의 이송수단(522) 위에 쌓이게 된다. 처리될 지폐가 모두 지지이송부(520) 위에 적재되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가압이송부(530)를 회전시켜 상기 적재된 지폐를 전면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모터(301)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301)의 풀리(303)와 연결된 회전판(541)이 회전하여 연결 레버(543)를 이동시키면 연결 레버(543)의 한편에 연결된 레버 B가 회전하여 기울어지고 레버 B의 벤딩(bending)된 부분이 레버 A를 받치고 있다가 회전하여 이동되는 만큼 레버 A와 레버 B 사이에 걸쳐진 탄성부재(545)의 미는 힘에 의해 레버 A가 회전하여 가압이송부(530)를 스윙 회전시켜서 가압이송부(530)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4의 핀(546)의 위치는 많은 지폐들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가압하기 위한 핀(546)의 위치라 할 수 있다.
또한, 가압이송부(530)에는 레버 A와 연결되는 부분에 관절을 형성하여 가압이송부(530)가 적재된 지폐의 쌓인 각도에 맞추어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 가압이송부(530)가 이러한 관절을 구비함으로써 가압이송부(530)가 상기 적재된 지폐를 가압할 때 지폐가 적재된 상태가 최적의 각도가 아니더라도 또는 상기 적재된 지폐의 크기나 상태가 다양하더라도 상기 적재된 지폐의 각도나 상태에 맞추어 자체적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가압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에서보다 모터(301)가 더 회전하면 가압이송부(530)의 이송수단이 지지이송부(520)의 이송수단에 맞닿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에 레버 B의 돌출된 일부분이 레버 C의 벤딩된 부분에 아직 닿지 않은 상태이다. 이 때는 적재된 지폐가 많이 있으면 눌러지는 상태이고 몇 장 안되는 지폐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이면 가압되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546)의 위치는 가압이송부(530)가 바닥에 닿은 핀(546)의 위치라고 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모터(301)가 조금 더 회전하여 회전판(541)이 더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541)의 회전에 따라 연결 레버(543)가 더 진행하여 레버 B의 축을 밀어 레버 B가 더 회전하며 레버 A의 회전이 진행되도록 하여 결국은 가압이송부(530)가 지지이송부(520)의 이송수단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가 된다. 레버 B의 돌출된 일부분이 레버 C의 벤딩된 부분에 맞닿기 시작하는 위치이고 상기 적재된 지폐는 압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도 16은 임시 보관 장치(50)가 회전판(54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판 위치 센서(506)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핀(546)의 위치는 가압이송부(530)에 압력이 가해질 때의 핀(546)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이송부(520) 및 가압이송부(530)에 의해 가압된 지폐를 수납부(90)로 이송시키는 경우에 도어(550)를 오픈하기 위한 동작이 예시되어 있다. 모터(301)가 더 회전하면 레버 B가 레버 C의 벤딩된 부분을 밀어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도어(550)에 연결된 도어 레버(553)가 회전하고 도어 레버(553)가 끼워진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샤프트에 조립된 도어(550)가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여기서, 도어(550)가 오픈되면, 상기 가압되고 있던 지폐가 가압이송부(530)와 지지이송부(520)의 각각의 이송수단의 상호 작용, 즉 상호 회전 및 마찰 작용에 의해 수납부(90) 내로 한꺼번에 이송되게 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핀(546)의 위치는 도어(550)가 오픈될 때의 핀(546)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임시 보관 장치에 임시 적재된 지폐들을 수납부로 이송할 때 도어(550)의 개폐 동작을 사시도로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도어(550)와 도어 레버(553)의 구조 및 회전시의 개폐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안쪽에는 양 측면을 가로지르면서 개폐 동작을 하는 도어(550)와, 이 도어(550)의 도어 레버(553)가 끼워진 도어 샤프트(555)와, 상기 도어 샤프트(555)와 평행하게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모터(301)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56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8의 (b)는 (a)의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반대쪽 다른 측면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임시 보관 장치(50)의 다른 한 측면에는 회전 샤프트(560)에 의해 모터(301)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판(541), 이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레버(543)와 레버 B, 및 도어 샤프트(555)에 끼워져 한 측면에 배치되어 연결되어 있는 도어 스톱 브라켓(557)과 도어 스톱 레버(559)가 구비된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임시 보관 장치(50)를 단면으로 잘라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어(550)와 각 샤프트 등의 배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은 임시 보관 장치(50)의 셔터(501)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 장치(50)의 양쪽 측면을 단면도로 각각 (a)와 (b)에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a)에는 셔터(501)가 개방된 상태에서 한쪽 측면에 배치된 연결 레버(543), 도어 레버(553), 레버 C 등의 위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의 (b)에는 셔터(501)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른 한 쪽 측면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위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셔터(501)가 열려진 상태에서, 셔터(501)와 함께 조립되어진 도어 스톱 레버(559)는 도어 스톱 브라켓(557)이 도어 샤프트(555)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550)가 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어(550)가 오픈되려면 셔터(501)가 닫힌 상태여야 하며, 도 20의 (a)에서와 같이 레버 C가 도어 레버(553)를 회전시키면 도어 레버(553)에 조립되어진 도어 샤프트(555)가 회전하며 도어(550)가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도 21의 (a), (b), (c)는 도어(550)가 열리게 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1의 (a)는 셔터(501)가 닫혔을 때의 한 쪽 측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레버 C가 스윙 회전함에 따라 도어 레버(553)가 미리 정해진 소정 각도(예컨대, 도면에서는 약 100도 정도)로 회전하며 도어 샤프트(555)를 회전시킨다. 이 때 도어 샤프트(555)가 회전하면서 도어(550)가 오픈된다. 도 21의 (b)는 셔터(501)가 닫혔을 때의 중앙을 절단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1의 (c)는 셔터(501)가 닫혔을 때의 또다른 한 쪽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셔터(501)가 닫히면, 도어 스톱 레버(559)가 회전하여 올라가며 도어 스톱 브라켓(557)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생기면서 도어 스톱 브라켓(557)이 움직이면 도어(550)가 오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501)가 닫힌 상태에서만 도어(550)가 열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방해없이 안전하게 지폐를 수납부(90)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임시 보관 장치(50)에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90)로 이송할 때의 상태 및 동작을 단면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21의 (b)의 동작이 합쳐지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지폐를 가압이송부(530)와 지지이송부(520)에 의해 가압하면서 이송시키면 도어(550)가 오픈되어 상기 적재된 지폐가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수납부(90) 내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3은 임시 보관 장치(50)에 적재된 지폐를 사용자가 회수할 때의 상태 및 동작을 단면도로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지폐를 인출하거나 투입한 지폐를 다시 회수하는 경우에는 도 1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동작 상태에서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지지이송부(520)와 가압이송부(530)의 각각의 이송수단이 도 22에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및 마찰이 작용하게 되어 가압되고 있던 지폐가 사용자 앞 쪽으로(즉,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킴(밀어냄)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지폐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꺼내갈 수 있게 한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입금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않음을 유의한다. 예컨대, 지폐 출금 장치의 경우, 본 발명의 임시 보관 장치(50)에 인입되는 지폐가 위의 실시예에서처럼 투입부(10)로부터 이송되어 인입될 수도 있고 지폐 인출 기능을 구비한 수납부로부터 인출되어 임시 보관 장치(50)내로 인입되게 할 수도 있는 등 각종 지폐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 설명 과정에서, 균등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이나 당업자가 이해하고 있어 본 발명의 요지와 연관성이 적은 사항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지 않게 생략하였고 각 실시예에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나 동작방법 등의 설명에 초점을 맞추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간결하게 기재하였음을 유의한다. 또한 이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위 실시예에서 제시된 특정한 구성이나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수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거나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지폐 처리 장치 10 : 투입부
20 : 이송부 30 : 구동부
40 : 판별부 50 : 임시 보관 장치
60 : 제어부 70 : 메모리부
80 : 입출력부 90 : 수납부
301 : 모터 501 : 셔터
510 : 스풀휠 513 : 블레이드
515 : 스토퍼 520 : 지지이송부
530 : 가압이송부 540 : 레버부
550 : 도어 541 : 회전판
543 : 연결 레버 544 : 가압이송부 연결부

Claims (9)

  1. 지폐 처리 장치 내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내로 투입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적재해두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처리 장치의 전면측에서 볼 때 전면측 위에서부터 안쪽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투입된 지폐가 순차적으로 인입되어 적재되도록 안내해주는 스풀휠과;
    상기 스풀휠에 의해 안내된 지폐를 상기 스풀휠에서 빠져나오게 하여 상기 투입된 지폐를 순서대로 적재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풀휠에 삽입되지 못한 지폐가 있는 경우엔 상기 삽입되지 못한 지폐의 플라잉아웃을 막아주는 스토퍼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풀휠에서 빠져나온 지폐가 순서대로 적재되는 지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임시로 보관하는 지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폐가 임시 보관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폐되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에 개방되도록 개폐가능한 셔터와;
    상기 지폐 처리 장치의 후면측에서 전면측으로 움직여 상기 지지이송부에 적재된 지폐를 반대쪽에서 전면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지폐를 이송한 후엔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가압이송부와;
    측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이송부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이송부는 상기 가압이송부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셔터쪽 방향으로 상기 지폐를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키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가압이송부의 전후 이동 동작과 함께 도어의 개폐 동작도 수행할 수 있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이송부는 연결된 소정의 레버와 연결되는 부분에 관절을 구비하고 있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닫히면, 도어 스톱 레버가 회전하여 올라가며 도어 스톱 브라켓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생기면서 도어 스톱 브라켓이 움직이면 상기 도어가 오픈되도록 구성되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이송부 및/또는 상기 가압이송부는 상기 적재된 지폐를 수납부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셔터쪽 방향으로 상기 지폐를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셔터가 개방될 때는 그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이송부에 구비된 상기 관절은 가압시에 상기 적재된 지폐의 크기나 상태 또는 상기 적재된 지폐의 쌓인 각도나 상태에 맞추어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임시 보관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폐 임시 보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 장치.
KR1020180118102A 2018-10-04 2018-10-04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KR10256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102A KR102563832B1 (ko) 2018-10-04 2018-10-04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102A KR102563832B1 (ko) 2018-10-04 2018-10-04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42A KR20200038642A (ko) 2020-04-14
KR102563832B1 true KR102563832B1 (ko) 2023-08-04

Family

ID=7029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102A KR102563832B1 (ko) 2018-10-04 2018-10-04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8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016A1 (ja) 2011-06-07 2012-12-1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7093264A (zh) 2017-05-26 2017-08-25 深圳市旭子科技有限公司 纸币存款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068U (ja) * 1981-12-21 1983-06-25 武蔵株式会社 紙幣の表裏整理装置
KR101266593B1 (ko) * 2007-03-12 2013-05-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출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016A1 (ja) 2011-06-07 2012-12-1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7093264A (zh) 2017-05-26 2017-08-25 深圳市旭子科技有限公司 纸币存款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42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5238B2 (ja) 紙幣入出金機
JP5332512B2 (ja) 紙幣入出金機構
JP4497575B2 (ja) 紙葉収納払出装置
EP1086036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currency recycling canisters
JP2007062918A (ja) 紙葉類堆積装置
EP3324369B1 (en) Banknote storing device
WO2013172083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5286178B2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
JP4117630B2 (ja) 紙幣取扱装置
JP515707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2068794A (ja) 自動取引装置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5153530B2 (ja) 紙幣入出金機
JP4366434B2 (ja) 自動取引装置
JP4078127B2 (ja) 紙幣入出金装置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5462637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423344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8171451A (ja) 紙幣入出金機
JP4292180B2 (ja) 自動取引装置
KR102563832B1 (ko)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210104237A (ko)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JP4292232B2 (ja) 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