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905B1 -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905B1
KR101143905B1 KR1020100044007A KR20100044007A KR101143905B1 KR 101143905 B1 KR101143905 B1 KR 101143905B1 KR 1020100044007 A KR1020100044007 A KR 1020100044007A KR 20100044007 A KR20100044007 A KR 20100044007A KR 101143905 B1 KR101143905 B1 KR 10114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um
alignment
media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553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10004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9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카세트에서 인출된 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과,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매체를 외측으로 방출시키는 방출유닛이 구비된 매체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과 방출유닛 사이에는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매체가 상기 방출유닛으로 이송되면서 정렬되되, 상기 적재유닛과 방출유닛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승하강하는 정렬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방출유닛 사이에 설치되되, 상면이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방출유닛의 하측에 위치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 와, 상기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적재유닛으로 인출된 매체가 승강된 승하강부재와 접하도록 이송되면서 일방향으로 정렬되고, 매체의 정렬을 안내하도록 매체정렬 삽입홈이 형성된 매체정렬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매체가 승하강부재에 접하면서 정렬될 때 매체가 매체정렬부재에 의해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등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 Media bundle dispensing apparatus with stack damper }
본 발명은 매체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체자동화 인출입기에서 매체를 방출할 때 매체카세트에서 인출된 매체를 정렬하거나 방출된 매체를 회수하는 경우에도 이를 정렬하는 정렬유닛이 포함된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체방출장치는 주로 현금 입출금기 내부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매체가 적재된 매체카세트로부터 매체를 인출하여 매체 이송 롤러에 의해 일렬로 이송된 다수의 매체를 현금 입출금기 외측으로 방출하여 고객에게 인도되도록 한다.
매체자동지급기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되는 매체 지급요청에 따라 매체를 지급하게 된다. 매체자동지급기는 고객과 매체를 지급하는 담당자가 직접 대면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편리하게 매체를 지급할 수 있어 사용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매체자동지급기는 나라별로 권종별로 매체의 가로길이나 세로길이가 모두 다르게 형성되어 규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매체카세트로부터 매체를 인출할 때 일시적으로 적재된 위치에서 매체를 일측으로 정렬하여 고객에게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매체방출장치에는 매체 카세트에서 방출된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유닛과, 정렬유닛에서 정렬된 매체를 방출유닛으로 이송하여 방출유닛에서 고객에게 인도되게 방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정렬유닛에서 정렬된 매체는 방출유닛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시 그 정렬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방출유닛에서 고객에게 인도되었을 때 매체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인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지폐와 수표 및 지로용지의 수납 및 출납을 수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매체가 일정하게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매체를 배출하기 위해 도어가 열리면 정렬되지 않은 매체가 기기외부의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카세트로부터 인출한 매체를 정렬함과 아울러 방출유닛으로 이송됨을 안내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 목적은 적재된 매체와 접하도록 승강시켜 매체를 일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와 접하는 승하강부재가 탄성을 갖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하강부재와 매체가 접하여 정렬될 때 매체의 정렬을 안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를 정렬할 때 승하강부재를 승강시키고, 매체를 방출할 때 승하강 부재를 하강시키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방출장치는 매체카세트에서 인출된 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과,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매체를 외측으로 방출시키는 방출유닛이 구비된 매체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과 방출유닛 사이에는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매체가 상기 방출유닛으로 이송되면서 정렬되되, 상기 적재유닛과 방출유닛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승하강하는 정렬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방출유닛 사이에 설치되되, 상면이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방출유닛의 하측에 위치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 와, 상기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승하강부재는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개방된 면에 삽입되되 상기 적재유닛과 인접한 면에 정렬안내부재가 더 설치되며, 정렬안내부재에는 그 양면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재에는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와 상기 정렬안내부재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와 상기 정렬안내부재의 일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부재 설치돌기에 양단이 삽입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안내부재에는 상기 적재유닛과 인접한 면에 매체의 정렬을 안내하는 매체정렬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적재유닛으로 인출된 매체가 승강된 승하강부재와 접하도록 이송됨에 따라, 매체가 이송되면서 일방향으로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체의 정렬을 안내하도록 매체정렬 삽입홈이 형성된 매체정렬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매체가 승하강부재에 접하면서 정렬될 때 매체가 매체정렬부재에 의해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등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강부재와 매체정렬부재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매체가 매체정렬부재에 가압되더라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매체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의 정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의 정렬유닛에 의해 매체가 정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의 정렬유닛이 하강하여 매체가 이송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능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의 정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1)는 본체(도시생략)의 내부에 설치된 매체카세트(도시 생략)에서 인출된 매체(M)를 적재하는 적재유닛(10)과, 적재유닛(10)에 적재된 매체(M)를 방출구(23)를 통해 방출본체(21)의 외측으로 방출시키는 방출유닛(20) 그리고, 적재유닛(10)과 방출유닛(20) 사이에 설치된 정렬유닛(40)이 포함되어 적재유닛(10)으로 인출된 매체는 정렬유닛(40)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방출유닛(20)을 통해 방출구(23)로 방출될 수 있다.
적재유닛(10)은 매체카세트로부터 배출된 매체(M)를 적재하는 곳으로서, 매체(M)가 적재되면 이를 방출유닛(20)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매체(M)가 안착되는 면이 공지된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져 후술될 정렬유닛(40)측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된다.
방출유닛(20)은 매체(M)를 방출구(23)로 방출시켜 매체방출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 즉, 고객에게 인도하는 것으로서, 방출본체(21)의 내측이 적재유닛(10)과 인접하고, 외측에 방출구(23)가 형성되며, 방출본체(21)의 내측에 매체(M)의 상면을 가압하여 매체(M)를 이송하는 상부이송롤러부(210)와, 매체(M)의 하면을 가압하여 매체(M)를 이송하는 하부이송롤러부(220)와, 상부이송롤버부(210)를 하부이송롤러부(220) 측으로 하강시키는 승하강부(2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부이송롤러부(210)와 하부이송롤러부(220)는 방출본체(21)의 내부에서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부이송롤러부(210)는 다수의 상부 롤러(211)들은 방출유닛(20)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롤러(211)들은 방출본체(21)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설치된 상부 회전축(215)들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방출본체(21)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설치된 상부 롤러(211)들은 상부이송벨트(213)에 의해 전후방으로 연결되어 상부 회전축(215)이 회전되면 상부이송벨트(213)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상부이송벨트(213)와 접하는 매체(M)를 이송하게 된다.
하부이송롤러부(220)는 상부이송롤러부(210)와 같이 하부 회전축(225)에 삽입되어 방출본체(21)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설치된 하부 롤러(221)들과 전 후방 하부 롤러(221)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하부이송벨트(22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부이송롤러부(210)는 방출본체(21)의 양측면에 설치된 승하강부(230)에 의해 하부이송롤러부(220)측으로 하강하여, 하부이송롤러부(220)로 인입된 매체(M)의 상면을 가압하며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승하강부(230)는 방출본체(2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부이송롤러부(210)의 상부 회전축(215)과 연결된 승하강 연결축(233)과, 승하강 연결축(233)과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231)와, 승하강부재(231)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구동되는 승하강 구동부재(237)가 포함된다.
이때, 방출본체(21)의 측면에는 승하강 연결축(233)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 안내장홈(235)이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승하강 구동부재(237)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승하강 구동부재(237)가 승하강부재(231)의 하측에 위치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재(231)는 승하강 구동부재(237)가 승강되면 승강되어 승하강 연결축(233)으로 연결된 상부이송롤러부(210)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승하강 구동부재(237)가 하강되면 승하강 부재(231)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므로 상부이송롤러부(210)가 하강하여 매체(M)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정렬유닛(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유닛(10)과 방출유닛(20) 사이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면서 적재유닛(40)에 적재된 매체(M)가 이송될 때 승강하여 이를 정렬하고, 정렬되면 하강하여 매체(M)가 방출유닛(20)으로 이송되어 방출구(23)로 방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정렬유닛(40)은 적재유닛(10)과 방출유닛(20) 사이이며, 적재유닛(10)과 방출유닛(20)의 하측에 위치된 하우징(41)과, 하우징(4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4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하우징(41)은 그 길이가 방출유닛(20)의 하부이송롤러부(220)의 하측에 위치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승하강부재(43)가 내부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41)에는 하우징(41)의 내측으로 인출입하는 승하강부재(43)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가 승하강부재(43)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승하강 안내공(41a)이 형성된다.
승하강부재(43)는 하우징(41)의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면이 적재유닛(10) 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승하강부재(43)의 하측에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하우징(41)의 승하강 안내공(41a)으로 삽입된 승하강 구동축(41b)이 결합된다.
승하강부재(43)의 개방된 면에는 정렬안내부재(45)가 결합된다.
승하강부재(43)와 정렬안내부재(45)의 결합은 승하강부재(43)의 양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43a)과 정렬안내부재(45)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삽입홈(43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돌기(45a)가 삽입홈(43a)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삽입홈(43a)은 삽입돌기(45a)가 삽입되어 고정되더라도 유격을 가질 수 있도록 삽입돌기(45a)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하강부재(43)와 정렬안내부재(45)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탄성부재 설치돌기(43b)(45b)가 형성되고, 각각의 탄성부재 설치돌기(43b)(45b)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되는 탄성부재(47)가 설치된다.
그리고, 정렬안내부재(45)에는 적재유닛(10)과 인접한 측에 다수의 정렬안내홈(45c)이 형성된다.
이에, 적재유닛(10)에 적재된 매체(M)가 정렬유닛(40) 측으로 이송될 때 정렬안내부재(45)와 접할 때 정렬안내부재(45)와 승하강부재(43)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47)에 의해 탄성력을 갖도록 결합되므로, 매체(M)와 접하였을 때 탄성력에 의해 이송된 매체(M)가 가압되는 것이 방지되고, 매체(M)는 정렬안내홈(45c)에 삽입되면서 정렬되어 이송된 매체(M)가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것과 같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의 정렬유닛에 의해 매체가 정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방출장치의 정렬유닛이 하강하여 매체가 이송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매체방출장치에서 매체가 정렬되고, 방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외부에서 매체(M)를 인출하기 위한 입력이 진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유닛(10)과 방출유닛(20) 사이에 위치한 정렬유닛(40)의 승하강부재(43)를 구동시킨다.
다음, 매체카세트로부터 매체(M)를 인출시켜 적재유닛(10)의 안착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매체(M)는 승강된 승하강부재(43)에 설치된 정렬안내부재(45)에 의해 매체(M)가 방출유닛(20) 측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요구되는 매체(M)가 모두 인출되어 적재유닛(10)에 적재되면, 적재유닛(10)의 안착면이 이동하면서 매체(M)를 정렬유닛(40) 측 즉, 정렬안내부재(45)에 접하도록 이송한다.
여기서, 매체(M)는 정렬안내부재(45)의 정렬안내홈(45c)에 삽입되면서 정렬되고, 매체(M)가 정렬안내부재(45)를 가압할 때 정렬안내부재(45)는 탄성부재 설치돌기(43b)(45b)에 설치된 탄성부재(47)에 의해 승하강부재(43) 측으로 밀리면서 매체(M)가 지나치게 가압되어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매체(M)가 모두 정렬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재(43)는 한다. 이때, 승하강부재(43)는 적재유닛(10)과 방출유닛(20)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적재유닛(10)과 방출유닛(20)의 하측으로 하강하므로, 정렬안내부재(45)에 의해 정렬된 매체(M)는 적재유닛(10)에서 방출유닛(20)으로 이송된다.
방출유닛(20)의 하부이송롤러부(220)로 이송된 매체(M)는 승하강부(230)가 하강함에 따라 상부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상면이 가압되면서 방출구(23)를 통해 방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체(M)는 적재유닛(10)에서 방출유닛(20)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매체(M)의 일면이 정렬유닛(40)의 정렬안내부재(45)에 접하면서 매체(M)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방출될 수 있다.
M : 매체 1 : 매체방출장치
10 : 적재유닛
20 : 방출유닛 21 : 방출본체
23 : 방출구
210 : 상부이송롤러부 220 : 하부이송롤러부 230 : 승하강부
40 : 정렬유닛 41 : 하우징
41a : 승하강 안내홀 43 : 승하강부재
45 : 정렬안내부재 45c : 정렬안내홈
47 : 탄성부재

Claims (5)

  1. 매체카세트에서 인출된 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과,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매체를 외측으로 방출시키는 방출유닛이 구비된 매체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과 방출유닛 사이에는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매체가 상기 방출유닛으로 이송되면서 정렬되되, 상기 적재유닛과 방출유닛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승하강하는 정렬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방출유닛 사이에 설치되되, 상면이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방출유닛의 하측에 위치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개방된 면에 삽입되되 상기 적재유닛과 인접한 면에 정렬안내부재가 더 설치되며, 정렬안내부재에는 그 양면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재에는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와 상기 정렬안내부재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와 상기 정렬안내부재의 일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부재 설치돌기에 양단이 삽입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안내부재에는 상기 적재유닛과 인접한 면에 매체의 정렬을 안내하는 매체정렬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KR1020100044007A 2010-05-11 2010-05-11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KR10114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07A KR101143905B1 (ko) 2010-05-11 2010-05-11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07A KR101143905B1 (ko) 2010-05-11 2010-05-11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553A KR20110124553A (ko) 2011-11-17
KR101143905B1 true KR101143905B1 (ko) 2012-05-10

Family

ID=4539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007A KR101143905B1 (ko) 2010-05-11 2010-05-11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995A (ko) * 2022-06-20 2023-12-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5174B (zh) * 2013-06-03 2015-03-04 长城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大额现金规范存贮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587A (ko) * 2005-12-27 2007-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2008074623A (ja) 2006-09-19 2008-04-03 Xerox Corp 固定エッジによる縁揃えシステム
KR100873380B1 (ko) 2006-04-27 2008-12-10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집적 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587A (ko) * 2005-12-27 2007-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873380B1 (ko) 2006-04-27 2008-12-10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집적 조출장치
JP2008074623A (ja) 2006-09-19 2008-04-03 Xerox Corp 固定エッジによる縁揃え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995A (ko) * 2022-06-20 2023-12-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KR102664233B1 (ko) 2022-06-20 2024-05-1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553A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449B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facilitating establishing a continuous sheet transport path
KR20090072666A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110053966A (ko) 매체 처리 장치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100711316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KR101143905B1 (ko)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KR20090067357A (ko) 금융자동화기기
WO2010032281A1 (ja) 紙幣入金処理ユニット、および紙幣入金処理ユニットに脱着可能な投入・返却ユニット
KR101775520B1 (ko) 지폐 배출장치
KR101160917B1 (ko) 집적 정렬 및 방출 기능을 갖는 매체방출장치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2009217512A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261060B1 (ko) 지폐 입출금기
CN102089787B (zh) 带式纸币计数器
KR20020060845A (ko) 매체자동지급기
KR20100069068A (ko) 금융자동화기기
JP2007091436A (ja) 紙幣入出金装置を備えた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160916B1 (ko) 집적 매체의 회수기능을 갖는 매체방출장치
KR102074818B1 (ko) 매체분리장치
WO2023119495A1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25268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시스템
KR20090067356A (ko) 금융자동화기기
JP6678853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