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7357A -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357A
KR20090067357A KR1020070134990A KR20070134990A KR20090067357A KR 20090067357 A KR20090067357 A KR 20090067357A KR 1020070134990 A KR1020070134990 A KR 1020070134990A KR 20070134990 A KR20070134990 A KR 20070134990A KR 20090067357 A KR20090067357 A KR 2009006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rriage
media
paper medium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577B1 (ko
Inventor
공제석
임경빈
최영일
이원준
차진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577B1/ko
Priority to US12/338,214 priority patent/US8146804B2/en
Priority to CN2008101884108A priority patent/CN101465015B/zh
Publication of KR2009006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 저장부,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및 지지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캐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지는 캐리지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크부를 포함하며, 지지대는 포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을 포함하고, 지지대의 상면은 높이 차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캐리지, 지지대, 포크부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 {CASH TRANSACTION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낱장 단위로 공급되는 종이매체를 일시스택부에 저장한 후 일괄적으로 배출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종이매체 저장부로부터 종이매체를 낱장 단위로 픽업하여 이송하며, 이송된 종이매체는 바로 출금부로 이동하거나 일시스택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출금부로 이동한다. 일시스택부를 이용하는 경우, 종이매체를 묶음 단위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일시스택부를 이용하게 되면, 일시스택부에 저장된 매체들을 이송장치로 이송 가능하게 장착해야 하며, 묶음 단 위를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는 한 장에서 여러 장의 종이매체를 모두 이송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묶음 단위의 종이매체를 적절한 압력을 가압 및 이송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시스택부에서 다른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종이매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이매체의 처짐 등에 대응하여 원활한 종이매체 전환 및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 저장부,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및 지지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캐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지는 캐리지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크부를 포함하며, 지지대는 포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을 포함하고, 지지대의 상면은 높이 차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종이매체의 단부가 절곡되거나 굽어짐으로 해서 지지대의 수용홈에 일부 위치할 수가 있다. 이때 캐리지의 포크부가 지지대의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포크부와 종이매체 간에 간섭이 생길 수 있으며, 포크부의 단부가 최하단의 종이매체를 밀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때 지지대의 상면을 높이 차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종이매체의 단부 가 수용홈 내로 걸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 상면이 높이 차를 갖는다고 함은, 예를 들어, 지지대에서 2개의 수용홈 사이에 정의되는 상면이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을 바라보도록 경사진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경사지지는 않지만 지지대에서 2개의 수용홈 사이로 정의되는 상면이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이 상대적으로 높도록 단차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지지대에서 2개의 수용홈 사이로 정의되는 상면이 평면, 경사면 또는 단차면으로 형성되되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에 있는 다른 상면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 저장부,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및 지지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캐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지는 캐리지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크부를 포함하며, 지지대는 포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을 포함하고, 포크부의 상면은 높이 차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포크부의 상면이 높이 차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종이매체의 단부가 수용홈 내에서 포크부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포크부의 상면을 높이 차를 가지고 형성한다고 함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포크부 중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에 있는 포크부가 안쪽에 있는 다른 포크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 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복수개의 포크부에서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에 있는 포크부는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상면을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 상면에 국부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높이 차를 형성하여 종이매체의 처짐으로 인해 매체의 일부가 수용홈 내에서 포크부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크부 상면에 높이 차를 형성하여 종이매체의 일부가 수용홈 내로 처지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수용홈 내에서 포크부와 종이매체가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시스택부 및 캐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시스택부 및 캐리지 간의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하우징(110) 내에 장착된 매체 저장부(120), 매체 이송장치(130), 일시스택부(140), 캐리지(150), 캐리지 이송부(160) 및 벨트 가압부(170)를 포함한다. 기능적으로 매체 저장부(120)에서 종이매체(P)가 낱장 단위로 픽업 및 공급되며, 공급된 종이매체(P)는 매체 이송장치(130)를 통해 일시스택부(140)로 이송된다. 낱장 단위로 공급되는 종이매체(P)는 일시스택부(140)에 쌓이게 되며, 원하는 양의 종이매체(P)가 쌓이게 되면, 일시스택부(140)의 종이매체 묶음이 캐리지(150)로 전달된다. 캐리지(150)로 전달된 종이매체 묶음은 캐리지(150)와 함께 매체출구(115)로 이동하며, 매체출구(115)에서 고객은 종이매체를 묶음 단위로 수령할 수 있다. 이때 벨트 가압부(170)는 캐리지(150)에 의해 전달되는 종이매체 묶음의 상면을 가압하며, 종이매체 지급을 위해 이동하는 동안 또는 고객이 수취하지 않는 경우 회수하는 동안 종이매체가 흩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한다. 이하, 상기 기능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매체 저장부(120)는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의 종이매체(P)를 보관할 수 있으며, 고객이 일정 양의 종이매체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 기기의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는 보관된 종이매체(P) 중 정해진 개수의 종이매체를 인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때 매체 저장부(120)에는 픽업 모듈(125)이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픽업 모듈(125)은 매체 저장부(120)로부터 정해진 개수의 종이매체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픽업 모듈(125)은 픽업 롤러, 피드 롤러, 게이트 롤러 및 핀치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및 기능은 당업자에 게 자명한 사항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매체 저장부(120)로부터 픽업 및 공급된 종이매체는 매체 이송장치(130)를 통해 일시스택부(140)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체 이송장치(130)는 벨트 및 롤러로 이루어진 이송방식을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와 가이드판을 이용한 이송방식을 이용하여 매체를 이송할 수가 있다.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는 일시스택부(140)로 이어지며, 일시스택부(140)에서 종이매체는 한 장씩 쌓이게 된다.
도 1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140)는 지지대(142), 전방 격벽(144), 후방 격벽(143), 회전 지지대(146) 및 회전 가이드(148)를 포함한다. 지지대(142)와 회전 지지대(146)는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 지지대(146)의 선회 운동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대(142)는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캐리지(150) 전환을 위해 상승 이동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142)의 전후 양단으로 전방 격벽(144)과 후방 격벽(143)이 제공된다. 전방 격벽(144)은 매체 이송장치(130)로부터 배출되는 종이매체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으며,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에 시트 롤러가 장착되면 전방 격벽(144)에 의해서 종이매체는 잠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시트 롤러에 의해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후방 격벽(143)은 지지대(142) 상에서 종이매체가 정렬된 상태로 쌓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2)는 매체 이송장치(130) 출구 앞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148)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반경을 달리하는 나선형의 가이드 홈(149)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지지대(146)에는 그 가이드 홈과 결속되는 돌기(14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가이드(148)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지지대(146)가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지지대(146)가 하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시스택부(140)가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일시스택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대를 승강하기 위한 장치 역시 당업자라면 종래 기술로부터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캐리지(150)는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와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캐리지(150)의 이동 방향을 향해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크부(152)를 포함한다. 이들 복수개의 포크부(152)는 포크(fork)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와 상호 교차하면서 종이매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지지대(142)가 위로 상승하여 상승된 위치에 있으면, 캐리지(1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캐리지(150)의 하부가 지지대(142)로 삽입되도록 종이매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대(142)의 상면에 나란한 복수개의 수용홈(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141)에 대응하여 캐리지(150)의 포크부(15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가 상승하여 캐리지(150)의 포크부(152)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있으며, 캐리지(150)가 접근하여 포 크부(152)가 수용홈(141)에 삽입되도록 하고, 지지대(142)가 종이매체만 두고 하강하여 종이매체가 캐리지(150)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보면, 캐리지(150)의 상부에는 벨트 가압부(170)가 제공된다. 벨트 가압부(170)는 캐리지(150)의 이동 도중에 종이매체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매체가 흩어짐 없이 안정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벨트 가압부(170)는 캐리지(150)의 이동하는 전구간에서 종이매체 상면을 가압하는 벨트(172), 벨트(172)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73~175) 및 벨트(172)의 양단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76)을 포함한다. 벨트(172)는 종이매체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는 전방 고정 롤러(173), 후방 고정 롤러(174) 및 전방 고정 롤러(173)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하로 선회 가능한 전방 이동 롤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이동 롤러(175)와 전방 고정 롤러(173) 사이에는 지지구(176)가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구(176)는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전방 이동 롤러(175)는 지지구(176)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이동 롤러(175)는 지지구(176)와 함께 상하로 선회할 수 있으며, 캐리지(150)가 접근하면 지지구(176)와 함께 위로 들렸다가 캐리지(150)가 후퇴하면 다시 하강할 수 있다.
벨트(172)는 캐리지(150)와 무관하게 정지할 수 있지만 매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캐리지(150)의 이동과 함께 동일한 변위만큼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벨트(172) 혹은 가이드롤러(173~175)가 캐리지 이송부(160)와 연동 할 수 있다. 캐리지 이송부(160)와 벨트(172)가 연동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벨트 가압을 위한 벨트 가압부(170)와 연동하는 별도의 벨트를 바깥쪽에 설치하고, 캐리지(150)를 바깥쪽에 설치된 벨트에 고정시켜 캐리지(150)와 벨트 가압부(170)의 벨트(172)가 함께 움직이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 다른 예로, 벨트 가압부의 벨트와 캐리지를 직접 고정하는 방법도 있다. 이때 벨트 가압부의 벨트가 캐리지 이송부와 직접 연결되며, 오히려 캐리지가 벨트를 통해 캐리지 이송부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때는 이전 예와 다르게, 벨트 가압부의 벨트 외에 다른 벨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에 원하는 양의 종이매체(P)가 쌓이게 되면, 회전 가이드(14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대(14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2) 상에 적층된 종이매체(P)는 벨트 가압부(170)의 저면과 닿게 되며, 대략 벨트(172)에 의해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지(150)가 앞으로 이동하여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와 겹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캐리지(150)의 하부가 지지대(142)의 홈을 타고 안쪽으로 들어 갈 수 있으며, 회전 가이드(148)가 반대로 회전하여 지지대(142)가 하강하면 종이매체(P)만 캐리지(150)에 남고 다른 일시스택부(140)는 아래로 계속 하강한다.
도 6을 보면, 캐리지(150)는 종이매체(P)와 함께 매체출구(115)로 이동할 수 있다. 매체출구(115)로 캐리지(150)가 이동하면서, 전방 이동 롤러(175)가 위로 들리게 되며, 매체출구(115)를 통해 종이매체가 묶음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고객은 외부로 노출된 종이매체를 수령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매체의 단부가 자중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처질 수 있으며, 처진 부분이 수용홈(141) 내부에 위치하여 포크부(152)의 진입을 방해할 수 있다. 종이매체가 부분적으로 처진 상태에서 포크부(152)가 진입하게 되면, 최하단의 종이매체가 포크부(152)에 밀려 캐리지 밖으로 밀려 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종이매체의 정렬된 상태를 어지럽혀서 종이매체의 이송을 불안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시스택부(240)의 지지대(242) 및 캐리지의 포크부(252)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 있다. 일시스택부(240)의 지지대(242)에는 복수개의 수용홈(244)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244)에 의해서 구분되는 지지대의 상면, 즉 2개 수용홈(244) 사이에서 정의되는 지지대의 상면(246)은 중앙부를 향해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진 지지대의 상면(246) 은 평면, 오목한 곡면 또는 볼록한 곡면일 수 있으며,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면에 의해서 종이매체의 단부는 위를 향하도록 굽어질 수 있으며,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 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시스택부(340)의 지지대(342) 및 캐리지의 포크부(352)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 있다. 일시스택부(340)의 지지대(342)에는 복수개의 수용홈(344)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344)에 의해서 구분되는 지지대의 상면, 즉 2개 수용홈(344) 사이에서 정의되는 지지대의 상면(346)은 바깥쪽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차면으로 형성된다.
단차를 가지는 지지대의 상면(34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차를 가질 수 있으며,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차를 가진 면에 의해서 종이매체의 단부는 위를 향하도록 굽어질 수 있으며,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시스택부(440)의 지지대(442) 및 캐리지의 포크부(452)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 있다. 일시스택부(440)의 지지대(442)에는 복수개의 수용홈(444)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444)에 의해서 구분되는 지지대의 상면, 즉 2개 수용홈(444) 사이에서 정의되는 지지대의 상면(446)은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에 있는 다른 상면(446')보다 평균적으로 높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의 상면(446)은 바깥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면(446)은 평면, 경사면, 단차면 등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 또는 단차 방향도 안쪽 또는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이렇게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상면(446)으로 인해서 종이매체의 단부는 위를 향하도록 굽어질 수 있으며,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시스택부(540)의 지지대(542) 및 캐리지의 포크부(552)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 있다. 일시스택부(540)의 지지대(542)에는 복수개의 수용홈(544) 형성되어 있으며, 각 수용홈(544)에는 포크부(552, 552')가 수용되어 있다. 다만, 복수개의 포크부 중 바깥쪽에 있는 포크부(552)는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에 있는 다른 포크부(55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수용홈(544) 역시 바깥쪽에 있는 홈이 안쪽에 있는 홈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깥으로 갈수록 포크부(552, 552')의 상면이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종이매체의 단부가 수용홈(544) 내부로 늘어진다고 해도 포크부(552)와 종이매체 간의 간섭을 줄일 수가 있다. 이들 포크부(552, 552')들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552, 552')의 정면이 앞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554)을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포크부와 종이매체 단부 간의 간섭을 더 줄일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시스택부(640)의 지지대(642) 및 캐리지의 포크부(652)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 있다. 일시스택부(640)의 지지대(642)에는 복수개의 수용홈(644) 형성되어 있으며, 각 수용홈(644)에는 포크부(652, 652')가 수용되어 있다. 다만, 복수개의 포크부 중 바깥쪽에 있는 포크부(652)는 바깥을 향해 경사져 있는 반면, 중앙부에 위치한 포크부(652')는 그냥 평평한 상면을 갖는다. 물론, 이때에도 모든 포크부의 상면이 지지대 중앙을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으며, 도 10의 설명과 같이 높이 차이를 가질 수도 있다.
바깥으로 갈수록 포크부(652)의 상면이 바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기 때문에, 종이매체의 단부가 수용홈(644) 내부로 늘어진다고 해도 포크부(652)와 종이매체 간의 간섭을 줄일 수가 있다. 이들 포크부(652)들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시스택부 및 캐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시스택부 및 캐리지 간의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금융자동화기기 110:하우징
120:매체 저장부 130:매체 이송장치
140:일시스택부 150:캐리지
170:벨트 가압부 242~642:지지대
244~644:수용홈 246~446:지지대 상면
252~652:포크부

Claims (11)

  1. 매체 저장부;
    상기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상기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및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캐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포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은 높이 차를 가지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수용홈 사이에 있는 상면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을 바라보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면은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수용홈 사이에 있는 상면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이 상대적으로 높도록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수용홈 사이에 있는 상면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에 있는 다른 상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금융자동화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크부 중 한 포크부는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에 있는 다른 포크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크부에서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에 있는 포크부는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상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크부에서 각 포크부의 정면은 앞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9. 매체 저장부;
    상기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상기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및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매체출구까지 이송하는 캐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포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포크부의 상면은 높이 차를 가지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크부 중 한 포크부는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안쪽에 있는 다른 포크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크부에서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에 있는 포크부는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상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70134990A 2007-12-21 2007-12-21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990A KR100961577B1 (ko) 2007-12-21 2007-12-21 금융자동화기기
US12/338,214 US8146804B2 (en) 2007-12-21 2008-12-18 Cash transaction machine
CN2008101884108A CN101465015B (zh) 2007-12-21 2008-12-22 现金交易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990A KR100961577B1 (ko) 2007-12-21 2007-12-21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357A true KR20090067357A (ko) 2009-06-25
KR100961577B1 KR100961577B1 (ko) 2010-06-04

Family

ID=4080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990A KR100961577B1 (ko) 2007-12-21 2007-12-21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1577B1 (ko)
CN (1) CN1014650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3985B (zh) * 2009-12-31 2015-07-01 纳蒂卢斯晓星公司 金融自动化设备
US8261903B2 (en) * 2010-12-23 2012-09-11 Ncr Corporation Media presenter
JP5810744B2 (ja) * 2011-08-23 2015-11-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9346639B2 (en) * 2011-12-02 2016-05-24 Lg Cns Co., Ltd.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N103579597B (zh) * 2012-07-24 2015-09-09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负极材料钛酸锂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02831704B (zh) * 2012-09-05 2016-03-23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阶梯槽的固定纸币的清分机
US9646465B2 (en) * 2015-10-12 2017-05-09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scrow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8550B2 (ja) 2001-11-14 2008-07-1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KR100610807B1 (ko) * 2004-06-29 2006-08-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월 타입 금융자동화기기용 지폐 배출장치
KR101016245B1 (ko) * 2005-04-27 2011-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60129647A (ko) * 2005-06-13 2006-1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577B1 (ko) 2010-06-04
CN101465015A (zh) 2009-06-24
CN101465015B (zh)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577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90072666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EP2600322A1 (en) Medium storage box
US8146804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WO2013140451A1 (ja) 紙葉類収納庫、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20090061934A (ko) 매체 공급 장치
JP5602303B2 (ja) 紙葉類収納庫、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900009173Y1 (ko) 지폐출납기의 지폐누름 장치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304528B1 (ko) 지폐 집적 배출수단을 구비한 출금기
KR20100069068A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90067356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77318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629015B1 (ko) 리젝트박스의 지폐 스택구조
JP5256556B2 (ja) 紙幣収納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6028398B2 (ja) 媒体分離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KR10101649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266593B1 (ko) 매체출납장치
JP5791464B2 (ja) 紙幣保留分離機構とこれを用いた還流式紙幣処理装置
KR20180111212A (ko) 다권종 지폐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승강구조
KR20100079664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41539B1 (ko) 매체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