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664A -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664A
KR20100079664A KR1020080138201A KR20080138201A KR20100079664A KR 20100079664 A KR20100079664 A KR 20100079664A KR 1020080138201 A KR1020080138201 A KR 1020080138201A KR 20080138201 A KR20080138201 A KR 20080138201A KR 20100079664 A KR20100079664 A KR 2010007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unit
driving
shutte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322B1 (ko
Inventor
이원준
이동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3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캠을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를 개시한다. 매체 저장부,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지지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는 캐리지, 캐리지가 전달받은 종이매체를 가압한 상태로 매체출구까지 캐리지를 이송하는 캐리지 이송부 및 일시스택부를 승강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구동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캠구동부를 사용하여 다양한 가동 부분을 구동시킬 수 있다.
캠구동부, 제1구동홈, 제2구동홈, 가이드 핀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CASH TRANSACTION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여러 가동부분을 구동할 수 있는 다기능 캠구동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종이매체 저장부로부터 종이매체를 낱장 단위로 픽업하여 이송하며, 이송된 종이매체는 바로 출금부로 이동하거나 일시스택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출금부로 이동한다. 일시스택부를 이용하는 경우, 종이매체를 스택 단위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일시스택부,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캐리지, 매체출구 등 다양한 가동 부분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가동 부분을 구동하기 위해 각각의 구동부를 구비해야 한다면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의 다양한 가동 부분을 가능한 적은 수의 구동부로 구동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캠구동부를 사용하여 다양한 가동 부분을 구동시킬 수 있는 다기능 캠구동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동 부분의 구동 구조가 단순하고 장애 조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캠구동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 저장부, 상기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상기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상기 지지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전달받은 종이매체를 가압한 상태로 매체출구까지 상기 캐리지를 이송하는 캐리지 이송부 및 상기 일시스택부를 승강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구동부는 상기 매체출구를 개폐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캠구동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가동 구성품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를 많이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캠구동부는 일면에 상기 매체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구동홈 및 타면에 상기 일시스택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구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캠구동부의 일면을 이용해서는 셔터를 개폐할 수 있고, 타면을 이용해서는 일시스택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홈은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중심에서의 반경이 동일한 원호형상의 곡선홈으로 형성될수 있다. 제1구동부가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짐으로써 셔터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셔터부는 상기 매체출구를 개폐하는 셔터 및 상기 셔터와 상기 제1구동홈을 연결하되,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셔터를 작동시키는 셔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셔터 브라켓의 양측면에는 상기 셔터 브라켓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셔터가 움직이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셔터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캠구동부와 떨어져 있는 셔터를 구동할 수 있으며, 캠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셔터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홈은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중심에서의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원호형상의 곡선홈이며, 상기 곡선홈의 일단이 타단 보다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중심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시스택부가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승강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일시스택부는 상기 캐리지 이송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을 시 진입하는 종이매체의 충돌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댐핑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핑모듈은 상기 캠구동부에 의해 충돌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댐핑모듈은 상기 일시스택부에 형성된 댐핑레일, 상기 댐핑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를 움직이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캠구동부 내측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구동되는 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 댐핑모듈에 의해 일시스택부에 적재되는 종이매체의 크기와 무관하게 종이매체의 일단이 가지런하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일시스택부는 상기 캐리지이송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을 시 그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캠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구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캠구동부의 내측을 향하여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덮개의 일단에 연결된 캠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며 상기 덮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 없이 캠구동부를 이용하여 일시스택부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가동 부분을 구동할 수 있는 하나의 캠구동부를 사용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의 구동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다기능 캠구동부를 이용하여 여러 가동 부분을 구동하기 때문에 가동 부분의 동력 전달 계통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 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하우징(110) 내에 장착된 매체 저장부(120), 매체 이송장치(130), 일시스택부(140), 캐리지(carriage, 150), 캐리지를 이송하기 위한 캐리지 이송부(170)를 포함한다.
기능적으로 매체 저장부(120)에서 종이매체가 낱장 단위로 픽업 및 공급되며, 공급된 종이매체는 매체 이송장치(130)를 통해 일시스택부(140)로 이송된다. 낱장 단위로 공급되는 종이매체는 일시스택부(140)에 쌓이게 되며, 고객이 출금하고자 하는 매수만큼의 종이매체가 쌓이게 되면, 일시스택부(140)의 종이매체 묶음 또는 스택(stack)이 캐리지(150)로 전달된다. 캐리지(150)로 전달된 종이매체 스택은 캐리지(150)와 함께 매체출구(115)로 이동하며, 매체출구(115)에서 고객은 종이매체를 스택 단위로 수령할 수 있다.
이 때, 캐리지 이송부(170)는 캐리지(150)에 의해 전달되는 종이매체 스택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캐리지(150)를 이송할 수 있다.
매체 저장부(120)에는 픽업 모듈(125)이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픽업 모듈(125)은 매체 저장부(120)로부터 정해진 개수의 종이매체를 한 장 씩 픽업할 수 있다.
매체 저장부(120)로부터 픽업 및 공급된 종이매체는 매체 이송장치(130)를 통해 일시스택부(140)로 전달된다.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와 인접한 곳에는 일시스택부(140)가 형성되며, 일시스택부(140)에서 종이매체는 한 장씩 쌓이면서 종이매체의 스택이 만들어 진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시스택부(140)는 지지대(142), 전방 격벽(144), 후방 격벽(143), 스택승강부(146,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택승강부는 회전 지지대(146) 및 회전 구동되는 캠구동부(200)를 포함한다. 지지대(142)는 회전 지지대(146)의 선회 운동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대(142)는 매체 이송장치(130)의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캐리지(150) 전환을 위해 상승 이동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캠구동부(20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캠구동부(200)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반경을 달리하는 나선형의 제2구동홈(2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지지대(146)에는 그 가이드 홈과 결속되는 돌기(14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캠구동부(200)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지지대(146)가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지지대(146)가 하강하게 된다.
캐리지(150)는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와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지지대를 갖는 포크(fork)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대(142)가 위로 상승하면, 캐리지(1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캐리지(150)의 하부가 지지대(142)로 삽입되어 종이매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150)의 상부 또는 양측에는 캐리지 이송부(170)가 제공된다. 캐리지 이송부(170)는 캐리지(150)의 이송과 동시에 종이매체 또는 스택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매체가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히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지 이송부(170)는 캐리지(150)의 이동하는 전구간에서 캐리지(150)를 이송함과 동시에 종이매체 상면을 가압하는 벨트(172) 및 벨트(172)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전방 고정 롤러(173), 후방 고정 롤러(174) 및 전방 고정 롤러(173)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하로 선회 가능한 전방 이동 롤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이동 롤러(175)와 전방 고정 롤러(173) 사이에는 지지구(176)가 개재될 수 있다. 벨트(172)는 종이매체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구(176)는 전방 고정 롤러(173)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전방 이동 롤러(175)는 지지구(176)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이동 롤러(175)는 지지구(176)와 함께 상하로 선회할 수 있으며, 캐리지(150)가 접근하면 지지구(176)와 함께 위로 들렸다가 캐리지(150)가 후퇴하면 다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72)는 캐리지(150)의 전진 방향을 따라서 또는 수평선에 대하여 하향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지(150)의 전진 방 향(일점쇄선 L-L 참조)을 따라 벨트(172)를 하향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압 방지부 등에 의해 벨트(172)가 위로 들어 올려지더라도 종이매체와 벨트(172) 간의 최소한의 접촉은 유지할 수 있다.
종이매체의 스택을 매체출구(115)로 이송하는 힘은 캐리지(150) 및 벨트(172)의 구동력이며, 벨트(172)는 종이매체의 상면을 누르는 역할도 한다. 즉, 벨트(172)와 종이매체 스택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종이매체의 묶음이 이송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출금되지 않거나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종이매체가 캐리지(150)에 잔존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종이매체를 캐리지(150)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캐리지(150)의 전진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는 스토퍼(180)가 캐리지(150)의 이송경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캐리지(150)의 전진시에는 캐리지(150)에 적재된 종이매체가 스토퍼(180)에 걸리지 않고, 캐리지(150)의 후퇴시에는 캐리지(150)에 적재된 종이매체가 스토퍼(180)에 걸리게 되어 캐리지(150)로부터 종이매체가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에 원하는 양의 종이매체가 쌓이게 되면, 캠구동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대(14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2) 상에 적층된 종이매체는 캐리지 이송부(170)의 저면과 접촉하게 되며, 벨트(172)에 의해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리지(150)가 매체출구(115)를 향하여 앞으로 이동하여캐리지(150)의 하부가 지지대(142)의 홈을 타고 안쪽으로 들어 갈 수 있으며, 캠구동부(200)가 반대로 회전하여 지지대(142)가 하강하면 종이매체만 캐리지(150)에 남고 다른 일시스택부(140)는 아래로 계속 하강한다.
이로 인해, 종이매체는 캐리지(150)에 옮겨 지고, 캐리지(150)는 매체출구(115)를 향하여 계속 전진한다.
도 4를 보면, 캐리지(150)는 캐리지 이송부(170)에 의해 종이매체와 함께 매체출구(115)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캐리지(150)가 스토퍼(180)와 만나게 되더라도 캐리지(150)는 스토퍼(180)를 밀면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즉, 스토퍼(180)는 캐리지(150)에 의해 캐리지(150)의 전진방향으로 피벗 운동을 하면서 캐리지(150)의 이송 경로를 열어 주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에서 움직이는 구성품, 즉, 가동부인 일시스택부(140), 매체출구(115) 등은 모두 캠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서 작동된다. 즉, 하나의 캠구동부(200)를 이용하여 다양한 가동부를 구동시키는 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구동부(200)는 다기능 캠구동부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캠구동부(20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 본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 따른 캠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상부 구조는 각종 구성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111), 프레임(111)의 일측 상부에 제공되는 셔터 브라켓(112) 및 프레임(111)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캠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품으로는 프레임(111)의 후방측에 제공되며 복수개의 샤프트(미도시), 롤러(미도시) 및 벨트(미도시)를 포함하는 캐리지 이송부(170), 캐리지 이송부(170)에 의해 구동되며 종이매체의 스택을 운반하는 캐리지(150), 캐리지(150)에 옮겨질 종이매체의 스택(stack)을 형성하는 일시스택부(140) 등이 있다. 일시스택부(140)의 회전지지대(146)의 끝단은 프레임(111)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레임(111)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는 캠구동부(2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캠구동부(200)와 이격 배치된 캠구동모터(250)와 벨트(252)에 의해 연결되어, 캠구동모터(2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캠구동모터(250)의 구동력이 벨트(252)를 통해 캠구동부(200)에 전달되어 캠구동부(200)가 회전하게 되며, 캠구동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캠구동부(200)에 연결된 각종 구성품도 일정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우선, 캠구동부(200)의 외면에는 셔터 브라켓(112)의 캠연결부(112a)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캠연결부(112a)는 캠구동부(200)의 외면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캠구동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캠구동부(200)의 외면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셔터 브라켓(112)은 프레임(111)의 일측 상부를 복개하도록 구비되며, 셔터 브라켓(112)의 일단에는 매체출구(115)를 개폐하는 셔터(116)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셔터(116)는 셔터 브라켓(116)에 형성된 셔터 슬롯(112b)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즉, 캠구동부(200)가 회전하여 캠구동부(200)의 외면에 형성된 경로(미도시)의 양 끝단 중 어느 일단에 캠연결부(112a)가 위치한 상태에서 캠구동부(200)가 더 회전하게 되면 캠연결부(112a)도 캠구동부(200)의 경로 끝단에 걸린 상태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셔터 브라켓(112)이 움직일 수 있다. 셔터 브라켓(112)이 움직이게 되면 셔터 슬롯(112b)을 통해 연결된 셔터(116)도 움직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셔터(116)가 매체출구(115)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 슬롯(112b)은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수평부 및 하부 수평부와 이 둘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셔터 슬롯(112b)의 끝단에 셔터(116)가 위치한 상태에서 캠구동부(200)가 회전하여 캠연결부(112a)가 후퇴하게 되면 셔터(116)가 셔터 슬롯(112b)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매체출구(115)가 열릴 수 있다.
매체출구(115)와 캠구동부(200)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캠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셔터(116)에 전달하기 위해 셔터 브라켓(112)이 필요하며, 셔터 브라켓(112)은 캠구동부(20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셔터(116)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1)의 외면에는 캠 가이드(230)가 구비되는데, 캠 가이드(230)는 캠구동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핀(미도시)에 의해 프레 임(111)의 슬롯(111a)을 따라 일시스택부(140)에 종이매체가 적재될 때 일시스택부(14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미도시)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구동부(200)의 외면을 통해서는 벨트(252)가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으며, 전달 받은 동력에 의해 셔터(116)를 개폐할 수 있다. 캠구동부(200)의 내면을 통해서는 일시스택부(140) 또는 댐핑모듈(미도시) 등을 구동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캠구동부의 외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b)는 캠구동부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c)는 캠구동부의 외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7 의 (d)는 캠구동부의 내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의 (a) 및 (c)를 참조하면, 캠구동부(200)의 원주방향 외주면에는 캠구동 모터(25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벨트(252)가 체결될 수 있도록 기어부(202)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셔터(116)를 구동 내지 개폐시키기 위한 제1구동홈(20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캠구동부(200)의 가운데 부분에는 회전중심(201)이 형성되어 캠구동부(200)를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동홈(204)은 캠구동부(200)의 외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이 홈 형태의 제1구동부(204)에 셔터 브라켓(112)의 캠연결부(112a)가 안착된다. 캠연결부(112a)는 캠구동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구동홈(204)을 따라 회전한다. 다시 말하면, 캠구동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캠연결부(112a)는 가만히 있고 제1구동홈(204)이 회전하게 된다. 캠구동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구동홈(204)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이 캠연결부(112a)와 만나게 되면, 그 때부터 셔터 브라켓(112)이 움직일 수 있다.
제1구동홈(204)의 양단(204a,204b)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제1구동홈(204)이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은 아니다. 제1구동홈(204)의 양단이 서로 연결되면 셔터(116)가 열린 경우에는 닫히지 않으며, 닫힌 경우에는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캠연결부(112a)가 걸려 캠구동부(200)와 함께 구동될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이다.
제1구동홈(204)은 캠구동부(20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구동홈(204)은 캠구동부(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중심(201)에 대해 반경이 동일한 원호형상의 곡선홈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구동홈(204)의 양단(204a,204b)은 회전중심(201)을 지나는 가상선 (즉, 지름선)을 중심으로 동일한 일측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캠구동부(200)는 외면에 형성된 제1구동홈(204)에 의하여 셔터(116)를 개폐할 수 있다.
캠구동부(200)의 일면에 형성된 제1구동홈(204)에 의해 셔터 브라켓(112) 및 셔터(116)를 포함하는 셔터부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캠구동부(200)의 외면에는 캠구동부(200)의 회전중심(201)과 연결되는 수동 구동부(208)가 형성될 수 있다. 수동 구동부(208)는 종이매체의 잼(jam)이 발생한 경우 캠구동부(200)를 구동시키는 캠구동모터(250)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캠구동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수동 구동부(208)는 비상시 캠구동부(200)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잼이 발생하거나 캠구동모터(250)가 고장난 경우, 사용자는 수동 구동부(208)를 손으로 강제로 돌리면서 잼이 발생한 종이매체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d) 및 (d)를 참조하면, 캠구동부(200)의 내측면에는 일시스택부(14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구동홈(20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홈 (206)은 캠구동부(200)의 외면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캠구동부(200)의 내면을 이용해서는 일시스택부(1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2구동홈(206)은 양단이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홈 (206)의 양단(206a,206b)이 서로 연결되면 일시스택부(140)가 제2구동홈 (206)을 따라 하강한 경우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한 경우 하강하지 않을 수 있다.
제1구동홈(204)과 달리 제2구동홈(206)은 불균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구동홈(206)은 캠구동부(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중심(201)에서의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원호형상의 곡선홈이며, 곡선홈의 일단이 타단 보다 캠구동부(200)의 회전중심(201)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홈(206)의 양단(206a,206b) 중 캠구동부(200)의 외주면 가까이에 있는 끝단을 상승단(206a)이라 하고, 캠구동부(200)의 회전중심(201) 가까이에 있는 끝단을 하강단(206b)이라 할 수 있다. 일시스택부(140)의 회전지지대(146) 끝단에 형성되며, 제2구동홈(206)에 삽입되는 돌기(147)가 상승단(206a)에 있을 때 일시스택부(140)가 상승하게 되고, 하강단(206b)에 있을 때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제2구동홈(206)의 상승단(206a) 보다 하강단(206b)이 캠구동부(200)의 회전중심(201) 가까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 즉, 제2구동홈(206)은 캠구동부(200)의 외주면 측에서부터 회전중심(201)를 향하여 점차 접근하는 나선 또 는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홈(204)에 비하여 제2구동홈(206)이 불균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이유는 셔터 브라켓(112)과 달리 일시스택부(140)는 높이 차이를 가지면서 승강 구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제2구동홈(206)이 캠구동부(20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면 캠구동부(200)가 회전하더라도 일시스택부(140)는 상하 운동은 하지 않고 거의 수평적인 운동만 하게 된다.
한편, 캠구동부(200)의 외주면에는 캠구동부(200)의 내측면 방향을 향하여 가이드 핀(203)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핀(203)은 프레임(111)에 장착된 캠 가이드(23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캠구동부(20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핀(203)이 회전함에 따라 캠 가이드(230)에 연결된 덮개(미도시)가 프레임(111)에 형성된 슬롯(111a)을 따라 매체출구(115)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캠구동부(200)의 내면에는 회전중심(201)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태의 리브(20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른 캠구동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른 캠구동부와 캠구동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른 캠구동부와 덮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시스택부(140)의 전방 격벽(144)에는 일시스택부(140)로 진입하는 종이매체 충돌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댐핑모듈(160)이 구비될 수 있다. 댐핑모듈(160)은 매체이송장치(130)에 의해 이송되어 일시스택부(140) 에 진입하는 종이매체가 부딪히는 부분으로, 이송되는 종이매체의 크기 또는 권종에 대응하여 종이매체가 충돌하는 거리를 가변하여 일시스택부(140)의 지지대(142)에 종이매체가 가지런히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댐핑모듈(160)은 전방 격벽(144)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캠구동부(2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샤프트(168)에 연결되어 종이매체의 권종에 따라 충돌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전방 격벽(144)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댐핑모듈(160)도 캠구동부(200)로 구동할 수 있다.
도 9에는 일시스택부(140)의 돌기(147)와 캠구동부(200)의 내면에 형성된 제2구동홈(206)의 결합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댐핑모듈(160)을 움직이기 위한 레버(163)가 샤프트(168)에 연결되며, 레버(163) 끝단에 형성된 핀부(163a)가 캠구동부(200)의 내면에 형성된 리브(205)에 걸리면서 댐핑모듈(160)이 움직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댐핑모듈(160)은 지지대(142) 또는 전방 격벽(144)에 형성된 댐핑레일(162) 및 댐핑레일(162)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161)는 구동 샤프트(168)에 의해 댐핑레일(162)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캠구동부(200)의 가이드 핀(203)과 캠 가이드(230)의 결합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캠 가이드(23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핀 레일(232)을 구비하는데, 가이드 핀(203)이 캠 가이드(230)의 핀 레일(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캠구동부(200)가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 핀(203)은 핀 레일(232) 을 따라 그 상단까지 움직이고, 그 이후에는 캠 가이드(230) 자체가 프레임(111)에 형성된 슬롯(111a, 도 5 참조)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캠 가이드(230)의 일측에는 일시스택부(14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167)가 연결된다. 덮개(167)는 일시스택부(140)에 종이매체가 적재될 때 일시스택부(140)의 상측 개구부를 덮게 된다. 즉, 캠구동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핀(203)이 캠 가이드(230)의 핀 레일(232)을 따라 움직이고, 이 과정에서 캠 가이드(230)는 프레임(111)에 형성된 슬롯(111a)을 따라 움직이면서 일시스택부(140)의 상측 개구부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캠구동부(200)의 작동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캐리지 이송부(170)는 캠구동부(200)를 구동하는 캠구동모터(250)에 연결된 벨트 등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셔터 브라켓(112)의 캠연결부(112a)는 캠구동부(200)의 제1구동홈(204)의 끝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캠구동부(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연결부(112a)가 제1구동홈(204)의 끝단에 걸려 움직이며 결국 셔터 브라켓(112)이 매체출구(115) 반대쪽으로 움직인다. 셔터 브라켓(112)이 움직임에 따라 셔터 슬롯(112b)에 의해 연결된 셔터(116)가 셔터 슬롯(112b)의 상단으로 움직이면서 셔터(116)가 들리면서 매체출구(115)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캠구동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연결부(112a)는 움직이지 않고 제1구동홈(204)만 회전하게 된다. 도시된 상 태에서 캠구동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핀(203)이 핀 레일(232)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가이드 핀(203)이 핀 레일(232)의 상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캠구동부(200)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캠 가이드(230) 및 덮개(167)가 프레임(111)의 슬롯(111a)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시스택부(140)의 회전지지대(146)의 끝단에 구비된 돌기(147)가 제2구동홈(206)의 상승단(206a)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캠구동부(200)가 반시계 방향(캠구동부의 내면에서 보았을 때)으로 회전하면 돌기(147)가 하강단(206b)에 위치하게 되면서 일시스택부(140)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캠구동부를 사용하여 다양한 가동부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를 많이 구비할 필요가 없다.
지금까지 설명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현금입출금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 따른 캠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른 캠구동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른 캠구동부와 캠구동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른 캠구동부와 덮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금융자동화기기 110:하우징
120:매체 저장부 130:매체 이송장치
140:일시스택부 150:캐리지
170:캐리지 이송부 200: 캠구동부
202: 기어부 203: 가이드 핀
204: 제1구동홈 206: 제2구동홈

Claims (10)

  1. 매체 저장부;
    상기 매체 저장부로부터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장치;
    상기 매체 이송장치의 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종이매체를 적층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일시스택부;
    상기 지지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전달받은 종이매체를 가압한 상태로 매체출구까지 상기 캐리지를 이송하는 캐리지 이송부; 및
    상기 일시스택부를 승강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구동부는 상기 매체출구를 개폐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구동부는
    일면에 상기 매체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구동홈 및
    타면에 상기 일시스택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구동홈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홈은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중심에서의 반경이 동일한 원호형상의 곡선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매체출구를 개폐하는 셔터 및 상기 셔터와 상기 제1구동홈을 연결하되,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셔터를 작동시키는 셔터 브라켓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브라켓의 양측면에는 상기 셔터 브라켓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셔터가 움직이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셔터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홈은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중심에서의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원호형상의 곡선홈이며,
    상기 곡선홈의 일단이 타단 보다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중심에 더 근접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는 상기 캐리지 이송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을 시 진입하는 종이매체의 충돌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댐핑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핑모듈은 상기 캠구동부에 의해 충돌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모듈은 상기 일시스택부에 형성된 댐핑레일, 상기 댐핑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를 움직이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캠구동부 내측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구동되는 레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는 상기 캐리지이송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을 시 그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캠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구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캠구동부의 내측을 향하여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덮개의 일단에 연결된 캠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며 상기 덮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80138201A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 KR10107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01A KR101077322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01A KR101077322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64A true KR20100079664A (ko) 2010-07-08
KR101077322B1 KR101077322B1 (ko) 2011-10-26

Family

ID=4264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201A KR101077322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94B1 (ko) * 2009-12-31 2012-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EP3671677A1 (en) * 2018-12-19 2020-06-24 Hyosung Tns Inc. Automated teller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94B1 (ko) * 2009-12-31 2012-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EP3671677A1 (en) * 2018-12-19 2020-06-24 Hyosung Tns Inc. Automated teller machine
US10872506B2 (en) 2018-12-19 2020-12-22 Hyosung TNS Inc. Automated teller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322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0762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irculating cash box mechanism thereof
EP2600322B1 (en) Medium storage box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US8047428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US20140238814A1 (en) Medium pick-up apparatus,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JP5157078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171460B1 (ko) 지폐저장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승강 구조
KR100961577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101077322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526583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입금장치
KR900009173Y1 (ko) 지폐출납기의 지폐누름 장치
KR20130075444A (ko) 지폐저장장치
KR101063682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8011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202654Y1 (ko) 카드 디스펜서
KR101077318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90067356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773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박스
JP4321513B2 (ja)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処理装置
KR102462300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0307363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