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917B1 -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2917B1 KR100922917B1 KR1020077018483A KR20077018483A KR100922917B1 KR 100922917 B1 KR100922917 B1 KR 100922917B1 KR 1020077018483 A KR1020077018483 A KR 1020077018483A KR 20077018483 A KR20077018483 A KR 20077018483A KR 100922917 B1 KR100922917 B1 KR 100922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vature
- curved
- radius
- endoscope
- shif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436 anu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69 T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72 col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with stiffening mea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6—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using light gu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 분야의 내시경은, 예를 들어 체강 내에 가늘고 긴 삽입부를 삽입함으로써, 예를 들어 대장 등의 체강 내의 장기 등을 관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한 처치구를 이용하여 각종 처치를 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내시경 삽입부에는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선단부, 만곡부 및 가요관부가 배치되어 있다.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 시술자 등의 사용자는 가요관부를 파지하여 체강 내로 압입하면서, 내시경의 조작부에 배치되는 조작 손잡이를 소정 조작함으로써 만곡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킨다. 이와 같은, 내시경의 삽입부는 굴곡되는 체강 내로의 삽입성을 좋게 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58-49132호(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내시경은, 삽입부의 선단 부분에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만곡부는 내부에 복수의 만곡 부재가 연속 설치되어 있어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만곡된다.
또한, 일본 실용 신안 공보 평1-22641호(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내시경의 삽입부에서는,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외부로부터 4방향으로 만곡 조작 가능한 제1 만곡부와, 스테이 코일 및 절륜(節輪)이 배치되고, 4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매우 구부러지기 쉬운 제2 만곡부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내시경의 삽입부가 체강 내의 굴곡 부분을 통과할 때, 제2 만곡부는 체강벽을 따라 만곡 조작된 제1 만곡부의 만곡 상태에 추종하면서 만곡된다. 그러나, 내시경의 제2 만곡부는 삽입의 조건에 따라서는 제1 만곡부보다도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시술자에 의한 삽입부의 압입 역량에 대응하여 체강벽과 접촉하여, 국소적으로 큰 곡절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곡절 상태로 된 제2 만곡부는, 조작자에 의해 압입되는 역량에 맞추어 굴곡되는 체강벽을 압박하고, 또한 체강을 급준하게 굴곡시켜 버려 급준하게 굴곡된 체강벽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체강이 급준하게 굴곡된 상태에서, 제2 만곡부와 체강벽의 저항이 커져, 삽입부는 오히려 굴곡 부분의 체강 내에 삽입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 때, 체강에는 무리한 부하가 부여되어 필요 이상으로 연신되어 버린다. 그 결과, 환자는 내시경 검사시의 부담이 커지고, 고통이 부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내시경 검사시에 있어서, 삽입부가 체강의 굴곡부를 통과할 때의 저항을 억제하여 삽입부의 삽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환자에의 부담 및 고통을 경감시키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의 내시경용 가요관은, 체강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용 가요관이며, 선단측에 배치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기단에 연속 설치되는 제1 가요관부와, 상기 제1 가요관부의 기단에 연속 설치되는 제2 가요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 및 상기 제1 가요관부가 상기 체강의 굴곡부를 통과할 때, 소정의 역량에 의해 수동적으로 만곡되는 상기 제1 가요관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만곡부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의 내시경용 가요관은, 체강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용 가요관이며, 선단측에 배치되고 제1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기단에 연속 설치되고 제2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제1 가요관부와, 상기 제1 가요관부의 기단에 연속 설치되는 제2 가요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곡률 반경이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있어서의 내시경용 가요관은, 체강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용 가요관이며, 선단측에 배치되고 제1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기단에 연속 설치되고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도 큰 제2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제1 가요관부와, 상기 제1 가요관부의 기단에 연속 설치되고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도 큰 제3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제2 가요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있어서의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태양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시경용 가요관을 구비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을 구비한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삽입부의 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의 A-A선에 따르는 선단부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3의 B-B선에 따르는 제1 만곡부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3의 삽입부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의 제2 만곡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8은 도3에 도시하는 제2 만곡부를 하부 방향으로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9는 도3의 삽입부의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0은 도3의 삽입부의 최대 만곡시의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11은 도3의 삽입부의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2는 종래의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은 종래의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4는 종래의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5는 도1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6은 도1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7은 도1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8 중 C-C선에 따른 삽입부의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8 중 D-D선에 따른 삽입부의 제1 곡률 이행부의 단면도이다.
도2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2는 도21의 삽입부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의 곡률 이행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1의 삽입부의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곡률 이행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4는 도21의 삽입부의 겸자 채널에 외장되는 곡률 규제관을 설명하기 위한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곡률 규제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6은 도25의 곡률 규제체가 내시경의 삽입부에 외장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27은 도26의 삽입부의 가요관부에 곡률 규제체가 외장된 상태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측면도이다.
도28은 도26의 삽입부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의 곡률 규제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9는 도26의 삽입부의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곡률 규제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0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1은 도30의 삽입부의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굽힘 강성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2는 도30의 삽입부의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삽입축에 있어 서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3은 도30의 삽입부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강성 조절봉을 설명하기 위한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내시경을 구비한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수단을 구비한 전자 내시경(이하, 내시경이라 약기)(2)과,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 장치(3)와, 내시경(2)의 촬상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에 의해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4)와, 이 영상 신호를 받아 내시경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인 모니터(5)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체강 내에 삽입되는 긴 내시경용 가요관인 삽입부(6)와, 이 삽입부(6)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조작부(7)와, 이 조작부(7)의 일측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유니버설 코드(8)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조작부(7)는 파지부(7a)와, 만곡 조작 손잡이(7b)와, 촬상 수단의 릴리즈의 지시 등을 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7c)와, 송기 송수 버튼 등의 각종 버튼(7d)을 구비하고 있다.
유니버설 코드(8)는 연장 돌출측의 선단부에 외부 장치인 광원 장치(3)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내시경 커넥터(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시경 커넥터(8a) 로부터는, 외부 장치인 프로세서(4)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9a)를 갖는 전기 케이블(9)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내시경(2)의 삽입부(6)는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선단 구성부(11), 만곡부(12), 제1 가요관부인 곡률 이행부(13), 제2 가요관부인 역량 전달부(14) 및 후술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곡률 이행부(13)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6)가 체강 내에 삽입될 때, 역량 전달부(14)에 가해지는 소정의 압입 역량이 전달된다. 이 역량을 받아 체강 내에 삽입되는 곡률 이행부(13)는 굴곡되는 체강벽에 접촉하였을 때에 수동적으로 만곡된다.
곡률 이행부(13)는 만곡부(12)가 만곡 조작 또는 수동적으로 만곡되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보다도 최대 만곡 상태에서의 곡률 반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도 소정의 압입 역량에 의해 수동적으로 만곡된다.
또한, 곡률 이행부(13)는 역량 전달부(14)가 소정의 압입 역량에 의해 수동적으로 만곡되는 최대 만곡 상태보다도 최대 만곡 상태에서의 곡률 반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삽입부(6)는 최대로 만곡될 때, 단계적으로 만곡 반경/곡률이 이행되도록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만곡부(12),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6)에 있어서의 상술한 만곡 상태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선단 구성부(11) 내에는, 촬상 수단으로서 CCD, CMOS 등의 촬상 소자, 이 촬 상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 관찰 광학계 등으로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선단 구성부(11)에는 체강 내의 관찰 대상 부위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이 통과하는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 부분이 배치되고, 이 라이트 가이드, 조명 광학계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 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다음에, 도2 내지 도6을 기초로 하여, 삽입부의 선단 구성부,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4는 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3의 A-A선에 따른 선단부의 단면도, 도6은 도3의 B-B선에 따른 제1 만곡부의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6)의 선단에 배치되는 선단 구성부(11)는 선단면에 관찰용 렌즈 등을 구비하는 관찰창(11a), 조명용 렌즈 등을 구비하는, 예를 들어 2개의 조명창(11b) 및 처치구인 겸자 등이 삽입 관통되는 겸자 채널의 개구부(11c)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 구성부(11)의 기단측에 연속 설치되는 만곡부(12)는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만곡부(12a) 및 제2 만곡부(12b)의 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만곡부(12a)는 예를 들어 30 내지 35 ㎜ 정도의 삽입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제2 만곡부(12b)는 예를 들어 40 내지 45 ㎜ 정도의 삽입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곡률 이행부(13)는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의 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예를 들어 30 내지 40 ㎜ 정도의 삽입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예 를 들어 30 내지 40 ㎜의 삽입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12)는 후술하는 복수의 만곡 부재(만곡 절륜이라고도 함)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속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는 후술하는 복수의 곡률 규제 부재(곡률 규제 절륜이라고도 함)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속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구비한 부재를 만곡 부재라 칭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구비하지 않은 부재를 곡률 규제 부재라 칭한다. 즉, 만곡부(12) 내의 복수의 만곡 부재는 와이어 가이드를 갖고, 곡률 이행부(13) 내의 복수의 곡률 규제 부재는 와이어 가이드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만곡부(12)와 곡률 이행부(13)의 연결은, 각각의 경계 부분의 내부에 있어서, 각 만곡 부재 및 각 곡률 규제 부재의 서로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6)에 있어서의 만곡부(12)와 곡률 이행부(13) 사이에서, 도3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의 만곡을 위해 회전하는 만곡 부재 및 곡률 규제 부재가 연결된 부분을 연결부(15)라 칭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가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상하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만곡을 위해 회전하는 각 만곡 부재 및 각 곡률 규제 부재가 연결된 부분도 연결부가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각 만곡 부재 및 각 곡률 규제 부재가 연결된 연결부(15)를 2개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만곡부(12)와 곡률 이행부(13)의 경계에 있는 각 만곡 부재 및 각 곡률 규제 부재는 회전 가능하지 않고 고정하도록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복수의 만곡 부재 및 곡률 규제 부재에는 세선의 와이어 등을 통 형상으로 편입한 만곡 블레이드(30)가 씌워지는 동시에, 이 만곡 블레이드(30) 상에 수밀을 유지하도록 제1 외장 관체인 외피(31)가 씌워짐으로써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 블레이드(30) 및 외피(31)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를 각각 합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체가 되도록 피복해도 좋고,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에 대해 각각 따로따로 피복해도 좋다. 따라서,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는 각각의 굽힘 강성이 동등해지도록 소정의 굽힘 강성을 갖는 외피(31)가 씌워져 있다.
또한, 이 외피(31)는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가 곡률 이행부(13)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곡률 이행부(13)를 피복하고 있는 외피(31)의 부분은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따라서, 외피(31)는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굽힘 강성에 대해 곡률 이행부(13)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굽힘 강성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반대로, 곡률 이행부(13)를 피복하고 있는 외피(31)의 부분은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따라서, 외피(31)는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굽힘 강성에 대해 곡률 이행부(13)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굽힘 강성이 높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만곡부(12a) 내에는 복수의 제1 만곡 부재(21)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 만곡부(12b) 내에는 복수의 제2 만곡 부재(2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선단의 제1 만곡 부재(21)는 선단 구성부(11)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 내에는 복수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3)가 연접되어 있다. 한편, 제2 곡률 이행부(13b) 내에는 복수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4)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각각이 대략 원통 형상의 짧은 관(관 형상 경질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률 규제체이다.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의 각각의 일단부측, 여기서는 선단측에는 인접하는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는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의 원주를 2등분하는 위치, 즉 삽입축 주위 방향으로 180도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의 각각의 타단부측, 여기서는 기단측에도 일단부측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B)가 그들 판 두께분만큼 내주측으로 옮겨져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각의 피봇 지지부(40A, 40B)가 서로 중첩되고, 피봇 지지부(40A, 40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41)에 리벳 등의 피봇축 부재(42)가 삽입 관통하여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에 있어서, 일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는 타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B)에 대해 삽입축 주위로 90도 회전한, 번갈아가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즉, 1개의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에 있어서, 일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는 각각의 피봇축 부재(42)의 피봇축을 연결한 선과 타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B)를 연결한 선 및 삽입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된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일단부측이 피봇 지지부(40A)의 각각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2방향과 타단부면측이 상기 2방향과 삽입축에 대해 직교하는 피봇 지지부(40B)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의 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피봇 지지부(40A, 40B)와 피봇축 부재(42)에 의해 구성된 부분을 관절부(40)라 한다.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인접하는 부재와 관절부(4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둥근 고리 부재이다. 이들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각각의 양 단부면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른바 귀(耳)인 피봇 지지부(40A, 40B)가 대향하는 면을 갖도록 돌출되어 있고, 이들 피봇 지지부(40A, 40B)를 정점으로 하여 축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산 깎기 형상으로 가공된 둥근 고리 부재이다.
또한,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의 각 단부면이 피봇 지지부(40A, 40B)에 의해 회전할 때, 각 단부면[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하는 제1 만곡 부재(21)의 단부면(21b)]의 일부분이 인접하는 부재의 각 대향면[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하는 제1 만곡 부재(21)의 단부면(21c)]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각각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부재(21, 22, 23, 24)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단부면과 인접하는 부재의 각 대향면이 접촉하는 부분을 접촉부(Z)(도4 참조)라 한다. 이 접촉부(Z)는 연결된 각 부재(21, 22, 23, 24)의 2개의 관절부(40)에 대해 삽입축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어긋난 위치가 되는 각 부재(21, 22, 23, 24)의 양 단부면에 존재한다. 그리고, 각 부재(21, 22, 23, 24)는 그 접촉부(Z)와 인접하는 부재의 각 접촉부(Z)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양 단부면이 외형의 중앙부측을 향해 산 깎기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즉,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가 대략 직선 상태인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상술한 대응하여 접촉하는 접촉부(Z)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각각 연결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는 양 단부면이 외형의 중앙부측을 향해 산 깎기 형상으로 가공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이 연결된 상태에서 각 접촉부(Z)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는 형상이면 된다.
이에 의해, 도3을 사용하여, 이하에 각 만곡 부재(21, 22)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의 연결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만곡부(12a)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는,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제1 만곡 부재(21)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만곡부(12a) 내에 있어서,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를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제1 만곡부(12a)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1)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 만곡부(12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는,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제2 만곡 부재(22)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2)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만곡부(12b) 내에 있어서의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를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제2 만곡부(12b)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2)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는,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제1 곡률 규제 부재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3)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 내에 있어서,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를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3)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는,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4)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4)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곡률 이행부(13b) 내에 있어서의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을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제2 곡률 이행부(13)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4)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1 만곡부(12a) 및 제2 만곡부(12b)의 연결 부분은 최기단의 제1 만곡 부재(21)의 한 쌍의 관절부(40)와 최선단의 제2 만곡 부재(22)의 한 쌍의 관절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연결 부분은 최기단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3)의 한 쌍의 관절부(40)와 최선단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4)의 한 쌍의 관절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최기단의 제2 만곡 부재(22) 및 최선단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3)는 제2 만곡부(12b)와 제1 곡률 이행부(13a)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최기단의 제2 만곡 부재(22)의 한 쌍의 관절부(40) 및 최선단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3)의 한 쌍의 관절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역량 전달부(14) 내에는, 나선관인 플렉스관(26)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플렉스관(26)의 외주에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7)가 씌워져 있다. 또한, 블레이드(27)의 외주에는, 외피(31)보다도 가요성이 낮은, 즉 굽힘 강성이 높은 제2 외장 관체가 되는 외피(28)가 씌워져 있다.
따라서, 역량 전달부(14)는 기단측의 압입 역량이 충분히 삽입부(6)의 선단 부분에 전달되므로,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에 비해 가요성이 낮고, 즉 굽힘 강성이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와 역량 전달부(14) 사이에 는, 외피(31)와 외피(28)를 사(絲) 권취에 의해 접착하고 있는 사 권취 접착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6) 내에는 만곡부(12)의 제1 만곡부(12a) 및 제2 만곡부(12b)가 선단측으로부터 견인 이완되어 만곡 조작되기 위한 4개의 만곡 조작 와이어(32)(앵글 와이어라고도 함)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만곡부(12) 내의 와이어 가이드(36)에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되고, 제2 만곡부(12b)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기단측이 코일 시스(34) 내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코일 시스(34)는 와이어를 파이프 형상으로 밀착 권취한 비압축성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선단 부분이 선단 구성부(11)의 기단측에 있어서, 도5의 지면(紙面)을 향해 대략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4점에 있어서 고정 부재(35)에 의해 보유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기단부가 조작부(7)(도1 참조)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만곡 조작 기구에 연결되어 교대로 견인 또는 이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만곡 조작 기구는 조작부(7)에 배치되는 만곡 조작 손잡이(7b)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만곡 조작 손잡이(7b)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견인 이완된다. 따라서, 4개의 만곡 조작 와이어(32)가 각각 견인 이완됨으로써, 만곡부(12)가 4방향으로 만곡 조작된다.
또한, 도6을 참고로 하여, 만곡부(12) 내의 제1, 제2 만곡 부재(21, 22)는 만곡 조작 와이어(32)가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되는 2개의 와이어 가이드(36)가 기단면측 근방의 내주면에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와이어 가이드(36)는 각 만곡 부재(21, 22)의 원주를 2등분하는 삽입축 주위 방향의 약 180도로 서로 어긋난 내주면의 위치이며, 한 쌍의 관절부(40)에 대해 삽입축 주위 방향으로 각각 약 90도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와이어 가이드(36)는 서로를 연결하는 선이 각 만곡 부재(21, 22)를 삽입축 쪽으로 대략 2등분하고, 한 쌍의 관절부(40)를 연결하는 선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각 만곡 부재(21, 22)의 내주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6은 제1 만곡부(12a)를 가로로 자른 단면도이며, 제1 만곡 부재(21)를 기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5 및 도6의 지면을 향해 상하 방향을 도3의 삽입부(6)의 삽입축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하고, 그리고 도5 및 도6의 지면을 향해 좌우 방향과는 그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도3의 삽입부(6)의 삽입축에 대해서도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만곡부(12),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는 도3의 지면을 향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이 되는 도5 및 도6의 지면을 향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4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는 능동적으로 만곡되므로, 상하 좌우의 4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축 주위의 360°로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최대 만곡시에 있어서의 각 곡률 및 각 곡률 반경에 대해 도7 내지 도10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의 각 곡률 및 각 곡률 반경의 설명에 있어서는, 만곡부(12)의 제2 만곡부(12b)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7은 대략 직선 상태의 제2 만곡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8은 도3에 도시하는 제2 만곡부를 하부 방향으로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확대도, 도9는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10은 최대 만곡시의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만곡부(12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제2 만곡 부재(22)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2)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만곡부(12b) 내에 있어서의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를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제2 만곡부(12b)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2)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만곡부(12b)는 인접하는 각 제2 만곡 부재(22)의 만곡되는 방향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된 상태에서 최대의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각 제2 만곡 부재(22)는 만곡 방향에 대해 회전축이 되는 관절부(40)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으로 제2 만곡부(12b)의 만곡에 의해 호(弧)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각각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각 제2 만곡 부재(22)는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각각 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하여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다.
따라서, 제2 만곡부(12b)는 제2 만곡 부재(22)의 각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를 대신하게 되어,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가 제2 만곡부(12b)의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이 최대로 만곡된 제2 만곡부(12b)의 곡률 반경(R2)은, 제2 만곡부(12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만곡 부재(22)의 대향면이 이루는 각인 소정 각도(θ2)와 피봇축 부재(42)의 축 방향이 평행인 각각의 축 사이의 거리(L2)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즉, 최대로 만곡된 제2 만곡부(12b)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2)의 역수가 되는 곡률(C2)도, 제2 만곡부(12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만곡 부재(22)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인 소정 각도(θ2) 및, 제2 만곡부(12b)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의 축간 거리(L2)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이 제2 만곡부(12b)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2) 및 곡률 반경(R2)은 다음의 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2 = 1/R2 ≒ (2tanθ2/2)/L2 …(1)
또한, 제2 만곡부(12b)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C2)이 예를 들어 1/33(1/㎜) 정도, 즉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R2)이 33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1 만곡부(12a),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 부(13b)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최대 만곡시의 각 곡률 및 각 곡률 반경이 설정되어 있다.
우선, 제1 만곡부(12a)는 인접하는 각 제1 만곡 부재(21)가 만곡하는 방향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의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각 제1 만곡 부재(21)는 만곡 방향에 대해 회전축이 되는 관절부(40)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으로, 제1 만곡부(12a)의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각각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각 제1 만곡 부재(21)는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각각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하여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다.
따라서, 제1 만곡부(12a)는 제1 만곡 부재(21)의 각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를 대신하게 되어,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가 제1 만곡부(12a)의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제1 만곡부(12a)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1) 및 곡률 반경(R1)은, 제1 만곡부(12a)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만곡 부재(21)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인 소정 각도(θ1) 및, 제1 만곡부(12a)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의 거리(L1)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된다.
이 제1 만곡부(12a)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1) 및 곡률 반경(R1)은, 다음의 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1 = 1/R1 ≒ (2tanθ1/2)/L1 …(2)
또, 제1 만곡부(12a)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C1)이 예를 들어 1/16.5(1/㎜) 정도, 즉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R1)이 16.5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인접하는 각 제1 곡률 규제 부재(23)가 만곡하는 방향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의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각 제1 곡률 규제 부재(23)는 만곡 방향에 대해 회전축이 되는 관절부(40)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으로, 제1 곡률 이행부(13a)의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각각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각 제1 곡률 규제 부재(23)는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각각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하여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다.
따라서,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제1 곡률 규제 부재(23)의 각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를 대신하게 되어,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제1 곡률 이행부(13a)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3) 및 곡률 반경(R3)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3)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인 소정 각도(θ3) 및,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의 축간의 거리(L3)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된다.
이 제1 곡률 이행부(13a)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3) 및 곡률 반경(R3)은 다음의 식 (3)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3 = 1/R3 ≒ (2tanθ3/2)/L3 …(3)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C3)이, 예를 들어 1/43(1/㎜) 정도, 즉,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R3)이 43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인접하는 각 제2 곡률 규제 부재(24)가 만곡하는 방향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된 상태에서 최대의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각 제2 곡률 규제 부재(24)는 만곡 방향에 대해 회전축이 되는 관절부(40)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으로, 제2 곡률 이행부(13b)의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각각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각 제2 곡률 규제 부재(24)는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각각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하여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다.
따라서,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제2 곡률 규제 부재(24)의 각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를 대신하게 되어,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가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제2 곡률 이행부(13b)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4) 및 곡률 반경(R4)은,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4)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인 소정 각도(θ4) 및,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의 거리(L4)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된다.
이 제2 곡률 이행부(13b)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4) 및 곡률 반경(R4)은 다음의 식 (4)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4 = 1/R4 ≒ (2tanθ4/2)/L4 …(4)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C4)이, 예를 들어 1/54(1/㎜) 정도, 즉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R4)이 54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1 만곡부(12a), 제2 만곡부(12b),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는 각 최대 만곡시의 각 삽입축에 있어서의 각각의 곡률의 관계가 C1 > C2 > C3 > C4가 되도록 상기 각 각도(θ1 내지 θ4) 및 상기 각 거리(L1 내지 L4)가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만곡부(12a), 제2 만곡부(12b),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는 각 최대 만곡시의 각 삽입축에 있어서의 각각의 곡률 반경의 관계가 R1 < R2 < R3 < R4가 되도록 상기 각 각도(θ1 내지 θ4) 및 상기 각 거리(L1 내지 L4)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내시경(2)의 삽입부(6)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최대 만곡시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내시경(2)의 삽입부(6)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6)는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있어서 각 부(12a, 12b, 13a, 13b)의 최대 만곡시의 각 곡률 반경이 4개의 단계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제2 만곡부(12a, 12b) 및 제1, 제2 곡률 이행부(13a, 13b)의 4단계로 연속하여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2단계, 6단계 등의 복수 단계로 하여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변화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추가하여,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재(21 내지 24)의 회전 범위를 최선단측의 제1 만곡 부재(21)의 회전 범위를 가장 크게 설정하고, 최기단측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4)의 회전 범위가 가장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각 부분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이 순조로운 변화가 되도록 서서히 크게 해도 좋다. 즉, 내시경(2)의 삽입부(6)는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대략 무단계의 곡률 변화로 최대 만곡시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인접하는 각 부재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4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인 소정 각도(θ1 내지 θ4),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의 각 거리(L1 내지 L4)의 길이 등을 더욱 세분하여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나누어도 좋고,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대략 무단계의 곡률 변화로 최대 만곡시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 한,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서서히 곡률 반경을 크게 하도록 설정하는 구성은, 만곡 부재(21, 22) 및 곡률 규제 부재(23, 2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가요관부인 곡률 이행부(13)는 그 선단이 소정 역량하, 혹은 최대 만곡 상태에서 만곡부(12)의 곡률 반경과 대략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한, 곡률 이행부(13)의 기단이 소정 역량하, 혹은 최대 만곡 상태에서 역량 전달부(14)의 곡률 반경과 대략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한, 이 곡률 이행부(13)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설정은, 이하에 기재되는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6)의 역량 전달부(14)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보다도 높은 굽힘 강성을 갖고 있다. 즉, 삽입부(6)의 역량 전달부(14)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가요성보다도 낮은 가요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도12 내지 도14를 기초로 하여 종래의 내시경을 사용하여, 체강 내, 예를 들어 대장 내로 삽입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내시경(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은 제2 만곡부를 갖고 있다. 이들 내시경이 제안되기 이전에는, 제2 만곡부를 갖지 않는 내시경이 널리 이용되고 있었다.
이 제2 만곡부를 갖지 않는 내시경의 삽입부는, 예를 들어 선단 구성부, 만곡부 및 가요관부의 3부분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만곡부는, 유연해서 능동적으로 만곡 가능하고, 가요관부는 시술자에 의한 압입 역량을 선단측에 전달하기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갖고 있다.
만곡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해, 가요성부는 길이 방향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만곡부의 강성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삽입부는 체강의 굴곡부를 통과할 때, 만곡부와 가요관부의 강성의 차이 등에 의해 삽입축 전체 중에서 만곡부만이 국소적으로 구부러진 것처럼 되는, 즉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에 큰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가요관부가 만곡부에 추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시술자에 있어서는, 체강의 굴곡부에 이르게 된 삽입부를 원활하게 통과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만곡부와 가요관부의 연결 부분이 체강의 굴곡부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내시경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내시경의 삽입부(6')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선단 구성부(11'), 제1 만곡부(12a'), 제2 만곡부(12b') 및 가요관부(14')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내시경의 제1 만곡부(12a')는 제2 만곡부(12b')보다도 높은 강성, 즉 가요성이 낮게 설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우선, 시술자는 종래의 내시경의 삽입부(6')를 선단 구성부(11')측으로부터 환자의 항문을 통해 대장 내로 삽입한다. 이 때, 시술자는 삽입부(6')의 가요관부(14')를 파지하여, 비틀림 조작하여 삽입부(6')의 선단 부분을 환자의 대장 내부를 향해 압입하여 삽입한다.
그리고, 시술자는, 선단 구성부(11')가 장관 굴곡부에 도달하면, 제1 만곡부(12a')를 장관 굴곡의 상태에 맞추어 만곡시키고, 또한 파지하고 있는 가요관부(14')를 대장 내부로 압입한다. 이 때,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만곡부(12b')는, 제1 만곡부(12a')보다도 가요성이 높은, 즉 탄력이 없기 때문에, 장관 굴곡부의 장벽과의 접촉 및 기단측의 가요관부(14')로부터 전달되는 압입력에 수반하여 탄력이 없어진 것처럼 예각적으로 만곡된다.
이 예각적으로 만곡된 제2 만곡부(12b')는 장벽에 걸려 장벽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 장관 굴곡부에 대해 제2 만곡부(12b')가 대장을 밀어 올리고 있는 상태에서, 또한 시술자가 파지하고 있는 가요관부(14')를 대장 깊이부 방향으로 압입하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관이 지나치게 신장되어 버린다.
그 결과, 환자는 고통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제2 만곡부(12b')가 장관 굴곡부와의 접촉에 의해 저항을 받기 때문에, 시술자는 목적 부위로의 삽입부(6')의 삽입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전술과 같이 구성된 내시경(2)의 삽입부(6)가 체강 내, 예를 들어 대장 내로 삽입될 때의 작용에 대해, 도15 내지 도1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시술자는 종래의 내시경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6)를 선단 구성부(11)측으로부터 환자의 항문을 통해 역량 전달부(14)를 파지하여 비틀림 조작 등 하여 압입하도록 대장 내로 삽입한다. 이 때, 역량 전달부(14)는 소정의 강성을 갖고 있으므로, 시술자로부터의 압입력이 삽입 부(6)의 선단 부분, 즉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로 충분히 전달된다.
그리고,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장 내의 굴곡부에 도달한 내시경(2)의 삽입부(6)는 선단 구성부(11)가 원하는 삽입 방향, 즉 대장의 굴곡부에 따른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부(12)가 만곡 조작된다. 즉, 시술자는 모니터(5)에 나타내는 내시경 화상을 기초로 하여 내시경(2)의 조작부(7)의 만곡 조작 손잡이(7b)를 소정으로 조작함으로써, 만곡부(12)를 구성하는 제1 만곡부(12a) 및 제2 만곡부(12b)를 대장의 굴곡부에 따른 방향으로 만곡시킨다.
또한, 시술자가 파지하고 있는 역량 전달부(14)를 대장 깊이부 방향으로 압입하면, 만곡부(12)는 장벽에 압박되어 최대로 만곡된다.
이 최대로 만곡된 만곡부(12)는 제1 만곡부(12a)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1)과 제2 만곡부(12b)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2)이 다르기 때문에 단계적인 곡률 변화를 행한다. 즉, 만곡부(12)는 최대로 만곡된 상태에서, 제1 만곡부(12a)의 만곡 상태에 대해 제2 만곡부(12b) 쪽이 단계적으로 완만한 만곡 상태가 된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이행부(13)는 만곡부(12)에 추종하여 장관 굴곡부를 따라 만곡된다. 이 때에도, 시술자가 파지하고 있는 역량 전달부(14)를 대장 깊이부 방향으로 압입하면, 곡률 이행부(13)는 장벽에 압박되어 최대로 만곡된다.
그 때, 곡률 이행부(13)는 만곡부(12)보다도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작게 유지되므로, 장관 굴곡부를 예각, 즉 급준한 상태로 하지 않고 원활하게 장관 굴곡 부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제1 곡률 이행부(13a)는 그 최대 만곡 상태가 만곡부(12)의 제2 만곡부(12b)보다도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작아지고, 즉 큰 곡률 반경(R3)으로 만곡이 규제된다.
또한, 제2 곡률 이행부(13b)는 그 최대 만곡 상태가 제1 곡률 이행부(13a)보다도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작고, 즉 큰 곡률 반경(R4)으로 만곡이 규제된다.
그리고, 만곡부(12)가 장관 굴곡부를 통과 후, 시술자는 만곡부(12)의 만곡 상태를 직선 상태 또는 장관의 굴곡 상태에 맞추면서, 또한 파지하고 있는 역량 전달부(14)를 대장 깊이부 방향으로 압입한다. 곡률 이행부(13)가 장관 굴곡부를 통과한 후,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량 전달부(14)는 장벽으로부터의 접촉력을 받아 완만하게 만곡되면서 곡률 이행부(13)에 추종하여 원활하게 장관 굴곡부를 통과한다. 또한, 시술자에 의한 삽입부(6)를 대장 깊이부로 압입하는 힘은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이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서서히 최대 만곡시의 곡률의 값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완만한 곡률 변화가 되고,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가 장관 굴곡부를 급준한 상태로 하지 않고 원활하게 장관 굴곡부를 통과하여 체강인 대장 깊이부를 향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12)가 장관 굴곡부를 통과할 때의 저항이 억제되므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을 사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는 부담 및 고통이 경감된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한 내시경(2)의 제1 만곡부(12a), 제2 만곡부(12b), 제1 곡률 이행부(13a),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각 부에 있어서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의 값을 C1 > C2 > C3 > C4가 되는, 즉 최소 곡률 반경의 값을 R1 < R2 < R3 < R4가 되는 관계로 함으로써, 삽입부(6)의 선단 부분이 장관 굴곡부를 통과하기 위한 삽입 역량은 종래의 내시경에 비해 대략 30 % 내지 40 % 정도로 삭감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그 삽입부(6)를 굴곡하는 체강 내로 삽입할 때의 삽입성이 현격히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8은 삽입부(6)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19는 도18 중 C-C선에 따른 삽입부의 단면도, 도20는 도18 중 D-D선에 따른 삽입부의 제1 곡률 이행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이미 기술한 내시경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부(6) 내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만곡부(12)를 만곡 조작하기 위한 4개의 만곡 조작 와이어(32) 외에, 곡률 이행부(13)의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가 선단측으로부터 견인 이완되어 만곡 조작되기 위한 2개의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33)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들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33)는 곡률 이행부(13) 내의 후술하는 와이어 가이드(37)에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되고, 역량 전달부(14)로부터 기단에 걸쳐서 코일 시스(34a) 내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들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33)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선단 부분이 최선단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3a)에 있어서, 도19의 지면을 향해 대략 상하 방향의 2점에서 고정 부재(35a)에 의해 보유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33)는 만곡 조작 와이어(32)와 마찬가지로, 기단부가 조작부(7)(도1 참조)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만곡 조작 기구에 연결되어 교대로 견인 또는 이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만곡 조작 기구는 조작부(7)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곡률 이행부 조작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33)는 도시하지 않은 곡률 이행부 조작 손잡이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견인 이완된다. 그리고, 이들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33)가 견인 이완됨으로써, 곡률 이행부(13)가 상하 2방향으로 만곡 조작된다.
또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이행부(13) 내의 제1, 제2 곡률 규제 부재(23, 24)에는 1개의 부재 간격으로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33)가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되는 2개의 와이어 가이드(37)가 기단면측 근방의 내주면에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와이어 가이드(37)는 각 곡률 규제 부재(23, 24)의 원주를 2등분하는 삽입축 주위 방향의 180도로 서로 어긋난 내주면의 위치이며, 한 쌍의 관절부(40)에 대해 삽입축 주위로 각각 90도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을 사용하는 시술자는, 곡률 이행부(13)의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가 체강인 대장 등의 장관 굴곡부를 통과할 때, 각 부의 최대 만곡시의 각 곡률[각 최대 곡률 반경(R3, R4)]까지 곡률 이행부(13)를 장벽에 압박하여 만곡시키지 않고 곡률 이행부(13)만을 원하는 상하 2방향으로 만곡 조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부가하여, 삽입부(6)의 선단 부분, 특히 곡률 이행부(13)는 체강 굴곡부의 통과가 보다 한층 원활해진다.
또한, 곡률 이행부(13)의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가 좌우 방향에 대해서도 만곡 조작할 수 있도록 곡률 이행 조작 와이어를 4개로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21은 삽입부(6)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22는 대략 직선 상태의 곡률 이행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23은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곡률 이행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 이미 기술한 내시경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곡률 이행부(13) 내에는 곡률 규제 부재 대신에 띠 형상의 부재가 공극을 두고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스관인 곡률 규제관(50)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곡률 규제관(50)은 곡률 이행부(13) 내에 있어서, 1층이라도 좋고, 2층, 3층 등 복수층으로 형성해도 좋다.
곡률 이행부(13)에 있어서의 곡률 규제관(50)의 외주에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만곡 블레이드(30)가 씌워져 있고, 만곡 블레이드(30)의 외주에 제1 외장 관체(제1 외장 부재)가 되는 외피(31)가 씌워져 있다. 또한, 곡률 규제관(50)은 제2 만곡부(12b)와 제1 곡률 이행부(13a)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그 선단 부분이 제2 만곡 부재(22)와 접속되어 있다.
또, 역량 전달부(14)에는 외피(28)가 씌워져 있다. 곡률 이행부(13)와 역량 전달부(14)의 연결 부분에는 곡률 이행부(13)의 외피(31)와 역량 전달부(14)의 외피(28)를 사 권취에 의해 접착하고 있는 사 권취 접착부(29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곡률 이행부(13)는 1부분이지만,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선단측의 제1 곡률 이행부 및 기단측의 제2 곡률 이행부의 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이행부(13)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곡률 규제관(50)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띠 형상 부재가 상기 삽입축과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면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소정 길이(L5)로 되어 있다. 상기 절단면 사이의 공극의 거리가 소정 길이(L6)로 되어 있다. 또한, 곡률 규제관(50)은 그 외주 직경이 소정의 외경(d1)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이행부(13)는 내부의 곡률 규제관(50)의 띠 형상 부재가 형성하고 있는 만곡 방향의 공극이 없어지고, 만곡 내측 의 띠 형상 부재의 측면이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의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곡률 이행부(13)는 그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띠 형상 부재의 측면이 각각 접촉하여, 곡률 이행부(13)의 만곡을 제지한 상태가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이 곡률 이행부(13)는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곡률 규제관(50)의 띠 형상 부재가 상기 삽입축과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면의 길이 방향의 소정 길이(L5)와, 상기 절단면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의 소정 길이(L6)와, 곡률 규제관(50)의 외경(d1)의 관계에 의해 최대 만곡시의 곡률(C5) 및 곡률 반경(R5)이 설정된다.
이 곡률 이행부(13)가 최대 만곡시의 곡률(C5) 및 곡률 반경(R5)은 다음의 식 (5)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5 = 1/R5 ≒ 2 × L6/(L5 + L6) × d1 …(5)
본 실시 형태의 곡률 이행부(13)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C5)[최대 곡률 반경(R5)]이 제1 실시 형태에서 기재한 제1 만곡부(12a) 및 제2 만곡부(12b)의 각 최대 만곡시의 각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1, C2)[최소 곡률 반경(R1, R2)]과의 관계가 C1 > C2 > C5(R1 < R2 < R5)가 되도록 곡률 규제관(50)의 상기 소정 길이(L5, L6) 및 소정의 외경(d1)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가 2부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기단측의 제2 곡률 이행부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이 선단측의 제1 곡률 이행부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에 대해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즉, 기단측의 제2 곡률 이행부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이 선단측의 제1 곡률 이행부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에 대해 커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곡률 규제관(50)이 곡률 이행부(13) 내에 있어서 2층, 3층 등의 복수층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한 층의 곡률 규제관(50)에 의해 다음과 같이 길이, 곡률 반경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즉, 곡률 이행부(13) 내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의 곡률 규제관(50)의 띠 형상 부재가 삽입축과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면의 길이 방향의 소정 길이(L5)와, 상기 절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소정 길이(L6)와, 곡률 규제관(50)의 외경(d1)의 관계에 의해 최대 만곡시의 곡률(C5) 및 곡률 반경(R5)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이상의 결과, 곡률 이행부(13) 내의 곡률 규제관(50)이 띠 형상 부재를 나선 형상으로 형성한 플렉스 구조이므로, 삽입축을 중심으로 하여 360°어느 쪽의 방향으로 구부려도 동일한 규제 반경을 얻을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제1, 제2 실시 형태의 효과에 부가하여, 곡률 이행부(13)가 비틀림 추종성이 우수하여, 더욱 우수한 조작성 및 삽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규제관(50a)은 삽입부(6) 내에 삽입 관통하는 겸자 채널(52)의 곡률 이행부(13)의 범위에 걸쳐서 외주를 피복하도록 외장되어도 좋다. 이 겸자 채널(52)은 선단 구성부(11)의 선단면에 개구부(11c)(도2 참조)를 갖고, 처치구인 겸자 등이 삽입 관통되는 튜브 형상의 관이다. 또한, 이 곡률 규제관(50a)은 전술한 곡률 규제관(50)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곡률 규제관(50a)은 겸자 채널(52)에 한정되지 않고, 곡률 이행부(13)의 범위에 걸쳐서 통신 케이블,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 송기 송수 튜브, 코일 시스 등의 내시경(2)의 삽입부(6)에 삽입 관통되는 내장물을 외장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25는 곡률 규제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26은 곡률 규제체가 내시경의 삽입부에 외장되기 전의 설명도, 도27은 삽입부의 가요관부에 곡률 규제체가 외장된 상태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측면도, 도28은 삽입축이 직선 상태의 곡률 규제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29는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곡률 규제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이미 기술한 내시경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25 내지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2)의 삽입부(6)에 대해 착탈 가능한 대략 원통 형상의 곡률 규제체(60)에 의해 역량 전달부(14)의 일부를 곡률 이행부(13)가 되도록 해도 좋다. 상세하게는, 이 곡률 규제체(60)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규제관(50b)과, 이 곡률 규제관(50b)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피(51)로 이루어지고, 내시경(2)의 삽입부(6)의 외경과 대략 동등 혹은 약간 작은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곡률 규제관(50b)은 제3 실시 형태에 기재한 곡률 규제관(50)과 마찬가지로, 띠 형상의 부재가 공극을 두고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스관이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규제체(60)는 내시경(2)의 선단 구성부(11)측으로부터 삽입부(6)가 삽입된다. 또한,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규제체(60)는 역량 전달부(14)의 최선단, 즉 만곡부(12)의 최기단에 그 선단이 위치하도록 역량 전달부(14)의 일부에 외장된다. 이렇게 하여, 곡률 규제체(60)에 씌워진 부분의 역량 전달부(14)에 곡률 이행부(13)가 형성된다.
이 곡률 규제체(60)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 이행부(13)는 최대 만곡 상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및 최대 곡률 반경이 제3 실시 형태의 곡률 규제관(50)과 마찬가지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규제체(60)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곡률 규제관(50b)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띠 형상 부재가 상기 삽입축과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면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소정 길이(L7)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거리가 소정 길이(L8)로 되어 있다. 또한, 곡률 규제관(50b)은 그 외주 직경이 소정의 외경(d2)으로 되어 있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규제체(60)는 그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띠 형상 부재의 측면이 각각 접촉하여, 만곡이 제지된 상태가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이 곡률 규제체(60)는,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의 곡률 규제관(50b)의 띠 형상 부재가 상기 삽입축과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면의 길이 방향의 소정 길이(L7)와, 상기 절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소정 길이(L8)와, 곡률 규제관(50b)의 외경(d2)의 관계에 의해 최대 만곡시의 곡률(C6) 및 곡률 반경(R6)이 설 정된다.
이 곡률 규제체(60)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C6) 및 곡률 반경(R6)은 다음의 식 (6)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6 = 1/R6 ≒ 2 × L8/(L7 + L8) × d2 …(6)
이 곡률 규제체(60)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C6)이 만곡부(12)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에 대해 작아지도록, 곡률 규제관(50b)의 상기 소정 길이(L7, L8) 및 소정의 외경(d2)이 설정되어 있다. 즉, 곡률 규제체(60)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R6)이 만곡부(12)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에 대해 커지도록, 곡률 규제관(50b)의 상기 소정 길이(L7, L8) 및 소정의 외경(d2)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곡률 규제체(60)가 외장되는 역량 전달부(14), 즉 본 실시 형태의 곡률 이행부(13)는 그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및 최소 곡률 반경이 곡률 규제체(60)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C6) 및 곡률 반경(R6)이 된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곡률 규제체(60)가 내시경(2)의 삽입부(6)에 대해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체강인 장관의 굴곡 상태에 따른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6)[곡률 반경(R6)]로 설정된 곡률 규제체(60)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곡률 규제체(60)는 일회용 타입이라도 좋고 재활용 타입이라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3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이미 기술한 내시경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는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선단 구성부(11), 만곡부(12),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로 구성되어 있다.
만곡부(12)는 복수의 만곡 부재(21a)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속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만곡 부재(21a)에는 만곡 블레이드(30)가 씌워지는 동시에, 이 만곡 블레이드(30) 상에 제1 외부 삽입 관체인 외피(70)가 씌워짐으로써 만곡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12)의 외피(70)는 그 두께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에 걸쳐서 서서히 두껍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외피(70)의 강성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높아지므로, 만곡부(12)의 굽힘 강성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 내에는 나선관인 플렉스관(26)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플렉스관(26)의 외주에는 만곡부(12)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7)가 씌워져 있다.
곡률 이행부(13)의 범위에 있어서의 블레이드(27)의 외주에는 제2 외장 관체가 되는 외피(71)가 씌워져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의 범위에 있어서의 블레이드(27)의 외주에는 제3 외장 관체가 되는 외피(72)가 씌워져 있다.
곡률 이행부(13)의 외피(71) 및 역량 전달부(14)의 외피(72)는 예를 들어 폴 리우레탄 등의 연질의 수지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의 수지가 혼합된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곡률 이행부(13)의 외피(71)는, 선단측 쪽이 연질인 수지의 비율이 높게 되어 있고, 기단측을 향해 서서히 연질인 수지의 비율이 낮게, 즉 경질인 수지의 비율이 높게 배합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피(71)의 강성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높아지므로,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의 선단측의 굽힘 강성이 만곡부(12)의 기단측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등해지도록, 외피(71)의 선단측은 연질의 수지와 경질의 수지가 소정으로 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피(71)와 외피(72)는 곡률 이행부(13)와 역량 전달부(14)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사 권취 접착부(29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의 외피(72)는 연질의 수지와 경질의 수지의 비율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배합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의 굽힘 강성이 곡률 이행부(13)의 기단측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외피(72)는 연질의 수지와 경질의 수지가 소정으로 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31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2)의 삽입부(6)의 굽힘 강성은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각 부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만곡부(12)의 최선단의 굽힘 강성이 가장 낮고,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굽힘 강성이 높아져, 곡률 이행 부(13)의 최기단의 굽힘 강성이 가장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최기단의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등한 굽힘 강성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32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압입력(예를 들어,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에 의해 굴곡되는 체강벽과의 접촉에 의해 만곡되는 만곡부(12)는 최선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가장 높고,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동일하게 만곡되는 곡률 이행부(13)에 있어서도, 제2 만곡부(12b)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낮아져, 최기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가장 낮아진다. 환언하면, 소정의 압입력(예를 들어,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에 의해 굴곡되는 체강벽과의 접촉에 의해 만곡되는 만곡부(12)의 최선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가장 작고,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커져, 곡률 이행부(13)의 최기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가장 커진다.
즉, 시술자가 만곡부(12)를 대장 등의 장관 굴곡부를 따라 만곡 조작하면서, 역량 전달부(14)를 소정의 힘(예를 들어,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에 의해 대장 깊이부 방향으로 압입하면,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는, 굴곡되는 체강벽과의 접촉에 의해 체강의 굴곡을 따라 만곡된다. 이 때, 곡률 이행부(13)는 만곡부(12)의 만곡 상태에 따라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걸쳐서 그 만곡 상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일정한 비율로 커진다.
따라서, 만곡부(12)로부터 곡률 이행부(13)에 걸쳐서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은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커진다. 또한, 곡률 이행부(13)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은 만곡부(12)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게 유지되므로, 역량 전달부(14)가 원활하게 장관 굴곡부에 진입된다.
따라서, 장관 굴곡부를 통과하는 만곡부(12),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는 굴곡되는 장벽에 걸리지 않고 대장 깊이부로 삽입된다. 또한, 역량 전달부(14)의 굽힘 강성이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보다도 크기 때문에, 탄력이 없어지지 않고, 곡률 이행부(13)측으로 압입 역량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6)는 만곡부(12)로부터 곡률 이행부(13)에 걸쳐서 완만한 곡률 변화가 되어,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가 장관 굴곡부를 급준한 상태로 하지 않고 원활하게 장관 굴곡부를 통과한다. 또한, 만곡부(12)가 장관 굴곡부를 통과할 때의 저항이 억제되므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을 사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는 부담 및 고통이 경감된다.
또한,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2)의 삽입부(6)는 예를 들어 니켈/티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긴 봉 형상 부재의 굽힘 강성 조절봉(75)이 배치되어, 만곡부(12)로부터 곡률 이행부(13)에 걸쳐서 완만한 곡률 변화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굽힘 강성 조절봉(75)은, 삽입부(6)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만곡부(12)로부터 곡률 이행부(13)의 범위에 걸쳐서 외경이 서서히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고, 역량 전달부(14)의 범위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봉이다.
즉, 굽힘 강성 조절봉(75)은 만곡부(12)의 최선단 위치에 있어서 굽힘 강성이 가장 낮고, 일정한 비율로 굽힘 강성이 높아져, 곡률 이행부(13)의 최기단 위치에 있어서 굽힘 강성이 가장 높게 되어 있다. 또한, 굽힘 강성 조절봉(75)은 역량 전달부(14) 내에 있어서, 곡률 이행부(13)의 최기단 위치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등한 굽힘 강성이 균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부(6)는 만곡부(12)의 최선단의 굽힘 강성이 가장 낮고,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굽힘 강성이 높아져, 곡률 이행부(13)의 최기단 및 역량 전달부(14)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이 가장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또, 여기서의 외피(70 내지 72)의 강성은 동일하다.
또한, 굽힘 강성 조절봉(75) 대신에, 겸자 채널, 코일 시스, 각종 내시경 관로 등을 이용하여, 삽입부(6)의 굽힘 강성이 만곡부(12)로부터 곡률 이행부(13)에 걸쳐서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에 서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삽입부(6)는 역량 전달부(14)가 설치되지 않고, 선단 구성부(11),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만을 갖고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부가 체강의 굴곡부를 통과할 때의 저항을 억제하여 삽입부의 삽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환자에의 부담 및 고통을 경감하는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 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실시 가능하다.
Claims (19)
- 체강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을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이며,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피봇 축에 의해 연결된 둥근 고리 형태의 복수의 만곡 부재가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만곡 부재의 대향하는 대향면의 주위 단부가 접촉부로 되어 각각 접촉함으로써, 최대로 만곡되는 곡률 반경이 규제되어 있고, 제1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 가능하며, 조작자의 만곡 조작에 따라 만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만곡부와,상기 만곡부의 기단부측에 연속 접촉되어 있고,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피봇 축에 의해 연결된 둥근 고리 형태의 복수의 곡률 규제 부재가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곡률 규제 부재의 대향하는 대향면의 주위 단부가 접촉부로 되어 각각 접촉함으로써, 최대로 만곡되는 곡률 반경이 규제되어 있고,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더 큰 제2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 가능하며, 조작자의 만곡 조작에 따라 만곡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나, 외력을 받으면 만곡되는 제1 가요관부와,나선관과, 상기 나선관의 외주를 덮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상에 피복되는 외피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요관부보다 굽힘 강성이 더 크고, 상기 제1 가요관부의 기단부측에 연속 설치된 제2 가요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가요관부는 최대 만곡시켰을 때의 곡률 반경이 상기 만곡부측보다 상기 제2 가요관부측 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가요관부는 최대 만곡시켰을 때의 곡률 반경이, 상기 만곡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가요관부측에 걸쳐서, 단계 혹은 대략 무단계로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만곡부 및 상기 제1 가요관부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만곡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각의 상기 피봇 축의 이간 거리 및 회전 중심을 정점으로 한, 인접하는 상기 만곡 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접촉부의 끼임각에 대해, 상기 제1 가요관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곡률 규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각의 상기 피봇축의 이간 거리 및 회전 중심을 정점으로 한, 인접하는 상기 곡률 규제 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접촉부의 끼임각을 설정하여,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상기 제2 곡률 반경을 더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036969 | 2005-02-14 | ||
JP2005036969A JP4477519B2 (ja) | 2005-02-14 | 2005-02-14 | 内視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3445A KR20070103445A (ko) | 2007-10-23 |
KR100922917B1 true KR100922917B1 (ko) | 2009-10-22 |
Family
ID=3679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8483A KR100922917B1 (ko) | 2005-02-14 | 2006-02-10 | 내시경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345390B2 (ko) |
EP (1) | EP1849396B1 (ko) |
JP (1) | JP4477519B2 (ko) |
KR (1) | KR100922917B1 (ko) |
CN (1) | CN101115432B (ko) |
AU (1) | AU2006213225B2 (ko) |
WO (1) | WO20060856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1539B1 (ko) * | 2007-07-03 | 2009-10-12 | 주식회사 케어텍 | 내시경용 구부림 장치 |
FR2925177B1 (fr) * | 2007-12-17 | 2010-04-16 | Tokendo | Sonde endoscopie a double bequillage |
EP2259733B1 (en) * | 2008-03-06 | 2014-07-23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Medical systems for accessing an internal bodily opening |
JP5245138B2 (ja) * | 2008-03-19 | 2013-07-24 | 哲丸 宮脇 | 内視鏡 |
JP2009247624A (ja) * | 2008-04-07 | 2009-10-29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内視鏡と、内視鏡の可撓管部と湾曲部との連結方法と、この連結方法を備える内視鏡の製造方法と、内視鏡オーバーチューブと、内視鏡オーバーチューブの可撓管部と湾曲部との連結方法と、この連結方法を備える内視鏡オーバーチューブの製造方法 |
AU2009246137B2 (en) * | 2008-05-15 | 2013-10-10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ccessing a bodily opening |
KR101051118B1 (ko) * | 2008-11-24 | 2011-07-22 | 한국과학기술원 | 다관절 장치 및 이를 갖는 다관절 시스템 |
JP5258626B2 (ja) * | 2009-02-27 | 2013-08-07 | Hoya株式会社 | 内視鏡案内管装置 |
JP5258625B2 (ja) * | 2009-02-27 | 2013-08-07 | Hoya株式会社 | 内視鏡案内管装置 |
JP5179413B2 (ja) * | 2009-03-09 | 2013-04-10 | Hoya株式会社 | 内視鏡案内管装置 |
JP5404154B2 (ja) * | 2009-04-21 | 2014-01-2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湾曲部及び湾曲管の製造方法 |
US8834361B2 (en) * | 2009-05-15 | 2014-09-16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ccessing a bodily opening |
US10080482B2 (en) | 2009-06-30 | 2018-09-25 |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 Compliant surgical device |
AU2010300449A1 (en) * | 2009-10-02 | 2012-05-03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Endoscopic fascia tunneling |
AU2010300450B2 (en) * | 2009-10-02 | 2013-10-31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Apparatus for single port access |
US9339264B2 (en) | 2010-10-01 | 2016-05-17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Port access visualization platform |
CN102048518B (zh) * | 2009-11-06 | 2013-05-01 | 医电鼎众股份有限公司 | 内视镜摆头装置 |
WO2011058008A1 (de) * | 2009-11-10 | 2011-05-19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Inspek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ositionieren einer inspektionsvorrichtung |
CN102770059A (zh) * | 2010-03-12 | 2012-11-07 |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 内窥镜 |
JP4914952B2 (ja) * | 2010-03-15 | 2012-04-11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 |
JP5048158B2 (ja) * | 2010-03-17 | 2012-10-17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 |
JP5054251B2 (ja) * | 2010-04-26 | 2012-10-24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 |
CN102858226B (zh) * | 2010-09-28 | 2015-02-04 |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 内窥镜装置 |
JP5222919B2 (ja) * | 2010-10-01 | 2013-06-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 |
RU2598157C2 (ru) * | 2011-02-28 | 2016-09-20 | Снекма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иска дефектов на деталях посредством эндоскопии |
CN103402416B (zh) | 2011-04-08 | 2015-09-30 |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 内窥镜 |
JP5427824B2 (ja) * | 2011-04-14 | 2014-02-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 |
CN103582444B (zh) | 2011-07-11 | 2017-07-11 | 奥林巴斯株式会社 | 内窥镜 |
CN103249347B (zh) * | 2011-07-15 | 2015-11-25 | 奥林巴斯株式会社 | 插入设备 |
US9119639B2 (en) * | 2011-08-09 | 2015-09-01 | DePuy Synthes Products, Inc. | Articulated cavity creator |
JP5907696B2 (ja) | 2011-11-04 | 2016-04-2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の可撓管部と、この可撓管部を有する内視鏡 |
JP5390048B1 (ja) * | 2012-05-14 | 2014-01-15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 |
CN103764010B (zh) * | 2012-08-14 | 2015-12-30 | 奥林巴斯株式会社 | 内窥镜 |
CN102835944B (zh) * | 2012-09-18 | 2014-03-19 | 深圳市开立科技有限公司 | 一种插入软管与弯曲部的连接结构、内窥镜及其加工方法 |
US9439693B2 (en) | 2013-02-01 | 2016-09-13 | DePuy Synthes Products, Inc. | Steerable needle assembly for use in vertebral body augmentation |
US9144370B2 (en) | 2013-02-28 | 2015-09-29 | Canon Usa Inc. | Mechanical structure of articulated sheath |
JP5711434B1 (ja) * | 2013-08-30 | 2015-04-30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 |
JP5857164B2 (ja) * | 2013-11-14 | 2016-02-1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挿入機器、回転ユニット及び挿入装置 |
JP5873221B2 (ja) * | 2013-11-29 | 2016-03-01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の湾曲部 |
JP5885889B2 (ja) | 2013-12-06 | 2016-03-1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JP2015119839A (ja) * | 2013-12-24 | 2015-07-0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JP6431678B2 (ja) * | 2014-03-20 | 2018-11-2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挿入形状検出装置 |
WO2015159619A1 (ja) * | 2014-04-15 | 2015-10-2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用湾曲管、内視鏡および内視鏡用湾曲管の製造方法 |
JP6234332B2 (ja) * | 2014-06-25 | 2017-11-2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装置、作動方法、及び作動プログラム |
WO2016117169A1 (ja) * | 2015-01-21 | 2016-07-2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挿入部および内視鏡 |
JP6368256B2 (ja) | 2015-02-05 | 2018-08-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 |
US11064871B2 (en) * | 2015-02-27 | 2021-07-20 | Nicholas Matthew Gerbo | Flexible endoscope |
CN107405468B (zh) * | 2015-03-02 | 2020-08-18 | 皇家飞利浦有限公司 | 用于铰接式超声探针的可变构造的弯曲颈部 |
US11707184B2 (en) | 2015-03-02 | 2023-07-25 | Koninklijke Philips N.V. | Single piece bending neck for an articulating ultrasound probe |
EP3275357A4 (en) | 2015-03-26 | 2018-12-12 | Olympus Corporation | Flexible tube inserting device |
WO2017009905A1 (ja) * | 2015-07-10 | 2017-01-1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可撓管挿入装置 |
CN106539552B (zh) * | 2015-09-22 | 2018-05-01 | 邝胜 | 可控弯曲结构 |
US20170224956A1 (en) * | 2016-02-10 | 2017-08-10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Steerable catheter |
WO2017183193A1 (ja) * | 2016-04-22 | 2017-10-2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可撓管挿入装置 |
WO2017203700A1 (ja) * | 2016-05-27 | 2017-11-3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および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の作動方法 |
JP6336230B1 (ja) * | 2016-08-19 | 2018-06-0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CN107080517A (zh) * | 2017-05-09 | 2017-08-22 | 浙江优亿医疗器械有限公司 | 电子鼻咽喉镜的插入部结构 |
JP6803468B2 (ja) * | 2017-05-31 | 2020-12-23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挿入機器 |
WO2018235388A1 (ja) * | 2017-06-21 | 2018-12-27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WO2019039203A1 (ja) * | 2017-08-23 | 2019-02-2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挿入機器 |
CN108553069B (zh) * | 2018-05-17 | 2020-08-28 | 黄琴 | 可控弯曲管结构 |
WO2019235005A1 (ja) * | 2018-06-08 | 2019-12-1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JP6756780B2 (ja) * | 2018-07-06 | 2020-09-1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 |
CN109116546B (zh) * | 2018-09-10 | 2020-08-21 | 深圳市亚泰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封装蛇骨与编织管的封装结构及封装方法 |
US11559191B2 (en) * | 2018-10-29 | 2023-01-24 | G.I. View Ltd. | Insertion unit for medical instruments and an intubation system thereof |
EP3669744A1 (en) | 2018-12-21 | 2020-06-24 | Ambu A/S | An articulated tip part for an endoscope |
US20200268238A1 (en) * | 2018-12-21 | 2020-08-27 | Ambu A/S | Articulated tip part for an endoscope |
CA3126817C (en) | 2019-01-18 | 2022-11-01 | Ipg Photonics Corporation | Ergonomic steering handle for a flexible catheter |
US11696671B2 (en) * | 2019-08-19 | 2023-07-11 | Covidien Ag | Steerable endoscope with motion alignment |
CN110876606B (zh) * | 2019-12-05 | 2022-04-12 | 重庆金山医疗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可弯曲且转动灵活的挠性管及内窥镜 |
WO2021255903A1 (ja) * | 2020-06-18 | 2021-12-23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CN112914478A (zh) * | 2021-02-07 | 2021-06-08 | 珠海明象医用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挠性弯曲的内窥镜 |
CN113349712B (zh) * | 2021-05-31 | 2024-10-01 | 武汉佑康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过渡转接件的内窥镜导管 |
USD1034977S1 (en) | 2021-07-23 | 2024-07-09 | Ipg Photonics Corporation | Control handle grip for a catheter |
EP4456778A1 (en) * | 2021-12-28 | 2024-11-06 | Noah Medical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endoscope shaf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5895A (ja) * | 1991-10-07 | 1993-04-20 | Toshiba Corp | 内視鏡 |
JPH0924020A (ja) * | 1995-07-10 | 1997-01-28 | Asahi Optical Co Ltd | 内視鏡の可撓管 |
JP2002000552A (ja) | 2000-06-16 | 2002-01-08 | Asahi Optical Co Ltd | 内視鏡用可撓管 |
JP2002330934A (ja) | 2001-05-08 | 2002-11-19 | Tanita Corp | 自律神経活動測定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60972A (en) | 1957-08-22 | 1962-10-30 | Bausch & Lomb | Flexible tube structures |
JPH0122641Y2 (ko) * | 1979-10-20 | 1989-07-07 | ||
JPS5849132A (ja) | 1981-09-17 | 1983-03-23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内視鏡 |
JPH0640173B2 (ja) * | 1987-02-05 | 1994-05-25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内視鏡 |
JPS63249536A (ja) | 1987-04-03 | 1988-10-17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内視鏡用可撓管 |
JP3098062B2 (ja) | 1990-09-19 | 2000-10-10 | テルモ株式会社 | カテーテルチューブ |
JP3181331B2 (ja) * | 1991-10-04 | 2001-07-03 | 株式会社町田製作所 | 内視鏡 |
US5885208A (en) | 1996-12-24 | 1999-03-23 | Olympus Optical Co., Ltd. | Endoscope system |
CN1223845A (zh) * | 1997-11-06 | 1999-07-28 | 株式会社东芝 | 内窥镜 |
JP2000342517A (ja) | 1999-06-01 | 2000-12-12 | Fuji Photo Optical Co Ltd | 内視鏡の湾曲部構造 |
US6780151B2 (en) | 1999-10-26 | 2004-08-24 | Acmi Corporation | Flexible ureteropyeloscope |
JP3927764B2 (ja) * | 2000-09-01 | 2007-06-13 |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 内視鏡用可撓管 |
JP4633282B2 (ja) * | 2001-03-12 | 2011-02-1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JP4772208B2 (ja) * | 2001-05-10 | 2011-09-1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US7250027B2 (en) * | 2002-05-30 | 2007-07-31 | Karl Storz Endovision, Inc. | Articulating vertebrae with asymmetrical and variable radius of curvature |
-
2005
- 2005-02-14 JP JP2005036969A patent/JP4477519B2/ja active Active
-
2006
- 2006-02-10 KR KR1020077018483A patent/KR1009229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2-10 EP EP06713521.0A patent/EP1849396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2-10 CN CN2006800040727A patent/CN101115432B/zh active Active
- 2006-02-10 WO PCT/JP2006/302379 patent/WO200608562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2-10 US US11/884,340 patent/US9345390B2/en active Active
- 2006-02-10 AU AU2006213225A patent/AU2006213225B2/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5895A (ja) * | 1991-10-07 | 1993-04-20 | Toshiba Corp | 内視鏡 |
JPH0924020A (ja) * | 1995-07-10 | 1997-01-28 | Asahi Optical Co Ltd | 内視鏡の可撓管 |
JP2002000552A (ja) | 2000-06-16 | 2002-01-08 | Asahi Optical Co Ltd | 内視鏡用可撓管 |
JP2002330934A (ja) | 2001-05-08 | 2002-11-19 | Tanita Corp | 自律神経活動測定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15432B (zh) | 2011-07-27 |
EP1849396A4 (en) | 2009-07-29 |
JP4477519B2 (ja) | 2010-06-09 |
JP2006218231A (ja) | 2006-08-24 |
EP1849396A1 (en) | 2007-10-31 |
AU2006213225B2 (en) | 2009-06-11 |
WO2006085620A1 (ja) | 2006-08-17 |
CN101115432A (zh) | 2008-01-30 |
AU2006213225A1 (en) | 2006-08-17 |
US20100168519A1 (en) | 2010-07-01 |
US9345390B2 (en) | 2016-05-24 |
EP1849396B1 (en) | 2013-04-24 |
KR20070103445A (ko) | 2007-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2917B1 (ko) | 내시경 | |
KR100922916B1 (ko) |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 | |
US8206287B2 (en) | Endoscope having flexible tube | |
CA2501662C (en) | Endoscope system | |
JP6180679B2 (ja) | 内視鏡 | |
US20210338045A1 (en) | Insertion sheath for modular disposable endoscope components | |
US9649017B2 (en) | Endoscope | |
US20200121167A1 (en) | Insertion device | |
US20110288375A1 (en) | Endoscope | |
JP2007054400A (ja) | 内視鏡 | |
CN108348135B (zh) | 内窥镜系统 | |
JP4777005B2 (ja) | 内視鏡 | |
JP3698844B2 (ja) | 内視鏡 | |
JP6854932B2 (ja) | 内視鏡 | |
US20130253271A1 (en) | Endoscope | |
JP3965163B2 (ja) | 内視鏡、および内視鏡を収納する収納器 | |
CN110996757B (zh) | 插入设备 | |
JP2005046279A (ja) | 内視鏡 | |
JP2003275167A (ja) | 内視鏡 | |
WO2018235388A1 (ja) | 内視鏡 | |
JPH11197101A (ja) | 内視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