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916B1 -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916B1
KR100922916B1 KR1020077018482A KR20077018482A KR100922916B1 KR 100922916 B1 KR100922916 B1 KR 100922916B1 KR 1020077018482 A KR1020077018482 A KR 1020077018482A KR 20077018482 A KR20077018482 A KR 20077018482A KR 100922916 B1 KR100922916 B1 KR 100922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curved
radius
delete delete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546A (ko
Inventor
시게끼 마쯔오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with stiffen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6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using light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내시경용 가요관이며, 선단측에 배치되고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만곡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만곡부와, 선단과 기단을 갖고 상기 만곡부의 기단측에 그 선단이 연속 설치되는 가요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는 이 만곡부를 최대 만곡시켰을 때에 제1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가요관부의 선단측에 소정 역량하에서 수동적으로 만곡하였을 때에 제1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제2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도록 설정된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만곡부가 체강의 굴곡부를 통과할 때의 저항을 억제하여 삽입부의 삽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환자에의 부담 및 고통을 경감시킨다.
Figure R1020077018482
가요관, 만곡부, 내시경, 삽입부, 조작부, 파지부, 곡률 이행부

Description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FLEXIBLE TUBE FOR ENDOSCOPE AND ENDOSCOPE DEVICE}
본 발명은, 가요성을 갖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 분야의 내시경은, 예를 들어 체강 내에 가늘고 긴 삽입부를 삽입함으로써, 예를 들어 대장 등의 체강 내의 장기 등을 관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한 처치구를 이용하여 각종 처치를 하기 위해 이용된다.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 시술자인 사용자는 가요관부(연성부)를 파지하여 체강 내로 압입하면서, 내시경의 조작부에 배치되는 조작 손잡이를 소정 조작함으로써 만곡부(앵글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킨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31065호 공보에 내시경의 삽입부가 제안되어 있다. 이 내시경 삽입부에는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선단 경질부, 앵글부, 및 연성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내시경은, 삽입부의 내외에 설치되는 나선관을, 그 축선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 간격을 두고 스폿 용접하고 있다. 이 내시경은, 스폿 용접 부위가 마디로 되어 굽힘에 대한 저항이 증대하여 경질이 된다. 게다가, 이 내시경은 용접 피치 간격이 좁아지면 좁아질수록 경도도 증가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내시경은, 삽입부의 근원측, 즉 본체 조작부로의 연속 설치측의 용접 피치 간격을 짧게 하고, 선단측, 즉 앵글부로의 연속 설치측에서는 용접 피치 간격을 길어지도록 변화시켜, 삽입부의 근원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대략 연속적으로 경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평5-31065호 공보에 기재되는 내시경의 삽입부가 체강 내의 굴곡 부분을 통과할 때, 연성부는 체강벽을 따라 추종하면서 만곡된다.
그러나, 내시경의 앵글부는 조작되는 만곡 정도에 따라 소정의 경도를 갖는 연성부의 만곡 상태보다도 큰 굴곡 상태로 된다. 즉, 만곡부는 체강의 만곡 상태, 굴곡 상태 등에 관계없이, 조작자의 만곡 조작에 의해 연성부에 대해 국소적으로 큰 곡절 상태가 된다.
이 곡절 상태가 된 만곡부는, 사용자에 의해 압입되는 역량에 따라서 굴곡되는 체강벽을 압박하고, 또한 체강을 급준하게 굴곡시켜, 급준하게 굴곡된 체강벽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체강은 무리한 부하를 받고 필요 이상으로 연신되어 버린다. 그 결과, 환자는 내시경 검사시의 부담이 커지고, 고통이 부여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내시경 검사시에 있어서, 만곡부가 체강의 굴곡부를 통과할 때의 저항을 억제하여 삽입부의 삽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환자에의 부담 및 고통을 경감시키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내시경용 가요관, 및 제1 내시경 장치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내시경용 가요관이며, 선단측에 배치되고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만곡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만곡부와, 선단과 기단을 갖고 상기 만곡부의 기단측에 그 선단이 연속 설치되는 가요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는, 이 만곡부를 최대 만곡시켰을 때에 제1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가요관부의 선단측에 소정 역량하에서 수동적으로 만곡하였을 때에 제1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제2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도록 설정된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내시경용 가요관, 및 제2 내시경 장치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내시경용 가요관이며, 선단측에 배치되고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만곡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만곡부와, 선단과 기단을 갖고 상기 만곡부의 기단측에 그 선단이 연속 설치되는 가요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는, 이 만곡부를 최대 만곡시켰을 때에 제1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가요관부는, 선단측에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제2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영역과, 이 제2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보다도 기단측에 상기 제1 및 제2 곡률 반경보다도 큰 제3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을 갖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내시경용 가요관, 및 제3 내시경 장치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내시경용 가요관이며, 선단측에 배치되고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만곡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기단측에 그 선단이 연속 설치되고 선단 영역과 기단 영역을 갖는 가요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는, 이 만곡부를 최대 만곡시켰을 때에 제1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선단 영역에, 소정 역량하에서 수동적으로 만곡하였을 때에 제1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제2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도록 설정된 제1 영역과, 이 제1 영역보다도 기단측에 상기 소정 역량하에서 상기 제1 곡률 반경, 및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도 큰 제3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도록 설정된 제2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을 구비한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3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부의 단면도이다.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3의 V-V선에 따른 제1 만곡부의 단면도이다.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굽힘 강성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굽힘 강성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삽입축이 직선 상태의 만곡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도13에 도시하는 만곡부를 하부 방향으로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확대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내시경을 구비한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수단을 구비한 전자 내시경(이하, 내시경이라 약기)(2)과,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 장치(3)와, 내시경(2)의 촬상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에 의해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4)와, 이 영상 신호를 받아 내시경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인 모니터(5)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체강 내에 삽입되는 긴 내시경용 가요관인 삽입부(6)와, 이 삽입부(6)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조작부(7)와, 이 조작부(7)의 일측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유니버설 코드(8)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조작부(7)는 파지부(7a)와, 만곡 조작 손잡이(7b)와, 촬상 수단의 릴리즈의 지시 등을 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7c)와, 송기 송수 버튼 등의 각종 버튼(7d)을 구비하고 있다.
유니버설 코드(8)에는, 그 연장 돌출측의 선단부에 외부 장치인 광원 장치(3)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내시경 커넥터(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시경 커넥터(8a)로부터는, 외부 장치인 프로세서(4)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9a)를 갖는 전기 케이블(9)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내시경(2)의 삽입부(6)는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선단 구성부(11), 만곡부(12), 제1 가요관부인 곡률 이행부(13), 제2 가요관부인 역량 전달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는 삽입부(6)에 있어서의 가요관부를 구성하고 있다.
곡률 이행부(13)는 삽입부(6)가 체강 내에 삽입될 때, 역량 전달부(14)에 가해지는 소정의 압입 역량이 전달된다. 이 역량을 받아 체강 내에 삽입되는 곡률 이행부(13)는 굴곡되는 체강벽에 접촉하였을 때에 수동적으로 만곡된다.
또한, 곡률 이행부(13)는 만곡부(12)가 만곡 조작 또는 수동적으로 만곡되는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보다도 최대 만곡 상태에서의 곡률 반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는 부분을 선단측(선단 영역)에 갖고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기단 영역)을 향해 서서히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곡률 이행부(13)의 선단측은 만곡부(12)와의 연접측을 말하고, 곡률 이행부(13)의 기단측은 역량 전달부(14)와의 연접측을 말한다.
또한, 역량 전달부(14)도 소정의 압입 역량에 대응하여, 굴곡되는 체강벽에 접촉하였을 때에 수동적으로 만곡된다.
또한, 곡률 이행부(13)는 역량 전달부(14)가 소정의 압입 역량에 의해 수동적으로 만곡되는 최대 만곡 상태보다도 최대 만곡 상태에서의 곡률 반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삽입부(6)는 최대로 만곡될 때, 대략 일정 비율로 만곡 반경/곡률이 변화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삽입부(6)는 대략 일정 비율로 만곡 반경/곡률이 이행하도록 선단부터 차례로 만곡부(12),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삽입부(6)에 있어서의 상술한 만곡 상태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선단 구성부(11) 내에는, 촬상 수단으로서 CCD, CMOS 등의 촬상 소자, 이 촬상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 관찰 광학계 등으로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선단 구성부(11)에는 체강 내의 관찰 대상 부위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이 통과하는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 부분이 배치되어 있 다. 그리고, 선단 구성부(11) 내에는 라이트 가이드, 조명 광학계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 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다음에, 도2 내지 도5를 기초로 하여, 삽입부의 선단 구성부, 만곡부, 곡률 이행부 및 가요관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부의 단면도, 도5은 도3의 Ⅴ-Ⅴ선에 따른 제1 만곡부의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6)의 선단에 배치되는 선단 구성부(11)는, 선단면에 관찰용 렌즈 등을 구비하는 관찰창(11a), 조명용 렌즈 등을 구비하는, 예를 들어 2개의 조명창(11b) 및 처치구인 겸자 등이 삽입 관통되는 겸자 채널의 개구부(11c)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 구성부(11)의 기단측에 연속 설치되는 만곡부(12)는, 예를 들어 70 내지 80 ㎜ 정도의 삽입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만곡부(12)에 연속 설치되는 곡률 이행부(13)는,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의 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예를 들어 20 내지 25 ㎜ 정도의 삽입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예를 들어 30 내지 40 ㎜의 삽입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12)는 복수의 만곡 부재(21)[만곡 절륜(節輪)이라고도 함]가 각각 관절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속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최선단의 만곡 부재(21)는 선단 구성부(11)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만곡 부재(21)에는 세선의 와이어 등을 통 형상으로 편입한 만곡 블레이드(30)가 씌워지는 동시에, 이 만곡 블레이드(30) 상에 수밀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가요성을 갖는 제1 외장 관체인 외피(31)가 씌워져 있다. 이에 의해, 삽입부(6)의 선단측에 만곡부(12)가 형성된다.
외피(31)는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가 선단측으로부터 서서히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만곡부(12)는 외피(31)의 가요성에 의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서서히 굽힘 강성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6) 내에는 만곡부(12)가 선단측으로부터 견인 이완되어 만곡 조작되기 위한 4개의 만곡 조작 와이어(32)(앵글 와이어라고도 함)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만곡부(12) 내의 와이어 가이드(36)에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되고, 연결부(15)로부터 기단측이 코일 시스(34) 내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코일 시스(34)는 와이어를 파이프 형상으로 밀착 권취한 비압축성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선단 부분이 선단 구성부(11)의 기단측에 있어서, 도4의 지면(紙面)을 향해 대략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4점에 있어서 고정 부재(35)에 의해 보유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기단부가 조작부(7)(도1 참조)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만곡 조작 기구에 연결되어 교대로 견인 또는 이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만곡 조작 기구는 조작부(7)에 배치되는 만곡 조작 손잡이(7b)에 연 결되어 있다.
이들 만곡 조작 와이어(32)는 만곡 조작 손잡이(7b)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견인 이완된다. 따라서, 4개의 만곡 조작 와이어(32)가 각각 견인 이완됨으로써, 만곡부(12)가 4방향으로 만곡 조작된다.
또한,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12) 내의 만곡 부재(21)는 만곡 조작 와이어(32)가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되는 2개의 와이어 가이드(36)가 기단면측 근방의 내주면에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와이어 가이드(36)는 각 만곡 부재(21)의 원주를 2등분하는 삽입축 주위 방향의 약 180도로 서로 어긋난 내주면의 위치이며, 한 쌍의 관절부(40)에 대해 삽입축 주위 방향으로 각각 약 90도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와이어 가이드(36)는 서로를 연결하는 선이 각 만곡 부재(21)를 삽입축 쪽으로 대략 2등분하고, 한 쌍의 관절부(40)를 연결하는 선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각 만곡 부재(21)의 내주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 내, 및 역량 전달부(14) 내에는 나선관인 플렉스관(26)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플렉스관(26)의 외주에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7)가 씌워져 있다.
제1, 제2 곡률 이행부(13a, 13a) 및 역량 전달부(14)에는 각각 다른 가요성을 갖는 외피가 블레이드(27) 상에 씌워져 있다.
제1 곡률 이행부(13a)에는, 만곡부(12)의 외피(31)의 기단 부분보다도 선단측[만곡부(12)와의 연접측]에 있어서의 가요성이 높고, 또한 선단측으로부터 기단 측[제2 곡률 이행부(13b)와의 연접측]을 향해 서서히 가요성이 낮아지도록 설정된 제2 외장 관체가 되는 외피(28a)가 블레이드(27) 상에 씌워져 있다. 따라서,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외피(28a)의 가요성에 의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서서히 굽힘 강성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곡률 이행부(13b)에는,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제2 외피(28a)의 기단 부분보다도 가요성이 낮고, 또한 선단측[제1 곡률 이행부(13a)와의 연접측]으로부터 기단측[역량 전달부(14)와의 연접측]을 향해 서서히 가요성이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3 외장 관체가 되는 외피(28b)가 블레이드(27) 상에 씌워져 있다. 따라서,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외피(28b)의 가요성에 의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서서히 굽힘 강성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곡률 이행부(13)의 제1, 제2 곡률 이행부(13a, 13b)의 각 외피(28a, 28b)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등의 연질의 수지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의 수지가 혼합된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외피(28a, 28b)는, 선단측 쪽이 연질인 수지의 비율이 높게 되어 있고, 기단측을 향해 서서히 연질인 수지의 비율이 낮게, 즉 경질인 수지의 비율이 높게 배합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외피(28a, 28b)의 강성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높아지므로,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에는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외피보다도 가요성이 낮고, 또한 선단측[제2 곡률 이행부(13b)와의 연접측]으로부터 기단측[조작부(7)와의 연접측]을 향해 일정한 가요성을 갖는 제4 외장 관체인 외피(28c)가 블레이드 상에 씌워져 있다. 따라서, 역량 전달부(14)는 외피(28c)의 일정하게 설정된 가요성에 의해 굽힘 강성도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외피(31)와 외피(28a)는 연결부(15)에 있어서 사(絲) 권취 접착부(29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역량 전달부(14)의 외피(28c)는 연질의 수지와 경질의 수지의 비율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배합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의 굽힘 강성이 곡률 이행부(13)의 기단측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외피(28c)는 일정한 가요성을 갖도록 연질의 수지와 경질의 수지가 소정으로 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6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부(12)의 굽힘 강성은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연결부(15)까지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 부분(제1 영역)으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의 기단(제2 영역)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도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최선단의 굽힘 강성이 만곡부(12)의 최기단의 굽힘 강성보다도 소정의 값만큼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역량 전달부(14)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최기단의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일한 굽힘 강성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압입력(예를 들어,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에 의해, 예를 들어 굴곡되는 체강벽과의 접촉에 의해 만곡되는 만곡부(12)는, 도7의 그래프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선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가장 높고,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연결부(15)까지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동일하게 만곡되는 곡률 이행부(13)에 있어서도,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 부분의 곡률이 연결부(15)의 곡률보다도 소정의 값만큼 높아지고, 그 후,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낮아지고,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최기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가장 낮아진다.
환언하면, 삽입부(6)는 시술자에 의해 최대로 만곡 조작되는 만곡부(12)의 최선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값이 된다. 그리고, 삽입부(6)는 연결부(15)로부터 제2 단부(영역)가 되는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삽입축의 곡률 반경(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곡률 반경)이 제1 단부(영역)가 되는 만곡부(12)의 최기단의 곡률 반경(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곡률 반경)보다도 소정의 값만큼 작아지고, 기단을 향해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큰 값이 된다.
또한, 삽입부(6)는 곡률 이행부(13)의 제3 단부(영역)가 되는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최기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곡률 반경)이 가장 큰 값이 되고, 역량 전달부(1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곡률 반경의 가장 큰 값이 일정해진다.
즉, 시술자가 만곡부(12)를 대장 등의 장관 굴곡부를 따라 만곡 조작하면서, 역량 전달부(14)를 소정의 힘(예를 들어,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에 의해 대장 깊이부 방향으로 압입하면,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는 굴곡되는 체강 벽과의 접촉에 의해 체강의 굴곡을 따라 만곡된다. 이 때, 제1 곡률 이행부(13a)는 곡률 반경이 만곡부(12)의 최기단의 곡률 반경보다도 작게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만곡부(12)의 만곡 상태에 추종하기 쉽고, 완만하게 만곡된다. 그리고, 곡률 이행부(13)는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측으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기단측에 걸쳐서 그 만곡 상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일정한 비율로 커진다.
그 결과, 곡률 이행부(13)는 완만한 곡선을 그리도록 역량 전달부(14)를 원활하게 장관 굴곡부에 삽입한다. 즉, 만곡부(12)의 기단측의 만곡 상태보다도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측이 만곡되기 쉽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측이 기점이 되어 곡률 이행부(13)가 용이하게 만곡된다.
즉, 장관 굴곡부를 통과하는 만곡부(12),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는 굴곡되는 장벽에 걸리지 않고 대장 깊이부로 삽입된다. 또한, 역량 전달부(14)의 굽힘 강성이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보다도 높기 때문에, 탄력이 없어지지 않고 곡률 이행부(13)측으로 압입 역량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만곡부(12)는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걸쳐서 곡률 반경이 일정한 비율로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시술자가 만곡부(12)를 대장 등의 장관 굴곡부를 따라 만곡 조작해도,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걸쳐서 완만한 곡률을 그리도록 만곡된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6)는 곡률 이행부(13)가 만곡부(12)의 만곡 상태에 용이하게 추종하는 동시에, 역량 전달부(14)가 원활하게 도입되고,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가 장관 굴곡부를 급준한 상태로 하지 않고 원활하게 장관 굴곡부를 통과한다. 또한, 만곡부(12)가 장관 굴곡부를 통과할 때의 저항이 억제되므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을 사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는 부담 및 고통이 경감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삽입부(6)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8은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이미 기술한 내시경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6)를 구성하고 있는 선단 구성부(11), 만곡부(12),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의 내부에는 굽힘 강성 조정봉(38)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 굽힘 강성 조정봉(38)은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만곡부 조정부(38a)와, 연결 조정부(38b)와, 제1 곡률 이행부 조정부(38c)와, 제2 곡률 이행부 조정부(38d)와, 역량 전달부 조정부(38e)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만곡부 조정부(38a), 및 제1, 제2 곡률 이행부 조정부(38c, 38d)는 각각 선단측의 외경에 대해 기단측의 외경이 일정하게 커지는 대략 원뿔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연결 조정부(38b)는 만곡부 조정부(38a)의 최기단의 외경과 대략 동일 직경의 선단으로부터, 제1 곡률 이행부 조정부(38c)의 최선단의 외경과 대략 동일 직경의 기단을 향해 외경이 일정하게 작아지는 대략 원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제1 곡률 이행부 조정부(38c)의 최선단의 외형은 만곡부 조정부(38a)의 최기단의 외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 조정부(38e)는 제2 곡률 이행부 조정부(38d)의 최기단의 외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걸쳐서 동일한 외경이 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외피(31)(도3 참조)는 그 두께가 선단측으로부터 서서히 두껍게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만곡부(12)를 피복하고 있는 외피(31')는 그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곡률 이행부(13), 및 역량 전달부(14)에는, 제1 실시 형태의 각각의 외피(28a 내지 28c)(도3 참조) 대신에, 1개의 외피(28)가 전체에 씌워져 있다.
이들 외피(31', 28)는 대략 동일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삽입부(6)는 전체가 각 외피(31', 28)의 각각의 가요성에 의한 굽힘 강성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삽입부(6)의 굽힘 강성의 변화를 굽힘 강성 조정봉(38)에 의해 설정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9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부(12)의 굽힘 강성은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굽힘 강성 조정봉(38)의 만곡부 조정부(38a)의 굽힘 강성에 맞추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연결부(15)까지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15)에 있어서는, 내부의 연결 조정부(38b) 의 굽힘 강성에 의해, 중도 부분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까지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낮아지는 굽힘 강성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의 기단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도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최선단의 굽힘 강성이 만곡부(12)의 최기단의 굽힘 강성보다도 소정의 값만큼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역량 전달부(14)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최기단의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일한 굽힘 강성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소정의 압입력(예를 들어,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에 의해, 예를 들어 굴곡되는 체강벽과의 접촉에 의해 만곡되는 만곡부(12)는, 도10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선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가장 높고,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연결부(15)까지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동일하게 만곡되는 곡률 이행부(13)에 있어서도,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 부분의 곡률이 연결부(15)의 곡률보다도 소정의 값만큼 높아지고, 그 후,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낮아지고,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최기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이 가장 낮아진다.
환언하면, 삽입부(6)는 소정의 압입력(예를 들어, 최대로 대략 2 ㎏ 정도의 역량)에 의해 굴곡되는 체강벽과의 접촉에 의해 만곡되는 만곡부(12)의 최선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값이 된다. 그리고, 삽입부(6)는 연결부(15)로부터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삽입축의 곡률 반경이 만곡부(12)의 최기단의 곡률 반경보다도 소정의 값만큼 작아지고, 기단을 향해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큰 값이 된다.
또한, 삽입부(6)는, 곡률 이행부(13)의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최기단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가장 큰 값이 되고, 역량 전달부(1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곡률 반경의 가장 큰 값이 일정해진다.
이상으로부터, 만곡부(12)의 기단측의 만곡 상태보다도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측이 만곡되기 쉽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측이 기점이 되어 곡률 이행부(13)가 용이하게 만곡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6)에는 내부에 굽힘 강성 조정봉(38)이 삽입 설치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굽힘 강성 조정봉(38)을 삽입부(6) 내에 설치하지 않고, 겸자 채널, 코일 시스, 각종 내시경 관로 등을 굽힘 강성 조정봉(38)과 동일한 외경 형상, 및 두께 형상으로 하여, 삽입부(6)의 굽힘 강성이 도9에 나타내는 변화율이 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도11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1은 삽입부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12는 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3은 삽입축이 직선 상태의 만곡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14는 도13에 도시하는 만곡부를 하부 방향으로 최대 만곡시킨 상태의 확대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실시 형 태에서 이미 기술한 내시경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이행부(13)는 후술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곡률 규제 부재(22, 23)(곡률 규제 절륜이라고도 함)가 만곡부(12)의 만곡 부재(21)와 마찬가지로 관절부(40)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속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와이어 가이드(36)를 구비한 부재를 만곡 부재라 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36)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부재를 곡률 규제 부재라 한다. 즉, 만곡부(12) 내의 복수의 만곡 부재는 와이어 가이드(36)를 갖고, 곡률 이행부(13) 내의 복수의 곡률 규제 부재는 와이어 가이드(36)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만곡부(12)와 곡률 이행부(13)의 연결은, 각각의 경계 부분의 내부에 있어서, 각 만곡 부재(21), 및 곡률 규제 부재(22)의 상호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의 삽입부(6)에 있어서의 만곡부(12)와 곡률 이행부(13) 사이에서, 도3에 도시하는 상하 방향의 만곡을 위해 회전하는 만곡 부재(21), 및 곡률 규제 부재(22)가 연결된 부분을 연결부(15a)라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만곡부(12)가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 만곡 가능하므로, 상기 상하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만곡을 위해 회전하는 각 만곡 부재(21), 및 곡률 규제 부재(22)가 연결된 부분도 연결부가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각 만곡 부재, 및 각 곡률 규제 부재가 연결된 연결부(15a)를 2개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만곡부(12)와 곡률 이행부(13)와의 경계에 있는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는 회전 가능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곡률 규제 부재(22, 23)에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만곡부(12)로부터의 만곡 블레이드(30)가 씌워지는 동시에, 이 만곡 블레이드(30) 상에 수밀을 유지하도록 외피(28')가 씌워짐으로써, 곡률 이행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피(28')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외피(31')와 대략 동일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는 각 외피(31', 28)'에 의해 각각의 굽힘 강성이 동등해지도록 소정의 굽힘 강성을 갖는다.
또한, 만곡부(12)의 외피(31')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만곡부(12)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경계 부분까지 피복하고 있다. 또한, 외피(31')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를 각각 합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체가 되도록 피복해도 좋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각각이 대략 원통 형상의 짧은 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의 각각의 일단부측, 여기에서는 선단측에는 인접하는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는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의 원주를 2등분하는 위치, 즉 삽입축 주위 방향으로 180도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의 각각의 타단부측, 여기서는 기단측에도 일단부측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B)가 그들 판 두께분만큼 내주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의 각각의 피봇 지지부(40A, 40B)가 서로 중첩되어, 피봇 지지부(40A, 40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41)에 리벳 등의 피봇축 부재(42)가 삽입 관통하여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1개의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에 있어서, 일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는 타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B)에 대해 삽입축 주위로 90도 회전한, 번갈아가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즉, 1개의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에 있어서, 일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A)는 각각의 피봇축 부재(42)의 피봇축을 연결한 선과 타단부측의 한 쌍의 피봇 지지부(40B)를 연결한 선 및 삽입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된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일단부측이 피봇 지지부(40A)의 각각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2방향과 타단부면측이 상기 2방향과 삽입축에 대해 직교하는 피봇 지지부(40B)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의 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피봇 지지부(40A, 40B)와 피봇축 부재(42)에 의해 구성된 부분이 관절부(40)가 된다.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인접하는 부재와 관절부(4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둥근 고리 부재이다. 이들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각각의 양 단부면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위 귀(耳)인 피봇 지지부(40A, 40B)가 대향하는 면을 갖도록 돌출되어 있고, 이들 피봇 지지부(40A, 40B)를 정점으로 하여 축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산 깎기 형상으로 가공된 둥근 고리 부재이다.
또한,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일단부측, 타단부측의 각 단부면이 피봇 지지부(40A, 40B)에 의해 회전할 때, 각 단부면[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하는 만곡 부재(21)의 단부면(21b)]의 일부분이 인접하는 부재의 각 대향면[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하는 만곡 부재(21)의 단부면(21c)]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각각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부재(21, 22, 23)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단부면과 인접하는 부재의 각 대향면이 접촉하는 부분을 접촉부(Z)(도12 참조)라 한다. 이 접촉부(Z)는 연결된 각 부재(21, 22, 23)의 2개의 관절부(40)에 대해, 삽입축 주위 방향으로 약 90°어긋난 위치가 되는 각 부재(21, 22, 23)의 양 단부면에 존재한다. 그리고, 각 부재(21, 22, 23)는 그 접촉부(Z)와 인접하는 부재의 각 접촉부(Z)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양 단부면이 외형의 중앙부측을 향해 산 깎기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즉,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가 대략 직선 상태의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응하여 접촉하는 접촉부(Z)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도록 각각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단부면이 외형의 중앙부측을 향해 산 깎기 형상으로 가공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이 연결된 상태에서 각 접촉부(Z)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는 형상이면 된다.
다음에, 각 만곡 부재(21) 및 각 곡률 규제 부재(22, 23)의 연결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만곡부(12)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는,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만곡 부재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12) 내에 있어서,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를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만곡부(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1)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는,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제1 곡률 규제 부재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2)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 내에 있어서,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를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2)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는,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3)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3)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곡률 이행부(13b) 내에 있어서의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을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3)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연결 부분은 최기단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2)의 한 쌍의 관절부(40)와 최선단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3)의 한 쌍의 관절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최기단의 만곡 부재(21), 및 최선단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2)는 만곡부(12)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최기단의 만곡 부재(21)의 한 쌍의 관절부(40), 및 최선단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2)의 한 쌍의 관절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역량 전달부(14) 내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나선관인 플렉스관(26)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플렉스관(26)의 외주에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7)가 씌워져 있다. 또한, 블레이드(27)의 외주에는 외피(31')보다도 가요성이 낮은, 즉 굽힘 강성이 높은 제2 외장 관체가 되는 외피(28A)가 씌워져 있다.
따라서, 역량 전달부(14)는 기단측의 압입 역량이 충분히 삽입부(6)의 선단 부분에 전달되므로,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에 비해 가요성이 낮다. 즉, 역량 전달부(14)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에 비해 굽힘 강성이 높게 설정 되어 있다. 또한, 곡률 이행부(13)와 역량 전달부(14) 사이에는, 외피(28')와 외피(28A)를 사 권취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사 권취 접착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최대 만곡시에 있어서의 각 곡률, 및 각 곡률 반경에 대해 도13, 및 도1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의 각 곡률, 및 각 곡률 반경의 설명에서는, 만곡부(12)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12)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회전하여 접촉하는 2개의 만곡 부재(21)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은 소정 각도(θ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12) 내에 있어서의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를 갖는 한 쌍의 관절부(40)는 만곡부(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들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가 서로 소정 거리(L1)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12)는 인접하는 각 만곡 부재(21)의 만곡되는 방향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의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각 만곡 부재(21)는 만곡 방향에 대해 회전축이 되는 관절부(40)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으로 만곡부(12)의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각각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각 만곡 부재(21)는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각각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하여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다.
따라서, 만곡부(12)는 만곡 부재(21)의 각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함으 로써 스토퍼를 대신하게 되고,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가 만곡부(12)의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이 최대로 만곡된 만곡부(12)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1)은 만곡부(12)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만곡 부재(21)의 대향면이 이루는 각인 소정 각도(θ1)와 피봇축 부재(42)의 축 방향이 평행한 각각의 축 사이의 거리(L1)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즉, 최대로 만곡된 만곡부(12)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1)의 역수가 되는 곡률(C1)도, 만곡부(12)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만곡 부재(21)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이 소정 각도(θ1), 및 만곡부(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의 거리(L1)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이 만곡부(12)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1), 및 곡률 반경(R1)은 다음의 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1 = 1/R1 ≒ (2tanθ1/2)/L1 …(1)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인접하는 각 제1 곡률 규제 부재(22)의 만곡하는 방향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의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각 제1 곡률 규제 부재(22)는 만곡 방향에 대해 회전축이 되는 관절부(40)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으로 곡률 이행부(13a)의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각각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각 제1 곡률 규제 부재(22)는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각각 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하여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다.
따라서,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제1 곡률 규제 부재(22)의 각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를 대신하게 되고,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제1 곡률 이행부(13a)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2), 및 곡률 반경(R2)은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곡률 규제 부재(22)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이 소정 각도(θ2), 및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의 거리(L2)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된다.
이 제1 곡률 이행부(13a)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2), 및 곡률 반경(R2)은 다음의 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2 = 1/R2 ≒ (2tanθ2/2)/L2 …(2)
또한,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인접하는 각 제2 곡률 규제 부재(23)의 만곡하는 방향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각 제2 곡률 규제 부재(23)는 만곡 방향에 대해 회전축이 되는 관절부(40)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주위 방향으로 곡률 이행부(13b)의 만곡에 의해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각각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각 제2 곡률 규제 부재(23)는 호를 그리는 삽입축보다도 내측의 각각 의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하여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다.
따라서, 제2 곡률 이행부(13b)는 제2 곡률 규제 부재(23)의 각 주위 단부[접촉부(Z)]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를 대신하게 되고, 관절부(40)의 축 주위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가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최대 만곡 상태가 된다.
제2 곡률 이행부(13b)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3), 및 곡률 반경(R3)은, 제2 곡률 이행부(13b)의 삽입축이 직선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곡률 규제 부재(23)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이 소정 각도(θ3), 및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의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의 거리(L3)와의 관계에 의해 설정된다.
이 제2 곡률 이행부(13b)가 최대 만곡시의 삽입축에 있어서의 곡률(C3), 및 곡률 반경(R3)은 다음의 식 (3)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3 = 1/R3 ≒ (2tanθ3/2)/L3 …(3)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만곡부(12),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는 각 최대 만곡시의 각 삽입축에 있어서의 각각의 곡률의 관계가 C3 < C1 < C2가 되도록, 상기 각 각도(θ1 내지 θ3) 및 상기 각 거리(L1 내지 L3)가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만곡부(12), 제1 곡률 이행부(13a), 및 제2 곡률 이행부(13b)는 각 최대 만곡시의 각 삽입축에 있어서의 각각의 곡률 반경의 관계가 R2 < R1 < R3이 되도록, 상기 각 각도(θ1 내지 θ3), 및 상기 각 거리(L1 내지 L3)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내시경(2)의 삽입부(6)는, 만곡부(12)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각 부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은 만곡부(12)의 곡률에 대해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곡률이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1 곡률 이행부(13a)의 곡률에 대해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곡률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12)의 곡률에 대해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곡률은 작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만곡부(12), 제1 곡률 이행부(13a), 제2 곡률 이행부(13b)를 각각 최대로 만곡시켰을 때에는, 만곡부(12)의 곡률 반경에 대해 제1 곡률 이행부(13a)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진다. 그리고, 만곡부(12)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이행하여 구부러지도록 제2 곡률 이행부(13b)의 곡률 반경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만곡부(12), 제1 곡률 이행부(13a), 제2 곡률 이행부(13b)로 3단계의 최대 만곡시의 곡률 반경을 설정하고 있지만, 4단계, 6단계 등보다 미세하게 곡률의 변화를 설정함으로써, 만곡부(12)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곡률 반경이 순조롭게 변화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만곡부(12)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인접하는 각 부재가 공통되는 회전축 중심을 정점으로 하고, 각 접촉부(Z)(도12 참조)를 상기 정점과 연결한 선의 끼임각인 소정 각도(θ2 내지 θ3), 피봇축 부재(42)의 축 사이의 각 거리(L2 내지 L3)의 길이 등을 더욱 세분하여, 1부재마다 치수를 변화시켜 감으로써, 만곡부(12)로부터 제2 곡률 이행부(13b)에 걸쳐서 최대 만곡시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대략 무단계로 변화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6)의 역량 전달부(14)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굽힘 강성보다도 높은 굽힘 강성을 갖고 있다. 즉, 삽입부(6)의 역량 전달부(14)는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의 가요성보다도 낮은 가요성을 갖고 있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의 삽입부(6)에 있어서도, 만곡부(12)의 만곡 상태보다도 제1 곡률 이행부(13a)의 선단측이 만곡되기 쉽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곡률 이행부(13a)가 기점이 되어 곡률 이행부(13)가 용이하게 만곡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삽입부(6)는 역량 전달부(14)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선단 구성부(11), 만곡부(12), 및 곡률 이행부(13)만을 갖고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실시 가능하다.

Claims (20)

  1.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이며,
    선단측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축에 의해 연결된 둥근 고리 형상의 복수의 만곡 부재가 내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상기 만곡 부재의 대향하는 주연부가 각각 접촉함으로써 최대로 만곡되는 곡률 반경이 규제되고, 조작자의 만곡 조작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만곡시킬 수 있는 만곡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축에 의해 연결된 둥근 고리 형상의 복수의 곡률 규제 부재가 내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상기 곡률 규제 부재의 대향하는 주연부가 각각 접촉함으로써 최대로 만곡되는 곡률 반경이 규제되고, 상기 만곡부의 기단측에 연속 설치되고, 조작자의 만곡 조작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만곡시킬 수는 없으나 외력을 받으면 수동적으로 만곡하는 제1 가요관부와,
    나선관과, 상기 나선관의 외관을 덮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상에 피복되는 외피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가요관부의 기단측에 연속 설치되는 제2 가요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는, 이 만곡부를 최대 만곡시켰을 때에 제1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가요관부는, 선단측에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제2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영역보다도 기단측에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도 큰 제3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관부의 제2 곡률 반경 및 제3 곡률 반경으로 최대 만곡하는 영역들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피 수지의 굽힘 강성은, 상기 만곡부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피 수지의 굽힘 강성과 대략 동등 이하이고,
    상기 제2 가요관부를 피복하는 외피 수지의 굽힘 강성은 상기 만곡부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피 수지의 굽힘 강성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77018482A 2005-02-14 2006-02-10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 KR100922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6970 2005-02-14
JP2005036970A JP4323441B2 (ja) 2005-02-14 2005-02-14 内視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546A KR20070102546A (ko) 2007-10-18
KR100922916B1 true KR100922916B1 (ko) 2009-10-22

Family

ID=3679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482A KR100922916B1 (ko) 2005-02-14 2006-02-10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67270B1 (ko)
JP (1) JP4323441B2 (ko)
KR (1) KR100922916B1 (ko)
CN (1) CN101106932B (ko)
AU (1) AU2006213226B2 (ko)
WO (1) WO2006085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2361A (ja) * 2010-01-28 2011-08-11 Olympus Corp 内視鏡の可撓管部と、この可撓管部を有する内視鏡
CN102469911B (zh) * 2010-01-29 2014-09-10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插入设备、内窥镜
JP2011160966A (ja) * 2010-02-09 2011-08-25 Olympus Corp 湾曲機構
CN102062939B (zh) * 2011-01-21 2012-02-15 深圳市亚泰光电技术有限公司 内窥镜弯曲控制结构
EP2628434B1 (en) * 2011-03-25 2016-02-24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EP2583616B1 (en) * 2011-03-29 2015-04-0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e
JP5416320B2 (ja) * 2011-12-06 2014-02-1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湾曲部および内視鏡
JP5810037B2 (ja) * 2012-06-04 2015-11-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CN103393394B (zh) * 2013-07-30 2016-06-01 浙江优亿医疗器械有限公司 可以调整插入方向的电子可视软管喉镜
WO2015029503A1 (ja) * 2013-08-30 2015-03-0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CN103536268B (zh) * 2013-11-11 2015-07-08 亚新科技(珠海)发展有限公司 一种内窥镜弯曲部结构及内窥镜
JP5885889B2 (ja) 2013-12-06 2016-03-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15119839A (ja) * 2013-12-24 2015-07-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5993535B2 (ja) * 2014-09-22 2016-09-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湾曲部及びこの内視鏡用湾曲部を具備した内視鏡
JP6157433B2 (ja) * 2014-09-29 2017-07-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CN109152511B (zh) * 2016-05-27 2021-08-10 奥林巴斯株式会社 医疗用操纵器和医疗用操纵器的控制方法
WO2018216142A1 (ja) 2017-05-24 2018-11-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可撓管挿入装置及び挿入制御装置
CN111479493B (zh) * 2017-12-28 2023-04-25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及内窥镜系统
CN112914478A (zh) * 2021-02-07 2021-06-08 珠海明象医用科技有限公司 一种可挠性弯曲的内窥镜
WO2024077922A1 (zh) * 2023-04-21 2024-04-18 深圳市星辰海医疗科技有限公司 内窥镜的先端弯曲区段及一种内窥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982B2 (ja) * 1987-11-16 1996-09-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のワイヤガイド構造
JP2002065592A (ja) 2000-09-01 2002-03-05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可撓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5399B2 (ja) 1991-07-29 1999-11-29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の挿入部
JP3181331B2 (ja) * 1991-10-04 2001-07-03 株式会社町田製作所 内視鏡
JP3144711B2 (ja) * 1992-08-14 2001-03-1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湾曲部保護体
JP4475747B2 (ja) * 2000-06-16 2010-06-09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可撓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982B2 (ja) * 1987-11-16 1996-09-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のワイヤガイド構造
JP2002065592A (ja) 2000-09-01 2002-03-05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可撓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6932B (zh) 2010-07-28
AU2006213226A1 (en) 2006-08-17
CN101106932A (zh) 2008-01-16
EP1867270A4 (en) 2009-12-23
JP2006218232A (ja) 2006-08-24
WO2006085621A1 (ja) 2006-08-17
AU2006213226B2 (en) 2009-07-30
KR20070102546A (ko) 2007-10-18
JP4323441B2 (ja) 2009-09-02
EP1867270B1 (en) 2011-05-18
EP1867270A1 (en)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916B1 (ko) 내시경용 가요관 및 내시경 장치
KR100922917B1 (ko) 내시경
US8206287B2 (en) Endoscope having flexible tube
EP1554972A1 (en) Endoscope device
US9089259B2 (en) Endoscope
EP1600102A1 (en) Endoscope angle portion
EP3135182A1 (en) Endoscope bending section and endoscope
US9848759B2 (en) Coil structure used in endoscope and endoscope and treatment instrument including coil structure
US9872607B2 (en) Endoscope
US9649017B2 (en) Endoscope
US20200121167A1 (en) Insertion device
US20110288375A1 (en) Endoscope
JP2007054400A (ja) 内視鏡
JPH07116104A (ja) 二段湾曲内視鏡
CN108348135B (zh) 内窥镜系统
JP4777005B2 (ja) 内視鏡
JP6854932B2 (ja) 内視鏡
JP4504076B2 (ja) 内視鏡
CN110996757B (zh) 插入设备
JP2018175225A (ja) 内視鏡システム
JPH1189790A (ja) 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