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789B1 - 바인더, 그룹형 바인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바인더, 그룹형 바인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789B1
KR100914789B1 KR1020080003777A KR20080003777A KR100914789B1 KR 100914789 B1 KR100914789 B1 KR 100914789B1 KR 1020080003777 A KR1020080003777 A KR 1020080003777A KR 20080003777 A KR20080003777 A KR 20080003777A KR 100914789 B1 KR100914789 B1 KR 100914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backbone
split ring
portions
b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008A (ko
Inventor
토모아키 사카타
토루 요시에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29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07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9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081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165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with flexible or resilient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 B42B5/103Devices for assembling the elements with the stack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4Means for facilitating stacking o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는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가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서 얇은 힌지에 의해 상기 백본부에 접속되고, 상기 백본부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분할링부의 양단에서 상기 백본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바인더, 그룹형 바인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BINDER, GROUP OF BINDERS, METHOD FOR BINDING THE SHEET OF LOOSE LEAF PAPER}
본 발명은 루스리프 용지를 철하는 바인더, 이들 바인더가 겹쳐서 그룹화된 그룹형 바인더, 이들 바인더를 이용하여 철하는 것이 가능한 루스리프용지 및, 루스리프 용지를 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루스리프 용지나, 다공 페이퍼 펀치에서 천공 처리한 서류를 철하기 위한 수지제 바인더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를289376호 공보). 이하, 이런 종류의 바인더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20, 도 21 및 도 22는 종래의 바인더(1)를 나타내고, 백본부(2:backbone part)의 양측 모서리부에 다수의 1/2 링부(3, 4)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백본부(2) 자체가 2개로 나누어지는 힌지로 되어 있는 일체 성형품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측 열의 1/2 링부(3)는 선단에 돌기(5)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5)는 선단이 부풀어 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측 열의 1/2 링부(4)의 선단에는 돌기(5)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돌기(5)를 구멍(6)에 압입하여 상하의 1/2 링부(3, 4)를 감합시키는 구조를 하고 있다. 루스리프 용지를 바인더(1)에서 철할 때는 한쪽 열의 1/2 링부(3) 또는 다른쪽 열의 1/2 링부(4)를 종이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손으로 2열의 1/2 링부(3, 4)를 닫으면, 1/2 링부(3)의 돌기(5)와 1/2 링부(4)의 구멍(6)이 감합하여 링이 형성되고, 루스리프 용지를 철할 수 있다.
종래, 바인더로 서류를 철하는 작업은 손으로 행하고 있지만, 다수의 1/2 링부를 종이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2열의 1/2 링부를 손으로 닫아 감합시키는 작업은 시간이 걸리고, 특히, 다수의 서류를 철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수지제 바인더에 의한 바인딩 작업을 능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바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인드 처리를 행하는 바인딩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바인더의 백본부를 잡고 바인더를 루스리프 용지의 뒤에 대향시키는 보호 유지 기구, 바인더의 1/2 링부를 닫아 감합시키는 기구 등이 필요하지만, 종래 바인더의 백본부는 2개로 나누어지는 힌지로 되어 있어 1/2 링부와 함께 개폐하므로, 감합기구가 1/2 링부를 닫을 때에 보호 유지 기구가 백본부를 잡고 있는 것이 곤란하고, 보호 유지 기구로부터 바인더가 탈락할 우려가 크고, 종래의 바인더를 바인딩 장치에 의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바인더는 링을 2분할한 형상이며, 복수의 바인더를 겹쳐 쌓았을 때에, 1/2 링부(3, 4)의 내경(內徑)과 외경(外徑)의 상위로부터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간에 틈새가 생기므로, 취급할 때에 바인더가 뿔뿔이 흩어지게 되어 운반이 불편함과 동시에 패키지 포장하는 경우에 부피가 커지는 결점이 있다. 더욱이, 바인드 처리를 기계화하는 경우는 필연적으로 바인드 처리기내에 대량의 바인더를 장전하게 되지만, 종래의 바인더에서는 넓은 수납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여 기계의 소형화의 장해가 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공간절약을 할 수 있고, 또한 취급성이 양호한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바인더는 한쪽의 1/2 링부의 선단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와 다른 쪽의 1/2 링부의 선단에 형성한 구멍에 의하여 1/2 링부의 감합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바인더를 사출 성형함에 있어서, 선단이 부풀어 오른 형상의 돌기 및 돌기와 대칭으로 내부가 부풀어 오른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회전 빼기 등의 형 빼기 수단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금형 구조가 복잡화하여 생산 비용이 소요된다. 더욱이, 링부의 반경 방향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하면 종이의 바인딩 가능 매수도 증가하지만, 돌기부와 구멍은 감합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응하는 치수를 필요로 하고, 링부의 선단 부위는 필연적으로 돌기 및 구멍의 직경보다 굵어지므로, 링부를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바인더의 제조 비용을 저감함과 함께, 링부를 보다 가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의 바인더는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가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서 얇은 힌지에 의해 상기 백본부에 접속되고, 상기 백본부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분할링부의 양단에서 상기 백본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구성특징은,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바인더의 백본부의 전면(前面)이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백본부의 배면(背面)에 접하도록 상기 백본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구성특징은,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구성특징은,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의 외주와 내주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5구성특징은,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볼록부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바인더가 겹쳐진 상태로 결합하도록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에 의해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구성특징은,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감합하는 핀 구멍부와 핀 구멍부에 연속하고, 또한 볼록부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홈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홈이며,
한 바인더의 핀구멍부와 다른 바인더의 볼록부 사이의 감합은 상기 다른 바인더에 대하여 긴변 방향으로 상기 한 바인더를 슬라이딩시켜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구성특징은,
상기 핀 구멍부와 넓은 폭 홈부와의 접속 부위를, 상기 볼록부의 외경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핀 구멍부로부터 넓은 폭 홈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저항을 일으키게 하는 클릭 스톱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구성특징은,
상기 감합부는 분할 링부의 양단에 대칭적인 반경 방향의 단차를 갖는 반턱 이음 구조와, 상기 분할 링부의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훅부와, 상기 분할 링부 양단 중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훅부와 함께 감합하는 캐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구성특징은,
상기 훅부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단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치부는 상기 타단에서 상기 단차의 배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0구성특징은,
상기 캐치부는 홈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12구성특징은 제1,2구성특징에 따른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그룹형 바인더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3구성특징에 따른 바인더는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 중에서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접속된 것을 제외한 다른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와 분할링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4구성특징은,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중간 분할링부와, 상기 중간 분할링부의 양단에 접속되는 제1외측 분할링부와 제2외측분할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5구성특징은,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바인더의 백본부의 전면(前面)이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백본부의 배면(背面)에 접하도록 상기 백본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6구성특징은,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7구성특징은,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의 외주와 내주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8구성특징은,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중간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중간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중간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상기 중간 분할링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9구성특징은,
상기 중간 분할링부의 외주와 내주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0구성특징은,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볼록부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바인더가 겹쳐진 상태로 결합하도록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에 의해 감합된다.
본 발명의 제21구성특징은,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감합하는 핀 구멍부와 핀 구멍부에 연속하고, 또한 볼록부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홈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홈이며, 한 바인더의 핀구멍부와 다른 바인더의 볼록부 사이의 감합은 상기 다른 바인더에 대하여 긴변 방향으로 상기 한 바인더를 슬라이딩시켜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2구성특징은,
상기 핀 구멍부와 넓은 폭 홈부와의 접속 부위를, 상기 볼록부의 외경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핀 구멍부로부터 넓은 폭 홈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저항을 일으키게 하는 클릭 스톱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3구성특징은, 상기 감합부는 분할 링부의 양단에 대칭적인 반경 방향의 단차를 갖는 반턱 이음 구조와, 상기 분할 링부의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훅부와, 상기 분할 링부 양단 중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훅부와 함께 감합하는 캐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4구성특징은,
상기 훅부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단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치부는 상기 타단에서 상기 단차의 배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5구성특징은,
상기 캐치부는 홈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27구성특징은 제13,14구성특징에 따른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되어 이루어진 그룹형 바인더이다.
본 발명의 제28구성특징은 2개이상의 분할링부를 갖는 링과, 상기 분할링부 2개의 양단에 형성된 감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합부는 분할 링부의 양단에 대칭적인 반경 방향의 단차를 갖는 반턱 이음 구조와, 상기 분할 링부의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훅부와, 상기 분할 링부 양단 중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훅부와 함께 감합하는 캐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9구성특징은,
상기 훅부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단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치부는 상기 타단에서 상기 단차의 배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0구성특징은,
상기 캐치부는 홈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32구성특징은 제28,29구성특징에 따른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그룹형 바인더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3구성특징은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는 바인더로서,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제35구성특징은 상기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된 그룹형 바인더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6구성특징은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는 바인더로서,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외주와,
상기 외주와 대략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내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7구성특징은 상기 바인더에 의해 철해진 루스 리프 용지이다.
본 발명의 제38구성특징은 상기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된 그룹형 바인더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9구성특징은 백본부와 분할링부를 갖는 링을 포함하는 바인더에 의해 구멍을 갖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으로서,
백본부의 양단을 파지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링부의 폐쇄방향으로 분할링부를 회전하는 단계와;
루스리프 용지의 구멍에 상기 분할링부를 감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스리프 용지를 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40구성특징은 상기
바인딩장치의 바인드부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인드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를 뒤로부터 앞으로 가입하여, 상기 백본부가 바인딩장치의 스토퍼핀에 접촉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백본부가 앞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1구성특징은, 상기 파지단계에서, 바인딩장치의 핀치부가 백본부의 양단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인딩 장치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루스리프 용지에 바인더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서류의 바인딩 처리를 현저하게 신속히 수행할 수 있고, 절력화 및 사무 처리 능률의 향상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는 종래의 바인더와는 달리, 백본부 자체가 개폐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바인더의 보호 유지 및 닫는 동작을 행하는 바인딩 장치에 있어서 바인더를 확실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고, 바인더 처리 시스템의 실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바인더를 틈새 없이 겹칠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기계에의 장전 등에 있어서 취급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포장상자나 기계내에 수납할 때의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겹친 바인더의 상호의 백본 부분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바인드 기계의 이송 기구에 의해 백본 부분에 눌림 하중이 걸려도 바인더가 크게 휘지 않고, 바인드 처리의 기계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에 핀과 홈 등에 의한 감합수단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겹쳐진 바인더가 분리되지 않고, 운반이나 기계에의 장전 등에 있어서 취급성이 향상한다. 또한, 겹쳐진 바인더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감합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써, 바인드 처리를 기계화 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순한 기구로 바인더 분리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에 기여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는 분할 링부의 선단 결합 수단으로서 반턱이음 구조와, 훅부와 캐치부에 의한 낫 이음(鎌繼)(각재와 각재를 접합하여 하나의 긴 각재로 하는 방법) 구조를 조합하고 있으므로, 직선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고, 회전 빼기 금형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바인더보다 성형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선단 팽창 확장형 핀과 이것에 대응하는 구멍에 의해 링부 결합 수단을 구성한 종래의 바인더보다 링부를 가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종이의 바인딩 매수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분할 링부의 선단 단차부의 표면 측에 훅부를 마련하고, 다른쪽의 분할 링부의 단차부의 이면측에 캐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반경 방향의 외력에 의해 분할 링부의 감합이 벗겨지는 우려가 해소된다. 또한, 상기 캐치부에 메탈 슬리팅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캐치부와 훅부의 착탈을 반복하여도 감합강도가 저하하지 않고, 바인더의 반복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1(a) 내지 (d)는 본 발명의 바인더를 나타내고, 도 1(a)은 개방 상태의 측면도, 도 1(b)는 개방 상태의 정면도, 도 1(c)는 폐쇄 상태의 측면도, 도 1(d)는 폐쇄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2(a) 및 (b)는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바인더를 나타내고, 도 2(a)는 개방 상태의 측면도, 도 2(b)는 개방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a) 및 (b)는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바인더를 나타내고, 도 3(a)는 개방 상태의 측면도, 도 3(b)는 개방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바인딩 장치의 배면측 사시도이며,
도 5는 바인딩 장치의 전면측 사시도이며,
도 6은 스탠바이 상태의 바인딩 장치의 배면측 사시도이며,
도 7은 스탠바이 상태의 바인딩 장치의 전면측 사시도이며,
도 8은 스탠바이 상태의 바인딩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9는 바인드 완료 상태의 바인딩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인더의 배면도이며,
도 11(a)는 도 1O에 도시한 바인더의 배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에 도시한 바인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바인더의 정면도이며,
도 13(a)는 도 10에 도시한 바인더의 확대 정면도, 도 13(b)는 도 10에 도시한 바인더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0의 바인더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a) 및 (b)는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바인더를 나타내고, 도 15(a)는 바인더의 측면도, 도 15(b)는 적층한 바인더의 측면도이며,
도 16(a)에서 (c)는 도 10의 바인더 선단의 훅부를 나타내고, 도 16(a)는 평면도, 도 16(b)는 측면도, 도 16(c)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17(a)에서 (c)는 도 1O의 바인더 선단의 캐치부를 나타내고, 도 17(a)는 평면도, 도 17(b)는 측면도, 도 17(c)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18(a)는 도 1O의 바인더 링 형성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18(b)는 감합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9(a)에서 (c)는 바인더 백본부의 홈을 나타내고, 도 19(a)는 중앙 홈의 정면도, 도 19(b)는 그 외의 홈의 정면도이며, 도 19(c)는 그 외의 홈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0(a) 및 (b)는 종래의 바인더를 나타내고, 도 20(a)는 측면도, 도 2 O(b)는 정면도이다. 도 21(a) 및 (b)는 종래의 바인더를 나타내고, 도 21(a)는 측면도, 도 22(b)는 적층한 바인더의 측면도이며,
도 22(a) 및 (b)는 종래의 바인더를 나타내고, 도 22(a)는 측면도, 도 2 2(b)는 분할 링부를 감합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며,
또한, 도면중의 부호, 11은 바인더, 12는 백본부, 13, 14는 1/2 링부, 15는돌기, 16은 구멍, 21은 바인더, 22, 23, 24는 1/3 링부, 25는 백본부, 31은 바인더, 32는 180° 링부, 33, 34는 90° 링부, 35는 백본부, 111은 바인더, 112는 백본부, 113은 중앙 1/3 링부, 114는 상측 1/3 링부, 115는 하측 1/3 링부, 117은 훅부, 118은 캐치부, 119는 단차부, 120은 단차부, 121은 내저면, 122는 메탈 슬리팅, 124는 핀, 125, 126은 홈, 125a는 핀 구멍부, 125b는 폭이 넓은 홈부, 126a는 핀 구멍부, 126b는 폭이 넓은 홈부, 131은 바인더, 132는 백본부, 133은 중앙 1/3 링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도 1(a)에서 (d)는 수지제 바인더(11)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2는 얇은 판자 형상의 백본부이며, 백본부의 뒤측 긴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1/2 링부(13,14)가 일측의 상하 모서리부에 배열되어 있고, 백본부(12)와 상하 양측의 1/2 링부(13,14)는 얇은 힌지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일체 성형품이다. 종래의 바인더와의 차이점은 백본부(12)가 2개로 나누어지는 힌지가 아닌 것이며, 이것은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기계에 의해 바인더를 장착함에 있어서, 백본부 자체가 개폐하는 힌지 구조이면, 바인더의 세트에서 바인딩 종료시까지 백본부를 잡아 보호 유지하고 있는 것이 곤란하다는 이유에 의한 것이다. 상측 열의 1/2 링부(13)의 선단과 하측 열의 1/2 링부(14)의 선단에는 감합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도 2(a) 및 (b)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수지제 바인더(21)를 나타내고, 링을 3분할 한 3개의 120° 1/3 링부(22, 23, 24)를 연결한 형상이며, 중간의 1/3 링부(23)와 백본부(25)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3(a) 및 (b)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인더(31)를 나타내고, 링을 180° 링부(32)와 180°링부의 위와 아래로 연결된 90°링부(33, 34)로 3분할 한 형상이며, 중간의 180°링부(32)와 백본부(35)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1(a)에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11, 21, 31)는 모두 백본부가 좌우 양단의 링부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백본부(12, 25, 35)의 양단을 잡아 바인더를 보호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도 13(b)는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바인더(111)를 나타내고, 정형지(定型紙)의 치수에 맞춘 길이의 백본부(112)에 일정 간격으로 링부를 배열한 수지 사출 성형품이며, 도 11(a), (b) 및 도 13(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는 백본부에 결합되어 있는 중앙 1/3 링부(113)와, 그 위와 아래로 연결되어 있는 1/3 링부(114, 115)로 3분할 되어 있고, 상하의 1/3 링부(114, 115)를 절곡하여 상호의 선단을 감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링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1(a), (b) 및 도 13(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1/3 링부(113)는 외주면과 내주면의 곡율이 동일하게 되어 있고, 또한, 초기 상태에서는 3개의 1/3 링부(113, 114, 115) 각각의 양단이 거의 일직선으로 가지런하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바인더(111)를 겹쳤을 때에 전후의 중앙 1/3 링부(113)가 틈새 없이 면접촉 하고, 상하의 1/3 링부(114, 115)는 중앙 1/3 링부(113)보다 비교적 얇은 것에서, 바인더 전체적으로도 거의 틈새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포장시나 바인드 처리기 등에 장전 할 때에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속 바인드 처리를 실행하는 바인드 처리기를 구성하는 경우는, 복수의 바인더를 차례차례 전방으로 보내는 기구가 필요하지만, 상기의 바인더(111)는 전후의 중앙 1/3 링부(113)가 밀착하고 있어 틈새가 없는 것에서, 이송 기구의 밀림 하중에 의해 바인더가 휘어 이송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없고, 바인드 처리의 기계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중앙 1/3 링부(113)의 외주면과 내주면의 곡율을 동일하게 하여 전후의 바인더(111)를 면접촉 시키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도 15(a) 및 (b)의 바인더(131)(다른 실시 형태)와 같이, 백본부(132)와 중앙 1/3 링부(133)의 상하 양단의 3점에서 전후의 바인더(131)가 접촉하도록 하여도 상기의 예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1/3 링부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의 홈(116)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1/3 링부(114)의 선단에 훅부(117)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 1/3 링부(115)의 선단에는 훅부(117)가 감합하는 캐치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a)에서 (c)는 상측 1/3 링부(114) 선단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외주면선단부를 스텝형으로 노치한 형상의 반턱이음 구조로 되어 있고, 일단 하강한 단차부(119)상에 형성한 쐐기형 평면 형상의 훅부(117)가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7(a)에서 (c)는 하측 1/3 링부(115)의 선단의 상세를 나타내고, 상측 1/3 링부(114)에 대응하는 반턱이음 구조이며, 내주면 선단부를 노치하여 단차부(120)를 형성하고, 외주 측에 훅부(117)에 대응하는 쐐기형의 캐치부(118)가 형성되어 있고, 캐치부(118)의 내저면(121)에는 훅부 삽입시에 캐치부(118)를 탄성 변형시켜 훅부(117)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둘레 방향의 메탈 슬리팅(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a)(b)는 상측 1/3 링부(114)의 훅부(117)와 하측 1/3 링부(115)의 캐치부(118)를 감합시켜 링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훅부(117)와 캐치부(118)가 감합하는 것에 의해 상측 1/3 링부(114)와 하측 1/3 링부(115)는 둘레 방향 및 좌우로 어긋나지 않고, 또한, 상측 1/3 링부(114)와 하측 1/3 링부(115)의 선단부의 반턱이음, 서로 반경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하측 1/3 링부(115)의 캐치부(118)의 내저면(121)에 훅부(117)가 실려 있으므로, 상측 1/3 링부(114)에 링 중심 방향으로의 외압이 걸렸을 경우나 하측 1/3 링부(115)에 링 외측 방향으로의 외압이 걸렸을 경우에 상측 1/3 링부(114)와 하측 1/3 링부(115)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상측 1/3 링부(114)의 단차부(119)에 하측 1/3 링부(115)의 단차부(120)가 실려 있으므로, 상측 1/3 링부(114)에 링 외측 방향으로의 외압이 걸렸을 경우나 하측 1/3 링부(115)에 링 중심 방향으로의 외압이 걸렸을 경우에 상측 1/3 링부(114)와 하측 1/3 링부(115)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바인더(111)를 서류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손으로 상측 1/3 링부(114)와 하측 1/3 링부(115)를 둘레 방향으로 당기면 캐치부(118)가 좌우로 열려 캐치부(118)와 훅부(117)의 감합이 해제되고, 떼어낸 바인더(111)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1(a)에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본부(112)의 내면 측에는 링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핀(12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5개), 백본부(112)의 배면 측에는 핀(124)과 감합쌍을 이루는 홈(125, 12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복수의 바인더(111)를 겹쳤을 때에 핀(124)이 전열(前列) 바인더(111)의 홈(125, 126)에 감합하여 복수의 바인더(111)가 연결되고, 복수의 바인더(111)가 뿔뿔이 흩어지지 않기 때문에, 패키지 개봉시나 바인드 처리기에의 장전시에 있어서의 취급이 용이하다.
도 19(a)에서 (c)는 홈(125, 126)의 상세를 나타내고, 도 19(a)는 도 10에 있어서의 중앙 홈(125)이며, 도 19(b)는 중앙 이외의 좌우 합계 4개소의 홈(126)을 나타내고 있다. 홈(125, 126)은 좌우로 긴 형상이며, 복수의 바인더(111)의 양단을 가지런하게 하여 겹쳤을 때에, 전열의 바인더(111)의 홈(125, 126)의 좌단부에 후열(後列)의 바인더(111)의 핀(124)이 대향한다. 홈(125, 126)의 좌단은 핀(124)의 직경과 동일 폭 또는 약간 좁은 폭의 핀 구멍부(125a, 126a)이며, 핀 구멍부(125a, 126a) 이 외의 폭은 핀(124)의 직경보다 넓은 폭으로 되어 있고, 복수의 바인더(111)의 양단을 가지런하게 하여 전후로부터 누르면, 핀(124)이 홈(125, 126)의 좌단 핀 구멍부(125a, 126a)에 감합하여 전후의 바인더(111)가 결합된다. 또한, 서로 감합하고 있는 2개의 바인더(111)의 전측의 것을 도 10에 있어서 왼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홈(125, 126)이 핀(124)에 대해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홈(125, 126)의 핀 구멍부(125a, 126a)와 핀(124)의 감합이 해제되고, 바인더(111)를 분리할 수 있다.
바인드 처리를 기계화하는 경우는 바인드 처리기에 바인더 이송 기구나 바인더 분리 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지만, 상기의 바인더(111)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제일 전열(前列)의 바인더를 옆으로 누르는 기구를 마련하면, 연결된 한 무리의 바인더에서 제일 전열의 바인더를 분리할 수 있고, 바인더 분리 기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9(b)에 도시한 홈(126)은 핀 구멍부(126a)와 우측의 넓은 폭 홈부(126b)가 각각 직선 홈이지만, 도 19(a)에 도시한 중앙 홈(125)은 핀 구멍부(125a)와 넓은 폭 홈부(125b)와의 접속 부위의 폭이 좁아지고 있어 핀 구멍부(125a)내에 핀(124)을 보호 유지하는 클릭 스톱 기능이 있고, 연결한 복수의 바인더(111)가 진동 등에 의해 슬라이드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중앙 홈(125) 이 외의 홈(126)도 도 19(a)에 도시한 클릭 스톱 형상으로 하여도 좋지만, 상기 예와 같이 중앙 홈(125) 이 외의 홈(126)은 핀(124)이 용이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는 형상이면 슬라이드에 힘이 필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바인더(111)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9(C)에 도시한 홈(127)은 도 19(b)에 도시한 홈(126)의 변형예이며, 핀 구멍부(127a)를 가로로 긴 평행 직선 홈으로 하고, 가로로 긴 핀 구멍부(127a)가 우측의 넓은 폭 홈부(127)에 연속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핀 구멍부(127a)를 가로로 길게 하는 것으로써, 핀(124)과 홈(127)에 약간의 피치 차이가 생기는 경우라도, 중앙 홈(125)의 핀 구멍부(125a)에 중앙 핀(124)을 감합시켰을 때에 다른 핀(24)이 확실하게 핀 구멍부(27a)에 감합하므로, 성형 공차(公差)에 의해 생기는 상대적 위치 편차에 의한 감합 불량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바인더를 사용하는 바인딩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바인딩 장치(51)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52는 용지 테이블이다. 용지 테이블(52)의 후방(도 4에 있어서 오른쪽)에, 전진 이동하여 수지제 바인더를 닫는 바인드부(53)를 마련하고, 바인드부(53)의 윗쪽에 용지 및 바인더를 위치 결정 하는 스토퍼부(54)를 배치하고, 스토퍼부(54)의 약간 전방 또한, 용지 테이블(52)의 좌우 양측에 바인더 보호 유지부(55)를 배치하고 있다.
용지 테이블(52)의 뒤모서리부는 빗의 치형(齒形)으로 다수의 홈(5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홈(56)의 간격은 루스리프 용지의 펀치구멍의 간격과 일치하고 있다. 스토퍼부(54)는 랙 피니언 기구(57)에 의해 승강되는 플레이트(58)의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봉형의 스토퍼 핀(59)을 설치하고 있다. 스토퍼 핀(59)은 플레이트(58)에서 하방으로 늘어 떨어져 있고, 스토퍼부(54)를 하강했을 때에 스토퍼 핀(59)의 하단은 용지 테이블(52)보다 하방에 있고, 스토퍼부(54)를 상승했을 때에 스토퍼 핀(59)은 용지 테이블(52)의 윗쪽으로 퇴피한다.
바인더 보호 유지부(55)는 각각 상하 2개의 풀리(60, 61)에 걸친 벨트(62)에 계지되어 있고, 좌우의 상측 풀리(60)를 동기 샤프트(63)에서 연결하고,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측 풀리(61)를 구동하여 좌우의 바인더 보호 유지부(55)를 일체로 승강시킨다. 바인더 보호 유지부(55)는 각각의 대향면에 개폐식의 핀치부(64)가 설치되어 있고,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핀치부(64)를 개폐하여 바인더 백본부의 양단을 잡는다.
바인드부(53)는 수평이며, 또한 상하에 평행 배치한 한 쌍의 플레이트(65)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65) 선단부의 내측 대향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V형 단면의 개구(開口)를 형성하고 있다. 바인드부(53)는 링크(66)를 개재하여 크랭크 플레이트(67)에 연결되어 있고,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크랭크 플레이트(67)에 연동하여 전후로 왕복 운동한다. 또한, 바인드부(53)를 구성하는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65)의 전면에는 스토퍼부(54)의 스토퍼 핀(59)에 대응하는 세로로 긴 홈(68)을 형성하고 있고, 바인드부(53)는 스토퍼 핀(59)에 간섭받지 않고 용지 테이블(52)의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다.
계속하여, 바인딩 장치(5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을 투입하면, 좌우의 바인더 보호 유지부(55)는 용지 테이블(52) 하부의 바인더 스토커(도시하지 않음)로 하강하고, 핀치부(64)를 열어 바인더 백본부의 양단을 핀치부(64)의 사이에 넣고, 핀치부(64)를 닫아 바인더를 보호 유지한 후에 상승하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11)가 용지 테이블(52)의 뒤모서리에 대향한다. 이것과 동시에, 스토퍼부(54)는 하강하여 스토퍼 핀(59)이 용지 테이블(52)의 홈(56)에 삽입되고, 용지 세트를 기다리는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스탠바이 상태로 루스리프 용지(P)의 다발을 용지 테이블(52)에 적재하고, 루스리프 용지(P)의 뒤를 스토퍼 핀(59)의 전면에 대어 위치를 결정하고, 기동 스위치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바인드부(53)가 전진하여 바인더(11)를 배후에서 전방으로 누르지만, 이 때 바인더(11)의 백본부(12)가 스토퍼 핀(59)에 해당되므로, 백본부(12)가 전방으로 밀려 나오지 않고, 상하의 1/2 링부(13,14)가 바인드부(53)의 V형 단면 개구의 경사면에 닿아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1/2 링부(13, 14)는 루스리프 용지(P)의 구멍내에서 감합한다.
바인드 완료 후에 바인드부(53)는 후퇴하고, 스토퍼부(54)가 상승하여 스토퍼 핀(59)이 바인더(11)의 백본부(12)의 전면에서 퇴피하고, 바인딩 된 루스리프 용지(P)를 용지 테이블(52)로부터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바인더 보호 유지부(55)는 바인더 스토커(도시하지 않음)로 하강하고, 다음의 바인더(11)을 잡아 스탠바이 상태로 돌아가고, 1사이클의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기동 스위치를 수동 조작하는 것으로써 1사이클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의 형태에 대신하여, 용지 테이블에 종이 검출 센서를 마련하여, 용지 테이블에 종이를 세트 하는 것으로써 자동적으로 기동하여, 1사이클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용지 이송 기구를 마련하여, 용지 테이블로의 용지 끌어 들임, 바인딩, 용지 배출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하거나, 복사기와 다공페이퍼 펀치 등을 조합한 복합기에 탑재하여 복사와 천공과 바인딩의 처리를 일괄적으로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개변(改變)이 가능하고, 본 발명이 그러한 개변된 것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출원은 2002년 4월 30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2-129236), 및 2003년 2월 6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3-029302)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또한, 효과부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인딩 장치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루스리프 용지에 바인더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서류의 바인딩 처리를 현저하게 신속히 수행할 수 있고, 절력화 및 사무 처리 능률의 향상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는 종래의 바인더와는 달리, 백본부 자체가 개폐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바인더의 보호 유지 및 닫는 동작을 행하는 바인딩 장치에 있어서 바인더를 확실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고, 바인더 처리 시스템의 실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바인더를 틈새 없이 겹칠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기계에의 장전 등에 있어서 취급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포장상자나 기계내에 수납할 때의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겹친 바인더의 상호의 백본 부분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바인드 기계의 이송 기구에 의해 백본 부분에 눌림 하중이 걸려도 바인더가 크게 휘지 않고, 바인드 처리의 기계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에 핀과 홈 등에 의한 감합수단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겹쳐진 바인더가 분리되지 않고, 운반이나 기계에의 장전 등에 있어서 취급성이 향상한다. 또한, 겹쳐진 바인더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감합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써, 바인드 처리를 기계화 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순한 기구로 바인더 분리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에 기여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는 분할 링부의 선단 결합 수단으로서 반턱이음 구조와, 훅부와 캐치부에 의한 낫 이음(鎌繼)(각재와 각재를 접합하여 하나의 긴 각재로 하는 방법) 구조를 조합하고 있으므로, 직선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고, 회전 빼기 금형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바인더보다 성형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선단 팽창 확장형 핀과 이것에 대응하는 구멍에 의해 링부 결합 수단을 구성한 종래의 바인더보다 링부를 가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종이의 바인딩 매수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분할 링부의 선단 단차부의 표면 측에 훅부를 마련하고, 다른쪽의 분할 링부의 단차부의 이면측에 캐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반경 방향의 외력에 의해 분할 링부의 감합이 벗겨지는 우려가 해소된다. 또한, 상기 캐치부에 메탈 슬리팅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캐치부와 훅부의 착탈을 반복하여도 감합강도가 저하하지 않고, 바인더의 반복 사용이 가능해진다

Claims (41)

  1.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가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서 얇은 힌지에 의해 상기 백본부에 접속되고,
    상기 백본부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분할링부의 양단에서 상기 백본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가 형성되고,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바인더의 백본부의 전면(前面)이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백본부의 배면(背面)에 접하도록 상기 백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 삭제
  3.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가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서 얇은 힌지에 의해 상기 백본부에 접속되고,
    상기 백본부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분할링부의 양단에서 상기 백본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의 외주와 내주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5.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가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서 얇은 힌지에 의해 상기 백본부에 접속되고,
    상기 백본부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분할링부의 양단에서 상기 백본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인더는,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볼록부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바인더가 겹쳐진 상태로 결합하도록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에 의해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감합하는 핀 구멍부와 핀 구멍부에 연속하고, 또한 볼록부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홈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홈이며,
    한 바인더의 핀구멍부와 다른 바인더의 볼록부 사이의 감합은 상기 다른 바인더에 대하여 긴변 방향으로 상기 한 바인더를 슬라이딩시켜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 구멍부와 넓은 폭 홈부와의 접속 부위를, 상기 볼록부의 외경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핀 구멍부로부터 넓은 폭 홈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저항을 일으키게 하는 클릭 스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분할 링부의 양단에 대칭적인 반경 방향의 단차를 갖는 반턱 이음 구조와,
    상기 분할 링부의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훅부와,
    상기 분할 링부 양단 중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훅부와 함께 감합하는 캐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단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치부는 상기 타단에서 상기 단차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11. 삭제
  12. 제1항에 따른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그룹형 바인더.
  13.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 중에서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접속된 것을 제외한 다른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와 분할링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를 갖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중간 분할링부와,
    상기 중간 분할링부의 양단에 접속되는 제1외측 분할링부와 제2외측분할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14. 삭제
  15.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 중에서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접속된 것을 제외한 다른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와 분할링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를 갖고,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바인더의 백본부의 전면(前面)이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백본부의 배면(背面)에 접하도록 상기 백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16.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 중에서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접속된 것을 제외한 다른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와 분할링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를 갖고,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의 외주와 내주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18. 제13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중간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중간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중간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상기 중간 분할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분할링부의 외주와 내주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0. 백본부와,
    상기 백본부의 긴변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각각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링부 중에서 상기 백본부에 일체로 접속된 것을 제외한 다른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와 분할링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2개의 분할링부는 상기 백본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감합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감합부를 갖고,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백본부의 전면과 배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볼록부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바인더가 겹쳐진 상태로 결합하도록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에 의해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감합하는 핀 구멍부와 핀 구멍부에 연속하고, 또한 볼록부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홈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홈이며,
    한 바인더의 핀구멍부와 다른 바인더의 볼록부 사이의 감합은 상기 다른 바인더에 대하여 긴변 방향으로 상기 한 바인더를 슬라이딩시켜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핀 구멍부와 넓은 폭 홈부와의 접속 부위를, 상기 볼록부의 외경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핀 구멍부로부터 넓은 폭 홈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저항을 일으키게 하는 클릭 스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분할 링부의 양단에 대칭적인 반경 방향의 단차를 갖는 반턱 이음 구조와,
    상기 분할 링부의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훅부와,
    상기 분할 링부 양단 중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훅부와 함께 감합하는 캐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단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치부는 상기 타단에서 상기 단차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6. 삭제
  27. 제13항에 따른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형 바인더.
  28. 2개이상의 분할링부를 갖는 링과,
    상기 분할링부 2개의 양단에 형성된 감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합부는
    분할 링부의 양단에 대칭적인 반경 방향의 단차를 갖는 반턱 이음 구조와,
    상기 분할 링부의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훅부와,
    상기 분할 링부 양단 중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훅부와 함께 감합하는 캐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훅부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단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치부는 상기 타단에서 상기 단차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9. 삭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31. 삭제
  32. 제28항에 따른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형 바인더.
  33. 2개 이상의 분할링부를 포함하는 바인더로서,
    상기 분할링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2개 이상의 바인더를 겹쳤을 때, 겹쳐진 바인더 중 하나인 제1 바인더의 분할링부의 외주와, 겹쳐진 바인더 중 다른 하나인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가 상기 제2바인더의 분할링부의 내주의 양단 이외의 최소한 한 점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34. 삭제
  35. 제33항에 따른 바인더가 겹쳐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형 바인더.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백본부와 분할링부를 갖는 링을 포함하는 바인더에 의해 구멍을 갖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으로서,
    백본부의 양단을 파지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링부의 폐쇄방향으로 분할링부를 회전하는 단계와;
    루스리프 용지의 구멍에 상기 분할링부를 감합하는 단계와,
    바인딩장치의 바인드부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인드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를 뒤로부터 앞으로 가입하여, 상기 백본부가 바인딩장치의 스토퍼핀에 접촉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백본부가 앞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리프 용지를 철하는 방법.
  40. 삭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단계에서, 바인딩장치의 핀치부가 백본부의 양단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
KR1020080003777A 2002-04-30 2008-01-14 바인더, 그룹형 바인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 KR100914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9236 2002-04-30
JP2002129236A JP4300748B2 (ja) 2002-04-30 2002-04-30 バインダー
JP2003029302A JP4300813B2 (ja) 2003-02-06 2003-02-06 バインダー
JPJP-P-2003-00029302 2003-02-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273A Division KR100853324B1 (ko) 2002-04-30 2003-04-25 바인더 및 바인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008A KR20080013008A (ko) 2008-02-12
KR100914789B1 true KR100914789B1 (ko) 2009-09-02

Family

ID=294053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273A KR100853324B1 (ko) 2002-04-30 2003-04-25 바인더 및 바인딩 장치
KR1020080003777A KR100914789B1 (ko) 2002-04-30 2008-01-14 바인더, 그룹형 바인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273A KR100853324B1 (ko) 2002-04-30 2003-04-25 바인더 및 바인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5925B2 (ko)
EP (1) EP1512549B1 (ko)
KR (2) KR100853324B1 (ko)
CN (2) CN102514417B (ko)
AU (1) AU2003235857A1 (ko)
WO (1) WO2003093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8041A1 (en) * 2001-11-20 2004-01-29 Samuel Amdahl Plurality of binding elements for automated processes
US7661918B2 (en) * 2003-05-30 2010-02-16 General Binding Corporation Binding machine and method
US7077595B2 (en) * 2003-07-25 2006-07-18 General Binding Corporation Spine binder
JP4103725B2 (ja) 2003-08-12 2008-06-18 マックス株式会社 バインド処理方法ならびにバインド処理装置ならびにバインダカートリッジ
CN100486819C (zh) * 2004-01-29 2009-05-13 美克司株式会社 装订处理装置
JP4635766B2 (ja) * 2005-07-26 2011-02-23 マックス株式会社 バインダー
JP4635767B2 (ja) * 2005-07-26 2011-02-23 マックス株式会社 バインダー
JP5145795B2 (ja) * 2006-07-24 2013-02-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耐摩耗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パーライト系レールの製造方法
KR200440215Y1 (ko) * 2007-11-12 2008-05-30 박정우 링바인더
GB2454910A (en) * 2007-11-22 2009-05-27 Acco Uk Ltd A document binding machine
DE102011018509A1 (de) * 2011-04-23 2012-10-25 Kolbu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Buchblocks zu einer Buchbindemaschine
CN103057297B (zh) * 2012-11-28 2014-12-17 青岛惠运办公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推环装置及线圈压合机
JP6287532B2 (ja) * 2014-04-21 2018-03-07 マックス株式会社 綴じ部品
CN108146097A (zh) * 2018-02-01 2018-06-12 兰州理工大学 活页装订装置及装订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589A (ja) * 1993-04-28 1994-11-08 Canon Aptecs Kk シート材自動綴じ合わせ装置
US5618122A (en) * 1993-02-04 1997-04-08 C-Lock, Inc. Molded plastic one-piece loose-leaf binder ring structure
JP2002502728A (ja) * 1998-02-05 2002-01-29 ブレインウェイブ リミテッド リングバインダー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7997A (en) * 1939-03-07 1943-12-28 Hiromi Tetsutaro Method of making piston rings
US3613878A (en) * 1969-08-29 1971-10-19 Hartco Co U-clip assembly
JPS5484162A (en) 1977-12-15 1979-07-04 Idec Izumi Corp Electric device mounting apparatus
DE8014522U1 (de) 1980-05-30 1980-09-04 Renz, Peter, 7072 Heubach Vorrichtung zum Binden von gelochten Bögen
DE3113835C2 (de) 1981-04-06 1983-01-05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Einrichtung zum Auslassen von Fellen
JPS57199695A (en) 1981-06-02 1982-12-07 Tadao Uno Method of binding leaflet with binding hole to cover with binder
JPS61138564A (ja) 1984-12-10 1986-06-26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外装材の硬化方法
US4607970A (en) * 1985-02-05 1986-08-26 Ted Scudder Binder for perforated sheets
JPH0210074A (ja) 1988-06-28 1990-01-1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等の製氷装置
US4900211A (en) 1989-05-03 1990-02-13 General Bind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binding materials using a curled-finger ring-type binder
JP2844085B2 (ja) 1989-07-20 1999-01-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回路基板及び半導体素子の実装方法
JPH0627872Y2 (ja) 1989-10-03 1994-07-27 株式会社ショーワ 動力伝達装置におけるバックラッシュ防止機構
JP3055955B2 (ja) 1991-02-18 2000-06-26 三菱樹脂株式会社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ファンの製造法
JPH05162478A (ja) 1991-08-30 1993-06-29 General Binding Corp 挿入用具を使用する自動バインディング装置
JPH07208424A (ja) 1994-01-27 1995-08-11 Nifco Inc 板材の連結具
JP3163489B2 (ja) 1994-07-22 2001-05-08 カール事務器株式会社 孔明けパンチ一体形リングバインド用治具
JPH08135632A (ja) 1994-09-12 1996-05-31 Nifco Inc 部材の取付具
JPH09240184A (ja) * 1996-03-06 1997-09-16 Kiyoueishiya:Kk 書類綴具
JP3042732U (ja) * 1997-04-21 1997-10-31 靖夫 青木 綴 具
GB9712718D0 (en) * 1997-06-18 1997-08-20 Heights Design Production Ltd Binding apparatus
AU737904B2 (en) * 1997-12-30 2001-09-06 Attalus High Tech Industry Sa Binding apparatus for paper piles
JP2000289376A (ja) 1999-03-31 2000-10-17 Ibico Trading Gmbh 背部固定用バインダ
JP4378581B2 (ja) 1999-11-02 2009-12-09 カール事務器株式会社 紙綴じ装置
JP2002192872A (ja) * 2000-10-19 2002-07-10 Tomoda Giken Kogyo Kk ファイリング用具
JP2002129236A (ja) 2000-10-24 2002-05-09 Nippon Steel Corp 一方向性電磁鋼板の安定製造方法
JP3383650B2 (ja) * 2001-03-23 2003-03-04 克己 金田 ルースリーフ綴具
JP2003029302A (ja) 2001-07-18 2003-01-29 Sony Corp 調光装置及び撮像装置
US20040018041A1 (en) * 2001-11-20 2004-01-29 Samuel Amdahl Plurality of binding elements for automated processes
US20030031502A1 (en) * 2002-08-30 2003-02-13 Rothschild Wayne H. Binding element stacking structure
US7077595B2 (en) * 2003-07-25 2006-07-18 General Binding Corporation Spine binder
USD508947S1 (en) * 2004-02-23 2005-08-30 Max Co., Ltd. Set of ring bind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8122A (en) * 1993-02-04 1997-04-08 C-Lock, Inc. Molded plastic one-piece loose-leaf binder ring structure
JPH06312589A (ja) * 1993-04-28 1994-11-08 Canon Aptecs Kk シート材自動綴じ合わせ装置
JP2002502728A (ja) * 1998-02-05 2002-01-29 ブレインウェイブ リミテッド リングバインダー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2549B1 (en) 2011-06-29
KR100853324B1 (ko) 2008-08-21
EP1512549A1 (en) 2005-03-09
CN102514417A (zh) 2012-06-27
KR20040107510A (ko) 2004-12-20
US7665925B2 (en) 2010-02-23
CN100558565C (zh) 2009-11-11
CN1649749A (zh) 2005-08-03
WO2003093025A1 (fr) 2003-11-13
KR20080013008A (ko) 2008-02-12
EP1512549A4 (en) 2005-06-29
US20050175434A1 (en) 2005-08-11
AU2003235857A1 (en) 2003-11-17
CN102514417B (zh)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89B1 (ko) 바인더, 그룹형 바인더, 루스리프용지를 철하는 방법
EP1908601B1 (en) Binder with ring parts
US7901172B2 (en) Bind processing method, bind processing device and binder cartridge
EP1908602A1 (en) Binder
US7726928B2 (en) Binding processing apparatus
JP4635768B2 (ja) バインダー
JP4956508B2 (ja) 紙製綴じ具を用いた冊子の製造装置
JP4296793B2 (ja) バインダー
TWI233398B (en) Binder and binding device
JP4300748B2 (ja) バインダー
JP2004237578A (ja) バインダー
JP2004237579A (ja) バインダー
US20040240967A1 (en) Binding elements for binding a wide range of thicknesses of stacks of sheets
TW521046B (en) Index card
JP4614587B2 (ja) ファイリング装置
KR200335738Y1 (ko) 서류 제본용 결속구
JPH07329474A (ja) 綴じ具用書類押さえ
JPH11263312A (ja) 帯掛機
JPH06173917A (ja) ステープル針及びステープ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