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920B1 - 반도체 장치용 소켓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920B1
KR100906920B1 KR1020070090311A KR20070090311A KR100906920B1 KR 100906920 B1 KR100906920 B1 KR 100906920B1 KR 1020070090311 A KR1020070090311 A KR 1020070090311A KR 20070090311 A KR20070090311 A KR 20070090311A KR 100906920 B1 KR100906920 B1 KR 10090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evice
contact
wiring board
termina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42A (ko
Inventor
노부오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2Holders for supporting the complete device in operation, i.e. detachable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워 지지하는 형의 가동측 접촉편부(20m) 및 고정측 접촉편부(20f)를 갖는 콘택트 단자(20ai)의 고정측 단자(20C)가,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전극군(18E)에 소정의 압력으로 맞닿는 접점부(20t)를 가지며, 소켓 본체(10)가, 태핑 나사(TBs)로 체결되는 고정용 폴부(10NA 내지 10ND)를 통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18)에 고정된다.
반도체 장치용 소켓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용 소켓{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시험에 제공되는 반도체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 등에 실장 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실장 되기 이전의 단계에서 그 잠재적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초기 동작 불량 집적회로의 제거에 유효하다고 하는 번인(burn in) 시험이 반도체 장치용 소켓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시험에 제공되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은, 일반적으로, IC 소켓이라고 칭하여지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4-355983호 공보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테스트 보드)상에 배치된다. 프린트 배선 기판은, 소정의 시험 전압이 공급됨과 함께 피검사물로서의 반도체 장치로부터의 단락 등을 나타내는 이상(異常)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입출력부를 갖는 것으로 된다. 그때, IC 소켓의 소켓 본체부는,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 기판에 마련되는 복수의 부착구멍을 통하여 부착 비스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디. 또한, IC 소켓은, 검사 라인에서의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1장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복수 개, 고밀도로 배치되 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IC 소켓은, 반도체 장치의 단자와 프린트 배선 기판에서의 입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콘택트 단자군을 소켓 본체 내부에 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콘택트 단자군을 구성하는 각 콘택트 단자의 고정 단자부는, 일반적으로 프린트 배선 기판의 각 도금 스루홀에 대해 솔더링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IC 소켓이 고밀도로 1장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배치되는 경우, 복수 개중의 하나의 IC 소켓에 어떠한 이상이 생긴 때, 그 이상이 생긴 IC 소켓의 보수 점검 또는 교환 작업을 위해 1장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대해 소정 기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검사 라인의 검사를 비교적 장기간 중단시키는 일 없이, 계속해서 검사를 행하기 위해 마찬가지의 IC 소켓이 배치된 예비의 테스트 보드를 준비하여 두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예비의 테스트 보드를 준비하여 두는 것은, 검사 라인에서의 설비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좋은 방법이 아니다. 또한, 콘택트 단자의 고정 단자부의 솔더링 작업은, 교환 작업에 비교적 긴 시간을 소비하고, 게다가, 테스트 보드의 파손에 의한 수율의 악화에 연결되기 때문에 솔더링 작업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이상이 생긴 IC 소켓만을 용이한 작업으로, 또한, 신속하게 교환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상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시험에 제공되는 반도체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으로, 이상이 생긴 IC 소켓만을 용이한 작업으로, 또한, 단시간에 교환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은, 전극군이 형성된 전극면을 갖는 배선 기판상에 배치되고, 반도체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반도체 장치 수용부를 갖는 소켓 본체와, 반도체 장치 수용부에 배치되고,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끼워 지지하는 탄성이 있는 한 쌍의 접촉편부와, 접촉편부에 연결되어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맞닿는 고정측 단자를 가지며,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콘택트 단자와, 콘택트 단자의 한 쌍의 접촉편부에서의 한쪽의 접촉편부를 다른쪽의 접촉편부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시키도록 한쪽의 접촉편부를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갖는 슬라이더 부재와, 소켓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반도체 장치의 반도체 장치 수용부에의 착탈에 따라 슬라이더 부재의 가압부에 동작을 행하게 하고, 콘택트 단자의 한 쌍의 접촉편부를 반도체 장치의 단자에 대해 맞댐 또는 이격시키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에 의하면, 콘택트 단자가,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끼워 지지하는 탄성이 있는 한 쌍의 접촉편부와, 접촉편부에 연결되어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고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맞닿는 고정측 단자를 가지며,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배선 기판에 대한 솔더링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이상이 생긴 IC 소켓만을 용이한 작업으로, 또한, 단시간에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의 한 예를, 테스트 보드로서의 프린트 배선 기판과 함께 도시한다. 또한, 도 2에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상에 복수 개 배치되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중의 1개를 대표하여 도시한다.
반도체 장치용 소켓은, 소정의 판두께를 갖는 프린트 배선 기판(18)에 형성되는 도체 패턴에서의 소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 도체 패턴에서의 소정 위치에는, 도 1에 확대되어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콘택트 단자의 고정측 단자의 접점부가 맞닿아지는 전극군(18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체 패턴의 주위에는, 후술하는 각 고정용 폴부가 삽입되는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18a)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구멍(18a)의 형상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둥근 구멍, 또는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반도체 장치용 소켓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프린트 배선 기판(18)상에 고정되는 소켓 본체(10)와, 소켓 본체(10) 내의 중앙의 콘택트 수용부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반도체 장치와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도체 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콘택트 단자(20ai)(i=1 내지 n, n은 양(正)의 정수)와, 소켓 본체(1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술하는 래치 기구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커버 부재(12)와, 반도체 장치(DV)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함과 함께 반도 체 장치(DV)의 전극부의 콘택트 단자에 대한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14)를 갖는 슬라이더 부재(22)(도 3 및 도 5 참조)와, 위치 결정부(14) 내에 수용된 반도체 장치(DV)의 각 전극부를 복수의 콘택트 단자를 향하여 가압함과 함께 반도체 장치(DV)를 지지하는 누름부재(16A 및 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래치 기구를 주된 요소로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에 제공되는 반도체 장치(DV)는, 예를 들면, BGA형의 개략 정사각형의 반도체 장치로 되고, 복수의 공형상(球狀)의 전극부가 종횡으로 형성되는 전극면을 갖고 있다.
수지제의 소켓 본체(10)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12)가 하강될 때, 그 암부의 하단, 누름부재(16A 및 16B)의 기단부가 침입하는 오목부(도시 생략)를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갖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10) 내부의 중앙에는, 복수의 콘택트 단자(20ai)가 반도체 장치(DV)의 전극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콘택트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부는,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표면을 향하여 개구하는 오목부와, 그 오목부에 연통하고 각 콘택트 단자(20ai)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셀은, 소정의 간격으로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셀 상호간에는, 칸막이벽(10Pai)(i=1 내지 n, n은 양의 정수)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셀의 내부에는, 콘택트 단자(20ai)의 고정부(20B)를 내벽면에서 지지하는 압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셀의 개구단(開口端)이 개구하는 콘택트 수용부의 상면부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 부재(22)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 다.
콘택트 단자(20ai)는, 탄성이 있는 박판형상의 금속 재료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표면에 대해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콘택트 단자(20ai)는 상술한 반도체 장치(DV)의 공형상의 전극부를 선택적으로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가동측 접촉편부(20m) 및 고정측 접촉편부(20f)와,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전극군(18E)에 맞닿는 접점부(20t)를 갖는 고정측 단자(20C)와, 가동측 접촉편부(20m) 및 고정측 접촉편부(20f)와 고정측 단자(20C)를 연결하는 고정부(2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에서, 가동측 접촉편부(20m)는, 고정측 접촉편부(20f)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해지도록 탄성을 갖고 있다. 가동측 접촉편부(20m) 및 고정측 접촉편부(20f)에서의 상단부에는, 각각, 반도체 장치(DV)의 공형상의 전극부에 맞닿는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점부는, 슬라이더 부재(22)의 슬릿(22b)을 통하여 위치 결정부(14) 부근의 위치까지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슬라이더 부재(22)가 화살표(F)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동측 접촉편부(20m)의 접점부는, 2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22)의 가압부(22a)에 의해 가압되고, 고정측 접촉편부(20f)의 접점부에 대해 이격된다. 한편, 슬라이더 부재(22)가 화살표(R)가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이격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되돌려지는 경우, 가동측 접촉편부(20m)의 접점부는, 고정측 접촉편부(20f)의 접점부에 대해 근접된다.
만곡(彎曲)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측 단자(20C)는, 탄성을 가지며, 그 일단 에서 고정부(20B)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고정측 단자(20C)의 타단에 형성되는 접점부(20t)는,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전극군(18E)에 소정의 압력으로 맞닿아 있다. 따라서, 콘택트 단자(20ai)의 고정측 단자(20C)에서의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전극군(18E)에 대한 솔더링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슬라이더 부재(22)는, 커버 부재(12)의 하강 동작에 따라 캠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도 5에서의 화살표(F)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캠 기구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17207호 공보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은, 레버 부재 및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부재(22)는, 콘택트 단자(20ai)에서의 한 쌍의 가동측 접촉편부(20m) 및 고정측 접촉편부(20f)가 통과하는 슬릿(22b)을 종횡으로 갖고 있다. 동일열에서의 인접하는 슬릿(22b) 상호간에는, 가압부(22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인접하는 다른 열에서의 슬릿(22b) 상호간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슬라이더 부재(22)와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14)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DV)를 수용함과 함께, 반도체 장치(DV)의 전극부의 콘택트 단자(20ai)의 각 접점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반도체 장치 수용부(14A)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반도체 장치 수용부(14A) 내에는, 상술한 콘택트 단자(20ai)의 접점부가 돌출하고 있다. 반도체 장치 수용부(14A)를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벽부에는, 각각, 누름부재(16A 및 16B)가 각각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2)는, 상술한 슬라이더 부재(22)의 위치 결정부(14)가 이동 가능 하게 배치되는 개구부를 중앙에 갖고 있다. 반도체 장치(DV)가 위치 결정부(14)에 대해 착탈될 때, 반도체 장치(DV)가 그 개구부를 통과하게 된다.
커버 부재(12)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복수의 다리부(12g)가 각각, 소켓 본체(10)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각 홈에 안내되어 승강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복수의 다리부(12g)중의 한쪽만을 도시한다.
또한, 커버 부재(12)에서의 스프링 받이부(12d)와 소켓 본체(10) 사이에는, 커버 부재(12)를 상방에, 즉, 커버 부재(12)를 소켓 본체(10)에 대해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16)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그때, 커버 부재(12)의 다리부(12g)의 선단에 마련되는 폴부가 홈의 단부에 계합된다. 이로써,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2)가 최상단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4는, 각각, 커버 부재(12)가 최상단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커버 부재(12)는, 도 2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강시켜지는 경우, 래치 기구를 구성하는 누름부재(16A 및 16B)의 기단부를 가압하는 암부(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누름부재(16A 및 16B)는, 각각, 소켓 본체(10)에서의 위치 결정부(14)의 각 긴변에 대향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재(16A 및 16B)의 기단부는, 각각,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위치 결정부(14)에 장착된 반도체 장치(DV)를 그 선단부에서 꽉누르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로써, 누름부재(16A 및 16B)의 선단부는, 위치 결정부(14)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커버 부재(12)의 암부에 의해 누름부재(16A 및 16B) 의 기단부가 코일 스프링(17)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경우, 누름부재(16A 및 16B)의 선단부는, 위치 결정부(14)로부터 이격하여 소정의 대기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표면에 재치되는 소켓 본체(10)에서의 저부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용 폴부(10NA, 10NB, 10NC 및 10ND)가 4개소에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고정용 폴부(10NA, 10NB, 10NC 및 10ND)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정용 폴부(10NC)에 관해 설명하고, 다른 고정용 폴부(10NA, 10NB 및 10ND)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용 폴부(10NC)는, 도 1에 확대되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10)의 단변에 따라 서로 이격한 두갈래 형상의 로크 편(10N1 및 10N2)을 갖고 있다. 로크 편(10N1 및 10N2)의 상호간에는, 테이퍼형상의 구멍(10Ns)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편(10N1 및 10N2)에서의 선단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비어저 나온 각 계지부(10n)는,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된다. 즉, 각 계지부(10n)는 각 계지부(10n)가 구멍(18a)을 통과하도록 서로 근접하고, 또한, 각 계지부(10n)가 하면측의 구멍(18a)의 개구단 주연(周緣)에 계지되도록 서로 이격 가능하게 된다.
각 계지부(10n)에는, 소정의 구배를 갖는 사면부(10S)가, 로크 편(N1)의 선단의 외면으로부터 비어저나와 하방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크 편(10N1 및 1DN2)이 프린트 배선 기판(18)에 고정되는 경우, 각 사면부(10S)는, 도 1에 확대되어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18)에서의 하면에 형성되는 구멍(18a)의 개구단의 주연에 맞닿아 있다.
이러한 고정용 폴부(10NC)를 프린트 배선 기판(18)에서의 구멍(18a)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우선, 로크 편(10N1 및 10N2)이 구멍(18a)에 대해 위치가 맞추어진 후, 소켓 본체(10)의 저부로부터 돌출한 콘택트 단자(20ai)의 고정측 단자(20C)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소켓 본체(10)가 가압된다. 이로써, 로크 편(10N1 및 10N2)의 계지부(10n)의 단면이, 그 상면에서의 구멍(18a)의 개구단의 주연에 맞닿고 또한 가압될 때,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일단, 탄성 변위한 후, 구멍(18a)을 통과하고,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한다. 따라서, 도 6에 확대되어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사면부(10S)는, 프린트 배선 기판(18)에서의 하면에 형성되는 구멍(18a)의 개구단의 주연에 맞닿는다. 그때, 태핑 나사(TBs)가 구멍(10Ns)에 나사체결된다.
다음에, 도 1에 확대하여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태핑 나사(TBs)가 구멍(10Ns)에 또한 나사체결된다. 이로써, 로크 편(10N1 및 10N2)의 계지부(10n)는,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다시 탄성 변위하기 때문에 각 사면부(10S)에 활주접촉하면서 소켓 본체(10)가 프린트 배선 기판(18)에 끌어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판두께의 편차에 기인하는 각 사면부(10S)와 구멍(18a) 주연과의 간극이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콘택트 단자(20ai)의 고정측 단자(20C)의 접촉 압력이 소정치 이하로 저감되는 것이 회피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DV)의 시험을 행함에 있어서는, 우선, 도시가 생략되는 반송 로봇에 마련되는 가압 부재의 가압면부가 커버 부재(12)의 상면에 맞닿아져서 상술한 코일 스프링(16)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스트로크로 가압된다.
이로써, 누름부재(16A 및 16B)가 서로 이격하여 대기 위치로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피검사물로서의 반도체 장치(DV)가, 도시가 생략된 반송 로봇의 반송 암에 의해 흡인 지지되어 커버 부재(12)의 개구부 및 위치 결정부(14)의 바로 위가 되는 위치까지 반송된다.
다음에, 반송 암에 의해 흡인 지지된 반도체 장치(DV)는, 커버 부재(12)의 개구군을 통하여 하강시켜져서 위치 결정부(14)의 반도체 장치 수용부(14A)에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 계속해서, 커버 부재(12)는, 상술한 가압 부재의 가압면부가 커버 부재(12)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승될 때, 상술한 코일 스프링(16)의 가세력 등에 의해 최상단 위치까지 상승된다. 그때, 누름부재(16A 및 16B)의 선단의 당접부는, 각각, 개략 동일한 타이밍에서, 회동되고, 반도체 장치(DV)를 콘택트 단자(20ai)를 향하여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12)가 최상단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입출력부에 검사 신호가 공급될 때, 콘택트 단자(20ai)를 통하여 검사 신호가 반도체 장치(DV)에 공급됨과 함께 그 회로의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 반도체 장치(DV)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가 입출력부를 통하여 외부의 고장 진단 장치에 공급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의 한 예에 이용되는 콘택트 단자의 다른 한 예 및 프린트 배선 기판을 도시한다.
또한, 도 7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소켓 본체(10)는, 프린트 배선 기판(18')에 형성되는 도체 패턴에서의 소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 도체 패턴에서의 소정 위치에는, 후술하는 콘택트 단자(30ai)(i=1 내지 n, n은 양의 정수)의 고정측 단자(30C)의 접점부(30t)가 삽입되는 도금 스루홀(18'th)이 복수 개,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도금 스루홀(18'th)군의 주변에서의 4개소에는, 고정용 폴부(10NA 내지 10ND)가 고정되는 상술한 구멍(18a)과 같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단자(30ai)는, 탄성이 있는 박판형상의 금속 재료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표면에 대해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콘택트 단자(30ai)는, 상술한 반도체 장치(DV)의 공형상의 전극부를 선택적으로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가동측 접촉편부(30m) 및 고정측 접촉편부(30f)와,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도금 스루홀(18'th)에 삽입되는 접점부(30t)를 갖는 고정측 단자(30C)와, 가동측 접촉편부(30m) 및 고정측 접촉편부(30f)와 고정측 단자(30C)를 연결하는 고정부(3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에서, 가동측 접속편부(30m)는, 고정측 접촉편부(30f)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되도록 탄성을 갖고 있다. 가동측 접촉편부(30m) 및 고정측 접촉편부(30f)에서의 상단부에는, 각각, 반도체 장치(DV)의 공형상의 전극부에 맞닿는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점부는, 슬라이더 부재(22)의 슬릿(22b)을 통하여 위치 결정부(14) 부근의 위치까지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 슬라이더 부재(22)가 화살표(F)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동측 접촉편부(30m)의 접점부는, 슬라이더 부재(22)의 가압부(22a)에 의해 가압되고, 고정측 접촉편부(30f)의 접점부에 대해 이격된다. 한편, 슬라이더 부재(22)가 화살표(R)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이격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되돌려지는 경우, 가동측 접촉편부(30m)의 접점부는, 고정측 접촉편부(30f)의 접점부에 대해 근접된다.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측 단자(30C)는, 탄성을 가지며, 그 일단에서 고정부(30B)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고정측 단자(30C)의 타단에 형성되는 접점부(30t)는,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도금 스루홀(18'th) 내에 삽입되어 있다. 고정측 단자(30C)에서의 원호부와 접점부(30t)의 경계 부분에는, 도금 스루홀(18'th)의 개구단 주연에 맞닿는 원형상의 스토퍼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도, 콘택트 단자(30ni)의 고정측 단자(30C)에서의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도금 스루홀(18'th)에 대한 솔더링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한 예가, 콘택트 수용부의 상면부에서의 평탄면에 활주되는 슬라이더 부재(22)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동측 접촉편부(20m)의 접점부는, 슬라이더 부재(22)의 가압부(22a)에 의해 가압되고, 고정측 접촉편부(20f)의 접점부에 대해 이격되는 구성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에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하여지지 않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4-111215호 공보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편부의 상호간에 배치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는 이동판이 소켓 본체에서의 상하 방향에 따라 이동시켜짐에 의 해, 한 쌍의 접촉편부 쌍방이 서로 이격하도록 이동시켜지는 구성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에 적용되어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최광의로 해석되어 모든 변형예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의 한 예에서의 주요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의 한 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의 로크용 폴부의 체결 작업의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용 소켓의 한 예에 이용되는 콘택트 단자의 다른 한 예 및 프린트 배선 기판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Claims (3)

  1. 전극군이 형성되는 전극면을 갖는 배선 기판상에 배치되고, 반도체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반도체 장치 수용부를 갖는 소켓 본체와,
    상기 반도체 장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끼워 지지하는 탄성이 있는 한 쌍의 접촉편부와, 해당 접촉편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맞닿는 고정측 단자를 가지며, 해당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해당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콘택트 단자와,
    상기 콘택트 단자의 한 쌍의 접촉편부에서의 한쪽 접촉편부를 다른쪽의 접촉편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키도록 해당 한쪽의 접촉편부, 또는, 해당 한쪽 및 다른쪽의 접촉편부의 쌍방을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갖는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소켓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반도체 장치 수용부에의 착탈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가압부에 동작을 행하게 하고, 상기 콘택트 단자의 한 쌍의 접촉편부를 해당 반도체 장치의 단자에 대해 맞댐 또는 이격시키는 커버 부재와,
    상기 소켓 본체의 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 기판의 고정용 구멍에 계합 상태 또는 비계합 상태가 되고, 해당 계합 상태일 때, 해당 소켓 본체를 해당 배선 기판에 계지하는 복수의 고정용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
  2. 전극군이 형성되는 전극면을 갖는 배선 기판상에 배치되고, 반도체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반도체 장치 수용부를 갖는 소켓 본체와,
    상기 반도체 장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끼워 지지하는 탄성이 있는 한 쌍의 접촉편부와, 해당 접촉편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맞닿는 고정측 단자를 가지며, 해당 반도체 장치의 단자를 해당 배선 기판의 전극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콘택트 단자와,
    상기 콘택트 단자의 한 쌍의 접촉편부에서의 한쪽 접촉편부를 다른쪽의 접촉편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키도록 해당 한쪽의 접촉편부, 또는, 해당 한쪽 및 다른쪽의 접촉편부의 쌍방을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갖는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소켓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반도체 장치 수용부에의 착탈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가압부에 동작을 행하게 하고, 상기 콘택트 단자의 한 쌍의 접촉편부를 해당 반도체 장치의 단자에 대해 맞댐 또는 이격시키는 커버 부재와,
    상기 소켓 본체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선 기판의 고정용 구멍에 계합 상태 또는 비계합 상태가 되는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의 로크 편부를 가지며, 해당 소켓 본체를 해당 배선 기판에 계지하는 복수의 고정용 폴부, 및
    상기 고정용 폴부의 로크 편부를 상기 배선 기판의 고정용 구멍의 주연에 대해 가세하는 나사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
  3. 제 2항에 있어서,
    두 갈래 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로크 편부에서의 계지부는, 상기 배선 기판의 고정용 구멍의 주연에 계합되는 사면부를 가지며, 상기 나사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로크 편부 상호간에 형성되는 원추형상의 구멍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용 소켓.
KR1020070090311A 2007-08-02 2007-09-06 반도체 장치용 소켓 KR100906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2202A JP2009036679A (ja) 2007-08-02 2007-08-02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JP-P-2007-00202202 2007-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42A KR20090013642A (ko) 2009-02-05
KR100906920B1 true KR100906920B1 (ko) 2009-07-08

Family

ID=4027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311A KR100906920B1 (ko) 2007-08-02 2007-09-06 반도체 장치용 소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35963A1 (ko)
JP (1) JP2009036679A (ko)
KR (1) KR100906920B1 (ko)
DE (1) DE102008036117A1 (ko)
TW (1) TW2009243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2158B2 (ja) * 2011-08-08 2015-05-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718853B1 (ko) * 2015-07-30 2017-03-24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소켓 탈부착용 체결장치
KR101780935B1 (ko) 2016-03-30 2017-09-27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소켓유니트
JP6991782B2 (ja) * 2017-08-23 2022-01-13 センサータ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ソケ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271A (ja) 1998-11-19 2000-06-06 Enplas Corp Icソケット
JP2003017207A (ja) * 2001-07-03 2003-01-1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03307542A (ja) 2002-02-18 2003-10-31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Ic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A (en) * 1841-03-16 Clamp for crimping leather
US3449799A (en) * 1967-06-01 1969-06-17 Chrysler Corp Fastener for connecting apertured structure to another structure
US4420205A (en) * 1981-09-14 1983-12-13 Augat Inc. Low insertion force electronic component socket
US4739257A (en) * 1985-06-06 1988-04-19 Automated Electronic Technology, Inc. Testsite system
US4927369A (en) * 1989-02-22 1990-05-2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density usage
US5073117A (en) * 1989-03-30 1991-12-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lip-chip test socket adaptor and method
JPH0638382Y2 (ja) * 1990-09-10 1994-10-0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基板と基板を接続する為の表面実装用コネクタ
US5147213A (en) * 1991-10-24 1992-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Zero insertion pressure test socket for pin grid array electronic packages
US5281160A (en) * 1991-11-07 1994-01-25 Burndy Corporation Zero disengagement force connector with wiping insertion
JP3302720B2 (ja) * 1992-06-09 2002-07-15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Icソケット
US5241451A (en) * 1992-09-01 1993-08-31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electronic assemblies using compressible electrical connectors
US5249972A (en) * 1992-12-22 1993-10-0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socket
JPH06105630B2 (ja) * 1992-12-26 1994-12-21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
JPH0763081B2 (ja) * 1993-01-22 1995-07-0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キャリア
JP2501746B2 (ja) * 1993-03-04 1996-05-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ィスク駆動装置
US5518410A (en) * 1993-05-24 1996-05-21 Enplas Corporation Contact pin device for IC sockets
US5342214A (en) * 1993-11-01 1994-08-30 Hsu Feng Chien IC socket
JP2667633B2 (ja) * 1994-02-24 1997-10-27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におけるic保持装置
US5419710A (en) * 1994-06-10 1995-05-30 Pfaff; Wayne K. Mounting apparatus for ball grid array device
JP2648120B2 (ja) * 1995-02-08 1997-08-27 山一電機株式会社 表面接触形接続器
JPH08213128A (ja) * 1995-02-08 1996-08-20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2768920B2 (ja) * 1995-08-11 1998-06-2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キャリア
US5746608A (en) * 1995-11-30 1998-05-05 Taylor; Attalee S. Surface mount socket for an electronic package, and contact for use therewith
US5923179A (en) * 1996-03-29 1999-07-13 Intel Corporation Thermal enhancing test/burn in socket for C4 and tab packaging
US6027344A (en) * 1996-12-31 2000-02-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Simulant training kit for recognizing hazardous materials
JP3059946B2 (ja) * 1997-05-01 2000-07-04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
US5842471A (en) * 1997-05-14 1998-12-01 Virus Research Institute, Inc. Purification of polyphosphazene polyacids
US6162066A (en) * 1997-05-16 2000-12-19 Wells-Cti, Inc. Socket for positioning and install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on a flexible connector sheet
KR200165887Y1 (ko) * 1997-06-25 2000-01-15 김영환 비지에이 패키지 검사용 소켓
US20010000765A1 (en) * 1997-10-03 2001-05-03 Enplas Corporation, A Japan Corporation Socket for an electric device
JP3694166B2 (ja) * 1998-02-27 2005-09-1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Icソケット
JP3714656B2 (ja) * 1998-02-27 2005-11-09 株式会社エンプラス Icソケット
US6283780B1 (en) * 1998-04-01 2001-09-04 Molex Incorporated Test socket lattice
EP1517600B1 (en) * 1998-06-30 2018-05-02 Enplas Corporatio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JP4248649B2 (ja) * 1998-12-18 2009-04-0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6126467A (en) * 1998-07-22 2000-10-03 Enplas Corporatio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JP3755718B2 (ja) * 1999-04-28 2006-03-1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6220869B1 (en) * 1999-05-20 2001-04-24 Airborn, Inc. Area array connector
JP4087012B2 (ja) * 1999-05-31 2008-05-1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257994B2 (ja) * 1999-08-30 2002-02-18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ソケット
TW453628U (en) * 1999-09-03 2001-09-01 Foxconn Prec Components Co Ltd Assembly of heat dissipation device
JP3822005B2 (ja) * 1999-10-04 2006-09-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0373152B1 (ko) * 1999-11-17 2003-02-25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Ic 소켓 및 ic 시험 장치
JP4301669B2 (ja) * 1999-12-24 2009-07-22 株式会社センサータ・テクノロジーズジャパン ソケット
US6567866B1 (en) * 1999-12-30 2003-05-20 Intel Corporation Selecting multiple functions using configuration mechanism
JP4251423B2 (ja) * 2000-01-28 2009-04-08 株式会社センサータ・テクノロジーズジャパン ソケット
DK174156B1 (da) * 2000-04-03 2002-07-29 Henrik Frans Christensen Vind- og bølgeenergianlæg
DE10025157A1 (de) * 2000-05-23 2001-11-29 Braun Gmbh Infrarot-Strahlungsthermometer mit veränderbarer Meßspitze
JP2002025731A (ja) * 2000-07-07 2002-01-25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US6280222B1 (en) * 2000-07-25 2001-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GA socket with reliable securing mechanism
JP3942823B2 (ja) * 2000-12-28 2007-07-11 山一電機株式会社 検査装置
JP3725042B2 (ja) * 2001-04-13 2005-12-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Pga用コンタクトおよびpgaソケット
JP3912723B2 (ja) * 2001-04-19 2007-05-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Pgaソケット
US6328587B1 (en) * 2001-05-11 2001-12-11 Feng-Chien Hsu Contact for a ZIF socket type connector
US6796823B1 (en) * 2001-05-21 2004-09-2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Socket for electronic element
JP3678170B2 (ja) * 2001-05-25 2005-08-03 山一電機株式会社 Ic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JP2002367747A (ja) * 2001-06-06 2002-12-20 Yamaichi Electronics Co Ltd Icソケット
JP2003017208A (ja) * 2001-06-27 2003-01-1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03059602A (ja) * 2001-08-08 2003-02-2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3678182B2 (ja) * 2001-08-10 2005-08-03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US6461182B1 (en) * 2001-10-01 2002-10-08 Feng-Chien Hsu Socket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6561831B1 (en) * 2001-12-27 2003-05-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ousing of socket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JP4271406B2 (ja) * 2002-04-09 2009-06-0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054238B2 (ja) 2002-09-18 2008-02-27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
JP3803099B2 (ja) * 2002-12-17 2006-08-02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04355983A (ja) 2003-05-29 2004-12-1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Icソケット
JP2005026213A (ja) * 2003-06-12 2005-01-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ソケットを基板に配設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が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3716843B2 (ja) * 2003-07-15 2005-11-1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6960092B1 (en) * 2003-07-25 2005-11-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Compression mount and zero insertion force socket for IC devices
JP4098231B2 (ja) * 2003-12-19 2008-06-11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07017234A (ja) * 2005-07-06 2007-01-25 Molex Japan Co Ltd 検査装置用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271A (ja) 1998-11-19 2000-06-06 Enplas Corp Icソケット
JP2003017207A (ja) * 2001-07-03 2003-01-1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03307542A (ja) 2002-02-18 2003-10-31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Ic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36679A (ja) 2009-02-19
DE102008036117A1 (de) 2009-02-19
US20090035963A1 (en) 2009-02-05
TW200924310A (en) 2009-06-01
KR20090013642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3327B2 (ja)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US6252415B1 (en) Pin block structure for mounting contact pins
KR101703688B1 (ko) 테스트 소켓
KR100906920B1 (ko) 반도체 장치용 소켓
JPH1164426A (ja) プリント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プリント基板の検査 装置の組み立てキット
US6677770B2 (en) Programmable test socket
KR100853766B1 (ko) 상부 픽스쳐의 미세 수평이동이 가능한 pcb 검사장치
JP3531644B2 (ja) 半導体ソケットおよび該ソケットのプローブ交換方法
KR20120075083A (ko) 연성회로기판 검사 장치
US6896546B2 (en) Method for assembling semiconductor device socket
JP5865846B2 (ja) 検査ソケット
US20090163051A1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US20090128172A1 (en) Calibration board for electronic device test apparatus
KR20090013641A (ko) 반도체 장치용 소켓
US20100330830A1 (en) Vertical probe intrface system
JP2018151218A (ja) ケルビン検査用端子の位置決め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icソケット
JPH0438480A (ja) プリント配線板検査機用アダプタ上下タイプ
JP2002062312A (ja) コンタクト装置
JP2005121652A (ja) 電子回路アセンブリ試験装置
KR20110057983A (ko) 프로브 카드의 보조기판 설치 깊이 보정방법
KR100562945B1 (ko) 메모리 모듈 테스트 장치
KR20100002988A (ko) 클립 소켓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검사장치
JP2759451B2 (ja) プリント基板検査治具
JPH11214106A (ja) 実機試験用ソ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試験方法
KR101397269B1 (ko) 반도체 소자 홀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