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561B1 - 적층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적층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561B1
KR100899561B1 KR1020077021990A KR20077021990A KR100899561B1 KR 100899561 B1 KR100899561 B1 KR 100899561B1 KR 1020077021990 A KR1020077021990 A KR 1020077021990A KR 20077021990 A KR20077021990 A KR 20077021990A KR 100899561 B1 KR100899561 B1 KR 10089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ductor
center
via hole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388A (ko
Inventor
미츠루 오다하라
토모유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11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턴스의 저하가 적은 적층 코일 부품을 제공한다. 적층 코일 부품은 코일 도체(23a~23f) 및 비아 홀 도체(26a~26e)를 형성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22a~22f)를 적층하고 코일 도체(23a~23f)가 비아 홀 도체(26a~26e)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된 나선형 코일(23)을 내장함으로써 제공된다. 적층 반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26b,26d)는 나선형 코일(23)의 외측이며 적층체(30)의 장변 방향의 단면측에 위치된다.
적층 코일 부품, 코일 도체, 비아 홀 도체, 인덕턴스

Description

적층 코일 부품{LAMINATED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적층 코일 부품, 특히 복수의 세라믹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나선형 코일을 내장한 적층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적층 코일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적층 코일 부품(71)은 코일 도체(73a~73f)나 비아 홀 도체(76a~76e)를 제공한 세라믹 시트(72a~72f)를 시트(72a)에서부터 시트(72f)의 순으로 쌓아 올린 후 한층 더 상하에 보호용 세라믹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적층한 것이다. 코일 도체(73a~73f)는 비아 홀 도체(76a~76e)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나선형 코일(73)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부호(74a~74j)는 코일 도체(73a~73f)의 단부에 제공된 패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적층 코일 부품(71)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또한, 도 8(A) 및 (B)는 각각 코일 도체(73a~73f)의 내주 형상을 곡선으로 한 적층 코일 부품(81)의 분해 평면도 및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며, 부호는 도 7과 공통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층 코일 부품(71,81)은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패드(74a~74j) 및 비아 홀 도체(76a~76e)가 나선형 코일(73)의 내측 근방에 형성되 어있다. 사이드 갭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 때문에, 나선형 코일(73)의 내경이 작아지고, 인덕턴스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패드(74a~74j) 및 비아 홀 도체(76a~76e)가 코일 도체(73a~73f)와 겹치고 있기 때문에 적층 후의 압착 공정으로 패드(74a~74j) 및 비아 홀 도체(76a~76e)에 큰 압력이 가해져서 패드(74a~74j) 및 비아 홀 도체(76a~76e)가 무너져 코일(73)의 내경이 더 작아지거나 패드(74a~74j) 및 비아 홀 도체(76a~76e)에 응력이 집중함으로써 인덕턴스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176725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턴스의 저하가 적은 적층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은, 복수의 코일 도체 및 복수의 세라믹층을 적층하여 구성한 적층체, 및 상기 코일 도체의 단부에 제공된 비아 홀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코일 도체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고,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1개 이상의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중심이 상기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고,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된 코일 도체 단부의 패턴 형상이 상기 코일 도체 단부의 나선형 코일의 코일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되지 않은 코일 도체의 패턴 형상과는 다르며,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일부가 나선형 코일의 외주 면에서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에 있어서는, 1개 이상의 비아 홀 도체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선형 코일의 내경이 커지고, 또한 비아 홀 도체가 무너져 코일의 내경이 작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인덕턴스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 및 코일 도체의 중첩이 적어지고, 도체의 집중(응력의 집중)이 방지되므로 인덕턴스의 저하가 방지되어 적층 차이도 방지된다.
제 1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에 있어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적층체의 장변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되어 있어도 좋다. 적층체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도체 및 적층체 단면의 소위 사이드 갭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제 2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은 복수의 코일 도체 및 복수의 세라믹층을 적층하여 구성한 적층체, 및 상기 코일 도체의 단부에 제공된 패드 및 비아 홀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코일 도체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나선형 코일를 구비하고,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1개 이상의 상기 비아 홀 도체 및 패드의 중심이 상기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고,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된 코일 도체 단부의 패턴 형상이 상기 코일 도체 단부의 나선형 코일의 코일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되지 않은 코일 도체의 패턴 형상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에 있어서는, 1개 이상의 비아 홀 도체 및 패드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선형 코일의 내경이 커지고, 또한 패드에 의해 코일의 내경이 작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인덕턴스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비아 홀 도체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에 있어서,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일부가 나선형 코일의 외주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으로 비아 홀 도체 및 코일 도체의 중첩 적어지고 비아 홀 도체가 무너져 코일의 내경이 작아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응력의 집중이 완화되므로 인덕턴스의 저하가 방지되어 적층 차이도 방지된다. 또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비아 홀 도체 및 패드의 중심은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장변 방향의 단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도체와 적층체 단면과의 소위 사이드 갭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에 있어서,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는 비아 홀 도체의 전체가 나선형 코일의 외주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아 홀 도체 및 코일 도체의 적층 방향의 중첩이 극히 적어져 각각의 도체의 집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나선형 코일의 내경이 커져 인덕턴스도 커지게 된다.
게다가, 코일 도체를 3/4턴 형상으로 하면 비아 홀 도체의 형성 위치가 4개소에 분산되어져 도체의 집중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코일 도체의 적어도 내주가 곡선 형상이어도 좋다. 나선형 코일에 직사각형의 모서리부가 존재하면 직류 저항이 커지지만 코일 도체가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직류 저항이 작아진다. 또는,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비아 홀 도체 간의 합선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개 이상의 비아 홀 도체 또는 패드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나선형 코일의 내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인덕턴스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패드 또는 비아 홀 도체와 코일 도체의 중첩이 적어지기 때문에 도체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이 완화되어 이것으로도 인덕턴스의 저하가 방지되어 적층 차이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분해 평면도 (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2는 코일 도체 및 패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평면이 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분해 평면도 (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A) 는 분해 평면도, (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분해 평면도 (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분해 평면도 (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종래예를 나타내고, (A)는 분해 평면도 (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8는 제 2 종래예를 나타내고, (A)는 분해 평면도 (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및 도 2 참조)
도 1(A)는 적층 코일 부품(11)의 분해 평면도, 도 1(B)는 적층 코일 부품(11)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코일 부품(11)은 코일 도체(13a~13f) 및 비아 홀 도체(16a~16e)를 제공한 세라믹 그린 시트(12a~12f)를 시트(12a)에서부터 시트(12f)의 순으로 쌓아 올린 후 한층 더 상하에 보호용 세라믹 그린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적층한 것이다.
세라믹 그린 시트(12a~12f)는 아래와 같이 하여 제작된다. 우선, 산화철, 산화 니켈, 산화 구리, 산화 아연 등의 각종 분말을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칭량하고 그것들을 볼 밀로 습식 혼합하고 건조한 것을 터널로에서 하소된다. 이 하소분을 예비 분쇄하여 세라믹 원료로 한다.
다음에, 순수, 분산제, 세라믹 원료를 습식 혼합하고 볼 밀을 이용하여 소정의 입경 또은 비표면적이 될 때까지 습식 분쇄한다. 이 용액에 결합제, 가소제, 습윤제, 소포제 등을 첨가하여 볼 밀로 소정 시간 습식 혼합한 후 진공 탈포을 행하여 세라믹 슬러리로 한다. 이 세라믹 슬러리를 독터 블레이드법 등에 의해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시트형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세라믹 그린 시트(12b~12f)의 소정의 위치에 레이저의 조사 등에 의해 비아 홀 도체용의 구멍을 형성한다. 이후, 세라믹 그린 시트(12a~12f) 상에 Ag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코일 도체(13a~13f)를 형성한다. 또한, 비아 홀 도체용의 구멍에 Ag 페이스트가 충전되어 비아 홀 도체(16a~16e)가 형성된다. 또한, 부호(14a~14j)는 Ag 페이스트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 패드를 나타낸다. 여기서, 패드란 코일 도체의 단부에 제공된 코일 도체의 도체 폭보다 크게 형성된 도체 부분이다.
다음에, 이 세라믹 그린 시트(12a~12f) 및 보호용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적층 하여 적층체(20)로 한다. 이 적층체(20)를 소정의 사이즈로 커트하고 소정의 온도, 시간을 들여 소성한다. 그 다음에, 코일 도체(13a,13f)의 인출부가 노출된 단면에 침지법에 의해 도체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외부 전극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얻을 수 있는 적층 코일 부품(11)은 코일 도체(13a~13f)가 코일 도체(13a~13f)의 단부에 제공된 패드(14a~14j) 및 비아 홀 도체(16a~16e)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에 접속된 나선형 코일(13)을 내장하고 있다. 패드(14a~14j)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비아 홀 도체(16a~16e)를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코일 도체(13a~13f)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해 진다. 또한, 나선형 코일(13)의 적어도 내주는 곡선 형상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16b) 및 패드(14c,14d)의 중심, 및 비아 홀 도체(16d) 및 패드(14g,14h)의 중심은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13)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외측 근방이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다른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외측인 것을 말한다. 즉, 비아 홀 도체(16b) 및 패드(14c,14d)의 중심에 대하여는 비아 홀 도체(16b) 및 패드(14c,14d)가 형성되지 않은 코일 도체(13a,13d~13f)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외측 근방, 비아 홀 도체(16d) 및 패드(14g,14h)의 중심에 대하여는 비아 홀 도체(16d) 및 패드(14g,14h)가 형성되지 않은 코일 도체(13a~13c,13f)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외측 근방인 것을 말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외측 근방이란 적층체(20)의 장변 방향의 단면측인 것을 말한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코일 부품(11)의 단변 방향의 사이드 갭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비아 홀 도체(16c) 및 패드(14e,14f)의 중심, 및 비아 홀 도체(16a,16e) 및 패드(14a,14b,14i,14j)의 중심은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13)의 내측 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갭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비아 홀 도체(16b,16d)에 접속된 코일 도체(13b~13e)의 단부의 패턴 형상은 코일 도체(13b~13e)의 단부의 나선형 코일(13)의 코일 축 방향에 위치하는 코일 도체(13a~13f)의 패턴 형상과 다르다. 즉, 비아 홀 도체(16b)에 접속된 코일 도체(13b,13c)의 단부의 패턴 형상은 비아 홀 도체(16b) 주변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것에 비하여 코일 도체(13b,13c)의 단부의 나선형 코일(13)의 코일 축 방향에 위치하는 코일 도체(13d,13e)는 원호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16b)의 주변의 코일 도체(13b,13c)과 코일 도체(13d,13e)의 패턴 형상의 차이로 비아 홀 도체(16b)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13)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유사하게, 비아 홀 도체(16d)에 접속된 코일 도체(13d,13e)의 단부의 패턴 형상은 비아 홀 도체(16d)의 주변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것에 비하여 코일 도체(13d,13e)의 단부의 나선형 코일(13)의 코일 축 방향에 위치하는 코일 도체(13b,13c)는 원호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16d)의 주변의 코일 도체(13d,13e)와 코일 도체(13b,13c)의 패턴 형상의 차이로 비아 홀 도체(16d)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13)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비아 홀 도체(16b,16d)의 일부가 나선형 코일(13)의 외주면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외주면이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가 접속되지 않는 것 다른 코일 도체로 형성되는 나선형 코일(13)의 외주면을 말한다. 즉, 비아 홀 도체(16b)에 대하여는 코일 도체(13a,13d~13f)로 형성되는 나선형 코일(13)의 외주면, 비아 홀 도체(16d)에 대하여는 코일 도체(13a~13c,13f)로 형성되는 나선형 코일13의 외주면을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 패드[14c,14d(14g,14h)]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원(A,B,C)이 기재되어있다.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적층 코일 부품(81)은 원(A)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패드를 형성하고 있다. 즉, 패드는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의 내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적층 코일 부품(11)에서는 원(C)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패드(14c,14d)를 형성하고 있다. 즉, 패드(14c,14d)는 코일 도체(13b)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선(P)에서 나선형 코일(13)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C)의 중심은 원(A)의 중심에서 65~79㎛ 벗어난다(소성 전). 패드(14c,14d)의 대략 반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13b)와 겹치지 않는다. 또한, 패드(14c,14d)의 크기는 직경 80㎛이고, 코일 도체(13b)의 도체 폭은 50㎛이다.
즉, 패드(14c,14d)의 중심은 코일 도체(13b)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선(P) 상에 위치하는 원(B)의 위치에서 나선형 코일(13)의 외측 근방에 비켜 놓는 것으로 패드(14c,14d)에 의해 나선형 코일(13)의 내경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선형 코일(13)의 내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인덕턴스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비켜 놓는 양을 크게 하는 것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13b)와 패드(14c,14d) 및 비아 홀 도체(16b)의 중첩이 적어지므로 도체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응력의 집중이나 적층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표 1에 적층 코일 부품(11)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를 위해서 표 1에는 종래의 적층 코일 부품(71,81)의 평가 결과도 함께 기재하고 있다. 또한, 표 중의 「취득 효율」은 (100㎒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직류 저항)이며 이 값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인피던스 (100㎒) Ω 직류 저항 Ω 취득 효율 폭 방향의 적층 이동 ㎛
비교예 1 (적층 코일 부품71) 240 0.360 667 7.8
비교예 2 (적층 코일 부품81) 222 0.326 681 7.5
제 1 실시예 (적층 코일 부품11) 238 0.330 721 3.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종래의 적층 코일 부품(71)]에서는 나선형 코일(73)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기 때문에 전류는 코일 도체의 코너부에 집중하여 직류 저항이 커지게 된다. 비교예 2[종래의 적층 코일 부품(81)]에서는 나선형 코일(73)의 형상이 원호 형상이기 때문에 전류는 코일 도체의 코너부에 집중하지 않고 직류 저항이 작아진다. 그러나, 나선형 코일(73)의 내경이 작아져서 인덕턴스는 작아진다. 그 결과, 임피던스가 작아진다. 그리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함께 적층 차이가 크다.
이것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적층 코일 부품(11)]에서는, 패드(14c,14d,14g,14h) 및 비아 홀 도체(16b,16d)의 중심을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선(P)에서 나선형 코일(13)의 외측 근방에 위치시키므로 나선형 코일(13)의 내경이 커져서 임피던스(인덕턴스)가 커진다.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와 패드(14c,14d,14g,14h) 및 비아 홀 도체(16b,16d)의 중첩이 적어지므로 도체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고 적층 차이도 작아진다.
또한, 적층 코일 부품(11)에 있어서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16a~16e)는 천조(千鳥)형으로 배치되어있다. 다시 말해, 비아 홀 도체(16b 및 16d)는 대향하는 코너 부근에 설치되고, 한편, 비아 홀 도체(16a,16e 및 16b)는 거의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비아 홀 도체(16c 및 16d)는 거의 일직선 상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비아 홀 도체(16b,16c) 등의 간격이 넓어져 서로의 합선 방지에 연결된다.
또한,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패드(14a~14j)의 중심 및 비아 홀 도체(16a~16e)의 중심은 일치하고 있지만 불일치여도 좋다. 일치하고 있으면 비아 홀 도체용의 구멍에의 전기 전도 페이스트의 충전성이 양호하다.
또한, 모든 패드(14a~14j) 및 비아 홀 도체(16a~16e)을 외측에 조금 옮긴 것이여도 좋다. 게다가, 도체의 집중을 방지하는 효과를 한층 올리기 위해서 비아 홀 도체(16a~16e)의 전체가 나선형 코일(13)의 외주면에서 외측에 위치한 것도 좋다.
(제 2 실시예, 도 3 참조)
제 2 실시예로서 패드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의 적층 코일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적층 코일 부품(21)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3(B)는 적층 코일 부품(21)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코일 부품(21)은 코일 도체(23a~23f) 및 비아 홀 도체(26a~26e)를 제공한 세라믹 그린 시트(22a~22f)를 시트(22a)에서부터 시트(22f)의 순으로 쌓아 올린 후에 한층 더 상하에 보호용 세라믹 그린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적층 한 것이다.
이 적층 코일 부품(21)은 코일 도체(23a~23f)이 코일 도체(23a~23f)의 단부에 제공된 비아 홀 도체(26a~26e)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나선형 코일(23)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 나선형 코일(23)의 적어도 내주는 곡선 형상으로 되어있다.
본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코일 도체(23a~23f)의 단부에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그 구조 및 제조 방법이 동일하다. 따라서, 본 제 2 실시예의 작용 효과도 제 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같다.
자세하게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26b) 및 비아 홀 도체(26d)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23)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외측 근방이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가 접속되지 않은 다른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외측인 것을 말한다. 즉, 비아 홀 도체(26b)의 중심에 대하여는 비아 홀 도체(26b)가 접속되지 않은 코일 도체(23a,23d~23f)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외측 근방, 비아 홀 도체(26d)의 중심에 대하여는 비아 홀 도체(26d)가 접속되지 않는 코일 도체(23a~23c,23f)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외측 근방인 것을 말한다.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26b,26d)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적층체(30)의 장변 방향의 단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비아 홀 도체(26b,26d)에 접속된 코일 도체(23b~23e)의 단부의 패턴 형상이 코일 도체(23b~23e) 단부의 나선형 코일(23)의 코일 축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코일 도체(23a~23f)의 패턴 형상과 다르다. 즉, 비아 홀 도체(26b)에 접속된 코일 도체(23b,23c)의 단부의 패턴 형상은 비아 홀 도체(26b)의 주변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것에 비하여 코일 도체(23b,23c)의 단부의 나선형 코일(23)의 코일 축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코일 도체(23d,23c)는 원호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26b)의 주변의 코일 도체(23b,23c)과 코일 도체(23d,23e)의 패턴 형상의 차이로 비아 홀 도체(26b)의 중심은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23)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유사하게, 비아 홀 도체(26d)에 접속된 코일 도체(23d,23e)의 단부의 패턴 형상은 비아 홀 도체(26d)의 주변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것에 비하여 코일 도체(23d,23e)의 단부의 나선형 코일(23)의 코일 축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코일 도체(23b,23c)는 원호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26d)의 주변의 코일 도체(23d,23e)와 코일 도체(23b,23c)의 패턴 형상의 차이로 비아 홀 도체(26d)의 중심은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서 나선형 코일(23)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비아 홀 도체(26b,26d)의 일부가 나선형 코일(23)의 외주면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외주면이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비아 홀 도체가 접속되지 않은 다른 코일 도체로 형성되는 나선형 코일(23)의 외주면을 말한다. 즉, 비아 홀 도체(26b)에 대하여는 코일 도체(23a,23d~23f)로 형성되는 나선형 코일(23)의 외주면, 비아 홀 도체(26d)에 대하여는 코일 도체(23a~23c,23f)로 형성되는 나선형 코일(23)의 외주면을 말한다.
즉, 비아 홀 도체(26b,26d)의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선(P)에서 나선형 코일(23)의 외측 근방에 비켜 놓는 것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23a~23f)와 비아 홀 도체(26b,26d)의 중복이 적어지므로 도체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응력의 집중이나 적층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4 참조)
도 4 (A)는 적층 코일 부품(31)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4(B)는 적층 코일 부품(31)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코일 부품(31)은 코일 도체(33a~33f)와 비아 홀 도체(36a~36e)를 제공한 세라믹 그린 시트(32a~32f)를 시트(32a)에서부터 시트(32f)의 순으로 쌓아 올린 후에 한층 더 상하에 보호용 세라믹 그린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적층 한 것이다.
이 적층 코일 부품(31)은 코일 도체(33a~33f)가 코일 도체(33a~33f)의 단부에 제공된 비아 홀 도체(36a~36e)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나선형 코일(33)를 내장하고 있다.
본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조 및 제조 방법이다. 따라서, 본 제 3 실시예의 작용 효과도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같다. 특히,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도체(33a~33f)는 3/4턴 형상으로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비아 홀 도체(36a~36e)의 위치가 4개소로 널리 분산되므로 도체의 집중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게다가, 시트(32a~32f)의 적층 매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33a~33f)과 비아 홀 도체(36a~36e)가 극히 중첩되지 않도록 비아 홀 도체(36a~36e)에 접속된 코일 도체(33a~33f)의 단부의 코너부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그 코일 축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비아 홀 도체(36a~36e)에 접속하지 않은 코일 도체(33a~33f)의 코너부는 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33a~33f)와 비아 홀 도체(36a~36e)가 극히 중첩되지 않으므로 도체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이나 적층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아 홀 도체(36a~36e)의 전체가 나선형 코일(33)의 외주면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아 홀 도체(36a~36e)와 코일 도체(33a~33f)의 적층 방향의 중첩이 극히 적어지고 각각의 도체의 집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나선형 코일(33)의 내경이 커져서 인덕턴스도 커진다.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 3 실시 예의 적층 코일 부품(3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너부의 외주 형상이 뿔 형상으로 내주 형상이 곡선 형상의 코일 도체(33a~33f)를 사용한 적층 코일 부품(31a)이어도 좋다.
또, 상기 제 3 실시예의 적층 코일 부품(3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너부의 내주 형상 및 외주 형상이 뿔 형상의 코일 도체(33a~33f)를 사용한 적층 코일 부품(31b)이어도 좋다.
게다가, 상기 각 실시예는 세라믹 시트를 적층한 후 일체적으로 소성한 것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코일 부품은 반드시 이러한 제조 방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세라믹 시트는 미리 소성된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법에 의해 적층 코일 부품을 제조하여도 좋다. 즉,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페이스트 형상의 세라믹 재료에서 세라믹층을 형성한 후 그 세라믹층의 표면에 페이스트 형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를 도포하여 코일 도체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페이시트 형상의 세라믹 재료를 위에서 도포하여 세라믹층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고, 순서대로 덧칠하는 것에 의해 적층 구조를 가지는 적층 코일 부품으로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세라믹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나선형 코일을 내장한 적층 코일 부품에 유용하고, 특히, 인덕턴스의 저하가 적다는 점에서 뛰어나다.

Claims (10)

  1. 복수의 코일 도체와 복수의 세라믹층을 적층하여 구성한 적층체; 및
    상기 코일 도체의 단부에 제공된 비아 홀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코일 도체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고: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1개 이상의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중심은 상기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고;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된 코일 도체 단부의 패턴 형상은 상기 코일 도체 단부의 나선형 코일의 코일 축 방향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되지 않은 코일 도체의 패턴 형상과는 다르고;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일부는 나선형 코일의 외주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중심은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장변 방향의 단면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3. 복수의 코일 도체와 복수의 세라믹층을 적층하여 구성한 적층체; 및
    상기 코일 도체의 단부에 제공된 패드 및 비아 홀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코일 도체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고: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1개 이상의 상기 비아 홀 도체 및 패드의 중심은 상기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고;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된 코일 도체 단부의 패턴 형상은 상기 코일 도체 단부의 나선형 코일의 코일 축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상기 비아 홀 도체에 접속되지 않은 코일 도체의 패턴 형상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일부는 나선형 코일의 외주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는 상기 비아 홀 도체 및 패드의 중심은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장변 방향의 단면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및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중심은 동심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이 코일 도체의 도체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나선형 코일의 외측 근방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비아 홀 도체의 전체는 나선형 코일의 외주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체는 3/4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체의 적어도 내주는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방향으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비아 홀 도체는 갈지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코일 부품.
KR1020077021990A 2005-09-29 2006-09-04 적층 코일 부품 KR100899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84560 2005-09-29
JP2005284560 2005-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388A KR20070110388A (ko) 2007-11-16
KR100899561B1 true KR100899561B1 (ko) 2009-05-27

Family

ID=3789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990A KR100899561B1 (ko) 2005-09-29 2006-09-04 적층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8931B2 (ko)
EP (1) EP1930917A4 (ko)
JP (1) JP4530045B2 (ko)
KR (1) KR100899561B1 (ko)
CN (1) CN101147213B (ko)
TW (1) TWI309423B (ko)
WO (1) WO20070370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3259B2 (en) 2016-07-07 2021-0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5603B2 (ja) * 2005-03-29 2012-11-07 京セラ株式会社 コイル内蔵基板および電子装置
WO2007063884A1 (ja) * 2005-11-30 2007-06-07 Holy Loyalty International Co., Ltd. 面状インダクタ装置
US7610101B2 (en) 2006-11-30 2009-10-27 Cardiac Pacemakers, Inc. RF rejecting lead
AU2008335462B2 (en) 2007-12-06 2014-02-20 Cardiac Pacemakers, Inc. Implantable lead having a variable coil conductor pitch
WO2009100003A1 (en) 2008-02-06 2009-08-13 Cardiac Pacemakers, Inc. Lead with mri compatible design features
KR100982639B1 (ko) * 2008-03-11 2010-09-16 (주)창성 연자성 금속분말이 충전된 시트를 이용한 적층형 파워인덕터
US8103360B2 (en) 2008-05-09 2012-01-24 Foster Arthur J Medical lead coil conductor with spacer element
CN102084441A (zh) * 2008-07-22 2011-06-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元器件及其制造方法
US20100052837A1 (en) * 2008-09-03 2010-03-04 Siqi Fan Integrated Circuit Multilevel Inductor
US9084883B2 (en) 2009-03-12 2015-07-21 Cardiac Pacemakers, Inc. Thin profile conductor assembly for medical device leads
JP4893773B2 (ja) * 2009-04-02 2012-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315161A1 (en) * 2009-06-16 2010-12-16 Advanced Energy Industries, Inc. Power Inductor
JP5542926B2 (ja) 2009-06-26 2014-07-09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イ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善されたトルク伝達性能を備えmriによる加熱を低減した単線コイルからなるコンダクタアセンブリを含む医療器具リード
JP5365420B2 (ja) * 2009-08-28 2013-12-11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WO2011049684A1 (en) 2009-10-19 2011-04-28 Cardiac Pacemakers, Inc. Mri compatible tachycardia lead
AU2010337309B2 (en) 2009-12-30 2014-01-23 Cardiac Pacemakers, Inc. MRI-conditionally safe medical device lead
JP5542217B2 (ja) 2009-12-31 2014-07-09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イ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層導体を備えるmriの条件付きで安全なリード
US8391994B2 (en) 2009-12-31 2013-03-05 Cardiac Pacemakers, Inc. MRI conditionally safe lead with low-profile multi-layer conductor for longitudinal expansion
US8299883B2 (en) * 2010-03-25 2012-10-3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Laminated inductive device
US8825181B2 (en) 2010-08-30 2014-09-02 Cardiac Pacemakers, Inc. Lead conductor with pitch and torque control for MRI conditionally safe use
KR101153656B1 (ko) * 2010-11-04 2012-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인덕터
JP5673478B2 (ja) * 2011-10-12 2015-02-18 Tdk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WO2013066505A1 (en) 2011-11-04 2013-05-10 Cardiac Pacemaker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lead including inner coil reverse-wound relative to shocking coil
JP5459327B2 (ja) * 2012-01-24 2014-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101339486B1 (ko) 2012-03-29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 코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AU2013249088B2 (en) 2012-04-20 2015-12-03 Cardiac Pacemaker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lead including a unifilar coiled cable
US8954168B2 (en) 2012-06-01 2015-02-10 Cardiac Pacemakers, Inc. Implantable device lead including a distal electrode assembly with a coiled component
JP6069499B2 (ja) 2012-08-31 2017-02-01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イ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ピークmri加熱を有するリード線
WO2014062966A1 (en) 2012-10-18 2014-04-24 Cardiac Pacemakers, Inc. Inductive element for providing mri compatibility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lead
JP5741615B2 (ja) * 2013-03-14 2015-07-01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81755A1 (ja) * 2013-05-08 2014-11-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EP3110499B1 (en) 2014-02-26 2018-01-24 Cardiac Pacemakers, Inc. Construction of an mri-safe tachycardia lead
KR101892689B1 (ko) 2014-10-14 2018-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JP6432531B2 (ja) * 2015-03-27 2018-1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
CN106024327B (zh) * 2015-03-27 2019-07-1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层叠线圈部件
KR101813342B1 (ko) * 2015-12-29 2017-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인덕터
CN106548852B (zh) * 2016-09-21 2019-06-21 广东风华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叠层电感及电子设备
JP6780589B2 (ja) * 2017-06-02 2020-11-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JP6955376B2 (ja) * 2017-06-16 2021-10-27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7015650B2 (ja) 2017-07-03 2022-02-03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KR102438500B1 (ko) * 2021-04-30 2022-08-31 삼화콘덴서공업 주식회사 대전류용 적층 칩 부품
JP7452507B2 (ja) 2021-09-25 2024-03-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538A (ja) * 1989-07-05 1991-02-20 Sumitomo Ringyo Kk 木造建築物の建築工法
JPH08138940A (ja) * 1994-11-04 1996-05-31 Murata Mfg Co Ltd 積層型コイル
JP2001210522A (ja) 2000-01-28 2001-08-03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
JP2002134322A (ja) 2000-10-24 2002-05-10 Tdk Corp 高q高周波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3194A (en) * 1967-10-24 1970-11-24 Gen Electric Information Syste Electromagnetic delay line having superimposed elements
JPH0653044A (ja) * 1992-07-31 1994-02-25 Nippon Steel Corp 薄形インダクタまたは薄形トランス、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3610191B2 (ja) * 1997-06-03 2005-01-12 Tdk株式会社 非磁性セラミックおよびセラミック積層部品
JP3039538B1 (ja) * 1998-11-02 2000-05-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インダクタ
JP3259717B2 (ja) * 1999-08-20 2002-0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インダクタ
JP2001093735A (ja) * 1999-09-27 2001-04-06 Koa Corp 積層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76725A (ja) * 1999-12-15 2001-06-29 Tdk Corp 積層電子部品
US6847282B2 (en) * 2001-10-19 2005-01-25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layer indu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835381B2 (ja) * 2002-09-04 2006-10-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2005191191A (ja) * 2003-12-25 2005-07-14 Tdk Corp 積層型チップインダ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538A (ja) * 1989-07-05 1991-02-20 Sumitomo Ringyo Kk 木造建築物の建築工法
JPH08138940A (ja) * 1994-11-04 1996-05-31 Murata Mfg Co Ltd 積層型コイル
JP2001210522A (ja) 2000-01-28 2001-08-03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
JP2002134322A (ja) 2000-10-24 2002-05-10 Tdk Corp 高q高周波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3259B2 (en) 2016-07-07 2021-0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0917A4 (en) 2011-10-26
CN101147213B (zh) 2012-02-01
KR20070110388A (ko) 2007-11-16
TW200721204A (en) 2007-06-01
JPWO2007037097A1 (ja) 2009-04-02
US7378931B2 (en) 2008-05-27
TWI309423B (en) 2009-05-01
CN101147213A (zh) 2008-03-19
US20070296536A1 (en) 2007-12-27
JP4530045B2 (ja) 2010-08-25
EP1930917A1 (en) 2008-06-11
WO2007037097A1 (ja)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561B1 (ko) 적층 코일 부품
JP4866952B2 (ja) 複合電子部品
JP5196038B2 (ja) コイル内蔵基板
JP2013084871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1848014A1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JP5621573B2 (ja) コイル内蔵基板
JP2009021512A (ja) 積層コンデンサ
JP5613790B2 (ja) 回路保護素子
JP5382091B2 (ja) 複合電子部品
CN107871584B (zh) 电子部件
JP5686225B2 (ja) 積層基板
JP7373922B2 (ja) コイル部品
JPH1197256A (ja) 積層型チップインダクタ
JP3319449B2 (ja) 積層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91427A (ja) 積層型コイル部品
JP2005142302A (ja) 積層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84183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3642462B2 (ja) 積層部品の製造方法
JP5294319B2 (ja) 積層チップバラン素子
JP2005310959A (ja) 積層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75013A (ja) 積層型電子部品
JP4635430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2007123802A (ja) 電子部品
JPH0732936U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5229219A (ja) 積層型フィルタ及び積層型フィルタア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