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321B1 -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321B1
KR100847321B1 KR20057021399A KR20057021399A KR100847321B1 KR 100847321 B1 KR100847321 B1 KR 100847321B1 KR 20057021399 A KR20057021399 A KR 20057021399A KR 20057021399 A KR20057021399 A KR 20057021399A KR 100847321 B1 KR100847321 B1 KR 100847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iezoelectric material
film thickness
thickness distribution
dry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2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386A (ko
Inventor
다카시 아베
리 리
마사요시 에사시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ublication of KR2006002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8Shaping or machin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bodies
    • H10N30/082Shaping or machin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bodies by etching, e.g. lith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91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involving the removal of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s, e.g.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압전재료 기판(11)상에 소정의 막두께 분포를 갖는 마스크(14)를 설치한 후, 압전재료 기판(11), 마스크(14)의 가공속도차를 이용한 드라이에칭에 의해 목표 삼차원 형상으로 가공한다. 마스크(14)의 막두께 분포는, 리플로우, 정밀형(15)을 사용한 압착 등에 의해 조정된다. 드라이에칭에 사용하는 가스 조성의 조정에 의해서도, 마스크(14)의 막두께 분포를 증폭시킨 삼차원 형상으로 압전재료 기판(11)을 가공할 수 있다. 결함을 도입시키지 않고 압전재료를 소정의 삼차원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어, 고정밀도, 고품질의 압전소자가 얻어진다.
Figure 112005064728512-pct00001
압전재료, 마스크, 드라이에칭, 리플로우, 마스크 계면

Description

압전재료의 가공방법{PIEZOELECTRIC MATERIAL WORKING METHOD}
본 발명은 수정, PZT(티탄산지르콘산납), LiNbO3 등의 압전재료를 임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초음파 진동의 제어, 진동 특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전소자는 기준주파수의 발진원, 전자전기기기용 클록 등, 광범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정보처리·전달능력을 고성능화 하기 위한 초박형화나 고품질화를 위한 렌즈 형상으로의 가공법에 관한 연구·개발이 진척되고 있다.
전극직경이 수mm 이상의 대형 진동자에서는, 습식 에칭으로 정형한 볼록부의 단면을 기계연마 등으로 곡면으로 가공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전극직경 1mm 이하의 소형 진동자에서는, 오목면 가공에 의해 지지손실을 저감한 고품질의 진동자를 제작하고 있다. 오목면 가공의 하나의 예로서, 최종 목표에 가까운 프로필로 성형한후에 드라이에칭 하는 방법도 일본 특개 2002-368572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다.
기계연마에서는, 정반에 부착한 연마천으로 압전재료의 표면을 연마하고 있는데, 압전재료의 결정에 데미지를 주기 쉽다. 또, 연마대에 배치한 작은 진동자 모두를 목표 형상으로 마무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형상의 자유도도 낮다. 오목면 가공에서는, 박층화에 의한 고주파화, 지지손실의 저감에 의한 높은 Q값을 얻기 쉽지만, 3차원 형상으로의 가공이 곤란하기 때문에 진동자 중앙부에 큰 질량을 분포시키기 어렵다. 그 결과, 질량부하에 대해 진동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목표 형상에 대응하는 막두께 분포를 갖는 마스크를 압전재료(피가공재)의 표면에 설치한 후에 드라이에칭 함으로써, 대면적에의 대응, 초소형화, 집적화, 가공 자유도가 모두 우수하고, 고정밀도로 삼차원 형상으로 가공된 압전재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방법에서는, 압전재료와 가공속도가 상이한 재료로부터 성막된 마스크를 압전재료의 피가공면에 설치하고, 패터닝 된 마스크 재료의 가열용융, 정밀형의 압착 등에 의해, 마스크에 소정의 막두께 분포를 부여한다. 마스크의 형성에 앞서, 가공속도비를 증폭시키는 박막을 압전재료/마스크의 계면에 개재시켜도 좋다.
마스크가 설치된 압전재료를 드라이에칭 하면, 마스크의 막두께 분포에 상당하는 형상으로 압전재료가 가공된다. 드라이에칭의 초기에 선택반응성이 낮은 가스 조성을 사용하여 마스크, 압전재료의 표면층을 에칭 제거한 후, 압전재료에 대한 선택반응성이 높은 가스 조성으로 바꾸면, 마스크의 막두께 분포가 증폭된 삼차원 형상으로 압전재료가 가공된다.
도 1은 압전재료를 삼차원 가공하는 공정의 흐름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드라이에칭 된 압전재료는 마스크의 막두께 분포를 반영한 삼차원 형상으로 가공된다. 압전재료와의 관계에서 마스크 재료를 선택하여 압전재료, 마스크의 가공속도비를 조절하고, 또는 반응성이 낮은 가스 조성으로부터 압전재료 에 대한 선택반응성이 높은 가스 조성으로 바꾸면서 드라이에칭 할 때, 마스크의 막두께 분포를 증폭시킨 삼차원 형상으로도 가공할 수 있다. 대면적의 압전재료이어도, 복잡하고 임의의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하다. 게다가, 드라이에칭에 의한 가공이기 때문에, 결정 결함의 원인이 되는 왜곡의 도입이나 이물의 혼입이 없이, 면내방향의 질량분포가 요구에 따라 제어된 고품질의 압전소자가 얻어진다.
진동에너지가 질량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이는 압전소자에서는, 미리 요구에 대응한 면내 질량분포를 적정화 하여 전극을 배치할 때, 전기 에너지로부터 기계진동 에너지로의 효율적인 변환이 촉진된다. 그 때문에, 큰 부하가 걸리는 흡착물의 측정, 외계에의 진동의 전파 등의 목적에 대응한 우수한 진동자를 실현하는 점에서, 질량분포를 3차원적으로 정형하는 가공기술이 중요하다.
기계가공, 레이저가공에 의한 경우 가공 자유도는 높아지지만, 대부분의 압전재료는 취성 재료이어서, 가공시의 열로 결정구조가 변화될 우려도 있다. 그 때문에 고품위 진동자의 제작에 적합한 가공법이 요구된다. 이 점에서, 가공시에 기계적, 열적인 응력의 도입이 없는 드라이에칭에 의한 경우, 결정구조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 압전재료를 목표로 하는 삼차원 형상으로 고정밀도 가공할 수 있다. 드라이에칭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소형화, 대량 일괄생산에도 적합하다.
컨벡스형 수정진동자 마이크로 밸런스의 가공을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피가공기판(11)(압전재료 기판)에 가공속도비 증폭막(12)을 통하여 마스크(13)를 형성한다(도 1A). 증폭막(12)은, 피가공기판(11)과 가공속도가 다른 무기질 금속, 세라믹 등으로 성막되고, 드라이에칭에 의한 피가공기판(11), 마스크(13)의 가공속도비를 조정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설치된다.
포토레지스트로부터 성막되는 마스크(13)에서는, 예를들면 압전재료 기판(11)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조사되는 광량이 중앙부보다 적어지는 조건하에서 레지스트 막을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후막의 중앙부로부터 둘레 가장자리부분을 향하여 얇아지는 막두께 분포를 갖는 마스크(14)로 정형할 수 있다. 압전재료(피가공기판(11))에 비해 포토레지스트제 마스크(14)의 에칭 속도는 일반적으로 낮으므로, 통상 조건하의 드라이에칭에서 형성되는 요철이 얕아진다.
보다 입체적인 형상의 전사가 요구되는 경우, 주석, 저융점 유리, 플리트 등, 저융점의 무기질 금속이나 세라믹스를 리플로우 함으로써, 피가공기판(11)에 비해 가공속도가 낮은 마스크(14)를 형성한다(도 1B). 마스크(14)는 포토레지스트제 마스크(13)상에 적층해도 좋다.
다른 기판에 미리 형성한 정밀형(15)을 마스크(13)에 압착하고, 막두께 분포가 제어된 마스크(14)에 정형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도 1C). 정밀형(15)을 사용하는 경우, 마스크(13)에 대향하는 정밀형(15)의 작용면에 박리지(16)를 깔고, 정형된 마스크(14)로부터 정밀형(15)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플로우, 정밀형(15)의 압착 어느 경우에도, 두꺼운 중앙부로부터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여 서서히 얇아지는 막두께 분포를 갖는 마스크(14)로 정형된다.
막두께 분포가 제어된 마스크(14)를 설치한 피가공기판(11)을 드라이에칭 하면, 마스크(14)의 막두께 분포가 반영된 형상(도 1D)에 피가공기판(11)의 표면층이 가공되어, 목표 형상(도 1E)을 갖는 압전소자 소재(17)가 얻어진다.
피가공기판(11)에 전사되는 삼차원 형상의 요철은, 피가공기판(11)과 마스크(14)의 가공속도비 조절에 의해서도 제어된다. 예를들면, 드라이에칭에서는, 피가공기판(11)을 선택적으로 가공 또는 취약화 하는 라디칼 등의 공급원으로서 PFC(퍼플루오로 카본), SF6, 염소, 옥소계의 가스(이하, 선택반응성 가스라고 함)와 선택성이 없는 물리적 에칭 작용을 보이는 Ar, Kr, Xe 등의 가스(이하, 비선택성 가스라고 함)가 사용되지만, 선택반응성 가스와 비선택성 가스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가공속도비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플라즈마 발생의 투입 파워에 의해서도 가공속도비가 제어된다.
예를들면, 정형된 포토레지스트제 마스크(14)를 드라이에칭 하는 도중에, 비선택성 가스가 많은 가스 조성으로부터 선택반응성 가스가 많은 가스 조성으로 바 꾼다. 비선택성 가스의 비율이 높은 드라이에칭에서는, 마스크(14)의 막두께 분포가 피가공기판(11)에 전사된다. 선택반응성 가스의 비율이 높은 드라이에칭에서는 피가공기판(11)이 우선적으로 에칭된다. 그 결과, 마스크(14)의 막두께 분포가 증폭된 삼차원 형상으로 피가공기판(11)을 가공할 수 있다.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PZT를 압전재료 기판(11)에 사용하고, 포지형 레지스트를 스핀 코트법으로 도포하여, 막두께 7㎛의 레지스트 막을 형성했다. 농담이 있는 그레이팅 마스크로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함으로써 막두께 분포가 제어된 마스크(14)로 정형했다. 정형된 마스크(14)는 단면이 주기적인 톱니 형상으로 된 막두께 분포를 갖고 있었다.
이어서, 반응성 드라이에칭에 의해 마스크(14)의 막두께 분포를 피가공기판(11)에 전사했다. SF6를 에칭 가스로 사용하여 10Pa 이하의 감압분위기에서 드라이에칭한 바, 포토레지스트, PZT의 가공속도비는 0.2 정도이고, PZT의 가공속도는 0.1∼0.2㎛/분이었다. 그 결과, 1㎛ 정도의 주기적인 패턴을 PZT에 전사할 수 있었다.
드라이에칭 된 PZT에 전극을 패터닝 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판상의 미소물체를 일정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2]
압전재료 기판(11)에 수정을 사용하고, 포지형 레지스트를 스핀 코트법으로 도포하여, 막두께 4㎛의 레지스트 막을 형성했다. 레지스트 막을 패터닝 하여 컨벡스 형상으로 정형한 후, 열처리를 시행했다. 열처리에서는, 가열온도를 서서히 올려서 렌즈 형상으로 레지스트를 리플로우 시킴으로써, 막두께 분포가 제어된 마스크(14)로 했다.
이어서, 반응성 드라이에칭에 의해 마스크(14)의 막두께 분포를 피가공기판(11)에 전사했다. SF6, Xe의 혼합 가스를 에칭 가스로 사용하고 10Pa 이하의 감압분위기로 드라이에칭 한 바, 포토레지스트, 수정의 가공속도비는 0.3 정도이고, 수정의 가공속도는 0.4∼0.6㎛/분이었다. 그 결과, 마스크(14)의 렌즈 형상에 상당하는 삼차원형상으로 수정을 가공할 수 있었다.
마스크(14)의 렌즈 높이를 1∼2㎛ 정도로 하면, 진동특성이 대폭 향상된 압전소자가 얻어지고, 미가공시에 비해 Q값이 2배 이상이나 높아졌다. 제작된 압전소자에서는, 부진동도 1자리 가까이 저감되었다.
[실시예 3]
압전재료 기판(11)에 수정을 사용하고, 포지형 레지스트를 스핀 코트법으로 도포하고, 막두께 4㎛의 레지스트 막을 형성했다. 레지스트 막을 패터닝 하여 컨벡스 형상으로 정형한 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에서는, 가열온도를 서서히 올림으로써 렌즈 형상으로 레지스트를 리플로우 시킴으로써, 막두께 분포가 제어된 마스크(14)로 만들었다.
이어서, 10Pa 이하의 감압분위기에서 반응성 드라이에칭 함으로써 마스크 (14)의 막두께 분포를 피가공기판(11)에 전사했다. 에칭 가스에는, SF6, Xe의 혼합 가스를 사용했다. 에칭 초기에 혼합 가스의 조성비를 SF6:Xe=9:1로 하고 3분간 에칭함으로써, 마스크(14)의 컨벡스와 수정판과의 경계에 높이 1㎛의 사면을 형성했다. 그 후, 가스 유량 제어장치로 수초 이내에 조성비를 1:1로 변경한 바, 가공속도비가 0.4→0.2, 수정의 가공속도가 0.4㎛/분→0.2㎛/분 이하로 대폭 저하했다. 가공속도비, 가공속도의 저하에 따라, 마스크(14)/수정판의 경계가 완만한 구배를 갖는 사면으로 정형되었다.
제작된 압전소자는, 중앙부에 부여된 곡면분포 때문에, 공진주파수의 둔화가 억제된 소자로서 사용할 수 있었다.
막두께 분포가 제어된 마스크(14)를 설치한 압전재료 기판(11)을 드라이에칭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습식 에칭-기계연마에 비해 목표 삼차원 형상으로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고, 중앙부에 큰 질량을 분포시키는 것도 용이하다. 이렇게 가공된 압전재료로 작성되는 압전소자는, 질량부하에 대한 진동이 안정하므로, 극미량의 바이오, 화학물질을 검출하는 분자인식 센서 등을 비롯하여 광범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Claims (5)

  1. 압전재료와 가공속도가 다른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압전재료의 피가공면에 설치하고,
    상기 마스크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조사되는 광량이 중앙부보다 적어지는 조건 하에서 상기 마스크를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또는 상기 마스크를 패터닝하고 난 후 가열 용융에 의해 리플로우 함으로써, 소정의 막두께 분포를 상기 마스크에 부여하고,
    상기 압전재료 및 상기 막두께 분포가 부여된 마스크를 해당 막분포가 부여된 마스크가 에칭 제거될 때까지 드라이에칭 함으로써,
    상기 압전재료의 피가공면을 상기 마스크의 막두께 분포를 반영한 삼차원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막두께는 Ar, Kr 및 X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비선택반응성 가스를 사용한 드라이에칭 후, PFC, SF6, 염소 및 옥소계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선택반응성 가스를 사용한 드라이에칭으로 바꾸는 것에 의해 얻어지며, 이때 상기 비선택반응성과 선택반응성은 마스크와 압전재료에 대한 반응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두께 분포를 가지는 마스크 재료의 막이 컨벡스(convex) 형상이고, 상기 삼차원 형상이 컨벡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KR20057021399A 2003-05-21 2004-05-20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KR100847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2894A JP4133580B2 (ja) 2003-05-21 2003-05-21 圧電材料の加工方法
JPJP-P-2003-00142894 2003-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386A KR20060028386A (ko) 2006-03-29
KR100847321B1 true KR100847321B1 (ko) 2008-07-21

Family

ID=3347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21399A KR100847321B1 (ko) 2003-05-21 2004-05-20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00864A1 (ko)
EP (1) EP1632466A4 (ko)
JP (1) JP4133580B2 (ko)
KR (1) KR100847321B1 (ko)
CN (1) CN1791565A (ko)
WO (1) WO2004103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571U (ja) * 1992-04-23 1993-11-19 リョービ株式会社 打撃工具のノーズ部
JP4012156B2 (ja) 2004-02-02 2007-11-2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圧電素子の製造方法
US7955516B2 (en) 2006-11-02 2011-06-07 Applied Materials, Inc. Etching of nano-imprint templates using an etch reactor
JP2008270416A (ja) * 2007-04-18 2008-11-06 Sanken Electric Co Ltd 物体に粗面を形成する方法
EP2599136A1 (en) 2010-07-26 2013-06-05 Fujifilm Corporation Forming a device having a curved piezoelectric membrane
KR20140005289A (ko) 2011-02-15 2014-01-14 후지필름 디마틱스, 인크. 마이크로-돔 어레이들을 이용한 압전 변환기들
FR2988912A1 (fr) 2012-04-02 2013-10-04 St Microelectronics Crolles 2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nergie
FR2988911A1 (fr) * 2012-04-02 2013-10-04 St Microelectronics Crolles 2 Plaque incurv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WO2013161095A1 (ja) 2012-04-26 2015-12-21 東レ株式会社 凹凸構造を有する結晶基板の製造方法
JP7029640B2 (ja) * 2018-07-03 2022-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板材の加工方法および素子チップの製造方法
JP7146499B2 (ja) * 2018-07-17 2022-10-04 東京計器株式会社 3次元構造部材の製造方法、加速度ピックアップ部材の製造方法、加速度ピックアップ部材、及び加速度センサ
JP7456264B2 (ja) 2020-04-24 2024-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振動素子の製造方法、振動素子および振動子
CN111875378A (zh) * 2020-07-14 2020-11-0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五研究所 一种pzt基高居里温度压电陶瓷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980A (ja) * 2000-09-20 2002-03-27 Ricoh Opt Ind Co Ltd 濃度分布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
JP2002368572A (ja) * 2001-06-05 2002-12-20 Yoshiaki Nagaura 圧電素子、又は電子素材、及び音響−電気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1070A (ja) * 2001-09-17 2003-03-28 Ricoh Opt Ind Co Ltd 三次元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126B2 (ja) * 1993-04-16 1998-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曲面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US6562523B1 (en) * 1996-10-31 2003-05-13 Canyon Materials, Inc. Direct write all-glass photomask blanks
US5920786A (en) * 1998-04-15 1999-07-06 Advanced Micro Devices Method for fabricating shallow isolation trenches using angular photoresist profiles to create sloped isolation trench walls
JP3731348B2 (ja) * 1998-06-09 2006-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電振動子
JP2000232095A (ja) * 1999-02-12 2000-08-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半導体表面の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1111129A (ja) * 1999-10-09 2001-04-20 Yoshiaki Nagaura 圧電素子及びその加工方法
US6420202B1 (en) * 2000-05-16 2002-07-1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ethod for shaping thin film resonators to shape acoustic modes therein
JP2002048907A (ja) * 2000-08-01 2002-02-15 Canon Inc 回折光学素子の製作方法
JP2003060481A (ja) * 2001-08-16 2003-02-28 Citizen Watch Co Ltd 圧電振動素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圧電デバイス
US6849558B2 (en) * 2002-05-22 2005-02-0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Replication and transfer of microstructures and nanostruc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980A (ja) * 2000-09-20 2002-03-27 Ricoh Opt Ind Co Ltd 濃度分布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
JP2002368572A (ja) * 2001-06-05 2002-12-20 Yoshiaki Nagaura 圧電素子、又は電子素材、及び音響−電気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1070A (ja) * 2001-09-17 2003-03-28 Ricoh Opt Ind Co Ltd 三次元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00864A1 (en) 2007-01-04
EP1632466A1 (en) 2006-03-08
KR20060028386A (ko) 2006-03-29
EP1632466A4 (en) 2009-06-17
JP4133580B2 (ja) 2008-08-13
CN1791565A (zh) 2006-06-21
JP2004349365A (ja) 2004-12-09
WO2004103932A1 (ja)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321B1 (ko) 압전재료의 가공방법
KR100838188B1 (ko) 압전소자의 제조방법
JP4334864B2 (ja) 薄板水晶ウェハ及び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
TW201705561A (zh) 一種新型具有雙凸結構的壓電石英晶片及其加工工藝
JPS60123807A (ja) 測地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20230067030A1 (en) Fabrication of mems structures from fused silica for inertial sensors
KR100702822B1 (ko) 에칭 공정에 의해 3차원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JP2001274128A (ja) 薄板の研磨加工方法及び圧電振動片の製造方法
JP4031171B2 (ja) スルーホール形成方法
JPH11163654A (ja) 補強された圧電基板の製造方法
CN202931261U (zh) 用于弹性波装置的复合基板
JP3427616B2 (ja) 静電容量型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03845A (ja) X線露光用マスクの製造方法
JP3309620B2 (ja) ドライエッチングによる部品の製造方法
WO2024027736A1 (zh) 压电层设置导电通孔的石英谐振器及其制造方法、电子器件
JP2004032572A (ja)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JPH07240398A (ja) シリコン基板の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エッチング装置
JP2002299977A (ja)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KR100213759B1 (ko) 반도체 센서용 마이크로 빔의 제조방법
JP2007191326A (ja) 微細加工用基材の微細加工方法、その加工品、プレス成形品
JPS6294008A (ja) 圧電薄膜共振子
CN110797296A (zh) 一种带有内层空腔结构的soi产品的制备方法
JPH09117859A (ja) 被研磨基板の研磨方法
CN1620753A (zh) 弹性表面波元件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JP3387520B2 (ja)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