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667B1 -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인공피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인공피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667B1
KR100841667B1 KR1020017014980A KR20017014980A KR100841667B1 KR 100841667 B1 KR100841667 B1 KR 100841667B1 KR 1020017014980 A KR1020017014980 A KR 1020017014980A KR 20017014980 A KR20017014980 A KR 20017014980A KR 100841667 B1 KR100841667 B1 KR 10084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ibitor
artificial skin
skin
acid
matrix metalloprotein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920A (ko
Inventor
아마노사토시
마츠나가유키코
이노마타신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2001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32Inhibitors, antagonists
    • A61L2300/434Inhibitors, antagonists of enzy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와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피부 기저막 안정화제; 및 인공 피부 형성용 배지 중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와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 {AGENTS PROMOTING THE FORMATION OF SKIN BASEMENT MEMBRANE, AGENTS PROMOTING THE FORMATION OF ARTIFICIAL SKIN AND PROCESS FOR PRODUCING ARTIFICIAL SKIN}
본 발명은 피부 기저막 안정화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 및 피부 과학 분야에서는 피부에 대한 일광의 조사를 비롯한 외부 환경의 영향이나 노화에 따른 손상을 경감 혹은 치료하기 위해 다종 다양한 수단이 제안되고, 또한, 시도되고 있다. 예컨대, 노화에 따른 피부 변화로서는 주름의 형성, 경화 혹은 탄력성의 저하 등을 주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 피부 진피에 있어서의 콜라겐, 엘라스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으로 이루어지는 교원 섬유 및 탄성 섬유의 기능 저하에 주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변화를 방지 혹은 수복하는 수단으로서, 히드록시카르복실산류의 사용(예, 일본 특허 제2,533,339호 공보), 라이소인지질의 사용(일본 특허 공개 평8-67621호 공보) 또는 日本油化學會誌 제46권 제9호{(1997) 13-19페이지}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2,533,339호 공보에는 콜라겐 섬유 감손의 방지에 의해 각질이 나 주름을 근절할 수 있음이 시사되어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평8-67621호 공보에서는 라이소인지질이 사람 섬유아세포에 있어서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구체적으로는 히알루론산)의 생성능을 항진시킴으로써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상기 외부 환경이 피부 노화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가장 강력한 것은 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이며, 명확하게 노화 촉진 인자로서 위치가 부여되고 있고, 깊은 주름을 특징으로 하는 광 노화라 일컬어지는 피부 변화를 유도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문헌: Scharffetter-Kochanek, Advance in Pharmacology, 1997, 58, 639-655].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유전자 DNA의 상해로부터 시작하여, 활성 산소 생성 유도, 그리고 최근에는 매트릭스 분해 금속 효소의 생성 유도가 있다 [문헌: Fisher et al., Nature, 1996, 379, 335-339].
자외선이 갖는 이러한 다작용성 때문에,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광 노화가 어떠한 메카니즘으로 일어나는지에 관하여는 충분히 규명되지 못하였다. 털이 없는 마우스에게 홍반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에너지의 자외선을 계속해서 조사함으로써 마우스 등부위의 피부에 사람의 광 노화 피부에 대응하는 깊은 주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주름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평가도 수행되어 왔다[Moloney et al., Photochem. Photobiol. 1992, 56, 495-504]. 그러나, 주름 형성 메카니즘에 관해서는 충분히 규명되어 있지 않아서 그러한 규명이 기대되고 있었다.
한편, 1994년 Koivukangas et al.은 자외선을 조사한 피부에서 기저막 분해 효소인 젤라티나아제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헌: Acta Derm. Venereol. 1994, 74, 279-282]. 또한, 일광 노출 부위 피부에서는 기저막이 구조 변화를 보이고, 특히 다중화(reduplication)가 빈번하게 관찰되는 것으로도 보고되어 있다 [문헌: Lavker, J. Invest. Dermal. 1979, 73, 59-66]. 이것은 일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이 피부에 있어서의 기저막 분해 효소의 생성량을 높임으로써 기저막 구조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 기저막 구조의 형성을 촉진하는 구체적인 수단에 관하여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인공 피부는 어떠한 원인으로 손상을 받은 천연의 피부의 대체물로서, 또는 피부에 대한 의약이나 화장품의 작용이나 약효를 시험하기 위한 실험 재료로서 중요하며, 어느 용도에 있어서도 천연 피부의 구조를 가능한 한 모방한 구조를 갖는 인공 피부가 요구되고 있다.
천연 피부는 개략적으로는 표피와 진피,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기저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연 피부를 모방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는 진피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사람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수축 I형 콜라겐 겔 위에 사람 정상 표피 각질 형성 세포를 배양하여 표피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진피를 모방한 콜라겐 겔과 표피를 모방한 표피층 사이에 기저막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다고 하는 결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기저막 안정화를 위한 신규한 수단 및 인공 피부의 제조에 있어서 기저막의 충분한 형성을 달성하는 신규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를 검토한 결과,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억제제,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와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 양자를 투여함으로써 피부 기저막의 구조 형성이 촉진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를 검토한 결과, 인공 피부를 제조하기 위한 배양에 있어서, 배지 중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억제제,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와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 모두를 첨가함으로써 기저막의 형성이 촉진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 피부 형성 배지 중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인공 피부 형성 배지 중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인공 피부의 형성을 위한 배양에 있어서, 배지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CGS27023A (10 μM) 또는 MMP-억제제(300 μM)를 첨가한 경우와, 어느 것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한 인공 피부의 단면 사진으로, 생물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는 인공 피부의 형성을 위한 배양에 있어서, 배지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 (CGS로 나타냄)만, 혹은 CGS 외에,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인 전환 성장 인자 α를 가한 경우(CGS + TGFα), CGS 외에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인 전환 성장 인자 β1을 가한 경우(CGS + TGFβ1) 및 CGS 외에 TGFα및 TGFβ1 모두를 가한 경우(CGS + TGFα+ TGFβ1)에, 형성된 인공 피부를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H&E) 및 면역 염색 [라미닌 5의 검출(LN5)]을 수행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인공 피부의 단면도로서, 생물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실험에서, 면역 염색〔IV형 콜라겐의 검출(IVC) 및 VII형 콜라겐의 검출(VIIC)〕을 수행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인공 피부의 단편으로, 생물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인공 피부의 형성을 위한 배양에 있어서, 배지에 매트릭스 메탈로프 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와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인 대두 레시틴을 첨가한 경우(CGS+대두 레시틴)와, 이들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대조군)에 형성된 인공 피부의 단면으로, 생물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로서는 이러한 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이면 되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로서는 예컨대 젤라티나아제, 콜라게나아제, 스트로멜라이신, 마트리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는 예컨대 젤라티나아제, 콜라게나아제, 스트로멜라이신, 매트리라이신 등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CGS27023A 물질 (N-히드록시-2-[[(4-메톡시페닐)설포닐]-3-피콜릴)아미노]-3-메틸부탄아미드염산염) [문헌: J. Med. Chem. 1997, Vol. 40, p.2525-2532], MMP-억제제-(p-NH2-Bz-Gly-Pro-D-Leu-Ala-NHOH)(FN-437) [문헌: BBRC, 1994, Vol. 199, p.1442-1446]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의 구체예로서는 여러 가지의 식물 추출물이나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정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로서는 백리향(Thymus serpyllum L.),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Briquet) 또는 그 밖의 근연(近緣) 식물(Valerianaceae),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erg(Ebenaceae)],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inne(Leguminosae)], 산사나무[Crataegus cuneata Siebold et Zuccarini(Rosaceae)],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Poeonia montan Sims) (Paconiaceae)], 홍차[Thea sinensis Linne var. assamica Pierre(Thcaccae)], 유칼리(Eucalyptus globulus Labillardiere) 또는 이의 근연 식물(Myrtaceae), 톨멘틸라[Potentilla tormentilla Schrk(Rosaceae)], 참피나무[Tilia corda:a Mill., Tilia platyphyllus Scop., Tilia europaea Linne(Tiliaceae)], 자작나무[Betula alba Linne(Betulaceze)], 마죠람(Origanummajorana L.), 아선약(阿仙藥)[Uncaria gambir Roxburgh(Rubiaceae)], 호도껍질(Juglans regia Linne var. sinensis De Candolie) 또는 그 근연 식물(Juglandaceae), 고삼(Sophora flavescens Aiton(Leguminosae)),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inne(Rosaceae)), 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 Linne 또는 Hypericum erectum Thunberg(Guttiferae)), 차나무(Thea sinensis Linne(Theaceae)), 심황(Curcuma longa L(Zingiberaceae)), 심황의 추출 정제물인 쿠르쿠민(curcumin), 향부자(Symplocos racemosa, Cyperus rotundus), 미로발란(Myrobalan) 나무(Cyperus scariosus, Gaultheria fragrantissima, Acacia fornensia, Terminalia chebula), 벵골 보리수(반야쥬)(Ficus bengalensis), 난반-사이카치(Nanban-saikachi)(Cassia fistula Linn), 나사나무(Lyonia ovalifolia), 조엽목(야라보, 타마나)(Calophyllum inophyllum), 보제수(Ficus religios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식물의 추출물은 초본 식물에서는 뿌리, 잎, 줄기, 꽃 등으로부터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목본 식물에서는 뿌리, 싹, 수피, 과실, 잎, 꽃 등으로부터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은 식물 재료를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키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세단 또는 분쇄한 후, 수성 추출제 또는 유기 용매에 의해 추출함으로써 얻는다. 수성 추출제로서는 예컨대, 냉수, 온수, 또는 비점 혹은 그보다 저온의 열수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유기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1,3-부탄디올, 에테르 등을 상온에서 또는 가열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매트릭스 단백질로서는 기저막의 구성 성분인 라미닌, IV형 콜라겐, VII형 콜라겐, 팔레칸(パ-レカン), 나이드젠(ナイドジェン) 등을 들 수 있다.
매트릭스 단백 생성 항진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로서는 이들 단백질의 생성을 항진하는 경우인, 예컨대 대두 라이소레시틴, 전환 성장 인자 α(TGFα), 전환 성장 인자 β1(TGFβ1), 전환 성장 인자 β2(TGFβ2), 전환 성장 인자 β3(TGFβ3), 표피 증식 인자(EGF) 등 및 그것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또는 피부 기저막 안정화제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와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의 비율은 이들의 종류나 활성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106∼106:1이다.
인공 피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공 피부의 제조에 이용하는 기초 배지로서는, 인공 피부의 제조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임의의 배지를 이용할 수 있고, 이들 배지로서는 10%의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둘베코 개변 이글 배지(DMEM); 10%의 소 태아 혈청, 트랜스페린 5 ㎍/㎖, 인슐린 5 ㎍/㎖, 트리요오도티로신 2 nM, 콜레라톡신 0.1 nM, 히드로코르티존 0.4 ㎍/㎖를 포함하는 DMEM-Ham's F12(3:1); 각질 형성 세포 증식 배지(KGM)와 10%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을 1:1로 혼합한 배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초 배지에 첨가되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의 양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 nmol/ℓ∼10-2 몰/ℓ이다. 또한 기초 배지에 첨가되는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의 양은 1 ng/ℓ∼1 g/ℓ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인공 피부의 제조에서는 우선, 철망 위에 사람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수축 I형 콜라겐 겔을 정치시킨다. 사람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수축 I형 콜라겐 겔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섬유아세포 현탁 콜라겐 용액을 얼음 위에서 제작한 후, 페트리 접시 내에서 콜라겐을 겔화시켜 조제한다. 그 후, 페트리 접시 벽면으로부터 겔을 박리시키고, 콜라겐 겔을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수축시킨다.
이어서, 상기 콜라겐 겔 위에, 표피 세포, 예컨대 사람 정상 표피 각질 형성 세포를 배양하여 표피를 형성한다. 피부 세포의 배양에 의한 표피층의 형성은 다음 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수축 콜라겐 겔을 철망 위에 놓고, 또한 유리 링을 이 겔 위에 얹는다. 이 유리 링 내에 액체 누설을 일으키지 않도록 사람 포피 유래의 표피 각질 형성 세포 현탁액을 넣는다.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각질 형성 세포를 접착시키고, 링을 벗긴다. 상기 배지를 표피층의 경계까지 채우고, 표피층을 공기에 노출시키면서, 배양을 지속하여 각 층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수축 I형 콜라겐 겔로 이루어지는 진피층과, 표피층과의 사이에 충분한 기저층이 형성된 천연 피부에 가까운 인공 피부를 얻을 수 있다.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
노화에 따른 변화로서 나이를 먹음에 따른 기저막의 다중화를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화의 보고 [문헌: Lavker, J. Invest. Dermal. 1979, 73, 59-66]에 착안하여 화장의 주된 대상인 안면 피부의 기저막 구조 변화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이 기저막의 구조 변화가 20대 후반부터 일어나기 시작하여 나이를 먹음에 따라 축적되어 가는 것이 발견된다. 이 기저막의 구조 변화는 주름의 형성, 경화 혹은 탄력성의 저하 등의 나이를 먹음에 따른 피부 변화에 선행하는 피부 변화이다.
따라서, 표피 기저 세포가 깔끔하게 기저막에 결합되고 있는 것이 정상적인 피부 기능 발현에 있어서 필수이며, 기저막 형성 촉진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일상의 자외선을 상정한 자외선 조사광 노화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주름 형성 억제 제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 매트릭스 분해 금속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약제에 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피부 노화의 방어제로서, 피부에 있어서의 기저막의 재생·수복의 촉진제가 유효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트릭스 분해 금속 효소 억제 화합물의 1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이 매트릭스 분해 금속 효소 억제 화합물의 1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과 매트릭스 단백질의 생성을 높이는 활성을 보이는 화합물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피부 기저막의 재생 수복의 촉진, 형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로 함유하는 피부 부활(賦活)용 조성물 또는 기저막 형성 촉진 인공 피부 배양액이 새롭게 제공된다. 이러한 "피부 부활"이란, 예컨대 나이를 먹음 등에 의한 기저막의 구조 변화에 따른 피부의 기능 저하,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주름, 경화 등을 방어·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저막의 재생 수복의 촉진, 형성 촉진 효과를 보이기에 충분한 농도"는 사용하는 화합물의 종류나 그 조성물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그 밖의 성분 또는 제형, 나아가 시험 실시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는 활성 성분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와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조성물에 대하여 0.000001∼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6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기저막 안정제는 수용액, 오일액, 그 밖의 용액, 유액, 크림, 겔, 현탁액, 마이크로캡슐, 분말, 과립, 캡슐, 고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 는, 그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이들 형태로 조제한 뒤에, 로션 제제, 유액제, 크림제, 연고제, 경고제, 습포제, 에어졸제, 주사제, 내복제 (정제, 산제, 과립제, 환제, 시럽제, 토로키제 등), 좌제 등으로서, 신체에 도포, 첨부, 분무, 주사, 음용, 삽입할 수 있다. 이들 제제 형태 중에서도 로션 제제, 유액제, 크림제, 연고제, 경고제, 습포제, 에어졸제 등의 피부 외용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절한 제제 형태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기재된 피부 외용제에는 의약품, 의약부외품, 향장품이 포함되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이들을 조제할 때에 상용되고 있는 부형제, 향료 등을 비롯하여 유지류, 계면 활성제, 방부제, 금속 이온 봉쇄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분말 성분, 자외선 방어제, 보습제, 약효 성분,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세정제, 건조제, 유화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들 각종 성분을 본 발명의 피부 부활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상기 유지류로서는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유지로서 아보가도 오일, 동백유, 달맞이꽃유, 터틀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소맥배아유, 밀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니씨유, 홍화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중국나무(chinese wood)유, 일본참오동나무유, 호호바(hohoba)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 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등이, 고체 유지로서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馬脂),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豚脂),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牛脚脂),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 왁스류로서 밀랍, 칸델릴라 왁스, 면랍,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수랍(tree wax), 경랍, 몬탄 왁스, 밀기울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라놀린 아세테이트,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헥실, 환원 라놀린, 조조바(jojoba) 왁스, 경질 라놀린, 셀락(shellac) 왁스, POE 라놀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 탄화수소유로서는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스쿠알렌, 프리스탄(pristan),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미정질 왁스 등의 유분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노산(EPA), 도코사헥사노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컨대, 라우릴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미리스틸 알콜, 올레일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등의 직쇄 알콜,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 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 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 알콜, 옥틸도데카놀 등의 분지쇄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옥틸 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올레인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세틸락테이트, 미리스틸락테이트, 라놀린아세테이트,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탄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시트린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콜,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틴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핀산2-헥실데실, 세바틴산디이소프로필, 호박산2-에틸헥실,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아밀, 구연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류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수소폴리실록산 등의 직쇄형 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폴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수소폴리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3차원 메쉬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기저막 안정제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비누용 베이스, 라우린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 K 등의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POE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룸,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 POE 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 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의 인산에스테르염, 디-2-에틸헥실설포호박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타놀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호박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호박산나트륨 등의 설포호박산염, 직쇄형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직쇄형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직쇄형 도데실벤젠설폰산 등의 알킬벤젠설폰산염,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화유,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 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설폰산염, 2급 알콜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호박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듐),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알킬피리디늄염,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 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콜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들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탈)-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륨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쪽성 계면 활성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도베타인, 설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키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글리세린, 세스키올레인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α,α'-올레인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말산 등의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지방산류,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POE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이트 등의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POE 모노올레이트, POE 디스테아레이트, POE 모노디올레이트, 시스테아린산에틸렌글리콜 등의 POE 지방산에스테르류, POE 라우릴에테르, POE 올레일에테르, POE 스테아릴에테르, POE 베헤닐에테르, POE 2-옥틸도데실에테르, POE 콜레스타놀 등의 POE 알킬에테르류, POE 옥틸페닐에테르, POE 노닐페닐에테르, POE 디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 알킬페닐에테르류, 플루로닉 등의 플루랄로닉형류, POE·POP 세틸에테르, POE·POP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 모노부틸에테르, POE·POP 수소 첨가 라놀린, POE·POP 글리세린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 POE·테트라 POP 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POE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 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의 POE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소르비톨 밀납 등의 POE 밀납·라놀린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POE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아민, POE 지방산아미드, 자당지 방산에스테르, POE 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에데트산나트륨염, EDT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무기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아라비아 껌, 트라가칸트 껌, 갈락탄, 구아 껌, 카로브 껌, 카라야 껌, 카라기난, 타마린드 껌, 크산탄 껌,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조류 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씨리즈산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 껌,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런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황산셀룰로오스디메틸디알킬(12∼20)암모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 4000, 6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 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렌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말 성분으로서는 탈크, 카올린, 운모, 비단운모(sericite),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운모, 버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구운 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미리스틴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의 무기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4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유기 분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백색 안료, 산화철(적산화철), 티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저차(低次) 산화티탄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산화티탄 코팅된 운모, 산화티탄 코팅된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팅된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팅된 운모, 옥시염화비 스무트, 물고기비늘박(魚鱗箔) 등의 진주 안료,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의 금속 분말 안료,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황색 404호,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 색소 등, 티탄 옐로우, 카사민, 홍화적(紅花赤) 등의 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방어제로서는 화학적으로 자외선을 흡수하는 물질인 "자외선 흡수제"와, 물리적 작용에 의해서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시키는 물질인 "자외선 차단제" 모두를 포함한다.
즉, 장파장 자외선(UVA) 흡수제로서, 메틸안트라닐레이트,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염산,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예 컨대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이들 장파장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도 4-메톡시-4'-tert-부틸디벤조일메탄,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유도체, 예를 들면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은 안전성 및 유효성이 우수한 장파장 자외선 흡수제로, 바람직하다.
또한, 중파장 자외선(UVB) 흡수제로서,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이하, PABA라 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아밀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디프로필렌글리콜살리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살리실레이트, 미리스틸살리실레이트, 메틸살리실레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시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시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시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시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시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시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시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시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시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시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시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시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시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팔라듐메톡시시나메이트, 메톡시신나메이트옥틸, 3,4,5-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3-메틸-4-[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부틸, p-디 메톡시신나메이트모노에틸에스테르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1-캠퍼, 3-벤질리덴-d,1-캠퍼,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틴-2-온 등의 캠퍼 유도체, 우로칸산, 우로칸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조옥사졸, 디벤잘라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로서, 산화티탄(TiO2), 탈크(MgSiO2), 카르민(FeO2), 벤토나이트, 카올린, 산화아연(Zn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크실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젖산나트륨, 담즙산염, d1-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 부가물, 밤장미 추출물(chestnut rose fruit extract), 서양톱풀 추출물, 멜리로트(melilote)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효 성분으로서는 알부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코지산 태반 추출물, 글루타티온, 범의귀류 추출물 등의 미백제, 글리씨리즈 유도체, 글리씨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의 소염제, 로열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송아지 혈액 추출물 등의 부활제, 노닐산우레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틴, 익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사이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 파란틴, γ-올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유황, 티안톨 등의 항지루제, 다양할 목적을 위하여, 펠로덴드론 수피(phellodendron bark) 추출 성분, 황련 추출 성분, 개지치 추출 성분, 작약 추출 성분, 용담 추출 성분, 자작나무 추출 성분, 샐비어 추출 성분, 비파나무 추출 성분, 당근 추출 성분, 알로에 추출 성분, 당아욱 추출 성분, 아이리스 추출 성분, 포도 추출 성분, 의이인 추출 성분, 수세미 추출 성분, 백합 추출 성분, 사프란 추출 성분, 천궁이 추출 성분, 생강 뿌리 추출 성분, 고추나물 추출 성분, 오노니스 추출 성분, 로즈메리 추출 성분, 마늘 추출 성분, 고추 추출 성분, 말린 오렌지 껍질, 일본 안젤리카 뿌리 등, 레티놀, 초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플라빈아데닌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 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등의 비타민 B2류,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빈산인산에스테르, DL-α-토코페롤-L-아스코르빈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 C류,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알콜,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에르고칼시페롤, 롤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벤질 등의 니코틴산류, α-토코페롤, 초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호박산 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P,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약제 성분에 관해서는, 그 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광범위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조제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저막의 구조 변화에 따른 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피부의 부활화를 촉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이용한 인공 피부의 제조
콜라겐 겔은 사람 진피에서 유래하는 섬유아세포(0.3∼1×105 세포/㎖) 현탁 콜라겐 용액 10 ㎖ (콜라겐은 고켄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I-AC을 사용함)을 얼음 위에서 제작한 후, 60 ㎜의 페트리 디쉬 안에서 37℃에서 콜라겐을 겔화하였다. 그 후, 샤알레 벽면으로부터 겔을 박리시키고, 콜라겐 겔을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수축시켰다.
이 진피에 해당하는 수축 콜라겐 겔을 철망 위에 얹어 놓고, 또한 유리 링(내경 12 ㎜)을 이 겔 위에 얹는다. 이 유리 링 내에 액체 누설을 일으키지 않도록 사람 포피 유래의 표피 각질 형성 세포 (1×106/㎖) 현탁액 {5%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KGM-DMEM(1:1) 혼합 배지}를 0.4 ㎖ 넣는다. 밤새,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각질 형성 세포를 접착시키고, 다음날 링을 벗긴다. 상기 배지를 표피층의 경계까지 채우고, 표피층을 공기에 노출시키면서, 배양을 계속하여 각층 형성을 보이는 중층화된 표피를 갖는 피부 모델을 제작하였다.
표피 세포를 접종한 후, 일주일째부터 (1) 10 μM의 CGS23027A(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또는 (2) 300 μM의 MMP-억제제-(p-NH2-Bz-Gly-Pro-D-Leu-D-Ala-NHOH(FN-437) (BBRC, 1994, 199, p.1442-1446) (캡바이오켐 노바바이오켐 코포레이션에서 입수)(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배지로 바꾸고, 그 후 2∼3일 마다, 동종의 동일 농도의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배지와 교환하고, 2 주간 더 배양하였다. 또한, (3)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식으로 배양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 (3)에 있어서는 표피의 기저 세포 바로 아래에 기저막 형상이 구조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인 (1) CGS27023A 화합물, 또는 MMM-억제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기저막 형성의 항진이 분명히 관찰되었다.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가 억제 화합물 대신에, 하기의 식물 추출물에 관해 같은 실험을 하여 기저막 형성의 항진이 확인되었다.
백리향(Thymus serpyllum L.),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Briquet) 또는 그 밖의 근연 식물(Valerianaceae),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erg (Ebenaceae)),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inne(Leguminosae)], 산사나무[Crataegus cuneata Siebold et Zuccarini(Rosaceae)],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Poeonia montan Sims)(Paconiaceae)], 홍차[Thea sinensis Linne var. assamica Pierre, (Thcaccae)], 유칼리(Eucalyptus globulus Labillardiere) 또는 그 근연 식물(Myrtaceae), 톨멘틸라[Potentilla tormentilla Schrk(Rosaceae)), 참피나무(Tilia corda:a Mil1., Tilia platyphyllus Scop., Tilia europaea Linne(Tiliaceae)), 자작나무[Betula alba Linne(Betulaceze)], 마죠람(Origanum majorana L.), 아선약[Uncaria gambir Roxburgh(Rubiaceae)], 호도껍질(Juglans regia Linne var. sinensis De Candolie) 또는 그 근연 식물(Juglandaceae), 고삼[Sophora flavescens Aiton(Leguminosae)],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inne(Rosaceae)], 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 Linne 또는 Hypericum erectum Thunberg (Guttiferae)), 차나무[Thea sinensis Linne(Theaceae)], 심황[Curcuma longa L(Zingiberaceae)], 심황의 추출 정제물인 쿠르쿠민, 향부자(Symplocos racemosa, Cyperus rotundus), 미로발란나무(Cyperus scariosus, Gaultheria fragrantissima, Acacia fornensia, Terminalia chebula), 벵골 보리수(반야쥬)(Ficus bengalensis), 난반사이카치(Cassia fistula Linn), 나사나무(Lyonia ovalifolia), 조엽목(야라보, 타마나)(Calophyllum inophyllum), 보제수(Ficus religiosa)에 관해서도 동일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 모두를 이용한 인공 피부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반복했는데, 피검 물질로서 하기의 것을 이용하였 다.
(1)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10 μM만 ;
(2)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 10 μM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 「전환 성장 인자 α」(TGFa) 10 ng/㎖ ;
(3)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 10 μM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 "전환 성장 인자 β1" (TGFβ1) 10 ng/㎖ ;
(4)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 10 μM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 "전환 성장 인자 α" (TGFα) 10 ng/㎖ 및 "전환 성장 인자 β1" (TGFβ1) 10 ng/㎖.
(5) 또한, 무첨가 대조군의 배양도 행하였다.
형성된 인공 피부는 헤마톡시 에오신 염색(H&E) 및 면역 염색〔항-라미닌 5 (LN5) 항체, 항-VI형 콜라겐(IVC) 항체 및 제VII형 콜라겐(VIIC) 항체를 사용〕에 의해 염색하였다. 결과를 도 2 및 3 및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H&E 및 LN5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고, VIC 및 VIIC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대조군에 있어서는 표피/진피 접합부의 접착이 약하고, 표피가 진피로부터 박리되기 쉽고, 조직적으로도 공극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하여,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 처리군에 있어서는, 표피와 진피 사이의 접착성이 명확하다. 또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에 더하여,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인 전환 성장 인자 α(TGFα), 전환 성장 인자 β1(TGFβ1), 또는 모두(TGFα+TGFβ1)를 더한 경우에는 특히 VII형 콜라겐의 염색성의 항진이 현 저하고, 표피와 진피의 접착성이 더욱 항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피부 모델에서 기제막 형성에 미치는 각종 약제의 효과
기저막 성분의 침착
처리 조건 라미닌 5 IV형 콜라겐 VII형 콜라겐 기저막 형성
무처리 대조군 + + - -
CGS27023A ++ ++ + +
CGS27023A+대두 라이소레시틴 ++ ++ ++ ++
CGS27023A+TGFα ++ ++ ++
CGS27023A+TGFβ1 ++ ++ ++
CGS27023A+TGFα+TGFβ1 ++ ++ ++

상기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CGS27023A 대신에, 하기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배양을 하였다.
백리향(Thymus serpyllum L.),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Briquet) 또는 그 밖의 근연 식물(Valerianaceae),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erg (Ebenaceae)],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inne(Leguminosae)], 산사나무[Crataegus cuneata Siebold et Zuccarini(Rosaceae)],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Poeonia montan Sims) (Paconiaceae)], 홍차[Thea sinensis Linne var. assamica Pierre(Thcaccae)], 유칼리(Eucalyptus globulus Labillardiere) 또는 그 근연 식물(Myrtaceae), 톨멘틸라[Potentilla tormentilla Schrk(Rosaceae)], 참피나무(Tilia corda:a Mil1., Tilia platyphyllus Scop., Tilia europaea Linne(Tiliaceae)), 자작나무(Betula alba Linne(Betulaceze)), 마죠람(Origanum majorana L.), 아선약[Uncaria gambir Roxburgh(Rubiaceae)], 호도 껍질(Juglans regia Linne var. sinensis De Candolie) 또는 그 근연 식물(Juglandaceae), 고삼[Sophora flavescens Aiton(Leguminosae)],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inne(Rosaceae)], 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 Linne 또는 Hypericum erectum Thunberg(Guttiferae)), 차나무[Thea sinensis Linne(Theaceae)], 심황[Curcuma longa L(Zingiberaceae)], 심황의 추출 정제물인 쿠르쿠민, 향부자(Symplocos racemosa, Cyperus rotundus), 미로발란나무(Cyperus scariosus, Gaultheria fragrantissima, Acacia fornensia, Terminalia chebula), 벵골 보리수(반야쥬)(Ficus bengalensis), 난반사이카치(Cassia fistula Linn), 나사나무(Lyonia ovalifolia), 조엽목(야라보, 타마나)(Calophyllum inophyllum), 보제수(Ficus religiosa).
그 결과,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로서 CGS27023A를 이용한 경우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심황의 추출 정제물인 쿠르쿠민에 관해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로서, 전환 성장 인자 대신에 대두 레시틴을 30 ㎍/㎖ 이용한 경우에는 기저 세포의 바로 아래에 기저막 형상의 구조물이 연속적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실시예 3
인공 피부 배양 배지의 조제
일반적으로 표피 세포의 배양에 이용되는 KGM(Keratinocyte growth medium)와, 일반적으로 섬유아세포의 배양에 이용되는 10% 소 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의 개 변 이글 배지를 1:1로 혼합한 기본 배지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인 CGS27023A 또는 MMP-억제제를 10 μM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또한, KGM은 MCDB153 배지(10.93 g/ℓ)에 HEPES(6.7 g/ℓ), NaHCO3(1.2 g/ℓ), 인슐린(5 ㎎/ℓ), 트랜스페린(10 ㎎/ℓ), 히드로코르티손(0.5 ㎎/ℓ), 포스포릴에탄올아민 (14.1 ㎎/ℓ)을 첨가하고, pH 7.4로 하였다. 또한, 소 하수체 추출물(교쿠토 제약)을 20 g 첨가하여 조제하였다.
실시예 4
인공 피부 배양 배지의 조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인공 피부 배양 배지에,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로서 전환 성장 인자 α(TGFα) 또는 전환 성장 인자 β1(TGFβ1)의 적어도 1 종을 10 ng/㎖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또한, 상기 TGFα 또는 TGFβ1 대신에 대두 라이소레시틴 30 ㎍/㎖를 첨가하였다.
제제예 1
크림
폴리옥시에틸렌 (20 몰 부가) 세틸알콜에테르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20 cs) 2.0
유동 파라핀 3.0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5.0
활성 성분 0.2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2.0
에틸알콜 1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1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이온 교환수 적량

제법
이온 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알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아미노메틸프로판올을 가하여 70℃로 가열 조정한다(수성상).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유동 파라핀, 폴리옥시에틸렌세틸알콜에테르, 방부제,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활성 성분(리피둘, CGS27023A 등), 향료를 혼합하여 70℃로 조정한다(유성상).
유성상에 수성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예비 유화시키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냉각을 하여 크림을 얻었다.
제제예 2
크림
폴리옥시에틸렌(20 몰 부가) 세틸알콜에테르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20 cs) 2.0
유동 파라핀 3.0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5.0
활성 성분 0.2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2.0
에틸알콜 1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1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이온 교환수 적량

제법
이온 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알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아미노메틸프로판올을 가하여 70℃로 가열 조정한다(수성상).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유동 파라핀, 폴리옥시에틸렌세틸알콜에테르, 방부제,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활성 성분(리피둘, CGS27023A 등), 향료를 혼합하여 70℃로 조정한다(유성상).
제제예 3
유액
중량%
세틸알콜 1.0
밀납 0.5
바셀린 2.0
스쿠알렌 6.0
디메틸폴리실록산 2.0
에틸알콜 5.0
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4.0
활성 성분 0.1
트라넥삼산 1.0
폴리옥시에틸렌(10)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1.0
글리세롤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퀸스 시드 추출액 (5% 수용액) 20.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이온 교환수 적량

제법
이온 교환수에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해 혼합하고, 70℃로 가열 조정한다(수성상). 세틸알콜, 밀납, 바셀린, 스쿠알렌, 디메틸폴리실록산, 활성 성분(리피둘, CGS27023A 등), 트라넥삼산, 폴리옥시에틸렌(10)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글리세롤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방부제를 혼합하고, 70℃로 가열 조정한다(유성상). 유성상에 수성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를 수행하고, 이것에 퀸스 시드 추출액, 에틸알콜을 가해 교반하고, 호모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여과, 냉각을 수행하여 유액을 얻었다.
제제예 4
유액
중량%
세틸알콜 1.0
밀납 0.5
바셀린 2.0
스쿠알렌 6.0
디메틸폴리실록산 2.0
에틸알콜 5.0
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4.0
활성 성분 0.1
트라넥삼산 1.0
폴리옥시에틸렌(10)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1.0
글리세롤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퀸스 시드 추출액(5% 수용액) 20.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이온 교환수 적량

제법
이온 교환수에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혼합하고, 70℃로 가열 조정한다(수성상). 세틸알콜, 밀납, 바셀린, 스쿠알렌, 디메틸폴리실록산, 활성 성분(리피둘, CGS27023A 등), 트라넥삼산, 폴리옥시에틸렌(10)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글리세롤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방부제를 혼합하고, 70℃로 가열 조정한다(유성상). 유성상에 수성상을 가해 예비 유화를 수행하고, 이것에 퀸스 시드 추출액, 에틸알콜을 가하여 교반하고, 호모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여과, 냉각을 수행하여 유액을 얻었다.
유성상에 수성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예비 유화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냉각시켜 크림을 얻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인공 피부 형성 배지 중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으로, 이 방법은
    (1) 사람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겔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콜라겐의 겔층 상에서 표피 각질 형성 세포를 배양하고, 그 각질 형성 세포를 상기 겔층에 접착시켜 표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표피층을 공기에 노출시키면서 인공 피부 형성 배지 중에서 배양을 계속하여 기저막의 형성을 촉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 피부 형성 배지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가 젤라티나제 억제제, 콜라게나제 억제제, 스트로멜라이신 억제제 또는 마트리라이신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
  6. 인공 피부 형성 배지 중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첨가하여 기저막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1) 사람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겔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콜라겐의 겔층 상에서 표피 각질 형성 세포를 배양하고, 그 각질 형성 세포를 상기 겔층에 접착시켜 표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표피층을 공기에 노출시키면서 인공 피부 형성 배지 중에서 배양을 계속하여 기저막의 형성을 촉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 피부 형성 배지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및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는 젤라티나제 억제제, 콜라게나제 억제제, 스트로멜라이신 억제제 또는 마트리라이신 억제제이고,
    상기 매트릭스 단백질 생성 항진제가 대두 라이소레시틴, 전환 성장 인자 α(TGFα), 전환 성장 인자 β1(TGFβ1), 전환 성장 인자 β2(TGFβ2), 전환 성장 인자 β3(TGFβ3) 또는 표피 증식 인자(E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가 CGS27023A 물질 (N-히드록시-2-[[(4-메톡시페닐)설포닐]-3-피콜릴)아미노]-3-메틸부탄아미드염산염) 또는 MMP-억제제-(p-NH2-Bz-Gly-Pro-D-Leu-Ala-NHOH) (FN-437)인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가 백리향(Thymus serpyllum L.),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Briquet) 또는 그 밖의 근연(近緣) 식물(Valerianaceae),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erg(Ebenaceae)],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inne(Leguminosae)], 산사나무[Crataegus cuneata Siebold et Zuccarini(Rosaceae)],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Poeonia montan Sims) (Paconiaceae)], 홍차[Thea sinensis Linne var. assamica Pierre(Thcaccae)], 유칼리(Eucalyptus globulus Labillardiere) 또는 이의 근연 식물(Myrtaceae), 톨멘틸라[Potentilla tormentilla Schrk(Rosaceae)], 참피나무[Tilia corda:a Mill., Tilia platyphyllus Scop., Tilia europaea Linne(Tiliaceae)], 자작나무[Betula alba Linne(Betulaceze)], 마죠람(Origanummajorana L.), 아선약(阿仙藥)[Uncaria gambir Roxburgh(Rubiaceae)], 호도껍질(Juglans regia Linne var. sinensis De Candolie) 또는 그 근연 식물(Juglandaceae), 고삼(Sophora flavescens Aiton(Leguminosae)),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inne(Rosaceae)), 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 Linne 또는 Hypericum erectum Thunberg(Guttiferae)), 차나무(Thea sinensis Linne(Theaceae)), 심황(Curcuma longa L(Zingiberaceae)), 심황의 추출 정제물인 쿠르쿠민(curcumin), 향부자(Symplocos racemosa, Cyperus rotundus), 미로발란(Myrobalan) 나무(Cyperus scariosus, Gaultheria fragrantissima, Acacia fornensia, Terminalia chebula), 벵골 보리수(반야쥬)(Ficus bengalensis), 난반-사이카치(Nanban-saikachi)(Cassia fistula Linn), 나사나무(Lyonia ovalifolia), 조엽목(야라보, 타마나)(Calophyllum inophyllum) 및 보제수(Ficus religiosa)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인 것인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
KR1020017014980A 2000-03-27 2001-03-27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인공피부의 제조 방법 KR100841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87574 2000-03-27
JP2000087574A JP4074043B2 (ja) 2000-03-27 2000-03-27 皮膚基底膜形成促進剤、人工皮膚形成促進剤及び人工皮膚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920A KR20020019920A (ko) 2002-03-13
KR100841667B1 true KR100841667B1 (ko) 2008-06-27

Family

ID=1860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980A KR100841667B1 (ko) 2000-03-27 2001-03-27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인공피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20020193875A1 (ko)
EP (2) EP2324863B1 (ko)
JP (1) JP4074043B2 (ko)
KR (1) KR100841667B1 (ko)
CN (2) CN1795922A (ko)
TW (1) TWI289065B (ko)
WO (1) WO20010723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205B1 (ko) 2009-03-11 2011-12-02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인공피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3387B2 (ja) * 2000-07-12 2010-02-10 丸善製薬株式会社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皮膚化粧料
US7741116B2 (en) * 2002-03-06 2010-06-22 University Of Cincinnati Surgical device for skin therapy or testing
JP2004075661A (ja) * 2002-06-18 2004-03-11 Shiseido Co Ltd 表皮基底膜ケアを特徴とする皮膚外用剤、皮膚基底膜構造形成促進剤および人工皮膚の製造方法
JPWO2005073365A1 (ja) * 2004-01-29 2007-09-13 株式会社 ジャパン・ティッシュ・エンジニアリング 移植用細胞の処理方法、細胞懸濁液、移植用補綴物、および損傷部位の治療方法
WO2005084612A1 (fr) * 2004-02-24 2005-09-15 Fengming Liu Utilisation des inhibiteurs de l'elastase
US8377484B1 (en) 2004-05-06 2013-02-19 Maria V. Tsiper Tumor encapsul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static cancer disease
JP4868108B2 (ja) 2004-10-18 2012-02-01 栗田工業株式会社 透過膜の阻止率向上剤、阻止率向上方法、透過膜及び水処理方法
JP4916706B2 (ja) * 2004-11-10 2012-04-18 株式会社機能性ペプチド研究所 哺乳動物線維芽細胞用完全合成培地
EP1870094A1 (en) * 2005-04-13 2007-12-26 Shiseido Company, Limited Antiwrinkle agent
JP4723899B2 (ja) * 2005-04-26 2011-07-13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WO2007061205A1 (en) * 2005-11-25 2007-05-31 Jun Ho Shin Culture method of fibroblast using placenta extract and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using the same
CN101152294B (zh) * 2006-09-29 2012-01-04 曾雄辉 一种中药软胶囊及其制备方法
JP5226200B2 (ja) * 2006-10-16 2013-07-03 株式会社コーセー 硫酸化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WO2008050173A1 (en) * 2006-10-26 2008-05-02 Chanel Parfums Beaute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tranexamic acid ester
KR100868640B1 (ko) 2007-05-15 2008-11-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469702C2 (ru) * 2007-11-28 2012-12-2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α- ИЛИ β-ГИДРОКСИКИСЛОТНЫЕ АДДУКТЫ МАСЛА
EP2231111A4 (en) * 2007-11-28 2015-11-04 Colgate Palmolive Co PRODUCT FOR ADDING ETHOXYLATED AND / OR HYDROGENATED OIL
US20100202995A1 (en) * 2009-02-09 2010-08-12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for lipophilic compounds,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US8637489B2 (en) * 2009-02-09 2014-01-28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for lipophilic compounds,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US8597668B2 (en) * 2009-02-09 2013-12-03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for lipophilic compounds,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US20100202988A1 (en) * 2009-02-09 2010-08-12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containing an alkoxylated monoacid and an alkyl monoamine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JP2011184308A (ja) * 2010-03-04 2011-09-2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5744409B2 (ja) * 2010-03-04 2015-07-08 株式会社 資生堂 人工皮膚
US20110229538A1 (en) * 2010-03-17 2011-09-22 Arbonne International Llc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JP5992661B2 (ja) * 2010-12-27 2016-09-14 丸善製薬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WO2013151725A1 (en) 2012-04-05 2013-10-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generative sera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US9625449B2 (en) 2014-12-23 2017-04-18 Colgate-Palmolive Company Determining the bioavailability of zinc (II) ions
US9354219B1 (en) 2014-12-23 2016-05-31 Colgate-Palmolive Company Detecting stannous ions
US9435745B2 (en) 2014-12-23 2016-09-06 Colgate-Palmolive Company Measuring the rate of release of metal ions
KR102631159B1 (ko) * 2016-10-21 2024-01-3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라미닌 511 생성 촉진제, 표피 기저막 안정화제 및/또는 표피 줄기 세포 감소 억제 또는 증가 촉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KR101840254B1 (ko) * 2017-07-31 2018-03-21 주식회사 메가코스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US11105795B2 (en) 2018-01-22 2021-08-31 ClearI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imulation of the dermal compartment
US10732100B2 (en) * 2018-06-29 2020-08-04 L'oreal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sun protection factor of sunscreen formulations in vitro
CN110731917A (zh) * 2018-07-20 2020-01-31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冰川水的制剂、制备方法及其应用
AU2019402973A1 (en) 2018-12-19 2021-07-01 Clear Intraderm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attoo removal using an applied electric field
CN113740491A (zh) * 2021-08-27 2021-12-03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感官评价的仿真皮肤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2144A2 (en) * 1996-12-31 1998-07-08 Trustees Of Tufts College Enhancing keratinocyte migration and proliferation
WO1999003979A1 (en) * 1997-07-17 1999-01-28 Smith & Nephew Plc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artificial cellular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2A (en) * 1853-10-25 Improvement in garden and other hoes
JPH0655218B2 (ja) * 1986-01-14 1994-07-27 株式会社アドバンス 人工基底膜及びその製造方法
AU618517B2 (en) 1986-12-23 1992-01-02 Eugene J. Van Scott Additives enhancing topical actions of therapeutic agents
US5055298A (en) * 1987-12-01 1991-10-08 Chemisches Laboratorium Dr. Kurt Richter Gmbh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ellular connective tissue matrix
JPH01158963A (ja) 1987-12-17 1989-06-22 Terumo Corp 細胞増殖因子含有コラーゲンマトリックスの製造法
US5162430A (en) * 1988-11-21 1992-11-10 Collagen Corporation Collagen-polymer conjugates
EP0464147B1 (en) * 1989-03-21 2002-06-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 peptides
US4996154A (en) 1989-05-04 1991-02-26 Millipore Corporation Method for growing cellular tissue
US5654135A (en) * 1990-10-02 1997-08-05 Imedex, Societe Anonyme Biomaterial based on collagen and its application
JP3164168B2 (ja) 1992-02-27 2001-05-08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
US5455258A (en) * 1993-01-06 1995-10-03 Ciba-Geigy Corporation Arylsulfonamido-substituted hydroxamic acids
JPH06345636A (ja) 1993-06-08 1994-12-20 Nonogawa Shoji Kk 化粧料
GB9405076D0 (en) 1994-03-16 1994-04-27 Inst Of Ophtalmology A medical u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JPH0867621A (ja) 1994-06-21 1996-03-12 Advanced Sukin Res Kenkyusho:Kk 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作用を有する皮膚活性化剤
FR2728465B1 (fr) * 1994-12-23 1997-03-14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contenant un extrait de smelophyllum capense
JPH08196618A (ja) * 1995-01-23 1996-08-06 Terumo Corp 細胞侵入性コラーゲン製剤、および人工皮膚、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IT1281870B1 (it) * 1995-04-27 1998-03-0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elle artificiale umana costituita da materiali biocompatibili a base di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US5800811A (en) * 1995-06-06 1998-09-01 Hall; Frederick L. Artificial skin prepared from coclagen matrix containing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having a collagen binding site
US5837224A (en) * 1996-01-19 1998-1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of inhibiting photoaging of skin
BR9714142A (pt) * 1996-12-17 2000-02-29 Warner Lambert Co Uso de inibidores de metaloproteìnases matriciais para tratamento de distúrbios neurológicos e promoção de cicatrização de feridas
US6197791B1 (en) * 1997-02-27 2001-03-06 American Cyanamid Company N-hdroxy-2-(alkyl, aryl, or heteroaryl, sulfanyl, sulfinyl or sulfonyl)-3-substituted alkyl, aryl or heteroarylamides as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JP3645990B2 (ja) * 1997-09-03 2005-05-11 株式会社資生堂 コラゲナーゼ阻害剤
JPH11147833A (ja) * 1997-11-18 1999-06-02 Noevir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
JPH11315008A (ja) * 1998-03-03 1999-11-16 Shiseido Co Ltd 抗老化剤
JPH11343226A (ja) * 1998-03-31 1999-12-14 Shiseido Co Ltd 皮膚賦活用組成物
FR2777186B1 (fr) * 1998-04-10 2001-03-09 Oreal Utilisation d'au moins un hydroxystilbene dans une composition raffermissante
JPH11349436A (ja) * 1998-06-03 1999-12-21 Noevir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US6146664A (en) * 1998-07-10 2000-11-14 Shaklee Corporation Stable topical ascorbic acid compositions
FR2782638B1 (fr) 1998-08-28 2003-04-11 Shiseido Internat France S A S Utilisation en cosmetique d'acides gras
US5998390A (en) * 1998-09-28 1999-12-07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mbination of bisphosphonate and tetracycline
US7560275B2 (en) * 1999-12-30 2009-07-14 Vbi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kin
US6465508B1 (en) * 2000-02-25 2002-10-15 Wyeth Preparation and use of ortho-sulfonamido aryl hydroxamic acids as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US20020010162A1 (en) * 2000-03-02 2002-01-24 Raul Fleischmajer Treatment of psoriasis with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EP1437147B1 (en) * 2001-09-25 2012-06-27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Method of preparing basement membrane
JP2004075661A (ja) * 2002-06-18 2004-03-11 Shiseido Co Ltd 表皮基底膜ケアを特徴とする皮膚外用剤、皮膚基底膜構造形成促進剤および人工皮膚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2144A2 (en) * 1996-12-31 1998-07-08 Trustees Of Tufts College Enhancing keratinocyte migration and proliferation
WO1999003979A1 (en) * 1997-07-17 1999-01-28 Smith & Nephew Plc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artificial cellular 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205B1 (ko) 2009-03-11 2011-12-02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인공피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5293A (zh) 2002-08-21
JP4074043B2 (ja) 2008-04-09
US7645595B2 (en) 2010-01-12
KR20020019920A (ko) 2002-03-13
JP2001269398A (ja) 2001-10-02
EP2324863A1 (en) 2011-05-25
EP1180371A1 (en) 2002-02-20
EP1180371A4 (en) 2004-04-14
WO2001072347A1 (fr) 2001-10-04
CN1795922A (zh) 2006-07-05
EP2324863B1 (en) 2013-07-31
US20060159782A1 (en) 2006-07-20
TWI289065B (en) 2007-11-01
US20080248571A1 (en) 2008-10-09
US20020193875A1 (en) 2002-12-19
US20040038859A1 (en)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667B1 (ko) 피부 기저막 형성 촉진제, 인공 피부 형성 촉진제 및 인공피부의 제조 방법
US20040001897A1 (en) Skin vitalizing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anti-aging preparation
KR100446341B1 (ko) 노화방지용화장품조성물
RU2492850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роста фибробластов
JP4876334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およびその用途
JP349521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WO2011108304A1 (ja) 皮膚外用剤
JP3987793B2 (ja) 皮膚外用剤
JP2006265120A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KR100626127B1 (ko) 피부세포에서의 라미닌의 생산 촉진제
JP2009242344A (ja) ケラチノサイト増殖促進剤
KR20000069310A (ko) 세포외 매트릭스의 생산 촉진제
JP2007176832A (ja) アファニゾメノン(Aphanizomenon)属の抽出物を含む皮膚老化防止組成物
JPH09249550A (ja) 皮膚外用剤
KR20230091262A (ko) 곡류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안티에이징 화장품 조성물
JP6161288B2 (ja) 毛髪用の皮膚外用剤
JP2005179243A (ja) パントテン酸もしくはその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ラミニン5産生促進剤
KR20190114160A (ko)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JP2020045289A (ja) 美容組成物
JP2005179244A (ja) パントテン酸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ラミニン5産生促進剤
JP2005162715A (ja)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用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