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254B1 -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254B1
KR101840254B1 KR1020170097275A KR20170097275A KR101840254B1 KR 101840254 B1 KR101840254 B1 KR 101840254B1 KR 1020170097275 A KR1020170097275 A KR 1020170097275A KR 20170097275 A KR20170097275 A KR 20170097275A KR 101840254 B1 KR101840254 B1 KR 10184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mpound
skin
artificial ski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균
김선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to KR102017009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254B1/ko
Priority to CN201880049375.3A priority patent/CN110997025A/zh
Priority to JP2020527715A priority patent/JP2020530804A/ja
Priority to PCT/KR2018/002697 priority patent/WO201902711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6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e.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규소 원소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비닐(vinyl)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섬유상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규소 원소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수소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PRODUCING AN ARTIFICIAL SKIN COMPRISING FIBROUS POLYMER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ARTIFICIAL SKI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 내에 인조피부를 형성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조피부에 관련된 기술은 바이오·의약 분야, 전기·전자 분야, 로봇 공학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화상 및 궤양 등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대한 치료제, 약품·화장품의 전달체, 노화된 피부에 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제품 등 의료 및 미용 분야에의 활용성은 추산을 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9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98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도포할 시,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 내에 인조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이 우수한 인조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은 화학식1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비닐(vinyl)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1 고분자, 섬유상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화학식1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수소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7123034498-pat00014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화합물 15중량% 내지 30중량%, 섬유상 고분자 1중량%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은 제2 화합물 15중량% 내지 30중량%, 촉매 0.01중량% 내지 1.0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는 이하의 화학식2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112017073953335-pat00002
여기서, 상기 n은 0 ~ 10,000이다.
상기 제2 화합물는 이하의 화학식3으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3]
Figure 112017073953335-pat00003
여기서, 상기 n은 0 ~ 10,000이다.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펙틴(pectin), 덱스트로스(dextrose), 피브린(fibrin),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길이가 100㎚ 내지 5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백금(Pt) 촉매, 루비듐 촉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 유화제, pH 조절제, 보존제,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 습윤제, 향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은 피부에 상기 제1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조성물과 혼합되도록 상기 제2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혼합물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제1 화합물와 상기 제2 화합물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은 피부에 상기 제2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조성물과 혼합되도록 상기 제1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혼합물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제1 화합물와 상기 제2 화합물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피부 또는 피부와 접촉된 시트에 도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와 상기 제2 화합물가 수소 규소화(hydrosilylation) 반응을 통해 가교되어 인조피부의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상기 인조피부의 박막 내에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열은 피부의 열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5℃ 내지 30℃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200초 이하의 시간 내에 인조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0℃ 내지 35℃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180초 미만의 시간 내에 인조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5℃ 내지 40℃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160초 미만의 시간 내에 인조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 내에 인조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이 우수한 인조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한 인조피부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조피부"라 함은 최대한 실제 피부의 모습, 느낌, 질감 등과 가깝게 인위적으로 만든 것으로서, 실제 피부의 물리적 물성까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만족하는 박막을 의미한다. 다만 생체조직, 세포 등을 배양하여 제조한 박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고분자 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만든 박막을 의미한다.
또한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은 신체에 적용되었을 때, 상기 인조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은 제1 화합물, 섬유상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제2 화합물, 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 유화제, pH 조절제, 보존제,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 습윤제, 향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이하 화학식1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비닐(vinyl)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섬유상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7123034498-pat00015
상기 화학식1에서 n은 몰 비로서, 1 ~ 10,000이다.
상기 제1 화합물는 후술할 제2 화합물와 특별한 가교 반응을 하여 인조피부의 박막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화합물는 이하의 화학식2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112017073953335-pat00005
여기서, 상기 n은 0 ~ 10,000, 또는 0 ~ 8,000, 또는 0 ~ 6,000일 수 있다.
상세히는, 상기 제1 화합물의 점도는 0.1cP 내지 5,000,000cP일 수 있다.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인조피부의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을 향상시키고, 인조피부의 형성 시간을 단축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펙틴(pectin), 덱스트로스(dextrose), 피브린(fibrin),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나노 크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0.1㎚ 내지 1,000㎚이고, 길이가 100㎚ 내지 5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상 고분자의 직경 및 길이가 상기 수치 범위에 속해야 내구성이 향상된 인조피부의 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직경과 길이가 작으면 인조피부의 물리적 물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직경과 길이가 너무 크면 제1 화합물와 제2 화합물의 가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박막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나노 크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는바, 이는 무독성의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소재이고, 특히 상처 부위의 통증과 세균 감염을 감소시키는 효과 및 피부 재생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조피부에 기능성까지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수소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촉매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화합물는 제1 화합물와 가교 반응을 통해 결합되어 인조피부의 박막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화합물는 이하의 화학식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3]
Figure 112017073953335-pat00006
여기서, 상기 n은 0 ~ 10,000일 수 있다.
상세히는, 상기 제2 화합물의 점도는 0.1cP 내지 5,000,000cP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의 가교 결합을 촉진시켜 낮은 온도에서도 단시간 내에 인조피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촉매는 백금(Pt) 촉매, 루비듐(Rb) 촉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백금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백금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반응속도의 증가 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상기 용매는 제1 화합물, 제 2 고분자, 섬유상 고분자 및 촉매 등을 희석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 알코올,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화합물 15중량% 내지 30중량%, 섬유상 고분자 1중량%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상 고분자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첨가량이 너무 적어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반면에 10중량%를 초과하면 인조피부의 유연성이 줄어들어 인장강도가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은 제2 화합물 15중량% 내지 30중량%, 촉매 0.01중량% 내지 1.0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한다 .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이면, 제1 화합물와 가교결합을 할 수 있는 제2 화합물의 양이 적어 인조피부의 박막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제1 화합물와 제2 화합물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투입량 대비 반응속도의 증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 유화제, pH 조절제, 보존제,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 습윤제 및 향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만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모두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는 제1 조성물 및/또는 제2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금속이온의 활성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이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EDTA)를 사용할 수 있고, 0.02중량% 내지 0.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TR-1(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사용할 수 있고, 0.2중량%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가교 반응이 일어나기 적합하도록 pH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을 사용할 수 있고, 0.15중량%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제1 조성물 및/또는 제2 조성물의 장기간 보관을 위한 구성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사용할 수 있고, 0.4중량% 내지 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는 피부의 유연성 회복을 위한 구성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을 사용할 수 있고, 0.1중량%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피부 외층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글리세린(glycerin)을 사용할 수 있고, 5.0중량% 내지 8.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0.2중량% 내지 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의 제조방법은 피부에 상기 제1 조성물 또는 제2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조성물 또는 제2 조성물과 혼합되도록 제2 조성물 또는 제1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혼합물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제1 화합물와 제2 화합물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부에 상기 제1 조성물을 제공한 뒤, 제2 조성물을 제공하는 방법을 위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먼저 제2 조성물을 제공한 뒤, 이어 제1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피부에 상기 제1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피부에 접촉하고 있는 시트 등의 다른 기재에 상기 제1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도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상기 제1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시트 등의 기재를 피부에 접착하는 방식으로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과 혼합되도록 상기 제2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성물이 도포된 피부 또는 피부에 접촉하고 있는 시트 등의 다른 기재에 상기 제2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2 조성물 역시 도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상기 제1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시트 등의 기재를 피부에 접착하는 방식으로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상기 제1 조성물이 도포된 피부 등에 상기 제2 조성물을 도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조성물이 도포된 면의 주변부에 상기 제2 조성물을 도포한 뒤 혼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혼합한 뒤, 혼합물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제1 화합물와 상기 제2 화합물를 반응시킴으로써 인조피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제1 화합물, 제2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열을 인가하면 이하의 화학식4와 같이 수소 규소화(hydrosilylation) 반응이 일어나 상기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가 가교되어 인조피부의 박막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화합물의 비닐 말단기와 상기 제2 화합물의 수소 말단기 사이에 수소 규소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상기 제1 화합물와 제2 화합물가 가교된다.
[화학식4]
Figure 112017073953335-pat00007
또한 상기 혼합물은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화학식4에 의해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가 가교되며 인조피부의 박막이 형성될 때, 상기 섬유상 고분자가 상기 박막 내에 분포되어 상기 인조피부의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수소 규소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열의 인가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는 피부의 열이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피부는 피부의 온도 범위와 같이 낮은 온도에서도 단시간 내에 형성될 수 있는바, 이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조성물의 준비
이하의 표1과 같은 조성으로 제1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 화합물, 섬유상 고분자, 및 첨가제를 용매에 모두 투입한 뒤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제2 조성물의 준비
이하의 표1과 같은 조성으로 제2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 화합물, 촉매 및 첨가제를 용매에 모두 투입한 뒤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Figure 112017073953335-pat00008
상기 표1의 주1) EDTA 2Na, 대봉LS社
주2) 비닐 디메치콘(vinyl dimethicone), 분자량 10,000g/mol, 점도 160,000cP, KCC社,
주3) 수소 디메치콘(hydrogen dimethicone), 분자량 10,000g/mol, 점도 160,000cP, KCC社
주4) 백금 촉매
주5) TR-1, Lubrizol社
주6) Tromethamine, aT lab社
주7) Phenoxyethanol, Galaxy社
주8) Ethylhexylglycerin, Schuelke&Mayr社
주9) Glycerin, ACID CHEM社
주10) 직경 약 10nm, 길이 약 10nm의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 자체합성
인조피부의 형성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기재 상에 상기 제1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상기 제1 조성물이 도포된 면에 상기 제2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상기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일정한 속도로 문지르면서 이하 표2에 기재된 온도의 열을 혼합물에 가하여 인조피부를 형성하였다. 육안으로 인조피부의 형성이 확인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7073953335-pat00009
표2를 참조하면, 제1 화합물와 제2 화합물의 가교 결합을 통해 인조피부를 형성하는 경우 25℃ 내지 40℃의 낮은 온도 조건에서 약 220초 이하의 굉장히 짧은 시간 내에 인조피부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섬유상 고분자를 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의 경우 인조피부의 형성시간이 더욱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25℃ 내지 30℃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200초 이하, 30℃ 내지 35℃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180초 미만, 35℃ 내지 40℃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160초 미만의 시간 내에 인조피부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박막강도의 측정
전술한 방법으로 형성한 인조피부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외부 환경을 0℃, 20℃, 30℃, 40℃, 50℃, 60℃, 80℃의 온도 조건에서 인장압축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사, 4485 TIC960203-97B1A)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섬유상 고분자를 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5는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1에 비해 현저히 높은 인장강도를 보이는바 인조피부로 사용하기 적합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화학식1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비닐(vinyl)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섬유상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화학식1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로 구성된 골격 및 수소 말단기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상 고분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펙틴(pectin), 덱스트로스(dextrose), 피브린(fibrin),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고, 그 길이가 100㎚ 내지 500㎚인 것이며,
    상기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한 것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화학식1]
    Figure 112017123034498-pat0001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화합물 15중량% 내지 30중량%, 섬유상 고분자 1중량%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은 제2 화합물 15중량% 내지 30중량%, 촉매 0.01중량% 내지 1.0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은 이하의 화학식2로 표현되는 것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화학식2]
    Figure 112017123034498-pat00011

    여기서, 상기 n은 0 ~ 10,000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합물은 이하의 화학식3으로 표현되는 것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화학식3]
    Figure 112017123034498-pat00012

    여기서, 상기 n은 0 ~ 10,000이다.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백금(Pt) 촉매, 루비듐(Rb) 촉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 유화제, pH 조절제, 보존제,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 습윤제, 향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97275A 2017-07-31 2017-07-31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KR10184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275A KR101840254B1 (ko) 2017-07-31 2017-07-31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CN201880049375.3A CN110997025A (zh) 2017-07-31 2018-03-07 用于制备人造皮肤的包含纤维状聚合物的组合物及使用其制备人造皮肤的方法
JP2020527715A JP2020530804A (ja) 2017-07-31 2018-03-07 繊維状高分子を含む人工皮膚製造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人工皮膚の製造方法
PCT/KR2018/002697 WO2019027118A1 (ko) 2017-07-31 2018-03-07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275A KR101840254B1 (ko) 2017-07-31 2017-07-31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254B1 true KR101840254B1 (ko) 2018-03-21

Family

ID=6190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275A KR101840254B1 (ko) 2017-07-31 2017-07-31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530804A (ko)
KR (1) KR101840254B1 (ko)
CN (1) CN110997025A (ko)
WO (1) WO20190271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993B1 (ko) 2019-09-24 2021-03-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산화세륨 무기필러로 강화된 폴리머 및 이를 사용한 2액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3733A (zh) * 2020-03-17 2022-10-25 株式会社资生堂 人造皮肤形成用组合物及其使用方法
CN113740491A (zh) * 2021-08-27 2021-12-03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感官评价的仿真皮肤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043B2 (ja) * 2000-03-27 2008-04-0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基底膜形成促進剤、人工皮膚形成促進剤及び人工皮膚の製造方法
US7525982B2 (en) * 2005-07-15 2009-04-28 Teknov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symmetric line rates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1971318A2 (en) * 2005-12-20 2008-09-24 L'Oréal Process for making up comprising the application of compounds a and b, at least one of which is silicone based
FR2910286B1 (fr) * 2006-12-20 2009-04-17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des composes silicones encapsules
US20110046242A1 (en) * 2008-01-17 2011-02-24 Jean-Luc Garaud Film Forming, Silicone Containing Compositions
FR2947725A1 (fr) * 2009-07-07 2011-01-14 Oreal Procede de lissage de la peau par comblement de portions en creux
WO2012030984A2 (en) * 2010-08-31 2012-03-08 Living Proof, Inc. Sk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11333538C1 (en) * 2010-11-25 2015-07-30 Bluestar Silicones France Sas Composition I-II and products and uses thereof
KR101757676B1 (ko) * 2011-03-08 2017-07-13 주식회사 케이씨씨 실리콘 엘라스토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 페이스트
GB201405947D0 (en) * 2013-12-04 2014-05-14 Trio Healthcare Ltd Skin compatible curing adhesives for adhering devices to mammalian body
KR102273099B1 (ko) * 2014-12-17 2021-07-06 주식회사 케이씨씨실리콘 실리콘 엘라스토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 페이스트
CN106580740A (zh) * 2017-01-10 2017-04-26 云南骊人堂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用于皮肤除皱、美容、修饰的透明聚合物薄膜及其使用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U, B. et al., Nature Materials(2016.5.9.) Vol.15, pp.911-91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993B1 (ko) 2019-09-24 2021-03-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산화세륨 무기필러로 강화된 폴리머 및 이를 사용한 2액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7025A (zh) 2020-04-10
JP2020530804A (ja) 2020-10-29
WO2019027118A1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254B1 (ko) 섬유상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조피부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부의 제조방법
JP4959328B2 (ja) 温度感応性状態変化ハイ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687149B (zh) 水凝胶组合物
KR102142446B1 (ko) 실리콘 이오노머의 폴리머 복합체
CN104822421B (zh) 包含有机硅树脂和硅橡胶胶料的组合物、含有所述组合物的个人护理产品
AU747931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a thickening polymer
CN105456176A (zh) 一种乳液膏霜及其的制备方法
JP2005528417A5 (ko)
JP2002536091A (ja) 生体接着剤組成物
CN105456057B (zh) 一种具有慕斯质地的锁水保湿组合物
JP2015516408A (ja) 弾性混合物を使用した美容ケア組成物及び方法
CN104983601A (zh) 一种ι-卡拉胶凝胶面膜及其制备方法
CN113543768B (zh) 作为沉积助剂的鼠李糖脂
JP2020519612A (ja) ポリアクリレートマイクロカプセルの付着が増大されたコンディショナー組成物
EP2226067A1 (en) Clear hair gel fixatives
CA2331867A1 (en) Hair care compositions
AU2016329951A1 (en) Moldable hair care composition
JP2015508790A (ja) 酸性ペクチン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02146100A (ja) ハイドロゲル用組成物、ハイドロゲル及びその用途
JP3990541B2 (ja) 保湿用のゲル状組成物
JP2007535543A (ja) 天然の速乾毛髪固定組成物
KR102272285B1 (ko) 수용성 부직포를 기초로 한 피부 부착용 박막 패치
JP3494282B2 (ja) ストレートパーマ用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用第2剤
JPS59186911A (ja) 頭髪化粧料
CN111374907A (zh) 一种护肤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