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640B1 -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640B1
KR100868640B1 KR1020070046966A KR20070046966A KR100868640B1 KR 100868640 B1 KR100868640 B1 KR 100868640B1 KR 1020070046966 A KR1020070046966 A KR 1020070046966A KR 20070046966 A KR20070046966 A KR 20070046966A KR 100868640 B1 KR100868640 B1 KR 100868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mineral
formulation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용
최종완
김태원
고두진
Original Assignee
한국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4Cnidaria, e.g. sea anemones, corals, coral animals or jellyf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성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기석을 포함하고,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백자설과 같은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활성, 보습 활성, 탄력 부여 및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및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광물성 생약,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백자설, 양기석, 화장료

Description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neral crude drug}
도 1은 본 발명의 광물성 생약의 준비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광물성 생약, 특히 양기석을 포함하는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으면서 보호하는데 있어 여러 중요한 생리 기능을 영위하고 있는 기관의 하나이다. 이러한 피부는 직접 외부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여러 가지 자극을 받고 있으며,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공기 오염 문제와 함께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노출 등으로 피부가 손상될 우려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계절의 특성에 따른 기온변화에 따라, 기온이 높을 때는 피지의 분비가 증가하고 기온이 낮을 때는 피지 분비가 감소하여 피지 밸런스를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피부 표면은 각질층에 대략 20%정도의 수분이 존재할 때 가장 이상적인 상태가 되는데, 그 수분 함량이 10%이하로 저하되면 피부가 거칠어져서 각질이 박리되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이와 같이 피지막을 구성하는 피지와 수분, 둘 중 어느 하나의 함량에 이상이 생기면 피부 밸런스가 깨지면서 피부가 손상을 입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무기 파우더류는 사용감, 도포력, 색상 등 미적 효과만을 중요시하고 있어, 이를 피부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된 파우더 입자가 체온이나 바람, 태양광 등에 의해 건조되면서 피부에서 방출되는 땀, 수분을 흡수하여 피부가 거칠어지는 등의 트러블을 가속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존 화장료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화학 물질들은 자연적으로 피부층으로의 흡수가 어렵기 때문에 알레르기 현상을 일으키기 쉽고, 피부 호흡 방해와 피부 생리 기능을 방해하게 되며 복합 영양 성분의 부족으로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해 부작용이 없고, 인체 친화적이며, 체질과 상관없이, 아토피 피부, 민감성 피부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한방 생약을 이용한 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의보감과 전래 기법을 중심으로 하여, 순수 자연성의 한방 생약의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러던 중, 광물성 생약이 오랜 기간 동안 한방 전통 의학에서 피부 질병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약재로 이용되는 광물은 '약용 광물'로 구분하며, 천연에서 채취되어 원래의 성질과 상태를 유지한 채로 질병 치료에 이용되는 암석과 화석을 포함한 광물성 생약을 총칭한다. 광물성 약재에 대해서는 신농본초경에 최초로 기록되었으며, 본초강목에 300여종을 비롯하여, 동의보감의 금부(金部)에 33종, 옥부(玉部)에 4종, 석부(石部)에 55종, 수부(水部)에 2종 및 토부(土部)에 18종으로 총 112종이 수록되어 있다. 그밖에도 중약 대사전에 82종, 대한약전 한약규격집에 34종의 광물성 약재가 수록되어 있는데, 화장료로서 독성이 있는 것을 제외한 광물성 생약 성분으로서는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금(金, Aurum)은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인체에 아무런 해가 없으며, 오히려 독소를 제거하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액세서리와 술 등의 음료수에 첨가되는 등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은(銀, Argentum)은 탈취 및 항균 효과가 뛰어나고, 4-20㎛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상기 원적외선은 손상된 피부를 정상화하는데 이용한다.
진주(眞珠, Margaritum)에는 아미노산, 기타 유기물 등의 콘키올린(conchiolin)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기미 등 색소가 검게 변한 것을 희게 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고, 바르면 피부가 윤택해지고 촉촉해지며,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여드름,피부종기에 좋은 성분들을 함유한다.
산호(珊瑚, Coral)는 해양 동물들의 골격 잔류물들로 만들어지며, 해수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와 칼슘이온을 결합시켜 탄산칼슘을 만들면서 석회질이 되며,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자연 음이온이 발생되어 항곰팡이 및 항균 효과를 발휘하여 아토피, 알레르기 등에 대한 피부개선 효능이 있다.
활석(滑石, Talcum)은 동의보감 석부편에 설벽(泄癖)을 치료하고 소변을 통리하게 하며 혈액순환을 개선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운모(雲母, Muscovitum)는 동의보감 석부편에 다섯 가지 과로와 칠상의 폐결핵 및 소기(少氣)를 치료하고 오장을 편하게 하며 항균작용으로 피부를 윤기나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백자설(白磁屑, Kaolin)은 동의보감 석부편에 대하백붕(帶下白崩)을 주로 낫게하고 상처를 없앤다고 기재되어 있다.
양기석(陽起石, Actinolitum)은 화학적 조성이 Ca2(Mg, Fe)5Si8O22(OH)2인, 단사정계의 투섬석(透閃石, tremolitum) 혹은 투섬석 석면의 광석으로, 불규칙한 기둥모양 혹은 덩어리로 크기가 일정치 않으며, 비중은 3.0 내지 3.21 g/㎤이다. 바깥면은 회백색, 어두운 회색 내지 옅은 녹색이고 엷은 황갈색의 무늬 또는 꽃무늬가 있으며 광택이 있다.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도 지방에서 소량 생산되고 있다. 함유성분으로는 마그네슘, 규소, 칼슘, 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들 중 금, 은, 진주, 활석, 운모 등의 광물성 약재를 화장품에 응용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80376호, 제2007-0016793호, 제2005-0041651호, 제2005-0109659호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들은 상기 재료들의 단방 광물성 생약으로서의 효과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특히 양기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나, 양기석과 이들의 혼합성분을 재료로 한 화장료에 대해서 는 알려져 있는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광물성 생약 중 양기석, 또는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양기석 및 백자설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광물성 생약 복합제가 항균, 피부보습, 피부 탄력 부여 및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로써, 상기 양기석 또는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른 것이다.
특히, 기존에 화장료 재료로서 알려진 바 없는 양기석이 화장료 재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여기에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및 백자설과 같은 광물성 성분을 적절히 혼합하여 얻어진 화장료가 항균 활성, 보습 활성, 피부 탄력 부여 및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 효과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소정의 광물성 생약 성분을 함유하고 피부 자극이 완화된, 항균 효과 및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기석(Actinolit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또한, 상기 양기석이 하소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양기석에 추가하여, 금(Aurum), 은(Argentum), 진주(Margaritum), 산호(Coral), 활석(Talcum), 운모(Muscovitum), 및 백자설(Kaoli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광물성 생약을 1종 이상 포함하는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상기 광물성 생약 복합제가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백자설 및 양기석이 0.1~1.0: 0.1~1.0: 0.5~2.0: 0.5~2.0: 1.0~3.0: 4.0~6.0: 0.5~ 3.0: 0.5~ 3.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광물성 생약 복합제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수용성 리퀴드, 젤, 팩, 크림, 에센스 및, 수중유(O/W)형, 유중수(W/O)형 또는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 립스틱, 스킨커버, 펜슬 제형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기석 또는 이를 포함하는 광물성 생약 복합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천연에서 채취한 상태의 광물성 생약 재료인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양기석, 백자설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상기에서 준비한 광물성 생약 재료 중 운모, 양기석, 백자설은 광물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화장품 원료로써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하소법(calcinations)으로 처리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운모, 양기석은 1000 내지 1500℃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처리하고, 백자설은 400 내지 600℃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처리한다. 상기의 생약을 각각 분쇄기를 이용하여 5 내지 10㎛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물성 생약 복합제는,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양기석 및 백자설 중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이들 성분을 모두 함유하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광물성 생약 복합제의 각 성분의 함량비는 피부개선, 피부보호 등 원하는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는, 각 성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그 구성배합비가 금 0.1~1.0, 은 0.1~1.0, 진주 0.5~2.0, 산호 0.5~2.0, 활석 1.0~3.0, 운모 4.0~6.0, 양기석 0.5~3.0 및 백자설 0.5~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양기석 또는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공정에 의해 얻어진 양기석 및 광물성 생약 복합제에 의한 항균 효과, 보습 효과, 피부 탄력 효과,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능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양기석 및 광물성 생약 복합제의 항균 및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양기석을 포함하는 광물성 생약 복합제는 피부 패취 테스트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이 1.0중량% 미만이면 항균 효과 및 피부 개선 효과가 미약한 단점이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가 미미하며 비용이 많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광물성 생약 복합제는 항균 및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제형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제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리퀴드, 젤, 팩, 크림, 에센스 및, 수중유(O/W)형, 유중수(W/O)형 또는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 립스틱, 스킨커버, 펜슬제형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양기석 또는 광물성 생약 복합제와 더불어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제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광물성 생약의 준비
광물성 생약의 준비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광물성 생약인 금(Aurum), 은(Argentum), 진주(Margaritum), 산호(Coral), 활석(Talcum), 운모(Muscovitum), 백자설(Kaolin) 및 양기석(actinolitum)은 자연 상태에서 채집한 상태의 것을 정우당 약국(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사용하였다.
상기 광물성 생약 중 금, 은, 진주, 산호 및 활석은 제트밀(jet mill, HTM100, 현준 파우텟)을 이용하여 화장료 분말로 사용하기 적당한 입경인 5~ 10㎛로 미세 분쇄하여, 후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상기 광물성 생약 중 운모, 양기석은 1000℃의 고온에서 4시간 처리하는 하소법(calcinations)을 적용한 후, 상기와 같이 미세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광물성 생약 중 백자설은 500℃에서 4시간 처리하는 하소법을 적용한 후, 상기와 같이 미세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광물성 생약의 준비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양기석을 포함하는 겔 베이스(실시예 1)를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조성 중, 양기석을 운모(비교예 1) 또는 활석(비교예 2)으로 바꾸어 첨가한 겔 베이스를,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80℃로 가열한 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콜을 서서히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참조예 1에서 준비한 양기석, 운모 또는 활석 분말을 각각 투입하여 균일분산시켜 겔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1 양기석 3.0 - -
2 운모 - 3.0 -
3 활석 - - 3.0
4 폴리비닐알콜 1.0 1.0 1.0
5 정제수 96.0 96.0 96.0
* 함량단위: 중량%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를 사용하여 항균 효과 및 피부 밸런스 유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시험예 1. 단방 제형의 항균 활성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의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균주인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PA로 표시)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SA로 표시)을, 121℃에서 20분간 멸균한 Tryptic soy broth(TSB, Difco, USA)가 담긴 시험관(test tube)에 7x104 세포/ml의 농도로 초기 접종한 후, 균을 접종한 TSB에 실시예 1과 비교예1 및 2 각각의 겔 베이스 시료를 최종농도가 10 w/v%가 되도록 첨가하고, 온도 37℃ 조건의 진탕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상기 배양액 1ml을 멸균수 9ml에 넣고 섞어 희석한 후, 상기 희석된 배양액 1ml을 Tryptic soy agar(TSA, Difco, USA) 평판배지에 분주하고 배양기에서 온도 37℃ 조건으로 24시간 배양하여 평판배지에 나타난 균의 군체(colony) 생성 유무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항균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시료명 농도 (10w/v%)
None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균주명 PA + - + -
SA + - + +
- : 항균 효과 있음 (평가기준: <10 colonies/mL) + : 항균 효과 없음 (평가기준: >10 colonies/mL)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운모를 함유한 비교예 1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활석을 함유한 비교예 2는 PA에 대해서만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양기석을 함유한 실시예 1은 PA, SA 모두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양기석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 단방 제형의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의 피부 밸런스 유지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정상피부, 지성피부 및 건성피부 각 10명, 총 30명의 20세 내지 50세 연령층의 여성들을 3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처리군)의 구성원이 각 10명이 되도록, 각 피부타입을 33.3% 포함하도록 분류하였다.
각 처리군의 구성원의 얼굴에 1일 1회 10일간 동일량을 도포한 후, 피부 수분은 피부 수분 측정기(Corneometer CM820, Courage and Khazaka, Kol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피부 유분은 피부 유분 측정기(Sebumeter SM810, Courage and Khazaka, Kol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수분 및 유분 밸런스 상태 비고
인원수 %
실시예 1 매우 좋다 6 60%
좋다 2 20%
보통이다 2 20%
나쁘다 - -
비교예 1 매우 좋다 2 20%
좋다 6 60%
보통이다 2 20%
나쁘다 - -
비교예 2 매우 좋다 - -
좋다 2 20%
보통이다 7 70%
나쁘다 1 1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2는 도포 후 다수의 피부상태가 '보통이다' 이하로 나타나,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가 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의 경우는 다수의 피부상태가 '좋다' 이하로 나타났지만, 실시예 1의 도포 후에는 다수의 피부상태가 '매우 좋다'로 평가되어, 피부 유수분 밸런스가 탁월하게 유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및 3, 비교예 3 및 4
하기 표 4의 배합예 조성에 따라,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양기석 및/또는 백자설의 광물성 생약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80℃로 가열한 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콜을 서서히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 시킨 후, 상기에서 준비한 광물성 생약 분말 혼합물을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투입하여 균일분산시켜 겔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1 1.0 1.0 0.5 1.0
2 3.0 3.0 0.5 3.0
3 진주 5.0 5.0 5.0 6.0
4 산호 5.0 10.0 5.0 -
5 활석 20.0 20.0 20.0 30.0
6 운모 50.0 45.0 59.0 60.0
7 양기석 6.0 6.0 - -
8 백자설 10.0 10.0 10.0 -
번호 성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비교예 4
1 광물성 생약 분말 혼합물 배합예 1 30.0 배합예 2 30.0 배합예 3 30.0 배합예 4 30.0
2 폴리비닐알콜 1.0 1.0 1.0 1.0
3 정제수 69.0 69.0 69.0 69.0
* 함량단위: 중량%
상기의 실시예 2 및 3, 비교예 3 및 4를 사용하여 항균 효과 및 피부 밸런스 유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시험예 3. 복방제제의 항균 활성 시험
상기 실시예 2 및 3, 비교예 3 및 4의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시험예 1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농도 (10w/v%)
None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비교예 4
균주명 PA + - - - -
SA + - - + +
- : 항균 효과 있음 (평가기준: <10 colonies/mL) + : 항균 효과 없음 (평가기준: >10 colonies/mL)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기석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3과 4는 SA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의 광물성 생약을 모두 함유한 실시예 2 및 3은 PA, SA 모두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 복방제제의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 시험
상기 실시예 2 및 3, 비교예 4의 피부 밸런스 유지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시험예 2와 같이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수분 및 유분 밸런스 상태 비고
인원수 %
실시예 2 매우 좋다 7 70%
좋다 1 10%
보통이다 2 20%
나쁘다 - -
실시예 3 매우 좋다 5 50%
좋다 2 20%
보통이다 2 20%
나쁘다 1 10%
비교예 4 매우 좋다 - -
좋다 2 20%
보통이다 4 40%
나쁘다 3 30%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4는 도포 후 다수의 피부상태가 '보통이다' 이하로 나타나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가 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도포 후에는 다수의 피부상태가 '매우 좋다'로 평가되어,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가 유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제제예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함유한 조성물을 하기의 구체적 제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제제예에서는, 배합예 1 및 4의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배합예 1과 4의 피부 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피부 보습력 및 피부 탄력성에 대한 비교 실험을 수행, 평가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5
표 4의 배합예 1의 조성을 포함하는 크림 (실시예 4) 및 배합예 4를 포함하는 크림 (비교예 5)을 하기 표 8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실시예 4 비교예 5
1 카보머 0.7 0.7
2 스쿠알란 2.0 2.0
3 스테아린산 0.5 0.5
4 마카다미아넛 오일 10.0 10.0
5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 알콜에스테르 5.0 5.0
6 트리에탄올아민 0.4 0.4
7 방부제 0.3 0.5
8 향료 0.1 0.1
9 광물성 생약 복합제(배합예 1) 10.0 -
10 광물성 생약 복합제(배합예 4) - 10.0
11 정제수 적량 적량
100 100
* 함량: 중량%
번호 1 내지 4를 칭량하여 가열 용해하고, 80℃에서 호모믹서로 균일 분산하고, 번호 5 및 6을 투입하여 유화시킨 후, 80℃에서 미리 용해한 번호 7을 투입하여 균일 분산시킨 다음, 고온에서의 향의 휘산을 막기 위해 35℃까지 냉각한 후, 35℃에서 번호 8 내지 11를 투입하고 재분산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5의 크림을 제조한다.
시험예 5 . 크림 제제의 피부 보습 활성 시험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5의 피부 보습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정상피부(NS), 지성피부(OS) 및 건성피부(DS) 각 10명으로 구성된, 총 30명의 23세 내지 48세 여성들의, 얼굴의 왼쪽 부위에는 실시예 4의 크림을, 오른쪽 부위에는 비교예 5의 크림을, 매일 아침 세안 후 1일 1회 2g을 얼굴에 골고루 펴발라 적용한 후 6시간 지속하였으며, 이를 3주간 수행하였다.
피부 수분은 피부 수분 측정기(Corneometer CM820, Courage and Khazaka, Kol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9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 분 피부 보습력
0=0 개선 없음
+=1 약간 향상
++=2 다소 향상
+++=3 명확하게 향상
++++=4 매우 명확하게 향상
번 호 연 령 피부 상태 비교예 5 실시예 4
1 39 OS ++ +++
2 45 DS ++ ++
3 27 NS ++ ++
4 30 NS + +++
5 37 DS 0 ++
6 28 NS + +++
7 29 OS + ++
8 42 NS + ++
9 31 DS + ++
10 44 DS + ++
11 23 NS + +++
12 38 NS 0 0
13 36 DS + +++
14 43 NS + +++
15 26 NS + +++
16 35 OS 0 +++
17 42 DS ++ ++++
18 25 OS + ++
19 40 NS 0 ++
20 38 NS 0 ++
21 29 NS 0 +
22 35 DS + ++
23 48 OS 0 ++
24 29 NS + ++
25 32 DS + +++
26 47 OS 0 +
27 41 DS + ++
28 35 NS + ++
29 23 NS + ++
30 36 NS 0 +
합 계 26 65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가 비교예 5에 비해 개선효과가 39 더 많게 나타났으며, 이는 피부 보습력이 비교예 5에 비해 150.0% 향상됨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6 . 크림 제제의 피부 탄력 활성 시험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5의 피부 탄력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예 5와 동일한 대상 및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부 탄력은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474, Courage and Khazaka, Kol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번 호 연 령 피부 상태 비교예 5 실시예 4
3주전 3주후 3주전 3주후
1 39 OS 0.352 0.340 0.012 0.357 0.336 0.021
2 45 DS 0.381 0.372 0.009 0.380 0.365 0.015
3 27 NS 0.358 0.351 0.007 0.356 0.343 0.013
4 30 NS 0.372 0.358 0.014 0.369 0.350 0.019
5 37 DS 0.384 0.369 0.015 0.385 0.364 0.021
6 28 NS 0.365 0.358 0.007 0.367 0.356 0.011
7 29 OS 0.354 0.350 0.040 0.353 0.344 0.009
8 42 NS 0.362 0.349 0.013 0.361 0.345 0.016
9 31 DS 0.372 0.364 0.008 0.374 0.361 0.013
10 44 DS 0.378 0.371 0.007 0.384 0.367 0.017
11 23 NS 0.354 0.343 0.011 0.352 0.329 0.023
12 38 NS 0.343 0.338 0.005 0.341 0.327 0.014
13 36 DS 0.358 0.349 0.009 0.363 0.345 0.018
14 43 NS 0.347 0.337 0.010 0.350 0.334 0.016
15 26 NS 0.363 0.349 0.014 0.361 0.344 0.017
16 35 OS 0.375 0.363 0.012 0.377 0.356 0.021
17 42 DS 0.386 0.373 0.013 0.387 0.369 0.018
18 25 OS 0.374 0.363 0.011 0.372 0.353 0.019
19 40 NS 0.396 0.361 0.008 0.382 0.367 0.015
20 38 NS 0.372 0.362 0.009 0.369 0.354 0.015
21 29 NS 0.384 0.371 0.013 0.379 0.367 0.012
22 35 DS 0.369 0.362 0.007 0.371 0.357 0.014
23 48 OS 0.368 0.363 0.005 0.372 0.354 0.018
24 29 NS 0.355 0.347 0.008 0.364 0.349 0.015
25 32 DS 0.394 0.381 0.013 0.387 0.371 0.016
26 47 OS 0.382 0.365 0.017 0.384 0.366 0.018
27 41 DS 0.352 0.338 0.014 0.361 0.337 0.024
28 35 NS 0.379 0.370 0.009 0.376 0.357 0.019
29 23 NS 0.337 0.334 0.003 0.342 0.330 0.012
30 36 NS 0.367 0.361 0.006 0.378 0.361 0.017
평 균 0.367 0.357 0.010 0.368 0.352 0.017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합예 1의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함유한 실시예 4가, 배합예 4의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함유한 비교예 5에 비해 피부 탄력치가 0.007 더 많게 나타났으며, 이는 실시예 4의 사용이 피부 탄력을 비교예 5의 사용에 비해 70.0% 향상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5 및 6, 비교예 6
표 4의 배합예 1을 포함하는 페이스 파우더 (실시예 5 및 6) 및 배합예 4를 포함하는 페이스 파우더 (비교예 6)를 하기 표 12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 호 성 분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6
1 탈크 잔량 잔량 잔량
2 세리사이트 10.0 10.0 10.0
3 옥시염화 비스무스 15.0 15.0 15.0
4 마이카 10.0 10.0 10.0
5 광물성 생약 복합제 (배합예 1) 0.5 10.0 -
6 광물성 생약 복합제 (배합예 4) - - 10.0
7 결합제 5.0 5.0 5.0
8 색 소 1.5 1.5 1.5
9 방부제 0.2 - -
10 향 료 0.1 0.1 0.1
* 함량: 중량%
상기의 배합으로 제조된 실시예 5 및 6, 비교예 6의 항균 효과 및 피부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시험예 7. 페이스 파우더 제제의 항균 활성 시험
상기 실시예 5 및 6, 비교예 6 의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균주인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PA로 표시) 및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SA로 표시)을, 121℃에서 20분간 멸균한 Tryptic soy broth(TSB, Difco, USA)가 담긴 시험관에 7x104 cell/ml의 농도로 초기 접종한 후, 균을 접종한 TSB에 실시예 5 및 6, 비교예 6 각각의 페이스 파우더 시료를 최종 농도가 5%가 되도록 첨가하고, 온도 37℃ 조건의 진탕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상기 배양액 1ml을 멸균수 9ml에 넣고 섞어 희석한 후, 상기 희석된 배양액 1ml을 Tryptic soy agar(TSA, Difco, USA) 평판배지에 분주하고 배양기에서 온도 37℃ 조건으로 24시간 배양하여 평판배지에 나타난 균의 군체(colony) 생성 유무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항균력을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냈다.
시료명 농도 5%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6
균주명 PA - - -
SA + - +
- : 항균 효과 있음 (평가기준: <10 colonies/mL) + : 항균 효과 없음 (평가기준: >10 colonies/mL)
상기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6의 페이스 파우더 제제 (산호, 양기석 및 백자설을 함유하지 않은 광물성 생약 첨가)는 PA에 대해서만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실시예 6의 페이스 파우더 제제 (본 발명의 광물성 생약 복합제 첨가)는 PA 및 SA 모두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8. 피부 안정성 시험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5 및 6, 비교예 6을 이용하여 패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30명의 여성을 3개조로 나누고, 상기 실시예 5 및 6, 비교예 6 각각 0.5g을 안면에 골고루 펴 바르고 2시간 동안 적용하기를 10일간 수행한 후, 시험자가 느끼는 자극의 강도에 따라 점수를 주어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평가는, 하기 표 14의 기준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내용
4 매우 자극이 심하여 사용하기 부적합함
3 자극이 심하여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음
2 약간의 자극이 있으며 사용할 때 주의를 요함
1 거의 자극이 없음
0 전혀 자극이 없어 민감한 피부에 사용해도 좋음
시료 피부 자극도
1일 3일 7일 10일
실시예 5 0.12 0.14 0.12 0.20
실시예 6 0.10 0.12 0.12 0.12
비교예 6 0.50 0.50 0.82 0.90
상기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 및 6, 비교예 6 모두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함유한 실시예 5 및 6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피부 자극이 거의 없어 더욱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으로,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양기석을 포함하여,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백자설과 같은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은, 항균 활성, 보습 활성, 탄력 부여 및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 효과를 제공하여, 연령, 스트레스, 자외선, 환경오염, 건조 등으로 인해 저하된 피부의 생리활성을 강화시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보호, 피부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하소 처리된 양기석(actinolitum)을 분쇄한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기석의 하소 처리는 1000 - 1500 ℃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하소처리된 양기석; 및
    금(Aurum), 은(Argentum), 진주(Margaritum), 산호(Coral), 활석(Talcum), 하소처리된 운모(Muscovitum) 및 하소처리된 백자설(Kaoli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추가의 광물성 생약;
    을 분쇄 혼합하여 얻은 광물성 생약 복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물성 생약 복합제는 금, 은, 진주, 산호, 활석, 운모, 백자설 및 양기석이 0.1~1.0: 0.1~1.0: 0.5~2.0: 0.5~2.0: 1.0~3.0: 4.0~6.0: 0.5~3.0: 0.5~3.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광물성 생약 복합제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수용성 리퀴드, 젤, 팩, 크림, 에센스 및, 수중유(O/W)형, 유중수(W/O)형 또는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 립스틱, 스킨커버, 펜슬 제형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46966A 2007-05-15 2007-05-15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66A KR100868640B1 (ko) 2007-05-15 2007-05-15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66A KR100868640B1 (ko) 2007-05-15 2007-05-15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640B1 true KR100868640B1 (ko) 2008-11-12

Family

ID=4028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966A KR100868640B1 (ko) 2007-05-15 2007-05-15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5238A (zh) * 2018-09-28 2019-01-04 杭州王氏广告有限公司 一种美容面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781B1 (ko) * 1994-03-14 1998-04-23 하상남 피부보호 크림 조성물
US20030077238A1 (en) 2001-09-07 2003-04-24 Roovers Maria Magdalena Catharina Cosmetic kit and method
US20060159782A1 (en) 2000-03-27 2006-07-20 Shiseido Company, Ltd. Material for promoting skin basement formation
KR20070016793A (ko) * 2005-08-05 2007-02-08 하상남 분산성 및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분말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781B1 (ko) * 1994-03-14 1998-04-23 하상남 피부보호 크림 조성물
US20060159782A1 (en) 2000-03-27 2006-07-20 Shiseido Company, Ltd. Material for promoting skin basement formation
US20030077238A1 (en) 2001-09-07 2003-04-24 Roovers Maria Magdalena Catharina Cosmetic kit and method
KR20070016793A (ko) * 2005-08-05 2007-02-08 하상남 분산성 및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분말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5238A (zh) * 2018-09-28 2019-01-04 杭州王氏广告有限公司 一种美容面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thana et al. Polyvinyl alcohol (PVA) mixed green–clay and aloe vera based polymeric membrane optimization: Peel-off mask formulation for skin care cosmeceuticals in green nanotechnology
JP2003515615A (ja) 治療用抗菌剤組成物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20090097406A (ko)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상기 보존제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99962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化妆品
KR102147833B1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E102017010930A1 (de) Topische Zubereitungen
CN107184448A (zh) 一种具有预防痘痕生成的祛痘霜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0847478B1 (ko) 금 또는 은 나노입자 및 까마중 추출물의 중합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5993B1 (ko)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Mamillapalli et al. Formulation, phytochemical, physical, biological evaluation of polyherbal vanishing cream, and facewash
KR20090102033A (ko) 목초액과 백토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KR101383519B1 (ko) 항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0349B1 (ko) 프로폴리스 함유 나노베시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68640B1 (ko)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664671B (zh)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防晒、晒后修复、防光老化和美白化妆品中的应用
KR20160099895A (ko) 뽕나무뿌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024167B1 (ko) 봉독(벌독)을 포함하는 피부온도 감응성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0897364B1 (ko) 기능성 이미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천연 미용비누 및기능성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