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461B1 -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461B1
KR100840461B1 KR1020060095418A KR20060095418A KR100840461B1 KR 100840461 B1 KR100840461 B1 KR 100840461B1 KR 1020060095418 A KR1020060095418 A KR 1020060095418A KR 20060095418 A KR20060095418 A KR 20060095418A KR 100840461 B1 KR100840461 B1 KR 100840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light source
auxiliary light
charge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377A (ko
Inventor
가즈노리 야나기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71With second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렌즈광학계(12)와 CCD(13)를 포함하는 촬영계와, 이 촬영계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으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스트로보발광부(35)와, 스트로보발광부(35)의 충전상태로부터 소정의 휘도 이상의 발광의 가능/불가능, 및 발광가능인 경우의 충전단계를 판단하며, 스트로보발광부(35)가 발광가능이라고 판단한 경우, 그 충전단계에 따라 촬영계에서의 촬영감도를 단계적으로 높여서 스트로보발광부(35)를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제어부(22)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60095418
촬영렌즈광학계, 스트로보발광부, ISO감도, 축전량, CCD, 룩업테이블

Description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 전자회로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동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촬영모드시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동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스트로보용 대용량 콘덴서의 충전특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동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축전량에 대응한 스트로보발광의 유무와 ISO감도를 규정하는 룩업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 촬영모드시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동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축전량에 대응한 스트로보발광의 유무와 ISO감도 및 셔터속도(S값)를 규정하는 룩업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 촬영모드시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동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축전량과 파사체거리에 대응한 ISO감도를 규정하는 룩업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지털카메라 11: 모터
12: 촬영렌즈광학계 13: CCD
14: 타이밍발생기 15: CCD드라이버
16: AGC/SH회로 17: A/D변환기
18: 컬러프로세스회로 19: DMA콘트롤러
20: DRAM인터페이스 21: DRAM
22: 제어부 23: VRAM콘트롤러
24: VRAM 25: 디지털비디오엔코더
26: 표시부 27: 키 입력부
28: JPEG회로 29: 내장메모리
30: 메모리카드 31: 음성처리부
32: 스트로보구동부 33: 마이크로폰부
34: 스피커부 35: 스트로보발광부
본 발명은 특히 스트로보촬영을 실행하는 디지털카메라에 매우 적합한 촬영 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스틸카메라, 은염카메라에 한정하지 않고, 보조광원인 스트로보를 발광시킨 정지화상촬영에서는 한 번 촬영을 위해 스트로보를 풀 발광시키면, 촬영 후에 스트로보를 발광시키기 위한 대용량 콘덴서의 충전상태가 발광 허용량에 이를 때까지는 다음의 스트로보촬영을 실행할 수 없도록 촬영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통상이다.
따라서, 특히 전원의 전지가 소모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일단 스트로보촬영을 실행하고 나서 다음에 스트로보촬영을 실행할 수 있게 되기까지 시간을 필요로 해서, 귀중한 셔터찬스를 놓쳐 버리는 일도 많이 있을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사태와는 별도로 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전지수명에 대한 영향을 가급적으로 적게 하면서 적절한 밝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설정되는 셔터속도가 1/60[초]보다 느린 경우에는 ISO감도를 높여서 스트로보를 발광시키는 일없이 피사체의 밝기에 대응하는 한편, ISO감도를 최대로 해도 셔터속도가 1/60[초]보다 느린 경우에는 스트로보발광하는 것을 확정하는 동시에 감도를 확정한다. 그리고 이상의 처리로 스트로보발광이 촬영조건으로 된 경우에는 감도를 내리고, 스트로보의 도달거리가 파사체거리에 대해서 과잉이 아니게 된 시점에서 셔터키 반 누름시의 처리의 흐름에 따른 처리를 종료하고, 감도를 확정하도록 한 기술을 생각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5-20412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한 기술은 설정 가능한 최대 감도까지의 감도로 피사체 의 밝기에 대응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스트로보의 발광구동을 억제함으로써 전지의 소모를 억제하는 것인데, 전지가 소모되어 버려 있고, 또한 스트로보발광이 필요한 촬영을 실행할 경우에는 스트로보용의 충전에 시간을 필요로 해서 셔터찬스를 놓쳐 버릴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 불편을 여전히 해소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셔터찬스를 놓치는 일없이 촬영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인 촬상장치는,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으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과,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의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다른 하나인,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으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촬영방법은,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공정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공정을 포함한다.
또,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다른 하나인,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으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에 내장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스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셔터찬스를 놓치는 일없이 촬영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디지털카메라(10) 전자회로의 개념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 중, 촬영모드에서의 모니터링 상태에 있어서는 모터(M, 11)의 구동에 의해 촬영렌즈광학계(12) 중의 일부의 렌즈, 구체적으로는 줌렌즈 및 포커스렌즈의 위치가 적당히 이동된다. 이 촬영렌즈광학계(12)의 촬영광축 뒤쪽의 결상위치에 도시하지 않는 메커니컬셔터를 통하여 고체촬상소자인 CCD(13)가 배치된다.
CCD(13)는 타이밍발생기(TG, 14), CCD드라이버(15)에 의해서 주사 구동되고, 일정주기마다 결상한 광상에 대응하는 광전변환출력을 1화면분 출력한다.
이 광전변환출력은 AGC/SH(Auto Gain Control/Sample Hold)회로(16)에 있어 서, 아날로그값의 신호상태에서 RGB의 각 원색성분마다 그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ISO감도에 따라 게인조정된 후에 샘플홀드되어 A/D변환기(17)에 보내진다.
A/D변환기(17)에서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화상사이즈 및 화질에 따라서 구멍(hole)의 화상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해서 컬러프로세스회로(18)에 출력한다.
컬러프로세스회로(18)는 디지털의 화소데이터에 대해서 화소보간처리 및 γ보정처리를 포함하는 컬러프로세스처리를 실행하고, 디지털값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Cb, Cr)를 생성하여, DMA(Direct Memory Access)콘트롤러(19)에 출력한다.
DMA콘트롤러(19)는 컬러프로세스회로(18)가 출력하는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Cb, Cr)를 같은 컬러프로세스회로(18)로부터의 복합동기신호, 메모리기록이네이블신호 및 클록신호를 이용하여 한 번 DMA콘트롤러(19) 내부의 버퍼에 기록하고, DRAM인터페이스(I/F, 20)를 통하여 버퍼메모리로서 사용되는 DRAM(21)에 DMA전송을 실행한다.
제어부(22)는 CPU와, 후술하는 촬영시의 스트로보발광이나 고감도화를 포함하는 동작프로그램을 고정적으로 기억한 플래시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 및 작업메모리로서 사용되는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이 디지털카메라 전체의 제어동작을 맡는 것으로, 상기 휘도 및 색차신호의 DRAM(21)으로의 DMA전송 종료 후에 이 휘도 및 색차신호를 DRAM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DRAM(21)으로부터 판독해서, VRAM콘트롤러(23)를 통하여 VRAM(24)에 기록한다.
디지털비디오엔코더(25)는 상기 휘도 및 색차신호를 VRAM콘트롤러(23)를 통 하여 VRAM(24)으로부터 정기적으로 판독하고, 이들 데이터를 토대로 비디오신호를 발생해서 표시부(26)에 출력한다.
이 표시부(26)는 디지털카메라(10)의 하우징 배면에 배치 설치된, 예를 들면 백라이트 부착의 컬러액정패널과 그 구동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 촬영모드시에는 전자파인더로서 기능하고, 디지털비디오엔코더(25)로부터의 비디오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실행하는 것으로, 그 시점에서 디지털비디오엔코더(25)로부터 받아들이고 있는 화상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 표시하는 한편, 재생모드시에는 선택한 화상 등을 재생 표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26)에 그 시점에서의 화상이 모니터 화상으로서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있는, 소위 스루화상의 표시상태에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고 싶은 타이밍에 키 입력부(27)의 일부를 구성하는 셔터키를 조작하면, 트리거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22)는 이 트리거신호에 따라 그 시점에서 CCD(13)로부터 받아들이고 있는 1화면분의 휘도 및 색차신호의 DRAM(21)으로의 DMA전송을 멈추고, 재차 적정한 노출조건에 따른 셔터속도로 도시하지 않는 메커니컬 셔터 및 상기 CCD(13)를 구동해서 1화면분의 기동 및 색차신호를 얻어 DRAM(21)으로 전송하며, 그 후에 이 경로를 정지하고, 기억보존상태로 천이한다.
이 기억보존상태에서는 제어부(22)가 DRAM(21)에 기록되어 있는 1프레임분의 휘도 및 색차신호를 DRAM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Y, Cb, Cr의 각 컴포넌트마다 세로 8화소× 가로 8화소의 기본블록이라 불리는 단위로 판독해서 JPEG(Joint Photograph coding Experts Group)회로(28)에 기록하고, 이 JPEG회로(28)에서 ADCT(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 적응이산코사인 변환), 엔트로피 부호화 방식인 허프만 부호화 등의 데이터 압축 처리에 의해 부호화한다.
그리고 얻은 부호데이터를 1화상분의 데이터파일로서 해당 JPEG회로(28)로부터 판독하고, 이 디지털카메라(10)의 기억매체인 내장메모리(29) 또는 이 디지털카메라(10)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다.
그리고 1프레임분의 휘도 및 색차신호의 압축처리 및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로의 전체 압축데이터의 기록종료에 동반하여 제어부(22)는 CCD(13)로부터 DRAM(21)으로의 경로를 재차 기동한다.
여기에서 내장메모리(29)와 메모리카드(30)에서는 메모리카드(30)를 우선해서 정지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시작으로 하는 각종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메모리카드(30)가 디지털카메라(10)로부터 떼어 내져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내장메모리(29)에 대한 기록/판독을 실행하는 한편, 메모리카드(3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메모리카드(30)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록/판독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어부(22)에는 상기한 키 입력부(27)와, 음성처리부(31), 및 스트로보구동부(32)가 접속된다.
키 입력부(27)는 상기한 셔터키 외에, 전원키, 줌키, 촬영모드키, 재생모드키, 커서키, 설정키, 메뉴키, 매크로키, 및 스트로보키 등으로 구성되고, 그들 키조작에 동반하는 신호는 직접 제어부(22)로 송출된다.
음성처리부(31)는 PCM음원 등의 음원회로를 구비하고, 음성의 녹음시에는 디지털카메라(10)의 하우징 전면에 배치 설치된 마이크로폰부(MIC, 33)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해서, 소정의 데이터파일 형식, 예를 들면 MP3(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1 audio layer3) 규격에 따라 데이터 압축하여 음성데이터파일을 작성하며, 상기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로 송출하는 한편, 음성의 재생시에는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로부터 판독되어 온 음성데이터파일의 압축을 풀어 아날로그화하고, 상기 표시부(26)와 같이 디지털카메라(10)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스피커부(SP, 34)를 구동하여, 확성 방음시킨다.
스트로보구동부(32)는 정지화상촬영시에 도시하지 않는 스트로보용의 대용량 콘덴서를 충전한 다음, 제어부(22)로부터의 제어에 의거해서 크세논방전관 등으로 구성되는 스트로보발광부(35)를 섬광 구동시킨다.
그런데, 촬영모드시에 정지화상은 아니고 동화상의 촬영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1회째의 셔터키가 조작된 시점에서 상기한 정지화상데이터를 취득하여 JPEG회로(28)에서 데이터 압축하고,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억한다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당한 프레임속도, 예를 들면 30[프레임/초]로 연속해서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개시하며, 해당 셔터키가 2번째로 조작되던지, 또는 소정의 제한시간, 예를 들면 3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그들 일련의 정지화상데이터파일을 일괄하여 모션JPEG의 데이터파일(AVI파일)로서 고쳐 설정한다.
또, 재생모드시에는 제어부(22)가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고, JPEG회로(28)에서 촬영모드시에 데이터 압축한 순서와 완전히 반대의 순서로 압축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신장하며, 신장한 화상데이터를 DRAM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DRAM(21)에 홀딩시킨 다음, 이 DRAM(21)의 홀딩내용을 VRAM콘트롤러(23)를 통하여 VRAM(24)에 기억시키고, 이 VRAM(24)으로부터 정기적으로 화상데이터를 판독해서 비디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표시부(26)에서 재생시킨다.
선택한 화상데이터가 정지화상은 아니고 동화상이었던 경우, 선택한 동화상파일을 구성하는 개개의 정지화상데이터의 재생을 소정의 프레임속도로 시간적으로 연속해서 실행하고, 마지막 정지화상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한 시점에서 다음으로 재생의 지시가 이루어지기까지 선두에 위치하는 정지화상데이터만을 이용해서 재생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디지털카메라(10)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다른 카메라와 똑같이 셔터키가 2단계의 조작스트로크를 가지며, 제 1 단계로서 풀 스트로크의 반 정도까지의 조작, 일반적으로 반 누름이라 불리는 조작상태로 자동초점맞춤(AF)처리와 자동노광(AE)처리를 실행해서 각각의 처리값을 로크하고, 그 후, 제 2 단계로서 풀 스트로크의 조작, 일반적으로 전부 누름이라 불리는 조작상태로 상기 AF값 및 AE값에 의한 본 촬영을 실행한다고 하는 동작 로직에 의거한 촬영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촬영모드에서 정지화상의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당초에는 그 시점에서 소정의 프레임속도, 예를 들면 30[프레임/초]에 들어가도록 간이한 AF처리와 AE처리를 실행하고, 프레임속도를 고려한 고속셔터속도에 의해 CCD(13)를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CCD(13)에서 촬상되고 있는 내용을 표시부(26)에서 표시하는 스루화상표시상태를 유지하면서(스텝S01), 키 입력부(27)의 셔터키가 반 누름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02)고 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는 것으로, 셔터키가 반 누름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하여 셔터키가 반 누름 조작되면 스텝S02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얻어지는 화상 중앙에 초점을 맞추도록 촬영렌즈광학계(12) 중의 포커스렌즈를 이동시켜 로크하는(AF로크) 한편, AF로크를 실행한 것을 예를 들면「삐삐삐‥‥」라고 하는 전자음을 스피커부(34)에서 확성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S03).
동시에, 상기 자동초점맞춤위치를 로크한 상태로부터 적정한 노광값을 얻고, 그 노광값으로부터 조리개값 및 셔터속도를 설정해서 임시로 로크한 다음(스텝S04), 셔터키가 추가로 전부 누름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스텝S05), 아직 반 누름 조작되고 있는지 아닌지(스텝S06)를 반복 판단하는 것으로, AF 및 AE의 각 상태를 로크하면서 셔터키가 전부 누름 조작되던지, 또는 반 누름 조작의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대기한다.
또한, 상기 스텝S04에서 임시로 로크한 AE값으로부터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한 경우에는 즉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로의 충전을 개시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로의 충전은 AE임시로크(스텝S04)의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강제발광을 실행시키기 위해 촬영모드로 전환한 타이밍이나 스트로보발광 후라도 상관없다.
셔터키의 반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는 스텝S06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본 촬영에는 이르지 않았던 것으로 하며, 재차 상기 스텝S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AF값 및 AE값을 로크한 상태로부터 셔터키가 전부 누름 조작되면, 스텝S05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다음으로 직전의 스텝S04에서 로크한 AE값으로부터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07).
여기에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 없을 정도로 피사체에 대한 충분한 광량의 외광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을 실행하는 일없이 상기 스텝S03, S04에서 로크한 AF값 및 AE값에 따라서 촬영을 실행하고(스텝S08),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0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S07에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잇따라서 그 시점에서의 스트로보발광부(35)의 발광을 위한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C)로의 충전상태를 스트로보구동부(32)가 체크해서 그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스텝S10).
도 3은 스트로보발광부(35)를 섬광 구동하기 위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 한 콘덴서로의 충전특성을 예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해당 콘덴서에 충전되는 전하량에 의해 스트로보발광부(35)를 구성하는 크세논방전관으로의 인가전압이 220 [V] 이상인 경우에 스트로보발광부(35)를 섬광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330[V]에 이르면 상한값의 풀 충전으로 되어 그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그 시점에서의 해당 콘덴서의 충전상태를 체크한 결과,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발광이 가능한 충전상태인지 아닌지, 여기에서는 220[V]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1).
스트로보발광부(35)가 발광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체크한 그 시점의 충전상태에 대응해서 ISO감도, 구체적으로는 상기 AGC/SH회로(16)에서의 아날로그값의 화상신호에 대한 증폭율을 설정한 다음(스텝S12), 그 시점에서 발광가능한 광량에 의해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켜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13).
도 4는 이때 제어부(22)가 참조하는 룩업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이고, 해당 콘덴서의 전압이 220[V] 내지 330[V]인 경우에, ISO감도를 1600∼5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촬영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텝S13에서 그 시점에서 발광가능한 광량에 의한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킨 촬영을 실행하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0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S11에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한 콘덴서의 충전상태가 스트 로보발광부(35)에 의한 발광을 할 수 없는 상태, 여기에서는 220[V]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ISO감도를 최대값(여기에서는 상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600)으로 설정한 다음(스텝S14),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발광은 실행하지 않고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15).
그 후,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 (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0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보조광원인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키기 위한 콘덴서가 풀 충전의 상태는 아니어도, 발광가능하면 그것을 판단하고, 즉시 ISO감도를 높이는 설정을 실행해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을 동반하는 촬영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로보의 충전동작에 시간을 빼앗기는 일없이 셔터키를 조작하고 나서 즉시 촬영으로 이행할 수 있어 셔터찬스를 놓치는 일없이 촬영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키기 위한 콘덴서가 풀 충전의 상태에는 조금 멀고, 발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ISO감도를 최대값으로 설정한 다음 스트로보발광 없이 촬영동작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화상 중에 노이즈의 영향은 면할 수 없기는 하지만, 셔터찬스를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충전상태에 대응한 스트로보 발광의 가부 판단과 ISO감도의 설정은 어느 것이나 제어부(22) 내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동작프로그램과 함께 기억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신속하게 촬영의 고감도화를 실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디지털카메라(10)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 등의 개체차나 제품의 버전업, 또한, 사용자의 커스터마이즈에 따라 그 기억내용을 용이하게 새로 고쳐 쓸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0) 전자회로의 개념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똑같으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렌즈광학계(12) 또는 CCD(13)가 손떨림보정기능, 구체적으로는 촬영렌즈광학계(12)의 촬영광축을 변위시키는 방법, 또는 CCD(13)에 있어서의 촬상영역중의 촬상범위를 이동시키는 방법 등을 갖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서, 이 도 2에서는 나타내지 않는 촬영렌즈광학계(12)의 촬영광축에 각각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한, 예를 들면 5∼50[㎐]의 주파수 범위내에서의 변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를 설치하고, 손떨림보정모드가 설정차 빗나가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따라 상기 손떨림보정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손떨림의 영향을 배제해서 선예(鮮銳)한 화상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디지털카메라(10)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다른 카메라와 똑같이 셔터키가 2단계의 조작스트로크를 갖고, 제 1 단계로서 풀 스트로크의 반 정도까지의 조작, 일반적으로 반 누름이라 불리는 조작상태로 자동초점맞춤(AF)처리와 자동노광(AE)처리를 실행해서 각각의 처리값을 로크하고, 그 후, 제 2 단계로서 풀 스트로크의 조작, 일반적으로 전부 누름이라 불리는 조작상태로 상기 AF값 및 AE값에 의한 본 촬영을 실행한다고 하는 동작 로직에 의거한 촬영동작을 실행한다.
도 5는 촬영모드에서 정지화상의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당초에는 그 시점에서 소정의 프레임속도, 예를 들면 30[프레임/초]에 들어가도록 간이한 AF처리와 AE처리를 실행하고, 프레임속도를 고려한 고속셔터속도에 의해 CCD(13)를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CCD(13)에서 촬상되고 있는 내용을 표시부(26)에서 표시하는 스루화상 표시상태를 유지하면서(스텝S21), 키 입력부(27)의 셔터키가 반 누름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2)라고 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는 것으로 셔터키가 반 누름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하여 셔터키가 반 누름 조작되면, 스텝S22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얻어지는 화상 중앙에 초점을 맞추도록 촬영렌즈광학계(12)중의 포커스렌즈를 이동시켜 로크(AF로크)하는 한편, AF로크를 실행한 것을 예를 들면「삐삐삐‥‥」라고 하는 전자음을 스피커부(34)에서 확성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S23).
동시에, 상기 자동초점맞춤위치를 로크한 상태로부터 적정한 노광값을 얻고, 그 노광값으로부터 조리개값 및 셔터속도를 설정해서 임시로 로크한 다음(스텝S24), 셔터키가 추가로 전부 누름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스텝S25), 아직 반 누름 조작되고 있는지 아닌지(스텝S26)를 반복 판단하는 것으로, AF 및 AE의 각 상태를 로크하면서 셔터키가 전부 누름 조작되던지, 또는 반 누름 조작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대기한다.
또한, 상기 스텝S24에서 임시로 로크한 AE값으로부터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한 경우에는 즉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로의 충전을 개시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로의 충전은 AE임시로크(스텝S24)의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강제발광을 실행시키기 위해 촬영모드로 전환한 타이밍이나 스트로보발광 후라도 상관없다.
셔터키의 반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는 스텝S26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본 촬영에는 이르지 않았던 것으로 하며, 재차 상기 스텝S2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AF값 및 AE값을 로크한 상태로부터 셔터키가 전부 누름 조작되면, 스텝S25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다음으로 직전의 스텝S24에서 로크한 AE값으로부터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7).
여기에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 없을 정도로 피사체에 대한 충분한 광량의 외광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을 실행하는 일없이 상기 스텝S23, S24에서 로크한 AF값 및 AE값에 따라 촬영 을 실행하고(스텝S28),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2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2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S27에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잇따라서 그 시점에서의 스트로보발광부(35)의 발광을 위한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C)로의 충전상태를 스트로보구동부(32)가 체크해서 그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스텝S30).
도 3은 스트로보발광부(35)를 섬광 구동하기 위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한 콘덴서로의 충전특성을 예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해당 콘덴서에 충전되는 전하량에 의해 스트로보발광부(35)를 구성하는 크세논방전관으로의 인가전압이 220 [V] 이상인 경우에 스트로보발광부(35)를 섬광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330[V]에 이르면 상한값의 풀 충전으로 되어 그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그 시점에서의 해당 콘덴서의 충전상태를 체크한 결과,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발광이 가능한 충전상태인지 아닌지, 여기에서는 220[V]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31).
스트로보발광부(35)가 발광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체크한 그 시점의 충전상태에 대응해서 ISO감도, 구체적으로는 상기 AGC/SH회로(16)에서의 아날로그값의 화상신호에 대한 증폭율과 필요에 따라 셔터속도를 설정한 다음(스텝S32), 그 시점에서 발광가능한 광량에 의해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켜 촬영을 실행한다(스 텝S33).
또한, 스트로보발광부(35)가 발광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ISO감도를 설정하는 일없이 그 시점에서 발광가능한 광량에 의해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켜 촬영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또, 스트로보발광부(35)가 발광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은 아니고, 풀 충전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6은 이때 제어부(22)가 참조하는 룩업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이고, 해당 콘덴서의 전압이 220[V] 내지 330[V]인 경우에 ISO감도를 1600∼5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또한, 콘덴서의 전압이 더욱 높은 영역의 290[V] 내지 330[V]인 경우에는 셔터속도를 1/15[초]∼1/60[초]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설정해서 촬영을 실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텝S33에서 그 시점에서 발광가능한 광량에 의한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킨 촬영을 실행하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2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2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S31에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한 콘덴서의 충전상태가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발광을 할 수 없는 상태, 여기에서는 220[V]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촬영렌즈광학계(12) 또는 CCD(13)에 의한 손떨림보정모드를 자동적으로 ON설정한 후(스텝S34), ISO감도를 최대값(여기에서는 상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600)으로 설정하고, 추가로 그 ISO감도값에서의 적정 노출에 따른 셔터속도(S값)를 설정한 다음(스텝S35),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발광은 실행하 지 않고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36).
그 후,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 (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2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보조광원인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손떨림보정모드를 설정하고, ISO감도를 최대값으로 설정한 다음 적정 노출을 얻기 위한 셔터속도를 설정해서 촬영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스트로보발광이 없는 느린 셔터에서의 촬영에도 확실하게 손떨림을 회피해서 확실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충전상태에 대응한 스트로보 발광의 가부 판단과 ISO감도, 및 일부의 범위에서의 셔터속도의 설정을 어느 것이나 제어부(22) 내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동작프로그램과 함께 기억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신속하게 촬영의 고감도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카메라(10)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 등의 개체차나 제품의 버전업, 또한, 사용자의 커스터마이즈에 따라 그 기억내용을 용이하게 새로 고쳐 쓸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0) 전자회로의 개념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똑같으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디지털카메라(10)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다른 카메라와 똑같이 셔터키가 2단계의 조작스트로크를 갖고, 제 1 단계로서 풀 스트로크의 반 정도까지의 조작, 일반적으로 반 누름이라 불리는 조작상태로 자동초점맞춤(AF)처리와 자동 노광(AE)처리를 실행해서 각각의 처리값을 로크하고, 그 후, 제 2 단계로서 풀 스트로크의 조작, 일반적으로 전부 누름이라 불리는 조작상태로 상기 AF값 및 AE값에 의한 본 촬영을 실행한다고 하는 동작 로직에 의거한 촬영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스트로보촬영을 실행할 경우, 피사체까지의 유효촬영거리가 예를 들면 10[m]까지로 하고, 10[m] 내지 무한원(∞)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는 촬영에 충분한 만큼의 반사광량이 얻어지지 않고, 스트로보의 발광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스트로보발광부(35)를 이용한 촬영은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촬영모드에서 정지화상의 촬영을 실행할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당초에는 그 시점에서 소정의 프레임속도, 예를 들면 30[프레임/초]에 들어가도록 간이한 AF처리와 AE처리를 실행하고, 프레임속도를 고려한 고속셔터속도에 의해 CCD(13)를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CCD(13)에서 촬 상되고 있는 내용을 표시부(26)에 표시하는 스루화상표시상태를 유지하면서(스텝S41), 키 입력부(27)의 셔터키가 반 누름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42)고 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는 것으로 셔터키가 반 누름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하여 셔터키가 반 누름 조작되면 스텝S42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얻어지는 화상 중앙에 초점을 맞추도록 촬영렌즈광학계(12)중의 포커스렌즈를 이동시켜 로크(AF로크)하는 한편, AF로크를 실행한 것을 예를 들면「삐삐삐‥‥」라고 하는 전자음을 스피커부(34)에서 확성 출력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S43).
동시에, 상기 자동초점맞춤위치를 로크한 상태로부터 적정한 노광값을 얻고, 그 노광값으로부터 조리개값 및 셔터속도를 설정해서 임시로 로크한 다음(스텝S44), 셔터키가 추가로 전부 누름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스텝S45), 아직 반 누름 조작되고 있는지 아닌지(스텝S46)를 반복 판단하는 것으로 AF 및 AE의 각 상태를 로크하면서 셔터키가 전부 누름 조작되던지, 또는 반 누름 조작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대기한다.
또한, 상기 스텝S44에서 임시로 로크한 AE값으로부터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한 경우에는 즉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로의 충전을 개시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로의 충전은 AE임시로크(스텝S44)의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강제발광을 실행시키기 위해 촬영 모드로 전환한 타이밍이나 스트로보발광 후라도 상관없다.
셔터키의 반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는 스텝S46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본 촬영에는 이르지 않았던 것으로 하며, 재차 상기 스텝S4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AF값 및 AE값을 로크한 상태로부터 셔터키가 전부 누름 조작되면, 상기 스텝S45에서 이것을 판단하고, 다음으로 직전의 스텝S44에서 로크한 AE값으로부터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47).
여기에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 없을 정도로 피사체에 대한 충분한 광량의 외광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을 실행하는 일없이 상기 스텝S43, S44에서 로크한 AF값 및 AE값에 따라 촬영을 실행하고(스텝S48),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4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S47에서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잇따라서 그 시점에서의 스트로보발광부(35)의 발광을 위한 도시하지 않는 콘덴서(C)로의 충전상태를 스트로보구동부(32)가 체크해서 그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스텝S50).
도 3은 스트로보발광부(35)를 섬광 구동하기 위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한 콘덴서로의 충전특성을 예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해당 콘덴서에 충전되는 전하량에 의해 스트로보발광부(35)를 구성하는 크세논방전관으로의 인가전압이 220[V] 이상인 경우에 스트로보발광부(35)를 섬광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330[V]에 이르면 상한값의 풀 충전으로 되어 그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그 시점에서의 해당 콘덴서의 충전상태를 체크한 후, 상기 직전의 스텝S43에서 로크한 AF값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스트로보발광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범위(10[m] 내지 무한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51).
여기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멀고, 스트로보발광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범위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ISO감도를 포함하는 스트로보 이외의 요소를 모두 고감도화 설정한 다음(스텝S52),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을 실행하는 일없이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53).
그 후,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 (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하고(스텝S4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S51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스트로보발광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상기 스텝S50에서의 충전상태의 체크의 결과,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충분한 발광이 가능한 충전상태인지 아닌지, 여기에서는 220[V]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54).
스트로보발광부(35)가 발광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체크한 그 시점의 충전상태에 대응해서 ISO감도, 구체적으로는 상기 AGC/SH회로(16)에서의 아날로그값의 화상신호에 대한 증폭율을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설정한 다음(스텝S56), 그 시점 에서 발광가능한 광량에 의해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켜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57).
도 8은 이때 제어부(22)가 참조하는 룩업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이고, 해당 콘덴서의 전압이 220[V] 내지 330[V]인 경우에 AF값에 따라 ISO감도를 1600∼5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텝S57에서 그 시점에서 발광가능한 광량에 의한 스트로보발광부(35)를 발광시킨 촬영을 실행하면,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후(스텝S4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4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S54에서 스트로보구동부(32)에 의한 콘덴서의 충전상태가 스트로보발광부(35)에 의한 충분한 발광을 할 수 없는 상태, 여기에서는 220[V]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ISO감도를 포함하는 스트로보 이외의 요소를 모두 고감도화 설정한 다음(스텝S58), 스트로보발광부(35)에서의 발광을 실행하는 일없이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59).
그 후,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를 압축한 후에 신속하게 내장메모리 (29) 또는 메모리카드(30)에 기록한 다음(스텝S49), 다음의 촬영에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S4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래는 발광할 수 없는 충전상태라도 강제로 불충분하면서 스트로보를 발광시키고, 아울러 자동적으로 설정한 각 요소에 의한 고감도화에 의해 촬영을 강행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사용자의 촬영의도를 우선해서 셔터찬스를 놓치 는 일없이 촬영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촬영의 고감도화를 ISO감도,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의 화상신호를 AGC/SH회로(16)에서 증폭할 때의 증폭율에 의해 대응하는 것으로 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인접하는 화소간의 정보로 가산을 실행하여 화소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크게 하는 화소가산방식에 의해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시간적으로 연속한 복수회의 노광에 의해 얻은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화소[]로 가산하는 복수 화상에 의한 화소가산방식에 의해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다중 노광에 의한 화상데이터로부터 고감도화한 화상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피사체의 움직임이 격렬한 경우에는 손떨림보정기능을 동작시켰다고 해도 필연적으로 화상에「떨림」을 발생하여 버리게 되고, 양호한 촬영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움직임이 적은 피사체에 한정되는데, 더욱 자연스럽고 화질이 높은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는 여러 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 있어서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의 란에서 서술한 과제의 적어도 1 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발명의 효과란에서 서술되어 있는 효과의 적어도 1개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찬스를 놓치는 일없이 촬영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9)

  1.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과,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감도를 높이는데 덧붙여서 셔터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과,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 및 피사체 거리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삭제
  4.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과,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판단수단은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소정의 휘도 이상의 발광의 가능/불가능을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수단은 손떨림보정모드에서의 촬영에 대응하며,
    상기 촬영제어수단은 상기 판단수단에서 발광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촬영수단을 상기 손떨림보정모드로 설정하는 동시에 셔터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하지 않는 촬영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수단은 상기 보조광원에서 발광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촬영수단을 상기 손떨림보정모드로 설정하는 동시에 셔터속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감도를 최대 감도로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하지 않는 촬영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소정의 휘도 이상의 발광의 가능/불가능을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제어수단은 상기 판단수단에서 발광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보조 광원 이외의 요소를 고감도로 설정한 위에,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하지 않는 촬영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수단은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 단계에 따른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감도의 상승량을 미리 기억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수단은 인접하는 화소의 정보를 가산하는 화소 가산 방식에 의해 촬영감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수단은 시간적으로 연속한 복수회의 노광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동일 화소 단위로 가산하는 화상 가산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감도를 높인 화상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공정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이고 셔터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촬영방법.
  11.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공정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 및 피사체 거리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촬영방법.
  12. 삭제
  13.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공정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공정은 보조광원의 충전 상태로부터 소정 휘도 이상의 발광 가능/불가능을 판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손떨림보정모드에서의 촬영에 대응하며,
    상기 촬영제어공정은 상기 판단공정에서 발광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촬영부를 상기 손떨림보정모드로 설정하는 동시에 셔터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하지 않는 촬영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촬영방법.
  14. 삭제
  15.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에 내장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이고 셔터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스텝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6.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에 내장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 및 피사체거리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스텝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7. 삭제
  18. 피사체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에 동기하고, 충전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충전상태 이상에서 소정의 휘도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상장치에 내장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보조광원의 충전상태로부터 충전량을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상기 촬영부에서의 촬영시에, 그 충전량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감도를 높여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한 촬영을 실행시키는 촬영제어스텝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며,
    상기 판단스텝은 보조광원의 충전 상태로부터 소정 휘도 이상의 발광 가능/불가능을 판단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손떨림보정모드에서의 촬영에 대응하며,
    상기 촬영제어스텝은 상기 판단스텝에서 발광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촬영부를 상기 손떨림보정모드로 설정하는 동시에 셔터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보조광원을 이용하지 않는 촬영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9. 삭제
KR1020060095418A 2005-09-30 2006-09-29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40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5739A JP4999306B2 (ja) 2005-09-30 2005-09-30 撮像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5-00285739 200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377A KR20070037377A (ko) 2007-04-04
KR100840461B1 true KR100840461B1 (ko) 2008-06-20

Family

ID=3790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418A KR100840461B1 (ko) 2005-09-30 2006-09-29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70077053A1 (ko)
JP (1) JP4999306B2 (ko)
KR (1) KR100840461B1 (ko)
CN (1) CN1941852B (ko)
TW (1) TWI329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9306B2 (ja) * 2005-09-30 2012-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15314B2 (ja) * 2007-08-23 2012-04-11 オムロ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4605217B2 (ja) * 2007-12-28 2011-01-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237722B2 (ja) * 2008-08-13 2013-07-17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5040960B2 (ja) * 2009-06-04 2012-10-03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2011061530A (ja) * 2009-09-10 2011-03-24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317023B2 (ja) * 2010-09-16 2013-10-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手ぶれ補正装置、手ぶれ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443436B (zh) 2011-07-29 2014-07-01 Ability Entpr Co Ltd 閃光燈模組及影像擷取系統
TWI447608B (zh) * 2011-09-13 2014-08-0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其開機解鎖的識別方法
JP2013143729A (ja) * 2012-01-12 2013-07-22 Sony Corp 撮像素子、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撮像方法
KR102634250B1 (ko) 2018-12-27 2024-02-07 솔브레인 주식회사 도금 조성물 및 솔더 범프 형성 방법
JP7370875B2 (ja) 2020-01-17 202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679A (ja) * 1998-11-25 2000-06-16 Canon Inc ストロボ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4187078A (ja) * 2002-12-04 2004-07-02 Nikon Corp 電子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5547A (en) * 1969-06-23 1972-07-11 Canon Kk Photographing system for use with a flash device
US4005444A (en) * 1972-09-25 1977-01-25 Canon Kabushiki Kaisha Exposure control system for flash photography
US4083059A (en) * 1974-09-26 1978-04-04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exposure control system for flash photography
JPS58150943A (ja) * 1982-03-03 1983-09-07 Minolta Camera Co Ltd フラッシュ撮影システム
US4549801A (en) * 1983-03-21 1985-10-29 W. Haking Enterprises Limited Automatic focussing camera with automatic aperture setting
US4974093A (en) * 1987-12-22 1990-11-27 Fuji Photo Film Co., Ltd. Solid state image-pickup device with expanded dynamic range
US4998128A (en) * 1989-09-29 1991-03-05 Polaroid Corporation Preflash measurement technique
JPH04117876A (ja) * 1990-09-07 1992-04-17 Canon Inc 画像入力装置
JP3263828B2 (ja) * 1992-11-09 2002-03-11 コニカ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3348799B2 (ja) * 1994-02-04 2002-11-20 株式会社リコー ストロボ撮影可能な電子スチルカメラ
US5600389A (en) * 1994-09-07 1997-02-04 Nikon Corporation Camera which sets shutter speed and lights display in accordance with flash device
US6167202A (en) * 1995-08-21 2000-12-2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or flash unit
JPH10111527A (ja) * 1996-10-08 1998-04-28 Canon Inc 撮影条件決定装置
JP2000050152A (ja) * 1998-07-24 2000-02-18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の露光量制御システム
US6295413B1 (en) * 1999-02-24 2001-09-25 Nikon Corporation Digitizing circuit of light amount receiving from strobe and control circuit of light amount emitted from strobe
JP3629166B2 (ja) * 1999-06-24 2005-03-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フラッシュを内蔵したカメラの制御装置
JP3636291B2 (ja) * 2000-01-31 2005-04-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1223943A (ja) * 2000-02-10 2001-08-1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1230970A (ja) * 2000-02-16 2001-08-24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US6505000B2 (en) * 2000-07-13 2003-01-0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including electronic flash, camera shake detecting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 function for same
JP4264920B2 (ja) * 2001-06-22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露出制御方法および露出制御装置
JP2003149716A (ja) * 2001-11-16 2003-05-21 Canon Inc 撮像装置、発光動作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218353B2 (en) * 2001-12-26 2007-05-15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that selectively performs different exposure calculation routines
JP4451583B2 (ja) * 2001-12-27 2010-04-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56868B2 (en) * 2002-02-01 2008-11-25 Calderwood Richard C Digital camera with ISO pickup sensitivity adjustment
JP4298208B2 (ja) * 2002-02-27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静止画撮像装置
JP2004023538A (ja) * 2002-06-18 2004-01-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影装置
JP3904560B2 (ja) * 2003-01-09 2007-04-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CN1265620C (zh) * 2003-01-09 2006-07-19 奥林巴斯株式会社 数字照相机
US20040252217A1 (en) * 2003-06-12 2004-12-16 Battles Amy E.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digital image
JP4222213B2 (ja) * 2004-01-16 2009-0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撮影感度設定プログラム及び撮影感度設定方法
JP4657052B2 (ja) * 2005-07-29 2011-03-23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デジタルカメラ、撮影方法、およ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4999306B2 (ja) * 2005-09-30 2012-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679A (ja) * 1998-11-25 2000-06-16 Canon Inc ストロボ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4187078A (ja) * 2002-12-04 2004-07-02 Nikon Corp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7637B2 (en) 2011-06-07
CN1941852B (zh) 2011-02-16
CN1941852A (zh) 2007-04-04
TW200718187A (en) 2007-05-01
TWI329452B (en) 2010-08-21
US20070077053A1 (en) 2007-04-05
KR20070037377A (ko) 2007-04-04
US20100272425A1 (en) 2010-10-28
JP2007096995A (ja) 2007-04-12
JP4999306B2 (ja)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461B1 (ko)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01358988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09027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174412A (ja) 撮像装置
JP200802230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1203926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2001285698A (ja) 電子カメラ
KR20080004327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0629689B1 (ko) 촬상장치 및 렌즈유닛제어방법
JP2009089037A (ja) 撮影制御装置、撮影制御方法、撮影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撮影装置
JP2002040321A (ja) 電子カメラ
JP200030794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320795B2 (ja) 撮像装置
JP4697461B2 (ja) 撮像装置
JP437992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662054B2 (ja) 撮像装置
JP200129236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467232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0321616A (ja) 電子カメラ
JP4872571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44510A (ja) 電子カメラ
JP2006094200A (ja) 撮像装置、合焦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78701A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および外部フラッシュ
JP2005333491A (ja) 撮像装置
JP2001069385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