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529B1 -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529B1
KR100820529B1 KR1020060042199A KR20060042199A KR100820529B1 KR 100820529 B1 KR100820529 B1 KR 100820529B1 KR 1020060042199 A KR1020060042199 A KR 1020060042199A KR 20060042199 A KR20060042199 A KR 20060042199A KR 100820529 B1 KR100820529 B1 KR 10082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light emitting
inclined surface
emitting device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348A (ko
Inventor
공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842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05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529B1/ko
Priority to US11/746,783 priority patent/US8680545B2/en
Priority to JP2007126415A priority patent/JP5242945B2/ja
Publication of KR20070109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529B1/ko
Priority to JP2012039856A priority patent/JP5225480B2/ja
Priority to JP2012001044U priority patent/JP3175535U/ja
Priority to JP2012039857A priority patent/JP5236823B2/ja
Priority to JP2013078354A priority patent/JP5563693B2/ja
Priority to US13/937,899 priority patent/US9564556B2/en
Priority to JP2014121535A priority patent/JP5936650B2/ja
Priority to JP2016094429A priority patent/JP6195956B2/ja
Priority to US15/385,355 priority patent/US9882095B2/en
Priority to JP2017157215A priority patent/JP6462065B2/ja
Priority to US15/840,967 priority patent/US10243112B2/en
Priority to JP2018242218A priority patent/JP6681970B2/ja
Priority to US16/269,935 priority patent/US1058094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05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 H01L2224/49107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41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5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58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66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면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450um 이하의 깊이를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2단 이상의 내부 경사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제조방법은 리드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드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되고 250~450um 깊이의 캐비티를 갖는 패키지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비티 내부의 리드 프레임 상에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광소자, 패키지, 캐비티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urface lighting apparatus}
도 1의 (a)(b)는 종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장축 및 단축 방향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백 라이트 유닛에 결합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광량 측정을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위해 캐비티 깊이 및 몰딩 형상별 광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서 캐비티 경사면 및 몰딩 형상별 광량 측정을 비교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의 와이어 본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의 플립 칩 본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의 1 와이어 본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01,102,103,104 : 발광 소자
110 : 패키지 본체 111 : 몰딩 부재
113 : 캐비티 130 : 리드 프레임
150 : 기판 160 : 도광판
170 : 반사부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발광 장치를 이용한 면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발광 소자나 수광 소자로 대표되는 반도체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나 수광 소자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이들의 전극과 접속하는 리드 프레임을 구비한 지지체를 갖는 발광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발광 장치로서, 상기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흡수하여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계의 혼색광을 고휘도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원이 여러 가지의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소자가 패키지(package)라고 불리는 지지체에 고정되어, 발광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장치의 소자 실장 영역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표면 실장형 발광 장치를 들 수 있 다.
도 1은 종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장축 단면도이고, (b)는 단축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측 방향에 은 도금된 리드 프레임(1)이 돌출되고, 사출 성형에 의하여 좁고 긴 길이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컵(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컵(2)의 내부에 발광 소자(3)가 칩 형태로 부착되고 와이어(4)를 본딩 한 후, 액상의 투명 수지를 충진하고 경화함으로써 렌즈부(5)를 형성한다. 이러한 렌즈부(5)는 에폭시나 실리콘 재료를 주로 쓰며 경우에 따라 형광체 분말을 첨가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5)의 투명 수지 내 형광체의 양과 분포는 백색광의 색 좌표를 결정하며, 사출 성형된 반사컵(2)은 기본적으로 발광 소자(3)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얇고 넓게 퍼지도록 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측면 실장형 패키지로서, 백 라이트 유닛에 표면 실장형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면과 반사컵의 상단까지의 거리(d1)가 600um 정도이며, 오목한 렌즈 형상의 수지의 표면에 의해 반사컵 상단까지 100um 정도의 갭(d2)이 발생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와 도광판 사이의 조립 오차에 의한 갭이 200um 정도되므로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광이 외부로 출력되기 전에 반사컵 내부에서 손실되어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박형화되어 감에 따라 액정 모듈에 들어가는 도광판 및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박형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백라이트용 도광판의 박형화를 위해서는 도광판의 광원으로 적용되는 백색 측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자체의 두께가 낮아져야 한다. 따라서 발광 소자와 반사컵 내측면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이에 따라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광이 반사컵 내측면에서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반사컵의 내측면이 변색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가 실장되는 캐비티 깊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캐비티 내측면이 외측으로 다단 경사지게 형성된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서의 출사 광량 증대를 위해 실장 표면을 플랫, 볼록, 오목 형상으로 몰딩될 수 있도록 한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발광 장치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등의 면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450um 이하의 깊이를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2단 이상의 내부 경사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제조방법은 리드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드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되고 250~450um 깊이의 캐비티를 갖는 패키지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비티 내부의 리드 프레임 상에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는 측면 발광형 또는 상면 발광형 패키지 제품으로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용 광원, 조명 분야 등의 면발광 장치로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측면 발광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는 반도체 소자로서 발광 소자(101), 캐비티(113)를 갖는 패키지 본체(110), 리드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 본체(110)는 프레스(Cu/Ni/Ag 기판)에 PPA(고강화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며, 일측에 캐비티(113)가 형성되며, 패키지 본체(110)의 장축 방향으로 성형된 리드 프레임(130)이 일체로 삽입되고 그 양단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패키지 본체(110)는 반사컵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패키지 본체(110)는 발광 소자(101)가 놓여지는 캐비티(113)의 바닥면에서 볼 때 길이가 긴 방향의 대칭축을 장 축이라 하고, 길이가 짧은 방향의 대칭축을 단 축이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은 리드 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면일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113) 내부에는 발광 소자(101), 수광 소자, 보호 소자 등의 반도체 소자가 리드 프레임(130) 상에 하나 이상 실장될 수 있다. 즉, 리드 프레임(130) 상에는 발광 소자(101)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 소자를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ESD: electro static discharge)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 등과 같은 보호소자가 함께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1)는 캐비티(113)의 바닥면에 위치한 상기 리드 프레임(130)에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또는 플립 칩 본딩(flip chip bonding)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pn 또는 npn 접합 구조를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이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101)는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 소자(101)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본체(110)의 캐비티(113)는 최소의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깊이 내에서 높은 광량 특성을 갖는 최적의 경사면 각도로 형 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캐비티(113)의 깊이(d11)는 예컨대, 450um 이하의 깊이로 형성되며, 내부 경사면의 각도(θ1)는 예컨대, 20~40°(한 쪽 경사면은 10~20°) 정도로 외측으로 경사진다. 여기서, 캐비티 깊이(d11)는 250~450um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비티(113)의 깊이(d11)는 캐비티 바닥면에서 캐비티 상단까지이며, 캐비티(113)의 경사면 각도(θ1)는 단축(또는 장축) 방향에 위치하는 양쪽 경사면의 합이며, 한 쪽 경사면의 각도(θ11)는 10~2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캐비티(113)의 깊이가 450um 이하로 낮게 형성될 경우 캐비티 경사면의 각도를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즉, 캐비티의 깊이가 낮게 형성되더라도 발광 소자의 실장 면적은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캐비티의 경사면 각도가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의 출력 광량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113)의 내부에는 발광 소자(101)가 본딩된 후 그 실장 영역으로 몰딩 부재(111)가 몰딩되는데, 상기 몰딩 부재(111)는 수지와 형광체가 혼합되어 캐비티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경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몰딩 부재(111)는 일액형 에폭시, 이액형 에폭시, 하드 타입 실리콘, 소프트 타입 실리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몰딩부재(111)는 합성수지로서 순백색의 불투명 액상 에폭시 또는 형광체 등이 혼합되어 몰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 부재(111)는 몰딩액 또는 첨가물을 사용 목적, 사용 환경, 제품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몰딩 부재(111)는 표면(112)이 캐비티(113)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몰딩되는 플랫(flat) 형태, 캐비티(113) 상단에 대해 오목한 오목 렌즈 형태, 또는 캐비티(113) 상단에 대해 볼록한 볼록 렌즈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랫한 형태로 몰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13)의 경사면에는 반사면(미도시) 또는 반사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113)의 외 형상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형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가 백 라이트 광원으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의 일측은 기판(150)에 실장되며, 타측은 반사부(170)가 결합되며, 발광 소자(101)의 출력 방향에는 도광판(LGP: Light Guide Pipe)(160)이 결합된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와 도광판(160)의 간격(d12)은 조립 오차에 의해 약 200um 정도의 갭이 발생된다고 할 때, 도광판(160)과 몰딩 부재(111)의 표면(112)과의 간격(d13)은 상기 몰딩 표면(112)이 플랫 형태일 때 200um 정도가 되며, 오목 렌즈 형태일 때 300um 정도가 된다. 여기서는 캐비티 상단과 오목 렌즈 형상의 몰딩 표면과의 간격이 최대 100um일 때이다.
그리고 캐비티(113)의 깊이가 최대 450um 정도이므로 발광소자 바닥면(또는 캐비티 바닥면)에서 도광판 사이의 간격(d14)은 최대 650um(= 200um + 450um) 정도 가 되므로, 기존 보다 최대 30% 정도 감소된다.
이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의 발광 소자(101)에서 발생된 광은 몰딩 부재(111), 캐비티(113)의 경사면에 의한 반사 등을 통해 패키지 외부로 출력되며, 상기 출력된 광이 도광판(160)에 입사됨으로써 백 라이트 광원으로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FPCB)이며, 상기 반사부(170)는 반사 시트이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의 외부로 출력되는 광량은 발광 소자(101)와 도광판(160) 사이의 간격, 몰딩 형상, 캐비티의 경사각도 등의 파라 미터에 의해 증대된다. 즉,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 윈도우까지, 발광 윈도우에서 도광판까지의 손실 구간의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광 손실 구간을 줄이면서 광 추출 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도광판과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결합에 따른 광 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도광판으로의 결합 가이드 손실을 방지하며 휘도 세기를 개선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광량 분석을 위해 캐비티 깊이 및 몰딩 형상별로 광량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시험 조건으로는 패키지 본체(110)는 PPA 수지(Reflectance = 90 % 적용)이며 몰드 부재(111)의 재질은 실리콘 수지(refractive index = 1.42)이고, 발광 소자(101)는 용적이 250*480*80(um)이며,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55nm이고, 반치폭(FWHM)은 22nm인 칩을 적용한다.
도 4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통해 출사된 광의 분포 및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1)에서 출사된 광은 몰딩 부재를 통해서 상기 발광 소자(101)의 전방에 위치한 수광부(162) 및 도광판(160)으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수광부(162)는 상기 도광판(160)으로 입사되는 광량(FLUX)을 측정하게 되며, 5*0.6mm 면적으로 설치된다.
도 4와 같은 수광부(162)에 측정된 캐비티 깊이별 패키지 효율 및 몰드 형상별 도광판의 입사 효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캐비티(113) 및 몰딩 형상에 따른 배광 분포, 총 광량 및 도광판의 입사 광량을 비교한 분포도이다. 여기서 배광 분포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장축 방향의 배광 분포(파랑)와 단축 방향의 배광 분포(빨강)로 측정하며, 총 광량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로부터 출사된 광량이며, 도광판(LGP)의 입사광량은 상기 리시버에 의해 실제 수광된 광량 또는 도광판에 입사된 광량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타입(#1)은 캐비티의 깊이가 600um 정도이고, 몰딩 부재의 표면이 플랫 형상 일 때의 배광 분포, 총 광량(=0.154), 도광판의 입사광량(=0.124)을 측정한 결과이다.
제 2타입(#2)은 캐비티의 깊이를 상기 제 1타입과 동일(=600um)하게 하고 몰딩 부재의 표면이 오목 렌즈 형상일 때의 배광 분포, 총 광량(=0.141) 및 도광판의 입사광량(=0.102)을 측정한 결과이다.
제 3타입(#3)은 본 발명의 타입으로서 캐비티의 깊이가 300um 정도이고 몰딩 부재의 표면이 플랫 형상 일 때의 배광 분포, 총 광량(=0.207) 및 도광판의 입사 광량(0.170)을 측정한 결과이다.
제 4타입(#4)은 본 발명의 다른 타입으로서, 캐비티의 깊이가 300um 정도이고 몰딩 부재의 표면이 오목 렌즈 형상일 때의 배광 분포, 총 광량(0.182) 및 도광판의 입사 광량(0.158)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 및 도 5의 측정 결과로부터, 제 3타입(깊이 300um, 플랫 형상) 및 제 4타입(깊이 300um, 오목 렌즈 형상)은 제 1 및 제 2타입에 비해 총 광량과 도광판의 입사광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제 3 및 제 4타입을 이용하여 캐비티의 깊이 및 몰딩 표면에 대해 어느 정도 변경하더라도 제 1 및 제 2타입의 광량 보다는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경사면의 각도(θ61, θ62, θ63) 및 몰딩 형상을 다르게 하여 광량을 비교한 도면이다. 제 11내지 제 13타입(#11,#12,#13)은 몰딩 표면이 플랫 형상이고 경사면의 각도(θ61, θ62, θ63)만을 변경한 것이고, 제 14내지 제 16타입(#14,#15,#16)은 몰딩 표면이 오목 렌즈 형상이고 경사면의 각도만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 제 11내지 제 16 타입의 캐비티의 깊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정 캐비티 높이로 동일하게 적용한다.
상기 제 11타입 및 제 14타입의 경사면 전체 각도(θ61)는 25°(= 12.53*2), 제 12 타입 및 제 15타입의 경사면의 전체 각도(θ62)는 28.5° (=14.3*2)도, 제 13 및 제 16타입의 경사면의 전체 각도(θ63)는 20.6° (=10.3*2)도 정도이다. 여 기서 상기 경사면의 전체 각도는 캐비티(113)의 바닥면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양쪽 경사면의 합이다.
총 광량을 보면 제 11타입은 0.602, 제 12타입은 0.571, 제 13타입은 0.538이고, 제 14타입은 0.572, 제 15타입은 0.507, 제 16타입은 0.572이다.
도광판(LGP)의 입사광량을 보면 제 11타입은 0.455, 제 12타입은 0.432, 제 13타입은 0.398, 제 14타입은 0.449, 제 15타입은 0.403, 제 16타입은 0.449이다.
상기 제 11 내지 제 16 타입은 동일한 캐비티 깊이를 갖고, 캐비티 경사면의 전체 각도와 몰딩 표면 형상을 변경하여 측정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광량 특성이 높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제 11타입의 캐비티와 같이 몰딩 표면은 플랫 형태이고 경사면의 전체 각도가 25°일 때 총 광량 및 도광판 입사광량이 가장 높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키지 본체(110)는 캐비티(113)의 내부 경사면(113)이 두 번 이상 꺾여진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비티(113)의 경사면은 두 번 꺾여진 것으로서, 하부 경사면(213)의 각도(θ2)는 상부 경사면(214)의 각도(θ3) 보다는 크며, 하부 경사면(213)의 높이(d15)은 상부 경사면(214)의 높이(d16) 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캐비티(113)의 하부 경사면(213)은 캐비티(113)의 바닥면부터 70~250um 지점까지이며, 각도(θ2)는 약 30~50°정도로 경사진다. 상부 경사면(214)은 하부 경사면(213)이 끝나는 지점부터 캐비티 끝단까지이며 각도(θ3)는 약 0~20°정도로 경사진다.
여기서, 하부 경사면(213)의 각도(θ2) 내에서 양쪽의 각도(θ21, θ22)가 같거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상부 경사면(214)의 각도(θ3) 내에서 양쪽의 각도(θ31, θ32)가 같거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113)의 하부 경사면(213)은 발광소자(101)에서 발생된 광이 최대한 상부로 향할 수 있도록 발광 소자(101)의 높이(예, 70~130um) 이상의 높이를 갖고 상부 경사면보다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캐비티(113)의 하부 경사면(213)의 각도(θ2)로 인해 발광 소자(101)와 하부 경사면(213) 사이의 거리(d17)가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발광 소자(101)에서 발생되는 내열, 내광 손상에 의한 사출 수지의 변색(경사면 사출물의 변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캐비티(113)의 경사면에 의한 각도 조절을 통해 동일 실장 영역에 비해 광 효율을 최대한 높여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의 실장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캐비티(113) 내부에 발광 소자(102) 및 보호소자(109)가 리드 프레임(130)에 칩 형태로 실장된 구조이다. 상기 발광 소자(102) 및 보호 소자(109)는 전기적으로 개방된 n형 및 p형 리드 프레임(130)에 각각 실장되고 와이 어(14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패키지의 와이어 높이를 줄이기 위해 리버스(reverse) 본딩을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103)를 리드 프레임(130)에 플립 칩 본딩 방식으로 실장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발광 소자(104)를 n형 리드 프레임(130)에 본딩하고 p형 리드 프레임(130)과는 와이어(141)로 본딩한 구조이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의 패키지 본체(110)의 외부에는 상기 리드 프레임(130)의 리드 전극(131,132)이 돌출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리드 프레임(130)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도 11의 (a)와 같이 리드 프레임(130)은 캐비티 저면에 대응되는 높이(d11)로 베이스 라인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도 11의 (b)(c)와 같이 리드 프레임(130)의 제 1 및 제 2리드 전극(131,132)은 패키지(110)의 외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1차 포밍(forming)되고 패키지(110)의 저면 양측에 형성된 홈(119)으로 2차 포밍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리드 전극(131,132)의 양단(131a,132a)이 패키지 저면과 동일 선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리드 전극(131,132)의 구조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도 3과 같이 플렉시블 기판(150) 상에 표면 실장(SMT)될 때 두 개의 리드 전극이 상기 기판(150) 상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캐비티 깊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약 40% 이상의 광 효율 개선과 백라이트 유닛 상에서 50% 이상의 휘도 개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캐비티의 깊이를 최소화하면서 경사면의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좁은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서의 광도 및 광량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박형화됨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태로 제조되므로, 측면 발광형 패키지에서 캐비티의 경사면 각도에 의해 높은 광 효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등의 액정 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광원, 조명 분야 등의 면 발광장치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면 발광 장치에 의하면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광의 손실 구간을 최소화하고 광 추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 라이트 유닛 등의 광원으로 사용할 때, 출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고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티 깊이의 최소화를 통해 광량 및 광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형화되는 패키지 제품에서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Claims (36)

  1. 450um 이하의 깊이를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내부 경사면은 2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경사면이 이어진 내부 측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하부 경사면 및 상부 경사면의 경계 지점은 70~250um 사이에 형성되는 발광 장치.
  3.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경사면이 이어진 내부 측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경사면은 캐비티 바닥면부터 캐비티 상단까지 이어진 하부 경사면과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및 상부 경사면의 경계 지점은 70~250um 사이에 형성되는 발광장치.
  4.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경사면이 이어진 내부 측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경사면은 캐비티 바닥면부터 캐비티 상단까지 경사각도가 다른 하부 경사면과 상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의 하부 경사면은 30~50° 사이에 형성되는 발광장치.
  5.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경사면이 이어진 내부 측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경사면은 캐비티 바닥면부터 캐비티 상단까지 경사각도가 다른 하부 경사면과 상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의 상부 경사면은 0~20° 사이에 형성되는 발광장치.
  6. 450um 이하의 깊이를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경사면은 장축 또는 단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두 측면의 각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7.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경사면이 이어진 내부 측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경사면은 장축 또는 단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두 측면의 각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8.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 플랫 형상, 오목렌즈 형상, 볼록렌즈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몰딩되는 몰딩 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부재는 일액형 또는 이액형 에폭시, 하드 타입 또는 소프트 타입 실리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부재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1.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250~450um 사이의 깊이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12.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하부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상부 경사면의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3.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하부 경사면 및 상부 경사면의 경계 지점은 70~250um 사이에 형성되는 발광 장치.
  14.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하부 경사면은 30~50°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 경사면은 0~20°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6.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17.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발광소자 및 보호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18.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블루 LED 칩,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엘로우 그린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19.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플립 칩 또는 와이어 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0.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실장을 위해 상기 캐비티 바닥면에 형성된 리드 프레임 및 상기 캐비티가 형성된 패키지 본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21. 제 1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경사면은 장축 또는 단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두 측면의 각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2.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측면형 또는 상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3.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면 발광 장치.
  24. 리드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드 프레임이 내부에 삽입되고 250~450um 깊이의 캐비티를 갖는 패키지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비티 내부의 리드 프레임 상에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어느 한 측면이 외측으로 10~20°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내부 경사면이 외측으로 2단 이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제조 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캐비티 바닥면부터 소정 위치까지 제 1각도로 경사진 하부 경사면과, 상기 하부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부터 캐비티 상단까지 제 2각도로 경사진 상부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경사면의 어느 한 측면은 15~25°로 외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면의 어느 한 측면은 0~10°로 외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31.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발광 소자 및 보호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32.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표면이 몰딩 부재에 의해 플랫 형상, 오목 렌즈 형상, 볼록 렌즈 형상 중 어느 한 형태로 몰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부재는 일액형 또는 이액형 에폭시, 하드 타입 또는 소프트 타입 실리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부재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제조방법.
  35.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경사면이 이어진 내부 측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하부 경사면은 30~50°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36.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경사면이 이어진 내부 측면을 갖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상부 경사면은 0~20°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KR1020060042199A 2006-05-11 2006-05-11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KR10082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199A KR100820529B1 (ko) 2006-05-11 2006-05-11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US11/746,783 US8680545B2 (en) 2006-05-11 2007-05-10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7126415A JP5242945B2 (ja) 2006-05-11 2007-05-11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2039857A JP5236823B2 (ja) 2006-05-11 2012-02-27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2039856A JP5225480B2 (ja) 2006-05-11 2012-02-27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2001044U JP3175535U (ja) 2006-05-11 2012-02-27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3078354A JP5563693B2 (ja) 2006-05-11 2013-04-04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13/937,899 US9564556B2 (en) 2006-05-11 2013-07-09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4121535A JP5936650B2 (ja) 2006-05-11 2014-06-12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6094429A JP6195956B2 (ja) 2006-05-11 2016-05-10 側面発光型発光装置
US15/385,355 US9882095B2 (en) 2006-05-11 2016-12-20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7157215A JP6462065B2 (ja) 2006-05-11 2017-08-16 側面発光型発光装置
US15/840,967 US10243112B2 (en) 2006-05-11 2017-12-13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8242218A JP6681970B2 (ja) 2006-05-11 2018-12-26 側面発光型発光装置
US16/269,935 US10580943B2 (en) 2006-05-11 2019-02-07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199A KR100820529B1 (ko) 2006-05-11 2006-05-11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348A KR20070109348A (ko) 2007-11-15
KR100820529B1 true KR100820529B1 (ko) 2008-04-08

Family

ID=3868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199A KR100820529B1 (ko) 2006-05-11 2006-05-11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5) US8680545B2 (ko)
JP (9) JP5242945B2 (ko)
KR (1) KR100820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548A3 (ko) * 2008-10-16 2010-07-01 엘지이노텍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발광 장치
KR20130017461A (ko) * 2011-08-10 2013-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529B1 (ko) 2006-05-11 2008-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KR20080065451A (ko) * 2007-01-09 2008-07-14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패키지
JP5084365B2 (ja) * 2007-06-21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Led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光源とする液晶バックライト装置
JP5416975B2 (ja) 2008-03-11 2014-02-12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
KR101028852B1 (ko) 2008-03-26 2011-04-1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사이드뷰 led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모듈
KR20100003320A (ko) * 2008-06-24 2010-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093249B1 (ko) * 2008-09-30 2011-12-1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소자
KR101615410B1 (ko) 2009-06-22 2016-04-25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장치
KR101118988B1 (ko) * 2010-03-11 2012-03-12 (주)티에스티아이테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5777879B2 (ja) 2010-12-27 2015-09-09 ローム株式会社 発光素子、発光素子ユニットおよび発光素子パッケージ
JP2013179271A (ja) 2012-01-31 2013-09-09 Rohm Co Ltd 発光装置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30118552A (ko) * 2012-04-20 2013-10-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
KR101949387B1 (ko) * 2012-09-12 2019-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이디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과 엘이디패키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76243B1 (ko) * 2013-09-04 2020-0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JP6414427B2 (ja) * 2013-10-03 2018-10-3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実装構造体
WO2016035508A1 (ja) * 2014-09-01 2016-03-10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
JP6730017B2 (ja) * 2014-11-10 2020-07-2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これを含む照明システム
JP6651699B2 (ja) * 2015-02-27 2020-02-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側面発光型発光装置の製造方法
DE102015105137A1 (de) * 2015-04-02 2016-10-06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JP6793139B2 (ja) * 2018-01-25 2020-12-02 日機装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
KR102490162B1 (ko) * 2018-02-14 2023-01-19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KR101970938B1 (ko) * 2019-02-11 2019-04-19 진재언 지향각이 조절된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986A (ko) * 2003-10-30 2005-05-04 쿄세라 코포레이션 발광소자 수납용 패키지,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
KR20050081716A (ko) * 2004-02-16 2005-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079A (ja) 1987-12-23 1989-07-03 Ibiden Co Ltd Led搭載用基板
JPH0497366U (ko) * 1991-01-17 1992-08-24
US6274890B1 (en) 1997-01-15 2001-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915196B2 (ja) * 1997-10-16 2007-05-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
JP3319392B2 (ja) * 1998-06-17 2002-08-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
JP2000269551A (ja) 1999-03-18 2000-09-29 Rohm Co Ltd チップ型発光装置
JP3421621B2 (ja) 1999-12-24 2003-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面光源装置
JP2002009349A (ja) 2000-06-26 2002-01-11 Koha Co Ltd Led面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33520A (ja) 2000-07-14 2002-01-31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半導体発光装置
JP2002093202A (ja) * 2000-09-13 2002-03-29 Ryoden Trading Co Ltd 面発光バックライト装置の製造方法及び面発光バックライト装置
US6547416B2 (en) 2000-12-21 2003-04-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aceted multi-chip package to provide a beam of uniform white light from multiple monochrome LEDs
JP2002217459A (ja) 2001-01-16 2002-08-02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及び該発光ダイオードを光源として用いた液晶表示器の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2299698A (ja) 2001-03-30 2002-10-11 Sumitomo Electric Ind Ltd 発光装置
TW567619B (en) * 2001-08-09 2003-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 lighting apparatus and card-type LED light source
JP2003234008A (ja) 2002-02-06 2003-08-22 Nichia Chem Ind Ltd 面発光装置
JP2003347600A (ja) 2002-05-28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ed実装基板
JP2004053807A (ja) 2002-07-18 2004-02-19 Renesas Technology Corp マスクメーカ選定方法
TWI292961B (en) * 2002-09-05 2008-01-21 Nichia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an optical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2004228550A (ja) * 2002-11-25 2004-08-12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4336153B2 (ja) * 2003-02-19 2009-09-30 京セラ株式会社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4081394B2 (ja) 2003-03-18 2008-04-23 京セラ株式会社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KR20040087566A (ko)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 설정 방법
JP4070208B2 (ja) 2003-04-21 2008-04-02 京セラ株式会社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2004327504A (ja) 2003-04-21 2004-11-18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4645071B2 (ja) * 2003-06-20 2011-03-0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パッケージ成型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5078937A (ja) 2003-08-29 2005-03-24 Ichikoh Ind Ltd 薄型発光装置
US20050133808A1 (en) 2003-09-11 2005-06-23 Kyocera Corporation Package for housing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apparatus and illumination apparatus
JP4288481B2 (ja) 2003-10-02 2009-07-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
JP4934954B2 (ja) * 2003-10-15 2012-05-2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及びヒートシンクを備えた半導体装置
JP2005136349A (ja) 2003-10-31 2005-05-26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置及びその反射ミラー
JP3906199B2 (ja) 2003-11-27 2007-04-18 京セラ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05191530A (ja) * 2003-12-03 2005-07-14 Sumitomo Electric Ind Ltd 発光装置
JP4654670B2 (ja) 2003-12-16 2011-03-2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09242B2 (ja) 2003-12-19 2009-08-05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赤色蛍光体材料、赤色蛍光体材料を用いた白色発光ダイオードおよび白色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機器
JP4325412B2 (ja) 2004-01-21 2009-09-0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05252168A (ja) * 2004-03-08 2005-09-15 Nichia Chem Ind Ltd 表面実装型発光装置
US7009285B2 (en) * 2004-03-19 2006-03-07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Optoelectronic semiconductor component
JP2005285874A (ja) 2004-03-26 2005-10-13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JP4544619B2 (ja) 2004-06-08 2010-09-15 ローム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KR20060000544A (ko) * 2004-06-29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표시 장치용 광원, 광원용 발광다이오드
JP4789433B2 (ja) * 2004-06-30 2011-10-12 三洋電機株式会社 Led表示器用筺体及びled表示器
JP4521227B2 (ja) * 2004-07-14 2010-08-11 株式会社東芝 窒素を含有する蛍光体の製造方法
KR100674827B1 (ko) * 2004-07-28 2007-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용 led 패키지
US7402842B2 (en) * 2004-08-09 2008-07-22 M/A-Com, In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JP2006058327A (ja) * 2004-08-17 2006-03-02 Sony Corp 光導波路装置及び光結合装置
JP5081370B2 (ja) 2004-08-31 2012-11-2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06100575A (ja) 2004-09-29 2006-04-13 Hitachi Cable Precision Co Ltd 表面実装型発光装置
US7385227B2 (en) * 2005-04-12 2008-06-10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Compact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with enhanced heat dissipa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package
KR100650191B1 (ko) * 2005-05-31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이 내장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JP2006351773A (ja) 2005-06-15 2006-12-28 Rohm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US7279722B2 (en) 2005-10-21 2007-10-0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adjustable reflector cup
US7943946B2 (en) * 2005-11-21 2011-05-17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emitting device
KR100780176B1 (ko) 2005-11-25 2007-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측면 방출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100820529B1 (ko) 2006-05-11 2008-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JP4729441B2 (ja) * 2006-06-09 2011-07-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2008016565A (ja) * 2006-07-04 2008-01-24 Shinko Electric Ind Co Ltd 発光素子収容体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US7968900B2 (en) * 2007-01-19 2011-06-28 Cree, Inc. High performance LED package
US8030674B2 (en) * 2008-04-28 2011-10-04 Lextar Electronics Corp. Light-emitting diode package with roughened surface portions of the lead-frame
JP4530082B2 (ja) * 2008-07-31 2010-08-2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986A (ko) * 2003-10-30 2005-05-04 쿄세라 코포레이션 발광소자 수납용 패키지,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
KR20050081716A (ko) * 2004-02-16 2005-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548A3 (ko) * 2008-10-16 2010-07-01 엘지이노텍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발광 장치
CN101981714A (zh) * 2008-10-16 2011-02-23 Lg伊诺特有限公司 发光器件封装及其制造方法和发光装置
EP2249407B1 (en) * 2008-10-16 2020-04-2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ghting apparatus
KR20130017461A (ko) * 2011-08-10 2013-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KR101714073B1 (ko) * 2011-08-10 2017-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80943B2 (en) 2020-03-03
US9564556B2 (en) 2017-02-07
JP2012134529A (ja) 2012-07-12
US9882095B2 (en) 2018-01-30
US20130334554A1 (en) 2013-12-19
JP5225480B2 (ja) 2013-07-03
US20180102462A1 (en) 2018-04-12
JP5242945B2 (ja) 2013-07-24
JP6681970B2 (ja) 2020-04-15
JP2013131784A (ja) 2013-07-04
JP2019062237A (ja) 2019-04-18
US10243112B2 (en) 2019-03-26
JP5236823B2 (ja) 2013-07-17
JP6195956B2 (ja) 2017-09-13
KR20070109348A (ko) 2007-11-15
JP5936650B2 (ja) 2016-06-22
JP2014160883A (ja) 2014-09-04
JP6462065B2 (ja) 2019-01-30
JP2012134530A (ja) 2012-07-12
US20070262332A1 (en) 2007-11-15
US8680545B2 (en) 2014-03-25
JP2016167628A (ja) 2016-09-15
US20170104136A1 (en) 2017-04-13
US20190172981A1 (en) 2019-06-06
JP2017201729A (ja) 2017-11-09
JP5563693B2 (ja) 2014-07-30
JP3175535U (ja) 2012-05-17
JP2007306002A (ja)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529B1 (ko)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KR100901618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US9859471B2 (en) High 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 (LED) packages, systems and methods with improved resin filling and high adhesion
US9159884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cavity side surfaces with recesses
EP2393114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10108832A (ko) 발광 소자,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220038B1 (ko) 발광 장치
KR20070104029A (ko) Led 모듈
KR20140096847A (ko) 발광소자 모듈
KR20080060114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KR20080090062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면 발광 장치
KR20090003740U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20130014899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00077864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40028985A (ko)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51119

Effective date: 201602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