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468B1 -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는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는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468B1
KR100817468B1 KR1020067017543A KR20067017543A KR100817468B1 KR 100817468 B1 KR100817468 B1 KR 100817468B1 KR 1020067017543 A KR1020067017543 A KR 1020067017543A KR 20067017543 A KR20067017543 A KR 20067017543A KR 100817468 B1 KR100817468 B1 KR 10081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socyanate composition
group
diisocyanate
polyol
poly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856A (ko
Inventor
요시유키 아사히나
마사카즈 야마우치
히로노리 가타가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 C08G18/02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the polymeric product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21Polyhydroxy compounds hydroxylated esters of carboxylic acids other than 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2Combination of two or more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5Combination of polyisocyanates of C08G18/78 with othe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08G18/8025Masked aliphatic 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경화성 및 건조 특성이 모두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나와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폴리올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며, 하기 조건 모두를 만족시킨다; i)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농도는 3 질량% 이하임, ⅱ) 폴리올 성분 농도는 1 - 50 질량% 임, 및 ⅲ) 유리 전이 온도는 -50 ℃ 내지 0 ℃ 임.

Description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는 도료 조성물 {(BLOCK) POLYISOCYANATE COMPOSITION AND COATING COMPOSITION USING SAME}
본 발명은 경화성, 건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경화제로서 사용하는 우레탄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서 사용하는 우레탄 도료 조성물은 생성되는 코팅 필름의 내화학약품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다. 특히, 지방족 또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얻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코팅 필름은 내후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저온- 또는 가열-경화 2-팩 우레탄 도료 조성물 또는 가열-경화 1-성분 우레탄 도료 조성물로 건축, 견고한 부식방지, 자동차, 산업 및 수선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특히,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후 "HDI" 라고 칭함) 및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이후 "IPDI" 라고 칭함) 로부터 수득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산업상 쉽게 입수가능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수득한 코팅 필름의 내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며, HDI 및 IPDI 는 서로 특징이 다르다. HDI 는 2 개의 일차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기 때문에, 반응성이 높고, HDI 는 그 이소시아네이트기들 사이에 6 개의 메틸렌기를 갖기 때문에, 그것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코팅 필름은 유연성이 우수하지만, 때때로는 코팅 필름의 높은 경도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IPDI 는 일차 및 이차 이소시아네이트기인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며, 때때로 높은 반응성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우나, 그 이소시아네이트기들 사이에 환식 구조를 갖기 때문에, IPDI 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은 건조성이 우수하고 생성되는 코팅 필름의 경도가 높다.
HDI 의 반응성 및 IPDI 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의 건조성이라는 장점 모두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진정으로 바라왔다. 상기에 대하여 몇몇 제안이 이루어졌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에는 HDI 예비중합체 및 IPDI 예비중합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나와 있다. 나와 있는 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가 조성물 내에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IPDI 예비중합체의 낮은 반응성을 극복하는 것은 어렵다.
HDI 및 IPDI 로부터 수득한 뷰렛 결합-포함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특허 문헌 3 에 나와 있고, HDI 및 IPDI 로부터 수득한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포함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특허 문헌 4 에 나와 있고, 모노알코올로 개질된 IPDI 및 HDI 로부터 수득한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포함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특허 문헌 5 에 나와 있다. 이것들은 HDI 및 IPDI 가 분자 내에 모두 혼입되어 있고, 따라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한 분자 당 반응성이 높은 일차 이소시아네이트기의 개수가 감소하고, 때때로 반응성 (경화성) 이 저하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관한 모든 기술이다.
한편, 특허 문헌 6 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한 분자 내의 이소 시아네이트기의 통계적 평균 개수) 가 크고, HDI 및 폴리올로부터 유도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나와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가교결합성은 강화되었지만, 높은 건조성이 더욱 요구되었다.
특허 문헌 1: U.S. 특허 No. 5137972
특허 문헌 2: JP-A-2002-293873
특허 문헌 3: JP-B-4-71908
특허 문헌 4: U.S. 특허 No. 4419513
특허 문헌 5: U.S. 특허 No. 5258482
특허 문헌 6: U.S. 특허 No. 5817732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성 및 건조성이 모두 우수한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고 코팅 필름의 높은 경도를 달성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강도높은 연구의 결과로서, 상기의 목적은 특정 비율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로부터 유도되고, 특정 수치의 물성을 갖는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 달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하기 구조식 (I) 로 나타내고 하기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i)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농도는 3 질량% 이하임, ⅱ) 폴리올 성분 농도는 1-50 질량% 임, 및 ⅲ) 유리 전이 온도는 -50 ℃ 내지 0 ℃ 임;
R-(NCO)n (I)
[식 중, R 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폴리올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배제한 잔기이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은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결합 부분의 일부 이상에서 알로파네이트 결합을 통해 결합하고,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비는 95/5 - 50/50 (질량비) 이고, n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한 분자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통계적 평균 개수) 은 4.5 - 20 임].
(2) 상기 (1) 에 기재한, 점도가 100,000-2,000,000 m㎩ㆍs/25 ℃ 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 에 기재한, 폴리올 한 분자 당 히드록실기의 평균 개수가 3-8 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4)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유리 전이 온도가 -45 ℃ 내지 -10 ℃ 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6)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이하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7)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블로킹제로 블로킹되어 있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8)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폴리올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히드록실기의 비 (당량비) = 3/1 - 30/1 로 반응시키는 단계; 임의로는 상기 반응 후 또는 상기 반응과 동시에 이소시아누레이트화 (isocyanuration)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다음으로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제거하는 단계.
(9)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또는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10) 상기 (9) 에 기재한, 클리어 코트 (clear coat) 에 사용하는 도료 조성물.
(11) 안료를 함유하는 베이스 코트에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10) 에 기재한 도료 조성물의 도포 방법.
(12) 상기 (11) 에 기재한, 베이스 코트가 수계 페인트인 도포 방법.
(13) 상기 (11) 또는 (12) 에 기재한,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를 동시에 경화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도포 방법.
본 명세서 중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이라는 용어는 조성물 전체로서, 상기 구조식 (I) 로 나타내는, 많은 종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분자의 혼합물 (다양한 결합 유형 및 중합도로 형성된 분자의 집합) 을 의미한다.
발명을 수행하는 최량의 형식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가 4-30 개인 것들이고,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HDI,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라이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들 중, HDI 가 내후성 및 산업상 입수가능성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가 8-30 개인 것들이고, 예를 들어, IPDI,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및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들 중, IPDI 가 내후성 및 산업상 입수가능성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질량 비율은 95/5 - 50/50, 바람직하게는 90/10 - 60/40 이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비율이 95/5 를 초과하면,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코팅 필름의 경도가 때때로 저하된다. 한편,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비율이 50/50 을 초과하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탁해지고,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코팅 필름의 유연성이 때때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올은 한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2가 알코올에서부터 8가 알코올까지를 포함한다.
2가 알코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2-메틸-1,2-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2-메틸-2,3-부탄디올,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2,5-헥산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3-디메틸-2,3-부탄디올, 2-에틸-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2,2,4-트리메틸펜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등이다. 3가 알코올의 예는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이다. 4가 알코올의 예는 디글리세린,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D-트레이톨 등이다. 5가 알코올의 예는 L-아라비니톨, 리비톨, 자일리톨, L-람니톨 등이다. 6가 알코올의 예는 D-글루시톨, D-만니톨, 갈락티톨 등이다. 7가 알코올의 예는 트레할올 등이다. 8가 알코올의 예는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겐티오비오스, 락토오스, 멜리비오스 등이다. 나아가, 이러한 폴리올과 ε-카프로락톤의 부가생성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 한 분자 당 히드록실기의 평균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3-8,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다.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평균 개수가 3 미만이면,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필요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n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수평균 분자량)×(이소시아네이트기의 농도)/42 로부터 얻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한 분자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통계적 평균 개수] 의 하한 (4.5) 을 때때로 달성할 수 없다. 한편,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평균 개수가 8 을 초과하면,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사이의 반응성이 저하되고, 이는 때때로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제조를 어렵게 만든다.
나아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500 을 초과하면, 본 발명의 코팅 필름의 원하는 경도를 때때로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사이네이트 조성물 중 폴리올 성분의 농도는 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3-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 질량% 이다. 폴리올 성분의 농도가 1 질량% 미만이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가 때때로 저하된다. 한편, 폴리올 성분의 농도가 50 질량% 를 초과하면, 도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때때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은 알로파네이트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로파네이트 결합을 아래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2711872-pct00001
알로파네이트 결합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올의 히드록실기로부터 형성된다. 부분적으로는 알로파네이트 결합 대신에 우레탄 결합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알로파네이트 결합 및 우레탄 결합의 비율은 10:0 내지 8:2,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9:1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레탄 결합이 8:2 의 비율을 초과하면, 때때로,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필요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n 의 하한 (4.5) 을 거의 달성할 수 없다. JP-A-6-172474 에는 2 개의 다른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한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포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로부터 수득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나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우레탄 결합이 존재하지 않거나 단지 소량의 우레탄 결합만이 존재하는, 알로파네이트 결합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n 은 4.5-20 이다.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n 이 4.5 미만이면,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의 경화성이 때때로 저하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n 이 20 을 초과하면, 도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때때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존재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농도는 3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다.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농도가 3 질량% 를 초과하면, 경화성이 때때로 저하되고, 게다가 건조성이 저하된다.
E-형 점도계로 측정한,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00-2,000,000 m㎩ㆍs/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0-1,500,000 m㎩ㆍs/25 ℃ 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점도가 100,000 m㎩ㆍs/25 ℃ 미만이면,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n 의 하한 (4.5) 을 때때로 달성할 수 없다. 한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점도가 2,000,000 m㎩ㆍs/25 ℃ 를 초과하면, 도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때때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이후 "Tg" 라고 칭함) 는 -50 ℃ 내지 0 ℃, 바람직하게는 -45 ℃ 내지 -10 ℃ 이다. Tg 가 -50 ℃ 미만이면,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의 건조성이 때때로 저하된다. 한편, Tg 가 0 ℃ 를 초과하면,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의 경화성이 때때로 저하된다. Tg 는 유리 상태와 액체 상태 사이의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 온도이다. Tg 는 중합체인 코팅 필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이 주지되어 있다. 중합체의 Tg 는 분절 운동의 동결 및 해제와 관련되기 때문에, Tg 는 중합체의 분자량에는 의존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Tg 에 유의하였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수득하는데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 출발 물질로서 HDI 만을 사용하는 경우,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Tg 는 분자량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HDI 와 가교결합된 코팅 필름의 Tg 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Tg 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게다가, 출발 물질로서 HDI 를 사용하여 수득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출발 물질로서 IPDI 를 사용하여 수득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과 혼합하는 경우, 생성되는 혼합물의 Tg 는 더 높아진다. 그 혼합물과 가교결합된 코팅 필름의 Tg 또한 더 높아진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Tg 는 분자량 및 사용하는 IPDI 의 비율의 영향을 받는다. IPDI 와 가교결합된 코팅 필름의 Tg 는 놀랍게도 IPDI 의 비율이 동일한 상기 혼합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코팅 필름의 Tg 보다 더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기의 관점에서 제한된 특정 범위의 Tg 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요구사항 중 하나로서 이용하는 경우,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도료 조성물은 경화성 및 건조성이 모두 우수함을 추가로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기는 3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도료 조성물의 건조성 개선에 효과적이다. 게다가, 이소시아누레이트기에 더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관련되어 형성되는 뷰렛기, 우레아기, 이미녹사디아진디온기, 이미녹사디아진트리온기, 우레토디온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아미드기, 아실우레아기, 이미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블로킹제로 블로킹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서도 유용하다. 사용되는 블로킹제는 분자 내에 1 개의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이고, 그 예로, 알코올, 알킬페놀, 페놀, 활성 메틸렌, 메르캅탄, 산 아미드, 산 이미드, 아미다졸, 우레아, 옥심, 아민, 이미드, 피라졸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블로킹제의 더욱 구체적인 예를 아래에 나타낸다.
(1) 알코올;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2-에틸-1-헥산올,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및 2-부톡시에탄올.
(2) 알킬페놀; 탄소 원자가 4 개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모노- 및 디-알킬페놀, 예를 들어, 모노알킬페놀 예컨대 n-프로필페놀, i-프로필페놀, n-부틸페놀, sec-부틸페놀, t-부틸페놀, n-헥실페놀, 2-에틸헥실페놀, n-옥틸페놀 및 n-노닐페놀, 및 디알킬페놀 예컨대 디-n-프로필페놀, 디이소프로필페놀, 이소프로필크레졸, 디-n-부틸페놀, 디-t-부틸페놀, 디-sec-부틸페놀, 디-n-옥틸페놀, 디-2-에틸헥실페놀 및 디-n-노닐페놀.
(3) 페놀; 페놀, 크레졸, 에틸페놀, 스티렌화된 페놀, 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등.
(4) 활성 메틸렌; 디메틸 말로네이트, 디에틸 말로네이트,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아세틸아세톤 등.
(5) 메르캅탄; 부틸 메르캅탄, 도데실 메르캅탄 등.
(6) 산 아미드; 아세트아닐라이드, 아세트아미드, ε-카프로락탐, δ-발레로락탐, γ-부티로락탐 등.
(7) 산 이미드; 숙신이미드, 말레이미드 등.
(8) 이미다졸; 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등.
(9) 우레아; 우레아, 티오우레아, 에틸렌우레아 등.
(10) 옥심;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독심, 아세톡심, 메틸 에틸 케톡심, 시클로헥사논옥심 등.
(11) 아민; 디페닐아민, 아닐린, 카르바졸, 디-n-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
(12) 이민; 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이민 등.
(13) 피라졸; 피라졸, 2-메틸피라졸, 3,5-디메틸피라졸 등.
바람직한 블로킹제는 알코올, 옥심, 산 아미드, 활성 메틸렌 및 피라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고, 그들 중 둘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아래에 설명한다.
먼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와 반응시킨다. 본 발명의 (즉, 반응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비율 (질량비) 은 반응 전 비율보다 더 높다. 이는 예기치 못한 것이다. 상기 특허 문헌 4 (3 단, 45 줄 이후) 에는 반응 전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비율이 생성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의 비율과 일치한다고 나와 있다.
이러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대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당량비는 3/1 - 30/1, 바람직하게는 10/1 - 20/1 이다. 당량비가 3/1 미만이면,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점도는 때때로 바람직한 점도 범위의 상한을 초과한다. 한편, 당량비가 30/1 을 초과하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생산성이 열악하다.
반응 온도는 50-200 ℃, 바람직하게는 50-150 ℃ 이다. 50 ℃ 미만이면, 반응은 거의 진행되지 않고, 200 ℃ 를 초과하면, 때때로 원치않는 부반응이 일어나서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착색이 야기된다. 반응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5-3 시간 범위이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의 반응 후 또는 그 반응과 동시에 이소시아누레이트화 반응을 수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이소시아누레이트화 반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한 코팅 필름의 경도는 때때로 저하될 수 있다. 이소시아누레이트화 반응 온도는 50-200 ℃, 바람직하게는 50-150 ℃ 이다. 반응 온도가 50 ℃ 미만이면, 반응은 거의 진행되지 않고, 200 ℃ 를 초과하면, 때때로 원치 않는 부반응이 일어나고, 이것은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착색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사용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화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염기성인 것들이 바람직하다. 그들의 예는 (i) 테트라알킬암모늄 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 및 테트라에틸암모늄의 수산화물, 또는 아세트산, 카프르산 등의 유기 약산 염, (ⅱ) 히드록시알킬암모늄 예컨대 트리메틸히드록시프로필암모늄, 트리메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 트리에틸히드록시프로필암모늄 및 트리에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의 수산화물, 또는 아세트산, 카프르산 등의 유기 약산 염, (ⅲ) 알킬카르복실산 예컨대 아세트산, 카프로산, 옥틸산 및 미리스트산의 알칼리 금속 (주석, 아연, 납 등) 염, (ⅳ)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 알코올레이트, (ⅴ) 아미노실릴기-포함 화합물 예컨대 헥사메틸디실라잔, (ⅵ) 만니히 염기, (ⅶ) 3차 아민과 에폭시 화합물의 배합물, (ⅷ) 인 화합물 예컨대 트리부틸포스핀 등이다. 암모늄 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응의 종결을 위해서는, 촉매를 탈활성화시킨다. 중화에 의해 촉매를 탈활성화시키는 경우, 산성 물질 예컨대 인산 및 산 인산 에스테르를 첨가하고, 나아가 열 분해 또는 화학 분해로 촉매를 탈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수율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질량/주입시킨 출발 물질의 총 질량 × 100) 은 10-70 질량%, 바람직하게는 30-60 질량%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반응시켜 유도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반응 및 이소시아누레이트화 반응을 모두 함께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구조가 다른 2 개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2 개 이상의 다른 반응,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알로파네이트화 반응 및 부가적으로 이소시아누레이트화 반응을 수행한 경과,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가교결합성이 높고,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경화제로서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코팅 필름은 경도가 높고 건조성이 우수하다.
반응 완료 후,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는 박막 증발기, 추출 등에 의해 제거되고,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농도는 3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다.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농도가 3 질량% 를 초과하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경화성은 때때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 결합이 형성된 후, 이소시아누레이트화 반응과 동시에 알로파네이트화 반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반응들은 이소시아누레이트화 반응 촉매 및 반응 조건을 선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득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분자 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성을 갖는 2 개 이상의 활성 수소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들은 서로 반응하고, 가교결합된 코팅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 폴리올, 폴리아민, 폴리티올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은 둘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의 예는 앞서 언급한 폴리올 및 그밖에 아크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올레핀 폴리올, 에폭시 폴리올 및 불소 폴리올이다.
아크릴 폴리올에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및 이타콘산, 불포화 아미드 예컨대 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및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및 기타 중합가능한 단량체 예컨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디부틸 푸마레이트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 화합물들의 혼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활성 수소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의 아크릴 모노에스테르 및 메타크릴 모노에스테르,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아크릴 모노에스테르 및 메타크릴 모노에스테르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 화합물들의 혼합물; 및 아크릴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활성 수 소를 갖는 메타크릴 에스테르,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중합에 의해 수득된 아크릴 폴리올이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예컨대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이량체산,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군에서 선택된 2가 산 또는 그 2가 산들의 혼합물과;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글리세린 군에서 선택된 다가 알코올 또는 그 다가 알코올들의 혼합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포함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또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러한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개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지방족 또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들로부터 수득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내후성 및 내황변성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에는, 예를 들어, 알킬렌 옥시드 예컨대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시클로헥센 옥시드 및 스티렌 옥시드 중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분자량이 500 이하인 폴리올 또는 그 폴리올 혼합물에, 강염기성 인 촉매 예컨대 리튬, 나트륨, 칼륨, 알코올레이트, 알킬아민 등의 수산화물, 금속 포르피린, 및 복합 금속 시안 화합물 착물 예컨대 아연 헥사시아노코발테이트 착물을 사용하여 랜덤 또는 블록 첨가시켜 수득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포함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에는 추가로 폴리아민 화합물 예컨대 에틸렌디아민과 알킬렌 옥시드를 반응시켜 수득한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상기 폴리올을 매개체로 사용하여 아크릴아미드 등을 중합시켜 수득한 소위 중합체 폴리올이 포함된다.
폴리올레핀 폴리올에는, 예를 들어, 2 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부타디엔, 수소화된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및 수소화된 폴리이소프렌이 포함된다.
에폭시 폴리올에는, 예를 들어, 노볼락 형, β-메틸에피클로로 형, 환식 옥시란 형, 글리시딜 에테르 형 및 글리콜 에테르 형 에폭시 폴리올, 및 에폭시 형, 에폭실화된 지방산 에스테르 형, 다가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형, 아미노글리시딜 형, 할로겐화된 형 및 레조르신 형의 지방족 불포화 화합물, 및 아미노 화합물, 폴리아미드 화합물 등으로 개질된 이러한 폴리올이 포함된다.
불소 폴리올은 분자 내에 불소를 함유하는 폴리올이고, 예를 들어, 플루오로-올레핀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비닐 에테르, 히드록시알킬비닐 에테르, 모노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U.S. 특허 No. 4345057 및 EP 180962 에 나와 있다.
도료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폴리올의 히드록실가는 바람직하게는 30-200 ㎎KOH/g 에서 선택되고, 그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0-30 ㎎KOH/g 에서 선택 된다. 이러한 폴리올은 둘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올은 아크릴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고, 아크릴 폴리올이 더욱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비수성 분산액 (NAD) 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할 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당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2 - 2/1 의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나아가,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도료 조성물은 다양한 용매,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논, 광 안정화제 예컨대 힌더드 아민 및 힌더드 페놀, 유기 안료 예컨대 퀴나크리돈, 피그먼트 레드 및 프탈로시아닌 블루, 무기 안료 예컨대 산화티탄 및 카본 블랙, 금속계 안료 예컨대 알루미늄 분말, 광 간섭 안료 예컨대 펄 미카 분말, 경화 가속화제 예컨대 주석 화합물, 아연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용매는 도료 조성물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예를 들어, 케톤 예컨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및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및 알코올 예컨대 부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군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제조한 도료 조성물은 예비코팅된 금속 예컨대 부식방지용 강철판, 자동차 마감재 등의 분야에서, 롤 코팅, 커튼 플로우 코팅, 스프레이 코팅, 정전기방지 코팅 및 벨 코팅과 같은 코팅 수단에 의해 코팅된 금속 예컨대 강철판 및 표면-처리 강철판, 플라스틱 및 무기 재료용 프라이머 또는 표면- 또는 내부-코팅제로서 유용하다.
특히, 상기 도료 조성물은, 내산성비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클리어 코팅으로서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도료 조성물은 상기 안료를 함유하는 비수성 또는 수성 베이스 코트 위에 코팅시킬 수 있고,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는 동시에 경화시킬 수 있다.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 는 전부 질량부이다.
우선, 물성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하기 장치를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 (이후 "GPC" 라고 칭함) 에 의한 측정에 따른 폴리스티렌 표준에 의한 것이다.
장치: Toso Co., Ltd. 가 제조한 HLC-802A
칼럼: G1000HXL (1 칼럼)
G2000HXL (1 칼럼)
G3000HXL (1 칼럼)
상기 칼럼들은 Toso Co., Ltd. 가 제조한다.
담체: 테트라히드로푸란
검출 방법: 시차 굴절계
(수율)
수율은 하기식으로 계산한다.
수율 (%) =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질량/주입시킨 출발 물질의 총 중량 × 100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는 하기식으로 계산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수평균 분자량 ×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농도 / 42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농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농도는 톨루엔에 용해시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n-디부틸아민을 첨가하고 1N 염산을 사용하여 전위차 적정을 수행하여 얻는다.
(HDI 성분/IPDI 성분의 질량비)
미반응 HDI 의 질량 및 미반응 IPDI 의 질량은 반응 후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 및 기체 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하여 수득한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HDI 및 IPDI 의 농도로부터 계산한다. 주입시킨 HDI 의 질량과 미반응 HDI 의 질량 사이의 차 대 주입시킨 IPDI 의 질량과 미반응 IPDI 의 질량 사이의 차의 비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질량비이다.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농도)
앞서-언급한 GPC 측정으로 얻은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분자량에 상응하는 피크 면적 % (예를 들어, HDI 의 경우 168) 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질량 농도로 표현한다.
(점도의 측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점도는 3 도 및 R12 의 콘-플레이트가 있는 E-형 점도계 (Toki Sangyo Co., Ltd. 에서 제조한 RE-80U) 를 사용하고, 2.5 rpm 의 회전수로, 25 ℃ 에서 측정한다 (단위: m㎩ㆍs/25 ℃).
(알로파네이트 결합,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우레탄 결합의 유무)
Bruker Co., Ltd. 에서 제조한 FT-NMR DPX-400 을 사용하여, 샘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농도 5 질량%, 400 ㎒ 및 적분수 256 회로, 중클로로포름 CDCl3 를 용매로서 사용하여 양자 핵 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알로파네이트 결합,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우레탄 결합의 유무를 결정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의 경우, HDI 에서 기인한 β 위치 및 γ 위치의 양자 모두를 기준으로 하여, HDI 에서 기인하고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에 인접한 메틸렌기의 모든 양자의 비율이 1 % 이상이면, 그 결합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 % 미만이면, 그 결합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며, 알로파네이트 결합 및 우레탄 결합의 경우, 알로파네이트 결합 및 우레탄 결합에 존재하는 양자의 비율이 각각 1 % 이상이면, 그 결합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 % 미만이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Tg)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Tg 는 시차 열 분석기 (Seiko Instruments Inc. 에서 제조한 상표명: DSC6220) 를 사용하여 20 ℃/분의 가열 속도로 측정한다.
(코팅 필름의 Tg)
도료 조성물을 140 ℃ 에서 30 분 동안 경화시켜 형성한 두께 20 ㎛ 의 코팅 필름을 4 ℃/분의 가열 속도로 가열하고, 강체 진자형 점탄성 측정 장치 (A & D Co., Ltd. 에서 제조한 RPT-3000W) 를 사용하여 대수적 감소율을 측정한다. 대수적 감소율의 피크 꼭대기가 코팅 필름의 Tg 이다.
(겔 분율)
도료 조성물을 80 ℃ 에서 30 분 동안 경화시켜 형성한 코팅 필름의 대략 0.2 g 을 약 40 g 의 아세톤에 20 ℃ 에서 24 시간 동안 담근 후, 미용해 부분의 질량 대 담그기 전의 필름의 질량의 비율을 계산한다. 90 % 미만인 경우, 겔 분율을 "×" 로 표시하고, 90 % 이상인 경우, 겔 분율을 "○" 로 표시한다.
(코팅 필름의 경도)
도료 조성물을 80 ℃ 에서 30 분 동안 경화시켜 형성한 두께가 40 ㎛ 인 코팅 필름의 경도는 20 ℃ 에서 Konig 경도 시험기 (BYK Gardner Co., Ltd. 에서 제조한 진자 경도 시험기) 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단위: 회).
(거즈 건조성)
도료 조성물을 필름 두께 40 ㎛ 로 유리판 위에 코팅한 후, 60 ℃ 에서 30 분 동안 베이킹하고, 이어서 20 ℃ 에서 1 시간 동안 방치시킨다. 일본 약전에서 규정한 거즈 5 조각을 코팅 필름 위에 층으로 놓고, 그 위에 100 g 의 추를 60 초 동안 놓는다. 그 후, 추와 거즈를 제거하고, 코팅 필름에 남은 거즈 자국을 관찰한다. 그 결과를 1 (자국이 선명하게 보임) - 5 (자국이 남지 않음) 의 다섯 등급으로 나타내고, 나아가 등급 사이의 중간은 0.5 단위로 나타낸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 파이프, 질소 취입 파이프, 및 적하 깔때기가 장착되어 있고 그 안에 질소 대기가 있는 4-목 플라스크에 560 부의 HDI, 240 부의 IPDI 및 3가 알코올로서 20 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분자량: 134) 을 주입시키고, 반응 용기 내의 온도를 9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하여 우레탄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 반응 용기 내의 온도를 80 ℃ 로 유지하고, 0.096 부의 테트라메틸암모늄 카프리에이트를 이소시아누레이트화 촉매로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굴절률을 측정하고, 수율이 43 % 에 도달할 때, 인산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박막 증발기를 사용하여 미반응 HDI 및 IPDI 를 제거하였다. 생성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양: 353 g) 의 25 ℃ 에서의 점도는 165,000 m㎩ㆍs 였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농도는 19.2 질량% 였고,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농도는 0.3 질량% 였고, 수평균 분자량은 1050 이었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개수는 4.8 이었고, Tg 는 -32 ℃ 였고, HDI 성분/IPDI 성분의 질량비는 78/22 였다. 알로파네이트기 및 이소시아누레이트기의 존재는 확인되었지만, 우레탄 결합의 존재는 확인할 수 없었다.
주입시킨 출발 물질의 조성, 반응 조건, 및 제조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주입시킨 출발 물질의 조성 및 반응 조건을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주입시킨 출발 물질의 조성, 반응 조건, 및 제조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10)
아크릴 폴리올 (Akzonobel Co., Ltd. 에서 제조한 상표명: SETALUX 1767, 수지 성분의 농도: 65 %, 히드록실가: 150 ㎎KOH/g-수지) 및 실시예 1-5 에서 수득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각각을 이소시아네이트기/히드록실기의 당량비 1.0 으로 배합하였다.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유기 용매로 적합하게 조절하고, 도료 조성물을 그들의 물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사용한 경화제 및 코팅 필름의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주입시킨 출발 물질의 조성 및 반응 조건을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주입시킨 출발 물질의 조성, 반응 조건, 및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240 부의 HDI, 560 부의 IPDI 및 60 부의 P303 을 사용하고 수율이 45 %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탁했고, 따라서 물성의 평가를 중단하였다.
(비교예 5-9)
표 2 에 나타낸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 을 반복하였다. 사용한 경화제 및 코팅 필름의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2711872-pct00002
Figure 112006062711872-pct00003
본 발명의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우레탄계 도료 조성물에 따르면, 내후성, 고 경화성, 건조성 및 코팅 필름 경도 모두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부식방지용 강철판, 자동차 마감재 등을 포함하는 예비코팅된 금속의 다양한 분야에서, 강철판 및 표면-처리 강철판과 같은 금속, 플라스틱 및 무기 재료용 프라이머 또는 표면- 또는 내부-코팅제로서 유용하다. 게다가, 상기 도료 조성물은 내산성비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클리어 코팅으로서도 유용하다. 게다가, 상기 도료 조성물은 안료를 함유하는 비수성 또는 수성 베이스 코트 위에 코팅할 수 있다.

Claims (14)

  1.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 및 평균 분자량 500 이하의 폴리올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수산기(당량비) = 3/1-30/1로 우레탄화 반응을 행하고, 상기 반응의 후 또는 상기 반응과 동시에, 이소시아누레이트화 (isocyanuration) 반응과 알로파네이트화 (allophanation) 반응을 행하고, 그 후,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서,
    하기 구조식 (I) 로 나타내어지고, 또한, 하기
    i)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농도는 3 질량% 이하이고,
    ⅱ) 폴리올 성분 농도는 1-50 질량% 이며,
    ⅲ) 유리 전이 온도는 -50 ℃-0 ℃ 이고,
    iv)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결합 부분의 일부 이상은 알로파네이트 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알로파네이트 결합 및 우레탄 결합의 비율이 10:0 내지 8:2 이며, 및
    v)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는 95/5- 50/50 (질량비)인
    조건 전부를 만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
    R-(NCO)n (I)
    [식 중, R 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 및 폴리올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배제한 잔기이고, n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한 분자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통계적 평균 개수) 은 4.5-20 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점도가 100,000-2,000,000 m㎩ㆍs/25 ℃ 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 한 분자 당 히드록실기의 평균 개수가 3-8 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가 -45 ℃- -10 ℃ 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7.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블로킹제로 블로킹되어 있는, 제 1 항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또는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1 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7017543A 2004-03-01 2005-03-01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는도료 조성물 KR100817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56425 2004-03-01
JPJP-P-2004-00056425 2004-03-01
JPJP-P-2004-00056426 2004-03-01
JP2004056426 2004-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856A KR20060116856A (ko) 2006-11-15
KR100817468B1 true KR100817468B1 (ko) 2008-03-31

Family

ID=3491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543A KR100817468B1 (ko) 2004-03-01 2005-03-01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는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48488B2 (ko)
EP (1) EP1721920B1 (ko)
JP (2) JP5787458B2 (ko)
KR (1) KR100817468B1 (ko)
CN (1) CN100460435C (ko)
WO (1) WO2005082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9675B2 (ja) * 2006-12-22 2013-11-1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JP5354854B2 (ja) * 2006-12-22 2013-11-27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ウレタン系塗料組成物
US8415471B2 (en) * 2007-11-29 2013-04-09 Baver MaterialScience LLC Flexible cycloaliphatic diisocyanate trimers
CN101888994B (zh) * 2007-12-06 2015-01-07 巴斯夫欧洲公司 含有脲基甲酸酯基团的多异氰酸酯
BRPI0820658A2 (pt) * 2007-12-12 2015-06-16 Asahi Kasei Chemicals Corp Poliisocianato bloqueado, e, composição de uretano
DE102007062316A1 (de) 2007-12-21 2009-06-25 Evonik Degussa Gmbh Reaktive Isocyanatzusammensetzungen
WO2009130965A1 (ja) * 2008-04-24 2009-10-29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2液型塗料組成物
JP2010053238A (ja) * 2008-08-28 2010-03-1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2液型塗料組成物
DE102009005712A1 (de) * 2009-01-22 2010-07-29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urethanvergussmassen
JP2011105886A (ja) * 2009-11-19 2011-06-02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二液型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2011162633A (ja) * 2010-02-08 2011-08-25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一液型熱硬化性組成物
JP2011256257A (ja) * 2010-06-08 2011-12-22 Agc Coat-Tech Co Ltd 含フッ素塗料組成物および二液塗料用キット
EP2841970B1 (de) 2012-04-23 2017-11-08 Covestro Deutschland AG Lichtechte polyurethanzusammensetzung
US20170342193A1 (en) * 2014-12-15 2017-11-30 Mitsui Chemicals, Inc. Self-repairing polyurethane resin material, self-repairing polyurethane resin, self-repairing coating material, self-repairing elastomer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self-repairing polyurethane resin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elf-repairing polyurethane resin
CN106147731B (zh) * 2015-04-10 2019-10-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作堵漏剂的可自固化组合物及其应用
JP6934704B2 (ja) * 2016-03-14 2021-09-15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塗料組成物及び塗装体の製造方法
JP6891404B2 (ja) * 2016-05-10 2021-06-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剤
WO2018070533A1 (ja) * 2016-10-14 2018-04-19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
JP7206101B2 (ja) * 2018-12-04 2023-01-17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塗料組成物及び塗膜
TW202206519A (zh) * 2019-06-27 2022-02-16 日商旭化成股份有限公司 聚異氰酸酯組合物、薄膜形成用組合物、薄膜、薄膜積層體、接著性樹脂組合物及接著性樹脂硬化物、塗料用組合物及塗料硬化物
US11732083B2 (en) * 2020-11-19 2023-08-22 Covestro Llc Polyisocyanate resi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544A (ja) * 1994-11-18 1996-09-24 Bayer Ag アロファネート基を含有するポリイソシアネート
JPH08325353A (ja) * 1995-06-05 1996-12-10 Asahi Chem Ind Co Ltd 新規な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
JPH11279484A (ja) * 1997-11-28 1999-10-12 Huels Ag 2成分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686B2 (ja) 1980-08-08 1985-05-29 旭硝子株式会社 常温硬化可能な含フツ素共重合体
DE3033860A1 (de) 1980-09-09 1982-04-15 Bayer Ag, 5090 Leverkusen Neue isocyanato-isocyanurat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isocyanatkomponente in polyurethanlacken
JPS58219268A (ja) * 1982-06-15 1983-12-20 Asahi Chem Ind Co Ltd 速乾型ウレタン樹脂被覆組成物
JPS6172013A (ja) 1984-09-18 1986-04-14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
DE3585329D1 (de) 1984-11-07 1992-03-12 Dainippon Ink & Chemicals Haertbare zusammensetzung auf basis eines fluorolefincopolymers.
US4810820A (en) * 1987-08-12 1989-03-07 Mobay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isocyanates containing allophanate groups
JP2834285B2 (ja) 1990-07-09 1998-12-09 住友ゴム工業 株式会社 ラジアルタイヤ
DE4029809A1 (de) 1990-09-20 1992-03-26 Bayer Ag Polyisocyanatgemisch,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in polyurethanlacken
JP3137201B2 (ja) 1991-01-24 2001-02-19 旭化成工業株式会社 低粘度ポリイソシアネート
US5137972A (en) 1991-08-29 1992-08-11 Basf Corporation Environmental etch resistant,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method of coating therewith, and coating obtained therefrom
JPH06172474A (ja) 1992-02-19 1994-06-21 Dainippon Ink & Chem Inc イソシアネートプレポリマー及び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5258482A (en) 1992-06-12 1993-11-02 Miles Inc. Polyisocyanates containing allophanate and isocyanurate group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from a mixture of diisocyanates and their use in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US5817732A (en) 1993-02-12 1998-10-06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Blocked polyisocyanate and coating composition
JPH07233239A (ja) * 1994-02-22 1995-09-05 Nippon Paint Co Ltd 硬化剤およびそれを含む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US5614605A (en) * 1994-12-19 1997-03-25 Bayer Corporation Rigid polyurethanes based on allophanate-modified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urates
JPH08325351A (ja) * 1995-06-05 1996-12-10 Asahi Chem Ind Co Ltd 新規なポリイソシアネート及びその製法
JP3654373B2 (ja) 1995-07-04 2005-06-02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イソシアヌレート型ポリイソシアネートを含んでなる反応混合物の製造方法。
JP3943162B2 (ja) * 1996-02-28 2007-07-1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接着性付与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プラスチゾル組成物
US5789519A (en) * 1996-04-12 1998-08-04 Bayer Corporation High viscosity, high equivalent weight polyisocyanate mixtures containing allophanate and isocyanurate groups and their use in coating compositions
DE19731392A1 (de) * 1997-07-22 1999-01-28 Huels Chemische Werke Ag Blockierte Polyisocyanat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 daraus hergestellten PUR-Pulverlacke
KR100355646B1 (ko) * 1998-04-08 2002-10-11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DE19927411A1 (de) * 1999-06-16 2000-12-21 Bayer Ag Lichtechte Polyisocyanate mit guter Löslichkeit in unpolaren Lösungsmitteln
WO2002032979A1 (fr) * 2000-10-17 2002-04-25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 polyisocyanates
JP4234997B2 (ja) * 2001-03-27 2009-03-04 ロディア・シミ 高官能価の低粘度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0873B2 (ja) 2001-04-03 2010-09-0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DE102004015985A1 (de) * 2004-04-01 2005-10-20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ärbungsstabile Polyetherallophan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544A (ja) * 1994-11-18 1996-09-24 Bayer Ag アロファネート基を含有するポリイソシアネート
JPH08325353A (ja) * 1995-06-05 1996-12-10 Asahi Chem Ind Co Ltd 新規な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
JPH11279484A (ja) * 1997-11-28 1999-10-12 Huels Ag 2成分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1920A4 (en) 2008-04-23
JP5787458B2 (ja) 2015-09-30
EP1721920B1 (en) 2015-05-06
EP1721920A1 (en) 2006-11-15
JP6005212B2 (ja) 2016-10-12
CN1926163A (zh) 2007-03-07
US20070218209A1 (en) 2007-09-20
KR20060116856A (ko) 2006-11-15
CN100460435C (zh) 2009-02-11
JP2015187277A (ja) 2015-10-29
WO2005082966A1 (ja) 2005-09-09
JPWO2005082966A1 (ja) 2007-11-15
US8148488B2 (en)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468B1 (ko)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는도료 조성물
JP5178200B2 (ja) 高架橋性、低粘度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塗料組成物
US7728076B2 (en) Coating compositions
US8772434B2 (en) Block polyisocyanate and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5183206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塗料組成物
JP6267958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硬化物
US5849855A (en) Blocked polyisocyanate composition and one-pack thermocuring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2007016231A (ja) 耐擦り傷性トップコート用オリゴカーボネートを含む塗料
EP4122966B1 (en) Polyisocyanate composition, blocked polyisocyanate composition, hydrophilic polyisocyanate composition,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KR20010072651A (ko) 점성이 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
JP2013224350A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塗料組成物
JP5542301B2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5599696B2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JP5775660B2 (ja) 高伸度、低温硬化性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JP5570057B2 (ja) 高相溶性、水性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
JP2006160936A (ja) 水性エマルジョン用硬化剤の製造方法
JP4429531B2 (ja) ウレタンポリオ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塗料組成物
WO2022224927A1 (ja)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水分散体、塗料組成物、及び塗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