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258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258B1
KR100790258B1 KR1020067006640A KR20067006640A KR100790258B1 KR 100790258 B1 KR100790258 B1 KR 100790258B1 KR 1020067006640 A KR1020067006640 A KR 1020067006640A KR 20067006640 A KR20067006640 A KR 20067006640A KR 100790258 B1 KR100790258 B1 KR 10079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ir
adsorption heat
indoor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648A (ko
Inventor
노부키 마츠이
슈지 이케가미
도모히로 야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series arrangements
    • F25B2313/0234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series arrangements during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냉매회로(40)에는, 실외 열교환기(54)와 실내 열교환기(55) 외에 2개의 흡착열교환기(56, 57)가 구성된다. 실내 열교환기(55)와 2개의 흡착열교환기(56, 57)는 실내유닛(11)에 설치되며, 실외 열교환기(54)는 실외유닛(12)에 설치된다.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어 공기에 부여된다. 그리고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55)에서는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55)에서 냉각되거나 또는 가열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를 처리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옥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국제공개 제 03/029728호 책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옥내의 냉방과 제습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공기조화장치는, 열원측 실외 열교환기와 이용측 실내 열교환기가 설치된 냉매회로를 구비하며, 냉매회로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열교환기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실내공기의 이슬점온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실내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옥내를 제습한다.
한편, 일특개평 7-26564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흡착제가 배치된 열교환기를 구비한 제습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제습장치는 흡착제가 배치된 열교환기를 2개 구비하며, 이들 중 한쪽에서 공기를 제습하여 다른 쪽을 재생하는 동작을 한다. 이 때, 수분을 흡착하는 쪽의 열교환기에는 냉각탑에서 냉각된 물이 공급되며, 재생되는 열교환기에는 온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장치는, 상술한 동작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바와 같이, 국제공개 제 03/029728호 책자에 기재된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 열교환기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실내공기의 이슬점온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옥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즉, 실내 열교환기에서의 냉매 증발온도가 실내공기의 이슬점온도보다 높아도 현열부하의 처리는 가능하지만, 잠열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실내 열교환기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이 때문에 냉동주기의 고저압 차가 커지고, 압축기에의 입력이 늘어나, 낮은 COP(성적계수)밖에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특개평 7-265649호 공보에 기재된 제습장치에서는, 냉각탑에서 냉각된 냉각수, 즉 실내온도에 비해 그다지 온도가 낮지 않은 냉각수를 열교환기에 공급한다. 따라서 이 제습장치에서는, 옥내의 잠열부하 처리는 가능해도 현열부하의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옥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양쪽의 처리가 가능하며, 또 높은 COP를 얻을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이 강구한 해결수단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이다.
제 1 해결수단은, 열원측 열교환기(54, 58)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된 냉매회로(4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회로(40)는 그 전체가 옥내에 배치되며, 상기 냉매회로(40)에는 표면에 흡착제가 배치된 흡착열교환기(56, 57)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접속되고,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열교환기(56, 57)로 흡착시키는 흡착동작과 상기 흡착열교환기(56, 57)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재생동작을 교대로 행하는 것이다.
제 2 해결수단은, 열원측 열교환기(54, 58)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된 냉매회로(4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회로(40)는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옥내에 배치되는 옥내회로(42)와, 열원측 열교환기(54, 58)가 설치되어 옥외에 배치되는 옥외회로(41)와, 상기 옥내회로(42)와 옥외회로(41)를 접속하는 연락배관(43, 44)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매회로(40)에는 표면에 흡착제가 배치된 흡착열교환기(56, 57)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접속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열교환기(56, 57)로 흡착시키는 흡착동작과 상기 흡착열교환기(56, 57)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재생동작을 교대로 행하는 것이다.
제 3 해결수단은, 열원측 열교환기(54, 58)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된 냉매회로(4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회로(40)에는, 표면에 흡착제가 배치된 흡착 열교환기(56, 57)와,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 시키는 공기열교환기(55, 59)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접속되며, 상기 냉매회로(40)는 공기열교환기(55, 59)가 설치되어 옥내에 배치되는 옥내회로(42)와, 흡착열교환기(56, 57) 및 열원측 열교환기(54, 58)가 설치되어 옥외에 배치되는 옥외회로(41)와, 상기 옥내회로(42)와 옥외회로(41)를 접속하는 연락배관(43, 44)으로 구성되고,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열교환기(56, 57)로 흡착시키는 흡착동작과, 상기 흡착열교환기(56, 57)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재생동작을 교대로 행하는 것이다.
제 4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40)에는, 옥내에 설치되어 옥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 시키는 공기열교환기(55, 59)가 흡착열교환기(56, 57)와 함께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접속되는 것이다.
제 5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40)에서는,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가 설치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재생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하는 운전과,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흡착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하는 운전을 교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제 6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를 환기하는 것이다.
제 7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옥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외로 배출시켜 옥내를 환기하는 것이다.
제 8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함과 더불어, 옥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외로 배출시켜 옥내를 환기하는 것이다.
제 9 해결수단은 상기 제 6 또는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후에 옥내에 공급되는 것이다.
제 10 해결수단은 상기 제 7 또는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옥내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후에 옥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제 11 해결수단은 상기 제 7 또는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옥내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와 함께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후에 옥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제 12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후에 옥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작용-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조화장치(10)의 냉매회로(40)에 열원측 열교환기(54, 58)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또 냉매회로(40)에는 1개 또는 복수의 흡착열교환기(56, 57)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설치된다. 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절대습도가 흡착제와의 접촉에 의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흡착열교환기(56, 57)의 흡착제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흡착동작을 실행하면 공기가 제습된다. 한편, 흡착열교환기(56, 57)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재생동작을 실행하면, 그 이탈된 수분에 의해 공기가 가습된다. 공기조화장치(10)는, 냉매회로(4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고,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상기 제 1 해결수단에서는, 냉매회로(40) 전체가 옥내 또는 옥외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된다. 즉 흡착열교환기(56, 57)를 포함하는 이용측 열교환기만이 아닌, 열원측 열교환기(54, 58)도 옥내 또는 옥외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해결수단에서는, 옥내의 옥내회로(42)와 옥외의 옥외회로(41)를 연락배관(43, 44)으로 접속함으로써 냉매회로(40)가 구성된다. 옥내회로(42)에는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옥외회로(41)에는 열원측 열교환기(54, 58)가 설치된다. 즉 흡착열교환기(56, 57)를 포함하는 이용측 열교환기가 옥내에 설치되며, 열원측 열교환기(54, 58)가 옥외에 설치된다.
상기 제 3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열교환기(56, 57)와 공기열교환기(55, 59)의 양쪽이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냉매회로(40)에 설치된다. 공기열교환기(55, 59)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온도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조절된다. 이 해결수단의 냉매회로(40)는, 옥내의 옥내회로(42)와 옥외의 옥외회로(41)를 연락배관(43, 44)으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옥내회로(42)에는 이용측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공기열교환기(55, 59)가 설치되며, 옥외회로(41)에는 이용측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흡착열교환기(56, 57)와 열원측 열교환기(54, 58)가 설치된다. 즉 공기열교환기(55, 59)가 옥내에 설치되며, 흡착열교환기(56, 57) 및 열원측 열교환기(54, 58)가 옥외에 설치된다.
상기 제 4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열교환기(56, 57)와 공기열교환기(55, 59)의 양쪽이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냉매회로(40)에 설치된다. 공기열교환기(55, 59)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온도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조절된다. 이용측 열교환기인 공기열교환기(55, 59)는 옥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 5 해결수단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냉매회로(4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설치된다. 이 해결수단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재생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하는 운전과,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흡착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하는 운전이 교대로 반복된다.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면, 제습된 공기가 옥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한편,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면, 가습된 공기가 옥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6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조화장치(10)가 옥외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옥외로부터 옥내에의 급기가 공기조화장치(10)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편, 옥내로부터의 배기는 자연배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른바 제 2 종 환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7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조화장치(10)가 옥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외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옥내로부터 옥외로의 배기가 공기조화장치(10)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편, 옥외로부터의 급기는 자연급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른바 제 3 종 환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8 해결수단에서는, 옥외로부터 옥내에의 급기와 옥내로부터 옥외로의 배출 양쪽을 공기조화장치(10)가 실행한다. 즉 공기조화장치(10)에 의해, 이른바 제 1 종 환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9 해결수단에서는, 옥외로부터 옥내를 향하는 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다. 즉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흡착열교환기(56, 57)와의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받은 후 옥내에 공급된다.
상기 제 10 해결수단에서는, 옥내로부터 옥외를 향하는 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다. 즉 옥내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흡착열교환기(56, 57)와의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받은 후 옥외로 배출된다.
상기 제 11 해결수단에서는, 옥내로부터 도입된 공기와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 양쪽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다. 즉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하여 옥외로 송출되는 공기의 유량(流量)은, 옥내로부터 옥외로의 배기량보다 많아진다.
상기 제 12 해결수단에서는,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후에 옥외로 배출된다. 즉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후 다시 옥외로 송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냉매회로(4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흡착열교환기(56, 57)를 설치하고, 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의 절대습도를 조절한다. 즉, 종래와 같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온도보다 낮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온도 이상으로 설정해도 공기의 제습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도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종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어, 냉동주기의 고저압 차를 축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냉매의 압축에 요하는 동력의 삭감이 가능해져, 냉동주기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해결수단에서는, 냉매회로(40) 전체를 옥내 또는 옥외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다. 이로써 공기조화장치(10)의 설치 시에 현지에서 냉매배관을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그 설치작업의 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54, 58)를 옥외에 배치한다. 이로써 옥내측 유닛에는 이용측 열교환기를 수납하면 되므로, 이 옥내측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55, 59)를 옥내에 배치한다. 이로써 옥내측 유닛에는 공기열교환기(55, 59)를 수납하면 되므로, 이 옥내측 유닛을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및 제 4 해결수단에서는, 냉매회로(40)에 공기열교환기(55, 59)가 설치되고, 이 공기열교환기(55, 59)를 통과함으로써 공기의 온도가 조절된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주로 공기의 절대습도를 조절하며, 공기열교환기(55, 59)에서는 주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면 되게 된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옥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절대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 처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5 해결수단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를 냉매회로(4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설치하여, 이들 한쪽에 대한 흡착동작과 다른 쪽에 대한 재생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56, 57) 또는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함으로써, 제습 또는 가습된 공기를 옥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 6~제 10의 각 해결수단에 의하면,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 처리에 더불어 옥내의 환기도 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9 해결수단에 의하면, 옥외로부터 옥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절대습도를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 조절할 수 있어, 환기에 따르는 옥내공기의 습도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0 해결수단에 의하면, 옥내로부터 옥외로의 배기를 흡착열교환기(56, 57)의 재생에 이용하거나, 이 배기 중의 수분을 흡착열교환기(56, 57)에 흡착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1 해결수단에서는, 옥내로부터 도입된 공기와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의 양쪽을 흡착열교환기(56, 57)에 공급한다. 이로써, 옥내로부터 옥외로의 배기량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만을 증대시킬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56, 57)가 흡착하는 수분량이나 흡착열교환기(56, 57)로부터 이탈되는 수분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2 해결수단에서는, 옥외로부터 도입한 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후에 옥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옥내로부터 옥외로 배출되는 공기나 옥외로부터 옥내에 공급되는 공기만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할 경우에는, 요구되는 환기량에 의해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이 제약되어, 충분한 조습능력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이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환기량과 상관없이 설정할 수 있어, 필요한 조습능력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설치상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매회로의 구성과 제습냉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매회로의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가습난방운전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가습난방운전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설치상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실내유닛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실내유닛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실내유닛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설치상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가습난방운전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가습난방운전의 제 2 동작 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설치상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0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1은 제 3 실시형태의 실외유닛 개략사시도.
도 22는 제 1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설치상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3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4는 제 2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설치상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5는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6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 (10)는, 냉매회로(4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증기압축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양쪽을 처리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이른바 분리형으로 구성되며, 실내유닛(11)과 실외유닛(12)을 구비한다. 실내유닛(11)은,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구비하며, 옥내에 설치된다. 이 실내유닛(11)은 이른바 벽걸이형으로 구성되며,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다. 한편 실외유닛(12)은 실외 열교환기(54)를 구비하며 옥외에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유닛(11)과 실외유닛(12)은 가스측 연락배관(43) 및 액측 연락배관(44)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실외유닛(12)의 실외 케이싱(13)에는, 실외열교환기(54) 외에 압축기(50)나 실외팬(14)이 수납된다.
실내유닛(11)은, 가로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된 실내 케이싱을 구비한다. 실내 케이싱(20)에서는 그 전면(前面)에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실내 케이싱(20)의 전면 상부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좌우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실내 케이싱(20)은 전면 쪽에서 본 상태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는 왼쪽으로, 제 2 흡착열교환기(57)는 오른쪽으로 각각 설치된다. 실내 케이싱(20)의 전면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하방에는 실내 열교환기(55)가 배치되며, 실내열교환기(55) 하방에는 토출구(26)가 개구된다.
실내 케이싱(20)의 내부공간은 전면 쪽과 배면 쪽으로 구획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배면 쪽 공간은 배기통로(24)를 구성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전 면 쪽 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이 전면 쪽 공간 중 하측공간은 실내 열교환기(55)의 배면 쪽에 위치하며, 급기통로(23)를 구성한다. 한편, 전면 쪽 공간 중 상측공간은 다시 좌우로 구획된다. 그리고 왼쪽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쪽이 제 1 공간(21)을, 오른쪽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쪽이 제 2 공간(22)을 각각 구성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배기통로(24)에는 배기팬(32)이 수납된다. 또 배기통로(24)에는 실외로 개구되는 배기덕트(25)가 접속된다. 한편 급기통로(23)에는 실내팬(31)이 수납된다. 이 급기통로(23)는 토출구(26)로 연통된다.
실내 케이싱(20)에는 개폐식 댐퍼(33~36)가 4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공간(21)과 급기통로(23)의 구획에는 제 1 급기댐퍼(33)가, 제 1 공간(21)과 배기통로(24)의 구획에는 제 1 배기댐퍼(34)가 각각 배치된다. 또 제 2 공간(22)과 급기통로(23)의 구획에는 제 2 급기댐퍼(35)가, 제 2 공간(22)과 배기통로(24)의 구획에는 제 2 배기댐퍼(36)가 각각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40)에는 압축기(50)와 전동팽창밸브(53)가 1개씩 설치되며,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 설치된다. 또 냉매회로(40)에는 실외열교환기(54)와 실내열교환기(55)가 1개씩 설치되며, 흡착열교환기(56, 57)가 2개 설치된다. 이 냉매회로(40)에서는 실외열교환기(54)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55)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냉매회로(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50)는,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54)는, 한끝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 다른 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실내열교환기(55)는, 한끝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4 포트에, 다른 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4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로부터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전동팽창밸브(53)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배치된다.
상기 냉매회로(40) 중, 압축기(50)와 제 1 십자절환밸브(51)와 실외열교환기(54)가 설치된 부분은 옥외회로(41)를 구성하며 실외유닛(12)에 수납된다. 한편 냉매회로(40) 중, 실내열교환기(55)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와 전동팽창밸브(53)와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설치된 부분은 옥내회로(42)를 구성하며 실내유닛(11)에 수납된다. 옥내회로(42)의 제 2 십자절환밸브(52) 쪽 단부는, 옥외회로(41)의 실외열교환기(54) 쪽 단부에 액측 연락배관(44)을 개재하고 접속된다. 옥내회로(42)의 실내열교환기(55) 쪽 단부는, 옥외회로(41)의 제 1 십자절환밸브(51) 쪽 단부에 가스측 연락배관(43)을 개재하고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54), 실내열교환기(55), 및 각 흡착열교환기(56, 57)는 모두 전열관과 다수의 핀으로 구성된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이 중,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그 핀의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나 실리카겔 등이 이용된다. 한편 실외열교환기(54) 및 실내열교환기(55)는 각각의 핀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지 않으며,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만을 한다. 이와 같이 실내열교환기(55)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만을 하는 공기열교환기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에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3의 (B) 및 도 4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실행된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 실내팬(31) 및 배기팬(32)을 운전하면, 실내열교환기(55),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 각각에 실내공기가 유입된다. 또 실외팬(14)을 운전하면, 실외열교환기(54)로 실외공기가 유입된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전동팽창밸브(53)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되고, 실외열교환기(54)가 응축기로 되며 실내열교환기(55)가 증발기로 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55)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급기통로(23)를 통해 토출구(26)로부터 실내로 회송되는 한편, 실외열교환기(54)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54)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53)에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7)와 실내열교환기(55)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며, 압축기(5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1 동작 중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기댐퍼(36)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이탈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배기댐퍼(34)를 통해 배기통 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로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급기댐퍼(35)를 통해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54)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53)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실내열교환기(55)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며, 압축기(5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 중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기댐퍼(36)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급기댐퍼(33)를 통해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로부터 이탈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 께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배기댐퍼(36)를 통해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전동팽창밸브(53)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되고, 실내열교환기(55)가 응축기로 되며 실외열교환기(54)가 증발기로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55)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급기통로(23)를 통해 토출구(26)로부터 실내로 회송되며, 실외열교환기(54)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55)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53)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7)와 실외열교환기(54)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되며, 압축기(50)로 흡 입되어 압축된다.
제 1 동작 중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기댐퍼(36)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급기댐퍼(33)를 통해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배기댐퍼(36)를 통해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55)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전동팽창밸브(53)에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실외열교환기(54)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되며, 압축기(5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 중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기댐퍼(36)가 폐쇄 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로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배기댐퍼(34)를 통해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급기댐퍼(35)를 통해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회로(4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흡착열교환기(56, 57)를 설치하고, 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의 절대습도를 조절한다. 즉, 종래와 같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이로써, 종래와 같이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온도보다 낮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온도 이상으로 설정해도 공기의 제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를 제습할 때에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종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어, 냉동주기의 고저압 차를 축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기(50)의 소비전력 삭감이 가능해져, 냉동주기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유닛(11)을 벽걸이형으로 구성하고, 그 실내유닛 (11)에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배치한다. 따라서 어느 한쪽의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덕트(25)는, 그 길이가 실내의 벽면을 관통 가능한 정도의 것이면 되며, 이 배기덕트(25)로서 비교적 길이가 짧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배기를 행한다. 따라서 실내에의 급기를 자연급기에 의해 행하면, 이른바 제 3 종 환기가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 양쪽에 실내공기를 도입한다(도 1 참조). 그리고 제습냉방운전 중이라면, 양 흡착열교환기(56, 57) 중 증발기로 된 쪽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며, 응축기로 된 쪽을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또 가습난방운전 중이라면, 양 흡착열교환기(56, 57) 중 응축기로 된 쪽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며, 증발기로 된 쪽을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이에 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 중 한쪽에 실내공기를 도입하고 다른 쪽에 실외공기를 도입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경우, 제습냉방운전 중이라면, 양 흡착열교환기(56, 57) 중 증발기로 된 쪽을 통과한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며, 응축기로 된 쪽을 통과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또 가습난방운전 중이라면, 양 흡착열교환기(56, 57) 중 응축기로 된 쪽을 통과한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며, 증발기로 된 쪽을 통과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유닛(11)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는 본 변형예의 실내유닛(1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유닛(11)은, 가로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된 실내 케이싱(20)을 구비한다. 이 실내 케이싱(20)의 상면에서 전면에 걸친 부분은 연속된 곡면으로 구성되며, 거의 전부가 흡입구(27)이다.
실내 케이싱(20)의 내부는 전면 쪽과 배면 쪽으로 구획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전면 쪽 공간은, 그 내부에 실내열교환기(55)가 수납된다. 이 실내열교환기(55)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실내 케이싱(20)의 만곡된 전면을 따르도록 설치된다. 또 이 전면 쪽 공간은, 그 내부에 실내팬(31)이 수납되는 동시에 토출구(26)와 연통되며, 급기통로(23)를 구성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배면 쪽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된다. 이 배면 쪽 공간 중 하측 부분은, 실외로 개구하는 배기덕트(25)에 대해 배기팬(32)을 개재하고 접속된다. 이 배면 쪽 공간 중 상측 부분은 다시 좌우로 구획되며, 실내 케이싱(20)의 배면 쪽에서 보아 오른쪽 부분이 제 1 공간(21)을, 왼쪽 부분이 제 2 공간(22)을 각각 구성한다. 제 1 공간(21)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제 2 공간(22)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각각 수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는 각각 실내 케이싱(20)의 배면 쪽으로부터 전면 쪽으로 경사지는 자세로 설치된다.
실내 케이싱(20)에는 회전식의 절환댐퍼(37, 38)가 2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절환댐퍼(37, 38)는 좌우로 나열되어 설치된다. 제 1 절환댐퍼(37)는, 제 1 공간(21)이 급기통로(23)와 연통되어 배기통로(24)로부터 차단되는 제 1 상태(도 10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공간(21)이 배기통로(24)와 연통되어 급기통로(23)로부터 차단되는 제 2 상태(도 10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절환된다. 제 2 절환댐퍼(38)는, 제 2 공간(22)이 급기통로(23)와 연통되어 배기통로(24)로부터 차단되는 제 1 상태(도 10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2 공간(21)이 배기통로(24)와 연통되어 급기통로(23)로부터 차단되는 제 2 상태(도 10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절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냉방운전의 제 1 동작 중이나 가습난방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이 경우, 본 변형예의 실내유닛(11)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환댐퍼(37)가 제 1 상태로 설정되며, 제 2 절환댐퍼(38)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또 제습냉방운전의 제 2 동작 중이나 가습난방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이 경우, 본 변형예의 실내유닛(11)에서 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환댐퍼(37)가 제 2 상태로 설정되며, 제 2 절환댐퍼(38)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는 실내유닛(11)과 실외유닛(12)을 구비하는 분리형으로 구성되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는 모든 구성기기가 1개의 본체 케이싱(60)에 수납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는, 가옥 등의 지붕밑 공간에 설치되며, 덕트를 개재하고 실내공간이나 실외공간에 접속된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지붕밑 공간에 설치된 본체 케이싱(60) 내에 냉매회로(40) 전체가 수납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40)는, 그 전체가 옥내에 배치된다.
상기 냉매회로(40)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실외열교환기(54) 대신에 배기측 열교환기(58)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실내열교환기(55) 대신에 급기측 열교환기(59)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기측 열교환기(58)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급기측 열교환기(59)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배기측 열교환기(58) 및 급기측 열교환기(59)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실외열교환기(54) 및 실내열교환기(55)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지 않은 일반적인 크로스핀식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40)에도 2개의 흡착열교환기(56, 57)가 설치되며, 이들 흡착열교환기(56, 57)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우" "좌" "상" "하"는 모두 상기 공기조화장치(10)를 전면 쪽에서 본 경우의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편평한 직방체형상의 본체 케이싱(60)을 구비한다. 본체 케이싱(60)의 전면에는, 오른쪽 위치에 배기구(64)가, 왼쪽 위치에 급기구(63)가 각각 개구된다. 본체 케이싱(60)의 배면에는, 오른쪽 위치에 외기흡입구(62)가, 왼쪽 위치에 내기흡입구(61)가 각각 개구된다.
본체 케이싱(60)의 내부공간은, 전면 쪽과 배면 쪽의 2개로 구획된다. 본체 케이싱(60) 내의 전면 쪽 공간은, 다시 좌우 3개로 구획된다. 그 중 오른쪽 공간은 배기구(64)로 연통되어 내부에 배기팬(71)이 수납되며, 왼쪽 공간은 급기구(63)로 연통되어 내부에 급기팬(70)이 수납되고, 중앙 공간은 내부에 냉매회로(40)의 압축기(50)가 수납된다.
본체 케이싱(60) 내의 배면 쪽 공간도 좌우 3개로 구획된다. 그 중 오른쪽 공간은 상하로 구획되며, 상측 공간이 우상통로(65)를, 하측 공간이 우하통로(66)를 각각 구성한다. 우상통로(65) 및 우하통로(66)는 각각이 외기흡입구(62)로 연 통된다. 우상통로(65)에는 배기측 열교환기(58)가 설치된다. 한편 왼쪽 공간은 상하로 구획되며, 상측 공간이 좌상통로(67)를, 하측 공간이 좌하통로(68)를 각각 구성한다. 좌상통로(67) 및 좌하통로(68)는 각각이 내기흡입구(61)로 연통된다. 좌상통로(67)에는 급기쪽 열교환기(59)가 설치된다.
좌우로 구획된 본체 케이싱(60) 내의 배면 쪽 공간 중, 중앙 공간은 전후로 구획된다. 이 전후로 구획된 중앙 공간 중, 배면 쪽 공간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전면 쪽 공간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각각 수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는 수납된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거의 수평자세로 설치된다.
본체 케이싱(60) 내의 배면 쪽을 좌우로 구획하는 2장의 구획판에는 각각 개폐식 댐퍼(72~79)가 4개씩 배치된다.
우측 구획판에서, 그 상부에는 제 1 우상댐퍼(72)와 제 2 우상댐퍼(73)가 나열되어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제 1 우하댐퍼(74)와 제 2 우하댐퍼(75)가 나열되어 설치된다. 제 1 우상댐퍼(72)를 열면 우상통로(65)가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며, 제 2 우상댐퍼(73)를 열면 우상통로(65)가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상측 공간과 연통된다. 제 1 우하댐퍼(74)를 열면 우하통로(66)가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하측 공간과 연통되며, 제 2 우하댐퍼(75)를 열면 우하통로(66)가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하측 공간과 연통된다.
좌측 구획판에서, 그 상부에는 제 1 좌상댐퍼(76)와 제 2 좌상댐퍼(77)가 나열되어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제 1 좌하댐퍼(78)와 제 2 좌하댐퍼(79)가 나열되어 설치된다. 제 1 좌상댐퍼(76)를 열면 좌상통로(67)가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며, 제 2 좌상댐퍼(77)를 열면 좌상통로(67)가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상측 공간과 연통된다. 제 1 좌하댐퍼(78)를 열면 좌하통로(68)가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하측 공간과 연통되며, 제 2 좌하댐퍼(79)를 열면 좌하통로(68)가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하측 공간과 연통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 급기팬(70) 및 배기팬(71)을 운전하면, 내기흡입구(61)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며, 외기흡입구(62)로 실외공기가 유입된다. 내기흡입구(61)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그 일부가 좌하통로(68)로 도입되며, 나머지가 좌상통로(67)로 도입된다. 외기흡입구(62)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그 일부가 우하통로(66)로 도입되며, 나머지가 우상통로(65)로 도입된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에서의 냉매회로(40)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도 3 참조). 즉 냉매회로(40)에서는 배기측 열교환기(58)가 응축기로 되며 급기측 열교환기(59)가 증발기로 된다. 좌상통로(67)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급기측 열교환기(59)를 통과하는 사이에 냉각된 후에 급기팬(70)을 통과하여 급기구(63)로부터 실내로 회송된다. 우상통로(65)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배기측 열교환기(58)를 통과하는 사이에 냉매로부터 흡열한 후에 배기팬(71)을 통과하여 배기구(6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또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 점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1 동작 중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우상댐퍼(72) 및 제 2 우하댐퍼(75)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우하댐퍼(74) 및 제 2 우상댐퍼(73)가 폐쇄상태로 된다. 또 제 1 좌하댐퍼(78) 및 제 2 좌상댐퍼(77)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좌상댐퍼(76) 및 제 2 좌하댐퍼(79)가 폐쇄상태로 된다.
좌하통로(68)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 1 좌하댐퍼(78)를 통해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로부터 이탈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제 1 우상댐퍼(72)를 통해 우상통로(65)로 유입되어, 배기팬(71)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6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우하통로(66)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 2 우하댐퍼(75)를 통해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 환기(57)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제 2 좌상댐퍼(77)를 통해 좌상통로(67)로 유입되어, 급기팬(70)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63)로부터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 중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우하댐퍼(74) 및 제 2 우상댐퍼(73)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우상댐퍼(72) 및 제 2 우하댐퍼(75)가 폐쇄상태로 된다. 또 제 1 좌상댐퍼(76) 및 제 2 좌하댐퍼(79)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좌하댐퍼(78) 및 제 2 좌상댐퍼(77)가 폐쇄상태로 된다.
좌하통로(68)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 2 좌하댐퍼(79)를 통해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로부터 이탈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제 2 우상댐퍼(73)를 통해 우상통로(65)로 유입되어, 배기팬(71)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6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우하통로(66)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 1 우하댐퍼(74)를 통해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로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제 1 좌상댐퍼(76)를 통해 좌상통로(67)로 유입되어, 급기팬(70)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63)로부터 실내로 회송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에서의 냉매회로(40)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도 4 참조). 즉 냉매회로(40)에서는 급기측 열교환기(59)가 응축기로 되며 배기측 열교환기(58)가 증발기로 된다. 좌상통로(67)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급기측 열교환기(59)를 통과하는 사이에 가열된 후에 급기팬(70)을 통과하여 급기구(63)로부터 실내로 회송된다. 우상통로(65)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배기측 열교환기(58)를 통과하는 사이에 냉매에 방열한 후에 배기팬(71)을 통과하여 배기구(6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또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 점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1 동작 중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우하댐퍼(74) 및 제 2 우상댐퍼(73)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우상댐퍼(72) 및 제 2 우하댐퍼(75)가 폐쇄상태로 된다. 또 제 1 좌상댐퍼(76) 및 제 2 좌하댐퍼(79)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좌하댐퍼(78) 및 제 2 좌상댐퍼(77)가 폐쇄상태로 된다.
좌하통로(68)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 2 좌하댐퍼(79)를 통해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내공기는, 제 2 우상댐퍼(73)를 통해 우상통로(65) 로 유입되어, 배기팬(71)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6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우하통로(66)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 1 우하댐퍼(74)를 통해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제 1 좌상댐퍼(76)를 통해 좌상통로(67)로 유입되어, 급기팬(70)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63)로부터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 중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우상댐퍼(72) 및 제 2 우하댐퍼(75)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우하댐퍼(74) 및 제 2 우상댐퍼(73)가 폐쇄상태로 된다. 또 제 1 좌하댐퍼(78) 및 제 2 좌상댐퍼(77)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좌상댐퍼(76) 및 제 2 좌하댐퍼(79)가 폐쇄상태로 된다.
좌하통로(68)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 1 좌하댐퍼(78)를 통해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내공기는, 제 1 우상댐퍼(72)를 통해 우상통로(65)로 유입되어, 배기팬(71)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6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우하통로(66)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 2 우하댐퍼(75)를 통해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밑으로부터 위를 향해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 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제 2 좌상댐퍼(77)를 통해 좌상통로(67)로 유입되어, 급기팬(70)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63)로부터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열교환기(56, 57)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한다. 이 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종래보다 높게 설정하여 압축기(50)의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어, 냉동주기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회로(40) 전체를 1개의 본체 케이싱(60)에 수납하고, 그 본체 케이싱(60)을 옥내에 설치한다. 이로써 공기조화장치(10)의 설치 시에 현지에서 냉매배관을 접속하는 공사가 필요 없게 되어, 그 설치작업의 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실내에의 급기와 실내로부터의 배기 양쪽을 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이른바 제 1 종 환기가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배치를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 른 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실외유닛(12)에 수납된다. 즉 실외유닛(12)의 실외 케이싱(13)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외열교환기(54)나 실외팬(14) 등이 수납되는 동시에, 추가로 2개의 흡착열교환기(56, 57)가 수납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실내유닛(11)에서는, 실내 케이싱(20) 내에 실내열교환기(55)와 실내팬(31)이 수납된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열교환기(54)는 실외 케이싱(13)의 배면(도 20 및 도 21에서 오른쪽 면)을 따라 배치된다. 실외 케이싱(13) 내에서 실외열교환기(54)의 전면 쪽에는 실외팬(14)이 배치된다. 또 2개의 흡착열교환기(56, 57)는 실외 케이싱(13)의 상면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배기팬(32) 대신에 급기팬(39)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배기덕트(25) 대신에 급기덕트(28)가 각각 배치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팬(39)은 실외 케이싱(13)에 수납된다. 급기덕트(28)는, 한끝이 급기팬(39)의 토출 쪽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실내유닛(11)에 접속된다. 실외유닛(12)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통과한 공기가 급기팬(39)에 흡입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통과한 공기가 실외팬(14)에 흡입되는 상태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통과한 공기가 급기팬(39)에 흡입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통과한 공기가 실외팬(14)에 흡입되는 상태가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공기조화장치(10)의 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55)를 실내공기가 통과하며, 실외열교환기(54),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 각각을 실외공기가 통과한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에서의 냉매회로(40)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도 3 참조). 즉 냉매회로(40)에서는 실외열교환기(54)가 응축기로 되며 실내열교환기(55)가 증발기로 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55)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되며, 실외열교환기(54)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또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 점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1 동작 중에, 제 1 흡착열교환기(56)로부터 이탈된 수분은, 실외공기와 함께 실외팬(14)으로 흡인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제습된 실외공기는, 급기팬(39)을 통과한 후에 급기덕트(28)를 통해 실내에 공급된다.
제 2 동작 중에, 제 2 흡착열교환기(57)로부터 이탈된 수분은, 실외공기와 함께 실외팬(14)으로 흡인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제습된 실외공기는, 급기팬(39)을 통과한 후에 급기덕트를 통해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에서의 냉매회로(40)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도 4 참조). 즉 냉매회로(40)에서는 급기측 열교환기(59)가 응축기로 되며 배기측 열교환기(58)가 증발기로 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55)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되며, 실외열교환기(54)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또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 점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1 동작 중에,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가습된 실외공기는, 급기팬(39)을 통과한 후에 급기덕트(28)를 통해 실내에 공급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외공기는, 실외팬(14)으로 흡인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 중에,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가습된 실외공기는, 급기팬(39)을 통과한 후에 급기덕트(28)를 통해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외공기는, 실외공기와 함께 실외팬(14)으로 흡인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열교환기(56, 57)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한다. 이 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종래보다 높게 설정하여 압축기(50)의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어, 냉동주기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외열교환기(54)와 2개의 흡착열교환기(56, 57)를 실외유닛(12)에 배치하며, 실내유닛(11)에는 실내열교환기(55)만을 배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내유닛(11)의 크기를, 흡착열교환기(56, 57)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공조기의 크기와 같은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실내에의 급기를 행한다. 따라서 실외로의 배기를 자연배기에 의해 행하면, 이른바 제 2 종 환기가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1 변형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한쪽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로부터 실외로의 배기에 더불어 실외로부터 도입한 실외공기를 한쪽 흡착열교환기(56, 57)로 도입하고, 그 흡착열교환기 (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제습냉방운전 중이라면,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양쪽을 공급하고, 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가습난방운전 중이라면,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양쪽을 공급하고, 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실내로부터의 배기량보다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습냉방운전 중이라면,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그 흡착열교환기(56, 57)의 재생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또 가습난방운전 중이라면,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그 흡착열교환기(56, 57)에 흡착되는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통로에서 흡착열교환기(56, 57)의 하류 쪽에 배기팬(32)을, 흡착열교환기(56, 57)의 상류 쪽에 댐퍼(80)를 각각 배치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구조에서 댐퍼(80)를 열면, 이 댐퍼(80)를 통해 실내공기가 공기통로로 유입되어, 실외공기와 함께 흡착열교환기(56, 57)로 유입된다.
-제 2 변형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한쪽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로부터 도입한 공기의 일부를 한쪽 흡착열교환기(56, 57)로 도입하고 나머지를 그대로 실내에 공급함과 동시에, 그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제습냉방운전 중이라면, 도입한 실외공기의 일부를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 공급하고, 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가습난방운전 중이라면, 도입한 실외공기의 일부를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 공급하고, 이 흡착열교환기(56, 57)를 통과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실내에의 급기량에 상관없이 설정할 수 있다. 즉, 실내에의 급기량의 제약을 받는 일없이,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습냉방운전 중이라면,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그 흡착열교환기(56, 57)의 재생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또 가습난방운전 중이라면,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의 통과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그 흡착열교환기(56, 57)로 흡착되는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통로에서 흡착열교환기(56, 57)의 상류 쪽에 배기팬(32)을, 흡착열교환기(56, 57)와 배기팬(32) 사이에 댐퍼(80)를 각각 배치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구조에서 댐퍼(80)를 열면, 이 댐퍼(80)를 통해 실외공기의 일부가 실내에 그대로 공급되며, 나머지 실외공기가 흡착열교환기(56, 57)로 유입된다.
-제 3 변형예-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냉매회로(40) 전체가 수납된 본체 케이싱(60)을 옥내에 설치하지만, 이 대신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60)을 옥외에 설치해도 된다. 즉 이 제 3 변형예의 냉매회로(40)는 그 전체가 옥외에 배치된다. 옥외에 설치된 본체 케이싱(60)은 덕트에 의해 실내공간에 접속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주기를 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12)

  1. 열원측 열교환기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된 냉매회로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냉매회로는, 그 전체가 옥내 또는 옥외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회로에는, 표면에 흡착제가 배치된 제1 및 제2 흡착 열교환기와, 옥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공기열교환기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접속되며,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제1 흡착열교환기에 흡착시켜 상기 제2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운전과, 공기중의 수분을 상기 제2 흡착열교환기에 흡착시켜 상기 제1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운전을 교대로 반복하는 한편,
    상기 냉매회로의 전체를 수납하는 케이싱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은, 옥내에 연통(連通)하는 내기(內氣)흡입구 및 급기구와, 옥외에 연통하는 외기흡입구 및 배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2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그 일방이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 후에 배기구로부터 옥외에 배출되고, 타방이 상기 공기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 후에 급기구로부터 옥내에 공급되는 공기조화장치.
  2. 열원측 열교환기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된 냉매회로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냉매회로는, 이용측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옥내에 배치되는 옥내회로와, 열원측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옥외에 배치되는 옥외회로와, 상기 옥내회로와 옥외회로를 접속하는 연락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회로에는, 표면에 흡착제가 배치된 제1 및 제2 흡착열교환기와, 옥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공기열교환기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접속되며,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제1 흡착열교환기에 흡착시켜 상기 제2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운전과, 공기중의 수분을 상기 제2 흡착열교환기에 흡착시키는 상기 제1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이탈시키는 운전을 교대로 반복하는 한편,
    상기 옥내회로를 수납하는 케이싱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상기 공기열교환기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옥내에 연통하는 급기통로와, 제1 흡착열교환기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과, 제2 흡착열교환기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제2 공간과, 옥외에 연통하는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이 배기통로에 연통하여 상기 제2 공간이 급기통로에 연통하는 상태와, 상기 제1 공간이 급기통로에 연통하여 상기 제2 공간이 배기통로에 연통하는 상태를 바꾸는 댐퍼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조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여 옥내의 환기를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옥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외로 배출시켜 옥내의 환기를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옥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옥외로 배출시켜 옥내의 환기를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옥외로 배출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67006640A 2003-10-09 2004-10-08 공기조화장치 KR100790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1271A JP3649236B2 (ja) 2003-10-09 2003-10-09 空気調和装置
JPJP-P-2003-00351271 2003-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648A KR20060085648A (ko) 2006-07-27
KR100790258B1 true KR100790258B1 (ko) 2008-01-02

Family

ID=3443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640A KR100790258B1 (ko) 2003-10-09 2004-10-08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30736B2 (ko)
EP (1) EP1681518A4 (ko)
JP (1) JP3649236B2 (ko)
KR (1) KR100790258B1 (ko)
CN (1) CN100432554C (ko)
AU (1) AU2004280427B2 (ko)
WO (1) WO2005036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8785B2 (ja) * 2003-10-09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668763B2 (ja) * 2003-10-09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668786B2 (ja) * 2003-12-04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720811B1 (ko) * 2004-03-31 2007-05-2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시스템
JP3864982B2 (ja) 2005-05-30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4767047B2 (ja) * 2006-03-13 2011-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311734B2 (ja) * 2006-11-01 2013-10-0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8820028B2 (en) * 2007-03-30 2014-09-02 Certainteed Corporation Attic and wall insulation with desiccant
JP4311488B2 (ja) * 2007-06-12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360434B2 (ja) * 2007-10-05 2009-11-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907658B1 (ko) * 2007-10-05 2009-07-14 (주)대주기계 에너지 절감형 에어 클리닝 시스템
JP4466774B2 (ja) * 2008-09-10 2010-05-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KR20110055840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와 그 실외기
CN102259570B (zh) * 2010-05-26 2015-11-25 塞莫金公司 湿度控制和空调系统
CN103237589B (zh) * 2010-12-02 2015-11-25 三菱电机株式会社 除湿装置
JP5104971B2 (ja) * 2011-03-31 2012-1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換気装置
US9115498B2 (en) 2012-03-30 2015-08-25 Certainteed Corporation Roofing composite including dessicant and method of thermal energy management of a roof by reversible sorption and desorption of moisture
JP5673612B2 (ja) * 2012-06-27 2015-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3032911A (ja) * 2012-11-21 2013-02-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EP2985538B1 (en) * 2013-04-10 2020-06-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ehumidification device
KR101700242B1 (ko) * 2015-06-30 2017-02-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히트펌프 사이클을 이용하는 다모듈타입 일체형 냉난방습도제어장치
WO2019016981A1 (ja) * 2017-07-20 2019-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200092221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옴니벤트 공조 시스템
US11892192B1 (en) 2019-08-22 2024-02-06 Transaera, Inc.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multiple energy storage sub-systems
US11874018B1 (en) 2020-11-04 2024-01-16 Transaera, Inc. Cooling and dehumidifcation system
JPWO2023058197A1 (ko) * 2021-10-07 2023-04-13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667A (ja) * 1995-01-06 1996-07-23 Hitachi Ltd 除加湿装置
JP2001201106A (ja) * 2000-01-18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3161465A (ja) * 2001-11-26 2003-06-0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8523A (en) * 1950-04-28 1955-01-04 Carthage Hydrocol Inc Manufacture of krypton and xenon
JPH07755A (ja) 1993-06-17 1995-01-06 Sanden Corp 除湿空調機
JPH07265649A (ja)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3505786B2 (ja) 1994-06-17 2004-03-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151421A (ja) * 1997-08-05 1999-02-26 Daikin Ind Ltd 外気処理装置
JP2001193965A (ja) 1999-10-18 2001-07-17 Earth Clean Tohoku:Kk 省エネ空調方法とその装置
JP2001263764A (ja) * 2000-03-24 2001-09-26 Daikin Ind Ltd 調湿システム
JP2002039575A (ja) * 2000-07-25 2002-02-06 Daikin Ind Ltd 無給水加湿装置
JP2003035434A (ja) 2001-07-24 2003-02-07 Ohbayashi Corp デシカント空調装置
ATE514908T1 (de) 2001-09-28 2011-07-15 Daikin Ind Ltd Klimaanlage
JP4007307B2 (ja) * 2003-10-22 2007-11-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施工方法
JP3668786B2 (ja) * 2003-12-04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667A (ja) * 1995-01-06 1996-07-23 Hitachi Ltd 除加湿装置
JP2001201106A (ja) * 2000-01-18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3161465A (ja) * 2001-11-26 2003-06-0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5115A1 (en) 2007-06-07
EP1681518A4 (en) 2009-06-17
WO2005036062A1 (ja) 2005-04-21
JP3649236B2 (ja) 2005-05-18
AU2004280427B2 (en) 2008-02-07
JP2005114294A (ja) 2005-04-28
KR20060085648A (ko) 2006-07-27
EP1681518A1 (en) 2006-07-19
CN1864034A (zh) 2006-11-15
CN100432554C (zh) 2008-11-12
AU2004280427A1 (en) 2005-04-21
US7730736B2 (en) 201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258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742074B1 (ko) 조습장치
KR100711625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709594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708289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904592B1 (ko) 조습장치
KR20080011233A (ko) 조습 장치
JP4590901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4060954A (ja) 調湿装置
JP3807409B2 (ja) 調湿装置
JP2006078108A (ja) 調湿装置
KR20050109524A (ko) 조습장치
JP4179052B2 (ja) 調湿装置
JP2006078171A (ja) 調湿装置
JP2005283075A (ja) 調湿装置
JP4483376B2 (ja) 調湿装置
JP2022189334A (ja) 空調システム
JP2005291596A (ja) 調湿装置
JP2005283047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