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594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594B1
KR100709594B1 KR1020067006554A KR20067006554A KR100709594B1 KR 100709594 B1 KR100709594 B1 KR 100709594B1 KR 1020067006554 A KR1020067006554 A KR 1020067006554A KR 20067006554 A KR20067006554 A KR 20067006554A KR 100709594 B1 KR100709594 B1 KR 10070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ir
adsorption heat
adsorption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635A (ko
Inventor
노부키 마츠이
슈지 이케가미
도모히로 야부
사토시 이시다
쥰이치 데라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6Rotary wheel combined with another type of cooling principle, e.g. 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56Rotary wheel comprising a r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68Rotary wheel comprising on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1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bridge circuits of on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 외에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가 배치된다. 흡착열교환기(31, 32) 표면에는, 흡착제가 담지된다.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공기에 부여된다. 그리고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한편, 실내열교환기(22)에서는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되거나 또는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를 처리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국제공개 제03/029728호 책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냉방과 제습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공기조화장치는, 열원측인 실외열교환기와 이용측인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된 냉매회로를 구비하며, 냉매회로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열교환기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실내공기의 이슬점(dew point) 온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실내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실내의 제습을 실행한다.
한편, 일본특개평 7-26564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흡착제가 구성된 열교환기를 구비한 제습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제습장치는, 흡착제가 구성된 열교환기를 2대 구비하며, 이들 중, 한쪽에서 공기를 제습시켜 다른 쪽을 재생시키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때 수분을 흡착하는 쪽의 열교환기에는 냉각탑에서 냉각된 물이 공급되고, 재생될 열교환기에는 온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장치는 전술한 동작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한다.
해결과제
전술한 바와 같이, 국제공개 제03/029728호 책자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열교환기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실내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즉 실내열교환기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실내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아도 현열부하의 처리는 가능하나, 잠열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실내열교환기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때문에 냉동주기의 고저압 차가 커지고 압축기로의 입력이 많아져 낮은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 성적계수)밖에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특개평 7-265649호 공보에 기재된 제습장치에서는, 냉각탑에서 냉각된 냉각수, 즉 실내온도에 비해 그다지 온도가 낮지 않은 냉각수를 열교환기에 공급한다. 따라서 이 제습장치에서는, 실내 잠열부하는 처리할 수 있으나 현열부하는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양쪽의 처리가 가능하며, 더욱이 높은 COP를 얻을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이 강구한 해결수단은 이하에 나타낸 것이다.
제 1 해결수단은, 열원측 열교환기(21)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배치된 냉매회로(1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회로(10)는, 표면에 흡착제가 구성된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구비하며,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 흡착시키는 흡착동작과 상기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재생동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것이다.
제 2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 추가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공기열교환기(22)를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구비하며, 이 공기열교환기(22)가 증발기가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 또는 이 공기열교환기(22)가 응축기가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 3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과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 4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를 구비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과,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고,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 5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를 구비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고,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 흡착열교환기(31, 3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며, 증발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제습된 공기, 또는 휴지상태 중의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 6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를 구비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고, 흡착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며, 휴지상태 중의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제습된 공기, 또는 응축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 7 해결수단은 상기 제 3, 제 4, 제 5 또는 제 6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공기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공기와 상기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제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제습냉방운전과, 상기 공기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공기와 상기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난방운전이 절환 가능한 것이다.
제 8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만을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번갈아 증발기로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 또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번갈아 응축기로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증발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 또는 응축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 9 해결수단은 상기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과,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고,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는 것이다.
제 10 해결수단은 상기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고, 재생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것이다.
제 11 해결수단은 상기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고,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는 것이다.
제 12 해결수단은 상기 제 9, 제 10, 또는 제 11 해결수단에 있어서, 증발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제습냉방운전과, 응축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난방운전이 절환 가능한 것이다.
제 13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열원측 열교환기(21)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14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공기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15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21)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16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공기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17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열원측 열교환기(21)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18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공기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증발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19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8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21)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20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공기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21 해결수단은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를 구비하며, 냉매회로(10)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개방도 가변인 팽창밸브(41)와 공기열교환기(22)를 직렬로 배치한 제 1 회로(1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개방도 가변인 팽창밸브(4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직렬로 배치한 제 2 회로(12)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것이다.
제 22 해결수단은 상기 제 3, 제 4, 또는 제 5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공기열교환기(22) 중 증발기로 된 쪽에서의 냉매증발온도와,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제 23 해결수단은 상기 제 3, 제 4, 또는 제 6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공기열교환기(22) 중 응축기로 된 쪽에서의 냉매응축온도와,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제 24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제 1 공기와 제 2 공기가 열교환을 이루는 열교환소자(90)를 구비하며, 제 1 공기와 제 2 공기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하기 전의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인 것이다.
제 25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하는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의 유통로에는, 공기의 잠열처리를 행하는 잠열처리소자(95)가 구성된 것이다.
작용
상기 제 1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10)에 열원측 열교환기(21)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1대 또는 복수 대의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된다. 이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절대습도가 흡착제와의 접촉에 의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흡착열교환기(30, 31, 32)의 흡착제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흡착동작을 실행하면 공기가 제습된다. 한편 흡착열교환기(30, 31, 32)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재생동작을 실행하면 그 탈리된 수분에 의해 공기가 가습된다. 공기조화장치는, 냉매회로(1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고,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상기 제 2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와 공기열교환기(22) 양쪽이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냉매회로(10)에 배치된다.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온도가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조절된다. 즉 공기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실행하면 공기가 냉각되고, 공기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을 실행하면 공기가 가열된다. 이 해결수단의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열교환기(22)에서 냉각되거나 또는 가열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현열부하를 처리한다.
상기 제 3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과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번갈아 반복된다.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한편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통과하는 공기에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이 해결수단의 공기조화장치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상기 제 4 해결수단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된다. 이 해결수단의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의 한쪽이 증발기로 되고 다른 쪽이 응축기로 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쪽이 응축기로 되고 상기 한쪽이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한다.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한편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통과하는 공기에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그리고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제습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되며,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가습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5 해결수단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된다. 이 해결수단의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의 한쪽이 증발기로 되고 다른 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쪽이 증발기로 되고 상기 한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한다.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한편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그리고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제습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또 휴지상태 중인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가습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6 해결수단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된다. 이 해결수단의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의 한쪽이 응축기로 되고 다른 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쪽이 응축기로 되고 상기 한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한다.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가 흡착한다. 한편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통과하는 공기에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그리고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가습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또 휴지상태 중인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제습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7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의 절환이 가능하다.
상기 제 8 해결수단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만이 냉매회로(10)에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되는 것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뿐이다. 흡착열교환기(31, 32)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실행하면, 그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의 제습과 냉각이 이루어진다. 한편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을 실행하면,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이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하는 공기에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의 가습과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 해결수단의 공기조화장치는,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제습과 냉각이 실시된 공기, 또는 가습과 가열이 실시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이로써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양쪽을 처리한다.
상기 제 9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의 한쪽이 증발기로 되고 다른 쪽이 응축기로 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쪽이 응축기로 되고 상기 한쪽이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한다. 그리고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제습과 냉각이 실시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되고,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가습과 가열이 실시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10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의 한쪽이 증발기로 되고 다른 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쪽이 증발기로 되고 상기 한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한다.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가열된다. 한편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 휴지상태 중인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그리고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제습과 냉각이 실시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11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의 한쪽이 응축기로 되고 다른 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쪽이 응축기로 되고 상기 한쪽이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한다.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 휴지상태 중인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가 흡착한다. 한편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통과하는 공기에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그리고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가습과 가열이 실시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12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의 절환이 가능하다.
상기 제 13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열원측 열교환기(21)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열원측 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고, 나머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응축된다.
상기 제 14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응축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공기열교환기(22)에서 응축되고, 나머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응축된다.
상기 제 15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응축되고, 나머지가 열원측 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다.
상기 제 16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응축되고, 나머지가 공기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다.
상기 제 17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열원측 열교환기(21)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열원측 열교환기(21)에서 증발되고, 나머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증발된다.
상기 제 18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공기열교환기(22)에서 증발되고, 나머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증발된다.
상기 제 19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증발되고, 나머지가 열원측 열교환기(21)에서 증발된다.
상기 제 20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다. 이 동작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공기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는 그 일부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증발되고, 나머지가 공기열교환기(22)에서 증발된다.
상기 제 21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회로(11)와 제 2 회로(12)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제 1 회로(11)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개방도 가변인 팽창밸브(41)와 공기열교환기(22)가 차례로 배치된다. 제 2 회로(12)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개방도 가변인 팽창밸브(4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차례로 배치된다. 제 1 회로(11)의 팽창밸브(41) 및 제 2 회로(12)의 팽창밸브(42)에 대한 개방도 조절을 행하면, 제 1 회로(11)에서의 냉매유량과, 제 2 회로(12)에서의 냉매유량이 조절된다. 즉, 주로 현열부하의 처리를 행하는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유량과, 주로 잠열부하의 처리를 행하는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유량이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제 22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 또는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 해결수단의 냉매회로(10)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도입되는 저압냉매의 압력을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3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매회로(10)는, 열원측 열교환기(21) 또는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 해결수단의 냉매회로(10)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도입되는 고압냉매의 압력을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4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동작에서는 흡착용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하고, 재생동작에서는 재생용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다. 이때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는, 열교환소자(90)를 통과한 후에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보내진다. 즉 열교환소자(90)에서 냉각된 흡착용공기, 또는 열교환소자(90)에서 가열된 재생용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보내진다. 이로써 본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5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동작에서는 흡착용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하고, 재생동작에서는 재생용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다. 이때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만이 아닌 잠열처리소자(95)도 통과한다. 이 흡착용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와 잠열처리소자(95)를 통과할 경우, 이 흡착용공기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와 잠열처리소자(95) 양쪽에서 제습된다. 재생용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와 잠열처리소자(95)를 통과할 경우, 이 재생용 공기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와 잠열처리소자(95) 양쪽에서 가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배치하고, 이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의 절대습도를 조절한다. 즉, 종래와 같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것이 아닌,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에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 온도 이상으로 설정해도 공기의 제습이 가능해진다.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를 제습할 경우도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종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어, 냉동주기의 고저압차를 축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냉매의 압축에 필요한 동력의 삭감이 가능해져, 냉동주기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하는 공기에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그리고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할 때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면, 실내의 가습이 가능해진다. 즉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의 제습만이 가능하고 가습을 실행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가습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해결수단에서는, 냉매회로(10)에 공기열교환기(22)가 배치되어, 이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함으로써 공기의 온도가 조절된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는 주로 공기의 절대습도를 조절하고, 공기열교환기(22)에서는 주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면 되게 된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절대습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실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 처리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및 제 4 해결수단에서는,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증발기로 된다. 이로써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 흡착될 때의 흡착열을 냉매로 획득할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흡착할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이 해결수단에서는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응축기로 된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30, 31, 32)의 흡착제를 냉매로 충분히 가열할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부터 탈리되는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해결수단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를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하고, 이들의 한쪽에 대한 흡착동작과 다른 쪽에 대한 재생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 또는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 5 해결수단에서는,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가 증발기로 되며,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에 대한 냉매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 상기 제 6 해결수단에서는,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에 대한 냉매의 공급이 정지되며,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응축기로 된다. 따라서 이들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열교환기에 대한 냉매의 도입을 단속(斷續)시키는 것만으로 흡착동작과 재생동작의 절환이 가능해져 냉매회로(10)가 복잡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8 해결수단에서는,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만을 냉매회로(10)에 배치하고, 이들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양쪽을 처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되는 열교환기의 종류를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어, 냉매회로(10)가 복잡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9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가 증발기로 된다. 이로써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열교환기(31, 32)에 흡착될 때의 흡착열을 냉매로 획득할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31, 32)가 흡착할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이 해결수단에서는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응축기로 된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31, 32)의 흡착제를 냉매로 충분히 가열할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31, 32)로부터 탈리되는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9 해결수단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를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하고, 이들의 한쪽에 대한 흡착동작과 다른 쪽에 대한 재생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 또는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습도조절과 온도조절이 실시된 공기를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 10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가 증발기로 되며,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에 대한 냉매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 상기 제 11 해결수단에서는,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에 대한 냉매의 공급이 정지되며,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응축기로 된다. 따라서 이들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열교환기에 대한 냉매의 도입을 단속시키는 것만으로 흡착동작과 재생동작의 절환이 가능해져 냉매회로(10)가 복잡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3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열원측 열교환기(21)를 통과한 후에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또 상기 제 14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한 후에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들 해결수단에 의하면,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에서 일부가 응축된 기액2상 상태의 냉매를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착열교환기(30, 31, 32) 전체의 온도를 대략 냉매의 응축온도로 할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30, 31, 32)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를 평균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 15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또 상기 제 16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응축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공기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들 해결수단에 의하면, 압축된 냉매가 처음에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즉 압축된 직후이며 가장 고온인 냉매를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열교환기(30, 31, 32)의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의 온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어 흡착제의 재생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7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열원측 열교환기(21)를 통과한 후에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또 상기 제 18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한 후에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다. 이들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를 통과할 때의 압력손실에 의해 압력이 약간 저하된 냉매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도입된다. 이로써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 흡열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 흡착되는 수분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9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또 상기 제 20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가 모두 증발기로 되는 동작 중에서, 냉매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를 통과한 후에 공기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이들 해결수단에서, 기액2상 상태로 흡착열교환기(30, 31, 32)로 유입된 냉매는, 기액2상 상태인 채로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 유출되고, 그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로 보내진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30, 31, 32) 전체의 온도가 대체로 냉매증발온도와 동등해져, 흡착열교환기(30, 31, 32)의 표면에 구성된 흡착제를 평균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1 해결수단에 의하면, 서로 병렬접속된 제 1 회로(11)와 제 2 회로(12)에서의 냉매유량을, 각각 개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유량을 실내의 현열부하에 대응한 값으로 적절하게 조절함과 더불어,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유량을 실내의 잠열부하에 대응한 값으로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에 대응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상태를 적절히 제어하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 22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하다. 이로써 주로 현열부하의 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 흡열량과, 주로 잠열부하의 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 흡열량을, 개별로 설정하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공기조화장치의 현열부하 처리능력과 잠열부하 처리능력을 각각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3 해결수단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하다. 이로써 주로 현열부하의 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열원측 열교환기(21)나 공기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 방열량과, 주로 잠열부하의 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냉매 방열량을, 개별로 설정하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공기조화장치의 현열부하 처리능력과 잠열부하 처리능력을 각각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4 해결수단에서는, 제 1 공기와 제 2 공기가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소자(90)를 배치하여, 열교환소자(90)에서 냉각된 흡착용 공기 또는 가열된 재생용 공기를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 공급한다. 따라서 본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열교환기(30, 31, 32)에서의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제습능력 또는 가습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5 해결수단에서는, 공기의 잠열처리를 실행하는 잠열처리소자(95)가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의 유통로에 배치되어,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0, 31, 32)와 잠열처리소자(95) 양쪽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에 대한 잠열처리를 잠열처리소자(95)와 흡착열교환기(30, 31, 32) 양쪽에서 실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제습능력 또는 가습능력을 높이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 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9는, 제 5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1은, 제 6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2는, 제 6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3은, 제 7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4는, 제 7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5는, 제 8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6은, 제 8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7은, 제 8 실시형태 변형예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8은, 제 8 실시형태 변형예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9는, 제 9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0은, 제 9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1은, 제 10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2는, 제 10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3은, 제 11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4는, 제 11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5는, 제 12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6은, 제 12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7은, 제 13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8은, 제 13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9는, 제 13 실시형태 변형예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0은, 제 13 실시형태 변형예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1은, 제 14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2는, 제 14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3은, 제 15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4는, 제 15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5는, 제 15 실시형태 변형예1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6은, 제 15 실시형태 변형예2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7은, 제 15 실시형태 변형예2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8은, 제 16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9는, 제 16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0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1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2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3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4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5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6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7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 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8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서 냉매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49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에서 냉매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50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서 냉매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1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7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2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7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3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8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4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8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5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9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6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9 변형예에서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양쪽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 공기조화장치는, 냉매회로(10)를 구비하며, 이 냉매회로(1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증기압축 냉동주기를 실행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십자절환밸브(50)와 전동팽창밸브(40)가 하나씩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가 1대씩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로부터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전동팽창밸브(40)와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전자(電磁)밸브(60)와 모세관(43)이 배치된다. 전자밸브(60)는,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 사이에 배치된다. 모세관(43)은 그 한끝이 전자밸브(60)와 흡착열교환기(30) 사이에, 다른 한끝이 전자밸브(60)와 실내열교환기(22)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는, 모두 전열관과 다수의 핀으로 구성된 크로스 핀 형식의 핀튜브 열교환기이다. 이 중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그 핀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나 실리카겔 등이 이용된다. 한편 실외열교환기(21) 및 실내열교환기(22)는, 각각 핀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지 않고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만을 행한다. 이와 같이 실내열교환기(22)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만을 행하는 공기열교환기를 구성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가 증발기로 되는 흡착동작과, 흡착열교환기(30)가 응축기로 되는 재생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 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한편, 흡착열교환기(30)에서 제습된 공기가 간헐적으로 실내에 공급된다.
흡착동작 중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밸브(60)가 개방되고,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후에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흡착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재생동작 중은,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밸브(60)가 폐쇄되고, 전동팽창밸브(40)가 전개방으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모세관(43)에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재생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재생되고,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흡착열교환기(30)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가 증발기로 되는 흡착동작과, 흡착열교환기(30)가 응축기로 되는 재생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한편, 흡착열교환기(30)에서 가습된 공기가 간헐적으로 실내에 공급된다.
흡착동작 중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밸브(60)가 폐쇄되고, 전동팽창밸브(40)가 전개방으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에 모세관(43)에서 감압된 뒤,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흡착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재생동작 중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밸브(60)가 개방되고, 전동팽창밸브(40)가 개방도가 적절히 조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재생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재생되고,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흡착열교환기(30)로부터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흡착열교환기(30)를 배치하고, 이 흡착열교환기(30)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의 절대습도를 조절한다. 즉, 종래와 같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것이 아닌,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에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이로써 종래와 같이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증발온도를 공기의 이슬점 온도 이상으로 설정해도 공기의 제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를 제습할 때에 냉동주기의 냉매증발온도를 종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어, 냉동주기의 고저압차를 축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기(20)의 소비전력 삭감이 가능해져, 냉동주기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0)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흡착열교환기(30)를 통과하는 공기에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그리고 흡착열교환기(30)를 통과할 때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가습이 가능해진다. 즉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의 제습만이 가능하여 가습을 실행할 수 없었으나,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가습도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가 하나씩 배치되고,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가 1대씩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그 제 3 포트가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에, 그 제 4 포트가 흡착열교환기(30)를 개재하고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로부터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의 (A) 및 도 4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3의 (B) 및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3의 (B) 및 도 4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가 증발기로 되는 흡착동작과, 흡착열교환기(30)가 응축기로 되는 재생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한편, 흡착열교환기(30)에서 제습된 공기가 간헐적으로 실내에 공급된다.
흡착동작 중은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후에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흡착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재생동작 중은,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흡착열교환기 (30)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재생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재생되고,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흡착열교환기(30)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가 증발기로 되는 흡착동작과, 흡착열교환기(30)가 응축기로 되는 재생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한편, 흡착열교환기(30)에서 가습된 공기가 간헐적으로 실내에 공급된다.
흡착동작 중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각각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에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 와 흡착열교환기(30)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흡착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재생동작 중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각각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가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재생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재생되고,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흡착열교환기(30)로부터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 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습냉방운전의 제 2 동작과 가습난방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처음에 흡착열교환기(30)로 도입된다. 이로써 가장 고온의 냉매를 흡착열교환기로 도입하여 흡착제의 가열에 이용할 수 있어, 흡착제의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켜 흡착제의 재생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십자절환밸브(50)가 하나씩 배치되고, 전자밸브(61, 6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가 1대씩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흡착열교환기(30)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로부터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전동팽창밸브(40)와 제 1 전자밸브(61)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흡착열교환기(30)는, 그 한끝이 실내열교환기(22) 와 십자절환밸브(50) 사이에, 그 다른 끝이 제 2 전자밸브(62)를 개재하고 전동팽창밸브(40)와 제 1 전자밸브(61)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5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6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가 증발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되고 흡착열교환기(30)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된다. 또 제습냉방운전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에는 흡착열교환기(30)에만 실내공기가 공급되고, 제 2 동작 중에는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 양쪽에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흡착열교환기(30)를 통과한 공기와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후에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흡착열교환기(30)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22)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후에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흡착열교환기(30)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재생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절대습도가 비교적 낮은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열교환기(30)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흡착열교환기(30)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된다. 또 가습난방운전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에는 흡착열교환기(30)에만 실내공기가 공급되고, 제 2 동작 중에는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 양쪽에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흡착열교환기(30)를 통과한 공기와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흡착열교환기(30)에서 응축된 후에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22)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 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흡착열교환기(30)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에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흡착열교환기(30)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흡착열교환기(30)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진 효과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가 하나씩 배치되며,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1대의 실외열교환기(21)와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되는 것은,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뿐이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그 제 3 포트가 실외열교환기(21)를 개재하고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에, 그 제 4 포트가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전동팽창밸브(40)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7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8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 태(도 7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7의 (B) 및 도 8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어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또 이 제 1 동작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흡착제가 포화상태로 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흡착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실내공기가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탈리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제 2 동작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흡착제가 포화상태로 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흡착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실내공기가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어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 에서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한편,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며,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제 1 동작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의 수분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실내공기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또 이 제 2 동작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재생이 완료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의 수분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실내공기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 중 한쪽에 대한 흡착동작과 다른 쪽에 대한 재생동작을 동시에 병행으로 실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착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 또는 재 생동작의 대상인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습도나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실내에 공급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1대의 압축기(20)와 2개의 전동팽창밸브(41, 42)와 1개의 십자절환밸브(50)가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1대의 실외열교환기(21)와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되는 것은,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뿐이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1 전동팽창밸브(41)와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전동팽창밸브(4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 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9의 (A) 및 도 10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9의 (B)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가 전개방상태로 설정되고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 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된 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하며,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또 이 제 1 동작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흡착제가 포화상태로 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흡착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실내공기가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고 제 2 전동팽창밸브(42)가 전개방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후,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 된 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하며,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제 2 동작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흡착제가 포화상태로 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흡착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실내공기가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열교환기 (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고 제 2 전동팽창밸브(42)가 전개방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후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며,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제 1 동작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의 수분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실내공기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가 전개방상태로 설정되고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며,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또 이 제 2 동작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재생이 완료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의 수분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실내공기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5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 얻어진 효과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십자절환밸브(50)가 하나씩 배치되며, 전자(電磁)밸브(61, 6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1대의 실외열교환기(21)와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10)에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배치되는 것은,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뿐이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는 실외열교환기(21)의 한끝에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21)의 다른 한끝은, 전동팽창밸브(40)를 개재하고 제 1 전자밸브(61)의 한끝과 제 2 전자밸브(62)의 한끝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전자밸브(61)의 다른 한끝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한끝에, 제 2 전자밸브(62)의 다른 한끝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한끝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다른 한끝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다른 한끝은, 모두 십자절환밸브(50)의 제 4 포트에 접속 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1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2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고나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절대습도가 비교적 낮은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며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제 1 동작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흡착제가 포화상태로 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흡착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실내공기가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 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다음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절대습도가 비교적 낮은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또 이 제 2 동작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흡착제가 포화상태로 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흡착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실내공기가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다음,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여,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제 1 동작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재생이 완료된 후도 소정 시간 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의 수분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실내공기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다음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또 이 제 2 동작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재생이 완료된 후도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경우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의 수분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실내공기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6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 중이나 가습난방운전 중의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은, 2개의 전자밸브(61, 62)를 개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은, 비교적 짧은 시간간격(예를 들어 5~10분간)으로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에 비교적 내구성이 높은 전자밸브(61, 62)를 이용할 수 있어, 공기조화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십자절환밸브(50)가 하나씩 배치되며, 전자밸브(61, 6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1대의 실내열교환기(22)와 2대의 흡착열교환기(31, 32)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각각 이용측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또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겸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십 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전동팽창밸브(40)와 제 1 전자밸브(61)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는 그 한끝이 실내열교환기(22)와 십자절환밸브(50) 사이에, 그 다른 한끝이 제 2 전자밸브(62)를 개재하고 전동팽창밸브(40)와 제 1 전자밸브(61)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3의 (A)(B) 및 도 14의 (C)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3의 (C) 및 도 14의 (A)(B)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과 제 3 동작이 차례로 반복 실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휴지상태로 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된다. 제 3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휴지상태로 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실외공기가 공급된다. 또 제습냉방운전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 및 제 3 동작 중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만 실내공기가 공급되며, 제 2 동작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만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되고나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22)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또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열원측 열교환기로서 기능한다. 제 2 동작 중은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다음,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3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3 동작 중은,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다음,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22)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3 동작 중에 있어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된다. 또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 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과 제 3 동작이 차례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휴지상태로 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된다. 제 3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휴지상태로 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실외공기가 공급된다. 또 가습난방운전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 및 제 3 동작 중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만 실내공기가 공급되며, 제 2 동작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만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다음,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22)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외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외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열원측 열교환기로서 기능한다. 제 2 동작 중은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다음,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3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3 동작 중은,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다음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22)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3 동작 중에 있어서,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된다. 또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7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제 8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가 하나씩 배치되며,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 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21)는, 그 한끝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 다른 한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실내열교환기(22)는, 그 한끝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4 포트에, 다른 한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전동팽창밸브(40)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5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6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5의 (A) 및 도 16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5의 (B) 및 도 16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 기(32)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실내열교환기(22)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 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8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를 이른바 분리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도, 그 설치작업의 공정수가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압축기(20)와 제 1 십자절환밸브(5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실외측 유닛에 수납하고,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십자절환밸브(52)와 전동팽창밸브(40)를 실내측 유닛에 수납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실외측 유닛과 실내측 유닛을 2개의 연락배선으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외측 유닛과 실내측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연락배관이 증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설치작업 공정수를 일반적인 공조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의 변형예 -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매회로(10)에 브리지회로(70)를 배치해도 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리지회로(70)는, 4개의 역지밸브(71~74)를 브리지형태로 접속한 것이다. 브리지회로(70)에서는, 제 1 역지밸브 (71)의 유입 쪽이 제 2 역지밸브(72)의 유출 쪽에, 제 2 역지밸브(72)의 유입측이 제 3 역지밸브(73)의 유입 쪽에, 제 3 역지밸브(73)의 유출 쪽이 제 4 역지밸브(74)의 유입 쪽에, 제 4 역지밸브(73)의 유출 쪽이 제 1 역지밸브(71)의 유출 쪽에 각각 접속된다.
본 변형예의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에 브리지회로(70)를 개재하고 접속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에 브리지회로(70)를 개재하고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브리지회로(70)에서는, 제 1 역지밸브(71)와 제 2 역지밸브(72) 사이에 실외열교환기(21)가, 제 1 역지밸브(71)와 제 4 역지밸브(74) 사이에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가 각각 접속된다. 또 브리지회로(70)에서는, 제 2 역지밸브(72)와 제 3 역지밸브(73) 사이에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가 접속되며, 제 3 역지밸브(73)와 제 4 역지밸브(74) 사이에 실내열교환기(22)가 각각 접속된다.
상기 냉매회로(10)에서는, 제습냉방운전의 제 1 동작과 제 2 동작, 및 가습난방운전의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각각에 있어서, 브리지회로(7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냉매가 순환한다.
제습냉방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1 역지밸브(71)를 통해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 유입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3 역지밸브(73)를 통해 실내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한편 제습냉방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각각 설정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1 역지밸브(71)를 통해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유입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3 역지밸브(73)를 통해 실내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가습난방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각각 설정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4 역지밸브(74)를 통해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 유입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2 역지밸브(72)를 통해 실외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한편 가습난방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4 역지밸브(74)를 통해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유입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유출된 냉매가 제 2 역지밸브(72)를 통해 실외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냉매회로(10)에는, 브리지회로(70)가 배치된다. 이로써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에서는, 각각의 제 1 포트가 항상 고압측이 되며, 각각의 제 2 포트가 항상 저압측이 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항상 고압측이 되어야 할 포트와 항상 저압측이 되어야 할 포트 를 1개씩 구비하는 파일럿형의 십자절환밸브를 사용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9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가 한대 배치되며, 전동팽창밸브(41, 42)와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씩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21)는, 그 한끝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 다른 한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2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1 전동팽창밸브(41)와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전동팽창밸브(4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9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0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9의 (A) 및 도 20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9의 (B) 및 도 20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및 제 2 전동팽창밸브(41, 42)의 개방도가 각각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 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뒤, 다시 제 2 전동팽창밸브(42)에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다음,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하고, 다시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된 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및 제 2 전동팽창밸브(41, 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되고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된 후, 이어서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된 다음, 다시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0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된 뒤, 계속해서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다음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9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발생한 흡착열을 냉매로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31, 32)에 흡착되는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31, 32)에 배치된 흡착제의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어, 흡착제의 재생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가 하나씩 배치되며,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는, 그 한끝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 그 다른 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는, 그 한끝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4 포트에, 그 다른 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1의 (A) 및 도 22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1의 (B) 및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1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1의 (B) 및 도 22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각각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후,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각각 설정되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 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이어서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0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처음에 도입된다. 이로써 가장 고온의 냉매를 흡착열교환기로 도입하여 흡착제의 가열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흡착제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켜 흡착제의 재생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가 한대 배치되며, 전동팽창밸브(41, 42)와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씩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그 제 1 포트가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 제 2 포트가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4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전동팽창밸브(41)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전동팽창밸브(4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상기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에 이르는 부분이 제 1 회로(11)를,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에 이르는 부분이 제 2 회로(12)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회로(11)에 대해 제 2 회로(12)가 제 2 십자절환밸브(52)를 개재하고 접속되며, 제 1 회로(11)와 제 2 회로(12)가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3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4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3의 (A) 및 도 24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3의 (B) 및 도 24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제 1 회로(11)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즉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1 회로(11)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2 회로(12)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 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회로(12)에서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제 1 회로(11)에서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즉,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1 회로(11)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2 회로(12)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회로(12)에서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회로(11)와 제 2 회로(12)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이로써 제 1 회로(11)에 배치된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 제어는, 제 1 회로(11) 출구 쪽 냉매의 과열도가 일정해지도록 실행하면 된다. 또 제 2 회로(12)에 배치된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 제어는, 제 2 회로(12) 출구 쪽 냉매의 과열도가 일정해지도록 실행하면 된다. 즉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제어는 제 1 회로(11)에서의 냉매 상태만을 고려하여 실행하면 되며,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제어는 제 2 회로(12)에서의 냉매 상태만을 고려하여 실행하면 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제어를 간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10)에서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에서는, 각각의 제 1 포트가 항상 고압 쪽이 되며, 각각의 제 2 포트가 항상 저압 쪽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항상 고압 쪽으로 되어야 할 포트와 항상 저압 쪽으로 되어야 할 포트를 1개씩 구비하는 파이럿형 십자절환밸브를 이용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1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가 한대 배치되며, 전동팽창밸브(41, 42)와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씩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와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 양쪽에 접속되며,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와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 양쪽에 접속된다.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전동팽창밸브(41)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전동팽창밸브(4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상기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에 이르는 부분이 제 1 회로(11)를,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에 이르는 부분이 제 2 회로(12)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회로(11)가 제 1 십자절환밸브(51)를 개재하고 압축기(20)에, 제 2 회로(12)가 제 2 십자절환밸브(52)를 개재하고 각각 접속되며, 제 1 회로(11)와 제 2 회로(12)가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5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6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5의 (A) 및 도 26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5의 (B) 및 도 26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제 1 회로(11)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즉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1 회로(11)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2 회로(12)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 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회로(12)에서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제 1 회로(11)에서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즉,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1 회로(11)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2 회로(12)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회로(12)에서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어 제 2 회로(12)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1 실시형태에서 얻어진 효과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제 1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기액분리기(23)가 한대씩 배치되며, 전동팽창밸브(41, 42)와 십자절환밸브(51, 52)가 2개씩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기액분리기(23)와 제 1 전동팽창밸브(41)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그 제 1 포트가 기액분리기(23)의 가스 쪽 출구에, 그 제 2 포트가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4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전동팽창밸브(4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7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8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상기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7의 (A) 및 도 28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7의 (B) 및 도 28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각각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그 일부가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뒤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되어, 액냉매와 가스냉매로 분리된다. 그리고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액냉매는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 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가스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가스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 다.
그리고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 쪽과 제 2 십자절환밸브(52) 쪽으로 양분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 쪽으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그 후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된다.
또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가습난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2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십자절환밸브(52) 쪽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뒤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되어, 실내열교환기(22)로부터의 냉매와 합류한다.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2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십자절환밸브(52) 쪽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다음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되어, 실내열교환기(22)로부터의 냉매와 합류한다.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3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를 이른바 분리형으로 구성할 경우에, 그 설치작업의 공정수가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압축기(20)와 제 1 십자절환밸브(5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실외측 유닛에 수납하고,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십자절환밸브(52)와 제 1 및 제 2 전동팽창밸브(41, 42)와 기액분리기(23)를 실내측 유닛에 수납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실외측 유닛과 실내측 유닛을 2개의 연락배선으로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외측 유닛과 실내측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연락배관이 증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설치작업 공정수를 일반적인 공조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 시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기액분리기(23)에서 액냉매와 가스냉매로 분리하고, 분리된 가스냉매만을 응축기가 될 흡착열교환기(31, 32)에 공급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응축기가 될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흡착제에 대한 가열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흡착제의 재생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13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실시형태의 냉매회로(10)에서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위치를 바꾸는 동시에,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위치를 바꾸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의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기액분리기(23)와 제 1 전동팽창밸브(4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배치된다. 또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전동팽창밸브(42)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제습냉방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도 2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 및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각각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뒤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된다.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액냉매는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한편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가스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고 나서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습냉방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도 2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및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각각 제 2 상태로 설정되어 제 1 전동팽창밸브(41) 및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각각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그 일부가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유입되고 나머지가 실외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유입된 냉매는, 그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뒤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되 고, 그 후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된다. 실외열교환기(21)로 유입된 냉매는 그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뒤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후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된다.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가습난방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도 3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1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2 상태로 각각 설정되며, 제 1 전동팽창밸브(41) 및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각각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 뒤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된다.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액냉매는,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증발하고 그 후,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한편,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가스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가습난방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도 3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각각 설정되며, 제 1 전동팽창밸브(41) 및 제 2 전동팽창밸브(42)의 개방도가 각각 적절히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그 일부가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유입되고, 나머지가 실내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유입된 냉매는, 그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뒤 제 1 전동팽창밸브(41)로 감압된 후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22)로 유입된 냉 매는 그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 제 2 전동팽창밸브(42)로 감압되고, 그 후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뒤 기액분리기(23)로 유입된다. 기액분리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1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십자절환밸브(50)가 하나씩 배치되며, 전자밸브(61, 6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한끝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한 끝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다른 끝은 제 1 전자밸브(61)를 개재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다른 끝은 제 2 전자밸브 (62)를 개재하고, 각각 십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접속된다. 냉매회로(10)에서는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열교환기(21)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실내열교환기(22)가 배치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1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32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 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다음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 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 고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다음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 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14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습냉방운전이나 가습난방운전 중의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은, 2개의 전자밸브(61, 62)를 개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은, 비교적 짧은 시간간격(예를 들어 5~10분 간격)으로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에 비교적 내구성이 높은 전자밸브(61, 62)를 이용할 수 있어 공기조화장치의 신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 1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십자절환밸브(50)가 하나씩 배치되며, 전자밸브(61, 6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한끝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한 끝은, 각각 십자절환밸브(50)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다른 한끝은 제 1 전자밸브(61)를 개재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다른 한끝은 제 2 전자밸브(62)를 개재하고, 각각 실내열교환기(22)의 한끝에 접속된다. 실내열교환기(22)의 다른 한끝은 전동팽창밸브(40)를 개재하고 실외열교환기(21)의 한끝에 접속되며, 실외열교환기(21)의 다른 끝은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 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3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34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되고 그 후,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절대습도가 비교적 낮은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여,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절대습도가 비교적 낮은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다음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 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15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4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제 15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10)에 바이패스회로(13)를 배치해도 된다. 이 바이패스회로(13)는 그 한끝이 실내열교환기(22)에, 그 다른 끝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4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또 바이패스회로(13)에는, 제 3 전자밸브(63)가 배치된다. 실내의 제습이나 가습이 불필요할 경우는, 제 1 전자밸브(61) 및 제 2 전자밸브(62)를 폐쇄하고 제 3 전자밸브(63)를 개방하여,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 양쪽을 휴지상태로 한다. 그리고 냉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공기만을 실내에 공급하고, 난방운전 중에는 가열된 공기만을 실내에 공급한다.
-제 15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10)에서의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의 위치를 바꾸어도 된다. 즉 본 변형예의 냉매회로(10)에서 실내열교환기(22)는, 그 한끝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에, 다른 끝이 전동팽창밸브(40)를 개재하고 실외열교환기(21)의 한끝에 각각 접속된다. 또 실외열교환기(21)의 다른 끝은 제 1 전자밸브(61)와 제 2 전자밸브(62) 양쪽에 접속된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되고 그 후,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열교환기(2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내열교환기(22)에서 증발한 후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며,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로 실내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다음,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한 뒤,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절대습도가 비교적 낮은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 있어서, 실외열교환기(21)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는 절대습도가 비교적 낮은 실내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고, 이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실내로 회송된다.
제 1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5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회로(1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10)에는 압축기(20)와 전동팽창밸브(40)와 십자절환밸브(50)가 하나씩 배치되며, 전자밸브(61, 62)가 2개 배치된다. 또 냉매회로(10)에는, 실외열교환기(21)와 실내열교환기(22)가 1대씩 배치되며, 흡착열교환기(31, 32)가 2대 배치된다. 이 냉매회로(10)에서는, 실외열교환기(21)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31, 32)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 실내열교환기(22) 및 각 흡착열교환기(31, 32)는, 각각 상기 제 15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회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0)는, 그 토출측이 십 자절환밸브(50)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절환밸브(50)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십자절환밸브(50)의 제 3 포트는, 실외열교환기(21)의 한끝에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21)의 다른 끝은 전동팽창밸브(40)를 개재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한끝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한 끝에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의 다른 한끝은 제 1 전자밸브(61)를 개재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의 다른 한끝은 제 2 전자밸브(62)를 개재하고, 각각 실내열교환기(22)의 한끝에 접속된다. 실내열교환기(22)의 다른 한끝은 십자절환밸브(50)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십자절환밸브(50)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8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39에 나타낸 상태)로 절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습냉방운전과 가습난방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냉방운전>
제습냉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15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15 실시형태의 제습냉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뒤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되고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내열교환기(2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 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제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난방운전>
가습난방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3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십자절환밸브(50)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40)의 개방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15 실시형태의 가습냉방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또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은, 상기 제 15 실시형태의 가습냉방운전에서 제 2 동작 중의 흐름과 동일하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3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개방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다음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의 냉매 유입은 제 2 전자밸브(62)에 의해 차단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3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61)가 폐쇄되고, 제 2 전자밸브(62)가 개방된다.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그 후 전동팽창밸브(40)로 감압된 뒤, 실외열교환기(21)에서 증발하고 압축기(2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의 냉매 유입은 제 1 전자밸브(61)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실내에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동작 중의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 가습된 실내공기와 제 2 동작 중의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된 실내공기가 교대로 실내에 공급된다.
-제 16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4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이라도 된다.
-제 1 변형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 40,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세관(43) 및 전자밸브(60) 대신 전동팽창밸브(80)를 배치해도 된다. 냉매회 로(10)에 있어서 이 전동팽창밸브(80)는, 실내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 사이에 배치된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는 2개의 전동팽창밸브(40, 80)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증발기 상태와 응축기 상태로 절환된다.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전동팽창밸브(8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 흡열량과,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 흡열량의 균형이 조절된다. 한편 실외열교환기(21)와 흡착열교환기(30)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 전동팽창밸브(4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 방열량과,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 방열량의 균형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 흡열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으며,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 방열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방능력과 제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흡착열교환기(30)는 2개의 전동팽창밸브(40, 80)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증발기 상태와 응축기 상태로 절환된다.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전동팽창밸브(4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 흡열량과,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 흡열량의 균형이 조절된다. 한편 실내열교환기(22)와 흡착열교환기(30)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 전동팽창밸브(8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 방열량과, 흡착열교환기(30)에서의 냉매 방열량의 균형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 방열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으며,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 흡열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난방능력과 가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 42,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보조전동팽창밸브(81, 82)를 냉매회로(10)에 추가해도 된다. 냉매회로(10)에 있어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와 실외열교환기(21) 사이에 배치된다. 또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와 실내열교환기(22) 사이에 배치된다.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42는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 대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도,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또 실외열교환기(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 대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도,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흡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또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에 대해, 각각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방 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방능력과 제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43은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 대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도,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또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 대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도,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방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또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에 대해, 각각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흡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난방능력과 가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상기 제 10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 44,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보조전동팽창밸브(81, 82)를 냉매회로(10)에 추가해도 된다. 냉매회로(10)에 있어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1 포트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 사이에 배치된다. 또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의 제 2 포트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 사이에 배치된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44는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22)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 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 대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는,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 대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는,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흡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또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에 대해, 각각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방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방능력과 제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 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45는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 대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는,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또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 대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는,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방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또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에 대해, 각각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흡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난방능력과 가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제 4 변형예-
상기 제 1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매회로(10)에 1개의 보조전동팽창밸브를 추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6,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10)의 압축기(20) 흡입측과 제 1 십자절환밸브(51) 사이에 보조전동팽창밸브(82)를 배치해도 된다.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46은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높게 설정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 대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도,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높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흡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방능력과 제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47은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실외열교환기(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높게 설정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32) 대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도, 보조전동팽창밸브(82)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높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흡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동주기에서의 냉매 흡열량과 흡착열교환기(30)의 수분흡착량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난방능력과 가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10)의 압축기(20) 흡입측과 제 2 십자절환밸브(52) 사이에 보조전동팽창밸브(81)를 배치해도 된다.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증발기로 된 쪽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의 냉매증발온도가 높게 설정된다. 또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보조전동팽창밸브(81)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증발기로 된 쪽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높게 설정된다.
-제 5 변형예-
상기 제 1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매회로(10)에 2개의 보조전동팽창밸브(81, 82)를 추가해도 된다.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10)에서는, 압축기(20) 흡입측과 제 2 십자절환밸브(52) 사이에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가 배치되고, 압축기의 흡입측과 제 1 십자절환밸브(51) 사이에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냉매회로(10)에 2개의 보조전동팽창밸브(81, 82)를 추가하면,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실외열교환기(21) 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높게 설정하는 것과 낮게 설정하는 것 양쪽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의 개방도를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의 개방도에 비해 크게 설정할 경우, 증발기로 된 쪽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다. 역으로, 이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의 개방도를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의 개방도에 비해 작게 설정할 경우, 증발기로 된 쪽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높게 설정된다.
또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의 개방도를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의 개방도에 비해 크게 설정할 경우, 증발기로 된 쪽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다. 역으로, 이 상태에서, 제 1 보조전동팽창밸브(81)의 개방도를 제 2 보조전동팽창밸브(82)의 개방도에 비해 작게 설정할 경우, 증발기로 된 쪽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는 실외열교환기(2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높게 설정된다.
-제 6 변형예-
상기 제 5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로 제 3 보조전동팽창밸브(81) 및 제 4 보조전동팽창밸브(82)를 냉매회로(10)에 추가해도 된다. 냉매회로(10)에서 제 3 보조전동팽창밸브(83)는, 압축기(20) 토출측과 제 2 십자절환밸브(52)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 4 보조전동팽창밸브(84)는 압축기의 토출측과 제 1 십자절환밸브(51) 사이에 배치된다.
본 변형예와 같이 냉매회로(10)에 제 3 보조전동팽창밸브(81) 및 제 4 보조전동팽창밸브(82)를 추가하면,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실외열교환기(21) 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높게 설정하는 것과 낮게 설정하는 것 양쪽이 가능해진다. 즉 제 3 보조전동팽창밸브(83)의 개방도를 제 4 보조전동팽창밸브(84)의 개방도에 비해 크게 설정할 경우는,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실외열교환기(21) 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높게 설정된다. 역으로 제 3 보조전동팽창밸브(83)의 개방도 를 제 4 보조전동팽창밸브(84)의 개방도에 비해 작게 설정할 경우는,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실외열교환기(21) 또는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다.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0)와 실외열교환기(21)에 대해, 각각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에서의 냉매 방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동주기의 냉매 방열량과 흡착열교환기(30)의 재생량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냉방능력과 제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에서의 냉매 방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난방능력과 가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제 7 변형예-
상기 제 16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 51,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팽창밸브(80)를 냉매회로(10)에 추가해도 된다. 냉매회로(10)에 있어서 전동팽창밸브(80)는, 제 1 전자밸브(61) 및 제 2 전자밸브(62)와 실내열교환기(22) 사이에 배치된다.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실외열교환기(21)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 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51은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실내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 전동팽창밸브(8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 대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된 상태에서도, 전동팽창밸브(8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증발온도에 비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습냉방운전 중에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흡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방능력과 제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실내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열교환기(21)가 증발기로 된다. 또 냉매회로(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휴지상태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도 52는 제 1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22)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 전동팽창밸브(8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키면,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제 1 흡착열교환기(31)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31) 대신 제 2 흡착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된 상태에서도, 전동팽창밸브(80)로 냉매를 약간 감압시킴으로써, 실내열교환기(22)에서의 냉매응축온도에 비해 제 2 흡착열교환기(3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낮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가습난방운전 중에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31, 32)와 실내열교환기(22)에 대해, 각각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냉매 방열량이 조절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난방능력과 가습능력의 균형을 변경할 수 있다.
-제 8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는 열교환소자(90)를 배치해도 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열교환소자(90)를 추가한 것에 대해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열교환소자(90)는, 회전식 현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된다. 이 열교환소자(90)는, 약간 두꺼운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열교환소자(90)는, 그 일부를 제 1 공기가 통과하고 나머지 부분을 제 2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제 1 공기와 제 2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제습냉방운전 시에 있어서, 열교환소자(90)에는 온도가 높은 실외공기(OA)가 제 1 공기로서 공급되며, 온도가 낮은 실내공기(RA)가 제 2 공기로서 공급된다(도 53 참조). 열교환소자(90)에서는, 제 1 공기(실외공기)와 제 2 공기(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제 1 공기가 냉각됨과 더불어 제 2 공기가 가열된다. 열교환소자(90)에서 냉각된 제 1 공기는, 실외열교환기(21)로 보내진다. 한편 열 교환소자(90)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응축기로 된 쪽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 재생용 공기로서 보내진다. 즉 이 제 1 공기는, 제 1 동작 중이라면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 보내지며(도 53의 (A) 참조), 제 2 동작 중이라면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보내진다(도 53의 (B) 참조).
가습난방운전 시에 있어서, 열교환소자(90)에는 온도가 높은 실내공기(RA)가 제 1 공기로서 공급되며, 온도가 낮은 실외공기(OA)가 제 2 공기로서 공급된다(도 54 참조). 열교환소자(90)에서는, 제 1 공기(실내공기)와 제 2 공기(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제 1 공기가 냉각됨과 더불어 제 2 공기가 가열된다. 열교환소자(90)에서 냉각된 제 1 공기는, 증발기로 된 쪽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 흡착용 공기로서 보내진다. 즉 이 제 1 공기는, 제 1 동작 중이라면 제 2 흡착열교환기(32)로 보내지며(도 54의 (A) 참조), 제 2 동작 중이라면 제 1 흡착열교환기(31)로 보내진다(도 54의 (B) 참조). 한편 열교환소자(90)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실외열교환기(21)로 보내진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습냉방운전 시에는 재생용 공기인 제 2 공기를 열교환소자(90)에서 미리 가열하도록 하므로, 흡착제를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31, 32)에 대한 수분 흡착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기조화장치의 제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난방가습운전 시에는 흡착용 공기인 제 1 공기를 열교환소자(90)에서 미리 냉각시키도록 하므로, 흡착제로 수분을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31, 32)로부터 탈리되어 공기에 부여되는 수분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기조화장치의 가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
-제 9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는, 잠열처리소자로서의 흡착회전자(95)를 설치해도 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흡착회전자(95)를 추가한 것에 대해,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흡착회전자(95)는 약간 두꺼운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구동된다. 이 흡착회전자(95)의 표면에는,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가 담지된다. 흡착회전자(95)는, 그 일부분을 흡착용 공기가 통과하고 나머지 부분을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흡착회전자(95)는, 통과하는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켜 공기와의 사이에서 수분의 흡착 탈리를 실행한다.
본 변형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도입된 실내공기의 일부가 증발기로 된 쪽의 흡착열교환기(31, 32)로 흡착용 공기로서 공급되며, 나머지 실내공기가 응축기로 된 쪽의 흡착열교환기(31, 32)로 재생용 공기로서 공급된다. 이때 흡착회전자(95)에는, 흡착열교환기(31, 32)로 보내지기 전의 흡착용 공기와,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한 재생용 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흡착용 공기는, 흡착회전자(95)를 통과할 때에 제습되고, 그 후 증발기로 된 쪽의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제습된다. 한편 재생용 공기는 응축기로 된 쪽의 흡착열교환기(31, 32)를 통과할 때에 수분과 열을 부여받은 후, 흡착회전자(95)로 보내져 그 흡착제를 재생한다.
즉, 제습냉방운전의 제 1 동작이나 가습난방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흡착용 공기가 흡착회전자(95)와 제 2 흡착열교환기(32)를 차례로 통과하고, 재생용 공기가 제 1 흡착열교환기(31)와 흡착회전자(95)를 차례로 통과한다(도 55의 (A), 도 56의 (A) 참조). 또 제습냉방운전의 제 2 동작이나 가습난방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흡착용 공기가 흡착회전자(95)와 제 1 흡착열교환기(31)를 차례로 통과하고, 재생용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32)와 흡착회전자(95)를 차례로 통과한다(도 55의 (B), 도 56의 (B) 참조).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습냉방운전 시에는, 실내에 공급되는 흡착용 공기를 흡착회전자(95)와 흡착열교환기(31, 32)에서 2 단계로 감습하므로, 공기조화장치의 제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 가습난방운전 시에는, 실내에 공급되는 재생용 공기를 흡착열교환기(31, 32)와 흡착회전자(95)에서 2 단계로 가습하므로, 공기조화장치의 가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주기를 실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25)

  1. 열원측 열교환기와 이용측 열교환기가 배치된 냉매회로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실행하며,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는, 표면에 흡착제가 구성된 흡착열교환기를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구비하며,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열교환기에 흡착시키는 흡착동작과 상기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재생동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흡착열교환기에 추가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공기열교환기를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구비하며, 이 공기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 또는 이 공기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과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과,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고,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제습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고,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며,
    증발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 또는 휴지상태 중의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고,
    흡착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한편,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며,
    휴지상태 중의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 또는 응축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 기조화장치.
  7. 청구하 3, 4,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공기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와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제습냉방운전과, 상기 공기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와 상기 흡착열교환기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난방운전이 절환 가능한 공기조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만을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가 번갈아 증발기로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 또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가 번갈아 응축기로 되고 열원측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는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증발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또는 응축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의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는 동작과,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증발 기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고,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하고, 재생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공기조화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가 휴지상태로 되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구성되며,
    흡착동작에서는 휴지상태 중의 흡착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고, 재생동작에서는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로부터 수분을 탈리시켜 공기를 가습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청구항 9, 10 또는 11에 있어서,
    증발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제습냉방운전과, 응축기로 된 상기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난방운전이 절환 가능한 공기조화장치.
  13. 청구항 1, 2 또는 8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열원측 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공기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될 공기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15. 청구항 1, 2 또는 8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열원측 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16.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공기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응축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응축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로 될 공기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17. 청구항 1, 2 또는 8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열원측 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열원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18.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공기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증발기로 될 공기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19. 청구항 1, 2 또는 8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열원측 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열원측 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20.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공기열교환기 및 흡착열교환기가 동시에 증발기로 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동작 중에는 냉매가 증발기로 될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로 될 공기열교환기로 유입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21. 청구항 2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하며,
    냉매회로에서는, 열원측 열교환기와 개방도 가변인 팽창밸브와 공기열교환기를 직렬로 배치한 제 1 회로와, 제 1 흡착열교환기와 개방도 가변인 팽창밸브와 제 2 흡착열교환기를 직렬로 배치한 제 2 회로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공기조화장치.
  22. 청구항 3, 4 또는 5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열원측 열교환기와 공기열교환기 중 증발기로 된 쪽에서의 냉매증발온도와,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에서의 냉매증발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한 공기조화장치.
  23. 청구항 3, 4 또는 6에 있어서,
    냉매회로는, 열원측 열교환기와 공기열교환기 중 응축기로 된 쪽에서의 냉매응축온도와, 응축기로 된 흡착열교환기에서의 냉매응축온도를 다른 값으로 설정 가 능한 공기조화장치.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공기와 제 2 공기가 열교환을 이루는 열교환소자를 구비하며,
    제 1 공기와 제 2 공기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하기 전의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인 공기조화장치.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하는 흡착용 공기 또는 재생용 공기의 유통로에는, 공기의 잠열처리를 행하는 잠열처리소자가 구성된 공기조화장치.
KR1020067006554A 2003-10-09 2004-10-08 공기조화장치 KR100709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1268 2003-10-09
JPJP-P-2003-00351268 2003-10-09
JPJP-P-2004-00101902 2004-03-31
JP2004101902A JP3668763B2 (ja) 2003-10-09 2004-03-31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635A KR20060085635A (ko) 2006-07-27
KR100709594B1 true KR100709594B1 (ko) 2007-04-20

Family

ID=3443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554A KR100709594B1 (ko) 2003-10-09 2004-10-08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10342B2 (ko)
EP (1) EP1705432B1 (ko)
JP (1) JP3668763B2 (ko)
KR (1) KR100709594B1 (ko)
CN (1) CN1864035B (ko)
AU (1) AU2004280426B2 (ko)
WO (1) WO2005036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8785B2 (ja) * 2003-10-09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668786B2 (ja) * 2003-12-04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NL1028830C2 (nl) * 2005-04-21 2006-10-24 Level Holding Bv Recuperatief klimaatbeheerssysteem.
JP3995006B2 (ja) * 2005-05-24 2007-10-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075950B2 (ja) * 2006-08-02 2008-04-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WO2008117817A1 (ja) * 2007-03-28 2010-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4321650B2 (ja) * 2007-12-07 2009-08-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FI121052B (fi) * 2007-12-27 2010-06-15 Abb Oy Ilmankuivain taajuusmuuttajajärjestelyä varten sekä menetelmä ilman kuivaamiseksi taajuusmuuttajajärjestelyssä
JP4912382B2 (ja) * 2008-10-31 2012-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
JP5417866B2 (ja) * 2009-01-28 2014-0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748252B2 (ja) * 2009-05-21 2011-08-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8117855B2 (en) * 2010-02-19 2012-02-21 Alexander P Rafalovich Refrigeration system with consecutive expansions and method
MX2010008470A (es) 2010-07-29 2012-01-30 Ct Investig Y Estudios Del Ipn Aparato y metodo para efectuar radioterapia guiada por imagenes con haces de rayos-x de kilovoltaje en presencia de un agente de contraste.
DE102011015153A1 (de) * 2011-03-25 2012-09-27 Sortech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führen eines alternierenden Verdampfungs- und Kondensationsprozesses eines Arbeitsmediums
WO2013136714A1 (ja) * 2012-03-14 2013-09-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WO2014024332A1 (ja) * 2012-08-05 2014-02-13 株式会社横浜熱利用技術研究所 乗物用除湿装置
CN102878613B (zh) * 2012-09-20 2015-09-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控制多联机空调系统中温湿度的方法及多联机空调系统
CN106799117B (zh) * 2013-01-29 2019-08-20 三菱电机株式会社 除湿装置
CN104251548B (zh) * 2013-06-28 2018-05-04 海尔集团公司 单机空调器换热系统、单机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3353147B (zh) * 2013-06-28 2016-05-25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三管制全热处理多联机空调系统及温湿度独立控制方法
JP6028758B2 (ja) 2014-03-24 2016-11-1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吸着式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冷熱生成方法
JP6065882B2 (ja) * 2014-06-30 2017-01-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吸着式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冷熱生成方法
JP6541790B2 (ja) * 2015-08-31 2019-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CN107166583A (zh) * 2017-05-12 2017-09-15 上海交通大学 半解耦式降温除湿与分级冷却的除湿热泵系统和方法
KR101973646B1 (ko) * 2017-08-07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80549B1 (ko) * 2017-08-07 2019-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장치
US20230175744A1 (en) * 2020-07-07 202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112146216B (zh) * 2020-11-02 2024-06-18 山西臣功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温湿度独立的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963908B (zh) * 2021-03-01 2022-05-31 上海交通大学 一种电磁感应加热再生的转轮除湿装置
CN113175704B (zh) * 2021-04-13 2022-06-28 上海交通大学 温室热湿调控与节能节水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648A (ko) * 2003-10-09 2006-07-2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9869Y1 (ko) * 1968-06-21 1971-07-10
JPS5719559A (en) * 1980-07-10 1982-02-01 Daiwa Reiki Kogyo Kk Double refrigeration cycle
US4430864A (en) * 1981-12-31 1984-02-14 Midwest Research Institute Hybrid vapor compression and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US4793143A (en) * 1986-03-10 1988-12-27 Rhodes Barry V Enthalpic heat pump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AU591324B2 (en) * 1986-07-16 1989-11-30 Graeme Clement Mudford Air-conditioning system
US4930322A (en) * 1989-09-11 1990-06-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dvanced heat pump
JP3042797B2 (ja) * 1991-03-22 2000-05-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CN1035899C (zh) * 1994-03-04 1997-09-17 李元哲 吸附式降温除湿空调系统
JPH07265649A (ja)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US5687579A (en) * 1994-09-12 1997-11-18 Vaynberg; Mikhail M. Double circuited refrigeration system with chiller
JPH08189667A (ja) * 1995-01-06 1996-07-23 Hitachi Ltd 除加湿装置
KR0129641Y1 (ko) * 1995-03-30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9318127A (ja) * 1996-05-24 1997-12-12 Ebara Corp 空調システム
MY117922A (en) * 1996-12-27 2004-08-30 Ebara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JP2968241B2 (ja) * 1997-10-24 1999-10-2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除湿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WO1999022181A1 (fr) * 1997-10-24 1999-05-06 Ebara Corporation Systeme de climatisation avec deshumidification
JP2001201106A (ja) * 2000-01-18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241693A (ja) * 2000-02-25 2001-09-07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3555590B2 (ja) * 2001-04-18 2004-08-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ATE514908T1 (de) 2001-09-28 2011-07-15 Daikin Ind Ltd Klimaanlage
JP2003120956A (ja) * 2001-10-15 2003-04-23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2003166730A (ja) * 2001-11-30 2003-06-13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648A (ko) * 2003-10-09 2006-07-2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34099A (ja) 2005-05-26
CN1864035B (zh) 2011-04-27
JP3668763B2 (ja) 2005-07-06
EP1705432B1 (en) 2014-10-01
EP1705432A1 (en) 2006-09-27
US7810342B2 (en) 2010-10-12
CN1864035A (zh) 2006-11-15
WO2005036061A1 (ja) 2005-04-21
EP1705432A4 (en) 2010-10-27
KR20060085635A (ko) 2006-07-27
US20070051123A1 (en) 2007-03-08
AU2004280426B2 (en) 2008-08-28
AU2004280426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594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742074B1 (ko) 조습장치
KR100711625B1 (ko) 공기조화장치
US788655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90258B1 (ko) 공기조화장치
JP3624910B2 (ja) 調湿装置
KR101201010B1 (ko) 조습장치
US619939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5822931B2 (ja) 調湿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調湿装置の制御方法
KR100708289B1 (ko) 공기조화장치
JPH10288421A (ja) 空調システム
JP5962201B2 (ja) 空調システム
KR20080005434A (ko) 공조 시스템
WO2007132550A1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KR20080014871A (ko) 공조 시스템
KR20080011233A (ko) 조습 장치
WO2005103577A1 (ja) 調湿装置
EP1898163B1 (en) Humidity control system
JP2002022245A (ja) 空調システム
EP1898162B1 (en) Moisture conditioning device
JP2004060954A (ja) 調湿装置
US20060218943A1 (en) Moisture conditioner
JP2002018228A (ja) 調湿装置
JP2005283075A (ja) 調湿装置
JP2004060958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