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871A -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871A
KR20080014871A KR1020077029470A KR20077029470A KR20080014871A KR 20080014871 A KR20080014871 A KR 20080014871A KR 1020077029470 A KR1020077029470 A KR 1020077029470A KR 20077029470 A KR20077029470 A KR 20077029470A KR 20080014871 A KR20080014871 A KR 20080014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ensation
humidity
indoor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공조 시스템(1)은, 제 1 조습장치(10)와, 제 2 조습장치(20), 제 1 공조기(30), 제 2 공조기(40), 및 연동제어수단(3)을 구비한다. 제 1 조습장치(10)는 실내 페리미터 존(Perimeter zone)을 가습하며, 제 2 조습장치(20)는 실내 인테리어 존(Interior zone)을 가습한다. 제 1 공조기(30)는 실내 페리미터 존을 냉난방하며, 제 2 공조기(40)는 실내 인테리어 존을 냉난방한다.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제 1 조습장치(10)는 결로제거운전을 실행하며, 제 2 조습장치(20)와, 제 1 공조기(30), 및 제 2 공조기(40)는 결로발생정보 입력 시의 운전을 속행한다.
조습장치, 결로, 흡착부재, 페리미터 존, 인테리어 존

Description

공조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결로 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조기와 환기장치를 갖는 공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장치의 일종으로서, 제습한 공기를 실외로 방출하며, 가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하는 조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흡착제가 수분의 흡착과 탈리를 행함으로써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습장치는 제 1 열교환기와 제 2 열교환기를 갖는 냉매회로를 구비한다. 이 냉매회로는 냉매가 순환하여 증기압축식 냉동주기를 행하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응축과 증발을 교대로 행한다. 또,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의 표면에는 흡착제가 담지된다. 그리고 상기 조습장치는, 제 1 열교환기에서 실내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제 2 열교환기에서 실외공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운전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실내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제 1 열교환기에서 실외공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운전을 교대로 행하여, 가습을 행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9404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조습장치의 가습운전 시에, 건물의 창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결로발생 시에는, 조습장치로부터 공급된 가습공기의 수분은 결로가 될 뿐, 실내공기의 습도는 상승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조습장치는 결로에 대해 아무런 대책도 없으므로, 결로가 발생해도 실내공기의 습도값을 설정습도값으로 하기 위해 가습운전을 계속한다. 그 결과, 필요 없는 가습운전이 행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실내 페리미터 존(Perimeter zone)에 가습공기를 공급하여 가습하는 제 1 조습장치(10)와, 실내 인테리어 존(Interior zone)에 가습공기를 공급하여 가습하는 제 2 조습장치(20)를 구비한 공조 시스템이다. 그리고 상기 실내 결로발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11)과, 상기 입력수단(11)으로부터의 결로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조습장치(10)에 대해 공급공기의 상대습도를 저하시키고, 상기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며, 상기 제 2 조습장치(20)에 대해 상기 가습운전을 속행시키는 연동제어수단(3)을 구비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이 가습운전 시에 결로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입력수단으로 설정습도를 낮추게 된다. 또는, 사용자는 결로 스위치 등으로 결로정보를 입력한다. 즉, 입력수단으로부터 결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 결로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조습장치(10)는, 실내 상대습도를 저하시키는 결로제거운전을 행한다. 그 결과, 실내의 결로가 억제되어, 필요 없는 가습운전이 방지된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수단(3)은,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결로제거운전의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발명에서 연동제어수단(3)은,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결정한다. 그 결과, 확실하게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로를 제거하는 운전모드는, 상기 결로발생정보 입력 전의 가습량보다 적은 가습량을 상기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하는 모드이다.
제 3 발명에서는,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제 1 조습장치(10)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가습량은 감소한다. 이로써, 결로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부재와, 상기 흡착부재를 적어도 가열하기 위한 열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와 접촉시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모드와, 상기 흡착부재에서 덥혀진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모드를 적어도 행하는 한편,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상기 난방모드이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 조습장치(10)가 제습운전을 하므로, 페리미터 존은 제습된다. 그 결과, 결로를 제거할 수 있어,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부재와, 상기 흡착부재를 적어도 가열하기 위한 열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와 접촉시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모드와, 상기 흡착제와 접촉시켜 제습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제습모드를 적어도 행하는 한편,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상기 제습모드이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1 조습장치(10)가 난방운전을 하므로, 창면 온도가 상승하여, 이슬점 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결로는 증발하며,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실내를 가습하는 조습장치(10)와,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기(30)를 구비하는 공조 시스템이다. 그리고 실내 결로발생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11)과, 상기 입력수단(11)으로부터의 결로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기(30)에 대해 실내 상대습도를 저하시켜 결로를 제거하는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며, 상기 조습장치(10)에 대해 가습운전을 속행시키는 연동제어수단(7)을 구비한다.
제 6 발명에서는, 가습운전 시에 결로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입력수단으로 결로를 제거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는 결로 스위치 등으로 결로정보를 입력한다. 즉, 입력수단으로부터 결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 결로정보에 기초하여 공조기(30)는, 실내 상대습도를 저하시키는 결로제거운전을 행한다. 그 결과, 실내의 결로가 억제되어, 필요 없는 가습운전이 방지된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습장치는, 실내 페리미터 존을 가습하는 제 1 조습장치(10)와, 실내 인테리어 존을 가습하는 제 2 조습장치(20)이며, 상기 공조기는, 실내 페리미터 존을 냉난방하는 제 1 공조기(30)와, 실내 인테리어 존을 냉난방하는 제 2 공조기(40)이고, 상기 연동제어수단(7)은, 상기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며, 상기 제 1 조습장치(10)와 상기 제 2 조습장치(20)와 상기 제 2 공조기(40)에는 결로발생정보 입력 시의 운전을 속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1 공조기(30)가 결로제거운전을 실행하므로, 확실하게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냉방모드이다.
제 8 발명에서는 공조기(30)가 냉방운전을 행하므로, 실내공기는 냉각됨과 더불어 제습된다. 그 결과, 결로를 제거할 수 있어,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상기 결로발생정보 입력 전보다 상기 페리미터 존을 덥히는 모드이다.
제 9 발명은, 결로발생정보의 입력에 의해, 공조기(30)가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도록 난방운전을 행한다. 이로써 창면 온도가 상승하여, 이슬점 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결로를 제거할 수 있어,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상기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수단(7)은, 상기 조습장치(10)에 대해, 상기 결로발생정보 입력 전의 가습량보다 적은 가습량을 상기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10 발명에서는, 결로발생정보의 입력에 의해, 조습장치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가습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1 발명과 같이, 제 1 조습장치가 결로제거운전을 행하는 경우나, 상기 제 6 발명과 같이 공조기가 결로제거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결로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결로가 발생하면 제 1 조습장치(10)가 결로제거운전을 행하도록 하므로, 필요 없는 운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너지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의 조건으로부터, 최적의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결정한다. 그 결과, 결로가 확실하게 제거된다.
또한,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결로발생정보의 입력에 의해, 제 1 조습장치(10)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가습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필요 없는 운전을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발명에 의하면, 제 1 조습장치(10)가 제습운전을 행하므로, 실내 절대습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발명에 의하면, 제 1 조습장치(10)가 난방운전을 행하므로, 실내 상대습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결로가 발생하면 공조기(30)가 결로제거운전을 행하도록 하므로, 필요 없는 운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발명에 의하면, 제 1 공조기(30)가 결로제거운전을 행하도록 하므로, 필요 없는 운전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8 발명에 의하면, 공조기(30) 또는 제 1 공조기(30)가 냉방운전을 행하므로, 실내 절대습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9 발명에 의하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도록 공조기(30) 또는 제 1 공조기(30)가 난방운전을 행하므로, 실내 상대습도를 더욱 저하시킬 수 있어,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0 발명에 의하면, 공조기(30) 또는 제 1 공조기(30)에 의한 결로제거운전만이 아닌 조습장치의 가습운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에서 제 9 발명보다 더욱 실내 상대습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냉매회로 구성을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며, (A)는 제 1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2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은, 흡착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3 실시형태의 조습장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제 4 실시형태의 조습장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제 5 실시형태의 조습장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제 6 실시형태의 조습장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그 밖의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제 1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2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는, 그 밖의 실시형태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조습유닛의 개략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5 : 공조 시스템 3, 7 : 연동제어수단
10 : 제 1 조습장치 11, 21, 31, 41 : 입력수단
20 : 제 2 조습장치 30 : 공조기(제 1 공조기)
61 : 제 1 가습운전 제어수단 71 : 제 2 가습운전 제어수단
81 : 냉난방운전 제어수단(제 1 냉난방운전 제어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가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이 가능한 조습장치와,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냉방운전과 실내공기를 덥히는 난방운전이 가능한 공조기를 구비 한 공조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상기 공조 시스템(1)은, 제 1 조습장치(10)와, 제 2 조습장치(20), 제 1 공조기(30), 제 2 공조기(40), 및 연동제어수단(3)을 구비한다. 제 1 조습장치(10)는 가습공기를 페리미터 존(Perimeter Zone)으로 공급하며, 입력수단(11)과 제 1 조습제어기(60)를 구비한다. 제 2 조습장치(20)는 가습공기를 페리미터 존 이외의 영역으로 공급하며, 입력수단(21)과 제 2 조습제어기(70)를 구비한다. 제 1 공조기(30)는 페리미터 존을 냉각하거나 또는 덥히며, 입력수단(31)과 제 1 공조제어기(80)를 구비한다. 제 2 공조기(40)는 페리미터 존 이외의 영역을 냉각하거나 또는 덥히며, 입력수단(41)과 제 2 공조제어기(90)를 구비한다. 연동제어수단(3)은 각 입력수단(11, 21, 31, 41)에 접속되며, 제 1 및 제 2 조습제어기(60, 70)와 제 1 및 제 2 공조제어기(80, 90)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 입력수단(11, 21, 31, 41)은 각 조습장치(10, 20)와 각 공조기(30, 40)에 설치하도록 하나, 리모콘 등 하나의 입력수단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50)를 구비한다. 각 냉매회로(50)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제 2 흡착열교환기(52), 압축기(53), 십자전환밸브(54), 및 전동팽창밸브(55)가 배치된 폐회로이다. 각 냉매회로(50)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켜 증기압축 냉동주기를 행한다.
상기 각 냉매회로(50)에서 압축기(53)는, 그 토출측이 십자전환밸브(54)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전환밸브(54)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한끝은 십자전환밸브(54)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다른 끝은, 전동팽창밸브(55)를 개재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한끝에 접속된다.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다른 끝은, 십자전환밸브(54)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각 십자전환밸브(54)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2(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2(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 및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모두 크로스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51, 52)는 동제 전열관(58)과 알루미늄제 핀(57)을 구비한다. 흡착열교환기(51, 52)에 배치된 복수의 핀(57)은 각각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나열된다. 또, 전열관(58)은 각 핀(57)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각 핀(57)의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어 흡착부채를 구성하며, 핀(57)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핀(57) 표면의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고분자 재료 등,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된다.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습제어기(60, 7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조습제어기(60, 70)는 각각 제 1 및 제 2 가습운전 제어수단(61, 71)을 구비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조습제 어기(60, 70)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외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공기 온도센서와, 실외공기 습도를 검출하는 실외공기 습도센서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실내습도 센서로부터, 온도와 습도의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제 1 가습운전 제어수단(61)은, 연동제어수단(3)에 의해, 가습억제운전과, 제습운전과, 난방운전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습억제운전은, 냉매회로(50) 내를 순환시키는 냉매량을 감소시켜, 실내로 공급될 가습량을 감소시키는 운전이다.
상기 제습운전은, 한쪽 흡착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제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다른 쪽 흡착열교환기로 실내공기에 수분을 방출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운전이다.
상기 난방운전은, 한쪽 흡착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다른 쪽 흡착열교환기로 실내공기를 냉각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운전이다.
상기 제 2 가습운전 제어수단(71)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가습운전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공조제어기(80, 9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조제어기(80, 90)는 각각 제 1 및 제 2 공조제어수단(81, 91)을 구비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공조제어기(80, 90)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으나, 실외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공기 온도센서와, 실외공기 습도를 검출하는 실외공기 습도센서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 내온도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실내습도 센서로부터, 온도와 습도의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조제어수단(81, 91)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제어수단(3)은, 입력수단(11, 21, 31, 41)으로부터의 결로발생정보 입력으로부터,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결정하고, 제 1 조습장치(10)에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와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운전동작-
먼저, 본 실시형태 공조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에서의 제습운전 및 가습운전에 대하여 나타낸다.
상기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에서는 각각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의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도입한 실외공기(OA)를 조습하고 나서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즉,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의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실내의 환기를 행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제습운전 중과 가습운전 중의 양쪽에서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제습운전 중이면 제 1 공기로서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실내공기(RA)를 각각 도입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가습운전 중이면 제 1 공기로서 실내공기(RA)를, 제 2 공기로서 실외공기(OA)를 각각 도입한다.
우선, 제 1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 제 2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 제 1 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대한 재생동작과,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각 냉매회로(5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4)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각 압축기(53)를 운전시키면, 각 냉매회로(50) 내에서 냉매가 순환한다. 구체적으로, 각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방열하여 응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55)를 통과할 때 감압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흡열하여 증발한다.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53)로 흡입되어 압축되며, 다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각 냉매회로(5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가 전열관(58) 내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한편,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어, 발생한 흡착열이 전열관(58) 내 냉매에 흡열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면,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가습운전 중이면,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 제 1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 제 2 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대한 재생동작과,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4)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각 압축기(53)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50) 내에서 냉매가 순환한다. 구체적으로, 각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방열하여 응축된다.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55)를 통과할 때, 감압되고,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흡열하여 증발한다.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53)로 흡입되어 압축되며, 다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각 냉매회로(50)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된다.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가 전열관(58) 내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가열된 흡착제로부 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한편,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어, 발생한 흡착열이 전열관(58) 내 냉매에 흡열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면,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제습된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가습운전 중이면, 각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각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결로를 제거하는 제어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1)에서는, 가습운전 시나 제습운전 시에, 사용자는 리모콘 등으로 실내 설정습도를 입력한다. 이 설정습도에 기초하여, 실내습도가 목표습도가 되도록 가습운전 및 제습운전이 이루어진다.
이 가습운전 시에, 목표습도나 실외공기 조건 등에 의해 실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결로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입력스위치를 조작하여 결로를 신고한다. 예를 들어, 습도설정 다운스위치를 온으로 한 경우나, 전용 결로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결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스위치는 리모콘 등으로 구성되며, 결로스위치나 습도설정 다운스위치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스위치는, 가습운전 시에 실내의 창 등에 결로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신고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사용자의 입력조작에 의해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연동제어수단(3)이 그 정보를 수신한다. 연동제어수단(3)은, 제 1 조습장치(1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에는 가습운전을 속행시킨다. 또,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시킨다.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가 저온저습일 경우, 즉 실외공기 온도가 10∼15℃의 온도범위보다 낮으며, 실외 절대습도가 실내 절대습도보다 낮을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난방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냉매회로(50)의 냉매순환을 전환하는 일없이, 실외공기를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흡착열교환기를 통해 실내로 공급한다.
또, 실외공기가 저온고습일 경우, 즉 실외공기 온도가 10∼15℃의 온도범위보다 낮으며, 실외 절대습도가 실내 절대습도보다 높을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제습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제습운전을 실행한다.
또한, 실외공기가 고온고습일 경우, 즉 실외공기 온도가 10∼15℃의 온도범위보다 높으며, 실외 절대습도가 실내 절대습도보다 높을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제습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제습운전을 실행한다.
또, 실외공기가 고온저습일 경우, 즉 실외공기 온도가 10∼15℃의 온도범위보다 높으며, 실외 절대습도가 실내 절대습도보다 낮을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가습억제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냉매회로(50) 내를 순환시키는 냉매량을 감소시켜, 가습량이 감소되도록 운전시킨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는,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연동제어수단(3)이 제 1 조습장치(1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연동제어수단(3)이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결정하고, 제 1 조습장치(10)에 그 모드를 실행시킨다. 이로써 확실하게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 결로발생 시에 가습운전이 행해지는 일은 없으므로,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외공기가 저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난방운전모드를 선택하므로,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실내공기의 이슬점이 상승하여, 결로가 제거된다.
실외공기가 저온고습 및 고온고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제습운전모드를 선택하므로, 실내공기가 제습된다. 그 결과, 결로는 흡착제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실외공기가 고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환기모드를 선택하므로, 고온의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그 결과,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내공기의 이슬점이 상승한다. 그 결과, 결로가 제거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 스템(5)에서는,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켜 실내공기의 상대습도를 저하시킨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습운전 제어수단(61, 71)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공조제어수단(81)은, 연동제어수단(7)에 의해 냉방운전과 난방고능력운전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방운전은, 페리미터 존을 냉각하는 동시에 제습하는 운전이다.
상기 난방고능력운전은, 페리미터 존을 페리미터 존 이외의 영역보다 덥히는 운전이다.
상기 제 2 공조제어수단(91)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제어수단(7)은, 입력수단(31)으로부터의 결로발생정보 입력에 의해,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결정하고,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한편,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나 제 2 공조기(4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결로를 제거하는 제어를 나타낸다.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연동제어수단(7)이 그 정보를 수신한다. 연동제어수단(7)은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킨다.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다. 구체적으로, 봄철이나 여름철 등 실내공기를 냉각해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경우, 제 1 공조기(30)는 냉방운전을 실행한다. 한편, 가을철이나 겨울철 등 실내공기를 덮혀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경우, 제 1 공조기(30)는 난방운전을 실행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는,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연동제어수단(7)이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연동제어수단(7)이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결정하고, 제 1 공조기(30)에 그 모드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확실하게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 결로발생 시에 가습운전이 행해지는 일은 없으므로, 필요 없는 가습운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연동제어수단(7)이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한 경우, 실내공기는 제습된다. 그 결과, 결로가 제거된다.
연동제어수단(7)이 난방고능력운전 모드를 선택한 경우, 창면이 덥혀져, 결로는 증발한다. 그 결과, 결로가 제거된다.
-제 1 변형예-
제 1 변형예의 공조 시스템은, 제 1 공조기(30)만이 아닌 제 1 조습장치(10)도 결로제거운전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조습장치(10)는, 연동제어수단(7)에 의해, 결로제거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연동제어수단(7)은, 결로발생정보의 입력에 의해, 제 1 조습장치(10) 및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입력조작에 의해 결로제거정보가 입력되면, 연동제어수단(7)이 그 정보를 수신한다. 연동제어수단(7)은, 제 1 조습장치(10)와 제 1 공조기(30) 각각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킨다. 결로제거운전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 1 변형예의 효과-
제 1 변형예는,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연동제어수단(7)이, 제 1 조습장치(10)와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킨다. 이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비해,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1)과는 제 1 조습장치의 구성이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도 4에 나타낸 제 1 조습장치(200)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2 조습장치(20)와, 도 1에 나타낸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와, 도 1에 나타낸 연동제어수단(3)으로 구성된다.
제 1 조습장치(200)는 가습공기를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조습장치(10)와 마찬가지로, 입력수단과 제 1 가습운전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조습장치(200)는, 직방체이며 중공의 케이싱(210)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21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한쪽에 배기 구(212)와 실외공기 흡입구(211)가 나열되어 개구되며, 다른 쪽에 실내공기 흡입구(213)와 급기구(214)가 나열되어 개구된다. 케이싱(210) 내부에는, 실내공기 흡입구(213)로 연통되는 제 1 배기측 유로(215)와, 배기구(212)로 연통되는 제 2 배기측 유로(216)와, 실외공기 흡입구(211)로 연통되는 제 1 급기측 유로(217)와, 급기구(214)로 연통되는 제 2 급기측 유로(218)가 형성된다. 제 2 배기측 유로(216)에는 배기팬(225)이 설치되며, 제 2 급기측 유로(218)에는 급기팬(226)이 설치된다.
케이싱(210) 내에는 조습용 부재인 전열(全熱)교환기(220)가 수납된다. 이 전열교환기(220)는, 실내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와 실외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를 복수 구비하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과 수분을 주고받도록 구성된다. 또 전열교환기(220)는, 전체형상이 4각주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측면 중,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실내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나머지 2개의 측면에 실외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각각 개구된다. 그리고 전열교환기(220)는, 실내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제 1 배기측 유로(215) 및 제 2 배기측 유로(216)로 연통되며, 실외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제 1 급기측 유로(217) 및 제 2 급기측 유로(218)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 케이싱(210) 내에는 가습소자(Element)(221)가 수납된다. 가습소자(221)는, 제 2 급기측 유로(218)의 급기팬(226) 하류 쪽에 배치된다. 가습소자(221)는, 투습막을 통해, 또는 직접 물과 공기를 접촉시켜,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조습장치(200)는, 연동제어수단(3)에 의해 가습억제운전과 제습운전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습억제운전은, 가습소자(221)의 가습량을 제어하여, 실내로 공급될 가습량을 감소시키는 운전이다.
상기 제습운전은, 전열교환기(220)에서 실외공기 중의 열과 수분이 실내공기로 이동함으로써, 전열교환기(220)에서 냉각되는 동시에 제습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시키는 운전이다.
상기 제 2 조습장치(20)나 상기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는,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발생정보의 입력에 의해, 제 1 조습장치(20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나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에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제 1 조습장치(200)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배기팬(225) 및 급기팬(226)을 운전시키면, 실외공기 흡입구(21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흡입구(213)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220)로 공급된다. 전열교환기(220)에서는, 공급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과 수분의 수수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 실내를 난방하고 있을 경우, 실내공기에 비해 실외공기가 저온이며 건조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전열교환기(220)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열과 수분이 실외공기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열교환기(220)에서 가열되는 동시에 가습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한편, 전열교환기(220)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또, 가습소자(221)에 수돗물 등을 공급하면, 전열교환기(220)를 통과하여 제 2 급기측 유로(218)를 흐르는 공기는, 가습소자(221)를 통과할 때에 가습되고 나서 급기구(2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여름철에 실내를 냉방하고 있을 경우는, 실내공기에 비해 실외공기는 고온이며 젖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전열교환기(220)에서는, 실외공기 중의 열과 수분이 실내공기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열교환기(220)에서 냉각되는 동시에, 제습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한편, 전열교환기(220)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결로를 제거하는 제어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조 시스템의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조습장치(20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나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속행시킨다.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가 저온고습 및 고온고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제습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하계(夏季) 운전을 실행한다.
또, 실외공기가 고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가습억제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습소자(221)의 가습량을 제어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과 거의 동일 효과를 발휘한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조습장치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조습장치(200)에 가열용 열교환기가 추가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도 5에 나타낸 제 1 조습장치(250)와, 도 1에 나타낸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와, 도 1에 나타낸 연동제어수단(3)으로 구성된다.
제 1 조습장치(250)는, 가습공기를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조습장치(10)와 마찬가지로, 입력수단과 제 1 가습운전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용 열교환기(223)는, 제 2 급기측 유로(218)의 급기팬(226)과 가습소자(221) 사이에 설치된다. 또, 가열용 열교환기(223)는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되며,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고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가열용 열교환기(223)를 구비하는 조습장치에서,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를 가습할 경우에는, 가습소자(221)로 수돗물이 공급되며, 가열용 열교환기(223)가 응축기가 된다. 이 경우, 전열교환기(220)를 통과하여 제 2 급기측 유로(218)를 흐르 는 공기는, 가열용 열교환기(223)를 통과할 때 가열되며, 이어서, 가습소자(221)를 통과할 때 가습되고 나서 급기구(214)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가열용 열교환기(223)를 구비하는 조습장치에서 전열교환기(220)를 건조시키기 위한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비교적 습도가 낮은 쪽만을 전열교환기(220)로 공급하고, 이로써 전열교환기(220)를 건조시킨다. 한편, 가습소자(221)를 건조시키기 위한 동작으로서, 가습소자(221)로부터 배수하는 동시에, 급기팬(226)만을 운전시키며 또 가열용 열교환기(223)에서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작이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케이싱(210) 내에 도입된 실외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223)에서 가열되고 나서 가습소자(221)를 통과하고, 이로써 가습소자(221)를 건조시킨다.
상기 제 1 조습장치(250)는, 연동제어수단(3)에 의해, 가습억제운전과 제습운전과 난방운전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습억제운전 및 상기 제습운전은 각각,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제 1 조습장치(200)에서의 가습억제운전 및 제습운전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난방운전은, 가열용 열교환기(223)를 운전시키는 한편, 가습소자(221)를 정지시키는 운전이다.
다음으로, 결로를 제거하는 제어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 공조 시스템의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조습장치(25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나 제 1 및 제 2 공조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를 실행시 킨다.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가 저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난방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용 열교환기(223)를 운전시켜 가습소자(221)를 정지시킨다.
또, 실외공기가 저온고습 및 고온고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제습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다.
또한, 실외공기가 고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가습억제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과 거의 동일 효과를 발휘한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1)과는 제 1 조습장치의 구성이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도 6에 나타낸 제 1 조습장치(300)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2 조습장치(20)와, 도 1에 나타낸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와, 도 1에 나타낸 연동제어수단(3)으로 구성된다.
제 1 조습장치(300)는, 가습공기를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조습장치(10)와 마찬가지로, 입력수단과 제 1 가습운전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조습장치(300)는, 직방체이며 중공의 케이싱(310)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310)은, 그 내부가 배기측 유로(315)와 급기측 유로(316)로 구획된다. 이 케이싱(310)에서는,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한쪽에 배기구(312)와 실외공기 흡입구(311)가 나열되어 개구되며, 다른 쪽에 실내공기 흡입구(313)와 급기구(314)가 나열되어 개구된다. 실내공기 흡입구(312)는 배기측 유로(315)의 입구단에, 배기구(312)는 배기측 유로(315)의 출구단에 각각 접속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311)는 급기측 유로(316)의 입구단에, 급기구(314)는 급기측 유로(316)의 출구단에 각각 접속된다.
케이싱(310) 내부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흡착소자(320)가 조습용 부재로서 설치된다. 흡착소자(320)는, 벌집형상으로 형성되어 두께방향으로 공기가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며, 통과하는 공기를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와 접촉시킨다. 흡착소자(320)는 배기측 유로(315)와 급기측 유로(316)의 양쪽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며,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구동된다.
케이싱(310) 내 배기측 유로(315)에서 흡착소자(320) 상류 쪽에는 가열기인 제 1 열교환기(321)가 설치되며, 흡착소자(320) 하류 쪽에는 배기팬(325)이 설치된다. 케이싱(310) 내 급기측 유로(316)에서 흡착소자(320) 상류 쪽에는 가열기인 제 2 열교환기(322)가 설치되며, 흡착소자(320) 하류 쪽에는 급기팬(326)이 설치된 다. 제 1 열교환기(321) 및 제 2 열교환기(322)는 각각, 통과하는 공기를 온수와 열교환 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조습장치(300)는, 연동제어수단(3)에 의해, 가습억제운전과 제습운전과 난방운전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습억제운전은, 제 2 열교환기(322)의 가습량을 제어하여, 실내로 공급될 가습량을 감소시키는 운전이다.
상기 제습운전은, 제 2 열교환기(322)에서 실외공기를 제습하고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제 1 열교환기(321)에서 실내공기에 수분을 방출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운전이다.
상기 난방운전은, 제 2 열교환기(322)를 운전시키면서 흡착소자(3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운전이다.
상기 제 2 조습장치(20)와 상기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는 각각,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정보의 입력에 의해, 제 1 조습장치(20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나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운전동작-
상기 조습장치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조습장치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을 전환하여 실행한다.
<제습운전>
제습운전 시에는, 제 1 열교환기(321)로 온수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322)가 휴지상태가 된다. 이 제습운전에서는, 흡착소자(320) 중, 급기측 유로(316)를 횡단하는 부분에 대한 흡착동작과, 흡착소자(320) 중 배기측 유로(315)를 횡단하는 부분에 대한 재생동작이 동시에 병행 실행된다.
급기팬(326)을 운전시키면, 실외공기 흡입구(311)로부터 급기측 유로(316)로 실외공기가 도입된다. 도입된 실외공기는, 휴지상태인 제 2 열교환기(322)를 통과한 후에 흡착소자(320)로 보내진다. 흡착소자(320)에서는, 통과하는 실외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흡착소자(320)에서 제습된 실외공기는 급기구(314)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배기팬(325)을 운전시키면, 실내공기 흡입구(313)로부터 배기측 유로(315)로 실내공기가 도입된다. 도입된 실내공기는, 제 1 열교환기(321)를 통과하는 사이에 가열되고 나서 흡착소자(320)로 보내진다. 배기측 유로(315)에는, 흡착소자(320) 중, 급기측 유로(316)를 횡단하는 사이에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이동해온다. 흡착소자(320)의 이 부분에 담지된 흡착제는 제 1 열교환기(321)로부터 공급된 실내공기에 의해 가열되며,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 실내공는, 배기구(312)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또, 흡착소자(320) 중, 배기측 유로(315)를 횡단하는 사이에 재생된 부분은, 급기측 유로(316)로 이동해간다.
<가습운전>
가습운전 시에는, 제 2 열교환기(322)로 온수가 공급되며, 제 1 열교환 기(321)가 휴지상태가 된다. 이 가습운전에서는, 흡착소자(320) 중, 배기측 유로(315)를 횡단하는 부분에 대한 흡착동작과, 흡착소자(320) 중, 급기측 유로(316)를 횡단하는 부분에 대한 재생동작이 동시에 병행 실행된다.
배기팬(325)을 운전시키면, 실내공기 흡입구(313)로부터 배기측 유로(315)로 실내공기가 도입된다. 도입된 실내공기는, 휴지상태인 제 1 열교환기(321)를 통과한 후에 흡착소자(320)로 보내진다. 흡착소자(320)에서는,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흡착소자(320)에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배기구(312)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급기팬(326)을 운전시키면, 실외공기 흡입구(311)로부터 급기측 유로(316)로 실외공기가 도입된다. 도입된 실외공기는, 제 2 열교환기(322)를 통과하는 사이에 가열되고 나서 흡착소자(320)로 보내진다. 급기측 유로(316)에는, 흡착소자(320) 중, 배기측 유로(315)를 횡단하는 사이에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이동해온다. 흡착소자(320)의 이 부분에 담지된 흡착제는 제 2 열교환기(322)로부터 공급된 실내공기에 의해 가열되며,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에서 탈리된 수분이 부여되어 가습된 실내공기는, 급기구(314)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또, 흡착소자(320) 중, 급기측 유로(316)를 횡단하는 사이에 재생된 부분은, 배기측 유로(315)로 이동해간다.
다음으로, 결로를 제거하는 제어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 공조 시스템의 연동제어수단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조습장치(30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나 제 1 및 제 2 공조기에는 가습운전을 속행시킨다.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가 저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난방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열교환기(322)를 운전시키면서 흡착소자(3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 실외공기가 저온고습 및 고온고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제습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제습운전을 실행한다.
또한, 실외공기가 고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가습억제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열교환기(322)의 가습량을 제어하여, 실내로 공급될 가습량을 감소시킨다.
-제 5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과 거의 동일 효과를 발휘한다.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1)과는 제 1 조습장치의 구성이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도 7에 나타낸 제 1 조습장치(400)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2 조습장치(20)와, 도 1에 나타낸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와, 도 1에 나타낸 연동제어수단(3)으로 구성된다.
제 1 조습장치(400)는 가습공기를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조습장치(10)와 마찬가지로, 입력수단과 제 1 가습운전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조습장치(400)는, 상기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기재한 조습장치(200, 250, 300)와 같이 직방체이며 중공의 케이싱에, 배기측 통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케이싱에서는,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한쪽에 실외공기 흡입구(411)가 개구되며, 다른 쪽에 급기구(412)가 개구된다.
케이싱 내부에는 가열용 열교환기(415)가 설치된다. 가열용 열교환기(415) 상류 쪽에는 가습소자(414)가 설치되며, 가열용 열교환기(415) 하류 쪽에는 급기팬(416)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조습장치(400)는, 연동제어수단(3)에 의해, 가습억제운전과 난방운전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습억제운전은, 가열용 열교환기(415)를 정지시키고, 가습소자(414)의 가습량을 제어하여, 실내로 공급될 가습량을 감소시키는 운전이다.
상기 난방운전은, 가열용 열교환기(415)를 운전시켜 가습소자(414)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 2 조습장치(20)와 상기 제 1 및 제 2 공조기(30, 40)는 각각,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발생정보의 입력에 의해, 제 1 조습장치(40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나 제 1 및 제 2 공조 기(30, 40)에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운전동작-
상기 조습장치의 가습운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급기팬(416)을 운전시키면, 실외공기 흡입구(411)로부터 실외공기가 도입된다. 도입된 실외공기는, 가열용 열교환기(415)를 통과 후에 가습소자(414)로 보내진다. 가습소자(414)에서 가습된 실외공기는, 급기구(41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결로를 제거하는 제어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조 시스템의 연동제어수단(3)은, 사용자의 입력조작에 의해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조습장치(40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는 한편, 제 2 조습장치(20)에는 가습운전을 속행시킨다.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가 저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난방운전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가열용 열교환기(415)를 운전시켜 가습소자(414)를 정지시킨다.
또, 실외공기가 고온저습일 경우, 연동제어수단(3)은 결로제거운전 모드로서 가습억제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용 열교환기(415)를 정지시키고, 가습소자(414)의 가습량을 제어하여, 실내로 공급될 가습량을 감소시킨다.
-제 6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과 거의 동 일 효과를 발휘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제 1 내지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변형예-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의 제 1 및 제 2 조습장치(10, 20)는 각각 냉매회로(100)와 2개의 흡착소자(111, 112)를 구비한다. 냉매회로(100)는, 압축기(101)와 응축기(102)와 팽창밸브(103)와 증발기(104)가 차례로 접속된 폐회로이다. 냉매회로(100)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면 증기압축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이 냉매회로(100)는 열원수단을 구성한다. 제 1 흡착소자(111) 및 제 2 흡착소자(112)는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구비하며, 각각 흡착부재를 구성한다. 또, 각 흡착소자(111, 112)에는 다수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이 공기통로를 통과할 때, 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반복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응축기(102)에서 가열된 공기를 제 1 흡착소자(111)로 공급하여 흡착제를 재생하는 한편, 제 2 흡착소자(112)에 수분을 빼앗긴 공기를 증발기(104)에서 냉각한다. 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동작 중의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응축기(102)에서 가열된 공기를 제 2 흡착소자(112)로 공급하여 흡착제를 재생하는 한편, 제 1 흡착소 자(112)에 수분을 빼앗긴 공기를 증발기(104)에서 냉각한다. 그리고 이 조습장치(10, 20)는 각각, 흡착소자(111, 112)를 통과할 때,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흡착소자(111, 112)를 통과할 때,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전환하여 실행한다.
-제 2 변형예-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의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조습유닛(150)을 구비한다. 이 조습유닛(150)은, 펠티어(Peltier) 소자(153)와, 한 쌍의 흡착핀(151, 152)을 구비한다. 흡착핀(151, 152)은 이른바 히트싱크 표면에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담지시킨 것이다. 이 흡착핀(151, 152)은 흡착부재를 구성한다. 펠티어소자(153)는, 그 한쪽 면에 제 1 흡착핀(151)이, 다른 쪽 면에 제 2 흡착핀(152)이 각각 접합된다. 펠티어 소자(153)에 직류를 흘리면, 2개 흡착핀(151, 152)의 한쪽이 흡열측이 되며, 다른 쪽이 방열측이 된다. 이 펠티어 소자(153)는 열원수단을 구성한다.
이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반복한다. 제 1 동작 중의 조습유닛(150)은, 방열측인 제 1 흡착핀(151)의 흡착제를 재생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한편, 흡열측인 제 2 흡착핀(152)의 흡착제에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또, 제 2 동작 중의 조습유닛(150)은, 방열측인 제 2 흡착핀(152)의 흡착제를 재생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한편, 흡열측인 제 1 흡착핀(151)의 흡착제에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그리고 이 조습장치(10, 20)는 각각, 조습유닛(150)을 통과할 때,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조습유닛(150)을 통과할 때,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전환하여 실행한다.
또, 상기 제 3 내지 제 6 실시형태에서 공조 시스템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도 된다.
제 1 조습장치(200, 250, 300, 400)가, 결로발생정보가 입력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을 실행하며, 제 1 공조기(30)가 결로제거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제 1 조습장치(200, 250, 300, 400) 및 제 1 공조기(30)가 결로제거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 특히 결로 제거에 유용하다.

Claims (10)

  1. 실내 페리미터 존(Perimeter zone)에 가습공기를 공급하여 가습하는 제 1 조습장치(10)와, 실내 인테리어 존(Interior zone)에 가습공기를 공급하여 가습하는 제 2 조습장치(20)를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결로발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11)과,
    상기 입력수단(11)으로부터의 결로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조습장치(10)에 대해 공급공기의 상대습도를 저하시켜 상기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며, 상기 제 2 조습장치(20)에 대해 상기 가습운전을 속행시키는 연동제어수단(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수단(3)은, 실외온도와 실외습도와 실내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로를 제거하는 운전모드는, 상기 결로발생정보 입력 전의 가습량보다 적은 가습량을 상기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부재와,
    상기 흡착부재를 적어도 가열하기 위한 열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와 접촉시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모드와, 상기 흡착부재로 덥혀진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모드를 적어도 행하는 한편,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상기 난방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부재와,
    상기 흡착부재를 적어도 가열하기 위한 열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와 접촉시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모드와, 상기 흡착제와 접촉시켜 제습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제습모드를 적어도 행하는 한편,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상기 제습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6. 실내를 가습하는 조습장치(10)와,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기(30)를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결로발생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11)과,
    상기 입력수단(11)으로부터의 결로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기(30)에 대해 실내 상대습도를 저하시켜 결로를 제거하는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며, 상기 조습장치(10)에 대해 가습운전을 속행시키는 연동제어수단(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습장치는, 실내 페리미터 존을 가습하는 제 1 조습장치(10)와, 실내 인테리어 존을 가습하는 제 2 조습장치(20)이며,
    상기 공조기는, 실내 페리미터 존을 냉난방하는 제 1 공조기(30)와, 실내 인테리어 존을 냉난방하는 제 2 공조기(40)이고,
    상기 연동제어수단(7)은, 상기 제 1 공조기(30)에 결로제거운전을 실행시키며, 상기 제 1 조습장치(10)와 상기 제 2 조습장치(20)와 상기 제 2 공조기(40)에는 결로발생정보 입력 시의 운전을 속행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냉방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운전 모드는, 상기 결로발생정보 입력 전보다 상기 페리미터 존을 덥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수단(7)은, 상기 조습장치(10)에 대해, 상기 결로발생정보 입력 전의 가습량보다 적은 가습량을 상기 페리미터 존으로 공급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KR1020077029470A 2005-05-30 2006-05-30 공조 시스템 KR20080014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8141A JP3992051B2 (ja) 2005-05-30 2005-05-30 空調システム
JPJP-P-2005-00158141 2005-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871A true KR20080014871A (ko) 2008-02-14

Family

ID=3748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470A KR20080014871A (ko) 2005-05-30 2006-05-30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29294A1 (ko)
EP (1) EP1895244A4 (ko)
JP (1) JP3992051B2 (ko)
KR (1) KR20080014871A (ko)
CN (1) CN100547311C (ko)
AU (1) AU2006253462B2 (ko)
WO (1) WO2006129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6657B2 (ja) * 2007-03-30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車両用除加湿装置
JP5103993B2 (ja) * 2007-04-06 2012-12-19 三菱樹脂株式会社 車両用除加湿装置
JP2009109145A (ja) * 2007-10-31 2009-05-21 Daikin Ind Ltd 空調システム
JP2009274587A (ja) * 2008-05-14 2009-11-26 Denso Corp 車両用除加湿装置
US20130048267A1 (en) * 2010-06-11 201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2085969A1 (ja) * 2010-12-22 2012-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調湿装置
JP5786646B2 (ja) * 2011-10-27 2015-09-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5375945B2 (ja) * 2011-12-28 2013-12-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温度および湿度の調整を行う空調システム
US9441844B2 (en) * 2012-03-14 2016-09-13 Daikin Industries, Ltd. Humidity controller
JP6732098B2 (ja) * 2017-03-01 2020-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7166677B (zh) * 2017-06-21 2020-02-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新风机及其的控制方法和装置
US20210222905A1 (en) * 2018-08-15 2021-07-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device, control device, air-condition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4475A (en) * 1979-06-04 1981-06-23 Dieter Rall Control apparatus for regulating building perimeter temperature change system
US4967568A (en) * 1988-03-25 1990-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method of operating an atmospheric cooling apparatus and atmospheric cooling apparatus
JPH0861751A (ja) * 1994-08-15 1996-03-08 Toshiba Corp 空調制御装置
US6186407B1 (en) * 1999-05-14 2001-0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umidity control based on an estimation using heating plant cycle, of inside window surface temperature
JP3596549B2 (ja) * 2003-03-10 2004-12-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05042993A (ja) * 2003-07-23 2005-02-17 Johnson Controls Inc 空気調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53462B2 (en) 2010-03-11
CN100547311C (zh) 2009-10-07
JP3992051B2 (ja) 2007-10-17
US20090229294A1 (en) 2009-09-17
AU2006253462A1 (en) 2006-12-07
EP1895244A1 (en) 2008-03-05
CN101184959A (zh) 2008-05-21
JP2006329600A (ja) 2006-12-07
EP1895244A4 (en) 2012-08-08
WO2006129646A1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4871A (ko) 공조 시스템
KR101201010B1 (ko) 조습장치
JP3864982B2 (ja) 空調システム
KR100959226B1 (ko) 공조 시스템
JP3624910B2 (ja) 調湿装置
KR100742074B1 (ko) 조습장치
US7905108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4525465B2 (ja) 空調システム
WO2006126572A1 (ja) 空調システム
WO2003046441A1 (fr) Regulateur d&#39;humidite
US20160146479A1 (en) Dehumidification device and dehumidification system
JP3891207B2 (ja) 調湿装置
WO2006126573A1 (ja) 空調システム
WO2006028167A1 (ja) 調湿装置
JP2005195285A (ja) 空気調和機
JP2004060954A (ja) 調湿装置
JP3649196B2 (ja) 調湿装置
JP2002018228A (ja) 調湿装置
JP2005140372A (ja) 空気調和装置
JP2005164220A (ja) 空気調和装置
JP2005188915A (ja) 調湿装置
JP2006329583A (ja) 換気装置
JP2005283075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