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187B1 -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187B1
KR100778187B1 KR1020000073608A KR20000073608A KR100778187B1 KR 100778187 B1 KR100778187 B1 KR 100778187B1 KR 1020000073608 A KR1020000073608 A KR 1020000073608A KR 20000073608 A KR20000073608 A KR 20000073608A KR 100778187 B1 KR100778187 B1 KR 100778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titch
stitches
sew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153A (ko
Inventor
가마노준
곤도다까시
시바따이따루
후나하시아끼히로
니시다유끼오
노무라에쯔조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648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620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34648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31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25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9324B2/ja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05B19/105Physical layout of switches or displays; Switches co-operating with the displa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9/00Hem-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70a)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80)이 형성된 경우, 봉합용 가봉을 설정함으로써, 단추 구멍(80)의 양측 부위에 걸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고, 그 후 휘감치기의 형성을 다시 한다. 그 후, 지그재그형 바늘땀(85) 중 단추 구멍(80)을 횡단하는 부위를 절단한다. 산형 가봉을 설정한 경우,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71a 내지 74a)에, 걸침용 바늘땀(187), 보강용 바늘땀(186), 걸침용 바늘땀(188), 보강용 바늘땀(185)을 이 순서로 연속적으로 봉제하고, 계속해서 휘감치기 바늘땀을 연속적으로 봉제한다. 직사각형 가봉이 설정된 경우에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에 선행하여, 복수개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86c, 88a 내지 288c)을 대략 루프형으로 복수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휘감치기 미싱, 조작 패널, 제어 장치, 천 이송 기구, 봉제 기구, 휘감치기 바늘땀, 지그재그형 바늘땀, 전방 바아택 바늘땀, 보강용 바늘땀

Description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HEMSTITCH SEWING MACHINE AND HEMSTITCH FORMING METHOD}
도1은 종래의 바늘땀 가공 방법에 있어서의 지그재그형 바늘땀과 보강용 바늘땀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휘감치기 미싱의 사시도.
도3은 휘감치기 미싱 주요부의 우측면도.
도4는 천 이송 기구의 사시도.
도5는 봉제 기구의 사시도.
도6은 단추 구멍 형성 기구의 사시도.
도7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계의 블록도.
도8은 조작 패널의 정면도.
도9는 복수의 변수를 나타내는 도표(1/4).
도10은 복수의 변수를 나타내는 도표(2/4).
도11은 복수의 변수를 나타내는 도표(3/4).
도12는 복수의 변수를 나타내는 도표(4/4).
도13은 휘감치기 바늘땀 형상을 도시하고, (a)는 각형, (b)는 방사형, (c)는 원형의 휘감치기 바늘땀의 도면.
도14는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의 플로우차트.
도15는 휘감치기 바늘땀의 평면도.
도16은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치수와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상·치수를 도시한 평면도.
도17은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의 평면도.
도18은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과 봉합 가봉의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평면도.
도19는 봉합 가봉의 지그재그형 바늘땀과 휘감치기 바늘땀의 평면도.
도20은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치수와, 봉합 가봉의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형상·치수를 도시한 평면도.
도21은 산형 가봉에 있어서의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봉제 도중)의 평면도.
도22는 산형 가봉에 있어서의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봉제 완료)의 평면도.
도23은 산형 가봉에 있어서의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과, 휘감치기 바늘땀의 평면도.
도24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치수와, 산형 가봉선의 형상·치수를 도시한 평면도.
도25는 산형 가봉의 변경 형태에 관한 복수의 변수를 나타내는 도표의 일부.
도26은 산형 가봉의 변경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의 평면도.
도27은 산형 가봉의 변경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과, 휘감치기 바늘땀의 평면도.
도28은 산형 가봉의 변경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의 평면도.
도29는 전방 바아택 바늘땀의 종류를 도시한 도표.
도30은 후방 바아택 바늘땀의 종류를 도시한 도표.
도31은 직사각형 가봉에 있어서의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 및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공정도이며, (a)는 직사각형 가봉의 1회째의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 (b)는 직사각형 가봉의 2회째의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 (c)는 직사각형 가봉의 3회째의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 (d)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
도32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치수와, 직사각형 가봉선의 형상·치수를 도시한 평면도.
도33은 직사각형 가봉의 변경 형태에 있어서의 걸침용 바늘땀과 휘감치기 바늘땀의 일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휘감치기 미싱
4 : 조작 패널
5 : 제어 장치
10 : 천 이송 기구
30 : 봉제 기구
70 : 휘감치기 바늘땀
71, 72 : 지그재그형 바늘땀
71a, 72a :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
73, 74 : 전방 바아택 바늘땀
73a, 74a :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
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 : 보강용 바늘땀
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 289a 내지 289c : 걸침용 바늘땀
본 발명은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휘감치기 미싱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기구와,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기구와, 천 이송 기구와 봉제 기구를 제어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을 포함하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제어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공 천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단추 구멍 형성 기구를 마련하고, 제어 장치에 의해 단추 구멍 형성 기구를 제어하고,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휘감치기 바늘땀의 내측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도록 한 것도 있다.
또한, 상기 봉제 기구는 기본적으로 바늘대와, 바늘대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부 실 공급원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이 장착되는 바늘과, 바늘대를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대 상하 이동 기구 및 좌우로 요동 구동하는 바늘대 요동 기구와, 바늘판(이송대)의 하측에 장착되고 하부 실이 감겨지는 보빈과,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는 바늘 부근에 있어서의 상부 실을 포착하여 보빈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실과 교락(交絡)시키는 실륜(絲輪) 포착기 등을 갖는다.
그런데, 휘감치기 미싱에 의해 가공 천에 형성되는 휘감치기 바늘땀(예를 들면, 각형의 휘감치기 바늘땀)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도15의 휘감치기 바늘땀(70)과 같이 통상 바아택 바늘땀(73, 74)의 폭은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보다도 넓고, 바아택 바늘땀(73, 74)의 대부분의 바늘땀 피치(바늘 낙하점으로부터 다음 바늘 낙하점까지의 거리; 예를 들어, 3.5 mm)는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바늘땀 피치(예를 들어, 1.5 mm)와 비교해도 길다.
이와 같이, 바아택 바늘땀의 대부분의 바늘땀 피치가 너무 길어서 바아택 바늘땀을 봉제할 때, 바아택 바늘땀 부근의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오그라들어 주름이 잡히기 쉽다. 즉,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신축성이 높은 소재나 천 두께가 얇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바아택 바늘땀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문제가 한층 더 현저해진다.
여기서, 바아택 바늘땀 부근의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오그라들어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바아택 바늘땀을 봉제할 때 천칭과 실 상태 조절기를 거 쳐서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작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바아택 바늘땀을 적당하게 조일 수 없게 된다.
또한, 니트 등의 기모(起毛)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바아택 바늘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바아택 바늘땀이 가공 천의 기모부의 하측으로 깊숙이 파고 들어가기 쉬워져서 바아택 바늘땀의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신축성이 높은 가공 천이나 천 두께가 얇은 가공 천에 휘감치기 바늘땀의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는 경우, 지그재그형 바늘땀 부근의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오그라들어 주름이 잡히기 쉽고,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지 못할 우려도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소54-38838호 공보에 기재된 바늘땀 가공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각각에,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301)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가공 천을 보강하고 나서, 지그재그형 바늘땀(302)을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301)을 형성하여 보강할 뿐이고,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대해서는 전혀 보강하도록 되어 있지 않으므로, 바아택 바늘땀 부근의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오그라들어 주름이 잡히기 쉽고,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또, 종래의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는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 후 또는 휘감 치기 바늘땀의 형성 도중에 있어서,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에 기초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의 내측(휘감치기 바늘땀의 좌우의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사이)에 커터를 하강시켜 단추 구멍을 형성한다.
그러나,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 도중에 하부 실이 소비된 경우 등에는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로 단추 구멍 형성 기구에 의해 단추 구멍이 형성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가공 천에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 형성 기구에 의해 단추 구멍이 형성된 경우, 그 후 가공 천에 아무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을 다시 행하면, 특히 단추 구멍의 양측 부위에 휘감치기 바늘땀의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할 때 가공 천이 움직이기 쉬운 경우도 있고,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오그라들어 주름이 잡히기 쉬우며, 단추 구멍도 폭방향으로 확장되기 쉬우므로,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할 수 없다.
그리고, 니트 등의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경우, 휘감치기 바늘땀이 가공 천의 기모부의 하측으로 파고 들어가기 쉬워 휘감치기 바늘땀의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 예정 부위에 천이나 종이 등을 중합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대책을 고려할 수 있지만, 작업 부하가 커지고 작업 능률도 저하되며 미관도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있어서,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의 바아택 바늘땀을 간단하고도 확실하며 또한 깨끗하게 형성하는 것, 바아택 바늘땀을 적당하게 조여서 형성 가능하게 하는 것,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형성하는 바아택 바늘땀의 미관을 좋게 하는 것,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를 보강하여 깔끔한 바아택 바늘땀을 형성 가능하게 하는 것, 가공 천에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이 형성된 경우라도, 그 후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형성하고,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형성하는 휘감치기 바늘땀의 미관을 좋게 하는 것 등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과, 가공 천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단추 구멍 형성 수단과,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동시에 단추 구멍 형성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의 내측에 단추 구멍을 형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 형성 수단에 의해 단추 구멍이 형성된 경우에, 단추 구멍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을 다시 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과, 가공 천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단추 구 멍 형성 수단과,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동시에 단추 구멍 형성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의 내측에 단추 구멍을 형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를 개시하기 전에,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있어서,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그 지그재그형 바늘땀 상에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과,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을 포함하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휘감치기 바늘땀의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전에, 그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 중 적어도 한 쪽에 바아택 바늘땀과 교차하는 지그재그형의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감치기 바늘땀의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전에, 그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에 바아택 바늘땀과 교차하는 지그재그형의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과,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을 포함하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에 선행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각각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양 단부 및 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을 대략 루프 형상으로 복수회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 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에 선행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각각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양 단부 및 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을 대략 루프 형상으로 복수회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가공 천에 예를 들어 도15의 각형의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내측에 단추 구멍(80)을 형성하는 소위 단추 구멍용 휘감치기 미싱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단, 도2의 전방과 좌측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휘감치기 바늘땀이나 단추 구멍 등의 부호에 대해서는 도15의 휘감치기 바늘땀(70)과 단추 구멍(80) 등의 부호를 인용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치기 미싱(M)에는 미싱 테이블(1)에 미싱 모터(2)와, 그 미싱 모터(2)를 포함하는 각 구동부(뒤에서 상세하게 기술함)를 기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페달(3)과,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상과 크기 등을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 등을 입력 설정하기 위한 조작 패널(4)과, 상기 각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장치(5) 등이 설치되어 있다.
휘감치기 미싱(M)은 헤드부(6)와 다리 기둥부(7)와 아암부(8)를 갖는 미싱 본체를 갖고, 그 미싱 본체에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 천을 전후로 이송하는 천 이송 기구(10)와,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기구(30)와, 가공 천에 단추 구멍(80)을 형성하는 커터(61)를 포함하는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가 설치되고, 제어 장치(5)에 의해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가 제어되어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하는 동시에,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가 제어되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내측에 단추 구멍(80)을 형성한다.
상기 천 이송 기구(1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대(11)와, 누름 다리(12)와, 스텝핑 모터(13) 등을 갖고, 가공 천을 누름 다리(12)로 이송대(11)에 가압한 상태에서 스텝핑 모터(13)에 의해 이송대(11)와 누름 다리(12)를 일체적으로 전후로 구동함으로써, 가공 천도 일체적으로 전후로 이송된다. 이송대(11)는 전후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 단부에 휘감치기 바늘땀(70) 및 단추 구멍(80)을 형성하기 위한 긴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6)의 상면 부분에 좌우 한 쌍의 안내판(14)이 끼워 넣어져 있고, 이들 안내판(14) 사이에 이송대(11)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어 있다.
이송대(11)의 후방 단부 하면측에 가동 부재(15)가 고정되고, 그 가동 부재(15)의 후방측에 전후로 긴 연결 로드(16)를 거쳐서 가동 부재(17)가 연결되고, 이 가동 부재(17)에 전방 단부에 천 누름부(12)를 부착한 누름 아암(18)의 후방 단부가 좌우 축심 주위에 피봇되어 있다. 누름 다리(12)는 압박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누름 아암(18)을 거쳐서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고, 예를 들어 페달(3)의 조작에 의해 천 누름부(12)의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연결 로드(16)는 가동 부재(15, 17)의 좌측 단부에 삽입 관통형으로 고정되어 연장되고, 가동 부재(15, 17)의 전후 양측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19)을 거쳐서 미싱 프레임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연결 로드(16)의 우측에 전후로 긴 로드(20)가 미싱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이 로드(20)에 가동 부재(17)의 우측 단부가 베어링(17a)을 거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어 있다.
스텝핑 모터(13)의 출력축에 구동 풀리(13a)가 고착되고, 구동 풀리(13a)의 후방에 종동 풀리(도시 생략)가 미싱 프레임에 피봇되고, 이들 양 풀리에 무단형 벨트(21)가 걸쳐져 있다. 이 벨트(21)의 일부에 가동 부재(17)가 고정되고, 스텝핑 모터(13)가 구동되면 벨트(21)를 거쳐서 가동 부재(15, 17)와 이송대(11)와 누름 다리(12)가 전후로 일체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봉제 기구(30)는 도3,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대(31)와, 바늘대(31)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실 블록 등의 상부 실 공급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이 장착되는 바늘(32)과, 바늘대(31)를 상하로 왕복 구동하는 바늘대 상하 이동 기구(33) 및 좌우로 요동 구동하는 바늘대 요동 기구(34)와, 이송대(11)의 하측에 장착되고 하부 실이 감겨지는 보빈(도시 생략)과, 이송대(11)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는 바늘(32) 부근에 있어서의 상부 실을 포착하여 보빈으로부터 연신하는 하부 실과 교락시키는 실륜 포착기(도시 생략) 등을 갖는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대 상하 이동 기구(33)에 있어서는 아암부(8)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늘대 다이(35)에 바늘대(31)가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바늘대(31)에 바늘대 클램프(36)가 고정되어 있다. 바늘대(31)의 후방측에 바늘대 연결 로드(37)가 배치되고, 그 상단부(37a)가 연직면 내의 원(C)을 따라서 원 운동하도록 미싱 모터(2)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 축(38)에 연결되고, 바늘대 연결 로드(37)의 하단부(37b)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슬라이딩 블록(39, 4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늘대 클램프(36)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으로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안내홈(36a)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36a)에 전방측의 슬라이딩 블록(39)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 어 있다.
바늘대 클램프(36)의 후방부에는 바늘대 연결 로드 안내부(41)가 배치되고, 이 바늘대 연결 로드 안내부(41)에 형성된 수직홈(41a)에 후방측의 슬라이딩 블록(40)이 결합하여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그리고, 바늘대 다이(35)의 측면에 평판 형상의 바늘대 안내부(42)가 고정되고, 이 바늘대 안내부(42)에 형성되어 바늘대(31)를 따라서 연신하는 긴 구멍(42a)에 바늘대 클램프(36)의 좌측부로부터 돌출한 돌기(36b)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늘대 상하 이동 기구(33)에서는 미싱 모터(2)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상부 축(38)으로부터 바늘대 연결 로드(37)에 가해지는 힘을 슬라이딩 블록(39)과 바늘대 클램프(36)를 거쳐서 바늘대(31)에 전달하고, 그에 의해서 바늘대(31)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바늘대 요동 구동 기구(34)에 있어서는 바늘대 다이(35)의 후방측에 요동 레버(45)가 배치되고, 이 요동 레버(45)의 하단부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블록(46)이 바늘대 다이(35)의 하단 전방부에 결합되어 있다. 요동 레버(45)의 상단부에 스텝핑 모터(47)의 출력축(47a)이 내측으로 끼워져 고착되고, 스텝핑 모터(47)로부터 요동 레버(45)에 가해지는 힘을 슬라이딩 블록(46)과 바늘대 다이(35)를 거쳐서 바늘대(31)에 전달하고, 그에 의해서 바늘대(31)를 좌우로 요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15의 각형의 휘감치기 바늘땀(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은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1)과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을 갖고, 그리고 그 전방 단부에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을 갖고, 후방 단부에 후방 바아택 바늘땀(74)을 갖는다. 또한, 통상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시에는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일부,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1), 후방 바아택 바늘땀(74),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나머지 부분의 순서로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길이 a 내지 e 등을 조작 패널(4)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61), 커터 홀더(62), 커터 부착축(63), 커터 작동 아암(64), 커터 구동용 솔레노이드(65) 등을 갖는다. 커터 부착축(63)의 하단부에 커터 홀더(62)가 배치되고, 그 커터 홀더(62)에 커터(61)가 나사못(62a)으로 고정되어 있다. 커터 작동 아암(64)은 후방 단부측이 상방으로 굴곡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방향 중앙부가 피봇축(64a)을 거쳐서 미싱 프레임에 좌우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터 작동 아암(64)의 전방단 부분은 스프링 부재(66)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고, 커터 작동 아암(64)의 전방 단부가 커터 부착축(63)의 상부에 연결되며, 커터 작동 아암(64)의 후방 상단부가 커터 구동용 솔레노이드(65)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플런저(65a)에 링크(67)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커터 구동용 솔레노이드(65)의 플런저(65a)를 돌출/후퇴시킴으로써, 커터 작동 아암(64)과 커터 부착축(63)을 거쳐서 커터(61)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 구동용 솔레노이드(65)는 플런저(65a)를 돌출 방향 및 후퇴 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양방향 솔레 노이드이므로, 스프링 부재(66)는 커터 부착축(63)으로부터 커터(61)에 이르는 기구의 중량을 보상할 정도의 것이면 되고,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휘감치기 미싱(M)의 제어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는 CPU(5a)와 R0M(5b)과 RAM(5c)을 주요부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페달(3)의 조작 상태에 따른 기동 스위치(3a)로부터의 신호나 조작 패널(4)로부터의 신호 등이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5d)와, 미싱 모터(2), 스텝핑 모터(13, 47), 커터 구동용 솔레노이드(65)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를 거쳐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조작 패널(4)에도 표시 상태 등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5e)를 구비하고, 이들을 버스(5f)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R0M(5b)에는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 등의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처리 프로그램과, 복수의 변수에 기초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데이타와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를 연산하는 데이타 연산 처리 프로그램과, 봉제 데이타와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천 이송 기구(10), 봉제 기구(30),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이 격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5)는 예를 들어 도17과 같이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70a)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에 의해 단추 구멍(80)이 형성된 경우에,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구멍(80)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85)(봉합 가봉)을 형성하고 나서,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을 다시 하도록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설정 처리 프로그램은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 등을 설정 처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타 연산 처리 프로그램은 이들 변수에 기초하여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봉제 데이타를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예를 들어 도15의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73, 74)을 포함하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 전에, 도21,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바아택 바늘땀(73, 74)과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산형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를 각각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연속적으로 형성(산형 가봉)하도록,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설정 처리 프로그램은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 등을 설정 처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타 연산 처리 프로그램은 이들 변수에 기초하여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봉제 데이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예를 들어 도31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에 선행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각각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이동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의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을 대략 루프 형상으로 복수회(예를 들어 3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직사각형 가봉)하도록,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설정 처리 프로그램은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의 갯수를 포함하는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 등을 설정 처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타 연산 처리 프로그램은 이들 변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의 봉제 데이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패널(4)에 대하여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조작 패널(4)의 중앙에 휘감치기 미싱(M)의 현재의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4개의 LED(90)와 「SELECT」키이(91)가 배치되고, 조작 패널(4)의 좌측 단부 부근에 이상(異常)에 대한 대처 후에 휘감치기 미싱(M)을 재설정하기 위한 「RESET」 키이(92), 커터(61)를 프로그램에 의하지 않고 구동하기 위한 「CUTTER 0N」키이(93), 2자릿수의 7세그멘트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94), 「PROGRAM N0」키이(95)가 배치되고, 조작 패널(4)의 우측 부분에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LED(96),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LED(97), 4자릿수의 7세그멘트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98), 업다운 키이(99), 「ENTER」키이(100)가 설치되어 있다.
「SELECT」키이(91)에 의해 통상의 봉제를 행하기 위한 오토(AUTO) 모드와, 실제로 바늘(32)을 하강시켜 봉제를 행하지 않고 단순히 바늘 낙하점의 변화만을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피드(TESTFEED) 모드와,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은 풀리를 회전시켜서 수동으로 봉제를 행하기 위한 매뉴얼(MANUAL) 모드와,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PROGRAM) 모드로 택일적으로 절환할 수 있고, 이 모드의 절환에 따라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대응하는 LED(90)가 점등된다.
프로그램 모드가 설정되면, 도9 내지 도12의 복수의 변수(지그재그부의 회전수, 휘감치기 바늘땀 형상, 커터 치수, …) 중 하나에 대응하는 번호가 표시부(94)에 표시되고, 그 변수의 현재의 설정값이 표시부(98)에 표시된다. 표시부(94)에 표시되는 번호는 「PROGRAM N0」키이(95)에 의해 순환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임의의 번호를 표시부(94)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업다운 키이(99)에 의해 표시부(98)에 표시되는 변수의 설정값을 증감시켜 변경하고, 「ENTER」키이(100)에 의해 재설정(확정)할 수 있다.
각 변수의 설정값에 대하여, 예를 들어 전원 투입후 변수의 증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R0M(5b)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값(디폴트값)이 유효하다. 또, 업다운 키이(99)의 1회의 누름 조작에 의해 변수마다 설정되어 있는 증감량(단 계)만큼 증감된다. 또한, 프로그램 모드 이외의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표시부(98)에 각종 메세지가 표시되고, 표시부(94)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변수의 번호가 표시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변수로서 내용란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부의 회전수, 휘감치기 바늘땀 형상, 커터 치수, 커터 다량 낙하시의 지그재그형 봉제 길이, 지그재그형 피치, … 등이 있고, 각 변수에 대응된 번호가 조작 패널(4)의 표시부(94)에 표시되는 번호이다. 각 변수(예를 들어, 번호 「04」의 지그재그형 피치)에 대해서는 설정 범위(0.20 내지 2.00 mm) 내에서 설정할 수 있고, 그 설정을 행할 때 조작 패널(4)의 업다운 키이(99)의 1회의 누름 조작으로 1단계(0.05 mm)분만큼 증감시킨다. 또한, 각 변수의 초기값(번호 「04」의 지그재그형 피치에는 0.35 mm)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의 R0M(5b)에 복수의 변수의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 범위 데이타와 단계 데이타와 초기값 데이타가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번호 「01」의 휘감치기 바늘땀 형상에 대해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각형과, (b) 방사형과, (c) 환형과,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복수의 임의 형태가 있고, 휘감치기 바늘땀 형상을 설정하는 경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모드로 절환하고 나서, 표시부(94)에 「01」을 표시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어 표시부(98)에 「0」을 표시시키면 (a)의 각형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15의 a는 번호 「02」의 커터 치수, b는 번호 「04」의 지그재그형 피치, c는 번호 「05」의 지그재그형 폭, d는 번호 「20」의 전방 바아택 길이, e는 번호 「30」의 후방 바아택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가봉하기 위한 복수의 변수로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호 「45」의 봉합 가봉 횟수, 번호「46」의 산형 가봉 횟수, 번호「47」의 직사각형 가봉 횟수, …, 번호 「54」의 가봉 바아택 Y 바늘수(산형 가봉시에만 유효)가 있고, 이들 변수의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 범위 데이타와 단계 데이타와 초기값 데이타가 제어 장치(5)의 R0M(5b)에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도9 내지 도12의 복수의 변수 중, 도11의 번호 「45」 내지 「54」의 변수 이외의 변수의 대부분, 구체적으로는 번호 「01」 내지 「11」, 「20」 내지 「23」, 「30」 내지 「33」, 「40」 내지 「44」, 「55」 내지 「58」, 「63」 내지 「67」의 변수가 제어 장치(5)에 대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이하, 단추 구멍 바늘땀 변수라고 함)이다.
또한, 변수 「45」는 봉합 가봉의 설정에 대한 변수이며,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봉제를 행하는 경우에는 번호 「45」의 봉합 가봉 횟수를 (1)로 설정하고,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변수 「45」를 (1)로 설정하고 봉합 가봉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구체적으로는, 번호 「02」, 「05」, 「07」, 「20」, 「22」, 「30」의 변수)와 번호 「49」 내지 「52」의 변수가 제어 장치(5)에 대하여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이하, 가봉선 변수라고 함)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가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된다.
한편, 변수 「46」은 산형 가봉의 설정에 대한 변수이며,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가봉을 행하는 경우에는 번호 「46」의 산형 가봉 횟수를 (1)로 설정하고,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변수 「46」을 (1)로 설정하여 산형 가봉을 행하는 경우에는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구체적으로는, 번호 「02」, 「05」, 「07」, 「20」, 「22」, 「30」의 변수)와 도11의 번호 「49」 내지 「54」의 변수가 제어 장치(5)에 대하여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이것이 가봉선 변수에 상당함)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이 경우에도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가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된다.
그리고, 변수 「47」은 직사각형 가봉의 설정에 대한 변수이며, 각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있어서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과, 각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있어서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의 가봉을 행하는 경우, 번호 「47」의 직사각형 가봉 횟수를 (2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번호 「47」의 직사각형 가봉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 또, 도31의 (a) 내지 (d)에서는 번호 「47」의 직사각형 가봉 횟수를 (3)으로 설정하고, 각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있어서 3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각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있어서 3개의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의 가봉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변수 「47」에 (0) 이외의 수를 설정하고 직사각형 가봉을 행하는 경우에는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구체적으로는, 번호 「02」, 「05」, 「07」, 「20」, 「22」, 「30」의 변수)와 번호 「47」, 「49」 내지 「52」의 변수가 제어 장치(5)에 대하여 상기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이하, 가봉선 변수라고 함)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이 경우에도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가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5)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에 대하여 도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어떠한 가봉도 행하지 않고, 도15의 각형의 휘감치기 바늘땀을 봉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휘감치기 미싱(M)의 전원 투입과 동시에 이 제어가 개시되고, 우선 초기 설정(S1)이 행해진 후, 변수 설정 처리(S2)가 행해진다. 이 변수 설정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전원 투입 직후에는 도9 내지 도12의 복수의 변수에 R0M(5b)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값이 설정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복수의 변수의 설정값을 변경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지 않도록, 번호 「45」의 봉합 가봉 횟수를 (0)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그 밖의 가봉을 행하지 않기 위해서도 번호 「46」의 산형 가봉 횟수 및 번호 「47」의 직사각형 가봉 횟수를 (0)으로 설정한다.
다음에,「ENTER」키이(100)가 조작되어 변수의 설정이 종료되면(S3; 예), 복 수의 변수의 설정값이 판독되고(S4), 이들 설정값에 기초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데이타(바늘 낙하 데이타)가 연산되고(S5), 커터(61)를 하강시키는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가 연산되고(S6), 이들 데이타는 RAM(5c)에 기록된다.
S5 및 S6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봉제 데이타 및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가 작성된다.
여기서,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는 도16과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에 기초하여 규정되어 있다. 또, 도면의 a는 커터 치수 「02」, b는 지그재그형 피치 「04」, f는 커터 X 스페이스 「06」, c는 지그재그형 폭 「05」, d는 전방 바아택 길이 「20」, e는 후방 바아택 길이 「30」, g는 전방 바아택 피치 「21」, h는 후방 바아택 피치 「31」, i는 커터 Y 스페이스 「07」, j는 지그재그형 폭 「05」+ 전방 바아택 폭 보정 「22」, k는 지그재그형 폭 「05」+ 후방 바아택 폭 보정 「32」로 규정된다.
또, 원점 위치(0, 0)가 휘감치기 바늘땀의 전방 단부 중앙에 규정되고, 바늘 낙하 방향으로 X축, 천 이송 방향으로 Y축을 갖는 직교 좌표계를 가정한다. y 좌표가 0 내지 d인 영역이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이고, y 좌표가 d 내지 (d + a + 2i)인 영역이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이며, y 좌표가 (d + a + 2i) 내지 (d + a + 2i + e)인 영역이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이다.
따라서,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1)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커터 구멍 형성 예정부(71a)의 좌측 단부(x 좌표 : - f/2) 상과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 부(71a)의 좌측 단부(x 좌표 : - f/2 - c) 상에, 교대로 y 방향으로 피치(b)로서 나란히 형성되도록 작성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커터 구멍 형성 예정부의 우측 단부(x 좌표 : f/2) 상과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2)의 우측 단부(x 좌표 : f/2 + c) 상에, 교대로 역시 y 방향으로 피치(b)로서 나란히 형성되도록 작성된다.
또, 후방 바아택부(74)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의 좌측 단부(x 좌표 : - f/2 - k) 상과 우측 단부(x 좌표 : f/2 + k) 상에, 교대로 y 방향으로 피치(h)로서 나란히 형성되도록 작성된다.
그리고, 전방 바아택부(73)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의 좌측 단부(x 좌표 : - f/2 - j) 상과 우측 단부(x 좌표 : f/2 + j) 상에, 교대로 y 방향으로 피치(g)로서 나란히 형성되도록 작성된다.
또한, 커터 낙하 위치를 나타내는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는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의 데이타 중, 커터 구멍 형성 예정부의 우측 단부(x 좌표 : f/2) 상의 바늘땀 위치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바늘이 해당 커터 구멍 형성 예정부의 우측 단부에 이를 때마다 커터가 구동되어 구멍이 형성되게 된다.
계속해서, 페달(3)이 답입 조작되면(S7; 예), RAM(5c)에 기억되어 있는 봉제 데이타에 기초하여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가 구동 제어되어 봉제 처리(S8)가 실행된다. 또한, 몇 번째 바늘땀인지 앞까지의 봉제 데이타를 연산하면서 봉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봉제 데이타를 전부 연산하고 나서 봉제 처리를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그 후, RAM(5c)에 기억되어 있는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에 기초하여, 이송되는 가공 천에 대하여 커터(61)가 양측에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을 형성한 단계에서 커터 낙하 위치에 이르면, 봉제가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나서(S10),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에 의해 커터(61)가 하강 구동되어(S1l), 단추 구멍(80)이 형성된다. 또, 커터(61)의 구동 위치라 함은,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의 형성 중 또는 형성 종료 직후의 소정 위치가 된다.
그 후, 봉제 종료가 아닐 때는(Sl2; 아니오), S7로 복귀하고, 페달(3)이 답입 조작되고 있을 때는(S7; 예), S8의 봉제 처리에 있어서 봉제가 재개되고,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가 종료되면(S12; 예), S2로 복귀한다.
상기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도15의 휘감치기 바늘땀(70)이 형성된다.
그런데,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 도중에 하부 실이 소비된 경우 등에는, 예를 들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 천에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70a)이 형성된 상태에서 단추 구멍(80)이 형성되어 버린다.
이 경우에는 봉제가 종료되어 있으므로, 또는 강제 종료시킴으로써, S2의 변수 설정 처리로 이행하고, 그곳에서 단추 구멍(80)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가봉)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을 다시 하도록 변수의 설정 처리를 다시 행할 수 있다.
즉, 이번의 변수의 설정 처리(S2)에서는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번호 「45」의 봉합 가봉 횟수를 (1)로 변경하여 재설정한다. 또, 번호 「46」 내지 「52」 의 변수의 설정값을 초기값으로부터 설정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여 재설정해도 좋다. 또한, 이 때, 번호 「45」 내지 「54」 이외의 변수의 설정값을 변경하여 재설정할 수는 있지만, 단추 구멍(80)은 이미 형성되어 있으므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특히 크기에 관한 변수의 설정값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도 그렇게 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변수의 설정 처리(S2) 후, 「ENTER」키이(100)가 조작되어 변수의 설정이 종료되면(S3; 예), 번호 「45」 내지 「52」의 복수의 변수의 설정값이 판독되고(S4), 다음에 S5에서는 봉합 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가봉선 변수에 상당하고, 번호 「45」 내지 「52」의 복수의 변수와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를 포함함)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도18의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봉제 데이타가 연산된다. 또, 도19의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데이타에 대해서는 상기 연산된 봉제 데이타가 사용되고, S6에서는 상기 연산된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봉제 데이타에 대해서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점 부근의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형성 예정부로부터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성을 개시하고, 단추 구멍(80)에 따라서 후방 바아택 바늘땀(74)의 형성 예정 부위를 반복하여 왕복형으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여 상기 봉제 개시점에서 종료하는 봉제 데이타에 연산된다.
여기에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피치는 휘감치 기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미리 결정된 정수(이 예에서는 8)로 나누어 구한다.
따라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좌측단부 상과 휘감치기 형성 예정부의 우측단부 상에, 교대로 y 방향으로 피치[이 예에서는 (d + a + 2i + e)/8]로서 나란히 형성하도록 작성된다.
또,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좌측단부의 x 좌표는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에서는 - f/2 - c, 후방 바아택 형성 예정부(74a)에서는 - f/2 - k, 전방 바아택 형성 예정부(73a)에서는 - f/2 - j가 된다. 또한, 휘감치기 형성 예정부의 우측단부의 x 좌표는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2a)에서는 f/2 + c, 후방 바아택 형성 예정부(74a)에서는 f/2 + k, 전방 바아택 형성 예정부(73a)에서는 f/2 + j가 된다.
또,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바늘땀 데이타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이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의 조금 내측에 형성되도록 작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영역 내에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함으로써, 휘감치기 바늘땀으로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덮어 가릴 수 있다.
계속해서, 페달(3)이 답입 조작되면(S7; 예), S8의 봉제 처리에서는 우선 RAM(5c)에 기억되어 있는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봉제 데이타에 의거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점 부근으로부터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성을 개시하고, 단추 구멍(80)에 따라서 왕복형으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여 상기 봉제 개시점에서 종료하도록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구동 제어하 고, 도18의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한다.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성 후, 페달(3)이 답입 조작되면(S7; 예), RAM(5c)에 기억되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데이타에 의거하여,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가 구동 제어되어 봉제 처리(S8)가 실행되고, 도19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이 다시 행해진다. 다시 행해진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 후, 지그재그형 바늘땀(85) 중 단추 구멍(80)을 횡단하는 부위를 절단하기 위해,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에 의거하여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의 커터(61)를 구동 제어한다.
상기 봉합 가봉을 행하는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 도중에 하부 실이 소비된 경우 등, 가공 천에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70a)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에 의해 단추 구멍(80)이 형성된 경우에, 제어 장치(5)에 의해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가 제어되고, 단추 구멍(80)의 양측 부위에 걸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을 다시 할 수 있다.
즉, 가공 천에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70a)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80)이 형성된 경우라도, 가공 천에 휘감치기 바늘땀(70)[특히, 휘감치기 바늘땀(70) 중 단추 구멍(80)의 양측 부위에 형성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형성을 다시 할 때,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고 나서 행함으로써, 가공 천의 요동을 방지하여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추 구멍(80)도 폭 방향으로 확장하기 어렵게 되어, 최종적으로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70)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천이 니트 등의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인 경우에는 지그재그형 바늘땀(85)에 의해 가공 천의 기모부를 어느 정도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그 부분에 있어서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이 가공 천의 기모부의 하측으로 파고 들어가기 어려워져, 다시 행해진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미관이 한층 더 좋아진다.
다시 행해진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 후, 제어 장치(5)에 의해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가 제어되고,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내측에 커터를 낙하시킴으로써 지그재그형 바늘땀(85) 중 단추 구멍(80)을 횡단하는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즉,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지그재그형 바늘땀(85) 중 단추 구멍(80)을 횡단하는 부위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단추 구멍(80)을 확실하게 열 수 있게 된다.
제어 장치(5)는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하여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할 때에,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점 부근의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형성 예정부로부터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성을 개시하고, 단추 구멍(80)에 따라서 후방 바아택 바늘땀(74)의 형성 예정 부위를 되접어 왕복형으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여 상기 봉제 개시점에서 종료하도록 하였으므로, 단추 구멍(80)의 길이 방향 대략 전체 영역을 걸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성 후도 연속적으로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할 수 있다.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가봉선 변수 ; 번호「49」내지「52」의 변수 등)를 설정할 수 있지만,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상기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를 상기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하므로, 가봉선 변수의 새롭게 설정되는 설정수를 저감하여 설정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휘감치기 바늘땀(70)에 대응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상과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봉합 가봉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상기 휘감치기 미싱(M)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5)에 의해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를 개시하기 전에, 단추 구멍(80)의 형성 예정부의 양측 부위에 걸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처음부터 번호「45」의 봉합 가봉 횟수를 (1)로 설정하는 동시에, 휘감치기 바늘땀(70) 및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변수를 설정하여, 페달(3)을 답입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 후, 단추 구멍 형성 기구(60)가 제어되고,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내측의 단추 구멍의 형성 예정부에 커터를 낙하시킴으로써, 지그재그형 바늘땀(85) 중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를 횡단하는 부위를 절단하는 동시에, 단추 구멍(8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추 구멍(80)의 형성 예정부의 양측 부위에 걸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는 단계가 제1 단계에 상당하고, 그 지그재그형 바늘땀(85) 상에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하는 단계가 제2 단계에 상당한다.
이로써, 지그재그형 바늘땀(85)에 의해 가공 천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천 오그라듦 등을 방지하여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하는 데 유리해지고, 가공 천이 니트 등의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인 경우, 지그재그형 바늘땀(85)에 의해 가공 천의 기모부를 어느 정도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그 부분에 있어서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이 가공 천의 기모부의 하측으로 파고 들어가기 어려워져,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2)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페달(3)을 계속 답입하면, 단추 구멍(80)의 양측 부위에 걸친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을 형성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을 연속적으로 다시 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휘감치기 바늘땀(70)과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의 선택과 봉제를 독립적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3) 여러가지의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와,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 나아가서는 여러가지의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그 중에서 원하는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와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와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를 선택 설정하여, 천 이송 기구, 봉제 기구, 단추 구멍 형성 기구를 구동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4) 지그재그형 바늘땀(85)은 좌우 교대로 바늘땀을 형성하는 2점 지그재그형 바늘땀에 한정되는 일 없이, 공지의 3점 지그재그형 바늘땀이나 4점 지그재그형 바늘땀 등, 각종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 복수의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준비해 두고, 변수 결정에 의해 원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15의 각형 휘감치기 바늘땀(70)을 봉제하기 전에, 도22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형성하는 산형 가봉을 행하는 경우의 제어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변수 설정 처리(S2; 도14)에서는 보강용 바늘땀(185, 186)의 가봉을 행하기 위해, 번호「46」의 산형 가봉 횟수를 (1)로 설정한다. 또한, 번호「48」내지「54」의 변수의 설정치에 대해서도 설정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값으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 밖의 가봉을 행하지 않기 위해, 번호「45」의 봉합 가봉 횟수와 번호「47」의 직사각형 가봉 횟수에 대해서는 (0)으로 설정한다.
이로 인해, S5에서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크기와 형상을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에 의거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데이타가 연산되는 동시에, 번호「45」 내지「54」의 복수의 변수와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가봉선 변수에 의거하여,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봉제 데이타가 연산된다.
여기에서, S5에 있어서는 우선, 도21,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침용 바늘땀(187), 보강용 바늘땀(186), 걸침용 바늘땀(188), 보강용 바늘땀(185)을 이 순서로 봉제하도록 봉제 데이타가 연산되고, 계속해서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일부,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1), 후방 바아택 바늘땀(74),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나 머지 부분을 이 순서로 봉제하도록 봉제 데이타가 연산된다. 즉,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봉제 데이타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점 부근으로부터 봉제를 개시하여 봉제 개시점에서 봉제를 종료하는 봉제 데이타에 연산된다.
여기에서,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침용 바늘땀(187, 188) 사이의 거리, 및 보강용 바늘땀(186, 185)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좌우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부(71a, 72a)에 있어서의 폭에 대한 소정의 비율로 결정된다.
또한, 보강용 바늘땀(186, 185)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각각 대응하는 전방 바아택 길이(d)의 소정 비율 및 후방 바아택 길이(e)의 소정 비율로서 구할 수 있다.
또, 전후의 보강용 바늘땀(186, 185)의 피치는 전후의 보강용 바늘땀(18b, 18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를, 미리 결정된 정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즉, 걸침용 바늘땀(187)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x 좌표 : - f/2 - c·(소정 비율)인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 상에, 가봉질 피치「49」에서 차례로 늘어서도록 작성된다.
마찬가지로, 걸침용 바늘땀(188)의 데이타도 바늘땀이 x 좌표 : f/2 + c·(소정 비율)인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 상에, 가봉질 피치「49」에서 차례로 늘어서도록 작성된다.
또한, 보강용 바늘땀(186)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x 좌표 : - f/2 - c·(소정 비율)과 x 좌표 : f/2 + c·(소정 비율) 사이에 있어서, 보강용 바늘땀(18) 형성 예정부의 전방단부(y 좌표 : d + a + 2i) 상과 후방단부[y 좌표 : d + a + 2i + e·(소정 비율)] 상에, 교대로 x 방향으로 피치[예를 들어, (2·c·(소정 비율) + f)/8]로서 늘어서도록 작성된다.
마찬가지로, 보강용 바늘땀(185)의 데이타는 바늘땀이 x 좌표 : - f/2 - c·(소정 비율)과 x 좌표 : f/2 + c·(소정 비율) 사이에 있어서, 보강용 바늘땀(185) 형성 예정부의 후방단부(y 좌표 : d) 상과 전방단부[y 좌표 : d - d·(소정 비율)] 상에, 교대로 x 방향으로 피치[예를 들어, [2·c·(소정 비율) + f)/8]로서 늘어서도록 작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 비율은 1보다 작은 수(예를 들어, 0.8 등)이며, 미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산형 가봉선은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예정부 내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S8에서는 도21, 도22,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침용 바늘땀(187), 보강용 바늘땀(186), 걸침용 바늘땀(188), 보강용 바늘땀(185), 휘감치기 바늘땀(70)[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1), 후방 바아택 바늘땀(74),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순으로 연속적으로 봉제가 행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S5, S6의 후, 페달(3)이 답입 조작되면(S7; 예), S8의 봉제 처리가 행해지고, 도21 내지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형 가봉선(185 내지 188)이 형성된다. 그 후, 페달(3)이 답입 조작되면(S7; 예), 봉제 처리(S8)가 다 시 실행되고, 도23과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이 형성되고, 또한 단추 구멍(80)이 형성된다(S11).
상기 산형 가봉을 행하는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5)에 의해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가 제어되고,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바아택 바늘땀(73, 74)의 형성 예정부(73a, 74a)에, 바아택 바늘땀(73, 74)과 교차하는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고 나서, 그 보강용 바늘땀(185, 186) 상에 바아택 바늘땀(73, 7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공 천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가 보강용 바늘땀(185, 186)에 의해 보강되므로, 그 보강용 바늘땀(185, 186) 상에 바아택 바늘땀(73, 74)을 형성할 때, 바아택 바늘땀(73, 74) 부근의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주름이 잡히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바아택 바늘땀(73, 74)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바아택 바늘땀(73, 74)을 적절하게 조여서 형성 가능해지며, 특히 신축성이 높은 소재나 천 두께가 얇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바아택 바늘땀(73, 74)을 형성하는 경우에 유효해진다.
게다가, 가공 천이 니트 등의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인 경우에는 보강용 바늘땀(185, 186)에 의해 가공 천의 기모부를 어느 정도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그 부분에 있어서는 바아택 바늘땀(73, 74)이 가공 천의 기모부의 하측으로 파고 들어가기 어려워져, 바아택 바늘땀(73, 74)의 미관이 한층 더 좋아진다.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기 때문 에, 그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바아택 바늘땀(73, 74)으로 덮어 가릴 수 있으므로, 바아택 바늘땀(73, 74)의 양호한 미관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수(가봉선 변수: 번호「49」 내지「54」의 변수)를 설정할 수 있지만,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상기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를 상기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하므로, 가봉선 변수를 새롭게 설정하는 설정수를 저감하여 설정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휘감치기 바늘땀(70)에 대응하는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형상과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을 절단하는 일 없이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의 형성 작업을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형성을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개시점 부근으로부터 개시하여 봉제 개시점에서 종료하도록 하기 위해,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후, 휘감치기 바늘땀(70)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산형 가봉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1)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바아택 바늘땀(73, 74)을 형성하기 전에,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형성하지 않고, 바아택 바늘땀(73, 74)의 형성 예정부(73a, 74a)에 바아택 바늘땀(73, 74)과 교차하는 보강용 바늘땀(185, 186)만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바아택 바늘땀(73, 74)을 비연속적으로 봉제해도 좋다.
2) 상기 설명에서는 페달(3)을 계속 답입하면,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형성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을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의 봉제와,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를 독립적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3) 상기 설명에서는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형성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보강용 바늘땀(185)(또는 186)의 형성 후, 그 보강용 바늘땀(185)(또는 186) 상에 연속적으로 바아택 바늘땀(73)(또는 74)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4) 여러가지의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 또는 여러가지의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를 미리 기억해 두고, 그 중에서 원하는 휘감치기 바늘땀과 보강용 바늘땀과 걸침용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와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를 선택 설정하여, 천 이송 기구, 봉제 기구, 단추 구멍 형성 기구를 구동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5) 산형 가봉의 다른 변경예
다음에, 산형 가봉의 다른 변경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변경예에서는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바아택 바늘땀(73, 74)을 형성하기 전에,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지 않은 모드에 더하여,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의 양쪽에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는 제1 모드와, 도26(또는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또는 74a)에만 보강용 바늘땀(185)(또는 186)을 형성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모드인 때, 제어 장치(5)는 상기 설명한 산형 가봉과 마찬가지로 도21,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185, 186)과,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를 각각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모드로서는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 중,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에만 보강용 바늘땀(186)을 형성하는 경우(도26 참조)와,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에만 보강용 바늘땀(185)을 형성하는 경우(도28 참조) 중 어떠한 방법이든 설정할 수 있다.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에만 보강용 바늘땀(186)을 형성하도록 설정한 경우, 도26,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는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에 형성되는 보강용 바늘땀(186)과,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 정부(73a)를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걸침용 바늘땀(110)과,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를 각각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한다.
또한,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에만 보강용 바늘땀(185)을 형성하도록 설정한 경우,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는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에 형성되는 보강용 바늘땀(185)과,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를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걸침용 바늘땀(111)과,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를 각각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를 제어한다.
그로 인해,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호「46」의 변수로서, 상기 산형 가봉의「산형 가봉 횟수」대신에,「산형 가봉」의 변수(보강 바늘땀용 변수에 상당함)가 마련되고, 제어 장치(5)의 R0M(5b)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이「산형 가봉」의 변수를 조작 패널(4)을 이용하여 설정하고, 제1, 제2 모드 등에 택일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번호「46」이외의 복수의 변수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도9 내지 도12의 복수의 변수와 마찬가지이다.
즉,「산형 가봉」의 변수에 대해, 가공 천에 휘감치기 바늘땀(70)을 봉제하기 전에,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0)을 설정하고, 후방 바아택 측에만 보강용 바늘땀(186)을 형성하는 경우(도26 참조)에는 (1)을 설정하고, 전방 바아택 측에만 보강용 바늘땀(185)을 형성하는 경우(도28 참조)에는 (2)를 설정하고, 전후 양 바아택 측에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는 경우(도22 참조)에는 (3)을 설정한다.
「산형 가봉」의 변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변수의 설정 후, 제어 장치(5)의 R0M(5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 연산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에 의거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데이타가 연산되는 동시에,「산형 가봉」의 변수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즉 제1 또는 제2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가봉선 변수에 의거하여 보강용 바늘땀을 포함하는 가봉용의 봉제 데이타가 연산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5)에 의해 이들 봉제 데이타에 의거하여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가 제어되어, 예를 들어「산형 가봉」의 변수가 (1)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침용 바늘땀(187), 보강용 바늘땀(186), 걸침용 바늘땀(188), 걸침용 바늘땀(110)의 순으로 봉제가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계속해서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가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1), 후방 바아택 바늘땀(74),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순으로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그런데,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에는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시와 봉제 종료시에 백택이 행해지지만, 이들 백택의 바늘땀에 더하여 보강용 바늘땀(185)이 형성되면 바늘땀수(바늘 낙하수)가 많아지므로, 그 후 전방 바 아택 바늘땀(73)를 형성할 때에 바늘 흐름 중단(바늘이 바늘땀에 간섭하여 만곡하고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로 낙하하지 않는 현상)이나 바늘 구부러짐이 발생하거나, 바아택 바늘땀(73)의 미관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이 변경예의 휘감치기 미싱에 따르면,「산형 가봉」의 변수를 (1)로 설정(제2 모드로 설정)하여, 백택이 형성되지 않은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에만 보강용 바늘땀(186)을 성형할 수 있고, 이로써 전방 바아택 바늘땀 예정부(73a)에 형성되는 바늘땀수를 억제하고,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을 형성할 때의 바늘 흐름 중단이나 바늘 구부러짐을 방지하고, 게다가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을 깔끔하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2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 실을 절단하는 일 없이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에 형성되는 걸침용 바늘땀(110)[또는 보강용 바늘땀(185)],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에 형성되는 보강용 바늘땀(186)[또는 걸침용 바늘땀(111)],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187, 188)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보강용 바늘땀(185)(또는 186)의 형성 작업을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용 바늘땀(185)(또는 186)과 걸침용 바늘땀[110(또는 111), 187, 188]의 형성을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점 부근으로부터 개시하여 봉제 개시점에서 종료하도록 하기 위해, 가봉 후, 휘감치기 바늘땀(70)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바아택 바늘땀의 종류로서 각형, 방사형, 원형, 흐름형, 직선형이 있으며,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바아택 바늘땀의 종류로서 각형, 방사형, 원형, 아일릿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임의형의 휘감치기 바늘땀에 대해, 도13의 (a) 내지 (c)의 휘감치기 바늘땀 이외에, 도29의 전방 바아택 바늘땀과 도30의 후방 바아택 바늘땀의 조합에 의해 복수 종류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양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을 각형으로 한 것이 도13의 (a), 방사형으로 한 것이 도13의 (b), 원형으로 한 것이 도13의 (c)의 휘감치기 바늘땀이다.
그런데,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에 따라서도, 그에 대응하는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는 것이 유효한 경우와 유효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특히, 도29의 복수 종류의 전방 바아택 바늘땀 중 방사형과 직선형, 또한 도30의 복수 종류의 후방 바아택 바늘땀 중 방사형과 아일릿형에 대해서는 그 바늘땀의 적어도 일부가 휘감치기 바늘땀(70)의 길이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지 않아도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을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굳이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여 전방 바아택 바늘땀의 미관을 나쁘게 할 필요는 없다.
본 변경예에 따르면, 전방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과 후방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 등에 따라서,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지 않든지, 혹은 후방 바아택 측에만 보강용 바늘땀(186)을 형성하든지, 혹은 전방 바아택 측에만 보강용 바늘땀(185)을 형성하든지, 혹은 전후 양 바아택 측에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든지 어떻게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5)가 도29의 전방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과 도30의 후방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에 따라서,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지 않든지, 혹은 후방 바아택 측에만 보강용 바늘땀(186)을 형성하든지, 혹은 전방 바아택 측에만 보강용 바늘땀(185)을 형성하든지, 혹은 전후 양 바아택 측에 보강용 바늘땀(185, 186)을 형성하든지 어떻게든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바아택 바늘땀이 방사형과 직선형인 때에는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에 보강용 바늘땀(185)을 형성하지 않도록, 또한 후방 바아택 바늘땀이 방사형과 아일릿형인 때에는 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에 보강용 바늘땀(186)을 형성하지 않도록 자동 설정된다.
또한 이 경우, 보강 바늘땀용 변수(번호「46」의 산형 가봉)에 자동 설정용의 설정 항목(예를 들어, 4)을 마련하고, 이 설정 항목으로 설정한 경우에만 전방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과 후방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에 따라서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이와 같이 변수를 설정하여 자동 설정하도록 하지 않아도 좋다. 즉, 번호「46」의 산형 가봉의 변수의 설정에 의해,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보강용 바늘땀이 형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바아택 바늘땀의 형상(방사형 등)의 경우에는 그 설정을 무효로 하여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절환되도록 해도 좋다.
기타, 이미 기재된 산형 가봉의 변형예 1) 내지 4)를 본 변경예 5)에 응용해도 좋다.
다음에,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 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에 선행하여 도3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 2세트(계 6개)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3개 2세트(계 6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가봉을 행하는 경우의 제어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변수 설정 처리(S2; 도14)에서는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의 가봉을 행하기 위해, 번호「47」의 직사각형 가봉 횟수를 (3)으로 설정한다. 또한, 번호「48」내지「52」의 변수의 설정치에 대해서도, 설정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값으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 밖의 가봉을 행하지 않기 위해, 번호「45」의 봉합 가봉 횟수와 번호「46」의 산형 가봉 횟수에 대해서는 (0)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S5에서는 휘감치기 바늘땀의 크기와 형상을 규정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에 의거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데이타가 연산되는 동시에, 번호「47」내지「52」의 복수의 변수와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가봉선 변수에 의거하여,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의 봉제 데이타가 연산되어 RAM(5c)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S5에 있어서는 우선,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의 폭 방향 중앙과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의 길이 방향 중앙에, 보강용 바늘땀(285a), 걸침용 바늘땀(286a), 보강용 바늘땀(287a), 걸침용 바늘땀(288a)을 이 순서로 봉제하고[도31의 (a) 참조], 다음에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와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 중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측 부근(예를 들어,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로부터 0.5mm인 위치)에, 보강용 바늘땀(285b), 걸침용 바늘땀(286b), 보강용 바늘땀(287b), 걸침용 바늘땀(288b)을 이 순서로 봉제하고[도31의 (b) 참조], 마지막으로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와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 중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측과 반대측 단부 부근(예를 들어, 상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0.5㎜인 위치)에, 보강용 바늘땀(285c), 걸침용 바늘땀(286c), 보강용 바늘땀(287c), 걸침용 바늘땀(288c)을 이 순서로 봉제하도록[도31의 (c) 참조], 봉제 데이타가 연산된다.
여기에서, 보강용 바늘땀(285a)의 전방의 백택을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점 부근으로부터 봉제를 개시하고, 걸침용 바늘땀(288c)의 봉제를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 개시점에서 종료하는 봉제 데이타에 연산된다.
또한,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의 봉제 데이타의 연산에 계속해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일부, 좌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1), 후방 바아택 바늘땀(74), 우측 지그재그형 바늘땀(72), 전방 바아택 바늘땀(73)의 나머지 부분을 이 순서로 봉제하도록[도31의 (d) 참조], 봉제 데이타가 연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사각형 바늘땀 데이타는 바늘땀이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과 x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을 교대로 작성하도록 작성된다. 여기에서, y 방향으로 신장되는 직선의 x 좌표 위치 및 x 방향으로 신장되는 직선의 y 좌표 위치를 직사각형 가봉 횟수와 가봉선 변수와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로부터 구한다.
즉, 예를 들어 직사각형 가봉 횟수(3)에 대하여, 1회째의 루프를 작성하는 4개의 직선(285a, 286a, 287a, 288a) 중, 좌측 y 방향 직선(285a)은 x 좌표(- f/2 -C/2) 상을 신장하고, 우측 y 방향 직선(287a)은 x 좌표(f/2 + c/2) 상을 신장하고, 후방측 x 방향 직선(286a)은 y 좌표(d + a + 2i + e/2) 상을 신장하고, 전방측 x 방향 직선(288a)은 y 좌표(d/2) 상을 신장한다.
2회째의 루프를 작성하는 4개의 직선(285b, 286b.287b, 288b) 중, 좌측 y 방향 직선(285b)은 x 좌표(- f/2 - c/4) 상을 신장하고, 우측 y 방향 직선(287b)은 x 좌표(f/2 + c/4) 상을 신장하고, 후방측 x 방향 직선(286b)은 y 좌표(d + a + 2i + e/4) 상을 신장하고, 전방측 x 방향 직선(288b)은 y 좌표(3d/4) 상을 신장한다.
3회째의 루프를 작성하는 4개의 직선(285c, 286c, 287c, 288c) 중, 좌측 y 방향 직선(85c)은 x 좌표(- f/2 - 3C/4) 상을 신장하고, 우측 y 방향 직선(287c)은 x 좌표(f/2 + 3c/4) 상을 신장하고, 후방측 x 방향 직선(286c)은 y 좌표(d + a + 2i + 3e/4)상을 신장하고, 전방측 x 방향 직선(288c)은 y 좌표(d/4) 상을 신장한다.
그리고, 바늘땀 데이타는 바늘땀이 각 직선 상에 있어서 가봉질 피치「49」에서 차례로 늘어서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S8에서는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각각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형성되는 3개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형성되는 3개의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이 대략 루프형으로 3회 계속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도31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는 3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이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각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는 3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이 바아택 바늘땀(73, 74)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S5, S6의 후, 페달(3)이 답입 조작되면(S7; 예), S8의 봉제 처리가 행해지고, 도31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가봉선(285 내지 288)이 형성된다. 그 후, 페달(3)이 답입 조작되면(S7; 예), 봉제 처리(S8)가 다시 실행되고, 도31의 (d)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이 형성되고, 단추 구멍(80)이 형성된다(S11).
상기 직사각형 가봉을 행하는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5)에 의해 천 이송 기구(10)와 봉제 기구(30)가 제어되고,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에 선행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각각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쓸데없는 바늘땀을 형성하는 일 없이, 대략 루프형으로 복수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각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형성하므로,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를 넓은 범위에서 보강할 수 있고, 그 보강 후,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2a, 72a)에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을 형성할 때,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 부근의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오그라들어 주름이 잡히기 어려워져 깔끔한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각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에 의해,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를 넓은 범위에서 대략 균등하게 보강할 수 있어, 깔끔한 지그재그형 바늘땀(70)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유효해진다.
특히,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형성하므로,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73a, 74a)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그 봉제 동작도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미싱의 부하가 경감한다.
즉, 도1의 종래의 경우에는 단추 구멍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좌우의 보강용 바늘땀(301)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봉제 동작은 비연속적 이 되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았다. 따라서, 봉제 동작의 시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미싱의 부하가 커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봉제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함으로써 미싱의 부하가 경감되고 있다.
게다가,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를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에서 보강할 수 있으므로, 그 보강 후,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바아택 바늘땀(73, 74)을 형성할 때, 바아택 바늘땀(73, 74) 부근의 가공 천이 실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오그라들어 주름이 잡히기 어려워져 깔끔한 바아택 바늘땀(73, 74)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을 이동시킨 바늘땀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를 넓은 범위에서 보강할 수 있어 깔끔한 지그재그형 바늘땀(70)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해진다.
조작 패널(4)을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가봉선 변수를 설정하여 휘감치기 바늘땀(70)의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를 설정하여 원하 는 형상과 크기의 휘감치기 바늘땀(7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를 상기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하므로, 가봉선 변수를 새로이 설정하는 설정수를 저감하여 설정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에 대응하는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의 형상과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73, 74)으로 각각 덮어 가릴 수 있다. 또한, 가공 천이 니트 등의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에 의해, 가공 천의 기모부를 상당히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바아택 바늘땀(73, 74)이 가공 천의 기모부의 하측으로 파고 들어가기 어려워져 바아택 바늘땀(73, 74)의 미관을 한층 더 좋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직사각형 가봉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1)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에 선행하여, 예를 들어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에 형성되는 3개의 걸침용 바늘땀(289a 내지 289c) 중, 1개의 걸침용 바늘땀(289a)을 바아택 바늘땀과 교차하는 산형 바늘땀을 포함하는 바늘땀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2개의 걸침용 바늘땀(289b, 289c)을 문형의 바늘땀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4a)를 보다 확실하게 보강할 수 있어 깔끔한 지그재그형 바늘 땀(70)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유효해진다.
또한,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을 산형 바늘땀을 포함하는 바늘땀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방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에 형성되는 3개의 걸침용 바늘땀 중, 적어도 1개의 걸침용 바늘땀(289a)을 바아택 바늘땀과 교차하는 산형 바늘땀을 포함하는 바늘땀으로 형성해도 좋다.
2)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시에, 그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에 선행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각각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형성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직선형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 74)에 각각 형성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을 대략 루프형으로 복수회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3) 각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71a, 72a)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에 대해서는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형성하면 좋고, 지그재그형 바늘땀(71, 72)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4)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의 형성 순서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의 도31의 (a) 내지 (c)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을 대략 루프형으로 복수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여러가지의 순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5) 각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73a, 74a)에, 복수개의 걸침용 바늘땀(288a 내지 288c, 286a 내지 286c)을 이동시키지 않고 한데 뭉친 상태로 형성해도 좋다.
6) 상기 설명에서는 페달(3)을 계속 밟으면,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0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을 형성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70)의 형성을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의 봉제와, 휘감치기 바늘땀(70)의 봉제를 독립적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7) 여러가지의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데이타,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S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6a 내지 286c, 288a 내지 288c)의 봉제 데이타, 또한 여러가지의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를 미리 기억해 두고, 그 중에서 원하는 휘감치기 바늘땀(70)과 보강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과 걸침용 바늘땀(285a 내지 285c, 287a 내지 287c)의 봉제 데이타와 커터 구동 위치 데이타를 선택 설정하여 천 이송 기구, 봉제 기구, 단추 구멍 형성 기구를 구동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8) 상기 설명에서는 보강용 바늘땀(285a, 287a)과 걸침용 바늘땀(286a, 288a)으로 이루어지는 제1 루프와, 보강용 바늘땀(285b, 287b)과 걸침용 바늘땀(286b, 288b)으로 이루어지는 제2 루프와, 보강용 바늘땀(285c, 287c)과 걸 침용 바늘땀(286c, 288c)으로 이루어지는 제3 루프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이들 제1 내지 제3의 루프를 서로 불연속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단, 각 루프를 형성하는 보강용 바늘땀(285, 287)과 걸침용 바늘땀(286, 288)은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상기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여러가지의 변경을 부가한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휘감치기 미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천 이송 기구와 봉제 기구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미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또한, 천 이송 기구에 있어서는 X 방향(전후 방향)으로만 천을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X 방향과 다른 Y 방향(좌우 방향)으로도 천을 이송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바늘땀 형성 방법은 휘감치기 바늘땀의 내측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제어 수단에 의해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행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천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단추 구멍 형성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미싱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의하면,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의 바아택 바늘땀을 간단하고도 확실하며 또한 깨끗하게 형성할 수 있고, 바아택 바늘땀을 적당하게 조여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형성하는 바아택 바늘땀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를 보강하여 깔끔한 바아택 바늘땀을 형성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천에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이 형성된 경우라도, 그 후 깔끔한 휘감치기 바늘땀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기모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공 천에 형성하는 휘감치기 바늘땀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Claims (24)

  1.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과, 가공 천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단추 구멍 형성 수단과,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동시에 단추 구멍 형성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의 내측에 단추 구멍을 형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결함이 있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추 구멍 형성 수단에 의해 단추 구멍이 형성된 경우에, 단추 구멍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고 나서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을 다시 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할 때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 개시점 부근부터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형성을 개시하고, 단추 구멍을 따라서 왕복 형상으로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여 상기 봉제 개시점에서 종료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다시 행하여진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성후, 지그재그형 바늘땀 중 단추 구멍을 횡단하는 부위를 절단하기 위해서 단추 구 멍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가봉선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가봉선 변수 설정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 설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들 휘감치기 바늘땀 변수의 일부를 상기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6.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과, 가공 천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단추 구멍 형성 수단과,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동시에 단추 구멍 형성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의 내측에 단추 구멍을 형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휘감치기 바늘땀의 봉제를 개시하기 전에,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7.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있어서,
    단추 구멍 형성 예정부의 양측 부위에 걸치는 지그재그형 바늘땀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그 지그재그형 바늘땀 상에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8. 삭제
  9.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과,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과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을 포함하는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휘감치기 미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휘감치기 바늘땀의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전에, 그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 중 적어도 한 쪽에 바아택 바늘땀과 교차하는 지그재그형의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보강용 바늘땀을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의 양 쪽에 형성하는 제1 모드와 한 쪽에만 형성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택일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일 때, 제어 수단은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용 바늘땀과,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를 각각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일 때, 제어 수단은 한 쪽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에 형성되는 보강용 바늘땀과, 다른 쪽 바아택 바늘땀 형성 예정부를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걸침용 바늘땀과, 한 쌍의 지그재그형 바늘땀 형성 예정부를 각각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침용 바늘땀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천 이송 수단과 봉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제1, 제2 모드로 택일적으로 설정할 때 보강 바늘땀용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보강 바늘땀용 변수 설정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보강용 바늘땀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가봉선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가봉선 변수 설정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휘감치기 바늘땀의 형상과 크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단추 구멍 바늘땀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단추 구멍 바늘땀 변수 설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들 단추 구멍 바늘땀 변수의 일부를 상기 가봉선 변수로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
  15. 삭제
  16. 삭제
  17. 가공 천을 이송하는 천 이송 수단과,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봉제 수단을 제어하여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감치기 바늘땀의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전에, 그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에 바아택 바늘땀과 교차하는 지그재그형의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용 바늘땀의 형성 후, 그 보강용 바늘땀 상에 연속적으로 바아택 바늘땀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휘감치기 바늘땀의 한 쌍의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 중, 백택 봉제가 형성되지 않은 후방 바아택 바늘땀의 형성 예정부에만 보강용 바늘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00073608A 1999-12-06 2000-12-06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KR100778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46484 1999-12-06
JP34648299A JP2001162069A (ja) 1999-12-06 1999-12-06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縫目形成方法
JP34648499A JP3503132B2 (ja) 1999-12-06 1999-12-06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形成方法
JP1999-346482 1999-12-06
JP1999-346483 1999-12-06
JP34648399 1999-12-06
JP2000-62517 2000-03-07
JP2000062517A JP4389324B2 (ja) 1999-12-06 2000-03-07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縫目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153A KR20010062153A (ko) 2001-07-07
KR100778187B1 true KR100778187B1 (ko) 2007-11-27

Family

ID=2748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608A KR100778187B1 (ko) 1999-12-06 2000-12-06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78187B1 (ko)
CN (3) CN100587148C (ko)
DE (1) DE10060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773A (ja) * 2001-09-20 2003-04-02 Juki Corp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DE10238708A1 (de) * 2002-08-23 2004-03-04 Dü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CN1924145B (zh) * 2005-08-29 2011-02-16 兄弟工业株式会社 圆头锁眼缝纫机的切布装置
JP2007125361A (ja) * 2005-10-06 2007-05-2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制御装置
JP4770537B2 (ja) * 2006-03-23 2011-09-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JP2007252740A (ja) * 2006-03-24 2007-10-04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
JP2010220928A (ja) * 2009-03-25 2010-10-07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及び縫製パラメータの算出方法
CN106467996A (zh) * 2015-08-21 2017-03-01 卞海兵 手工缝纫锁翻边针脚轨道
CN109956022A (zh) * 2017-12-26 2019-07-02 东莞前沿技术研究院 缝纫方法、缝合结构和浮空器
CN107988717A (zh) * 2017-12-30 2018-05-04 申洲针织(安徽)有限公司 一种自动切断的花边加工装置
CN113017163B (zh) * 2021-03-31 2022-09-16 内蒙古鄂尔多斯资源股份有限公司 针织带的封口方法、针织带和针织衫
DE102022200761B3 (de) 2022-01-24 2023-05-17 Dürkopp Adler GmbH Verfahren zum Nähen einer Riegelnaht im Bereich eines Endes einer Stoffbah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865A (ja) * 1994-01-10 1995-08-01 Tokuo Takahashi 刺しゅう部へのかがり穴の形成方法及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186B2 (ja) * 1992-06-29 2001-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865A (ja) * 1994-01-10 1995-08-01 Tokuo Takahashi 刺しゅう部へのかがり穴の形成方法及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60583A1 (de) 2001-06-07
CN1308157A (zh) 2001-08-15
KR20010062153A (ko) 2001-07-07
CN1532318A (zh) 2004-09-29
CN1532319A (zh) 2004-09-29
CN1193125C (zh) 2005-03-16
CN100587148C (zh) 2010-02-03
CN1532319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41B1 (ko) 상하 이송 재봉기
KR100778187B1 (ko) 휘감치기 미싱 및 휘감치기 바늘땀 형성 방법
JP2019005502A (ja) ミシン
KR20060063735A (ko) 차동 이송 재봉기
JP5925603B2 (ja) ミシン
JP2007195806A (ja) 自動玉縁縫いミシン
JP7139999B2 (ja) 表示装置とミシン
JP2000300874A (ja) ボタン孔ミシン
JP6232894B2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JP3847955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05130888A (ja) 自動縫製装置
JP4220882B2 (ja) 自動縫製ミシン
JP2012165849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糸切り方法
JP2006158650A (ja) ミシン
JP4121848B2 (ja) 差動送りミシン
JPH0426450A (ja) 止め縫いデータ作成装置
JP3503132B2 (ja)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形成方法
JP4299935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03164679A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4389324B2 (ja)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縫目形成方法
JP2001162069A (ja)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縫目形成方法
JP2006272011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6318525B2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JP3627543B2 (ja) 止め縫いデータ作成装置
JP4598315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