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104B1 -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 - Google Patents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104B1
KR100720104B1 KR1020060035492A KR20060035492A KR100720104B1 KR 100720104 B1 KR100720104 B1 KR 100720104B1 KR 1020060035492 A KR1020060035492 A KR 1020060035492A KR 20060035492 A KR20060035492 A KR 20060035492A KR 100720104 B1 KR100720104 B1 KR 10072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lider
support
bear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239A (ko
Inventor
테츠야 나루세
카즈히로 이이다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2Elastic or yielding linear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082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the motor being of the slotted 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Abstract

슬라이더(14)가 가이드 기구(24)를 통해 실린더 튜브(12)의 가이드부(38a,38b) 상에서 축선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기구(24)의 제1베어링지지부재(86)와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일측의 지지부(70a)의 사이에 제1탄성부재(152)가 개재된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에 설치되는 베어링(72)은 상기 가이드부(38a)를 향하여 계속적으로 압압된다. 상기 가이드부(38b)와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타측의 지지부(70b) 사이의 제2탄성부재(154)를 경유해서 제2베어링지지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에 설치되는 베어링(72)은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38b)를 향해 압압된다.
실린더 장치, 가이드

Description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GUIDE MECHANISM FOR CYLINDE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기구가 적용된 실린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의 축선방향으로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를 부분적으로 생략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의 벨트 가이드 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의 가이드 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의 슬라이더를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Ⅶ-Ⅶ선을 따른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Ⅷ-Ⅷ선을 따른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Ⅸ-Ⅸ선을 다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Ⅹ-Ⅹ선을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이드 기구를 가지는 실린더 장치를 도시하는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 메인바디에 대해 실린더 장치의 변위부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안내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와 같은 실린더 장치는 자재를 운송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된다. 이러한 로드리스 실린더는 실린더 메인바디 내에서 변위할 수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피스톤 요크를 가진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자재를 운송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의 변위에 의해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의 축선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술한 로드리스 실린더의 경우, 각각의 부재의 치수분산에 기안한 갭이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서 특정의 상태에서 나타나고, 여기서, 상기 갭은 예를 들어, 슬라이더,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각가의 부재가 조립될 때, 각 부재의 치수분산에 기인한다. 이러한 경우, 헐거움 또는 백래시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를 따라 변위할 때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슬라이더에서 발생되는 상술한 백래시를 회피할 수 있는 가이드 기구가 설치된 실린더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린더 장치는 피스톤에 연결되고, 실린더 튜브(2)에 삽입되는 피스톤 요크(3)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튜브(2)의 상면(2a)은 그 높이가 상기 실린더 튜브(2)의 대략 중심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점차 낮아져서 경사지고, 슬릿(4)이 그 사이에 개재된다.
슬라이더(5)와 나합되는 스크류(6a)에 의해 상기 실린더 장치(1)의 폭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제1슬라이딩부재(7)는 상기 실린더 튜브(2)의 상면(2a)과 상기 슬라이더(5)의 저면(5a)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제2슬라이딩부재(8)가 상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실린더 튜브(2)의 하측부와 상기 슬라이더(5)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7,8)는 상기 실린더 튜브(2)의 상면(2a)과 상기 슬라이더(5)의 저면(5a)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5)가 축선방향으로 변위될 때 베이링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7,8)는 상기 스크류(6a,6b)의 나사회전을 통해 상기 실린더 장치(1)의 폭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변위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7,8)는 상기 실린더튜브(2)의 상면(2a)과 상기 슬라이더(5)의 저면(5a)과 맞접해서, 예정(豫定)된 압력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튜브(2)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5)의 백래시를 회피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튜브(2)와 슬라이더(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그 사이의 갭을 제거할 수 있다.(일본공개특허 2002-349509)
일본공개특허 2002-349509에 개시된 상기 실린더 장치(1)의 가이드 기구는 상기 실린더 튜브(2)와 상기 슬라이더(5)에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7,8)에 의해 가해지는 압압력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7,8)는 폭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작용하는 상기 스크류(6a,6b)의 회전량(예를 들어, 조임토크)의 조절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7,8)의 각각의 변위량, 즉 상기 실리더 튜브(2)와 상기 슬라이더(5)에 가해지는 압압력은 상기 스크류(6a,6b)의 회전에 의해 갑자기 변화할 수 있음이 예측된다.
그러므로, 베이링으로써 작용하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7,8) 각각이 상기 실린더 튜브(2)와 상기 슬라이더(5)에 대한 예정된 압압력에 의해 압압될 때, 바람직한 압압력을 제공하는 좁은 조절범위 만이 가능하고, 결과의 재현성은 쉽게 얻어질 수 없다. 또한, 숙련된 기술을 가지는 작업자가 조절작업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2), 상기 슬라이더(5),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요크(3)와 같은 각각의 부재의 치수분산은 몇몇 경우에 실제의 실린더 장치(1)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실린더 장치(1)의 조립작업이 완료된 후에, 각각의 실린더 장치(1)의 갭을 조절하기 위해 수행되는 조절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실린더 장치(1)에 발생되는 갭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상기 스크류(6a,6b)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절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상기 각각의 실린더 장치(1)에 수행되어야 하는 조절작업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장치(1)의 생산효율이 상당히 향상되지 못한다.
상기 실린더 장치(1)가 오랜기간 사용되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 재(7,8)에 의해 위치관계의 조절 및 고정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상기 슬라이더(5)에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7,8)가 상기 실린더 튜브(2)와의 계속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닳거나 마멸되서, 상기 슬라이더(5)와 상기 실린더 튜브(2)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튜브(2)와 상기 슬라이더(5)의 사이에서 갭이 다시 발생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백래시가 생겨난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편리한 조절 메커니즘에 의해 변위부재의 백래시를 피할 수 있고, 그리하여 변위부재의 원활한 변위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적인 예로 보여주는 첨부되는 도면과 연계된 다음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축선방향으로 실린더 메인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는 변위부재를 변위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에 대해 상기 변위부재를 변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와 상기 변위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변위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변위부재와 상기 메인바디의 가 이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에 미끄럼접촉하는 베어링; 및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지지부를 압압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변위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이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베어링을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변위부재의 변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변위부재에 대해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변위부재와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 상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변위부재에 대해 상기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상기 슬라이딩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부는, 일측의 상기 가이드부 향해 상기 지지부재를 압압하는 일측의 상기 지지부재 상의 제1탄성부재; 및 타측의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지지부재를 압압하는 타측의 상기 지지부재 상의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탄성부재는 복수의 굴곡부를 가지는 파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맞닿으며, 타측면은 상기 변위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변위부재와 나합된 플러그에 의해 상기 변위부재를 향해 압압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러그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탄성부재는 슬릿을 가지는 판상이고, 상기 지지부재의 돌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은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은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제2탄성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실린더 장치는 로드리스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기구가 장착된 실린더 장치를 지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장치(10)는 축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실린더 튜브(액츄에이터 메인바디)(12),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부착되어 상기 축선방향의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변위부재)(14)와, 상기 실린더 튜 브(12)의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엔드블럭(16a,16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장치(10)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설치되는 상부벨트(18)과 하부벨트(20)를 가이드하는 벨트가이드 기구(22)(도 2 참조),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실린더 튜브(1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14)를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24)(도 7 및 도 8 참조)를 더 포함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마름모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보어부(bore section)(26)가 상기 실린더 튜브(12) 내측으로 상기 축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축선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릿(28)이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면(12)에 형성된다. 상기 보어부(26)는 상기 슬릿(28)을 통해 외측과 연통된다.
수직으로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상기 실릿(28)을 폐쇄하여 상기 슬릿을 (28)을 시일하는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슬릿(28)에 부착된다. 상기 상부벨트(18)는 예를 들어 시트형상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벨트(20)는 예를 들어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2개의 자기부재(32)(예를 들어, 영구자석)가 부착홈(30)에 설치되고, 상기 슬릿(28)의 양측에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벨트(18)는 상기 자기부재(32)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인력을 받고, 상기 슬릿(28)은 그 상부에서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외부로부터 상기 슬릿(28)을 통해 외부의 먼지 등의 침입이 저지된다.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엔드블 럭(16a,16b)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도 2 참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바이패스통로(34a,34b)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보어부(26)에 접근하여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통로(34a,34b)는 예정된 거리로 상기 보어부(26)와 이격된다. 압력유체가 통과하는 집중배관(미도시)이 상기 바이패스통로(34a,34b)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 또는 여러 쌍의 센서부착홈(36)이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피스톤(40a,40b)의 변위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위치검출센서(미도시)가 상기 센서부착홈(36)에 설치된다.
예정된 높이로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슬릿(28)의 축에 수직한 폭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예정된 거리로 서로 이격된 2개의 가이드부(38a,38b)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8a,38b)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가이드 기구(24)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변위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38a,38b)와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부(38a,38b)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슬릿(28)으로부터 이격되어 폭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예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8a,38b)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이드부(38a,38b)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38a,38b)는 상기 슬릿(28)의 대략 중심부에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폭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대칭형상으로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8a,38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어부(26)의 단면형상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2개의 피스톤(40a,40b)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보어부(26) 내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40a,40b)의 각각의 일단에 돌기(4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42)의 외연 상에 환형의 시일부재(4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40a,40b)이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보어부(26) 내에 삽입되면, 상기 피스톤(40a,40b)과 상기 보어부(26)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이 상기 시일부재(44)에 의해 시일되어 상기 보어부(26) 내의 기밀(氣密)이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블럭(16a,16b)를 향해 돌출된 축부(46)가 상기 피스톤(40a,40b)의 상기 돌기(42)에 설치된다.
웨어링(48a,48b)을 통해 하나의 피스톤(40a)과 다른 피스톤(40b) 사이에 피스톤 요크(50)가 개재된다. 상기 피스톤 요크(50)는 상기 피스톤(40a,40b)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 요크(50)는 예를 들어 평판부재를 프레스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요크(50)는 상기 피스톤(40a,40b)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보어부(26)의 단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실질적으로 마름모형사의 단면부를 가지는 삽입부(52)와, 상기 삽입부(52) 위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T형상을 가지는 요크부(54)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요크(50)는 다음의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삽입부(52)는 상기 피스톤(40a,40b)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보어부(26) 내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52)와 상기 요크부(54)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슬릿(28) 내에 삽입되어, 상기 요크부(5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요크부(54)의 폭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폭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예정된 폭만큼 연장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요크부(54) 상에 설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56)은 상기 요크부(54)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의 커플러(58)가 결합부재(60)에 의해 상기 직사각형의 결합홈(56)에 설치된다.
상기 커플러(58)의 외벽면은 같은 직경을 가지는 한쌍의 곡면부(62)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평면부(64)로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커플러(58)의 외벽면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이고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한쌍의 평면부(64)에 의해 분리되는 같은 직경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된 곡면은 각각 한쌍의 곡면부(62)로써 구성된다.
즉, 상기 커플러(58)가 상기 피스톤 요크(50)에 설치되면, 상기 곡면부(62)는 상기 엔드블럭(16a,16b)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부(64)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측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재(60)는 상기 커플러(58)의 저면에 설치되서, 상기 결합부재(60)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60)는 상기 두 개의 볼트(66)에 의해 상기 커플러(58)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58)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45°)로 각각 경사진 모따기부(68)는 상기 커플러(58)의 상면과 곡면부(62) 사이의 경계부에 각각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4)는 실질적으로 U자형상의 단면부를 가진다.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반대되는 저면 측부에 커플러삽입홀(14a)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요크(50)에 설치되는 상기 커플러(58)는 상기 커플러삽입홀(14a) 내로 삽입된다. 상기 커플러삽입홀(14a)의 형상은 반지름방향으로 상기 커플러(58)의 형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커플러(58)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슬라이더(14)는 수직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폭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14)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부(70a,70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70a,70b)는 그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기구(24)를 통해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가이드부(38a,38b)와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커플러(58)와 상기 피스톤 요크(50)의 도움을 통해 상기 피스톤(40a,40b)과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피스톤(40a,40b)이 상기 축선방향으로 변위하면,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축선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72)이 지지되는 지지홈(74)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14)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74)은 상기 축선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74)은 그 단면부가 실질적으로 원호형상인 오목부로써 형성된다. 또 한, 상기 지지홈(74)의 깊이보다 깊은 2개의 깊은 홈(deep groove)(76)(도 6 참조)이 상기 축선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14)의 양단에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부에 돌출되는 한쌍의 플랜지부(78)를 각각 포함하는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지지홈(74)에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부(78)는 상기 지지홈(74)의 깊은홈(76) 내에 결합한다. 상기 베어링(72)는 상기 일측 플랜지부(78)와 타측 플랜지부(78) 사이 상기 축선방향으로 그 길이가 상기 한쌍의 깊은홈(76) 사이 간격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축선방향으로 약간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홈(74) 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저면과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가이드부(38a,38b) 사이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원활하게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엔드블럭(16a,16b)를 향해 각각 돌출된 돌기(162)는 상기 플랜지부(78)의 단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78)가 상기 깊은홈(76)과 결합하면, 상기 돌기(162)는 상기 슬라이더(14)의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164)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지지홈(7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80)는 볼트(82)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4)의 양단부면 상에 설치되서, 양단면부가 각각 상기 커버부재(80)에 의해 커버된다. 조임부재(84)는 상기 커버부재(80)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된다. 상기 조임부재(84)는 상기 엔드블럭(16a,16b)를 향해 상기 커버부재(80)의 단부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 기구가 변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4)의 단부면이 상기 스토퍼 기구에 맞닿으면,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스토퍼 기구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상기 조임부재(84)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80)는 플렉시블한 탄성부재(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되면,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설치된 후, 상기 커버부재(80)는 상기 슬라이더(14)의 단부면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와 조립될 때, 상기 슬라이더(14)에 앞서서 상기 커버부재(80)가 설치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커버부재(80)는 상당히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먼지제거부재(미도시)는 상기 커버부재(8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서, 상기 먼지제거부재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면에 반대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등과 같은 것이 상기 실린더 튜브(12)와 상기 커버부재(80) 사이의 갭을 통해 슬라이더(1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내부에 윤활제를 함유하고 있는 윤활부재(예를 들어, 다공성 부재)가 슬라이더(14)의 측부에 부착되는 단부면 상의 상기 커버부재(8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윤활부재가 상기 베어링(72)가 미끄러지며 변위하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를 연속적으로 윤활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베어링(72)이 변위할 때 미끄럼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대해 좀더 원활하게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일측의 지지부(70a)에 형성되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관통홀(90)을 가진다. 고정볼트(고정부재)(88)가 상기 가이드기구(24)(후에 상술함)의 제1베어링 지지부재(지지부재)(86)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홀(90)에 삽입된다. 상기 관통홀(90)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90)은 소정의 각으로 경사져서,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설치될 때 상기 관통홀(90)이 상기 가이드부(38a)의 측면(미끄럼접촉면)(91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기 관통홀(90)의 부근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측면과 비교하면,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볼트(88)가 상기 가이드기구(24)의 제1베어링지지부재(86)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90)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볼트(88)는 상기 슬라이더(1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70a)는 상기 관통홀(90)의 아래의 위치에 위치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플러그(92)를 가지는 복수의 스크류홀(94)을 가진다. 상기 스크류홀(94)은 소정의 각으로 경사져서, 상기 스크류홀(94)은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 상에 설치될 때 상기 실린더 튜브(12) 의 가이드부(38a)의 측면(91a)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된다. 즉, 상기 스크류홀(94)는 상기 관통홀(90)에 실질적으로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블럭(16a,16b)은 각각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양단부에 설치되서, 상기 보어부(26)의 개구부가 이에 의해 폐쇄된다. 스크류부재(98)가 상기 엔드블럭(16a,16b)에 스크류설치홀(96)에 삽입된 다. 상기 스크류부재(98)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스크류홀(99) 내에 나합된다. 따라서, 상기 엔드블럭(16a,16b)이 상기 실린더 튜브(12)와 일체로 조립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블럭(16a,16b)는 그 안에 홀부(100)를 가지며, 상기 홀부(100)는 상기 상부벨트(18)과 상기 하부벨트(20)가 삽입되는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의 단부는 2쌍의 고정스크류(104)와 상기 홀부(10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02)에 의해 고정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절밸브(미도시)를 경유하여 압력유체공급원에 연결되는 제1포트(106)와 제2포트(108)가 상기 엔드블럭(16a,16b)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압력유체(예를 들어, 압축공기)는 상기 압력유체공급원으로부터 제1 및 제2 포트(106,108)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 및 제2 포트(106,108)은 상기 엔드블럭(16a,16b)에 위치한 도시되지 않은 통로를 경유하거나,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설치된 바이패스통로(34a,34b)를 경유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실린더 챔버(110a,110b)(도 2 참조)와 각각 연통된다. 상기 실린더 챔버(110a,110b)는 상기 보어부(26), 상기 엔드블럭(16a,16b), 및 상기 피스톤(40a,40b)에 의해 각각 한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블럭(16a,16b)의 단부면에 외부포트(112)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포트(112)는 상기 엔드블럭(16a,16b)에 위치하는 도시되지 않은 통로를 경유하거나,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설치된 바이패스통로(34a,34b)를 경유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실린더 챔버(110a,110b)와 연통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실링스크류(114)가 상기 외부포트(112)를 시일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블럭(16a,16b) 각각은 상기 피스톤(40a,40b)의 변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서, 그 내부벽면 측부에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반대되게 위치하는 감속기구(116)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기구(116)는 상기 엔드블럭(16a,16b)에 상기 피스톤(40a,40b)에 반대되게 설치된 원통부재(118)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재(118)에서 축선방향으로 삽입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20)의 내주면 상의 환상홈에 환상의 체크패킹(122)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40a,40b)이 축선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삽입홀(120) 내로 상기 피스톤(40a,40b)에 연결된 축부(46)가 삽입된다. 이런 경우, 상기 체크패킹(122)이 상기 실린더 챔버(110a,110b)로부터 상기 삽입홀(120)까지 상기 플로우통로를 막기 위해, 상기 축부(46)의 외주면과 맞닿아 둘러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챔버(110a,110b)에 함유된 유체가 미세한 플로우통로를 한정하는 도시되지 않은 협소한 바이패스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포트(106,108)에 미세한 유량으로 충진된다. 그러므로, 상기 피스톤(40a,40b)가 변위하면 변위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40a,40b)의 변위속도가 점점 감속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구(116)는 상기 피스톤(40a,40b)이 상기 엔드블럭(16a,16b)에 접근하면 상기 피스톤(40a,40b)의 속력을 점차적으로 감속시키기 위하여 속도제어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가이드기구(22)는 상기 피스톤(40a,40b)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부재(124a,124b)와, 상기 피스톤(40a,40b)에 각각 연결되는 웨어링(48a,48b)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 재(124a,124b)와 상기 웨어링(48a,48b)은 예를 들어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4a,124b) 각각은 실질적으로 C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벨트분리부(126)와, 상기 벨트분리부(126)의 대략 중심부로부터 일단을 향해 돌출된 벨트홀딩부(128)와, 상기 벨트분리부(126)과 상기 벨트홀딩부(128)의 측면에 돌출된 제1폴(130) 및 제2폴(13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벨트(18)가 삽입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벨트삽입홀(134)가 상기 벨트분리부(126)와 상기 벨트홀딩부(128) 사이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C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벨트분리부(126)는 상기 상부벨트(18)과 상기 하부벨트(20)의 미끄럼저항이 초과하여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분리부(126)는 휘어져 서로 수직으로 분리된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상부벨트(18)는 상기 벨트분리부(126)와 상기 슬라이더(1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하부벨트(20)는 상기 벨트분리부(126)와 상기 피스톤(40a,4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벨트홀딩부(128)는 소정의 길이로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13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벨트(18)는 상기 돌기(136)에 의해 상기 실린더 튜브(12)를 향해 압압되고, 그리하여 상기 상부벨트(18)과 상기 하부벨트(20)은 서로 접근하게 된다.(도 2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로 하향으로 돌출된 제1폴(130)은 상 기 벨트분리부(126)의 양측에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제1폴(130)은 상기 피스톤 요크(50)의 요크부(54)에 형성된 홈부(138) 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폴(132)은 상기 요크부(54)의 하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요크(50)와 상기 가이드부재(124a,124b)가 서로 일체로 확고하게 연결된다. 좀더 상술하면, 상기 슬라이더(14)가 움직이면, 상기 벨트분리부(126)는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을 서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벨트홀딩부(128)는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를 서로 접근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아, 상기 웨어링(48a,48b)은 상기 보어부(26)에 상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 상면의 대략 중심부에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절개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40)의 일단부 측면에 상기 하부벨트(20)를 안내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하부벨트가이드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벨트가이드부(142)는 상기 웨어링(48a,48b)의 외주면에 대략 동일하게 높이방향의 위치로 형성되는 일단과, 아래방향으로 약간 굽어진 타단을 가진다.
상기 하부벨트가이드부(142)는 상기 하부벨트(20)가 이로 인해 안내된 경우에 미끄럼저항이 초과하여 증가하지 않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진다.(도 2참조)
상기 웨어링(48a,48b)의 일단에 형성된 홀부에 자석(144)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센서부착홈(36)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상기 자석(144)의 자기장이 검출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상기 피스톤(40a,40b)의 위치가 검출된다. 상기 피스톤(40a,40b)의 핀홀(146)에 핀부재(148)가 각각 억지끼움되서, 상기 2개의 피스톤(40a,40b)이 상기 웨어링(48a,48b)을 통해 각각 상기 피스톤 요크(50)에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기구(24)는 상기 가이드기구(24)는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지지부(70a,70b)에 접근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반대로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기구(24)는 상기 가이드부(38a)의 측면(91a)에 반대하여 일측의 지지부(70a)에 위치하는 제1베어링지지부재(86)와, 상기 가이드부(38b)에 반대하여 타측의 지지부(70b)에 위치하는 제2베어링지지부재(지지부재)(150)와,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과 상기 지지부(70a) 사이에 개재하는 제1탄성부재(152)와,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와 상기 지지부(70b) 사이에 개재하는 제2탄성부재(1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지지부(70a)에 형성된 관통홀(90)을 통해 삽입된 복수의 고정볼트(88)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4)에 고정된 일측의 지지부(70a)의 내벽면에 형성된 설치홈(156a)에 설치된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가 실질적으로 일측의 가이드부(38a)의 측면(91a)에 실질적으로 수직의 되는 방식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88)는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와 나합되어서, 상기 고정볼트(88)는 상기 가이드부(38a)의 측면(91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런 경우에,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88)에 의해 강하게 압압되어 그 사이에 접촉을 유발하는 접촉면이 상기 가이드부(38a)의 측면(91a)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그 내부에서 상기 베어링(72)을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부(38a)에 반대되는 측면(91a)에 형성되는 지지홈(158)을 가진다. 상기 지지홈(158)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축선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홈(74)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베어링(72)의 플랜지부(78)는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의 양단에 형성된 깊은홈(160)과 결합한다.(도9 참조) 즉, 상기 베어링(72)이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와 상기 가이드부(38a) 사이에 개재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가이드부(38a)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딩면을 따라 원활하게 변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72)의 일측의 플랜지부(78)과 타측의 플랜지부(78) 사이에 위치하는 거리(L1)는 상기 깊은홈 사이의 거리(L2)보다 크다.(L1>L2)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지지홈(158) 내에서 축선방향(화살표 A,B방향)으로 약간 변위할 수 있다.
상기 엔드블럭(16a,16b)를 향해 각각 돌출된 돌기(162)가 상기 플랜지부(78)의 단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78)가 상기 깊은홈(160) 내에 결합될 때, 상기 돌기(162)는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의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164)와 결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홈(158)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72)가 상기 지지홈(15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고정볼트(88)이 내부로 나합되는 상기 스크류홀(94)과 대면하고, 상기 슬라이 더(14)의 지지부(70a)에 접하도록 소정의 깊이로 상기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설치홀(166)을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2)는 상기 설치홀(166)에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2)는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굽어지는 판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152)는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예를 들어 3개)의 부분이 상기 설치홀(166)의 내벽면에 접하고,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부분이 상기 슬라이더(14)의 설치홈(156a)의 내벽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특히,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복원력은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과 상기 슬라이더(14)의 지지부(70a)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도 7 및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Y1 방향 참조)
또한, 상기 설치홀(166)의 내벽면에 맞닿는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지지부(70a) 내에 나합되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플러그(9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플러그(92)는 상기 스크류홀(94)과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플러그(92)는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관통홀(90) 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탄성부재(152)는 상기 플러그(92)의 나사결합에 기인하여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에 대해 압압되면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7,8,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는 상기 슬라이더(14)의 타측 지지부(70b)에 형성되는 설치홈(156b)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홈(156b)에 설치되는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 룬다. 또한, 상기 타측의 가이드부(38b)의 측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가이드부(38b)의 측면(슬라이딩면)(91b)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맞닿는다. 즉,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부(38b)와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지지부(70b) 사이에에 개재된다.
상기 가이드부(38b)에 반대되게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의 측면에 상기 베어링(72)을 지지하는 지지홈(16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68)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더(14)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홈(7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베어링(72)의 플랜지부(78)는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깊은홈(170)과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가이드부(38b)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접촉상태로 개재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가이드부(38b)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면을 따라 원활하게 변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72)의 일측의 플랜지부(78)와 타측의 플랜지부(78) 사이의 거리(L3)는 상기 깊은홈(170) 사이의 거리(L4)보다 크다.(L3>L4)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지지홈(168)의 내측에서 축선방향(화살표 A,B방향)으로 약간 변위할 수 있다.
상기 엔드블럭(16a,16b)를 향하여 각각 돌출된 돌기(162)는 상기 플랜지부(78)의 단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78)이 상기 깊은홈(170)과 결합되면, 상기 돌기(162)는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의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164)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홈(168)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지지홈(16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와 상기 설치홈(156b)의 내벽면 사이에 판상의 제2탄성부재(154)가 개재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54)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딱딱한 고무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대략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슬릿홀(172)가 형성된다. 상기 슬릿홀(172)은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의 측면에 형성된 볼록한 결합돌기(174)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상대변위는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에 대해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부재(154)는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와 상기 슬라이더(14)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부(38b)를 향해 압압된다.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는 상기 지지부(70b)의 내벽면에 대해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개입없이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과 상기 지지부(70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은 상기 제1탄성부재(152)와 일체로써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은 상기 제2탄성부재(154)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지지부재(86,150)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수가 줄어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린더 장치(10)용 상기 가이드 기구(24)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그 작동,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이드 기구(24)에 의해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 상에 상기 슬라이더(14)를 조립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피스톤(40a,40b)에 연결되는 상기 피스톤 요크(50)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보어부(26) 내에 처음에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58)가 상기 피스톤 요크(50)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홈(74)에 설치되는 상기 베어링(72)와 함께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실린더 튜브(12) 위의 상측 위치로부터 상기 커플러(58)에 조립된다. 이런 경우에, 상기 베어링(72)의 상기 플랜지부(78)에 형성된 돌기(162)가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오목부(164) 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슬라이더(14)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의 상기 지지홈(168)에 설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154)는 상기 결합돌기(174)에 설치된다.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는 상기 축선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는 상기 타측의 지지부(70b)의 상기 설치홈(156b)에 설치된다. 이런 경우에, 상기 베어링(72)의 상기 플랜지부(78)에 형성되는 돌기(162)는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의 오목부(164) 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72)은 그 조립되는 동안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어링(72)은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의 상기 지지홈(158)에 설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152)가 상기 설치홀(166)에 설치된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의 가이드부(38a)와 상기 슬라이더(14)의 일측의 지지부(70a)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지지부(70a)의 상기 설치홈(156a)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에 의해 조여지는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가이드부(38a)의 측면(91a)을 향하여 제1탄성부재(152)의 탄성력에 의해 압압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 상에 조립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기 가이드부(38a,38b)와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지지부재(86,150) 사이의 간극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지지부(70a)에 대해 상기 관통홀(90)을 경유하여 상기 고정볼트(88)에 의해 고정되고, 이 경우에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 사이의 간극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슬라이더(14)에 대해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가 상기 슬라이더(14)에 대해 고정되면, 상기 슬라이더(14)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어링(72)이 최적의 압압력으로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대해 압압된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이 상기 고정볼트(88)의 도움으로 상기 슬라이더(14)에 고정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탄성력이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에 대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38a) 를 향하는 압압력이 유지되는 동안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지지부(70a) 내에 나합되는 상기 플러그(92)는 상기 플러그(92)가 상기 제1탄성부재(152)에 맞닿는 동안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38a)와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면,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제1탄성부재(15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는 상기 슬라이더(14)에 대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38a)로부터 근접 또는 이탈하는 방향(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Y1 및 Y2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년간의 사용의 결과로 상기 베어링(72)의 마멸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실린더 튜브(1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면,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가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와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지지부(70b)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튜브(12)를 향하여 압압돼서, 상기 간극이 적절히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가 상기 슬라이더(1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탄성력은 상기 제1베어링지지부재(86)을 경유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12)에 미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와 조립된 이후에 발생하는 백래시는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복원력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장치(10)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실린더 튜브(12) 사이에 발생하는 백래시는 상기 제2탄성부재(154)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가이드 기구(24)의 도움을 통해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38a)의 상기 측면(91a)에 맞닿고,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4)의 슬라이딩면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72)은 이상적인 압압력으로 압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린더 튜브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류의 나사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기구의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실린더 튜브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변위하는 종래의 실린더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상기 가이드부(38a)에 대해 상기 베어링(72)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변화에 완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드부(38a)에 작용하는 소정의 압압력이 쉽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압압력의 넓은 설정범위가 상기 가이드부(38a)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8a)에 대해 상기 베어링(72)의 압압방향은 상기 가이드부(38a)의 슬라이딩면으로 작용하는 상기 측면(91a)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72)에 의해 작용되는 압압력의 넓은 설정범위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조립될 때, 상기 슬라이더(14) 및/또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치수분산에 의해 발생되는 간극은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복원력에 의해 적절히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실린더 튜브(12) 사이에 발생되곤 하는 백래시는 회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더(14)가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 부(38a,38b) 상에 설치될 때, 상기 슬라이더(14)에 설치되는 상기 베어링(72)는 이상적인 압압력에 의해 압압되면서 상기 가이드부(38a,38b)와 맞닿는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의해 나타나는 안내작용에 의해 상기 축선방향으로 확실하고 원활하게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가이드부(38a,38b) 상에 조립될 때,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가이드부(38a,38b)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은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간극을 제거하기 위해 스크류에 의해 변위되어야만 하는 종래의 실린더 장치와는 달리, 복잡한 조절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장치(10)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의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지지부재(86,150) 상에 설치되는 상기 베어링(72)는 상기 제1탄성부재(152)의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딩면으로써 작용하는 상기 가이드부(38a,38b)의 상기 측면(91a,91b)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소정의 압력으로 항상 압압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자재 등이 상기 슬라이더(14)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베어링(72)이 항상 압압되지 않는다면 상기 외력의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슬라이더(14)의 변위가 억제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축선방향으로 원활하게 변위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부(38a,38b)를 따라 확실하고 적절하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54)는 상기 제2베어링지지부재(150)와 상기 슬라이더(14)의 상기 지지부(70b)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54)는 예를 들어 딱딱한 고무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이상적인 강성을 요구한다. 상기 베어링(72)의 마모와 백래시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14)와 상기 실린더 튜브(12) 사이에 다시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탄성부재(154)의 복원력에 의해 이러한 백래시를 흡수하여 적절히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기 가이드 기구(24)를 가지는 상기 실린더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더(14)와 피스톤(40a,40b)가 상기 엔드블럭(16a,16b)를 향해 변위하는 경우(화살표 B방향으로)에 초기위치가 존재하는 가정하에 설명이 주어진다.
먼저, 초기위치에서 압력유체(예를 들어, 압축공기)가 상기 엔드블럭(16a)의 제1포트(106)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유체는 상기 엔드블럭(16a)의 도시되지 않은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일측의 실린더 챔버(110a) 내로 유입된다. 상기 피스톤(40a)이 상기 압력유체 의해 이루어지는 압압작용 하에서 상기 타측의 엔드블럭(16b)을 향하여(화살표 A방향으로) 압압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피스톤 요크(50)와 상기 커플러(58)의 작동을 통해 상기 피스톤(40a)와 일체로 상기 가이드부(38a,38b)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축선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포트(108)는 대기 중에 개방된다.
이러한 작동 동안, 상기 슬라이더(14)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벨트가이드부(142)와 상기 가이드부재(124b)의 상기 벨트홀딩부(128)에 의해 폐쇄된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는 상기 슬라이더(14)의 변위에 따라 상기 벨트분리부(126)에 의해 개방된다. 반대로, 상기 슬라이더(14)의 중심부의 근처에 위치 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24b)의 상기 벨트분리부(126)에 의해 개방된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는 상기 슬라이더(14)의 변위에 따라 상기 하부벨트가이드부(142)와 상기 벨트가이드기구(22)의 상기 벨트홀딩부(128)에 의해 폐쇄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실린더 튜브(12)를 따라 상기 축선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경우,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에 의해 상기 슬릿(28)은 시일되고, 상기 보어부(26)는 폐쇄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또한 상기 타측의 엔드블럭(16b)를 향해(화살표 A방향) 변위되고, 여기서 상기 피스톤(40b)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축부(46)는 상기 원통부재(118)의 상기 삽입홀(120)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축부(46)와 상기 삽입홀(120) 사이로 흐르는 유체는 상기 삽입홀(120)과 상기 축부(46)의 상기 외주면에 설치되는 체크패킹(122)에 의해 저지되서, 상기 유체의 플로우통로는 도시되지 않은 바이패스통로만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상기 피스톤(40a,40b)의 변위속도는 점차 감소된다. 상기 피스톤(40b)의 단부면은 상기 원통부재(118)의 단부면에 맞닿아서, 그 변위 단말점에 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포트(108)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방향조절밸브가 스위칭되면, 상기 압력유체는 상기 엔드블럭(16b)의 도시되지 않은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타측의 실린더 챔버(110b) 내로 유입된다. 상기 피스톤(40b)은 상기 압력유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압압작용 하에서 상기 일측의 엔드블럭(16a)를 향해서(화살표 B방향으로) 압압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피스톤(40b)와 함께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가이드부(38a,38b)를 따라 상기 축선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런 경우에, 상기 하부벨트가이드부(142)와 상기 가이드부재(124a)의 상기 벨트홀딩부(128)에 의해 폐쇄된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는 상기 가이드부재(124a)의 상기 벨트분리부(126)에 의해 개방되고, 반대의 경우에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타측의 엔드블럭(16b)을 향해 변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4b)의 상기 벨트분리부(126)에 의해 개방된 상기 상부벨트(18)와 상기 하부벨트(20)는 상기 벨트홀딩부(128)와 상기 하부벨트가이드부(142)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일측의 엔드블럭(16a)를 향하여(화살표 B방향) 변위하고, 여기서 상기 피스톤(40a) 상에 설치된 상기 축부(46)는 상기 원통부재(118)의 상기 삽입홀(120)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40a,40b)의 변위속도는 저하되고, 이 때 상기 피스톤(40a)의 단부면은 상기 원통부재(118)의 단부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상기 변위는 멈춰지고, 상기 슬라이더(14)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편리한 조절 메커니즘에 의해 변위부재의 백래시를 피할 수 있고, 그리하여 변위부재의 원활한 변위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축선방향으로 실린더 메인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는 변위부재를 변위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에 대해 상기 변위부재를 변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와 상기 변위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변위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변위부재와 상기 메인바디의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에 미끄럼접촉하는 베어링; 및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지지부를 압압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변위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베어링을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변위부재의 변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변위부재에 대해 고정부재로 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변위부재와 상기 실린더 메인바디 상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변위부재에 대해 상기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상기 슬라이딩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측의 상기 가이드부 향해 상기 지지부재를 압압하는 일측의 상기 지지부재 상의 제1탄성부재; 및
    타측의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지지부재를 압압하는 타측의 상기 지지부 재 상의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복수의 굴곡부를 가지는 파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맞닿으며, 타측면은 상기 변위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변위부재와 나합된 플러그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향해 압압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슬릿을 가지는 판상이고, 상기 슬릿은 상기 지지부재의 돌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은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은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제2탄성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장치는 로드리스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기구.
KR1020060035492A 2005-04-19 2006-04-19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 KR100720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1322A JP4587103B2 (ja) 2005-04-19 2005-04-19 シリンダ装置のガイド機構
JPJP-P-2005-00121322 2005-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239A KR20060110239A (ko) 2006-10-24
KR100720104B1 true KR100720104B1 (ko) 2007-05-18

Family

ID=3706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492A KR100720104B1 (ko) 2005-04-19 2006-04-19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0991B2 (ko)
JP (1) JP4587103B2 (ko)
KR (1) KR100720104B1 (ko)
CN (1) CN100406751C (ko)
DE (1) DE102006018088B4 (ko)
TW (1) TWI290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5164T1 (de) * 2006-10-27 2011-10-15 Nexen Group Inc Bewegungssteuerungsvorrichtung
CN103398102A (zh) * 2013-08-05 2013-11-20 无锡市张泾宇钢机械厂 滑动导轨的滑座
CN109296639B (zh) * 2018-12-06 2023-03-31 株洲易力达机电有限公司 新型滑动副总成
EP4100226B1 (en) * 2020-02-06 2023-11-01 Lego A/S Bearing for liniear guide rail
WO2024081989A1 (de) * 2022-10-20 2024-04-25 Stiwa Automation Gmbh Pneumatikzylinder zur linearen verstellung eines ersten bauteils und eines zweiten bauteils zueinan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049A (ko) * 1993-10-12 1995-05-15 다카다 요시유키 서보 실린더장치
KR19980024027A (ko) * 1996-08-13 1998-07-06 다카다 요시유키 선형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1052A (ja) * 1982-10-27 1984-05-10 Hiroshi Teramachi 同時研削型ベアリング本体及びこれを用いた有限摺動ベアリングユニツト
US4504096A (en) * 1983-01-28 1985-03-12 Hurco Manufacturing Co., Inc. Self-adjusting gib for machine tools and the like
JPS59174418U (ja) * 1983-05-10 1984-11-21 豊田工機株式会社 スライド体の案内装置
JPH0765602B2 (ja) * 1987-01-30 1995-07-19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ツドレスシリンダ
JPH0681961B2 (ja) * 1987-10-31 1994-10-19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H0730765B2 (ja) * 1989-05-31 1995-04-10 シーケーデイ株式会社 ロツドレスシリンダ
JPH0710095Y2 (ja) * 1990-06-29 1995-03-08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防振性を有する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DE4023058C2 (de) * 1990-07-17 1994-08-18 Mannesmann Ag Kolbenstangenloser Arbeitszylinder, insbesondere für kompressible Medien, mit einer Bremseinrichtung
DE4024716A1 (de) 1990-08-03 1992-02-06 Knorr Bremse Ag Druckmittelzylinder mit laengsgeschlitztem zylinderrohr
EP0482268A1 (fr) * 1990-10-24 1992-04-29 Marc Lecomte Module de guidage linéaire et de translation
TW205587B (ko) 1991-09-18 1993-05-11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JP2512356B2 (ja) * 1991-11-01 1996-07-03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2575245B2 (ja) * 1991-11-01 1997-01-22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DE4206751A1 (de) * 1992-03-04 1993-09-09 Festo Kg Linearantrieb
US5429438A (en) * 1993-07-12 1995-07-04 80/20 Inc. Mechanical structure and guide block
JP2605321Y2 (ja) * 1993-08-24 2000-07-10 隆通 高橋 シリンダのスライダ案内装置
JP3468831B2 (ja) * 1994-04-27 2003-11-17 Smc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H08121476A (ja) * 1994-10-27 1996-05-14 Nippon Thompson Co Ltd 制止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3740708B2 (ja) * 1995-03-29 2006-02-0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摺動装置
DE19715014A1 (de) * 1997-04-11 1998-10-15 Schaeffler Waelzlager Ohg Linearführung
JP3177949B2 (ja) * 1997-04-29 2001-06-18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4228356B2 (ja) * 1998-04-08 2009-02-25 Smc株式会社 ガイド機構
JP3590966B2 (ja) * 1999-02-22 2004-11-17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3516910B2 (ja) * 1999-10-18 2004-04-05 Smc株式会社 移載装置
JP3810269B2 (ja) * 2000-11-22 2006-08-16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ス機械のスライドガイド装置
JP2002174234A (ja) * 2000-12-05 2002-06-21 Isel Co Ltd リニアガイド
DE20106914U1 (de) 2001-04-20 2002-08-29 Igus Gmbh Linearführung
JP3780176B2 (ja) * 2001-04-25 2006-05-31 Smc株式会社 ベルトガイド機構
JP2002349509A (ja) * 2001-05-23 2002-12-04 Ckd Corp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2003301872A (ja) * 2002-04-08 2003-10-24 Miki Pulley Co Ltd リニアモータ装置のブレーキ機構
JP2004232783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Mach Co Ltd 直線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049A (ko) * 1993-10-12 1995-05-15 다카다 요시유키 서보 실린더장치
KR19980024027A (ko) * 1996-08-13 1998-07-06 다카다 요시유키 선형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0197B (en) 2007-11-21
CN1854536A (zh) 2006-11-01
US7490991B2 (en) 2009-02-17
TW200700646A (en) 2007-01-01
CN100406751C (zh) 2008-07-30
DE102006018088A1 (de) 2006-10-26
DE102006018088B4 (de) 2013-04-04
KR20060110239A (ko) 2006-10-24
US20060233474A1 (en) 2006-10-19
JP2006300185A (ja) 2006-11-02
JP4587103B2 (ja)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104B1 (ko)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
KR100393539B1 (ko) 게이트밸브
US6023111A (en) Linear actuator
KR100483692B1 (ko) 벨트 가이드기구
KR100758372B1 (ko) 액츄에이터용 베어링 지지구조
US10927860B2 (en) Fluidic cylinder
US20010015580A1 (en) Linear Actuator
US5701798A (en) Linear actuating device
JP2696743B2 (ja) 速度制御機構付ロッドレスシリンダ
KR100720103B1 (ko) 실린더 장치용 변위차 흡수기구
KR100274499B1 (ko) 슬라이드 유니트
US6253660B1 (en) Rodless cylinder
JP3704294B2 (ja) ベルト固定機構
JP3767648B2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4910161B2 (ja) シリンダ装置のストッパ機構
JP2000329109A (ja) 直線作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