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499B1 - 슬라이드 유니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499B1
KR100274499B1 KR1019980013389A KR19980013389A KR100274499B1 KR 100274499 B1 KR100274499 B1 KR 100274499B1 KR 1019980013389 A KR1019980013389 A KR 1019980013389A KR 19980013389 A KR19980013389 A KR 19980013389A KR 100274499 B1 KR100274499 B1 KR 10027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arrel
slide unit
seal band
stopp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412A (ko
Inventor
미쭈오 노다
쯔요시 요네자와
Original Assignee
노자끼 도따로
호와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자끼 도따로, 호와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자끼 도따로
Publication of KR1998008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3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082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the motor being of the slotted cylinde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3Seal for rotating kiln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슬라이드 유니트는 원통형 튜브를 가지며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를 포함한다. 단부 캡은 원통형 튜브의 양 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원통형 튜브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릿이 원통형 튜브의 벽상에 형성된다. 피스톤은 원통형 튜브의 구멍에 배열되며 슬릿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외부 캐리지는 슬릿을 통해 연장하는 요크에 의해 피스톤과 연결된다. 각각 내부 및 외부로부터 슬릿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슬릿을 따라 연장하는 내측 시일 밴드 및 외측 시일 밴드가 제공된다. 내측 시일 밴드 및 외측 시일 밴드의 단부들은 각각 단부 캡의 내측 단부면상에 형성된 대응 리세스안에 삽입된다. 상기 리세스를 교차하고 각각 단부 캡의 상부면으로 연장하는 핀홀이 제공된다. 조립홀이 상기 핀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내측 시일 밴드 및 외측 시일 밴드의 각 단부상에 배열된다. 상기 내측 시일 밴드 및 외측 시일 밴드는 조립핀을 핀홀을 통해 시일 밴드의 단부에서 설치홀 안으로 삽입하므로써 각각의 단부 캡에 고착된다. 상기 시일 밴드가 오직 조립핀에 의해 각각의 단부 캡에 고착되므로, 시일 밴드의 조립체는 크게 간소화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유니트
본 발명은 원통형 배럴에 있어서 피스톤에 의해 구동되는 외부 캐리지를 갖는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부 캐리지는 원통형 배럴의 벽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원통형 배럴로부터 돌출하는 커플링 부재에 의해 피스톤에 연결된다. 상기 원통형 배럴에 형성된 슬릿은 내부 시일 밴드 및 외부 시일 밴드에 의해 밀봉된다.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를 사용하는 슬라이드 유니트는 공지된 바 있는 기술이다.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는 벽에 축방향의 슬릿을 갖는 원통형 배럴과 상기 원통형 배럴의 구멍에 배열된 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배럴의 구멍은 피스톤에 의해 분할되며, 피스톤의 각 측부상에 위치하는 2개의 압력실을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은 압축 유체를 압력실로 도입시키므로써 구멍 안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피스톤의 운동은 외부 캐리지를 원통형 배럴에 있는 슬릿을 통해 피스톤에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에 의해 외부 캐리지로 전달된다. 통상적으로, 내부 시일 부재는 압축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릿을 따라 구멍의 내벽 표면상에 배열된다. 또한, 외부 시일 부재는 원통형 배럴안으로의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릿을 따라 원통형 배럴의 외벽 표면상에 배열된다.
상술된 바와같은 형상의 슬라이드 유니트는 여러 간행물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63-190906 호, 제 60-237208 호, 제 62-177304 호 및 제 3-4005 호는, 시일 밴드의 단부가 원통형 배럴의 벽과 단부 부재의 측면상에 형성된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 나사들 사이에서 시일 밴드를 고정시키므로써 원통형 배럴의 양 단부상에 배열되는 단부 부재(단부 캡)에 부착되는,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대해 공지하고 있다.
(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62-266206 호 및 제 63-225708 호는, 시일 밴드의 단부가 고정판과 단부 부재 사이에서 시일 밴드를 고정시키므로써 단부 부재에 부착되는,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대해 공지하고 있다. 또한, 시일 밴드의 각 단부상에 배열된 고정 구멍을 통해 시일 밴드을 관통하는 고정핀은 각각의 단부 부재에 시일 밴드를 고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0-89775 호는 시일 밴드의 각 단부상에 배열된 고정 구멍안으로 T-형 고정 피스의 저부를 삽입시키고, 나사의 고착에 의해 고정 피스를 단부 부재에 삽입시키므로써, 시일 밴드가 단부 부재에 고착되는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대해 공지하고 있다.
(라)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3-12006 호, 제 7-44795 호 및 제 2-21305 호는 원통형 배럴의 양 단부에 단부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유니트에 대해 공지하고 있다. 상기 공보들에 있어서 슬라이드 유니트의 단부 부재는, 장착 볼트가 관통되고 슬라이드 유니트를 외부 구조체에 장착시키기 위해 외부 구조체에 결속되는, 장착 볼트 구멍과 함께 제공된다. 상기 공보들에 있어서 단부 부재는 단부 부재들이 장착 볼트의 결속 부하에 대해 지탱하도록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마)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1-132804 호는 폴리아세탈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된 단부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유니트에 대해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폴리아세탈의 강도가 충분히 장착 볼트의 결속 부하를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L-형 금속 브래킷이 슬라이드 유니트를 외부 구조체에 장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브래킷은 단부 부재를 원통형 배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볼트의 헤드상에 형성된 나사 볼트 구멍 안으로 고정 볼트를 나사결합시키므로써 단부 부재에 부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는 L-형 금속 브래킷을 통해 외부 구조체에 장착된다.
(바)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49-77388 호는 단부 부재를 갖는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대해 공지하고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 단부 부재는 원통형 배럴의 단부면상의 나사 볼트 구멍 안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이용하는 원통형 배럴의 단부에 부착된다.
(사)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3-7506 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7-158612 호는 외부 캐리지용 스토퍼를 갖는 슬라이드 유니트에 대해 공지하고 있다. 상기 공보들에 있어서 스토퍼는 원통형 배럴의 외부면상에 형성된 홈이나 또는 리세스를 안내하기 위해 고정된 클램프 부재를 이용하는 원통형 배럴에 부착된다.
상기 공보 (가)의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있어서는, 시일 밴드가 고정 나사와 단부 부재의 외주 사이에 클램프되므로, 고정 볼트를 실린더 배럴의 나사구멍 안으로 나사결합할 필요가 있다. 그에따라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를 조립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단계를 증가시킨다. 또한, 만약 고정 나사가 느슨하게 될 경우, 시일 밴드의 밀봉 능력은 시일 밴드 장력의 감소로 인해
저하된다. 그와 더불어, 고정 나사의 헤드가 원통형 배럴의 외측에서 가시화되므로, 상기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의 외관은 고정 나사의 헤드에 의해 악화된다.
또한, 상기 단부 부재가 연성 물질, 예를들면 폴리아세탈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될 때, 클램핑력은 물질의 연성과 합성물질의 크리이프(creep) 속성으로 인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그에따라 시일 밴드의 밀봉 성능이 불충분하게 된다.
공보 (나)와 (다)의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있어서는, 고정핀이나 또는 고정 피스가 시일 밴드를 고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므로, 고정 나사의 느슨함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제기되지 않는다. 그러나, 부가적인 고정판이나 또는 T-형 고정 피스가 시일 밴드를 고착시키기 위해 필요로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이나 고정 피스가 원통형 배럴에 고착되어야 하므로,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를 조립하기 위한 단계가 증가되는 문제점과 외관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또한 상기 공보 (가)의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에 있어서 발생한다.
공보 (라)의 슬라이드 유니트에 있어서는, 단부 부재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므로, 상기 단부 부재의 제조 방법은 복잡해지고 비용은 증가된다. 또한, 전체 슬라이드 유니트의 중량은 무거운 알루미늄 단부 부재로 인해 증가된다.
또한, 공보 (마)와 (바)의 슬라이드 유니트에 있어서는, 단부 부재를 원통형 배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배치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슬라이드 유니트의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공보 (사)의 슬라이드 유니트에 있어서는, 스토퍼가 원통형 배럴의 표면상에 형성된 안내홈이나 리세스를 맞물림시키는 클램핑 부재를 사용하는 원통형 배럴에 부착되므로, 상기 안내홈이나 리세스는 과다한 힘이 클램핑 부재로부터 가하여 질 때 쉽게 손상을 입는다. 또한, 단부 부재를 원통형 배럴에 부착시키기 위한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한다.
상술된 바와같이 관련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시일 밴드가 어떠한 나사 또는 볼트 고정 작업 없이도 단부 부재에 용이하게 고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티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거 가능한 단부 커버에 슬라이드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는 시일 밴드의 고정핀의 헤드를 커버하며 상기 핀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며, 슬라이드 유니트를 조립하기 위한 단계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단부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부 부재 및 원통형 배럴이 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부 캐리지용 스토퍼 부재가 원통형 배럴의 안내 홈 또는 리세스의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도 슬라이드 유니트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같은 여러 목적들은, 원통형 배럴의 벽을 관통하고 원통형 배럴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릿과 함께 제공되는 원통형 배럴, 원통형 배럴의 양 단부에 고정되고 원통형 배럴의 구멍의 양 단부를 폐쇄시키는 단부 부재,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원통형 배럴의 구멍에 배열되고 원통형 배럴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내부 이동체, 원통형 배럴의 외부에 배열되고 원통형 배럴의 슬릿을 통해 커플링 부재에 의해 내부 이동체에 결합되므로써 캐리지가 슬릿을 따라 내부 이동체와 함께 이동되는 외부 캐리지 및, 각 단부 부위에 고정 구멍과 함께 제공되고 원통형 배럴의 슬릿을 따라 배열되므로써 원통형 배럴의 슬릿을 커버하는 시일 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유니트에 의해 성취되며, 여기서 상기 각각의 단부 부재는 시일 밴드의 단부 부위를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 배럴 맞은편의 단부면에 형성된 리세스 및 단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리세스를 가로지르는 핀홀과 함께 제공되며, 상기 시일 밴드는 고정 핀이 시일 밴드의 단부 부위에 있는 고정 구멍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각 단부 부재의 핀홀 안으로 고정핀을 삽입하므로써 단부 부재에 견고히 부착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유니트에 따라서, 상기 시일 밴드는 고정핀을 단부 부재의 핀홀 안으로 단순 삽입시키므로써 단부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그와같이 하므로써, 상기 고정핀은 시일 밴드의 단부에 배열된 고정 구멍을 관통하고 시일 밴드를 견고히 부착시킨다. 상기 고정핀이 오직 시일 밴드을 고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므로, 슬라이드 유니트의 조립 작업은 크게 단순화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유니트의 종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슬라이드 유니트에 대한 평면도.
도 3 은 도 1 의 슬라이드 유니트에 대한 원통형 튜브의 횡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Ⅳ-Ⅳ라인을 절취한 단면도.
도 5 는 도 2 의 Ⅴ-Ⅴ라인을 절취한 단면도.
도 6 은 시일 밴드를 단부 캡에 부착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 은 도 1 의 슬라이드 유니트에 대한 사시도.
도 8 은 원통형 튜브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가공 또는 인발가공 방법용으로 사용되는 다이의 구성도.
도 9 는 내부 및 외부 시일 밴드의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유니트의 측면도.
도 11 은 도 10 의 XI-XI 라인을 절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 유니트 2 : 원통형 튜브
6 : 실린더 챔버 10 : 단부 캡
14 : 자동 태핑 나사 22 : 커플링 부재
23 : 피스톤 마운트 30, 31 : 시일 밴드
39 : 조립핀
다음에, (공기) 유체 구동되는 로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파워 실린더를 이용하는 슬라이드 유니트에 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3 및 4 에 있어서, 도면 부호 1 은 슬라이드 유니트를 나타낸다. 부호 2 는 비자성 금속으로 제조되고 압출가공 또는 인발가공 방식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유니트(1)의 원통형 배럴(원통형 튜브)를 나타낸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원통형 튜브(2)는 비-원형 보어(2a)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원 형상)를 갖는다. 슬릿 개구부(3)는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원통형 튜브의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튜브(2)의 외벽상에는, 단부 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홈(4) 및 센서와 같은 부속장치를 장착시키기 위한 홈(5)이 원통형 튜브(2)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홈(4)은 구멍(4a)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멍(4a)의 내부는 구멍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이다. 즉, 상기 홈(4)은 원통형 튜브(2)의 외벽에 슬릿 개구부(구멍)를 갖는 원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도 3 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원통형 튜브(2)에는 어떠한 쇄 공간도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 원통형 튜브(2)내의 모든 공간은 원통형 튜브(2)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멍을 통해 튜브(2)의 외부로 개방된다. 그와같은 형상을 하므로써, 상기 원통형 튜브(2)의 압출가공 또는 인발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다이의 제조는 단순해진다. 도 8 은 원통형 튜브(2)의 압출가공 또는 인발가공을 위해 사용된 다이(20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 슬릿(3), 보어(2a), 홈(4,5)을 형성하기 위한 다이(200)의 부위(201,202,203)는 모두 다이의 베이스부(205)로부터 캔틸레버되어있다.
상기 원통형 튜브(2)의 양 단부는 단부 부재(10,11; 단부 캡)에 의해 폐쇄되며, 실린더 챔버(6)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 보어(2a)의 벽과 단부 캡(10,11)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단부 캡(10,11)은 서로 정확한 거울 대칭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후로는 오직 단부 캡(10)만을 설명하겠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단부 캡(10)은 원통형 튜브(2) 위로 돌출하는 부위 및 중간에 개재되는 실린더 가스킷(13)과 함께 원통형 튜브(2)안으로 삽입되는 부위(12)를 갖는다. 상기 단부 캡(10)이 원통형 튜브(2)에 부착될 때, 상기 단부 캡(10)은 상기 부위(12)를 보어(2a)안에 그리고 중간 벽부(36)의 돌출부(36a)를 슬릿(3)의 단부 안에 삽입하므로써 원통형 튜브(2)와 일직선상에 정렬된다. 상기 중간 벽부(36)는 나중에 설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단부 캡(10)은 자동-태핑 나사(14)를 홈(4)의 단부 안에 결속시키므로써 원통형 튜브(2)의 단부에 고착된다(도 2). 상기 자동-태핑 나사(14)는 나사홀 안으로 나사결합 될 때 스스로 나사홀의 벽상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태핑 나사(14)는 예를들면 JIS(일본 산업 표준) No. B-1122에 따라 제조된다. 그러나, 기타 자동-태핑 나사들도 상기 나사(14)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태핑 나사(14)를 사용하므로서, 단부 캡을 부착하기 전에 홈(4)의 내벽상에 나사산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되므로, 상기 원통형 튜브(2)의 제조 방법은 크게 단순화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 및 출구 포트(15)가 각각의 단부 캡(10,11)의 측면상에 제공되므로, 상기 각각의 단부 캡(10,11)을 고착시키기 위해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3개의 나사(14)가 사용된다.
상기 실린더 챔버(6)는 양 측부상에 피스톤 단부(21)를 갖는 내부 이동체 (피스톤)(20)에 의해 전방 실린더 챔버(6A)와 후방 실린더 챔버(6B)로 분할된다(도 1). 피스톤 단부(21)는 피스톤 패킹(21a)과 함께 제공된다. 피스톤(20)상에서, 외부 캐리지를 슬릿(3)을 통해 분할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 (피스톤 요크)(22)는 피스톤 단부(21) 사이의 부위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튜브(2) 외측의 커플링 부재(22) 단부에서는, 외부 캐리지의 베이스로서 작용하는 피스톤 마운트(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마운트(23)는 좌·우 측면(23a,23b)과 전·후 측면(23c,23d)을 갖는다. 상기 피스톤 마운트(23)의 상부면 위에는, 전방 측면(23c)으로부터 후방 측면(23d)으로 연장하는 리세스가 형성된다. 예를들면, 합성수지로 제조된 커버 부재(25)는 리세스(24) 구멍을 커버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커버 부재(25)에 의해 커버된 리세스(24)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은 외부 시일 밴드(31)가 관통하는 통로를 한정한다. 상기 피스톤 마운트(23) 및 커버 부재(25)는 외부 캐리지(26)를 구성한다. 상기 피스톤(20), 커플링 부재(22) 및 피스톤 마운트(23)는 예를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전체로서 이동체(27)를 형성한다. 스크레이퍼(28)는 실린더 튜브(2)와 피스톤 마운트(23) 사이의 공간 안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의 하부 주변부 둘레의 피스톤 마운트(23)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캡(10,11)은 중량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성형 합성 수지로 제조한다. 외부 시일 밴드와 내부 시일 밴드의 단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리세스(32,33) 및 상기 리세스(32,33) 사이의 중간벽(36)은 단부 캡(10,11)의 내면상에 형성된다(도 5 및 도 6). 상기 리세스(32,33)의 폭은 시일 밴드를 위치시키기 위한 시일 밴드(30,31)의 폭과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폭은 시일 밴드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내부 시일 밴드(30)용 리세스(32)의 높이는 리세스(32)가 공간(S)과 연통하도록 내부 시일 밴드(30)의 두께보다 훨씬 크게된다(도 1). 상기 리세스(32)를 외측에 연결하는 릴리이빙 통로(34)는 단부 캡(10)에 형성된다(도 6). 도 6 의 참고부호 38은 리세스(33) 위의 벽(37), 중간 벽(36) 및 리세스(32) 아래의 벽(37)을 관통하는 핀홀이다. 상기 핀홀의 한 단부(상 단부)는 단부 캡(10)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시일 밴드(30) 및 외부 시일 밴드(31)는 단부 캡들 사이로 연장하며 각각 피스톤 요크(22)의 상부 및 하부 측부를 통과한다. 상기 내부 시일 밴드(30)는 원통형 튜브(2)의 내부로부터 슬릿(3)을 커버하며, 외부 시일 밴드(31)는 원통형 튜브(2)의 외부로부터 슬릿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시일 밴드는 예를들면 강철과 같은 자성 물질로 제조된 얇은 가요성 밴드이다. 상기 시일 밴드(30,31)는 슬릿(3)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홀(30a,31a)은 시일 밴드가 정위치에 설정될 때 단부 캡(10,11)의 핀홀(38)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시일 밴드(30,31)의 양 단부상에 제공된다. 시일 밴드(30)의 조립홀(30a)중 하나와 시일 밴드(31)의 조립홀(30b)중 하나는 시일 밴드의 가로 방향보다 약간 큰 시일 밴드의 세로 방향에 따른 직경을 갖는 장원형 홀(oblong circular hole)로서 형성된다(도 9). 시일 밴드의 한 단부에 장원형 홀을 배치하므로써, 단부 캡 조립체의 공차에 따른 단부 캡(10,11)의 홀들(38) 사이의 거리상의 차가 완화될 수 있다.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시일 밴드(30,31)는 시일 밴드가 설치될 때 원통형 튜브(2)상에 배열된 자석(45)에 흡인된다. 외부 시일 밴드(31)의 장원형 홀(31a)은, 틈새(P)가 핀(39)의 외측부에서 상기 홀(31a)의 엣지와 조립핀(39) 사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시일 밴드(31)의 단부에 배열된다(도 9). 상기 홀(31a)의 엣지와 조립핀(39) 사이의 틈새(P)는 밴드(31)와 핀(39)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시일 밴드(31)는 시일 밴드(30,31) 사이의 공간(S)에서의 압력이 일정한 수준으로 증가될 때 자석(45)의 흡인력에 대항하여 외부로 편향될 수 있다. 이와같은 편향으로 인해 편향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 시일 밴드(31)와 원통형 튜브(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공간(S)의 유체는 누출된다. 따라서, 장원형 홀과 함께 제공되는 본 실시예의 외부 시일 밴드(31)는 또한 릴리이프 밸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시일 밴드(30,31)는, 핀(39)이 조립홀(30a,31a)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단부 캡의 외부로부터 조립홀 안으로 조립핀(39)을 삽입하므로써 단부 캡(10,11)에 고착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핀(39)과 홀(38) 사이의 조립 상태는 핑거 압력에 의해 핀(39)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삽입된다. 상기 양 단부 캡상의 조립핀(39)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조립핀(39)은 각각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있어서 상부 벽(35), 중간 벽(36) 및 하부 벽(37)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다. 상기 핀(39)이 핑거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시일 밴드(30,31)를 고착시키기 위한 어떠한 공구도 필요치 않게된다. 따라서, 상기 시일 밴드의 조립 방식은 크게 단순화된다. 상기 시일 밴드(30,31)는 조립핀(39)과 조립홀(30a,31a)에 의해 단부 캡(10,11)에 위치된다. 반대로, 상기 단부 캡(10,11)은 돌출부(36a)를 슬릿 안으로 삽입시키므로써 슬릿(3)과 일직선상으로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시일 밴드(30,31)는 조립핀(39)에 의해 슬릿(3)과 일직선상으로 정렬되고, 따라서 슬릿 폭 방향에 있어서 슬릿(3)에 대한 시일 밴드의 위치 에러는 배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석(45)은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슬릿(3)의 양 측부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시일 부재(30,31)는 피스톤 요크(22)를 관통하는 부위를 제외한 전체 길이를 따라 자석(45)에 흡인된다. 상기 내부 시일 밴드(30)는 실린더 챔버(6)의 유체 압력과 자석(45)의 흡인력에 의해 슬릿(3)에 부착 및 그를 밀봉시킨다. 상기 외부 시일 밴드(31) 또한 자석(45)의 흡인력에 의해 슬릿(3)에 부착 및 그를 밀봉시킨다.
캡 커버(55)를 조립시키기 위한 숄더홈(50)(도 6)은 단부 캡(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맞물림부(51)는 홈(50)의 양 단부상에 형성된다. 핀홀(38) 안으로 삽입될 때, 조립핀(39)의 헤드는 홈(50) 안으로 돌출한다. 상기 캡 커버(55)는 탄성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홈(50)에 조립되는 커버부(56)와 커버부(56)에 연속하는 밸부 요소(57)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요소(57)의 이면에는 맞물림부(57a)가 형성된다. 릴리이빙 통로(34)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맞물림부(57a)는 릴리이빙 통로(34)의 구멍(34a)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밸브 요소(57)를 보유하도록 통로(34)의 양 측벽을 탄성적으로 맞물림 한다.
상기 커버부(56)는 홈(50)의 맞물림부(51)에 조립시키기 위해 후크형 맞물림부(56b)와 함께 제공된다. 또한, 보유부(56a)는, 조립핀(39)의 헤드에 조립하고 핀(39)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56)상에 형성된다. 상기 홈(50)의 맞물림부(51)와 커버부(56)의 맞물림부(56b)는 단부 캡(10)에 캡 커버(55)를 부착시키기 위한 탄성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캡 커버(55)는 맞물림부(56b,51)의 스냅 조립에 의해 핀(39)을 홀(38) 안으로 삽입한 후에 단부 캡(10)에 조립된다. 또한, 단부 부재의 구멍(34a)은 밸브 요소(57)에 의해, 맞물림부(57a)를 릴리이빙 통로(34) 안으로 탄성 변형 및 삽입시키므로써, 폐쇄된다. 상기 캡 커버(55)가 단부 캡(10)에 조립될 때, 조립핀(39)은 외측에서 관측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드 유니트의 외관은 핀(39)의 헤드에 의해 악화되지 않는다. 또한, 단부 캡에 조립될 때 상기 캡 커버가 나사나 또는 볼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캡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은 훨씬 단순해진다. 상기 시일 밴드(30,31)상의 보수 작업이 수행될 때, 맞물림부(56b,51)를 단속시키고 조립핀(39)을 꺼내는 것만으로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일 밴드의 보수 작업은 어떠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실린더 챔버(6)에서 다량의 유체가 예를들면 내부 시일 밴드의 고장에 의해 내부 시일 밴드와 외부 시일 밴드 사이의 공간(S) 안으로 누출될 경우, 상기 공간(S)에서의 압력은 증가한다. 상기 공간에서의 압력이 밸브 요소(57)의 맞물림부(57a)와 통로(34)의 벽 사이에서 맞물리므로써 결정된 예정 압력에 도달할 경우, 상기 실린더 튜브(2) 양 측부상의 단부 캡(10)의 밸브 요소(57)는 통로(34)의 압력에 의해 릴리이빙 통로(34)의 벽으로부터 단속되며, 단부 캡(10,11)의 개구부(34a)를 개방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다량의 유체가 원통형 튜브(2) 양 측부상의 릴리이빙 통로(34)를 통해 주변으로 빠져나가므로, 상기 공간(S)의 압력은 대기 압력에 가까운 값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외부 시일 밴드(31)의 폭발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밸브 요소(57)는 커버(56)로부터 분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의 수는 필수 요소로서 밸브 요소(57)와 커버(56)를 형성하므로써 감소된다.
도 5 는 도 2 의 Ⅴ-Ⅴ라인을 절취한 단부 캡(10,1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캡(10)은 금속 파이프(60; 나사 삽입물)와 함께 제공된다. 상기 파이프(60)는 단부 캡(10)이 합성 수지로부터 성형될 때 단부 캡(10) 안에 매몰된다. 상기 금속 파이프(60)의 중간에는 확장 직경부(61)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 직경부(61)의 외부면은 금속 파이프가 단부 캡(1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얼링된다. 금속 파이프(60)에는 볼트구멍(62)이 형성되고, 볼트가 볼트구멍(62) 안으로 삽입될 때, 볼트 헤드의 하부면은 금속 파이프(60)의 한 단부면(63)과 접한다. 상기 금속 파이프(60)의 다른 단부면(64)은 단부 캡(10)의 하부면(이 명은 외부 구조체를 접촉한다)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선별적으로 상기 단부면(64)은 단부 캡의 하부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될 수도 있다. 리세스(66)는 볼트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해 단부 캡(10)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가 기계 베이스판과 같은 외부 구조체(99)에 장착될 때, 장착 볼트(90)는 단부 캡(10,11)의 볼트홀(62) 안으로 삽입된다. 장착 볼트가 조여질 때, 상기 볼트(90)의 결속 부하는 금속관(60)에 의해 수용된다. 즉, 볼트 헤드의 하부면은 단부면(63)과 접촉하며, 외부 구조체는 단부면(64)과 접촉하고, 따라서 어떠한 결속 부하도 합성수지로 제조된 단부 캡의 일부상에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드 유니트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단부 캡의 일부를 변형시키거나 장착 볼트를 이완시키는 일 없이도 외부 구조체(99)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 댐퍼(70)는 단부 캡(10,11)의 일부 부위(12)의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부위(12)가 원통형 튜브(2)의 보어(2a)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내부 댐퍼(70)는 피스톤(20)이 그 행정의 말미에 도달할 때 피스톤 단부(21)와 접한다. 압축 유체는 단부 캡(10,11)의 측면상에 배열된 입구 및 출구 포트(15)와 단부 캡의 통로(71)와 내부 댐퍼(70) 중심의 포트(72)를 통해 실린더 챔버(6)로 공급 및 방출된다. 또한, 각각의 단부 캡(10,11)은 캐리지(26)가 그 행정 말미에 도달할 때 외부 캐리지(26)의 전방 측벽(23c)(또는 후방 캐리지(23d))에 접촉하는 외부 댐퍼(80)와 함께 제공된다. 상기 내부 댐퍼(70) 및 외부 댐퍼(80)는 피스톤 단부(21) 및 벽(23c 또는 23d)과 접촉하며,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댐퍼(70,80)는 서로 연속적으로 짝을 이루며 접촉한다.
상기 댐퍼(70,80)는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제조된다. 도 2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외부 댐퍼(80)는 원통형 튜브(2)의 홈(4)을 따라 연장하는 하단부(81)와 함께 제공된다. 또한, 삽입 부재(8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장된 하단부(81)의 각각의 단부상에 제공된다. 상기 하단부(81)의 길이는, 댐퍼(80)가 단부 캡(10,11)과 접촉할 때, 삽입 부재(82)가 자동-태핑 나사(14)의 단부 안쪽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상기 댐퍼(80)는 삽입 부재(82)를 자동-태핑 나사(14)의 팁 안쪽 위치에서 홈(4) 안으로 삽입하므로써 원통형 튜브(2)에 부착된다. 따라서, 2개의 원통형 튜브(2) 양 측부상의 자동-태핑 나사(14)는 댐퍼(80)의 하단부(81)에 의해 커버된다.
도 10 및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 에 있어서, 참고 부호 102는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로서 사용된 충격 흡수재를 나타낸다. 상기 충격 흡수재(102)는 위치결정 부재(100) 및 스토퍼 홀더(101)에 의해 단부 캡(10e, 11e)상에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 홀더(101)상에는 나사홀(103)이 충격 흡수재(102)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충격 흡수재(102)의 주변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재(102)는 충격 흡수재를 스토퍼 홀더(101)상의 나사홀(103) 안으로 나사결합하므로써 스토퍼 홀더(101)에 고착된다.
상기 스토퍼 홀더(101)는 나사홀(103)과 한 측면(101a) 사이의 위치에서 노치(104)와 함께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 홀더(101)는 또한 단부 캡의 장착홀(6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홀(105)을 통해 수직재와 함께 제공된다. 각각의 단부 캡의 관통홀(105)중 하나는 노치(104)를 교차한다. 상기 단부 캡의 각 장착홀(62)의 상단부는 카운터-보어되며, 보어(66e)를 형성한다. 각각의 관통홀의 하단부는 위치결정 홀(106)이 보어(66)가 형성될 때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직경이 확장된다. 상기 스토퍼 홀더(101)를 단부 캡(10e,11e)상에 고정시킬 때, 각각의 위치결정 홀(106)은 원통형 삽입 부재(100)를 위치결정 홀(106)과 보어(66e) 안으로 삽입하므로써 상기 보어(66e)에 일직선상으로 정렬된다. 상기 위치결정 부재(100)를 사용하므로써, 각각의 스토퍼 홀더(101)는 각각의 단부 캡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각각의 위치결정 부재(100)는 중심홀(107)과 함께 제공되며, 위치결정 부재(100)가 설정될 때, 각각의 관통홀(105) 및 장착홀(62)은 스토퍼 홀더(101)의 상부면으로부터 단부 캡의 하부면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108)는 피스톤 마운트(23)에 부착되고, 외부 캐리지(109)는 플레이트(108) 및 피스톤 마운트(2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08)는 단부면(115,116)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홀(114)과 함께 제공된다. 각각의 홀(114)은 충격 흡수재(10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114)을 분리하는 벽(108a)은 외부 캐리지(109)가 그의 행정 말미에 도달할 때 충격 흡수재(102)와 접한다.
도 2 에 있어서, 참고 부호 11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댐퍼를 나타낸다. 상기 외부 댐퍼(118)는 외부 캐리지(109)에 대항하는 단부 캡(10e,11e)의 면에 부착되고, 행정 말미에 도달할 때 캐리지(109)에 접촉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1)가 기계 베이스와 같은 외부 구조체(119)에 고정될 때, 상기 스토퍼 홀더(101)는 위치결정 부재(100)에 의해 대응하는 단부 캡에 고정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장착 볼트(120)는 위치결정 부재(100)의 중심홀을 통해 단부 캡의 장착홀(62)과 스토퍼 홀더(101)의 관통홀(105) 안으로 삽입되며, 외부 구조체(119)에 고정된다. 상기 충격 흡수재(102)는 충격 흡수재의 외단부가 단부 캡(10e,11e)의 외단부면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스토퍼 홀더(101)에 고정된다. 이와같은 형상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재(102)는 외부 캐리지(109)가 그의 행정 말미에 도달할 때 플레이트(108)의 홀(114) 안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원통형 튜브(2)의 길이가 짧을 경우 조차 외부 캐리지의 긴 행정이 얻어질 수 있다. 그에따라, 비록 충격 흡수재가 사용될지라도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의 전체 길이를 짧게 만든다.
상술된 바와같이, 시일 밴드는 본원 발명에 따른 고정핀만으로 단부 부재에 고착된다. 따라서, 상기 시일 밴드의 조립 방법은 크게 단순화된다. 또한, 저 강도를 갖는 합성 수지가 단부 캡의 물질로서 사용되므로, 제조 비용 및 슬라이드 유니트의 중량이 감소된다.
또한, 스냅 조립에 의해 단부 캡에 부착된 캡 커버가 조립핀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외관이 조립핀의 헤드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다. 그와 함께, 상기 캡 커버가 조립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작용하므로, 상기 시일 밴드는 단순한 조립 장치에도 불구하고 단부 캡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가 단부 캡을 장착 볼트에 의해 외부 구조체에 조립하므로써 외부 구조체에 고정될 때, 단부 캡에 매설된 금속관은 대체로 장착 볼트의 보든 결속 부하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단부 캡이 합성 수지로 제조될 때 조차도, 단부 캡의 변형이나 그에 따른 장착 볼트의 이완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단부 캡이 자동-태핑 나사에 의해 원통형 튜브에 부착되므로, 원통형 튜브의 단부면상에서 드릴작업된 홀 내부면에 나사산을 절삭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 유티트의 제조 방법은 크게 단순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톱 부재가 단부 캡에 고착되므로, 상기 스톱 부재는 원통형 튜브에 손상을 입히는 일 없이 원통형 튜브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튜브의 강도 또한 상기 스톱 부재의 조립 장치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Claims (14)

  1. 원통형 배럴의 벽을 관통하고 원통형 배럴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릿을 갖춘 원통형 배럴과; 상기 원통형 배럴의 양 단부에 조립되고 원통형 배럴 보어의 양 단부를 폐쇄하는 단부 부재와;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배럴의 보어내에 배치되고 원통형 배럴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내부 이동체와; 상기 원통형 배럴의 외측에 배치되고, 캐리지가 슬릿을 따라 내부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도록 원통형 배럴의 슬릿을 통해 커플링 부재에 의해 내부 이동체에 결속되는 외부 캐리지; 및 각각의 단부에서 조립홀을 구비하고 원통형 배럴의 슬릿을 따라 배치되어 원통형 배럴의 슬릿을 커버하는 시일 밴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부 부재는 시일 밴드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 배럴에 대항하는 단부면상에 형성된 리세스 및 단부 부재면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리세스를 횡단하는 핀홀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 밴드는 조립핀이 시일 밴드의 단부에 있는 조립홀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각 단부 부재의 핀홀 안으로 조립핀을 삽입하므로써 단부 부재에 견고히 부착되는 슬라이드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배럴의 외측으로부터 슬릿을 커버하는 외부 시일 밴드와 원통형 배럴의 내측으로부터 슬릿을 커버하는 내부 시일밴드가 제공되며, 상기 외부 시일 밴드 및 내부 시일 밴드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별 리세스가 상기 단부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는 하나의 조립핀이 조립홀을 통해 양쪽 외부 시일 밴드 및 내부 시일 밴드중 한 단부의 조립홀을 관통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슬라이드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 고정 수단에 의해 각각의 단부 부재에 조립된 단부 커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단부 커버는 단부 부재에 조립될 때 조립핀의 단부를 커버하며, 조립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유니트.
  4. 제2항에 있어서, 탄성 고정 수단에 의해 각각의 단부 부재에 조립된 단부 커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단부 커버는 단부 부재에 조립될 때 조립핀의 단부를 커버하며, 조립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유니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수단은 단부 커버상에 형성된 후크부와 단부 부재상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부를 맞물리도록 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니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수단은 단부 커버상에 형성된 후크부와 단부 부재상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부를 맞물리도록 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니트.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이동체는 원통형 배럴의 보어 안으로 도입되는 압축 유체에 의해 이동되며, 내부 및 외부 시일 밴드 사이의 공간을 원통형 배럴의 외측과 연통시키는 릴리이빙 통로가 상기 단부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단부 커버는 상기 공간에서의 압력이 예정된 값보다 낮을때 릴리이빙 통로를 폐쇄시키고 상기 공간에서의 압력이 예정된 값보다 높을 때 릴리이빙 통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압력 릴리이빙 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유니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는 내부에 금속관이 매설된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금속관은 슬라이드 유니트를 외부 구조체에 고착시키기 위한 장착 볼트가 관통하는 슬리이브로 작용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가 장착 볼트에 의해 내부 구조체에 고착될 때 금속관의 한 단부가 장착 볼트의 헤드와 접촉하고 금속관의 다른 단부가 외부 구조체의 표면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슬라이드 유니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배럴은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배럴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관통 구멍은 그의 전체 길이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단부 부재는 관통 구멍 안에 나사결합된 자동-태핑 나사에 의해 원통형 배럴의 양 단부에 조립되는 슬라이드 유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배럴의 외측으로 개방되고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관통 구멍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릿이 상기 조립 볼트홀의 벽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유니트.
  11.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캐리지의 행정 말미를 한정시키기 위해 원통형 배럴의 양 단부에 스토퍼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유니트를 외부 구조체에 부착시키기 위해 장착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 볼트홀은 각각의 단부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스토퍼 부재는 슬라이드 유니트를 외부 구조체에 부착시키는 것과 동일한 장착 볼트에 의해 단부 부재에 부착되는 슬라이드 유니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행정 말미에 외부 캐리지를 접촉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를 보유하는 스토퍼 홀더 및 위치결정 부재는 상기 스토퍼 홀더와 단부 부재에 대해 스토퍼 홀더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단부 부재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스토퍼 홀더는 단부 부재를 외부 구조체에 부착시키기 위해 장착 볼트가 관통하는 장착 볼트홀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홀더는 슬라이드 유니트를 외부 구조체에 부착시키는 것과 동일한 장착볼트에 의해 단부 부재에 부착되는 슬라이드 유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및 스토퍼 홀더는 양 단부 부재의 단부면에 의해 한정된 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유니트.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배럴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슬라이드 유니트.
KR1019980013389A 1997-04-29 1998-04-15 슬라이드 유니트 KR100274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6360 1997-04-29
JP12636097A JP3160891B2 (ja) 1997-04-29 1997-04-29 シ−ルバンド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412A KR19980081412A (ko) 1998-11-25
KR100274499B1 true KR100274499B1 (ko) 2000-12-15

Family

ID=1493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389A KR100274499B1 (ko) 1997-04-29 1998-04-15 슬라이드 유니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92295A (ko)
EP (1) EP0875679B1 (ko)
JP (1) JP3160891B2 (ko)
KR (1) KR100274499B1 (ko)
CN (1) CN1168907C (ko)
DE (1) DE69817067T2 (ko)
TW (1) TW3465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0854C2 (sv) * 1997-10-29 1999-06-28 Mecman Ab Rexroth Anordning vid gavel till en tryckfluidcylinder samt tryckfluidcylinder innefattande en eller två dylika anordningar
JP3546422B2 (ja) * 1999-02-23 2004-07-28 豊和工業株式会社 ベースと駆動装置の連結構造及び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3459601B2 (ja) * 1999-10-18 2003-10-20 Smc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2003117647A (ja) * 2001-10-09 2003-04-23 Ykk Corp スリット付き中空鋳造成型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6857780B2 (en) * 2002-11-15 2005-02-22 Phd, Inc. Rodless slide assembly
US7351288B2 (en) * 2003-12-22 2008-04-01 Asml Holding N.V. Shock absorbing fluidic actuator
CN101755132B (zh) * 2007-07-19 2013-05-22 费斯托股份有限两合公司 流体操纵的线性驱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49A (en) * 1862-01-07 Improved pulverizer and seed-sower
JPS4977388A (ko) * 1972-11-28 1974-07-25
US3893378A (en) * 1973-11-23 1975-07-08 Delbert C Hewitt Double acting fluid cylinder
US4373427A (en) * 1980-01-31 1983-02-15 Tol-O-Matic, Inc. Fluid pressure cylinder
US4545290A (en) * 1983-12-23 1985-10-08 Tol-O-Matic, Inc. Pressure cylinder
US4724744A (en) * 1985-12-18 1988-02-16 Tol-O-Matic, Inc. Carrier bracket for power cylinder
JPS62225708A (ja) * 1986-03-28 1987-10-03 Mazda Motor Corp 多気筒エンジンの動弁装置
JPS62266206A (ja) * 1986-05-09 1987-11-19 Ckd Corp ロツドレスシリンダ
JPH0765602B2 (ja) * 1987-01-30 1995-07-19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ツドレスシリンダ
US4813341A (en) * 1987-02-27 1989-03-21 Tol-O-Matic, Inc. Pneumatic cylinder and means for powering a second pneumatic unit
US4785716A (en) * 1987-02-27 1988-11-22 Tol-O-Matic, Inc. Pneumatic cylinder and brake mechanism therefor
JPH01132804A (ja) * 1987-11-14 1989-05-25 Daio Paper Corp 使い捨て衣料
JP2853128B2 (ja) * 1988-07-08 1999-02-03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用電子機器
JPH0730765B2 (ja) * 1989-05-31 1995-04-10 シーケーデイ株式会社 ロツドレスシリンダ
JPH037506A (ja) * 1989-06-03 1991-01-14 Iseki & Co Ltd 草刈機
JPH0312006A (ja) * 1989-06-09 1991-01-21 Nec Corp 光磁気オーバライト方式
SE510396C2 (sv) * 1992-10-08 1999-05-17 Ckd Corp Kolvstångslös cylinder
JP3323590B2 (ja) * 1993-07-28 2002-09-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情報通信装置
JPH07158612A (ja) * 1993-10-01 1995-06-20 Ckd Corp ロッドレスシリンダ
DE29507142U1 (de) * 1995-04-28 1995-07-06 Festo Kg Vorrichtung für Linearbewegungen
JP3011084B2 (ja) * 1995-12-27 2000-02-21 豊和工業株式会社 直線作動機
TW308628B (en) * 1995-12-27 1997-06-21 Toyowa Kogyo Kk A rodless power c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5679B1 (en) 2003-08-13
DE69817067D1 (de) 2003-09-18
JP3160891B2 (ja) 2001-04-25
KR19980081412A (ko) 1998-11-25
US5992295A (en) 1999-11-30
CN1200441A (zh) 1998-12-02
DE69817067T2 (de) 2004-06-17
EP0875679A3 (en) 1999-03-31
EP0875679A2 (en) 1998-11-04
CN1168907C (zh) 2004-09-29
JPH10299715A (ja) 1998-11-10
TW346527B (en) 199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111A (en) Linear actuator
KR100483692B1 (ko) 벨트 가이드기구
KR100274499B1 (ko) 슬라이드 유니트
US6186484B1 (en) Elastomer damper for an actuator cylinder
US5701798A (en) Linear actuating device
KR100720104B1 (ko)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
KR100397027B1 (ko) 로드리스실린더
JP3546422B2 (ja) ベースと駆動装置の連結構造及び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6253660B1 (en) Rodless cylinder
US5724880A (en) Rodless power cylinder including a securing member for the inner seal band which passes through the slit in the cylinder barrel
US6647859B2 (en) Belt-fixing mechanism
JP3814812B2 (ja) ストップ部材の取付構造
JP3796932B2 (ja) ストップ部材の取付構造
JP3801755B2 (ja) ストップ部材取付用の門型ブラケット
JP2996291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937877B2 (ja) シールバンドの取付構造と組付方法及び直線作動機
JP3685385B2 (ja) 直線作動機
JP3375249B2 (ja) 直線作動機
KR20010067292A (ko) 로드리스실린더
JP2970515B2 (ja) ストップ部材の取付機構
JPH11311209A (ja) 直線作動機
JP2001200809A (ja) シールバンド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