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027B1 - 로드리스실린더 - Google Patents

로드리스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027B1
KR100397027B1 KR10-2000-0057849A KR20000057849A KR100397027B1 KR 100397027 B1 KR100397027 B1 KR 100397027B1 KR 20000057849 A KR20000057849 A KR 20000057849A KR 100397027 B1 KR100397027 B1 KR 10039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ube
stopper members
slide table
cylinder
end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131A (ko
Inventor
가네코준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082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the motor being of the slotted 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8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shock absorbers mounted outside the actuator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4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restricting the stroke

Abstract

로드리스실린더(10)를 구성하는 실린더튜브(12)에는 엔드플레이트(16a, 16b)를 통해 스토퍼부재(18a, 18b)가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조절볼트(92a, 92b), 및 슬라이드테이블(14)이 조절볼트(92a, 92b)와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충하는 쇽업소버(93a, 93b)가 장착되어 있다. 또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엔드플레이트(16a, 16b)에 설치된 내측포트(102a, 102b)와 상기 내측포트(102a, 102b)에 연통되는 외측포트(104a, 104b)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로드리스실린더{Rodless Cylinder}
본 발명은 로드리스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테이블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부재의 취부구조에 특징을 갖는 로드리스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장내에서 피가공물의 운송장치로서 로드리스실린더가 채용되고있다. 이 로드리스실린더는 로드를 갖는 실린더에 비해 그 변위길이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점유면적이 작고 취급이 간단하며 고도의 위치결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로드리스실린더는 주로 보어(bore)부가 형성된 실린더튜브, 상기 보어부에 배치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튜브를 따라 왕복하는 슬라이드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로드리스실린더는 슬라이드테이블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경우, 스토퍼부재는 실린더튜브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로드리스실린더의 소형 박형화가 촉망되고 있지만, 실린더튜브에는 스토퍼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소형화를 실현하기 곤란하고, 박형화조건이 더해지면 스토퍼부재를 설치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박형화를 도모하고, 소형화가 실현된 로드리스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실린더튜브를 박형화하면서 조절볼트 및 쇽업소버를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엔드플레이트는 보어부와 연통하는 내측포트가 구비되고, 스토퍼부재는상기 내측포트와 연통하는 외측포트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포부재에 의해 내측포트가 폐쇄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리스실린더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로드리스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튜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린더튜브의 단부측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로드리스실린더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로드리스실린더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로드리스실린더의 슬리트 부근을 확대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로드리스실린더의 단부측을 구성하는 실린더튜브, 엔드플레이트 및 스토퍼부재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드리스실린더에 대해 적절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로드리스실린더(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로드리스실린더(10)는 실린더튜브(12), 상기 실린더튜브(12)에 취부되어 긴방향을 따라 왕복자재한 슬라이드테이블(14), 실린더튜브(12)의 양단부에 취부된 엔드플레이트(16a, 16b), 이들 엔드플레이트(16a, 16b)를 통해 실린더튜브(12)에 취부된 스토퍼부재(18a, 18b)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튜브(12)의 내부에는 긴방향쪽으로 보어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실린더튜브(12)의 상면부에는 긴방향쪽을 따라 슬리트(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리트(22)에 의해 보어부(20)가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실린더튜브(12)의 내부에서의 보어부(20)의 양측부 아래쪽 부근에는 보어부(20)를 따라 집중배관용 유체바이패스용 통로(24a, 24b)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튜브(12)의 양측면부에는 긴쪽방향을 따라 센서취부용 홈(26a, 2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센서취부용 홈(26a, 26b)에는 후술하는 피스톤(5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미도시된 센서 등이 취부되어 있다. 또 실린더튜브(12)의 상면부에서의 슬리트(22)의 양면에는 후술하는 상부 벨트(64)를 장착하기 위한 벨트장착홈(28a, 28b)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장착홈(28a, 28b)은 실린더튜브(12)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부(20)는 단면형상이 실질적으로 마름모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어부(20)에서는 양측부의 두께(높이)가 중앙부에 비해 작게 되어 있다. 또 보어부(20) 단면의 마름모형상은 두께 T가 폭 W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두께 T와 폭 W는 실린더튜브(12)에서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폭에 대한 두께의 비율을 약 50% 이하로 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이 실질적으로 마름모 형상인 보어부(20)의 각 모서리부(20a∼20c)는 실질적으로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부(20c)의 곡률반경은 다른 모서리부(20a, 20b)의 곡룰반경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보어부(20)와 슬리트(22)와의 경계부분에는 테이퍼부(30a, 30b)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튜브(12) 상면부에서의 보어부(20)의 양측부에, 실린더튜브(12)를 둘러싸는 직사각형(도 3의 2점쇄선)에서 제거된 형상의 모서리제거부(32a, 32b)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튜브(12)의 하면부에서의 보어부(20)의 양측부에, 실린더튜브(12)의 직사각형에서 요홈상으로 제거된 형상의 모서리제거부(34a, 3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실린더튜브(12)의 양단면에는 엔드플레이트(16a, 16b) 및 스토퍼부재(18 a, 18b)를 취부하기 위한 나사홀(36a∼36c)이 형성되어 있다.
이경우, 실린더튜브(12)는 나사홀(36a∼36c)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좌우대칭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테이블(14) 및 실린더튜브(12)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린더튜브(1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재를 압출가공함에 따라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튜브(12)의 보어부(20)에는 상기 보어부(2 0)에 대응한 단면형상을 갖는 피스톤(50)이 왕복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0)의 긴방향을 따른 양단면에는 돌부(52a, 52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부(52a, 52b)에는 시일부재(54a, 54b)가 취부되어 있다. 이경우 돌부(52a, 52b)의 선단면은 수압면(56a, 56b)으로서 기능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부재(54a, 54b)의 외주형상은 보어부(2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모서리부가 원호상의 실질적으로 마름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부재(54a, 54b)에 의해 피스톤(50)과 보어부(20)의 내벽면과의 사이가 시일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0)에는 그 상부측에 돌출하는 피스톤요크 (60)가 장착되어 있고, 이 피스톤요크(60)의 상부측 양단면에는 한쌍의 벨트세퍼레이터(62a, 62b)가 소정 간격을 두고 취부되어 있다. 피스톤(50)에는 피스톤요크(6 0) 및 벨트세퍼레이터(62a, 62b)를 덮도록 슬라이드테이블(14)이 연결되어 있다.이 경우 슬라이드테이블(14)은 예를 들어 미도시된 가이드기구에 의해 실린더튜브( 12)의 상면부와 접촉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튜브(12)의 슬리트(22)에는 상기 슬리트(22)를 상하방향으로 폐쇄하도록 시일용 상부벨트(64) 및 하부벨트(66)가 취부되어 있다. 상부벨트(64)는 예를 들어 고무재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벨트(66)는 예를 들어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서의 슬리트(22)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벨트(64)에는 다리부(68a, 68b)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벨트(64)는 다리부(68a, 68b)를 실린더튜브(12)의 벨트장착홈(28a, 28b)에 끼워넣음에 따라 실린더튜브(12)에 장착된다. 또 상부벨트(64)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평판, 평판이 다리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도록 자성재료로 형성된 다리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벨트(66)의 상면부의 양측부에는 실린더튜브(12)의 테이퍼부(30a, 30b)에 대응하여 형성된 테이퍼부(70a, 70b)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벨트(66)는 테이퍼부(70a, 70b)와 테이퍼부(30a, 30b)가 밀착되도록 실린더튜브(12)에 장착되어 있다.
또 하부벨트(66)의 하면부(72)는 시일부재(54a, 54b)의 상단부(상측 모서리부)의 원호상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하부벨트(66)와 시일부재(54a, 54b)의 사이가 시일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벨트(64) 및 하부벨트(66)의 양단부(도 4에, 좌측단부만을 도시되어 있다)는 엔드플레이트(16a, 16b)에 각각 고정된다.
벨트세퍼레이터(62a, 62b)는 상하로 떨어진 상부벨트(64) 및 하부벨트(66)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경우 상부벨트(64)는 벨트세퍼레이터(62a, 62b)와 슬라이드테이블(1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고, 하부벨트(66)는 벨트세퍼레이터(62a, 62b)와 피스톤(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한다.
또 슬라이드테이블(14)의 양단부에는 압압부재(74a, 74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압압부재(74a, 74b)에 의해 상부벨트(64)가 실린더튜브(12)쪽으로 압압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테이블(14)이 이동할 때 벨트세퍼레이터(6 2a, 62b)는 상부벨트(64)와 하부벨트(66)를 개방하도록 작용하고, 압압부재(74a, 74b)는 상부벨트(64)와 하부벨트(66)를 폐쇄시키도록 작용한다.
또 슬라이드테이블(14)의 양단부에는 상부벨트(64)와 접하도록 스크랩퍼(76 a, 76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랩퍼(76a, 76b)에 의해 슬라이드테이블(14)과 상부벨트(64)의 사이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도 7은 로드리스실린더(10)의 단부측을 구성하는 실린더튜브(12), 엔드플레이트(16a, 16b) 및 스토퍼부재(18a, 18b)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에는 로드리스실린더(10)의 좌측단부(엔드플레이트(16a) 및 스토퍼(18a))만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16a, 16b)는 보어부(20)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실린더튜브(12)의 양단부에 취부되어 있다. 이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16a, 16b)는 나사구멍(36a∼36c)에 나사부재(80a∼80c)를 장착함에 따라 스토퍼부재(18a, 18b)와 일체로 실린더튜브(12)에 조립된다. 또한 엔드플레이트(16a, 16b) 및 스토퍼부재(18a, 18b)의 구체적인 조립구조에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16a, 16b)와 보어부(20)의 사이는 고무재료 등으로 형성된 가스킷(82)에 의해 기밀하게 폐쇄되어 있다(도 4에서는 엔드플레이트(16a)쪽 만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엔드플레이트(16a: 가스킷(82))와 피스톤(50: 수압면(56a)) 사이, 엔드플레이트(16b: 미도시된 가스킷)와 피스톤(50: 수압면(56b)) 사이에는 각각 챔버(84a, 84b)가 형성된다.
또 가스킷(82)에서의 보어부(20)에 면하는 부분에는 돌부(86)가 설치되어 있다. 이경우 이 돌부(86)는 피스톤(50)의 단부(수압면(56a, 56b))와 당접가능하다. 즉, 돌부(86)는 피스톤(50)이 왕복하여 보어부(20)의 단부에 도달하고, 엔드플레이트(16a, 16b)와 접촉할 때 이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16a, 16b)에는 나사관통구멍(88a ∼88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나사장착구멍(90a∼9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엔드플레이트(16a, 16b) 및 스토퍼부재(18a, 18b)는 나사장착구멍(90a∼90c) 및 나사관통구멍(88a∼88c)을 통해 나사부재(80a∼80c)를 실린더튜브(12)의 나사구멍(36a∼36c)에 장착함에 따라 실린더튜브(12)에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이 경우, 스토퍼부재(18a, 18b)는 실린더튜브(12)에 대한 엔드플레이트(16a, 16b)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스토퍼부재(18a, 18b)는 엔드플레이트(16a, 16b)를 통해 실린더튜브(12)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조절볼트(92a, 92b)와, 슬라이드테이블(14)이 조절볼트(92a, 92b)와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쇽업소버(93a, 93b)가 각각 취부되어 있다.
쇽업소버(93a, 93b)의 선단부에는 상기 쇽업소버(93a, 93b)에 대해 왕복자재하게 되어 있으며, 미도시된 스프링부재 등으로 선단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돌출부(94a, 94b)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볼트장착구멍(9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장착구멍(95)에 조절볼트(92a, 92b)를 끼움에 따라 상기 조절볼트(92a, 92b)가 스토퍼부재(18a, 18b)에 취부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92a, 92b)에는 너트부재(96a, 96b)가 취부되어 있고, 이 너트부재(96a, 96b)에 의해 조절볼트(92a, 92b)의 선단위치가 결정된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쇽업소버장착구멍( 9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쇽업소버장착구멍(97)에 쇽업소버(93a, 93b)를 나입시킴에 따라 상기 쇽업소버(93a, 93b)가 스토퍼부재(18a, 18b)에 취부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쇽업소버장착구멍(97)과 연통하도록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의 상면부를 따라 슬리트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재(18a, 18b)의 상면부로부터 슬리트부(98)를 관통하여 나사부재(99)를 취부하고, 나사부재(99)에 의해 슬리트부(98)의 간격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쇽업소버(93a, 93b)가 스토퍼부재(18a, 18b)에 고정된다.
이경우, 스토퍼부재(18a, 18b)에 조절볼트(92a, 92b) 및 쇽업소버(93a, 93b)를 취부하는 위치는 이들 조절볼트(92a, 92b) 및 쇽업소버(93a, 93b)가 각각 모서리제거부(32a, 32b)을 따라 배치되도록 조절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16a, 16b)의 측면부에는 포트(100a, 10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포트(100a, 100b)는 엔드플레이트(16a, 16b)내의 미도시된 통로를 통해 실린더튜브(12) 내의 챔버(84a, 84b: 도 4 참조)와 각각 연통상태가 된다.
이들 포트(100a, 100b)에는 예를 들어 미도시된 절환밸브를 통해 압축공기 공급원이 접속되어 있고, 이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가 포트(100a, 100b)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16a, 16b)의 단부측 측면부에는 포트(내측포트: 102a, 102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내측포트(102a, 102b)는 엔드플레이트(16a, 16b) 내의 미도시된 통로 또는 실린더튜브(12)에 설치된 유체바이패스용 통로(24a, 24b)를 통해 실린더튜브(12) 내의 챔버(84a, 84b: 도 4 참조)와 연통상태에 있다.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포트(외측포트: 104a, 104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외측포트(104a, 104b)는 엔드플레이트(16a, 16b)의 내측포트(102a, 102b)와 연통되어 있다.
이경우 스토퍼부재(18a, 18b)의 측면부에서의 외측포트(104a, 104b)의 엔드플레이트(16a, 16b)측 주연부에는 O링시트(1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O링시트(106)에 장착된 O링(108)에 의해 내측포트(102a, 102b)와 외측포트(104a, 104b)의 사이가 시일된다(도 7에는 외측포트(104b)측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외측포트(104a, 104b)는 봉지나사(1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로드리스실린더(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 포트(100a)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이 압축공기는 미도시된 통로를 따라 실린더튜브(12) 내의 챔버(84a)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톤(50)이 도 4에서 오른쪽으로 압압되면 이 피스톤 (50)과 함께 슬라이드테이블(14)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압압부재(74b)에 의해 폐쇄된 오른쪽 상부벨트(64)와 하부벨트(66)는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과 함께 벨트세퍼레이터(62b)에 의해 개방된다.
또 벨트세퍼레이터(62a, 62b)에 의해 개방된 슬라이드테이블(14)의 중앙부근의 상부벨트(64)와 하부벨트(66)는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과 함께 압압부재(74 a)에 의해 폐쇄된다.
즉, 슬라이드테이블(14)은 슬리트(22)을 시일하고 보어부(20)의 기밀을 유지한채, 상부벨트(64) 및 하부벨트(66)에 의해 실린더튜브(12)를 따라 이동한다.
슬라이드테이블(14)이 실린더튜브(12)의 우측단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드테이블(14)은 쇽업소버(93b)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출부(94b)와 접촉한다. 이때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속도는 돌출부(94b)에 연결된 미도시된 피스톤부재에 가해지는 유압저항력에 의해 감소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테이블(14)이 다시 이동하여 조절볼트(92b)의 선단부와 접촉하면 슬라이드테이블(14)은 그 위치에 정지된다.
이어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포트(100a, 100b)를 절환하면, 즉 타방 포트(1 00b)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이 압축공기는 미도시된 통로를 통해 실린더튜브 (12) 내의 챔버(84b)에 도입된다. 그리고 이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톤(50)이 도 4의 좌측방향으로 압압하면 피스톤(50)과 함께 슬라이드테이블(14)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드테이블(14)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반대로 압압부재( 74a)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부벨트(64)와 하부벨트(66)는 벨트세퍼레이터(62a)에 의해 개방되고, 벨트세퍼레이터(62a, 62b)에 의해 개방된 상부벨트(64)와 하부벨트 (66)는 압압부재(74b)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테이블(14)이 실린더튜브(12)의 좌측단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드테이블(14)은 조절볼트(92a)의 선단부와 접촉되어 정지한다. 이때 슬라이드테이블(14)이 조절볼트(92a)와 접촉할 때의 충격은 쇽업소버(93a)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출부(94a)에 의해 완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리스실린더(10)에서는 조절볼트(92a, 92b) 및 쇽업소버(93a, 93b)가 취부되는 스토퍼부재(18a, 18b)는 실린더튜브(12)에 대한 엔드플레이트(16a, 16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실린더튜브( 12)에는 스토퍼부재(18a, 18b)를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실린더튜브(12)의 최소화, 즉 로드리스실린더(10)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경우, 실린더튜브(12)는 보어부(20)를 마름모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함에 따라 박형화된다. 그리고 조절볼트(92a, 92b) 및 쇽업소버(93a, 93b)는 각각 모서리제거부(32a, 32b)를 따라 배치된다. 이 때문에 실린더튜브(12)를 박형화하고, 스토퍼부재(18a, 18b)의 장착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조절볼트(92a, 92b) 및 쇽업소버(93a, 93b)를 모서리제거부(32a, 32b)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스토퍼부재(18a, 18b)의 상면부의 높이(실린더튜브(12)의 상면부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슬라이드테이블(14)의 높이보다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로드리스실린더(10)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 엔드플레이트(16a, 16b) 및 스토퍼부재(18a, 18b)는 실린더튜브(12)에 일체로 조립된다. 이때문에 실린더튜브(12), 엔드플레이트(16a, 16b) 및 스토퍼부재( 18a, 18b)를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엔드플레이트(16a, 16b)에서의 단부측 측면부에 설치된 내측포트(102a, 102b)와 연통되는 외측포트(104a, 10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스토퍼부재(18a, 18b)를 엔드플레이트(16a, 16b)의 외측에 장착한 경우에도 엔드플레이트(16a, 16b)의 내측포트(102a, 102b)가 스토퍼부재(18a, 18b)에 의해 폐쇄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리스실린더에서 스토퍼부재는 엔드플레이트를 통해 실린더튜브에 장착된다. 이때문에 실린더튜브에는 스토퍼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로드리스실린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실린더튜브는 보어부를 마름모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함에 따라 박형화하고, 조절볼트 및 쇽업소버는 실린더튜브의 모서리제거부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문에 조절볼트 및 쇽업소버의 장착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로드리스실린더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볼트 및 쇽업소버를 구비한 스토퍼부재의 장착스페이스의 확보, 로드리스실린더의 최소화 및 박형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보어부(20)가 형성된 실린더튜브(12),
    상기 보어부(20)에 배설된 피스톤(50),
    상기 피스톤(50)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튜브(12)를 따라 왕복하는 슬라이드테이블(14),
    상기 보어부(20)를 막기위해서 상기 실린더튜브(12)의 단부에 장착된 엔드플레이트(16a, 16b)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12)의 단부에 장착된 스토퍼부재(18a, 18b),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조절볼트(92a, 92b)가 구비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16a, 16b)에는 상기 보어부(20)와 연통하는 내측포트(102a, 102b)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상기 내측포트(102a, 102b)와 연통하는 외측포트(104a, 104b)가 구비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16a, 16b) 및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는 나사부재(80a∼80c)에 의해 상기 실린더튜브(12)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에는 상기 슬라이드테이블(14)이 상기 조절볼트(92a, 92b)와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충하는 쇽업소버(93a, 93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실린더.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부(20)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마름모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튜브(12) 외면의 상기 보어부(20) 측부에는 모서리제거부(32a, 32b, 34a, 3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볼트(92a, 92b) 및 상기 쇽업소버(93a, 93b)는 상기 모서리제거부(32a, 32b, 34a, 34b)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실린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튜브(12)는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폭(W) 방향에 대한 두께(T) 비율이 50% 이하이며, 상기 슬라이드테이블(14)의 이동방향에 따라 연재되고, 상기 실린더튜브(12)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면을 기준으로 종단면이 대칭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튜브(12)에서의 상기 슬라이드테이블(14)이 장착되어 있는 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의 돌출크기는 상기 슬라이드테이블 (14)의 돌출크기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실린더.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는 나사부재(80a∼80c)에 의해 상기 엔드플레이트(16a, 16b)에 착탈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실린더.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18a, 18b)는 슬리트부(98)의 간격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나사부재(99)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쇽업소버(93a, 93b)가 상기 나사부재(99)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실린더.
KR10-2000-0057849A 1999-10-18 2000-10-02 로드리스실린더 KR100397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95396 1999-10-18
JP29539699A JP3459601B2 (ja) 1999-10-18 1999-10-18 ロッドレスシリン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131A KR20010071131A (ko) 2001-07-28
KR100397027B1 true KR100397027B1 (ko) 2003-09-02

Family

ID=1782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849A KR100397027B1 (ko) 1999-10-18 2000-10-02 로드리스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1334B1 (ko)
JP (1) JP3459601B2 (ko)
KR (1) KR100397027B1 (ko)
CN (1) CN1204346C (ko)
DE (1) DE10050977C2 (ko)
TW (1) TW460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5155B2 (ja) * 2004-04-26 2010-08-18 Smc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7819238B2 (en) * 2005-10-12 2010-10-26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Heavy duty slide
US8863645B2 (en) * 2007-03-28 2014-10-21 Norgren Gmbh Piston support portion for a piston assembly of a rodless cylinder
JP5360564B2 (ja) * 2009-06-03 2013-12-04 Smc株式会社 空気圧シリンダのエアクッション機構
TWI391586B (zh) * 2010-04-16 2013-04-01 Hiwin Tech Corp 具擋塊之滾珠螺桿
CN102502337A (zh) * 2011-11-08 2012-06-20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绳编无结网绕线机上的光杆固定座
US10099313B2 (en) * 2015-08-07 2018-10-16 Apci, Llc Linear friction welding system with phase change assembly
DE102018201936B4 (de) 2018-02-08 2023-01-26 Festo Se & Co. Kg Kolbenstangenloser Linearantrieb sowie Herstellungsbausatz und Mehrzahl von kolbenstangenlosen Linearantrieb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013A (ja) * 1994-11-25 1996-06-04 Ckd Corp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H1113712A (ja) * 1997-06-19 1999-01-22 Howa Mach Ltd ロッドレスシリンダのクッ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864A (en) * 1899-11-09 1900-06-19 Charles L Van Buskirk Piston.
AT270103B (de) * 1967-08-03 1969-04-10 Peter Florjancic Hydraulischer Antrieb, insbesondere Schließvorrichtung für Spritzgußmaschinen
DE2431706A1 (de) * 1974-07-02 1976-01-22 Festo Maschf Stoll G Arbeitszylinder fuer pneumatische und hydraulische medien
DE69128532T2 (de) * 1991-01-16 1998-05-14 Smc Corp Kolbenstangenloser zylinder mit einer vorrichtung zur hubbegrenzung
US5568982A (en) * 1994-10-14 1996-10-29 Festo Kg Linear drive
DE9416523U1 (de) * 1994-10-14 1994-12-01 Festo Kg Linearantrieb
JP3160891B2 (ja) * 1997-04-29 2001-04-25 豊和工業株式会社 シ−ルバンドの取付構造
TW494187B (en) * 1997-06-11 2002-07-11 Howa Machinery Ltd A rodless power cylinder
US5950790A (en) * 1997-11-11 1999-09-14 Barber; Steven C. Linear stopp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013A (ja) * 1994-11-25 1996-06-04 Ckd Corp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H1113712A (ja) * 1997-06-19 1999-01-22 Howa Mach Ltd ロッドレスシリンダのクッ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50977A1 (de) 2001-04-26
JP2001116017A (ja) 2001-04-27
KR20010071131A (ko) 2001-07-28
CN1293317A (zh) 2001-05-02
US6481334B1 (en) 2002-11-19
JP3459601B2 (ja) 2003-10-20
TW460663B (en) 2001-10-21
CN1204346C (zh) 2005-06-01
DE10050977C2 (de) 200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5155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6561484B2 (en) Gate valve
JP3896550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100483692B1 (ko) 벨트 가이드기구
KR100397027B1 (ko) 로드리스실린더
KR101866813B1 (ko) 유압 실린더
EP0653266B1 (en) Actuator with slide table
KR100382345B1 (ko) 로드리스실린더
US6832541B2 (en) Linear actuator
US5992295A (en) Slide unit
US6647859B2 (en) Belt-fixing mechanism
KR100720103B1 (ko) 실린더 장치용 변위차 흡수기구
JP2006046500A (ja) 空気圧シリンダーの緩衝装置及び空気圧シリンダー
JP2003148635A (ja) ゲートバルブ
JP3775866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200383077Y1 (ko) 고정도 리니어 가이드 실린더의 비틀림 방지장치
JP2005083512A (ja) 流体圧シリンダ
JPH07788Y2 (ja) パイロット形弁
KR20010071148A (ko) 로드리스실린더
JPH11108010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585600Y2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JPH11311209A (ja) 直線作動機
JPH11125210A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2001349305A (ja) 直線往復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