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373B1 -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이의 생산방법 및 전도성 염으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이의 생산방법 및 전도성 염으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373B1
KR100716373B1 KR1020007015063A KR20007015063A KR100716373B1 KR 100716373 B1 KR100716373 B1 KR 100716373B1 KR 1020007015063 A KR1020007015063 A KR 1020007015063A KR 20007015063 A KR20007015063 A KR 20007015063A KR 100716373 B1 KR100716373 B1 KR 10071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oxalate
water
oxalic acid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657A (ko
Inventor
울리히 비텔만
우베 리쉬카
마리온 베그너
Original Assignee
케메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메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케메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4Esters of boric ac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화합물, 및 리튬 화합물, 옥살산 또는 옥살레이트, 및 붕소 화합물을 기초로한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붕소 하이드리드 및 옥살산을 기초로한 또다른 생산방법, 및 리튬-이온 전지에서 전도성 염으로서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이의 생산방법 및 전도성 염으로서의 용도{LITHIUM BISOXALATOBORATE, THE PRODUCTION THEREOF AND ITS USE AS A CONDUCTING SALT}
본 발명의 대상은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thium-bisoxalatoborate), Li[(C2O4)2B], 이의 두가지 생산방법 및 리튬 이온 전지에서 전도성 염으로서의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의 용도이다.
현재, 모든 상업적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LiPF6)를 전도성 염으로 사용한다. 이 염은 고에너지 전지에서 사용되기 위한 필수적 선결조건을 갖추고 있다. 즉, 이 염은 비양성자성(aprotic) 용매에 용이하게 용해되어 높은 전도도를 갖는 전해질로 이르게 되며, 높은 수준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 산화성 분해는 약 4.5V를 초과하는 전위에서 최초로 발생한다. 그러나, LiPF6은 중대한 단점을 가지며, 그 대부분은 열적 안정성의 결핍에 기인한다. 용액 상태에서, 상기 염은 LiF와 PF5로 해리되는데, 비록 적은 양일지라도 이는 루이스 산인 PF5로 인해 용매의 양이온 중합을 일으킬 수 있다.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부식성의 불화수소산(hydrofluoric acid)이 유리되며, 이는 한편으로는 그 독성 및 부식성 때문에 취급을 어렵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음극 물질로 사용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LiMn2O4)의 (부분적) 용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의 사이클 안정성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서, 대체적 전도성 염의 개발이라는 목적을 위해 많은 노력이 수행되었다. 무엇보다도, 특히 퍼플루오로화된 유기 라디칼을 가진 리튬염에 대한 실험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었다. 특히, 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포닐)이미드 및 리튬 메티드(methide)(이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포닐)메티드임)가 언급되었다. 이러한 염들도 또한 단점을 갖는데, 이러한 단점은 지금까지 상업적 리튬 전지에서의 상기 염의 사용을 방해하였다. 처음 언급된 염은 그것에 의해 생산된 전해질에 충분히 높은 전도도를 부여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염은 LiPF6과 동일한 전도도를 갖지만, 높은 생산비용으로 인해 상업적인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더욱이, 상기 이미드는 많은 전지 시스템에서 전류 디버터(diverter)로 사용되는 알루미늄판에 대해 부식 효과가 있다. 이와는 별도로, 화합물 내의 높은 불소 함량으로 인해, 불리한 조건하에서 리튬과 발열반응이 일어날 염려가 있다.
전도성 염으로의 사용을 위한 또 다른 부류의 화합물로서 리튬 오가노보레이트(organoborate)가 시험되었다. 그러나,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사용은, 이의 높은 가격뿐만 아니라 낮은 산화 안정성, 트리오가노보란(triorganoborane)의 형성과 관련한 안전성 문제 때문에 진지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독일 특허공보 19633027 A1에 기술된 리튬 보레이트 착염, [(R1O)2B(OR2)2]Li은 실질적으로 진일보한 것이다. 상기 결합식에서, R1 및 R2는 같거나 다르며, 적당하다면 R1 및 R2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R1 및 R2는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페닐, 나프틸, 안트라세닐 또는 페난트레닐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고리일 수 있으며, 이는 치환되지 않거나 1 내지 4개의 A 또는 Hal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Hal은 불소 또는 염소를 나타내고, A는 탄소수가 1 내지 8개인 알킬기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1 회 내지 4 회 할로겐화된다.
한편, 비록 향상되기는 하였지만, 필요한 3V 시스템에 결코 충분하지 못한 비불소화 유도체의 안정성이 이러한 화합물의 단점이 된다. 예를 들어, 양극의 전위가 3.6V를 초과하는 경우, 치환되지 않은 리튬-비스[1,2-벤젠디올레이토(2-)-O,O_]보레이트(1-)이 분해된다. 이 값은 분명히 표준 전도성 염인 LiPF6의 값(약 4.5V) 보다 더 작다. 유기 라디칼의 불소 치환을 증가시킨 결과로, 산화 안정성이 퍼플루오르화 화합물에 대하여 약 4V까지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값은 표준 염 LiPF6에 비하여 여전히 보다 더 낮은 값이다. 그러나, 기술된 보레이트의 안정성은 고리화 도중의 상층의 형성으로 더 증가되어 몇몇 화합물에 대하여는 충분한 안정성이 성취될 수 있다. 안정한 화합물은 큰 몰 질량을 갖는데, 예를 들어, 퍼플루오르화 카테콜레이트 화합물은 378 g/mol이다. 또한, 합성에 요구되는 예비 단계들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으며, 비싼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결국, CF 결합을 가진 화합물들은 금속 리튬에 대하여 열역학적으로 안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위 안전 위험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선행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고, 전지산업에서 사용되는 비양성자성 용매에 양호하게 용해되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리튬 화합물을 개발하며, 또한, 상기 화합물의 생산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나타낸 리튬 화합물인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C2O4)2B]에 의하여 달성된다. 독립항인 제 2항 및 제 11항은 두 가지의 상이한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의 생산방법을 나타내고, 특허청구범위 제 3항 내지 제 10항 및 제 12항 내지 제 13항은 상기 방법을 더 구체화시킨 것이고, 특허청구범위 제 14항은 상기 화합물인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의 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놀랍게도, 불소 치환기가 없음에 불구하고,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우수한 내산화성을 갖는다. 따라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EC) 및 1,2-디메톡시에탄(DME)의 혼합물 중 상기 염의 용액은 4.6V 전압 이하에서 안정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에 의해 달성된 전도도는 현저하다. 이와 같이, EC 및 DME를 1:1로 섞은 혼합물 내의 0.56 m 용액은 실온에서 10.3 mS/cm의 전도도를 갖는다.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PC) 및 DME를 1:1로 섞은 통상의 용매 혼합물 내에서, 상이한 농도의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의 전도도가 측정된다(도 1). 상기 측정결과로부터 15 중량% 이하의 농도의 경우, 14 mS/cm 이하의 전도도가 달성됨을 추론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값은 LiPF6에 의하여 달성되는 전도도와 같은 수준이거나 그 보다 높다. 이와 같이, 디메틸 카르보네이트(DMC) 및 EC의 혼합물 중의 LiPF6의 1 m 용액에 대하여 11.0 mS/cm의 전도도가 달성되었다.
193.8 g/mol의 몰 질량은 LiPF6에 비하여 약 27 % 높지만, 독일특허 19633027 A1에 비하여는 분명히 낮은 값이다. 그러나,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를 지닌 전해질이 낮은 농도 예를 들어, 약 0.5 mol/l에서 충분히 전도성이므로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물 및 많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 쉽게 용해된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중에서, 50 ℃에서 약 42 중량%가 용해되며, 23 ℃에서는 약 30 중량%가 용해된다. 이것은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iglyme) 및 디글라임과 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 중에서 15 중량% 이상의 용해도를 갖는다.
열무게측정 시험에 따르면,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약 300 ℃ 이하에서 충분히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리튬 하이드록사이드(무수 또는 수화물), 리튬 카르보네이트 또는 리튬 알콕시드와 같은 리튬 화합물을 옥살산 또는 옥살레이트 및 붕소 산화물, 붕산 또는 붕산에스테르와 같은 붕소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내에서 수행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리튬 카르보네이트는 화학양론적 양의 옥살산 및 화학양론적 양의 붕산 또는 붕소 산화물과 수중에서 반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하기와 같다:
H2O
LiOH + 2H2C2O4 + H3BO3 -----------> Li[(C 2O4)2B] + 4H2O
또한, 리튬 옥살레이트와, 옥살산 및 붕산 또는 붕소 산화물이 수중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하기와 같다.
H2O
Li2C2O4 + 3H2C2O4 + 2H3BO 3 -----------> 2Li[(C2O4)2B] + 6H2O
상기 성분들이 가해지는 순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옥살산이 수용액 내에 넣어지고 계산된 양의 리튬 염기가 첨가되거나, 리튬 옥살레이트가 3배 몰량의 옥살산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하여, 계산된 양의 붕산 또는 붕소 산화물이 부분적으로 중화된 옥살산 용액에 첨가된다.
반응 온도는 0 내지 100 ℃이다.
정량투입이 끝난 후에, 혼합물을 정 시간 동안 50 내지 100 ℃로 가열한 후고, 물을 증류시켜 제거한다. 결정화가 시작될 때, 압력을 서서히 낮춘다. 약 50 내지 150 ℃ 및 약 1 mbar 미만에서 최종 건조를 수행하며 교반시킨다.
선택된 건조 장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덩어리지거나, 과립형이거나 또는 미세결정화된 고형 생성물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생산 방법의 변형례에서, 물이 반드시 용매로서 첨가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물은 반응 부산물로서 다양한 양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변형 방법에 따르면, 출발물질은 유기용매에 현탁되어지고, 생성반응 동안 방출되는 물은 공비증류에 의하여 제거된다. 물과 혼합될 수 없거나 제한적인 범위만이 혼합되며, 물/용매 공비혼합물을 형성하고 높은 휘발성을 가짐으로써 이후에 생성물 건조가 가능해지는 특성을 갖는 모든 용매가 이러한 공정에 적합하다. 선택된 온도 및 교반조건에 따라, 반응은 자발적으로 개시되거나 약간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개시된다. 발열반응의 반응온도 범위는 0 ℃ 내지 150 ℃이다. 후속하여, 반응 혼합물은 비등점까지 가열되고, 결정화에 따른 물 및 반응 중의 물은 공비증류에 의하여 제거된다. 방향족 물질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에틸 벤젠은 반응과정 및 공비 탈수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톨루엔이 사용되는 경우, 약 2 내지 4 시간의 반응시간 동안에 계산된 양의 물이 석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은 미세결정질이고, 자유유도 형상(free-flow form)인 완전 무수형태 및 양질의 순도로 석출된다. 이것은 반응 용매로부터 여과에 의해 분리되고, 비양성자성 용매(예를 들어, 톨루엔 또는 비교적 휘발성인 탄화수소인 헥산 또는 펜탄)에 의하여 세척되며, 진공 및/또는 비교적 고온(50 내지 150 ℃)에서 건조된다.
또한,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이 물과 혼합될 수 없는 에테르는 예를 들어, 제한된 범위까지는 적합하다. 그러나, 에테르성 용매에서,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불순한 형태로만 형성되므로, 결국 비교적 비싼 방법인 분별결정에 의하여 정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생성물은 리튬 알콕시드 LiOR 및 붕산에스테르 B(OR)3 (여기서, R=메틸, 에틸)로부터 출발하여 얻을 수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리튬 알콕시드는 붕산에스테르와 혼합되고, 이로써 상응하는 리튬 테트라알콕시 보레이트 Li[B(OR)4]가 형성될 것이다. 이 반응은 반드시 용매를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용매 존재 하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반응 혼합물은 옥살산과 반응하고, 방출된 알코올 성분은 증류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상적으로는, 가능한 한 많은 휘발성 알코올을 방출하는 붕산에스테르, 즉 메틸 화합물 또는 에틸 화합물이 이러한 변형예를 위해 고려된다.
용매
Li[B(OR)4] + 2 H2C2O4 ----------------- > Li[B(C2 O4)2] + 4 ROH
R = 메틸, 에틸
상기 알코올 자체(즉, 메탄올 또는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가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된 방법에서, 반응 온도는 0 내지 100 ℃이고, 약 20 내지 70 ℃ 내의 범위가 가장 적당하다. 아세토니트릴이 사용되는 경우, 정상 압력 또는 감압에서 방출되는 알코올이 증류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은 냉각시에 무색의 결정 형태로 석출되고, 여과로 분리되어 아세토니트릴 또는 다른 휘발성 비양성자성 용매(예를 들어, 헥산, 펜탄,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될 수 있다.
또다른 변형된 방법에 따르면, 리튬화합물 및 붕소화합물로서의 LiBO2는 옥살산과 반응되어 바람직한 생성물을 형성한다:
H2O
LiBO2 + 2 H2C2O4 ------------------ > Li[(C2O 4)2B] + 2 H2O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생산 방법에 따르면,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비양성자성 매질 중에서 직접 완전히 무수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리튬 보로-하이드리드는 용매 내에서 다음의 반응식에 따라 2당량의 무수옥살산과 반응된다:
용매
LiBH4 + 2 H2C2O4 -------------------- > Li[(C2O 4)2B] + 4 H2
반응은 LiBH4가 일정한 용해도를 갖는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과 같은 에테르류 내에서 유리하게 수행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전지산업에서 전해질 생산에 통상 사용되는 용매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1,2-디메톡시에탄과 같은 폴리에테르가 적합하다. 반응온도는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그것은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점도에 의해 하향성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론적으로 가능한 옥살산 및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에 대한 수소화물의 환원성 공격을 피하기 위하여 온도는 지나치게 높게 상승하지도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온도 범위는 20 내지 50 ℃에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반응 과정은 기체의 생성을 관찰함으로써 간단히 파악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대상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후속으로 완전한 증발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에서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옥살산 및 붕산으로부터의 Li[(C2O4)2B]를 합성하는 방법.
옥살산 디하이드레이트(dihydrate) 252.14 g(2.00 mol) 및 소성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23.94 g(1.00 mol)을 1500 g의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온도가 약 30 ℃로 증가하였고, 중화열로 인해 투명한 용액이 형성된다. 다음, 15분 이내에, 1300 g의 물에 붕산 61.83 g(1 mol)을 용해시킨 용액을 가했다(가시적 발열은 없음). 그 후, 상기 용액을 상압하에서 증류하여 농축시켰다. 약 3시간 이내에 2165 g의 물을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이로써, 하부 온도가 104.2 ℃로 상승하였고; 무색 용액으로부터 결정이 석출되었다. 추가적으로 450 g의 물을 증류시켜 제거하고, 잔류 현탁액(411 g)을 사기컵에 넣어 완전 증발을 위하여 진공 관식건조기(shelf dryer)에 투입하였다. 100 ℃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 후에, 184.8 g(95 % 수율)의 무색 과립을 수득하였다.
분석:
측정값 계산값
% B=1에 대해 표준화 된 mol % B=1에 대해 표준화 된 mol
Li B C2O4 3.68 5.4 85.6 1.06 1.00 1.95 3.58 5.58 90.8 1 1 2
NMR 데이터: δ11B (THF/C6D6): 7.70 ppm h1/2 = 28 Hz
δ13C (THF/C6D6): 159.1 ppm
실시예 2: 후속하여 공비 물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톨루엔 중에서 리튬 카르보네이트, 옥살산 및 붕산으로부터 Li[(C2O4)2B]를 합성하는 방법.
옥살산 디하이드레이트 126.07 g(1.00 mol) 및 99.8 %의 붕산, 30.98 g(0.500 mol)을 온도계, 테플론-날(teflon-blade) 교반기 및 물 분리기를 구비한 2 ℓ 크기의 4구 플라스크에 담겨 있는 톨루엔 600 ml에 현탁시켰다. 상기 용액을 60 ℃까지 가열한 후, 먼저 약 5 g의 Li2CO3를 고체 주입 밸브를 사용하여 첨가하였다. 반시간 이내에는 유의할 만한 기체의 형성은 없었다. 직후, 시린지를 사용하여 H2O 3,63 g을 가했다. 강력한 기체의 형성(5분내에 2 ℓ)과 함께 반응이 즉시 개시되었다. 5분 이내에, 잔류량의 Li2CO3(총 18.50 g ≒ 0.250 mol)을 첨가하였다. 그럼으로써 6.19 ℓ의 기체(≒ 251 mmol, 100 %)가 형성되었다. 다음, 반응 혼합물을 비점까지 가열하고 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20분이 경과 한 후에, 57.3 g의 물(≒ 이론적 기대값의 81 %)이 석출되었다. 고체는 강하게 베이킹되기 때문에, 그것을 잠깐 냉각하고, 반응물질을 약주걱으로 플라스크 벽면으로부터 긁어었다. 4시간 동안의 환류 후에, 더이상의 물이 석출되지 않았으며(총 72.0 g ≒ 이론적 기대값의 101 %); 황색을 띠는 현탁액을 냉각하고 유리 프릿(frit)을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크림색 미세결정질 침강물을 헥산으로 두 번에 걸쳐 세척하고, 먼저, 실온에서 일정중량(97.4 g ≒ 이론수율의 100.5 %)까지 건조하였다. 90 ℃에서의 4시간 동안의 진공 건조의 결과 0.2 g의 잔류 수분이 제거되었다.
분석:
NMR 데이터: δ11B (THF/C6D6): 7.70 ppm
실시예 3: 후속하여 공비 물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톨루엔 중에서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옥살산 및 붕산으로부터 Li[(C2O4)2B]를 합성하는 방법.
8.70 g(125 mmol)의 B2O3(건조 피스톨 내에서 300 ℃로 건조됨) 및 63.04 g(500 mmol)의 옥살산 디하이드레이트를 KPG 교반기, 물 분리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500 ml 크기의 4구 플라스크 내에 담겨 있는 톨루엔 300 ml에 현탁시켰다. 10.37 g(250 mmol)의 LiOH·H2O의 첨가시에, 온도가 자발적으로 37 ℃까지 상승하였다. 공비 물 분리는 비점에 도달한 직후 개시되었다. 160분 이내에 30.2 g의 물(≒ 이론적 기대값의 96 %)이 배출시켰다. 반응생성물이 플라스크의 벽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두 차례에 걸쳐 약하게 냉각을 수행하고 약주걱으로 긁어내어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수율: 49.9 g의 베이지색 분말 ≒ 이론적 수율의 103 %
실시예 4: 후속하여 공비 물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MeTHF) 중에서 리튬 카르보네이트, 옥살산 및 붕산으로부터의 Li[(C2O4)2B]를 합성하는 방법.
252.14 g의 옥살산 디하이드레이트(2.00 mol) 및 61.83 g의 붕산(1.00 mol)을 약 0.8 ℓ의 2-MeTHF 중에 현탁시키고, 실시예 2와 동일한 기구 내에서 40 ℃까지 가열하였다. 다음, 36.95 g(0.50 mol)의 Li2CO3를 소량 첨가하였다. 반응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2 ×1.5 ml의 물을 스프레이하였다. 기체의 생성이 비교적 균일하게 일어나서 1시간 이내에 약 255 mmol이 생산되었다. 직후에 환류를 13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5시간 이후에, 기체의 이론적 기대량이 방출되고; 용액은 진한 황색이며 전체 120.6 g의 2-MeTHF로 포화된 물이 물 분리기에서 석출되었다(≒ 114.2 g의 순수한 물 ≒ 이론적 기대량의 83 %). 14시간의 반응시간 이후에, 황색 현탁액을 냉각하고 G3-프릿(frit)으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의 분석:
여과액: 1221 g, 진한 황색
NMR 데이터: δ11B(2-MeTHF/THF): 20.4 ppm, h1/2 = 205 Hz 24 %
7.66 ppm Li[(C2O4)2B] 65 %
5.24 ppm h1/2 = 72 Hz 11 %
후속하여 생성물은 용매로부터 유리시키고 THF/디에틸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수율: 83.3 g ≒ 이론 수율의 43 %.
생성물 분석: THF 내에 용해된 결정화물은 단지 7.7 ppm에서 11B-NMR 신호를 나타낸다.
실시예 5: 메탄올 중에서 리튬 메톡사이드, 옥살산 및 트리메틸 보레이트로부터의 Li[(C2O4)2B]를 합성하는 방법.
4.79 g(131 mol)의 리튬 메톡사이드를 119 g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30 ℃로 10분간 유지하며, 30 g의 메탄올에 13.51 g(130 mmol)의 트리메틸 보레이트를 용해시킨 용액과 혼합하였다. 그 결과 내부 온도가 37 ℃까지 상승되었고; 반응 용액은 투명 무색이 되었다. 23.40 g(260 mmol)의 무수옥살산을 이 용액에 한꺼번에 첨가하였다. 직후, 반응 혼합물은 잠시(대략 10초 동안) 커드같이(curd-like) 변화되고, 그 다음 다소 점착성인 젖빛 현탁액으로 되었다. 이 때, 어떠한 발열도 나타나지 않았다.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환류시키면서(66.6 ℃) 끓이고, 냉각 후에, 매우 미세하게 분산된 연질 고체로부터 경사분리하였다(상기 고체는 G3 유리 프릿을 사용하여 분리될 수 없다). 회전 증발기에서 투명 경사분리된 용액의 완전한 증발은 23.71 g의 유지상(greasy) 고체를 생성시켰다. 경사분리의 손실을 고려하면, 이것은 25.4 g ≒ 이론 수율의 101 %에 상당한다. 회전 증발기에서, 소량의 무색 승화물이 관찰되었고, 그것은 11B-NMR 신호를 나타내지 않으며 산성 반응과 함께 물에 용해되는 데, 그것은 옥살산을 나타낸다. 연질의 건조 잔류물은 THF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다. 그러나, THF 용해성 부분은 단지 7.7 ppm에서 11B-NMR 신호를 나타냈는데, 이는 Li[(C2O4)2B]에 의한 것이다. 상기 잔류물을 약 6배량의 THF로 온침하고, 여과시키고, 증발시켰다. 증발 동안에, 유지상 생성물이 수득되었고, 그것은 색이 점진적으로 어두워져 갔다. 용매가 분리된 후, 무색 고체는 승화되기 시작하였다.
수율(부분적으로 유성): 16.8 g(≒ 67 % 미정제 생성물)
그 다음, 미정제 생성물은 THF/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결정으로 세정되었다.
수율: 10.2 g ≒ 이론 수율의 40 %
실시예 6: THF 중에서 LiBH4 및 옥살산으로부터의 Li[(C2O4)2B]를 합성하는 방법.
12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한 68.06 g(0.756 mol)의 옥살산을 120 g의 THF에 용해시키고 0.5 ℓ 크기의 이중케이싱 반응기 내에서 -5 ℃까지 냉각시켰다. 49.2 g의 THF 중에 8.10 g의 LiBH4(0.372 mol)를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 용액에 70분 내에 첨가하였다. 그 결과 22.6 ℓ의 기체(0.93 mol ≒ 이론적 기대량의 63 %)가 방출되었다. 그 다음, 비점까지 급속 가열하였다. 그리하여, 추가로 대략 8 ℓ의 기체를 방출시켰다. 환류시키며 45분 동안 끓이고 나서(66 ℃), 그것을 24 ℃까지 냉각하였고, 표본을 채취하여 3.3 g의 LiH를 첨가하였다. 2.81 g의 기체(≒ 116 mmol)가 방출되었다. 현탁액을 여과하였고, 300.3 g의 투명 여과액이 석출되었다. 그 다음, 상기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에서 일정 중량까지 증발시켰다. 47.6 g(이론 수율의 66 %)의 백색 분말이 수득하였는 데, 그것은 정제를 위하여 재결정화되어야 한다.
분석:
NMR 데이터:
δ11B(LiH 첨가전의 표본): 9.7 ppm (32 %); 7.7 ppm (68 %)
δ11B(증발 전의 여과액): 9.7 ppm (7 %); 7.7 ppm (88 %); 5.2 ppm (5 %)

Claims (14)

  1.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C2O4)2B].
  2. 리튬 화합물을 옥살산 또는 옥살레이트 및 붕소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C2O4)2B]의 생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반응이 용매 내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리튬 화합물이 LiOH, LiOH·H2O, Li2CO3, 리튬 옥살레이트 또는 LiOR(여기서 R은 메틸 또는 에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붕소 화합물이 붕소 산화물 B2O3, 붕산 H3BO3 또는 붕산에스테르 B(OR)3(여기서 R은 메틸 또는 에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LiBO2가 리튬 및 붕소 화합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용매가 물, C1-5의 알코올, 또는 물과 혼합되지 않거나 제한된 정도로 혼합되어 물과 공비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3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리튬 카르보네이트 또는 리튬 옥살레이트가 물 존재하에서 옥살산 및 붕산 또는 붕소 산화물과 Li+:옥살레이트:B3+=1:2:1의 비로 반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3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리튬 카르보네이트 또는 리튬 옥살레이트가 옥살산 및 붕산 또는 붕소 산화물과 Li+:옥살레이트:B3+=1:2:1의 비로 반응하고, 물과 공비혼합물을 형성하는 유기용매가 함수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고, 물이 공비적으로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물과 공비혼합물을 형성하는 유기용매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또는 에틸 벤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LiBH4를 옥살산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C2O4)2B]의 생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비양성자성 용매가 에테르 또는 폴리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에테르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이거나, 폴리에테르가 1,2-디메톡시에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전도성 염으로서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C2O4)2B]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20007015063A 1998-06-30 1999-06-07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이의 생산방법 및 전도성 염으로서의 용도 KR100716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9030.6 1998-06-30
DE19829030A DE19829030C1 (de) 1998-06-30 1998-06-30 Lithium-bisoxalatobora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657A KR20010072657A (ko) 2001-07-31
KR100716373B1 true KR100716373B1 (ko) 2007-05-11

Family

ID=787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5063A KR100716373B1 (ko) 1998-06-30 1999-06-07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이의 생산방법 및 전도성 염으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06516B1 (ko)
EP (1) EP1091963B1 (ko)
JP (1) JP3913474B2 (ko)
KR (1) KR100716373B1 (ko)
CA (1) CA2336323C (ko)
DE (2) DE19829030C1 (ko)
ES (1) ES2185354T3 (ko)
WO (1) WO200000049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8607B2 (en) 2015-03-12 2017-08-29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lyte
US9912010B2 (en) 2015-01-16 2018-03-06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KR20220033231A (ko) 2020-09-09 2022-03-16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염의 제조방법
KR20230016361A (ko) 2021-07-26 2023-02-02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염의 제조방법
KR20230016360A (ko) 2021-07-26 2023-02-02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7899B2 (en) 2000-06-16 2009-05-05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lectrolytic orthoborate salts for lithium batteries
WO2001098396A1 (en) * 2000-06-16 2001-12-27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olid polymeric electrolytes for lithium batteries
EP1292633A4 (en) * 2000-06-16 2003-07-23 Univ Arizona State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FOR LITHIUM BATTERIES
DE60143070D1 (de) * 2000-10-03 2010-10-28 Central Glass Co Ltd Elektrolyt für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DE10108608C2 (de) * 2001-02-22 2003-01-23 Chemetal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gen-bis(chelato)boraten und Alkalimetall-bis(chelato)boraten und deren Verwendung
DE10108592C1 (de) * 2001-02-22 2002-08-14 Chemetall Gmbh Borchelatkomplex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0111410C1 (de) * 2001-03-08 2002-07-25 Chemetall Gmbh Elektrolyt, enthaltend Lithium-bis(oxalato)borat und dessen Verwendung
JP5082176B2 (ja) * 2001-08-08 2012-11-28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リチウム二次電池
DE10139409A1 (de) * 2001-08-17 2003-02-27 Merck Patent Gmbh Polymerelektrolyte und deren Verwendung in galvanischen Zellen
US6849752B2 (en) * 2001-11-05 2005-02-01 Central Glass Company, Ltd. Process for synthesizing ionic metal complex
US20030113622A1 (en) * 2001-12-14 2003-06-19 Blasi Jane A. Electrolyte additive for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US20030162099A1 (en) 2002-02-28 2003-08-28 Bowden William L.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
DE10209477A1 (de) * 2002-03-05 2003-09-18 Chemetall Gmbh Elektrochemische Zelle für eine Lithiumionenbatterie mit verbesserter Hochtemperaturstabilität
US7695860B2 (en) 2002-03-22 2010-04-13 Quallion Llc Nonaqueous liquid electrolyte
US7172834B1 (en) * 2002-07-29 2007-0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ditive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chemical cells
US7572554B2 (en) 2002-09-03 2009-08-11 Quallion Llc Electrolyte
US8524397B1 (en) 2004-11-08 2013-09-03 Quallion Llc Battery having high rate and high capacity capabilities
US6787268B2 (en) 2002-09-03 2004-09-07 Quallion Llc Electrolyte
US7718321B2 (en) 2004-02-04 2010-05-18 Quallion Llc Battery having electrolyte including organoborate salt
US20070065728A1 (en) 2003-03-20 2007-03-22 Zhengcheng Zhang Battery having electrolyte with mixed solvent
US8076032B1 (en) 2004-02-04 2011-12-13 West Robert C Electrolyte including silane for use in electrochemical devices
US8076031B1 (en) 2003-09-10 2011-12-13 West Robert C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electrolyte including disiloxane
US7968235B2 (en) 2003-07-17 2011-06-28 Uchicago Argonne Llc Long life lithium batteries with stabilized electrodes
JP4701595B2 (ja) * 2003-09-03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8765295B2 (en) 2004-02-04 2014-07-01 Robert C. West Electrolyte including silane for use in electrochemical devices
US9786954B2 (en) 2004-02-04 2017-10-10 Robert C. West Electrolyte including silane for use in electrochemical devices
US8153307B1 (en) 2004-02-11 2012-04-10 Quallion Llc Battery including electrolyte with mixed solvent
CN100449850C (zh) * 2004-02-27 2009-01-07 三洋电机株式会社 锂二次电池
DE102004011522A1 (de) * 2004-03-08 2005-09-29 Chemetall Gmbh Leitsalze für Lithiumionenbatterien und deren Herstellung
JP2005259592A (ja) * 2004-03-12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7459237B2 (en) * 2004-03-15 2008-12-02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lithium electrical cell
US9012096B2 (en) * 2004-05-28 2015-04-21 Uchicago Argonne, Llc Long life lithium batteries with stabilized electrodes
US7285356B2 (en) 2004-07-23 2007-10-23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US7534527B2 (en) 2004-09-29 2009-05-19 Skc Power Tech, Inc. Organic lithium salt electrolytes having enhanced safety for rechargeable batter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211422B2 (ja) 2005-01-24 2013-06-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イオン性錯体の合成法
US8632918B2 (en) 2005-02-03 2014-0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lectrolyte formulations for wide temperature lithium ion batteries
JP4703203B2 (ja) * 2005-02-03 2011-06-15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7851092B2 (en) * 2005-03-02 2010-12-14 U Chicago Argonne Llc Redox shuttles for overcharge protection of lithium batteries
US9184428B2 (en) * 2005-03-15 2015-11-10 Uchicago Argonne Llc Non-aqueous electrolytes for lithium ion batteries
US7479348B2 (en) * 2005-04-08 2009-01-20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US20060236528A1 (en) * 2005-04-25 2006-10-26 Ferro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US7238453B2 (en) * 2005-04-25 2007-07-03 Ferro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with mixed salts
US7255965B2 (en) * 2005-04-25 2007-08-14 Ferro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WO2006116251A2 (en) * 2005-04-26 2006-11-02 The University Of Chicago Processes for making dense, spherical, active materials for lithium-ion cells
US8273484B2 (en) 2005-05-26 2012-09-25 Novolyte Technologies, Inc. Nitrogen silylated compounds as additives in non-aqueous solution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7727669B2 (en) * 2005-05-26 2010-06-01 Novolyte Technologies Inc. Triazine compounds for removing acids and water from nonaqueous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7682754B2 (en) * 2005-05-26 2010-03-23 Novolyte Technologies, Inc.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for electrochemical cells
US7968231B2 (en) * 2005-12-23 2011-06-28 U Chicago Argonne, Llc Electrode materials and lithium battery systems
US8367253B2 (en) * 2006-02-02 2013-02-05 U Chicago Argonne Llc Lithium-ion batteries with intrinsic pulse overcharge protection
US20080193852A1 (en) * 2006-02-03 2008-08-14 Sanyo Electric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0372856C (zh) * 2006-03-06 2008-03-05 北京科技大学 一种双草酸基硼酸锂提纯方法
US20090233166A1 (en) * 2006-05-18 2009-09-17 Lu Qi Lithium-ion battery with medium and small capacity and high output
SG174024A1 (en) 2006-08-02 2011-09-29 Ada Techonologies Inc High performance ultracapacitors with carbon nanomaterials and ionic liquids
DE102007000698A1 (de) * 2006-09-07 2008-03-27 Chemetall Gmbh Verwendung von Boratsalzen
US7820323B1 (en) 2006-09-07 2010-10-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al borate synthesis process
CN100503617C (zh) * 2006-12-11 2009-06-24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一种双乙二酸硼酸锂的提纯方法
EP2156503B1 (en) * 2007-05-11 2015-09-23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Plastic crystal electrolyte with a broad potential window
JP5506671B2 (ja) * 2007-07-04 2014-05-28 ヒェメタ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酸含有率の低いホウ酸リチウム塩の製造方法および酸含有率の低いホウ酸リチウム塩と水素化リチウムとからなる混合物
CN101861323B (zh) 2007-07-04 2017-03-29 凯密特尔有限责任公司 结晶的完全溶解的双(草酸)硼酸锂(LiBOB)
WO2009027541A2 (de) 2007-08-30 2009-03-05 Chemetall Gmbh Sauerstoffverbindungen der borgruppe
US8475688B2 (en) * 2007-09-20 2013-07-02 Uchicago Argonne, Llc Lithium batteries using poly(ethylene oxide)-based non-aqueous electrolytes
WO2009120872A2 (en) 2008-03-26 2009-10-01 Ada Technologies, Inc. High performance batteries with carbon nanomaterials and ionic liquids
US8277691B2 (en) 2008-05-05 2012-10-02 Ada Technologies, Inc. High performance carbon nanocomposites for ultracapacitors
US8277683B2 (en) * 2008-05-30 2012-10-02 Uchicago Argonne, Llc Nano-sized structured layer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to enable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rate capability lithium batteries
CN101914110B (zh) * 2010-07-21 2012-07-11 北京科技大学 一种采用流变相方法合成双草酸基硼酸锂的方法
US20120202121A1 (en) 2011-02-04 2012-08-09 Toyota Motor Engin. & Manufact. N.A.(TEMA) High voltage battery for a lithium battery
DE102011052156A1 (de) 2011-07-26 2013-01-31 Jacobs University Bremen Ggmbh Lithium-2-methoxy-1,1,2,2-tetrafluor-ethansulfonat und dessen Verwendung als Leitsalz in Lithium-basierten Energiespeichern
US9979050B2 (en) 2011-09-02 2018-05-22 Solvay Sa Fluorinated electrolyte compositions
KR101938921B1 (ko) 2011-09-02 2019-01-15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리튬 이온 배터리
CN103030657A (zh) * 2011-10-10 2013-04-10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一种锂离子电池用电解质双草酸基硼酸锂的制备方法
DE102012101670A1 (de) 2012-02-29 2013-08-29 Jacobs University Bremen Ggmbh Leitsalz für Lithium-basierte Energiespeicher
DE102012101669A1 (de) 2012-02-29 2013-08-29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Leitsalz für Lithium-basierte Energiespeicher
DE102012102162A1 (de) 2012-03-14 2013-09-19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Ionenleitende polymere Verbindung für elektrochemische Zellen
EP2856540A1 (en) 2012-06-01 2015-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thium- ion battery
WO2013180783A1 (en) 2012-06-01 2013-1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ed electrolyte compositions
JP5765582B2 (ja) * 2012-06-29 2015-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9627691B2 (en) 2013-02-07 2017-04-18 Ada Technologies, Inc. Metalized, three-dimensional structured oxygen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air batteries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4165748A1 (en) 2013-04-04 2014-10-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onaqueous electrolyte compositions
FR3012260A1 (fr) 2013-10-23 2015-04-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ellule electrochimique pour accumulateur au lithium et accumulateur au lithium comprenant une telle cellule electrochimique
PL3091603T3 (pl) 2014-03-27 2020-06-29 Daikin Industries, Ltd. Roztwór elektrolityczny i urządzenie elektrochemiczne
DE102014108012B4 (de) * 2014-06-06 2021-09-09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Substituierte Pyrazole und deren Verwendung als Leitsalz für Lithium-basierte Energiespeicher
DE102014010526A1 (de) 2014-07-18 2016-01-21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Elektrolytsystem für den Einsatz in elektrochemischen Bauteilen
CN104447828B (zh) * 2014-12-05 2016-08-24 北京蓝海黑石科技有限公司 一种双草酸硼酸锂的合成及提纯方法
JP6007994B2 (ja) 2015-01-23 2016-10-1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PL3246982T3 (pl) 2015-01-23 2020-09-07 Central Glass Co., Ltd. Roztwór elektrolitu do ogniwa z niewodnym roztworem elektrolitu i ogniwo z niewodnym roztworem elektrolitu
JP6098684B2 (ja) 2015-08-12 2017-03-2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CN106976849B (zh) * 2017-04-20 2020-05-26 江苏国泰超威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氟磺酰亚胺锂的提纯方法
JP2017178964A (ja) * 2017-05-30 2017-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ボン酸リチウム塩−三フッ化ホウ素錯体の製造方法
DE102018206383A1 (de) 2018-04-25 2019-10-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ithiumionenbatterie, Lithiumionenbatterie und Kraftfahrzeug
WO2019211366A1 (en) 2018-05-04 2019-11-07 Umicore A lithium cobalt oxid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fluorinated electrolyte and a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KR20210006422A (ko) 2018-05-04 2021-01-18 유미코아 불소화 전해질을 포함하는 Ni계 리튬 이온 2차 배터리
US20210234199A1 (en) 2018-05-04 2021-07-29 Solvay Sa Non-aqueous liquid electrolyte composition
CN108796644B (zh) * 2018-05-29 2021-05-18 浙江心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尼龙弹性体的抗静电导电纤维
CN108796643B (zh) * 2018-05-29 2021-05-18 浙江心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永久抗静电且可熔融直纺的导电纤维专用料
CN109627256A (zh) * 2018-11-02 2019-04-16 珠海市赛纬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季戊四醇双硼酸酯二氟化硼的制备方法
CN109796481B (zh) * 2019-01-23 2020-04-07 杉杉新材料(衢州)有限公司 一种高温水相法制备的高纯双草酸硼酸锂及其应用
TR201913271A1 (tr) 2019-09-03 2021-03-22 Ulusal Bor Arastirma Enstituesue YÜKSEK SAFLIKTA SUSUZ LİTYUM BİSOKSALATBORAT (LiBOB) İÇİN BİR SENTEZ DÜZENEĞİ VE ÜRETİM YÖNTEMİ
CN111153918A (zh) * 2019-12-16 2020-05-15 山东石大胜华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草酸硼酸锂的制备方法
CN110964047A (zh) * 2019-12-20 2020-04-07 泰兴华盛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双草酸硼酸锂的生产工艺
CN111303196A (zh) * 2020-04-22 2020-06-19 湖南省正源储能材料与器件研究所 一种双乙二酸硼酸锂的制备方法
KR102612816B1 (ko) 2020-06-18 2023-12-12 이피캠텍 주식회사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CN112409393A (zh) * 2020-12-11 2021-02-26 临沂小篆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双草酸硼酸锂的工艺
JP2024519014A (ja) * 2021-05-19 2024-05-08 住友化学株式会社 化合物
KR102396069B1 (ko) 2021-06-22 2022-05-10 주식회사 천보 리튬 비스옥살레이트 보레이트 및 이를 리튬 비스옥살레이트 보레이트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CN113563371A (zh) * 2021-07-29 2021-10-29 株洲万氟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双草酸硼酸锂的制备工艺
CN114671899A (zh) * 2022-03-28 2022-06-28 珠海市赛纬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双草酸硼酸锂的制备方法及双草酸硼酸锂的应用
KR102568989B1 (ko) * 2023-02-17 2023-08-22 제이엘켐 주식회사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제조방법
KR102568998B1 (ko) * 2023-02-17 2023-08-22 제이엘켐 주식회사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C (de) * 1877-07-25 A. Müller in Köln am Rhein Rotirender Dampfmotor
DE19633027A1 (de) 1996-08-16 1998-02-19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Lithium-Borat-Komplex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C (de) * 1877-07-25 A. Müller in Köln am Rhein Rotirender Dampfmotor
DE19633027A1 (de) 1996-08-16 1998-02-19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Lithium-Borat-Komplex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2010B2 (en) 2015-01-16 2018-03-06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US9748607B2 (en) 2015-03-12 2017-08-29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lyte
KR20220033231A (ko) 2020-09-09 2022-03-16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염의 제조방법
KR20230016361A (ko) 2021-07-26 2023-02-02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염의 제조방법
KR20230016360A (ko) 2021-07-26 2023-02-02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02958D1 (de) 2002-11-07
KR20010072657A (ko) 2001-07-31
US6506516B1 (en) 2003-01-14
DE19829030C1 (de) 1999-10-07
EP1091963A1 (de) 2001-04-18
CA2336323C (en) 2005-10-04
ES2185354T3 (es) 2003-04-16
CA2336323A1 (en) 2000-01-06
JP2002519352A (ja) 2002-07-02
EP1091963B1 (de) 2002-10-02
WO2000000495A1 (de) 2000-01-06
JP3913474B2 (ja)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373B1 (ko)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이의 생산방법 및 전도성 염으로서의 용도
KR20020013967A (ko) 트리스(옥살라토)포스페이트, 이들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535527B1 (ko) 리튬-보레이트 착체의 제조방법
US7709663B2 (en) Boron chelate complexes
JP5506671B2 (ja) 酸含有率の低いホウ酸リチウム塩の製造方法および酸含有率の低いホウ酸リチウム塩と水素化リチウムとからなる混合物
US5660947A (en) Electrolyte for use in a galvanic cell
KR20010067251A (ko) 전기화학 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낮은 인화성 용매로서의불화 설폰아미드
TW201210932A (en) Manufacture of LiPO2F2 from POF3 or PF5
CN111217856A (zh) 五元环磷酸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A2439068C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bis(chelato)borates and alkali metal bis(chelato)borates
US20010033964A1 (en) Alkylspiroborate salts for use in electrochemical cells
EP0891342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yclic perfluoroalkanebis(sulfonyl)imides
KR20010062269A (ko) 전기화학 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알킬스피로보레이트 염
KR101156825B1 (ko) 직류 전지용 전도성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A2433095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ithium iodide solutions
CN111217855A (zh) 五元环亚磷酸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20082900A1 (en) Galvanic cell having a lithium metal or an alloy comprising a lithium metal as anode material and an electrolyte having lithium...complex salt
KR20010020789A (ko) 메타나이드 전해질의 정제 방법
WO2003001623A2 (en) Conducting salts comprising niobium or tantal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