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414B1 - 버클,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버클,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414B1
KR100715414B1 KR1020060008783A KR20060008783A KR100715414B1 KR 100715414 B1 KR100715414 B1 KR 100715414B1 KR 1020060008783 A KR1020060008783 A KR 1020060008783A KR 20060008783 A KR20060008783 A KR 20060008783A KR 100715414 B1 KR100715414 B1 KR 10071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lock
buck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453A (ko
Inventor
야스아끼 후노
야스따까 니시다
도시히꼬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221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2046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515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93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11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289688A/ja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 B29L2031/7272Fastening elements for haberdashery
    • B29L2031/7274Buck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플러그(20)는 소켓(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아(24)를 갖고, 이 가이드 바아(24)는 선단부에 피보유 지지부(241), 중간에 오목부(244), 기단부에 부-피보유 지지부(242)를 갖는다. 연결에 있어서, 플러그(20)를 소켓(30)에 대해 경사시킴으로써, 가이드 바아(24)는 접촉점(P1, P2)에서 접촉하여, 안쪽까지 삽입되었을 때에는 피보유 지지부(241) 및 부-피보유 지지부(242)가 소켓(30)의 보유 지지부(342) 및 부-보유 지지부(343)에 보유 지지되어 연결 상태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플러그, 소켓, 가이드 바아, 로크 아암, 피보유 지지부, 버클

Description

버클,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BUCKLE, INJECTION MOLDING DI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을 도시하는 부분 파단 측면도.
도7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측면도.
도8은 상기 실시 형태의 가이드 기구의 삽입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상기 실시 형태의 가이드 기구의 연결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상기 실시 형태의 가이드 기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1은 상기 실시 형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플러그의 정면도.
도12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연결 방향과 교차 방향의 단면도.
도1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플러그 및 소켓의 측면도.
도14는 상기 실시 형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플러그 및 소켓의 연결 방향과 교차 방향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의 연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6은 상기 도15의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의 연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8은 상기 도17의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소켓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소켓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2는 상기 도21의 실시 형태의 소켓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금형의 형틀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4는 상기 실시 형태의 금형의 형틀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5는 상기 실시 형태의 금형의 성형품의 취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6은 상기 도24의 상태의 성형품과 금형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7은 상기 도25의 상태의 성형품과 금형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
11 : 시트
12 : 벨트
13 : 로크 기구
14 : 가이드 기구
20 : 플러그
23 : 로크 아암
24 : 가이드 바아
30 : 소켓
33 : 삽입용 개구
35 : 조작용 개구
40 : 부착 플레이트
51 : 캐비티
[문헌 1] 실용신안 공개 평4-84581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99519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0-57114호 공보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9736호 공보
[문헌 5] 특허 제3494588호 공보
[문헌 6] 미국 특허 제495971호 공보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1791호 공보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평9-300362호 공보 참조
본 발명은 벨트나 테이프, 끈 등의 체결용 버클 및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언더컷(undercut)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품의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복이나 가방, 헬멧, 유모차, 혹은 스포츠 용구 등에는 벨트나 테이프 등의 띠형 부재에 의한 체결이 다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결시에는, 벨트 등에 장착하여 수동 조작으로 계지 및 해제가 가능한 버클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버클을 구성하는 소켓(암형측)에 플러그(수형측)를 삽입하여, 소정 상태까지 압입함으로써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버클은 통 형상의 소켓과, 이 소켓에 삽입되는 플러그와, 이들을 연결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소켓은 벨트 부착부 또는 시트 등으로의 부착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플러그 연결측에 삽입용 개구를 갖는다.
플러그는 일단부측에 벨트 부착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타단부측에 소켓과의 연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을 구비한다.
로크 아암은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동시에, 외측면에 단차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소켓의 내측과 결합 가능하다.
소켓의 양측에는 연결 상태를 해제할 때에 로크 아암을 외부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개구가 마련된다. 조작용 개구의 가장자리는 전술한 소켓의 내측 결합부로서 이용된다.
이 구조에서는,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로크 아암이 소켓 내측에 결합하여 버클로서의 연결이 행해진다. 이 연결 상태에서, 플러그의 로크 아암 부분을 손으로 파지하도록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로크 아암이 내측 방향(제1 방향)으로 압박되고, 로크 아암과 소켓 내측의 결합이 해제되어 버클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의 버클은 사이드 릴리스형 버클 혹은 사이드 푸쉬형 버클 등이라 불리우고 있다.
문헌 1(실용신안 공개 평4-84581호 공보)에 기재된 버클은, 소켓에는 그 표면의 일부에 조작용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로부터 플러그의 로크 아암을 압박함으로써 서로의 연결을 해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버클에서는 누르는 것만으로 해제를 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하다. 그러나, 잘못 해제되는 등의 문제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해진다.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03-299519호 공보)에 기재된 버클은, 소켓에는 그 양측에 조작용 개구가 형성되고, 플러그에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이 형성되어, 양측으로부터 플러그의 로크 아암을 끼움으로써 서로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버클에서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을 끼우는 조작이 필요해, 잘못 조 작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들 버클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의 결합부의 단차면이 선단부측을 향해 삽입 방향과는 반대측에 이르는 경사면이 되고, 소켓측 결합부의 단차면이 선단부측을 향해 삽입 방향에 이르는 경사면이 된다. 이에 의해, 연결 상태의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 경사에 의해 각 결합부가 서로 결합 상태를 더 강하게 하도록 변위하여 빠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10-57114호 공보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버클은 벨트끼리를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 외에, 벨트를 물품의 표면에 정착시키는 용도, 혹은 백의 개구부를 막는 플랩을 폐쇄하는 용도에 대응하기 위해 시트 장착형의 버클에도 이용된다.
이와 같은 시트 장착형의 버클에서는, 시트의 표면측에 소켓 혹은 플러그를 배치하고, 시트의 이면측에 장착용 부재를 배치하여, 이 장착용 부재를 소켓 혹은 플러그에 연결하여 시트를 협입하는 구성이 된다(예를 들어 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9736호 공보 참조).
그런데, 전술한 시트 장착형의 버클에서는, 연결 상태의 해제에 있어서 로크 아암을 손으로 파지하는 조작을 행할 때에, 이 로크 아암을 시트(버클이 장착된 물품)를 향해 압박하는 조작(제2 방향)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벨트끼리 연결하는 버클에 있어서도, 한손으로 조작할 때에는 버클을 다른 물품의 표면으로 압박하면서 양측을 파지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압박을 수반하는 연결의 해제 조작, 즉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제1 방향으로의 조작에 적응하기 위해, 로크 아암의 중간 부분의 형상을 그 단면 형상이 제2 방향 및 제1 방향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경사로 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 5 : 특허 제3494588호 공보 참조).
전술한 시트 장착형의 버클을 백 등에 적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소켓이 백 표면을 따라 배치되므로, 연결시에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비스듬히 삽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기울어진 삽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바아(bar)를 이용한 버클이 개발되어 있다.
문헌 6(미국 특허 제495971호 공보)에 기재된 버클은 소켓으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로크 아암과 함께 가이드 바아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바아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가이드 바아를 소켓의 개구에 따라 축 방향으로 송입함으로써 원활한 삽입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종래, 전술한 버클 등의 플라스틱 성형품의 제조에는 사출 성형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의 사출 성형에서는, 고정 형틀(mold)에 대해 가동 형틀을 형틀 폐쇄하여 내부의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하고, 다시 형틀 개방하여 성형품을 취출한다.
이와 같은 통상의 사출 성형에서는, 형틀 폐쇄 및 형틀 개방의 방향에는 성형품의 요철을 만들기 쉽지만, 이에 교차하는 방향의 요철(언더컷)은 형성이 어려웠다. 이는, 언더컷이 있으면, 그 부분이 형틀 개방시에 걸려 성형품의 취출이 곤 란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 중 어느 하나에 진퇴 가능한 슬라이드 코어를 설치하고, 언더컷 부분이 이 슬라이드 코어로 성형되도록 한 금형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 7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1791호 공보, 문헌 8 : 일본 특허 공개 평9-300362호 공보 참조).
전술한 문헌 5의 버클에서는, 제2 방향으로의 조작을 수반하는 제1 방향으로의 조작에 대응하고, 또한 전술한 경사에 의한 빠짐 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로크 아암 및 소켓에 설치되는 로크 기구의 결합부로서 각 방향에 대응한 2개의 걸림면을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의 조작용 개구의 가장자리 중 소켓의 표면 및 이면에 면하는 부분에 제1 걸림면을 형성하고, 소켓의 측면에 면하는 부분에 제2 걸림면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이들 2개의 걸림면은 서로 교차 방향에 형성되어, 각각에 전술한 문헌 3에 준한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방향의 빠짐 방지 효과 및 제2 방향으로의 빠짐 방지 효과를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개의 걸림면에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경사를 부여한 구성에 있어서, 결합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켜, 압박을 수반하는 해제 조작이라도 원활하면서 또한 쾌적한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었다.
전술한 문헌 6의 가이드 바아는 그 중간 부분의 상하(버클의 두께 방향)가 원호 형상으로 오목해진 형상이 되고,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여 삽입 해도 중간부가 소켓의 개구 등과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간부가 잘록해진 가이드 바아에서는 선단부가 소켓 내측에 미끄럼 접촉할 뿐으로, 소켓과 플러그가 연결될 때의 자세의 안정성을 한층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었다.
전술한 문헌 7 및 문헌 8에서는, 각각 캐비티 내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다. 여기서, 각각에서는 슬라이드 코어 자체가 성형품의 언더컷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코어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구성되고, 그 진퇴 방향은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한정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코어의 방향이 한정되므로, 슬라이드 코어의 구동 기구를 간략화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는 동시에, 성형품에 언더컷과 마주 보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코어의 배치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압박을 수반하는 해제 조작 및 경사진 삽입 조작이라도 원활하고 또한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는 버클 및 다양한 언더컷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 또한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클은 플러그(20) 및 소켓(30)을 갖고, 상기 플러그(20)와 소켓(30)을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13)를 갖는 버클(10)에 있어 서,
상기 로크 기구(13)는 상기 플러그(20)의 로크 아암(23)에 형성된 아암측 로크부(233)와, 상기 소켓(30)에 형성된 소켓측 로크부(351)를 갖고,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와 소켓측 로크부(351)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다른 어느 한쪽과 접촉하는 경사면이 되고,
상기 경사면은 플러그(20) 혹은 소켓(30)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로크 기구의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가 연결 상태로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로크 아암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결합을 해제 가능하다. 이 때,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는 어느 하나가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되고,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하는 힘이 연결 방향에 가해진 경우에는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가 서로 경사 방향으로 변위하여 더 견고한 로크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로크 상태의 해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을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원활하게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은 소정의 연결 방향(DC)에 연결되는 플러그(20) 및 소켓(30)을 갖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20) 및 소켓(30)을 소정의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13)를 갖고, 상기 플러그(20) 및 소켓(30)에는 상기 연결 방향에 교차하는 제1 방향(D1)과 상기 연결 방향(DC) 및 제1 방향(D1)의 어느 쪽과도 교차하는 제2 방향(D2)이 설정되고,
상기 소켓(30)은 삽입용 개구(33)와, 이 삽입용 개구(33)로부터 상기 소켓(30) 내로 연속하는 캐비티(34)를 갖고,
상기 플러그(20)는 로크 아암(23)을 갖고,
상기 로크 기구(13)는 상기 로크 아암(23)에 형성된 아암측 로크부(233)와, 상기 소켓(30)에 형성된 소켓측 로크부(351)를 갖고,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 및 소켓측 로크부(351)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다른 어느 한쪽과 접촉 가능한 경사면(233, 351)이 되고, 이 경사면(233, 351)은 상기 연결 방향(DC)의 후방측 부분이 소켓(30)의 외면에 연속하면서 또한 전방측 부분이 소켓(30)의 내측에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 방향(DC)과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로크 기구의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가 연결 상태로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로크 아암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결합을 해제 가능하다.
이 때,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는 전술한 3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있어서 서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어,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하는 힘이 연결 방향으로 가해진 경우에는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가 서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변위되어 더 견고한 로크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로크 상태의 해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을 제2 방향으로 압박하면서 제1 방향으로 근접시킴으로써,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가 경사면 을 따라 이동하여 원활하게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연결 방향,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서는 서로 직교하는 3축으로 해도 좋고, 서로 각도가 다른 각도라도 좋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351)은 상기 소켓측 로크부(351)에 형성되고, 그 상기 연결 방향(DC)의 전방측 가장자리는 상기 소켓(30)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보다도 상기 연결 방향(DC)의 전방측으로 편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33)은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에 형성되고, 그 상기 연결 방향(DC)의 후방측 가장자리는 상기 플러그(2O)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보다도 상기 연결 방향(DC)의 전방측으로 편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해,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이 경사면이 되고, 전술한 경사면을 따른 상호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경사면은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 중 어느 하나이고, 다른 쪽은 다른 형상으로 접촉해도 좋지만, 모두 전술한 소정의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넓은 접촉면적을 얻을 수 있고, 집중 하중을 피해 원활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은 조작용 개구(35)를 갖고, 상기 소켓측 로크부(351)는 상기 조작용 개구(35)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아암(23)은 선단부 근방에 상기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는 조작부(231)를 갖고, 이 조작부(231)의 플러그측에는 단차면이 형성되고, 이 단차 면에 의해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소켓 및 플러그는 각각 상기 제2 방향에 대향하는 표면 및 이면과,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고, 또한 상기 표면과 이면의 거리가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거리보다 짧은 편평 형상이 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각 측면에 상기 조작용 개구를 갖는 동시에, 각 조작용 개구는 상기 표면까지 돌아 들어가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작용 개구로부터 노출되는 조작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의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이르는 방향 어디로도 외부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벨트로의 적용에 최적인 편평 형상의 버클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용 개구의 배치가 제2 방향으로의 압박을 수반하는 제1 방향으로의 조작에 대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10)은 서로 연결 가능하면서 또한 이 연결을 해제 가능한 플러그(20) 및 소켓(30)을 갖고,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소켓(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아(24)를 갖고, 상기 가이드 바아(24)는 상기 소켓(30)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촉부(241, 242)와, 상기 소켓(30)에 미끄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2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연결시에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경사시켜 삽입한다. 이 때, 가이드 바아는 접촉부에서 소켓에 접촉하여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비접촉부에서 소켓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바아는 소켓에 대해 소정의 자세로 보유 지지되고, 이에 의해 삽입에 있어서 충분한 정밀도의 가이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연결 상태에서의 자세 보유 지지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 가이드 바아가 발출됨에 따라서 피보유 지지부를 보유 지지부로부터 발출함으로써 보유 지지부에 의한 피보유 지지부의 보유 지지가 해제되고, 소켓측과의 간격 치수가 충분히 큰 상태가 되어 소켓과 플러그를 경사지게 하면서 발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 바아(24)에 형성된 피보유 지지부(241)와 부-피보유 지지부(24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접촉부(피보유 지지부와 부-피보유 지지부)에 의해 자세의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자세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피보유 지지부 및 부-피보유 지지부는 가이드 바아의 선단부와 기단부 등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피보유 지지부(241)와 부-피보유 지지부(242)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24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피보유 지지부와 부-피보유 지지부의 중간부가 소켓에 간섭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삽입 및 해제시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에는 상기 피보유 지지부(241)를 협지하여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부(342) 및 상기 부-피보유 지지부(242)를 협지하여 보 유 지지 가능한 부-보유 지지부(3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바아의 피보유 지지부 및 부-피보유 지지부가 각각 보유 지지부 및 부-보유 지지부에서 보유 지지되어, 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소켓과 플러그의 자세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은 캐비티(34)와 이 캐비티(34)에 연통하는 조작용 개구(35)를 갖고,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캐비티(34)에 삽입 가능하면서 또한 일부가 상기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조작용 개구(35)의 계지부(351)에 계지되는 로크 아암(23)을 갖고, 이 로크 아암(23)은 상기 조작용 개구(35)로부터 기울기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계지부(351)와의 계지를 해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로크 아암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기울기 하방으로 조작함으로써, 오조작을 피하면서 조작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하방이라 함은, 예를 들어 버클의 표면측에 대해 이면측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기울기라 함은 동일 방향에 대해 조작을 경사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로크 아암을 한 쌍 설치하여 좁히는 조작으로 해제를 행하는 경우, 이 좁히는 방향으로부터 표면 및 이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를 상기 소켓(30)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바아(24)가 상기 캐비티(34)의 개구부 근방의 접촉점(P2)으로 접촉하고, 상기 플러그(20)는 그 축선 방향의 이동과 상기 소켓(30)의 표면으로의 복합 이동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소켓에 대해 플러그를 비스듬히 삽입해도, 접촉점에 의한 유도로 플러그를 본래의 연결 자세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를 상기 소켓(30)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바아(24)가 상기 캐비티(34) 내부의 접촉점(P1) 및 상기 캐비티(34)의 개구부 근방의 접촉점(P2)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플러그(20)는 그 축선 방향의 이동과 상기 소켓(30)의 표면으로의 복합 이동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소켓에 대해 플러그를 비스듬히 삽입해도, 2개의 접촉점에 의한 유도로 플러그를 본래의 연결 자세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소켓은 각각 테이프류의 고정 부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벨트끼리의 연결에 적합한 버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테이프류의 고정 부착부를 갖고, 상기 소켓은 다른 물품 표면으로의 고정 부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의류나 가방 등의 표면에 장착되는 용도에 적합한 버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금형은 형틀 폐쇄시에 성형용 캐비티를 형성하는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과, 상기 캐비티 내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상기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코어가 변위 기구에 의해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슬라이드 코어는 형태 체결 상태로 언더컷의 안쪽으로 변위되고, 형틀 개방 상태에서는 언더컷의 외측(깊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코어는 형태 체결 상태에서 캐비티에 소정의 언더컷 형성용 성형면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형틀 개방 상태에서는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피할 수 있어, 성형품의 취출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코어는 변위 기구에 의해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고, 슬라이드 코어의 진출 방향은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제약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 구동을 형틀 폐쇄 기구 혹은 이젝터 기구와 겸용할 수 있어, 슬라이드 코어의 구동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성형품에 언더컷과 마주 보는 부분이 있는 경우라도 변위 기구에 의한 변위값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되고, 슬라이드 코어 및 그 진퇴 방향은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의 형틀 폐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 구동에 형태 체결 형틀 개방 동작을 유용할 수 있어, 슬라이드 코어의 구동 기구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 중 어느 하나는 이젝터 핀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이젝터 핀과 동기하여 진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 구동에 이젝터 핀의 구동 기구를 유용할 수 있어, 슬라이드 코어의 구동 기구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리브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 및 슬라이드 코어의 서로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 방향에 대해 경사진 캠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드 코어를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로서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 동작을 유용할 수 있어, 구동원을 갖는 전용의 변위 기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유압 장치 혹은 모터 등을 이용한 전용의 변위 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선단부 근방에 상기 언더컷을 형성하는 성형면을 갖고, 형틀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 중 성형면만이 상기 캐비티 내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드 코어의 설치 자세와 언더컷을 분리할 수 있어,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 방향과 언더컷의 깊이 방향을 전혀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은 형틀 폐쇄시에 성형용 캐비티를 형성하는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과, 상기 캐비티 내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코 어를 상기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갖는 사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을 형틀 폐쇄하여 성형용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고,
상기 용융 수지가 고화된 후, 상기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을 형틀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전진시키면서, 또한 변위 기구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상기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방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금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상기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의 형틀 폐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형틀 및 가동 형틀 중 어느 하나에 이젝터 핀을 설치해 두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이젝터 핀을 동기하여 진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로서, 선단부 근방에 상기 언더컷을 형성하는 성형면을 갖고, 형틀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 중 성형면만이 상기 캐비티 내에 노출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금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버클(10)은 시트 장착형의 사이드 릴리스형 버클이다.
버클(10)은 수동 조작에 의해 연결 및 해제의 조작이 가능한 플러그(20) 및 소켓(30)을 구비하고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0)에는 벨트(12)가 장착된다. 소켓(30)은 의류나 백 직물 등의 시트(11)에 고정된다. 도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10)은 이면에 부착 플레이트(40)가 장착되고, 버클(10)의 이면과 부착 플레이트(40) 사이에 시트(11)를 협지함으로써 의류나 백 등에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버클(10)에 있어서는, 플러그(20)를 소켓(30)에 삽입하는 방향인 연결 방향(DC)과, 이 연결 방향(DC)에 교차하는 제1 방향(D1)과, 이들 연결 방향(DC) 및 제1 방향(D1)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제2 방향(D2)이 설정되어 있다(도1 참조). 제1 방향(D1)은 플러그(20) 및 소켓(30)의 연결 해제의 조작을 행하는 주된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상기 해제 조작시에 보조적으로 행해지는 압박 조작의 방향이다. 버클(10) 및 플러그(20), 소켓(30)은 제2 방향(D2)에 표면측 및 이면측이 설정되어 있다.
도4, 도5에는 플러그(20) 및 소켓(30)이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20)는 그 일단부측[플러그(20)를 소켓(30)에 삽입하는 방향과 반대측 단부]에 전술한 벨트(12)를 장착하기 위한 벨트 장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20)의 타단부측[플러그(20)를 소켓(30)에 삽입하는 방향의 단부]에는 한 쌍의 로크 아암(23)과, 1개의 가이드 바아(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로크 아암(23) 및 가이드 바아(24)는 각각 연결 방향(DC)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로크 아암(23)은 가이드 바아(24)를 협지하여 제1 방향(D1)에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6, 도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3)은 선단부측으로 압박되어 조작 부재가 되는 탄환 형상의 블럭(231)을 갖고, 이 블럭(231)은 탄성 변형 가능한 아암(232)으로 플러그(20)의 본체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아암(232)은 버클(10)의 이면[시트(11)가 장착되는 면], 즉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아암(232)은 제1 방향(D1)에 대해서는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로크 아암(23)은 각각 선단부측의 블럭(231) 부분이 도12에 나타내는 D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231)을 압박함으로써 도면 중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블럭(231)이 도면 중 비스듬히 하방으로 이동한다.
블럭(231)에는 아암(232)의 외측에 단차가 형성되고, 이 단차면에 아암측 로크부로서의 경사면(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경사면(233)에 의해 플러그(20)와 소켓(30)의 연결을 유지하는 로크 기구(13)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경사면(233)은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소정의 경사로 되어 있다(도6 참조).
도8,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아(24)는 단면이 역U자 형상이 되고, 선단부측은 제2 방향(D2)에 소정 치수를 갖는 피보유 지지부(241)가 되 고, 기단부측은 동일한 치수를 갖는 부-피보유 지지부(242)로 되어 있다.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243)에는 제2 방향(D2)의 이면측에 연결 방향(DC)을 따라 원호 형상의 오목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간부(243)는 피보유 지지부(241) 및 부-피보유 지지부(242)보다도 제2 방향(D2)의 치수가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4, 도5에 있어서, 소켓(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이면이 시트(11)에 장착된다. 이로 인해, 소켓(30)의 이면에는 부착 플레이트(40)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다리부(32)는 부착 플레이트(40)의 결합 구멍(41, 42)에 삽입되고, 연결 방향(DC)으로의 상대 이동에 의해 결합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도1 참조). 또, 부착 플레이트(40)의 결합 구멍(41)에는 주위에 탄성적인 계지 기구가 형성되어, 부착 플레이트(40)와 소켓(30)의 서로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소켓(30)의 일단부측에는 삽입용 개구(33)가 형성되고, 소켓(30)의 내부에는 삽입용 개구(33)로부터 연결 방향(DC)의 타단부측으로 캐비티(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캐비티(34)에는 전술한 플러그(20)의 로크 아암(23) 및 가이드 바아(24)가 일괄적으로 삽입 가능하다.
캐비티(34)의 내측에는 소켓(30)의 이면측 내벽에 가이드 홈(3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341)은 소켓(30)의 이면측 내벽보다 일단 오목해진 단차 형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가이드 홈(341)에 의해 플러그(20)와 소켓(30)의 서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가이드 기구(14)가 형성된다.
소켓(30)의 양측면[제1 방향(D1)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각각 조작용 개구(35)가 형성되고, 각각은 소켓(30)의 표면 및 이면까지 돌아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용 개구(35)는 전술한 플러그(20)의 로크 아암(23)의 블럭(231)에 대응한 배치로 형성되고, 플러그(20) 및 소켓(30)을 연결한 상태(도2의 상태)에서는 블럭(231)의 표면이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어(도14의 쇄선의 상태), 연결 해제를 위한 수동 조작[주로 로크 아암(23)을 서로 가까이하는 좁히는 조작이고, 버클(10)의 이면측으로의 압박을 수반하는, 즉 제1 방향(D1)으로의 상호 좁아짐이고, 제2 방향(D2) 이면측으로의 압박을 수반함]이 가능하다.
조작용 개구(35)의 내주 가장자리 중 소켓(30)의 측면으로부터 표면에 이르는 부분은 소켓측 로크부로서의 경사면(351)으로 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경사면(35l)에 의해 플러그(20)와 소켓(30)의 연결을 유지하는 로크 기구(13)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경사면(351)은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소정의 경사로 되어 있다(도6, 도7 참조).
본 실시 형태의 버클(10)에 있어서는, 전술한 플러그(20) 및 소켓(30)을 서로 연결 상태(도1 참조)로 유지하기 위해 로크 아암(23) 및 조작용 개구(35)를 이용한 로크 기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3)에는 블럭(231)에 경사면(233)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30)의 조작용 개구(35)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351)이 형성되어 있다.
도2,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0) 및 소켓(30)을 서로 연결 상태로 한 경우, 조작용 개구(35)로부터는 블럭(231)이 노출되어 서로의 경사면(233, 351)이 면에서 접촉한다.
여기서, 경사면(233, 351)은 각각 연결 방향(DC), 제1 방향(D1), 제2 방향(D2)의 어느 쪽과도 교차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는 연결 방향(DC)의 선단부측[연결을 위해 플러그(20)를 삽입하는 방향]이 소켓(30)의 내측[제1 방향(D1)에 있어서 다른 로크 아암(23)에 이르는 방향이며, 소켓(30)의 표면측에 있어서는 이면측에 이르는 방향]에 배치되는 경사로 되어 있다.
즉, 경사면(233, 351)은 도7과 같이 측면에서 본 경우, 각각 버클(10)의 표면측(도면 중 상측)으로부터 이면측(도면 중 하측)에 도달함에 따라서, 버클(10)의 후방측(도면 중 우측)으로부터 전방측(도면 중 좌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측에서 본 경우, 각각 버클(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도달함에 따라서, 버클(10)의 후방측(도면 중 우측)으로부터 전방측(도면 중 좌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로크 기구(13)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23)을 서로 근접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삽입용 개구(33) 내에 삽입하여, 캐비티(34) 내의 안쪽으로 송입하고, 블럭(231)이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는 상태에 이르면, 이들 경사면(233, 351)이 결합하여 플러그측으로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는 블럭(231)에 수동 조작을 부가하여(도11 참조), 로크 아암(23)을 서로 근접 방향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경사면(233, 35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러그(20)와 소켓(30)과의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도13, 도14 참조).
여기서, 전술한 로크 기구(13)에서는 경사면(233, 351)의 경사가 말하자면 화살촉과 같이 기능하여, 높은 빠짐 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0)와 소켓(30)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이들을 분리시키는 방향의 힘(T)[벨트(12)로부터의 인장력 등]이 가해진 경우, 전술한 경사면(233, 351)의 특정한 경사에 의해 각각의 상대 변위(M)는 서로의 결합이 보강되는 방향이 되고, 이에 의해 높은 빠짐 방지 기능이 부여된다.
본 실시 형태의 버클(10)에 있어서는, 전술한 플러그(20) 및 소켓(30)의 삽입시 내지 연결 상태에서의 자세 보유 지지를 위해, 가이드 바아(24) 및 캐비티(34) 내측의 가이드 홈(341)을 이용한 가이드 기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아(24)는 선단부측의 피보유 지지부(241), 기단부측의 부-피보유 지지부(242), 중간부(243)의 이면측에 원호 형상의 오목부(244)를 갖는다. 소켓(30)의 캐비티(34) 내측에는 삽입용 개구(33)로부터 안쪽에 도달하는 가이드 홈(34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341) 내에 있어서의 캐비티(34)의 높이[제2 방향(D2)의 간격 치수]는 전술한 플러그(20)의 가이드 바아(24)의 피보유 지지부(24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가이드 홈(341) 밖의 영역의 높이는 피보유 지지부(241)보다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가이드 바아(24)의 피보유 지지부(241)는 가이드 홈(341)의 내측으로만 삽입 가능하다.
가이드 홈(341)의 평면 형상은 소위 벨마우스(bell mouth) 형상이 되고, 일단부측[전술한 연결 방향(DC)의 후방측]에 있는 삽입용 개구(33)측이 넓고, 캐비티(34)의 안쪽, 연결 방향(DC)의 타단부측(상기 전방측)에 도달함에 따라서 가늘어져, 결국 소정의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20)의 가이드 바아(24)는 선단부측이 적절하게 가이드되고, 연결시에는 플러그(20)는 소켓(30)에 대해 소정의 자세가 되도록 가이드된다.
가이드 홈(341)의 가장 안쪽 부분[연결 방향(DC)의 소켓측 단부]은 서서히 융기하여 최종적으로 가이드 홈(341)의 주위와 같은 높이로 연속되는 경사면이 되고, 이 경사면에 의해 보유 지지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유 지지부(342)에서는 캐비티(34)의 높이가 가이드 바아(24)의 피보유 지지부(241)에서의 높이와 대략 동일해져, 연결 상태에 있어서 캐비티(34)와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 사이의 간극 치수는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바아(24)의 기단부에서는 부-피보유 지지부(242)의 높이는 가이드 홈(341) 내에 있어서의 캐비티(34)의 높이와 대략 동일해지고, 연결 상태에 있어서 캐비티(34)의 해당 부분[부-보유 지지부(343), 도8, 도10 참조]과 가이드 바아(24)의 기단부 사이의 간극 치수는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보유 지지부(342)와 피보유 지지부(241) 사이 및 부-보유 지지부(343)와 부-피보유 지지부(242) 사이의 간극 치수가 작은 상태에 의해 플러그(20)는 소켓(30)에 대해 소정의 자세로 보유 지지된다. 이와 같은 보유 지지의 기능은 플러그(20) 및 소켓(30)이 연결 상태 혹은 직전 상태에 한정되어, 연결 상태로 하기 위해 플러그(20)를 소켓(30)에 삽입하고 있는 도중에는 가이드 바아(24)의 중간부(243)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오목부(244)에 의해 소켓(30)의 캐비티(34), 삽입용 개구(33) 등과의 간격 치수는 충분히 크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기구(14)에 있어서는, 도8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시의 가이드를 행한다.
도8에 있어서, 플러그(20)와 소켓(3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을 연결 방향(DC)을 따라 배열시켜,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를 삽입용 개구(33)에 송입한다.
도9에 있어서, 삽입용 개구(33)에 송입된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는 피보유 지지부(241)가 가이드 홈(341)에 의해 가이드되어, 플러그(20)와 소켓(30)은 정규의 연결 상태를 향해 자세[연결 방향(DC) 및 제1 방향(D1)을 포함하는 면 내에서의 자세]가 조정된다.
이 때, 연결 방향(DC) 및 제2 방향(D2)을 포함하는 면 내의 자세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각 보유 지지부가 가이드하게 되므로, 여기서는 자유롭게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조작에 있어서,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가 캐비티(34) 내에 삽입되는 단계로부터, 플러그(20)를 제2 방향(D2)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도9의 각도 A 참조), 삽입 조작을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사지게 한 삽입 조작에서는,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와 소켓(30)의 표면측 캐비티(34)의 내면이 접촉점(P1)에서 접촉하고, 삽입용 개구(33)의 이면측 가장자리와 가이드 바아(24)의 원호 형상의 오목부(244)가 접촉점(P2)에서 접촉하여, 이에 의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플러그(20)가 소켓(30) 내로 송입됨에 따라서, 표면측의 접촉점(P1)은 보유 지지부(342)와 피보유 지지부(241)의 보유 지지로 이행하고, 이면측의 접촉점(P2)은 부-보유 지지부(343)와 부-피보유 지지부(242)의 보유 지지로 이행하고, 이에 의해 최종적인 연결 상태에서는 전술한 확실한 자세 보유 지지가 이루어진다.
또, 발출시에는 전술한 것과 역방향의 접촉점의 이행에 의해 원활한 발출 조작이 행해진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로크 기구(13)에 있어서,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로서의 경사면(233, 351)은 전술한 3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있어서 서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플러그(20)와 소켓(30)을 분리하는 힘이 연결 방향(DC)에 가해진 경우에는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가 서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변위하여 더 견고한 로크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로크 상태의 해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로크 아암(23)을 제2 방향(D2)으로 압박하면서 제1 방향(D1)에 근접시킴으로써,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로서의 경사면(233, 351)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원활하게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로크부의 경사면(351)에 있어서, 또한 조작용 개구(35)의 가장자리가 내측일수록 연결 방향(DC)의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배치하였으므로(도6 등 참조), 빠짐 방지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아암측 로크부 및 소켓측 로크부로서의 경사면(233, 351)은 각각 로크 (23)의 선단부측의 블럭(231)의 단차이거나, 조작용 개구(35)의 가장자리로, 각각이 간단한 형상인 동시에, 종래의 구성을 유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기구(14)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아(24) 및 캐비티(34) 내의 형상을 소정의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삽입의 개시 시에 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고, 도중의 단계에서는 2점 접촉에 의해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상태에 이르면, 소켓(30)의 표면측 접촉점(P1)은 보유 지지부(342)와 피보유 지지부(241)의 보유 지지로 이행하고, 이면측 접촉점(P2)은 부-보유 지지부(343)와 부-피보유 지지부(242)의 보유 지지로 이행하므로, 확실한 자세 보유 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바아(24)의 오목부(244)는 원호 형상으로 잘록하게 하였으므로, 연결 상태에 이르는 부-보유 지지부(343)측의 가이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20)와 소켓(30)의 상호의 경사 각도가 최대가 되는 중간부의 중앙 부분에 가장 간격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어, 간단한 형상으로 충분한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아암측 로크부의 경사면(233) 및 소켓측 로크부의 경사면(351)의 양쪽을 설치하였지만, 다른 쪽은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아암측 로크부인 블럭(231)의 단차를 돌기 형상으로 하고, 소켓(30)의 경사면(351)과 경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도 좋다. 혹은, 소켓측 로크 부인 조작용 개구(35)의 연결 방향(DC)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접촉용 돌기를 마련하여, 로크 아암(23)의 경사면(233)과 미끄럼 접촉시켜도 좋다. 단, 전술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양쪽을 소정의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넓은 접촉 면적을 얻을 수 있어, 집중 하중을 피하여 원활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용 개구(35)의 가장자리가 내측일수록 연결 방향(DC)의 전방측이 되도록 경사지게 하여 배치하였지만, 소켓측 로크부의 경사면(351)은 전술한 3방향의 경사가 취해져 있으면 되고, 조작용 개구(35)에 있어서의 가장자리의 형상은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전술한 아암측 로크부의 경사면(233) 및 소켓측 로크부의 경사면(351)의 경사 각도 등은 실제의 결합 조작 및 빠짐 방지 성능의 요구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또한, 경사면(233, 351)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 등이라도 좋고, 소켓측 혹은 플러그측의 어느 하나에 경사면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호의 면에서의 밀착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한층 자유로운 곡면을 설정할 수 있어, 곡율이나 경사의 점차 변화에 의해 빠짐 방지 성능이 인장력에 따라서 점증하는 등의 설정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측 피보유 지지부(241)를 기단부측의 피보유 지지부(242)와 같은 높이 치수로 하였지만, 이를 더 작은 치수로 해도 좋다.
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높이 치수가 큰 부-피보유 지지 부(242)에 대해, 오목부(244)는 높이 치수가 충분히 작고, 선단부측 피보유 지지부(241)는 오목부(244)보다는 크지만 부-피보유 지지부(242)보다는 작다. 한편, 소켓(30)에 있어서는, 부-보유 지지부(343)에 대해 보유 지지부(342)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연결 상태에서는 가는 보유 지지부(241)라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측 피보유 지지부(241)가 중간부(243)보다 높이 치수가 커지도록 하였지만, 이를 같은 치수 혹은 더 작은 치수로 해도 좋다.
도17 및 도18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높이 치수가 큰 부-피보유 지지부(242)로부터 오목부(244)로 원활하게 가늘어지고, 그 가장 가늘어진 위치로부터 가이드 바아(24)의 선단부의 피보유 지지부(241)까지 동일한 높이 치수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보유 지지부(342)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삽입 도중에의 조작성과 연결 상태에서의 자세 보유 지지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부(243)의 오목부(244)는 원호 형상으로 하였지만,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단차 형상이라도 좋고, 혹은 완만한 삼각형의 오목부로 해도 좋고, 해당 부분의 윤곽 형상은 임의적이다. 단,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원호 형상의 오목부(244)가 가이드 성능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시에 피보유 지지부(241)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42)로서의 경사면을 캐비티(34) 내면의 버클(10) 이면측에만 설치하였지만, 표면측에 설치해도 좋고,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및 이면(도면 중 상하)의 양쪽에 설치해도 좋다. 게다가, 가이드 홈(341)도 캐비티(34)의 내면의 표면 및 이면 양쪽에 마련하는 등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바아(24)는 중앙에 1개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을 2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도21 및 도2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20)에 2개의 가이드 바아(24)를 병렬로 설치하고, 각각에 피보유 지지부(241), 부-피보유 지지부(24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소켓(30)에는 캐비티(34)의 표면측에 가이드 레일(3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344)은 플러그(20)와 소켓(30)을 연결할 때에 2개의 가이드 바아(24)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플러그(20)와 소켓(3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14)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레일(344)을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가이드 홈(341)을 생략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로크 아암(23) 각각에 아암측 로크부[경사면(233)]가 있고, 중앙에 가이드 바아(24)가 있고, 일반적인 버클(1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크 아암(23)은 3개 이상이라도 좋고, 그 중 2개가 제1 방향(D1)에 병렬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다른 로크 아암은 보조적인 로크 기능에 이용할 수 있다. 가이드 바아(24)는 복수개 있어도 좋고, 한 쌍의 로크 아암(23)의 내측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외측에 배치해도 좋다.
버클(10)로서는 편평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원형 혹은 정사각형 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버클(10)은 시트 장착용으로 하고, 소켓(30)이 부착 플레이트(40)에 의해 시트(11)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소켓(30)에 벨트 부착부를 설치하여 벨트끼리 연결하는 버클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버클(10)은 특수한 경사면(351, 233) 등을 가지므로, 일반적인 금형에 의한 성형으로는 곤란함이 따르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사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함으로써 성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사출 성형용 금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23 내지 도25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사출 성형용 금형(50)은 고정 형틀(60) 및 가동 형틀(70)을 갖고, 이들 내부에는 성형용 캐비티(51)가 형성된다.
사출 성형용 금형(50)은 기존의 사출 성형기(도시 생략)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고정 형틀(60)은 사출 성형기의 고정측에 장착되고, 가동 형틀(70)은 마찬가지로 가동측에 장착되어, 사출 성형기의 형태 체결 기구에 의해 서로 형태 체결된다. 그리고, 형태 체결 상태(도23 참조)에 있어서, 캐비티(51) 내부에 사출 성형기의 사출 장치로부터 용융 수지가 사출되어, 냉각에 수반하여 고화된 것을 성형품[후술하는 플러그(20)]으로서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해, 고정 형틀(60)에는 이젝터 핀(61)이 설치되고, 이 이젝터 핀(6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캐비티(51) 내로 진출하여 성형품을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24 및 도25 참조). 이 이젝터 핀(61)의 진출 방 향은 고정 형틀(60) 및 가동 형틀(70)의 형틀 폐쇄 및 형틀 개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출 성형용 금형(50)의 성형품은 벨트 등의 접속에 이용되는 버클의 수형측인 플러그(20)이다.
플러그(20)는 도26 또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가 장착되는 본체(21)를 갖고, 그 일단부측에는 한 쌍의 로크 아암(23) 및 가이드 바아(24)를 갖는다. 가이드 바아(24)는 버클의 암형측인 소켓(도시 생략)에 플러그(20)를 삽입할 때에 그 삽입 자세를 적절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고, 로크 아암(23)은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과 결합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로크 아암(23), 소켓과의 결합을 행하기 위해 선단부 부분에 독자적인 화살촉 형상(25)을 갖는다. 이 화살촉 형상(25)은 로크 아암(23)의 선단부로부터 기부를 향해 외측으로 팽출되는 동시에, 로크 아암(23)의 중간 부분에서 단차를 이룸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의 단차면은 외측을 기부측으로, 내측을 로크 아암(23)의 선단부측으로 함으로써 이른바 화살촉의 형상이 부여되어 있다.
화살촉 형상(25)은 전술한 단차면의 외측 가장자리가 플러그(20)의 종횡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즉, 도26 또는 도27에 있어서는, 도면의 횡방향이 플러그(20)의 횡방향, 도면에 직교하는 방향이 플러그(20)의 종방향이다. 화살촉 형상(25)의 외측의 가장자리는, 도면 중 외측이 도면의 안쪽이고 도면 중 내측[ 가이드 바아(24)에 가까운 측, 서로 마주보는 측]이 도면의 전방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상과 같은 화살촉 형상(25)은 플러그(20)의 성형에 맞게 언더컷으로 되어 있고, 이 언더컷은 플러그(20)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이 된다. 즉, 언더컷인 화살촉 형상(25)의 깊이 방향은 플러그(20)의 로크 아암(23)의 선단부 방향이 된다.
전술한 플러그(20)를 성형하기 위해, 캐비티(51)는 플러그(20)의 윤곽에 따른 내면 형상이 부여된다. 고정 형틀(60) 및 가동 형틀(70)은 플러그(20)의 횡방향(도26, 도27의 도면 방향)에 분할면이 설정되고, 종방향(도면 직교 방향)에 형틀 폐쇄 및 형틀 개방된다(도23 내지 도25 참조).
이와 같은 금형(50)에 있어서, 전술한 언더컷으로서의 화살촉 형상(25)이 있으면, 성형품인 플러그(20)를 단순하게 발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금형(50)은 언더컷 형성을 행하기 위해, 캐비티(51)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80)와, 이 슬라이드 코어(80)를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9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코어(80)는 이젝터 핀(61)과 병렬로 배치된 각기둥 형상의 부재로, 고정 형틀(60)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81)에 삽입 관통되고, 도면 중 하방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진퇴 구동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젝터 핀(61)의 구동 기구와 겸용되어 있다.
슬라이드 코어(80)는 가장 후퇴된 상태(도23 참조)에서도 그 선단부가 캐비티(51) 내에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 선단부 부분은 플러그(20)의 로크 아암(23)의 외측에서 화살촉 형상(25)에 인접한 공간이 되고, 성형품인 플러그(20)에 간섭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슬라이드 코어(80)의 선단부 부분의 일측 표면에는 성형면(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성형면(82)이 설치되는 방향은 플러그(20)의 로크 아암(23)의 선단부가 향하는 측, 즉 전술한 언더컷[화살촉 형상(25)]의 깊이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성형면(82)에는 전술한 플러그(20)의 언더컷 부분[화살촉 형상(25)]에 대응한 성형용 윤곽 형상(언더컷 깊이 방향의 요철)이 부여되고, 형틀 폐쇄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코어(80)에서 유일하게 캐비티(51) 내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되고, 주위에 배치되는 캐비티(51)의 다른 내면에 연속된 성형면이 되어, 전체적으로 플러그(20)의 윤곽 표면을 형성한다.
변위 기구(90)는 슬라이드 코어(80)를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으로, 형태 체결 상태에서는 성형면(82)을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시켜 보유 지지하고, 형틀 개방에 수반하여 언더컷의 깊이 방향 반대측으로 분리하여 성형면(82)을 언더컷인 화살촉 형상(25)으로부터 대피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변위 기구(90)는 슬라이드 코어(8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경사면(91, 93)과, 가이드 슬리브(81)의 각 개구부에 형성된 접촉부(92, 9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경사면(91)은 접촉부(92)와 미끄럼 접촉하는 캠 형상이 되고, 경사면(93)은 접촉부(94)와 미끄럼 접촉하는 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코어(80)의 선단부 부분에서는, 전술한 언더컷 깊이 방향의 치수가 가이드 슬리브(81)의 상기 방향 치수와 대략 일치되고, 슬라이드 코어(80)의 선단 부 부분이 가이드 슬리브(81)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접촉부(92) 주변에서 슬라이드 코어(80)가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상기 방향으로 변위하는 일은 없다(도23의 상태).
슬라이드 코어(80)가 캐비티(51) 내로 진출하면, 접촉부(92)와의 접촉 부분은 경사면(91)을 따라 이동하여, 경사면(91)의 변위만큼 슬라이드 코어(80)는 언더컷 깊이 방향과 반대측으로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도24의 상태).
한편, 슬라이드 코어(80)의 경사면(93)보다 기단부측의 부분은 언더컷 깊이 방향으로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코어(80)가 캐비티(51) 내에 진출할 때에 접촉부(94)와의 접촉이 경사면(93)에 도달하면, 슬라이드 코어(80)가 이 경사면(93)에 의해 언더컷 깊이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위된다(도25의 상태).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면(82)을 언더컷인 화살촉 형상(25)으로부터 대피시키는 변위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을 기초로 하여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우선, 고정 형틀(60) 및 가동 형틀(70)을 형틀 폐쇄하고, 이젝터 핀(61) 및 슬라이드 코어(80)를 후퇴시켜, 캐비티(51) 내에 소정의 성형용 윤곽 형상을 준비한다(도23의 상태).
이 상태에서, 캐비티(51)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그대로 내부에서 냉각시켜 성형품인 플러그(20)로서 고화시킨다. 이 때, 플러그(20)에는 슬라이드 코어 (80)의 성형면(82)에 의해 언더컷인 화살촉 형상(25)이 형성된다.
다음에, 고정 형틀(60) 및 가동 형틀(70)을 형틀 개방하고, 이젝터 핀(61) 및 슬라이드 코어(80)를 진출시켜, 플러그(20)를 고정 형틀(60)으로부터 취출한다.
이 때, 언더컷인 화살촉 형상(25)과 슬라이드 코어(80)의 성형면(82)은 언더컷 깊이 방향으로 요철을 끼워 맞춘 상태로, 슬라이드 코어(80)와 플러그(20)는 그 상태에서는 분리할 수 없다(도24의 상태).
그러나, 이젝터 핀(61) 및 슬라이드 코어(80)를 더욱 진출시키면, 슬라이드 코어(80)는 변위 기구(90)에 의해 언더컷 깊이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위되어, 전술한 화살촉 형상(25)과 성형면(82)의 요철 끼워 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플러그(20)는 자유롭게 취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25의 상태).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슬라이드 코어(80)의 측면에 언더컷의 요철 형상에 대응한 성형면(82)을 설치하고, 변위 기구(9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80)를 언더컷 깊이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위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성형면(82)에서 언더컷인 화살촉 형상(25)을 성형할 수 있는 동시에, 형틀 개방 상태에서는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피할 수 있어 성형품인 플러그(20)의 취출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80) 및 변위 기구(90)는 형태 체결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코어(80)의 선단부 부분이 이동 규제되도록 하였으므로, 용융 수지의 사출압도 확실하게 받을 수 있어 정확한 성형을 확보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80)는 변위 기구(90)에 의해 언더컷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되 는 것이고, 슬라이드 코어(80)의 진출 방향은 언더컷의 깊이 방향에 제약받지 않는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코어(80)의 진퇴 구동을 이젝터 핀(61)의 구동 기구와 겸용할 수 있어, 구조의 간략화, 동작 제어의 간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방향성의 자유도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20)와 같이 성형품에 언더컷과 마주 보는 부분이 있는 경우[화살촉 형상(25)을 마주 보도록 플러그 본체(21)가 있음]라도 변위 기구에 의한 변위값을 확보할 수 있고, 슬라이드 코어(80) 및 그 진퇴 방향은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80)는 고정 형틀(60) 및 가동 형틀(70)의 형틀 폐쇄 방향으로 진퇴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통상 동일 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젝터 핀(61)과의 동기 동작이 가능한 동시에, 구동 기구의 유용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변위 기구(90)는 가이드 슬리브(81)의 접촉부(92, 94)와 슬라이드 코어(80)의 경사면(91, 93)을 이용한 캠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슬라이드 코어(80)의 원활한 변위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드 코어의 진퇴 동작을 유용할 수 있어 기구의 간략화 및 동작 제어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젝터 핀(61), 슬라이드 코어(80) 및 변위 기구(90)를 각각 고정 형틀(60)측에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젝터 핀(61) 및 슬라이드 코어(80) 및 변위 기구(90)는 가동 형틀(70)에 설치해도 좋다. 단, 구동 기구의 설치는 고정측의 쪽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80)의 진퇴 구동은 이젝터 기구와 겸용에 한정되지 않고, 형틀 폐쇄 기구와 겸용해도 좋고, 혹은 독자의 구동 기구, 예를 들어 전용 모터나 솔레노이드, 유압 실린더 등을 설치해도 좋다.
이젝터 핀(61) 및 슬라이드 코어(80)는 반드시 같은 방향으로 진퇴하는 것은 아니어도 좋고, 슬라이드 코어(80)는 언더컷의 배치에 따라서 적당한 부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 기구의 공용은 어려워지지만, 서로 방향이나 설치 부위가 달라도 적절한 링크 기구 등을 이용하여 공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변위 기구(90)로서는, 전술한 가이드 슬리브(81)의 접촉부(92, 94)와 슬라이드 코어(80)의 경사면(91, 93)을 이용한 캠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형틀 폐쇄 상태의 위치 규제를 다른 로크 기구 등으로 별도로 행하도록 해도 좋고, 적어도 실질적인 변위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접촉부(94)와 경사면(93)과의 캠 형상이 있으면 좋다.
또한, 변위 기구(90)는 슬라이드 코어(80)에 형성되는 캠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독립된 구동 기구에 의해 예를 들어 가이드 슬리브(81)마다 슬라이드 코어(80)를 변위시키는 것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성형품으로서 버클용 플러그(2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언더컷을 갖는 다양한 성형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박을 수반하는 해제 조작 및 경사진 삽입 조작이라도 원활하고 또한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는 버클 및 다양한 언더컷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플러그(20)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용 개구(33)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의 상기 삽입용 개구(33)로의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한 소켓(30)을 갖고, 상기 플러그(20)와 소켓(30)을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13)를 갖는 버클(10)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13)는 상기 플러그(20)의 로크 아암(23)에 형성된 아암측 로크부(233)와, 상기 소켓(30)에 형성된 소켓측 로크부(351)를 갖고,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와 소켓측 로크부(351)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다른 어느 한쪽과 접촉하는 경사면이 되고,
    상기 경사면은 플러그(20) 혹은 소켓(30)의 상기 제1 면측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제2 면측의 이면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소정의 연결 방향(DC)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해제되는 플러그(20) 및 소켓(30)을 갖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20) 및 소켓(30)을 소정의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13)를 갖고, 상기 플러그(20) 및 소켓(30)에는 상기 연결 방향에 교차하는 제1 방향(D1)과 상기 연결 방향(DC) 및 제1 방향(D1)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제2 방향(D2)이 설정되고,
    상기 소켓(30)은 삽입용 개구(33)와, 이 삽입용 개구(33)로부터 상기 소켓(30) 내로 연속하는 캐비티(34)를 갖고,
    상기 플러그(20)는 로크 아암(23)을 갖고,
    상기 로크 기구(13)는 상기 로크 아암(23)에 형성된 아암측 로크부(233)와, 상기 소켓(30)에 형성된 소켓측 로크부(351)를 갖고,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 및 소켓측 로크부(351)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다른 어느 한쪽과 접촉 가능한 경사면(233, 351)이 되고, 이 경사면은 상기 소켓의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소켓의 내측을 향해 상기 연결 방향(DC)을 따라 경사지고,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351)은 상기 소켓측 로크부(351)에 형성되고, 그 상기 연결 방향(DC)의 전방측 가장자리는 상기 소켓(30)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보다도 상기 연결 방향(DC)의 전방측으로 편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33)은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에 형성되어, 그 상기 연결 방향(DC)의 후방측의 가장자리는 상기 플러그(20)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보다도 상기 연결 방향(DC)의 전방측으로 편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은 조작용 개구(35)를 갖고, 상기 소켓측 로크부(351)는 상기 조작용 개구(35)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아암(23)은 선단부 근방에 상기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는 조작부(231)를 갖고, 이 조작부(231)의 플러그측에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이 단차면에 의해 상기 아암측 로크부(2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0) 및 플러그(20)는 각각 상기 제2 방향(D2)에 대향하는 표면 및 이면과, 상기 제1 방향(D1)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고,
    상기 소켓(30)은 상기 각 측면에 상기 조작용 개구(35)를 갖는 동시에, 각 조작용 개구(35)는 상기 표면까지 돌아 들어가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23)은 상기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는 조작부(231)에 대해 상기 제1 방향(D1)의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D2)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도달하는 방향 어디로도 외부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소켓(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아(24)를 갖고,
    상기 가이드 바아(24)는 상기 소켓(30)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촉부(241, 242)와, 상기 소켓(30)에 미끄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2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 바아(24)에 형성된 피보유 지지부(241)와 부-피보유 지지부(2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피보유 지지부(241)와 부-피보유 지지부(242)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2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에는 상기 피보유 지지부(241)를 끼워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부(342) 및 상기 부-피보유 지지부(242)를 끼워 보유 지지 가능한 부-보유 지지부(3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은 캐비티(34)와 이 캐비티(34)에 연통하는 조작용 개구(35)를 갖고,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캐비티(34)에 삽입 가능하면서 또한 일부가 상기 조작용 개구(35)로부터 노출되면서 또한 상기 조작용 개구(35)의 계지부(351)에 계지되는 로크 아암(23)을 갖고, 이 로크 아암(23)은 상기 조작용 개구(35)로부터 기울기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계지부(351)와의 계지를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를 상기 소켓(30)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바아(24)가 상기 캐비티(34)의 개구부 근방의 접촉점(P2)에서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20)는 그 축선 방향의 이동과 상기 소켓(30)의 표면으로의 복합 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를 상기 소켓(30)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바아(24)가 상기 캐비티(34) 내부의 접촉점(P1) 및 상기 캐비티(34)의 개구부 근방의 접촉점(P2)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플러그(20)는 그 축선 방향의 이동과 상기 소켓(30)의 표면으로의 복합 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 및 소켓(30)은 각각 테이프류의 고정 부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는 테이프류의 고정 부착부(22)를 갖고, 상기 소켓(30)은 다른 물품 표면으로의 고정 부착부(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60008783A 2005-01-28 2006-01-27 버클,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 KR100715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2175 2005-01-28
JP2005022175A JP2006204638A (ja) 2005-01-28 2005-01-28 バックル
JPJP-P-2005-00051555 2005-02-25
JP2005051555A JP4399377B2 (ja) 2005-02-25 2005-02-25 バックル
JP2005111115A JP2006289688A (ja) 2005-04-07 2005-04-07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JP-P-2005-00111115 2005-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53A KR20060087453A (ko) 2006-08-02
KR100715414B1 true KR100715414B1 (ko) 2007-05-07

Family

ID=3670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783A KR100715414B1 (ko) 2005-01-28 2006-01-27 버클,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25994B2 (ko)
KR (1) KR100715414B1 (ko)
DE (1) DE102006003588B4 (ko)
TW (1) TWI276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43B1 (ko) * 2007-04-30 2008-06-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체결버클
ES2345697B1 (es) * 2007-12-31 2011-09-28 Jose Luis Gonzalez Palacio Fenech Dispositivo para el desmoldeo de negativos en inyeccion de plastico.
EP2287974B1 (de) * 2009-06-24 2011-10-19 Coninvers GmbH Elektrischer Push-Pull-Steckverbinder
USD799372S1 (en) * 2016-01-12 2017-10-10 Woojin Plastic Co., Ltd Roller for webbing
WO2018020466A1 (en) * 2016-07-29 2018-02-01 Rao Vishal Uchila Shishir A double cannula tracheostomy tube
JP6836774B2 (ja) * 2016-11-28 2021-03-03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成形用金型
CN108407193B (zh) * 2018-05-04 2023-11-10 宁波尚唯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隔音垫冲孔装置
JP7130711B2 (ja) 2020-09-10 2022-09-05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12776281B (zh) * 2021-02-07 2022-07-19 台州职业技术学院 一种注塑模具的联动抽芯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7076A (en) 1994-09-15 1996-04-16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ide-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ocking feature
JPH09206113A (ja) * 1995-11-30 1997-08-12 Yoshio Tokuda プラスチック製ガイドレスバックル
KR20010087112A (ko) * 2000-03-03 2001-09-15 조셉 앤셔 높은 안전성의 버클 조립체
KR100473107B1 (ko) 2001-07-23 2005-03-0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KR100601259B1 (ko) * 2003-04-11 2006-07-1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304A (en) 1893-04-25 Type-writing machine
US495971A (en) * 1893-04-25 Latch and lock
US310273A (en) * 1885-01-06 Mazstes hamburgeb
US2081196A (en) * 1935-09-27 1937-05-25 Emsig Max Tack button
US2332578A (en) * 1942-03-07 1943-10-26 Waterbury Button Company Composite metallic and nonmetallic button
JPS484581U (ko) * 1971-06-15 1973-01-19
AU557267B2 (en) * 1983-04-13 1986-12-18 Nippon Notion Kogyo Co. Ltd. Button
IT1179704B (it) 1984-06-01 1987-09-16 Itw Fastex Italia Spa Fibbia sganciabile particolarmente per borse cartelle e simili
JPH0748087Y2 (ja) * 1988-09-22 1995-11-0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等の取付用止め具
JPH0484581A (ja) 1990-07-26 1992-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3007167B2 (ja) 1990-12-25 2000-02-07 株式会社ニフコ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JPH04226714A (ja) 1990-12-29 1992-08-17 Sanyo Seisakusho:Kk 成形用金型
KR940004657Y1 (ko) * 1992-01-27 1994-07-16 시삼암 고정편을 결합한 가방 괘정구
JPH079113A (ja) 1993-06-22 1995-01-13 Leotec:Kk 複合材の製造方法
EP0623296A1 (en) * 1993-05-07 1994-11-09 Ykk Corporation Buckle
JPH0716890A (ja) 1993-06-30 1995-01-20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ITPD940146A1 (it) * 1994-08-05 1996-02-05 Riccardo Candotti Bottone per confezioni
JPH08103304A (ja) 1994-10-05 1996-04-23 Nifco Inc バックルの固定構造
JPH09155937A (ja) 1995-12-04 1997-06-17 Ikegami Seiko Kk 樹脂成形用金型のアンダーカット処理ピン
JPH09155930A (ja) 1995-12-07 1997-06-17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H09300362A (ja) 1996-05-08 1997-11-25 Oki Data:Kk 成形金型
US5794316A (en) 1996-06-24 1998-08-18 National Molding Corp. Side-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ocking feature
JP4149038B2 (ja) 1998-06-12 2008-09-10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3494588B2 (ja) * 1999-05-10 2004-02-09 Ykk株式会社 側部押圧開放型バックル
JP3737019B2 (ja) 2000-06-30 2006-01-1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4050918B2 (ja) 2002-03-15 2008-02-20 共同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
TW564694U (en) * 2002-03-28 2003-12-01 Universal Trim Supply Co Ltd Safety surface buckle capable of preventing children from biting
JP2003284606A (ja) * 2002-03-28 2003-10-07 Nifco Inc サイドリリースタイプのバックルを構成させる雌バックルおよびサイドリリースタイプのバックルを構成させる雄バックル
JP2003299519A (ja) 2002-04-08 2003-10-21 Kobun Shoin:Kk 画具収納バッグ
JP2003311791A (ja) 2002-04-23 2003-11-05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金型
USD495971S1 (en) * 2002-06-20 2004-09-14 Ykk Corporation Buckle
JP3892363B2 (ja) * 2002-08-08 2007-03-1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3744510B2 (ja) * 2003-05-12 2006-02-1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
JP4177166B2 (ja) 2003-05-12 2008-11-05 Ykk株式会社 シート装着器具およびシート装着用部材
US7144268B2 (en) * 2003-08-19 2006-12-05 Spacelabs Medical, Inc. Latching medical patient parameter safety connector and method
US7565721B2 (en) * 2006-03-30 2009-07-28 Ykk Corporation Non-rotating sandwich butt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7076A (en) 1994-09-15 1996-04-16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ide-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ocking feature
JPH09206113A (ja) * 1995-11-30 1997-08-12 Yoshio Tokuda プラスチック製ガイドレスバックル
KR20010087112A (ko) * 2000-03-03 2001-09-15 조셉 앤셔 높은 안전성의 버클 조립체
JP2001252108A (ja) 2000-03-03 2001-09-18 Joseph Anscher 安全性の高いバックル・アセンブリ
KR100473107B1 (ko) 2001-07-23 2005-03-0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KR100601259B1 (ko) * 2003-04-11 2006-07-1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25994B2 (en) 2010-06-01
KR20060087453A (ko) 2006-08-02
TWI276406B (en) 2007-03-21
US20060172038A1 (en) 2006-08-03
DE102006003588A1 (de) 2006-08-10
DE102006003588B4 (de) 2017-10-19
TW200631518A (en) 2006-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414B1 (ko) 버클,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 방법
KR100413944B1 (ko) 버클
US8002570B2 (en) Resin molded parts with lock arm, connector using it and method for forming resin molded parts with lock arm
EP0309943B1 (en) Buckle assembly
US7140082B2 (en) Side release buckle allowing locking from an angular position
EP1884170B1 (en) Buckle device
KR100601259B1 (ko) 버클
EP1961325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6351876B1 (en) Side release buckle
EP3827692B1 (en) Buckle
CN108582691B (zh) 一种注塑模具及使用该注塑模具生产注塑件的注塑方法
CN110774534A (zh) 底切处理机构以及成型用模具
EP2161441B1 (en)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an injector
WO2012165591A1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CN114052342A (zh) 扣具装置
JP5049399B1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CN100531611C (zh) 扣件、注射模塑成形用金属模及注射模塑成形方法
CN214773718U (zh) 一种前模滑块大行程顺序开模机构注塑模具
CN209812994U (zh) 一种组合滑块横向法向二次抽芯机构及注塑模具
CN112829224A (zh) 一种带有倾斜手柄的注塑产品的注塑模具和注塑方法
CN201102290Y (zh) 模具的行程开闭器
CN214773719U (zh) 一种带有倾斜手柄的注塑产品的注塑模具
CN112123643B (zh) 双滑块抽芯联动机构
CN212877962U (zh) 旁开扣
CN214773722U (zh) 一种带有倾斜手柄的注塑产品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