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262B1 - 축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축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262B1
KR100690262B1 KR1020017016158A KR20017016158A KR100690262B1 KR 100690262 B1 KR100690262 B1 KR 100690262B1 KR 1020017016158 A KR1020017016158 A KR 1020017016158A KR 20017016158 A KR20017016158 A KR 20017016158A KR 100690262 B1 KR100690262 B1 KR 10069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elastic pressing
driven member
shaft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145A (ko
Inventor
요시하루 키타무라
마코토 사토
에이지 와타다니
히로시 이케타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힌지축과 피회동부재의 각도 조정을 안정시켜 주는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주는 동시에,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힌지축(1)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로 관통되는 피회동부재(2)와, 회전 구속 상태에서 힌지축(1)이 관통되고 피회동부재(2)를 가압하여 피회동부재(2)와 힌지축(1)의 상대 운동을 임의의 각도로 유지하는 탄성 가압부재(3,4)를 구비한다.
축 로크 장치

Description

축 로크 장치{Shaft lock device}
본 발명은 노트형 퍼스날 컴퓨터, 노트형 워드 프로세서, 모바일 등의 휴대 단말기나 LCD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각종 기계의 회전 덮개 등에서 경사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부재에 결합되는 축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21도는 일본실용신안등록 제2547422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축 로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축 로크 장치는 슬라이드 와셔(110)와, 피회동부재(120)와, 마찰 와셔(130)와, 스프링 와셔(140)와, 압입 와셔(150)가 힌지축(100)에 동축상에 취부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피회동부재(120)에는 취부판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취부판부(123)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에 고정된다.
힌지축(100)은 플랜지부(101)와, 플랜지부(10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선단이 비원형 부분을 갖는 취부축부(102)와, 플랜지(10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외형이 원형으로 형성된 연결축부(103)로 이루어져 있다. 이 힌지축(100)은 취부축부(102)가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상대 부재에 취부되어 있어 이 상대 부재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연결축부(103)는 슬라이드 와셔(110), 피회동부재(120), 마찰 와셔(130), 스프링 와셔(140) 및 압입 와셔(15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슬라이드 와셔(110), 피회동부재(120), 마찰 와셔(130), 스프링 와셔(140) 및 압입 와셔(150)에는 연결축부(103)가 관통될 수 있도록 연결축부(103)와 동일한 형태의 축구멍(111,121,131,141,1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축부(103)의 단부를 고정시킴에 따라 슬라이드 와셔(110), 피회동부재(120), 마찰 와셔(130), 스프링 와셔(140) 및 압입 와셔(150)가 겹쳐진 상태가 되고 이 스프링 와셔(140)에 의해 가압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가압으로 마찰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힌지축(100) 및 피회동부재(120)가 임의의 상대 각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 로크 장치에는 힌지축(100) 및 피회동부재(120)의 상대 회전의 경우, 어떤 부재라도 힌지축(1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어떤 부재가 회전하는가는 명확하지 않다. 이 때문에 마찰 토크의 발생 부위를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회전하는 부재에서 마찰 토크가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마찰 토크를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찰 토크를 발생시키는 부재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안정적으로 마 찰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 임의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축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의 본 발명은 힌지축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는 피회동부재와, 회전 구속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고 상기 피회동부재를 가압하여 이 피회동부재와 힌지축의 상대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시켜주는 탄성 가압 부재와, 상기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로 관통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를 피회동부재에 가압하는 압입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평탄부 및 이 평탄부의 양단으로부터 같은 방향을 이루며 위쪽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힌지축에 대해 탄성 가압 부재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축과 피회전부재와의 상대 운동의 경우, 탄성 가압 부재는 힌지축과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으로 탄성 가압 부재가 피회동부재를 가압하여 마찰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피회동부재 및 힌지축의 상대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탄성 가압 부재가 힌지축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 토크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에 따르는 탄성 가압 부재는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탄부 및 평탄부의 양측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평탄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또는 판두께 측의 측면에서 볼 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로 형성된다.
평탄부 및 날개부를 갖는 형태의 탄성 가압 부재는 피회동부재로 가압하는 경우에 평탄부와 날개부와의 경계선이 피회동부재와 선접촉을 하여 마찰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선접촉은 접촉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평탄부의 양측 2개소에서 선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마찰 토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축이 회전하면 탄성 가압 부재도 힌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힌지축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평탄부와 날개부의 경계선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따라서, 평탄부와 날개부의 경계선은 원궤적을 그리며 피회동부재와 접촉하기 때문에, 피회동부재 및 탄성 가압 부재는 넓은 선접촉 범위로 접촉하게 되어 마모가 거의 없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판두께측의 측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태의 탄성 가압 부재는 중앙 부분이 피회동부재와 원형으로 접촉하여 마찰 토크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안정적인 마찰 토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힌지축의 회전으로 탄성 가압 부재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원형으로 접촉하면서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마모가 적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제 2항에 따르는 발명은, 힌지축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피회동부재와,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탄부 및 평탄부의 양쪽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부가 피회동부재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또는 판두께의 측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부재로 이루어지고, 회전 구속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여 피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피회동부재와 힌지축의 상대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하는 탄성 가압 부재와,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고 상기 피회동부재에 겹쳐지는 마찰판과, 상기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에서 관통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를 상기 피회동부재에 가압시켜주는 압입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마찰판이 힌지축과 피회동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가압 부재가 마찰판과의 사이에서 피회동부재가 놓이도록 배치되는 경우나 탄성 가압 부재가 힌지축과 피회동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판이 탄성 가압 부재와의 사이에 피회동부재가 놓이도록 배치된 경우 양쪽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청구항 제 2항에 따르는 발명은, 힌지축과 피회동부재와의 상대 운동의 경우에, 탄성 가압 부재 및 마찰판이 힌지축과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탄성 가압 부재와 피회동부재 사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하고 동시에 마찰판과 피회동부재 사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한다. 따라서, 폭 넓은 마찰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마찰 토크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품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마찰판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발명에 따르면, 탄성 가압 부재가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탄부 및 평탄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평탄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또는 판두께 쪽에서 보아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부재 어느것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관이 없어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과 같은 탄성 가압 부재와 피회동부재가 넓은 범위에 걸쳐 접촉하기 때문에 마찰 토크가 안정되고 마모가 적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제 3항에 따르는 발명은,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에서 관통되는 마찰판과, 힌지축이 자유 회전 상태에서 관통되는 피회동부재와,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탄부 및 이 평탄부의 양단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평탄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혹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로 이루어지고,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에서 관통되는 탄성 가압 부재와,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에서 관통되는 압입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힌지축이 취부되어 있고 상기 압입판을 관통한 힌지축의 관통단을 조여서 고정시키도록 탄성 가압 부재가 피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피회동부재와 힌지축의 상대 각도를 임의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마찰판과, 피회동부재와, 탄성 가압 부재와, 압입판을 힌지축에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힌지축의 관통단을 조여지게 고정되어 있어서 마찰판, 피회동부재, 탄성 가압 부재 및 압입판이 겹쳐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마찰판 및 탄성 가압 부재가 힌지축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와 피회동부재 사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하고 동시에, 마찰판과 피회동부재 사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 토크가 안정되고 피회동부재와 힌지축과의 상대 각도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발명에 따르면, 탄성 가압 부재가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탄부 및 이 평탄부의 양단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평탄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또는 판두께의 측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의 어느 형태로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과 같이 탄성 가압 부재와 피회동부재가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게 되어 마찰 토크가 안정되고 동시에 마모가 적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제 7항에 따르는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발명에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힌지축과 연이어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복수의 탄성 가압 부재를 반대 방향에서 겹쳐지게 설치하여 탄성 가압 부재 전체의 휨량이 많아지게 할 수 있어 마찰 토크를 광범위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탄성 가압 부재를 같은 방향으로 겹쳐 사용하는 것으로, 가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높은 마찰 토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청구항 제 9 항에 따르는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윤활제를 갖는 윤활제 보지부가 상기 탄성 가압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윤활제 보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가 윤활 작용을 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1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2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3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4에서 U자형 스프링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U자형 스프링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U자형 스프링의 변형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U자형 스프링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고 (d)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4에서 C자형 스프링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자형 스프링의 가압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C자형 스프링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를, (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3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그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각도 조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각도 조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각도 조정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각도 조정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각도 조정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각도 조정 장치의 축 로크 장치에 이용되는 틸트(tilt)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각도 조정 장치의 마찰판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축로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실시 형태에서 동일 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실시 형태 1)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1을 도시한 것으로, 힌지축(1)과, 마찰판(9)과, 피회동부재로서 브라켓(2)과, 탄성 가압 부재(21)와, 압입판(5)으로 이루어지고, 마찰판(9), 브라켓(2), 압입판(5)의 순으로 힌지축(1)에 취부되어 있다.
힌지축(1)은 플랜지부(1a)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 플랜지부(1a)의 양측으로는 취부축부(1b) 및 연결축부(1c)가 동축상에 연장되어 있다. 취부축부(1b)는 상대 부재로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됨) 등을 취부하기 위한 것으로, 취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용 구멍(1d)을 갖는 박판 형태의 취부편(1e)이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부(1c)는 마찰판(9), 브라켓(2), 탄성 가압 부재(21) 및 압입판(5)을 취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축부(1c)는 평형 컷(cut) 절삭 가공이 이루어져서 비원형의 외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2)은 고정판부(2a)로부터 축지지판부(2b)가 돌출된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는 장치 본체 등의 지지부재(미도시됨)에 고정판부(2a)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고정판부(2a)에는 고정용 구멍(2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지지판부(2b)에는 축구멍(2d)이 형성되고, 이 축구멍(2d)에 힌지축(1)의 연결축부(1c)가 관통된다. 축구멍(2d)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힌지축(1)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고, 이에 따라 힌지축(1) 및 브라켓(2)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마찰판(9)은 플랜지부(1a)와 동등한 직경의 외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연결축부(1c)의 외경과 같은 형태의 축구멍(9a)이 관통되어 있다. 축구멍(9a)의 주위에는 윤활제 보지부로서 윤활제 보지 구멍(9b)이 다수개 관통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 보지 구멍(9b)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충진되어 있으며, 축구멍(9a)의 주위에 형성되어 내부에 보지된 윤활제를 마찰 토크 발생면(브라켓(2)과의 접촉면)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윤활 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윤활제 보지부(9b)로서는 관통구멍이어도 상관이 없고 글로브(groove)나 요홈으로 형성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탄성 가압 부재(21)는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탄부(21b)와, 평탄부(21b)의 양측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21c)를 갖는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하 탄성 가압 부재(21)를 U자형 스프링(21)으로 기재한다. 날개부(21c)는 평탄부(21b)의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평탄부(21b)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평탄부(21b)에는 힌지축(1)의 연결 축부(1c)가 감압 상태로 관통하는 축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축구멍(21a)는 연결축부(1c)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U자형 스프링(21)은 평탄부(21b)의 저면으로부터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압입판(5)은 힌지축(1)의 연결축부(1c)가 감압 상태에서 관통하는 축구멍(5a)을 가지고 있다. 이 압입판(5)은 U자형 스프링(21)의 외측으로부터 취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축 로크 장치의 결합은, 마찰판(9), 브라켓(2), U자형 스프링(21), 압입판(3)의 순으로 힌지축(1)의 연결축부(1c)를 이들 부재에 관통되게 끼우게 된다. 이때 압입판(5)을 관통한 연결축부(1c)의 관통단을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정으로, U자형 스프링(21)이 압입판(5)에 의하여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에 가압되어, U자형 스프링(21)과 축지지판부(2b) 사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된다. 또한, 마찰판(9)와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와의 사이에서도 마찰 토크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힌지축(1) 및 브라켓(2)의 상대 각도를 임의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판(9)의 윤활제 보지 구멍(9b)으로부터 윤활제가 마찰 토크 발생면에 공급되어 윤활작용을 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입판(5)이 U자형 스프링(21)을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에 가압할 때에 평탄부(21b)와 날개부(21c)의 경계부가 축지지판부(2b)와 접촉한다. 이 경계부는 선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U자형 스프링(21)이 브라켓(2)과 상대 운동하는 경우 브라켓(2)과의 사이에서 큰 접촉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하지만 평탄부(21b)의 양측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마찰 토크를 크게 할수 있어 브라켓(2)의 상대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자형 스프링(21)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2의 변형 형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U자형 스프링(21)이 힌지축(1)과 브라켓(2) 사이에 배치되고, 마찰판(9)이 브라켓(2)과 압입판(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힌지축(1)의 연결축부(1c)를 압입판(5)에 관통시켜 그 관통단을 조여 고정하여 U자형 스프링(21)과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와의 사이 및 마찰판(9)과 브라켓(2)의 축 지지판부(2b) 사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되기 때문에, 힌지축(1)과 브라켓(2)과의 상대 각도를 임의로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 1실시예에 대해 탄성 가압 부재로서 U자형 스프링(21)을 2매 사용하고 있다. 2매의 U자형 스프링(21)은 브라켓(2)과 압입판(5) 사이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브라켓(2)측에 위치하는 U자형 스프링(21)은 그 평탄부(21b)의 저면이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예서는 한쪽의 U자형 스프링(21)의 날개부(21c)와 다른 U자형 스프링(21)의 날개부(21c)가 접촉하게 하여, (즉 2매의 U자형 스프링(21)이 상호 교차하여) 겹쳐지게 된다. 그래서, 압입판(5)을 관통한 연결축부(1c)의 관통단을 조여 고정하여 U자형 스프링(21,21)이 겹쳐진 상태에서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2매의 U자형 스프링(21,21)이 힌지축에 연이어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U자형 스프링 전체로서 휨량이 커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 토크를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U자형 스프링(21)을 동일한 방향으로 겹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겹쳐 사용하는 것으로 U자형 스프링 전체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큰 마찰 토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U자형 스프링(21)의 직경이 작게 하거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으로 U자형 스프링(21)의 스프링 정수를 작게 하여 복수의 U자형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마찰 계수를 발생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로서 U자형 스프링(21)은 축 로크 장치로서 설계 토크와 함께 그 수를 적적절하게 변경하는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 형태 3)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형태 3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이용하고 있는 마찰판(9)을 생략하고 있다. 즉, 브라켓(2), U자형 스프링(21), 압입판(5)에 대해서 힌지축(1)의 연결축부(1c)가 관통되어 있고, 이 관통단을 조여 고정하는 것으로 힌지축(1)의 플랜지부(1a),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 U자형 스프링(21) 및 압입판(5)이 겹쳐지게 되어 U자형 스프링(21)의 직접 가압으로 발생하는 마찰 토크로 힌지축(1) 및 브라켓(2)의 상대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축(1)의 플랜지부(1a)와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와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마찰력이 작은 경우나 이들 부재를 내마찰성 재료로 쓰는 경우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부품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며 동시에 조립이 간단해 지는 장점이 있다.
(실시 형태 4)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축 로크 장치에 이용 가능한 각각의 탄성 가압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은, 탄성 가압 부재로서 U자형 스프링(21)이 도시되어 있다. U자형 스프링(21)은 원판 형상의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축구멍(21a)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편평한 부분인 접촉면부(21b)와, 평판부(21b)의 양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된 날개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21c)는 평판부(21b)의 양쪽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로 돌출되어 있다. 평탄부(21b)의 저면(21f)이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로 향하여 U형 스프링(21)이 배치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6은 축 로크 장치를 결합한 것으로, U자형 스프링(21)을 압입한 상태를 보여준다. 압입력 P는 날개부(21c)에 작용하고 이 압력으로 평탄부(21b)가 반전해서 만곡 상태가 되어 위로 휘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평탄부(21b)와 날개부(21c)와의 경계 부분(21e)이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와 선접촉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선접촉으로 브라켓(2)과의 사이에 마찰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힌지축(1)과 브라켓(2)과의 상대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U자형 스프링(21)에 있어서 경계부(21e)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 형태로 된 브라켓(2)의 축지지단부(2b)와 접촉하기 때문에 축지지단부(2b)와의 접촉 길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경계부분(21e)는 평탄부(21B)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즉, 접촉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로서 안정적인 마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브라켓(2)의 상대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자형 스프링(21)이 브라켓(2)에 대한 상대 회전을 하는 경우 힌지축(1)의 연결축부(1c)를 중심으로 해서 U자형 스프링(21)이 힌지축(1)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의 경우 평판부(21b)와 날개부(21c)와의 경계 부분(21e)은 힌지축(1)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따라서, 상기 경계 부분(21e)은 원 궤적을 그리며 브라켓(2)과 접촉하기 때문에, 브라켓(2) 및 U자형 스프링(21)은 넓은 접촉 범위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로부터 브라켓(2) 및 U자형 스프링(21)간의 마찰이 감소되어, 브라켓(2) 및 U자형 스프링(2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위로 들뜬 평탄부(21b)와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와의 사이에 간극(21g)이 형성된다. 이어, U자형 스프링(21)의 저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도포하여 두는 것으로 윤활제를 간극(21g) 내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7은 U자형 스프링(21)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상기 U자형 스프링(21)에는 날개부(21c)에 대해서 평탄부(21b)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의 평탄부(21b)에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구조는 날개부(21c)에 압력을 가하더라도 큰 강성을 갖는 평탄부(21b)가 만곡 상태로 변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평탄부(21b)의 저면(21h)가 브라켓(2)에 면접촉을 한 상태가 되어 마찰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첨부도면 도 8에 도시한 U자형 스프링(21)은 첨부도면 도 5에 도시한 U자형 스프링에 대해서 윤활제 보지부(21d)를 구비한 것이다. 윤활제 보지부(21d)는 단면이 삼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구(溝)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윤활제 보지부(21d)는 평탄부(21b)에 대해서 브라켓(2)과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윤활제가 브라켓(2)과의 사이에서 윤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윤활제의 윤활 작용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탄성 가압 부재는 C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C형 스프링(20)은 연결축부(1c)가 감압 상태에서 관통하는 축구멍(20a)이 중앙 부분에 관통 성형되어 있다. 또한, C자형 스프링(20)은 완곡한 곡률로 이루어져서 한쪽에 만곡된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C자형 스프링(20)은 중앙부(20b)의 양측이 만곡 상태로 돌출된 날개부(20c)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도면 도 10는 축 로크 장치에 결합한 상태의 C자형 스프링(20)의 압축된 상태를 보여준다. C형 스프링(20)은 중앙부(20b)가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에 직접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C형 스프링(20)은 압축력 P가 작용하기 전에는 쇄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있게 되나 날개부(20c)에 압축력 P가 작용하게 되면 날개부(20c)가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레 접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부(20b)가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와 면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면접촉을 함에 따라, 브라켓(2)과의 사이에서 마찰 토크를 발생시키게 되고, 힌지축(1)과 브라켓(2)과의 상대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C형 스프링(20)는 힌지축(1)이 회전하게 되면 힌지축(1)을 중심으로 해서 원형면에 접촉하면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들의 마모가 적어지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한 C자형 스프링(20)은 첨부도면 도 9에 도시한 C자형 스프링에 대해서 윤활제 보지부(20d)와 마주하도록 대향되게 관통된 긴 원형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윤활유 보지부(20d)는 중앙부(20b)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C자형 스프링(20)에 윤활제 보지부(20d)가 구성되어 있어 윤활제의 윤활 작용이 유효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 형태 5)
첨부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 5의 축 로크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제 1마찰판(61), 제 2마찰판(62), 제 3마찰판(63)을 이용하게 된다. 이들 마찰판(61,62,63)은 어느 것이든지 대략 같은 직경의 평판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마찰판(61) 및 제 2마찰판(62)은 힌지축(1)과 브라켓(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마찰판(61)이 힌지축(1) 쪽에 배치되고, 제 2마찰판(62)이 브라켓(2)쪽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3마찰판(63)은 이들 마찰판(61,62)과의 사이에서 브라켓(2)이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마찰판(62)에서 브라켓(2)과 대향하는 면에는 계합돌기부(64,64)가 18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마찰판(62)과의 사이에서 브라켓(2)을 사이에 둔 제 3마찰판(63)에서 브라켓(2)과 대향하는 면에도 계합돌기부(65,65)가 18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마찰판(62)의 계합돌기부(64,64)와는 직교해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브라켓(2)의 축지지판부(2b)에서 축구멍(2d)의 주위에는 계합구멍부(67)가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합 구멍부(67)에는 제 2마찰판(62)의 계합돌기부(64,64) 및 제 3마찰판(63)의 계합돌기부(65,65)가 각각 감합되고, 이러한 감압으로 이들 마찰판(62,63)이 브라켓(2)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 2마찰판(62) 및 제 3마찰판(63)에는 관통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 윤활제 보지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윤활제 보지부(69)는 각각의 마찰판(62,63)에 대해서 계합돌기부(64,6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마찰판(62) 및 제 3마찰판(63)의 중앙 부분에는 힌지축(1)의 연결축부(1c)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도록 하는 원형의 축구멍(62a,63a)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1)쪽에 위치한 제 1마찰판(61)은 이상의 계합돌기부 및 윤활유 보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판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마찰판(61)은 한쪽의 평판면이 힌지축(1)의 편평한 단면(1f)과 접촉하는 한편, 다른 편평면은 제 2마찰판(62)과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으로 상기 제 2마찰판(62)에 형성되어 있는 윤활제 보지부(69)를 덮어 줄 수 있게 된다.
제 1마찰판(61)의 중앙 부분에는 축구멍(61a)이 관통되어 있으며, 이 축구멍(61a)은 힌지축(1)의 연결축부(1c)의 외형과 동일한 비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축구멍(61a)에는 연결축부(1c)가 감압 상태로 관통되기 때문에, 제 1마찰판(61)은 힌지축(1)에 대해서 회전 구속이 이루어져서 힌지축(1)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는 제 3마찰판(63)과 압입판(5)과의 사이에 탄성 가압 부재로서 웨이브 스프링(8)이 배치되어 있다. 웨이브 스프링(8)의 축구멍(8a)은 힌지축(1)의 연결축부(1c)와 동일한 형태의 비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힌지축(1)의 연결축부(1c)가 관통되게 되어, 연결축부(1c)에 회전이 구속되어 힌지축(1)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압입판(5)의 축구멍(5a)은 비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힌지축(1)의 연결축부(1c)가 감압되게 하여 힌지축(1)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13은 상술한 축 로크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힌지축(1)의 연결축부(1c)가 제 1마찰판(61), 제 2마찰판(62), 브라켓(2), 제 3마찰판(63), 웨이브 스프링(8) 및 압입판(5)을 순서대로 관통하게 되며, 이 관통단부를 조여 고정하여 웨이브 스프링(8)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첨부도면 도 8에 있어서, 6은 힌지축(1)의 관통 단부를 조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이다.
본 실시예의 조립 상태는 제 2 및 제 3마찰판(62,63)이 브라켓(2)과 일체로 구성되고, 제 1마찰판(61), 웨이브 스프링(8) 및 압입판(5)이 힌지축(1)과 일체로 이루어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조립 상태로 힌지축(1) 및 브라켓(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 1마찰판(61)과 제 2마찰판(62)의 접촉면 및 제 3마찰판(63)과 웨이브 스프링(8)과의 접촉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힌지축(1) 및 브라켓(2)의 상대 각도를 임의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는 제 3마찰판(63)이 브라켓(2)과 일체로 구성된 형태로 브라켓(2)과 웨이브 스프링(8)과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웨이브 스프링(8)이 브라켓(2)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 브라켓(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브라켓(2)으로서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브라켓(2)을 값싼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마찰판(61,62,63)을 스테인레스나 인청동(燐靑銅)으로 제조하는 경우 브라켓(2)으로는 SPCC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값싸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2)에 대해 재료 선택의 여지가 넓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마찰판(61) 및 제 2마찰판(62)이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마찰판(61,62)이 밀착 상태로 접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 제 2마찰판(62)에 구성된 윤활제 보지부(69)를 제 1마찰판(61)이 확실하게 덮어주는 것이 가능하며, 윤활제 보지부(69)로부터 윤활제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윤활제에 의해 윤활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윤활로 마찰판(61,62)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주는 제 1마찰판(61)과 제 2마찰판(62)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아 회전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경사 각도 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찰판을 웨이브 스프링(8)쪽에만 설치하고 브라켓(2)과 힌지축(1) 사이에 마찰판(61,62)을 생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및 제 3마찰판(62,63)에 계합구멍부를 형성하고, 브라켓(2)에 계합돌기부를 형성해서 마찰판(62,63)을 브라켓(2)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 고정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 형태 6)
첨부도면 도 14 내지 도 20은 이상의 실시 형태에 적용된 각도 조정 장치의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각도 조정 장치는, 베이스(30)와, 베이스 브라켓(31)과, 2개의 틸트(tilt) 브라켓(32,33)이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30)는 디스플레이패널 등을 지지하는 지지대(미도시됨)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브라켓(31)은 이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있다. 베이스 브라켓(31)의 양단에는 지지판부(31a,31b)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지지판부(31a,31b)에 틸트 브라켓(32,33)이 회전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있다. 틸트 브라켓(32,33)은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양단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베이스(30)와 베이스 브라켓(31)은 축 로크 장치(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 브라켓(31)과 각 틸트 브라켓(32,33)과는 축 로크 장치(5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축 로크 장치(40,50)는 상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8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30)와 베이스 브라켓(31)을 연결해 주는 축 로크 장치(40)는 베이스(30)에 고정된 샤프트(힌지축)(41)과, 샤프트(41)가 회전 구속 상태에서 관통하는 마찰판(42)이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브라켓(31)에는 샤프트(41)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관통되어 있다. 베이스 브라켓(31)을 관통한 샤프트(41)는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3에서 도시한 탄성 가압 부재(20)에 회전 구속 상태가 되도록 관통되어 있고, 또한 압입판(43)에 회전 구속 상태로 관통되어 그 단부가 조여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어, 베이스 브라켓(31)을 회전 조작하게 되면, 베이스 브라켓(31)이 수평면 내의 임의 각도에서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 브라켓(31)의 회전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규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브라켓(31)의 하면에는 첨부도면 도 14 내지 도 17에서 도시한 스토퍼 돌기(44)가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44)는 베이스 브라켓(31)에 대해 프레스로 헬프 블랭킹(half blanking) 처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도면 도 20은 이 스토퍼 돌기(44)에 대향하는 마찰판(42)이 도시되어 있다. 마찰판(42)에는 샤프트(41)에 감압되는 비원형의 축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마찰판(42)은 평면에서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 돌기(44) 방향으로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스토퍼판(42b,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판(42b,42c) 사이에는 베이스 브라켓(31)의 회전 가능한 범위 내에 있게 되고, 베이스 브라켓(31)의 회전으로 스토퍼 돌기(44)가 어떤 스토퍼판(42b,42c)에 걸리더라도 베이스 브라켓(31)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등의 수평 내에서 각도 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베이스 브라켓(31)과 틸트 브라켓(32,33)을 연결하는 축 로크 장치(50)는, 베이스 브라켓(31)의 지지판부(31a,31b)에 고정된 틸트 샤프트(힌지축)(51)과, 틸트 샤프트(51)에 취부된 스페이서(52), 마찰판(53), 탄성 가압 부재(54) 및 압입판(55)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틸트 브라켓(32,33)은 그 축지지판부(32b,33b)가 마찰판(53) 및 탄성 가압 부재(54)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54)로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도면 도 19은 틸트 샤프트(51)가 도시되어 있으며, 외형이 원형의 취부 축부(51b)와, 외형이 비원형의 연결축부(51c)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취부축부(51b)는 연결 축부(51c)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2)는 연결 축부(51c)에 회전 구속 상태로 취부되어 있으며, 이 스페이서(52)에 마찰판(53)이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구조는 스페이서(52)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힌지축(1)의 플랜지부(1a)와 같이 작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축 로크 장치(50)로는 힌지축(1)을 대신하여 틸트 샤프트(51)를 이용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 1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취부 축부(51b)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연결축(51c)을 절삭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틸트 샤프트(51)의 형상이 간단하고 가공이 용이해지게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는 틸트 브라켓(32,33)의 고정판부(32a,33a)를 디스플레이패널 등의 양단부에 연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틸트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틸트 브라켓(32,33)이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양단 부분을 좌우단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조작력이 좌우로 양호하게 분산되게 된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회전 및 그 각도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힌지축(1)의 관통 단부를 조여 고정하지 않고 너트를 체결하여 축 로크 장치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힌지축(1)의 단부 외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으로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2)를 2 이상 장착하는 것도 좋고, 탄성 가압 부재를 단수로 해도 상관이 없으며, 마찰판(9)을 생략하더라도 상관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 1의 발명에 따르면, 탄성 가압 부재가 힌지축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 토크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외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로서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판부 및 평판부의 양측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평판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또는 판두께의 측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가압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회동부재를 임의의 각도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피회동부재와 넓은 범위에서 접촉할 수 있어 피회동부재 및 탄성 가압 부재의 마모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압입판이 탄성 가압 부재를 외측에서 눌러 피회동부재를 가압하게 되어 탄성 가압 부재의 마찰 토크를 피회동부재에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에 따르면, 탄성 가압 부재 및 마찰판이 힌지축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탄성 가압 부재와 피회동부재 및 마찰판과 피회동부재와의 사이에서 마찰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마찰 토크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부품수가 줄어 들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며, 게다가 마찰판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로서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판부 및 평판부의 양측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평판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또는 판두께의 측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가압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회동부재를 임의의 각도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피회동부재와 넓은 범위에서 접촉할 수 있어 피회동부재 및 탄성 가압 부재의 마모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입판이 탄성 가압 부재를 외측에서 눌러 피회동부재를 가압하게 되어 탄성 가압 부재의 마찰 토크를 피회동부재에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 3항에 따르면, 마찰판과 피고둥부재와 탄성 가압 부재와 압입판을 힌지축에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탄성 가압 부재가 피회동부재를 가압하기 때문에 피회동부재와 힌지축의 상대 각도를 임의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마찰 토크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게다가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로서 소정의 폭을 갖는 띠편 형상의 평판부 및 평판부의 양측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평판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가압 부재, 또는 판두께의 측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중앙부가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가압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회동부재를 임의의 각도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피회동부재와 넓은 범위에서 접촉할 수 있어 피회동부재 및 탄성 가압 부재의 마모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입판을 관통한 힌지축의 단부를 조여서 고정시켜 장착하기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의 마찰 토크를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제 7 항에 따르면,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발명의 효과를 갖는 동시에, 복수의 탄성 가압 부재를 겹쳐진 상태에 맞게 탄성 가압 부재 전체의 휨량이 커지게 되어 마찰 토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마찰 토크를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청구항 제 9 항에 따르면, 윤활제의 윤활 작용으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Claims (12)

  1. 힌지축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는 피회동부재와,
    회전 구속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고 상기 피회동부재를 가압하여 이 피회동부재와 힌지축의 상대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시켜주는 탄성 가압 부재와,
    상기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로 관통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를 피회동부재에 가압하는 압입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평탄부 및 이 평탄부의 양단으로부터 같은 방향을 이루며 위쪽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로크 장치.
  2. 힌지축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는 피회동부재와,
    회전 구속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고 상기 피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피회동부재와 힌지축의 상대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시켜주는 탄성 가압 부재와,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고 상기 피회동부재에 겹쳐지는 마찰판과,
    상기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로 관통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를 피회동부재에 가압하는 압입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평탄부 및 이 평탄부의 양단으로부터 같은 방향을 이루며 위쪽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로크 장치.
  3.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로 관통되는 마찰판과,
    상기 힌지축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는 피회동부재와,
    상기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로 관통되는 탄성 가압 부재와,
    상기 힌지축이 회전 구속 상태로 관통되는 압입판을 포함하며,
    이것들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힌지축에 취부되어 있고, 상기 압입판을 관통한 힌지축의 단부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상기 피회동부재를 가압하여, 이 피회동부재와 힌지축과의 상대각도가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평탄부 및 이 평탄부의 양단으로부터 같은 방향을 이루며 위쪽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가 상기 피회동부재와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로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따라서 적어도 2 이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로크 장치.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채워지는 윤활제 보지부가 상기 탄성 가압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로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17016158A 1999-06-15 2000-06-15 축 로크 장치 KR100690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68575 1999-06-15
JP16857599 1999-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145A KR20020064145A (ko) 2002-08-07
KR100690262B1 true KR100690262B1 (ko) 2007-03-12

Family

ID=1587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158A KR100690262B1 (ko) 1999-06-15 2000-06-15 축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63552B1 (ko)
EP (1) EP1203890B1 (ko)
JP (1) JP3785563B2 (ko)
KR (1) KR100690262B1 (ko)
CN (2) CN1945032B (ko)
AU (1) AU5247900A (ko)
TW (1) TW457340B (ko)
WO (1) WO20000774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94229B (zh) * 2009-09-30 2011-05-25 广州毅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定位功能的双自由度转轴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52B1 (ko) * 1999-07-13 2007-08-07 톰슨 라이센싱 패킷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처리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JP3674548B2 (ja) * 2000-12-18 2005-07-20 双葉金属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7188391B2 (en) * 2001-12-24 2007-03-13 Lg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JP4129155B2 (ja) * 2002-09-11 2008-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始動用歯車伝動装置の防振構造
WO2004027274A1 (ja) * 2002-09-17 2004-04-01 Nhk Spring Co., Ltd. ヒンジ装置
JP3674615B2 (ja) * 2002-12-27 2005-07-20 双葉金属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20040175252A1 (en) * 2003-03-03 2004-09-09 Kurczynski Richard J. Fastener and washe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4397225B2 (ja) * 2003-12-04 2010-01-13 日本発條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7055218B2 (en) * 2004-06-01 2006-06-06 Shin Zu Shing Co., Ltd. Hinge
US7845051B2 (en) 2004-09-30 2010-12-07 Nhk Spring Co., Ltd. Hinge device and opening/closing mechanism using the hinge device
TWM311926U (en) * 2006-03-16 2007-05-11 Jarllytec Co Ltd Sleeved hinge structure
WO2009044496A1 (ja) 2007-10-05 2009-04-09 Panasonic Corporation 回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開閉式携帯端末
JPWO2009145337A1 (ja) * 2008-05-30 2011-10-20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
JP5216502B2 (ja) * 2008-09-26 2013-06-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バー開閉機構
CN101634335B (zh) * 2009-08-25 2015-01-14 孙时泽 铰链
CN103370551A (zh) * 2011-02-17 2013-10-23 日本发条株式会社 铰链装置
US20140090204A1 (en) * 2012-09-28 2014-04-03 Gem Products, Inc. Adjustable Friction Hinge
US9562560B1 (en) 2013-11-04 2017-02-07 Sandia Corporation Robust tilt and lock mechanism for hopping actuator
JP3207777U (ja) * 2016-09-20 2016-12-01 株式会社 日本育児 安全柵
JP6725391B2 (ja) * 2016-10-12 2020-07-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移動型放射線発生装置
JP7211781B2 (ja) * 2018-12-04 2023-01-24 Toyo Tire株式会社 防振マウントの塗装装置および防振マウントの塗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289A (en) * 1891-06-16 Washer
US1016798A (en) * 1911-02-17 1912-02-06 Thomson Thomson Company Nut-locking washer.
US1095039A (en) * 1912-10-14 1914-04-28 Frank E Spencer Spring nut-lock.
US3628584A (en) * 1969-12-18 1971-12-21 Illinois Tool Works Spring washer
JPS544462B2 (ko) * 1974-04-10 1979-03-07
JPH0311568A (ja) 1989-06-08 1991-01-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導電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1568U (ko) * 1989-06-20 1991-02-05
US5190391A (en) * 1992-05-04 1993-03-02 Yen Yang Basestrong Co., Ltd. Variable torsional force pivot shaft connector
US5022778A (en) 1990-11-02 1991-06-11 Lu Sheng N Pivot shaft
JP2547422Y2 (ja) 1991-08-30 1997-09-10 加藤電機株式会社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US5269047A (en) * 1992-06-10 1993-12-14 Lu Sheng N Hinge device for casings
DE9210175U1 (ko) * 1992-07-30 1992-12-03 Lu, Sheng Nan, Shu Lin Chen, Taipei, Tw
CN2174588Y (zh) * 1993-09-17 1994-08-17 新日兴弹簧机械工业股份有限公司 可停滞定位的枢轴
CN2187702Y (zh) * 1993-09-17 1995-01-18 新日兴弹簧机械工业股份有限公司 可随意定位的枢轴
CN2170404Y (zh) * 1993-09-28 1994-06-29 陈桂榕 一种改进式枢轴
US5772351A (en) * 1995-01-24 1998-06-30 Chih Ching Industry Ltd. Pivot joint
JPH09196048A (ja) * 1996-01-18 1997-07-29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US5702197A (en) * 1996-07-01 1997-12-30 Chih Ching Industry Ltd. Structure of pivot joint
JPH1026128A (ja) * 1996-07-10 1998-01-2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JPH1026126A (ja) 1996-07-10 1998-01-2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JP3763887B2 (ja) * 1996-07-10 2006-04-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チルトヒンジ
JP3459868B2 (ja) * 1997-05-16 2003-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障害時におけるグループ入れ替え方式
US5937482A (en) * 1997-06-17 1999-08-17 Horng; Chin Fu Turning shaft structure
JP3798899B2 (ja) * 1998-01-27 2006-07-19 加藤電機株式会社 チルトヒンジ
US5970580A (en) * 1998-03-23 1999-10-26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Tilt hinge for office automation equipment
JP2000008688A (ja) * 1998-06-25 2000-01-11 Tooritsu Supply Kk チルトヒンジ
KR200196906Y1 (ko) * 1998-07-11 2000-10-02 정기근 힌지장치
US6168342B1 (en) * 1999-01-05 2001-01-02 Yu-Chih Wu Pivot joint for use in a computer
JP2000297574A (ja) * 1999-04-14 2000-10-24 Haimekku:Kk クリックと摩擦を付けた蝶番
JP2001012451A (ja) * 1999-06-30 2001-01-16 Sanko:Kk 角度保持機能を備えるヒンジ装置
JP2001107941A (ja) * 1999-10-08 2001-04-1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JP2001099133A (ja) * 1999-09-30 2001-04-10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US6361257B1 (en) * 1999-12-07 2002-03-26 Illinois Tool Works Inc. Parallel wave wa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94229B (zh) * 2009-09-30 2011-05-25 广州毅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定位功能的双自由度转轴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3890A1 (en) 2002-05-08
EP1203890A4 (en) 2004-05-26
CN1210506C (zh) 2005-07-13
AU5247900A (en) 2001-01-02
EP1203890B1 (en) 2011-08-31
WO2000077413A1 (fr) 2000-12-21
CN1945032A (zh) 2007-04-11
JP3785563B2 (ja) 2006-06-14
CN1945032B (zh) 2010-12-08
TW457340B (en) 2001-10-01
JP2001059373A (ja) 2001-03-06
US6763552B1 (en) 2004-07-20
KR20020064145A (ko) 2002-08-07
CN1369043A (zh)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262B1 (ko) 축 로크 장치
US5913351A (en) Tilt hinge
JP3798899B2 (ja) チルトヒンジ
KR200187046Y1 (ko) 틸트힌지
JPH1047338A (ja) チルトヒンジ
KR100216046B1 (ko) 틸팅 힌지
KR100263517B1 (ko) 자재 연결기의 베어링 컵 및 유지 스트랩
JP2004251439A (ja) ヒンジ装置
JP2001099133A (ja) チルトヒンジ
JP2001107941A (ja) チルトヒンジ
JP3856601B2 (ja) チルトヒンジ
KR200234588Y1 (ko) 엘씨디모니터용 힌지
JP3763887B2 (ja) チルトヒンジ
JP2000055031A (ja) 回動取付機構
JP2001003927A (ja) 軸ロック装置
KR980010078U (ko) 틸트힌지
JP2001003926A (ja) 軸ロック装置
JP2001041228A (ja) チルトヒンジ
JP2000356215A (ja) 軸ロック装置
KR100383730B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KR200267853Y1 (ko) 엘시디 모니터 지지기구
KR200184244Y1 (ko) 디스크 타입의 마찰힌지장치
KR100457547B1 (ko) 플랜지 타입 파이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힌지장치
KR200212842Y1 (ko) 틸트힌지
JP3258451B2 (ja) チル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