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882B1 -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 Google Patents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882B1
KR100622882B1 KR1019990024030A KR19990024030A KR100622882B1 KR 100622882 B1 KR100622882 B1 KR 100622882B1 KR 1019990024030 A KR1019990024030 A KR 1019990024030A KR 19990024030 A KR19990024030 A KR 19990024030A KR 100622882 B1 KR100622882 B1 KR 10062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glass
compound
degassing
oxide
vacuum deg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430A (ko
Inventor
다께이유스께
마쓰와끼마사따까
사사끼미찌또
기지마다까시
다니가끼아쓰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0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C03B5/2252Refining under reduced pressure, e.g. with vacuum ref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0Bridges, shoes, throats, or other devices for withholding dirt, foam, or batch
    • C03B5/205Mechanical means for skimming or scraping the melt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4Refi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감압 탈기 장치로 용융 유리를 도입하고, 소정의 감압 조건하에서 탈기 처리를 수행한 후, 용융 유리를 다음 단계로 도출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에 있어서, 탈기 처리 시에, 알루미늄, 티타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철, 크롬, 코발트, 세륨,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을, 상기 감압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용융 유리내에 형성된 기포층의 표면으로 공급하여, 기포층을 감소시키거나 소멸시키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감압 탈기 방법

Description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VACUUM DEGASSING METHOD FOR MOLTEN GLASS}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감압 탈기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계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압 탈기 장치
12 : 감압 하우징
14 : 감압 탈기조
16 :상승관
18 : 하강관
20 : 용해조
36 : 공급 장치
G : 용융 유리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형된 유리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성형장치로 용융 유리를 성형하기 전에, 용융탱크내의 용융 유리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소정의 감압 조건하에서 감압 탈기 장치내에서 용융 유리의 탈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감압 탈기를 수행하는 것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이다. 감압 탈기 장치내의 용융 유리 위에는, 감압 상태의 상부 공간이 존재한다. 감압 탈기 장치내에서 탈기 처리된 용융 유리는, 예를 들어 방출 파이프를 통해 성형장치로 공급될 것이다.
감압 탈기를 수행할 때, 용융 유리의 표면상에는 기포층이 형성된다. 감압 탈기되는 용융 유리의 유속이 적으면, 이 기포층의 형성속도는 기포층을 구성하는 기포가 파괴되어 기포층을 감소시키는 속도보다 낮고, 기포층은 감압 탈기 장치내의 하류를 향하여 소멸 또는 감소될 것이며, 따라서 아무런 중대한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용융 유리의 유속이 크고, 기포층이 감압 탈기 장치내에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두께로 잔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것이다.
(1) 기포층내의 기포들은 용융 유리의 흐름을 따라 이동되어, 감압 탈기 장치로부터, 예를 들어 방출 파이프를 통해 성형 장치로 이동된다. 그러한 기포들은 유리 제품내의 결함이 될 것이다.
(2) 고온의 용융 유리로부터 상부 공간으로의 복사열 전달이 기포층에 의해 방해받고, 상부 공간의 온도가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상부 공간과 접촉해 있는 기포층의 상부 표면의 온도가 감소하고, 기포층의 상부표면상의 기포들은 거의 파괴되지 않고, 따라서 기포층은 더 증가할 것이다. 기포층이 증가하면, 기포층이, 예를 들어 감압 탈기 장치의 천장과 접촉하고 감압 탈기 장치의 구성 물질을 부식시키기 쉬워지며, 이는 감압 탈기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용융 유리내에 부식된 구성 물질이 포함되어, 유리 제품내의 결함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로부터 기포를 제거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에 있어서, 기포층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생성된 기포층을 단시간에 소멸 또는 감소시켜, 탈기 효율을 향상시키고, 탈기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압 탈기 장치로 용융 유리를 도입하고, 소정의 감압 조건하에서 탈기 처리를 수행한 후, 용융 유리를 다음 단계로 도출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을 제공하며, 탈기 처리 시에, 알루미늄, 티타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철, 크롬, 코발트, 세륨,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을, 감압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용융 유리내에 형성된 기포층의 표면으로 공급하여, 기포층을 감소 또는 소멸시킨다.
이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금속 화합물은, 그것이 기포층에 도달하기 전에 미세한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의 분말, 또는 용융 금속이나 용융 금속 화합물의 미세한 액적(droplet)이 되기만 한다면, 공급될 때에는 어떠한 상태이어도 좋다. 그러나, 용액, 현탁액, 분말 또는 가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금속 화합물은 연소를 위해 공기 또는 산소와 혼합될 수도 있고, 연료는 연소를 위해 그러한 가스와 함께 태워지며, 연소 배기 가스에 함유된 상술된 금속 화합물은 기포층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술된 금속 화합물의 미세한 분말이 공기와 혼합되고 기포층으로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유기 티타늄 화합물, 유기 규소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 유기 철 화합물, 유기 크롬 화합물, 유기 코발트 화합물, 유기 세륨 화합물, 및 유기 칼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된 용액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산화 알루미늄, 산화 티타늄, 산화 규소, 산화 아연, 산화 마그네슘, 산화 철, 산화 크롬, 산화 코발트, 및 산화 세륨의 분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이 물 또는 유기 용매에 현탁된 현탁액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알루미늄, 티타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철, 크롬, 코발트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산화물, 황산염, 질산염 및/또는 염화물이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된 용액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금속 화합물은 사염화 티타늄(titanium tetrachloride)이나 사염화 규소(silicon tetrachloride)이고, 가스의 형태로 기포층에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탈기 처리는 내화물로 제조된 감압 탈기 장치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을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감압 탈기 방법이 적용된 감압 탈기 장치의 일 예의 계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 탈기 장치(10)는, 용해조(20)내의 용융 유리(G)를 감압 탈기 처리하고, 예를 들어, 플로우트 배스(float bath) 등의 판상 성형조 또는 병 성형조 등의 다음 처리조 (비도시) 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감압 하우징(12), 감압 탈기조(14), 상승관(16) 및 하강관(18)을 구비한다.
감압 하우징(12)은, 감압 탈기조(14)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아치형태를 갖는다. 이 감압 하우징(12)은, 감압 탈기조(14)에 필요한 기밀성 및 강도를 가진 것이라면 그 재질 또는 구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금속재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감압 하우징(12)은, 외부로부터 진공 펌프(도시 않음) 등에 의해 내부가 감압되고, 내장된 감압 탈기조(14)의 내부가 소정의 감소된 압력, 예를 들어 1/20 내지 1/3 atm 의 감압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조된다.
감압 하우징(12)의 상부 내부에는, 감압 탈기조(14)가 제공된다. 감압 탈기조(14)는 도 1 좌하측의 상승관(16)의 상단 및 도 1 우하측의 하강관(18)의 상단에 연결되고, 좌상측 및 우상측에 흡입구(14a, 14b)를 구비하여, 감압 탈기조(14)의 내부를 소정의 감압 조건(설정 감압 조건)으로 유지한다. 감압 탈기조(14)내에서, 상승관(16)으로부터 도입된 용융 유리(G)는 도면의 오른쪽으로 흘러서 하강관(18)으로 배출된다. 감압 탈기조(14)의 상부에는, 용융 유리(G)내의 기포를 부상시켜서 이 기포를 파괴시키기 위한 상부 공간(14s)이 제공된다. 또한, 감압 탈기조(14)의 내부에는, 그 일부가 용융 유리(G)에 잠기고, 나머지는 상부 공간(14s)으로 돌출된 배리어(34a, 34b)가 형성되어, 용융 유리(G)내에서 부유된 기포가 많은 표면부(기포층)를 차단하고 기포를 파괴하여 기포가 하류로 흐르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상승관(16) 및 하강관(18)은 감압 하우징(12)의 다리부(leg portion)(12a, 12b)에 각각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감압 탈기 장치(10)에 있어서, 감압 탈기조(14), 상승관(16) 및 하강관(18)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백금이나, 백금 로듐 또는 백금 팔라듐 등의 귀금속 합금, 또는 내화물, 특히 전기 주조 내화물(electro-cast refractory) 또는 고밀도 소성 내화물(dense burned refractory)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중, 전기 주조 내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압 탈기 장치(10)에서 용융 유리(G)와 직접 접촉하는 주요 부분을 전기 주조 내화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부터 이용되어 온 귀금속 합금으로 제조하는 것보다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형상과 크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감압 탈기 장치(10)의 용량을 대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온에서 감압 탈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감압 탈기조(14) 주위에는, 단열 내화 벽돌(32)(이후 단열 벽돌(32)로 지칭)이 배치되어 감압 탈기조(14)를 감싸며, 상승관(16) 및 하강관(18) 주위에도, 각각을 도포하는 단열 벽돌(32)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감압 탈기 장치, 상승관 및 하강관이 전기 주조 내화물로 구성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용융 유리의 유량의 증가에 따라 탈기 처리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인지가 문제시 된다. 또한, 대유량의 감압 탈기 장치에서도 공간, 비용 등의 관점에서 가능한 소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 유리(G)를 감압 탈기 장치로 도입하고, 소정의 감압 조건하에서 탈기처리를 수행한 후 다음 단계로 도출하는 감압 탈기 방법으로서, 탈기 처리 시에, 알루미늄, 티타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철, 크롬, 코발트, 세륨,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을, 용융 유리내에 형성된 기포층의 표면에, 예를 들어, 적하 또는 분사로 공급하여, 기포층을 감소시키거나 소멸시켜 상기의 문제점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 탈기조(14)에 공급 장치(36)가 제공되고, 이 공급 장치(36)에 의해 소정의 금속 화합물이 분사된다.
공급 장치(36)는, 상술된 소정의 금속 화합물을 탈기제(defoaming agent)로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기포층에 적하하거나 분무하여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감압 탈기조(14)내에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공급 장치(36)는, 금속 화합물을 용액, 현탁액, 분말 또는 가스의 형태로 직접 적하 또는 분사하는 형태로서, 그 선단은, 감압 탈기조(14)의 내부로 삽입되는 SUS 관 또는 분사 노즐을 통해, 적하 또는 분사에 의해 기포층에 직접적으로 금속 화합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종래의 공급 장치를 상용할 수 있다. 공급 장치(36)의 개수 및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리어(34a, 34b)가 감압 탈기 장치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각 배리어(34a, 34b)에 대응하여 공급 장치가 제공되고, 금속 화합물이, 배리어(34a, 34b)에 의해 차단된 기포층에 적하 또는 분사에 의해 공급됨으로써, 다수의 분사 노즐을 설치할 필요 없이 대부분의 기포층에 금속 화합물이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층의 감소 또는 소멸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금속 화합물의 공급 방법은, 상기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 화합물을 기포층에 직접 공급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화합물을 연료에 혼합하여, 연소버너로 연료를 연소하면서, 기포층에 분사하여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감압 탈기 장치에 있어서, 분사 노즐 대신에 연소 배기 가스를 공급하는 스틸관이 공급 장치(36)로서 제공되며, 한편, 금속 화합물은, 가솔린 등의 저 비등점 석유 또는 천연 가스 등의 탄화 수소계 가스 등의 불완전 연소를 하기 어려운 연료에 용해 또는 현탁되어 공기 또는 산소 중에서 연소된 후, 그 연소 배기 가스를 버너에서 분사하여 기포층에 도달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금속 화합물을 연소용 공기로 분사 또는 혼합(적하)하고, 연소 버너로 상기 연소용 공기와 함께 연료를 연소하면서, 금속 화합물을 기포층으로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감압 탈기 장치내에, 분사 노즐 대신에 연소 버너를 공급 장치(36)로서 형성하고, 한편, 연료는 이 연소 버너로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와 함께 연소되어 생성된 배기 가스내에 포함된 금속 화합물을 배기 가스와 함께 기포층으로 분사한다.
그러한 금속 화합물의 공급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기포층의 양에 따라 간헐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량의 금속 화합물을 공급한 후, 소정 시간동안 공급을 중단하고, 그후, 공급을 다시 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금속 화합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러한 구조에 의해, 감압 탈기조(14)내에서 기포층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생성된 기포층을 단시간내에 소멸 또는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감압 탈기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제품에 잔류하는 기포를 더 감소시켜서 제품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화합물은, 알루미늄, 티타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철, 크롬, 코발트, 세륨,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을 막론하고, 공지된 다양한 금속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합물이 기포층에 도달할 때, 미세한 금속 산화물 입자의 형태가 큰 탈기 효과를 갖기 때문에, 유기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금속 화합물로서는 다음의 것이 이용된다.
유기 티타늄 화합물로서는, 테트라-n-부틸 티타네이트 또는 테트라-1-프로필 티타네이트 등의 티타늄 에스테르 또는 그 유도체, 티타늄 킬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 티타늄 아실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가 이용될 수 있다.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 오소실리케이트, 테트라에틸 오소실리케이트 또는 테트라-n-프로필 실리케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톤을 이용할 수 있다.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크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또는 코발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철, 크롬 또는 코발트의 유기 화합물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물 또는 에탄올, 메탄올, 톨루엔, 이소프로판올, 등유 등의 유기용매에 임의의 비율로 용해된 용액의 형태로 이용된다.
또한, 사염화 티타늄, 사염화 규소 등의 상온에서는 액체이지만 낮은 비등점을 갖고 쉽게 기화될 수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러한 화합물은 가열 기화되고, 반송 가스에 의해 기포층에 분사되거나 연소 공기에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산화 알루미늄, 산화 티타늄, 산화 규소, 산화 아연, 산화 마그네슘, 산화 철, 산화 크롬, 산화 코발트, 산화 세륨 또는 칼슘 산화물의 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분말들은 가스에 의해 반송될 수도 있으며, 물 또는 유기용매에 현탁되어 슬러리를 형성하여 공급 장치(36)로부터 적하 또는 분사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알루미늄, 티타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철, 크롬, 코발트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의 황산염, 질산염 및/또는 염화물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염화 규소, 사염화 티타늄, 삼염화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 질산 알루미늄, 염화 제 2 철(ferric chloride), 황산 마그네슘 또는 염화 마스네슘 등의 염화물, 황산염 또는 질산염 용액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의 분사가 기포층을 소멸시키는 원리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그러한 화합물이 다수의 미세한 산화물 입자의 형태로 기포층에 도달하여 기포들의 표면에 부착되고, 그들은 미세한 입자이기 때문에, 금속 화합물이 부착된 기포의 유리 조성과 저융점 조성물을 쉽게 형성하여, 기포의 국부 부분의 물리적 특성, 예컨대, 표면 장력 및 점도가 불균일하게 되어, 기포의 파괴를 촉진한다. 또한, 금속 화합물이 용융적(molten droplet)인 경우, 기포층에 도달할 때, 기포들을 구성하는 유리 조성으로 용이하게 녹아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기포들의 물리적 특성에 국부적 변화를 보다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감압 탈기 장치(10)로 용융 유리(G)를 탈기 처리하여 다음 처리로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예를 이하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로 감압 하우징(12) 및 감압 탈기조(14)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용해조(20)내의 용융된 유리(G)를 상류 피트(22)를 통과시키고, 상승관(16)을 통해 상승키킨후, 감압 탈기조(14)로 도입한다. 여기에서, 용융 유리(G)는 감압 탈기조(14)내의 소정의 감압조건하에서 금속화합물을 공급하면서 효율적으로 탈기 처리된다. 그후, 탈기된 용융 유리(G)는 하강관(18)을 통해 하류 피트(24)로 유도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감압 탈기 방법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일일 생산용량이 20 톤인 판유리 제조용 감압 탈기 장치(도 1 과 동일한 구성의 것)에 있어서, 기포층의 바로 위와 관찰창 바로 아래에 내경이 5 mm 인 SUS 관을 설치하고, 전자 밸브를 타이머에 의해 개폐하여, 표 1 에 나타낸 조성의 용액을 배관의 말단에서 기포층상으로 직접 적하시킴으로써, 기포층의 감소량을 관찰하였다. 표 1 에서, 농도는, 100 dl 의 용매(이 경우 용액을 형성하지 않는 액체)내의 금속 산화물로서 계산할 때, 용질(또는 금속 산화물)의 무게(g)를 % 로 나타낸다.
기포층은, 감압 탈기 장치의 천장에 형성된 석영유리의 관찰창을 통해, 8 배의 단거리 초점 망원경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표에서, ◎ 는 적하를 시작한 후, 곧바로 기포층이 얇아지기 시작하여, 10 분 이내에 거울면(mirror surface)이 부분적으로 관찰되기 시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1
는 기포층의 두께가 얇아지기 시작하지만, 거울면이 관찰되기 까지 10 분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 또는 기포층이 얇아지지만 거울면이 실질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며,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2
는 기포층의 감소효과가 더욱 열등한 경우를 나타낸다.
액적은 10 분 간격으로 매회 평균 10 cc 씩 적하하였다.
액체 조성 금속 산화물 농도 결과
에틸실리케이트/톨루엔 SiO2 2.5 %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아세틸아세톤 TiO2 2.5 %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톨루엔 TiO2 2.5 %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톤/메탄올 Al2O3 2.5 %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메탄올/톨루엔 Fe2O3 2.5 %
크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메탄올/톨루엔 Cr2O3 2.5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3
코발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메탄올/톨루엔 CoO 2.5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4
ZnO/에탄올 현탁액 ZnO 10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5
CaO/에탄올 현탁액 CaO 10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6
Al2O3/에탄올 현탁액 Al2O3 10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7
CeO2/에탄올 현탁액 CeO2 10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8
산화 마그네슘/물 현탁액 MgO 10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09
산화 세륨/물 현탁액 CeO2 10 %
Figure 112004026748443-pat00010
감압 탈기 장치의 외부에 장착된 연소장치내에서 경유를 연소할 때, 표 1 에 나타낸 유기용매내에 용해 또는 현탁된 금속 화합물을 경유에 혼합한 후, 연소시켜, 생성된 연소 배기가스의 일부분을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감압 탈기 장치내의 기포층의 상부로부터 공급하였다. 결과는 표 1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였다.
표 1 에 도시된 결과 및 금속 화합물 혼합 연소 배기가스에 의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금속 화합물을 기포층에 공급함으로써, 감압 탈기 처리시 탈기 효율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명백하다.
이상, 본 발명의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량 및 변경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감압 탈기 방법에서는, 기포층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생성된 기포층을 단시간에 감소 또는 소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탈기 효율을 개선하고, 감압 탈기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용융 유리를 감압 탈기 장치로 도입하여, 소정의 감압 조건하에서 탈기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용융 유리를 다음 단계로 도출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으로서,
    탈기 처리 시에, 알루미늄, 티타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철, 크롬, 코발트, 세륨,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을, 상기 감압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용융 유리내에 형성된 기포층의 표면으로 공급하여, 상기 기포층을 감소시키거나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용액, 현탁액, 분말,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유기 티타늄 화합물, 유기 규소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 유기 철 화합물, 유기 크롬 화합물, 유기 코발트 화합물, 유기 세륨 화합물, 및 유기 칼슘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산화 알루미늄, 산화 티타늄, 산화 규소, 산화 아연, 산화 마그네슘, 산화 철, 산화 크롬, 산화 코발트, 및 산화 세륨의 분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을 물 또는 유기 용매에 현탁시킨 현탁액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사염화 티타늄 또는 사염화 규소이며, 가스의 형태로 상기 기포층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처리는 내화물 재질의 감압 탈기조(vacuum degassing vessel)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KR1019990024030A 1998-06-26 1999-06-24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KR100622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039498A JP3861460B2 (ja) 1998-06-26 1998-06-26 溶融ガラスの減圧脱泡方法
JP98-180394 1998-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30A KR20000006430A (ko) 2000-01-25
KR100622882B1 true KR100622882B1 (ko) 2006-09-12

Family

ID=1608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030A KR100622882B1 (ko) 1998-06-26 1999-06-24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18126B1 (ko)
EP (1) EP0967180B1 (ko)
JP (1) JP3861460B2 (ko)
KR (1) KR100622882B1 (ko)
CZ (1) CZ291173B6 (ko)
DE (1) DE69900440T2 (ko)
ID (1) ID230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5099A1 (fr) * 1998-01-09 1999-07-15 Saint-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de fusion et d'affinage de matieres vitrifiables
JP3119850B2 (ja) 1999-04-21 2000-12-25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の溶融方法
DE19939773C2 (de) * 1999-08-21 2003-06-18 Schott Glas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as Läutern von Gläsern oder Glaskeramiken
JP2002293547A (ja) * 2001-03-28 2002-10-09 Asahi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ガラスの製造方法
US6854290B2 (en) * 2001-07-18 2005-02-15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controlling foam production in reduced pressure fining
EP1306353A1 (de) * 2001-10-27 2003-05-02 Schott Gla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produkten durch Läutern unter Unterdruck ohne Zusatz von As2O3 bzw. Sb2O3
DE10211183B4 (de) * 2002-03-14 2005-04-28 Schott Ag Vorrichtung zum Läutern einer Glasschmelze mit einer Unterdruck-Läuterkammer
US8156766B2 (en) * 2003-01-09 2012-04-17 Corning Incorporated Molten optical glass fining apparatus
DE10304973B4 (de) * 2003-02-06 2006-08-17 Schott Ag Vorrichtungen, Regelvorrichtung und Regelverfahren für die Läuterung von Glas
DE10327201B4 (de) * 2003-06-17 2005-12-08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äutern einer Glasschmelze in einer Unterdruck-Läuterkammer
DE10333869B4 (de) * 2003-07-24 2008-07-03 Schott Ag Verfahren zum Auslegen einer Anlage zum Schmelzen und/oder Läutern von Glas
DE102006025512B4 (de) * 2006-05-30 2010-06-10 Diether Böttg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äutern von Glasschmelze unter Unterdruck
KR101160495B1 (ko) * 2007-01-31 2012-06-28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제조 방법 및 감압 탈포 장치
CN101959807B (zh) * 2008-02-29 2013-06-19 旭硝子株式会社 熔融玻璃的减压脱泡装置
JP5177550B2 (ja) * 2008-12-22 2013-04-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消泡装置及び泡入浴装置
US9021838B2 (en) 2010-06-17 2015-05-05 Johns Manville Systems and methods for glass manufacturing
US8997525B2 (en) 2010-06-17 2015-04-07 Johns Manville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foamed glass using submerged combustion
US9096452B2 (en) 2010-06-17 2015-08-04 Johns Manville Methods and systems for destabilizing foam in equipment downstream of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US8769992B2 (en) 2010-06-17 2014-07-08 Johns Manville Panel-cooled submerged combustion melter geometry and methods of making molten glass
US9032760B2 (en) 2012-07-03 2015-05-19 Johns Manville Process of using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to produce hollow glass fiber or solid glass fiber having entrained bubbles, and burners and systems to make such fibers
US8707740B2 (en) 2011-10-07 2014-04-29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glass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RU2552567C2 (ru) * 2010-06-30 2015-06-10 Асахи Гласс Компани,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вакуумной дегазации, способ вакуумной дегазации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стекл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текла
WO2012148411A1 (en) * 2011-04-29 2012-11-0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urging contaminants from a glass making system
US9533905B2 (en) 2012-10-03 2017-01-03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having an extended treatment zone and methods of producing molten glass
WO2014055199A1 (en) 2012-10-03 2014-04-10 Johns Manville Methods and systems for destabilizing foam in equipment downstream of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US9637406B2 (en) * 2013-03-15 2017-05-02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Apparatus for melting and refining silica-based glass
WO2016013523A1 (ja) * 2014-07-24 2016-01-28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溶融物製造装置、ガラス溶融物製造方法、ガラス物品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物品製造方法
US10202297B2 (en) 2014-09-29 2019-02-12 Corning Incorporated Glass inlet tube environmental control
CN104692616A (zh) * 2015-02-14 2015-06-10 无锡顺鼎阿泰克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全氧窑炉除气泡工艺
JP2016179925A (ja) * 2015-03-24 2016-10-13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用の白金構造体、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の製造方法
JP6616183B2 (ja) * 2015-12-28 2019-12-04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
US10246362B2 (en) 2016-06-22 2019-04-02 Johns Manville Effective discharge of exhaust from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US10301208B2 (en) 2016-08-25 2019-05-28 Johns Manville Continuous flow submerged combustion melter cooling wall panels,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196294B2 (en) 2016-09-07 2019-02-05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wall structures or panels of sam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233105B2 (en) 2016-10-14 2019-03-19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of feed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such melters
JP2022507801A (ja) * 2018-11-21 2022-01-1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融液表面の気泡寿命を縮める方法
CN110002721A (zh) * 2019-05-07 2019-07-12 蚌埠嘉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消除玻璃中微气泡的方法
US11319235B2 (en) 2019-10-01 2022-05-03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Glass manufacturing process
US11697608B2 (en) * 2019-10-01 2023-07-11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Selective chemical fining of small bubbles in glass
JP2021066615A (ja) * 2019-10-18 2021-04-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8308A (en) * 1922-11-01 1926-08-31 Cole French Com 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ining glass
GB948301A (en) * 1959-02-18 1964-01-29 Barr & Strou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optical glass
US3145281A (en) 1961-01-23 1964-08-18 Mechanical Products Inc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trip devices located in the housing of a single pole
US3350185A (en) * 1965-01-18 1967-10-31 Owens Illinois Inc Method of eliminating a foam blanket on the surface of molten glass
GB1121883A (en) 1966-01-20 1968-07-31 Barr & Strou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optical glass
FR1485634A (fr) 1966-04-19 1967-06-23 Boussois Souchon Neuvesel Sa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la fusion du verre et l'élaboration de produits vitreux
US3649235A (en) * 1970-01-15 1972-03-14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dissipating foam on molten glass
JPS5737544B2 (ko) 1973-02-06 1982-08-10
US4002449A (en) * 1975-05-21 1977-01-11 Owens-Illinois, Inc. Method of melting laser glass compositions
US4339254A (en) * 1980-06-06 1982-07-13 Ball Corporation Glass manufacture employing a silicon carbide refining agent
US4704153A (en) * 1986-08-12 1987-11-03 Ppg Industries, Inc. Vacuum refining of glassy materials with controlled foaming
NZ220810A (en) 1986-07-07 1989-08-29 Ppg Industries Inc Refining glass; collapsing foam above melt by adding substances
US4849004A (en) * 1988-10-31 1989-07-18 Ppg Industries, Inc. Pulsed pressure method for vacuum refining of glassy materials
JP2817168B2 (ja) 1989-02-21 1998-10-2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の清澄装置
JP2817214B2 (ja) 1989-06-28 1998-10-30 旭硝子株式会社 減圧脱泡装置
JP2841512B2 (ja) 1989-08-07 1998-12-24 旭硝子株式会社 減圧脱泡装置の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JP3032243B2 (ja) 1990-05-29 2000-04-10 旭硝子株式会社 着色ガラスの製造方法
JP3150726B2 (ja) 1991-09-04 2001-03-2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品の製造法
JP2664039B2 (ja) 1992-01-20 1997-10-15 旭硝子株式会社 減圧脱泡方法及びその装置
JP3252975B2 (ja) 1992-01-30 2002-02-04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208845A (ja) 1992-01-30 1993-08-20 Asahi Glass Co Ltd 着色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229831A (ja) 1992-02-20 1993-09-07 Asahi Glass Co Ltd 溶融物の均質化方法及び装置
JPH06305735A (ja) 1993-04-21 1994-11-01 Asahi Glass Co Ltd 溶融ガラスの流量制御装置
US5665137A (en) * 1995-08-15 1997-09-09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Method for controlling secondary foam during glass melting
JP3767637B2 (ja) 1995-08-21 2006-04-19 旭硝子株式会社 高温溶融物用導管の支持構造体
JP3791701B2 (ja) * 1995-08-21 2006-06-28 旭硝子株式会社 高温溶融物導管の周囲を被覆した断熱材の支持装置
CN1051062C (zh) * 1995-10-18 2000-04-05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带有石英玻璃灯容器的电白炽灯
KR100444628B1 (ko) 1995-11-21 2004-11-0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용융유리의정제방법및장치
US5785726A (en) * 1996-10-28 1998-07-2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reducing bubbles at the vessel/glass interface in a glass manufactur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039191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17299A3 (cs) 2000-03-15
CZ291173B6 (cs) 2003-01-15
KR20000006430A (ko) 2000-01-25
DE69900440T2 (de) 2002-05-02
JP3861460B2 (ja) 2006-12-20
EP0967180B1 (en) 2001-05-09
ID23001A (id) 1999-12-30
DE69900440D1 (de) 2001-12-06
EP0967180A1 (en) 1999-12-29
JP2000007347A (ja) 2000-01-11
US6318126B1 (en)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882B1 (ko) 용융 유리의 감압 탈기 방법
US8869564B2 (en) Method for temperature manipulation of a melt
US685429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foam production in reduced pressure fining
KR101011418B1 (ko) 유리 용융로
KR900006206B1 (ko) 유리물질의 용융물 정제 방법 및 장치
EP1046618B1 (en) Method for melting glass
EP2228348B1 (en) Molten glass production apparatus and molten glass production method using same
JP2009523696A (ja) 泡を含まない方法で溶融ガラスを輸送、均質化およびコンディショ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242586B2 (ja) 無機物質を溶融ないし精製するためのスカル坩堝
JP2011011975A (ja) ガラス化可能物質の溶融及び清澄方法並びに設備
JP7223345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ガラス基板
JP5446028B2 (ja) ガラス溶融方法およびガラス溶融装置
EP09390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up a device for refining molten glass under reduced pressure
JP4446283B2 (ja) ガラス溶融炉
CA3144764A1 (en) Selective chemical fining of small bubbles in glass
JP2006321704A (ja) バブリングノズル及び熔融ガラスの清澄方法
JP2020522455A (ja) ガラス製造システムの再調整方法
JP2000086249A (ja) 溶融ガラスの減圧脱泡装置
HU227717B1 (en) Process for making fused-cast refractory products
KR102581636B1 (ko) 유리 청징 장치
JPH11240725A (ja) 溶融ガラスの減圧脱泡装置
JP2000007345A (ja) 溶融ガラスの減圧脱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